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 마니교 . . . . 24회 일치
[[메소포타미아]]의 마니 하이이(216~277)를 [[교조]]로 하는 [[종교]].
종교적으로 서방에서는 마니교는 기독교의 이단으로 여겨졌던 것처럼, 동방에서는 조로아스터교 신들의 이름을 끌어들여 조로아스터 교의 이단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심지어 마니교 교단 조직 역시 "데인 마즈데이슨"이라고 칭하여 조로아스터 교의 신관 조직과 같은 이름을 썻던 것이다. 반대로 마니교 측에서는 기존 종교를 이단시 하였는데 기독교에 대해서는 "세미 크리스찬"(반 기독교인)이라고 칭하고 자신들을 진정한 기독교인이라고 칭했다.
[[교조]] 마니 하이이(216~277)가 활동했던 시기의 [[메소포타미아]] 지방은 여러 종교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었다. [[유대교]], [[기독교]] 계통의 종파, [[이탈리아]]에서 나온 [[피타고라스 교단]][* [[윤회전생]]을 주장했다.], 소아시아의 마르키온 교회, 이집트의 발렌티누스 교단, [[이란]]계통의 조로아스터교나 미트라 숭배 등이 있었다.
마니는 216년 4월 14일, 메소포타미아 남부의 마르딘 마을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파티크는 파르티아의 귀족이며, 어머니 마르얌은 파르티아의 왕족 캄사라간 가문의 출신이었다. 파티크는 마니가 태어나기 직전에 에르사카이 교단에 입신하는데, 이 교단은 [[유대교]] 계통의 신흥 종교로서, 신약 성서나 정통 기독교 사상과는 거리를 두었으며 [[율법]]에 집중하는 금욕적인 교단이었다. 에르사카이 교단은 여성은 입신할 수 없었기 때문에 파티크는 임신한 마르얌을 버려두고 떠났다가 마니가 3,4세가 되자 아들만 데리고 교단으로 다시 돌아갔다.--뭐냐--
마니는 사푸르 1세로부터 제국 내에서 포교 허가를 얻게 된다. 마니교 문헌에서는 사푸르 1세로부터 3번에 걸친 초빙을 받고, 황제는 마니의 [[후광]]에 압도되어 존경하게 되었다고 하거나, 병든 딸이 있고 마니가 의술로 완쾌시켰다는 이야기도 실려 있다. 다만 시대배경으로 보면 사푸르 1세는 이 무렵 여러 종교가 번창하던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통치하기 위하여 종교 관용 정책을 펼쳤던 것으로 보이며, 니시비스의 유대교 공동체의 지도자 사무엘을 불러들여 알현을 허락했다는 일화도 있는 것으로 보아 마니는 단순히 포교 허가를 얻었을 뿐. 특권적인 지위를 얻은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애초에 사푸르 1세는 조로아스터 교에 대한 신심이 깊었던 것으로 보이고.
좌천되었지만 마니는 선교를 멈추지 않고 바트 왕을 개종시킨다. 하지만 이것이 바흐람 1세와 킬데르의 노여움을 불러, 바트 왕은 출두명령을 받게 되고 마니는 미프르 샤에게 도망쳐서 보호를 부탁한다. 하지만 그는 이미 실각한 상태였다. 마니는 마니교의 세력이 강한 중앙아시아로 도주하려 하지만, 이미 출국이 금지되어 있어 감시당하는 몸이 된다. 마니는 제자 아브자크야와 함께 바흐람 1세를 찾아가서 탄원을 요구한다. 하지만 바흐람 1세는 듣지 않고, 마니에게 무허가로 궁정에 찾아온 죄, 황제의 여동생의 치료에 실패한 죄, 신흥 종교를 포교한 죄를 물어 쇠사슬로 묶어서 감금한다.
마니의 처형에는 여러가지 배경이 있는데, 일단 사산 왕조 페르시아가 조로아스터교를 국교로 하고 있었던 것이 가장 크다. 본래 사산 가문 부터가 조로아스터교의 신관 출신이며, 사산 왕조의 황제는 조로아스터교의 신관으로 일하고 즉위 후에도 신관을 겸임하고 있었다. 조로아스터교의 신관들 역시 사산 왕조에서 관료로 봉직하였다. 사산 왕조가 곧 조로아스터교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이 같은 이념에서는 사푸르 1세 같은 관용 정책이 오히려 특수한 사례였던 것이다. 사산 왕조는 조로아스터교 이외의 종교를 탄압한 사례가 상당히 많았다.
또한 마니는 사산 왕조의 이전 왕조인 아르사케스 왕조 파르티아의 왕족 출신이기도 했다. 그런데 이러한 인물이 종교를 퍼트려 방대한 조직을 만들고, 각지의 유력자를 포교하여 끌어들이는 한편, 잔존해있는 파르티아계 귀족이나 중앙아시아에도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정치적으로 위험한 존재로 여겨졌을 소지가 매우 크다.
하지만 권력 측에 선 신관단들의 탄압에도 불구하고, 페르시아 제국에서 마니교는 상당히 오랫동안 살아남게 된다. 마니교는 경전을 확립하고 있었으며, 질서정련한 교리를 갖추고 있었기 때문이다. 조로아스터교는 기도나 배화의례, 구전전승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고, 페르시아의 민족종교로서의 경향이 강한 탓에, 마니교처럼 복잡한 교리와 신화에서 지적인 측면에서 매력을 느끼기 어려웠고 제국의 여러 속민들에게 어필하는 능력이 부족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6세기, 조로아스터교 신관단은 이전까지 쓰이던 팔라비 문자에서 아베스타 문자를 개발하며, 조로아스터교의 경전 아베스타를 확립하게 된다. 성스러운 주문, 찬가, 종교법 등을 정리하여 아베스타를 편찬하며 조로아스터교가 확립된다. 게다가 484년에는 비잔티움 제국에 반발하는 동방 시리아 교회가 페르시아 제국 내에서 승인을 얻게 된다. 이 무렵까지 마니교는 제국 내에서 은밀히 지속되었다고 여겨지지만, 내분에 더해서 지적 우위성 역시 무너지게 되어 완전히 쇠퇴의 길로 걸었다고 추측된다.
7세기 중반, [[이슬람교]]가 급격히 대두하여 페르시아 제국을 침공한다. [[우마이야 왕조]] 시기에 이슬람교는 타 종교에 비교적 관용적이었기 때문에 마니교 역시 페르시아 제국의 멸망으로 오히려 탄압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중앙 아시아에서 귀환한 마니교도와 중동 잔존 마니교도 사이에 사소한 대립이 있거나, 데인 서랄이 이라크 총독과 결탁하려 하는 등의 마찰은 있었지만. 오히려 페르시아 문화인들은 왠지 조로아스터교 보다 마니교에 기울면서 마니교의 세력이 회복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 시기의 마니교 인물로는 아브 이사 알 왈라크가 있다. 그는 마니교, 혹은 시아파로 여겨지는데 제자 이븐 아크 라원디에 따르면 마니교도 였다고 한다. 이원론 종교에 대해서 다룬 『이원론요강』, 마니교 신화를 해석한 『동방의 이방인』 등의 저술을 남겼다. 아브 이사 알 왈라크의 저작은 마니교의 복잡한 신화 체계를 억제하고, 논리적이고 이성적인 방향으로 디자인된 새로운 형태의 마니교였다. 그러나 자신의 저술에서 이슬람과 무함마드를 비방한 것이 문제가 되어, 이슬람 철학자들로부터 강력하게 논리적 공격을 받게 된다. 그리고 10세기 초, 압바스 왕조 18대 칼리프 알 무크타디르 치세에서 다시 마니교에 대한 탄압이 강렬하게 벌어졌다.
기록에 따르면 중앙아시아 소그디니아에서 마니교가 번창했다고 하지만, 실제로 이 지역에서 조로아스터교나 불교에 비해서 유물은 많이 나오지 않아 지배 종교가 되지는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남송 육유(陸游)의 문집 『이남문집(渭南文集)』에 따르면, 강남의 농민 반란은 명교가 핵심이 되었다. 명교 등의 반체제 종교는 「끽채사마(喫菜事魔)」나「사마식채(事魔食菜)」라고 불리웠다.
1263년 남송의 황진(黃震)은 『숭수궁기(崇寿宮記)』를 저술하는데, 이는 도교사원 숭수궁을 중건할 때 일을 적은 것으로서, 이 기록에 따르면 숭수궁은 사실 위장한 마니교 사원이었다. 원나라 때는 당국이 무관심하여[* 몽골인들은 '텡그리 신앙'(하늘 숭배)과 유사한 개념만 들어있으면 어떤 종교이건 딱히 제재하지 않았다.] 4개의 마니교 사원이 추가로 건축된 것을 알 수 있다.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에 따르면 복주에 들렸던 마르코폴로는 유래를 알 수 없는 종교를 만났는데, 이들은 조상에게 물려받은 경전과 시편, 그림을 가지고 있지만 교설을 듣지 못해 교의를 모르게 되었고, 그러나 성자를 모시는 가르침은 지키고 있었다고 한다. 마르코 폴로는 이들을 원나라 궁정에 데려가 예배를 공개적으로 볼 수 있도록 허가를 얻었다고 한다. 마르코 폴로는 이들을 경교 신도(네스토리우스 파 [[기독교]])로 보았지만, 마니교 신도였을 가능성도 제시된다. 다만 이들이 마니교도가 확실한지는 알 수 없고, 마르코 폴로의 기록 역시 실증성이 명확하지 않다.
명교는 명나라 시대의 이단 종교 금지령에 언급되는데, 점쟁이나 무녀가 [[강신]]을 받아 [[부적]]을 그리거나 신탁을 내리고, 스스로를 「단공(端公)」「태보(太保)」「사파(師婆)」로 칭하는, 「백련사(白蓮社)」, 「백운종(白雲宗)」,「미륵불(弥勒佛)」등과 같이, 「명존교(明尊敎)」 역시 금지 대상으로 여겨졌다. 이러한 비밀결사 종교들은 은밀하게 숨어서 그림을 그리고 야간에 예배를 보았다고 묘사되며, 이런 자들에 대해서는 주모자를 교수형에 처하고, 신도들은 곤장을 쳐서 유배를 보낼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율령은 청나라 시대 까지 계속된다.
여기까지 오면 --마니교는 이렇게 사라졌다. 박해를 받고 원형을 잃어, 불교와 도교와 뒤섞여, 한 때의 세계 종교는 중국의 외진 복건성의 산 속에서 적막하게 소멸했다. 신도들은 선조의 가르침이 무엇이었는지도 잊어버렸을 것이다.-- 라고 써야 하겠지만.
무려 21세기 초 2005년, 복건성(福建省)의 마을에서 마니광불(摩尼光佛)을 성황신으로 모시는 마을과 명교 사원 경주궁(境主宮)이 발견된다(…). 이 마을에서 모시는 마니는 일종의 [[성황신]]의 형식으로 모셔지고 있지만, 영국과 호주의 종교 연구가들 방문하여 조사한 결과 이 마을은 '''재발견 된 마니교 사원'''으로 여겨지게 되었다.(이후 마니광불을 모시는 신앙이 복건성에서 소수 발견되었다.)
마니교의 방대한 가르침과 복잡한 우주론이 극도로 단순, 간략화 되었으며 다른 종교들과 뒤섞였으나, 핵심적인 교리(이원론적 세계관, 빛과 어둠의 싸움, 채식주의 등)은 유지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분류:종교]]
- Crusader Kings 2/종교 . . . . 20회 일치
게임 Crusader Kings 2의 종교를 설명하는 페이지. 중세 배경인 게임인 만큼 종교는 매우 중요한 요소다. 몇몇 종교의 경우에는 정부 형태를 강제하기도 하니 더더욱 중요하다.
기독교를 제외한 종교들은 플레이 하는데 DLC를 필요로 한다.
=== 슬라브 종교(Slavic) ===
* 낮은 기술을 가진 비-토속 신앙 군대는 슬라브 종교 지역에서 매우 낮은 보급 한계를 지님
* 종교 지도자가 없음
* 종교를 개혁할 수 있음
=== 수오메누스코 종교(Suomenusk) ===
* 낮은 기술을 가진 비-토속 신앙 군대는 수오메누스코 종교 지역에서 매우 낮은 보급 한계를 지님
* 종교 지도자가 없음
* 종교를 개혁할 수 있음
* 종교 지도자가 없음
* 종교를 개혁할 수 있음
=== 서아프리카 종교(West Africa) ===
* 낮은 기술을 가진 비-토속 신앙 군대는 서아프리카 종교 지역에서 매우 낮은 보급 한계를 지님
* 종교 지도자가 없음
* 종교를 개혁할 수 있음
== 이스라엘 종교권(Israelite) ==
== 동양 종교권(Eastern) ==
- 컬트 종교 . . . . 14회 일치
과격하고 이단적인 신흥 종교. 혹은 종교적 성향이 강한 집단. 흔히 한국에서 말하는 [[사이비 종교]]를 뜻하는 말이다. 많은 국가에서 컬트 종교는 사회적 문제로 여겨진다.
컬트 종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교리는 기존 종교에서 [[이단]]으로 여겨지거나, 여러 종교를 절충한 것이 많다.
컬트 종교가 사회적 문제가 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종교에 들어오도록 강요하며, 그 과정에서 강제적인 수단이 동원된다.
* 종교를 믿는 신도에게 거액의 기부금을 강요하여, 경제적 피해를 입힌다.
* 종교를 믿는 신도에게 폭행, 정신적 학대 등의 [[인권]]을 침해한다.
* 종교 조직이 개입된 [[범죄]], [[테러]] 등 반사회적 활동이 다수 발생한다.
[[분류:컬트 종교]]
- 박홍 (신부) . . . . 11회 일치
|직업 = 종교인, 대학교수
|종교 = [[천주교]](세례명 : 루카)
[[1994년]] [[서강대학교]] 총장으로 재직중, 주사파 관련 발언으로 화제가 되었다.<ref>[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767077 1등신문 대전일보 59년 정통언론<!-- 봇이 붙인 제목 -->]</ref> 민주평통 자문위원으로 종교분과위원장을 지냈으며, '주사파'발언 이후 경찰관 2명이 그를 밀착하며 신변을 보호하기도 하였다.<ref name=autogenerated1>[http://www.hani.co.kr/h21/data/L000626/1pau6q2f.html 한겨레 21<!-- 봇이 붙인 제목 -->]</ref> [[1997년]] 총장직에서 퇴임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15&aid=0000004186& 네이버 뉴스<!-- 봇이 붙인 제목 -->]</ref>
== 초종교포럼 활동 ==
개신교계에서 최대 이단으로 지목하고 있는 통일교가 주축이된 한국종교협의회는 초종교포럼을 만들어 매년 포럼을 개최하고 있다. 이 초종교포럼은 종교간 대화를 통해 종교간 통일을 모색하는 곳이다. 이 포럼의 1대 초대 강사가 예수회의 박홍신부다.<ref>{{뉴스 인용
|제목 = 박홍 서강대이사장 "이 시대 갈등 종교간 화해로 풀어야”
}}</ref> 이후에도 그는 이 초종교포럼에서 강연을 하며 꾸준한 활동을 하고 있다.
- 세속주의 . . . . 10회 일치
[[정교분리]]를 통하여 [[종교]] 기관과 [[국가]] 정부 기관을 분리, 종교가 대해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막고, 모든 종교가 국가의 법 앞에서 평등해야 취급되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세속주의에 기반을 둔 국가를 [[세속국가]]라고 한다.
세속주의는 [[정교분리]]를 주장하며, 특정 종교의 규범이 국가기관을 통하여 사회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반대한다. 세속주의는 국가기관이 어떤 형태로든 종교 단체와 관련되는 것을 비판한다.
세속주의 사상에서는 특정 종교를 가졌다는 신념의 문제 떄문에 [[차별]]이 이루어지는 것을 반대한다. 이는, 특정 종교의 신자가 특혜를 받아서는 안된다고 봄과 동시에, 모든 종교의 신자는 물론 [[무신론]] 역시 평등한 대우를 받을 권리가 있다는 주장이다.
세속주의는 [[무신론]]과 혼동된다. 하지만 엄밀히 말해서, 무신론과는 달리 세속주의는 개인적인 생각 보다는 정치와 사회 구조에 집중된 주장이다. 개인적으로 종교를 믿어도 상관없지만, 국가적으로 특정 종교를 지원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 이인영(정치인) . . . . 10회 일치
|| '''종교''' ||[[개신교]]([[장로회]][*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500569&code=23111111&cp=nv|서울 고척교회 집사]]이다.]) ||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현행법은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보조금의 경우 보조금이 지급되는 대상 사업의 범위와 기준보조율을 대통령령에 위임하고 있으나, 중앙 및 지방정부의 예산규모를 결정짓는 중요한 사항인 지방자치단체 보조금 지급 대상 사업 범위와 각 사업별 국고 보조율은 법률에 명시적으로 규정하려는 것임. 한편, 양로시설을 제외한 노인시설 운영사업은 보조금 지급을 제외하고 있음. 그런데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지만 노인시설은 턱없이 부족한 현실에 비추어 볼 때, 종교시설에 설치된 노인시설에 대해서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운영비를 일부 지원하여 종교시설 유휴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노인복지를 증진할 필요가 있음. 주요내용 가.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보조금의 경우 보조금 지급 대상 사업, 지급 제외 사업, 각 사업별 기준보조율을 법률로 상향규정함(안 제9조제2항?별표 1?별표 2 신설). 나. 종교시설에 설치된 노인시설 운영사업을 보조금 지급 대상 사업에 포함함(안 별표 1 제122호 신설)]
- 지역문화진흥법 일부개정법률안[* 최근 각 종교단체는 전국적으로 산재되어 있는 종교시설을 활용하여 문화복지의 증대를 도모하는 봉사적 차원의 문화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신도들과 일반시민들의 문화 향유권을 부분적으로 충족시키고 있음. 특히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접할 수 있는 기회와 공간이 매우 제한적이라는 현실을 감안할 때, 종교시설은 부족한 문화기반시설을 보완할 수 있는 중요한 자산임. 그러나, 현행법에 따른 생할문화시설의 범위에는 종교시설이 누락되어 있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상·재정상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으로, 종교시설은 유휴공간으로 머무는 경우가 많음. 이에 생활문화시설의 범위에 종교시설을 포함하고 공공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려는 것임(안 제2조제5호)]
- 트로피코 4/건물 . . . . 10회 일치
||종교는 시민들의 삶에서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교회를 건설해서 그들의 신앙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이 좋겠지요. 이 건물은 작은 공동체의 종교인들을 수용하기엔 충분하겠지만, 각하께서 얼마나 신을 섬기는지 보여주시기 위해선 더 장엄한 건물이 필요할지도 모르겠습니다.||
* 자비로우신 예수 그리스도: 교황도 이 상영작 선택에 아주 흡족해할 것입니다. 종교인들의 존경심이 10 상승합니다.
* 암전 속에 흐르는 조명: 방문자당 $20의 추가 이익이 발생합니다. 하지만 종교인 시민들은 이 시설을 이용하지 않게 됩니다.[* 방문자에 휴양객이 추가된다.]
* 주님의 말씀: 종교인 진영의 존경심과 수가 숙련도에 따라 증가합니다.
* 신학 교육: 부가적인 신학 교육과정 때문에 학업 성취 속도는 15% 하락하지만, 몇몇 학생들이 졸업 후 종교인 진영에 가담합니다.
* 신학 교육: 부가적인 신학 교육과정 때문에 학업 성취 속도는 15% 하락하지만, 몇몇 학생들이 졸업 후 종교인 진영에 가담합니다.
구세주 그리스도상은 종교인의 수를 증가시키며 주변의 미관을 향상시켜줍니다.||
* 종교계 지도자들을 수용한다: 종교계의 존경심이 20 증가합니다.
- 창작:치킨교 . . . . 9회 일치
치킨교는 기성종교의 혹세무민으로부터 중생을 구제하고 [[치킨]]으로 지상에 오신 [[치느님]]의 희생정신과 만민평등의 정신을 전파하기 위한 [[한국]]의 종교이다.
