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병 속의 악마"을(를) 전체 찾아보기

병 속의 악마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육군 . . . . 199회 일치
          * 보의 방어 능력치 '''{{{#green +1}}}'''
          * 근위의 방어 능력치 '''{{{#green +1}}}'''
          * 기의 방어 능력치 '''{{{#green +1}}}'''
          * 용기의 방어 능력치 '''{{{#green +1}}}'''
          * 흉갑기의 방어 능력치 '''{{{#green +1}}}'''
          * 공의 방어 능력치 '''{{{#green +1}}}'''
          * 보의 방어 능력치 '''{{{#green +1}}}'''
          * 근위의 방어 능력치 '''{{{#green +1}}}'''
          * 기의 방어 능력치 '''{{{#green +1}}}'''
          * 용기의 방어 능력치 '''{{{#green +1}}}'''
          * 흉갑기의 방어 능력치 '''{{{#green +1}}}'''
          * 공의 방어 능력치 '''{{{#green +1}}}'''
          * 공의 지원 능력치 '''{{{#green +25%}}}'''
          * 용기의 정찰 능력치 '''{{{#green +1}}}'''
          * 공의 공성 능력치 '''{{{#green +1}}}'''
          * 보의 방어 능력치 '''{{{#green +1}}}'''
          * 근위의 방어 능력치 '''{{{#green +1}}}'''
          * 기의 방어 능력치 '''{{{#green +0.5}}}'''
          * 용기의 방어 능력치 '''{{{#green +1}}}'''
          * 포의 방어 능력치 '''{{{#green +1}}}'''
  • 토탈워: 쇼군 2 - 사무라이의 몰락/유닛 . . . . 197회 일치
         각 유닛들은 크게 구식 종과 신식 종으로 나눌 수 있다. 게임 내에서 "얘는 구식/신식 종이다,"라고 콕 찍어서 알려주지는 않으니 감이나 게임 내 보너스 등으로 알아내야 한다. 게임 초기에는 구식 종이 상대적으로 저렴하지만 기술이 발전하면서 구식 종의 가격과 유지비가 상승하고 신식 종의 가격과 유지비가 감소한다.
         === 보 ===
         ==== 근거리 보 ====
         냉기를 사용하는 부대. 적 전열보에게 성공적으로 접근한다면 죄다 찌르고 베어버릴 수 있다. 하지만 전열보의 일제 사격에 의해 쓸려나가는 경우가 더 많다.
         ===== 야리 징집(Spear Levy) =====
          * 분류: 창보
         가격과 성능 모두 저렴함의 극치를 달리는 창 150명. 이 게임의 전열보 대부분은 근접전에 엄청 약하므로 극초반에 전열보 호위를 위해 쓰게된다.
          * 분류: 창보
          * 분류: 검보
          * 분류: 검보
          * 분류: 특수보
         력을 배치할 때 중립 지역에도 배치할 수 있으며 어느 곳에나 매복할 수 있다.
         ==== 전열 보 ====
         ===== 징집 민대(Levy Infantry) =====
          * 분류: 민
         소총을 든 민 150명. 싸구려 가격에 걸맞는 싸구려 성능을 가지고 있다. 군학교가 없는 극초반에는 이녀석을 주력으로 굴려야한다. 군학교를 짓고 전열보을 양산하게 된 이후에는 치안 유지용으로 쓰게 된다.
          * 분류: 민
         소총을 든 민 150명. 아이즈 번 전용 유닛으로 징집 민대를 대체한다. 징집 민대보다 쪼까 비싸지만 명중률과 재장전 속도가 더 높다. 그래봤자 전열보 능력치의 절반이다.
         실제 역사에서는 10대 소년들로 구성된 부대였다. 백호대 사 20명이 불타는 와카마츠 성을 보고 성이 함락되었다고 판단, 할복하여 19명이 사망한 "백호대 사건"이 잘 알려져 있다.
         ===== 전열 보(Line Infantry) =====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유닛 . . . . 156회 일치
          * Strength(전력): 육군, 해군, 공군 모두 존재하는 능력치. 부대를 구성하고 있는 사, 장비 그외 등등. 전투나 보급 부족, 위험 지역에서의 주둔 등으로 떨어지며 증원에 생산량을 투자해 인력을 소모하는 것으로 조금씩 회복된다. 해당 수치가 0%가 되면 부대가 몰살당한 것으로 처리되어 삭제된다. 동원령을 발동할 경우 예비군 소집 이벤트와 함께 모든 육군 사단의 조직력이 회복된다. 반면 동원령을 해제할 경우 모든 육군 사단의 조직력이 30%로 하락한다. 어차피 나중에 동원령 소집하면 예비군 소집 이벤트 뜨며 회복되니 인력과 공업력 부어서 회복시키려고 하지는 말자.
          * Retreat(후퇴): 방어전에서 패배한 육군 부대가 하는 행동. 근처의 아군 프로빈스로 이동한다. 만약 졌는데 근처 아군 프로빈스가 없다면 그대로 전멸 처리된다. 후퇴 도중에는 어떠한 명령도 내릴 수 없으며, 적 공군의 공격 등에 취약해지므로 주의. 만약 목적지에 도착했는데 목적지에 적 력이 있다면 전멸 처리된다.
          * Strategic Redeployment(전략적 재배치): 기차를 이용한 력수송. 잠시동안 사라졌다가 지정한 아군 프로빈스에 나타난다. 조직력이 약간 깎인다. 부대를 먼 곳에서 불러올 때 쓰인다. 전략적 재배치 도중 목적지에 갈 수 없는 상황이 되면 수도로 목적지가 변경된다. 이를 이용해 먼곳에 있는 부대를 수도로 워프시킬 수 있다.
         ==== Infantry(Inf, 보) ====
         >보은 아마 당신 군대의 대부분을 구성하게 될 사단입니다. 이들은 비교적 저렴하고 운용하는데 연료를 정기적으로 공급할 필요도 없습니다. 하지만 차량화 운송수단의 부족으로 진격 속도가 제한됩니다. 그럼에도 보은 넓은 지역을 점령할 수 있습니다. 다른 력들이 점령한 땅을 넘겨받을 수 있으니까요.
         ==== Garrison(Gar, 주둔) ====
         >주둔 사단은 후방에서 주요 목표를 보호하는 사들입니다. 이들은 중장비와 운송수단이 부족하기에 전략적 재배치 외의 방법으로 움직일 수 없습니다. 이들은 빈약한 전투 능력을 가지고 있으나 전투 가능 력을 전선으로 돌리게 만들 수 있습니다.
         ==== Militia(Mil, 민) ====
         >민은 값싸고 빠르게 편성되는 보 부대입니다. 훈련을 대강 받았고 장비도 형편없기에 전투에서 쓸모가 별로 없습니다. 하지만 지역을 통제하거나 운용 가능한 부대가 없는 상황에서 최종 방어선을 짜는데는 유용합니다.
         값이 싼 보, 성능도 싸구려다. 언덕, 숲, 도시에서 보너스를 받는다.
         ==== Mountain(Mtn, 산악) ====
         >산악은 산악 지역 작전에 특화된 보의 정예 과입니다. 이들은 산악 지형에서 일반 보에 우위를 점하기 위해 특수한 장비와 전술을 사용합니다.
         언덕 지형과 산 지형, 결빙 날씨에 특화된 보. 특수 보 특유의 긴 생산 시간을 가지고 있다.
         ==== Marines(Mar, 해) ====
         >해은 해변 강습과 다른 해양 작전에 특화된 보의 정예 과입니다. 이들은 해양 지형에서 일반 보에 우위를 점하기 위해 특수한 장비와 전술을 사용합니다.
         우천 날씨, 강 지형, 도하, 상륙 작전 등에 특화된 보. 다른 사단들은 상륙 작전 패널티가 최소 40% 나오는데 해만 '''겨우''' 20%가 나온다. 특수 보 특유의 긴 생산 시간을 가지고 있다.
         수송기에 태워 공수 강하를 벌일 수 있는 보 사단. 특수 보 아니랄까봐 생산이 겁나 오래걸린다.
         ==== Cavalry(Cav, 기) ====
         >기은 대부분의 지형에서 빠르게 움직이며 운용하는데 연료 보급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들은 기갑 부대에 비해 경무장했으며, 이 시기 개발된 자동화기는 말과 사 모두에게 치명적인 피해를 입힐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기은 기동 예비 부대로 유용합니다.
         기동 사단 중 처음 보게 될 녀석. 처음에는 말을 탄 기대지만 테크가 올라갈수록 오토바이를 탄 "반-차량화 기", 장갑차에 올라탄 "기갑 기" 따위가 나오더니 최종 테크에는 헬리콥터를 타고 다니는 "공중 기대"가 튀어나온다. 그리고 테크가 올라가면서 연료를 처먹기 시작하는데 그 양도 겁나게 늘어난다. "기갑 기" 단계에서는 기갑 부대 수준으로 연료를 퍼먹는다. 테크 올리기 겁나 복잡한게 특징.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장관 . . . . 122회 일치
          * 부정적인 효과: 모든 력 조직력 회복률 -5%
          * 긍정적인 효과: 공업력 +5%, 에너지 생산량 +5%, 금속 생산량 +5%, 희귀 자원 생산량 +5%, 보 사단 생산 비용 및 시간 -10%, 민 사단 생산 비용 및 시간 -10%, 주둔 사단 생산 비용 및 시간 -10%, 불만율 증가량 -5%
          * 긍정적인 효과: 보 사단 생산 비용 및 시간 -25%, 민 사단 생산 비용 및 시간 -25%, 쿠데타 당할 확률 -4%
          * 부정적인 효과: 자금 생산량 -25%, 모든 력 조직력 -10%
          * 긍정적인 효과: 소비재 필요량 -5%, 력 생산 비용 및 시간 -10%
          * 긍정적인 효과: 모든 력 조직력 회복률 +5%
          * 긍정적인 효과: 해군 생산 비용 및 시간 -5%, 모든 력 조직력 회복률 +10%, 지휘관 능력치 효율 +10%, 보 사단과 기 사단의 공격 능력 +10%, 보 사단과 기 사단의 방어 능력 +5%, 지상군 속도 +10%, 지상군 조직력 +10%
          * 긍정적인 효과: 모든 력 조직력 +5%, 모든 력 조직력 회복률 +5%, 보 사단 생산 비용 및 시간 -5%
          * 부정적인 효과: 공업력 -5%, 불만율 증가량 +5%, 민 사단 생산 비용 및 시간 +10%, 지휘관 능력치 효율 -10%
          * 긍정적인 효과: 불만율 증가량 -10%, 비방 정책 성공률 +1%, 산업 연구 시간 -10%, 비밀 기 연구 시간 -10%, 자원 비축량 +50%
          * 부정적인 효과: 불만율 증가량 +15%, 모든 력 조직력 -10%, 모든 력 조직력 회복률 -5%
          * 긍정적인 효과: 불만율 증가량 -10%, 보급품 생산량 +10%, 공장 생산 시간 -5%, 소비재 필요량 -15%, 비방 정책 당할 확률 -20%, 반군 지원 당할 확률 -20%, 산업 사보타주 당할 확률 -20%, 산업 스파이 당할 확률 -20%, 연구진 사보타주 당할 확률 -20%, 쿠데타 당할 확률 -50%, 핵무기 사보타주 당할 확률 -50%, 보 사단 조직력 회복률 +5%, 민 사단 조직력 회복률 +5%, 기 사단 조직력 회복률 +5%, 산악 사단 조직력 회복률 +5%
          * 긍정적인 효과: 불만율 증가량 -5%, 공업력 +5%, 자원 생산량 +5%, 공장 생산 시간 -5%, 산업기반 생산 시간 -10%, 소비재 필요량 -5%, 영향력 행사 성공률 +10%, 동맹 성공률 +10%, 협상 성공률 +10%, 영향력 행사 비용 -5, 동맹 제안 비용 -20, 동맹 초대 비용 -20, 동맹 참가 비용 -6, 모든 력 조직력 회복률 +5%
          * 긍정적인 효과: 인력 증가량 +25%, 모든 력 조직력 회복률 +20%, 유닛 생산 비용 및 시간 -20%, 공업력 +5%, 에너지 생산량 +5%, 금속 생산량 +5%, 희귀 자원 생산량 +5%, 불만율 증가량 -5%, 독재 국가 상대로 동맹 성공률 +25%, 영향력 행사 성공률 +10%, 평화시 호전도가 한달에 0.2씩 감소, 자원 비축량 +10%
          * 부정적인 효과: 모든 력 조직력 -10%, 점령지 공업력 -20%, 민주 국가 상대로 동맹 성공률 -10%, 육군 첩보 정확도 -2, 지휘관 능력치 효율 -1%, 전쟁시 호전도가 한달에 0.1씩 증가
          * 긍정적인 효과: 인력 증가량 +10%, 모든 력 조직력 회복률 +20%, 지상군 속도 +10%, 불만율 증가량 -10%, 독재 국가 상대로 동맹 성공률 +25%, 영향력 행사 성공률 +10%, 평화시 호전도가 한달에 0.4씩 감소, 자원 비축량 +10%
          * 긍정적인 효과: 공업력 +10%, 에너지 생산량 +10%, 금속 생산량 +10%, 희귀 자원 생산량 +10%, 지휘관 능력치 효율 +10%, 모든 력 조직력 회복률 +10%
          * 긍정적인 효과: 불만율 증가량 -10%, 인력 증가량 +5%, 지휘관 능력치 효율 +5%, 모든 력 조직력 회복률 +10%, 민 사단 생산 시간 -15%, 닫힌 사회 상대로 동맹 성공률 +25%, 육군의 방어 능력 +5%
          * 부정적인 효과: 기 사단의 전투 능력 -10%, 선전포고에 필요한 적국 호전도 +10%, 독재국가 상대로 동맹 성공률 -15%
          * 부정적인 효과: 소비재 필요량 +5%, 불만율 증가량 +5%, 모든 력 조직력 -10%, 모든 력 조직력 회복률 -10%, 지휘관 능력치 효율 -10%
  • 토탈워: 쇼군 2/유닛 . . . . 91회 일치
          * 사기(Morale): 제일 중요한 능력치 중 하나. 이 수치가 높을수록 전장에서 도망가지 않고 더 잘 버틴다. 아시가루 계열 부대가 낮은 편이며 고급 종일수록 높다.
          * 돌격 보너스(Charge Bonus): 말 그대로 돌격을 했을 때 받는 보너스. 부대를 선택하고 적 부대에게 달리게 하면 돌격이 된다. 기 부대가 높다. 적 보들이 치여서 날아가는거 개꿀.
          * 대 기 보너스(Bonus vs Cavalry): 기과 근접전을 벌일 때 받는 보너스. 창을 사용하는 부대에게 달려있다.
         === 보 ===
         ==== 창 ====
         보통 전선을 짜는데 사용되는 방어형 유닛들. 대기 보너스가 있기에 기에 강하다.
         창을 든 아시가루. 기에 강한 방어형 유닛이지만 게임 초반에는 주력 근접보으로 운용하게 된다.
          * 창벽진(Yari Wall) - 벽처럼 빽빽히 밀집해서 방어 태세를 갖춘다. 적 기의 돌격에 저항력이 높아지지만 궁의 공격에는 취약해진다.
         나기나타를 든 사무라이. 야리 사무라이보다 근접 공격이 높지만 대기 보너스는 떨어지는 야리 사무라이와 카타나 사무라이의 중간쯤 되는 유닛이다. 좋게 말하면 다재다능하고 나쁘게 말하면 어중간하다. 갑옷 수치가 높아서 화살을 약간 잘 버틴다.
         ===== 나기나타 승(Naginata Warrior Monks) =====
         나기나타를 든 승들. 나기나타 사무라이보다 근접전 능력과 사기가 높지만 대기 보너스와 갑옷은 떨어진다. 특히 갑옷은 야리 아시가루와 동급.
          * 창방진(Yari Square Formation) - 기이 측면과 후면을 치지 못하게 모든 방향에 창을 겨누는 사각형 진형을 짠다.
         나기나타를 든 여성 승들. 나기나타 승보다 전투 능력이 뛰어나지만 사기는 약간 떨어져서 사무라이와 동급이다. 여전히 갑옷은 야리 아시가루 수준.
         ==== 궁 ====
         활을 든 아시가루. 적들에게 화살비를 내려줄 수 있지만 근접 유닛이 달라붙으면 지원 력이 올때까지 살아남기만을 바래야 한다.
         ===== 유미 승(Bow Warrior Monks) =====
         활을 든 승. 유미 사무라이보다 사정거리를 포함한 대부분의 능력치가 높지만 방어력은 떨어진다.
         === 검 ===
         카타나를 든 사무라이. 적 보을 각 뜨는데 특화되었다. 대기 보너스가 없으니 기 상대는 좀 힘들다.
         거대한 검인 노다치를 든 사무라이. 근접 공격이 카타나 사무라이보다 약간 높다. 하지만 이 부대의 제일 큰 특징은 28이나 되는 돌격 보너스. 야리 기의 돌격 보너스가 25다. 대신 방어력은 근접 방어 1, 갑옷 2라는 야리 아시가루보다 떨어지는 수치라 전투가 계속되면 큰 피해를 감수해야 한다.
  • 어쌔신 크리드 III/임무일람/주요임무 . . . . 85회 일치
         헤이덤과 찰스 리는 존슨이 유력 용의자로 지목한 용단 소굴앞에서 히키와 조우한다. 히키는 용단이 자료를 훔쳐갔다는건 확인했지만 도적단 소굴로 들어가지는 못하는 상황. 이에 헤이덤은 자신이 후방에서 습격하는 동시에 찰스 리와 히키가 정면에서 공격하는 작전을 짠다. 이 작전에 큰 피해를 입은 용단은 성채 안으로 도망쳐 문을 걸어잠그지만 헤이덤의 화약통 쏘기에 몰살. 헤이덤은 자료가 든 상자를 탈환하는데 성공한다.
         이후 다시 용단이 쳐들어온다. 용단을 막아내며 목적지까지 전진하자. 집 위에서 머스킷을 쏘는 녀석은 총기로만 잡을 수 있으니 주의. 용단을 모두 처리하고 나면 히키가 임금을 두배로 받아야겠다면서 투덜거린다.
          * 용 10명 이상을 총기로 살해.
          * 히키와 대화하기 전에 용단의 본거지로 닥돌해 다 패죽여도 되는건 없다.
          * 이동중인 경비들의 대화를 도청
          * 군악이 지원군을 불러오는 걸 막음
         사우스게이트 요새의 경비을 속이고 들어온 헤이덤 일행. 헤이덤은 여인을 풀어준다. 여인이 어딘가로 사라진 후, 헤이덤은 은밀하게 붙잡힌 원주민을 풀어준다.
         두 사람이 올라간 언덕 밑에는 콩코드라는 마을이 있었다. 카니에티오는 콩코드에 주둔하는 브래독의 사들이 모호크를 몰아내려 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많은 모호크가 희생되고 있다고 말한다. 이에 헤이덤은 카니에티오와 함께 브래독을 죽일 것을 제안한다.
         브래독을 찾아 죽이기 위해서는 브래독이 어디 있는지 알아야 하는 상황. 두 사람은 콩코드에 있는 라이트 여관(Wright Tavern)에 들어가 사들의 대화를 감청, 브래독이 이번 주 내에 원정을 벌일 생각이라는걸 알아낸다. 이후 여관에서 나가려던 중 사들과 싸움이 붙지만 헤이덤이 사들을 모두 두들겨 패버린다. 이때 헤이덤의 얼굴에 난 상처를 지혈해준 카니에티오는 브래독의 기지로 오라고 한 다음 사라진다.
          여관의 테이블 근처에서 반격기를 사용하자. 적 사가 여덟명이나 되니 두명을 테이블에 처박는건 일도 아니다.
          * 경비을 죽이지 않음
          * 첫번째 대포 왼쪽의 경비은 무한정 리스폰된다.
         다섯 달 후, 라이트 여관에서 술을 마시던 헤이덤 일행[* 찰스 리 제외. 찰스 리는 브래독 밑의 사로 있다.]에게 카니에티오가 찾아온다. 카니에티오는 브래독을 습격할 때가 왔다며 헤이덤 일행을 북쪽의 캠프로 보낸다.
         헤이덤은 소수의 원주민과 함께 영국군 정찰대 기지를 습격해 군복을 빼앗는다. 그렇게 군복을 빼앗아 입은 헤이덤은 말을 타고 브래독에게 간다. 마침 브래독은 사 한명을 즉결 처형하는 중. 처형이 끝난 직후 헤이덤은 브래독의 바로 옆에서 권총을 겨눈다. 이때, 프랑스군이 영국군을 습격한다. 헤이덤도 프랑스군 기에게 죽을 뻔 하지만 브래독의 부하로 있던 찰스 리가 프랑스군 기을 쏴죽여 구해준다. 그 사이에 브래독은 말을 몰아 도망친 상황. 헤이덤은 말을 타고 브래독을 뒤쫓는다.
          * 발각되지 않고 사 두명을 암살
         코너는 헤이덤의 부하에게 템플기사단의 계략은 실패했다고 선언하지만, 건너편 건물에서 찰스 리가 총을 쏴버린다. 이로인해 공격받고 있다고 착각한 군인들이 시민들에게 발포, 코너의 노력은 물거품이 된다. 게다가 헤이덤이 사에게 코너를 범인으로 지목하며 코너는 [[보스턴 학살]]을 유발한 주범으로 몰려 군인들에게 쫓기게 된다.
          사 두명 쓰러뜨리는 정도로는 악명 안 오른다.
         코너가 윌리엄 존슨을 찾는다는걸 알게 된 애덤스는 코너를 도와줄 수 있는 사람들에게 데려가려 한다. 길을 가는 도중 애덤스가 "드디어 사람들이 불의에 맞서는걸 보니 기쁘군"이라는 말을 하자 코너는 "노예를 가진 사람이 하는 말이라곤"이라며 애덤스를 까버린다. 애덤스는 자신이 데리고 있는 서리는 노예가 아니라 자유인라고 주장한다. 이렇게 둘은 식민지인의 노예제에 대한 갑을론박을 하던 도중 세금 징수원이 왕당파 사들을 대동하고 세금 징수를 거부하는 집을 공격하는 장면을 목격한다. 마침 식민지인의 권리 문제가 더 심각하니 그것부터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하던 애덤스는 증거가 충분할 정도로 늘어났다는 대사를 치지만 코너는 애덤스에게 먼저 가라고 하고는 집주인의 편을 들어 사들을 공격한다. 사들을 처리하고 난 후, 코너는 집주인에게 괜찮냐고 물어보지만 집주인은 한두번 있는 일도 아니라고하고 감사를 표한 후 가버린다.
         샤페우는 울분을 표하면서 걸어나간다. 샤페우의 말에 호응하며 따라오는 시민은 덤. 코너는 샤페우가 시비를 턴 사들을 처리하며 샤페우를 말리지만 샤페우는 들은 채도 안한다.
         1773년 12월 16일, 보스턴. 코너가 부두를 지키던 경비들을 처리하고 신호를 보내자 애국자들이 배에 올라타 차 상자를 바다로 내던진다. 그 뒤 얼마 되지 않아 영국 정규군이 부두로 들이닥친다. 코너는 애국자들이 차 상자를 모두 내다버리는 동안 영국군과 맞서 싸운다.
  • 월드 인 컨플릭트/줄거리 . . . . 83회 일치
         1988년, [[소련]]의 경제적 파탄으로 냉전이 막바지에 이르렀다. 소련은 이에 대한 책임이 서방에 있다고 주장하며 원조를 요구하지만 협상은 지연된다. 1989년 여름, 원조를 두고 벌어지던 협상이 결렬된다. 소련은 국민들에게 서방의 자본주의자들은 평화 따윈 생각하지도 않고 있었다며 선전하고, 소련 사들은 앞으로 있을 전쟁에 대해 농담을 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전쟁을 경험한, 전쟁이 어떤건지 아는 사들만은 그 농담에 웃지 않았다.
         오를로프스키는 정찰 작전을 준비하던 로마노프에게 서베를린 미군 기지의 방공망 무력화 작전을 지휘하도록 한다. 로마노프는 스페츠나츠 분대를 지휘해 미군 기지의 초을 사살하고 대공미사일 발사대에 폭탄을 설치한다.
         임무를 마친 스페츠나츠가 숲 속으로 사라진지 한시간 후, 올로프스키 휘하 중대장인 니콜라이 말라셴코 대위는 브란덴부르크 문 앞에 모인 사들에게 전쟁을 시작하는 연설을 한다. 그 직후 소련군 Su-25 공격기들이 방공망이 무력화된 미군 기지를 폭격하기 시작한다.
         몰트케 다리를 확보한 소련군은 6월 17일 거리로 진군하기 시작한다. 포대와 육군 항공대 소속 공격헬기의 지원을 받은 소련군은 기습당한 미군을 거침없이 밀어붇힌다. 결국 로마노프는 말라션코와 함께 6월 17일 거리를 확보한다.
         6월 17일 거리를 빼앗긴 미군은 모든 전력을 동원해 절망적인 반격을 시도한다. 로마노프의 부대가 미군의 반격을 막는 동안 오를로프스키는 Tu-95 폭격기의 지원을 요청한다. Tu-95 의 융단폭격은 미군의 마지막 저항을 잿더미로 만든다. 오를로프스키는 무전을 통해 소련군 장들과 이번 전투의 전사자들에게 감사를 표한다.
         미군 장교인 마크 배넌 대위는 소련군의 침공으로 아비규환이 된 시애틀을 험비를 몰며 질주한다. 무전기를 사용하며 험비를 운전하던 배넌은 반대편에서 달려오는 스쿨버스를 피하려다가 험비를 전복시킨다. 배넌은 험비에서 기어나와 해당 지역의 미군을 지휘하던 파커 중위를 찾아간다. 둘은 전부터 알고 지내던 사이였다. 자기 부대를 찾아가려던 주방위군 사 마이클 톰슨과 안톤 로드리게스를 즉석에서 편입시킨 배넌은 시애틀은 사실상 함락되었다며 파커에게 후퇴를 명령한다.
         배넌은 브래들리 장갑차 부대를 지휘하는 파커에게 항구의 정찰을 지시한다. 파커의 부대가 항구에 갔을 때는 민간 화물선에서 소련군 차량들이 쏟아져나오고 있었다. 이때, 워싱턴 주방위군의 핸슨 하사가 도움을 요청한다. 일부 주방위군 사들이 항구 근처에서 소련군에게 포위당한 것. 배넌의 명령을 받은 파커는 주방위군 사들을 구출해낸 후, 항구 근처 주방위군 보급고에서 브래들리 한대를 추가로 확보한다.
         미군은 시애틀을 포기하고 후퇴하기 시작한다. 미군 부대가 괴멸하고 탈영이 발생하는 가운데, 파커는 시애틀 곳곳에서 포위된 주방위군 보들을 구출하고 시애틀에서 빠져나가는 지하차도를 확보해 탈출한다.
         소여는 다리를 무너뜨려 소련군의 진군을 지연시키기 위해 공군의 폭격을 요청하였다. 하지만 다리는 소련군 부대에 의해 양쪽에서 공격받고 있었고, 미군은 폭격기가 도착할 때 까지 다리를 지켜야 했다. 파커는 다리를 공격해오는 소련군을 막는 동시에, 소련군이 점령한 근처 원의 민간인들을 대피시키는데 성공한다. 폭격 시간이 가까워지고, 소련군의 공세가 거세지자 전방 쪽에 위치한 배넌은 파커의 지원을 받으며 후방으로 후퇴한다. 그 뒤 얼마되지 않아 미군 폭격기가 다리를 폭격해 무너뜨린다.
          수송헬기로 력을 공수하는 소련군을 막기 위해 버려진 대공포 세문을 수리한다. M60 전차 한대를 공짜로 증원받을 수 있게된다.
         올로프스키 대대는 한 농촌의 강을 건너려 한다. 강에는 다리 하나가 놓여있었지만 강가가 방어측에게 유리하다고 생각한 올로프스키는 로마노프의 기계화보 중대를 보내 정찰을 벌인다. 하지만 미군의 매복이 발견되지 않자 로마노프에게 다리를 확보하도록 지시한다.
         로마노프 중대는 다리를 지키던 미군들을 무력화시키고 다리를 확보한다. 뒤이어 말라셴코 중대 휘하 A 소대가 다리를 건너오고, 그 뒤 올로프스키 중대의 잔여 력들 역시 다리를 건너오기 시작한다. 이때 미군 전투기가 날아와 다리를 무너뜨린다. 자신의 부하들이 고립되었다는 보고를 들은 말라셴코는 당장 교량전차로 다리를 만들 것을 요청하지만 올로프스키는 너무 위험하다며 서쪽의 얕은 부분으로 건너가 공격하라는 지시를 내린다. 말라셴코는 지금은 우회 공격 따위를 할 시간이 없다고 주장하지만 결국 올로프스키의 지시를 따르게 된다.
         시애틀 근교 고속도로 전투 이후, 소여 대대는 남쪽으로 이동해 파인밸리라는 해안 마을에 도착한다. 원래 계획은 그곳에서 윌킨스 대령이 이끄는 오리건 주방위군 대대와 합류하는 것이었지만 한가지 문제가 있었다. 소련군 공수부대가 파인밸리에 강하해 마을을 점거하고 있었다. 소여 대대의 장들은 2~3일 동안 피곤한 몸을 움직여가며 전투를 벌여야 했다. 그럼에도 불평하는 이는 없었다. 모두가 현재 상황을 잘 알았기 때문이었다.
         소여 대령은 파인밸리 언덕에 휘하 중대장들을 모아놓고 브리핑을 시작한다. 무전인 유리스 이이 소여에게 안 좋은 소식을 전해온다. 윌킨스 대대가 제시간에 오지 못할 것 같다고 무전을 보내온 것이다. 이때, 유리스 이이 저격수에게 당해 쓰러진다. 소여는 위생을 부른 다음 브리핑을 재개한다. 소련군 증원군이 북쪽에서 내려오고 있었기에 최대한 빨리 마을을 탈환하고 농성을 벌여야 했다. 소여는 배넌의 C중대에게 북쪽의 슈퍼마켓을 점거하도록 하고 이들을 웹 대위의 중대가 지원하도록 한다. 파커 중위에게는 동쪽의 주유소를 최대한 빨리 탈환하라는 지시를 내린다. 소여는 아직까지 미군 사들이 처리하지 못한 저격수 좀 어떻게 해보라는 말과 망할 위생은 안 오고 뭘하냐는 말로 브리핑을 끝낸다.
         파커는 오리건 주방위군 소속 공중기대의 M551 셰리던 전차 지원을 받으면서 주유소를 점령한다. 이후 배넌 중대도 슈퍼마켓을 확보하는데 성공하자 소여는 파커에게 마을 중앙의 소련군 거점들을 처리하라는 명령을 내린다. 하지만 웹이 소련군 증원군이 마을 근처에 접근했다는 보고를 하자 소여는 최대한 빨리 거점을 처리할 것을 지시한다. 파커는 배넌과 웹이 북쪽 방어선을 돌파하는 동안 중앙의 소련군들을 쓸어낸다.
         중앙과 북쪽이 무너지자 파인밸리를 점거하고 있던 소련군들은 남쪽의 TV 방송국으로 후퇴하고는 자신들과 미군 사이에 포격을 가한다. 소여는 파커에게 포격을 피해 숲으로 우회해서 방송국의 소련군들을 처리할 것을 지시한다. 그러고는 소련군 보과의 전투에서 쩔쩔매는 배넌을 "유럽 전선에 있었을 때는 좀 더 활기차지 않았나"고 하며 디스한다. 그 동안 파커는 방송국의 소련군들을 처리한다. 방송국 전투를 마지막으로 마을을 점거한 소련군 공수부대가 완전히 와해된다.
         소여는 또다시 휘하 중대장들을 마을회관 앞 광장에 불러 브리핑을 시작한다. 소련군 증원군은 고속도로를 따라 남쪽으로 질주하고 있으며, 약 한시간 내에 파인밸리에 도착할 예정이었다. 소여는 배넌에게 북동쪽의 주유소를 사수하도록 하고 웹에게는 남동쪽 진입로를 사수하도록 지시한다. 마지막으로 파커에게는 북쪽 슈퍼마켓에 방어선을 피라고 명령한다. 이후 소이어 대대는 제1차 방어선을 그럭저럭 유지하지만, 소련군 포대가 슈퍼마켓에 포격을 가해 파커의 중대를 후퇴시키고 웹의 중대가 피해를 감당하지 못해 후퇴하며 제2차 방어선을 치게된다.
         >미군 사 한명이 파인밸리 시내를 달린다. 이곳저곳으로 고개를 돌리며 숨을 헐떡이던 사의 바로 옆에 포탄이 떨어진다. 사는 M16 소총을 떨어뜨리며 쓰러지지만 다시 일어나 소총을 집어든다. 그러고는 눈 앞에 보이는 전복된 [[HMMWV|험비]] 뒤에 몸을 숨긴다.
         >험비 뒤에는 또다른 미군 사가 주저앉아 있었다. 늦게 온 사는 먼저 온 사에게 손을 뻗어서 조심스럽게 밀친다. 먼저 온 사는 죽은 듯이 쓰러진다. 늦게 온 사는 험비 밖으로 고개를 내민다. 소련군 전차 한대가 험비 쪽으로 접근하고 있었다. 사는 황급히 모습을 숨긴다. 그때 포탄이 떨어지는 소리와 폭음이 들린다. 갑작스러운 폭음에 놀라 머리를 감싸쥐던 사는 다시 험비 밖으로 고개를 내민다. 소련군 전차가 산산조각난다. 전차의 포탑이 험비 바로 옆에 나뒹군다.
         >사는 험비의 반대편으로 기어가 해안을 바라본다. 먼지 구름 너머로 거대한 전함의 그림자와 포화가 보인다.
  • 진격의 거인/97화 . . . . 49회 일치
          * [[아니 레온하르트]]는 단에 잠입한 이후에도 첩보업무를 계속 담당, [[케니 아커만]]이 진짜 "벽의 왕"과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하고 그를 미행하고 있었다.
          * [[베르톨트 후버]], [[라이너 브라운]]은 [[에렌 예거]], [[장 키르슈타인]]과 교류하며 단에 섞였지만 아니는 여전히 적응을 못하고 관계가 삐걱거렸다.
          * 라이너는 벽의 왕을 끌어내기 위해 월 로제 파괴를 계획하나 "너의 친구들이 죽는다"는 아니의 비아냥에 "그들은 친구가 아니라 악마"라며 받아친다.
          * 그러나 잘 적응한 듯 보였던 라이너나 베르톨트도 한계에 달하고 있었고 적이라고 생각했던 단의 동기들을 진심으로 대하고 있었다.
          * 파르코는 가비를 재치고 갑옷을 계승할 가능성이 없다고 생각해 침울해져 있는데, 우연히 일전에 도와주었던 장발의 상이사와 재회한다.
          * 그 사는 기억 상실을 핑계로 대고 수용구에 남아 있었지만, 사실 가족들에게 돌아가기 껄끄러워 그렇게 속이고 있던 것. 팔코는 그 사실을 숨겨 주기로 한다.
          * 사는 팔코의 고민은 눈치채고 "남이 내몬 지옥과 자기가 스스로 선택한 지옥의 모습은 다르다"며 그건 "계속 나아가야지만 알 수 있다"고 조언하는데.
          * 파르코는 상이사와 친구가 되어 그를 "크루거"라고 부르게 된다. 크루거는 파르코에게 수용구 바깥에서 가족에게 보내는 편지를 보내달라고 하는데.
          * 애니 레온하트는 어떤 남자를 추적 중이었다. 타깃은 검은 코트의 남자. [[케니 아커만]]이었다. 단에 들어간 뒤에도 그녀의 본래 업무는 바뀌지 않았다. 평범한 소녀로 꾸민 채 숙소를 벗어난 그녀는 케니의 뒤를 미행했다. 그는 애니가 조사한 왕정의 하수인 중 하나였다. 하지만 그는 뭔가가 달랐다. 직감 뿐이었지만 그녀는 그것을 놓치지 않았다. 그의 뒤를 캐면 진짜 "벽의 왕"이 나타날지 모른다. 그녀는 그 가능성에 걸고 남자를 뒤쫓고 있었다. 어느덧 남자의 행로는 평범한 소녀가 어울리지 않는 곳으로 접어들었다. 뒷골목. 하지만 애니는 멈추지 않았다. 남자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했다. 그가 모퉁이를 돌았다. 애니도 모퉁이를 돌았다. 그 다음, 아무도 없었다. 그녀가 어리둥절해 있는 동안 남자가 뒤에서 나타났다. 어깨를 붙잡을 때까지 아무런 인기척도 없이.
          * 식당에선 또다른 일과가 기다리고 있었다. 라이너의 옆 테이블에서 [[엘런 예거]]와 [[아르민 알레르토]], [[미카사 아커만]]이 식사 중이었다. 엘런은 아침부터 심기가 불편했다. 라이너가 유독 살기등등하다고 말을 걸자 맞은 편에 앉은 [[장 키르슈타인]]이 어제 훈련 탓이라고 참견했다. 입체기동장치 실습. 자기 와이어에 얽혀 죽을 뻔한 엘런. 장이 꼴사납다고 빈정거리자 엘런은 "거인한테서 도망치는 훈련을 하는게 더 꼴사납다"며 말상자식이라고 받아쳤다. 장은 다시 엘런은 용감하게 돌격하자 와이어가 엉켜 죽을 거고 거인이 그걸 보고 미친 듯이 웃을 거라고 빈정거렸다. 슬슬 때가 됐다. 어김없이 멱살잡이가 이어진다. 그걸 막는 것도 라이너의 일과. 단에 들어온 뒤 항상 하는 일이다. 달라진건 없다. 저쪽, 조금 떨어진 위치에서 애니가 시체 같은 얼굴을 하고 있는것 외에는. 애니는 [[미나 캐롤라이나]] 한 테이블에 앉아 있었지만 식사에 손을 댄 흔적이 없었다. 식당의 전원이 소동을 구경하고 있는데 애니는 촛점 없는 시선을 정면에 던지고 있을 뿐이었다. 뭔가 잘못됐다. 베르톨트도 그렇게 느끼고 있었다.
          * 그날 밤은 셋이서 숙소를 빠져나왔다. 훈련단 인근의 벌목지였다. 모이자마자 애니가 심경을 토로했다.
          그 검은 코트 남자는 실력자였다. 잡힐 뻔 한데다 이미 얼굴이 들켰을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중앙헌에 들어가는 것도 죽으러 들어가는 셈이다. 애니는 한계를 선언했다. 이제 여기서 모은 정보를 가지고 마레로 돌아갈 시간이다. 그때로부터 약 5년. 이정도 정보라면 당국도 납득해줄 거라고 생각했다. 라이너의 생각은 달랐다.
          훈련이 토르스트구에 체재 중인 시기에 조사단이 벽 밖으로 나가는 때가 있다. 그날 결행한다면 벽 안은 극도의 혼란에 빠지고 훈련들도 현장에 배치될 테니 자연스럽게 기회를 만들 수 있다. 그대로 모습을 감추고 시체가 발견되지 않아도 그저 먹혔다고 생각할 것이다. 그 후에 왕도로 들어가는 난민 무리에 낄 수도 있고 다시 사를 계속할 수도 있다. 요점은 벽의 왕을 자극하고 그의 움직임에 맞출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
          >몇 번이나 말했잖아. 놈들은 친구가 아니야. 우리들하고는 다른 엘디아의 악마다.
          * 가비를 구하고자 했던 파르코의 결심은 별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가비는 여전히 선두였고 이대로 가면 갑옷을 계승할 것이다. 이대로는 안 돼. 파르코가 중얼거렸다. 그는 집으로 향하고 있었다. 그때 큰 길 곁에 원이 보였다. 상이군인을 수용한 원이었다. 어디든 한 군데씩, 혹은 온 몸이 망가진 엘디아인 사들이 서성거리는 곳이었다. 그들을 바라보던 가비는 뜻밖에 부름을 받았다. 우측 후방의 벤치였다. 거기서 왼발이 없는 사가 그를 부르고 있었다. 익숙한 얼굴이었다. 레벨리오로 귀환하던 날, 그때 그가 도와줬던 장발의 귀환이었다. 사는 목발을 기대뒀던 옆자리를 비워주며 앉기를 권했다.
          * 상이원에 가득한 원. 그 벤치에 나란히 앉은 전사 후보생과 외발의 사. 묘한 풍경이었다. 파르코는 무슨 말을 꺼내야할지 주저하다 일단 사의 경과가 좋아보인다고 말해봤다. 어쨌든 대화가 가능할 정도로 회복된 걸 테니까. 그리고 사는 생각지도 못한 대답을 내놨다.
          그의 명은 기억상실이었다. 하지만 그건 거짓말. 단지 집으로 돌아가고 싶지 않아서 둘러대는 말이었다. 지금은 가족하고 얼굴을 마주보기 껄끄럽다, 그가 그렇게 말하는 동안 파르코는 그의 잘려나간 왼발을 바라봤다. 무슨 뜻인지 알 수 있었다. 사가 원에 이걸 말할 거냐고 묻자 파르코는 전혀 아니라고 대답했다. 다시 대화가 끊겼다.
          사는 파르코의 상처에 대해 물었다. 마레의 전사가 되기 위한 훈련에서 입은 상처냐고. 파르코는 훈련에서 생긴건 맞지만 전사는 되지 못할 거라고 자학했다. 자기보다 우수한 녀석이 있어서 전사가 될 수 없을 것 같다고 말하자, 이번에도 사는 생각지도 못한 대답을 했다.
          귀를 의심하는 파르코에게 사가 덧붙였다.
          파르코에겐, 수용구 안의 엘디아인은 해본 적이 없는 발상이었다. 파르코는 뭔가 깨달은 것 같았지만 그래도 생각을 바꾸지 않았다. 가비를 구해야 하니까. 그래도 그 녀석이 전사가 되지 않았으면 하니까. 파르코는 어쩐지 그런 생각을 사에게 거리낌 없이 털어놨다. 사는 그 까닭을 물었지만 파르코의 태도를 보고 금방 정답을 알 수 있었다. 그 우수한 아이는 여자애라는 것. 그리고 파르코는 아마도...
  • 창작:IDF . . . . 43회 일치
         IDF는 수만명의 상비군 력을 갖추고 있는 모제 군대이다. IDF 모에 응하는 데 특별한 국적 제한은 없으며, 비가맹국 출신이라도 IDF의 모에 참가할 수 있으며, 실제로 상당수의 비가맹국 출신이 IDF에서 복무하고 있다. 다만 모 사무소는 가맹국에만 설치되어 있다.
