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경 세계 공유 . . . . 14회 일치
다양한 창작물이 하나의 세계를 배경으로 공유하는 방식. 어느 한쪽에서 일어난 일이 다른 쪽에 영향을 주는 식의 묘사를 볼 수 있다. [[마블 코믹스]], [[DC 코믹스]] 등의 미국 만화가 대표적이며 영상화는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가 대표적이다. 이러한 스타일은 상당한 역사을 지니고 있으며 영상화쪽도 MCU 이전부터 존재해왔다.
마블 코믹스 기반 영화 세계. 배경 세계 공유 영화 시리즈 중에서도 가장 큰 인지도를 지녔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DC 코믹스 기반 드라마 세계. 드라마 <애로우>가 첫번재 드라마이며 이후 배경 세계가 확장되었다.
* 클로버필드 관련 배경 공유 작품들[* <클로버필드 유니버스>라고도 하나 이는 정식명칭이 아니다.]
괴수영화 [[클로버필드]]가 대표적. 현재까지 나온 관련 작품들의 성격이 많이 다르나 배경 세계를 공유를 증명하는 요소가 있다.
영화 <[[언브레이커블]]>과 배경 세계를 공유하는 영화 세계가 진행되고 있다. <[[23 아이덴티티]]>가 그런 경우이며 이후 나올 <[[글래스]]>도 포함된다.
영화 <[[존 윅 시리즈]]>의 배경 세계 공유 시리즈가 나온다 한다.
몬스터버스의 고질라 판권의 출처인 도호에서도 배경 세계 공유 괴수 영화를 만든다고 한다.
영화 디스트릭트 9과 배경 세계 공유를 구상 중이라 한다.
공포영화 배경 세계 공유 시리즈.
<[[성방무협 아웃로스타]](星方武侠アウトロースター)>는 <[[성방천사 엔젤링크스]](星方天使エンジェルリンクス)>와 배경 세계를 공유하고 있으며 이를 <Toward Star Worlds>라고 한다. 이 세계는 아웃로스타의 원작자인 이토 타케히코(伊東岳彦)의 출세작 <[[우주 영웅 이야기]](宇宙英雄物語)>와도 연관성이 있다.
아시아라이 저택의 주민들, 대부활제, 이로하소시 등. 이외에도 '미나기 토쿠이치'(みなぎ得一)의 만화들은 배경 세계를 공유하고 있다.
'산드로비치 야마코'(サンドロビッチ ヤバ子)의 만화들인 <구도의 권(求道の拳)>, '다로메온'(だろめおん) 작화인 <켄간 아슈라(ケンガンアシュラ)>와 속편인 <켄간 오메가(ケンガンオメガ)>, 'MAAM' 작화인 <덤벨 몇 킬로까지 들 수 있어?(ダンベル何キロ持てる?)>는 배경 세계를 공유하고 있다. 그래서 특정 타이틀에 등장한 캐릭터들이 다른 타이틀에 등장하기도 한다.
- 정인숙 (1945년) . . . . 7회 일치
==== 출생과 가계 배경 ====
==== 출국 배경 ====
그녀의 출국 배경에 대해 일각에서는 정인숙이 자신의 아들을 자꾸 박정희의 소생인 것처럼 행세하고 다녔기 때문이라고 말했다.<ref>이정식, <정인숙 사건> 《권력과 여인》 (돋움, 2000) 273-274페이지</ref> 3대 [[대한민국의 국가정보원장|중앙정보부장]]을 지낸 [[김재춘]]에 의하면 정인숙의 아이는 박정희의 아들이 아니라고 한다.<ref name="hp104"/>
정성일은 정인숙의 사망 이후 외가에서 살다가 고등학생 때인 [[1985년]] 미국으로 건너갔다 [[1990년]]에 귀국했다.<ref name="hp107">김환표 외, 《스캔들에 갇힌 영혼들:시사인물사전 16》 (인물과사상사, 2002) 107페이지</ref> 정인숙을 죽이고 희생양으로 오빠 정종욱을 내세워 이 사건의 수사를 졸속으로 처리하게 한 배경, 배후는 오리무중이다.
[[정성일]]은 자신의 자서전에서 ‘정 전 총리와 만나지는 못했지만 문을 사이에 두고 서로 눈물의 부자상봉을 했으며, 외삼촌 등의 만류로 친아버지의 입장을 생각해 소 취하를 스스로 했다’고 밝혔을 뿐 금전적 요구나 지원 등에 대해서는 일절 언급이 없었다.<ref name="ilyo01"/> [[정종욱]]은 소송 취하 배경에 대해“조카 정씨가 아버지의 존재를 확인했다”며 “그를 살려야 가족이 살 수 있다는 생각으로 소송을 취하했다”고 말한 바 있다.<ref name="ilsa01"/> 소송 취하 배경에 대해 [[2007년]] [[4월]]의 교포사회 한 언론은 보도에서 “정 씨와 사귀던 한 여인이 ‘정 씨가 91년 친자확인소송 취하로 80만 달러를 생부에게 받았다는 것만 들었다’고 전화인터뷰에서 밝혔다”는 진술을 인용해 보도했다.<ref name="ilsa01"/>
19년 만에 출소한 [[정종욱]]은 [[정일권]]을 찾아가 만나겠다고 했으나, [[정일권]]의 면담 거부로 문앞에서 나왔다. 그 뒤에도 정종욱은 여러 번 [[정일권]]을 만나자고 했으나 직접 만나지는 못하고 [[정일권]]의 비서로부터 3,500만원을 생활비조로 받아냈다. 이후 [[정일권]]의 비서로부터 몇번의 생활비를 얻어냈다. 그러나 정성일이 자신의 친자라는 것은 끝까지 인정하지 않았다. 아들 정성일은 미국에서 귀국, 국내로 들어와 [[정일권]]을 만나려 했으나 정일권이 계속 만나주지 않자 친자확인소송을 벌였는데, 돌연 소송을 취하하였다. 소송 취하의 배경을 놓고 의혹이 제기되었으나 확실한 것은 없다.
- 콜 오브 듀티 시리즈 . . . . 6회 일치
[[액티비전]]에서 발매하는 [[FPS]] [[게임]] 시리즈. 원래 [[제2차 세계대전]] 배경의 FPS로 시작했다가 현대전을 다룬 [[콜 오브 듀티 4: 모던 워페어]]가 성공하며 배경 시간대가 미래로 가고있다. 결국 [[콜 오브 듀티: 인피니트 워페어]]에서는 [[우주]] 진출.
인피니티워드 제작. 현대전을 배경으로 한 작품.
트레이아크 제작. 콜 오브 듀티 시리즈 최후의 2차대전 배경작. [[태평양 전쟁]]과 [[독소전쟁]]을 배경으로 하고있다.
인피니티워드 제작. 우주를 배경으로 한 작품.
- 그랜드 테프트 오토 시리즈 . . . . 5회 일치
1997년 발매. 현재 나오는 GTA와 달리 탑뷰 형식이다. 마이애미를 배경으로 한 바이스 시티, 뉴욕을 모티브로 한 리버티 시티, LA를 모티브로 한 산 안드레아스를 배경으로 한다.
1999년 발매. 제목 그대로 [[런던]]을 배경으로 한다. 지금까지 나온 GTA 시리즈 중 유일하게 미국 배경이 아닌 작품.
2003년 발매. 1980년대를 배경으로 마피아 단원인 토미 버세티가 바이스 시티로 마약 거래를 하러 갔다가 함정에서 몸만 빠져나온 후 겪는 일을 다루고 있다.
- 김취경전 . . . . 5회 일치
[[조선시대]]의 군담소설, [[계모]]형 가정소설. 특이한 점은 대부분의 군담소설이 [[중국]]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데, 매우 드물게 [[삼국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고구려와 백제가 등장하고 단군이 나타나는 등 민족문화적 요소가 있다.--그리고 이때부터 고구려는 선역, 백제는 악역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분류:조선시대 소설]][[분류:삼국시대 배경 창작물]]
- DC 확장 유니버스 . . . . 4회 일치
[[애로우버스]]라 불리는 드라마 유니버스와는 '''연계되지 않으며''' 또 다른 드라마인 [[파워리스]]도 배경 세계가 연동되지 않는다고 한다. 그리고 슈퍼맨이 지구에 오기 이전 시기의 크립톤 행성이 배경이라는 드라마 크립톤도 배경 세계가 공유되는지 확실하지 않다.
* [[배경 세계 공유]]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 . . . . 4회 일치
특정한 전쟁, 전역을 배경으로 한 시나리오. 배경이 될 지역 외의 프로빈스는 잠겨 있으며, 전투를 제외한 모든 기능들이 잠겨있다.
[[러일전쟁]]을 배경으로 한 시나리오.1904년 2월 7일 시작해 1905년 9월 2월까지 진행된다. 플레이 가능 국가는 러시아와 일본.
[[폴란드 침공]]을 배경으로 한 시나리오. 1939년 9월 1일 시작해 1939년 10월 30일 끝난다. 플레이 가능 국가는 독일, 소련, 슬로바키아 VS 폴란드 구도. 게임이 끝날 시 폴란드의 승리 점수가 1이라도 남아 있으면 폴란드가 승리하지만, 하나도 남지 않았을 경우에는 나머지 국가들이 승리한다.
- 하이큐!! . . . . 4회 일치
작중 배경은 작가의 전작 [[궤변학파 요츠야 선배의 괴담]]처럼 [[미야기]]현이다. 미야기는 우리나라로 치면 [[강원도]] 정도 되는 곳인데, 그 중에서도 [[카라스노 고교]]가 있는 곳은 시골이다. ~~괜히 얘네들이 패스트푸드점 대신 [[만두]]를 사먹으러 가는 게 아니다~~ 카라스노 학생들이 촌사람이라는 걸 반영한 연출인지, 도쿄에 간 [[카라스노 고교]] 부원들이 눈에 보이는 철탑 마다 [[도쿄 타워]]냐고 묻거나, [[타나카 류노스케]]는 [[관동]]의 학교들을 가리켜 '시티보이 연합'(...)이라 부르거나 한다.
[[카라스노 고교]]의 모델은 이와테현 구노헤 군 가루마이마치의 현립 가루마이 고교이다. 실제로 까마득한 산골로, 하이큐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관광 코스를 소개하고 있다. [http://blogs.yahoo.co.jp/yosicosmic 블로그(일본어)] 작품의 배경은 미야기현이면서 카라스노 고교의 배경은 이와테현이 된 셈인데, 이는 작가가 미야기 출신이지만 이와테현에서 청소년기를 보내서 그런 것으로 보인다.
* 작가인 후루다테 하루이치의 성별이 불분명하다. 심지어는 후루다테 작가가 졸업한 도쿄 디자인 전문학교에 졸업 후 찾아왔었다는 포스팅이 어떤 블로그에 올라왔는데, 댓글에서 어떤 팬이 후루다테 하루이치의 성별을 묻자 '작가님이 직접 공개하지 않으신 사생활은 공개할 수 없습니다' 라고 철통방어(...)를 하기도 했다. 종합 1000만 부 이상 팔린 만화책의 작가임에도 불구하고 오프라인으로도, 온라인으로도, 심지어는 인터뷰조차도 그의 활동은 적어 필명이 본명인지, 나이가 얼마인지, 성별이 무엇인지조차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작품들이 [이와테]현 및 [미야기]현을 작중 배경으로 하고 있고 작가 본인도 인터뷰에서 그렇게 밝혔으므로 출신지가 그 쪽인 것은 분명하다. 작가가 여자라고 주장하는 측에서는 팀메이트 간의 감정 묘사, 이름 및 생일의 의미와 관련성까지도 계산한 ~~설정덕후의~~ 섬세함, 특유의 동글동글한 그림체를 근거로 내세워 여자 작가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반면 작가가 남자라고 주장하는 측에서는 '[wiki:"니시노야 유" 니시노야]와 [wiki:"타나카 류노스케" 타나카]의 [wiki:"시미즈 키요코" 시미즈] 빠질을 저렇게 완벽하게(...)그려내는 것은 남자밖에 하지 못한다.', '[쿠로코의 농구]도 남자 작가임에도 불구하고 섬세한 감정선을 잘 그려내고 있다' 등을 근거로 남자일 가능성도 적지 않다고 점치고 있다.
- 다크 유니버스 . . . . 3회 일치
[[유니버설 픽처스]]의 [[셰어드 유니버스|배경 세계 공유]] 영화 시리즈. [[드라큘라]], [[늑대인간]], [[미이라]], [[프랑켄슈타인]], [[프랑켄슈타인의 신부]], [[투명인간]], [[길맨]] 등 유니버설 스튜디오의 클래식 [[몬스터]] 캐릭터들이 등장하는 고전 [[괴물]]판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다.