모두 근본이 되는 닭의 튀긴 형상을 숭배하고 먹는 것을 종교활동으로 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한 신앙구조를 갖고 있으나, 세월이 흐르면서 각종 양념을 통한 이념화가 진행되면서 치킨의 "특정형태"를 주로 신앙생활의 근본으로 삼는 종파로 분열되게 된다. 이들은 서로가 똑같이 "치킨"을 숭배한다는 점에서는 동의하고 있으나, 어떤 형태의 치느님이 신앙적으로 우월한지 끝없이 논쟁을 일삼으며 오늘도 주문하기 전에 서로를 비방하며 "이걸 주문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싸운다. 이는 마치 크리스트교와 이슬람교가 똑같은 신을 섬기면서도 싸우는 것과 별반 다르지 않다는 점에서 하나의 종교전쟁으로 간주할 수도 있을 것이다.
대략적인 종파는 아래에 소개하지만, 이 이외의 종교가 얼마든지 태어날 수도 있다는 걸 먼저 알려두는 바이다.
치킨교의 근본이 되는 교리를 정립하였기 때문에 그 어떤 치킨종교전쟁이 발생해도 이 파벌만큼은 거의 모든 비난에서 자유로울 뿐더러 후라이드 치킨교도들의 전쟁도 다른 분파와는 달리 "부위"에 따른 우월성을 논하는 정도밖에 없다. 이 때문에 다른 분파에 비해 온건한 성향을 띄는 편이다.
후라이드 치킨교도들이 흔히 "제1차 외식전쟁"에서 죽을 쑤자 나타난 종파였다. 제1차 외식전쟁은 미국의 위대한 선지자 맥도날드와 피자헛이 한반도에 선교를 하러 오고, 한국인지 일본인지 애매한 하이브리드인 롯데리아가 참전하면서 시장통을 지배하던 후라이드 치킨교에 도전장을 내밀면서 시작된 전쟁이었다. 이 전쟁 결과로 치킨교는 제법 상당한 피해를 감수할 수 밖에 없었으며, 이 피해로 인해 후라이드 교는 일종의 종교개혁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내부에서도 별도의 총대주교(소스) 세력에 불과하면 양념파가 따로 떨어져 나오는 결정적인 빌미가 된 것.
그럼에도 유아들에게 부담없이 치느님을 쉽게, 그리고 많이 접할 수 있는 하나의 방편임을 내세우며 순수한 인간인 유아들을 위한 홍보가 제대로 먹혀들어 가 엄청난 세력을 꾸준히 불리게 된다. 시간이 제법 지나고 후라이드 교황과 양념 총대주교 모두 이들도 치킨교도임을 인정함으로써 치킨교 내부의 종교전쟁이 종식된다.
[[분류:NTX 공동창작]] [[분류:종교]]
- 콘스탄티노플 공방전 . . . . 8회 일치
우선 서유럽 국가와 비잔티움 사이에 묵혀뒀던 감정이 4차 십자군때 콘스탄티노플 약탈과 라틴 제국 성립으로 폭발한게 컸다. 이 때문에 정교회를 믿는 제국민들은 서유럽의 가톨릭 교회를 매우 싫어하게 되었고, 콘스탄티노스 11세가 내세우는 동서대통합은 종교계에서는 전혀 먹혀들지 않았다. 특히 콘스탄티노플은 당시 제국에서도 종교적 보수성이 매우 강한 지역[* [[모레아 전제국]]은 상대적으로 자유로웠던 것으로 보인다.]이라 반발이 더욱 컸을 것이다.
종교적 관점에서 보자면 동서대통합과 라틴 전례의 도입은 '조상 대대로 지켜온' 정교회 전통을 단절시키는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오늘날의 국가주의적 관점에서 보자면 이는 매우 어리석고 도움이 되지 않는 행위로 평가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에드워드 기번의 '로마 제국 쇠망사'가 대표적으로 이러한 관점을 채택하고 있다.
하지만 당시 사람들은 종교에 대한 의존도가 국가 이상으로 높았으며, 통제력이 미약한 세속 국가보다는 종교에 대하여 애착을 강하게 가졌다. 특히 말기의 비잔티움 제국은 이미 모든 면에서 오스만 제국의 간섭을 받고 있었던 것이 현실이며, 오스만 투르크 영토 한 가운데 고립된 '콘스탄티노플'은 모든 면에서 비잔티움 황제보다 오스만 술탄의 눈치를 볼 수 밖에 없었다. 이미 세속국가로서 비잔티움은 훅 불면 날아갈 정도로 약화되었고, 제국은 과거와는 달리 '교회의 보호자'로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었다.
종교적 문제 이외에도 다른 서유럽 국가들이 자기들의 이권다툼으로 바빠서 지원을 제대로 해주기 어려웠던 측면도 크다.
* 사실 이 당시 제국의 본령은 [[모레아 전제국]]이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콘스탄티노플보다는 모레아의 비중이 더 컷다. 콘스탄티노플은 여전히 대도시였지만, 제국의 전체 국력에서 보자면 단지 적진에 포위된 위요지 도시라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하지만 수도라는 정치적 상징, 총대주교좌가 놓여 있다는 종교적 상징으로서 가치는 모레아 영토와는 비교할 수 없었고, 이 사건으로 '비잔티움 제국은 멸망'했다는 인식이 강하게 세워졌다.
* 그전부터 비잔티움의 그리스학자들이 튀르크의 침입이나 콘스탄티노플의 정치,종교적 보수성에 질려 모레아나 이탈리아로 떠난 경우가 많았는데,[* 르네상스가 이로인해 일어났다.] 이사건으로 인해 이게 본격화되었다.
- Victoria II/정당 . . . . 7회 일치
== 종교 정책 ==
종교와 국가는 아무런 관계가 없으며, 종교는 개인 취향으로만 취급된다.
종교가 직접적으로 국가 정책이지는 않지만 국가에 전통적인 종교 가치가 함유되어있다.
국가가 국교를 대놓고 밀어주지만 다른 종교를 박해하지는 않는다.
국가와 국교는 하나다. 소수 종교는 차별받는다.
- 김재규 . . . . 7회 일치
||<:> '''종교''' ||<:> [[무종교]] → [[불교]][* [[10.26 사건]]을 일으키고 수감된 이후에 [[불교]]를 믿었다. [[http://legacy.www.hani.co.kr/section-005000000/2005/05/005000000200505240026025.html|관련 출처]].] ||
1977년 박정희에게 [[직선제]]를 건의하기도 했다. 1979년에는 [[긴급조치]] 9호의 해제를 건의했다. 이때 김재규는 “긴급조치 9호는 효력을 다했으니 더 강력한 긴급조치 10호가 필요합니다.” 라며[[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33&aid=0000007473&viewType=pc|긴급조치 10호를 건의했다가 반려당하기도 했는데]], 그 내용에는 노동및 종교의 추가탄압이 들어가있어 과격하기는 마찬가지였던지라 현재까지도 그에 대해 비판하는 이들이 존재한다. 다만 김재규는 훗날 법정에서 그 건에 대해 말하길 박정희의 눈을 속이고 긴급조치 9호의 독소를 제거하기 위해선 어쩔 수 없는 방법이었다고 해명했다.[* [[파일:walderppk-20161228-150640-001.jpg|width=600]][[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3102800209105001&ed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3-10-28&officeId=00020&pageNo=5&printNo=22327&publishType=00010|출처]] ] 김재규는 또한 당시 연금중이던 [[김대중]]의 외출을 눈감아주어서 [[김대중]]이 김영삼측 단합대회에 참석할 수 있게 해서 김영삼의 전당대회 당선을 도와주기도 했다.[* 그리고 여기에 책임을 진다는 구실로 중정부장 자리에서 물러나고 싶다고 사의를 표했으나 거절당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2&aid=0002017191&viewType=pc|출처]] 이는 그가 권력욕에 취해 [[10.26 사태]]를 일으켰다는 주장에 대한 반박 논거로 쓰인다.] 당시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던 정국을 순리대로 풀기 위해서 나름대로 방법을 모색한 것. (물론 결과적으로는 남의 말을 들으려고도 하지 않는 박정희에게는 소귀에 경읽기였다.)
거기다가 김재규의 말이 아예 사실이라면, 박정희는 김재규를 불러 최태민을 대질시켜놓고 친국을 벌였다는 말이 된다. 당시 김재규는 독재정권의 중앙정보부장으로 의전상 부총리였다. 대통령의 왼팔이 '''일개 사이비 종교인을 고자질하는 상황이 되었으니''' 엄청나게 체면을 구긴 일이다. 2017년 기준으로 보자면 [[검찰총장]]이 사이비 교주 하나 기소했다고 대통령에게 친국을 당하는 것보다 더 심한 꼴이다. 거기다가 김재규가 최태민이 저지른 온갖 부정의 입증을 성공했음에도 불구하고 박정희는 오히려 최태민(정확히는 박근혜)을 신뢰하는 꼴을 보였다. 이는 김재규 입장에서 자신이 끝까지 모신 박정희가 중앙정보부 부장인 자신보다 어디서 굴러와 영애를 홀린 사이비 종교인을 더 신뢰한 것으로 보일 수밖에 없으니 있던 충성심도 바닥이 날 수밖에 없다.
가정이긴 하지만, 박정희가 살아있었다면 3저 호황을 통한 경제발전, [[핵무기]] 개발 등을 통해 [[리콴유]] 처럼 박씨 일가의 세습독재 체제를 세웠을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이 있다. 육사를 나와 장교가 된 박지만은 군부를 장악하여 [[리셴룽]]처럼 젊은 나이에 장성을 지내고 나서 정계로 들어와 후계자가 되었을 것이고 박근혜는 최씨 일가의 도움으로 문화, 여성, 종교계를 장악했을 것이다. 반면, 박정희의 무리한 국가주도식 경제정책과 국민들에 대한 과도한 통제, 오랜 독재정치로 인한 선진국들과의 외교갈등 등의 요소들을 고려해보면 과연 박정희가 80년대의 격변기를 유연히 대처할 수 있었을까하는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또한 당시 한국은 이스라엘처럼 미국정계를 좌지우지할 수 있는 국가도 아니었으며 영국, 프랑스 같은 강대국도 아니었기에 무리하게 핵무기를 개발하였다고 하여 미국 등의 강대국들이 한국의 핵무기 보유를 용인해 줄 수 없는 상황이었다. 더구나 박정희의 오랜 독재체제를 못마땅해하던 카터 대통령의 입장을 고려해봤을때 무리하게 핵무기를 개발했을 경우 국제적인 경제제재가 가해져 외교뿐만아니라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대한민국 민주화운동의 원로이자 '10.26 재평가와 김재규 장군 명예회복 추진위원회' 대표인 [[함세웅]] 아우구스티노 [[신부(종교)|신부]]는 2012년 8월 인터뷰에서 "33년이 지난 지금까지 국민과 역사가 김재규 부장의 참뜻을 깨닫지 못하고 있어 매우 안타깝다"고 말했다.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4582|기사]]
- Crusader Kings 2 . . . . 6회 일치
비잔티움쪽은 안습하기 짝이 없는데, 우선 황제인 콘스탄티노스 5세가 성상파괴주의자이어서[* 게임 시스템상 성상파괴주의는 정교회의 이단으로 취급된다] 종교권위가 개판이라 반란이 넘쳐나고, 불가리아와 아바스가 영토를 노리고 침공해오는 경우도 잦아 살아남기 힘들다. ~~몇안되는 비잔티움의 양심 시나리오~~
* 신앙심: 해당 캐릭터가 종교인들로부터 받은 호감을 수치화한 것. 종교 지도자에게 청원하거나 할 때 소모된다. 캐릭터가 죽으면 해당 캐릭터의 신앙심이 가문 점수에 추가된다.
== 종교 ==
[[Crusader Kings 2/종교]] 문서 참조
== 종교 ==
- Victoria II/POP . . . . 6회 일치
* Size(규모): 해당 지역에 있는 해당 민족, 해당 종교, 해당 직업 POP의 인구수. 위 이미지에 따르면 평양에 거주하며 대승 불교를 믿는 조선인 관료는 모두 6,003명이다.
* Rel(종교): 별 존재감 없다. 가끔 주류 종교가 비주류 종교를 억압하는 이벤트가 뜨면 가지고 있는 종교에 따라 의식도와 투쟁성이 변화한다. 예시의 POP는 대승 종교를 믿는다.
- 로힝야 . . . . 6회 일치
로힝야는 미얀마 북서부 라카인주에 80만명 가량이 거주하는 소수민족이다. 방글라데시의 난민촌에는 20만명 이상이 거주하고 있다. 로힝야의 언어는 방글라데시 남부지방의 [[방언]]과 유사하다. [[미안먀]]에서는 [[불교]]가 다수 [[종교]]를 차지하고 있으나, 로힝야는 [[이슬람교]]를 믿고 있다.
미얀마 정부는 이들이 영국 통치 이후 미얀마에 이주하게 된 방글라데시 인으로 보고 있으며, 이들을 방글라데시 불법이민자로 규정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미얀마 정부는 '벵갈리'라는 명칭을 쓰고 있다. 미얀마 정부가 로힝야를 차별하는 배경에는 [[종교]]가 있는데, 미얀마 [[불교]] 신도들의 '반 이슬람' 감정이 강하기 때문이다.
2011년 미얀마가 [[민주화]]되기 시작하였으나, 로힝야에 대한 박해는 오히려 더욱 심해졌다. 미얀마의 다수 종교인 불교 승려들이 로힝야에 대해서 극단주의 주장을 펼치며 배척하고 있기 때문이다. 2012년에는 라카인주에서 불교도인 라카인족과 로힝야족 사이에 유혈 사태가 벌어졌다.
국제위기그룹의 보고서는 로힝야 무장단체가 국제무장세력과 연관이 있으나, 미얀마 내 불교도를 공격대상으로 삼는 것보다는 차별을 끝내고 시민권을 확보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종교적 주장을 펼치는 단체이고 국제 지하드 조직과 연결이 있어 언제나 목표가 바뀔 수 있으며, 미얀마 정부가 군사작전에만 치중하지 말고 로힝야의 고통을 외면하여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 아웅산 수치가 미얀마의 실질적인 지도자지만, 아직 군부 세력이 강하게 남아 있다. 로힝야 탄압은 반 수치 세력이라 할 수 있는 군부와 그에 유사한 성향을 가진 극렬 버마 민족주의자, 종교인이 함께 움직이고 있어 수치가 억제하기 어려운 문제이다.
불교 승려들로 이루어진 '마 바 타'(Ma Ba Tha, 민족종교 보호를 위한 애국연합)라는 단체가 로힝야 탄압에 앞장서고 있다. 이들은 로힝야 보트피플이 사망한 사고에 대해서 미국 대사관이 논평을 내며 '로힝야'라는 표현을 사용하자, 미국 대사관 앞에서 시위를 벌이며 로힝야 같은 종족은 없고 그런 말을 할거면 이들을 다 데려가라고 주장했다.
- 박옥수 . . . . 6회 일치
[[대한민국]]의 [[종교인]]. [[개신교]] 계통 [[신흥종교]]인 [[기쁜소식선교회]]를 운영하고 있으며, 산하 단체로 국제청소년연합(IYF)을 설립하여 활동하고 있다. [[음력]] [[1944년]] [[6월 2일]] 출생이며, 출생지는 [[경상북도]] [[구미시]].
기쁜소식강남교회[* [[경부고속도로]]에서 [[서울특별시]]로 올라올 때 보이는 그 [[교회]]이다. 참고로, 이 교회 건물은 불법건축물이라고 한다. [[그린벨트]] 내에 건축제한이 있는데, 그걸 상큼하게 씹어먹은 것. 서초구청에서 강제 집행을 하려고 했었으나, 교인들이 죄다 나와서 막았다고...] 담임[[목사]]로도 활동하고 있으나, 국내외 기성교단에서 목사안수를 받은 적도 없고, 한국에 구원파 [[신앙]]을 들여왔다고 불리는 미국인 [[선교사]] 딕 욕에게 안수를 받았다는데, 이에 대해서조차 논란이 있다.[* 문제는 이 선교사가 공식 선교사거나 정식으로 목사 안수를 받은 사람도 아닌 등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 자세한 것은 [[구원파]] 참조. 게다가 딕 욕 본인은 안수를 준 사실을 부정하고 있다. 자세한 것은 목사안수 논란 문단을 볼 것.] 물론 어디까지나 [[신흥종교]]인 만큼 해당 교단 내에서 쓰는 직급으로 볼 수는 있다.
이들이 개신교계 내에서 문제가 되는 이유는 바로 이러한 자의적인 성경해석 때문이다. 하지만 비개신교인 입장에서는 그냥 기독교계의 신흥 교단 중 하나일 뿐이다. 현대 사회에서 종교는 개인의 자유 선택이기에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거나 보편적인 도덕 규범에 위배되지만 않으면 배척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핵심교리의 해석 차이만 있는 경우라면 일단 [[개신교]]부터 먼저 [[가톨릭]]으로부터 그런 식으로 갈라져 나온 교파이기에 도찐개찐이다. 문제는 박옥수측이 주류 개신교단으로부터 정통성을 인정받은 교회라 홍보하는 것. 구원파 신도들이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사이비 종교]]라고는 하기 어렵고 주류 개신교단과는 다른 [[이단]]이라 보면 된다. 하지만 아래의 또별 사건에서 볼 수 있듯 내부적으로 전혀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분류:종교인]][[분류:구원파]][[분류:1944년 출생]][[분류:구미시 출신 인물]]
- 트로피코 4/칙령 . . . . 6회 일치
'유쾌한'(gay) 시민들의 결혼을 허용한다. 지식인의 존경심이 높아지지만, 종교인의 존경심이 감소한다.
교황 성하를 트로피코로 초청한다. 모든 진영, 특히 종교인의 존경심이 상승한다. 빗발치는 고해성사로 인해 모든 종교 건물의 서비스 질이 3년간 향상된다.
알콜 음료의 제조와 판매를 금지한다. 생산력이 증가하며 종교인의 존경심이 상승한다. 주점, 나이트 클럽, 럼주 증류소를 폐쇄한다. 주류의 불법 유통으로 범죄율이 크게 상승한다.
피임을 금지해 인구 증가를 촉진시킨다. 종교인의 존경심이 상승하지만 지식인의 존경심이 감소한다.
=== 종교재판 ===
- 장가용 . . . . 5회 일치
| 종교 = [[개신교]]([[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예장고신]] 장로 신분)
| 기타 이력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박사]] 출신 <br/> [[외과]] [[의사]], [[의학자]], [[교수|대학 교수]] <br/> [[종교|종교인]], 인도주의자, [[수필|수필가]] <br/>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학장 <br/>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명예교수 <br/> [[자유민주연합|자민련]] 보건행정교육특임위원(2002년)
'''장가용'''(張家鏞, [[1935년]] [[9월 20일]] ~ [[2008년]] [[1월 19일]])은 [[대한민국]]의 [[외과]] [[의사]], [[의학자]], [[교수|대학 교수]], [[종교|종교인]], [[인도주의|인도주의자]]이자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소령]]이며 [[본관]]은 [[안동 장씨|안동]](安東)이다.
- 토탈워: 쇼군 2/세력 기술 . . . . 5회 일치
=== 종교적 학문(Scholarship) ===
오토모 가문 전용 세력 기술. 종교적 학문(Scholarship)을 대체한다.
* 종교적 학문(Scholarship), 서예(Calligraphy) 세력 기술 요구
* 가문의 종교로 개종하는 주민 증가
* 가문의 종교로 개종하는 주민 증가
- Crusader Kings 2/특성 . . . . 4회 일치
''이 인물은 종교적 열정이 대단하여 이단자나 이교도 또는 신앙심이 없는 자들을 못 마땅하게 생각합니다.''
== 종교 특성 ==
* 이교(Pagan) 신자에 대해 "종교가 다름" 사유로 의견이 감소하지 않음
=== 인도 종교 ===
- 교조 . . . . 4회 일치
특정한 [[종교]]의 창시자를 뜻한다. 비슷한 말로 개조(開祖), 파조(派祖), 조사(祖師) 등이 있다. [[한국어]]에서는 별로 많이 안 쓰이는 단어지만 [[일본어]]에서는 교조가 자주 쓰인다. 한국에서는 대신 [[교주]]가 많이 쓰인다.