         IDF는 모에 있어서 선진국의 사관학교 출신자, 군복무 경험자를 우대하며, 특히 장교급 지휘관이나 특수부대 출신을 받아들이는데 적극적이다. 그 결과, IDF의 영관급 이상 장교는 선진국 사관학교 출신자나 퇴역장교 출신자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반면 사들은 상당수 생계를 위해서 IDF에 개인적으로 참가한 제3세계 출신이며, 선진국 출신자 역시 저소득 계층 출신이 많다.
         IDF의 이러한 "불평등"은 외부에서 종종 지적되고 있으며, IDF가 결국 선진 강국의 "용"에 불과하다는 비판을 불러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IDF 회원국은 자국에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 IDF에 군사 파을 요청할 수 있다. 파을 요청할 수 있는 비상사태는 외국의 침략, 국내의 내전, 대규모 폭동, 대규모 재난 등이다. 회원국의 요청에 따라서 IDF 이사국의 승인 결의와 함께 파이 이루어진다.
         파견 주둔지의 계엄 지역에서 치안 유지, 주요 시설 경비를 담당한다. IDF 군사 부문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문으로서, IDF 력 가운데서 가장 많은 수의 인원이 평화유지 부대에 복무하고 있다.
         파견 주둔지에서 민사작전을 담당한다. 공대와 의무대로 구성되며, 피해 복구와 재건 작업, 민간인 구호 등을 진행한다. 배급소와 진료소를 설치하고 운영하여 민간인들에 대한 식량, 의료 서비스 공급 등의 업무를 한다. 파견 지역의 치안 확보와 재건에 기여하고 반군의 성장을 막는다. 각종 국제 구호 조직과 협력하고 있다. 또한 재해지에 나타나는 볼란티어(자원봉사자)를 보호하고 이들의 활동을 통제하는 임무도 맡는다.
          력수송장갑차(APC)
         많은 인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현대전의 흐름상 보의 높은 기동력이 중요해지고 도시 지역과 근방을 순찰하는 일이 많은 만큼 상당수의 보전투차량을 운용중에 있다. 험비는 미군이 L-ATV 사업을 도입하면서 일부 물량을 IDF에 기증하였기 때문에 상당히 많은 수가 존재하지만 L-ATV 사업 비용을 분산하기 위한 조치의 일환으로 IDF가 차세대 력수송장갑차인 L-ATV를 상당수 구매하기로 하였다.
          보
          *소총 : 4만 8000여명 [* 5% 정도가 지정사수 역할을 하고 있다.]
          *중화기 : 1000여명
          *의무 : 2000여명 (이 의무들은 오로지 평화유지 부대를 위해서만 활동한다.)
          *공 : 400여명
         전체적으로 소총 위주의 전투과 위주로 되어있는데, 이는 의무과 공부대를 민사작전 부대에 의존하는 경향을 높이었기 때문이다. IDF가 주로 활동하는 지역인 아프리카나 중앙아시아, 중동 부근은 생각보다 지형이 험하지 않기 때문에 (단, 파키스탄의 산악지역은 예외이다.) 공을 통해 지원받는 경우가 매우 적다. 도시 내에선 자체적인 방어진을 만드는 대에도 능숙하기 때문에 이러한 보구성은 필연적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상당히 적은 중화기 수는 작전시 여러가지 애로사항을 만들 수 있다는 지적을 받으나, 중화기를 동원하는 작전은 보통 지역 정규군의 지원을 받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이러한 부분이 크게 지적받지는 않는다.
          *보전력 : 2,845명
         IDF는 독자적으로 군사재판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IDF 가맹 조약에 따라서 각 가맹국 내에서 IDF 사에 대한 사법권 행사를 인정받고 있다. 민간인 대상 범죄는 사안에 따라서 해당국 사법부에 인도할 수 있다. 군사재판은 불공정하지는 않으나, [[엄벌주의]] 경향이 상당히 강하며, 몇십년 형 이상이 되는 경우도 있다. 몇몇 가맹국에는 IDF 군사 교도소가 설치되어 있어, 유죄 판결을 받은 IDF 사가 수감되어 있다. 형기를 마치고 석방된 사는 불명예제대 처분을 받고 본인의 국적국으로 추방된다.
         == 모 ==
         IDF군의 모은 각 회원국에 설치된 모 사무소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신청을 받은 뒤에는 신원 조사를 거쳐, 심리 검사, 신체 검사를 하고 합격 여부를 통지한다.
         IDF군의 군인 국적이 어느 한쪽에 쏠리는 일이 없도록 하는 목적에서 몇몇 국가에는 모 쿼터가 설치되어 있다.
         파을 결의하는 이사국 측에서는 IDF는 파으로 발생할 수 있는 정권이 짊어지게 될 정치적 부담과 책임을 일종의 공동분담과 국제기구라는 틀을 사용함으로서 희석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유효성이 있는 조직이다. 특히, 자국군=자국 국민의 사망으로 인한 부담이 비교적 덜하다는 점에서 강대국들은 IDF를 타국의 군사개입을 쉽게 할 수 있고 세계 질서를 유지하는 수단으로서 유효하게 활용하고 있다.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 . . . . 36회 일치
          핵무기를 개발하고 원자로도 충분히 크면 생산되는 자원. 전략폭격기에 탑재해 적 프로빈스를 쑥밭으로 만드는데 쓰인다. "소형화된 원자폭탄"을 연구하면 비행폭탄과 로켓에도 탑재 가능. 핵공격을 받은 프로빈스는 건물과 자원 수급에 영구적인 피해를 입으며, 해당 프로빈스에 주둔하던 력들도 괴멸적인 타격을 받는다. 불만도는 덤. 영국과 일본[* 영국은 본토에 핵을 맞으면 항복하며, 일본은 본토에 두번 핵을 맞으면 항복한다.]을 제외한 메이저 국가들의 경우 수도에 핵을 맞으면 최대 두번까지 수도 이전 이벤트가 뜬다.
          국가의 혼란도. 장관을 갈아치우던가, 소비재에 필요한 공업력을 할당하지 못했다던가, 핵을 맞았다던가, 신같은 이벤트가 떴다던가 하면 생긴다. 높으면 군대의 전투 능력, 공업력 효율 등을 다 깎아먹는다. 일정 수준 이상 불만도가 생기면 자국 영토에서 반란군이 튀어나오기도 한다.
         전략폭격이나 참타격, 시설 타격, 지상유닛의 전투 등으로 손상되기도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다시 회복된다. 하지만 핵 맞아서 박살나는건 완전히 박살난거라 다시 지어줘야한다.
          해군 유닛이 주둔하는 곳. 크기 1 짜리 해군 기지(항구)는 해군 유닛의 모항으로 사용하지 못한다는 점에 주의. 력 수송용 정도로나 사용할 수 있다. 해군 기지의 사이즈에 따라 보급&증원&업그레이드 효율이 높아지고, 주둔한 해군 유닛의 수에 따라 효율이 낮아진다. 해군기지가 위치한 프로빈스가 적에게 넘어가면 그곳을 거점으로 삼던 해군 유닛들은 바다로 탈출, 보급 부족으로 피가 깎여가며 제일 가까운 아군 해군 기지로 이동한다. 미리 생산하고 원하는 프로빈스에 배치할 수 있다.
          원자 관련 연구 속도를 가속시켜주는 건물. 핵무기 관련 연구가 완료되고, 충분한 크기의 원자로가 있으면 핵무기를 자동적으로 생산하기 시작한다. 핵무기 생산 속도는 원자로의 크기에 비례한다. 에너지를 생산하지는 않는다. 매뉴얼에 따르면 "핵 실험 시설"이라고 하는게 더 나았을 거란다. 미리 생산하고 원하는 프로빈스에 배치할 수 있지만, 한 프로빈스 밖에 지을 수 없다. 신같은 곳에 배치해서 뺏기거나 하지 않게 하자. 적국에게 빼앗기면 그 즉시 파괴된다.
         동원령 1단계. 군대가 없고 경찰이나 민대 같은 준군사조직이 전부인 상태다. 현실에서 볼 수 있는 예시는 현대의 [[코스타리카]].
         동원령 2단계. 모제. 현실의 예시로는 현대의 [[중국]]과 [[일본]].
         인력이 엄청 느리게 늘어서 없는 것으로 치는게 낫다. 이 단계에서 생산이 완료된 모든 유닛들은 숙련도 80을 달고 나온다. 1936년 미국이 이 상태로 시작한다. 일반적으로는 Prolong Terms of Service(복무 기간 연장)디시전을 통해 징제를 시행할 수 있다.
         징제 시행 조건은 민주국가의 경우에는 간섭주의적이어야 하며, 불만도가 5% 미만이어야 한다. 독재국가의 경우에는 불만도가 8% 미만이면 징제 시행 가능.
         동원령 3단계. 일부만 랜덤으로 징집(선발제 복무)하거나 일정한 기간만을 복무(시간제 복무)하는 단계. 선발제복무의 예시로는 제비뽑기로 징을 하는 현대의 [[태국]]이, 시간제 복무의 예시는 한 달에 한 번 주말에 훈련을 받는 현대 [[미국]]의 [[주방위군]]이 있다.
         미국의 경우 징제를 시행하려면 이벤트를 통해 이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런데 국회에서 높은 확률로 퇴짜를 놓는다.
         ==== Conscript - Normal Term(징제 - 일반적인 기간) ====
         동원령 4단계. "일반적"이라고는 하지만 1년을 복무하는 징제다.
         ==== Conscript - Extended Term(징제 - 연장된 기간) ====
         동원령 5단계. 2년간을 복무하는 징제다. 현실의 예시로는 현대의 대한민국을 들 수 있다.
         ==== Conscript - Long Term(징제 - 장기간) ====
         동원령 6단계. 3년을 복무하는 징제다.
         징제/모제 구분 없이 "Enact Partial Mobilization"(부분 동원령 시행) 디시전을 발동시키면 이 상태가 된다. 20세에서 50세까지의 남성을 징집한다. 이 단계부터 생산된 유닛에게 숙련도 보너스가 붙지 않는다.
          * Annex Nation(합)
          대상 국가를 합한다. 대상 국가와 전쟁 중이며, 대상 국가의 수도 및 모든 승리 점수를 빼앗아야 한다.
  • 토탈워: 쇼군 2 - 사무라이의 몰락/요원 . . . . 36회 일치
         장군이 없는 부대는 아군 지역에서도 보충 력을 받을 수 없으므로 되도록이면 한 부대에 하나씩 배속하자.
          * 참술 - "배도 고프고 맨발 상태라면 어떤 남자도 싸우려고 하지 않을 것이다."
          * 고무적인 지휘관 - "흠잡을 데 없는 말은 수천 명의 사들로 하여금 기꺼이 죽음을 맞이하도록 할 것이다."
          공격자 스킬 요구. 공격 시 지휘력 +1, 호위대 력 수 +25%
          * 클로로폼 - "아무런 감각을 느끼지 못할 겁니다."
          * 아군 력에 배속시 부대를 고무해 사기를 올리고 다른 번 요원의 공작 성공률을 감소시킴
          * 다른 번의 력에 침투시 해당 력을 혼란시켜 한 턴간 이동하지 못하게 만들 수 있음
          * 아군 력에 배속시 열정을 주입해 돌격 능력을 늘림
          * 다른 번의 력에 침투시 해당 력을 설득해 아군으로 만들 수 있음.
          * 아군 력에 배속시 규율을 주입해 근접 방어력을 늘림
          * 다른 번의 력에 침투시 해당 력을 강압해 아군으로 만들 수 있음.
          * 아군 력에 배속시 이동력과 시야를 늘림
          * 다른 번의 력에 침투시 해당 력을 상대로 파괴공작을 벌여 발목을 잡을 수 있음.
          * 자신의 성에 모 감독 활동을 통해 유닛 모집 가격을 내림
          * 아군 력에 배속시 부대를 훈련시켜 숙련도를 늘림
          * 다른 번의 력에 침투시 해당 력을 상대로 교란작전을 벌여 사기를 떨어뜨리고 력 손실을 발생시킬 수 있음
          * 군인(Soldier) - "고향? 영과 술이 내 고향이지, 젊은이."
          군사 행정 시 능력 +1, 모 감독 시 능력 +1
          장교 스킬 요구. 이 요원의 성공확률 +1%, 모 감독 시 능력 +1
          군인 스킬 요구. 건물 파괴 시 능력 +1, 이 요원이 배속된 군대에 있는 포 부대의 재장전 기술 +10%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기술 . . . . 34회 일치
         보 계열 유닛들과 참, 야전수리를 담당하는 기술들.
          보, 주둔, 민 사단과 헌 여단에 관련된 연구. 처음부터 연구할 수 있다.
          산악 사단에 관련된 연구. 처음부터 연구할 수 있다.
          해 사단에 관련된 연구. 1916 Infantry Division 연구와 1916 Light Infantry Division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차량화보 사단에 관련된 연구. 1931 Infantry Division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기계화보 사단에 관련된 연구. 1942 Motorized Infantry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기 사단과 기 여단에 관련된 연구. 처음부터 연구할 수 있다.
          공 여단에 관련된 연구. Army Logistics 1911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연구를 할 때 마다 새로운 공 여단이 해금되는 것 뿐만 아니라 보급 거리, 운송력, 공군 기지 건설 속도에도 보너스가 붙는다.
          포 여단과 야포 여단을 연구하는 곳. 처음부터 연구할 수 있다. 테크가 엄청 세세하다.
          보 사단과 산악 사단, 포 종류 여단들의 대전차 공격력을 올려주는 연구. Great War Heavy Field Artillery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포 종류 여단들의 보급품 소모량과 대보 공격력을 올려주는 연구. Basic Field Artillery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자주포 여단과 구축전차 여단의 대보 공격력과 보급품 소모량을 올려주는 연구. Basic Medium Tank 연구와 Early Rocket Artillery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냥 력수송선부터 1955년 력수송선까지의 수송선에 대한 연구. 처음부터 연구할 수 있다.
          대잠기 부속에 대한 연구. 처음부터 연구할 수 있다.
          어뢰 부속의 성능 및 차세대 어뢰 개발에 대한 연구. 중간에 있는 Airdropped Torpedo 연구는 함재기 계열 부속들과 해군폭격기의 효율도 증가시켜 준다.
          인력의 증가율과 부상의 회복 확률에 보너스를 더해주는 연구들. 처음부터 연구할 수 있다.
          1936년 기준으로 일본이 선택한 테크. 사들의 공격 능력과 야간 작전 효율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Improved Light Infantry 연구를 마지막으로 기본적인 현대 교리 밖에 연구할 수 없게된다.
         이외에 력 소모율을 감소시키고 부상 회복 확률을 올려주는 Hospital System 테크와, 기갑 사단과 경전차 사단을 생산할 수 있게 해주는 Armored Division Formation 연구가 있다. Armored Division Formation의 경우에는 각 제2차 세계대전 교리의 특정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는데, Mobility Focus Doctrine과 Manpower Focus의 경우 1937년 연구지만 나머지 교리의 경우에는 1940년이다.
         제트엔진, 로켓, 원자폭탄과 같은 당시 기준으로 실험적인 분야를 다루는 연구들. 연구를 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연구를 완료한 후, 해당 비밀기 연구가 해금되는 이벤트를 봐야한다.
          공의 효율을 늘려주는 Mobile Land Mine 연구와 경전차 계열 여단의 효율을 늘려주는 Remotely Controlled Tank 연구로 이루어져 있는 트리. 해금 이벤트를 위해서는 Armor & Artillery 탭의 Basic Armored Car 연구와 Industry 탭의 Improved Decimeteric Radar Warning Sites 연구, Improved Computing Machine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 어쌔신 크리드 III . . . . 34회 일치
         도시에서 경비들을 죽이면 악명이 오른다. 악명은 총 세단계로 구성되는데, 각 단계마다 다음과 같은 특성을 지닌다.
          * 1단계: 경비들이 플레이어를 의심하게 된다. 변경 지역에서는 이 상태로 고정된다.
          * 2단계: 경비들이 플레이어에게 접근한다. 충분히 접근하면 적대적이된다.
          * 3단계: 경비들이 플레이어에게 적대적이게 된다. 예거가 도시를 돌아다니게 된다.
          * 공격(PC 기준 보통 설정 "LMB") - 카운터. 왠만한 잡의 경우에는 그대로 죽지만 장교와 척탄에게는 안 먹힌다.
          * 모든 사들 - 총을 쏜다. 멀리 도망치거나 근처 적을 인간 방패(가까이 다가가서 스페이스)로 쓰면 된다.
          * 정찰 - 달려들어서 플레이어 등을 뛰어넘는다. 그 직후 공격을 시도하니 카운터킬을 먹여주자.
          * 척탄 - 도끼를 휘두르거나 폭탄을 던진다. 도끼 휘두르기의 경우 동작이 크고 느리니 E를 눌러 굴러서 피하자. 폭탄의 경우에는 되도록 멀리 도망가자.
          * 말을 탄 사 - 돌진한다. QTE로 피할 수 있다.
          지나가는 사람들. 3명 이상 죽이면 비동기화되며 아이는 죽일 수 없다. 돈을 뿌리면 몰려들어 돈을 줍는다. 폭동을 선동해 경비과 싸우게 할 수 있다. 시체를 뒤져 약간의 돈과 잡화 몇개를 루팅할 수 있다.
         === 경비 ===
         도시를 지키거나 하는 군인 등등. 경비들은 플레이어를 보자마자 적대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들의 주의를 끄는 행동을 하거나 수배 레벨이 있는 경우 의심하다가 마침내는 공격한다.
          * 옥상에 있다가 옥상 위에 올라가 있는 사에게 걸리기
          * 사들을 밀치고 지나가기 - 이 상황에서 한번 더 밀치면 강제 전투
          * 사들이 막고있는 길 뚫고 지나가기 - 강제 전투
          * 사들 눈 앞에서 당당하게 살인하기 - 강제 전투
          * 사들 바로 옆에서 전령 쫓아다니기 - 강제 전투
          * 사들 눈 앞에서 시체 주머니를 뒤지거나 시체 들고 다니기 - 강제 전투
          깡패, 밀렵꾼, 용 등등. 이래뵈도 장교나 척탄 같은 구분이 다 되어있어서 우습게보다간 큰코다친다.
          * 민
  • 토탈워: 쇼군 2/건물 . . . . 34회 일치
          * 동시에 모집 가능한 력: 1
         === 기 계열 ===
          * 해당 지역에서 경기을 모집할 수 있게 됨
          * 해당 지역에서 야리 기, 야부사메 기, 카타나 기을 모집할 수 있게 됨 - '''추가적인 건물이 필요함'''
          * 해당 지역에서 모집되는 경기의 기본 숙련도가 1등급이 됨.
          * 해당 지역에서 모집되는 경기, 야리 기, 야부사메 기, 카타나 기의 기본 숙련도가 2등급이 됨.
          * 해당 지역에서 모집되는 경기, 야리 기, 야부사메 기, 카타나 기 모집 기간이 1턴이 됨.
          * 해당 지역에서 모집되는 지상 력의 모집 비용 -10%
         >대장장이는 자신의 의지대로 철을 다뤄 총과 적을 굽힌다.
          * 해당 지역에서 호로쿠 투척을 모집할 수 있게 됨.
          * 해당 지역에서 나기나타 승, 유미 승을 모집할 수 있게 됨 - '''추가적인 건물이 필요함'''
         ===== 원(Hospital) =====
          * 해당 지역에서 잇코잇키 나기나타 승을 모집할 수 있게 됨 - '''추가적인 건물이 필요함'''
          * 해당 지역에서 잇코잇키 카이호교 승, 잇코잇키 유미 승, 잇코잇키 뎃포 승을 모집할 수 있게 됨 - '''추가적인 건물이 필요함'''
          * 이 지방에서 모집된 아시가루, 사무라이, 승, 키쇼닌자, 공성무기의 갑옷 +3
          * 이 지방에서 모집된 기의 돌격 보너스 +3
          * 이 지방에서 모집된 기의 돌격 보너스 +5
          * 모든 유미 승의 숙련도 +1등급
          * 모든 나기나타 승의 숙련도 +1등급
          * 모든 유미 승의 숙련도 +2등급
  • 킹덤/521화 . . . . 32회 일치
          * [[몽념(킹덤)|몽념]]은 적은 력이나 잘 세운 유인책으로 [[기수(킹덤)|기수]]군의 력을 유인해 격멸한다.
          * [[마정]]이 욕지거리를 뱉으며 몽념을 요격하러 출발하나 이미 충분히 재미를 본 몽념은 다시 력을 돌려 퇴각하기 시작한다.
          * 기수는 낙화대를 얕본 점을 인정하고 전력을 쏟아부워 빠르게 정리하려 하나 진군 본대에서 [[마광]]이 5천 력을 끌고 와 훼방한다.
          * 여기에 추가로 기마대와 보대가 섞인 1만 5천 력이 2파로 몰려오는게 확인되자 오히려 기수가 발이 묶이고 만다.
          * [[몽념]]은 고작 5천 력의 낙화대로 3만을 넘는 [[기수(킹덤)|기수]]군을 감당하는 말도 안 되는 임무를 부여받는다. 누가 봐도 절망적이었으나 기마대를 이용한 유인책으로 쏠쏠한 재미를 본다.
          * 기수의 본진에서는 생각지도 못한 유인책에 걸려 황각의 기마대가 괴멸할 판이 되자 속이 터진다. 심지어 퇴각 중에도 뒤를 잡혀 일방적으로 학살 당하자 다혈질인 [[마정]]이 더이상 참지 못한다. 기수도 답답하고 분통 터지긴 마찬가지였지만 그런 성급한 짓을 허용할 순 없었다. 하지만 마정은 말릴 틈도 없이 기 500기를 데리고 몽념에게 달려든다.
          * 몽념은 조군이 새로운 기마대를 보냈고 그 대장이 유독 덩치가 크다는 보고를 듣자 마정임을 직감한다. 다시 반전해서 력을 뺀다. 그걸 보고 마정은 더욱 도발 당해 추격의 고삐를 조인다. 기수는 몽념이 분명 흑양전의 정보를 가졌을 거라 보고 어떻게든 마정을 불러들이려 하지만 쉽지 않다. 그의 짐작이 맞았다. 몽념은 흑양전에서 얻은 귀중한 정보를 살려서 기수나 마정에 대해서도 속속들이 알고 있었다. 특히나 마정은 요주의 인물이었다. 압도적인 무력을 가진 기수의 두 팔 중 하나. [[유동]]이 죽은 지금은 기수에게 남은 유일한 측근이고 그가 죽는다면 기수의 힘은 절반 이하가 될게 자명하다. 따라서 이건 더할나위 없는 기회. 몽념은 여기서 마정을 반드시 처리하겠다 마음먹는다.
          * 생각대로 풀리지 않기는 마정도 마찬가지. 좌측에서 새로운 력이 나타났다. 할아범, [[호점]] 부장이었다. 자기로선 도저히 몽념의 기마를 따라갈 수 없다고 하더니, 용케 여기까지 따라와 있었다. 호점의 기마대가 오영, 개전을 구하고 마정의 진로를 막는다. 그에게 몽념을 부탁 받았던 [[육주]]는 그가 올 걸 알기라도 한 것처럼 늦었다고 한 소리한다.
          * 호점의 원군이 호신호였다. 몽념은 여기서 승부를 보기로 한다. 그대로 부대를 선회시켜 마정을 포위한다. 절호의 기회였지만 딱 한가지, 몽념이 오판한 것이 있다. 마정의 용력. 마정은 수세에 몰린 상황을 조금도 개의치 않고 눈 앞의 낙화대 력을 장작처럼 두쪽낸다. 마정의 목을 따자는 몽념의 말에도 코웃음친다.
          * 마정이 포위. 적 복의 등장. 기수군에 좋지 않은 소식만 줄을 이었다. 낙화대 력이 이제 몽념의 별동대로 모여들면서 총 5천 력이 집결하고 있다. 반명 황각과 마정이 이끄는 기마대가 합류해도 력차는 두 배 이상. 마정을 잃을게 불 보듯 뻔하다며 부관들이 원군을 보내자고 아우성친다. 기수는 그 심각성을 모르지 않았으나 조용히, 냉정하게 상황을 다시 되짚는다. 벌써 1천이 넘는 력을 잃었다. 적의 수가 적다고 얕본게 문제였다. 분명 몽념은 수많은 전략을 능수능락하게 구사하는 인물일 것이다. 지금 펼치는 전술도 기마대의 기동력으로 치고 빠지기를 반복, 조군의 력을 갉아먹는 것이다. 방치하면 외측의 보대의 출혈을 피할 수 없고 어중간하게 기마대를 써도 덫에 걸린다. 뛰어난 전략적 안목을 옅볼 수 있는 대목이다.
          그렇다면 기수의 선택지는 하나. 압도적인 력을 동원해 초장에 끝을 내는 방법이다. 그는 자신의 3만 력 전체를 전개해 낙화대를 포위섬멸하고자 결심한다. 기수 또한 용술에 일가견이 있는 인물. 대군을 일사분란하게 추스러 몽념이 마정에게 시간을 들이는 사이 그대로 잡아먹을 수 있게 움직였다. 딱 하나의 변수만 없었다면 그렇게 됐을 것이다.
          * 기수가 생각대로 력을 펼쳤을 때 지평수를 까맣게 메우는 또다른 력이 등장한다. 기수가 망연자실한 눈으로 그것을 바라본다. 그는 주해평야의 결전이 한두 군단의 격돌이 아니라는 점을 간과했다. 눈 앞에 5천 력이 있다 해서 그게 적의 전모가 아님을 잊고 있었다.
          * 력의 정체는 진군 본진, [[왕전(킹덤)|왕전]]의 오른팔 [[마광]]의 부대였다. 마광군 5천이 급격한 선회로 무방비하게 드러난 좌익을 빠르게 찔러들어왔다. 기수가 오판한데는 중앙과 이곳의 거리차가 큰 점도 있었다. 설마 이렇게 빠르게 진군할 줄이야. 하지만 놀랄 일은 지금부터다. 마정의 뒤로 새로운 력이 다가왔다. 기 약 5천. 기수가 2파의 도착에 대비해 좌측으로 방어진형 구축을 명령한다. 또 급보. 2파는 기마 5천이 끝이 아니다. 5천에서 1만까지 추정되는 보 력까지 따라온다. 최대 2만 력. 이대로라면 단순 력 차이로는 여전히 유리하지만 정황상 기수 측이 수세에 몰리기에 기수는 당황하고 만다.
  • 토탈워: 쇼군 2 - 사무라이의 몰락/건물 . . . . 32회 일치
          * 자동 생산되는 주둔 유닛: 야리 징집 수비대×1
          * 자동 생산되는 주둔 유닛: 야리 징집 수비대×1
          * 자동 생산되는 주둔 유닛: 야리 징집 수비대×2
          * 자동 생산되는 주둔 유닛: 징집 민 수비대×1
          * 자동 생산되는 주둔 유닛: 징집 민 수비대×2
          * 자동 생산되는 주둔 유닛: 징집 민 수비대×2
          * 자동 생산되는 주둔 유닛: 징집 민 수비대×3
          * 자동 생산되는 주둔 유닛: 징집 민 수비대×1
          * 자동 생산되는 주둔 유닛: 야리 징집 수비대×1, 징집 민 수비대×1
          * 자동 생산되는 주둔 유닛: 야리 징집 수비대×1, 징집 민 수비대×2
          * 자동 생산되는 주둔 유닛: 야리 징집 수비대×2, 징집 민 수비대×2
          * 자동 생산되는 주둔 유닛: 보 수비대×1
          * 해당 지방에서 전열 보, 사브르 기대를 모집할 수 있게 됨.
         ==== 영(Barracks) ====
          * 자동 생산되는 주둔 유닛: 보 수비대×2
          * 해당 지방에서 저격, 리볼버 기대를 모집할 수 있게 됨.
         ==== 야전 포학교(Field Artillery School) ====
         ==== 포 사관학교(Artillery Academy) ====
          * 해당 지방에서 미 해대를 모집할 수 있게 됨.
          * 해당 지방에서 프랑스 해대를 모집할 수 있게 됨.
  • 로베르 기스카르 . . . . 31회 일치
         그는 노르망디의 소귀족인 오트빌가의 탕크레드의 12아들중 6째로 그가 후처 프레센다 사이에 낳은 6아들중에서는 첫째다. 당시 할일없고 영지를 상속받을 가망도 없는 노르만 귀족들이 으레 그랬듯이 '용'으로 복무하기 위해 남이탈리아로 건너갔다.[* 당시 비잔티움 제국내에서 '용'이란 '용대'가 아니라 영지를 봉급으로 외부의 기사들을 복무시켜 비잔티움 편제로 훈련시키는걸 말한다.] 그리고 그곳의 노르만 용들이 그의 셋째 형인 '강철팔'기욤을 중심으로 반란을 일으킬때, 기스카르는 형을 따라 종군하면서 비잔티움에 맞써 싸운다.
         그렇게 그해 가을과 겨울동안 여름때 모집한 신들을 훈련시키는데 매진한 기스카르는 칼리브리아나 아풀리아 일대의 그리스인들까지 끌어들이기 위해 자신이 미카일 7세라고 주장하던 사이비 수도사까지 끌어들였다. 그의 말을 믿는 이들은 그리 없었지만, 로베르는 좋은 이용수단이던 그에게 특별한 대우를 해줬다.
         이후 기스카르는 그해 12월에 콘스탄티노플에 대사로 퐁투아즈 백작 라뒬프를 보냈는데, 표면적으로 그가 온 이유는 니케포로스 3세에게 헬레나에게 만족스러운 대우를 해달라고 요구하기위해서였지만, 그의 진짜 목적은 제국의 수도에 있던 노르만 용들의 세력을 결집시켜 원정에 끌어들이는것과, 당시 내무대신이자 실세로 떠오르던 알렉시오스 콤네노스의 협조를 얻어내는 것이었다. 그러나 정작 그가 예상치못하게 알렉시오스가 니케포로스로부터 제위를 찬탈해 알렉시오스 1세로 즉위해버렸고, 노르만족들을 결집시킬 역할을 했어야될 라뒬프 백작은 오히려 알렉시오스에게 감화되어서 그와 우호관계를 구축하자는 기스카르의 의도와는 정반대인 답을 해버린다(....) 라뒬프의 말을 듣고 화가 머리끝까지 난 기스카르는 라뒬프를 ~~갈군~~호되게 질책한 뒤, 브란디쉬와 오트란토에 이미 모여있던 그의 원정군들을 아드리아해 너머 비잔티움령에 보내려 했다.[* 이미 아드리아해 너머에는 그의 장남 [[보에몽 1세|보에몽]]이 이끄는 선봉대가 상륙해 있던 상황이었다.]
         결국 1081년 5월말에 함대가 출항했다. 함대에는 1300명의 노르만 기사와 사라센, 그리스, 그외 수많은 민족의 사들의 보대로 구성되어 있었다. 라구사의 지원군까지 합류한 군대는 해안을 따라 천천히 가서 코르푸에 닿았고, 그곳의 수비대는 즉시 투항했다. 코르푸의 함락은 기스카르에게 상당히 중요했는데, 이로써 발칸 침략을 위한 교두보가 확보되고, 이탈리아의 증원군을 그곳을 통해 좀더 빨리 투입시킬 수 있었기에 그가 침략에 매진할 수 있게 되었다.
         코르푸를 얻어낸 기스카르가 발칸침략의 첫 교두보로 삼은 곳은 일리리아[* 지금의 알바니아]의 중심지이자 주요항구였던 디라키온[* 현재의 두러스]였다. 이곳을 통해 에그나티아 가도를 타고 동쪽으로 마케도니아와 트라키아를 지나면 곧바로 콘스탄티노플로 갈 수 있기에, 이곳을 차지하는건 속전속결로 전쟁을 끝냈어야하는 기스카르 입장에선 상당히 중요한 문제였다. 그러나 그에게는 약간의 불운이 있었는데, 북쪽으로 가서 아크로케라우니아 곶을 도는 순간 갑작스러운 폭풍으로 인해 일부함선과 거기타고 있던 력이 물고기밥이 되버리고, 간신히 그곳연해에 력을 상륙시키고 나자 노르만족들의 확장을 두고볼 수 없었던 베네치아 도제가 직접 함대를 이끌고 기스카르의 해군을 공격한것이다. 노르만 해군은 대응하려 했지만 해전경험에서 베네치아 해군에 비해 한참 밀린데다가 '그리스의 불'까지 사용하던 베네치아 해군을 이길 수는 없었고 결국 베네치아 해군은 디라키온항에 무사히 도착했다.
         그러나 그정도로 기스카르의 열정을 꺾을수는 없었다. 해전전 미리 육군을 상륙시켜뒀기에 육군은 건재했는데다가 그력은 이미 디라키온을 포위했기 때문이다. 이에 알렉시오스는 그의 신뢰하는 부하이자 매제인 게오르기오스 팔라이올로고스를 소규모 력과 함께 디라키온으로 보내면서 어떻게든 자신이 력을 모집해 지원할때까지 력을 묶어놓으라고 지시했고, 디라키온 수비군은 지원군이 온다는 소식에 더욱 격렬히 저항했다. 여름 내내 진행된 포위전은 상당히 격렬했는데, 하루는 게오르기오스가 투구에 화살촉이 박힌 상태로 하루종일 방어전을 진행했을 정도이다. 이윽고 그해 10월 15일에 알렉시오스가 직접 지원군을 몰고 왔고, 4일뒤 역공이 시작되었다.
         이윽고 회전이 시작되었고, 싸움이 시작하자마자 바랑기안 근위대로 구성된 비잔티움군의 우익이 시켈가이타가 지휘하는 노르만군을 압도하기 시작했다. 이때 바랑기안들은 평소보다 유난히 광폭한 상태였다고 하는데, 아마 이때 복무한 바랑기안중 대다수가 노르만 군주 정복왕 윌리엄이 잉글랜드를 정복했을때 잉글랜드편에서 복무한 군인이었기 때문이었던걸로 보인다. 그러나 이들은 복수에만 정신이 팔려 지나치게 앞으로 가 본대와 너무 멀리 떨어져버렸고, 시켈가이타가 직접 말을 몰고 도망자들을 쫒아 이들의 사기를 회복하고, 한편으론 보에몽의 좌익이 이들을 구원하러오자 차단되어버린다. 결국 화살세례를 버티지못한 근위대는 인근의 예배당으로 피신했지만, 노르만 사들이 불을 질러 대다수가 타죽고 말았다.
         한편 황제는 중앙에서 용감히 싸우고 있었지만, 정예들 대다수가 만지케르트에서 궤멸되어버렸고, 중군의 대다수를 차지하던 야만인 용들은 오합지졸인데다가 비잔티움에 대한 애국심도 없었다. 게오르기오스가 이끄는 디라키온 돌격대도 큰 도움이 되지 못했고, 설상가상으로 두클라의 왕인 콘스탄틴 보딘과 룸술탄 슐레이만이 보낸 력이 배신하고 멋대로 돌아가버리는 사태까지 일어나 버렸다.
         할 수 없이 기스카르는 력을 나눠 보에몽에게 지휘를 맡기고, 그리스로 돌아올때까지 수염을 깎지 않겠다고 그의 아버지인 탕크레드의 영혼을 걸고 맹세한뒤 서둘러 아드리아해를 건넜다. 그렇다면 왜 갑자기 이런 완벽한 타이밍에 신성로마제국이 교황을 공격하고, 아풀리아에 대규모 반란이 일어나 기스카르를 방해한것일까?
         그러나 기스카르가 돌아가고 남은 군대를 맡게 된 보에몽은 절대 쉬운 상대가 아니었다. 그의 형이자 당시 세바스토크라토르라는 관직에 있던 이사키오스가 성 소피아 성당에서 종교회의를 열고, 과거 교회의 금과 은을 녹여 전쟁포로들을 되찾아온 전통을 상기시키면서 교회 재산을 모두 몰수한다고 선언해 겨우 전쟁자금을 구할 수 있었지만, 보에몽은 야니나와 아르타에서 알렉시오스에게 대승을 거두면서 그리스일대를 장악하고 테살로니카로 진군하고 있던 것이다. 그러나 알렉시오스는 어찌저찌 라리사에서 전세를 역전시킬 승리를 거두었고, 이후 보에몽의 군대에 항복한 노르만 사들에게 더많은 봉급을 주고 용으로 재고용해주겠다고 보에몽의 진지에 소문을 퍼뜨리게까지 했다. 결국 연패를 거듭한 보에몽은 그리스에서 쫓겨난다.
         한편 기스카르는 즉각 이탈리아로 돌아와 1083년 한여름 안에 아벨라르와 그의 형제인 에르망의 난을 진압하고, 산탄젤로성에서 외롭게 저항하고 있는 교황을 구원하기 위해 새로운 군대를 모집했고, 이듬해 초여름에 로마로 향했다. 그러나 하인리히 4세는 기스카르와 직접 싸움을 걸정도의 바보는 아니었다. 그가 로마성문으로 들이닥치기 사흘전에 군대의 대부분을 거느리고 롬바르디아로 숨어버린것이다. 한편, 기스카르는 5월 27일 밤에 력을 거느리고 조용히 도시의 북쪽으로 돌아가,섀벽에 공격을 개시했고, 순식간에 돌격대의 선봉이 플라미니우스 성문을 뜷고 도시로 진입했다. 로마 시민들은 노르만군에게게 격렬히 저항했지만 그들을 막을 수는 없었고, 마르티우스 광장 전역이 불타는 지역으로 변했다. 이후 노르만 사들은 로마를 약탈하고, 말그대로 개판으로 만들어버렸다. 격분한 로마 시민들은 폭동을 일으켰고, 한때 군중들이 기스카르를 포위해 그대로 끔살시킬뻔하기까지 했다(...) ~~아깝게도~~ 그에게는 다행히도 그의 차남인 로제르 보르사가 력 1천명을 이끌고 그를 구원해 겨우 목숨을 건진 기스카르는 노르만군들에게 도시를 모조리 불태우라고 명령한뒤, 교황을 데리고 남이탈리아로 돌아가 비잔티움에 대한 후속 원정을 준비한다.[* 참고로 이때 기스카르의 나이는 예순 여덟이었다!! 그것도 서양식이니 한국식이면 칠순(....) 대단한 집념이라 할 수 밖에 없다.]
         1084년 가을에 그는 보에몽과 로제르 보르사, 기, 이렇게 삼형제가 이끄는 력들과 함께 150척의 새함대를 꾸리고 비잔티움을 다시 쳤다. 그러나 이번에도 기스카르는 불운을 겪는다. 부르린토에서는 날씨때문에 두 달이나 함대의 발이 묶였고, 가까스로 코르푸 해협을 건너고 난뒤에는 함대가 베네치아 해군의 습격을 받아 두번이나 참패를 당한다. 그러나 그상황에서도 기스카르는 베네치아 해군이 연락선을 그들의 본거지인 베네치아 섬에 보내자마자 남은 함대로 기습을 가해 격퇴하는데 성공한다. 그러나 겨울에 그들은 그 어떤 적보다 가장 무서운 적들을 만나야 했다. 바로 역이었다. 장티푸스로 추정되는 이에 의해 노르만군들 상당수가 쓰러지고 만것이다. 그의 장남인 보에몽도 에 걸려 바리로 이송되었을 정도였다.
         그러나 기스카르는 아직도 자신만만했다. 초여름이 되자 그는 다시 력을 이동시키기로 결정했고, 차남인 로제르에게 선발대를 맡겨 케팔로니아를 점령하도록 한뒤, 몇주뒤에는 그도 거기서 아들과 합류하러 출발했다. 그러나 남쪽으로 항해중 그는 그역시 해당 역에 걸린걸 느꼈다. 함대가 섬의 북단에 있는 아테르 곶에 닿았을 무렵 그의 세는 더더욱 심해졌고, 그의 배는 황급히 피스카르도만에 정박했다. 그리고 1085년 7월 17일에 거기서 그의 파란만장한 인생을 끝마친다.
  • 커맨드 앤 컨커 : 레드 얼럿 2/소련군 . . . . 28회 일치
          보 유닛이 훈련되는 건물. 막사의 수가 많을수록 보 훈련이 빨라진다. 아무리봐도 사의 동상으로 보인다.
          말 그대로 벽. 일반적인 공격을 가로막는다. 보의 총탄에 부서지지 않는다.7
          근접하는 적을 테슬라 에너지로 지지는 건물. 전력이 부족해도 테슬라 보으로 충전시켜 쓸 수 있다.
          생산한 보 유닛을 복제하는 건물. 이 건물이 있으면 모든 보 유닛이 한번에 둘 씩 나온다. 필요없는 보을 복제소에 넣어 팔아치울수도 있다.
          지정한 지역의 차량 유닛을 일정 시간 동안 금강불괴로 만드는 슈퍼무기. 보한테 쓰면 즉사한다.
         == 보 유닛 ==
          * 보
          소련의 기본 보 유닛. 군견보다 싸다. 영어 명칭이 Conscript인걸로 보아 징집인 듯.
          적 보을 한번에 물어죽일 수 있는 유닛. 스파이를 탐지할 수 있다.
          * 테슬라 보
          테슬라 방호복을 입고 전기로 적을 지지는 보. 보과 차량에 강하며, 차량에 깔리지도 않는다.
          * 대공포
          대공포를 사용하는 보. 공중 유닛에 강하고, 보에 그럭저럭 먹히지만 차량한테는 쓰지 않는게 좋다.
          지정한 건물이나 유닛에 폭발물을 설치하는 보. 죽을때도 폭발한다. 쓸모없다.
          자폭하는 보. 죽을때도 폭발한다.
          방사능 빔을 쏘는 보. 배치시키면 주변을 방사능으로 오염시킨다. 방사능에 내성을 가지고있다.
          유리의 클론. 적 유닛을 세뇌시킨다. 배치하면 주변 보을 갈아버리는 기술을 쓴다.
          소련군이 사용하는 자원 채취 유닛. 자원을 채취해 제련소에 밀어넣는다. 기관총이 달려서 보 한둘은 상대할 수 있다. 제련소를 건설할 때 하나 주지만 필요하면 군수공장에서 더 생산할 수 있다.
          재빠른 소형 로봇. 적 차량에 기어들어가 데미지를 입혀가며 조금씩 죽여나간다. 숙주 차량을 죽이고 나면 또다른 차량으로 기어들어간다. 차량에 기어들어간 테러드론을 제거하려면 숙주 차량과 함께 죽이거나 수리하면 된다. 보도 한번에 제거 가능.
          대공포를 올린 장갑차. 보 유닛을 수송할 수 있다. 빠르다.
  • 토탈워: 쇼군 2/요원 . . . . 27회 일치
         부대를 지휘하는 요원. 다이묘, 다 자란 아들, 그외 장군들이 이 요원이 된다. 해군 함대에 붙여서 제독으로도 사용 가능. 장군이 없는 부대는 아군 지역에서도 보충 력을 받을 수 없으므로 되도록이면 한 부대에 하나씩 배속하자.