* [[배경 세계 공유]]
* 사실 유니버설의 고전 괴물 콜라보는 이 다크 유니버스가 처음이 아니다. 1943년에 프랑켄슈타인의 괴물과 늑대인간이 등장하는 <Frankenstein Meets the Wolf Man>이 나왔으며 휴 잭맨 주연 영화 <반 헬싱>은 흡혈귀에 늑대인간, 프랑켄슈타인의 괴물이 한 스크린에 등장한다. 다만 배경 세계 연계는 아니었다.
- 릴가민 . . . . 3회 일치
## 창작물에서
1편과 4편의 배경도 릴가민 왕국으로 보는 리뷰가 많지만, 사실 1편과 4편은 명확하게 '릴가민'이라고 언급된 바가 없다. 오히려 1편과 4편의 배경 스토리는 릴가민 왕국의 역사와는 동떨어진 요소가 많다. 하지만 릴가민이라고 언급하는 자료도 가끔 있어서 어느 쪽인지 알 수 없는 상태. 어느 쪽이던 명확한 것은 없어서, 한데 묶는 '1도설'과 별도의 나라라는 '2도설'로 나누어지고 있다.
- 마니교 . . . . 3회 일치
마니는 사푸르 1세로부터 제국 내에서 포교 허가를 얻게 된다. 마니교 문헌에서는 사푸르 1세로부터 3번에 걸친 초빙을 받고, 황제는 마니의 [[후광]]에 압도되어 존경하게 되었다고 하거나, 병든 딸이 있고 마니가 의술로 완쾌시켰다는 이야기도 실려 있다. 다만 시대배경으로 보면 사푸르 1세는 이 무렵 여러 종교가 번창하던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통치하기 위하여 종교 관용 정책을 펼쳤던 것으로 보이며, 니시비스의 유대교 공동체의 지도자 사무엘을 불러들여 알현을 허락했다는 일화도 있는 것으로 보아 마니는 단순히 포교 허가를 얻었을 뿐. 특권적인 지위를 얻은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애초에 사푸르 1세는 조로아스터 교에 대한 신심이 깊었던 것으로 보이고.
마니의 처형에는 여러가지 배경이 있는데, 일단 사산 왕조 페르시아가 조로아스터교를 국교로 하고 있었던 것이 가장 크다. 본래 사산 가문 부터가 조로아스터교의 신관 출신이며, 사산 왕조의 황제는 조로아스터교의 신관으로 일하고 즉위 후에도 신관을 겸임하고 있었다. 조로아스터교의 신관들 역시 사산 왕조에서 관료로 봉직하였다. 사산 왕조가 곧 조로아스터교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이 같은 이념에서는 사푸르 1세 같은 관용 정책이 오히려 특수한 사례였던 것이다. 사산 왕조는 조로아스터교 이외의 종교를 탄압한 사례가 상당히 많았다.
## 창작물에서
- 맥스 페인 2: 맥스페인의 몰락/줄거리 . . . . 3회 일치
놀이공원 출입구 너머에는 60년대 미국 도시의 모양을 한 드라마의 배경 "느와르 욕"이 재현되어 있었다. 그곳은 음산한 음악. 여성의 시체 모형, 건물 안에서 방문자들을 감시하는 모형 등이 섬뜩한 분위기를 내고 있었다. 맥스가 길 끝에 놓여진 철장 안에 들어가자 의사 차림을 한 모형들이 나타나며 철장이 밑으로 내려가기 시작했다.
철장 밖은 괴기하게 변형된 느와르 욕의 모습이 있었다. 맥스는 여러 무대장치들을 지나며 배경 뒤의 작업용 공간으로 들어간다. 모나는 그곳에 있는 작은 방에서 숨어 살고 있었다. 하지만 방문이 잠겨 있었기에, 맥스는 창문을 통해 들어간다.
배경이 경찰서 사무실로 전환된다. 브라부라는 수술대에 누워 사건을 해결하라고 말하고는 의식을 잃는다. 의료진들은 브라부라를 살리려고 노력했지만, 결국 브라부라는 죽고만다.
- 모던 워페어 시리즈 . . . . 3회 일치
제2차 세계 대전을 배경으로 한 과거의 콜옵과는 달리 근미래[* 당시 기준에서] 전투를 배경으로 한 콜옵. 2010년대를 배경으로 러시아 극우파의 음모를 저지하기 위한 영미권 특수부대들의 활약을 다루고 있다.
- 서현진 (방송인) . . . . 3회 일치
| 배경색 = #FF9999
| 배경색 = #FF9999
| 배경색 = #87CEEB
- 스트레인지리얼 . . . . 3회 일치
Strangereal. [[에이스 컴뱃 시리즈]]의 배경이 되는 가상 세계의 명칭.정식 명칭인지는 불분명하다. 작중에서는 그냥 지구라고 부르는 듯 하다. [[에이스 컴뱃: 어설트 호라이즌]] 같은 일부 예외를 빼고는 해당 세계가 배경이 된다.
전쟁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현대 전투기가 날아다니는 배경으로 7~8개의 작품을 쑤셔넣은 결과. 이게 쪼그만한 전쟁이라면 그럴 수도 있겠는데 한 전투마다 전투기 수십여대가 격추되는 수준의 전쟁이라.......
- 악당 . . . . 3회 일치
나쁜 짓을 하는 사람. 창작물로 가면 영어단어에서 보듯이 빌런이 되며, 그 중에서도 도가 지나친 부류를 초악당(슈퍼빌런)이라고 한다. 반대로 악당 짓거리도 최후도 못났을 경우 소악당이라고 한다.
현실에서는 '악당'보다 훨씬 심한 표현들이 있고 현재도 만들어지고 있으며 앞으로도 생겨날(…) 것이기에 잘 쓰이지 않고, 창작물 쪽에서 주로 '''악역'''이라는 표현으로 사용된다.
아름다운 외모만으로도 존재감이 빛나는 유형. 긍정적으로든 부정적으로든 첫인상이 중요한 것은 창작물에서도 예외가 아니기에, 대개 미형 악역인 경우는 작품 내외적으로 인기나 옹호가 많다. 특히 성격까지 매력적이면 (다른 의미로) 답이 없다. ~~여기에 성우 더빙까지 된다면...~~ ~~그만해~~ 물론 악당으로서의 행적이 인간말종스러우면 그 외모가 소용이 없다는 평가를 받고, 그 외모가 사라질 정도의 최후를 맞이하는 편.
- 역행 . . . . 3회 일치
창작물 장르에서는 과거의 자신으로 돌아가서 인생을 다시 시작하는 판타지, SF 작품을 가리키는 말로도 쓰인다. '회귀'라고도 부른다.
게임 산업의 발전과 함께, '게임을 보고 다시 플레이'하는 이미지가 창작물에서 나타난 형태이다. [[2차 창작]]에서 흔히 쓰이며, 판타지나 SF장르에서도 나타나게 된다.
## 창작물에서
- 완벽한 공산주의 . . . . 3회 일치
"공산주의(1) 망했잖아 그거."에서 공산주의(1)은 당연히 현실의 공산주의를 내세운 소련과 그 위성국들을 뜻한다. 왜냐하면, '망했다'는 발언 자체가 '현실의 체제'가 아니면 사용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공산주의(2)는 어디까지나 '마르크스의 창작물'에 불과하다.
여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공산주의(1)만이 아니라 공산주의(2)까지 "망했잖아"라고 표현하려면 대신에 이런 말을 써야 한다. '''"공산주의는 오와콘"'''. 공산주의(2)는 어디까지나 창작물이므로 '[[오와콘]]'은 될 수 있다. 공산주의(2)가 오와콘인가, 그렇지 않은가에 대해서는 합리적인 논쟁이 가능하다.
사실상 현실에서 사례가 존재하지 않고, SF장르에나 나올 법한 개념에 가깝다. 일부 SF장르에서 제시되기는 했다. 원래부터 창작컨텐츠이므로, 창작물에서 쓰이는 것이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 육미당기 . . . . 3회 일치
[[분류:조선시대 소설]][[분류:삼국시대 배경 창작물]]
- 정형돈 . . . . 3회 일치
| 배경색 = #eeeeee
| 배경색 = #eeeeee
| 배경색 = #eeeeee
- 창작:좀비도시 . . . . 3회 일치
== 배경 ==
좀비도시 발생의 배경은 이하와 같다.
## 창작물에서
- 후예 . . . . 3회 일치
== 창작물 ==
* 창작물에서는 등장인물을 특정 역사상 인물의 후손으로 설정하기도 한다.
* 대개 창작물의 후손은 선조와 닮았다고 묘사된다. 자신이 조상과 닮았는지는 스스로에게 물어보자.
- 2016 K리그 다득점 우선적용 논란 . . . . 2회 일치
== 배경 ==
K리그가 성립할 수 있었던 배경은 전두환 시절의 3S정책과 맞닿아 있던 것은 결코 부인할 수 없으나, 박정희 시절부터 내려온 스포츠 지원정책의 기치는 '''"(저 북괴놈들에게 절대 꿇리지 않는) 국제적인 스포츠 업적을 거두어 세계만방에 걸친 명성을 쌓아 올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국제 스포츠계에서 업적을 쌓는다는 명분이 대한축구협회 시절에 세운 기치이며 이는 한국프로축구연맹이 설립된 지금도 그 흔적이 남아 있다.[* 한국프로축구협회 정관: 제1조 목적, 이 법인은 한국프로축구의 수준향상과 저변확대는 물론 국제교류 등 축구를 통해 국민의 건 전한 여가 선용을 도모하고, 스포츠 활성화와 지역사회를 비롯한 '''국가 발전 및 국제친선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 Crusader Kings 2/특성 . . . . 2회 일치
부모가 이 특성을 가지고 있다면 일정 확률로 유전된다. 좋은 특성은 녹색 배경을, 나쁜 특성은 보라색 배경을 가지고 있다.
- Project:Union . . . . 2회 일치
Project Union은 2200년도의 먼 미래의 우주를 배경으로 하는스페이스 오페라 설정입니다 . 참여는 자유 마음것 작성해주시길☆
== 배경 ==
- That 70's show . . . . 2회 일치
[[미국]]의 [[시트콤]]. 1998년에서 2006년 까지 방송했다. 미국 FOX 채널에서 방송되었으며, 한국에서는 요절복통 70쇼 등으로 케이블 TV 등에서 방송됐다. 1970년대, [[위스콘신]] 주의 포인트 플레이스라는 작은 마을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 배경 ==
- 경관 . . . . 2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창작물에서
- 기동전사 건담 . . . . 2회 일치
=== 배경 ===
* 1년 전쟁 : 우주세기 0079년에서 0080년 사이에 벌어진 지구연방과 지온 공국의 전쟁. 해당 작품의 배경으로, 초반에 지온 공국이 압도적인 승리를 거둬 지구권의 상당 부분을 점유하기도 했으나 지구연방의 반격과 공국의 내분으로 인해 결국 지구연방이 전세를 역전시켜 최종 방어선인 아바오 아 쿠 요새 함락 후 종전 협정을 체결해 끝난다.
- 김재규 . . . . 2회 일치
시인 [[정호승]]은 1992년에 김재규 사형 전후를 배경으로 한 세 권짜리 장편소설 <서울에는 바다가 없다>를 냈다.
[[박근형]]이 극강의 김재규 포스를 보여주었다. 역대 최강의 포스를 자랑하는 김재규로 차지철을 쏠 때에 '''"이 새끼 너 건방져!"'''는 가히 명대사로서 차지철과의 말싸움과 그 싸움이 끝나고는 "이 [[개새끼]]!"라고 뇌까린 적도 있다. 10.26 사건을 일으키기 전 총을 겨누며 [[일본어]]로 '고로시마스(죽여버리겠습니다)'라고 중얼거릴 때의 포스는 압도적이다. 10.26 사건을 다룬 영상 매체에서 김재규가 '고로시마스'라고 중얼거리는 장면은 거의 빠지지 않고 나온다. 그 장면에선 아이러니하게 박정희의 사진이 배경으로 보이면서 총을 겨누니 가히 긴장감을 일으키게 만드는 명장면.[* 그런데 이것은 영화 택시 드라이버 표절 냄새가 나긴 한다.] 박정희를 저격한 후 체포되어 사형선고를 받고 더 이상 언급이 없다가 [[5.18 민주화운동]] 이후 4공을 본격적으로 다루면서 차지철과 말싸움을 주고받으면서 [[개그 캐릭터]]화가 될 뻔 하였으나 배우의 포스로 그나마 무게를 잡았다.