특정한 [[종교]]의 창시자, 혹은 해당 교단에서 분파된 특정 종파의 창시자를 뜻한다. 종교만이 아니라 특정한 사상이나 운동의 창시자, 카리스마적인 지도자에도 교조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분류:종교]]
- 모레아 전제국 . . . . 4회 일치
[[오스만 제국]]의 성장으로 트라키아와 발칸 반도 북부가 오스만의 지배 하에 넘어가면서 수도 콘스탄티노플과의 육상교통이 단절되어 '위요지'가 되었다. 하지만 위요지라고는 해도 모레아는 영토, 인구 면에서 도시국가 수준으로 전락한 콘스탄티노플보다 훨씬 강력한 세력을 가지고 있어 사실상 제국의 핵심지가 되었다. 그러나 콘스탄티노플이 지닌 정치적, 종교적 상징성 탓에 모레아 전제국은 어쩐지 무시당한다(…). 예를 들어 [[콘스탄티노플 공방전]]에서 제국의 영토가 사실상 '콘스탄티노플과 그 주변을 지배하는 도시국가' 수준이라고 아예 무시(…)하고 설명하거나, '모레아도 공격받았다. 모레아도 망했다.'는 식으로 고작 한 줄 남짓 언급되는 등.
콘스탄티노플 공방전을 전후한 시기를 살펴보면, 모레아의 역사는 제국의 마지막 저력과 그 한계를 보여주고 있었다. 모레아 전제국은 '팔레올로고스 르네상스'를 이룩하여 제국 최후의 영광을 빛냈으나, 콘스탄티노플 함락 이후에도 정치적, 종교적 대립에서 벗어나지 못하면서 무너지고 말았다. 상대적으로 다민족화된 비잔티움의 다른 지역과는 달리 [[그리스 인]]의 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이기도 했다. 그리고 비잔티움 멸망 이후 그리스 독립 전쟁의 시작도 이 지역에서 이루어졌다.
비잔티움 제국의 학자들은 오스만 제국의 위협을 받고, 종교 세력이 강한 폐쇄적인 수도 콘스탄티노플을 벗어나 비교적 자유로운 모레아로 이주하기도 했는데, 게오르기오스 게미스토스 플레톤(Georgios Gemistos Plethon)은 [[고대 그리스 철학]]을 연구하여 플라톤 철학을 바탕으로 고대 그리스의 재생과 제국의 복원을 주장하기도 했다. 그는 이를 바탕으로 한 저작을 발표하고 국정 개혁을 주장하였으나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국정에 채택되지는 않았고, 너무 급진적이고 이교도적이라는 이유로 교회에서는 그의 저작물을 [[분서]]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러한 인물이 활동할 정도로 제국에서 모레아는 자유로운 기풍을 가진 지역이었다.
모레아는 콘스탄티누스 11세가 떠나고, 후임으로 동생 드미트리오스와 토마스, 두 명의 전제공의 공동 통치하에 놓이게 된다. 그러나 이 두 명은 개인적으로 사이가 나빴고, 정치적으로 드미트리오스는 친 오스만, 토마스는 친 라틴, 종교적으로 드미트리오스는 동서교회합동반대, 토마스는 합동찬성파였기 때문에 모든 면에서 대립하였다. 일단 오스만의 위협에 대항하여 1453년 메흐메트 2세의 공격을 공동 작전으로 격퇴하기도 했지만.
- 옴 진리교 . . . . 4회 일치
[[아사하라 쇼코]](본명 마츠모토 치즈오)를 [[교조]]로 하는 [[컬트 종교]] 집단. [[불교]]와 [[요가]]에 바탕을 둔 신흥 종교 단체로서 1984년에 활동을 시작하였다. 청년들을 중심으로 하여 다수의 신도를 모았으며, 점차 급진, 과격한 교리에 몰두하게 되어 다양한 범죄 활동을 일으켰다. 1995년 아사하라 쇼코의 지시로 일으킨 [[지하철 사린 사건]]을 계기로 하여 교주 아사하라가 체포되었으며, 2000년에 [[파산]] 선고를 받았다.
[[분류:컬트 종교]]
- 이경희 (1880년) . . . . 4회 일치
실력을 양성하는 길만이 조국의 독립을 앞당긴다는 신념으로 고향으로 내려와 [[대구]] [[협성학교]](協成學校)의 교사가 되었으며 [[안동 협동학교]](協同學校)의 [[교사]]를 겸임하여, [[김동삼]](金東三) 등과 함께 안동 협동학교에도 출강하며 교편을 잡고 교육구국에 힘썼다. 이 무렵 그는 [[유교]] [[성리학]]에서 [[대종교]]로 개종하였다.
[[대종교]] 신자들의 독립운동 참여로 신자들은 조선총독부의 감시를 당했으나 그는 개종을 거부하였다. [[1939년]]부터 [[창씨개명]]령이 나오고 [[1940년]]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되었다. 그러나 이경희는 끝내 [[창씨개명]]을 거부하고, [[1942년]] 여름 [[경성부]] [[돈암동]]을 떠나 대구로 내려가 야산에 숨어 밭을 갈고 농부로 생활하였으며, [[항일 단파 방송]]인 [[미국의 소리]] 방송을 비밀리에 밀청하고 해방을 예상하였다. 이때 그 몰래 그의 부인 조씨가 [[청도군]]에서 교사 생활을 하는 둘째 사위에게 [[보리쌀]]을 얻어 생계를 유지하였다.
일제의 패망을 예상하여 일제 패망론을 주장하며, 해방을 준비하였다.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하고 [[일본인]] 도지사와 부지사 등이 업무를 내려놓고 사퇴를 선언하자 행정공백을 피하기 위해 [[8월 16일]] 위촉장을 받고 초대 [[경상북도]] [[부지사]]가 되고, 그날 [[대구광역시장|대구부윤]]을 겸직하였다.<ref>당시 경상북도청은 대구시내에 있었으므로 그는 경상북도 부지사와 대구부윤 업무를 보느라 양쪽을 오고 갔다.</ref> 그는 대구부윤 上野彦八에게서 행정권과 치안권 일체를 인수하였다. 그밖에 그는 [[대종교]] 본부 경의원의 참의로도 임명되었다. [[9월 2일]] 미군정이 주둔하자 레이몬드 재노스키(Raymond A.Zanowski) 미육군 대령의 천거로 경상북도 미군정 사령부 민정관으로 위촉되었다.
[[1946년]] [[1월]] 다시 [[대구광역시장|대구부윤]]에 유임되었다. 그러나 [[미 군정]]의 고압적이고 권위적인 정책에 환멸을 느껴 [[1946년]] [[9월 4일]] 부지사, 대구부윤, 군정청 민정관 사직서를 제출하고, 야인으로 돌아갔다. 46년 [[9월 5일]] [[독립촉성중앙회]] 경북지부의 후신인 [[대한독립촉성국민회]] [[경상북도]]지부 위원장에 피선되고, [[대종교]] 남사도본사 선범에 선임되고, [[대한민국]] 건국 직후에는 [[1949년]] [[7월 1일]] [[남선경제신문사]] 제4대 대표이사 사장을 역임하였다.
- 장익 (1933년) . . . . 4회 일치
| 종교 = 천주교
* [[1977년]]부터 [[1993년]]까지 [[서강대학교]] 종교학과와 신학대학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 [[1978년]]부터 [[1985년]]까지 그는 [[교황청]] 종교평화평의회 자문위원과 비그리스도교평의회 자문위원으로 활동을 했는데, 활동을 하면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의 친분이 두터웠다.
[[1995년]] 한국천주교주교회의 문화위원회 위원장을 맡게 되었고, [[1995년]] [[12월]]부터 [[2000년]]까지 [[교황청]] 종교간대화평의회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 토탈워: 쇼군 2/가문 . . . . 4회 일치
* 장군이 지방을 잇코 종교로 개종할 수 있음
불교의 한 분파인 일향종을 기반으로 한 농민 반란 세력. 에치젠을 본거지를 두며 카가도 다스리고 있다. 난이도 보통. 잇코라는 별개의 불교를 믿기 때문에 종교 차이로 인한 외교 패널티를 기본적으로 퍼먹는다. 그럼에도 아네가코지와 무역 중.
* 백성들이 가문이 믿는 종교로 개종하는 속도가 빨라짐
처음 시작하면 양 옆에서 공격이 들어온다. 다행히 동쪽의 오우치 가문하고는 사이에 해협을 두고 있으니 기본적으로 있는 오토모 뎃포 코바야로 해협을 틀어막고 쇼니 가문부터 상대하자. 브리핑부터 경계하라고 말해주는 시마즈 가문은 처음에는 이토 가문이 막아주지만 이토 가문을 먹어치운 다음에는 카타나 사무라이를 잔뜩 데려와서 싸움을 건다. 이토 가문이 역으로 시마즈 가문을 먹어치우면 어떻게 되냐고? 종교 차이 때문에 금방 사이가 나빠진다.
- Crusader Kings 2/DLC . . . . 3회 일치
876년 시작하는 시나리오인 "태고의 신들"이 해금된다. 또한 반란 시스템이 개편되어 농노 반란, 종교 반란, 해방 반란, 이단 반란 중 하나의 형태로 일어나게 되었다. 가끔씩 어디서 굴러들어온 모험가가 영지를 요구하며 군대를 이끌고 쳐들어오는 이벤트도 추가되었다.
아브라함계 종교인 기독교, 이슬람교, 유대교에 중점을 둔 DLC.
이외에 여러가지 종교적 이벤트가 추가되었다.
- 김윤아(1974) . . . . 3회 일치
||<#CF89D7> {{{#ffffff '''종교'''}}} ||<#FFFFFF><(> [[천주교]]([[세례명]]: 체칠리아) → [[무종교]] ||
무종교이다. 이전 버전에서는 [[가톨릭]]이라 했으나 김윤아가 7집 활동 당시 [[http://m.blog.naver.com/love__yuna/20052315480|블로그]]에 무교라고 언급한 적 있다. 과거에는 정규앨범 3집 발매당시 멤버들과의 [[인터뷰]]에서 [[평화방송]]이 [[본인]]들의 신앨범 수록곡을 금지곡으로 지정한 것에 대하여, 본인이 가톨릭 신자인데 그런만큼 이에 대해 더욱 실망이라고 [[신부님]]께 따져야겠다고 언급한 적이 있었다. [[세례성사]]를 받아서 [[세실리아]]라는 [[https://twitter.com/love_yuna/status/608540307127296001|영세명]]도 있지만 지금은 [[성당]]에 다니지 않는 [[냉담자]]인 것으로 추측된다.[* [[여담]]이지만 [[세례명]]을 율리아로 잘못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 나고야 대학 여학생 살인사건 . . . . 3회 일치
모리 토모코는 [[기독교]] 계열 종교의 신자로서, 종교 권유에 열성적이었다고 한다. 본래 모리 토모코와 오오우치 마리아가 만나게 된 계기는 모리 토모코가 종교 권유를 위하여 오오우치 마리아의 집을 방문한 것이 계기였다. 문조차 열어주지 않는 사람이 많은데, 오오우치 마리아는 문을 열어줬을 뿐만 아니라 이야기도 들어주고, 살해되기 얼마 전에는 휴대폰 번호도 가르쳐줄 만큼 가까이 끌어들였다고 한다.
- 박주영 . . . . 3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
* 박힐러, 프리스트 박 : 박주영이 아스날을 떠난 이후 몇몇 선수가 박주영 아스날 재직시에는 건강했으나 그 전후에는 부상에 시달리던 선수인 것이 발견, 박주영의 존재가치를 새롭게 발견한 팬들이 환호하며 찬양하기 위해 붙인 별명. 사실 박주영은 벤치에서 힐과 버프를 주며 선수들을 회복시키는 역할로 기용한 벵거의 혜안이었음이 밝혀졌다. 무엇보다 박주영이 가지고 있던 기존의 종교적인 이미지와도 잘 어울리며 성공한 별명.
* 주님영 : 주멘보다는 좀 비꼬는 성향 이 덜하지만 어쨌든 종교색을 강하게 드러내는 박주영의 행태를 눈꼴시게 보는 일부 인물들이 이렇게 부른다.
- 영생 . . . . 3회 일치
영원한 삶이라는 뜻. 그 자체로는 [[불로불사]]와 같은 뜻이지만, 이 말은 주로 [[기독교]]에서 자신들의 종교적 교리를 설명할 때 사용하는 말이다.
다소 사이비 스러운 [[간증]]에서는 천국에서 멋진 [[스포츠카]]를 타고 [[크고 아름다운]] 집에서 살면서 맛있는 음식을 먹는 등 상당히 세속적인 욕망을 그대로 드러내는 묘사가 흔히 있는 반면, 엄격한 종파에서는 극도로 경건하고 종교적인 모습의 이상향을 강조하는 경우도 있다.
이 단어에서 이름을 따온 [[사이비 종교]]로서 [[영생교]]가 있다. 그러나, 교주가 사망(…)하면서 거의 와해되고 말았다.
- 토탈워: 쇼군 2/요원 . . . . 3회 일치
이 요원이 머물고 있는 지방의 주민들을 가문이 믿는 종교로 개종 +1
이 요원이 머물고 있는 지방의 주민들을 가문이 믿는 종교로 개종 +2
이 요원이 머물고 있는 지방의 주민들을 가문이 믿는 종교로 개종 +3
- 트로피코 4 . . . . 3회 일치
* 1966: "[[비틀즈|예수보다 유명해]]" - 종교인 진영의 존경심이 기본값으로 돌아가게 됨
* 돌팔이 의사 캐릭터 특성 추가 - 시민들의 의료 요구량 감소, 국수주의 진영의 존경심 증가, 종교인 진영의 존경심 하락
* 이스트 포인트 생도 캐릭터 특성 추가 - 대통령 각하가 부상 없이 적을 해치움, 국수주의 진영의 존경심 증가, 종교인 진영의 존경심 하락
- 트로피코 4/진영 . . . . 3회 일치
== 종교인 ==
* 종교 재판 칙령 발표
* 종교 만족도 상승
- Crusader Kings 2/궁정 . . . . 2회 일치
주군의 종교적 조언자. 자신의 학력을 국가 능력치에 보태준다.
* 종교 관계 향상시키기
- 고경표(배우) . . . . 2회 일치
|| '''종교''' ||<(> [[무종교]] ||
- 고아성 . . . . 2회 일치
| 종교 = [[무종교]]
- 금조(나인뮤지스) . . . . 2회 일치
||<#732788> {{{#FFFFFF '''종교'''}}} ||<(> [[무종교]] ||
- 김다솜(배우) . . . . 2회 일치
||<#A6ACAF> '''{{{#000000 종교}}}''' ||<(> [[무종교]] ||
- 김민기(가수) . . . . 2회 일치
||<#9FC93C> {{{#white '''종교'''}}} ||<#FFFFFF> [[무종교]] ||
- 김선길(국회의원) . . . . 2회 일치
[[대한민국]]의 전 교육자, [[공무원]], [[정치인]]이다. 호는 선산(宣山)이다. 친형인 김선적은 민족종교인 [[대종교]]의 지도자로 통일광복민족회의 회장을 역임했고 [[제13대 대통령 선거]]에 일체민주당 후보로 출마하다 중도 사퇴하였다.
- 김옥이 . . . . 2회 일치
| 종교 = [[무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천주교]](세례명: 크리스티나)
- 문연주 . . . . 2회 일치
| 종교 = [[무종교]]
- 문희옥 . . . . 2회 일치
||종교||[[개신교]]||
화병이 한 때 심각했었다고 한다. 너무 어릴 때 사회생활을 시작해 모든 잘못을 자신의 탓으로 돌리며 살고, 심지어 큰언니의 암투병과 남동생의 군복무 중 사망으로 더 화병이 심각해졌다고 한다. 이것이 심각해지자 노래 부르는 것도 기술과 요령으로 간신히 버텼고 당시 은퇴를 심각하게 고민했었다고 한다. 2011년 오페라스타 출연 제의를 받으면서 화병을 솔직하게 드러내고 또 무언가에 집중하면서 차츰 화병을 개선해 나가기 시작했고, 종교 활동과 해외봉사 활동을 통해 화병을 더 치유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현재는 화병이 많이 나아졌다고 한다.
- 바르나바 복음서 . . . . 2회 일치
일설에는 저자는 이슬람교도 출신으로, 스페인의 종교재판 전성기에 기독교로 강제로 개종하게 되었던 인물로 추정하기도 한다. 이 가설에 따르면 바르나바 복음서는 기독교의 이슬람교 박해에서, 일종의 종교적 '저항문학'으로서 저술되었다는 것이다.
- 박태준 (작곡가) . . . . 2회 일치
본관은 [[밀양 박씨|밀양]]이며 호(號)는 귀봉(龜峯)· 산남(山南)· 계산(桂山)이고, 종교는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개신교(예장통합)]]이다. 경상북도 대구에서 태어나 [[계성고등학교 (대구)|대구 계성고등보통학교]]를 나온 이후 미국 [[터스컬럼 대학교]]와 [[웨스트민스터 대학교]] 음대 및 대학원을 나왔다. 귀국 후 평양 [[숭실전문학교]] 교수를 거쳐 [[연세대학교]] 종교 음악과를 창설하였으며, 많은 작곡을 하여 한국 음악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예술원 음악공로상과 국민훈장 무궁화장 등을 받았다. 64년 연세대학교 음대 학장을 지냈다. 작품으로 〈오빠생각〉 〈집 생각〉 〈사우(思友)〉 등 150여 곡이 있고, 동요곡집으로 〈중 중 때때중〉, 가곡집으로 〈박태준 가곡집〉 등이 있다.
- 박희광 . . . . 2회 일치
|| 종교 ||<(> [[무종교]] → [[천주교]]([[세례명]] : 시메온) ||
- 배소연 . . . . 2회 일치
| 종교 = [[무종교]]
- 북유럽 신화 . . . . 2회 일치
일반적으로는 가장 체계적으로 남은 [[스칸디나비아 반도]] 지역의 [[에다]], [[사가]] 등의 문헌을 바탕으로 신화를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다. 고대 로마 시대에 게르만 민족에 대한 기록에서 부분적으로 그들이 믿는 종교와 함께 언급이 등장하며, 단편적인 기록이나 유럽의 민속에서 신화의 흔적을 찾기도 한다.
북유럽 신화는 게르만 민족에 널리 퍼져 있었으나, [[기독교]]의 전파와 함께 게르만 전통 종교가 [[악마]] 숭배 등으로 몰려서 박해를 받자 점차 사라지게 된다. 기독교가 사회를 지배하게 된 뒤에는 언어, 문화적으로 흔적만 남았다. 오랫동안 묻혀 있다가 근대 [[민족주의]]가 발흥하자, [[독일]], [[스웨덴]] 등의 게르만 계열 민족 국가에서는 민족 정체성 찾기의 일환으로서 북유럽 신화를 다시 연구하게 되었다.
- 성인 . . . . 2회 일치
* 성인(聖人) : 종교적으로 성스러운 사람. 영어로 세인트(saint).
[[분류:종교]]
- 세정(구구단) . . . . 2회 일치
||<#66AADD> '''{{{#white 종교}}}''' ||<#ffffff><(> [[무종교]] ||
- 소냐(가수) . . . . 2회 일치
|| '''종교''' ||<(> [[무종교]] → [[천주교]]([[세례명]] : 디오니시아) ||
- 소지섭 . . . . 2회 일치
| 종교 = 무종교
- 송아영 . . . . 2회 일치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종교]]는 [[개신교]]이다. 현재 [[자유한국당]] 중앙당 부[[대변인]]이다.
1963년 [[연기군]](현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에서 태어났다. 세종교동초등학교, 세종[[조치원여자중학교]], 대전[[충남여자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를 졸업하였다.
- 슈가(방탄소년단) . . . . 2회 일치
||<:><#00CED1>{{{#fff '''종교'''}}} ||<(> [[무종교]][[http://entertain.naver.com/read?oid=016&aid=0000966245|#]] ||
- 신웅 . . . . 2회 일치
| 종교 = [[무종교]]
- 아이린(레드벨벳) . . . . 2회 일치
||<:><#FE3E5F>'''{{{#white 종교}}}''' ||<#FFFFFF>[[무종교]] ||
- 안내상 . . . . 2회 일치
|종교 = [[개신교]]
안내상의 [[아버지]]가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염색 공장을 하다가 [[보증]]을 잘못 서서 집이 망해 서울로 상경하여 에서 서울 생활을 시작했다. 초등학교 1학년 때부터 수업도 들어가지 않고 학우들을 괴롭히는 등, 초등학교 3학년 부터는 [[담배]]를 피우고 [[도둑질]]을 했다. 이 때 안내상을 지도하던 선생님이 [[아이스크림]]을 사준다고 하여 [[개신교]] [[교회]]를 간 것이 계기가 되어 종교에 귀의한 후에 악행을 멈추었다고 회고했다<ref>[http://news.tf.co.kr/read/entertain/1569156.htm 안내상 "하나님 만난 후 악행 멈췄다"] 더팩트. 2015년 08월 16일</ref><ref>[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106010103591001 안내상 초딩시절 주먹질에 도둑질까지.. “난 깡패였다” 자폭] 뉴스엔. 2011년 06월 01일</ref>. 안내상은 중학교 1학년 시절 키가 175cm이었고 많은 학생들에겐 두려움의 대상이었다.