          * 기 지휘관(Cavalry Commander) - "영광으로 충분하지 않다. 영광의 뒤엔 반드시 강인한 마음이 있어야 한다."
          이 요원이 지휘하는 모든 기이 "쐐기진" 능력을 사용할 수 있게 됨
          이 요원이 지휘하는 모든 기의 돌격 보너스 +2
          이 요원이 지휘하는 모든 기의 돌격 보너스 +4
          기 지휘관 스킬 요구.
          기 지휘관 스킬 요구.
          * 보 지휘관(Infantry Leader) - "올바른 지휘관 아래에 있는 보이 전투에서 승리한다."
          이 요원이 지휘하는 모든 보의 근접 공격 +1
          이 요원이 지휘하는 모든 보의 근접 공격 +3
          야전 방어자, 보 지휘관 스킬 요구.
          보 지휘관 요구.
          장군 호위대의 력 수 +15%
          장군 호위대의 력 수 +30%
          * 아군 력에 배속시 이동력을 늘리고 상대 승려/선교사의 사기 꺾기 성공률을 줄임
          * 다른 가문의 력에 침투시 해당 력을 상대로 파괴공작을 벌여 발목을 잡을 수 있음.
         >메츠케는 다이묘 직속의 무분별한 집행자이며, 자기 가문에 불만을 품은 장군이나 백성을 억제하기 위해 교묘하게 감찰합니다. 또한, 이들은 적군과 아군을 매수할 수 있습니다. 메츠케는 적 요원을 체포하기 위해 수색하고 '법의 심판'을 받게 할 수 있으며, 특히 닌자의 활동을 파악하고 맞서는 것에 효과적입니다.
          * 아군 력에 배속시 군대를 감찰해 충성도를 늘리고 상대 닌자의 공작 성공률을 줄임
          * 다른 가문의 력과 접촉시 뇌물을 주고 매수를 시도할 수 있음.
          * 아군 력에 배속시 군대를 고무시켜 사기를 올리고 상대 메츠케의 매수 성공률을 줄임
  • 트로피코 4/건물 . . . . 27회 일치
          * 노인 의학: 방문객이 원을 방문할 때 마다 수명이 1년씩 늘어납니다. (최대 5년)
         === 원 ===
         ||원은 모든 트로피코인의 의료적 만족감을 충족시켜줍니다. 시민들은 각하를 위해 더 오래 봉사하게 될 것이며, 미국인들은 섬의 환상적인 의료 시설을 보여 감탄해 마지 않을 것입니다.||
          * 노인 의학: 방문객이 원을 방문할 때 마다 수명이 1년씩 늘어납니다. (최대 5년)
          * 1961년에 원을 해금
          * 예방 접종: 방문이 끝난후, 환자는 앞으로 20% 만큼 덜 자주 원에 가게됩니다.
          * 산부인과: 가족들 중 한 명이 원을 방문한다면, 여성이 아이를 가질 확률이 50% 상승합니다.
          * 재활 치료: 유명한 연예인들과 부유한 관광객들의 생활방식을 바꿔줍니다. 환자들의 옛 은 낫지만, 새 을 얻고 돌아갑니다. 오직 관광객들만이 이용할 수 있게 되지만, 수익이 150% 상승할 것입니다.
          * 정신과 동: 스위스 은행 계좌에 $7,500 필요. 부유층과 현대 독재자들에 대한 생각을 뿌리부터 바꿔줍니다. 모든 방문객들의 존경심이 20 상승할 것입니다. 가끔, 환자들이 각하를 사랑하게 되는 부가 효과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굶주린 남성을 카바레로 만족시켜봅시다. 이국적 미를 겸비한 여성들은 이곳을 찾는 방문객들을 즐겁게 해줍니다. 어떤 이유에서인지 특히나 사들이 이 시설을 좋아하더군요. 지금 무슨 상상을 하시는지 모르겠는데. 저 안에선 상상하시는 그런 야한 일은 안 일어난답니다.||
          * 고졸 남성 3명을 사로 고용 가능
          * 통상 훈련: 사들의 숙련도가 통상적인 속도로 증가합니다.
          * 특수 훈련: 사들의 숙련도가 더욱 빠르게 증가하지만 근무 환경은 15% 감소합니다. 숙련도가 높은 사는 전투에서 탁월한 전투력을 발휘합니다.
         사 수를 늘리기 위해 필요한 장교를 고용하는 곳.
         ||군사 기지는 해당 지역에서 각하의 지배력을 확고히 해줍니다. 또한 사들에게 양질의 주거 환경과 의료도 제공하지요. 군사 기지는 장교 한 명만으로도 운영할 수 있습니다.||
         이스트 포인트 사관학교를 졸업한 사관생도는 대졸 수준의 교육을 받은 셈으로 치며 장교나 사 같은 직업에 종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졸업을 아직 못한 생도라도 전투가 벌어지면 기꺼이 참전할 것입니다. 다만, 정규군만큼 강하진 않습니다.||
         화학 공장은 따로 원자재를 필요로 하진 않지만, 막대한 양의 전력를 소모합니다. 진행하는 업그레이드에 따라선 진료소와 원을 개선할 수 있게 됩니다.||
          * 의약품 생산 - $7,500, 10MW 소모. 트로피코산 약은 만통치약입니다. 부작용은 보통 돌연사, 서서히 고통스럽게 사망, 갑작스럽게 점점 고통스러워하며 사망 등이 있습니다. 진료소와 원, 요양원의 서비스 질이 20 상승합니다.
         관저엔 네명까지 사를 들일 수 있으며 시민들을 다스리는 데에 필요한 가지각색의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습니다.||
          * 고졸 남성 4명을 사로 고용 가능
  • 맥닐의 법칙 . . . . 25회 일치
         한 지역에서는 특별히 영향력을 가지지 않던 질이, 인구의 이동과 함께 다른 지역으로 전파되어 다른 지역에 치명적인 타격을 가하는 현상. [[미국]]의 역사학자 맥닐이 체계적으로 설명하여 '맥닐의 법칙'이라고 부른다.
          * 집단 A와 집단 B, 질 X가 있다.
          * 집단 A는 특정한 질 X에 어느 정도 [[면역]]을 가지고 있다. 집단 A의 면역 체계와 질 X는 적절한 균형 상태를 이루고 있어, 집단 A의 사람들은 질에 감염되지 않거나, 감염되어도 세가 치명적이지 않다. 혹은 문화적으로 질 X에 대한 대처법(격리 수용, 증상에 맞는 처방)을 알고 있어, 질에 대처할 수 있다.
          * 집단 A의 일부가 집단 B로 이동한다. 집단 B에게 집단 A가 가지고 있던 질 X가 전염된다. 그러나 집단 B는 질 X에 대하여 면역력도 없고, 대처법도 알지 못한다.
          * 면역력을 가지지 못한 집단 B에게 빠른 속도로 질이 전염된다. 결국 집단 B는 치명타를 입는다.
          * 집단 A는 '''세균기'''의 위력으로 집단 B를 궤멸, 정복시킨다.
         1529년에는 [[홍역]]이 쿠바에서 들어왔으며, 천연두에서 생존한 주민의 2/3를 죽인다. 홍역은 온두라스와 멕시코를 거쳐, [[잉카 제국]]까지 전염된다. 볼거리, 장티푸스, 발진티푸스, 인플루엔자, 디프테리아, 성홍열 등의 질이 뒤따랐다. 최악의 추측에 따르면, 아메리카 대륙의 인구는 90%가 소멸했으며 많은 공동체가 '전멸'하여 파괴된다.
         전염 창궐은 아메리카 대륙 문명에 치명타를 입혔다. 기존 사회의 지도층 인사들이 질으로 연이어 죽어버리면서 사회 체계가 흐트러졌고, 인구가 줄어들고 사회가 마비되어 유럽인들의 군사적 침공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없게 만들었다. 원주민들에게는 정신적으로도 큰 타격을 줬는데, 유럽인들은 면역으로 멀쩡했지만 원주민들은 면역력 없는 질 때문에 큰 고통을 받았기 때문이다. 고대에 질은 [[악마]]의 짓으로 여겨졌으며, [[신]]이나 [[종교]]의 중요한 역할이 질 퇴치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는 심각한 타격이었다.
         유럽인들은 [[기독교]] 신앙의 우월성을 선전했고, 원주민들이 질에 시달리는 것은 타락한 생활을 한 데 따른 징벌이라고 주장했다. 원주민들은 자신들의 신이 질 앞에 무력하고 가호를 해주지 못하는 현실에 부딪치자 열등감과 패배의식을 가지게 되었다.
         이를 의도적으로 이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몽골]] 군이 시체를 적의 성에 [[투석기]]로 던진 것이 이러한 사례로서 성 안에서 질이 창궐하여 현지인들이 저항능력을 잃게 만들었다.
         다만, 언제나 정복자 측이 일방적으로 이득을 보는 것은 아니다. 많은 정복자들이 낯선 땅에서 역에 시달려서 피해를 입고 퇴각하는 경우도 자주 있었다. [[아프리카]]의 [[에이즈]], [[에볼라]] 같은 질은 군사적, 의학적으로 우수했던 서구 사회에도 역시 큰 피해를 입히고 두려움을 안겨다 주었다.--아프리카의 피해가 더 크긴 한데--
          * [[허버트 조지 웰즈]]의 [[우주전쟁(소설)]]에서 [[질]]을 모두 퇴치하여 면역력을 가지고 있지 않던 [[화성인]]들이 지구의 박테리아에 전멸한다.
  • 맥스 페인 2: 맥스페인의 몰락/줄거리 . . . . 25회 일치
         조금 더 과거로 가서 그날 아침. 맥스는 다수의 총상과 뇌진탕을 입고 원으로 실려온다. 생사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었지만 그녀는 그는 살아난다. 맥스는 손목에 꽃힌 링거를 빼내고 침대에서 일어난다. 그는 "그녀는 죽었다"라고 생각하며 죄책감을 느끼고 있었다. 결국 맥스는 자신의 옷을 차려 입고 원에서 도망가기로 한다.
          * 수술실 밖을 나가서 보이는 대기실 TV에서 드라마인 "주소지 불명"을 방영 중이다. 애인을 죽인연쇄살인범인 '존 미라"를 쫓는 남자의 이야기인데, 방영되는 분량에서는 정신원에 끌려간 주인공이 의사들에게 애인을 살해한 정신자라는 이야기를 듣는 장면.
          * 카우보이 마이크를 만난 바로 윗 층의 TV에서는 "캡틴 베이스볼배트보이의 모험"을 방영한다. 맥스웰의 악마라는 악당이 캡틴 베이스볼배트보이의 ~~주적~~여자친구인 바이시클헬멧걸을 납치했고, 캡틴 베이스볼배트보이는 그녀를 구하기 위해 외우주에서 온 좀비 떼거리에 맞서 싸운다는 내용.
         철장이 도착한 곳은 정신원이었다. 맥스는 놓여있는 길을 따라 가며 정신이상자들의 모형과 그것에게 드릴을 들이대는 의사들의 모형, 분홍 플라밍고, 붉은 액체로 차오르는 샤워실 등을 보게된다. 맥스는 그것들을 지나 또다른 철장 안으로 들어간다. 철장은 위로 올라가기 시작한다.
          * 청소부들의 잡담에 따르면 "주소지 불명"의 주인공 "존"이 정신원에 잡혀가서 거울을 통해 본 것은 연쇄살인마 "존 미라"였다. 존과 싸우던 연쇄살인마가 그 자신이었던 것. 이에 청소부 한명이 아직 그 드라마 보지 않았다고 투덜거리자 다른 한명이 그건 꼭 봐야하는 드라마니 DVD를 빌려주던가 웹사이트에서 보던가 하라고 한다.
         맥스는 아내를 죽이는 꿈을 꾼다. 그가 눈을 뜬 곳은 원 침대 위였다. 의료진들이 분주하게 움직이는 가운데, 맥스는 의료진들 가운데 [[모나 색스]]가 있는걸 본다.
         맥스는 실에서 일어난다. 실 문 옆에 있던 모나가 맥스를 부르며 실 밖으로 나간다. 맥스는 모나를 쫓아 원 복도를 달린다.
         어느 순간, 원 복도는 정신원으로 바뀐다. 철장 안에는 또다른 맥스들이 갇혀 있었다. 어떤 맥스는 자신이 아내와 아기를 죽여서 장미 덤불 밑에 묻었다며 울부짖고 있었다. 어떤 맥스는 이런 일을 저지른 놈들에게 죗값을 치르게 해주겠다고 중얼거리고 있었다. 어떤 맥스는 자기가 경찰인지, 환자인지, 갱단원인지, 살인자인지 궁금해하고 있었다. 맥스는 모나의 신음 소리를 향해 달려갔다.
         >여태까지 우리는 잠자는 숲속의 공주에 대해 잘못 알고 있었다.
         파트1의 원 장면으로 돌아간다. 맥스는 윈터슨의 시체를 보고 진통제를 털어먹다가 시체에서 식당 "보드카"의 상표가 그려진 성냥갑을 발견한다. 그때, [[스쿼키 청소회사]] 코만도가 맥스를 발견한다. 하지만 맥스가 영안실 문을 잠갔기에 들어갈 수는 없었다. 맥스는 청소회사 코만도가 동료들에게 무전을 보내는 동안 문을 열고 도망친다.
         맥스는 쫓아오는 청소회사 코만도를 피해 3층까지 도망친다. 하지만 길이 막혀서 관리실 책상 뒤에 숨게된다. 맥스가 청소부들에게 들키기 직전, 원 경비원이 관리실로 들어왔다가 청소부들에게 죽게된다. 맥스는 경비원이 떨어뜨린 9mm 권총을 주워 청소부들을 해치운다.
         경비실에 도착한 맥스는 원 CCTV를 확인한다. 다행히 [[짐 브라부라]]는 살아남아 수술을 받고 있었다. 맥스는 브라부라가 "죽기에는 너무 완고하다"[* Too Stubborn to Die]고 평한 후, 자신은 청소부들을 피해 도망쳐야겠다고 한다.
          * 비니의 집 TV에서는 "캡틴 베이스볼배트보이"가 방영되고 있다. 주인공 "캡틴 베이스볼배트보이"가 애인인 "바이시클 헬멧 걸"을 납치한 "맥스웰의 악마"에 맞써 최종 결전을 벌인다.
          * 또다른 맥스를 쫓아가다 보게되는 TV에서 비니와 블라드가 나온다. 비니가 총기 밀매를 포기할테니 제발 목숨만은 살려달라고 애원하자 블라드는 게임을 제안한다. 블라드가 내는 문제를 맞추면 인형탈 머리에 설치된 폭탄 부품을 제거해 주겠다는 것. 비니는 첫번째 문제[* Q: 캡틴 베이스볼배트보이의 덩치 큰 악당은 누구인가? A: 맥스웰의 악마.]를 맞춰 폭탄의 반을 제거받지만 두번째 문제[* Q: 현실에서 [[맥스웰의 악마]]를 처음 만든 사람은 누구인가? 비니가 낸 답: 캡틴 베이스볼배트보이의 각본가인 새미 워터스. 정답: 19세기 영국 물리학자 [[제임스 클라크 맥스웰]].]에서 틀려서 폭사한다.
          * 경비실에 바로 다음에 나오는 방 TV에서는 "주소지 불명"이 방영되고 있다. 정신원에서 탈출한 주인공은 도시에서 길을 잃는다. 그는 자신이 쫓던 연쇄살인마 "존 미라"가 자신을 살인자로 만들었다고 말하고는 자신이 쫓던 존 미라가 된다. 끝가지 다 보고 나면 청소부 두명이 들이닥치니 주의.
         블라드를 쫓던 맥스는 우든의 방 자동응답기에서 세개의 메세지를 듣는다. 하나는 원에서 탈출한 맥스가 우든을 만나러 가기 전 남긴 메세지였다. 하나는 [[모나 색스|모나]]가 자신은 맥스에게 빠져있기에 그런 일은 할 수 없다고 하는 메세지였다. 나머지 하나는 블라드가 보낸 것으로, 자신은 우든을 위해 더러운 일도 했는데 우든은 그에 고마워하는 기색 하나 없었다며 지금 우든을 죽이러 가겠다는 내용이었다. 맥스는 블라드를 쫓아 윗층으로 향한다. 블라드 역시 맥스에게 총을 갈기며 윗층을 향해 도망간다.
         모든 이음쇠가 빠지자 첨탑을 전망대 위로 떨어진다. 간신히 전망대에서 탈출한 블라드는 돌격소총을 쏘고 화염을 던지며 맥스에게 저항한다.
          * 자동응답기가 있는 방 티비를 키면 청소부들의 원 습격에 대해 보도하는 뉴스가 나온다. [[짐 브라부라]]는 살았다고.
  • 병거 . . . . 23회 일치
         전투용으로 쓰이는 [[마차]]를 뜻하는 말. 좁은 의미의 거는 고대의 청동기 문명 시기에 여러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청동기 시대 이후로는 [[기]]에 밀려서 대부분의 지역에서 실용성을 거의 상실했다.
         [[청동기 시대]]의 거는 여러 마리의 말이 끄는 2륜 마차가 주로 쓰였다. [[마부]]와는 별도로 [[활]]로 적을 저격하는 [[궁사]]가 탑승하였는데, 대개 이 궁사가 거가 가진 전투력에서 핵심이자 리더를 맡았으며 거를 탄 전사들은 청동기 문명에서 [[귀족]] 계급을 차지하였다. 전장에서는 빠른 기동성과 돌파력으로 보을 이끌었다.
         청동기 시대에는 직접 탑승하는 [[기]]의 발달은 미비하였는데, 고대에는 말의 품종 개량이 부족하여 승마에 적합한 말이 적었고 따라서 승마가 불가능하거나 그 효용성이 낮았기 때문이다. [[보]]은 기의 발달이 부족하여 그리 큰 전력이 되지 못했는데, 청동기로 대표되는 청동기 문명이라고 해도 [[청동]]의 제조에는 높은 야금 기술이 필요하여 청동기는 생산성이 낮았다. 대개 청동기는 소수의 귀족 계급만이 무기나 제례 도구로 사용하였고, 보의 무기나 일상 도구는 [[석기]]나 [[나무]], [[구리]]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이렇게 보과 기의 발달이 부족한 상황이라, 야전에서 거는 무서운 위력을 발휘했을 것이다.
         그 크기에서 오는 위압감과 속도를 고려하면, 현실적으로 보이 여러 마리의 말이 끌고 고속으로 이동하는 거에는 근접하기 어려웠다. 거에 탑승한 귀족 전사는 노련한 솜씨로 [[활]]을 쏘며 보을 저격할 수 있고, 설사 보거에 근접한다고 해도 거에 탑승한 전사는 거의 높은 위치와 빠른 속도를 활용하면 유리한 위치에서 폴암류의 장기를 사용하여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었다. 이렇게 위력적인 거의 개발과 생산, 운용에는 많은 수의 말의 보유, 마차의 제조와 유지, 전사의 육성 같은 과제가 필요하여 고등한 문명 지역에서만 대규모로 운용될 수 있었다.
  • 어쌔신 크리드 III/임무일람 . . . . 23회 일치
         몬머스를 지나가던 코너는 한 남녀가 왕당파 사들에게 붙잡혀 있는 것을 발견한다. 사들은 코너에게 신경 끄라고 하다가, 코너가 무시하지 않자 공격한다.
         사들을 모두 쓰러뜨린 코너는 남녀에게 무슨 일인지 묻는다. 왕당파는 워렌과 프루던스에게 전재산을 내놓으라고 했고, 워렌은 이를 거절했다. 그러자 왕당파는 가축들을 죽이고, 땅을 황폐화 시킨 다음 부부를 끌고 나왔다. 프루던스는 코너에게 고마워하지만, 가진 게 없기에 아무 보답도 할 수 없다며 안타까워한다. 그러자 코너는 대번포트 농지를 소개해주며 농장 재건을 돕겠다고 한다.
         코너는 보스턴에서 프랑스어를 쓰는 남자가 사들에게 두들겨 맞는걸 본다. 코너는 남자를 도와 사들을 쓰러뜨린다.
         프랑스어를 쓰는 남자, 노리스는 맥주를 너무 많이 마신 사들이 자기 목소리가 마음에 들지 않았나보다며 너스레를 떤다. 그는 퀘벡에서 온 프랑스계 사람이었던 것. 광부일을 하기 위해 보스턴에 왔지만 억양 때문에 일거리가 들어오지 않는다는 노리스. 코너는 대본포트 농지에 있는 광산을 소개해준다.
         라일은 자신과 다이애나가 다리 다친 선원을 보는 동안 코너가 다른 부상들을 손보도록 한다. 모든 일이 끝나고 나서, 라일은 코너와 다이애나를 칭찬하며 다이애나가 매우 인상깊었다고 말한다. 다이애나에게 소질이 있다고 생각한 라일은 다이애나에게 자신의 조수가 될 것을 제안한다. 다이애나는 캐서린이 아이를 돌바 줄 수 있을 거라며 승낙한다.
         존스타운을 지나던 코너는 영국군이 한 남자를 붙잡고 그를 탈영이라며 목매다려는걸 목격한다. 코너는 이 현장에 난입, 영국군 사들을 해치운다. 마지막으로 남자를 붙잡고 인질극을 벌이던 사까지 처리한 후, 코너는 남자의 묶인 손을 풀어주며 무슨 일인지 물어본다.
         노리스는 미리암에게 선물할 칼의 제작을 빅 데이브에게 맡긴다. 빅 데이브는 노리스가 만들어낸 금속이 너무 훌룡해서 낡은 도구로는 손을 댈 수 없다고 한다. 뉴욕에 있는 가게에서 적당한 도구를 팔고 있지만 탈영인 빅 데이브가 뉴욕에 가기에는 위험한 상황. 코너가 대신 뉴욕에 가서 도구를 사오기로 한다.
         뉴욕에 있는 가게에서 망치 대가리와 손잡이를 사고 나오던 코너는 사들이 빅 데이브에 대해 얘기하는걸 듣는다. 대번포트 농지로 돌아간 코너는 빅 데이브에게 도구를 전해주며 영국군이 그를 찾고 있다는 소식을 전한다. 빅 데이브는 그럴 줄 알았다며, 언젠가는 영국군을 상대해야겠다는 말을 남긴다.
         코너는 여관 앞에서 올리버와 빅 데이브가 영국군 정찰 한명을 붙잡은걸 본다. 빅 데이브의 말에 따르면 그 정찰은 탈영인 빅 데이브를 찾아 여관 근처에 숨어 들었다가 잡힌 것이었다. 그 정찰은 자신 혼자 왔다고 주장했지만, 또다른 정찰이 코너에게 들켜서 도망친다.
         코너가 도망치는 정찰을 처리하고 돌아와 보니, 다른 정찰이 올리버와 빅 데이브를 뿌리치고 달아난 뒤였다. 코너는 농지에 영국군이 들이닥칠걸 예상한다.
          * 이 임무 이후 던컨 리틀이 암살단원으로 들어온다. 암살단원들이 코너를 의심하는 경비을 제거하도록 하는 "경호원" 기능을 쓸 수 있게 된다.
         해당 지역 템플기사단의 수장은 영국군의 보호를 받으며 숨어있었다. 야콥 젠거는 영국군이 계엄령을 방해하고 다닌 코너를 찾는걸 이용해 코너가 사들에게 붙잡힌 것 처럼 위장, 템플기사단의 수장에게 두목에게까지 배달하는 계획을 세운다.
          * 이 임무 이후 데보라 "도비" 카터가 암살단원으로 들어온다. 암살단원들이 경비을 소매치기하고 도망쳐 근처 경비을 유인하는 "유혹" 기능을 쓸 수 있게된다.
  • 진격의 거인/94화 . . . . 23회 일치
          * 대화는 "팔라디 섬의 악마들"로 흘러가는데, 라이너는 "거기는 지옥이고 악마들이 산다"고 하면서도 그곳에서 "사"로 살던 시절을 그리워한다.
          파르코는 라이너를 의식해서 힐끗힐끗 돌아봤던 건데, 가비는 그걸 수상하게 여기고 있다. 이걸 "반역의 예조"라며 부대에 보고하겠다고 으름장을 놓자 파르코가 "이게 누구 때문인데!"고 항변한다. 가비가 알아듣지 못하자 라이너와 지나가던 사들이 "가비 너 때문"이라고 입을 모은다. 당사자만 의미를 몰라서 반발하느라 파르코에게서 관심이 떨어진다.
          * 상봉을 마친 가족들이 집으로 돌아간다. 파르코도 그 행렬에 끼어있었지만 길 가장자리에 또다른 행렬을 발견하고 발걸음을 멈춘다. 엘디아인 부상들이었다. 코스로라는 사가 인솔 중이었다. 이들은 전방에서 오랫동안 참호를 파온 사들이다. 하지만 심각한 부상을 당한데다 심적외상까지 발생했다. 이들은 가족도 돌아갈 곳도 없는 부류여서 곧바로 원으로 이송된다. 이들의 상태는 한 눈에 봐도 폐인이다. 코스로가 "콰앙!"하고 폭발음을 모사하자 곧바로 패닉상태에 빠진다. 코스로는 그걸 보고 껄껄 웃는다. 파르코는 가족들이 형을 부축해서 먼저 가도록 하고 자신은 남아서 부상들을 부축한다. 그는 다리 잃은 부상의 완장을 바르게 채워주면서 꼭 괜찮아질 거라고, 당신은 이제 싸우지 않아도 된다고 위로한다.
          가비가 그 말에 눈을 빛낸다. 카리나는 일족에서 둘이나 계승자를 내는 것, 그들이 마레에 인정 받는거야 말로 긍지라고 말한다. 이제 그녀의 소원은 그 섬, 팔라디 섬의 악마들이 사라지는 것이다. 그렇기만 한다면 모든 엘디아인이 행복해질 수 있을 거라 믿었다. 라이너는 어머니의 맹신에 아무 말도 하지 못한다.
          * 가비는 카리나에게 "전사대가 섬의 악마들로부터 엘디아인을 지킬 거야"라고 안심시킨다. 팔라디섬에 대한 의견은 엘디아인 전반에서 공통적이다. 그들은 마레에서 가르친 대로 섬의 악마들이 언제든 대륙으로 돌아와 모든 걸 멸망시킬 거라고 믿고 있다. 이 식탁에 모인 사람들도 그랬다. 엘디아인이 멸시 당하는 것도 바로 그들 때문이라 생각했다. 화제가 이렇게 돌아가자 자연히 그 섬에서 5년이나 생활했던 라이너에게 화살이 쏠린다. 은연 중에 그 섬에 대해서 묻는데, 가비가 그런 걸 물으면 안 된다며 가족들을 말렸다. 애초에 팔라디섬에 대한 정보는 기밀인데다, 그 지옥 같은 섬에서 잠복했던 경험을 누가 말하고 싶겠냐는 것이다. 가비의 아버지가 조카의 입장을 생각 못했다며 사과하지만, 사실 라이너가 난처한 것은 가비의 발언 쪽이었다.
          라이너는 거의 처음으로 그 섬의 이야기를 시작했다. "말할 수 있는 건 있다"면서. 그가 그 섬에서 본 것, 거기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시작했다. 그는 정말로 그 섬은 지옥이었고 거기 주민들은 악마고 잔악한 놈들이었다고 말했다.
          그 외에도 얼마나 많은 악마들이 있었던가? 그 많은 얼굴들 사이에는...
          라이너의 짧은 낙담. 카리나는 가비의 말에 열렬히 호응했다. 그 섬에 있는 것은 의심할 필요도 없는 악마들이며 세상을 지옥으로 바꾼 자들이다. 그러나 여기에 있는 엘디아인들은 다르다. 그 생애를 마쳐 마레인들에게 처참한 역사를 속죄하는 선량한 시민들이다. 섬의 악마들이 돌아올 때 그걸 저지하는건 엘디아인이어야 하며 그걸 이뤘을 때 비로소 전세계에 엘디아인의 선량함을 입증할 수 있다. 무엇보다 그들은 대륙의 엘디아인을 버린 족속들이 아닌가? 제재를 가해야 한다. 그들을 버린 자들에게. 이런 말을 가비에게 하고 있었지만, 그녀의 시선은 라이너에게 고정돼 있었다.
          * 엘디아인을 버린 섬의 악마들에게 제재를 가해야 한다, 어머니의 말은 라이너의 오래된 기억을 상기시켰다. 방으로 돌아와 누운 라이너는 어린 시절 어머니가 들려주던 이야기가 떠올랐다.
          * 백전시험은 더 형편 없었다. 상대인 [[애니 레온하트]]는 "아주 좋다"는 격찬을 받으며 합격했다. 그녀는 그때이미 완성된 투사였고 그녀의 실력에 라이너가 공중에서 완벽하게 한 바퀴 굴렀다. 그리고 다른 시험에서도 그건 마찬가지. 뭐하나 쉬운게 없었다. 정신을 차려보면 그는 언제나 "제길"이라고 중얼거리고 있었다. 필기시험에서도, 옆자리의 [[포르코 갤리어드]]가 여유로운 얼굴로 답안지를 채워가는데 자신은 사색이다.
          그는 라이너가 반발한 틈도 주지 않고 쉴 틈 없이 공세를 이어갔다. 라이너는 도저히 장점이 없다. 체력은 마르셀에게, 두뇌는 피크에게, 사격과 격투술은 각각 베르톨트와 애니에게. 그가 뒤처지지 않는 분야는 없다. 그가 평가받은 부분은 오로지 하나, 필기 시험 때 적어낸 "마레에 대한 충성심" 뿐이다. 포르코는 그거 하나는 존경스럽다고 말한다. 그 충성심이 하루도 거르지 않고 대장에게 아첨하기나 "섬의 악마들은 반드시 내가 죽인다"는 허풍에 지나지 않더라도.
          >세계를 위협하는 팔라디섬의 악마를 해치우면
         파르코가 부축해준 다리 잃은 부상이 엘렌이라는 가설이 돌고 있다. 첫 등장한 컷에서 부자연스럽게 말풍선이 얼굴을 가리고 있고 파르코가 완장을 고쳐주는 씬에선 얼핏 드러난 이목구비가 엘런과 유사한 점이 있기 때문.
         다리잃은 부상은 93화에서 스치듯이 뒷모습이 나왔다.
  • 커맨드 앤 컨커 : 레드 얼럿 2/연합군 . . . . 23회 일치
          보 유닛이 훈련되는 건물. 막사의 수가 많을수록 보 훈련이 빨라진다.
          말 그대로 벽. 일반적인 공격을 가로막는다. 보의 총탄에 부서지지 않는다.
          지정한 지역의 차량 유닛을 다른 지역으로 순간이동시키는 슈퍼무기. 보한테 쓰면 즉사한다.
         == 보 유닛 ==
          연합군의 기본 보 유닛. 배치시키면 모래주머니를 쌓고 기관총을 거치한다. 이 상태에서는 움직이지 못하지만 전투력이 향상된다.
          적 보을 한번에 물어죽일 수 있는 유닛. 스파이를 탐지할 수 있다.
          * 로켓보
          로켓을 등에 메고 날아다니는 보. 공중유닛이기에 몇몇 공격에서 안전하지만 낮은 전투력을 가지고있다.
          *저격
          먼 거리에서 적 보을 한두방에 보낼 수 있는 유닛. 보 외의 유닛에게는 무력하다.
          선택한 보으로 위장할 수 있는 유닛. 적 건물에 침입하면 특수한 효과를 일으킨다. 쓸모없다.
          * 막사: 플레이어의 보 유닛이 베테랑으로 훈련됨
          크로노 기술을 적용한 보. 이동을 순간이동으로 한다. 순간이동한 후에는 순간이동한 거리만큼 딜레이가 있다. 공격 방식이 특이한데, 적을 죽이거나 파괴하는 방식으로 싸우는게 아니라 적을 시간대에서 지워버리는 방식으로 싸운다. 지워지고 있는 유닛이나 건물은 그대로 굳어버린다.
          쌍권총과 폭발물로 무장한 특수요원. 보을 일격사시키고, 건물도 폭발물을 설치해 한번에 파괴하며, 수영도 할 수 있지만 차량 유닛에게는 무력하므로 컨트롤이 필요하다.
          승차한 보에 따라 무장이 변하는 차량. 빠르지만 내구성이 약하다.
          * 저격: 저격총.
          * 테슬라보: 테슬라 충격. 강하다.
          * 대공포: 대공포
          정지시 나무로 위장하는 전차. 무슨 탄을 쏘는지는 몰라도 한두방에 보을 태워죽인다.
          보을 수송할 수 있는 헬리콥터. 기관총으로 무장했지만 전투력은 기대하지 않는게 좋다. 가만히 냅두면 자꾸 착륙하려고한다.
  • 월드 인 컨플릭트/유닛 . . . . 22회 일치
          [[미국]]은 M1A1 에이브람스, [[소련]]은 T-80U, [[NATO]]는 독일군 레오파르트2A4. 강력한 체력, 방어력, 공격력을 가진 유닛. 차량과 건물에는 주포를, 보과 헬리콥터에는 기관총을 사용한다.
          * 공격능력: 백린탄(미국, NATO)/파편고폭탄(소련) - 보에게 치명적인 포탄을 발사한다. 백린탄보다는 파편고폭탄이 다루기 더 쉽다.
          미국은 M2A2 브래들리, 소련은 BMP-2, NATO는 영국군 FV510 워리어. 기관포로 무장한 장갑차. 보 분대 하나를 탑승시킬 수 있다.
          미국은 AAVP7A1, 소련은 BTR-80, NATO는 독일군 룩스. 기관포로 무장한 장갑차. 보 분대 하나를 탑승시킬 수 있으며 물 위를 이동할 수 있다. 쓸모없다.
          미국은 UH-60 블랙호크, 소련은 Mi-8 힙, NATO는 SA-330 슈퍼 퓨마. 보 분대 하나를 탑승시킬 수 있다.
         == 보(Infantry) ==
          * 보 분대(Infantry Squad)
          * 공격능력: 유탄 발사기 탄막 - 지정된 지역에 유탄 발사기를 발사한다. 보에게는 치명적이지만 기갑에게는 약하다.
          소총수 두 명, 대전차, 대공미사일 운용, 위생으로 구성된 분대. 모든 과에 대처할 수 있는 화력을 가지고 있지만 보의 나약함으로 인해 숲이나 건물에 짱박아두고 써야한다. 사족으로 NATO 보은 프랑스군.
          * 대전차 보 분대(Anti-Tank Infantry Squad)
          대전차 중심의 분대.
          적 보을 한발로 잡을 수 있는 저격수.
          * 폭파 공(Demolition Engineer)
          * 력수송차(Troop Transport)
          미국은 [[HMMWV]], 소련은 UAZ-469, NATO는 영국군 D-90. 기관총으로 무장한 고기동 차량. 보 분대 하나를 탑승시킬 수 있으며, 손상된 차량을 수리할수도 있다.
          미국은 M939, 소련은 우랄 4320, NATO는 TRM 4000. 보 분대 하나를 탑승시킬 수 있다. 그게 끝.
          * 공격능력: 백린탄(미국, 나토)/소이탄(소련) - 보과 숲에 효과적인 소이성 포탄을 발사한다.
  • 일곱개의 대죄/227화 . . . . 22회 일치
          * [[메라스큐라]]는 [[멜리오다스]]의 부의 에너지를 흡수한 해골이 일곱 개의 대죄를 궁지로 몰 거라고 생각한다.
          * 해골들의 힘이 보통을 넘게 되자 실제로 일행은 당황한다. 그러나 그것도 잠시. 강해질 데로 강해진 일행의 적수는 아니었다.
          *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 [[디안느]]가 반격하고 [[에스카노르]]마저 정오에 가까워지며 힘을 되찾자 강해진 해골이라도 전혀 상대가 되지 않았다.
          * 간단하게 전세가 역전되자 메라스큐라는 하나 남은 해골이 원념을 집중시켜 최강의 해골으로 만들려 하나 멜리오다스의 힘을 견디지 못해 폭발한다.
          * [[젤드리스]]를 미끼로 사용해 [[멜리오다스]]를 함정에 빠뜨린 [[메라스큐라]]. 멜리오다스를 삼킨 "암담의 고치"는 부의 에너지를 빨아들여 메라스큐라가 부리는 사령의 힘을 강화한다. 그 힘이 부여된 해골들은 점차 강해져 손귑게 상대하던 일곱 개의 대죄 일행을 당황케 한다. 강해진 해골의 힘은 거인인 디안느가 떠밀라나갈 정도가 됐다.
          * [[호크(일곱 개의 대죄)|호크]]는 이제 달아나는 신세였고 [[고서(일곱 개의 대죄)|고서]]는 정면승부를 피하며 조금씩 물러났다. 그대로 해골들을 유인하며 특기인 신경조작을 걸었다. 하지만 마신족 마저 조종하는 그 기술이 해골에겐 통하지 않았다. 위기의 순간, [[멀린(일곱 개의 대죄)|멀린]]의 후방지원이 빛을 발했다. 강력한 마법의 힘이 해골들을 새까맣게 태워버린다.
          멀린은 해골들은 원념의 힘으로 조종되는 탓에 신경조작은 의미가 없다고 설명한다. 그녀는 이 거대한 함정의 원리도 쉽게 간파했다. 마을 중앙으로 끌려간 멜리오다스로부터 힘을 얻고 있을 것이다. 단장의 힘을 받은 만큼 해골이라 해도 이제 잔챙이라 부르기 힘들 수준이다. 하지만...
          * 마을 한 복판에 거대한 꽃이 피어났다. 꽃은 덩쿨을 뻗어 땅위를 활보하는 해골들을 하늘로 내던졌다. 잔 영창 샤스티폴의 제 4형태 "선 플라워". 할리퀸의 성장에 따라 그 힘과 규모도 무지막지해졌다. 그 크기는 이전과 비교를 거부했고 하늘로 쏘아대는 화력은 강화된 해골이 잔해 조차 남기지 못할 정도였다.
          * 일행 중 아직 고전하는 건 호크를 제외하면 [[반(일곱 개의 대죄)|반]] 뿐이었다. 그의 특기는 해골에겐 전혀 먹히지 않는데다 하나하나의 힘도 강해져서 상대하기 힘들었다. 그런데다 머릿수까지 불어나자 속수무책으로 공격을 허용하고 피투성이가 되어갔다. 그때 호크를 따라 도망치고 있어야 할 [[에스카노르]]의 목소리가 들렸다.
          오만한 목소리. 하지만 반은 그의 뒤로 뛰쳐드는 해골의 부대를 보았고 그것을 경고했다. 하지만 지금의 에스카노르에겐 필요없는 충고였다.
          정오가 가까워진 에스카노르의 힘. 해골들은 그에게 닿아보지도 못한 채 허공에서 불덩어리로 변했다.
          *자랑하던 해골들이 차례로 박살나는 게 느껴졌다. 자신만만했던 메라스큐라의 표정이 당혹감으로 얼룩졌다. 멜리오다스는 "안타깝게 됐다"고 그게 비웃었다.
          다시 전세역전. 하지만 메라스큐라도 이대로 끝낼 생각은 없었다. 아직 해골도, 수단도 남아있다. 일곱 개의 대죄는 마지막 남은 해골을 포위하고 있었다. 그런데 갑작스럽게 해골이 강력한 힘을 내뿜기 시작했다. 굉장한 힘의 집적. 부서진 해골들의 원념이 살아남은 해골로 모여들고 있었다. 이것이 메라스큐라의 회심의 카드. 부의 에너지를 하나로 응축한 최강의 사령이라면 과연 일곱 개의 대죄라도 무사할 수 있을까? 그녀는 멜리오다스의 안색이 좋지 않다며 빈정거렸다.
          그러나 메라스큐라의 바람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어느 정도 강해지던 해골은 비정상적으로 비틀리고 팽창했다. 멀린이 단숨에 문제점을 진단했다. 너무 강한게 문제였다. 멜리오다스는 차기 마신왕으로 거론되던 강력한 마력의 소유자. 평범한 소재로 그 힘을 감당할 리가 없었다.
          * 해골들을 정리한 일행은 여유가 생겼다. 호크는 녀석들의 잔해에 화풀이를 하며 혼자 싸운 것 같은 생색을 냈다. 그때 멀린은 주위에 감도는 수상한 기운을 알아차렸다. 정신지배의 징조였다. 일행에게 정신을 최대한 유지하라고 경고했다. 할리퀸도 느낄 수 있었다. 해골에서 빠져나온 원념들이 이제 산 사람에게 달라붙으려 하고 있었다. 그는 곧 디안느의 상태를 걱정한다. 그러나.
  • 진격의 거인/92화 . . . . 22회 일치
          * 4년에 걸친 전쟁은 마레의 승리로 끝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과학기의 힘이 거인을 능가한다는게 증명되고 만다.
          * 마레의 지상군은 최후의 돌격을 감행한다. 턱의 거인 "갤리어드"가 최전방을 해집어 놓으며 활약한다. 장갑열차가 다니는 선로는 적의 최종 방어선이다. 게라이드는 참호 속의 력을 쓸어버리고 선로를 철저하게 파괴한다.
          * 중동연합의 저항도 거세다. 다가오는 마레의 사들은 포격과 기관총 세례를 받으며 쓰러진다. 사격에 몰두하던 적 사들은 곧 그들 위로 드리운 그림자를 발견한다. 기관총 포탑을 짊어지고 다니는 "차력의 거인"이다. 매우 특이한 거인으로 엎드려 걸어다니며 등에는 한 쌍의 기관총 포탑이 올라가 있다. 얼굴은 말이나 개처럼 길쭉한데 묘한 형태의 철가면을 썼다. 각 포탑에는 사가 타서 기관총을 난사한다. 적의 기관총 진지 코 앞까지 돌진한 차력의 거인. 포탑의 기관총이 진지 앞의 력을 섬멸한다. 차력의 거인은 길쭉한 얼굴을 진지로 들이밀어서 지붕을 들어내 버린다. 그 사이 보들이 진격, 적의 최종 방어선은 이렇게 무력화된다.
          * 전사 후보생 파르코는 낙오된 적의 사를 자군 참호로 끌어들인다. 총에 맞아서 전투능력을 상실한 사다. 옷을 입던 가비는 그 짓을 보고 뭔 짓이냐고 묻는다. 파르코는 "보는대로 전투능력이 없는 포로를 잡았다"고 대답한다. 그의 지혈이 성공했을 때의 얘기지만. 그들 바로 옆에선 마레인 장교가 총상을 입고 투덜거린다. 원래 최전선은 엘디아인의 몫인데, 왜 마레인인 자신이 다쳐야 하냐는 얘기였다.
          >'''만지지 마라. 더럽혀진다. 악마'''... 라네.
          퇴각을 알리는 신호탄이 발사되자 사들은 뒤도 돌아보지 않고 후퇴한다. 어영부영하다간 휘말린다. 사들이 참호로 돌아오는 가운데 후보생들은 막 강하가 시작된 하늘을 쳐다본다. 가비가 시작됐다고 중얼거린다.