- 깨끗한 독일국방군 신화 . . . . 2회 일치
== 배경 ==
## 창작물에서
- 단기선교 . . . . 2회 일치
[[대한민국]] 교회의 단기해외선교 활동은 1989년 이후 해외여행이 자유화 되면서 나타나기 시작한다. 다만 1990년대 중반까지 단기선교는 일반 참가자가 아닌 해외 선교사 육성을 위하여 선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일환으로서 하는 경우가 많았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로, 대형교회를 중심으로 하여 체험여행에 가까운 형식으로 일반인을 모집하여 단기선교를 하는 프로그램이 많이 나타나게 되었는데, 이는 일종의 이벤트 사업으로서 대형교회의 재정적 이유가 배경이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 창작물에서
- 대군 . . . . 2회 일치
창작물에서는 대군을 이끌고 가면 패배하는 [[클리셰]]가 있다.(…) 사실 대군으로 소수의 적을 이기는 것보다, 소수의 아군이 대군을 물리치는 것이 더 극적이기 때문에 이런 묘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물론 현실에서는 기본적으로 대군을 이루는 쪽이 승리할 가능성이 훨씬 높지만, 숫자가 많은 쪽이 무조건 이기는건 재미 없으니까 창작물에서는 묘사가 적다. ~~[[도즐 자비|싸움은 숫자라고!!]]~~
- 던전스 & 드래곤스: 섀도우 오버 미스타라 . . . . 2회 일치
유명 TRPG D&D의 세계관을 배경으로 한 [[전설은 아니고 레전드급]] [[벨트스크롤 게임|벨트스크롤 아케이드 게임]]. 개발사는 [[캡콤]]으로 1996년작.
D&D 클래식 룰과 미스타라 지역을 배경으로 하여 횡스크롤 게임으로 만들었던 전작 [[던전스 & 드래곤스: 타워 오브 둠]]의 후속작이다. 전작에 비해 확실하게 나아진 밸런스와 늘어난 직업군, 마법, 특수 스킬을 구현함으로써 인기를 얻었던 게임이다.
- 듄 2 . . . . 2회 일치
Dune II: The Building Of A Dynasty. [[웨스트우드]]에서 개발한 실시간 전략 [[게임]]. SF소설 [[듄 시리즈]]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아트레이트, 오르도스, 하코넨의 3가문 가운데 1곳을 선택하여 미션을 플레이하여 듄 행성을 정복하는 전개를 가지고 있다.
제목이 하필 "듄 '''2'''"인 이유는 당시 [[듄 시리즈]]를 배경으로 한 어드벤쳐 게임 "듄"이 나와 있었기 때문이다. 유통사도 버진 게임스로 같았다.
- 레드 오케스트라 2: 스탈린그라드의 영웅들 . . . . 2회 일치
Red Orchestra: Heroes of Stalingrad.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스탈린그라드 전투]]를 배경으로 한 FPS 게임. [[킬링 플로어]]를 제작했던 게임 제작사 [[트립와이어 인터랙티브]]가 제작 및 유통했다.
스탠드 얼론 확장팩으로 [[태평양 전쟁]]을 배경으로 한 [[라이징 스톰]]이 있다.
- 로힝야 . . . . 2회 일치
미얀마 정부는 이들이 영국 통치 이후 미얀마에 이주하게 된 방글라데시 인으로 보고 있으며, 이들을 방글라데시 불법이민자로 규정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미얀마 정부는 '벵갈리'라는 명칭을 쓰고 있다. 미얀마 정부가 로힝야를 차별하는 배경에는 [[종교]]가 있는데, 미얀마 [[불교]] 신도들의 '반 이슬람' 감정이 강하기 때문이다.
## 창작물에서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 . . . 2회 일치
[[마블 스튜디오]]의 [[영화]] 프랜차이즈. [[아이언맨]], [[캡틴 아메리카]] 등 [[마블 코믹스]]의 캐릭터들이 등장하며 영화만이 아니라 영화 기반 [[만화]], [[드라마]]를 포함하는 배경 세계 공유 프랜차이즈다. 케빈 파이기가 총지휘를 맡고 있다. 줄여서 MCU라 부르기도 한다.
특성상 영화와 드라마에 단편 영상까지 많든, 적든, 크든, 작든 연결점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한 영화에서 사건이 터지면 다른 영화나 드라마 등에서 이것이 언급되거나 한다. 미국 만화 스타일이 떠오르게 하며 이것이 영상화된 것이다. 일단 이러한 [[배경 세계 공유]] 스타일이 MCU가 최초는 아니나 현 시점에서 가장 큰 인지도와 신용도를 지니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 메타 발언 . . . . 2회 일치
창작물의 등장인물이, 스스로가 창작물의 등장인물이라는 것을 의식하여, 자기 자신에 대하여 언급하는 말이다. 예를 들어서 등장인물이 제4의 벽을 깨고 독자나 시청자에게 직접 말을 건내거나, 저자에 대해서 발언하는 것을 뜻한다.
- 몬스터버스 . . . . 2회 일치
2014년에 개봉한 [[괴수]][[영화]] 고질라를 포함한 배경 세계 공유 괴수 영화 프랜차이즈. 관련 회사는 [[레전더리 픽처스]], [[워너 브라더스]]다.
* [[배경 세계 공유]]
- 무라하치부 . . . . 2회 일치
이 긴 문단으로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무라하치부의 배경이 되는 향촌자치는 언듯 생각하듯이 아름답고 목가적인 것만은 아니며, 농촌 사회 지배층이 주도하는 ‘작은 사회’ 지배에 수반되는 무라의 폭력적인 처벌이 함께 뒤따랐다는 것이다. 무라하치부는 이러한 ‘처벌’의 형태 가운데 하나로서, 이 처벌 방식이 다른 것들과는 달리 비교적 오래 남게 된 것은 추방, 신체형, 재산몰수, 사형 등의 다른 처벌과는 달리 근대 형법 제도에 크게 배척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 창작물에서
- 분류:삼국시대 배경 창작물 . . . . 2회 일치
[[분류:창작물 시대배경 분류]]
- 성현아 . . . . 2회 일치
| 배경색 = #00FA9A
| 배경색 = #87CEEB
- 스트리트 파이터 2 . . . . 2회 일치
캡콤의 게임 [[몬스터 헌터 4]]에서, 플레이어의 자기소개 기능 비스무리한 것인 "길드 카드"의 배경으로 스트리트 파이터 2의 류 스테이지 배경을 사용할 수 있다.
- 애니 일본어 . . . . 2회 일치
## 창작물에서
그러나 이 경우에도 해당하는 작품의 캐릭터가 여캐인가 남캐인가도 중요하고, 작품의 배경이나 이런것도 가능한 현대와 현실에 가까운것을 추천한다.
- 어쌔신 크리드 III . . . . 2회 일치
2012년 발매된 [[어쌔신 크리드 시리즈]]의 5번째 작품. [[미국 독립 전쟁]]시기를 배경으로 했다.
독립전쟁이 배경인지라 애국자와 왕당파는 만나기만 하면 싸운다.
- 우미나리 시 . . . . 2회 일치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와 후속작 A's의 주요 배경이 되는 가상의 도시.
그나마 3편 StrikerS 이후로는 작품의 배경이 다른 곳으로 옮겨지면서 ~~표면적으로~~ 평온을 되찾게 된다.
- 월드 인 컨플릭트/줄거리 . . . . 2회 일치
워싱턴 D.C.에서 잠을 자던 [[미국 대통령]][* 배경 시기를 따지자면 아버지부시.]은 모건 장군의 전화에 의해 일어난다. 소련군이 시애틀에 상륙했다는 보고를 받은 대통령은 얼굴을 감싸쥐며 할 수 있는것을 묻지만 별다른 방책은 없었다. 소여 대령이 지휘하는 몇개 부대를 시애틀로 보냈다는 보고를 들은 대통령은 내각 회의를 준비한다.
컷신이 끝나고 난 후 노이즈가 낀 흑백 화면을 배경으로 임무 완료가 뜨며 미션이 종료된다.
- 위의공 . . . . 2회 일치
이런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회맹-제후연합군을 구성하여 이민족과 대항하는 집단안보체계는, 과거 [[주나라]]가 주도하였으나 춘추시대가 개막하고 주나라의 권위가 상실하면서 붕괴하였다. 따라서 새로운 권위로 제후국들의 '연합군'을 만들어서 질서를 바로 잡을 필요성이 대두된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부국강병 정책을 펼치던 제나라의 [[제환공]]이 주도하여 위나라를 재건해줌으로서, 주 천자의 권위를 대신하여 이러한 집단안보체계를 주도하는 '패자'의 시대가 나타나는 배경이 되었다.--결국 제환공의 패업의 발판일 뿐이라는 뜻인데 장대하게 썼다.--
이러한 정황을 보면 [[공자]]가 [[관중]]을 높이 평가한 배경도 알 수 있게 된다. 위의공의 처참한 죽음은 다른 나라에도 닥쳐올 수 있는 것이고, 관중이 제나라를 부강하게 만들어 패자의 시대를 열지 않았다면 중화 문명 자체가 이민족의 공격으로 크게 쇠퇴하였을 수도 있다는 의미로 볼 수 있을 것이다.
- 이윤열 . . . . 2회 일치
| 배경색 = #C0C0C0
| 배경색 = #C0C0C0
- 장윤정 (미스코리아) . . . . 2회 일치
| 배경색 = #87CEEB
| 배경색 = #87CEEB
- 죽는다 죽는다 사기 . . . . 2회 일치
* 창작물에서 특정 캐릭터에게 [[사망 플래그]]가 있었지만, 죽지 않았던 경우에 하는 말이다.
* 창작물에서 확실하게 캐릭터가 사망하는 연출이나 언급이 있었지만 보였지만, 죽지 않았던 경우. 특히 이런 것이 반복되는 캐릭터.
- 철인 28호 . . . . 2회 일치
2004년, 이마가와 야스히로 감독에 의해 리메이크판이 나왔으며 배경은 초대 철인의 시기다. 이 버전 이후 극장판인 '철인 28호 백주의 잔월'이 나왔다.
* '철인'이라는 만화가 있다. 전 4권이며 배경은 중국에 고릴라를 닮은 철인이 등장. 아톰스러운 요소도 연상되는 만화다. 기존 캐릭터는 등장하지 않는다. 글은 야하기 토시히코, 그림은 오치아이 나오유키.
- 캐딜락&디노사우르스 . . . . 2회 일치
== 설정 배경 ==
* 1스테이지(이름 표시 없음) - 해상 도시[* 지도상의 위치나 뒷배경 등을 보더라도 [[wiki:"뉴욕"이 도시]]인 것으로 짐작된다.]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 . . . 2회 일치
Company of Heroes. [[제2차 세계대전]], 그중에서도 서부전선을 배경으로 한 [[RTS]] 게임.
2013년에 [[독소전쟁]]을 배경으로 한 후속작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가 발매되었다.
- 토이 솔져스: 콜드 워 . . . . 2회 일치
장난감 병정 [[타워 디펜스]] 게임인 [[토이 솔져스 시리즈]]의 두번째 작품. 1편인 [[토이 솔져스]]가 [[제1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했다면, 토이 솔져스: 콜드 워는 미국과 소련 간의 [[제3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다뤘다.
- 토탈워: 쇼군 2 . . . . 2회 일치
[[보신 전쟁]]을 배경으로 한 [[토탈워: 쇼군 2 - 사무라이의 몰락]]이 있다. 스탠드얼론 확장팩이기에 본편이 없어도 플레이 가능.
[[겐페이 전쟁]]을 배경으로 한 캠페인 "사무라이의 태동"을 플레이 할 수 있게 해준다. 가문이고 유닛이고 죄다 다르고 같은건 지도 뿐이니 준 확장팩 아닐까 싶다.
- 판타스틱 포 . . . . 2회 일치
사실 판타스틱 포의 탄생 배경(당시 1961년)이 다소 엉뚱한데, 모든 것은 당시 타임리 코믹스([[마블 코믹스]]의 전신)의 출판인이었던 마틴 굿맨이 경쟁사인 [[DC 코믹스]]의 대표 잭 리보위츠와 골프를 치면서 시작되었다.
* [[고스트 라이더]][* 지구-90226이 배경인 <[[What if]] Newer Fantastic Four>에서는 [타노스]가 [[인피니티 건틀릿]]으로 고스트 라이더의 존재를 지워버려 [[아이언맨]]이 대체 멤버로 들어간다.]
- 프릭쇼 . . . . 2회 일치
== 창작물의 프릭쇼 ==
* 킬링 조크 - 조커와 함께 인질을 괴롭히는 빌런들이 샴쌍둥이, 난쟁이 등 프릭쇼에 나오는 기괴한 외모를 지닌 사람들이다. (배경이 낡은 유원지임을 생각하면 과거 이 곳에서 일하던 이들일 가능성도 있으나, 작중에선 구체적인 설명은 없다.)
- 155밀리 롱 톰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1만 시간의 법칙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2016년 남양주 폭발사고 . . . . 1회 일치
== 배경 ==
- 5분의 3 조항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A-10 선더볼트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ATM . . . . 1회 일치
사람이 없다는 측면에서 보면 은행 측에선 비용이 상당히 절감될 수 있기에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기기이다. 이렇게 대중에 노출이 많기 때문에 범죄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으며, 시도때도없이 카드복제기나 도촬카메라 같은걸 설치한다. 조금이나마 힘 쓸 생각이 있는 놈들은 이걸 뜯어서 가져간다고한다. 이런 이유로 ATM도 보안에 대한 이슈와 관련하여 끊임없는 물리적으로나 논리적으로나 보안 업데이트를 꾸준히 실행한다. 자동화기기가 정상적으로 업무를 보기 위해선 어쨌거나 현금이 들어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창작물 등지에서는 좀 최신식 [[금고]] 취급을 받고 있다. 이 때문에 간혹 억지로 뜯으면 잉크가 뿌려지거나 해서 사용할 수 없는 돈이 된다는 설정을 붙이기도 한다.
