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 츠츠모타세 . . . . 4회 일치
츠츠모타세(美人局, 미인국)는 [[일본]]에서 특정한 [[사기]] 범죄를 뜻하는 [[은어]]이다. 미인국(美人局)은 음독을 하면 비진쿄쿠(びじんきょく)가 되지만, 이 단어는 츠츠모타세(つつもたせ)라고 읽게 되어 있다.
[[일본]] [[무로마치 시대]](室町時代)에 나타난 츠츠모타세(筒持たせ)라는 단어에, [[중국]] [[원나라]] 시대에 쓰여진 『무림구사(武林旧事)』에 소개된 「미인국(美人局)」이라는 한자어가 결합되어 「미인국(美人局)」이라고 쓰고 「츠츠모타세」라고 읽는 은어가 만들어졌다. [[에도 시대]] 무렵에는 지금과 같은 뜻으로 쓰이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무로마치 시대의 츠츠모타세(筒持たせ)에서, 츠츠(筒)는 [[통]]이라는 뜻인데, 남성기나 여성기를 뜻하는 은어라는 설도 있으나, 본래는 도박 용어로서 [[주사위]] 도박에 사용되는 통을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츠츠모타세(筒持たせ) 역시 도박 용어로서, "속임수를 숨긴, 세공을 가한 통을 쓴다"는 의미였다고 여겨진다.
[[분류:일본어]] [[분류:은어]] [[분류:사기]]
- DQN . . . . 3회 일치
난폭하고 비상식적인 사람을 뜻하는 [[일본어]] [[인터넷 은어]] .
[[분류:일본어]] [[분류:인터넷 은어]]
- DQN 보복 . . . . 3회 일치
DQN 보복(DQN返し), 도큥가에시(ドキュンがえし)라고 읽는다. 이른바 「[[DQN]]」같은 과격하고 저열한 수단으로 보복을 한다는 의미의 [[일본어]] [[인터넷 은어]].
[[분류:일본어]] [[분류:인터넷 은어]]
- 공기교 . . . . 3회 일치
[[일본]]의 인터넷 은어.
[[분류:일본어]] [[분류:인터넷 은어]]
- 녹색 종이 . . . . 3회 일치
[[2채널]] 가정판의 은어. 읽는 법은 '미도리노카미'.
[[분류:일본어]] [[분류:인터넷 은어]]
- 당질 . . . . 3회 일치
2ch 용어. [[통합실조증]]의 은어. 통합실조증이 줄임말인 '통실'과 일본어 발음이 같다.
[[분류:일본어]] [[분류:인터넷 은어]]
- 오와콘 . . . . 3회 일치
한 때 인기를 끌었으나 불미스러운 일에 휩싸여 인기를 급격히 잃은 컨텐츠를 의미하는 일본의 인터넷 은어다. 정확히는 끝난 콘텐츠(終わったコンテンツ,오왓타콘텐츠)를 줄여 표현한 것이다.
[[분류:일본어]] [[분류:인터넷 은어]]
- NDK . . . . 2회 일치
[[분류:인터넷 은어]]
- weeaboo . . . . 2회 일치
[[분류:인터넷 은어]]
- 건담 동물원 . . . . 2회 일치
[[분류:인터넷 은어]]
- 도부스 . . . . 2회 일치
ドブス. [[일본어]]로 엄청난 [[추녀]]라는 뜻의 은어.
[[분류:일본어]] [[분류:은어]]
- 로미오 메일 . . . . 2회 일치
[[분류:일본어]] [[분류:인터넷 은어]]
- 모메사 . . . . 2회 일치
[[분류:일본어]][[분류:인터넷 은어]]
- 모죠 . . . . 2회 일치
[[분류:일본어]] [[분류:인터넷 은어]]
- 밈 . . . . 2회 일치
[[분류:인터넷 은어]]
- 바캇타 . . . . 2회 일치
[[분류:일본어]] [[분류:인터넷 은어]]
- 분류:야민정음 . . . . 2회 일치
[[분류:인터넷 은어]]
- 사쿠라 . . . . 2회 일치
본래 노점상의 은어였으며, 메이지 시대 이후 일반 사회에 퍼졌다. 한자로는 위객(偽客)이라고 쓰기도 했다.