          같은 시각 스라바 요새 안의 사들은 하늘로 쏟아지기 시작한 흰 점의 행렬을 발견한다. 마침내 도하의 시작이다. 레일을 따라 매달린 적재물이 하나둘 허공으로 던져진다. 자동으로 낙하산이 펼쳐지면서 적재물은 곧 낙하물로 입장이 바뀐다. 그러는 동안에도 마레의 전사들은 자신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알지 못한다. 어차피 꽁꽁 결박돼 있어서 사정을 안다고 해도 달라질 건 없다.
          마침내 허공의 엘디아인 낙하산 부대는 같은 수의 지성없는 거인들로 영영 바뀐다. 그저 식욕 뿐인 괴물들이 중력에 따라 요새 위로 쏟아진다. 아래에서 보면 거인이 비처럼 내리는 것 같다. 이들의 육중한 신체는 그 자체로 요새에 폭격을 가하는 것 같은 효과를 냈다. 거인들이 쏟아지는 곳 마다 벽이고 건물이고 상관없이 무너져 내린다. 중동연합의 사들은 허겁지겁 피하지만 그래봐야 의미가 있을까?
          * 거인의 자유낙하는 마레의 전사의 약 6할을 소모시킨다. 그렇지만 거인이 약 4할만 살아남아도 충분하다. 요새는 반파되었고 기능을 잃었다. 살아남은 거인들은 운 좋게 폭격을 피한 사들, 생존자들을 마구잡이로 잡아먹는다. 요새의 사들은 참담한 얼굴로 다가오는 거인들을 바라본다. 어쩌면 폭격으로 죽는 것이 운 좋은 일이었을 수도 있다.
          마레 지상군은 멀찍히 떨어진 참호에서 그 괴상한 종전파티 같은 풍경을 바라본다. 거인들이 음식을 주워먹는 것처럼 적 사들을 잡아먹는다. 파르코의 아이러니를 비웃던 장교가 좌우의 엘디아인들을 향해 인상깊은 감상평을 남긴다.
          >그야말로... 악마구나
          * 폭격이 비켜나간 온전한 요새 벽에서 최후의 저항이 이어진다. 지휘관이 말했던 대거인전용 야전포다. 위력이 상당해서 벽 위를 공격할 수 없는 작은 거인들은 속절없이 박살난다. 라이너는 낙하하면서 이 야전포의 숫자와 위치를 파악한다. 약 29대. 상당한 숫자가 기동 중이다. 거인력의 6할은 낙하와 동시에 전멸했으니 무시할 수 없는 숫자다. 하지만 라이너에게 치명적인 정도는 아니다. 그보단 벽이란 것 자체가 싫다. 그는 "또 벽이냐"도 중얼거린다. 그건 싫은 기억을 자극한다. 4년 전의 기억을.
          * 지크를 향해 집중된 포격을 라이너가 대신 맞는 동안, 연합함대가 괴멸한다. 함대의 괴멸은 당연한 일이었지만 갑옷 거인의 반신이 날아가는건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일이다. 마레의 사들은 작전의 성공도 전쟁도 끝도 기뻐할 겨를이 없었다. 이들은 패배를 당한 것처럼 당혹스러운 표정으로 부서진 갑옷 거인이 쓰러지는 걸 바라본다. 가비는 망연자실하게 "이럴 수가"라고 중얼거린다.
          * 전쟁은 끝났다. 최후의 보루가 무너진 중동연합은 마레측과 강화협정에 나설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마레에겐 상처 뿐인 승리였다. 이제 거인의 힘이 기계화된 기를 능가할 수가 없다. 마레는 전력 보강을 위해 한 시라도 빨리 시조의 거인을 손에 넣어야만 했다.
  • 어쌔신 크리드 III/아이템/대번포트 농지 . . . . 21회 일치
          보스턴 중부 힐 요새 북동쪽 상자-사들이 지키고 있음-에서 설계도 획득 가능. 빅 데이브 레벨2 부터 제작 가능. 특수 철괴+무기 칼날.
          트로이즈우드의 경비이 지키는 헛간 속 상자에서 설계도 획득 가능. 빅 데이브 레벨2, 랜스 레벨2 부터 제작 가능. 특수 철괴+부싯돌+참나무 목재.
          뉴욕 북부 동쪽에 위치한 경비이 지키고 있는 교회에서 설계도 획득 가능. 빅 데이브 레벨2 부터 제작 가능. 특수 철괴+부싯돌+철광석.
          보스턴 북부 동쪽 해안 선박의 상자-경비이 지키고 있음-에서 설계도 획득 가능. 빅 데이브 레벨3 부터 제작 가능. 특수 철괴+부싯돌+납광석
          패카낙의 경비이 지키고 있는 야영지 상자에서 획득 가능. 엘렌 레벨1 부터 제작 가능. 밀랍.
          * 유리(Glass Bottles)
          패카낙의 경비이 지키고 있는 야영지 상자에서 획득 가능. 빅 데이브 레벨1 부터 제작 가능. 모래.
          패카낙의 경비이 지키고 있는 야영지 상자에서 획득 가능. 빅 데이브 레벨1 부터 제작 가능. 철광석.
          패카낙의 경비이 지키고 있는 야영지 상자에서 획득 가능. 엘렌 레벨1 부터 제작 가능. 양모.
          패카낙의 경비이 지키고 있는 야영지 상자에서 획득 가능. 엘렌 레벨3 부터 제작 가능. 비버 가죽+산토끼 가죽.
          보스턴 중부 상자-경비견이 지키고 있음-에서 설계도 획득 가능. 라일 레벨1 부터 제작 가능. 유리+캣닙+보리.
          보스턴 중부 상자-경비견이 지키고 있음-에서 설계도 획득 가능. 라일 레벨2 부터 제작 가능. 유리+꿀.
          뉴욕 동부에 정박한 선박의 상자에서 설계도 획득 가능. 라일 레벨2 부터 제작 가능. 보리+유리+호밀
          패카낙의 경비이 지키고 있는 야영지 상자에서 획득 가능. 라일 레벨1 부터 제작 가능. 유리+캣닙.
          패카낙의 경비이 지키고 있는 야영지 상자에서 획득 가능. 라일 레벨2 부터 제작 가능. 유리+스네이크루트.
          패카낙의 경비이 지키고 있는 야영지 상자에서 획득 가능. 엘렌 레벨2 부터 제작 가능. 면모교직물.
          패카낙의 경비이 지키고 있는 야영지 상자에서 획득 가능. 랜스 레벨1 부터 제작 가능. 점토.
          패카낙의 경비이 지키고 있는 야영지 상자에서 획득 가능. 빅 데이브 레벨1 부터 제작 가능. 철광석+못.
          패카낙의 경비이 지키고 있는 야영지 상자에서 획득 가능. 랜스 레벨1 부터 제작 가능. 소나무 목재.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연구진 . . . . 20회 일치
          * Airborne Training(공수 훈련): 아이콘은 프로펠러와 사.
          * Marine Training(해 훈련): 아이콘은 닻이 그려진 책.
          * Mountain Training(산악 훈련): 아이콘은 산과 사.
          * Combined Arms Focus(합동군 중심): 아이콘은 사와 전차.
          * Large Unit Tactics(대부대 전술): 아이콘은 사 여섯명에게서 뻗어나가는 화살표 두개.
          * Large Unit Focus(대부대 중심): 아이콘은 사 두명.
          * Infantry Tactics(보 전술): 아이콘은 사.
          * Small Unit Tactics(소부대 전술): 아이콘은 사 한명에게서 뻗어나가는 화살표 두개.
          * Static Defense Tactics(고정 방어 전술): 아이콘은 사 한명에게 뻗어나가는 화살표 두개.
          * Springfield Armory(스프링필드 기창)
          * US Marine Corps(미 해대)
          * Detroit Arsenal Tank Plant(디트로이트 기창 전차 공장)
          * Tula Arsenal(툴라 기창)
          * Tokubetsu Heigakkō(특별학교)
          * Enfield Arsenal(엔필드 기창)
          * Royal Marines(왕립해대)
          * Hanyang Arsenal(한양 기창)
          * Jiangnan Arsenal(쟝난 기창)
          * Arsenal de Brest(브레스트 기창)
  • 레드 오케스트라 2: 스탈린그라드의 영웅들 . . . . 20회 일치
         == 과 ==
          돌격. 기관단총과 수류탄으로 무장한 과. Frontline Solder 등급까지 올라가면 권총(C96/TT33)이, Veteran 등급까지 올라가면 적국의 기관단총(PPSh-41/MP40)이 해금된다.
          정예 돌격. 기관단총과 수류탄으로 무장한 과. Frontline Solder 등급까지 올라가면 권총(C96/TT33)이, Veteran 등급까지 올라가면 돌격소총(MKb42(H)/AVT-40)이 해금된다.
          소총수. 소총과 수류탄으로 무장한 과. Frontline Solder 등급까지 올라가면 권총(C96/TT33)이, Veteran 등급까지 올라가면 적국의 소총(MN1891/Kar98)이 해금된다.
          정예 소총수. 반자동소총과 수류탄으로 무장한 과. Frontline Solder 등급까지 올라가면 권총(C96/TT33)이, Veteran 등급까지 올라가면 적국의 반자동소총(SVT-40/G41)이 해금된다.
          기관총사수. 경기관총으로 무장한 과. Frontline Solder 등급까지 올라가면 권총(C96/TT33)이, Veteran 등급까지 올라가면 적국의 기관총(DP-28/MG43)이 해금된다.
          저격수. 조준경 달린 소총과 수류탄으로 무장한 과. Frontline Solder 등급까지 올라가면 권총(C96/TT33)이, Veteran 등급까지 올라가면 조준경 달린 반자동소총(Scoped G41/Scoped SVT-40)이 해금된다.
          대전차. 대전차 소총, 대전차 수류탄으로 무장한 과. Frontline Solder 등급까지 올라가면 권총(C96/TT33)이, Veteran 등급까지 올라가면 휴대용 폭약이 해금된다.
          공. 기관단총, 대전차 수류탄, 휴대용 폭약으로 무장한 과. Frontline Solder 등급까지 올라가면 권총(C96/TT33)이, Veteran 등급까지 올라가면 반자동소총(G41/SVT-40)이 해금된다.
          전차장. 전차를 조종하는 과로 전차에서 내릴 수 없다.
          분대장. 사들에게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봇들은 명령을 따르지만 플레이어들은…글쎄?
          강제 리스폰. 죽은 상태의 아군 사들을 즉시 리스폰시킨다.
          항공 정찰. 아군 정찰기가 나타나 적 사들의 위치를 알려준다.
          Machinegunner의 주무장. 그냥 들고 쏠수도 있지만 명중률이 신이 되기에 거치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계속해서 쏘다 보면 총열에서 연기가 나기 시작하는데, 이를 무시하고 계속 갈겼다가는 총열이 박살나 쓸 수 없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적당한 순간에 총열을 교체해야 한다. 총열은 두개가 주어지므로 하나라도 박살냈다가는 게임이 힘들어진다.
          Frontline Solder 등급으로 올라간 주축군 과에게 지급되는 보조무장. 무기 레벨이 25까지 올라가면 20발들이 탄창이 해금된다.
          Frontline Solder 등급으로 올라간 연합군 과에게 지급되는 보조무장.
  • 울릉군 . . . . 20회 일치
         ||<bgcolor=#01A9DB> {{{#FFFFFF '''군수'''}}} ||<bgcolor=#CEECF5> [[김수(1954)|김수]] ([[자유한국당|{{{#C9151E '''자유한국당'''}}}]])[br]초선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러일전쟁]] 때는 울릉도 역사 상 드물게 주변국의 각축장이 되기도 했다. 당시 [[일본]]의 함대는 울릉도를 참기지로 활용하여 [[러시아]] 발트 함대를 격파하였다. 물론 대한제국 정부의 승인 따윈 없고, 일본이 자의적으로 울릉도를 사용했다. 그리고 근해에 침몰한 러시아 제국 해군의 [[방호순양함]]인 [[드미트리 돈스코이함]]은 군자금으로 실린 막대한 금괴로 유명세를 떨치고 있다.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0765525|관련기사]]
         군 부대도 주둔 중인데, 1982년 도서 방어 임무가 [[대한민국 육군]]에서 [[대한민국 해군]]으로 이관되면서 해군 [[제1함대사령부]] 예하의 [[레이더 사이트|전탐감시부대]]인 [[제118조기경보전대]]가 들어와 있다. 이 부대에는 [[제1해사단]]에서 전속된 해대원들도 같이 근무한다. 상시 주둔하진 않으나, 독도나 울릉도 유사시 1함대와 1사단에서 함정 및 해대 전력을 지원받을 수 있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를 참조.
         울릉도에서 [[상근예비역]]으로 선발되면 100% 해군 소속이 되며, [[예비군 관리대대|예비군 관리대]]에 배속된다. 예비군 관리대대장은 해소령이다.
         2018년부터 울릉도에 1개 중대 규모의 해대 전투력이 순환배치될 예정이라 한다. 2017년 7월 6일, 울릉도에 거주하는 주민에 의하면 폐교된 모 초등학교에 해대원 20여 명이 6월에 며칠 동안 깨끗이 청소하고 갔다며 주둔지로 쓸 것 같다고 한다. [[http://www.ksmnews.co.kr/default/index_view_page.php?idx=179567&part_idx=288|#]]
         2017년 8월 20일, 해대가 최초로 중대급 력 전개 훈련을 한 것이 확인되었다. 영상 중후반부에 초등학교가 나오고 운동장에 군용차량들이 정차된 것으로 보아 그곳을 주둔지로 사용할 계획인 것 같다. [[https://www.youtube.com/watch?v=TEggXx89JQ4|#]] 그리고 8월 22일 국방TV 보도에 따르면 당초 언론보도에 알려진 중대급이 아니라 대대급의 해력이 울릉도에 배치된다고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a0xtG0uFhE|#]]
         섬 중에서 기독교 교세가 강한 점은 역시 섬이면서 [[천주교]]가 강세인 [[백령도]]와 비슷하다. 이 백령도는 실제로 지역 유지에 해대 6여단 소속 해군 [[군종 신부]]가 들어갈 정도이다. 단, 울릉도의 천주교 교세는 개신교와 불교에 많이 밀린다. 본당도 도동에 있는 도동성당과 북쪽 북면소재지에 있는 천부성당 2개밖에 없다. 신자는 1천여명으로 집계하고 있다.
          * [[김수(1954)]]
         [[경상북도교육청]] 소속의 울릉교육지원청이 관할하고, [[고등학교]]까지는 있다. 울릉도 유일의 중학교인 [[울릉중학교]]와 울릉도 유일의 고등학교인 [[울릉고등학교]]가 있으며 한 학년에 40여명이 있다. [[전문계]]와 [[일반계]]가 통합된 종합고등학교로 진학반, 취업반, 해양반으로 나뉘며, 대학 진학 전이라도 대다수는 [[포항]], [[경주]], [[경산]] 등 육지로 일찌감치 나가고, 울릉도에 남아있는 학생들은 매우 적기 때문에 [[수능]]도 당연히 울릉도에서는 치지 않아 수능 며칠 전부터 포항으로 나가 있어야 한다.[* 여담으로 [[2017년 포항 지진]]의 여파로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일주일 연기되자 본의아니게 포항에서 일주일간 숙박을 해야만 했다는 일이 있었다.] 울릉도에 사는 토익커들도 관내에 토익 시험장이 없어 시험을 보기 위해 포항 등 외지로 나가야 한다.
         다만 그렇다고 바가지로 받는 것도 아니라고 한다. 예전에는 아이스크림을 시가보다 비싸게(천원이 정가라면 천삼백~오백정도)받았다고 하지만, 현재는 그냥 정가로 판다. 관광업이 주 수입원이다 보니 식당의 가격이 비싼 건 맞지만, 일반 생필품 등의 가격이 육지랑 크게 차이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울릉도가 물가가 비싸다라는 말이 유행해, MT나 친목도모회를 오는 사람들은 대부분 주류/안주류를 사들고 오는데, 울릉도에서 구매하지는 않고 빈 들만 투척하고 가는 바람에 입도비를 따로 받지 아니하는 울릉도는 벌이가 시원찮은 편.
         배가 언제 뜰지 불확실하기 때문에 육지와 왕래할 때는 '''[[들어올 때는 마음대로였겠지만 나갈 때는 아니란다]]''' 그 자체. --그런데 항공기는 오죽할까-- 심지어 전직원 휴가를 울릉도로 정한 대기업 납품 중소기업이 '''기상악화로 발이 묶여''' 납품 실패, 돈은 돈대로 나가고 아예 회사가 망했다는 이야기가 전설같이 전한다. 사설 헬기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기는 한데, 높은 파도로 인해 배가 뜨지 않을 때 사설 헬기를 이용할 시 비용은 약 500~700만원정도 든다. 죽음에 이르는 상황에 도달해 어떻게든 나가야할 시 유일한 원인 보건의료원에서 응급 후송 헬기를 이용할 수 있으나, 그조차 의학적 증거가 명백해야 한다.
         항공편이 없다. 다만 군인이라면 군 비행장인 [[강릉공항]]에서 격주로 1대씩 다니는 공군 수송헬기를 이용할 수는 있고, 응급환자 발생시에는 [[포항공항]]에서 UH-60 헬기가 출동한다. 때문에 뭍에서 울릉도로 민간인이 이용할수 있는 이동수단은 사실상 배가 유일하다. 때문에 외국인들이 가장 찾아가기 힘든 [[대한민국]] 땅으로 현지에서 외국인을 보기가 쉽지 않다. 실제로 2009년 울릉도를 방문한 관광객 272,555명 중 외국인은 838명으로, 전체 관광객의 0.3% 수준이다. 참고로 같은 해 [[제주특별자치도]]에는 6,523,938명의 관광객이 찾았고, 이중 9.7%인 634,354명이 외국인이었다. [[미군|지구방위군]] 경계구역의 극서북단 코너에 위치한 현실상 여객선 타면 발에 채이는 게 외국인[* 미 '''해대''', '''제7함대''' 간부, '''정치안보''' 외신 기자들 등.]인 [[백령도|국토 반대편의 섬]]과 대조된다.
  • 킹덤/510화 . . . . 20회 일치
         [[킹덤]] 제 510화. '''신들의 밤'''
          * 비신대의 신들은 첫 전투에서 전공을 세운 측과 그렇지 못한 측으로 나뉘어 티격댄다. [[간두]]는 후자로 전공을 세운 자들의 비웃음을 당한다.
          * [[송좌]], [[숭원]], [[미평]] 등 고참들이 [[이신(킹덤)|이신]]이 나누어준 술을 들고와서 사들을 위무한다.
          * 열미성이 진군에게 떨어졌다. 경사스러운 밤이었지만 [[비신대]]의 신들에겐 꼭 그렇지도 않았다. 이들 대부분은 패잔처럼 침울하다. [[간두]]는 고개도 들지 못할 정도로 기가 죽은 동료들 사이에서 분통을 터뜨린다. 기껏 선발시험을 통과하고 그토록 어려운 훈련을 거쳤는데도 아무 것도 할 수 없었다며 자기 자신의 무능에 화를 내는 것이다. 다른 신들도 비슷한 마음이다. 전투 전만 해도 자신감에 넘쳤으나 지금은 패배감이 이들을 괴롭히고 있다.
          * [[송좌]] 백인장이 창대로 간두의 머리통을 치며 나타난다. [[숭원]] 보장, [[미평]] 십장 등 고참들이 신들을 위무하러 왔다. 송좌는 간두가 날뛰는걸 진정시키고 첫 출진에서 살아남은 사람들끼리 친하게 지내라고 타이른다.
          [[이신(킹덤)|이신]]은 원래 삼천장 이상 급에게만 나가는 술을 따로 빼돌려 신들에게 하사했다. 송좌는 이 사실을 알려주며 손수 술을 따라준다. 간두는 좋은 술이 있어도 이 첫 출진에서 죽고 다친 녀석들이 너무 많아서 마실 마음이 들지 않는다고 말한다. 하지만 송좌는 그럴 수록 마시면서 "나는 살아남았다"고 과시해야 한다고 말한다. 게다가 이건 평생 한 번 밖에 없는 첫 출진 날 밤의 술이다. 무슨 맛인지 확실히 봐두라는 말에 신들은 하나 둘 술잔을 집어든다.
          * 술이 돌면서 딱딱했던 분위기도 풀린다. 간두는 숭원에게 낮에 신세진 일이 감사했다고 말한다. 숭원은 고마우면 강해지라며 "입만 산 간두"라는 별명을 부르며 쏘아붙인다. 그러자 송좌가 신들을 너무 괴롭히지 말라며 그의 과거사를 운운한다. 사실 검의 달인인 숭원도 첫 출진때는 쫄아서 오줌을 지린데다 누구 하나 베지 못했던 것이다. 신들은 물론 미평 같은 고참들도 몰랐던 일이라 왁자지껄하게 놀림거리가 된다. 송좌도 그때 옆 부대에 있다가 우연히 들은 일이었다. 숭원은 다소 민망해하지만 부정은 하지 않는다. 그때는 숭원이 17살이었고 오줌을 참고 있다가 적에게 기습을 당했었다. 그 뒤 한 동안 "오줌싸개 숭원"이란 별명이 따라다녔다. 미평은 드디어 숭원의 약점을 잡았다며 좋아라한다. 심지어 자기 첫 출진 때보다 심하다고 마구 놀려대는데 숭원이 살짝 열받아서 "놀린 놈은 죄다 반쯤 죽여놨다"고 날을 새우자 조용히 찌그러진다.
          숭원의 이야기는 신들에게 격려가 되었다. 그런데 돈 형제는 첫 출진에서 활약한 자신들은 숭원보다도 뛰어난 사가 되지 않겠다고 설레발을 치는데 송좌는 첫 출진에서 너무 잘 나간 녀석들이 설치다 죽기 십상이라고 말해서 기를 죽인다. 간두는 문득 대장 이신도 처음엔 수치를 당했냐고 묻는다.
          신들은 상식을 초월하는 대활약에 입이 딱 벌어진다. 송좌도 신의 이야기를 듣다 보면 헛웃음이 나올 정도라고 말한다. 그러나 함께 싸우면 그 이상으로 대단한 일 투성이다. 송좌와 숭원은 그보다 열 살은 많아 평소엔 신을 꼬마 취급하지만, 그래도 전장에선 그 누구보다 멋진 남자가 신이라며 추켜세운다.
          * 그런데 송좌는 원래 이런 이야기를 하러 온게 아니라며 화제를 돌린다. 미평도 너무 오글거리는 표현이었다고 핀잔하는데 이들 고참이 온 것은 신들의 위무도 있지만 첫 출진에서 대활약한 [[창인]], [[창담]] 형제를 치하하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오늘의 주인공이어야 할 활 형제는 모두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간두는 형인 창인은 필중의 솜씨로 한 발에 적 하나 씩을 해치우는 놀라운 솜씨를 보였지만 동생 창담은 한 발도 못 맞추고 더 쏠 수도 없게 됐다고 말한다.
          하료초는 모든 고참들과 신, 그리고 자신 조차도 다양한 벽에 부딪혔고 그걸 극복해왔다고 말한다. 자신은 부대를 움직여 적을 죽이고, 때로는 아군도 죽여야 하는 일이 두려웠었다. 기분 나쁘게 들릴 수도 있지만, 그건 익숙해지는 일이다. 무섭다는 기분이 안 들 수는 없지만. 하지만 비신대는 그래도 괜찮은 부대이며 약함을 인정해서 전장에서 진정한 강함을 발휘하는 부대다. 오히려 첫 출에서 아무 것도 느끼지 못하고 희희낙락 사람을 죽일 수 있는 녀석들은 전부 [[환의(킹덤)|환의]]군에나 가라고 한다.
          * 하료초는 원래 총대장 [[왕전(킹덤)|왕전]]에게 성의 구조를 보고하러 갈 참이었지만 창인과 대화하느라 늦고 말았다. 허둥지둥 왕전군에 도착해 보니 또다른 소란이 그녀를 기다리고 있다. 사들이 날카로워져서 하료초에게도 경계를 할 정도였는데, 그때 [[양단화]]가 나타나 그녀는 비신대의 군사라고 소개해서 정리된다.
  • 킹덤/527화 . . . . 20회 일치
          * [[이목(킹덤)|이목]]의 지시로 요양군을 지휘하게 된 [[순수수]]는 전장에 도착하자마자 양단화의 면전에서 그녀의 사를 죽이며 도발한다.
          * 총대장 왕전의 명으로 양단화군에 조력하러 온 [[벽(킹덤)|벽]]은 감탄이라기 보단 탄식에 가까운 한숨을 내쉬었다. 그는 1만의 력을 증원으로 끌고 왔으나 양단화의 산민족은 5만의 력으로 적의 9만 력을 철통같이 막아내고 있었다. 이는 전황이 전면전으로 바뀐 이후에도 마찬가지였다. 보전에서, 기마전에서, 난전에서. 어떤 전장에서든 산민족 사의 위용은 눈부셨다. 자신이 힘이 되지 못하는걸 알고 벽이 씁쓸해하자 옆에 있던 "톳지"라는 산민족 간부가 산민족말로 "평지의 장군이 괜히 왔다"며 조롱했다. 벽은 알아듣지 못했지만 양단화는 알아들었다. 그에게 놀리지 말라고 주의를 준 양단화는 벽에게도 임무를 부여했다. 현재 전황이 산민족에 유리한건 사실이나, 적의 움직임은 수상하기 그지없다. 전술이 너무 단조로운게 다른 꿍꿍이가 있을 가능성이 크다. 벽과 그 력에겐 이 돌발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준비를 갖춰두라는 것이었다. 벽이 기꺼이 그 임무를 받았다.
          * 그때 산민족군 우익으로부터 불협화음이 일었다. 소수의 기마대가 격전이 벌어진 뒤쪽과 양단화군 본진 사이로 말을 달리고 있었다. 벽은 그 수와 구성을 보고 전령이 아닌가 생각했으나 착각이었다. 이목의 지시로 공손룡군의 대장으로 부임한 [[순수수]]의 등장이었다. 순수수의 기마대는 산민족 사를 목 매달고 달리고 있었다. 순수수는 양단화에게 잘 보이는 자리를 일부러 골라 말을 세웠다. 그가 신호를 주자 부하들이 사들의 숨통을 끊었다.
          * 양단화의 얼굴은 분노를 숨기지 않았다. 조용히 이를 세우는 양단화. 그리고 일촉즉발의 긴장감을 느끼는 벽. 전멸의 기마대가 일갈과 함께 뛰쳐나갔다. 그러나 순수수는 거기서는 더 욕심 부리지 않고 그대로 말머리를 돌렸다. 그러나 순순히 도망치지조 않았는데 한창 격전을 벌이고 있는 산민족 1진의 배후로 들이쳤다. 한창 눈 앞의 적에 집중하던 사들의 목이 허공으로 치솟았다.
          한편 한바탕 소동을 겪은 양단화군은 어수선한 분위기였다. 벽과 진군 장교들은 아직까지도 방금 자기들이 본 장면이 무엇인지 어안이 벙벙해하고 있었다. 양단화와 톳지는 훨씬 차분했으나 분노를 삭히고 있었다. 양단화는 순수수가 죽인 사들의 시체를 내려보며 이를 갈았다. 복수의 때였다.
          * 조군의 수뇌부 또한 어수선한 분위기였다. 새로운 총대장의 지시가 당혹스러웠다. 순수수는 지휘권을 넘겨 받고 제일 처음 전군 후퇴를 명했다. 부하장교들은 난처해하며 혹시 현재 전황이 정체된 탓인지 물었다. 이 전황은 순수수의 도착을 기다리느라 그런 거라며 변명을 하기도 했다. 순수수가 부하들의 채근에 입을 열었다. 그는 현재 상황에 대한 불만은 전혀 없었다. 왜 이런 상황이 되었는지 이해하지 못하는 것도 아니었다. 그가 후퇴를 결정한 건 그게 필승의 전략이기 때문이다. 진군을 보다 깊은 곳까지 끌어들여 단 한 놈의 생존자도 없이 몰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순수수는 요양에서 그저 이기는 것만으론 부족하다는 걸 알았다. 여기서 진군이 여기서 패한다면 그 력은 필시 주해평원으로 향할 것이다. 요양에서의 패잔이 주해평원에선 이목의 부담을 가중시킬 증원군이 되는 것이다. 그런 상황을 막고 완전한 승리를 위해, 왕도권 수호를 위한 전략이었다.
          현재 양단화군의 목적은 량공세 중인 업성에 결정력을 가진 조군 증원이 도착하지 못하게 하는 것. 그 결정력을 가진 력인 요양군을 묶어두는 것이었다. 따라서 퇴각하는 조군을 추격하는 것만으로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지극히 타당한 말이었고 누구도 그걸 모르진 않았다. 하지만 톳지는 그렇기에 꺼림직하다고 대꾸했다. 그 이유는 양단화가 말했다.
          * 진군을 요양성으로 끌어들인다, 공손룡은 후퇴 자체보다도 그 같은 결정을 더 마음에 걸려했다. 그는 행군 중에도 순수수에게 진심으로 그런 작전을 감행할 거냐고 물었다. 순수수는 말없이 행군을 속행하는 것으로 대답을 대신했다. 다른 부하 장수들은 좀 어리둥절한 모습이었다. 그들은 순수수가 암시한 작전의 전모를 전혀 모르고 있었다. 한 명이 그에게 직접 묻기도 했다. "요양의 엄니"란게 대체 무엇이냐고. 그의미를 아는 것은 순수수 자신과 공손룡 뿐이었고 둘 중 누구도 쉽게 답을 주지 않았다. 결국 먼저 입을 연 쪽은 순수수였다. 요양성이 목전에 있는 위치에서였다. 우선 설명에 앞서 "요양군"의 력 구성을 짚고 넘어갔다. 이들은 요양 일대에서 모집된 력이긴 하나 요양성에서 데려온 력은 아니다. 그걸 지적한 것은 앞으로 맞이한 전장은 진군에게만큼이나, 조군에게도 당황스러운 것이기 때문이었다.
          잠시 뒤. 진군은 조군의 노림수가 무엇인지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산을 끼고 있는 거대한 성. 그러나 성에 틀어박혀 지구전을 펼치자는 수작은 아니었다. 순수수가 필요로 했던 것은 성 바깥, 억덕 위로 도열한 한 무리의 력이었다. 양단화는 그 위험성을 한 눈에 알아봤다. 당장 전군정지 명령과 함께 적의 돌격에 대비하라는 지시를 하달했다. 조군에게 유리한 전장, 강력한 원군. 그녀가 우려했던 두 가지가 한때에 나타났따.
          * "요양의 엄니", 언덕 위의 력을 말하는 게 틀림없었다. "조군과 다른 인종" 그것도 알만했다. 마치 개나 늑대를 본뜬 그들의 무장 상태는 한 눈에 봐도 중원과 달랐다. 하지만 아직도 조군 장수들은 그들의 정체에 대해서는 아는 게 없었다. 양군의 포진이 끝나자 순수수가 직접, 이들을 소개했다.
  • 토탈워: 쇼군 2 . . . . 20회 일치
         겨울에 적 영토에서 턴을 끝내면 사들 중 소수가 얼어죽는다. 주의하자. 물론 그정도 피해를 버틸 수 있다면 그냥 씹어도 된다.
         적 군대와 아군 군대가 조우하면 전투가 벌어진다. 전투 전 양측의 력 구성을 보여주는데 여기서 자동 전투를 벌일 것인지, 수동 전투를 벌일 것인지, 아니면 그대로 후퇴할 것인지를 정할 수 있다. 후퇴한 직후 적이 추격할 수 있다는 것에 주의. 이렇게되면 꼼짝없이 싸워야한다. 특이한 케이스로 매복이 있는데 보통 숲 속에 숨은 적군을 발견하지 못하고 이동하다가 만나는 경우 벌어진다. 이 경우 처음부터 후퇴가 불가능하다.
          * 비: 화약 무기의 재장전 시간이 증가한다. 불화살 능력을 사용할 수 없게된다. 목제 구조물에 불을 붙이기 어려워진다. 력들의 피로도 회복이 오래 걸리게 된다.
          * 눈: 력들의 피로도가 쉽게 증가한다.
         전투를 시작하기 전에는 장군이 연설하고 사들이 환호하는 컷신이 나온다. 이 컷신은 스킵할 수 있으며 반란군을 상대할시에는 나오지 않는다. 컷신이 끝나면 자신의 부대를 맵에 배치한다. 대부분의 부대는 자신의 지역에만 배치할 수 있지만 일부 특이한 부대는 중립 지역에도 배치할 수 있다. 방어측은 이 시기에 궁이나 조총들로 여러가지 방어용 장애물을 설치할 수 있다. 준비가 다 되었다면 전투 시작 징을 클릭해 전투를 시작한다. 인근에 다른 아군 군대가 있었다면 전투가 시작하고나서 지원군의 형식으로 난입한다. 지원군이 오는 방향은 해당 군대가 있던 방향과 같다.
         보들은 숲과 수풀에 숨을 수 있다. 이렇게 숨은 부대는 사격을 하거나 적 부대가 일정 거리 이상 접근하면 노출된다.
         전투가 끝나고 나면 승리측은 전투를 그대로 끝낼 것인지, 아니면 패주하는 적 부대를 추격해서 도륙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큰 피해를 입은 부대는 전투가 끝나면 해체되지만 비교적 적은 피해를 입고 빠져나간 부대는 다음 전투에도 참전할 수 있으니 기으로 쫓아가서 최대한 큰 피해를 입히는게 좋다.
         만약 한 가문의 군대가 다른 가문의 성을 공격하면 포위가 시작된다. 포위당한 가문은 그 성에서 부대를 추가적으로 모집하거나 력 손실을 보충받을 수 없게 되지만 포위당한 성의 주둔군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포위를 건 가문은 성 안의 식량이 떨어질 때 까지 버틸 것인지, 아니면 직접 공격해 점령할 것인지, 정 안되겠으면 포위를 풀고 후퇴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직접 공격하는 선택지는 자동 전투와 수동 전투 두가지가 있다.
          * 성벽: 나무로 된 성벽. 보 부대를 배치할 수 있다. 여기 배치된 보 부대는 원거리 공격, 특히 조총에게서 몸을 그나마 지킬 수 있게 된다. 공격측의 보들이 타고 올라갈 수 있지만 일부 사들이 올라가던 도중 손을 놓쳐 추락사하며, 다 올라간 사들도 성벽에 배치된 방어측 부대의 격렬한 환영을 받게된다. 만약 파괴되면 배치되었던 사들 모두가 튕겨져나가 죽는다.
          * 성문: 나무로 된 성문. 말 그대로 문이다. 성벽과 같이 보 부대를 배치할 수 있다. 본래 방어측 부대에게만 문을 열어주지만 파괴되거나 공격측이 점령하면 상시 개방 상태가 된다. 만약 파괴되면 배치되었던 사들 모두가 튕겨져나가 죽는다.
          * 유미 망루: 나무로 된 망루. 주변의 적군에게 화살을 쏴갈긴다. 궁들처럼 불화살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점령 가능.
         전투 도중 아군 부대가 패주하면 부관이 "Our men are running from the battlefield! A shameful display!"(우리 사들이 전장에서 도망치고 있습니다! 부끄러운 모습입니다!)라는 대사를 치며 보고한다. [[https://youtu.be/U6zQ6ZqEqg0|그런데 일본풍 억양]] 때문에 "Shamefur Dispray"라고 불리며 [[밈]]이 된적이 있었다.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디시전 . . . . 19회 일치
          * Allow Foreign Volunteers(해외 지원 허가)
          인력 충당을 위해 외국인 자원자를 받는다. 대량의 인력을 획득하지만 자국민 사들과 마찰이 발생해 사기가 2% 하락한다.
          독일 국방군을 조직한다. 불만도가 3% 감소하는 동시에 전력 5 짜리 구형 보 사단 57개가 베를린에 나타난다.
          스페인 내전에서 스페인국을 지원하는 디시전. 력과 물자를 지원하는 선택지와 엄청난 양의 력과 물자를 지원하고 스페인국 군사통제권도 가져오는 선택지가 있다. 무엇을 선택하든 스페인국, 이탈리아와의 관계도가 상승하며 영국, 프랑스, 스페인 공화국, 소련과의 관계도가 하락한다. 또한 호전도도 올라간다. 스페인 내전이 끝나면 지원군 귀환 이벤트와 함께 몇몇 공군 교리의 청사진을 획득한다.
          오스트리아를 합하는 디시전. 오스트리아 국토를 획득하고, 300명의 인력과 지휘관을 습득하고 불만도도 10 내려가지만 호전도가 10 오르며 영국, 프랑스, 체코슬로바키아, 이탈리아, 헝가리와의 관계도가 하락한다. 또한 정치 슬라이더가 강경파로 한 칸 이동한다. 영국과 프랑스의 평화시 공업력 패널티가 "전쟁 준비" 이벤트로 10% 감소한다.
          체코슬로바키아를 합하기 위해 압력을 넣는 디시전. 어그로를 덜 끄는 선택지로 슬로바키아를 독립시키고 체코를 잡아먹는 선택지가 있고, 어그로를 더 끄는 선택지로 체코슬로바키아를 헝가리랑 나눠먹고 헝가리를 주축군에 끌어들이는 선택지가 있다. 영국과 프랑스의 평화시 공업력 패널티가 "전쟁 준비" 이벤트로 10% 감소한다.
          * Die Wunderwaffen(보복기)
          보복기의 개발에 착수한다. 로켓 계열 기술(ICBM 제외)과 원자력 기반 기술 둘 중 하나를 골라 청사진을 얻을 수 있는데, 로켓 기술에는 불만도 -2%가 붙어있다. 보통 AI는 로켓 기술을 고르지만 원자력 기반 기술을 고르는 경우도 있다.
          노구교 사건(aka 마르코 폴로 다리 사건)을 일으켜 중일전쟁을 일으킨다. 지둥방공자치정부를 합하는 동시에 중화민국과 선전포고한다. 미국, 영국, 소련, 중화민국, 광서성 군벌, 산서성 군벌, 윈난성 군벌과의 관계도가 10-50 감소하며 일본의 국가 슬라이더가 간섭주의로 한 칸, 강경파로 두 칸 이동한다. 중화민국에게 광서성 군벌과 산서성 군벌을 합하며 중국 공산당에 동맹을 제안하는 "통일 전선 구축" 이벤트가 발생하며, 3일 후 중화민국 군대의 약화를 불러오는 "상하이 사변" 이벤트가 발생한다.
          * "체코슬로바키아의 최후 - 체코 합되다"이벤트 발생
          스페인 내전에서 스페인국을 지원하는 디시전. 인력 30과 자금 200을 소모하며 스페인 내전이 끝날 때 까지 스페인국에게 주기적으로 보급품 20을 공급한다. 스페인국, 독일과의 관계도가 상승하며 영국, 프랑스, 스페인 공화국, 소련과의 관계도가 하락한다. 또한 호전도가 1 올라간다. 스페인 내전이 끝나면 지원군 귀환 이벤트와 함께 청사진 둘, 차량화 보 사단 하나, 인력 20을 획득한다. 분명 지원군으로 보낸 인력은 10인데 왜 20이 돌아왔는지는 알 수 없다.
          * 발동 조건: "의용 군단이 본국으로 돌아왔다!"이벤트 발생, 아디스 아바바가 이탈리아나 그 동맹국이 점령, 평화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과 스페인 내전의 경험을 통해 이탈리아군을 개편한다. 보 사단 19개가 생겨나지만 원래 있던 사단을 쪼개서 사단을 만들기 때문에 모든 보 사단의 력 최대치가 30% 감소한다.
          * Annexation of Albania(알바니아 합)
          알바니아에게 이탈리아의 일부가 될 것을 요구한다. 유고슬라비아 영토인 프리슈티나와 테토보를 영토 분쟁 지역으로 만들며, 알바니아·유고슬라비아·그리스와의 관계도가 5-20 하락한다. 정치 슬라이더가 간섭주의로 한 칸 이동한다. 높은 확률로 알바니아가 합을 거부한다. 이 경우 유고슬라비아와 그리스에게 욕 먹으며 알바니아를 침공할지, 국민들에게 욕 먹으며 프리슈티나와 테토보를 포기할지 선택할 수 있다.
  • 은혼/639화 . . . . 19회 일치
          * [[우츠로(은혼)|우츠로]]의 음모와 진짜 목적은 [[다케치 헨페이타]]를 통해 해방군 모선에서 교전 중인 [[귀대]]에게 전해진다.
          * 폭발에 휘말려 산화하는 바토우와 사루가쿠. 귀대 또한 교전을 멈추고 전력 도주하나 그 과정에서 [[키지마 마타코]]가 낙오하고 만다.
          * 지구에서 일어나고 있는 심플하고도 거대한 음모. 모든 걸 파멸시키려는 [[우츠로(은혼)|우츠로]]의 계획은 우주에서 싸우는 [[귀대]]에도 전달된다. [[다케치 헨페이타]]가 관련된 사실을 전달하자 [[키지마 마타코]]가 귀를 의심한다. 그녀는 력을 이끌고 히노카구츠치를 저지하기 위해 진격을 계속하고 있었다. 그런 와중에 전해진 아르타나의 폭주. 마타코는 에도의 가부키쵸 연합군이 어떻게 됐는지 다급하게 물었다. 거기까지는 헨페이타도 알 수 없는 일. 그저 많은 별들을 멸망으로 몰아넣은 사태가 지구에서도 일어나고 있으며, 그 배후가 우츠로라는 것만 알 수 있었다. [[카와카미 반사이]]가 우츠로의 진짜 목적은 뭐냐고 물었다. 헨페이타가 알아낸 목적은 크게 두 가지. 지상의 해방군 잔당을 일소하고 본대가 히노카구츠치로 보복하는 걸 유도하는 것. 거기에 지구의 전 아르타나를 모은 아르타나 캐논을 작렬, 막대한 힘을 충돌시켜 지구를 부수고 전우주에서 모인 해방군과, 잘하면 이 은하까지 부수는 걸 노리고 있다.
          * 마타코와 반사이의 력이 합류. 하지만 모퉁이 바로 뒤에 적의 대력이 진치고 있다. 적의 화력과 무장 상태가 좋아 진격이 막힌 상태. 뚫자면 골치 아프게 생겼다. 마타코는 이 고생을 해가며 히노카구츠치를 막아도 거기서 끝나는게 아닌 거냐고 반문했다. 반사이는 그렇다고 생각했다. 아르타나의 폭주를 막지 못하면 결국 지구는 끝. 하지만 이미 폭주 상태에 들어간 지구를 돌이킬 수 있을까? 적어도 한 사람은 그렇다고 생각했다.