- 연정훈 . . . . 2회 일치
|종교 = [[무종교]]
- 오수미 . . . . 2회 일치
|| 종교 || [[무종교]] ||
- 온주완 . . . . 2회 일치
|| '''종교''' ||<(> [[무종교]] ||
- 왕당파 . . . . 2회 일치
* 왕가가 종교적 상징성을 강하게 가지고 있을 경우, 왕당파 역시 종교세력과 강하게 결합되는 경향을 가지게 된다.
- 외도 . . . . 2회 일치
본래 불교용어로서, 당대에 불교 이외의 가르침을 믿는 사람들을 뜻했다. [[불교]]가 탄생하던 시기는 [[인도]]에서 [[인도철학]]의 발전으로 아리안족의 전통적인 [[바라문교]]에서 벗어난 새로운 종교·사상이 많이 탄생하던 시기였다. 불경에서는 불교 이외에 당대의 신흥 종교나 철학을 육사외도(六師外道), 구십오종외도(九十五種外道) 등으로 언급하였으며, 불경은 불교중심적인 관점으로 쓰여졌으므로 다른 가르침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관점으로 서술하였다. [[바라문교]], [[자이나교]] 등이 불경에서 언급되는 대표적인 외도이다.
- 유승민(정치인) . . . . 2회 일치
|| '''종교''' ||<white><(> [[불교]][*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05031536001&code=910110|#]].][* 유승민 의원이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3/12/0200000000AKR20170312026700001.HTML|교회 예배]]에 참석한 적이 있으나, 이는 [[개신교]] 신자라서 [[예배]]를 드린 것이 아니라 [[기불릭|대선 과정에서 표 확장과 홍보를 위해]] [[교회]]를 찾았다.] ||
그러나 2011년부터 2012년 초까지 [[박근혜]] 당시 [[한나라당]] 비대위원장과 여러 차례 의견 충돌을 겪으면서 차차 사이가 멀어졌고, 이때부터 소위 "탈박"이라는 비주류의 길을 걷게 된다. 저 당시 의견 충돌이 있었던 것 중 대표적인 예로, 박근혜가 당명을 [[새누리당]]으로 변경하려고 하자 유승민이 "새누리당은 당명으로 쓰기엔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종교적인]] [[영세교|색채]]가 너무 짙은 이름이다"라는 이유로 정면으로 [[http://www.kyongbuk.co.kr/main/news/news_content.php?id=580346&news_area=020&news_divide=&news_local=20&effect=4|반대했던 일]]이 있다. 그 뒤로는 소위 탈박 내지 [[비박#s-4|비박계]] 인사로 분류되었다.
- 유인촌 . . . . 2회 일치
|| 종교 ||[[천주교]]([[세례명]]: [[토마스 아퀴나스]])[* 일부 자료에는 '[[토마스]]'로 나오는데 [[http://www.catholictimes.org/article/article_view.php?aid=259750|토마스 아퀴나스가 정확한 세례명이다]].] ||
* [[가톨릭]] 집안 출신이다. [[세례명]]은 토마스 아퀴나스. 남동생은 [[성직자]]로, [[천주교 서울대교구]] 소속 [[유경촌]] 티모테오 [[주교]]이다. 2013년부터 [[염수정]] 안드레아 추기경을 근거리에 모시는 요직인 보좌주교를 담당하고 있다. 유경촌 주교가 막 신부가 됐을 적에, 배우 유인촌의 동생이라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http://m.pbc.co.kr/paper/view.php?cid=490221&path=201312|기사]]. 형제의 정치적 성향은 다른데, 유인촌이 보수정권 하에서 장관까지 지낼 정도로 보수성향이고, 동생 유경촌 주교는 카톨릭 내에서 진보적인 인사로 사회교리를 전공하였고, [[신부(종교)|신부]] 시절에는 [[가톨릭대학교]]에서 사회교리 전공 교수를 역임했다. 유인촌 본인은 [[이명박 정부]] 시절에 [[개신교]]([[장로회]])를 잠시 믿었다가 이후에 다시 천주교로 돌아왔다[* 이명박 대통령의 임기가 만료된 후인 2015년 11월 22일에 논현2동 [[성당]]에서 동생인 유경촌 디모테오 주교로부터 [[견진성사|견진]]을 받았다. [[http://rose6217.blog.me/220557780401|같이 견진 받은 사람의 대모가 운영하는 블로그]]를 보면 [[박인환]]과 [[이형석]]과 더불어서 견진을 받은 사진이 나열되어 있다. 사실 완전한 [[개종]]보다는 개신교 신자인 이명박의 측근으로 있으면서 잠시 붙어다니다가, 다시 가톨릭으로 되돌아간 것으로 추정된다.].
- 유한식 . . . . 2회 일치
||<height=40><bgcolor=#C9151E> {{{#FFFFFF ''' 종교 ''' }}} ||<(> [[천주교]]([[세례명]] : 비오) ||
[[1949년]] [[6월 20일]] 생 ([age(1949-06-20)]세), [[충청남도]] 연기군 (현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출생하였다. [[종교]]는 [[천주교]]이며, [[세례명]]은 비오이다. 농어촌 관련 공무원으로 활동하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국민중심당]] 소속으로 도의원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 윤진이 . . . . 2회 일치
|종교 = [[무종교]]
- 이시영(배우) . . . . 2회 일치
|| '''종교''' ||<(> [[무종교]] ||
- 이시종 . . . . 2회 일치
|종교 = [[무종교]]
- 이재룡(1964) . . . . 2회 일치
||<:><#4C4C4C>'''{{{#FFFFFF 종교}}}'''||<(> [[무종교]] → [[개신교]][* [[2017년]] [[3월]], 개신교 [[연예인]]들이 대거 참여한 '오디오 바이블' 녹음에서 [[다윗]] 왕 역할로 참여했다. [[인터뷰]]에 따르면, 최근에 [[세례]]를 받았다고...] ||
- 임현식(배우) . . . . 2회 일치
||<#878787> '''{{{#EEE156 종교}}}''' ||<(> [[무종교]]→[[가톨릭]]([[세례명]]: [[바오로]]) ||
- 장남교 . . . . 2회 일치
[[분류:일본어]] [[분류:컬트 종교]]
- 장수영 (방송인) . . . . 2회 일치
| 종교 = [[무종교|無]]
- 장재인 . . . . 2회 일치
|| '''종교''' ||<(> [[무종교]] ||
- 전경협 . . . . 2회 일치
전경협은 [[한양]]의 한 이교도 부모 밑에서 태어났다. 그녀가 어렸을 때 그녀의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이래로, 그녀는 극심한 가난에 시달렸다. 그러던 중 [[안형광]]이라는 이름의 [[궁녀]]의 도움으로 그녀와 함께 살게 되었다. 몇 해가 지나서 전경협의 친오빠가 그녀를 결혼시키려 했지만, 궁녀 안형광은 그녀를 보내주지 않았는데, 그녀도 이미 궁녀 명부에 올라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녀는 [[박희순 루치아]]를 비롯한 [[천주교]]인 궁녀들의 영향을 받아 천주교인이 되었다. 박희순이 더 자유롭게 신앙생활을 영위하고자 출궁한 후에, 전경협도 꽤병을 부려 궁궐을 빠져나왔다. 그녀는 궁궐의 호사스러운 생활이 신앙생활을 방해한다고 여겼기 때문이었다. 그때부터 전경협은 박희순과 함께 살며 [[기도]]와 종교서적의 독서 그리고 선행에 전념했다. 그녀 주위 사람들이 그녀에게 감복했고, 그녀는 그들중 많은 사람들이 [[천주교]]로 개종하는데 일조했다. 그녀는 극도의 가난과 건강 악화에도 불구하고 불평 한번 없었다. 그녀는 그저 [[체포]]될 때를 기다리고 있을 뿐이었다.
그녀가 체포되어 [[감옥]]으로 압송되고, 더 격심한 [[고문]]을 받았는데, 그녀가 [[궁녀]]였었기 때문이었다. 포장은 그녀를 [[심문]]했다. "어째서 너는 궁녀가 이교를 믿느냐?" "저의 종교는 이교가 아닙니다. 왜냐하면 저는 [[하느님]]을 [[천사]]와 사람 그리고 만물의 [[창조주]]로 믿기 때문입니다." 포장은 그녀가 [[천주교]]를 부정하도록 만들 수 없었으므로, 그녀를 [[형조]]로 이송했고 거기서 다시 심문이 이어졌다. "궁녀가 이교를 믿는 것은 대역죄이다. 너의 [[천주]]를 부정하고 천주교도들과 천주교 서적들이 숨겨져 있는 데가 어딘지 불어라." "제가 만 번을 죽는 한이 있어도 절대 그렇게 못합니다." 그녀는 격심하게 매질을 당해 그녀의 살가죽이 떨어져 나갔고, 그녀의 뼈 여러 곳이 부러졌으며, 엄청난 양의 피를 흘려 바닥이 흥건했지만, 결코 굴복하지 않았다. 천주교인이 아닌 사람들 까지도 그녀에게 감복하였다.
- 전종환 . . . . 2회 일치
|종교 = {{출처|날짜=2015-2-7|무종교}}
- 정명훈 (지휘자) . . . . 2회 일치
| 종교 =
'''정명훈'''(鄭明勳, [[1953년]] [[1월 22일]]~)은 [[대한민국]]의 [[지휘자]]이자 [[피아니스트]]이다. 본관은 [[하동 정씨|하동]]이다. [[첼리스트]] [[정명화]], [[바이올리니스트]] [[정경화]]의 동생이다. [[종교]]는 [[개신교]]다.
- 정인선(탤런트) . . . . 2회 일치
||<#B0C4DE> {{{#ffffff '''종교'''}}} ||<(> [[무종교]] ||
- 정칠성 . . . . 2회 일치
1923년 [[물산장려운동]]에 한때 참여하였다.<ref name="dispose"/> [[1923년]] [[10월 17일]] 조영수, 이춘수(李春壽) 등과 함께 [[대구]] [[명신여학교]] 강당에서 [[기독교]] 등 종교모임의 부녀단체와 여성단체를 본따 [[대구여자청년회]](大邱女子靑年會)를 창립발기하였다. 바로 [[대구여자청년회]] 통과위원에 선출되었다.
10월 이춘수와 대구여자청년회 창립을 주도하고 집행위원이 되었다. 대구여자청년회의 창립은 당시 종교단체외에 여성운동을 조직적으로 하는 단체가 없던 상황에서 여성대중을 대상으로 조직을 결성한 첫 시도였다.<ref name="dispose"/> [[개신교]], [[천주교]], [[불교]] 등의 부녀단체를 탐방, 연구한 정칠성은 전국적인 여성 단체, 여성 청년 단체 조직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이후 대구여자청년회 집행위원(大邱女子靑年會執行委員)이 되어 [[1925년]] [[3월]]까지 대구여청에서 활동하였다.
- 제3의 로마 . . . . 2회 일치
오스만 제국에서 독립한 그리스 왕국은 [[민족 종교]]로서 [[정교회]]라는 종교 열정과, [[민족주의]] 운동에 따라서 비잔티움 제국의 계승을 주장했다.
- 조성모(가수) . . . . 2회 일치
|| '''종교''' ||<(> [[개신교]]([[장로회]])[* [[숙대입구역]] 인근에 있는 [[삼일교회]]에 다닌다.] ||
리메이크 앨범인 2.5집의 타이틀곡 '가시나무'는 빅 히트를 했지만,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4&oid=042&aid=0000003256|뮤직비디오에서 문학적이며 종교적인 원곡을 단순한 사랑노래로 해석하면서 '원작을 훼손했다'는 비판을 받았으며 원작자인 하덕규도 석연찮은 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 지수원 . . . . 2회 일치
종교 [[무종교]] → [[개신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5&aid=0000313692|기사]].]
- 청도군 . . . . 2회 일치
* [[이만희(종교인)|이만희]] : 사이비 종교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 교주
- 최단비 . . . . 2회 일치
|종교 = [[무종교]]
- 하현우 . . . . 2회 일치
||<:><bgcolor=#353535>'''{{{#white 종교}}}'''||<(>[[무종교]]||
- 한가인 . . . . 2회 일치
| 종교 = [[무종교]]
- 한지유 (모델) . . . . 2회 일치
| 종교 =
| 종교 =
- 현이와 덕이 . . . . 2회 일치
| 종교 =
장덕이 [[서울흥인초등학교]] 2학년이 되던 해(1969년) 부모님은 종교적, 그리고 성격적 불화로 인하여 이혼하게 된다. 이후 장덕은 고모 집에, [[장현]]은 아버지의 친구집에 맡겨지고, 아버지는 첼로 하나만을 메고 지방공연을 떠나 가족은 뿔뿔이 흩어지게 된다.
- 홍병선 . . . . 2회 일치
|제목=사건으로 본 한국의 종교 - 일제하 親日 기독인들
|출판사=종교신문
- 강세정 . . . . 1회 일치
| 종교 =
- 강연재 . . . . 1회 일치
| 종교 =
- 강예빈 . . . . 1회 일치
| 종교 =
- 강은탁 . . . . 1회 일치
|| '''종교''' ||[[개신교]]||
- 강재형 (아나운서) . . . . 1회 일치
|종교 = [[천주교]]([[영세명]] : [[사도 요한]])
- 강지섭 . . . . 1회 일치
| 종교 =
- 강진(가수) . . . . 1회 일치
[[1955년]] [[3월 3일]]생. [[종교]]는 [[불교]]다.
- 거미(가수) . . . . 1회 일치
||<bgcolor=#874D0D> {{{#FFFFFF '''종교'''}}} ||[[개신교]]||
- 경대수 . . . . 1회 일치
||<bgcolor=#C9151E> '''{{{#FFFFFF 종교}}}''' ||<(> [[천주교]] ||
- 경순왕 . . . . 1회 일치
|종교 = [[불교]]
- 고세원 . . . . 1회 일치
| 종교 =
- 고소영 . . . . 1회 일치
||<#896AB7> {{{#ffffff '''종교'''}}} ||<(> [[가톨릭]] (세레명: 클로틸다) ||
- 고수희 . . . . 1회 일치
|종교 =
- 고원희 . . . . 1회 일치
| 종교 =
- 고현정(미스코리아) . . . . 1회 일치
||<#9A7CA7> {{{#FFFFFF '''종교'''}}} ||<(> [[불교]] ||
- 공기교 . . . . 1회 일치
일본에서는 주변의 상황이나 분위기를 파악해서 행동하는 것을 「공기를 읽는다(空気を読む)」고 표현한다. 일본 사회에서는 일반적으로 이 같이 '공기를 읽는' 커뮤니케이션을 중시하지만, 이것이 지나쳐서 마치 [[종교]]나 신념 같이 이야기하고 [[동조압력]]을 격렬하게 발산하는 사람들을 비꼬는 말로 공기교라는 말이 태어나게 되었다.
- 공명(배우) . . . . 1회 일치
||<#f9ffff> {{{#6482b9 '''종교'''}}} ||<(> [[개신교]][* 가족 모두 교회를 다닌다 한다. 본인 및 당연히 동생인 도영도 포함. 또한 그는 십자가 목걸이를 하고 다니는 모습이 몇 번 포착이 됐다. 단, 술은 약간 마시는 것으로 확인됐다. 주량이 약간 있는 듯하다. 팀에서 유일하게 교회를 다니는 걸로 추정된다.] ||
- 공산당 지도 원리 . . . . 1회 일치
[[공산당]]이 [[혁명]]의 '전위'가 되어, 국가, 정부, 군대, 사법, 종교, 사회단체 등 사회의 모든 요소를 '지도'해야 한다는 사상이다.
- 곽성문 . . . . 1회 일치
'''곽성문'''(郭成文, [[1952년]] [[11월 24일]] ~ )은 [[대한민국]]의 제17대 [[국회의원]]이자 언론인이다. [[자유선진당]] 사무총장을 지냈고, 현재는 제2대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사장이다. [[대구광역시]] 출신이며, 본관은 [[현풍 곽씨|현풍]]이다. [[종교]]는 [[천주교]]이며, [[세례명]]은 임마누엘이다.
- 권성욱 . . . . 1회 일치
|종교=
- 권수현(배우) . . . . 1회 일치
|종교 =
- 권영해 (1888년) . . . . 1회 일치
| 종교 = [[유교]]([[성리학]]) → [[개신교]]
- 권혁 . . . . 1회 일치
||<:> '''종교''' || [[불교]] ||
- 기은세 . . . . 1회 일치
| 종교 =
- 길용우 . . . . 1회 일치
||종교||<(> [[가톨릭]]교([[세례명]] : [[토마스]])[* 천주교 케이블 채널인 PBC 평화방송이 제작한 김수환 추기경 추모 다큐드라마에서 김 추기경 역으로 출연하기도 했다.] ||
- 길은정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가수]], 방송인. [[종교]]는 [[불교]]이다. 1984년 가수로 데뷔하고 얼마 안 되어 [[뽀뽀뽀]] 제2대 뽀미 언니가 되어 [[인기]]를 끌었다. 가수 활동에 전념하기 위해 뽀뽀뽀에서 하차하였으나 92년 EBS의 프로그램 '만들어 볼까요'의 진행을 맡으며 어린이 프로그램에 복귀하였다.[* [[암]] 판정을 받은 뒤 방송에서 하차한 이후로는 [[여운계]]가 진행을 맡았다. 여운계도 4년후 신장암으로 사망.] 이후 가수활동과 만들어 볼까요의 진행을 병행하다가 직장암 선고를 받은 뒤 [[은퇴]]하였다. 암이 완치된 뒤 다시 방송에 복귀하였으며 당시 <찬찬찬>으로 큰 [[인기]]를 얻고 있었던 가수 [[편승엽]]과 [[결혼]]하나 곧 파경을 맞는다. 2002년 결혼생활에 대해 올린 글이 문제가 되어 전남편으로부터 고소당해 2004년 유죄 판결을 받고 같은해 직장암이 재발하여 이듬해 초 숨을 거둔다. 사망 전날까지 [[원음방송]]에서 음악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안타까움을 샀다. 전재산을 원음방송에 기증하였다. 2002년 각막기증신청을 했지만 암세포가 너무 퍼졌다는 판단으로 실제 기증되지는 못하였다.
- 길은혜 . . . . 1회 일치
| 종교 =
- 김가을 (수영선수) . . . . 1회 일치
|종교 =
- 김경식 (희극인) . . . . 1회 일치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천주교]](세례명: 미카엘)
- 김경태 (배우) . . . . 1회 일치
| 종교 =
- 김광석 . . . . 1회 일치
| 종교 =
- 김국진(MC) . . . . 1회 일치
|| '''종교''' ||<(> [[가톨릭|천주교]]([[세례명]]: 가브리엘)[* 전처 이윤성과 같은 가톨릭 교우였다. 현 아내 강수지는 개신교 신자이다.] ||
- 김근백(프로게이머) . . . . 1회 일치
주종족이 [[저그]]인 전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1981년]] [[8월 30일]] 생. [[대구광역시]] [[동구(대구)|동구]] [[신암동]] 출신이다. [[종교]]는 [[개신교]]이다.
- 김기수(코미디언) . . . . 1회 일치
|| 종교 ||[[가톨릭]]([[세례명]]: 요셉) ||
- 김기창 (법학자) . . . . 1회 일치
|종교 =
- 김남조 . . . . 1회 일치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천주교]](세례명 : 마리아 막달레나)
- 김대휘 . . . . 1회 일치
|종교 =
- 김동욱(배우) . . . . 1회 일치
||<bgcolor=#6482b9> '''{{{#white 종교}}}''' ||<(> [[가톨릭]](세례명: 다니엘) ||
- 김동한 (1919년) . . . . 1회 일치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천주교]](세례명: 가롤로)
- 김만수(정치인) . . . . 1회 일치
종교 : [[천주교]]([[세례명]]: 레오)
- 김문오 . . . . 1회 일치
| 종교 =
- 김민서(배우) . . . . 1회 일치
|| '''종교''' ||[[개신교]]||
- 김민수 (1983년) . . . . 1회 일치
| 종교 = [[로마 가톨릭 교회]]
- 김민아 (아나운서) . . . . 1회 일치
|종교 =
- 김민제 (프로게이머) . . . . 1회 일치
| 종교 = [[기독교]]
- 김민좌 . . . . 1회 일치
| 종교 =
- 김민호 (희극인) . . . . 1회 일치
| 종교 =
- 김범룡 . . . . 1회 일치
| 종교 = [[장로회]]
- 김병기(배우) . . . . 1회 일치
||종교||<(> [[개신교]] ||
- 김병윤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전 교육자 [[정치인]]이다. 포항 동지교육재단 설립자이다. 종교는 불교이다. 호는 일우(日字)이다.