- CaseTemplate . . . . 1회 일치
## == 배경 ==
- Crusader Kings 2/종교 . . . . 1회 일치
게임 Crusader Kings 2의 종교를 설명하는 페이지. 중세 배경인 게임인 만큼 종교는 매우 중요한 요소다. 몇몇 종교의 경우에는 정부 형태를 강제하기도 하니 더더욱 중요하다.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장관 . . . . 1회 일치
>야망있는 노조 두목은 변화를 위한 권력을 얻으려고 정치판에 뛰어든 인물이다. 그는 여전히 노동자 계층의 사람이지만 새로운 정치적 환경이 그의 급진주의를 억제하였다. 그는 질긴 협상가지만 관리 기술에서는 미흡함을 보인다. 그의 뒷배경 또한 어떤 경우에서는 골칫거리가 된다.
- E-4B 나이트워치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EM 드라이브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FoodTemplate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GHQ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GeneralTemplate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HMMWV . . . . 1회 일치
미군이 나오는 현대 배경 매체 대다수에 등장한다.
- JOY축제 . . . . 1회 일치
## == 배경 ==
- K리그 관중 실 집계 정책 . . . . 1회 일치
== 배경 ==
- K리그 클래식 . . . . 1회 일치
= 성립배경 =
- LORAN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NDK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NationTemplate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RegionTemplate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Suicide is Painless . . . . 1회 일치
미국의 노래. [[한국전쟁]]을 배경으로 한 드라마 [[M*A*S*H]]의 주제곡이다.
- TILTOWAIT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UR임대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Victoria II . . . . 1회 일치
[[스웨덴]]의 게임회사 [[Paradox Interactive]]에서 제작한 실시간 [[대전략]] 게임. [[제국주의]]와 [[민족주의]], [[혁명]]의 시기인 빅토리아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있다.
- weider in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가공의 도시 . . . . 1회 일치
전설, 창작물 등에 등장하는 가공의 도시.
- 가령취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강화종실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건즈 고어 앤 카놀리 . . . . 1회 일치
Guns, Gore & Cannoli. 1920년대 [[금주법]] 시기의 [[미국]]을 배경으로 한 [[좀비 아포칼립스]] 런앤건 게임. [[벨기에]] 게임 제작팀인 [[http://crazymonkeystudios.com/press/index.php|크레이지 몽키 스튜디오]]가 제작했다. PC, 매킨토시, [[엑스박스 원]], [[플레이스테이션 4]]로 발매되었다. PS4 버전은 국내 유통은 [[인트라게임즈]]에서 담당했는데, 한글화도 되어있다!
- 게임 소설 . . . . 1회 일치
‘게임’, 주로 ‘비디오 게임’을 배경이나 주된 소재로 하는 소설. 대부분의 사건은 게임 내에서 전개된다. ~~게임북하고는 다르다~~
- 경마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경순왕 . . . . 1회 일치
[[927년]] [[신라]]를 침공한 [[견훤]]에 의해 [[경애왕]]이 강제적으로 목숨을 끊게 되고, 그가 신라 56대 왕위에 올랐다. 그는 본래 왕위 계승 위치에 있지 않았으나, [[927년]] [[경애왕]]이 갑작스럽게 피살 당하면서 왕위에 올랐다. 즉위 배경은 미상이며 왕위에 오를 당시 [[경애왕]]의 자녀들이 있었는지, [[화백 회의]] 추대를 받아서 즉위 했는지에 대한 진위 여부는 알려진 바가 없다.
- 경제제재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계림 . . . . 1회 일치
[[쉔무]] 2의 제6장의 부제이자 배경이기도 하다. 본래 계림에 갈 때까지 다양한 [[떡밥]]이 뿌려졌으나 도착하자마자 게임이 끝나버렸고 이후 쉔무 후속작은 나오지 않는다.(…) --뭐 계림 관광 잘 하면 되겠지--
- 고독의 요새 . . . . 1회 일치
여기에 설정이 덧붙여지면서 무한 지구 위기 이벤트에서 미치광이 컴퓨터가 지구를 제 2의 [[크립톤]]으로 만들기 위해 전초기지로 만든 것이 고독의 요새이고 슈퍼맨이 [[크립톤]]의 과학기술 유출을 막기 위한 차원으로 관리한다는 설정이 만들어졌다. 요새는 슈퍼맨의 아버지 조 엘이 아들을 걱정해서 백업으로 준비해 놓아다는 설정으로 보인다. 슈퍼맨 영화 시리즈도 이렇게 설정을 잡아놓았고 조 엘의 정신을 본딴 AI가 존재해 슈퍼맨에게 조언과 힘을 준다. 또 그 안에 외계무기나 맹수들을 보관하는 케이지도 존재한다. 물론 긴 세월 동안 이런저런 고독의 요새 뒷배경이 바뀌기도 한다. 그리고 에피소드마다 고독의 요새 위치가 시시때때로 바뀌었는데 현재는 북극에 위치해 있다.
- 고산케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공산당 지도 원리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공의존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공후백자남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국가원수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국부펀드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국제복싱기구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궁가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귀면와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규성 진씨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그랜드 테프트 오토: 산 안드레아스 . . . . 1회 일치
Grand Theft Auto: San Andreas. 범죄 샌드박스 게임 [[그랜드 테프트 오토 시리즈]]의 시리즈 중 하나. [[캘리포니아]]와 [[라스베가스]]를 모티브로 한 가상의 지역 "산 안드레아스"를 배경으로, 갱단원 "칼 존슨"이 무너진 자신의 [[갱단]]을 다시 일으키는 내용을 담고있다.
- 그레이터 데몬 양식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기동전사 건담 실루엣 포뮬러 91 . . . . 1회 일치
UC 0123년을 배경으로, 작중 시기는 F91에서 3주 전이 된다.
- 기축통화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김무력 . . . . 1회 일치
[[분류:삼국시대의 인물]]
- 김성곤 . . . . 1회 일치
특히 김성곤은 학창시절 박정희의 큰형인 박상희와 절친이었기 떄문에, 어린 시절부터 박정희를 보아왔으며 사석에서는 박정희와 자녀의 결혼 문제를 상의할 정도로 친밀한 사이였다. 이런 배경 때문에 박정희는 김성곤한테 정치자금을 모으라고 시켰다.
- 김윤환 . . . . 1회 일치
대화와 협력을 명분으로 실제론 막후 밀실에서 정치자금과 권력을 배경으로 야합하는 [[일본]]식 정치의 대명사였다. 하지만 노무현이 실제 "호남이 밀어주는 영남 대통령"으로서[* 개혁 성향의 영남후보를 세워서 영남표를 잠식하고 수도권의 개혁 성향 야당표를 결집시켜야 한나라당의 호남 포위 구도를 깨뜨릴 수 있다는 내용이다. 실제 [[천하삼분지계]]가 [[제갈량]]만의 독창적 사고가 아니라 당시 주요 책사들의 공통적 인식이었던 것처럼 '호남이 밀어주는 영남 대통령'도 정치권에서 민주당이 승리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시나리오로 여겨지던 내용이다. [[노무현]]의 지지율이 2~3%에 불과할 때도 일단 민주당 후보 경선만 통과한다면 대선 승리 가능성으론 가장 높을 것이란 평가가 정치부 기자들 사이에선 지배적이었다.] 당선된 것이나, 홀로 여러 계파를 다룬 점 등 정치적 능력은 타의 추종을 불허했다. 뿐만 아니라 민주화 운동가로 활동하던 시절 김윤환이 속해 있던 민주정의당에 맞서 싸웠던 [[김근태]]는 국회의원이 되어 김윤환을 만난 다음 "그래도 김 선배 같은 사람이 있었기 때문에 장내에서 민주주의의 명맥이 이어질 수 있었다."는 평가를 했고, 언론계 인사들 역시 "허주는 순리를 바탕으로 정치를 물 흐르듯 한다."는 평을 아끼지 않았던 점을 보면 친화력만큼은 역대 정치인들 가운데 최고로 손꼽힐 수 있을 만큼 대단했던 사람이다. 그러나 죽기 직전에 낙선하고 정계에서 은퇴한 이회창이 사과의 뜻을 표했으나 공식적 화해 없이 세상을 떴다.
- 김효원 . . . . 1회 일치
한편 [[심의겸]]과의 대립은 사림의 분열로 이어지고 점차 심해지자 우의정 [[노사신]]과 부제학 [[이이]] 등은 분쟁 완화의 조정안으로 두 사람을 한성을 떠나 외직으로 보낼 것을 선조에게 건의하여 김효원은 [[경흥부사]]로, 심의겸은 [[개성부유수]]로 전보되었다. 그러나 김효원이 더 먼곳의 외직에 배치되었다는 [[동인 (정치)|동인]]의 반발로 그 조정안은 실패로 끝났다.<ref name=autogenerated1 /> 김효원을 지지하던 측에서는 일부러 배경이 없던 그를 더 먼곳으로 축출한 것이라 반발하여 다시 부령부사로 전보되었다. 그러나 이 역시 부령이 변방이라 하여 반발하므로 다시 [[삼척]][[부사]]로 옮기게 되었다.
- 꾸짖지 않는 육아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나고야 대학 여학생 살인사건 . . . . 1회 일치
== 배경 ==
- 나뭇잎 마을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나야 나 사기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 . . . 1회 일치
[[소년 점프]] 주간 연재작. 작가는 [[호리코시 코헤이]]. 일본에선 "히로아카"란 약칭으로 통하며 국내에선 "나히아"로 약칭. [[마블 코믹스]]나 [[DC 코믹스]] 같은, [[미국]] [[슈퍼히어로]] 장르와 비슷한 배경 세계를 가지고 있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48화 . . . . 1회 일치
* 토가와 트와이스가 연 야쿠자 규탄대회는 수위를 높여갔다. 트와이스가 이 모양이니 야쿠자가 전멸 직전인 거라고 까대자 토가가 "잠들어 있다는 두목도 별거 없는 사람일게 뻔하다"고 덧붙였다. 거기까지였다. 넓디 넓은 이리나카의 이해심도 거기서 바닥이 났다. 비명같은 외마디 절규와 함께 사방이 요동치기 시작했다. 어느 때보다도 격렬하게. 지금 이리나카의 정신처럼. 히어로 연합군을 분단시켰던 이리나카의 벽이 무너지고 형태를 잃었다. 일행은 위아래도 없고 좌우도 없는 파도 휩쓸린 것 같았다. 토가와 트와이스가 바란대로였다. 트와이스는 그 와중에도 입을 쉬지 않고 "역시 이리나카 형님은 쉽게 열받는 성격이었다"며 신경을 긁어댔다. 그리고 토가는, 요동치는 배경 속에서 다시 미도리야와 눈이 마주쳐서 웃었다.
- 난치병 모금사기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노무리쉬어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뇌파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눈에서 비늘이 떨어진다 . . . . 1회 일치
일본에서는 흔히 사용되는 관용어이다보니, 일본에서 써진 창작물에서도 마찬가지로 자주 쓰인다. 하지만 한국에선 그리 잘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역자의 주석이 따로 달려있지 않은 [[라이트 노벨]]이나 설명 자체가 배제될 가능성이 높은 [[애니메이션]]을 접할 때는 무슨 의미인지 알 수 없어 어리둥절하는 경우가 많다.
- 니나(이노센트 투어) . . . . 1회 일치
= 배경 스토리 =
- 단두대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대잠비행정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대중흑기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데드 스페이스 . . . . 1회 일치
'''Dead Space'''. [[미국]]의 [[EA 레드우드 쇼어즈]]에서 제작하고 [[일렉트로닉 아츠|EA]]에서 유통한 [[SF]] [[TPS]]. 정체불명의 상황으로 생지옥이 된 우주선 [[USG 이시무라]]를 배경으로 애인을 구하기 위해 구조대에 자원한 엔지니어 [[아이작 클라크]]의 분투를 다루고 있다.
- 데일리 야마자키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도나우 강 . . . . 1회 일치
== 창작물 ==
- 돈키호테(할인점)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돌비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동일본대지진 . . . . 1회 일치
## == 배경 ==
- 동전던지기 . . . . 1회 일치
[[동전]]을 --몇개-- 한개 던져서 앞면, 뒷면을 살펴보는 [[내기]]. 창작물에서는 동전을 던져서 공격하는 기술도 나온다. [[경우의 수]]는 동전의 앞면과 뒷면이 나오는 1/2의 [[확률]]이다.