          귀대 대장 [[다카스기 신스케]]가 적들의 머리 위에서 천장을 뚫고 습격한다. 전방의 반사이, 마타코의 력에 집중하던 해방군 부대는 위에서부터 공격에 급속히 와해된다. 신스케는 어떤 방어진이든 돌파할 구멍이 있는 것처럼 지구가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은 있다고 생각한다. 아니, 애초에 지구는 무너지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이정도로 끝날 거였다면 귀대가 옛적에 끝내버렸을 거다.
          * 신스케의 기습으로 적의 화력이 분산되자 이 틈을 놓치지 않고 마타코와 반사이의 력이 진격한다. 진형이 무너진 해방군은 앞뒤에서 몰려드는 귀력에 끼어서 압살 당한다. 신스케는 지상의 동료들에 대해서도 전혀 걱정하지 않았다. 오히려 그렇게 방해를 해왔던 녀석들이 쉽게 죽게 두지 않겠다고 말한다.
          다시금 시작된 귀대의 진격. 신스케가 선두로 나선다. 끝없이 밀려드는 적을 끝없이 베어넘기는, 문자 그대로 지옥. 하지만 신스케는 지옥이야 말로 귀대에게 어울리는 무대라고 단언한다. 반사이는 참모인 헨페이타가 "희망"이란 불확실한 단어를 입에 올렸다고 빈정댄다. 하지만 마타코는 맨날 로리만 입에 달고 사는 변태 보단 방금 전 그게 훨씬 정상이라고 대꾸한다. "평소답지 않다". 그런 거라면 헨페이타가 문제가 아니다. 헨페이타는 사실 자기도 그들과 함께 진격하고 싶었다고 말한다. 그답지 않은 얼굴을 보고 싶었기 때문에.
          * 귀대가 끈질긴 싸움을 이어가는 동안 하루사메의 증원군도 해방군 모함에 돌입했다. 삼흉성 [[사루가쿠]]의 전달이었다. [[바토우]]도 돌입 성공. "악당 총집결"이라고 들떠있는 사루가쿠에게 "악당이 아니라 원숭이를 잘못 말한 거겠지"라고 디스한다. 그러면서 그들은 해적놀이를 시작하기 전에 수행할 "임무"가 있다고 지적한다. 하지만 그런데 관심이 없는 사루가쿠는 전부 "삼흉성 제일의 일벌레"에게 떠맡긴 뒤 부하들을 이끌고 적진으로 향한다.
          그동안 귀대가 시도했던 접촉은 모두 한카이의 카피를 이용한 것이었다. 총 12개의 카피가 동원됐고 헨페이타는 그때마다 같은 설득으로 협조를 얻어냈다. 그러나 모두 실패. 하지만 무의미한 시도는 아니었다. 12개의 카피 한카이가 조금씩이나마 시큐리티에 구멍을 낸 덕에 그 벽이 무너지려 하고 있었다.
          * [[엔죠]]황자는 호락호락하지 않을 뿐 아니라 목적을 위해 모든 걸 버릴 수 있는 인물이다. 그게 불필요해진 모든 아군을 버리는 일이 되더라도. 그는 지상의 아르카나 캐논 보다 먼저 히노카구츠치를 발사하기 위해 모선의 전 에너지를 그쪽으로 돌리고 가동에 불필요한 구역의 전력을 전부 차단, 산소공급마저 끊는다. 각 구역에서 침입자들과 교전하던 력들은 당연히 몰살. 황자는 그것도 공멸이 불러올 참사에 비하면 싼값이라 합리화한다. 그리고 엄밀히 말하면 그는 희생자들을 위한 대책도 세워놨다. 마지막이 고통스럽지 않도록.
          헨페이타의 다급한 퇴각 선언도 시간에 맞출 순 없었다. 귀대가 상황이 급변을 인지하기도 전에 세 번재 폭발음이 모선을 뒤흔든다.
          * 사방이 폭발. 불꽃이 적도 아군도 없이 모든 걸 잡아먹는다. 아무리 귀대여도 어쩔 수 없는 일. 폭발이 일어나지 않은 곳으로 몰려갈 따름이다. 시시각각 다가오는 죽음. 마타코가 낙오한다. 자신도 믿기지 않는다는 표정. 폭발은 이미 그녀의 발끝까지 따라왔다.
  • 헌터X헌터/369화 . . . . 19회 일치
          * 할켄부르그 측의 진짜 의도는 이 깃털의 정체가 뭔지 알아내는 것. 하지만 그의 사설들은 보나마나 할켄부르그의 넨수일 거라고 짐작하고 있다.
          * 8왕자 사레사레 측은 경비대장 "무샤호"를, 7왕자 루즈루스는 두아즐 왕비 소속 "사토비"를 보낸다. 그는 크라피카에게 놀아나고 있다는 인상을 지우지 못한다.
          * 장레이는 자신의 사설 "텐프토리"를 보내며 "크라피카와 접촉하는 인물 마크해라."라고 지시. 텐프토리는 1왕자, 4왕자, 5왕자를 경계한다.
          제 1왕자 벤자민은 "정찰이 불가능"한 경우였다. 그의 사설은 전원 넨능력자로 보는게 좋았다. 그렇다면 방에 개미 한 마리도 들이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시간의 제약을 미처 몰랐을 때도 벤자민의 거처는 맨 마지막으로 접근할 생각이었다.
          제 2왕자 카밀라도 비슷한 경우다. 넨능력을 갖춘 력이 있을 것이다. 넨능력 수업에 응하지 않은 점이 결정적이다. 굳이 정찰하러 오지 않아도 그걸 보완할 능력자가 있거나, 하다못해 제 2왕비 두아즐 왕비의 경호만으로 충분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그것도 아니라면 카밀라 왕자가 전권을 쥐고 있기 때문이거나. 시마노는 그럴 가능성이 높다고 맞장구쳤다. 그녀가 아는 한 카밀라에게 의견을 말할 수 있는건 국왕 [[나스비 후이러궈우]] 뿐이다.
          * BW가 이틀째 새벽을 맞이할 무렵 왕비의 수색이 재개됐다. 바퀴벌레는 통풍구를 따라 1004호실로 향했다. 왕비는 설계도를 짚어가며 신중히 진행했다. 길을 헤매서도 지체가 돼서도 안 됐다. 그만큼 크라피카에게 부담으로 돌아갈 것이다. 다행히 아무 문제도 없이 목적지가 가까웠다. 이제 모퉁이 하나만 돌면 체리드니히의 거실. 그렇게 순조롭게 잠입이 성공하는 것 같았는데, 암초에 부딪혔다. 시야를 가득 채우는 여자의 얼굴. 아니다 그것이 여자일리 없다. 통풍구 속의 여자라니. 그 여자가 입을 멀리자 그 안에서 또다른 얼굴이, 그리고 달팽이 같은 촉수가 꿈틀거렸다. 모든 게 한 순간. 왕비에겐 바퀴벌레를 회수할 겨를도 없었다. 그 무언가가 바퀴벌레를, 그녀를 통채로 집어삼켰다.
          오이토 왕비의 비명이 세어나갔다. [[바비마이나]]를 포함해 경호원 전원이 달려온 걸 보면 꽤 먼 곳까지 들린게 틀림없었다. 바비마이나가 설명을 요구하자 크라피카는 "왕비님이 악몽을 꾸셨다"고 둘러댔다. 마침 그녀는 침대에 있었으니까. 바비마이나는 납득한 것같진 않았지만 트집을 잡을 구실도 없었다. 결국 경호원들이 제자리로 돌아간다. 왕비는 그들이 나가고 나서야 상황을 설명했다. 통풍구에 나타난 여자. 아마도 바퀴벌레는 먹혔을 것이다. 마침 왕비 곁의 돌핀이 "리틀아이가 강제 해제됐습니다"라고 알렸다. 오이토가 그 사실도 전달하자 크라피카는 이제 해제명령을 내려달라고 부탁했다. 이것으로 엠퍼러 타임은 종료. 장장 12시간, 그 중 9시간이나 허비한 결과 아무 수확도 없는 헛수고를 했다. 왕비가 발견한 통풍구 속의 여자가 수확이라면 수확일까? 보안상 통풍구에 사람이 있을 가능성은 없다. 그렇다면 그것은 넨수, 체리드니히의 넨수일 가능성이 높았다. 그렇게 생각을 정리하고 있을 때, 크라피카는 갑자기 밀려드는 피로감에 몸이 휘청거렸다. 아무리 제약을 둔 넨이라도 몸에 아무런 반동도 없을 순 없었다. 자신의 능력이라지만, 정말 성가신 능력이다.
          13왕자 마라얌 측에선 "베레리인터"라는 헌터 협회 출신 경호과 세반치 왕비 소속 "바리겐"을 보냈다. 베레리인터는큰 키에 코가 큰 남자. 당연히 넨능력자였지만 "제대로 가르치는지 확인"을 위해서 파견됐다. 베레리인터는 개인적으로 세반치 왕비를 좋아하는지 "꼼꼼히 확인해라"고 당부하던 그녀의 모습을 떠올리며 "귀엽다"고 히죽거리고 있다. 바리겐은 땅딸한 키에 몸집이 옆으로 불어난 남자다. 넨능력 습득을 명령 받았고 그걸 큰 기회로 여기고 있다. "웰게"라는 경호을 라이벌시하는 듯 한데, 그를 재치고 선발된게 꽤 자랑스러운 모양이다.
          * 제 9왕자 할겐부르그는 사설 둘을 보냈다. "세쥬르"라는 안경잽이 남자와 검은 머리의 "유히라이"라는 남자. 할겐부르그는 계승전에서 빠지기로 했지만 자신을 비롯해 소속 전원의 손등에 "깃털문양"이 나타나자 예사일로 느끼지 않았다. 분명 "넨수"가 관련되었다, 그렇게 직감했다. 그 정보를 유포한 와블 왕자측과 접촉해 이 깃털문양의 실체를 밝히는게 목표. 그걸 위해서라면 이쪽의 정보를 전부 공개하는 것도 상관없다. 세쥬르는 알아볼 필요도 없이 할겐부르그의 넨수일 거라고 짐작한다. 유히라이도 동감한다. 이 문양은 왕자가 말하는 "각오의 각인" 그 자체다.
          * 8왕자 사레사레는 쉰코쉰코 왕비 소속 대장 "무샤호"를 보냈다. 짧은 머리에 이마가 돌출된 독특한 인상. 그는 약간 씁쓸해하고 있다. 왕자가 적당한 이유를 붙여서 내쫓은 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작전 내용 자체는 분명 다른 사람에게 맡길 수 없는 "최중요 임무". 그것만은 사실이었다.
          제 7왕자 루즈루스도 사레사레와 마찬가지로 두아즐 왕비 소속 대장 "사토비"를 보냈다. 이마에 주름살이 가득한 중년남. 그는 이 수업을 정찰 임무로 이해하고 있다. 다른 진영 경호원들의 동향을 살피면서 교섭도 할 수 있는 기회. 그렇게만 보면 너무 좋은 조건이지만, 단 한 사람의 경호원에게 놀아나고 있다는 느낌을 지우지 못한다. 그는 크라피카를 위험인물로 간주했다.
          * 5왕자 츠베파는 철저하게 실리주의적으로 움직이고 있었다. 그는 사전에 접촉시켰던 사설 대장 "마올"을 다시 파견하고 "롱기"라는 머리가 긴 남자를 딸려보냈다. 그 역시 츠베파의 사설. 그들의 목표는 "크라피카의 두뇌". 그를 동료로 확보하는 것이다. 와블 왕자까지 포함해도 좋으니 꼭 동료가 될 수있도록 설득하라는게 진짜 목표였다. 넨 습득은 오히려 구실. 마올은 다른 진영 경호의 눈을 의식해 은밀하게 처리하려면 편지를 사용하는게 좋겠다고 생각하고 있다. 롱기도 같은 생각이다. 부호를 쓰거나 동작으로 신호를 주고 받는 것도 노출된 우려가 컸다.
          4왕자 사설 "뮤한"은 인상만큼이나 정신상태도 이상한 녀석이었다. 왕자의 지시를 떠올리며 신이난 듯이 기분 나쁜 웃음을 흘린다. 그 옆의 같은 소속 "단진"은 그보다는 멀쩡해 보이는 사내로 뮤한에게 "그렇다고 일부러 습득하지 않으면 곤란하다"고 당부 중이다.
          * 장레이가 파견한 "텐후토리"는 장레이의 사설이다. 주먹코에 안경이라는 볼품없는 행색. 그도 실제로 명령받은건 정찰과 감시였다. 목표는 크라피카. 그에게 접촉을 시도하는 인물들이었다. 장레이는 크라피카가 앞으로 키맨 노릇을 할거라 내다봤다. 텐후토리가 보기엔 제 1왕자, 4왕자, 5왕자가 요주의다.
  • 은혼/628화 . . . . 18회 일치
          * [[사카타 긴토키]]는 범용 오니형 결전기 헤반도로곤을 이끌고 당당히 한 세력을 차지한다.
          * 헤바는 [[헤도로]]를 개조하여 "헤도라"와 "헤도로"의 힘을 파일럿이 조절할 수 있게 한 기. 일격필살의 츳코미가 특기다.
          * 한편 겐가이 영감은 야토족 용부대에 잡혀 포박 당한 상태인데.
          * [[진선조]]의 국장 [[곤도 이사오]]가 대답한다. 네오암스트롱사이클론제트암스트롱 겐가이포에 의해 우주와 지상의 통신이 두절되고 지휘계통까지 무너진 해방군이 금방 재건되기는 어렵다. [[히지카타 토시로]]도 놈들은 패주하다 막부의 추격대까지 들이닥쳤기 때문에 거의 와해된 상태라고 덧붙인다. [[오키타 소고]]는 오히려 지금은 공세로 전환할 찬스라며 저정도 대군이 지휘계통도 없이 흩어진 지금이라면 량을 노려서 궤멸시킨다면 그걸로 전쟁은 끝이라고 자신한다.
          * 그러나 [[핫토리 젠조]]와 [[사루토비 아야메]]가 이끄는 오니와반슈는 부정적인 입장이다. 애초 그들의 목적은 정전 협정이 채결될 때까지 시간을 끄는 것. 구태여 치고나가서 적들을 몰살시킬 필요는 없다. 게다가 적들은 어찌됐든 대군이며 궁지에 몰렸을 때 어떤 변수가 생길지 미지수다. 젠조는 거기에 확인되지 않은 용 부대가 하나 더 있는 것도 신경 쓰인다며 신중론을 펼친다.
          * 그러고 보니 안 보이던 [[사카타 긴토키]]는 해결사를 졸업하고 범용 오니형 결전기 '''헤반도로곤'''의 파일럿으로 돌아왔다.
          >그것이 바로 범용 오니형 결전기 헤반도로곤이야.
          긴토키는 이렇게 천사와 악마를 상황에 맞게 꺼내는 것으로 인류를 지킨다, 인류보완계획의 전말이 이것이라고 폭로한다.
          >어떻게 봐도 악마밖에 없는데!!
          신파치가 츳코미를 한 건데 여기에도 또 츳코미가 날아온다. 긴토키의 짓이다. 긴토키는 "보케질은 엉뚱하거나 바보같은 말 전부"를 칭하는 거라며 아무튼 자기 맘에 들지 않으면 츳코미를 넣겠다고 당당히 선언한다. 실로 악마 위에 악마가 타고 있는 상황.
          * 바퀴벌레 때문에 당한 일격이 결정타가 되어 긴토키는 자리보존하고 눕는 신세가 되었다. 하지만 [[시무라 타에]]는 "악마가 아니라 신이었다"며 원래 안 쉬려고 할게 뻔한 긴토키를 이렇게라도 쉬게해주니 신이 휴가를 준거나 다름 없다고 포지티브하게 해석한다. 헤도로는 긴토키에게 미안해하며 눈물을 흘린다. 타에는 "사람을 조종하려 한 이 인간 잘못"이라며 다독이지만 여린 심성의 헤도로는 쉽게 죄책감을 떨치지 못한다. 그래서 "긴토키도 바퀴벌레만큼이나 소중한 지구의 친구"라고 말하며 사과하지만 바퀴벌레와 비교된 당사자는 툴툴거린다. 타에가 헤도라의 인격을 살짝 열어서 긴토키가 정신차리게 만든다.
          한편 진선조 일행의 겐가이 영감 수색은 계속 벽에 부딪힌다. 겐가이포 발동 이후 그의 행적은 오리무중이다. 진선조는 몇몇 시민들의 증언을 토대로 그의 행방을 쫓고 있다. 어떤 사람이 그가 용부대에 잡히려 할 때 도망치던걸 봤다는 증언을 해준다. 또 다른 사람에게서는 "같이 도망쳤지만 꼭 해야 할 일이 있다며 헤어졌다"는 증언도 확보한다.
          * 긴토키가 하늘이 무너져도 깨지 않을 작정으로 술을 나발 불고 헤드폰에 오키타의 수면안대까지 장착하고 꿀잠의 세계로 출발한다. 그때 방 옆을 지나가던 츠쿠요는 긴토키가 내버린 술을 밟고 뒤로 넘어진다. 그런데 이때 에 남아있던 술이 그녀의 입 안으로 튀겼다.
          안대와 헤드폰 때문에 옆에서 일어난 일을 꿈에도 몰랐던 긴토키. 누군가 안대를 벗겨내서 눈을 떠보니, 앞에는 주정뱅이란 이름의 악마가 도사리고 있었다. 신에게 살려달라고 빌어보지만...
          겐가이는 야토족 용부대의 손에 떨어졌다. 닦지를 못해서 엉덩이를 드러낸 채로 포박돼있다. 수령으로 보이는 삿갓 쓴 야토가 "왜 여기 왔는지 알겠지?"라고 답이 뻔한 질문을 한다.
  • 은혼/632화 . . . . 18회 일치
          * [[다카스기 신스케]]는 [[카와카미 반사이]], [[키지마 마타코]]를 별동 력으로 편성, 모선에 각기 돌입시켜 혼란을 야기한다.
          * [[다케치 헨페이타]]는 외부에서 함대로 진입 력을 지원하고 있다.
          * 헨페이타는 그들의 행동에 마음이 움직여 [[귀대]] 가입을 결심, 때마침 감옥 안에 깔아둔 부하들의 협조로 감옥을 탈출한 신스케 일행과 합류한다.
          * 그렇게 시작된, 세상을 부수려던 귀대가 지금은 세상을 구하려 한다, 헨페이타가 그런 아이러니를 느끼자 마타코는 "그렇지도 않다"고 말한다.
          * 마타코는 무엇이든 썩어빠진 것을 쳐부수는 것이 신스케와 귀대라고 말하고, 그 말대로 신스케는 해방군 본진을 유린하며 쾌진격한다.
          * 그리고 지금. 신스케는 귀대의 대장으로, 양이지사로 해방군 본진에 선전포고를 하고 있다.
          [[엔죠]] 황자는 스크린을 통해 그를 보고 있다. 엔죠는 그가 누구에게도 굴하지 않는 당돌한 눈을 가졌다고 느낀다. 이 남자는 누구인가? 엔죠가 의문을 느끼고 있을 때 신스케는 눈 앞의 해방군 력을 향해 걸어간다.
          연주 소리를 듣고 관군들이 다가온다. 무슨 짓이냐고 추궁하자 그는 조용히 듣기나 하라며 연주를 멈추지 않는다. 그러다 보니 자연히 아무렇게나 둔 칼이 발각된다. 위험한 물건을 가지고 있으면 모두 양이지사로 모는 시대. 시비가 일어난 동안 관군들도 행인들도 반사이에게 시선을 집중했다. 그러느라 정작 사형수에게 일어난 이변은 아무도 눈치채지 못했다. 누군가 소녀를 감시하던 력들을 쓰러뜨렸고 어느 새 소녀는 어디론가 도망치고 없었던 것이다.
          * 신스케가 진입한 정확한 위치는 해방군 모선의 제 17구획이었다. 그와 대치하는 부대는 501 부대. 열세에 처했는지 다른 력들에 원군 요청이 쇄도한다. 그러나 그들이 501부대를 원호하러 갈 기회는 없었다. 곧이어 제 7, 제 22 구획에도 돌격정이 진입한다. 그리고 그 속에서 쏟아져 나오는 귀대, 카와카미 반사이와 키지마 마타코의 력들.
          그것이 오늘에 이른다. 헨페이타는 귀대의 함대를 이끌고 있다.
          * 헨페이타는 그 날과 오늘을 겹쳐본다. 그날 처음부터 결성된 귀대는 관헌을 철저히 파괴했다. 그리고 줄곧 같은 일을, 오늘도 같은 일을 하는 셈이지만 묘한 아이러니가 느껴진다.
          * 그들이 첫 출을 했던 날. 모든 것이 끝나고, 신스케는 머뭇거리는 그녀에게 한 마디했다.
          >저는 알고 있슴다. 귀대가 세계를 부수기 위해 생겼다는 것도.
          >귀대가 여자애 하나를 구하기 위해 생겼다는 것도.
          >어느 쪽도 귀대라는 사실도.
          >그게 바로 다카스기 신스케와 귀대임다
  • 진격의 거인/95화 . . . . 18회 일치
          * 가장 평가가 높은 것은 [[베르톨트 후버]]의 초대형 거인으로 "파괴의 신"이라 불리며 전략기 취급.
          * [[라이너 브라운]]과 [[가비 브라운]]은 이른 아침부터 본부로 향했다. 그들은 시장을 가로질러 출근을 했는데 지나가던 엘디아인 시민들은 하나같이 그들을 반기고 우러러보며 인사를 건넨다. 출입구를 통제하는 마레인 사들 조차도 그들에게만은 친근하게 대하며 안부를 물을 정도. 그런데 평소와 같은 라이너와 달리 가비는 어쩐지 침울하고 풀이 죽은 모습이다. 마레인 사도 그걸 눈치챘다. 그는 "이번에는 활약했다며?"하고 말을 붙이나 가비가 반응이 없자 조금 집요하게 말을 건다. 가비는 그게 들리지도 않는지 "평소대로 본부에서 훈련한다"고 적당히 대답하고 통제소를 통과한다. 하지만 그들이 지나간 뒤에도 사들은 가비의 우울한 기색이 마음에 걸려서 왜 저러는 건가 고민할 정도다.
          피크와 라이너는 그 말을 놓치지 않았다. 지크는 가끔씩은 쉬는 것도 좋다며 커피를 돌린다. 하지만 그들이 모인 이유는 결코 쉴려고 그런게 아니었다. 자리에 앉은 지크가 본론을 말한다. 그는 거두절미로 "상황이 좋지 않다"고 운을 뗐다. 수년 간 계속된 "자원쟁탈전 시대". 마레는 거인의 힘으로 승리하고 역시 그 힘으로 주변국의 반발을 억눌러왔다. 그리고 그 첨역을 하는 거인, 엘디아인에 대한 여론은 역대 최악으로 과거 엘디아제국 시절에 견줄만 하다. 지크는 분명 엘디아 민족이 분명한 반성의 뜻을 표했다고 말한다. 그것은 속죄라고 말하는게 좋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는 엘디아인의 멸절을 바라고 있다. 단지 그 뿐만이 아니다. 과학기가 거인기를 앞지르는 것은 시대적 필연. 거인은, 엘디아인은 멀지 않은 장래에 전술적 가치를 잃는다. 거인에 의존하는 마레가 국력을 상실하는 건 뻔한 일이고 마레가 약해지면 엘디아인과 세계를 가로지르는 장벽도 사라진다. 엘디아인을 존속시킬 필요 자체가 없다고 말하는 세계에 던져지는 것이다.
          * 턱의 거인과 [[마르셀 갤리어드]]의 궁합도 좋다. 턱의 거인은 강습형이라 할 만하다. 가장 작지만 가장 빠르며 강력한 턱과 손톱은 대부분의 적기를 파괴한다. 임기응변이 능한 마르셀에게 적격이다. 그걸 입증하듯 적진의 기관총 포탑을 기습해 박살내 버린다.
          짐승거인은 이미 여러 번 검증을 거쳤다. 본래 짐승거인은 그저 보통 거인보다 클 뿐이라는 박한 평가였지만 지크가 계승한 이후로는 일변, 투척 능력을 손에 넣어 압도적인 위력을 과시했다. 이번 전쟁에서도 그 무시무시한 투척은 적의 기 부대를 일소해 버리는 전과를 올렸다. 무엇보다 지크의 "피"에는 뭔가 숨겨진 것이 있다. 마레에서는 그걸 "경이의 아이"의 기적이라 평했다.
          초대형 거인이야 말로 마레 측이 가진 최대의 "전략기"였다. 베르톨트는 관처럼 생긴 케이스 안에서 그대로 거인화, 경계하며 피난이 한창이던 마을이 그저 그것만으로 흔적도 없이 지워진다. 마레의 장교들은 단 한 마디로 이것을 표현했다.
          이 일곱 거인의 위력을 검증하는 자리에는 마가트 또한 있었다. 어느날 갑자기 저런 것들이 들이닥치게 될 "섬의 악마들"이 불쌍하다는 동료에게, 그도 동감을 표했다. 현 세대 계승자들은 어렸을 때부터 단련시킨 값을 충분히했다. 분명 전세대 보다 강해졌다. 그럼에도 그는 팔라디 작전과 그 작전을 인가한 상층부를 불신했다. 고작 네 명의 전사들에게 시조 거인 탈환을 맡긴다? 그는 "제정신으로 내린 결정이 아니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동료는 "방금 전 그 애들이 나라 하나를 짓뭉개는 걸 봤잖아"라며 전혀 심각하게 고려하지 않았다. 하긴 이 녀석은 훗날 밀실 대화를 듣고도 지크의 꿍꿍이를 알아차리지 못한 놈이다.
          >난 끝까지 달아날 거다! 너희들 엘디아의 악마 모자들로부터!
          >섬의 악마들로부터 모두를 구원하여 세계의 영웅이 되는 거야!
          네 명의 전사들은 짐말까지 합쳐 다섯 마리의 말을 타고 섬을 가로질렀다. 밤이 깊어지고 구름까지 짙어 더는 나아갈 수 없게 되자 캠프를 준비했다. 숲에 말을 숨기고 모닥 불을 피우고, 일행은 거기에 둘러앉았다. 그들은 밤길이라 생각대로 전진하지 못하는 부분이나 그래도 밤이라서 거인과 마주치지 않는 것에 대해서 시시한 이야기를 했다. 그러다 베르톨트가 무거운 주제를 꺼냈다. 정말 벽을 부숴도 벽의 왕이 시조 거인의 힘을 쓰지 않겠느냐는 것. 라이너는 마레 측 연구자들이 그럴 거라 했다며 이제와서 그런 걱정을 왜 하느냐고 쏘아붙였다. 마르셀은 그 말에 동의하며 "이젠 돌이킬 수 없다"고 중얼거렸다. 그들은 내일 벽을 부술 것이다. 하지만 그가 의 목소리는 어딘지 힘이 없고 체념이 엿보였다. 라이너의 빠른 눈치는 그런 점을 그냥 넘어가지 않았다. 그는 섬의 악마들을 죽이는게 두렵느냐고 일장연설을 늘어놨다. 그리고 그 악마들이 역사상으로 한 짓과 지금도 세계를 위협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그리고 자신들은 세계를 대표해 악마를 심판할 "선택받은 전사"라고 역설했다.
          >섬의 악마들을 심판하여 모두를 구원할 영웅이 될 것이다.
          * 망치의 거인을 가진 타이바 가문이 새로운 떡밥으로 부상하고 있다. 다른 거인들은 마레의 군사기이자 엘디아인으로서 열악한 처우를 받고 있는데 비해 타이바 가문은 단지 최초의 전향자란 이유로 아무런 불이익도 없을 뿐더러 전쟁터로 내몰리지도 않아, 포르코처럼 반감을 가진 자도 있다. 오히려 그들이 선동역으로 나설 정도면 사실상 엘디아인이 아니라 특별취급 받는 기득권 계층에 가까운 묘사. 전세계적으로 이들만큼은 멸시의 대상이 아니라는 말이 된다.
  • 마법병 . . . . 17회 일치
         [[일본]]에서 [[보온]]을 부르는 명칭. 마호우빙(まほうびん).
         [[보온]]이다. 그거다.
         보온은 1904년에 [[독일]]에서 생산이 시작되었다. [[일본]]은 [[독일]]에서 보온을 수입했는데, 이 때 안에 담은 액체의 온도가 변하지 않는 것이 마치 [[마법]]과 같다고 해서 마법(魔法瓶)이라는 이름을 붙이게 되었다.
         이 이름을 명명한 것은 도쿄제국대학 교수로서, 동물학자이자 어류학자였던 이이지마 하지메(飯島 魁)로 알려져 있다. 다만 명명 과정에서 약간의 착각(!)이 있었는데, 1907년 10월 22일자 도쿄 아사히 신문 기사에 따르면, 이이지마 하지메는 "[[이솝 우화]]에 나오는, 뭐든지 바라는 대로 나오는 마법의 (매직 보틀)"에서 따와서 이름을 붙였다고 하는데 그런 이야기가 이솝 우화에는 없다(…). 아마 다른 동화를 착각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착각'한 동화는 아마도 [[로버트 스티븐슨]]의 '[[ 속의 악마]](The Bottle Imp)'로 추측된다..
         1908년에 수입됐을 당초에는 광고에서 한란(寒暖壜)이라는 이름으로 불렸고, 1911년에 일본에서 제작된 보온이 발매됐을 때는 진공(真空瓶)이라고 불렸다. 마법이라는 이름이 언제부터 쓰이게 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 [[진 여신전생]]에서 [[MP]] 회복 아이템의 이름으로 등장한다.--진짜 마법--
          * [[일본]]의 [[보온]] 제조 업체는 [[오사카]]에 많이 있는데, 당시 오사카에서는 [[유리]] 산업이 발달하여 [[전구]] 제조 등이 활발했고, 이런 기업들이 [[진공]] 기술을 보온에 활용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 울펜슈타인 : 뉴오더 . . . . 17회 일치
         1960년, 블라즈코윅즈는 폴란드의 정신원에서 눈을 뜬다. 나치에 의해 학살의 장이 된 정신원에서 탈출한 블라즈코윅즈는 나치가 제2차 세계대전에서 승리해 세상을 지배한다는걸 깨닫는다. 블라즈코윅즈는 나치에 대항하기위해 레지스탕스 조직을 찾아 나선다.
          블라즈코윅즈를 보살피던 정신원의 수간호사. 블라즈코윅즈와 함께 정신원을 탈출한다. 폴란드 출신으로, 의사와 지식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고고학 박사 학위를 가지고 있지만 전쟁 때문에 고고학을 배우는걸 그만두고 가업인 정신원 운영을 돕게 되었다.
          중장갑, 기계화된 적에게 효율적인 시험형 기. 강력한 레이저를 발사해 적을 끝장내거나 철조망, 쇠사슬, 얇은 철판을 잘라내는 데 쓸 수 있다. 사용시 배터리가 소모되므로 충전을 열심히 해야한다.
          사 50명과 캄프훈트 5마리를 은밀하게 사살하면 해금. 뛰어다닐때 나는 소음이 감소하며 수그린 상태에서의 이동 속도가 증가한다.
          * 사(Soldier)
          제국우주해대의 사. 오랜 기간 실전에서 경험을 쌓은 사들만이 될 수 있다. 지정사수소총으로 무장하고 있으며 레이저 모드만 사용한다.
          중장갑을 입고 자동산탄총으로 무장한 정예. 폭동 진압 간수와 달리 파쇄탄을 사용한다. 등 뒤에 달린 육각기둥형 탱크를 공격해 터뜨릴 수 있다. 가끔씩 자동산탄총을 두정 들고 나오는 놈들도 있다.
          중장갑을 입고 로켓발사기가 달린 돌격소총으로 무장한 정예. 돌격소총은 쓰지 않고 로켓만 발사한다. 죽인 후 두르고 있던 장갑판으로 방어력을 회복할 수 있다.
          중장갑을 두른 정예 우주. 스페이스 마린 중 최고의 인원만이 이게 될 수 있다. 지정사수소총으로 무장하고 있으며 레이저 모드만 사용한다. 중장갑을 둘렀으므로 단검이 안 먹힌다.
          데스헤드가 손수 만들어낸 강화보. 화학적 처리 등 여러 개조를 한 후 방탄 갑옷에 쑤셔박은 인간이다. 개조 과정 중 뇌를 원초적인 수준까지 열화시켜 매우 폭력적인 성향을 가지게 만든다. 거치식 기관총으로 무장하고 있다. 죽인 후 몸에 붙어있는 철갑판을 떼어내 방어력 회복 수단으로 쓸 수 있다.
          화학 약품을 주입받고 철제 방호복을 입은 저먼 셰퍼드. 강한 공격성을 가지고있다. 다른 사들보다 민감하며 블라즈코윅즈를 발견하면 달려들어 물어뜯는다. 이때 LMB를 연타해 목에 칼을 박아주면 된다. 죽인 후 방호복을 방어력 회복 수단으로 쓸 수 있다.
          데스헤드가 만들어낸 사족보행 기. 동부전선에 시험 투입되어 소련군 전선에 혼란을 가져왔다.
  • 은혼/634화 . . . . 17회 일치
          * 해방군 지상군 소속의 야토 용부대는 [[히라가 겐가이]]의 협조로 겐가이포를 무력화시킬 유일한 수단을 확보한다.
          * 우주에서 싸우는 [[다카스기 신스케]]와 귀대는 전황은 나쁘지만 어떻게든 히노카구츠치를 파괴할 수단을 찾기 위해 기의 분석에 들어간다.
          * "겐가이 포를 무력화시킬 방법을 알려주면 [[엔죠]] 황자의 목을 따주겠다." 야토족 용부대의 대장 "노사"는 그런 조건으로 [[히라가 겐가이]]의 협조를 받아낸다. 그가 일러준 하천 근처를 파해쳐 보니 케이스가 나왔고 그 안엔 냉각된 실린더가 있었다. 보고를 들은 노사는 "무슨 방법이 있다"던 겐가이의 말이 허풍이 아니었다고 말한다.
          * 지상의 사정이 이렇게 되는 동안 우주에서 싸우는 [[다카스기 신스케]]와 귀대는 해방군을 상대하며 히노카구츠치를 멈출 방법도 찾아내야 했다. 신스케는 력을 이끄는 한편 [[다케치 헨페이타]]에게 후방의 상황을 확인한다.
          * 역시 해방군을 상대 중인 [[카와카미 반사이]]도 "그놈"들이 나설 차례는 없을 거라고 호언한다. [[키지마 마타코]]는 어차피 자신들이 나선 이후 세상을 지키든 부수든 둘 중 하나라며 히노카구츠치의 해석은 어떻게 되었냐 묻는다. 사실 이들은 대책없이 싸우고 있는 듯 보이지만 뒤쪽으로는 기술자를 잠입시켜 해방군 모함의 데이터를 해킹하고 있다. 이 자료는 그대로 헨페이타의 전함으로 송신, 적 기의 헛점을 찾을 단서가 됐다. 헨페이타는 "별을 파괴할 수 있는 기"라 하면 거창해 보이지만 결국 오래된 구식 기라며 데이터를 분석하면 파고들 틈이 있다고 장담한다.
          그러나 귀대가 히노카구츠치를 멈추더라도 문제는 끝나지 않는다. 지구가 엔죠 황자의 협박에 넘어가 봉쇄를 푼다면 모든 일이 허사다. 이 기를 멈추고 해방군 본진을 칠 때까지 지구가 버텨줄 수 있을까?
          야토 사가 그를 "처리"하러 다가온다. 절체절명. 그런데 겐가이는 노사가 자신의 속성을 잘못 읽었다고 지적한다.
          야토족 사가 가구라를 일제히 덮친다. 가구라는 응전하며 "너희 적은 다른 곳에 있고 이러면 다 같이 끝장날 거다"고 항변한다. 노사는 가구라의 빈틈을 파고들어 치명상과 독설을 떠안긴다.
          노사의 공격으로 힘이 빠진 가구라가 쓰러지자 사들이 마무리를 지으러 온다. 반격할 수단이 없는 가구라. 그런데 누군가 나타나 맨 앞줄에서 달려들던 사의 목을 걷어찬다. 목이 떨어져 나갈 정도의 힘으로.
          * 이어서 달려들던 사들이 차례로 나가떨어진다. 그의 등장으로 야토족 부대의 움직임이 멈춘다. 가구라를 구한 남자는 이렇게 말하며 후드를 벗는다.
  • Crusader Kings 2/DLC . . . . 16회 일치
         무력 계열 교육 특성이 있는 인물을 대장으로 용단을 창설할 수 있게된다.
         질과 죽음에 중점을 둔 DLC.
         질에 걸리면 질 특성이 바로 붙지 않고 증상 특성들이 전조로 오게 바뀌었다. 또한 역이 발생해 주변 영지로 퍼지는 일도 생기게 되었다. 물론 캐릭터가 거기 있다면 높은 확률로 에 걸린다. 역 중 보스몹 정도의 위치를 차지하는 [[흑사]]도 있는데, 인도에서 나타나 "흑사으로 황폐해진 XXX" 따위의 이벤트 창을 띄우며 서유럽으로 빠르게 다가온다.
         궁정의사를 고용할 수 있다. 에 걸렸을 시 궁정의사에게 치료를 받을 수 있는데 성공적인 치료를 받았을 경우에는 능력치와 체력 수치에 버프를 받아 생존 확률이 증가하지만 실패했을 경우에는 역으로 페널티가 붙는다. 이놈들은 "실험적인 치료"로 몸 한구석을 잘라내 '''암'''을 치료할 수도 있다. 실험적인 치료는 사실상 로또라는게 문제지만. 신비주의자 의사의 경우에는 환자의 자식을 제물로 바치거나 자신을 제물로 바쳐 환자를 치료하기도 한다. 또한 질에 대한 저항력을 높혀주는 건물인 원을 지을 수도 있다. 그래도 역에 죽을까 노심초사하시는 분을 위해 성문에 못질하고 가신들과 함께 [[히키코모리|히키짓]]하는 디시전도 생겼다.
         오랫동안 역이 돌지도 않고 포위당하지도 않은 영지는 번영도라는 수치가 오르게 되었다. 번영도가 높을 수록 세금 수입과 해당 지역 징집률이 늘어난다.
  • 맥스 페인/줄거리 . . . . 16회 일치
         현재의 [[뉴욕]]. 경찰 력이 에이저 코퍼레이션의 건물로 몰려드는 가운데, 에이저 코퍼레이션 건물 꼭대기에 한 남자가 저격소총을 들고 서 있었다.
          * 리코 무에르테의 방에서 왼쪽으로 가면 나무로 막힌 문이 있다. 나무를 부수고 보면 창문이라는걸 알게되는데, 해당 창문으로 나가 핏자국을 따라서 가면 비밀 방이 등장한다. 해당 지역에서 화염을 얻을 수 있다.
         라그나록의 무대 뒷편에는 잭 루피노의 비밀 성소가 있었다. 촛불과 향이 켜져 있었고, 바닥에는 마법진이 그려져 있었다. 마법진 위에는 루피노가 벌인 인신 공양의 희생자들의 시체가 있었다. 루피노는 악마, 마왕, 악신들을 소환하려 하고 있었다. 베엘제불, 아스모데우스, 바포메트, 루시퍼, 로키, 크툴루, 릴리스, 헬라…. 그는 자신의 피로 계약서에 서명하는 것으로 그들을 소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완전히 미쳐 있었다. 안젤로 펀치넬로는 루피노의 이런 행동을 꾸짖으며 그만두지 않는다면 자신의 악명높은 경호원인 트리오를 보내겠다고 편지를 썼지만, 루피노는 그 편지를 찢어버렸다.
         루피노는 신과 악마들의 이름을 늘어놓으며 울부짖고 있었다. 맥스는 루피노의 목소리가 들리는 방향을 따라 어떤 방에 들어선다. 맥스가 이곳에 왔다는 사실을 알아낸 루피노는 종을 울려 부하들을 불러모은다.
         맥스가 루피노의 부하들을 모두 처리하자 루피노가 모습을 드러낸다. 루피노는 자신은 타악천사의 살을 맛보았고, 악마의 초록색 피를 맛보았다는 헛소리를 늘어놓는다. 그러고는 자신은 죽음 여신의 아들이며 그녀에게 대적할자들은 반드시 죽을것이라고 외치며 맥스에게 달려든다.
         루피노는 화염과 산탄총으로 맥스를 공격하지만 결국 맥스에게 죽는다. 하지만 맥스는 발키리가 인간을 좀비와 같이 만드는 약이라며 루피노의 시체에 연거푸 총을 쏜다. 이때, 한 여자가 맥스를 제지하며 나타난다. 그녀는 맥스에게 총을 겨누며 범인을 잘못 짚었다고 말했다.
         맥스는 콜드 스틸을 지키는 용들을 처리하며 콜드 스틸을 탐사한다. 용들은 잘 무장되어 있었고, 잘 훈련받았었다. 또한 콜드 스틸 곳곳에는 레이저 감지식 지뢰가 설치되어 있었다.
         콜드 스틸을 탐사하던 도중 맥스는 놈들의 무전기를 획득한다. 용들은 모든 증거를 파기하려고 하고 있었다. 그 무전을 들은 맥스는 곧 진실을 알 수 있을거라고 생각했다.
         용들은 맥스를 막기위해 폭발물로 계단을 박살내고, 셔터를 내려 길을 막는 등의 행동을 하지만 맥스는 어떻게든 길을 찾아내서 돌파, 엘레베이터를 타고 지하로 내려간다.
         엘레베이터가 내려간 곳은 기계장치가 즐비한 지하 시설, 딥 식스였다. 그곳에는 정장을 입은 남자 두 명, 그리고 용 한명이 있었다. 용은 자신들이 맥스를 막아낼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정장을 입은 남자들은 용을 쏴죽이고는 장치를 조작해 자폭 절차를 발동시킨다.
         맥스는 단서를 찾아 자폭 경고음이 울리는 시설을 돌아다닌다. 용들은 발키리 제작자들을 쏴죽인 후 시설을 빠져나가고 있었다. 맥스는 그들과 반대 방향, 더 깊은 곳에 위치한 실험 시설 감방으로 향한다. 그곳에는 발키리를 빼돌렸다가 감방에 갇힌 발키리 제작자 한명이 있었다. 맥스는 그에게 멸균실을 통과하게 도와달라고 협박한다. 맥스의 호위를 받은 제작자가 멸균실을 가동하자 맥스는 그가 도망갈 수 있게 해준다.
         멸균실을 거쳐 실험실로 간 맥스는 실험실 컴퓨터를 통해 발할라 계획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알아낸다. 발할라 계획은 1991년에 보의 체력과 사기를 증진시키기 위해 시작되었다. 하지만 만족스러운 결과를 내지 못해 계획은 취소되었다. 이를 본 맥스는 누군가 허가 없이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이후 맥스는 혼이 고용한 용들과 혼의 부하들을 물리치고 아스가르드 빌딩에서 탈출한다. 이제 맥스는 니콜 혼의 이름을 알았다. 이제 잃을게 없는 남자는 꿈꿔왔던 복수를 하려한다.