- 김병준 (희극인) . . . . 1회 일치
| 종교 =
- 김병찬(아나운서) . . . . 1회 일치
|| '''종교''' || [[가톨릭|천주교]]([[세례명]]: 발렌티노) ||
- 김보정 . . . . 1회 일치
| 종교 =
- 김봉근(배우)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
- 김상훈 (1963년) . . . . 1회 일치
|종교 = [[천주교]](세례명: 베드로)
- 김석훈(탤런트) . . . . 1회 일치
||<bgcolor=#3B485A> {{{#FFFFFF '''종교'''}}} ||<(> [[개신교]]([[장로회]])[* 이촌동 충신교회 연예인선교회 멤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
- 김선영(1976)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현장토크쇼 택시]]에서 교회 중등부 담임이라고 밝혔다.] ||
- 김선재 (아나운서) . . . . 1회 일치
| 종교 =
- 김성겸(탤런트) . . . . 1회 일치
|| '''종교''' ||[[가톨릭]]([[세례명]]: 바오로)||
- 김성민 (1991년)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 김성주 (기업인)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 김성훈(배우) . . . . 1회 일치
| 종교 =
- 김소희 (2000년) . . . . 1회 일치
|종교 =
- 김수용(코미디언) . . . . 1회 일치
|| '''종교''' ||[[개신교]]||
- 김수자 . . . . 1회 일치
| 종교 =
- 김수학 (법조인) . . . . 1회 일치
|종교 = [[천주교]]
- 김양 (1953년)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감리교|감리회]])
- 김영준(1941)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정치인]], 법조인이다. 호는 송정(松正)이다. [[종교]]는 [[개신교]]이다.
- 김영철(배우)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
- 김영환(1955) . . . . 1회 일치
|| '''종교''' ||[[개신교]] ||
- 김우중 . . . . 1회 일치
|종교 =
- 김원주(가수)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
- 김유미(1979)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
- 김유현 . . . . 1회 일치
|종교 =
- 김재엽 . . . . 1회 일치
'''김재엽'''(金載燁, [[1964년]] [[5월 17일]] - )은 전 [[대한민국]] [[유도]] 선수이자, 현재 대학 [[교수]]이다. [[종교]]는 [[불교]]다.
- 김정난 . . . . 1회 일치
|| '''종교''' ||<(> [[가톨릭]] ([[세례명]]: 마리아) ||
- 김종호(1935)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전 관료, [[정치인]]이다. 호는 동헌(東軒)이다. [[종교]]는 [[가톨릭]]([[세례명]] : 베드로)이다.
- 김종훈 (1952년) . . . . 1회 일치
|종교 = [[불교]]
- 김주승 . . . . 1회 일치
* 종교 [[개신교]]
- 김준현(코미디언) . . . . 1회 일치
|| '''종교''' ||<(> [[천주교]]([[세례명]]: 아우구스티노) ||
- 김지석(배우) . . . . 1회 일치
||<#595959><:> {{{#FFFFFF '''종교'''}}} ||<(> [[개신교]] ||
- 김지훈 (영화감독) . . . . 1회 일치
| 종교 =
- 김진우(WINNER) . . . . 1회 일치
||<:> '''{{{#!html<span style="text-shadow: 0 0 10px #ffffff;color:#d0d0d0"> 종교}}}''' ||<(> [[개신교]] ||
- 김찬돈 . . . . 1회 일치
|종교 =
- 김태우(god) . . . . 1회 일치
||<#878787> '''{{{#EEE156 종교}}}''' ||<(> [[개신교]][* 원래 무신론자의 삶을 살다가 2017년 초에 교회에 다니게 되었다고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LMVU_yDmHsI|#]]] ||
- 김태희 . . . . 1회 일치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천주교]] (세례명: 베르다)
- 김필곤 . . . . 1회 일치
|종교 =
- 김하은(1984) . . . . 1회 일치
| 종교 =
- 김현정 (1979년) . . . . 1회 일치
| 종교 = [[천주교]](세례명 : 테레시타)
- 김형기 (법조인) . . . . 1회 일치
|종교 =
- 김형렬 (1959년) . . . . 1회 일치
'''김형렬'''(金亨烈, [[1959년]] [[6월 3일]] ~ ,[[대구광역시|대구]])은 전직 지방자치공무원이자, 현직 대구광역시 수성구청장 겸 한나라당 당원이기도 하다. [[종교]]는 [[천주교]]이며, [[세례명]]은 바오로이다.
- 김형인(코미디언) . . . . 1회 일치
김형인은 [[대한민국]]의 [[개그맨]]이다. [[SBS]] [[공채]] 7기며, [[1981년]] [[2월 12일]],[* 헌데, [[네이버]]에는 [[1979년]] [[12월 12일]] 생으로 나온다. 1980년 생인 모 위키러의 말에 따르면 고등학교 1년 선배였다니, 1979년생이 맞을지도...] [[전라북도]] [[부안군]] 출생이다. 2남 2녀 중 [[차남|막내]]. [[종교]]는 [[개신교]]이다.
- 김형종(배우) . . . . 1회 일치
|종교 = [[천주교]]<ref>[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EA%B9%80%ED%98%95%EC%A2%85&sm=tab_etc&ie=utf8&key=PeopleService&os=97873 김형종-네이버인물정보]</ref>
- 김형태(정치인)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전 언론인 출신 [[정치인]]이다. [[종교]]는 [[개신교]]이다.
- 김혜옥 . . . . 1회 일치
| 종교 = [[불교]]
- 김혜은(탤런트) . . . . 1회 일치
||<bgcolor=#405366> {{{#FFFFFF '''종교'''}}} ||<(> [[개신교]] ||
- 김호근 . . . . 1회 일치
|종교=
- 김효진 (배우)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 김희애 . . . . 1회 일치
||<:><#cccccc> '''종교''' ||[[가톨릭]]([[세례명]]: 마리아)||
- 나가 . . . . 1회 일치
철저한 모계사회이며, 남자 나가는 성인이 되기전엔 그의 가문에 머물며 성장하며, 성인이 되고 난뒤에는 가문을 떠나 떠돌아다니면서 도시를 방문해 가임기의 여성 나가들이 있는 가문에 씨를 공급하는 역할을 맡는다(....).[* 그외에 미성년 남자 나가들을 보호해주는 역할도 한다고 한다. 작중에서는 이러한 경호역할로 외출한 남자 나가가 다른 가문으로 내빼는경우도 서술하고 있다(...)] 일부 남성 나가들은 '수호자'라 불리며 여신의 '신랑'이 되는데, 원시종교에서 여사제들이 순결을 지키는것과 비슷하게 결혼을 하지 않으며, 심장을 적출하는 역할을 한다. 사제로서 상당한 권력을 가지기에 어지간한 여자 나가들도 이들을 함부로 하지는 못한다.
- 나체의 마하 . . . . 1회 일치
[[마누엘 고도이]]가 실각된 이후에 고도이의 재산이 몰수되면서 나체의 마하도 발견되었는데 이 그림 때문에 고야는 종교재판을 받게 되었다. 다행히 신임 국왕 [[페르난도 7세]]가 고야를 총애했기 때문에 무사할 수 있었다. 이 때 똑같이 고도이가 소장하고 있던 벨라스케스의 [[거울을 보는 비너스]] 역시 몰수당했는데, 같은 누드화라도 옆에 [[천사]]를 그려놓고 [[여신]]을 그린 그림이라 괜찮았다고 한다(…).
- 남기애 . . . . 1회 일치
| 종교 =
- 남능미 . . . . 1회 일치
종교 [[불교]]
- 남동훈 . . . . 1회 일치
| 종교 = [[불교]]
- 남보라(배우) . . . . 1회 일치
||<bgcolor=#7F00FF> '''{{{#white 종교}}}''' ||<(> [[개신교]] ||
- 남성진 . . . . 1회 일치
|종교 = [[불교]]
- 남윤정(탤런트) . . . . 1회 일치
|종교 = [[개신교]]
- 남일해 . . . . 1회 일치
| 종교 =
- 노경주 . . . . 1회 일치
| 종교 =
- 노재헌 . . . . 1회 일치
|종교 = [[불교]] → [[개신교]]([[감리교|감리회]])
- 노행하 . . . . 1회 일치
|종교 =
- 노현정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 노형욱(배우)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 니엘(가수) . . . . 1회 일치
||<#ad84db> {{{#white '''종교'''}}} ||[[개신교]]||
- 단신부임 . . . . 1회 일치
단신부임은 본인이나 가족에게 경제적, 정신적 부담이 크기 때문에, 별거 수당이나 귀가 교통비 같은 경제적 원조를 해주는 회사도 있다. 1984년에 단신 부임으로 남겨진 처자가 가족동반자살한 사건이 있었으며, 1985년에는 구 국철 간부가 종교적 이유로 단신 부임 명령을 거부하고 퇴직하는 사건이 있어, 단신부임의 문제점이 일본 사회에서 널리 주목받았다.
- 도균 . . . . 1회 일치
| 종교 =
- 도모세 . . . . 1회 일치
|종교 = 기독교
- 도영(1996) . . . . 1회 일치
||<#FF0133><:>'''{{{#white 종교}}}'''||<(> [[개신교]][* 그의 가족 모두가 교회를 다니는 걸로 알려져 있다. 형인 [[공명(배우)|공명]] 포함.] ||
- 도지한 . . . . 1회 일치
| 종교 =
- 드라콘 . . . . 1회 일치
벨로흐(K.J.Beloch)는 드라콘이란 그리스어로 [[뱀]]을 뜻하는 말이며, 그의 주장에 따르면 아테네인들은 아크로폴리스에서 본래 [[뱀]]을 숭배하였으므로 드라콘법이란 이 뱀신을 모시던 사제들이 뱀신의 종교적 권위에 따라서 반포한 법이라고 한다.
- 떨어진 용왕과 멸망해가는 마녀의 나라 . . . . 1회 일치
* 교회 : 유일신을 섬기고 있는 세력으로, 그들의 신앙과 배치되고 이능력을 지닌 마녀들을 배척하고 말살하려 하고 있다. 자기네들끼리도 구교회와 신교회로 갈라져 싸우기도 하는, 지극히 광신적이고 정치적인 종교조직.
- 라늬 . . . . 1회 일치
| 종교 =
- 레이디 제인 (가수) . . . . 1회 일치
| 종교 =
- 로베르 기스카르 . . . . 1회 일치
그러나 기스카르가 돌아가고 남은 군대를 맡게 된 보에몽은 절대 쉬운 상대가 아니었다. 그의 형이자 당시 세바스토크라토르라는 관직에 있던 이사키오스가 성 소피아 성당에서 종교회의를 열고, 과거 교회의 금과 은을 녹여 전쟁포로들을 되찾아온 전통을 상기시키면서 교회 재산을 모두 몰수한다고 선언해 겨우 전쟁자금을 구할 수 있었지만, 보에몽은 야니나와 아르타에서 알렉시오스에게 대승을 거두면서 그리스일대를 장악하고 테살로니카로 진군하고 있던 것이다. 그러나 알렉시오스는 어찌저찌 라리사에서 전세를 역전시킬 승리를 거두었고, 이후 보에몽의 군대에 항복한 노르만 병사들에게 더많은 봉급을 주고 용병으로 재고용해주겠다고 보에몽의 진지에 소문을 퍼뜨리게까지 했다. 결국 연패를 거듭한 보에몽은 그리스에서 쫓겨난다.
- 류원정 . . . . 1회 일치
| 종교 =
- 류종원 . . . . 1회 일치
| 종교 =
- 류효영 . . . . 1회 일치
| 종교 = [[천주교]]
- 마누엘 고도이 . . . . 1회 일치
* 당시 기준에서 상당히 호색한이었던 모양으로, [[프란시스코 고야]]의 명작 [[나체의 마하]]와 [[옷을 입은 마하]]를 주문제작했던 본래 소유주였다. 벨라스케스의 [[거울을 보는 비너스]] 역시 고도이가 주문제작한 작품이다. 본래 종교적으로 엄격했던 스페인에서 나체의 마하 같은 작품은 너무나 선정적이라서 제작되기 어려웠는데, 권력자인 고도이였기 때문에 그 같은 작품을 주문제작할 수 있었던 것이다.
- 맘모스교 . . . . 1회 일치
--맘모스를 숭배하는 종교 시베리아 원주민들 사이에 널리 퍼져 있다.--
- 맥닐의 법칙 . . . . 1회 일치
전염병 창궐은 아메리카 대륙 문명에 치명타를 입혔다. 기존 사회의 지도층 인사들이 질병으로 연이어 죽어버리면서 사회 체계가 흐트러졌고, 인구가 줄어들고 사회가 마비되어 유럽인들의 군사적 침공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없게 만들었다. 원주민들에게는 정신적으로도 큰 타격을 줬는데, 유럽인들은 면역으로 멀쩡했지만 원주민들은 면역력 없는 질병 때문에 큰 고통을 받았기 때문이다. 고대에 질병은 [[악마]]의 짓으로 여겨졌으며, [[신]]이나 [[종교]]의 중요한 역할이 질병 퇴치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는 심각한 타격이었다.
- 메디나 . . . . 1회 일치
[[이슬람교]]의 [[성지]]로서, 이슬람교도가 아닌 다른 타 종교 신자는 들어갈 수 없게 되어 있다.
- 무협/용어 . . . . 1회 일치
* 무복(武服) : 무림인(武林人)이 입는 옷을 무복이라 부른다. 하지만 독자적인 조어에 가까우며,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는 단어이다. 본래 중국에는 특별히 무술인을 위한 복장이 있는게 아니었으며 일반인이 입는 것과 비슷한 옷을 입었다. 소림사의 경우 특유한 무승복(武僧服)이 있거나, 도가 문파의 경우 도복(道服)을 입지만 종교에 관련된 복장이지 무술을 위한 복장이 아니다.
- 문근영 . . . . 1회 일치
||<#f08080><:> {{{#ffffff '''종교'''}}} ||<(><#ffe4e1> [[불교]] ||
- 문무왕 . . . . 1회 일치
|종교=[[불교]]
- 문지애 . . . . 1회 일치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천주교]] (세례명: [[체칠리아]])
- 문호근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 문호월 . . . . 1회 일치
|종교 = [[개신교]]
- 문희(배우) . . . . 1회 일치
|| 종교 ||<(> [[천주교]]([[세례명]]:클라라) ||
- 물에 흘려보내다 . . . . 1회 일치
일본에서는 종교적으로 '더러움'을 흐르는 시냇물 등에 깨끗하게 씻어서 흘려보내는 관념이 있어, 물에는 '정화'를 하는 힘이 있다는 관념을 가지고 있다. 인간의 다툼이나 대립 같은 어두운 감정도 이처럼 물에 흘려보내서 '없애버린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여겨진다.
- 미즈코 . . . . 1회 일치
일본 오컬트 용어. 본래는 어린 시절에 죽은 아이들의 영을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1980년대 무렵부터 [[낙태]]로 죽은 아이들의 영을 가리키는 말로 바뀌게 되었다. '미즈코 공양'이라고 하여, 낙태로 죽은 아이들을 공양하는 종교단체(주로 불교사원)이 있다.
- 민효린 . . . . 1회 일치
| 종교 = [[장로회]]
- 바실레이오스 1세 . . . . 1회 일치
그러나 황제는 제국의 서방 속주를 탈환하기 위해 해당 행위를 한거지 회개할 생각은 딱히 없었기에, 교황의 사절이 보낸 요구[* 공의회의 교황의 사절 주도]를 무시하고, 포티우스를 파문시키는데 그치게 한다. 그런데, 공의회가 끝나기 직전인 870년 2월에, 불가리아 왕인 보리스 1세가 사절을 보낸다. 당시 그는 포티우스 분열때 자신을 무시한 포티우스에 대항해 가톨릭을 불가리아에 퍼뜨리고 있었는데, 이게 그리 신통치 못했기 때문이다. 이에 그는 총대주교구를 설치해달라고 요청했다. 그런데 이 총대주교를 누구 휘하에 두느냐가 문제였다. 교황휘하인가, 콘스탄티노플 대주교 휘하인가? 그리고 바실레이오스는 불가리아에 자기 세력을 키울 기회를 놓칠 위인이 아니었고, 즉각 당시 회의장에 있었던 안티오크와 예루살렘,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구 대표를 불러 불가리아 총대주교구는 누구 휘하에 두어야 되는지를 물었다. 이들의 답은 뻔했고, 교황청에서 온 사절들이 항의했지만 별 소용이 없었다. 이렇게 되어서 불가리아는 정교회의 품으로 돌아왔으며, 현재까지 정교회국가로 남아있다. [* 어찌보면, 이때의 공의회가 한나라의 종교를 결정한셈.]
- 박경석 (1960년) . . . . 1회 일치
| 종교 =
- 박경석(1937)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언론인, [[정치인]]이다. 호는 화담(和潭)이다. [[종교]]는 [[불교]]이다.
- 박노식(1930)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본관 [[밀양시|밀양]](密陽). [[종교]]는 [[가톨릭]]이며, [[세례명]]은 이냐시오이다. 1930년, [[전라남도]] [[여수시]] 에서 태어났으며[* 그런데 정작 [[응답하라 1994]]에서 [[순천시]] 출신인 [[해태(응답하라 1994)|해태]]가 여수 아줌마와 고향 대결을 할 때 박노식을 순천 사람이라고 내세운다. --해태 [[의문의 1패]].--], [[전남대학교 여수캠퍼스|여수 수산중학교]]를 거쳐 순천사범학교[* 1946년 11월에 설립되었다가 1962년 2월에 폐교되었는데, 뒤이어 순천실업고등학교로 개편되었고 1967년에 지금의 순천공업고등학교로 재개편되었다.] 체육과를 졸업했다. 1950년에 지금의 여수 소라초등학교 교사로 부임했다가, [[6.25 전쟁]]이 발발하자 1951년에 [[수도기계화보병사단|수도사단]] 선무공작대에 입대·종군했다.
- 박노식(1971) . . . . 1회 일치
|| '''종교''' || [[기독교]] ||
- 박두을 . . . . 1회 일치
|종교 = [[원불교]]
- 박명수(MC) . . . . 1회 일치
||<#595959><:> {{{#FFFFFF ''' 종교 ''' }}}||<(> [[개신교]][* [[http://m.dailywrn.com/a.html?uid=3478]]] ||
- 박상규(가수)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가수]] 겸 [[MC]]. [[종교]]는 [[장로회]]다. 1963년 가수로 데뷔한 것을 시작으로 [[연예인]]으로 활동하면서 MC로 맹활약했다. 토요일토요일밤에를 [[이덕화]]보다 먼저 MC를 했으며 12시 올스타쇼와 일요큰잔치 등 굵직한 쇼프로그램의 MC를 전담해왔다. 특유의 백발머리가 트레이드 마크. 요즘으로 따지면 연예계에서의 그의 입지는 [[손범수]] + [[이승기]] 정도. 국민MC의 계보를 이었다고해도 딱히 문제되지 않을 정도의 유명도가 있었던 분이었다.
- 박상규(정치인)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교사]], [[공무원]], [[기업인]], [[정치인]]이다. [[종교]]는 [[개신교]]이다.
- 박상돈(정치인)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군인]], [[공무원]], [[정치인]]이다. [[종교]]는 [[가톨릭]]으로 [[세례명]]은 아퀴나스이다.
- 박상면(배우) . . . . 1회 일치
|| '''종교''' ||<(> [[장로회]] ||
- 박세직 . . . . 1회 일치
1933년 [[경상북도]] 선산군(현 [[구미시]])에서 태어났다. [[종교]]는 [[개신교]]([[침례회]])이다.