- 드라이브 스루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드라콘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드럭스토어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디펜더 2 . . . . 1회 일치
[[중국]]의 Droidhen이라는 회사에서 만든 [[디펜스]] [[모바일 게임]].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 디펜더의 후속작이다. 사실 기술 몇개, 몬스터 1종류가 추가된것 이외에는 디펜더1과 아무런 차이가 없다. 심지어 배경과 음악, 몬스터 이미지까지 다 똑같다!!
- 라무네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라이징 스톰 . . . . 1회 일치
Rising Storm. [[태평양 전쟁]]을 배경으로 한 FPS 게임. [[킬링 플로어]]를 제작했던 게임 제작사 [[트립와이어 인터랙티브]]가 제작 및 유통했다.
- 러브라이브! . . . . 1회 일치
학교단위로 활동하는 아이돌인 "스쿨 아이돌"이 존재하는 배경으로, 스쿨 아이돌 활동이 프로젝트의 주요 내용이다.
- 런너즈 하이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레갈리아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레드맨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령시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로리타 패션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로마 숫자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로베르 기스카르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로손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류지혜 (레이싱모델) . . . . 1회 일치
| 배경색 = #eeeeee
- 리얼리즘 FPS . . . . 1회 일치
* 리얼해야 하니 현실의 전쟁터를 배경으로 한다. SF나 판타지를 리얼하다고 할수는 없지 않는가.
- 마기/328화 . . . . 1회 일치
* 알라딘과 알리바바는 뢰엠 왕국을 방문해 국제동맹에 가입한 배경을 묻는다.
- 마기/335화 . . . . 1회 일치
* 일행이 도착한 제 1던전은 "분노와 영걸의 시련" '''바알'''. 전쟁터가 배경인 살벌한 던전이다.
- 마기/340화 . . . . 1회 일치
* 그곳은 결혼식장 같은 배경에 17세의 신드바드와 원래 제파르의 소유자였던 [[세렌디네]]가 기다리고 있다.
- 마리네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마우스 제스처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마이사카 코우 . . . . 1회 일치
작품들이 대체적으로 '투희' 속성 캐릭터를 다수 투입하여 서비스신 가득한 연출을 할 때가 많은데, 그렇다고 단순한 뽕빨만이 아닌 나름 진지한 설정과 배경이 깔린 전쟁물을 만드는 것이 특징이다.
- 마츠자카소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마키스시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마터니티 마크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마터니티 포토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막부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만쥬 무섭다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매카시즘은 이제 매카시워즘이다 . . . . 1회 일치
[[공화당]]의 조지프 매카시 상원의원이 미국 사회 각계 각층의 수많은 인사들을 공산주의의 주구로 모함하고 다니며 개판을 치다 급기야는 미국 군부까지 공산주의 세력으로 모는 병크를 터뜨렸고, 전쟁영웅인 아이젠하워 대통령에게까지 불똥이 튈 것을 염려한 [[공화당]] 주류 인사들이 이제까지와는 달리 매카시 의원을 버리고 탄핵소추를 추진하는 등 매카시를 정치적으로 거세[* 탄핵소추안 자체는 통과되지 않았으나, 명예를 존중하는 상원에서는 탄핵소추에 올랐다는 사실 자체로 의원으로서 자격이 없다고 인증 당한 것과 같다.]해 버렸다. 위의 발언은 이러한 '매카시즘의 종식'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발언.
- 맥스 페인 2: 맥스페인의 몰락 . . . . 1회 일치
Address Unknown. 90년대 방영했다는 설정의 극중극. 존이라는 남자가 느와르욕(Noir York)라는 도시에서 연쇄살인범 존 미라(John Mirra)를 쫓는 남자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미라를 쫓던 존은 정신병원에 수감되지만 의사와 환자들을 드릴로 죽이고 도망친다. 그제서야 존은 자신이 존 미라였다는걸 깨닫는다는 그런 내용. 이걸 배경으로 한 테마파크도 있었던 것 같지만 원작 드라마가 방영 중단 먹으며 망한 듯. 솔직히 테마파크 겁나 기분 나빠서 방영 중단 안 되었어도 망했을 것 같다.
- 머라이온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머슬봄버 . . . . 1회 일치
배경의 관중성을 자세히 보면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의 류와 춘리가 보인다.
- 메두사 헤드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메디나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모레아 전제국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모리시오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모리오리 족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목꺾기 . . . . 1회 일치
주로 창작물에 많이 나오는 살인 기술. 상대방의 [[목]]을 꺾어서 즉사시키는 기술이다. 영상물에서 등장할 때는 "우드득"하는 사운드 효과가 동반된다.
- 몬스터 페어런트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몽고귀신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무협/용어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미네스트로네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미생체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미소시루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미안기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미저리 . . . . 1회 일치
소설가 폴 셸던은 자신이 새로 쓴 소설을 출판사에게 전해주기 위해 차를 운전한다. 그는 "미저리"라는 여성을 주인공으로 한 소설 시리즈 "미저리"[* 작중 묘사에 의하면 근세 배경의 신데렐라 스토리 소설인 것 같다.]로 성공을 거둔 작가지만 폴은 그 소설을 좋아하지 않았다. 그렇기에 그는 자신이 새로 낸 미저리 시리즈인 "미저리의 아이"의 최후반부에 아이를 낳던 미저리가 사망하는 내용을 넣어 시리즈를 끝내버린 후, 차도둑을 소재로 한 새로운 소설을 집필한다. 소설을 완성한 폴은 자신이 쓴 소설의 작품성에 흥분하며 차를 타고 서쪽으로 향하다가 빙판길에 의해 교통사고를 당한다.
- 미즈우치 타카시 살인사건 . . . . 1회 일치
== 배경 ==
- 바레브 라인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바이오하자드 시리즈 . . . . 1회 일치
게임 내용은 부도덕한 거대 기업 [[엄브렐러]]가 몰래 개발하던, '생물체를 가공할 전투력을 지닌 괴물로 변이시키는' 바이러스 병기가 유출되어 사람은 물론 벌레까지 감염되어, 게임 배경이 [[좀비]]와 별 희한한 괴물들로 득실대는 막장이 된 와중에 용감하고 정의감 넘치는 주인공들(경찰 관계자인 경우가 많다.)이 각종 화기를 능숙하게 휘둘러 온갖 몬스터를 처치한 후 탈출하는 것이다.
- 박경석(1933) . . . . 1회 일치
[[월남전]]에 있어, 초대 [[주월 한군군]] 사령관을 지낸 [[채명신]] 장군의 회고에서도 "장교 이하 모든 장병이 누구하나 우리가 가고 싶어서 간 것이 아니다. 국가의 명령으로 갈수 밖에 없었다"[* "나를 지금 억르누고 있는것이 고엽제 문제와 고엽제를 앓고 있는 전우에요. 내가 전국을 돌아다니면서 방문도 하고 격려도 하고 그러는데. 그 사람들은 월남에 간 것은 국가의 명령에 의해서 간 것이지, 나나 우리 장병들이 가고 싶어서 월남에 간 것이 아닙니다. 아무도 없습니다. 그럼 국가를 위해서 월남에 갔고, 실지 국가의 경제 발전에 하나의 계기를 만들었다면, 그것이 없어더라도 국가의 명령에 의해서 갔다면 국가가 거기에 대한 보상을 해야주어야 하는 것이 아니겠어요." 문화방송 1993년 정치드라마 [[제 3공화국]] 22회 월남파병 편에서 인터뷰 전문]을 하는 등 국가의 월남파병 장병들의 고엽제 문제와 국가 차원의 보상 문제가 남아있고, 일말의 강제적 파병의 성격을 띄었지만, 용병이다, 돈을 받고 군대를 보낸것이다, 미국의 제국주의 침략에 동조한다는 일각의 생각은 매우 잘못되고 편협한 것이다. 분명 [[월남전]]은 우리 스스로 원해서 파병을 결정한 전쟁이 아니었지만, 당시 기성세대가 목숨 걸고 싸워주었기에 그에 상응한 군사원조와 경제적 원조 및 이익을 바탕으로 1970년대 공업화를 이루어 우리 아들, 딸들이 적어도 풍요롭게 사는데 있어 도움을 주었다는 것은 주지없는 사실이다.[* 2000년 일부 진보적인 학자라 자처하는 성공회대 교양학부 [[한홍구]] 교수 등이 월남전 파병 기간 동안 한국군의 베트남 양민 학살이 있었다고 주장하자 [[채명신]] 장군, [[박경석]] 장군, [[지만원]] 예비역 대령 등 월남전 참전 원로들이 나서서 이에 반박하는 글과 함께 학살 주장에 무게를 잡는 학자들을 상대로 토론을 제안했다. 동년 한겨례 신문에서 이와 관련된 한국군의 베트남 양민 학살의 신문을 기고하자, [[채명신]] 장군, [[지만원]] 예비역 대령--[[5.18광주 민주화 운동]]을 북한군이 광주에 침투하여 일어난 내란이며, 5.18 희생자와 시민군들을 광수1, 2로 지칭하며 현재 북한의 고위층과 비슷하다며 개드립을 쳤던 그 지만원 박사가 맞다. 삼만원도 안되시는 그분--이 [[문화방송]] [[100분 토론]]에 나와 이 주장에 반박하며, 학살이 있었다고 주장하는 [[한홍구]] 성공회대 교수 등 학자들과 토론을 했다. 이와 동으로 월남전을 배경으로 한 영화 [[http://book.naver.com/search/search.nhn?query=%ED%95%98%EC%96%80%EC%A0%84%EC%9F%81|[[하얀전쟁]]]]의 원작자 [[안정효]] 작가는 월남전에 참전한 병사로써, 당시 한국군의 학살이 있었다며 자신의 소설에 실화를 밝혔는데, 적과 민간인의 구별과 식별이 어려웠던 현대전 특히 민간인 복장으로 게릴라전이 빈번했던 월남전에서 총기 오발 또는 오폭으로 민간인을 살해했을 가능성은 있다. 이것은 월남전에 대대장으로 참전했던 [[박희도]] 전 육군참모총장이나, [[유학성]], [[우종림]], [[전성각]] 장군들의 회고록에도 기술되어 있다. 일단 월남전에서 한국군의 민간인 학살 관련 논의는 충분한 시간과 자료 수집, 그에 근거한 증언이 더 필요하다. 성급히 주장해서는 안된다.][* 다만, 이러한 것들을 이유로 베트남 전쟁을 무조건 긍정하는 것도 금물이다. 원하지 않았더라도 우리나라가 타국의 전쟁에 정당한 명분 없이 개입한 것은 사실이며 민간인 학살 역시 아예 없었다고 단정짓기는 어렵기 때문. 또한 [[라이따이한]] 문제 역시 무시할 수 없다. 이 전쟁은 보다 더 신중한 시각으로 접근해야 한다.]
- 박녹주 . . . . 1회 일치
[[송만갑]]과 그 제자 김정문에게서 소리를 배웠고, 그녀가 주장한 예술적인 기반 자체가 동편제였기 때문에 계보상으로 동편제 명창에 속하며, 20세기에 들어서 송만갑제 판소리의 전승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1964년]]에 처음 춘향가의 예능보유자로 지정될 때 남긴 녹음자료에도 송만갑제의 더늠[* 일종의 '마스터피스'와 같은 의미로 명창들이 새로 짜거나 과거의 것을 이어받아 방창한 대목을 말한다.]을 중심으로 하는 대목을 맡아서 소리를 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서는 송미경, 「판소리 춘향가의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배경 및 지정자료 <춘향가>(1964)의 성격」, 『구비문학연구』 41, 2015 참조.] 그러나 실제로는 송만갑이나 김정문 이외에도 서편제의 김창환, 정정렬에게서도 소리를 배우는 등 사승 자체는 동편제나 서편제를 가리지 않고 배웠으며, 동편제 흥보가를 부르면서도 제비노정기 만큼은 서편제인 김창환의 소릿제로 부르고 있는 등, 동시대 여러 명창들과 마찬가지로 여러 유파를 겸했던 것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일 듯 하다. 다만 [[송만갑]]이나 정정렬 이외에도 동편제 명창인 박기홍, 유성준에게서도 배웠던 만큼 동편제의 소리 지향에 가까운 소릿제를 부르긴 하였다.
- 박철우(배구) . . . . 1회 일치
[[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에서 2004년 데뷔해 2010년 삼성화재로 FA 이적을 했는데 그 배경에 전 [[부천 KEB하나은행|신세계 쿨캣]]의 [[농구]] 선수 [[신혜인]][* 이 열애설이 더 유명해질 수 밖에 없었던 이유는 '''[[신혜인]]의 아버지가 삼성화재의 감독인 [[신치용]]'''이기 때문이었다.(어머니는 농구선수 전미애) 그래서 그가 현대캐피탈 소속이던 시절에 많은 이들이 이들의 연인 사이를 배구판 [[로미오와 줄리엣]]으로 비유하기도 했으며, 배갤에서의 별명이 무려 '''사위'''(...)다. 그리고 박철우가 삼성전에서 유난히 부진한 것을 보며, 장인에게 잘 보이기 위해서 그런다고 많이들 깠었다. 박철우가 FA로 이적하면서 사위와 장인이 한 팀으로 뭉쳤다.]과 연인 관계였던 것이 드러나서 유명하다.