  • 병 속의 악마 . . . . 16회 일치
         지킬박사와 하이드로 유명한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Robert Louis Stevenson)의 소설. 안에 악마(Imp)가 들어있는 마법의 을 소재로 한 이야기이다.
         안에 악마가 들어 있는 마법의 은 뭐든지 소유자의 소원을 들어주지만, 죽을 때까지 이 을 소유하고 있으면 소유자는 [[지옥]]에 떨어져서 영원히 불타게 된다. 여기에서 벗어나려면 반드시 다른 사람에게 을 팔아야 하는데, 소유자가 주고 산 값보다 싼 값에 을 팔지 않으면 안된다.
         하와이의 선언 케아위(Keawe)가 한 노인을 만나게 되는데, 그는 부유하고 좋은 집에 살고 있었지만 왠지 슬퍼보였다. 그 이유를 물어보자 자신의 모든 재산은 소원을 들어주는 악마(Imp)가 들어있는 마법의 (magic bottle)으로 얻은 것인데, 이 은 모든 소원을 들어주지만 죽기 전에 이 을 팔아버리지 않으면 소유자는 [[지옥]]에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은 반드시 자신이 삿던 것 보다 싼 값으로 팔아야 한다. 케아위는 50달러를 주고, 노인에게 이 을 사게 되며….
         ## === 괴물, 악마 ===
          * [[일본]]에서 [[보온]]을 뜻하는 [[마법]]의 유래가 된 동화가 아닌가 추측되고 있다. 명명한 본인은 이것을 [[이솝 우화]]로 착각하고 있었던 것 같다.--스티븐슨 부들부들--
  • 은혼/611화 . . . . 16회 일치
          * 히라가 겐카이 일행의 희생으로 활로는 뚫렸지만 해방군은 력이 많고 여전히 압도적인 우세. 3대 용민족을 중심으로 백전 태세를 갖춘다.
          * 우주의 해방군 본대는 지구측과 통신조차 두절되고 패닉 상태에 빠진다. 대기 중이선 함대까지 이상이 오고 최종적으론 더이상 력을 충원하는건 위험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원상 황자는 예상하지 못했던 전개에 초조한 기색을 감추지 못한다. 그런 원상에게 사카모토 다츠마는 "장군님에게 불꽃놀이를 보여줄 생각이었겠지만 습기가 차버렸군"이라고 빈정거린다. 다츠마는 서있기도 지친다며 그냥 감옥으로 돌아가겠다고 말한다. 원상은 돌아가려는 그들을 불러세우지만 도쿠가와 사다사다는 "보지 않아도 안다. 우리들은 지지 않는다."고 말하고 감옥으로 돌아간다.
          * 해방군의 기계화 력은 전멸. 가부키쵸의 주민들은 히라가 겐카이 영감의 성과에 환성을 지르지만 사정을 짐작하고 있는 시무라 타에, 캐서린은 겐카이 일행을 걱정한다. 오토세 여사는 아무 말도 하지 않지만 분명 겐카이 영감이 타마와 사카타 킨토키를 희생시켰을 거라고 직감한다.
          * 핫토리는 과연 그들이 열세였던게 과학기 때문이었냐고 반문하며 "숫적으로도 열세"라는 점을 냉정히 지적한다. 그 말대로 해결사 일행은 끊임없이 밀려드는 해방군의 보부대를 발견하고 아연해한다.
          * 해방군은 기계장비가 고장나자 빠르게 백전 대비태세를 갖춘다. 파일럿들이 쓸 수 있는 거라면 아무거나 잡아들고 보으로 전환해 편제를 재구성하고 일사분란하게 도열한다.
          * 3대 용민족 중 하나인 다키니는 이 과정을 주도하고 있다. 이들은 해방군 본진과 단절된 걸 기회삼아 얼렁뚱땅 전군 지휘를 자처한다. 다키니의 리더 오우가이는 지구인들이 재미있는 짓을 해줬다고 좋아하는데, 현재의 전장이 기계 위주가 되면서 시시해졌다고 생각하던 차였다. 덕분에 과거의 "멋진 전쟁"으로 돌아갔다며 기라면 "훼괴전차"라 불린 자기 자신들이 건재하다고 투지를 과시한다.
          * 같은 용민족이지만 신라 측은 드라이하게 관망하고 있다. 리더인 소타츠는 다키니는 이끼 낀 고대 유물들이라고 비하하며 어차피 현시점에선 통솔도 어려울 력 따윈 다키니에게 던져주자고 한다. 저들이 지구측과 교전해서 교착상태가 되면 그때야 말로 자신들이 목표를 달성할 때라는 것.
          * 오우가이는 사들을 모아서 기는 못 쓰게 됐지만 적도 마찬가지며 력 자체는 자신들이 압도적이라고 교시한다. 그리고 네오암스트롱사이클론제트암스트롱 겐카이포를 파괴하고 본대와 통신을 복구하는걸 목표로 하여 진격을 명령한다. 따라서 이들은 가부키쵸를 향해 진격하게 되는 셈. 해결사 일행은 이것을 지켜보고 있었다. 가구라와 신파치는 가부키쵸의 동료들을 걱정하는데 긴토키와 히지카타 토시로는 그정도는 가부키쵸에서도 알고 있다고 말한다. 본진과 단절된 이상 해방군의 행동은 정해져 있던 셈이고 가부키쵸에서는 그걸 감안해서 미끼역을 자처한 것이다. 핫토리는 전쟁에서 중요한 점은 적의 행동을 먼저 아는 것이라 강조하고 곤도 이사오는 에도 전체를 상대로 무차별 파괴를 하던 해방군이 뚜렷한 목표로 일정한 작전을 수행하게 됐으니 오히려 무엇을 할지 예측할 수 있고 기적을 일으킬 수 있는 때라고 말한다.
  • 은혼/648화 . . . . 16회 일치
          * 결국 사들까지 전의를 잃고 무기를 버리자 노부노부는 적아군 구분없이 모두를 구하도록 하는데, 이를 본 엔쇼가 마음을 움직여 자신의 패배를 인정한다.
          * 엔쇼는 자작 제독에게 그에게 용서를 비는데, 그것이 유언이 되었다. 종전을 납득하지 못한 사가 총을 난사했고 엔쇼는 머리를 맞아 절멸했다.
          * 그는 전쟁을 일으킨 지도자들의 업보를 시인하며 총을 쏜 사에게 분이 풀릴 때까지 자신들을 쏘되, 이 전쟁은 대장 둘의 목숨으로 끝내도록 하자고 타이른다.
          * 신스케가 쓰러지면서 멈춰있던 시간이 움직였다. 마타코의 오열과 함께 전장의 소란스러운 소리도 돌아왔다. 군홧발소리가 두 남자의 주위를 애워쌌다. 양측의 사들이 적의 대장을 향해 총구를 겨눴다. 다시 시간은 얼어붙었다. 끝을 알 수 없는 대치가 영원히 이어질 것 같았다. 그만두자고 할 때까지는. [[도쿠가와 노부노부]]가 그 말을 꺼냈다.
          * 자작 제독과 함께 사들 앞에 선 노부노부는 무장을 하고 있지 않았다. 그는 적과 아군을 구분하지 않고 말했고 누구에게라고 할 것 없이 말했다. 자기 자신에게 하는 걸지도. 그는 이제 충분히 싸웠고 자신들이 이 자리에 있는건 증오를 부딪히기 위해서가 아닌, 그걸 멈추기 위해서라고 말하고 있었다.
          먼저 결단을 내린 것은 양이지사 측이었다. 양이지사 소속 력들은 대치 상황에서 스스로 총을 포기했다. 해방군 사들은 그 모습을 보면서 경악했지만 방아쇠를 당길 생각은 하지 못했다.
          그 다음 노부노부는 누구든 도울 수 있는 자라면 적과 아군을 구분하지 않고 돕도록 하고 해방군 모선의 추락을 최대한 저지하도록 지시했다. 엔쇼는 그 모습을 지켜봤다. 노부노부를 바라봤고 자신이 싸웠던 영웅들을 바라봤으며 그들을 따르는 사들을 바라보았다. 모두 같은 눈이었다. 그의 아내를 닮은 눈. 고통을 짊어지고 사는 눈. 엔쇼는 그런 눈을 이기지 못하고 도망치지 않았던가? 그렇다면 같은 눈을 한 남자들에게 이길 가능성도 처음부터 없었던 것이다. 그는 그 사실을 포함해서 모든 것을 인정했다.
          * 전쟁은 끝났다. 적어도 인간들의 전쟁은 끝났다. 자작 제독이 직접 엔쇼를 부축해 일으켰다. 자작은 먼 길을 돌아서 돌아온 친구를 바보같은 녀석이라 부르며 왜 더 빨리 그런 얘기들을 해주지 않았냐고 책망했다. 이제 해방군 사들도 총을 버렸다. 두 부류의 사들이 한 가지 목적을 위해 움직이기 시작했다. 엔쇼는 자작과 함께 그들을 등지며 용서를 구했다.
          * 총알은 자작의 후두부를 관통해 이마를 뚫었다. 이어서 두 번째, 세 번째 총알이 심장과 우측 복부를 꿰뚫었다. 즉사. 총을 쏜 사람은 엔쇼의 충직한 부하였다. 일선에서 그의 지시에 따라 동포들을 희생해온 남자였다. 그 사는 엔쇼가 말한 "웃기는 얘기"를 받아들일 수 없었다.
          자작의 호통과 함께 그 사는 금밭 붙잡혔지만 사태의 파장은 거기서 그치지 않았다. 자작은 엔쇼의 시체를 추스르면서 맞은 편에, 또 한 사람이 쓰러지는 걸 보았다. 피를 흘리고 있었다. 노부노부였다. 노부노부가 총에 맞았다. 피가 걷잡을 수 없이 흘렀다. 입가에서 한줄이 선혈이 비져나왔다. 그 상황이 전파되는데 얼마 걸리지 않았고 사들이 다시 총을 집기까지도 얼마 걸리지 않았다. 상황은 다시 일촉즉발. 언제라도 총성이 울릴 것만 같았다. 그때 노부노부의 입에서 그만두라는 호통이 튀어나왔다.
          * 노부노부는 총을 쏜 사가 맞는 말을 했다고 말했다. 그들이 멋대로 일으킨 전쟁이었다. 사들은 거기에 휩쓸려 탄화의 빗 속에 서있었다. 그렇게 멋대로 시작한 일을 멋대로 끝낼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진 않았다. 이건 당연한 결과였다. 노부노부는 다시금 몸을 일으켜 사를 향했다. 그리고 그에게 쏘고 싶다면 탄이 허락하는대로 더 쏘라고 말했다. 기분이 풀릴 때까지.
  • 진격의 거인/86화 . . . . 16회 일치
          * 지크가 일곱 살이 될 무렵, 마레 정부는 파라디섬을 공격할 계획을 세우고 엘디아인 어린아이를 대상으로 사를 모집한다.
          * 유미르 프리츠는 "대지의 악마"라는 존재와 계약해서 최초로 거인의 힘을 얻었다. 지금 엘디아인은 그녀의 후손이며 "유미르의 민족"이라 불린다.
          * 아버지는 "우리 몸에는 악마의 피가 흐르고 있다"며 이해시키려 하지만, 어린 그리샤는 "나도 페이도 그런 짓은 하지 않았다. 마을을 걸었을 뿐"이라 항변한다.
          * 피눈물을 흘리며 엘디아 복권파에 가입하는 그리샤. 그리샤는 마레인이야 말로 진정한 악마이며 선조들이 한 일은 당연한 것이었다고 믿게 된다.
          * 마레 정부는 엘디아인을 상대로 "사"를 모집한다고 발표한다.
          * 마레는 자신들이 확보하고 있는 "일곱 거인"을 계승할 새로운 사를 원하고 있다.
          * 그래서 거인을 계승할 수 있는 엘디아인 5~7세 어린이를 대상으로 사를 모집하는 것.
          * 현대의 군사기술은 놀라울 정도로 발전해서 화석연료를 바탕으로 한 기들이 거인에 필적하거나 능가하는 전력으로 자리잡고 있다.
          * 이미 복엽기나 증기선 따위가 신기로 유망하게 떠오르는 상황.
          * 이 시대의 군사력은 신기들을 유지할 수 있는 "막대한 양의 화석연료"를 확보하는게 관건이고, 파라디섬은 이 화석연료가 풍부한 것으로 추정된다.
         === 악마의 자식 ===
         베르톨트가 언급한 "악마의 자식"이나 악마의 민족이란 표현의 정체가 밝혀졌다. 이는 마레 측의 표현으로 오랜 세월 거인의 힘을 앞세워 학살을 자행한 엘다이 인들을 지칭하는 것. 아이러니한 일이지만 마레의 전사는 엘디아인을 대상으로 모집했으니 베르톨트와 라이너도 "악마의 자식"의 피가 흐르는 셈이다.
         한편 지크를 비롯한 작전 관계자들은 모두 "엘디아는 악마의 자식이며 멸망시켜야 한다"는 확고한 신념을 가진 걸로 보이는데 지크가 훗날 배신하는 것 등을 보면 고도의 세뇌가 가해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베르톨트나 라이너가 얘기했던 "전사냐 사냐"는 얘기에서 전사란 "마레의 전사"를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이 엘런 예거가 가진 거인화 능력, "좌표" 능력을 가져 가려고 했던 것도 레이스 왕가가 "시조 거인"의 힘을 가지고 있고 그걸 탈환하기 위해서였다.
  • 킹덤/516화 . . . . 16회 일치
          * 수도 한단에 도착한 [[이목(킹덤)|이목]]. [[왕전(킹덤)|왕전]]의 의중을 파악하진 못했지만 진군을 성공적으로 포위하고 "량공세"를 펼칠 채비를 한다.
          * 무려 아홉 성에 달하는 소도시의 난민들이 업성으로 몰리는데 업의 성주는 좋은 사람이라 모든 난민을 수용해 순식간에 량이 거덜난다.
          * 이목은 그제서야 왕전은 난민들을 "함락의 무기"로 삼아 조나라를 상대로 역으로 "량공세"를 펼치는 것임을 깨닫는다.
          * 쾌속진격한 [[이목(킹덤)|이목]]은 순조롭게 수도 한단에 도착했다. 전 삼대천 [[인상여]]의 부하들이 그를 맞이한다. 이들은 이목이 처음 지시했던 한단군 출을 이루지 못했으나 자신들과 사의 출은 허가를 받아냈다. 그 력은 북쪽 염 성에서 1만, 문 성에서 1만씩 총 2만이다. 이목으로선 뜻밖의 희소식이었다.
          * 이목은 새롭게 얻은 력을 진군을 포위하는데 돌린다. 업성에 투입할 수도 있으나 그러지 않아도 업성은 왕도권에서, 아니 중화전토에서 최고의 성. 진군이 보급 문제도 해결하지 못한 채 왕도권까지 들어왔으니 이들을 업으로 유인한 뒤 조군으로 포위한다면 그 자리에 앉아 있는 것만으로 숨통을 조일 수 있다. 이른바 "량공세". 이목은 우선 조왕을 알현하고 정식으로 왕도권 전역의 통수권을 받기로 한다.
          * 이목의 도착 소식을 접한 [[호주(킹덤)|호주]]가 헐레벌떡 달려온다. 진작부터 그를 기다리고 있었다. 이목은 그동안 자신의 지시를 충실히 이행한 것에 감사를 표하는데 호주에겐 그보다 다급한 용건이 있었다. 그렇잖아도 알현 뒤엔 그를 찾아가려 했던 이목이었다. 호주는 지금 왕도권에서 속속 들어오는 최신첩보를 정리해왔다. 진군은 력을 세 가래로 나눠 왕도권의 소도시 아홉을 정복하고 업으로 향하고 있다. [[공손룡]] 장군의 9만 력은 [[양단화]]군의 산민족 5만과 대치하느라 발이 묶인 상황. 그런데 그 전선이 조금씩 동쪽으로 이동하면서 왕도권 남부로 방출된 난민 무리는 북쪽으로 가지 못하고 쫓기듯 동쪽으로 몰려오고 있다.
          * 이목의 통찰대로 구름떼 같은 난민 무리가 업성으로 모여들었다. 업성의 각 입구에는 끝이 보이지 않는 난민 행렬을 통제하기 위해 사들이 분주하다. 백성을 수용하고 나서도 각 성의 사람들이 뒤섞이고 일행이 헤어지지 않게 통제하기는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무엇보다 문제는 숫자. 벌써 2곽이 꽉 찼는데 아직도 행렬이 이어진다. 현장 지휘관은 제 3곽도 이용하게 해달라고 요청하려 하는데, 부하는 이 3곽도 꽉 찬지 오래라고 보고한다. 이만한 숫자는 먹이는 것도 문제다. 식량도 지니지 않은 채 먼 길을 온 난민들은 피폐해질 대로 피폐했다. 우선은 배급을 진행 중이지만 얼마나 갈 수 있을지?
          >진군의 량이 먼저 다하는가
          >"량공세전쟁"이 되었습니다!
          * 적군만 왕전의 기상천외한 발상에 경악한 건 아니었다. 환의는 량공세를 받는 군단이 상대 백성을 써서 역으로 량 공세를 거는 말도 안 되는 상황에 크게 감탄한다.
  • 킹덤/522화 . . . . 16회 일치
          * [[몽념(킹덤)|몽념]]의 낙화대가 기수군을 방심시키고 [[마광]]군이 좌익을 찔러들어가는 양동작전. 력차이를 압도할 정도로 성공을 거둔다.
          * 기수군은 사기가 크게 떨어져 와해될 지경이나 기수가 숫적 우위와 사의 질을 들어 버티고 맞설 것을 지시하자 혼란이 진정된다.
          * 조군의 우익을 맡고 있는 기수군. 치고 빠지길 반복하며 외곽을 괴롭히던 [[몽념(킹덤)|몽념]]에 정신이 팔린 사이 마광의 5천 력이 좌측을 깊게 찔렀다. 그 공격을 수습하기도 전에 그 뒤에 다시 5천 력. 적은 1군을 굳이 두 부대로 나누어 일정한 간격으로 들이치고 있다. 파상공세. 마치 적이 끝없이 몰려오는 듯하다.
          * 습격을 당한 보대는 제대로된 저항도 못한 채 와해되다 시피한다. 일선의 사들은 정체불명의 군대가 한도 끝도 없이 몰려온다고 착각한다. 전선이 빠르게 무너진다.
          * 마광군의 2파가 도달한 시점에서 이미 기수군 사들은 전의를 상실했다. 게다가 그 뒤에는 3파, 4파까지 다가오고 있으니 누가봐도 조군 우익이 괴멸되는 건 시간 문제였다. 대장인 기수가 손놓고 있었다면 그랬을 것이다. 기수는 전의를 잃으려는 부대를 질타하고 발빠른 대처로 추스렀다. 우선 [[여극]]의 기마 1천을 좌측으로 보내고 이미 전선에서 벌어진 난전은 무시했다. 노려야 할 것은 뒤따라 오는 적의 3파의 좌전방. [[마정]]을 구하러 간 1만은 그대로 속행하게 하고, 마정을 구해내면 그대로 마정의 지휘 아래 적 3파의 우전방을 치게 했다.
          부관들은 여기서는 물러나서 재정비를 할 때라고 진언하나 단칼에 거절한다. 물러난다면 적은 그만큼 철저하게 뒤따라올 것이다. 기수는 이 자리에서 결사항전할 것을 지시하며 적이 소수 부대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달하게 한다. 적이 부대를 나눠 파상공세를 취하고 있으니 실제로는 5천 씩 4파로 나눈 총 2만 력. 기수군이 총 3만이니 력면에서 압도하고 남는다는 논리였다. 계산 자체는 맞았다. 부관들 눈빛에 희망이 돌아온다.
          >이 숫자의 차이와 리안의 질로 하여금 반드시 승리하리라!
          이 호령은 완전히 붕괴할 뻔했던 군의 전의를 되살렸다. 하지만 그걸 위해서 기수는 거짓말을 했다. 분명 처음에는 3만대 2만의 싸움이었을지 모르나, 낙화대의 유인책에 놀아나고 마광의 기습을 허용한 바람에 력차는 눈에 띄게 줄었다. 이제 양군의 총전력은 비슷하거나 오히려 역전된 상황. 기수도 그 점을 모르진 않았다. 그럼에도 이같은 선동까지 하면서 군을 물리지 않은건 "오른쪽"에 있는 존재가 너무나 위협적이었기 때문이다. 몽념의 낙화대다. 기수는 그들이야 말로 지금 가장 위험한 요소라고 판단했다.
          * 낙화대는 아슬아슬하게 마정을 놓쳤다. 마정을 구출하자 기수군은 빠르게 퇴각했다. 적이 1만이나 되는 력이니 추격하기엔 마땅치 않다. 부관들은 다음 행동에 대해 물었다. 몽념은 마정이 가는 방향으로 상황을 판단했다. 마정이 전방으로 간다는건 본진이 무사하다는 말이고 파상공세의 후방을 요격하러 간다는 말이었다. 기수는 분명 이대로 공세를 버티는 길을 택했다. 이건 왕전이 예견한 그대로의 전개였다. 왕전이 따로 설명해준 적은 한 번도 없었지만, 몽념은 그가 그린 그림을 함께 보고 있던 것이다.
          * 기수는 부관들을 모아놓고 이게 "미끼"에 불과했던 낙화대가 5천 력의 "유격대"로 바뀌었음을 설명한다. 좌측에 들이닥친 마광군을 막기 위해 전력을 다하는 이상, 낙화대 5천은 이제 유격대가 돼서 언제든 아군의 배후에 결정타를 먹일 수 있는 가장 큰 위협이다. 게다가 그 지휘관인 몽념은 필시 평범한 장교가 아니다. 이 력의 존재가 너무 크다. 이제와서 요격하려 해도 력을 빼면 그만큼 본진이 파상공세에 밀릴 공산이 크다. 생각해보면 단순한 미끼로 끝날 거라면 5천은 많았다. 기수는 여기까지는 내다보지 못했음을 시인한다. 도발, 양동을 위한 5천 력이 끝내 자군의 목숨을 노릴 수 있는 "주역"의 위치까지 발돋움했다. 이건 우연도 뭣도 아니다. 철저한 계산에 따른 배치. 왕전히 그린 밑그림이었다. 기수는 새삼 이것이 진군 총대장 왕전이라며 좌절감을 느낀다.
  • 진격의 거인/91화 . . . . 15회 일치
          * 엘디아인 사이자 "전사 후보생"인 가비와 파르코는 스라바 요새 공략에 동원된다.
          * 철벽같은 요새 앞. 포연이 가시지 않은 전장에서 한 소년이 하늘을 날아가는 새를 향해 손을 뻗는다. 소년은 포화 속에 쓰러져 있는 주제에 날아가는 새를 보고 거기는 위험하다고 중얼거린다. 소년은 마레의 군복을 입고 있지만 엘디아인을 나타내는 완장을 차고 있다. 피투성이의 소년은 새가 나는 것이 걱정스러운 듯 바라보다가 이윽고 마음을 바꾼다.
          * 그녀는 자신이 엘디아인의 운명을 짊어지고 "그 섬의 악마들"을 몰살하겠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 세상에는 선량한 엘디아인만 남길 것이며 수용구의 엘디아인들을 해방하겠다고 결의한다.
          * 한편 그 옆의 콜트는 마가트 대장을 상대로 설득에 들어간다. 현재 그들 부대의 목표는 기관총 진지 뒤에 있는 열차 선로다. 하지만 보들이 참호만 파대서는 승산이 없게 됐다. 적 측의 참호가 훨씬 견고하게 구축돼있다. 요새의 지원포격도 있기 때문에 전진하는건 말도 안 되고 여기서 버티는 것 조차 의미가 없다. 이대로는 전부 포탄의 밥이 될 뿐.
          * 그때 관측이 "놈"이 나타났다고 알린다. 그것은 "장갑열차"다. 거기에 달려있는 열차포는 "대거인포"라 불리는 연합의 신기다. 장갑열차에 총 4문이 장착돼있다. 100mm짜리 철갑포로 보통 거인은 말할 것도 없고 "아홉 거인"이라 해도 한 방이면 처리할 수 있는 괴물. 마가트가 우려한 것이 저것이었다. 콜트는 턱과 차력은 재빠른 거인이므로 목덜미를 당하지 않을 거라고 장담하지만 마가트는 도박의 여지를 두고 싶지 않다. 만약 당하면 어쩔거냐는 반문에, 콜트는 거인의 힘과 전사를 잃고 거인의 힘을 되찾는다는 보장은 없다고 인정할 수밖에 없다. 마가트 대장은 거기에 9년 전 있었던 "시조탈환 계획"의 처참한 실패를 덧붙인다. "여성형 거인" [[애니 레온하트]]와 "초대형 거인" [[베르톨트 후버]]를 잃은 실패 말이다. 이 전력의 상실이 지금의 전쟁을 일으킨 방아쇠가 되었다. 마레의 군사력이 저하됐다고 본 주변국들과 분쟁으로 전쟁이 시작, 지금까지 이어지면서 팔라디섬 공략은 한없이 뒤로 밀렸다.
          이렇게 민간인이나 투항자로 위장한 "편의" 운용은 국제법 위반이지만, 마가트는 그것도 적이 살아있을 때 얘기라며 나름대로 도박을 건다. 파르코는 대체 가비가 왜 저렇게까지 하는지 이해하지 못한다.
          * 가비가 가까워지자 기관총 진지의 사들은 의견이 엇갈린다. 소총수는 엘디아인이 틀림없다며 거인화하기 전에 쏴버리라고 말한다. 하지만 기관총사수는 그럴 거면 소총수인 네가 쏘라며 떠넘긴다. 그러자 소총수는 욕지거리를 하며 조준한다. 아무리 엘디아인이라도 어린애를 쏘는게 마음에 걸린 걸까? 그러는 사이 가비는 바닥에 쓰러져 있다. 이것도 연기의 일환일까?
          * 열차포, 막대 수류탄 등 제1차, 제2차 세계대전에서 활약하던 기들이 등장. 파라디섬 '바깥 세계'의 문명은 양차대전 수준으로 보인다.
          * 소위 '편의'은 현실의 국제법에서도 금지된 것이지만, 일본 우익들은 중국에서 난징 학살 등 민간인 학살을 저지른 것에 대해서 변명으로 사용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일본군은 '편의 사냥'을 명목으로 도주한 중국군/민간인을 무차별 학살했으며, 현재 일본 우익들은 "편의은 죽여도 된다."는 식의 주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중국군은 단순히 군복을 벗고 도주했을 뿐. 조직적으로 군복을 벗고 위장 공격을 했다는 근거는 없다.[* 애초에 이러한 '특수작전'을 실행하려면 상당한 사전 준비와 그에 걸맞게 훈련된 특수부대가 필요하다. 군복을 벗어 군사 지휘체계에서 벗어난 상태에서도 자연스럽게 민간인으로 위장하여 활동하면서 동시에 전투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편의 사냥'은 정당하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군복을 벗고 도주한 사를 색출해서 무조건적으로 죽여도 된다고 주장하는 것은 논리적 비약[* 제네바 전투 조약상 이러한 행위가 '사형에 처해질 수 있다.'고 하나, 이는 즉결처분을 정당화하지 않는다.]이다. 또한 이때 쓰인 색출기준이란 눈빛이 날카로운 사람, 자세가 좋은 사람, 구두를 신어 발목이 까진 사람 등으로 자의적이고 조잡해서 청년, 장년을 무차별로 죽인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 킹덤/508화 . . . . 15회 일치
          * [[바지오]]는 열미성 입성에 성공. 파죽지세로 성벽의 열미을 격파하고 성문의 개폐장치로 향한다.
          * 비신대의 신들은 엄청난 긴장감에 시달리다 흥분, 노평이 돌발행동을 하다 죽는다. 이것을 시장으로 사상자가 속출.
          * [[간두]]는 우왕좌왕하던 동안 창까지 잃어먹고 적에게 포위된다. 그러나 이때 [[수원]] 보장이 부하들을 이끌고 나타나 간두와 신들을 구한다.
          * 바지오는 누구보다 먼저 적진으로 뛰어든다. 그가 솟구칠 때마다 적의 핏줄기와 머리가 함께 솟구친다. 열미군은 방진을 만들어서 바지오를 저지해보려 하지만 그의 날아차기 한 방에 방패벽이 몇 겹이나 깨져나가가고 방패들이 압사하면서 진형이 무너진다.
          * 바지오 한 사람이 이미 성벽을 도륙내고 있을 무렵 [[이신(킹덤)|이신]]과 [[하료초]]는 멀리서 그 광경을 바라보며 환호성을 지른다. 단 한 사람의 전공이라고 보기 어려울 정도로 일당백의 전투였다. 바지오의 뒤를 따라 산민족 군대가 들이닥치고, 한 번 뚫린 자리에는 사다리가 잇달아 모이면서 더 많은 력으 성벽으로 오른다.
          * 성벽 위를 순식간에 정리한 산민족들은 파죽지세로 성벽 아래로 치닫는다. 바지오는 "지다족"에게 지시해서 성문의 개폐장치를 찾게 한다. 지다족은 후각이 매우 발달한 민족으로 후각을 동원해 숨겨져 있던 개폐장치를 찾아낸다. 성벽 아래 지하실에 있었다. 평범한 바닥으로 위장돼 있었지만 지다족의 후각은 그것을 놓치지 않았다. 입구가 열리자 열미들이 뒤늦게 막으려 들었지만 이미 주위를 산민족이 호위하고 있었다. 지다족은 곧바로 개폐장치를 확보한다. 양단화는 이 개폐장치에 대해 미리 알고 있었는지 그들에게 미리 언질을 해두었고 지다족은 어려움 없이 성문을 연다.
          * 성문이 열리고 비신대의 력이 선두로 나선다. 성 안의 열미군은 당황하지만 화살을 날리며 필사적으로 응전한다. 본대인 [[왕전(킹덤)|왕전]]의 군단에선 벌서 성문이 열렸다는 소식을 듣고 황당해하는 분위기다. 왕전은 잠자코 있지만 그도 예상보다 훨씬 빠른 전개에 놀라는 모양이다. [[몽념]]의 낙화대에서도 이 일로 술렁거린다. 몽념은 믿기지 않을 정도의 속도라며 혀를 내두른다.
          * 지휘부의 감탄이야 어쨌든 전장에서는 치열한 난전으로 전개된다. 열미군은 불리하게 전개되는 상황 속에서도 침착하게 대응하고 있었고 여차하는 순간 역전 당할지도 모를 정도로 기세가 강했다. 비신대의 신들은 지나친 긴장과 첫전투의 흥분으로 제정신을 차리지 못한다. [[간두]]는 노평 등과 함께 황오장 밑에 있었다. 다들 숨쉬기도 버거워할 정도로 첫 전투의 신고식을 혹독하게 치르고 있다. 간두는 그들 중에선 오를 유지하라고 강조하며 훈련받은 대로 하자고 부대원들을 추스르고 있었다. 그러나 유난히 흥분한 노평이 실수를 저지른다.
          다른 오에서 익숙한 얼굴들이 죽어나가기 시작하자 노평은 두려움에 미쳐버렸다. 풀린 눈으로 모두 죽여버리겠다고 소리치던 그는 오를 이탈해서 적에게 마구잡이로 달려간다. 하지만 아무렇게나 휘두르는 칼로 적의 숙련들을 어쩔 수는 없었고, 적의 방패에 부딪혀 쓰러지고 만다. 그리고 허무할 정도로, 도와달라고 외칠 틈도 없이 목이 떨어진다.
          * 노평의 죽음과 함께 그나마 정신을 붙잡고 있던 간두도 겁에 질린다. 주춤거리는 사이 혼자 적을 막던 황오장은 결국 쓰러져서 창을 맞는다. 앗하는 사이에 간두의 분대는 뿔뿔히 흩어졌고 간두 자신도 어느 틈에 그랬는지도 모르게 창을 잃어버린다. 정신을 차려보니 황오장을 죽인 적들이 그를 둘러싸고 있다. 주저 앉은 그를 꼬맹이 취급하며 가차없이 창으로 찌르려 할 때, 그는 정말로 이렇게 허무하게 죽을 수도 있는가하며 참담한 심정이다.
          간두가 모든게 틀렸다고 여기려는 찰나 비신대의 고참들이 나타난다. 그들은 풀을 베어버리듯 간두를 죽이려던 열미들을 쓰러뜨린다.
          * [[수원]] 보장이 직접 신들을 구하러 왔다. 그는 신들에게 "기대에 못 미치는건 아닌가"라며 오를 유지하라고 하지 않았냐고 야단친다. 간두는 노평 탓이라고 변명하다 걷어차인다. 수원은 간두같이 깝죽거리는 것들이 첫 출진 때 죽기 십상이라며 쓴소릴 한다. 간두와 친구는 울상을 짓지만 변명의 여지가 없다. 수원이 돌아서며 말한다.
  • Victoria II . . . . 14회 일치
          1861년 7월 1일부터 시작하는 캠페인. 이탈리아는 통일을 완수하여 열강의 자리에 올라갔으며, 한때 열강이었던 스페인은 이탈리아에게 자리를 물려주고 탈락해버렸다. 아편 전쟁으로 홍콩을 강탈당한 중화제국은 천왕이 이끄는 태평천국을 상대로 전쟁을 벌이고 있다. 미국은 멕시코에게서 텍사스와 캘리포니아를 강탈하고 현재의 국경선을 거의 완성했지만 독립을 선언한 아메리카 연합국과 전쟁을 벌이고 있다. 한편 오스만 제국은 튀니스와 트리폴리를 자국 영토로 합하고 이집트에게서 중동 지방을 빼앗았다. 프랑스 역시 알제리를 완전히 먹어치웠고. 한편 일본은 미국의 영향권 내에서 근대화를 끝마쳐가는 중이다. 중앙아메리카 합중국은 분열되어 여러개의 나라가 되었으며, 페루는 에콰도르가 지배하고 있는 파스타사를 해방시키기 위해 전쟁을 벌이고 있다.
          * 보급 한도: 해당 프로빈스에서 얼마나 많은 수의 력이 보급을 받을 수 있는가의 정도. 단위는 ~,000명이다. 만약 이 수치 이상의 부대가 해당 지역에 있다면 보급 부족으로 사들이 죽어나간다.
          * Railroad(철로): 해당 지역의 력 보급 한도, 공장 처리량, 원자재 생산량, 력 이동 속도를 올려준다.
          * Interwar Spritepack : 12개국[* 오스트리아, 영국,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러시아, 스페인, 스웨덴, 터키, 미국]의 1919년 이후 보 스프라이트를 고증에 따른 전간기 군복으로 바꿔주는 DLC.
          * Interwar Artillery Sprite Pack : 12개국의 1919년 이후 포 스프라이트를 고증에 따른 전간기 군복으로 바꿔주는 DLC.
          * Interwar Engineer Unit : 12개국의 1919년 이후 공 스프라이트를 고증에 따른 전간기 군복으로 바꿔주는 DLC.
          * Interwar Cavalry Unit Pack : 12개국의 1919년 이후 기 스프라이트를 고증에 따른 전간기 군복으로 바꿔주는 DLC.
          * American Civil War Spritepack : "남북전쟁 시기" 미합중국과 아메리카 연합국의 보, 특수, 기, 포, 공, 근위대의 스프라이트를 고증에 따른 군복으로 바꿔주는 DLC. A House Divided DLC를 추가로 요구한다.
  • 어쌔신 크리드 III/부가요소 . . . . 14회 일치
         땅굴은 미로로 되어있으며, 무소속 경비들과 여러가지 퍼즐이 널려있다.
         도망칠 때 플레이어를 모함한다. 이 때문인지 플레이어, 전령, 경비 셋이 매우 근접한 거리에 있을 경우 경비이 플레이어를 공격한다.
         맵 곳곳에 숨겨져있는 상자. 열으면 돈과 조합법을 준다. 대부분이 자물쇠로 잠겨 있어서 번거로운 자물쇠 따기를 해야하지만, 암살단 신입을 영입하면 특정 지역의 열쇠를 얻을 수 있다. 몇몇 상자는 경비들이 지키고 있으니 주의.
          * 상인들을 핍박하는 깡패를 쓰러뜨리는 임무. 처치 대상인 깡패 두목(척탄)은 상인을 협박하다가 전투가 벌어지면 도망가니 찾아가서 족쳐야한다.
          * 농부가 수확 작업을 하는 동안 사들로부터 보호하는 임무.
          * 광견에 걸린 개를 살처분하는 임무.
          * 정보를 알아내기 위해 사들을 습격해 대장을 심문하는 임무. 대장은 ~~인간방패로 써도~~ 안 죽으니까 걱정은 안 해도 된다.
          * 레벨 0: 신(Recruit)
          * 레벨 1: 사(Private)
          * 레벨 2: 상등(Corporal)
         암살단원들에게 시킬 수 있는 기능. 이걸 사용하다가 경비들에게 들키면 전투를 벌인다. 전투를 벌이던 도중 쓰러지면 부상을 입은걸로 처리되 한동안 뭘 시킬 수 없게된다.
          * 경호원 - 던컨 리틀 영입시 사용 가능. 플레이어를 따라다니다가 플레이어를 의심하는 경비을 푹찍하고 도망간다.
         국경지대를 다니다보면 왕당파의 호송대를 발견할 수 있다. 호송대를 호위하는 사들을 조지고 호송대 마차를 뒤지면 짭잘한 수익을 얻을 수 있다.
  • 영천시 . . . . 14회 일치
         그나마 이마트[* 영남대학교 영천원 맞은 편에 있다.]가 있다는게 위안이다.....~~그 이마트도 잘 안간다~~[* 주로 평일이나 대구의 대형마트 휴일날을 제외하면 인근의 [[대구광역시]] [[동구(대구)|동구]]에 있는 반야월 이마트로 많이 가는 편이다. [[신서혁신도시]] 코스트코가 2018년 3월 개점하면 이런 현상이 더욱 심각해질 것이다.[* 혁신도시 코스트코는 개장 한달 전부터 망정동의 창신아파트근처에서 회원가입까지 받았다.]]
         [[제1117공단]], [[제50보사단]] 122[[연대(군대)|연대]]와 [[육군3사관학교]] 등의 군사시설이 있어 대구의 위성도시이자 보조 군사도시의 기능을 한다. 한국전쟁 당시 낙동강 방어 라인의 "최후저지선"에 포함되었던 지역으로 곳곳에 추모 동상이 있으며 [[6.25 전쟁]] 추모 행사를 매우 공들여서 하는 편이다.[* 이것은 [[칠곡군]]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칠곡군은 [[다부동 전투]] 때문에 영천보다 더 알려져 있는 편이다.] 영천을 잠시 내주고 나서 [[미군]]에서 [[서사모아]]에 '''신한국'''을 건설하고 후퇴하려고 했는데, 어느 국군 장군이 영천만 찾으면 그럴 필요가 없다고 했던 일화가 있다.
         고경면에 [[국립호국원|국립영천호국원]]이 있다. 6.25 전쟁 및 월남전 참전 장 4만여호를 모시고 있다.
         •공대 : 영천 내에선 최근 가장 핫한 지역으로 완산동 영천시내와 영천시장 뒷편에 옛 공대 부지로 상당히 넓은 면적을 빈 공터로 차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2017년 현재 공대 앞쪽에 [[미소지움]]아파트가 건설되고 있으며 e편한세상같은 브랜드 아파트까지 건설예정이다. 공대 부지도 영화관과 고은힐즈라는 복합몰이 들어오게 되면서 개발하고 있는데 고은힐즈가 완공되어도 몇년 간은 계속 공대라고 불릴것 같다.
         시장통에 있는 말죽거리터에는 육군 공대와 함께 [[6.25 전쟁]] 초반인 1950년 7월 미 25사단 산하 포로수용소가 설치되기도 했었다. 이곳에서는 친공포로와 반공포로를 수용했었지만 전쟁 중후반 친공포로와 반공포로의 대립이 절정에 달하자 문제를 인식한 미군이 친공포로와 반공포로를 분리수용하기 시작하면서 주로 반공포로와 민간인 포로를 수용하는 역할을 담당했었다. 이곳은 이승만 대통령이 시찰차 방문한 적이 있었고 훗날 반공포로 환영식도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되었었을 만큼 규모가 큰 수용소였는데 규모가 있는 수용소였던 만큼 탈도 많았는지 1952년 5월 29일에는 포로들의 폭동이 일어나기도 했었고 그 후에도 포로들의 시위가 간간히 있었다고 한다. 그 외에도 미군들이 공산당의 사주를 받아 폭동을 모의했다며 경북도의원을 무단 체포, 납치하는 사건도 발생해 지역민들의 빈축을 샀었다고. 그 외에도 격전지였던 영천전투에서 발생한 인민군 포로를 수용하기 위해서 현재의 영남대학교 영천원 부지 근처에 임시수용소를 설치하기도 했었다고 한다.
         이런 일이 있었어서인지, 아니면 단순히 우연의 일치인지는 모르겠지만, 밀리터리 소설가--를 가장한 국군 찬양 [[국뽕]] [[양판소]]-- 소설가인 [[김경진(소설가)|김경진]]의 처녀작 [[데프콘(소설)]] 한미 전쟁편에서는 '''대구로 가는 길목이라는 이유'''로 진짜 '''개박살이라는 말도 표현하기에 부족할 만큼 박살난다.'''--여기 주민들 지못미....-- 심지어 여기를 지키던 인민군 6군단 때문에 미군이 '''[[기화폭탄]]마저 쓴다(!!!).'''[* 당연히 국군도 여기 전역('전투지역'의 줄임말.)에 보복으로 기화탄을 포격으로 날려 버렸다. 보고에 의하면 ''''보복 기화탄 공격'''으로 생긴 '''화상 환자들 때문'''에 '''미군 원선이 미어터질 지경' '''이라나 뭐라나... 근데 여기서 오류가 하나 있는데, '''기화탄을 무슨 소형 핵 취급한다(실제로도 '[[기화폭탄]]은 소형 핵폭탄이나 다름없다.'라고대놓고 표현할 지경이니...).''' '''기화폭탄 따위는 핵에 비교하면 폭발 규모나 후유증에서 비교가 안될정도로 넘사벽이다!!''' 다만 '''인류가 만든 화약무기 중'''에서 '''그나마 핵에 제일 근접'''해서 그렇지...] 물론 ''''경상북도의 중심지' '''이자 ''''서울로 가는 길목에 있는 (부산을 제외한)첫 번째 대도시'라는 이유'''로 '''통일한국군과 미군 쌍방이 정말 박 터지게 싸운 [[대구광역시]]'''가 입은 피해와는 '''비교도 안되지만(...).'''[* 물론 여기에는 ''''대구 비행장의 존재감'도 컸다.''' 아무래도 '''(경상남북도를 다 합쳤을 때) 제 1의 비행장'''이니...(''''대한민국에서의 제1 비행장'이라고 하면...''' 뭐 다 '''[[인천국제공항|알지]]?''')]