- 박수영(연극배우) . . . . 1회 일치
|종교 =
- 박승호(정치인)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
- 박신혜 . . . . 1회 일치
| 종교 =
- 박연우 . . . . 1회 일치
| 종교 =천주교
- 박용우(배우)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
- 박윤경(가수) . . . . 1회 일치
| 종교 = [[기독교]]
- 박은수 (1956년) . . . . 1회 일치
| 종교 =
- 박재홍(1941)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종교]]는 원래는 [[불교]]였으나, [[개종]]해서 [[개신교]]이다.
- 박정철(배우) . . . . 1회 일치
||<#58ACFA> {{{#white '''종교'''}}} ||[[개신교]] ||
- 박정호 . . . . 1회 일치
|종교 =
- 박종준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경찰공무원]], [[정치인]]이다. [[종교]]는 [[개신교]]이다.
- 박주아(1942년) . . . . 1회 일치
| 종교 =
- 박칠용 . . . . 1회 일치
| 종교 = [[성덕도|성덕교]]
- 박학기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예장통합]])<ref>[http://www.igood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5812 아름다운 세상 꿈꾸는 박학기 집사]</ref>
- 박현정 (배우) . . . . 1회 일치
|종교 =
- 박현진 (음악가) . . . . 1회 일치
| 종교 =
- 박휘순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 방우정 (방송인) . . . . 1회 일치
|종교=
- 배슬기(배우) . . . . 1회 일치
||<#878787> '''{{{#EEE156 종교}}}''' ||<(> [[개신교]] ||
- 백기만 . . . . 1회 일치
| 종교 = [[유교]]([[성리학]])
- 백남순 (1929년) . . . . 1회 일치
|종교=
- 백남억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국회의원에 다섯번 당선되었으며, 민주공화당 의장을 지냈다. 송산 [[박준규(1925)|박준규]] 전 [[국회의장]]의 자형(姉兄)이 된다. [[종교]]는 [[불교]]이다.
- 백성현 . . . . 1회 일치
| 종교 =
- 백일섭 . . . . 1회 일치
| 종교 = [[불교]]
- 백진희 . . . . 1회 일치
| 종교 =
- 벚꽃놀이 . . . . 1회 일치
본래는 액을 씻어내기 위한 종교 행사로서, 가을에 풍년이 올 것을 빌고 꽃 아래에서 축제를 벌이며 가을에 수확을 점쳤다. 이 때 꽃이 지는 모습을 신이 내리는 계시로 보았는데, 확 하고 지면 흉(凶)하다고 보았다. 하나미에서 마시는 [[술]] 역시 본래는 신에게 바친 것을 다 같이 먹는 것이었다.(일종의 [[음복]])
- 변요한 . . . . 1회 일치
||<#FAECC5> '''종교''' ||<(> [[개신교]] ||
- 보에몽 1세 . . . . 1회 일치
물론 그가 아버지가 못다한걸 이루겠다는 야심을 버린것으로 보이지는 않다. 오히려 이 행동은 원정을 요청했던 알렉시오스에게 인정을 받아 십자군의 '종교적' 지도자였던 아데마르 주교와 배치되는 '세속적' 지도자가 되려는 생각에서 했었을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알렉시오스에게 제국의 아나톨리아군 총사령관직을 요청하기도 했다.]
- 봉준호 . . . . 1회 일치
| 종교 =
- 분류:불교 . . . . 1회 일치
[[분류:종교]]
- 분류:유교 . . . . 1회 일치
[[분류:종교]]
- 분류:컬트 종교 . . . . 1회 일치
[[분류:종교]]
- 서강준 . . . . 1회 일치
| 종교 =
- 서도영 . . . . 1회 일치
|종교 =
- 서명선 . . . . 1회 일치
| 종교 = [[유교]]([[성리학]])
- 서상기 (1946년) . . . . 1회 일치
|종교 = [[개신교]]
- 서영춘(코미디언) . . . . 1회 일치
|| '''종교''' ||<(> [[불교]] ||
- 서윤아(배우) . . . . 1회 일치
| 종교 =
- 서정제 . . . . 1회 일치
|종교 =
- 서지훈 (1997년) . . . . 1회 일치
| 종교 =
- 서태화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 서효림 . . . . 1회 일치
| 종교 =
- 성시경 . . . . 1회 일치
|종교 = [[불교]]<ref>[http://news1.kr/articles/?1756640 "마녀사냥 성시경" "기독교 중창단에서 나만 불교"]</ref>
- 소명(가수) . . . . 1회 일치
|종교 = [[개신교]]
- 손광업 . . . . 1회 일치
| 종교 =
- 손담비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 손예진 . . . . 1회 일치
| 종교 = [[천주교]] (세례명: 도미니카)
- 손지민 . . . . 1회 일치
| 종교 = [[불교]]
- 손지창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침례교|침례회]])
- 손지현(배우) . . . . 1회 일치
||<#7C43B1><:>{{{#FFFFFF '''종교'''}}}||[[개신교]]||
- 솔비 . . . . 1회 일치
| 종교 =
- 송가인 . . . . 1회 일치
| 종교 =
- 송지효 . . . . 1회 일치
| 종교 = [[유교(성리학)]]
- 송진현 . . . . 1회 일치
|종교 =
- 신기준 . . . . 1회 일치
|종교 =
- 신동미 . . . . 1회 일치
| 종교 =
- 신동일 (언어학자) . . . . 1회 일치
|종교= [[개신교]]
- 신동호 (아나운서) . . . . 1회 일치
|종교 =
- 신민아 . . . . 1회 일치
* 2015년 10월 15일 약 7년째 꾸준히 기부를 해온 사실이 기사로 나왔다. 새터민들을 돕는 단체 및 사랑의 열매를 통한 매달 200만원, 연말에는 5천만원에서 1억정도의 액수를 기부해 왔다고 한다. 그 외에도 싱글맘들을 위해 분유를 기부하기도 하고 다문화 가정 아이들을 돕기도 하는 등 그동안 기부한 액수가 약 10억 원 정도라고 한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178574|관련 기사]] 특히 새터민들을 돕는 행사는 몇 년전 공개 행사를 할때 참석하였는데 드라마 작가인 노희경씨와 함께 하기도 하였다. 불교 단체를 통해 기부한 적도 있는데, 재미있게도 신민아는 개신교 신자. 이따금 절에서 목격담이 있기도 하고, 오래 전 인터뷰에서 자주 가는 장소 중 하나가 봉은사라고 했던 것으로 보아 타종교에 대한 편견은 없는 모양. --드라마 고사장에서 절을 하지는 않는 정도--
- 신선미 . . . . 1회 일치
| 종교 =
- 신성왕후 . . . . 1회 일치
|종교 = [[불교]]
- 신수항 (배우) . . . . 1회 일치
| 종교 =
- 신은정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 신현준(군인)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로 [[경상북도]] [[김천시|김천]] 출신이며, 최종 계급은 [[해병]] [[중장]]이다. [[종교]]는 [[천주교]]이며, [[세례명]]은 요아킴이다.
- 신화용 . . . . 1회 일치
||<#990000> {{{#ffffff 별명}}} || 신메디언, 화용[[신(종교)|신]] ||
- 심양홍 . . . . 1회 일치
||종교||[[가톨릭]](세례명 다니엘)||
- 심현섭(코미디언) . . . . 1회 일치
|| '''종교''' ||<(> [[천주교]]([[세례명]]: 라파엘) ||
- 안숙선 . . . . 1회 일치
'''안숙선'''(安淑善, AHN Sook Sun, [[1949년]] [[9월 5일]] ~ )은 [[대한민국]]의 [[판소리]] [[명창]], [[중요 무형 문화재 보유자|인간문화재]]이다.<ref name="doopedia">{{웹 인용|url=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72871|title=안숙선|publisher=[[두산세계대백과사전]]|accessdate=2015-05-15|language=한국어}}</ref> [[종교]]는 [[불교]]다.
- 안재욱(배우,가수) . . . . 1회 일치
|| '''종교''' ||<(> [[천주교]]([[세례명]] : 마태오) ||
- 안종범 . . . . 1회 일치
|종교 = [[불교]]
- 애니프사 . . . . 1회 일치
트위터의 계급 가운데 하나로, 정치인-정치 심취자, 종교인, 광고 스팸봇, 아이돌 프사[* 아이돌 프로필 사진의 약자. 주로 아이돌 팬들이 쓰고 다닌다.]와 함께 가장 흔히 보이는 계층 가운데 하나이다.
- 야설록 . . . . 1회 일치
| 종교 =
- 양윤재 . . . . 1회 일치
| 종교 =
- 연규진 . . . . 1회 일치
|| '''종교''' ||[[불교]]([[법명]] : 법흥)||
- 연분홍 . . . . 1회 일치
| 종교 =
- 염재욱 . . . . 1회 일치
| 종교 =
- 오경훈 . . . . 1회 일치
| 종교 =
- 오다 노부나가 . . . . 1회 일치
당시 기준으로 여러 방면에서 시대를 앞서간 행보를 보인 인물로, 상공업 촉진을 위해 [[관문]]을 철폐하거나 종교의 영향력을 억제하는 등 선진적인 정책을 펼쳤으며, 군사적으로 최강은 아니었으나 이를 전략적인 밑그림을 통해 역전시켜 다른 다이묘들을 차근히 압도해 나갔다. 한편 성정이 폭급한 부분이 있어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마왕]]'과 같은 이미지로 그려지기도 했으나 사적인 부분에서는 당대 기준으로 오히려 자상한 부분도 보인다.
- 오병희 . . . . 1회 일치
|종교 =
- 오석락 . . . . 1회 일치
|종교 = [[기독교]]
- 오세정 (교수) . . . . 1회 일치
| 종교 =
- 오세창 . . . . 1회 일치
[[분류:일제 강점기의 작가]][[분류:일제 강점기의 언론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분류:독립협회]][[분류:민족대표 33인]][[분류:한국의 군정기]][[분류:한국 전쟁 관련자]][[분류:한국독립당]][[분류:의친왕]][[분류: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종교인]][[분류:대한민국의 미술가]][[분류:대한민국의 서예가]][[분류:김규식]][[분류:서재필]][[분류:윤치호]][[분류:이승만]][[분류:이회영]][[분류:해주 오씨]][[분류:서울특별시 출신]]
- 오소영 (조각가) . . . . 1회 일치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천주교]](세례명: 소피아)
- 오승근 (가수)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 오승원 (아나운서) . . . . 1회 일치
|종교 =
- 오영식 (1967년) . . . . 1회 일치
|종교 = [[천주교]](세례명 : 발렌티노)
- 오영실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
- 오예설 . . . . 1회 일치
| 종교 =
- 오원 (조선) . . . . 1회 일치
|종교= [[유교]]
- 오유나 . . . . 1회 일치
| 종교 =
- 오은석 . . . . 1회 일치
| 종교 =
- 오재희 . . . . 1회 일치
|종교 =
- 오정태 (희극배우)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 오정희 (소설가) . . . . 1회 일치
| 종교 = [[천주교]](세례명 : 실비아)<ref>{{뉴스 인용 | 저자= 주정아 | 제목= 한국가톨릭문인회 13대 회장 소설가 오정희 씨 | url= http://www.catholictimes.org/view.aspx?AID=260337 | 날짜= 2014-04-30 | 확인날짜= 2016-01-03 | 뉴스= 가톨릭신문 | 보존url= https://archive.today/20160107033054/http://www.catholictimes.org/view.aspx?AID=260337 | 보존날짜= 2016-01-07 | 깨진링크= 아니오 }}</ref>
- 오준 . . . . 1회 일치
|종교 =
- 오창경 . . . . 1회 일치
| 종교 =
- 오태훈 (아나운서) . . . . 1회 일치
|종교 = [[천주교]]
- 우의형 . . . . 1회 일치
|종교 =
- 우현(배우)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
- 위키규정 . . . . 1회 일치
* 국내 정치, 종교, 사회 문제 관련 항목 작성을 금지합니다.
- 유미(가수) . . . . 1회 일치
|| '''종교''' ||[[개신교]] ||
- 유승민(배우) . . . . 1회 일치
|종교 =
- 유승진 (필드하키 선수) . . . . 1회 일치
|종교 =
- 유열 (가수) . . . . 1회 일치
|종교 = [[개신교]](침례회)
- 유지태 . . . . 1회 일치
|종교 = [[개신교]]
- 유해진(배우) . . . . 1회 일치
|| '''종교''' ||<(> [[천주교]]([[세례명]]: 요한) ||
- 육성재 . . . . 1회 일치
||<#42B4E6> '''종교''' ||<(> [[개신교]][* 비투비의 다이어리 프로그램에서 서은광과 함께 교회를 가는 모습이 촬영됐다.] ||
- 윤상현(배우) . . . . 1회 일치
||<bgcolor=#DCE4E9> '''종교''' ||<(> [[불교]] ||
- 윤석용 . . . . 1회 일치
|종교=기독교
- 윤선우 . . . . 1회 일치
| 종교 =
- 윤식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 윤용현(1969) . . . . 1회 일치
|| '''종교''' ||[[불교]]||
- 윤정희(1944) . . . . 1회 일치
||<:><#237065>'''{{{#white 종교}}}'''||<#ffffff>[[가톨릭]] (세례명: 데레사)||
- 윤종신 . . . . 1회 일치
||<bgcolor=#201e1f> {{{#FFFFFF '''종교'''}}} ||<(> [[개신교]] ||
- 윤주상 . . . . 1회 일치
| 종교 = [[불교]]
- 윤지숙(배우) . . . . 1회 일치
|종교 = [[기독교]]
- 윤진솔 . . . . 1회 일치
| 종교 =
- 윤채경(가수) . . . . 1회 일치
||<bgcolor=#FF69B4><:>'''{{{#ffffff 종교}}}''' ||<(> [[개신교]][* 에이프릴 공식 팬카페에서 팬의 질문에 기독교라고 답했다.] ||
- 윤천주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전 교육자, 관료, [[정치인]]이다. [[종교]]는 [[가톨릭]]으로 [[세례명]]은 토마스 아퀴나스이다.
- 은지원 . . . . 1회 일치
||<#000000> '''{{{#FFFFFF 종교}}}''' ||<(> [[불교]] ||
- 은혼/621화 . . . . 1회 일치
* 이런 개판의 와중에 마조돼지로 전락했던 [[코제니가타 헤이지]]까지 멀쩡한 척 안경을 쓰고 나타나 "남자들은 모두 가랑이에 바이러스 포를 가지고 있는 박사들"이라고 개드립을 친다. 그는 자신을 데려가 이종교배 실험을 시켜달라는, 취지가 장난 아니게 빗나간 요구를 해댄다. 하지만 왠지 쿄시로가 "당신들이 가면 지구인의 이미지만 나빠지니 내가 가서 천 명을 꼬셔오겠다"는 드립을 치면서 이야기의 본질이 흐려진다.
- 이갑성 . . . . 1회 일치
[[분류:1889년 태어남]][[분류:1981년 죽음]][[분류:병사한 사람]][[분류:한국의 약학자]][[분류:한국의 약사]][[분류:일제 강점기의 교육인]][[분류:일제 강점기의 사회 운동가]][[분류:일제 강점기의 종교인]][[분류:일제 강점기의 의학자]][[분류:일제 강점기의 약사]][[분류:대한민국의 반공주의자]][[분류: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관련자]][[분류: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분류:민족대표 33인]][[분류:대한민국 임시 정부]][[분류:한국의 군정기]]
- 이경실 . . . . 1회 일치
||<#595959><:> {{{#FFFFFF ''' 종교 ''' }}} ||<(> [[개신교]] ||
- 이관섭 (1961년) . . . . 1회 일치
|종교 =
- 이광수(배우) . . . . 1회 일치
||<#ACF3FF> '''{{{#000000 종교}}}''' ||<#ffffff><(> [[개신교]][* 수상 소감 등에서 여러 번 언급했다. 그리고 2018년 8월 26일 런닝맨 방송분에서도 밝혔다.] ||
- 이국철 . . . . 1회 일치
|종교 =
- 이기광 (법조인) . . . . 1회 일치
|종교 =
- 이기택 . . . . 1회 일치
[[종교]]는 [[개신교]]이다. 변호사이자 영어 강사인 [[김정기(1960)|김정기]]가 그의 손아랫동서이다.
- 이덕건 . . . . 1회 일치
|종교 =
- 이동흡 . . . . 1회 일치
[[경상북도]] [[대구시]]의 [[고성 이씨|고성]](固城) 집안에서 [[1951년]] [[1월 27일]] 태어나 [[경북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1973년 제15회 [[사법시험 (대한민국)|사법시험]]에 합격하여 5기 [[사법연수원]]과 군 법무관을 마친 1978년 [[부산지방법원]] 판사에 임용되었다. 종교는 [[불교]]이다.<ref>허신열, [http://www.naeil.com/News/politics/ViewNews.asp?nnum=701495&sid=E&tid=1 박근혜 인사에 불교계 민감반응], 내일신문</ref>
- 이만섭 . . . . 1회 일치
|종교 = [[천주교]](세례명: 요셉)
- 이명규(국회의원)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이다. [[종교]]는 [[불교]]이다. 본관은 [[성주 이씨|성주]]이다.
- 이미연 (배우) . . . . 1회 일치
| 종교 =
- 이민우(배우) . . . . 1회 일치
||<#878787> '''{{{#EEE156 종교}}}''' ||<(> [[개신교]] ||
- 이상백 (1904년) . . . . 1회 일치
| 종교 = [[유교]]([[성리학]])
- 이상오 . . . . 1회 일치
| 종교 = [[유교]]([[성리학]])
- 이상정 (1897년) . . . . 1회 일치
| 종교 = [[유교]]([[성리학]])
- 이석훈 . . . . 1회 일치
||<#0D3EA3> {{{#ffffff 종교}}} ||<(><rowbgcolor=#ffffff> [[개신교]][* 6집 앨범 끝부분에서 성경구절을 언급함과 동시에 감사함을 드러냈으며 실제로 2009년 10월에는 줄라이 프로젝트라는 그룹의 CCM앨범에도 참여했다.] ||
- 이선희 . . . . 1회 일치
| 종교 = [[장로회]]
- 이설주 . . . . 1회 일치
| 종교 =
- 이소선 . . . . 1회 일치
|종교 = [[개신교]]
- 이시형 (1934년) . . . . 1회 일치
| 종교 = [[유교]]([[성리학]]) → [[개신교]]<ref>[[1990년]] [[개신교]]에 귀의.</ref>
- 이신학 . . . . 1회 일치
'''이신학'''(李新學, [[1944년]] [[9월 25일]] ~ ,[[대구광역시|대구]] [[달성군|달성]])은 전직 지방자치공무원이면서 전직 기업인이자, 전직 대구광역시 남구청장이다. [[종교]]는 [[천주교]]이며, [[세례명]]은 요한이다.
- 이연희(배우) . . . . 1회 일치
||<bgcolor=#b88568> {{{#FFFFFF '''종교'''}}} ||<(> [[개신교]] ||
- 이열희 (1924년) . . . . 1회 일치
| 종교 = [[유교]]([[성리학]]) → [[로마 가톨릭교회|천주교]](세례명: 토마)
- 이영은(1982) . . . . 1회 일치
||<:> 종교 ||<(> [[불교]] ||
- 이예린 (1974년)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 이요원 . . . . 1회 일치
| 종교 = [[유교|성리학]]<ref>{{뉴스 인용|저자=김범석|제목=이요원 “이런 ‘된장같은’ 반응은 없어야 할텐데” (인터뷰①)|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010190115151003|날짜=2010-10-19|확인날짜=2016-12-06|뉴스=뉴스엔}}</ref> ([[세례명]] : [[마리아]])
- 이원석(1981년) . . . . 1회 일치
| 종교 =
- 이원형(1951)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교육자, [[정치인]]이다. 자는 치언(致彦), 호는 청고(靑顧)이다. [[종교]]는 [[불교]]이다.
- 이유리(배우) . . . . 1회 일치
||<:><bgcolor=#353535>'''{{{#white 종교}}}'''||<(> [[개신교]]([[장로회]]) ||
- 이인 . . . . 1회 일치
|종교=[[유교]]([[성리학]])
- 이자연(가수) . . . . 1회 일치
[[본명]]은 이현옥. [[1963년]] [[8월 18일]] 생. [[종교]]는 [[불교]]다. [[고향]]은 [[경상북도]] [[구미시]].