- 배대되치기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백일섭 . . . . 1회 일치
| 배경색 = #464646
- 벌교 백여우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법테라스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벼랑개 링링 . . . . 1회 일치
== 배경 ==
- 변신합체로봇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병거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보스턴 백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보육원 떨어졌다 일본 죽어라!!! . . . . 1회 일치
== 배경 ==
- 봉준호 . . . . 1회 일치
2009년 5월 4번째 장편 《[[마더 (2009년 영화)|마더]]》를 개봉했다. 살인 사건에 연루된 아들을 구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엄마의 이야기이며, [[김혜자]]의 파격적인 연기 변신으로도 화제가 되었다. 일상적이고 평범한 장소를 배경으로 비현실적이고, 이질적인 느낌이 드는 장면을 포착하고, 영화 속 주인공들의 난감한 행동에 웃음을 터뜨리도록 유도하면서도 우스꽝스러운 상황에 서늘한 풍자를 심어 놓는 특유의 영화 감각을 가지고 있다.<ref>[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0805071055411120 봉준호 감독 '무(無)평에 상처받은 적 있다'], 마이 데일리, 2008년 5월</ref>
- 북한의 역사왜곡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브라우닝 시토리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브리프 팬티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사내결혼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사이쿄선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사택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산리오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삼감의 난 . . . . 1회 일치
== 배경 ==
- 생령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생활협동조합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샬롯 링링 . . . . 1회 일치
[[위대한 항로]]를 주름잡는 최강의 [[해적]]인 '''[[사황]]''' 중 한 명이자 [[빅 맘 해적단]]의 선장이다. 통칭 '''빅 맘'''.[* 그녀의 배에 써 있는 글씨에 따르면 Big Ma'am이 아니라 Big Mom이다. 전자는 마담, 후자는 마더. 그래서 그런지 지금까지 나온 바로는 빅 맘 해적단의 선원들은 샬롯을 '''"마마"'''라고 부르고 있다. 원피스 그린에서는 BIG MOM이라고 써 있는데 610화에서 파파구의 설명에서는 배경에 BIG MAM이라고 써 있다. Mam은 마마(Mamma)의 준말이니 의미상의 차이는 없지만. 다른 표기가 작중 또는 공식 설정집에 나왔다면 출처와 함께 [[추가바람]].] 생일은 [[2월 15일]].
- 서울대공원 구미호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서울특별시장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서진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석경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선거인단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성격 . . . . 1회 일치
창작물에서는 캐릭터를 만들 때 중요한 것이기도 하다. 현대로 올수록 사건이 자연의 변화가 아닌 인물간의 상호작용(주로 대립과 분쟁)에서 벌어지기 때문에, 캐릭터가 확고할수록 줄거리를 풀어내기 쉽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서 모든 캐릭터가 부정적인 성격을 가져야 한다는 말은 절대 아니며, 장르에 따라 등장인물들에게 주로 권장(?)되는 성격이 달라진다.
- 성역 도시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세조 . . . . 1회 일치
민생을 돌보았다고 하나, 한편으로는 정권 탈취에 일조한 자신의 가신들에게 무제한적인 특권을 부여하여 훗날 훈구파의 횡포를 낳게 된다. 비록 본인이 건재하던 시절에는 이러한 권신들을 제어할 수 있었으나, 세조 서거 이후 왕통상의 혼란 등으로 인해 성종 시기에 들어서면 왕이 신하들에게 쥐여사는 '군약신강' 체제가 만들어지고, 그 반동으로 [[연산군]]이라는 막장 폭군이 탄생하는 배경이 되고 만다.
- 세컨드 오피니언 . . . . 1회 일치
과거에는 의사에게 모든 의료를 맡겨왔으나, 설명과 동의를 받아 자기 자신도 치료에 관해서 결정하는 의료로 변해왔으며, 이러한 사회 배경의 변화에 따라서 세컨드 오피니언이 나타나게 되었다.
- 센터 시험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슈퍼걸(드라마) . . . . 1회 일치
내셔널 시티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 슈퍼히어로 . . . . 1회 일치
슈퍼히어로는 대체로 [[손오공(드래곤볼)|전투 그 자체를 목적을 삼고 있지 않으며]], [[경찰]]이나 [[소방관]]과 같은 역할을 --[[원펀맨|개인적으로 취미로]]-- 하고 있다. 물론 히어로가 다양해지면서 전투광도 있긴 하다. 이러한 이유로 다른 장르와는 달리 슈퍼히어로는 '[[일반인]]'으로 구성된 '사회'라는 배경이 필수적으로 여겨진다. 설사 주인공인 슈퍼 히어로가 아무리 사회와 단절되고 고립된 존재라고 하여도 하여도, 그 활동은 본질적으로 '개인적'이라기보다는 '사회적'인 의의를 가지고 있다.
- 스낵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스마트폰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스키야키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 . . . 1회 일치
[[우주]]를 배경으로 [[테란]], [[프로토스]], [[저그]] 세 종족의 이야기를 다뤘으며 1998년에 1편이 나오고, 이후 2010년에 2편이 나왔다. 이외에도 소설, 코믹스가 나왔다.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시리즈]], [[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와 더불어 RTS의 유명 게임.
- 스트라테고스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 스틸오션 . . . . 1회 일치
[[중국]]의 게임회사 ICE Entertainment에서 만든 [[제2차 세계대전]] 배경 해전 [[슈팅 게임]]. 2015년 11월 12일 발매되었다.
- 스페인 제2공화국 망명정부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시계태엽 오렌지(영화) . . . . 1회 일치
그 프로그램은 루드비코 요법이라고 불리는 프로그램이었다. 약물을 주입당한 알렉스는 불량배들이 폭력을 저지르는 영상, 불량배들이 여자를 윤간하는 영상, 한희의 송가를 배경음악으로 한 전쟁 기록 영상 등을 강제적으로, 긴 시간 동안 보게된다. 그 결과 알렉스는 폭력적이거나 성적인 생각만 해도 구역질을 하는 몸이 된다.
- 시그니처 웨폰 . . . . 1회 일치
창작물에서 어떤 캐릭터나 집단을 상징하는 위치의 무기.
- 시드 마이어의 에이스 패트롤 . . . . 1회 일치
Sid Meier’s Ace Patrol. 제1차 세계대전의 공중전을 배경으로 한 턴제전술게임. 플레이어는 4인 편대를 지휘해 서부전선의 여러 전투에서 임무를 수행한다.
- 시바개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시치고산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시카고 컵스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시프트제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식극의 소마 . . . . 1회 일치
[[요리사]] 양성 기관인 [[토오츠키 학원]]을 배경으로 "식극"이라 불리는 요리대결을 다루고 있다.
- 식극의 소마/181화 . . . . 1회 일치
* 쿠가는 소마를 설득하며 하야마는 이미 센트럴이라는 배경이 생겼으니 무모한 정면승부는 피해야 한다고 말한다.
- 신겐모치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신년선물연하장엽서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신칸센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신혜진 . . . . 1회 일치
||<#FFF57C> {{{#000000 '''별명'''}}} ||<(> ~~[[CCTV]][* 멤버들이 [[장난]]치는 모습을 항상 뒤에서 지켜보고 있기 때문에 붙여진 [[별명]].]~~, --[[http://me2.do/5MlN9js3|일진이(...)]]--, '''[[핑크]]빛 [[고래]]'''[* [[PINK OCEAN]]의 [[타이틀 곡]]인 [[PINK OCEAN#s-2.1|LIAR LIAR]]에서 진이의 파트 중 "한 마리 [[고래]], [[핑크]]빛 [[바다]] 위에"라는 [[가사]]가 있었고, [[PINK OCEAN]] 활동 당시 진이의 [[머리]]가 [[고래]]가 물줄기를 뿜는 듯한 모양의 [[머리]]였다.][* [[건강]]상의 [[이유]]로 [[Coloring Book(오마이걸)|Coloring Book]] [[앨범]]에 참가하지 못해, [[Coloring Book(오마이걸)|Coloring Book]] [[뮤직비디오]] [[배경]]에 [[핑크]]빛 [[고래]]가 등장하였다. 그리고 이는 진이를 [[상징]]한다고 공식적으로 밝힌 부분.] ||
- 신혼부부 함정구멍추락 사망사고 . . . . 1회 일치
== 배경 ==
- 실업팀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실즈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심판 토토하지 말라고 . . . . 1회 일치
## == 배경 ==
- 십자군 전쟁 . . . . 1회 일치
== 배경 ==
- 싱가포르 고릴라 유령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아기발도 우투리 관련설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아동수당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아마쿠사 키리시탄 진중기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아사쿠마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악마성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안드로니코스 1세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앙주 제국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애니프사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애로우 . . . . 1회 일치
배경 세계를 공유하는 드라마 플래시는 애로우의 스핀오프이기도 하다.
- 애로우버스 . . . . 1회 일치
미국의 드라마 [[애로우]]를 필두로 한 [[배경 세계 공유]] 스타일 드라마 시리즈. 이후 플래시 등의 드라마가 만들어졌다.
- 야간전투기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야마노테선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야마토 운수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야키소바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야키우동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어머니의 날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어쌔신 크리드 III/등장인물 . . . . 1회 일치
[[프렌치 인디언 전쟁]]부터 [[미국 독립 전쟁]] 까지의 30여년을 배경으로 하고있다.
- 어쌔신 크리드 III/임무일람/주요임무 . . . . 1회 일치
* 변경 지역을 배경으로 한 첫 임무. 임무를 받고 나면 맵에 표시가 안 되어서 당황할 수 있는데, 보스턴 최남단이나 최북단의 성문으로 빠져나오면 변경 지역으로 간다.
- 얼티밋 에콜로지 . . . . 1회 일치
== 배경 스토리 ==
- 에릭 (가수) . . . . 1회 일치
| 배경색 = #464646
- 에스컬레이터 식 학교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엔카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엘디아 인 . . . . 1회 일치
하지만 작중의 시점에서 (어떤 이유로 인하여) 엘디아 제국은 멸망하였다. 엘디아 제국의 잔당은 작중의 배경이 되는 '[[파라디 섬]]'만을 유지하고 있다. 아직 '대륙'에 거주하는 엘디아 인도 존재하지만, 대륙은 엘디아인을 증오하는 마레인이 부흥하여 건설한 마레 제국이 지배하고 있어 엘디아인은 박해받는 종족이 됐다. 게다가 극중 묘사를 보면 마레만이 아닌 타국에서도 엘디아인을 혐오하는 듯 하다.
- 여고생 콘크리트 매장 살인사건 . . . . 1회 일치
## == 배경 ==
- 연설환희불교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연하장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영감상법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영양군 . . . . 1회 일치
* 고전 [[한국 애니메이션]] [[꿀벌의 친구]]는 영양 일월산이 배경이다.
- 영주시 . . . . 1회 일치
부석면의 봉황산 자락에는 그 유명한 [[부석사]]가 있다. [[교과서]]에도 등장하는 부석사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최순우 작가의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의 배경)과 부석사 소조 아미타여래 좌상을 볼 수 있다. 무량수전과 함께 [[고려]]시대 문화재인데, 이 좌상은 향토색이 강조되고 인체비례적 아름다움에서는 약간 떨어지는 ~~저퀄~~고려 불상과는 달리 [[신라]] 불상의 양식을 계승해 균형미를 갖춘 불상으로 평가된다.
- 영천시 . . . . 1회 일치
고대에는 [[골벌국]]이라는 [[소국]]이 있었다. 여담으로 고구려 사람인 백석이 김춘추와 김유신을 속여 고구려로 데려가고 있을 때 세 산신이 여인으로 나타나 백석의 의도를 알려줘 김춘추와 김유신이 위기를 모면한 이야기가 삼국유사에 나오는데 이 이야기의 배경이 바로 영천(당시 이름 골화천)이다.
- 오다 노부나가 . . . . 1회 일치
사실상 일본을 지배하기 직전까지 갔으나 부하의 배신으로 죽음을 맞는 극적인 모습이나, 인물상을 보여주는 다양한 일화가 남아 있어 현대까지 역사를 기반으로 하는 창작에서 자주 다루어지는 인물이다. 창작물에서도 이미지가 극적이라 무슨 마왕 같은 걸로 나오는 빈도가 매우 높다.