          * [[권칠승]] : 제20대 국회의원(경기 화성시 )
          * [[현경]]
  • 원피스/848화 . . . . 14회 일치
          * 브룩은 보물전 안에 남은 체스들을 연주와 노래로 순식간에 제압한다.
          * 문제의 침입자는 홀케이크 성 내를 들쑤시고 다닌다. 침입자의 정체는 [[페드로]]. 페드로는 전광석화 같은 쾌감으로 체스들을 유린하며 거침없이 날뛴다. 성 안의 력들이 페드로를 쫓아 집중된다. 페드로는 검술과 폭탄으로 몰려드는 력을 전멸시킨다. 보물전 앞에서 시작했던 추격은 안바움 3층 안뜰 부근까지 이어진다. [[타마고 남작]]은 보고를 들으며 직접 페드로를 추격하고 있다. 그는 그대로 가든까지 페드로를 몰아넣을 생각이다.
          * 보물 전 안의 [[브룩]]은 빅맘의 자식들과 체스들에게 포위 당해있다. 그래도 아까보단 줄은 숫자. 페드로가 이목을 끌어준 덕이다. 빅맘의 자식들은 브룩을 "별난 생물" 취급하며 꼭 잡아서 빅맘에게 바치고자 한다. 체스들이 일제히 달려들자 브룩은 태연하게 기타를 꺼낸다. 페드로가 사전에 체스에 대한 정보를 준 건데 그들은 "사람의 영혼"이 물건에 들어가 있는 사. 즉 "소울"로 움직이는 것들이다.
          브룩은 자신만만하게 기타를 꺼냈지만 튜닝을 마치기 전에 체스들의 공격을 받는다. 그대로 집중공격 받아 끝장나나 싶었지만, 갑자기 체스들이 쓰러진다.
          브룩의 노래가 체스에 주입된 "소울"을 날려버린다.
         체스에도 계급과 종이 있는게 밝혀졌다. 기본적으론 체스말의 역할과 비슷할 듯?
         "옥갑"의 정체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말이 있는데 고대기와 연관됐거나 D의 일족과 관련있다는 설이 많다. 하지만 옛날부터 일본에서 "용궁에서 받아온 옥갑"은 우라시마 타로 이야기에 나오는 "나이를 먹게 하는 옥갑"으로 통했다. 그것과 관련된 아이템일지도?
  • 은혼/629화 . . . . 14회 일치
          * [[히라가 겐가이]]가 [[야토]] 용부대 손에 떨어지고 [[히지카타 토시로]]와 진선조 부대가 이 사실을 가부키쵸에 전파한다.
          * 그러나 위기의 순간 우리의 주인공 [[사카타 긴토키]] 및 주요력은 전시엔 상상도 할 수 없는 놀자판을 벌이며 곤드레 만드레 상태.
          * [[히라가 겐가이]]를 포획한 [[야토]] 용부대. 이들의 수장은 해방군 함대를 전멸시킬 장본인이 겐가이이며 그걸 복구할 수 있는 것도 겐가이 뿐이라고 판단한다. 겐가이 영감은 동료들이 쓰러질 때 보고만 있더 녀석들의 이제와서 뭘 원하냐고 빈정댄다. 야토의 수장은 [[카무이(은혼)|카무이]]등과 달리 냉철하고 합리적인 인물이었다. [[오우가이]]를 비롯한 지상군들은 본진과 연계할 수 없는 시점에서 적을 얕봐 독단으로 움직인 우를 범했다. 이들은 "썩은 수족"이며 사전에 잘라내 마땅하다.
          수장이 지구를, 가부키쵸를 얕보지 않은 이유는 또 있다. [[야왕 호우센]]의 최후를 알고 있기 때문에. 수장은 가부키쵸 주민들을 쓰러뜨리는건 해방군을 복구한 이후의 일이라며 겐가이 영감에게 나노머신 기를 멈출 방법을 말하라고 종용한다.
          * [[히자카타 토시로]]와 [[진선조]]는 겐가이 영감의 실종, 잠정적으론 적에게 납치 당한 걸로 보인다는 소식을 각지에 전한다. 히지카타는 이제 가부키쵸 력의 중심축이라고 할 수 있는 [[사카타 긴토키]]에게 이 사실을 전하기 위해 방문을 연다.
          놀고 자빠졌네. 해방군 주력 력들이 하나같이 정신줄 놓고 놀자판이다. 긴토키는 아예 [[츠쿠요]]에게 붙잡혀 헤어날 수 없는 강을 건넌 듯 하다.
          * 불빛 하나 없는 에도성. [[소요 공주]] 등 에도성에 남은 인물들은 [[마츠다이라 가타쿠리코]]의 보호를 받고 있다. 마츠다이라는 에도성을 중심으로 일대에 숨어있는 해방군의 잔존 력을 감시한다. 그는 이 조용한 밤이 싫다. 낮에 열 때문에 이성을 놨던 적들도 이쯤되면 슬슬 머리가 식을 것이기 때문이다. 적들은 움직이지 못하는게 아니라 움직이지 않는 것이다. 숨죽이며 무언가가 오길 기다린다. 그런 동향으로 볼 때, 지구가 얻은 보너스 스테이지도 오래가지 못할 거라고, 마츠다이라는 생각한다. 그러니 에도성에 있는 사람은 지금이라도 쉴 수 있을 때 쉬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공주는 그런 고백에 질책도 무엇도 하지 않는다. 단지 오늘밤은 정말로 편히 잠들 수 있겠다고 말한다. 그녀는 노부메가 그녀를 여러번 경호하고 구해주었던 것만을 기억한다. 그녀의 마음 속의 노부메는 자신이 처한 입장에도 불구하고 자기들 남매를 몇 번이나 구해준 은인이다.
          * 같은 시각 해방군도 통신을 복구하는데 성공했다. 분석 결과로는 나노머신 기는 정말로 모든 기계를 파괴하는게 아니라 중추 시스템을 장악해 기능을 정지시키는 것. 따라서 장악된 시스템을 우회해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해서 통신을 복구할 수 있었다. 부하들이 기쁘게 이 사실을 보고하지만 원상 황자는 전혀 만족한 모습이 아니다.
          * 통신이 회복되었다는 소식은 가부키쵸에도 전해졌다. 히지카타는 [[오키타 소고]]와 진선조 력을 이끌고 한 시라도 빨리 겐가이를 탈환하기 위해 추적에 나선다. 그는 적의 수중에 들어간 겐가이가 통신을 복구하지 않았나 우려한다. 그렇다면 통신이 문제가 아니다. 곧 다른 기계화 력이 부활하는 것도 시간 문제. 어떻게든 그 전에 겐가이를 탈환해야만 한다.
          이런 절박한 상황에 처했음에도 력의 중핵이자 이 만화의 주인공은 핵 털린 북한 같은 몰골로 [[시무라 신파치]]에게 업혀서 이동 중이다. 일단 추적대에 합류하긴 했는데 하는 소리로 보면 정신이 1할도 복구가 안 된거 같다. 겐가이가 적에게 협조하는 것을 우려하는 히지카타에게 "그 아저씨는 적이 해달라는 대로 해주는 사람이 아니니 입다물고 있다가 죽을 거다"는 헛소리를 한다. 결국 죽는거 아니냐고 까이니 "커뮤력이 높으니까 우주에서나 저 세상에서나 잘 해나갈 거다"도 한술 더 뜬다.
          * 사냥에 성공한 야토족은 사냥감을 자기들 두목에게 내보이고 있다. 원상 황자는 야토 용부대의 수장을 "손노사"라는 칭호로 부른다. 손노사가 통신으로 겐가이의 포획을 알리자 다키니와 신라, 3대 용부족을 전부 모았는데 결국 살아남은게 야토 뿐이라며 씁쓸해한다. 하지만 중요한건 그 남자. 겐가이 영감이다.
  • 은혼/630화 . . . . 14회 일치
          * 엔죠 황자는 파괴기 "히노카구츠나"로 지구를 날려버릴 작정이며 발사엔 6시간 남짓 밖에 남지 않았다.
          가츠라는 오오고쿠의 우주선에서 바보 황태자... 아니 [[하타 황태자]]와 그들의 큰형님 [[엘리자베스(은혼)|엘리자베스]]... 아니 구룡공자 드라고니아와 함께 모함 "아메노토리후네"를 공략할 지원 력을 기다리고 있다. 오오고쿠성 황태자들의 협조로 그들 모성에서 지원력을 보내기로 했다. 그런데 하타 황태자와 네스 영감이야 자기네 배니까 함께 있다고 치지만, 왠지 마다오 [[하세가와 다이조]]까지 그럴 듯한 폼으로 타고 있다.
          자작 제독은 구속이 풀린 직후 자신을 따르던 사들을 포섭한다. 자작 제독은 그들에게 반란에 휘말리게해서 미안하다고 하지만 부하들은 자신들은 처음부터 자작 제독을 따르던 자들이니 상관없다고 대답한다. 그것보다 현재의 해방군이, 엔죠 제독이 큰 문제라고 하는데.
          * 다츠마는 력차는 있을 지언정 자신들은 이미 모함 내부에 있고 현재 상황을 잘만 이용하면 모함을 제압해서 어떻게든 할 수 있을지 모른다고 전한다. 무엇보다 이렇게라도 하지 않으면 방법이 없다. 그러면서 이러한 정황과 자신들의 메시지를 지구에서 싸우는 이들에게 전해달라고 부탁한다.
          해방군 모함 아메노토리후네는 함 전체의 구조를 변화시켜 파괴기 "히노카구츠나"로 변신한다. 해방군 모함은 단순한 우주전함이 아니다. 우주의 정수가 집결된 파괴기 히노카구츠나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한 안치대인 것이다. 그 포격 한 방으로 행성을 파괴하는 위력 때문에 오랜시간 봉인되어 있었으나 해방군이 봉기하며 봉인을 풀었다. 위력이 큰 만큼 사용에도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지만 이미 충전이 끝났다. 히노카구츠나는 곧바로 발사 준비에 들어갔으녀 지금으로부터 6시간 뒤, 지구를 우주에서 지워버릴 것이다.
          [[천도중]]으로부터 사람과 별을 해방한다, 하지만 현실의 전쟁은 그들의 대외와 전혀 달랐다. 사들 조차 그걸 느끼고 있었다. 자신들이 지금 싸우는 대상은 천도중이 아니다. 그런 싸움을 위해서 동료들을 희생한다니? 그것은 천도중이 한 짓과 같은 짓이다. 그들이 이야기하는 동안 총구를 겨눈 자든, 그저 당황한 자들 똑같은 표정을 짓는다.
          * 끝내 부하들 조차 등을 돌린 엔죠 황자. 그는 의외로 간단히 그들의 의견에 동의한다. 이 전쟁에 대의란 없다. 그 뿐만 아니라 대의란 것 자체가 이유가 없으면 싸우지 못하는 약자를 위해 준비된 궤변에 불과하다. 설사 천도중이 쓰러져도 그들이 잃어버린 것은 돌아오지 않는다, 그는 그것도 알고 있었다. 그는 손을 들어 목에 걸고 있던 팬던트를 연다. 그가 잃어버린 사랑했던 사람. 엔죠 황자가 사진 속의 그녀를 바라보며 말한다.
          엔죠가 팬던트를 닫는 순간 숨겨져 있던 화기가 불을 뿜는다. 사령실의 각 벽면마다 설치된 비상장치였다. 반란을 도모했던 자들은 방아쇠에 손도 대지 못한 채 쓰러진다. 엔죠는 죽어버린 반역자와 살아남은 방관자들, 그리고 화면 속의 겐가이 영감에게 말한다. 증오와 슬픔을 치유할 길도 없어진 자신들은 전쟁이란 불길로 그걸 태워버릴 수밖에 없다고. 증오도 슬픔도 전부 타서 재만 남을 때까지. 그때까지 싸울 수밖에 없다.
          다츠마의 력이 집결해 있는 공간의 벽면에서 숨겨진 총기가 일제히 드러난다. 자작이 눈치채고 일행을 피신시킨다. 그들이 가는 곳마다 숨겨진 총기가 나타난다. 게다가 전방으론 결국 엔죠를 따르기로 한 력이 몰려온다. 자작은 력도 배도 엔죠의 도구가 된 판에 승산이 보이지 않는다며 절망적인 기색을 드러낸다. 하지만 다츠마는 이번에도 "그러거나 말거나 우리들이 할 일은 똑같다"며 방아쇠를 당긴다. 총알은 천장의 소화장비를 터뜨려 적들의 시야를 가린다. 다츠마, 무츠, 자작이 적들을 치고 나간다.
          가츠라는 도착한 력을 해방군의 레이더망의 경계선상에 포진시키고 적 함대를 끌어내 모함으로부터 떨어지게 만들라고 지시한다. 그리고 자신들은 스텔스 함으로 허를 찔러 모함에 접근, 기습을 가하기로 하는데...
  • 토리코/392화 . . . . 14회 일치
          * 비대해진 아카시아가 모든 식운을 먹어치웠다고 믿고 토리코를 공격하나 그 공격은 한순간 나타난 세 번째 구르메 세포의 악마에게 가로막힌다.
          * 세 번째 악마는 이미 승부는 났다고 말하며 토리코에게 "그 말"을 해달라고 조른다.
          * 토리코는 언제나 그래왔듯 두 손을 합장하며 "잘 먹었습니다"라고 인사하고 세 번째 악마는 아카시아 안의 네오를 완전히 끝장낸다.
          * 모습을 드러낸 토리코의 세 번째 구르메 세포의 악마.
          * 세 번째 악마는 아카시아의 팔을 단단히 잡고 네오의 "검은 세포"를 흡수하기 시작한다.
          * 또 세 번째 악마는 아카시아는 지금 "과식"을 하고 있다며, 벌써 수 십억 년 째 과식 중이라고 비꼰다.
          * 세 번째 악마가 실체화할 수 있는 건 아주 잠시 동안. 세 번째 악마는 분노의 풀코스가 들어간 시점에서 승부는 났고 당장이라도 "토해"낼 거라고 말한다.
          * 그리고 조용히 감사의 합장. 동시에 세 번째 악마는 손가락 하나를 아카시아의 이마에 찔러넣는다.
         세 번째 악마의 실체화. 세 번째 악마가 네오의 "검은 세포"의 천적일 거라는 팬덤의 예측은 정확하게 들어맞았다. 네오가 완전히 패배한 걸로 묘사되는데 정작 기대를 모았던 청귀, 세 번째 악마의 실체화와 흡수는 없었고 세 번째 악마가 잠깐 등장해서 네오를 끝장내는 정도로 지나가게 됐다.
         세 번째 악마는 뜻밖에도 매우 정중한 성격으로 네오는 물론 자기 숙주인 토리코에게도 공손한 존댓말로 일관한다. 웃음소리는 "쿄쿄쿄".
  • 빈병 . . . . 13회 일치
         空甁. 빈.
         말 그대로 내용물을 다 소진한 .
         마트나 그런데 가져가면 돈을 주던 시절이 있었다고 한다. 지금도 이 제도는 시행되고 있지만[* 소주 40원, 맥주 50원. 2017년자 생산품부터 100원, 130원.] 많은 가게에서 "우린 그런거 안 받아요,"라고 대답한다. 걸리면 과태료를 물게 되는 행동. 신고 보상금 제도를 도입한다고 하니 카운터가 꼴보기 싫었다면 찔러보자.
         공을 팔러 갈 때 이물질이 들어간 이나 입구가 손상된 은 가져가지 말자. 재활용의 관점에서 [[재떨이]] 대용으로 쓰는 등, 이물질을 투입하는 것은 좋지 않다.
         [[대형마트]]에는 무인 빈 회수기라는게 있다고 한다. 어떤 물건인지는 경험자가 추가 바람.
         대부분의 [[게임]]에서는 '생략'되는 물건. 그래픽 상으로 에 담겨 있는 [[포션]] 같은 것도 먹으면 채로 소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극히 일부의 게임에서만 빈이 남게 된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6/30/0200000000AKR20160630016900004.HTML|연합뉴스 - "빈 보증금 쉽게 받는다"…7월부터 빈 재사용 표시제 도입]]
  • 월드 인 컨플릭트/전술지원 . . . . 13회 일치
         지정한 지역의 적 유닛들을 잠시 동안 볼 수 있게 한다. 숲이나 건물에 숨은 보 또한 드러난다.
         === 공수보(Airborne Infantry) ===
         지정한 지역에 공수보 분대를 투하한다.
         지정한 지역에 력수송차를 투하한다.
         항공기가 일자로 네이팜탄을 투하한다. 네이팜이 투하된 곳에는 잠시 동안 화재가 발생한다. 숲속에 숨은 보들을 처리하기 좋다.
         항공기가 날아와 유도탄 하나를 투하한다. 지정한 곳에 정확히 박히고 시설물을 한큐에 박살내기에 적 보이 점거한 건물을 무너뜨리거나 다리를 끊는데 사용된다.
         전장 밖의 포대가 박격포 몇발을 발사한다. 보과 경장갑 차량에 효과적이다.
         전장 밖의 포대가 대구경 야포를 발사한다. 넓은 구역에 포탄 여러발이 떨어지는데 맞으면 엄청난 피해를 입지만 정확도가 별로 좋지 못하다.
         전장 밖의 포대가 좁은 지역에 정확한 포격을 가한다.
         공격기가 날아와 집속탄을 투하한다. 전차, 보, 차량에 좋다. 진입 방향을 잘못 설정하면 건물이나 언덕에 꼴아박으니 주의.
         미국과 NATO 전용. 대형 수송기가 날아와 7.7t 짜리 폭탄을 투하한다. 보, 숲, 경장갑 차량에 효과적이다.
         소련 전용. Su-25가 날아와 기화폭탄을 투하한다. 보, 숲, 경장갑 차량에 효과적이다.
  • 은혼/644화 . . . . 13회 일치
          * [[다카스기 신스케]]는 [[귀대]] 동지 [[다케치 헨페이타]]와 [[카와카미 반사이]]의 희생으로 히노카구츠치의 중추 시스템을 파괴한다.
          * [[사카모토 다츠마]]와 [[가츠라 고타로]]는 통제실을 제압하고 남은 적 력에 최후통첩을 날리며 항복을 종용한다.
          * 해방군 모선 아메노토리후네에 돌입한 [[귀데]]가 전멸하고 동지였던 [[다케치 헨페이타]]와 [[카와카미 반사이]] 마저 희생시킨 [[다카스기 신스케]]는 그들의 유지를 받드는 일념으로 [[키지마 마타코]]와 결사의 돌격을 감행, 히노카구츠치의 시스템룸에 진입한다. 신스케가 시스템 유닛으로 향하는 다리를 건너고 있을때, 방어력들은 발악하는 심정으로 다리를 파괴하고 신스케도 추락한다. 그러나 순간적인 기지를 발휘, 적 사의 바주카를 무너지는 잔해에 쏘고 그 후폭풍으로 중추 시스템에 접근한 신스케. 사들은 중추 시스템이 파괴되면 해방군만이 아니라 이 배 자체와 귀대, 양이지사 일행도 무사하지 못할 거라고 소리친다.
          * 신스케가 시스템 유닛에 칼을 꽂았다. 낙하하는 힘을 그대로 실어 유닛에 세로로 거대한 자상을 새긴다. 시스템이 파괴되자 히노카구츠치의 막대한 에너지는 갈 곳을 잃고 열려진 틈새로 뿜어어져 나갔다. 그 빛을 방어력들과 마타코도 볼 수 있었다. 그 빛에 감싸지면서.
          * 해방군의 모선은 감당할 수 없게 된 에너지를 우주공간으로 뿜어냈다. 전멸을 각오하고 함대전에 임하던 귀대 함대가 그것을 목격했다. 해방군 함대도 후방에서 일어난 이변에 당혹했다. 히노카구츠치 발사 1분 전에 멈춰진 카운트 다운은 다시 시작되지 못했다.
          모니터 너머, 관측들의 보고였다.
          >마지막 사 한 명까지 다 태워 없애라고.
          * 희생자는 [[무츠(은혼)|무츠]]. 일행의 뒤에서 제압한 사들을 처리하고 있던 그녀가 누구보다 먼저 몸을 날렸다. 엔쇼가 무기를 꺼냈을 때 이미 그녀는 감지하고 있었다. 본래 다츠마를 노렸던 칼날은 무츠의 몸을 꿰뚫고도 아슬아슬하게 닿지 못했다. 엔쇼가 빈정거렸다.
          >초연의 황자는 이 한 몸으로도 1만의 사의 힘을 가진다.
  • 진격의 거인/84화 . . . . 13회 일치
          * 리바이는 엘렌과 미카사의 요구가 "조사단 단장을 죽게 놔둬라"라는 얘기라며 거절한다.
          * 엘빈을 데려온 사, 프록도 그의 말을 뒷받침한다.
          * 그는 벽 너머로 간 조사단이 전멸했음을 밝힌다.
          * 신 전원의 목숨을 미끼로 리바이의 기습 기회를 만들어준 것.
          * "거인을 멸망시킬 수 있는건 악마다. 악마를 되살린다, 그게 나의 사명이었다."
          * 한지는 조사단에 들어온 이후 이별의 나날 뿐이었고 모두가 똑같다고 말한다.
          * "장. 바다란거 알고 있어요?"
          * 그는 분명 악마였지만, 그에게 악마가 되라고 말했던 것은 자신들이었다며.
          * 조사단 측에선 두 번째로 확보한 거인화 전력. 아르민의 거인은 체구가 작고 머리가 큰 타입이다. 유미르의 거인화와 유사.
          * 초대형 거인의 완전한 사망, 아군측 두 번째 거인화 확보로 인해 거의 망한 것 같았던 조사단은 극적으로 성과를 거뒀다. 력이 거의 전멸하고 지휘관 엘빈까지 사망했기 때문에 그대로 돌아갔다면 턱없는 패전으로 취급됐겠지만, 이로써 적어도 무승부라고 주장할 근거가 생겼다.
  • 진격의 거인/89화 . . . . 13회 일치
          * 리바이와 한지는 엘런이 중2이 걸렸다고 생각하고 넘어가고 정말 문제시하는건 [[미카사 아커만]]. 왠지 수척해져있다.
          * 엘런, [[아르민 알레르토]], 미카사를 포함한 조사단 생존자 9명은 군 수뇌부의 회의에 참석한다.
          * 아버지 [[그리샤 예거]]의 기억을 되읊던 [[엘런 예거]]는 갑자기 방문한 [[리바이 아커만]]과 [[한지 조에]]에게 그 모습을 들키고 만다. 한지는 그가 "진격의 거인"이라 한 것을 듣고 그게 무슨 뜻이냐고 캐묻는다. 엘런은 본능적으로 별거 아니라며 얼버무리려 들지만 한지는 집요하다. 한지는 리바이나 [[아르민 알레르토]]에게도 같이 듣지 않았냐며 추궁하는데 리바이는 못 들은 척하고 아르민은 엘런을 따라 얼버무리려 든다. 한지는 포기하지 않고 계속해서 "진격의 거인"이 무엇이고 왜 혼자 중얼거리고 있었는지 묻는데 리바이가 그만두라며 15살이 돼서 "그런 시기"가 온거라고 일축해 버린다. 갑자기 중2으로 몰렸지만 진실을 밝힐 수 없는 엘런은 괴로워 할 뿐 항변할 수도 없다.
          한지는 오히려 "정말 곤란한 건 이쪽"이라고 말하는데 옆방에 수감됐던 [[미카사 아커만]]이 어쩐지 수척해 보인다. 엘런은 조금 마른 것 아니냐고 하는데 미카사도 아르민도 정확한 대답은 하지 않는다. 미카사가 엘런은 괜찮냐고 되묻는데 엘런은 중2 말고는 아무런 문제도 없는 것 같다.
          * [[크리스타 렌즈]], 히스토리아 레이스 여왕이 트로트스구에 행차했다. 그녀는 조사단이 입수한 [[유미르(진격의 거인)|유미르]]의 편지를 읽고 있다.
          그러나 파국은 오래가지 않아 찾아왔다. 유미르를 숭배하던 이들은 엘디아 복권파에 속한 종파였던 듯 하다. 그들은 마레 당국에 검거되었으며 그녀에게 "유미르" 역할을 맡겼던 남자는 그녀에게 속았다며 모든 책임을 떠넘긴다. 악마로 몰린 상황에서도 유미르는 자신이 연기를 계속해야지만 모두 살 수 있다고 생각해서 계속 "유미르"를 자칭했지만, 결국 누구도 살아남을 수 없었다.
          * 한지가 그리샤의 수기에서 얻은 정보대로 "엘디아 인", 그리고 "유미르의 백성"에 대해서 발표하는 동안 엘런은 또다시 그리샤의 기억으로 불려간다. 기억 속의 [[엘런 크루거]]는 마레 당국이 계획대로 시조의 거인을 손에 넣는다면 더이상 수용소도 유지하지 않을 거라고 밝힌다. 그는 그로스가 말했던건 전부 사실이라며 엘디아가 무지성의 거인을 기로 이용했던 사실을 밝힌다. 이들은 시조의 거인이 명령을 내리지 않으면 단순히 살육을 반복할 뿐인 짐승들이지만, 반대로 말하면 그 자체로 두려움도 멈춤도 모르는 자동살상기인 것이다. 과거 엘디아에서는 이것을 양산해 값싼 전력으로 이용했지만, 지금은 엘디아인들을 팔라디섬에 가두는 용도로 쓰고 있는 것이다. 단지 지금에 와선 마레 측에서도 이 방생한 거인들을 주체할 수가 없어서, 섬에 접근하는건 제한되고 있다.
          하지만 마레의 입장도 두 가지로 나뉜다. 지금은 이런 괴물들이 딱히 필요한 것도 아니니 과학기로 몰살시켜 버리자는 것이다. 크루거는 언젠가 이 섬의 자원을 노리고 마레 당국이 상륙을 시도할 텐데, 그때는 무지성 거인들을 전부 처리해야 한다. 그러자면 "시조의 거인"이 필요하다는 것. 현재는 엘디아 인의 처분에 대해서는 보류 중이지만, 시조 거인을 얻고 팔라디섬을 청소하게 되면 분명 논쟁은 다시 시작된다.
          한지는 그가 중2이 와서 저 모양이라고 대충 얼버무리는데 모두가 자연스럽게 이해하면서 공식적으로 중2 캐릭터가 되어버린다. 하지만 지금 엘런에겐 그런 것보다 중요한 문제가 있다.
          엘런은 만약 이 사실을 단이 알게 되면, 과연 그들이 히스토리아를 "어떻게 취급할지" 계산이 서지 않았다. 게다가 아직은 기억이 어긋나거나 불분명할 가능성도 있다. 그렇게 생각하며 엘런은 일단 이런 사실들에 대해서는 함구할 것을 다짐한다.
          * 기억 속의 엘런 크루거의 이야기는 아직도 끝나지 않았다. 그는 그리샤에게 놓을 주사제를 준비하며 벽 안에 도착하면 꼭 가족을 만들어서 위장하라고 지시한다. 그리샤는 자신에겐 다이나가 있고 거인이 되고 나면 기억이 불분명해지는거 아니냐고 하지만 꼭 그렇지도 않은 모양이다. 크루거는 누가 됐든 벽 안의 인간을 이용해서 사명을 달성하라고 말한다. 그게 안 되면 같은 역사를 반복할 뿐이라고 말하면서.
  • 콘스탄티노플 공방전 . . . . 13회 일치
         이후 1448년 섭정 야노슈 후냐디 위주로 헝가리가 왈라키아, 보헤미아, 그외 용대와 함께 코소보에서 알바니아의 지도자 스칸데르베그와 협업해 오스만과 싸우려하나, 스칸데르베그는 오지못하고, 후냐디의 군대는 궤멸된다.
         사절의 요구를 들은 메흐메트는 생각해보겠다며 차갑게 대꾸한 이후, 보소포로스 해협의 가장 협소한 지역에 요새를 짓기 시작한다. 이소식을 들은 황제는 경악하면서 사절을 보내 외교적으로 해결을 하려하지만, 술탄은 그들을 쫓아내는것으로 대답을 해줬다. 황제는 그 대응으로 도시내의 튀르크인들을 투옥하는걸로 맞대응했으나, 별 소용없는 행위였고, 결국 모두 풀어주었다. 그렇게 당대에 '보코하즈 케센', 그리고 현재는 '루멜리 히사르'라고 불리는 요새가 완공되었고, 이로인해 이곳을 왕래하는 모든 함선들은 요새의 검문을 받아야 했다. 이는 이곳을 통해 무역을 하는 이탈리아 상업국가들에게 큰 위협을 줬는데, 단적인 예로 베네치아인 안토니오 리초가 이끄는 함선이 요새의 검문요구를 무시했다가 포격을 받고 침몰했고, 살아남은 선원과 선장모두 사형을 당했다. [* 선장은 특별히 말뚝형에 처해졌다.] 더더욱 급해진 황제는 교회통합을 요청하며 교황에게 도움을 요청했으나, 돌아온건 겨우 200명정도의 력뿐이었다.[* 별 수 없는게, 당시 교황령의 군사력은 제국보다 별볼일 없었다.(....) 차라리 모레아 전제국이 훨씬 더 국력이 탄탄했을거다.] 하기야 소피야 성당에선 교회통합을 선언하는 미사가 열렸지만, 해당 미사는 황제와 그 일부 측근들, 일부 통합파 사제들과 교황청에서 온 주교들 일부만 왔을뿐이었다.
         다른 발칸의 정교회 국가인 왈라키아와 세르비아는, 당시 오스만의 봉신이었으며, 봉신으로써 오스만에게 력을 징집해 보내기까지 했다. 무엇보다 이들은 헝가리의 개입없이는 절대 오스만에게 대항하지 않았다.
         이후 선발대가 4월 2일에 도시 근처에 오게 되고, 이에 황제는 요격을 하도록 한다. 그러나 점차 튀르크의 후방부대들이 오기 시작하자, 황제는 력을 도시안으로 물리고, 해자 위의 다리를 파괴하고 성문을 닫으라 명한다. 그리고 같은 날, 그는 금각만(골든 혼)에 배가 통행하는걸 막기위해 페라 방파제의 탑에서 성채 아래 에우게니오스 탑까지 이어지는 방책을 세우게 됀다.
         그리고 외벽과 내벽중 어느쪽에 방어를 집중할것이냐를 놓고 논쟁이 펼쳐졌는데, 황제와 주스티니아니 모두 1422년에 무라트 2세가 도시를 공격했을때 외벽방어에 집중해 막아낸것처럼 이번에도 외벽에 방어하기로 결정하려 했으나, [* 내벽에도 력을 배치하는게 좋긴 하겠으나, 그럴 여유가 없었다.] 스스로를 '전략가'라 자칭했던 교황청의 사절 레오나르도 대주교가 내벽을 방어하라고 우겨 잠깐동안 논란이 빚어지기도 했다. 그는 1422년 무라트 2세의 공격으로 인해 수리된 외벽이 제대로 수리되지 않았다면서, 이게 모두 수리비를 두명의 그리스인인 자가루스와 수도사 네이피토스가 횡령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것은 굉장히 부당한 주장으로, 자가루스는 마누엘 팔레올로고스가 본명인 황제의 친족으로, 수리된 성벽에 이름까지 적힌, 당시에 굉장히 존경받는 정치인이었다. 또다른 횡령범으로 지목된 네오피토스는 통합반대파였다만, 황제와 친한 수도사중 한명으로 공적인 일에 일체관여하지 않고 유유자적하게 살고 있던 중이었다. 레오나르도 대주교의 주장은 가톨릭교도들의 전형적인 반통합파와 그리스인들에 대한 적개심에서 비롯된 편견이었다.
         이후 오스만 전군이 모두 모였던 4월 5일에, 황제는 그의 정예 그리스인 군대와 함께 메소테이키온 성벽에 자리잡았고, 그의 오른쪽에 카리시오스 문과 미리안드리온 성벽엔 주스티니아니가 자리잡았다.[* 그러나 튀르크의 공격이 메소테이키온에 집중되자, 그의 력을 이끌고 거기서 황제를 지원했다.] 그중 미리안드리온은 제노바에서 그들의 무기와 방어구를 직접 구입해 도달했던 보카아르디 삼형제가 이끌었다. 베네치아 거류민 대표 미노토와 그의 휘하 사들은 블라케르나에 황궁 구역에 자리를 잡으면서 해자를 비우고 다시 메우는 임무를 맡았고, 역시 베네치아인인 테오도르 카리스토는 칼리가리아 문과 테오도시우스 성벽 사이 성벽 방어를 담당했다. 레오나르도 주교와 제노바에서 온 란가스코 형제는 금각만근처 해자뒤쪽에 자리잡았다. 한편으론 황제의 왼편에는 제노바사들이 자리를 잡았고, 그 옆에는 황제의 친족인 테오필로스 팔레올로고스가 그리스인 군대와 함께 페가에문을 방어하고 있었다. 황금문은 마누엘이라는 제노바인이 담당했으며, 그의 옆 바다쪽에는 황제가 가장 신뢰하던 군인인 데메트리오스 칸타쿠제노스가 자리잡았다.
         그외에 후방에는 오르한 왕자가 이끄는 투르크군이 엘레우테리오스 항구에 자리잡았고, 마르마라 해안 동쪽 끝인 히포드롬과 옛 성궁 아래는 카탈루냐 거류민들이 담당했다. 이시도로스 추기경은 200명의 사와 함께 아크로폴리스[* 아테네에 있는 그곳이 아닌, 다른 아크로폴리스를 말한다. 애초에 콘스탄티노플은 본래 비잔티움이란 이름의 그리스인 거주지였단걸 명심하자]곶에 진을 쳤다. 금각만 연안은 베네치아인들과 제노바인 선원들이 베네치아인 가브리엘 트레비사노휘하에서 방비를 맡았으며, 항구의 선박들은 트레비사노의 동포였던 알비소 디에도가 지휘했다. 그외 성벽은 일부 수도사들이 경비를 서다가 위급해지면 지원을 요청했다.
         방어장비는 돌투석기인 망고넬과 창,화살등의 냉기, 컬버린 포 몇기 정도였다.[* 단 초석이 부족해(....) 도움이 되지는 못했다고 한다.] 그외에 사들의 무장은 양호한 정도였다고 전해진다.
         방어군의 규모는 그리스인 4000명, 그외 외국인 2~3000명정도였는데, 황제가 이걸보고 기겁하여[* 오스만제국군은 도시를 뜷기위해 10만정도의 력을 끌고 왔다!] 외부에 공포하진 않았으나, 왠만한 사람들은 수비군이 대강 6,7000명쯤 될거라고 예상했다.
         이에 맞서 튀르크군은 자가노스 파샤[* 그리스인 배교자로, 대표적인 주전파였다.]를 지휘관으로 한 부대를 금각만 근처에 배치했고, 보소포로스 해협건너 언덕에 력을 산개시켜 페라의 제노바인들이 도시를 돕지 못하게 막았다. 그리고 성벽 맞은편쪽으로 시선을 돌리면, 금각만에서 언덕위에 카리시오스 문까지는 카라쟈 파샤를 지휘관으로 한 유럽 정규군들이 배치되었다. 이들은 중포도 상당수 가지고 있었는데, 이 중포들은 블라케르나에 성벽에서 테오도시우스 성벽과 이어지는 귀퉁이 공격에 사용될 예정이었다. 리쿠스 계곡 남쪽 경사면에서 마르마라 해안까지는 이샤크 파샤의 지휘하에 아나톨리아 정규군이 저라접었는데, 그는 황제의 신임을 받지못했기에 그의 절친한 친구였던 그리스인 배교자 마무드 파샤가 지휘를 맡았다.[* 그는 특이하게도 앙겔로스가 출신이었다.] 술탄은 메소테이키온 성벽 맞은편 리쿠스 계곡에 자리잡았는데, 그의 앞에는 그의 최정예 부대인 예니체리 부대와 헝가리인 대포 기술자 우르반의 대포들이 있었다.[* 이 우르반이란 자는 본래 황제에게 고용된 자였는데, 황제가 그의 신작품들을 만들어줄 자금이 충분치 않다는걸 알자, 몰래 도시를 빠져나와 술탄에게 간 자였다.]
  • 토리코/387화 . . . . 13회 일치
          * 미도라와 아카시아는 놀라고 토리코의 구르메 세포의 악마 적귀가 나와서 토리코와 함께 과거를 회상한다.
          * 토리코 안의 청귀는 현명한 판단이라고 하며 제 3의 구르메 세포의 악마는 아카시아에게 빼앗은 오른손을 흔들고 있다.
          * 그리고 토리코의 구르메 세포의 악마, 적귀가 완전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 토리코는 그게 항상 자신을 지켜보면 악마임을 깨닫는다.
          * 아직 토리코 안에 있는 청귀와 제 3의 악마.
          * 제 3의 악마는 어떤 생각인지 알 수 없으나 GOD와 접촉했을 때 빼앗은 아카시아의 오른손을 흔들고 놀고 있다.
          * 스타준에게도 구르메 세포의 악마가 있었는데 결국 각성하지는 못했다.
          * 아카시아의 예처럼 GOD를 먹고 구르메 세포의 악마가 분리되고 그 상태에서 센터를 먹고 거듭나는 과정을 거친다.
          * 이것으로 보면 원래 GOD의 효능은 구르메 세포의 악마를 완전히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 센터는 구르메 세포의 악마가 내면에 있는 상태에서는 먹을 수 없는 식재로 보이는데, 문제는 토리코 내면엔 청귀와 제 3의 악마가 아직 있다는 것.
          * 이 때문에 원래 적귀가 토리코의 구르메 세포의 악마고, 청귀나 제 3의 악마는 다른 방식으로 공존하고 있어서 영향을 덜 받는게 아니냐는 설이 나오고 있다.
  • GLA . . . . 12회 일치
          GLA의 기본 보 유닛. 다른 진영 기본 보에 비해 특별한건 없다. 대사에서 투지가 느껴진다.
          GLA의 대전차/대공 보.
          돌, 권총, 화염으로 무장한 군중들. 떼로 몰려다녀서 차량이나 건물에 쑤셔박을 수 없지만 모든 지상유닛에 강하다. AK 소총을 나눠줘 공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사망한 군중은 시간이 지나면 보충된다.
          적의 차량을 탈취할 수 있는 보. 공격을 할 수 없는 대신 정지시 스텔스 상태가 된다. 탈취한 차량이 파괴되면 탈출한다.
          영웅 유닛. 모든 보을 일격에 제거할 수 있는 저격수다. 차량의 조종수를 저격해 무력화 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다.
          트럭에 기관총을 거치한 유닛. 보 유닛을 수송할 수 있다. 잔해를 먹어 유탄발사기→로켓발사기로 무장을 강화할 수 있다.
          독소를 뿌리는 트랙터. 건물 안에 짱박힌 보을 독소를 찍 뿌려 몰살시킬 수 있다. 잔해를 먹어 능력을 강화할 수 있다.
          탑승한 보에 따라 무장이 변화하는 바이크. 절벽을 오를내릴 수 있으며 탑승한 유닛이 정 필요하다면 바이크를 버려서 빼낼수도 있다.
          보을 수송할 수 있는 버스. 탑승한 보은 밖의 유닛을 공격할 수 있다. 보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파괴되면 벙커가 된다. 잔해를 먹어 방어력을 강화할 수 있다.
  • 원피스/841화 . . . . 12회 일치
          * 크래커가 만드는 사들을 그냥 먹어치우면서 뒤룩뒤룩 살이 쪄버린다.
          * 상디는 사들의 만류를 뿌리치고 혼자 힘으로 어머니의 거처로 향한다. 중간에 개가 달려들기도 하고 넘어지기도 하지만 결국엔 도착한다.
          * 그래도 상디의 성의를 생각해서 맛을 보는데 마치 악마와 같은 맛이 난다.
          * 무려 11시간 째 싸우고 있는데 크래커가 만드는 비스킷 사를 루피가 족족 먹어치워 버린 것.
          * 기어 4의 시간 제한 때문에 도망치다 사가 다가오면 부숴서 먹어치우는 식으로 싸우고 있나 보다.
          * 나미는 정말로 무한히 나오는 비스킷 사를 보고 경악하고 루피는 사는 무한이라도 "체력"은 한계가 있을 거라며 투지를 불사른다.
          * 상디가 처음 요리하던 시점에서 이미 환자로 보이는데 초인도 만들고 클론도 만들 수 있는 제르마의 왕비가 어째서 에 걸려있는지는 의문.
          * 상디가 어렸을 적의 제르마는 클론이 본격적으로 쓰이지 않았던 걸로 보인다.
          * 루피는 기어이 비스킷 사를 먹어치우고 파오후로 변신했다.
          * 정황으로 보면 기어4가 되는 동안 비스킷 사를 부순다->기어4가 끝나면 먹어서 체력회복->쿨타임되면 다시 기어4, 이런 식으로 싸운 듯.
  • 일곱개의 대죄/210화 . . . . 12회 일치
          * 네로바스타가 어찌할바를 모르고 허둥대는 사이 작업은 착착 진행되고 바깥에서 대기 중이던 스티그마의 력에게 텔레파시를 보낸다.
          * 스티그마의 사들은 십계가 침입한 "은총의 빛"을 탈환하기 위해 행동하려 하지만 로우를 비롯한 인간 전사들이 갑자기 배신해 그들을 학살한다.
          * 스티그마의 력은 방금 전까지 흘러넘치던 분노의 마력이 사라진 것을 감지한다. 막연히 사대천사나 요정왕, 혹은 거인왕이 십계를 쓰러뜨렸을 거라고 생각하면서 특별히 경계태세를 취하지 않는다. 이걸로 한 발 더 성전의 승리에 가까워졌으며 수많은 마신이 죽었을 거라는데 기뻐하기도 한다.
          * 네로바스타가 십계 두 명이 침입했다며 지원을 요청하는 텔레파시를 보내자 스티그마 력들이 술렁거리기 시작한다. 물론 큰일이지만 그들만으로 십계 두 명을 상대로 승산이 있을지 장담하지 못한다. 네로바스타는 현장에 있는 십계는 전투형이 아니라 전부 덤비면 어떻게든 할 수 있을 거라고 설득하며 당장 은총의 빛 안으로 돌입해달라고 요청한다. 근거가 없는 말이지만 스티그마 력들은 신장이 하는 말이라며 크게 의심하지 않는다.
          그때 로우가 일어선다. 그의 말을 들은 거인족 사는 "인간 주제에 잘난척 한다. 네가 십계를 이길 수 있다는 거냐"며 곱지 않게 본다. 그런데 로우는 훌쩍 뛰어오르더니 거인족 사의 몸을 뛰어넘는다. 착지하는 그의 손엔 어느새 뽑았는지 검이 들려있다.