- 이장훈(배우) . . . . 1회 일치
| 종교 =
- 이장희 (시인) . . . . 1회 일치
| 종교 = [[유교]]([[성리학]])
- 이재영 (뮤지컬배우)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장로회]])[* [[http://www.igood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29974|일산 한사랑교회]]([[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교단)에 [[http://www.pckworld.com/article.php?aid=4887348730|출석중이다.]]] ||
- 이재용(배우) . . . . 1회 일치
|| '''종교''' ||<(> [[불교]] ||
- 이정명 . . . . 1회 일치
| 종교 =
- 이정무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치인]]이다. 호는 선웅(善雄)이다. [[종교]]는 [[개신교]]이다.
- 이정재(영화배우) . . . . 1회 일치
||<:><#4C4C4C>'''{{{#FFFFFF 종교}}}'''||[[개신교]] ||
- 이정훈(배우) . . . . 1회 일치
| 종교 = [[유교]]([[성리학]]) → [[불교]] → [[개신교]]([[기독교한국침례회|침례회]])
- 이종배(국회의원) . . . . 1회 일치
||<bgcolor=#C9151E> '''{{{#FFFFFF 종교}}}''' ||<(> [[불교]] ||
- 이종혁 (배우)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 이종화 (1949년) . . . . 1회 일치
|종교 =
- 이종훈(코미디언) . . . . 1회 일치
|| '''종교''' ||[[개신교]] ||
- 이준(배우) . . . . 1회 일치
||<#878787> '''{{{#EEE156 종교}}}''' ||<(> [[천주교]] ||
- 이지현(1983)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
- 이창동 . . . . 1회 일치
| 종교 =
- 이철우(1955) . . . . 1회 일치
||<height=40><bgcolor=#C9151E> {{{#FFFFFF ''' 종교 ''' }}} ||<(> [[개신교]][* 링크 참조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500569&code=23111111&cp=nv|#]]] ||
- 이하율 . . . . 1회 일치
| 종교 =
- 이헌일 . . . . 1회 일치
| 종교 = [[유교]]([[성리학]]) → [[개신교]]([[장로교|장로회]])
- 이현우(배우) . . . . 1회 일치
||<#6495ED><:> {{{#ffffff '''종교'''}}} ||<(> [[개신교]] ||
- 이현욱(배우) . . . . 1회 일치
|종교 =
- 이혜숙(영화배우) . . . . 1회 일치
||<#87CEFA> '''{{{#ffffff 종교}}}''' ||<(> [[불교]] ||
- 이홍기(군인)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前 [[군인]]. 예비역 대장 [[제3야전군사령관]] 역임했다. [[종교]]는 [[천주교]]이며, [[세례명]]은 이냐시오이다.
- 이홍렬(코미디언) . . . . 1회 일치
||<#595959><:> {{{#FFFFFF ''' 종교 ''' }}} ||<(> [[개신교]]([[장로회]])[* [[온누리교회]] 집사이다. [[http://v.media.daum.net/v/20100704171608088?f=o|참조]]] ||
- 이효상 . . . . 1회 일치
| 종교 = [[유교]]([[성리학]]) → [[로마 가톨릭교회|천주교]](세례명: 아길로)
- 이희근 (1929년) . . . . 1회 일치
| 종교 = [[불교]]
- 인교진 . . . . 1회 일치
|종교 =
- 임각수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공무원]] 출신 [[정치인]]이다. [[종교]]는 [[가톨릭]]으로 [[세례명]]은 아우구스티노이다.
- 임대윤 . . . . 1회 일치
|종교 =
- 임동규(정치인)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치인]]이다. [[종교]]는 [[불교]]다.
- 임백천 . . . . 1회 일치
DJ로도 활동 중이며, [[KBS 2FM]]의 오후 2시 프로그램인 "뮤직쇼"[* 김연주와 결혼하면서 그만뒀다가 2001년 4월부터 2003년 봄 개편 전까지 DJ를 맡았다.]등을 진행했다. 현재는 [[KBS 제2라디오]]에서 낮 12시 10분에 시작하는 "임백천의 라디오 7080"의 DJ를 맡았다. 하지만 2016년 9월 5일부터 라디오 7080이 수도권 방송으로 전환되어 지역에서는 들을 수 없다.--[[KBS 2FM]] 지방에 허가 안 할래?--[* 왜냐하면 [[한국방송공사|KBS]] 본사가 지역국 음악FM 방송을 [[KBS 1FM]]으로 취급하고 있어서 광고방송이 안 되기 때문이다. [[KBS 2FM]]이 2002년부터 광고방송 중인데, 2001년 10월 개편 때 광고방송을 위한 사전 작업 때문인지 2FM은 굿모닝팝스를 빼고 지방에서 모두 릴레이가 중단됐다. 게다가 굿모닝팝스도 광고가 나가는지라 지방에서 [[DMB]]와 라디오로 잡아 보면 약간 차이가 났으며, 2017년 3월 6일부터 굿모닝팝스가 [[KBS 제2라디오]] 수중계로 변경되면서 KBS의 지역국 음악 FM 방송은 사실상 1FM으로 완전히 전환됐다. 이후 2008년에 지상파 [[DMB]] 채널인 U-KBS 뮤직을 통해 [[키스 더 라디오]]를 제외한 나머지 2FM 프로그램들을 송출 중이며, 2016년에 라디오쇼(일부 지역국만)와 [[가요광장]]을 광고방송이 가능한 지역 [[KBS 제2라디오]]를 통해 릴레이하는 실험(?)을 하고 있다. KBS 본사도 지속적으로 2FM 지역 릴레이를 추진하고 있지만, 주파수가 없다는 이유로 모두 거절당했다.--주파수 없다면서 종교방송 허가는 왜 막 하냐고! 특히 [[극동방송]] 왜 허가했냐고!--] 2018년 가을 개편으로 [[KBS 제2라디오]]에서 아침 11시에 방송하는 "골든팝스"를 진행 중.
- 임수정(탤런트) . . . . 1회 일치
|| '''종교''' ||<(> [[가톨릭]] ||
- 임진숙 . . . . 1회 일치
|종교=
- 임채무 . . . . 1회 일치
|| 종교 ||[[개신교]]||
- 장계현 . . . . 1회 일치
|종교 =
- 장기오 (공무원) . . . . 1회 일치
| 종교 = [[유교]]([[성리학]]) → [[불교]] → [[개신교]]([[장로교|장로회]])
- 장다경 (영화배우) . . . . 1회 일치
| 종교 =
- 장문규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ref>[https://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EC%9E%A5%EB%AC%B8%EA%B7%9C&sm=tab_etc&ie=utf8&key=PeopleService&os=116691 장문규-네이버인물정보]</ref>
- 장미화 (희극인) . . . . 1회 일치
|종교 =
- 장발 (화가) . . . . 1회 일치
| 종교 = [[유교]]([[성리학]]) → [[로마 가톨릭교회|천주교]]([[세례명]]: 루도비코)
- 장서희(1972) . . . . 1회 일치
||<#9966FF> '''{{{#FFFFFF 종교}}}''' ||<(> [[불교]] ||
- 장석조 (판사) . . . . 1회 일치
|종교 =
- 장성원 (배우) . . . . 1회 일치
|종교 = [[개신교]]
- 장성집 . . . . 1회 일치
그가 용감한 [[순교자]]들의 소식을 듣고 격분하여 그는 조정에 직접 항거하려 하였으나, 그의 [[대부모|대부]]는 그의 결단을 말렸다. 마침내 그는 [[5월 18일]]에 체포되었고, 이웃들과 그를 잡아가려는 사람들이 하나같이 그의 종교를 부정하라고 충고했다. 그러나 그는 오히려 사람들에게 자기 신앙을 거듭 확고히 다졌다. 그는 "나는 하느님을 사랑해야 하는 한 사람이다. 하느님께서는 이 세상의 모든 것을 창조하셨으며, 좋은 사람은 [[천당]]으로, 나쁜 사람은 [[지옥]]으로 보내신다."고 말했다.
- 장솜이 . . . . 1회 일치
| 종교 =
- 장슬기 (희극인) . . . . 1회 일치
| 종교 =
- 장신애 (연극배우)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 장우람 (가수) . . . . 1회 일치
|종교 =
- 장우석 . . . . 1회 일치
| 종교 =
- 장윤희 (미스코리아) . . . . 1회 일치
|종교=
- 장의수 . . . . 1회 일치
| 종교 =
- 장준휘 . . . . 1회 일치
| 종교 =
- 장진 (영화감독) . . . . 1회 일치
| 종교 =
- 장철 (1967년) . . . . 1회 일치
|종교 =
- 장항준 . . . . 1회 일치
| 종교 =
- 재신 (배우) . . . . 1회 일치
|종교 =
- 저스디스 . . . . 1회 일치
| 종교 =
- 전덕기 . . . . 1회 일치
|종교 = 감리교
- 전락원 . . . . 1회 일치
'''전락원'''(田樂園, [[1927년]] [[5월 16일]] ~ [[2004년]] [[11월 3일]])는 [[대한민국]]의 기업인 겸 교육가, 관광업자이다. '카지노의 대부'라는 별칭도 있다.<ref>[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31451.html ‘카지노 대부’ 전락원씨 유족, 증여 · 상속세 430억원 신고 : 경제일반 : 경제 : 뉴스 : 한겨레<!-- 봇이 따온 제목 -->]</ref>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장로교]] 목사 [[전주부 (목회자)|전주부]]의 아들이며, 수필가 [[전숙희]]의 남동생이었다. [[파라다이스그룹|파라다이스 그룹]]의 창업주이며, 카지노업과 교육 사업을 하였다. 본관은 [[담양 전씨|담양]]. 호는 우경(宇耕)이며 [[서울특별시]] 출신. 종교는 [[개신교]]([[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예장통합]])이다.<ref>[http://news.joins.com/article/2028144 '파라디이스 그룹 창업주' 전락원 회장 별세], [[중앙일보]], 2004년 11월 3일.</ref>
- 전명운 . . . . 1회 일치
|종교=
- 전민제 . . . . 1회 일치
| 종교 = [[유교]]([[성리학]]) → [[불교]] → [[개신교]]([[기독교한국침례회|침례회]])
- 전민희 . . . . 1회 일치
| 종교 =
- 전성우 (배우) . . . . 1회 일치
| 종교 =
- 전소민(배우) . . . . 1회 일치
||<#FFB1BC> '''{{{#white 종교}}}''' ||<#ffffff><(> [[개신교]] ||
- 전수지 . . . . 1회 일치
| 종교 =
- 전숙희 . . . . 1회 일치
'''전숙희'''(田淑禧, [[1919년]] [[3월 15일]] ~ [[2010년]] [[8월 1일]])는 일제 강점기와 군정기, [[대한민국]]의 작가, 수필가이다. 본관은 [[담양 전씨|담양]], 호는 벽강(璧江), 목사 [[전주부 (목회자)|전주부]]의 딸이며 기업인 [[전락원]]의 누나이다. 종교는 [[개신교]]이다. [[함경남도]] 협곡에서 출생하고 [[이화여자전문학교]] 문과를 졸업했다.
- 전용덕 . . . . 1회 일치
| 종교 =
- 전인범 . . . . 1회 일치
|종교 = [[개신교]]<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5&aid=0000270851 “하나님이 곁에… 두려움 없어져”… 전인범 준장 사순절 간증], 《국민일보》, 2007년 2월 20일</ref>
- 전재용 . . . . 1회 일치
|종교 = [[개신교]]
- 전정희 (배우) . . . . 1회 일치
| 종교 =
- 전태일 . . . . 1회 일치
|종교= [[기독교대한감리회|감리교]]
- 전혜진(1970)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
- 정겨운 . . . . 1회 일치
| 종교 =
- 정광용 . . . . 1회 일치
놀랍게도 그는 과거 [[기독교]]를 비판하는 책을 쓴 적이 있다. 박사모 회장인데 왜 이런 책을 쓰냐는 질문에 그는 "나는 그동안 책을 몇 권 쓴 작가다. 박사모 회장이라는 직책과 작가라는 직업은 엄연히 구분돼야 한다. 박사모 회장으로서 이런 책을 편 것은 절대 아니다. 작가는 어떤 글이든 쓸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기독교든 불교든, 종교는 진실 앞에서는 겸허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그걸 아는 양반이~~ 물론 기독교에서는 난리가 났다.[[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103&oid=003&aid=0003583796|#]]
- 정광조 (1883년) . . . . 1회 일치
정광조는 [[1942년]]에 천도교 교령으로 뽑히는 등 교단 원로로 활동하고 있었는데, 전시체제 하에서 천도교를 대표해 여러 친일단체에 가담했다. [[1941년]] 발족한 [[조선임전보국단]]에 발기인으로 참여한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국민정신총동원천도교연맹, 국민총력천도교연맹 등 어용 단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맡아 태평양 전쟁 전몰 장병을 위한 위령제를 개최하기도 했고, [[1943년]]에는 [[이종린 (1883년)|이종린]]과 함께 [[조선종교단체전시보국회]]에 천도교 대표로 참가해 학병제를 선전하는 강연회를 열었다.
- 정기선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장로교|장로회]])
- 정기성 . . . . 1회 일치
| 종교 =
- 정다혜(1987) . . . . 1회 일치
|종교 =
- 정대석 . . . . 1회 일치
| 종교 =
- 정동현 (배우) . . . . 1회 일치
|종교 =
- 정링컨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기독교한국침례회|침례회]])
- 정명환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 정몽헌 . . . . 1회 일치
|종교 =
- 정문성 . . . . 1회 일치
| 종교 =
- 정미남 . . . . 1회 일치
| 종교 =
- 정민아 (아나운서) . . . . 1회 일치
| 종교 =
- 정범균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 정서임 . . . . 1회 일치
| 종교 = 기독교
- 정세진 . . . . 1회 일치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세례명 : 아녜스)
- 정소희(1969) . . . . 1회 일치
| 종교 =
- 정수아 . . . . 1회 일치
| 종교 =
- 정승우 (1973년) . . . . 1회 일치
|종교=
- 정승화(육군)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군인]]. [[육군사관학교]] 5기, 최종 계급은 [[대장(계급)|대장]]. [[종교]]는 원래는 [[불교]]였다가 후에 [[천주교]]로 [[개종]]했으며 [[세례명]]은 베드로다.
- 정승환(가수)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
- 정운용 . . . . 1회 일치
|종교 =
- 정재민(2001) . . . . 1회 일치
|종교 =
- 정재안 . . . . 1회 일치
|종교 =
- 정재학 (1856년) . . . . 1회 일치
|종교 =
- 정재호 (1930년) . . . . 1회 일치
'''정재호'''(鄭在虎, [[1930년]] [[12월 18일]] [[대구광역시|대구]] ~ )는 [[대한민국]]의 언론인 겸 정치인이다. [[종교]]는 [[불교]]다. [[경향신문]] 정치부장 출신으로 [[대한민국 제4공화국|제4공화국]]에서 제9,10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정재호 (1964년) . . . . 1회 일치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천주교]](세례명: 안드레아)
- 정정아 . . . . 1회 일치
|종교=
- 정종철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예장통합]])<ref>[[강연 100]](2013.8.11)방송분에서 어릴적꿈이 목사였다고 언급을 한적이 있었다. 실제로 그의 저서에도 나타나 있다.</ref><ref>[https://news.v.daum.net/v/20061031154809467?f=o 개그맨 정종철씨 간증,"볼품없는 저도 남 웃기는 능력 있잖아요"], 국민일보</ref>
- 정진(1976) . . . . 1회 일치
|종교 =
- 정창영 (공무원) . . . . 1회 일치
| 종교 =
- 정혜선(배우)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배우. [[본명]]은 정영자이며, [[1942년]] [[2월 21일]] [[경상북도]] [[김천시]] 다수동 출생([age(1942-02-21)]세)이다. [[종교]]는 [[천주교]]이며, [[세례명]]은 카타리나이다. [[1961년]]에 [[KBS]] 공채 1기 [[배우]]로 데뷔하였다. [[성우]] 출신이고, 공채 출신이라 초기에는 주로 KBS에서 활동하였으나 나중에는 타방송국에도 많이 김천서현교회 출연하였는데 대표작들은 주로 MBC쪽이 많다. 드라마 [[아들과 딸]]의 어머니가 대표적이다. [[최불암]], [[김수미]] 처럼 젊을 때부터 노역을 많이 맡은 편이다. 나이가 든 후에는 완고한 시어머니 역을 많이 맡는 편이다.
- 조안(배우) . . . . 1회 일치
||<#996699> {{{#ffffff '''종교'''}}} ||<(> [[개신교]] ||
- 조원진 . . . . 1회 일치
|| '''종교''' ||[[개신교]]([[장로회]])[*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500569&code=23111111&cp=nv|출처]] 대구북부교회 집사로 알려져 있다.]||
- 조응천 . . . . 1회 일치
|| '''종교''' ||<(> [[불교]] ||
- 조재윤 . . . . 1회 일치
| 종교 =
- 주다영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ref>[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0032863&code=61221111&cp=nv 주다영 “평상시에 삶을 잘 살아야 한다는 하정우 오빠 말 새기고 있어요”…스타인헤븐]</ref>
- 주상욱 . . . . 1회 일치
| 종교 =
- 주상철 . . . . 1회 일치
|| '''종교''' ||[[가톨릭]]([[세례명]] : 마르첼리노)||
- 주서은 . . . . 1회 일치
| 종교 =
- 주윤발 . . . . 1회 일치
| 종교 = [[불교]]
- 주주장 . . . . 1회 일치
|종교=
- 주현미 . . . . 1회 일치
[[화교]] 3세[* 주현미의 [[아버지]]는 중국에서 태어났지만 4살에 한국으로 이민와서 자랐으므로 사실상 2세인 것이나 다름없다. [[TV조선]] 인생다큐 마이웨이 180412 주현미편에서 주현미의 친할아버지는 중국인이고 친할머니는 [[한국인]]이라고 말했다. 아마도 할머니는 중국으로 이주하여 생활한 조선인 1세(그 당시에는 [[조선]]이라고 불렀다. 물론 한국인 맞음)인 것으로 추정한다. 주현미의 [[할머니|친할머니]]와 [[어머니]]가 [[한국인]]이었기 때문에 주현미의 형제들은 어린 시절 집안에서부터 이미 한국 문화 방식으로 자랐다고 한다. 따라서 오히려 주현미와 형제들은 처음 화교 학교에 입학하였을 때 그것 때문에 굉장히 혼란스러웠다고 한다.] 출신으로, [[전라북도]] [[남원시|남원]] 에서 4남매 중 첫째 딸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4살 때 한국으로 이주하여 자란 [[중국인]][* [[중국]] [[산동성]] 모평현에서 4살 때 한국으로 이주한 [[중국인]]이지만, 당시 [[북한]]과 대치 중인 한국의 [[정치]] 및 군사적 상황에 의하여 [[대만]] [[국적]]이 되었다.] [[한의사]]였고, 어머니는 [[한국인]]이었다. 참고로 주현미의 친할머니 역시 [[한국인]]이었다고 방송에서 밝혔다. 따라서 주현미는 굳이 혈통을 따지자면 중국 [[쿼터]](1/4) [[혼혈]]인 셈이다. 대만 국적이었으나 결혼 후 남편을 따라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했다. 주현미의 동생들은 아직 [[중화민국]] 국적이라 한다.[* 한국화교는 [[타이완 섬]]과는 거리가 먼 [[산둥 성]] 출신들이며 단지 국적을 부여한 나라가 [[중화민국]]이었을 뿐이다. 상황이 이렇게 좀 꼬인 건 국부천대 때문. 물론 현재 화인들의 대부분이 귀화를 택하면서 중화민국 국적자는 줄고 있다.] 종교는 [[가톨릭]]으로 소화 데레사라는 세례명을 가지고 있다.[* 좀 비슷한 케이스인 외성인 출신 대만가수 [[등려군]]도 테레사라는 세례명을 가진 [[가톨릭]] 신자이다. 등려군 역시 산둥 출신.~~틀린 정보이다 등려군 자신은 타이완 태생 부친은 하북성 모친이 산둥성 출신이다~~]
- 지석진 . . . . 1회 일치
||<#FFA500> {{{#FFFFFF ''' 종교 ''' }}} ||<#ffffff><(> [[개신교]] ||
- 지증왕 . . . . 1회 일치
|종교 = [[불교]]
- 진격의 거인/89화 . . . . 1회 일치
* 종교는 얼마 가지 않아 마레 당국에 발각되고 모조리 검거, 그 뒤 유미르는 "팔라디 섬"으로 보내진다. 이후 본편의 전개로.