* 에도 시대에 연극 오두막에서 배우에게 말을 거는 구경꾼 역할을 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이런 사람들이 화려하게 분위기를 돋구고 확 사라지기 때문에, 확 피고 사라지는 벚꽃의 성질에서 따와서 사쿠라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것이 노점상의 은어를 거쳐서 일반적으로 퍼졌다는 설이 유력하다.
- 스네이크 . . . . 2회 일치
[[분류:인터넷 은어]] [[분류:일본어]]
- 아게만 . . . . 2회 일치
[[일본]] 연예계에서 사용하는 [[은어]]로, '사귀는 [[남자]]의 운을 올려주는(혹은 출세를 돕는) 여자'라는 뜻. 반대로 남자의 운을 깎아먹는다고 생각되는 여자는 '사게만'(さげまん)이라고 한다.
[[분류:일본어]][[분류:은어]]
- 애니프사 . . . . 2회 일치
[[분류:트위터]] [[분류:인터넷 은어]]
- 양키 . . . . 2회 일치
[[미국인]]의 속칭, [[일본]]에서 양키(ヤンキー)라고 하면 불량청소년을 뜻하는 은어로 쓰인다.
일본에도 불량소년 소녀를 가리키는 은어는 많이 있지만 양키는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 전반에서 나타난 말이다.
- 염상 . . . . 2회 일치
[[분류:인터넷 은어]]
- 오늘만 산다 . . . . 2회 일치
[[분류:관용어]] [[분류:인터넷 은어]]
- 오타쿠 서클의 공주 . . . . 2회 일치
[[분류:일본어]] [[분류:인터넷 은어]]
- 유사국가 . . . . 2회 일치
[[분류:인터넷 은어]]
- 코나시 . . . . 2회 일치
[[분류:일본어]] [[분류:동음이의어]] [[분류:인터넷 은어]]
- 타오팡파 . . . . 2회 일치
[[분류:인터넷 은어]]
- 행복회로 . . . . 2회 일치
[[분류:인터넷 은어]][[분류:실장석]]
- 혼모노 . . . . 2회 일치
일본어로 진짜라는 뜻의 말, 2016년 들어서 인터넷 은어로 진짜 오타쿠라는 의미로 쓰이기 시작했다.
* 인터넷 은어에서 '진짜 [[오타쿠]]'라는 의미. 주로 공공장소에서 자신이 오타쿠라는 것을 강렬한 표현력으로 드러내는 사람을 뜻한다. 『진짜』라고 강조해서 쓰기도 한다.
- 가치제이 . . . . 1회 일치
[[분류:인터넷 속어]]
- 게스퍼 . . . . 1회 일치
마음 씀씀이가 천박하거나, 음란한 것 혹은 그런 사람을 뜻하는 게스(下種/下衆/下司)라는 말과 에스퍼(エスパー)를 조합한 은어.
- 곤조야키 . . . . 1회 일치
[[일본]]의 불량배 은어. 우리말로는 [[담배빵]]에 해당. 불 붙은 담배를 손목, 손등 같은 피부에 꽉 눌러서 화상 흉터를 만드는 행위, 혹은 그렇게 생긴 화상 자국. 직접 가져다 대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피부 가까이에 가져다 대는 것도 포함한다. 우연히 담배불에
- 뇌피셜 . . . . 1회 일치
[[분류:인터넷 속어]]
- 마더콘 . . . . 1회 일치
1992년 TBS에서 방송한 드라마 『계속 당신을 좋아했다(ずっとあなたが好きだった)』의 등장인물 카츠라다 후유히코(桂田 冬彦, 연기자는 사노 시로우佐野史郎)가 세간이 기피하는 스테레오 타입의 마더콘 남자를 묘사했다. 이 드라마 때문에 21세기 까지 "후유히코 씨"라는 은어가 마더콘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게 된다.