- 오마모리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오미코시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오미쿠지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오방낭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오봉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오석산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오이마치역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오타쿠 혐오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오픈베타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오하라이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온죠우지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왕당파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왝더독/줄거리 . . . . 1회 일치
모스는 알바니아에 위치한 [[이슬람]] 테러조직이 [[핵무기]]를 숨기고 있고, [[캐나다]] 국경에서 음모를 꾸미고 있다는 각본을 짜낸다. 그리고는 이 일을 돕기 위해 동료 예술가인 패드 킹(데니스 리어리), 조니 딘(윌리 넬슨)을 부른다. 국민들을 속이기 위해 알바니아 소녀가 고양이를 안고 도망치는 영상[* 소녀는 섭외한 배우. 고양이와 배경은 [[컴퓨터 그래픽|CG]].]도 찍어 뉴스에 올리고, 미국에 사는 알바니아인들이 대통령에게 감사를 표하는 생방송 뉴스를 조작해낸다. 이 와중에 전쟁이 없다는걸 눈치챈 [[CIA]]에게 잡혀가기도 하지만 브린의 현란한 말빨로 풀려난다.
- 요시노야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우라센케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우마이봉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우메보시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우치데노코즈치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운명의 붉은 실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워저드 . . . . 1회 일치
판타지적인 세계가 배경이며 갑자기 등장한 의문의 적들에 대항한다는 내용.
- 원피스/834화 . . . . 1회 일치
* 하지만 빅맘한테 막대한 연구비를 뜯어내서 그 돈으로 흥청망청 놀고 다니며 탕진했다. 그가 무사했던 건 단지 도플라밍고라는 배경이 있었기 때문.
- 원피스/857화 . . . . 1회 일치
루피 조차도 그런 이야기는 오싹하다고 하는데, 그 오싹한 부분은 조직 운영에도 그대로 반영돼있다. 벳지는 영역이나 지위에는 전혀 흥미를 보이지 않았다. 항상 다른 조직의 "보스의 목"만을 노렸으며 항쟁때에도 보스의 목만을 노리는 기괴한 취미를 보였다. 그렇게 상대를 무너뜨리고 철저하게 금품을 빼앗고 이후 조직 내에서 벌어지는 패권경쟁이나 뒷배경이 되어주던 권력자들이 당황하는걸 보고 즐기는 것이었다.
- 월드 인 컨플릭트 . . . . 1회 일치
World in Conflict. [[미국]]과 [[소련]] 사이의 제3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한 실시간전술게임.
- 위안부 소녀상 망치 테러 사건 . . . . 1회 일치
== 배경 ==
-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유로달러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유목민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율리우스 네포스 . . . . 1회 일치
네포스의 출신은 일치하지 않는 사료가 많아서 확실하지 않은데, 달마티아 지역의 로마 귀족 출신으로 추측되고 있다. 그의 삼촌은 달마티아 총독 마르케리누스로 기록되어 있는데, 그는 [[스트라테고스|서로마 제국의 군사장관]] 플라비우스 아에티우스의 부하로서 아에티우스가 발렌티아누스 3세에게 암살된 뒤 반란을 일으켜, 달마티아 지방[* 이탈리아 반대편에 있는 아드리아 해 해안 북부. 지금의 유고슬라비아 일대.]을 영지로 하여 지배하고 있었다. 마르케리누스의 통치는 여러 황제들에게 승인되어 있었다. 이러한 배경을 가진 네포스는 동로마 황제 레오 1세의 조카와 결혼하여, 동로마 제국의 권력 중심부에 들어가게 된다.
- 은혼/612화 . . . . 1회 일치
* 그때 장막을 뚫고 나오는 손. 하타 황태자 이마의 외설물을 낚아챈다. 똥도 상위비비도 처음부터 없었다. 수형인들이 우리 안에서 위장을 한 것. 똥 무늬의 장막을 내걸고 있던 것 뿐이다. 황태자를 잡은 손은 "상위비비는 주변 배경에 맞게 의태해서 스스로 모습을 감춘다"고 조심하라 경고한다.
- 의적 . . . . 1회 일치
=== 창작물의 예시 ===
- 이름뿐인 관리직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이미연 (배우) . . . . 1회 일치
|배경색= #2449A4
- 이별대행업체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이인성 (화가) . . . . 1회 일치
익숙한 색체와 향토색을 잘 드러내었다 여기에 배경을 과거 신라 도읍지였던 경주로 설정했다 자세히 보면 뒤에 첨성대가 그려져 있고 소년의 발아래 깨진 전통 기왓장이 그려져 있어 장소가 경주임을 보여준다 소년들이 윗옷을 벗고 열대지방인 사람인 것 같은 이색적인 느낌을 준다 이는 근대화되지 않은 원시적인 풍경을 표현했다
- 이철희(1964) . . . . 1회 일치
이러한 비호감에 쐐기를 꽂아버리는 발언이 발생했는데, 첫 번째는 [[http://gosunggo.com/693|박영선 의원과의 녹취록 논란]]이고, 두 번째는 [[유시민]] 씨가 인터넷 방송을 통해 밝힌 [[http://m.hani.co.kr/arti/politics/assembly/735001.html|'특정 지인을 지역구에 꽂아주기 위해 인원을 컷오프했다. 그 배경에 박영선, 이철희가 있다']] 라는 내용.[* 유시민 작가는 불만이 있으면 자신에게 소송을 걸라며 당당하게 주장을 하긴 하였으나 민주당을 떠난 지 오래된 사람인지라 더민주 내부 상황을 얼마나 잘 아는지 의문스럽고 또 정황 증거만 제시할 뿐 확실한 상황 증거는 내놓은 게 없다. 게다가 공개적인 토론 장소에서도 '새누리당 다음으로 싫어하는 정당이 더민주'라고 할 정도인 데다, 그때 김종인 더민주 대표가 정의당과의 당 대 당 야권 연대 방침을 철회하면서 정의당으로서는 지역구에서 궤멸당할 위기에 처했던 상황이기도 했다. 사적인 감정이 배제된 객관적인 판단으로 보긴 어렵다는 뜻이다.][* 해당 발언의 사실성을 떠나서 민주당을 떠난지 오래되었다고 해서 친분이 있는 인사가 남아 있지 않을 것이라고는 볼 수 없으며 심지어 참여정부 시절 한나라당 의원과도 친분이 있었다. 특히 소위 친노 인사들과는 당연히 친분을 유지하고 있고 민주당 내 주류가 친노라는 점에서 유시민 씨가 민주당 내부 사정을 잘 모를 것이라고 단언하기 어렵다.] 이러한 장대한 논란 거리를 만들어내다보니 [[박영선]], [[이종걸]] 의원과 함께 당내의 어그로 지분을 확보했다.
- 이케다 초등학교 사건 . . . . 1회 일치
== 배경 ==
- 인종개량 . . . . 1회 일치
인종개량이라는 용어의 등장은 19세기 말, 일본이다. 당시 일본인들은 서양 문명을 도입하던 시기로써, 우생학도 일본에 전해지게 되어 이것이 인종개량론이 나타나는 배경이 되었다. 다만, 어디까지나 인종개량이라는 것이 혼혈을 통한 개량은 매우 극소수의 사람이 주장하던 것이였고, 의식주 같은 환경을 개량하여 순혈의 잠재력을 최대한 키우자는게 주류고 이게 인종개량을 주장하던 사람들의 대부분 의견이었다. 근데 그래봤자 인종개량이라는거 자체가 일본에서 주류는 커녕 존재감이 크게 없었다.
- 일본 니카타현 이토이가와시 대화재 . . . . 1회 일치
== 배경 ==
- 임신균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임페라토르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자본통제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잘츠부르크 . . . . 1회 일치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의 배경이 되었으며, 이 영화를 주제로 한 투어 코스가 있다고 한다.
- 잠버릇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장우혁 . . . . 1회 일치
|배경색 = yellow
- 장태영(야구선수) . . . . 1회 일치
>'''이런 맞수 대결은 어느 스포츠, 어느 선수에게도 있는 법이다. 이러한 대결의식이 스포츠에 활기를 불어 넣는 요인이다. 나와 태영이는 고향과 성장배경이 달랐어도 야구라는 세계에서 선의의 경쟁을 해온 맞수며 둘도 없는 친구다.'''
- 장혁주 . . . . 1회 일치
일본 문단에서 활동하던 장혁주는 [[1933년]] 장편 《무지개》로 한국 문단에도 선을 보였다. 도시를 배경으로 한 《무지개》도 초기의 사실주의적 작풍이 살아 있는 작품이나, 이후 남녀간의 복잡하게 얽힌 애정 관계가 묘사된 《삼곡선(三曲線)》(1934~1935) 등 점차 통속적인 경향의 소설을 발표했다. 이 무렵 평론가로도 활동했다.
- 전국 BASARA . . . . 1회 일치
일본 전국 시대를 배경으로 재해석된 무장[* 말이 재해석이지 재창조에 가까운 수준이다. 그럴 사람은 없겠지만 이 게임을 하며 이런 인물이구나~ 하면 좀 곤란하다.]을 움직여 수많은 적을 상대하는 무쌍형 게임이다.
- 전기안전관리법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전태일 . . . . 1회 일치
이에 따라 전태일은 삼동회 회원들을 이끌고 [[1970년]] [[11월 13일]] 근로기준법은 노동자들의 인권을 보호하지 못하는 무능한 법이라고 고발하는 뜻에서 [[근로기준법]] [[화형]]식을 하기로 결의하고, [[플래카드]] 등을 준비해 평화시장 앞에서 노동환경 개선을 요구하는 피켓 시위를 벌였다. 그러나 자본가들과 경찰의 방해로 플래카드를 빼앗기고 시위가 무산된 뒤 점심 식사를 마친 그는 공장으로 돌아가지 않고 평화시장 골목 근처에 있다가 오후 1시 30분경, 시장 골목에서 몸에 [[석유]]와 [[휘발유]]를 붓고 라이터를 켠 뒤, 평화시장 앞길로 뛰쳐나왔다. 그는 "근로기준법을 준수하라!", "우리는 기계가 아니다! 일요일은 쉬게 하라!", "노동자를 혹사하지 말라"라고 외치며 시장 앞길을 뛰어다녔다. 이때 전태일의 친구였던 이름 미상의 남자가 그에게 불을 붙였다고 한다. 그의 이름을 알 수 없었던 [[조영래]]는 [[1983년]] [[전태일 평전]]을 집필하며 이 남성의 이름을 김개남이라는 가명을 붙였다. 그러나 정체불명의 남성에게 김개남이라는 이름을 지어준 것이 민종덕이라는 설도 있다. 그에 의하면 '<전태일 평전>에 나오는 가명인 전태일의 벗의 이름 '김개남(가명)'은 민종덕의 창작물이라고 본다. 그는 전태일을 자신의 고향, 고부에서 출정한 동학 전봉준에 비견하였고 비슷한 위용을 떨쳤던 김개남을 전태일 친구의 가명으로 차용한 것으로 보인다.<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427042 전태일·조영래와 함께한 휴가] 오마이뉴스 2007.08.08</ref>'는 것이다.
- 정승화(육군) . . . . 1회 일치
* 대체역사 판타지 소설인 리턴1212에선 장정화라는 인물이 등장하는데, 시작 배경이 12.12사태이기도 하고, 이름도 저작권 및 명예훼손 관련 문제 때문에 변경한 것으로 볼수 있으나, 누가 봐도 정승화 및 그 아들(여기선 아들이 주인공)이다.
- 정시제 고등학교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정좌관심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정칠성 . . . . 1회 일치
[[1923년]]말부터 [[허정숙]], [[정종명]](鄭鍾鳴), 오수덕(吳壽德) 등과 함께 여자도 사람이라고 주장하며, [[가부장제]]의 억압과 남성들의 억압, 제국주의의 억압에서 벗어날 것을 주장하였다. 이어 [[허정숙]], [[정종명]] 등과 함께 여성사회운동단체를 조직하려고 여학생과 부인 중에서 동지를 규합하기 시작하였다. 이 중 신분과 배경을 보지 않고 사람을 사귀던 [[허정숙]]과는 특별히 친하게 지냈으며, 이후 정칠성은 [[허정숙]]과 함께 [[알렉산드라 콜론타이]]의 사상을 조선에 소개하는데 앞장섰다.
- 제2편성제도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제령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제웅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제주특별자치도 . . . . 1회 일치
탐라 건국신화의 배경인 삼성혈
- 존 헨리 . . . . 1회 일치
민담에 나오는 인물이기 때문에 특별히 고정된 줄거리가 존재하지 않지만, 기계와 대결을 벌이고 영웅적인 죽음을 맞는다는 이야기다. 이야기의 배경은 공사 현장에서 가장 뛰어난 노동자 존 헨리가 있었는데, 건설 현장에 기계가 도입되면서 노동자들이 해고당하게 되자 존 헨리가 동료들을 위하여 기계와의 대결을 벌이게 된다는 식으로 전개된다.