- 진구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재림교회]])
- 진선유 . . . . 1회 일치
| 종교 =
- 진시몬 . . . . 1회 일치
||<:>'''종교'''||<:>[[천주교]]([[세례명]] : 시몬)||
- 진유현 . . . . 1회 일치
| 종교 =
- 차동엽 . . . . 1회 일치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천주교]](세례명: 노르베르토)
- 차르 . . . . 1회 일치
[[비잔티움 제국]]에서 카이사르 칭호는 점차 위상이 하락하였다. 이는 고대세계의 가부장제에 따른 상속 계승보다, 종교적 권위가 중요하게 된 비잔티움 시대의 사회상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알렉시오스 1세가 황제의 부칭으로 세바스토크라토르(Sebastokratōr)를 제정하면서 제3위격의 칭호가 되었고, 데스포테스(Despotēs,[[전제공]])가 지정되면서 제4위격까지 떨어졌다. 황제가 보유하는 칭호의 위격순은 바실레우스->데스포테스->세바스토크라토르->카이사르 순서가 된 것이다. 이렇게 격식이 떨어지기는 했으나, 여전히 고위의 칭호로 여겨졌다.
- 차명진 . . . . 1회 일치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천주교]](세례명 : 여호수아)
- 차민수 . . . . 1회 일치
'''차민수'''(車敏洙, Jimmy Cha, [[1951년]] [[1월 15일]] - )는 [[대한민국]] [[한국기원]] 소속 프로 [[바둑 기사]](2014년 현재 5단)이다. 프로 [[도박사]]이기도 하며 종교는 [[불교]]이다.
- 차선우 . . . . 1회 일치
||<:> '''종교''' ||<(> [[천주교]]([[세례명]]: [[레오]])[* 언젠가부터 [[바로]] 팔목엔 천주교인들이 차고 다니는 묵주가 채워져 있었다. 그리고 2014년 [[1월 24일]], [[한국방송공사|KBS]] [[뮤직뱅크]]에서 1위 수상소감을 전할때 가장 먼저 '먼저 하느님 아버지, 감사드리고요' 라는 멘션이 있었다.] ||
- 차성훈 . . . . 1회 일치
| 종교 =
- 차승재 . . . . 1회 일치
| 종교 =
- 차용학 . . . . 1회 일치
|종교 =
- 차희식 . . . . 1회 일치
|종교 =
- 창작:좀비도시 . . . . 1회 일치
* 광신자 : 이들은 어떤 종교적 동기를 가지고 움직이고 있다. 공통적으로 좀비 사태가 이 세계에 주어진 어떤 '계기'라고 믿고 있으며, 좀비도시에 들어감으로서 어떤 계시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신앙을 가지고 있다. 어떤 행동을 벌일지 모르는 위험한 자들이다.
- 채동욱 . . . . 1회 일치
|종교 = 불교
- 채수빈 . . . . 1회 일치
| 종교 =
- 채윤아 . . . . 1회 일치
|종교 =
- 채이식 . . . . 1회 일치
|종교 =
- 채현국 . . . . 1회 일치
|종교 =
- 천운영 . . . . 1회 일치
| 종교 =
- 최공웅 . . . . 1회 일치
|종교 =
- 최광식 . . . . 1회 일치
| 종교 = [[불교]]
- 최남선 . . . . 1회 일치
|종교= [[천주교]] (세례명: 베드로)
- 최동석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 최동익 . . . . 1회 일치
|종교 =
- 최두선 . . . . 1회 일치
|종교= [[유교]]([[성리학]])
- 최민호(유도선수) . . . . 1회 일치
||<#131230> '''{{{#white 종교}}}''' ||<#ffffff> [[천주교]] ||
- 최석민 . . . . 1회 일치
| 종교 =
- 최선영 (희극인) . . . . 1회 일치
| 종교 =
- 최성원 (배우) . . . . 1회 일치
| 종교 =
- 최성조 . . . . 1회 일치
|종교 =[[개신교]]
- 최세창 . . . . 1회 일치
|종교 = [[개신교]]
- 최수환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아호|호]]는 우촌(友村)이다. [[종교]]는 [[개신교]]이다.
- 최연제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 최영이 (종교인) . . . . 1회 일치
포장은 그녀가 배교하고 동료 [[천주교]]인들과 그녀의 집에서 발견된 [[종교]] 물품들의 주인의 이름을 대라고 강요하였다. 최영이는 배교치 않았고, 교우들과 알고 지내기에 자신은 너무 젊다고 말했다. 따라서, 그녀는 2 차례의 [[주뢰형]]을 260 여대의 [[태형]]을 받았다. 그녀는 [[형조]]에서도 3 차례의 [[형벌]]과 [[고문]]을 견뎌내고 [[사형]]을 선고받았다.
- 최영철 (기자) . . . . 1회 일치
|종교 =
- 최우제 . . . . 1회 일치
|종교 =
- 최웅 . . . . 1회 일치
| 종교 =
- 최윤정 (패션 디자이너) . . . . 1회 일치
|종교 =
- 최은석 (배우) . . . . 1회 일치
|종교 = [[불교]]
- 최은희 . . . . 1회 일치
|| '''종교''' ||[[가톨릭]] ([[세례명]] : 소화데레사)||
- 최재만 . . . . 1회 일치
|종교=|악기=[[보컬]]
- 최재성(배우) . . . . 1회 일치
||<#878787> '''{{{#EEE156 종교}}}''' ||<(> [[개신교]]([[침례회]]) ||
- 최재웅 (배우) . . . . 1회 일치
|종교 =
- 최재원(배우) . . . . 1회 일치
[[1969년]] [[12월 15일]], [[전라남도]] [[순천시]]에서 출생. [[종교]]는 [[가톨릭|천주교]]이며, [[세례명]]은 요셉이다.
- 최재희 . . . . 1회 일치
| 종교 =
- 최정원(남자배우) . . . . 1회 일치
|| '''종교''' ||[[개신교]][* [[JTBC]] [[투유 프로젝트 - 슈가맨]] 38회에서 [[김정훈(UN)|김정훈]]이 [[UN(가수)|UN]] 활동당시 자신은 노는 걸 좋아했는데 정원이는 기독교 신자라 매일 기도하고 교회에 가곤 했다고 밝혔다.] ||
- 최지우(영화배우) . . . . 1회 일치
||<bgcolor=#D76181> {{{#FFFFFF '''종교'''}}} ||<(> [[개신교]][* [[신애라]], [[오연수]], [[유호정]] 등과 함께 연예인 성경공부모임을 하고 있다.] ||
- 최진희(가수) . . . . 1회 일치
|| '''종교''' ||[[개신교]] ||
- 최태수(가수) . . . . 1회 일치
| 종교 =
- 최혁 (1992년 3월) . . . . 1회 일치
|종교 =
- 최호중 (배우) . . . . 1회 일치
| 종교 =
- 최희준 (가수) . . . . 1회 일치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천주교]]([[세례명]]: 디모테오)
- 추미애 . . . . 1회 일치
||<#1870B9> '''{{{#FFFFFF 종교}}}''' ||<(> [[불교]][* [[http://raythep.mk.co.kr/newsView.php?cc=210002&no=10928|출처]]] ||
- 충완 . . . . 1회 일치
| 종교 =
- 크리스토퍼 라킨 . . . . 1회 일치
| 종교 =
- 타력본원 . . . . 1회 일치
현대는 본래의 종교적 의미와는 조금 멀어져서, 다른 사람에게 의존한다는 의미로 쓰이고 있다.
- 타루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예장합동]])<ref>[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0936640&code=61221111&cp=du ‘홍대 여신’ 타루 “예수님 안에서 참 자유를 누립니다”…스타인헤븐], 국민일보, 2016년 9월 19일</ref>
- 탁민제 . . . . 1회 일치
| 종교 =
- 탁석산 . . . . 1회 일치
|종교 =
- 태미 . . . . 1회 일치
| 종교 =
- 태의경 . . . . 1회 일치
|종교 = [[로마 가톨릭 교회|천주교]](세례명 : 크리스티나)
- 태종무열왕 . . . . 1회 일치
|종교 = [[불교]]
- 토니 고 . . . . 1회 일치
|종교=
- 토탈워: 쇼군 2 . . . . 1회 일치
* 종교 차이
- 토탈워: 쇼군 2 - 사무라이의 몰락 . . . . 1회 일치
* 종교 시스템은 존왕파/막부파/공화국 파벌 시스템으로 변경되었다.
- 토탈워: 쇼군 2/건물 . . . . 1회 일치
잇코 잇키 전용 종교 건물들.
- 톰 최 . . . . 1회 일치
|종교 =
- 트로피코 4/외교 . . . . 1회 일치
* 종교 건물을 너무 많이 짓지 않음
- 트로피코 4/인물 . . . . 1회 일치
게임 내에서는 종교인의 주장을 대변한다.
- 티나 (1980년)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 표창원 . . . . 1회 일치
||<:>'''종교'''||<(>[[천주교]]([[세례명]]: 이보)[* 다만 [[현재]]는 [[성당]]을 [[냉담자|잘 나가지 않는다]]고 한다.] ||
- 피서영 . . . . 1회 일치
|종교 = 천주교(세례명: 율리아나)
- 피수영 . . . . 1회 일치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천주교]](세례명: 바오로)
- 하규원 . . . . 1회 일치
|종교 = [[천주교]](세례명 : 헤레나)
- 하동부대부인 . . . . 1회 일치
|종교 = [[유교]]
- 하리수 . . . . 1회 일치
| 종교 =
- 하석 . . . . 1회 일치
| 종교 =
- 하수빈 . . . . 1회 일치
| 종교 = [[천주교]](세례명: 스텔라)
- 하일권 . . . . 1회 일치
| 종교 =
- 하정우(영화감독) . . . . 1회 일치
||<#878787> '''{{{#EEE156 종교}}}''' ||<(> [[개신교]] ||
- 하지영 . . . . 1회 일치
| 종교 =
- 하태웅(가수) . . . . 1회 일치
| 종교 =
- 하현정 . . . . 1회 일치
| 종교 =
- 한가빈 . . . . 1회 일치
|종교 =
- 한국진 . . . . 1회 일치
|종교 =
- 한길로 (영화감독) . . . . 1회 일치
| 종교 =
- 한다민 . . . . 1회 일치
| 종교 =
- 한동근 . . . . 1회 일치
| 종교 =
- 한말숙 . . . . 1회 일치
|종교 = [[천주교]](세례명 : 헬레나)<ref>[http://news.donga.com/3/07/20150323/70280084/1 국악인 황병기·소설가 한말숙 부부, 천주교 세례 받아], 동아일보</ref>
- 한명회 . . . . 1회 일치
|종교= [[유교]]([[성리학]]) → [[불교]]
- 한무숙 . . . . 1회 일치
| 종교 = [[천주교]](세례명 : 클라라)
- 한병주 . . . . 1회 일치
| 종교 = [[유교]]([[성리학]])
- 한보배 . . . . 1회 일치
| 종교 =
- 한비야 . . . . 1회 일치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천주교]](세례명: 비아)
- 한상권 (방송인) . . . . 1회 일치
|종교 =
- 한서진 (1989년) . . . . 1회 일치
| 종교 =
- 한선교 . . . . 1회 일치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천주교]]([[세례명]] : 스타니슬라오)
- 한성식 . . . . 1회 일치
|종교 = [[개신교]]
- 한성우 . . . . 1회 일치
| 종교 =
- 한성호 . . . . 1회 일치
|종교 = [[개신교]]([[기독교대한감리회|감리교]])<ref>[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261993 유재석 FNC와 전속계약, FNC 뜻은?…한성호 대표는 '독실한 기독교 신자?']</ref>
- 한소정(1984) . . . . 1회 일치
| 종교 =
- 한송이 (방송인) . . . . 1회 일치
|종교=
- 한승원 (만화가) . . . . 1회 일치
| 종교 =
- 한용희 . . . . 1회 일치
'''한용희'''(韓龍熙, [[1931년]] ~ [[2014년]] [[12월 5일]])는 [[대한민국]]의 동요 작곡가이다. [[종교]]는 [[천주교]]이며, [[세례명]]은 프란치스코이다.
- 한운사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작가]], [[방송작가]]. [[충청북도]] [[괴산군]] 출생. [[본명]]은 한간남이다. [[종교]]는 [[불교]]다. [[일제 강점기]] 시절을 살았던 사람이니만큼 징집 당해 [[학도병]]이 되었다. [[운전병]]을 거쳤으며 해방될때까지 계속 운전병을 했다. 이때의 경험이 아로운 3부작에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해방 후에는 대학을 다니던 때에 방송 극작가가 되었다. '이 생명 다하도록' 아로운 3부작인 '현해탄은 알고 있다' '현해탄은 말이 없다' '승자와 패자' 등을 썼으며 이 중 현해탄은 알고 있다는 [[김기영(1919)|김기영]] 감독이 영화로 연출하기도 했고 후에 TV [[드라마]]로도 나왔다. [[빨간 마후라]]의 시나리오도 한운사가 썼다. 후엔 자전적 에세이 '구름의 역사''를 썼다.
- 한이서 . . . . 1회 일치
| 종교 =
- 한인수(탤런트) . . . . 1회 일치
|| '''종교''' ||[[개신교]]||
- 한재석(1991) . . . . 1회 일치
|| '''종교''' ||[[개신교]] ||
- 한현준 . . . . 1회 일치
|종교 =
- 한확 . . . . 1회 일치
|종교= 유교([[성리학]])
- 함신영 . . . . 1회 일치
|종교 =
- 함신익 . . . . 1회 일치
|종교 =
- 함영준 . . . . 1회 일치
|종교 =
- 함인섭 . . . . 1회 일치
|종교 = [[개신교]]([[장로교|장로회]])
- 함중아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기독교한국침례회|침례회]])
- 해쉬스완 . . . . 1회 일치
|종교 =
- 해양군 . . . . 1회 일치
| 종교 = [[유교]]([[성리학]])
- 해원군 . . . . 1회 일치
| 종교 = [[유교]]([[성리학]])
- 허건엽 . . . . 1회 일치
[[2014년]] 2군에 2점대 후반이라는 준수한 성적에도 불구하고 1군에 콜업되지 않아 [[안치용(야구선수)|안치용]]처럼 "불교 등의 기독교를 제외한 다른 종교를 믿는 것은 아닌가" 하는 소리가 나왔고, 여기서 나온 별명이 '''[[석가모니|허가모니]]''', '''[[이슬람|허슬람]]'''~~허슬두가 아니다!~~ 이 있다. 다만 2군 기록 기준 30이닝을 던져 삼진(18개)보다 볼넷(22개)가 많은 점이 흠.
- 허남성 . . . . 1회 일치
|종교 =
- 허미영 . . . . 1회 일치
| 종교 =
- 허범욱 . . . . 1회 일치
| 종교 =
- 허안나 . . . . 1회 일치
| 종교 = [[천주교]]([[영세명]] : 안나)<ref>[http://www.cpbc.co.kr/CMS/newspaper/view_body.php?cid=687568&path=201707 복음의 가치에 재미까지 더한 ‘남 신부가 간다’ 시즌 2 가톨릭평화방송 TV 촬영 현장, 사회적 약자와 연대하는 사목 소개]</ref>
- 허위 . . . . 1회 일치
||<#ffd700> 종교 ||[[유교]] ||
- 허윤희 (방송인) . . . . 1회 일치
| 종교 =
- 허준호(배우) . . . . 1회 일치
||<bgcolor=#113759> {{{#white '''종교'''}}} ||[[개신교]]([[감리회]])[* [[http://www.koreatimes.com/article/1203881|기사]]] ||
- 허지애 . . . . 1회 일치
| 종교 =
- 허화평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전 군인, 관료, 정치인이다. 자는 봉우(鳳宇), 호는 우민(佑民)이다. [[종교]]는 [[가톨릭]]으로 [[세례명]]은 필립보.
- 현아 . . . . 1회 일치
|종교 = [[개신교]]
- 현주엽 . . . . 1회 일치
[[1975년]] [[7월 27일]] [[서울특별시|서울]]에서 의류제조업을 하는 아버지 현진구(玄晉具)와 前 국가대표 농구 선수인 어머니 홍성화(洪性華) 사이에서 슬하 3남 중 막내로 출생하였다. 그의 위로는 세 살 위의 두 쌍둥이 형이 있다. 그의 본관은 [[연주 현씨|연주]](延州)이고 [[종교]]는 [[불교]]이며 신장은 195cm이고, 체중은 120kg이다.
- 혜은이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기독교대한감리회|감리교]])<ref>http://m.kmctimes.com/articleView.html?idxno=34243&menu=3</ref>
- 호준석 . . . . 1회 일치
|종교 = [[개신교]]
- 홍가람 . . . . 1회 일치
| 종교 =
- 홍경인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
- 홍광호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 홍국영 . . . . 1회 일치
| 종교 = [[유교]]([[성리학]])
- 홍상수 . . . . 1회 일치
| 종교 =
- 홍서범 . . . . 1회 일치
|종교 =
- 홍석형 . . . . 1회 일치
|종교=
- 홍성유 . . . . 1회 일치
|종교= [[로마 가톨릭교회|천주교]](세례명: 토마스 모어)
- 홍소희 . . . . 1회 일치
|종교 =
- 홍아름 . . . . 1회 일치
| 종교 =
- 홍예서 . . . . 1회 일치
|종교 = [[개신교]] <ref> [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ED%99%8D%EC%98%88%EC%84%9C&sm=tab_etc&ie=utf8&key=PeopleService&os=189202 홍예서-네이버인물정보]</ref>
- 홍예은 . . . . 1회 일치
| 종교 = 기독교
- 홍은철 . . . . 1회 일치
|종교= [[개신교]]
- 홍은희(배우) . . . . 1회 일치
||<#C69770> {{{#FFFFFF '''종교'''}}} ||<(><#FBFAFB> [[개신교]] ||
- 홍이주 . . . . 1회 일치
| 종교 =
- 홍인영 . . . . 1회 일치
||<#FF0000><:> {{{#FFFFFF '''종교''' }}} ||<:> [[천주교]] ||
- 홍인한 . . . . 1회 일치
|종교= 유교([[성리학]])
- 홍정욱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예장통합]])<ref>[http://v.media.daum.net/v/20080411175405385 홍정욱 서울 노원병 당선자 "기독 정치인 갖출 덕목은 사랑"], [[국민일보]]</ref>
- 홍준표 (마술사) . . . . 1회 일치
| 종교 =
- 홍진경 . . . . 1회 일치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천주교]](세례명:비비안나)
- 홍진기 . . . . 1회 일치
| 종교 =
- 확신범 . . . . 1회 일치
도덕적, 종교적, 정치적으로 어떤 '확신'을 가지고 그것을 동기로 삼아서 저지르는 범죄, 혹은 이러한 범죄를 저지르는 범인. 사상범, 정치범, 국사범 등이 있다.
- 황대봉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전 [[기업인]], [[정치인]]이다. [[종교]]는 [[불교]]이다. 호는 영암(嶺岩)이다.
- 황병기 . . . . 1회 일치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천주교]](세례명: 프란치스코)<ref>[http://news.donga.com/3/07/20150323/70280084/1 국악인 황병기·소설가 한말숙 부부, 천주교 세례 받아], 동아일보</ref>
- 황병하 . . . . 1회 일치
|종교 =
- 황보예 . . . . 1회 일치
| 종교 =
- 황상경 . . . . 1회 일치
| 종교 =
- 황석하 . . . . 1회 일치
| 종교 =
- 황선희 . . . . 1회 일치
| 종교 =
- 황승민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전 [[기업인]], [[정치인]]이다. [[종교]]는 [[불교]]이다.
- 황연대 . . . . 1회 일치
|종교=
- 황용식 . . . . 1회 일치
|종교 =
- 황은진 . . . . 1회 일치
| 종교 = [[불교]]
- 황정미 . . . . 1회 일치
| 종교 =
- 황정민(남자배우) . . . . 1회 일치
||<#6495ed> {{{#white '''종교'''}}} ||[[개신교]] ||
- 황제성(코미디언)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2016년 9월 13일 [[비밀독서단]] 39회에서 인류의 기원이라는 책을 소개하면서 본인이 기독교 신자임을 밝혔다.] ||
- 황찬호 . . . . 1회 일치
| 종교 = [[개신교]]
- 황치열 . . . . 1회 일치
| 종교 =
- 황태연 . . . . 1회 일치
|종교 =
- 효령대군 . . . . 1회 일치
|종교 = [[유교]]([[성리학]]) → [[불교]]
- 흥친왕 . . . . 1회 일치
|종교 = [[유교]]([[성리학]])
11531의 페이지중에 686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