- 머라이온 . . . . 1회 일치
* 머라이온 석상은 입에서 물을 쏟아내고 있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토하는 것을 가리키는 은어로 쓰인다.
- 뱌체슬라브 몰로토프 . . . . 1회 일치
[[화염병]]을 뜻하는 은어 [[몰로토프 칵테일]]은, [[소련]]과 [[핀란드]] 사이에서 벌어진 [[겨울전쟁]]에서 몰로토프가 소련군이 [[폭격]]을 퍼붓고 있음에도, "우리 군은 핀란드 인민에게 빵을 공수하고 있다."는 [[망언]]을 한 데서 비롯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이 발언에 빡친 핀란드 측에서 "빵을 받았으니 칵테일로 돌려주마!"라면서 화염병에 이름을 붙인 것이 어원이라고 한다.[http://chemistry.about.com/od/firecombustionchemistry/a/molotovcocktail.htm 참조출처]
- 분류:인터넷 은어 . . . . 1회 일치
[[분류:은어]]
- 블랙기업 . . . . 1회 일치
용어의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원래는 [[야쿠자]]들이 사회에 진출하기 위해 만든 세탁기업들을 가리키는 은어였다. 일본에서 폭력단 대책법이 1992년 제정된 이후 경찰들이 야쿠자를 잡아들이기가 쉬워지자 야쿠자들이 명목상으로는 "나 야쿠자 아니요"라고 하기 위해 야쿠자들이 차린 회사들이 우후죽순 생겨났다.[* 기존의 야쿠자 조직은 '기업' 형태가 아니라 일종의 '결사'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다나카 요시키]]가 지은 [[야쿠시지 료코의 괴기사건부]]에 등장하는 가상의 기업 '케이텐 흥업'같은 경우가 이에 해당되는 케이스. 이를 '프런트 기업'이라고도 부른다.
- 야리만 . . . . 1회 일치
불특정 다수의 남성과 적극적으로 성행위를 가지는 여성을 뜻하는 은어. 야리만녀(ヤリマン女)라고도 한다.
- 이케멘 . . . . 1회 일치
이케멘은 "잘나간다(이케테루)+ 얼굴(멘面, メン)"을 합쳐서 나타났다는 설이 있으며, 본래는 게이들 사이의 은어였다는 설이 있다.
- 이하영(강사) . . . . 1회 일치
[[분류:교사]][[분류:인터넷 강사]][[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 카미마치 . . . . 1회 일치
2010년대 일본에서 나타난 은어. 카미는 신, 마치는 기다린다는 뜻인데. 카미마치란 '신을 기다린다.'는 뜻이 된다.
- 카스미가세키 . . . . 1회 일치
일본 외무성을 비롯한 많은 관청이 있다. 외무성을 뜻하는 속칭으로도 쓰인다. 한국으로 치면 "남산"이 [[국정원]]을 뜻하는 것처럼 지명이 특정 기구를 가리키는 은어가 세간에 자리잡은 사례로 볼 수 있다.
- 캬바쿠라 . . . . 1회 일치
캬바쿠라에서는 법률적으로 가개 내에서 손님과 아가씨의 접촉은 금지되며 원칙적으로 접촉은 하지 않는다. 하지만 동반(同伴)이라는 은어로 불리는 점외 데이트 서비스를 실시하기도 한다.
- 헤타레 . . . . 1회 일치
은어로서 쇼와 시대에서 부터 쓰였으며, 간사이 지방에서는 이전부터 일반적으로 쓰였다. 헤이세이 시대 이래로는 TV방송에서 쓰이게 되면서 젊은이들을 시작으로 전국의 일반인들에게 퍼졌다.
- 흑역사 . . . . 1회 일치
[[분류:인터넷 속어]]
11531의 페이지중에 47개가 발견되었습니다 (339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