- 주나라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죽으면 부처님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지구공동설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지도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지박령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지증왕 . . . . 1회 일치
국보 제264호로 지정된 [[영일냉수리신라비]](迎日冷水里新羅碑)에 의하면 그를 지도로갈문왕(至都盧葛文王)이라 불렀다. 그는 왕으로 즉위하기 전에 [[갈문왕]]에 제수되었다. 그가 왕위에 오른 배경은 그의 장남 원종(元宗, 뒤에 [[법흥왕]]으로 즉위)이 [[소지 마립간]]의 사위인 점이 작용했다. 서자 산종만이 있었던 소지 마립간은 사위인 [[법흥왕|원종]]을 염두에 두고 자신의 사촌들을 제치고, 6촌이자 사돈인 그를 왕위 계승자로 내정했던 것이다. [[소지 마립간]]의 서자인 산종은 후일 [[진평왕]]의 왕비 [[마야부인 (신라)|마야부인]]의 할아버지이며 [[복승 갈문왕]]의 아버지가 된다.
- 진격의 거인/94화 . . . . 1회 일치
파르코는 고향으로 돌아온 것도, 형의 한심한 숙취도 둘째 문제였다. 그는 어젯단 라이너에게 [[진격의 거인/93화|"가비를 구해라"]]고 들었다. 그게 무슨 뜻일까? 새삼 라이너의 이력을 돌아봤다. 4년 전 팔라디섬 작전이 실패로 돌아갔을 때 모든 책임은 라이너에게 돌아갔다. 까딱하면 "임기"를 채우기 전에 갑옷을 박탈 당한 뻔했으나 라이너는 위기를 정면돌파했다. 위험한 전장을 누구보다 앞장 섰으며 목숨을 걸고 여러 전과를 올려 마레에 대한 충성을 입증하고 자신의 임기도 지켰다. "다른 어떤 전사보다도 높은 충성심". 그거야 말로 라이너가 높이 평가받는 배경이었다.
- 질렸다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집단등하교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차내 피난생활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차재욱 . . . . 1회 일치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결승전에서 온게임넷 스파키즈와 [[삼성전자 칸]]이 맞붙게되었는데 대구 전 차재욱이 상대 팀 삼성전자 칸 소속 프로게이머인 [[이성은]]에게 '''x밥'''이라는 발언을 하게된다. 이후 대구에서 승리한 이성은이 상대 팀 부스를 향해 공깃밥을 던지고 빠삐놈 병神 디스코 믹스를 배경음악으로 춤을 추면서 빠삐코 아이스크림을 나눠주는 세레모니를 선보였다.
- 착각 영국인 기사도 사건 . . . . 1회 일치
== 배경 ==
- 창작:IDF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창작:말퓨스 스토리 . . . . 1회 일치
= 배경 설정 =
- 창작:바벨 코스트 . . . . 1회 일치
1940~1950년대, 미국 서부 해안에 위치한 가상의 도시인 바벨 코스트에서 벌어지는 일을 다루는 설정이다. 시대 배경과 인구 분포는 게임 '마피아 2'의 주요 활동지인 '엠파이어 시티'에서 영감을 얻었고 대체적인 분위기는 오리건 주의 포틀랜드 시, 루이지애나 주의 뉴올리언스 시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 천안함 침몰사건 . . . . 1회 일치
## == 배경 ==
- 철공소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청도군 . . . . 1회 일치
사실 이 사건의 경우, 사회의 민주적 의식기반이 없는 상태에서 민주주의적 제도를 시행했을 경우에 생길 수 있는 부작용 사례로써 상당히 중요하게 여겨지는 경우도 있다. 일단 해당 사건들의 배경으로 금권, 관권, 부정선거가 판치는 시기를 겪었던 노인층의 도덕적 해이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분석이 있다. 물론 실제로 금품을 살포한 후보자 및 선거본부가 제일 나쁜 놈들인 건 분명하지만, 선거라고 하면 뭔가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그런 행위가 범죄임을 인식하지 못하여 후보자나 선거운동원에게 '''뭔가 없냐'''고 채근하고, 금품을 줄 수 없다고 하면 '''그러면 선거에 왜 나왔느냐'''고 힐문하기까지 했다는 지역주민들의 책임 역시 결코 부정할 수 없다는 것.
- 청산콜라 무차별 살인사건 . . . . 1회 일치
## == 배경 ==
- 초공동어뢰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춘추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카고메카고메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카네다 쇼타로 . . . . 1회 일치
철인 28호 FX에서는 왕년의 영웅인 중년 탐정.[* 철인 28호 FX의 배경 세계는 초대 철인 28호 이후의 시대다.] 어떤 사건을 계기로 미인 천재 과학자인 사카키 요코와 결혼했으며 부인과의 사이에서 아들인 카네다 마사토를 얻었다. 이 마사토가 시리즈 3기인 FX의 주인공. 그런 이유로 주역의 자리는 내줘야 했지만 소년 시절부터의 짬밥은 어디 가지 않는지 활약도 많다. 중반부터는 인터폴의 장관이 되며, 그에 따라 카네다 탐정 사무소 전원이 인터폴 소속이 된다.
- 카라아게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카미마치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카스미가세키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카치구미 . . . . 1회 일치
== 배경 ==
- 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 . . . . 1회 일치
타이베리안 돈 시기를 배경으로 한 FPS.
- 코알라의 마치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코타츠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코토부키 퇴사 . . . . 1회 일치
여성이 결혼을 계기로 하여 일을 그만두는 일이 일반적이었던 시대 배경과, 여성의 행복=결혼이라는 관념에서 태어난 말이다.
- 콘스탄티노플 공방전 . . . . 1회 일치
== 전쟁의 배경-오스만이 무너지지 않아 ==
- 콜 오브 듀티 . . . . 1회 일치
[[제2차 세계대전]] 배경의 FPS [[게임]]. 플레이어는 [[미군]] 마틴, [[영국군]] 에반스, [[소련군]] 이바노비치를 차례대로 이끌어 전투를 벌인다.
- 콜 오브 후아레즈 : 건슬링어 . . . . 1회 일치
Call of Juarez: Gunslinger. [[서부개척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FPS 게임으로, [[콜 오브 후아레즈 시리즈]]의 네번째이자 제일 최근 작품이다.
- 콩고(소설) . . . . 1회 일치
배경은 1970년대, 장래 레이저 산업 분야나 반도체 분야에서 유망한 용도가 전망되는 블루 다이아몬드 광산을 찾아서, 미국의 지구자원개발연구소는 콩고의 정글로 탐사대의 파견하지만 목적지에 거의 도달한 상태에서 미지의 존재에게 기습당해 전멸된다. 단서라곤 연결되어 있던 영상 통신에 잠깐 잡힌 이상한 고릴라의 모습 뿐.
- 크리스마스 . . . . 1회 일치
영화 [[나홀로 집에 시리즈]]가 크리스마스를 배경으로 하고있다.
- 크림 전쟁 . . . . 1회 일치
== 배경 ==
- 크립토나이트 . . . . 1회 일치
클라크 켄트의 청소년기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 [[스몰빌]]에서는 슈퍼맨과 함께 날아온 녹색 크립토나이트가 스몰빌 동네 곳곳에 떨어졌다. 그리고 크립토나이트의 방사능에 노출된 인간(을 포함한 생물)은 변이가 일어나 각종 초능력을 사용하는 크립토니안이 되어 버린다. 무수한 종류의 크립토니안이 양산되고 있어서 스몰빌의 사회문제(...)는 심각하다.
- 타코베야 . . . . 1회 일치
창작물에서도 종종 비슷한 설정의 시설이 나온다. 예를 들어 '도박묵시록 카이지'의 '제애 강제노역장' 같은...
- 탈북자 망명정부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탐라국 여왕 . . . . 1회 일치
== 성립 배경 ==
- 태보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태영호 . . . . 1회 일치
태영호의 탈북이 어떤 배경을 가지고 진행되었는지는 확실히 알려져 있지 않다. 자녀들의 미래에 대한 불안, 김정은 체제 내부의 정치적 갈등, 국제적으로 고립되는 북한의 상황에 대한 좌절감 등으로 추측되고 있다.
- 태학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토츠카 요트 스쿨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토탈워: 쇼군 2/요원 . . . . 1회 일치
* 실각한 야쿠자 - "자신의 배경에 등을 돌린 자는 장차 때가 올 때 최고의 사냥꾼이 된다."
- 특이한 세금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파워 해리스먼트 . . . . 1회 일치
[[회사]] 등에서 직무상의 지위 같은 직장에서 가지는 우위를 배경으로 하여, [[업무]]로서 적정한 범주를 넘어서 정신적, 신체적으로 고통을 가하고, 업무 환경을 악화시키는 행위를 뜻한다. 약칭 파와하라(パワハラ).
- 파워스톤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페어리 테일/512화 . . . . 1회 일치
나츠의 정신세계에 나오는 제레프는 실제 본인이 맞는 걸로 보이는데 제레프가 생각에 잠긴 모습 다음 나츠의 정신세계로 배경이 바뀌고 제레프도 나타난다. 제레프는 그 자신이 나츠의 정신세계에 개입하고 있는 것 같다.
- 페이데이: 더 하이스트 . . . . 1회 일치
아머가 다 줄어들고 난 후에는 초상화 뒷배경으로 표시되는 체력이 줄어든다. 이 체력은 자동으로 회복되지 않으며 이것마저 다 줄어들면 해당 플레이어는 다운되어 권총으로 겨우 저항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 일정 시간이 지나면 해당 플레이어가 구속되지만 시간이 지나기 전에 다른 플레이어가 구하면 플레이어는 다시 활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 편의치적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평론을 쉽게 쓰는 법 . . . . 1회 일치
* 서양에서 만들어졌는데 동양이 배경 혹은 동양인이 등장할 경우
- 포리(이노센트 투어) . . . . 1회 일치
== 배경 스토리 ==
- 폴리스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풍계리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풍운 . . . . 1회 일치
* 커플박살주의 : 연인도 제대로 살아남는 경우가 드물다. 잘 풀렸다 싶어도 지금 안 죽었다 싶으면 나중에 재등장 해서 죽는다. 주로 여자 쪽. 보통 커플지옥이니 커플 브레이커니 해도 한 번 위기를 거치면서 재성립된 커플은 왠만하면 건드리지 않는 다른 나라의 창작물과 비교하면 엄청난 이질감과 배신감이 느껴질 정도(…). --사실 독고몽이 섭풍을 포기하고 이 만화에서 퇴장한 이유는 죽기 싫어서였다.--
- 프로그램 규정설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프리덤 파이터즈 . . . . 1회 일치
[[제2차 세계대전]] 시절에 결성되었으며 [[나치]]를 비롯한 추축국에 대항했으며 현대를 배경으로 한 코믹스에서도 등장했다.
- 플레이스테이션 2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하이큐/256화 . . . . 1회 일치
하지만 이런 일에 기죽을 히나타가 아니다. 오히려 카게야마와, 자신의 블록을 형편없다 한 야마구치에게 "두고 보라"고 장담한다. 그의 자신감에는 이런 배경이 있었다.
- 하트플러스 마크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학동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한신 아와지 대지진 . . . . 1회 일치
## == 배경 ==
- 한행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핫라인 마이애미/등장인물 . . . . 1회 일치
챕터 19에서 재등장. 가면쓴 사람들에게 지령을 내리고 있던건 이들이었다. 이들은 국수주의자로, 러시아[* 배경이 1989년 이므로 아직 소련일 때.]와 미국의 외교관계에 타격을 입히기 위해 러시아 마피아들을 습격하라는 지령을 내리고 있던 것. 이 사실은 퍼즐을 모으고 맞춰야만 드러나는 사실이다. 이 사실을 들은 후 죽이거나 살릴 수 있다.
- 해수투명도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행복회로 . . . . 1회 일치
[[실장석]](국내명 속칭 '참피') 관련의 창작물에서 나온 설정.
- 허드슨 대학교 . . . . 1회 일치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가공의 대학'''. 미국 창작물에서 자주 나타난다. 왠지 실제로 있을 법한 이름이지만 실제로는 없다.
- 허지애 . . . . 1회 일치
| 배경색 = #00FA9A
- 헤이안 시대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헥사밀리온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혐저 . . . . 1회 일치
이런 사고방식이 나타나게 된 배경에는 2채널 등의 익명 인터넷 커뮤니티이 이른바 [[현실]]에서 외면받는 사람들, [[루저]] 문화에 기초를 두고 있기 때문이라는 견해가 있다.
- 호민관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호시즈나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화식 화장실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화표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회맹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후미에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후지와라 섭관가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후쿠오카 예비교생 살인사건 . . . . 1회 일치
== 배경 ==
- 흑초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히나마츠리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히노쿠니 . . . . 1회 일치
* [[NARUTO]]에서 [[나뭇잎 마을]]의 배경이 되는 [[불의 나라]]가 있다.
- 히키코모리 . . . . 1회 일치
## 창작물에서
- 히토모도키 . . . . 1회 일치
인간으로서 상식이 통용되지 않는 존재, 혹은 창작물에 나오는 인간으로 의태하는 [[요괴]] 종류를 뜻한다.
11531의 페이지중에 421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