          그는 거인족 사의 목을 벤다. 거인이 쓰러지자 요정족 사가 보복하려든다. 그러나 요정족의 자잘한 마법따윈 검으로 튕겨버리고 그대로 가슴을 찔러버린다. 순식간에 사 둘을 처리한 로우. 스티그마의 사들은 그가 평범한 인간도, 스티그마에 협력하는 것도 아니라는걸 직감한다.
  • 진격의 거인/80화 . . . . 12회 일치
         [[진격의 거인]] 80화. '''이름 없는 사'''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 조사단은 최후가 될지 모를 작전을 수행한다.
         * 한편 짐슴 거인과 상대 중인 단은 일방적인 공격 앞에 속수무책
         * 어떤 사는 절망한 나머지 말이 도망치도록 내버려둬서 책망당한다.
         * 리바이는 왜 지금까지 닥치고 있었냐고 힐난하는데, 그는 "내 목숨과 여기 신 전원의 목숨"을 바쳐야 하는 작전이라고 설명한다.
         * 그는 저 신들에게 사기나 다름없는 설득을 해야하고 그 자신이 선봉에 서야 한다고 하면서 그 대가로 모두가 죽을 거라고 한다.
         * 잠시 후 조사단 전원은 일제히 기마돌격하며 연막탄을 쏘아 올린다.
         * 엘빈의 작전은 조사단 전원이 산개하여 돌격하면서 투석을 분산시키고 그 사이 리바이가 입체기동으로 접근해 짐승거인을 처치하는 것이다.
         * 사들은 "어차피 죽을 거 싸우고 죽으라는 거냐"고 자조적인 발언을 하는데 엘빈은 "어차피 인간은 죽는다."고 연설하기 시작한다.
         * "그렇다면 인생에 의미란 없는 것인가? 애초에 태어난 의미란 없는 것인가? 죽은 동료들도 그런가? 그 사들도 무의미했던 것인가? 아니다! 죽은 자들에게 의미를 주는 것은 우리들이다!"
         "꿈을 포기하고 죽어줘. 신들을 지옥으로 이끌어라. 짐승거인은 내가 죽인다."
         - 리바이 장. 엘빈이 입안한 자살에 가까운 작전의 실행을 요구하며.
  • 진격의 거인/96화 . . . . 12회 일치
          * 벽 안에서 2년의 시간이 흐른 뒤, 정보는 어느 정도 수집됐지만 작전은 진전이 없었고 라이너는 과감하게 "사로 들어가 중앙 헌에 접근한다"는 계획을 꾸민다.
          라이너는 그 장면으로부터, 현실로 부터 달아났다. 영웅이 되겠다던 맹세로부터 달아났는지도 모른다. 뻥 뚫린 벌판을 향해 그저 달리던 그는 어느 나무 아래에서 멈춰 숨을 골랐다. 그리고 정신을 차렸다. [[베르톨트 후버]]도, [[애니 레온하트]]도 없었다. 섬의 악마들도 없고 거인들도 없었다. 라이너는 혼자였다. 마르셀은? 죽었다. 그가 두고 오려고 했던 현실은 한치의 거리도 없이 따라와 있었다. 무서운 고통이었다. 라이너가 머리를 감싸며 엎드렸다. 절규가 터져나오지 않고 목구멍에서 멤돌았다.
          * 거인의 눈으로 성 안을 내려다 보는 베르톨트. 거기에 있었다. 섬의 악마들. 그 악마들이 낳은 작은 악마들도 있었다. 나이는 자신들과 비슷한 또래로 보이는, [[엘런 예거]], [[아르민 알레르토]], [[미카사 아커만]]. 한참 뒤까지 미처 몰랐던 첫 번째 마주침.
          >사가 돼서 중앙헌에 접근하는 거야.
          >그 10년을 사 놀이에 허비하란 말이야?
          * 입대 한 직후 일행은 훈련단의 연장에 도열했다. [[키스 샤디스]]의 악다구니가 막 시작되고 있었다. 라이너가 깨달은 "여기에 있는 의미"는 셋이 공유하는 가치가 되었다. 사가 되고 보니 그걸 입으로 말할 기회가 제법 됐다.
  • 진격의 거인/98화 . . . . 12회 일치
          * 마레의 전사들은 작전실에서 쫓겨나 연장을 바라보며 조국과 엘디아인의 미래에 대해 걱정하는데, 마침 연장에선 전사 후보생들이 훈련 중이었다. [[가비 브라운]], [[파르코 그라이스]], 조피아, 우도는 완전군장 상태로 구보를 하던 중인데 잘 보니 뒤쳐져 있던 파르코가 기어이 가비를 추월해 1등으로 골인한다. 파르코가 가비를 이긴건 처음이었기 때문에 훈련생들은 엄청나게 환호하며 즐거워하는데 그 형인 [[콜트 그라이스]]는 문득 "한 번 정도 이긴 걸로 가비의 우위가 흔들리진 않는다"며 미심쩍은 발언을 한다. 자신이 짐승 거인의 계승자인 이상 동생까지 굳이 갑옷을 계승할 필요가 없다는 요지였는데, 듣고 있던 [[지크 예거]]가 "명예를 업신 여기는 거냐"고 꾸중한 뒤 "하긴 그게 형의 마음이다"고 다독이며 콜트를 데리고 캐치볼을 하러 간다. 포르코는 "그런게 형"이라는 지크의 말을 곱씹으며 생각에 잠긴다.
          * 후보생들은 수용구 출입통제소를 지날 때까지 떠들썩하게 파르코의 승리를 축하해준다. 파르코는 각오를 다진 탓인지 가비가 도발을 해도 "결과가 나올 때까지 할 일을 할 뿐"이라며 흔들리지 않는다. 가비가 "어차피 너희 형이 있어서 명예마레인 확정인 주제에 왜 그렇게 기를 쓰냐"고 안달하자 마침내 "널 위해서"라고 고백하지만 가비는 그 의미를 알아차리지 못한다. 낙담한 파르코는 원으로 향하는데 요즘은 거의 항상 가고 있다고 한다.
          노인은 파르코와 크루거 사이의 거래도 알고 있었고 사실 크루거가 정상이라는 것도 눈치채고 있었다. 그러니 의심살 짓은 그만두고 어서 가족에게 돌아가라고 권하는데. 크루거는 떠보듯이 "혹시 가족일로 후회할 짓을 했냐"고 묻자, 그는 상처를 찔린 표정이 된다. 그가 바로 [[그리샤 예거]]의 아버지이자 지크의 할아버지. [[엘런 예거]]에게도 할아버지가 된다. 그는 한순간도 후회하지 않은 날이 없다고 고백했다. 그리샤가 여동생을 데리고 벽을 나서게 놔둔 일이나 아들에게 의사를 강요했던 일 등. 그 모든게 자신 탓이라고 자책하던 그는 마침내 오열하듯이 비명을 지른다. 그때 원에서 진짜 의사가 달려나오는데, 사실 그도 이 원의 환자였던 것이다. 크루거는 실로 돌아가는 그를 바라보다가 가족에게서 받은 야구공을 허공 위로 던져 본다.
          크루거의 조언을 받으며 훈련에 매진해 마침내 가비를 이기는 기염을 달성한다. 가비에게 "너를 위해서 갑옷을 계승하고 싶다"고 고백했지만 정작 당사자는 이해하지 못한다. 파르코가 가비를 좋아하는건 수용구 출입구를 통제하는 사들 조차 뻔히 알고 있던 사실이라 안습. 크루거를 계속 방문하고 있었으며 그의 편지배달도 계속했다. 축제가 시작되자 즐겁게 즐기다가 빌리의 연설이 시작될 무렵 그를 크루거에게 안내한다.
          역시나 그 정체는 엘런 예거. 파르코에겐 여전히 가족에게 편지를 보낸다는 명목으로 여러번 심부름을 시켰다. 개인적인 조언도 해준 모양인데 파르코는 그 덕분에 가비를 이겼다고 굉장히 고마워한다. 그런데 파르코와 만나는 자리에 야구공과 글러브를 가지고 나왔는데, 일단 가족에게서 받은 거라고 설명했다. 파르코가 돌아간 뒤에는 원을 방문한 예거 박사와 만나는데, 첫눈에 그가 누구인지 알아보는 모습을 보인다. 예거박사가 파르코에게 심부름 시키는 거나 사실 그가 멀쩡하다는 걸 간파하고 가족에게 돌아가라 권하자 "혹시 가족에게 후회할 짓을 했냐"고 떠본다. 예상대로 예거 박사는 과거의 트라우마를 늘어놓으며 오열하게 되고, 착잡한 표정이 된다.
          그리샤 예거의 부친이자 지크 예거의 할아버지인 그 예거 박사. 원을 방문했다가 크루거에게 동석하기를 청한다. 사실 그가 파르코에게 수상한 심부름을 시키는 것과 실제론 이 없는걸 눈치채고 경고하러 왔던 것. 그라이스가의 속사정이나 콜트가 짐승거인을 계승하게 된 이후 예거가 사람을 불편하게 대하게 된 것에 대해서도 소상히 알고 있다. 자신이 대화하는 크루거가 실제론 손자라는걸 눈치채진 못한 듯 하다. 처음에는 자신을 군의이며 가끔 이 원을 방문한다고 밝혔는데 실제론 그렇지 않았다. 크루거에게 "슬슬 가족에게 돌아가지 않으면 후회한다"고 경고하는데, 크루거가 "당신은 가족에게 후회할 만한 일을 했는가"라고 반문하자 상태가 안 좋아진다. 그리샤가 여동생과 벽을 넘어간 날, 딸이 죽은 날로부터 후회하지 않은 적이 없다고 토로하고 그리샤 가족의 운명도 다 자신이 탓이라고 자책하고 있다. 기어이 비명을 지르며 정신이 무너지는데, 직후에 의사와 간호사가 와서 실로 데려가는걸 보면 오래 전부터 입원 상태였던 듯 하다. 그가 자신의 할아버지인걸 아는 크루거는 매우 착잡한 표정을 짓는다.
  • 킹덤/517화 . . . . 12회 일치
          * [[왕전(킹덤)|왕전]]은 왕도권 모든 력이 업으로 들이칠 거라 내다 보나 대책도 없이 들어온 것이 아니었다.
          * 실제로 업으로 오는 력 중 진군을 저지할 전력은 "알여"성과 "요양"성에서 오는 두 군대 뿐. 이들만 미리 요격하면 업공략은 저절로 이루어진다.
          * 그는 이 요격 작전을 위해 군을 나누는데, 요양군은 현재 [[공손룡]] 휘하에서 [[양단화]]와 대치 중이므로 [[벽(킹덤)|벽]]에게 1만의 력으로 지원하게 한다.
          >그렇겠지. 허나, 이 잦은 난 그 무렵에는 진작에 수명이 다해 죽고 없겠지. 크크크
          태자는 도양왕에 비하면 정치적 식견도 대국을 보는 눈도 가진 인물이었다. 그는 곧 진나라도 여기까지 온 이상 침공이 실패하면 국운이 흔들릴 거라 말한다. 그렇다면 자신도 진왕 [[진시황(킹덤)|정]]이 "최"성에서 그랬듯 직접 사들을 진두지휘하며 사기를 북돋으면 어떻겠냐고 이목의 의견을 묻는다. 이목은 명심해두겠다면서도 "그런 일이 필요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답하지만 태자 가는 "지금이 그 필요한 시기다"고 단호하게 말한다. 이목도 거기에 대해서는 부정하지 못한다.
          * 드디어 업을 포위한 진군. 총사령관 [[왕전(킹덤)|왕전]]은 마지막 작전을 실행하기 앞서 장교들을 불러놓고 현재의 상황과 앞으로의 작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신(킹덤)|이신]]을 비롯한 지휘관들이 귀를 기울인다. 우선 왕전이 가장 처음 정의한 전황은 진군이 포위한 업을 중심으로 왕도권의 모든 조군이 진군을 요격하러 온다는 것이다. 듣기에도 진땀이 나는 설명이지만, 왕전은 그 중에서 진정으로 진군을 저지할 수 있는 력은 단 둘 뿐이라 일축한다. 바로 북서의 대도시 "알여"와 태향산맥 일대의 세력을 규합한 "요양"이다. 오직 이 두 군만이 업에 당도해 진군을 격멸할 힘이 있다.
          그래서 그가 짠 작전은 이랬다. [[환의(킹덤)|환의]]군 6만은 이대로 업성을 포위한 채 대기한다. 이 6만이 알여, 요양군을 제외한 모든 조나라 력을 상대한다. 듣기엔 말도 안 되는 소리같지만 당사자인 환의는 태연했다.
          다음은 요양군. 요양군은 이미 대처하고 있다. [[양단화]]군 5만이 대치하고 있는 [[공손룡]]군이 바로 그 요양군이다. 지금은 견제만 하고 있었지만 상황이 알려졌을 테니 곧 큰 움직임이 있을 것이다. 공손룡이 요양성에서 본격적으로 력을 끌어오면 그 군세는 약 10만에 달할 걸로 보인다. [[벽(킹덤)|벽]]이 기겁하며 "지금 양단화군은 5만 밖에 없다"고 발언한다. 물론 왕전은 그것도 계산하고 있다. 그는 벽에게 그가 이끄는 8천 력에 환의군에서 2천을 빌려 총 1만의 원군을 이끌고 가라고 지시한다. 벽은 자신이 일만장이 되어서 양단화를 구하러 가게 됐다는 사실에 들뜬다. 그런데 은근슬쩍 력 2천을 떼어먹히게 된 환의군의 [[마론(킹덤)|마론]]은 속이 쓰리다.
          * 남은 것은 알여. 알여는 왕전 자신이 직접 대처할 것이다. 이신, 몽념, [[왕분]]대의 력을 이끌고 말이다. 왕전군 7만에 비신대 총 8천, 낙화대 5천, 옥봉대 5천을 더한 총 8만 8천의 력이다.
  • 토리코/361화 . . . . 12회 일치
         [[토리코]] 361화. '''숨어있는 악마'''
          * 사천왕의 구르메 세포 악마들은 과거에 은하를 주름 잡았던 존재들. 지지가 그들의 악마를 보고 정체를 알려준다.
          * 써니의 구루메세포의 악마는 '''"헤어몬스터"''' 먼옛날 행성조차 집어삼키며 은하계 지배 했다고함
          * 코코의 구루메세포 악마는 '''"포이즌데빌"''' 치사성의 맹독과 독을 이용해서 수많은 괴물을 노예로 만들어 거대한 행성을 지배 했다고함
          * 제브라의 구루메세포 악마는 '''"보이스데빌"''' 엄청난 소리와 완력으로 여러개의 행성을 파괴 했다고 함
          * 토리코의 구루메세포의 악마는 '''"오거"''' 온화한 성격이지만 화가나면 아무도 손쓸수 없는 괴물로 실력은 '''역사상 1.2위를 다툰다고 함.''' 발달된 후각이 특징
          * 토리코 내면의 '''다른 악마'''도 보인다고 했지만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 블루 그릴에서 골든 쿡웨어를 만들 때 2대 멜크에게 부탁해 따개를 만들었고 코마츠는 지금이야 말로 통조림을 열 때라고 말한다
          * 사천왕의 구르메 세포의 악마들은 전부 한가닥 하던 존재들.
          * 각 악마들이 한 자리에 둘러앉은 장면에선 아이마루만 악마가 없는 걸로 나왔다. 심지어 코마츠도 나왔는데!
  • Europa Universalis 4/공략/유럽 . . . . 11회 일치
         '''하나님은 세계지도가 더 영국령 색으로 칠해진 것을 원하신다. 가능하다면 나는 밤 하늘조차도 영국령으로 합하고 싶다. -세실 로즈'''
         후자의 경우가 조금 어려운데, 우선은 적절히 프랑스와 사이가 안좋으면서 잉글랜드의 부족한 육군을 보충해줄수 있는 나라가 필요하다. 아라곤, 오스트리아, 카스티야정도가 물망에 오르는데 문제는 얘들이 잉글랜드를 라이벌지정하는 경우가 있다는것(...) 스코틀랜드는 얼마 안가 프랑스와 동맹하면서 귀찮게 할 가능성이 높으니 초반에 공격해서 속국화 시키고, 이베리안 웨딩이 뜨길 기대하며(...) 프랑스가 오스트리아랑 동맹하기전에 미리 오스트리아와 동맹해서 막는것도 좋다. 프랑스보다 프로빈수 수가 많고, 력이 더많을경우에 왕위주장 미션이 뜨는데, 이것만 성공시키면 그때부터 두려울게 없다. 오스트리아고 스페인이고 다 날려버리자.
         마더 러시아. 국가 전통에 맨파워 증가가 달려있고, 두번째 이념엔 육군 한계증가가 달려있으며, 자체 특성상 미친듯이 동진하며 개발하게 되있으므로 상당한 물량을 볼 수 있다. '''다만,''' 물량만 강력하지 국가 이념에 규율이나 군사기, 종의 전투력 증가등은 전혀 없어서 질이나 공격적을 안찍으면 폴란드나 스웨덴한테 군대가 아이스크림 마냥 살살 녹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꼭 이념중에 질이나 공격적은 찍자.그나마 다행인건 리투아니아 개발도 너프가 상당히 뼈아파서, 헝가리정도만 끌여들여도 폴란드를 박살낼 수 있다는것.
         본격 동유럽 깡패국가. 시기상 폴란드가 리투아니아랑 동군연합 맺고 신나게 깡패질 할때라 매우 강력하다. 거기다가 국가이념중에 기전투력 33퍼센트 추가가 달려있어서 [* 그다음으로 강력한 헝가리기 전투력증가가 20퍼다...다만 이쪽은 국가전통이라 처음부터 달려있다는게 차이점.] 올기 플레이[* 보은 버리고(사람에 따라선 포까지) 기만으로 플레이하는것]에 가장 추천되는 국가기도 하다. 선거군주정 특징을 잘이용해 오스트리아를 뛰어넘는 동군연합의 제왕이 될수도 있고, 이후에 대홍수이벤트까지 끝내면 다른 나라보다 몇 십년 빨리[* 다만 프랑스보단 느리다. ~~주인공 보정~~] 절대군주정이 될수 있다.
         두번째로, 땅덩어리는 프랑스보다 살짝 작은수준으로 넓으면서 력수는 카스티야보다 딸린다(...) 땅차이는 상당하지만 력양은 헝가리랑 맞먹는 보헤미아나 오스트리아[* 황제국 버프를 제외하고. 버프까지 받으면 헝가리보다 더 쎄다.]를 보면 괜히 안습해진다...
  • Victoria II/군사와 전투 . . . . 11회 일치
          * 보
          * 보(Infantry)
          * 근위(Guard)
          * 기
          * 기(Cavalry)
          * 용기(Dragoon)
          * 흉갑기(Cuirassier)
          * 포
          * 포(Artillery)
          * 공(Engineer)
         장군이나 제독의 성능은 랜덤이다. 말 그대로 가챠. 아무리 신같은 똥별이 나오더라도 왠만하면 장군 없는 상태에서 처맞는 디버프보다 낫다. 가능한 모든 군대/함대마다 지휘관을 붙이자.
  • 블랙 클로버/89화 . . . . 11회 일치
          * 다이아몬드 왕국이 이곳을 습격한건 왕의 때문. 마녀의 숲의 여왕은 불로불사의 비술을 가지고 있다 해서 뺏으러 온 거다.
          * 젤은 지원을 받아 다이아몬드 왕국의 력을 상당히 줄여놓는다.
          * 젤은 더이상의 대화를 멈추고 전투에 나선다. 라드로스는 굉장히 기대하지만 젤은 그들을 무시하고 지나간다. 그가 노리는건 뒤쪽의 력들. 사들은 그가 멍청한 짓을 한다며 마법을 날린다.
          하지만 젤은 호락호락한 인물이 아니었다. 그의 바람 마법이 다이아몬드 사들의 마법을 상쇄, 자신은 놀라운 속도로 적진을 헤집어 놓는다. 사실 그는 다이아몬드 왕국 시절 지휘관이자 교관으로 유명한 인물. 그러나 지금은 나라를 배신했다고 해서 배신자 취급이다. 그의 목에는 현상금도 걸려있는지 막대한 포상금이 나올 거라며 죽이려 든다.
          * 젤이 무모하게 달려든 것 같지만 사실은 고도로 계산된 작전이다. 아군이 밀집해 있는 곳에서는 쉽게 반격하기 어려운 법. 마르스와 라드로스 같은 경우는 더욱 그렇다. 젤의 예상대로 둘은 상황을 관망하고 나서지 않는다. 그렇다 해도 혼자서 이 대력을 상대할 수는 없는 노릇. 그는 자신의 반려자와 제자에게 기대하고 있다. 거기에 부응하듯 다이아몬드 측이 전열을 재정비하려 할 때, 아래 쪽 숲에서 일제히 마법의 사격이 가해진다.
          * 젤의 제자 [[마리엘라]]가 마녀들을 이끌고 반격에 나선 것이다. "기습을 하려면 상대의 3배의 력을 준비해라", 그녀는 스승 젤의 가르침대로 많은 력을 모아왔다. 젤의 움직이도 마구잡이가 아니라 다이아몬드를 숲으로 유인하기 위한 것. 다이아몬드 측에서 대응하려 해도 그들의 진형과 움직임이 너무나 쉽게 간파 당한다.
          한편 숲에 접근한 다이아몬드의 사들은 묘한 골렘을 발견하는데, 그 골렘은 사가 접근하다 갑자기 대폭발을 일으킨다. 이게 바로 도미나의 함정. 그녀의 기술로 골렘을 개조해 폭탄으로 만든 것이다. 개조비는 개당 3천 유르. 숲 여기서지서 폭발이 일어나고 다이아몬드의 진형은 완전히 무너진다.
          그는 자기들 같은 살인 기를 키워놓고 도망쳐서 착한 척 살려는 젤이야 말로 제정신이 아니라고 빈정거린다. 그 모습을 보고 젤도 최후의 희망을 접는다.
  • 영덕군 . . . . 11회 일치
         ||5|| 곡초등학교 || 곡면 영길 103-10 ||
         ||6|| 원황초등학교 || 곡면 원황길 64 ||
         ||4|| ||곡중학교||곡면 곡길 24-7||
         || '''곡면''' ||<:>9.69%||<:>{{{#C9151E '''72.20%'''}}}||<:>{{{#696969 10.76%}}}||<:>{{{#696969 3.62%}}}||<:>2.50%||<:>{{{#808080 '''▼62.51'''}}}||<:> 74.63 ||
         || '''면 지역'''[* 강구면, 남정면, 달산면, 지품면, 축산면, 영해면, 곡면, 창수면] ||<:>11.70%||<:>{{{#C9151E 68.64%}}}||<:>11.81%||<:>4.59%||<:>2.17%||<:>{{{#808080 ▼56.94}}}||<:> 72.20 ||
         || [[황우]]/3선[br][[민주정의당]] || [[김찬우]]/재선[br][[민주자유당]] || 김찬우/3선 [br] 신한국당 || 김찬우/4선 [br] 한나라당 || [[김광원]]/3선 [br] 한나라당 || [[강석호]]/초선 [br] 한나라당 || 강석호/재선 [br] 새누리당 || 강석호/3선 [br] 새누리당 ||
          * 권신찬 : [[구원파/기독교복음침례회|기독교복음침례회]](구원파)의 창시자. 이전에는 [[대한예수교장로회]]의 목사였다. 곡면 출신.
          * [[신돌석]] : 구한말에 활약한 [[의]]장. 축산면 출신.
  • 원피스/840화 . . . . 11회 일치
          * 제르마는 클론 기술로 사들을 양산해 상품으로 팔고 있다.
          * 배양액과 그 안에 담궈진 사로 가득한 방.
          * 상디는 믿기지 않는다는 보고 있지만 욘디는 자랑스레 "각국이 두려워하는 제르마 66, 그 사들"이라 소개한다.
          * 저지는 가까스로 탈출해 홀로 연구를 계속했고 제르마의 사들이 그 결과물이었다.
          * 사들은 각기 뛰어난 "원본"을 카피한 "클론"들.
          * 하지만 지금 제르마 왕국에서 일하고 있는 사들도 그 사실은 모르고 있다.
          * 많은 나라들이 제르마 왕국을 두려워하는 동시에 선망하고 있는데 그 비결이 이 사들.
          * 강하고 온순한데다 배신하지 못하게 프로그램된 이 사들 여러 나라에서 탐내고 있다.
          * 어느날은 잠수 훈련을 하다 상디만 낙오, 사들에게 구조 받는다.
          * 그는 자신을 두고 가는 사들에게 아버지를 불러달라고 아우성치는데, 이게 바로 저지의 결단.
  • 은혼/609화 . . . . 11회 일치
          * 히라가 겐가이 영감은 가부키쵸 주민들을 모아 해방군에 대항할 력을 확보한다.
          * '''비극의 기 네오암스트롱사이클론제트암스트롱포 부활'''
          * 겐가이 영감은 킨토키 타마를 비롯 에도의 모든 기계의 힘을 모아 사람을 구하는 기, 네오암스트롱사이클론제트암스트롱 겐가이포를 작동시킨다.
          * 3대 용 부족 다키니, 신라, 야토는 유격대로서 각자 자율적으로 활동하도록 보장한다.
          * 히라가 사부로는 사람 돕는 기계를 만드는게 좋다던 아버지가 살인기를 만드는 것에 반발했다.
          * 그런 아버지를 두고 볼 수 없어서 싸우는 길을 택했고 그 길로 귀대에 들어갔다.
          * 유명한 기이니 만큼 해방군 측도 경악하며 저런 무기를 숨기고 있었냐고 두려움에 떤다.
          * 이것은 적을 쓰러뜨리기 위한 기도 스스로를 지키기 위한 기도 아니었다.
          * 정체는 '''기계를 정지시키는 기'''.
         결국 다음 에피소드인 [[은혼/610화]]에선 단순한 EMP가 아니라 나노머신 기반의 기계말살 기임이 밝혀졌다.
  • 은혼/640화 . . . . 11회 일치
          * 모선으로 진입했던 력은 괴멸, 함대는 적의 집중공격으로 고립, 그러나 신스케가 포기하지 않겠다 뜻을 보이자 [[타케치 헨페이타]]가 결단을 내린다.
          * 해방군의 히노카구츠치를 저지하기 위해 해방군 모선으로 돌격했던 귀대. 그러나 해방군 사령관 [[엔죠]] 황자는 모선의 일부를 희생시키면서까지 히노카구츠치의 충전을 서둘렀고 그 결과 불필요한 구역을 아군까지 희생시키며 파괴하는 만행을 저지른다. 귀대가 침투했던 구역이 하나둘 파괴되면서 최전선에서 지휘 중이던 [[다카스기 신스케]]와 [[카와카미 반사이]], [[키지마 마타코]]도 위험에 처한다. 하나둘 산화하는 부하들. 그러나 그저 달리는 것 말고는 방법이 없었다.
          그것이 귀대 대장으로서 신스케의 맹세였다.
          헨페이타의 함대도 대책을 마련하기엔 여의치 않다. 해방군의 함대가 총공세로 나온다. 적의 목적은 자명. 단 15분 간 귀대 함대를 저지하는 것이다. 엔죠는 그렇게만 하면 모든 것이 끝날 거라는 근거없는 확신에 차있다. 하늘이, 우주가 무너지는데 솟아날 구멍도 없는가? 고개를 떨구는 헨페이타.
          * 신스케는 이때 무전을 보낸다. 이미 자신들은 낙오됐고 본대와 합류도 바랄 수 없으니 이대로 히노카구츠치 제어 중추로 돌입하겠다는 전달이다. 그걸 위해서 현재 자신들의 위치를 확인해 달라고 요청한다. 헨페이타는 대답 대신에 지금 상황을 냉정하게 전한다. [[사루가쿠]]와 [[바토우]]가 당했고 [[가츠라 고타로]], [[사카모토 다츠마]] 부대와도 통신이 두절됐다. 아군 함대는 적 함대의 총공세를 막아내느라 여력이 없으며 원군도 더는 바랄 수 없다. 신스케가 돌입을 강행한다면 현재 가진 력만으로 해야 한다. 헨페이타는 그럴 력이 남아 있느냐고, 현재 력이 얼마냐고 묻는다. 신스케가 아무렇지 않게 대답했다.
          >귀대는 여기에 있다.
          이미 중추시설을 지키기 위해 모선 내의 해방군 력이 집결해있다. 설사 신스케의 말대로 귀대 전원이 있었다 한들 어떻게 될까? 가늠할 수 없는 일이다. 그렇기에 헨페이타도 결단을 내려야 했다. 참모를 그만 둘 결단.
  • 진격의 거인/90화 . . . . 11회 일치
          * 트로스트구 습격에서 1년 뒤, 조사단은 정보를 바탕으로 벽 외 조사활동을 재개했다.
          * 조사단이 찾아낸 진실을 대중에 공표하는 일에 이르러 단의 수뇌부는 이견을 보인다. 이 일이 공표될 경우 대중은 혼란에 빠질 것이며 어떤 사태가 야기될지 알 수 없다는 이유였다. [[도트 픽시스]]는 단호히 공표할 것을 주장한다.
          * 조사단의 정보는 언론을 통 해 빠르게 전파되었다. 이제는 일반시민들도 엘디아인의 진실과 벽 바깥에 있는 문명의 존재를 알게 되었다. [[리바이 아커만]]과 [[한지 조에]] 신문사의 로이 사장과 뷰레 기자와 만나 이후의 여론에 대해서 묻는다. 대중들은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자도 있는가 하면 웃어 넘기는 자도 있고, 음모론으로 치부하며 정권을 매도하는 자도 있다고 한다. 결과적으론 혼란의 도가니. 한지는 그래도 어쩔 수 없다며 정보가 납세자에게 맡겨지는게 이전 왕보다 좋은 점이라고 자조한다.
          로이 사장은 조사단이 자랑스럽다고 말하면서도, 과연 자신들이, 벽 안의 인류가 어떻게 되는 건지 확신하지 못한다. 그는 평온을 가장하고 있지만 벽 바깥의 진실에 큰 충격을 받고 있다. 엘디아 인이 "악마의 민족"이라 불리는 것이나, 인간 조차 아닌 괴물로 취급되고 전세계가 그들의 멸망을 바라고 있는 것 등. 그게 사실이라면 자신들이 전멸할 때까지 지옥은 끝나지 않는 거라고 생각한다. 그런 이야기를 하는 로이 사장의 손은 떨고 있다.
          >너희 둘과 리바이 장이
          프록은 더이상 제지 받지도 않고 마음껏 떠든다. 앞으로는 자기 같은 겁쟁이가 실수로 들어오지 않도록 신들에게 사실을 말하라고 빈정거린다. 그리고 이제 엘빈 단장도 없는데 뭘 어떻게 할 거냐고, 잔인할 정도로 날카롭게 지적한다. 자기는 비록 피래미에 지나지 않지만, 그런 피래미라도 평가할 권리는 있다면서.
          * 겨울이 지나고 봄이 오는 동안 월 마리아 내의 거인은 모두 소탕되었다. 곧 복구공사가 시작되었고 시간시나구를 중심으로 주민들의 입주가 재개되었을 때는 트로스트구의 습격으로부터 1년이 지나있었다. 그날 조사단은 6년 만에 월 마리아 밖의 벽외조사를 개시했다. 한지는 그동안의 전쟁으로 섬 안의 거인 대부분이 사멸했을 것으로 추측했고 정확히 들어맞았다. 조사단은 매우 평화로운 상태로 벽 바깥을 달려나갔다.
          그러는 동안 아르민은 바닷 속의 소라를 들어올린다. 미카사도 신발을 벗고 바닷물에 들어온다. 하지만 차갑고 계속 밀려오고 나가기를 반복하는 파도가 익숙하지 않은 것 같다. 미카사는 신중한 표정으로 아르민의 표정이 놀라움에서 웃음으로 바뀌는 것을 바라본다. 아르민은 너무나 만족한 목소리로 그 앞에 있는 엘런에게 말한다.
  • 킹덤/519화 . . . . 11회 일치
          * [[환의(킹덤)|환의]]는 업성으로 모이는 조군 력을 잘 막아내고 있지만 속속 몰려드는 수가 많아지면서 쉽지 않은 싸움이 예상된다.
          * 양군이 마침내 주해평야에 당도하고 력이 배치된다. 그런데 양측 지휘관 모두 정석에서 엇나간 포진을 준비하는 듯 한다.
          * 막이 오르는 왕전 대 이목. 그런데 그 개막은 몽념이 불과 5천이라는 턱도 없이 적은 력으로 조군의 좌익을 치는데서 시작한다.
          * [[이목(킹덤)|이목]]과 [[왕전(킹덤)|왕전]]. 양 진영의 총지휘관은 이미 이 땅에 도착해 있다. 척후만 데리고 빠르게 현장에 도착한 두 장군은 지형을 머리에 새겨넣고 그 위에 상상 속의 군대를 이리저리 움직여가며 어떤 포진을 해야 할지, 어떤 작전으로 싸워야 할지를 치열하게 계산하고 있다.
          * 업성의 상황은 대단히 좋지 못했다. 난민들이 당장은 통제에 따르고 있지만 얼마나 유지될지 모를 일이다. 한시 바삐 포위를 풀어야겠으나 좀처럼 되지 않는다. 조군의 원군은 계속 도착하고 있다. 그러나 [[환의(킹덤)|환의]]군은 다가오는 력을 각개격파하며 성에는 조금도 접근하지 못하게 했다. 특히 업 주위의 넓은 평원 지대는 [[이옥]]이 이끄는 기마대의 독무대였다.
          그런데 일이 쉽지많은 않을 모양이다. 반대편의 [[뇌토] 부대가 좋지 않은 소식을 보냈다. 그쪽에서 삼천인 부대를 만나 압도했으나 거기서 다시 좌우로 이천씩 도합 사천의 부대가 접근 중. 이에 뇌토가 흑앵의 기 1천을 증원으로 보내달라 요청했다. 방금 전까지 "여유롭다"고 너스레를 떨던 마론의 표정이 구겨진다. 환의는 옆에서 쓴웃음을 짓는다.
          * 왕전이 머리 속의 반상에서 치열한 전쟁을 치르는 동안, 마침내 진군 전원이 도착했다. 왕전은 곧바로 장교들을 불러 자신의 구상을 실현코자 한다.
          그에 비해 진군은 극단적이라고 할 만한 배치. 총 전력 8만 8천을 중앙와 우익에 몰아넣고 좌익에는 고작 5천을 배정했다. 우선 중앙에 5만 8천 력에 왕전 자신과 [[마광]], 그리고 비신대의 이신과 강외를 배치. 우익은 옥봉대에 력을 추가해 총 2만 5천. 왕분과 [[아광]]이 있다. 문제는 좌익. 력 5천으로 사실상 낙화대 단독 배치다.
          그렇다. 낙화대의 이 5천 력이 조군에 선제공격을 가해야 한다. 게다가 그 상대는 마정과 기수가 있는 조군의 우익. 흑양전에서 잔뜩 열이 받았던 그들이다. 몽념은 그저 체념하고 임무를 받은 것일까? 아니면 왕전의 작전에서 가능성을 본 것일까? 낙화대의 진군이 시작된다.
  • 라이징 스톰 . . . . 10회 일치
          주축국. [[일본군]]으로 상징은 만세가 써진 [[욱일기]]. 특수 과로 Assault와 Light Mortar가 있다. 자살시 증원 포인트가 소모되지 않으며, 페널티도 없다는 특이점이 존재. 근접공격키를 누르면서 전력질주하는 것으로 [[반자이 돌격]]이 가능하다.
          연합국. [[미군]]으로 상징은 초록색 바탕에 그려진 흰색 별. 특수 과로 Automatic Rifleman과 Flamethrower가 있다. 화염방사기 개OP.
         == 과 ==
          소총과 수류탄으로 무장한 과.
          주축군 전용. 기관단총과 수류탄으로 무장한 과.
          주축군 전용. 소총과 수류탄, Type 98 Grenade Discharge로 무장한 과.
          38식보총. 주축군 Rifleman의 기본 주무기. 총검이 기본적으로 달려있다.
          Frontline Soldier 등급을 넘은 일부 연합군 과들이 권총 대신 사용할 수 있는 보조무기. 무기 레벨이 25까지 올라가면 개머리판 탄약 파우치가 해금된다. 그로 인해 얻는 이점이 뭔지는 해금한 사람이 추가 바람.
          14년식권총. 주축군 사들의 보조무기.
          연합군 사들의 보조무기.
  • 몽키 D. 루피/작중행적 . . . . 10회 일치
         자야에서 [[하늘섬]]에 흥미를 느끼고 [몽블랑 크리켓]의 도움을 받아 [[스카이피아]]로 간다. 스카이피아 신으로 군림하는 [[갓 에넬]]과 대결하게 되며, [[번개번개 열매]]의 능력을 고무고무 열매의 특성으로 씹어버린다. 그리고 4백년 전 카르가라와 [[몽블랑 노랜드]]의 약속의 징표인 황금종을 울린다. 마지막에 스카이피아의 거대한 뱀 노라의 뱃속에서 보물을 들고 튄다.
         루피는 이에 특례로서 후한 대접과 함께 샤본디 제도까지 갈 배를 얻게 된다. 그리고 이 파티에서 섬의 여자들 사이에 "남자는 피부를 잡아 당기면 늘어난다."라는 이상한 상식이 자리잡게 된다.(...)--특정 부위는 늘어날 지도...?--[* SBS에 의하면 가능하다고 한다(...)] 잔치 직후 신문에서 자기 형인 [[포트거스 D. 에이스]]를 처형한다는 소식을 듣고, 그를 도우려고 행콕에게 [[임펠 다운]]으로 보내달라고 요청한다. 여기까지는 그냥 괜찮았는데...정말 허리케인 같은 사랑의 열으로 [[보아 행콕]]에게 플래그를 꽂았다.
         약 2주일 뒤, 로의 치료로 간신히 목숨을 건지고 의식도 돌아왔지만 몸은 아직도 만신창이 상태이다. 하지만 눈앞에서 아끼던 형의 죽음을 보면서 처음으로 정신적인 데미지를 입은 탓인지 에이스를 잃은 충격을 받아들이기가 벅찬 듯 수시로 상을 뛰쳐나가 에이스가 죽은 순간의 기억을 잊으려고 안간힘을 쓰며 여인섬의 숲 속에서 닥치는 대로 파괴하는 행동을 보인다. 징베가 뒤따라와 루피를 제압하고, 에이스는 죽었고 현실을 직시하라고 말한다. 그러자 루피는 이미 자신도 안다고 말하면서 흐느낀다.
         어인섬에서 2년 수련해서 패기를 배운 것 치고 위기에 몰리는 묘사가 많아서 의견이 많지만 '''애초에 악마의 열매 능력자'''인 루피가 '''바닷속'''에서 '''어인, 그것도 도핑약의 도움을 받은 적 보스'''와 대등이 아닌 '''일방적 우세'''로 싸운 걸 감안하자. '''아론 파크에서 루피는 물에 닿자마자 고자가 된 반면 어인섬에서의 루피는 물 속에서 어인 상대로 잘만 싸웠다.'''
         단 어인섬에서의 싸움은 아론파크와는 상황이 많이 달랐다는 것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아론파크에서는 루피 본인의 삽질로 물에 빠져서 아무것도 할 수가 없었지만, 어인섬에서는 비눗방울 안에 들어가 전투가 가능했고 후카보시의 서포트까지 받았다. 게다가 호디는 각성 전에 이미 물 속에서 조로에게 패배한지라 포스가 많이 하락한 상태였다.(...)[* 그러나 별개로 감안해야 하는 점이 있는 것이, 조로에게 패배한 호디는 ES를 고작 한 알 먹은 상태였고 루피와 싸웠을 때는 ES를 째로 털어먹고 각성해서 거의 다른 생물이나 진배없는 모습이 되어 있었다.~~실상 VS호디가 아니라 VS에너지 스테로이드다.~~]
         이후 선수관람석에서 베라미의 B블록의 경기를 잠시 동행하게 된 캐번디시와 지켜보는 도중 콜로세움에 참가한 [[돈 칭자오]]가 나타나 '''"[[몽키 D. 가프|가프]]는 잘 계시는가? 루피 아우"''' 하고 물어보자 생각없이 바로 아저씨는 어떻게 할아버지를 아냐고 대답하는 바람에 또다시 정체를 발각당한다. 그리고는 옆에서 이를 들은 캐번디시가 루피가 맞냐며 추궁하자 당황하며 루피가 아니고 루시라며 발뺌하고,[* 이 와중에도 돈 칭자오의 계속되는 도발에 꼬박꼬박 반응하며 자기가 루피인 것을 계속 [[인증]]한다.~~역시 바보~~ 캐번디시도 그렇고 칭자오도 그렇고 애먼 데다 원한을 품은 인물들 때문에 보통 보케 담당인 루피가 츳코미를 해대는 진풍경을 볼 수 있다(…).][* 캐번디시 曰 "남의 인기나 뺏질 않나 귀신의 손자로 태어나질 않나… 순 원망만 사는 쓰레기 자식." 이에 루피 曰 '''"그거 다 내 알바 아니라니까?"'''] 돈 칭자오는 가프에게 수없이 살해당할 뻔 했다며 루피의 할아버지인 '''악마 가프'''[* 돈 칭자오가 활동하던 당시의 해적들에게 있어 가프는 악마로 통했다고 한다.]에게의 빚을 손자에게 갚겠다며 루피?를 공격하고, 이에 루피는 전력으로 머리통을 후려갈기지만 전혀 통하지 않고 흥분한 돈 칭자오는 계속 루피를 공격하려 하나 주변의 만류로 일단 와해된다. 이후 '''경기고 뭐고 일단 밀짚모자를 잡겠다는 캐번디시를 피해''' 관람석 외벽에 매달려 [[바르톨로메오(원피스)|바르톨로메오]]와 싸우던 [[베라미]]를 응원하지만, 결국 베라미는 엘리자벨로 2세의 왕의 펀치에 휘말려 탈락한다.
         조로가 피카를 상대하며 뒤를 맡아준 덕분에 바이올렛과 함께 왕성으로 돌입했고 그 와중에 [[글라디우스(원피스)|글라디우스]]의 공격을 받아 터지기 직전이던 외다리 장난감 정을 구하게 된다. 그리고 본격적으로 글라디우스와 맞붙으려는 찰나, 바이올렛의 제지로 도주해 도플라밍고가 있는 방 바로 옆까지 도달하는 데 성공했다. 그리고 바로 도플라밍고와 맞붙으려고 하지만, 바이올렛이 필사적으로 말리고 있는 상황.
         743화에서 ~~루피는 모르는 작전이지만~~ SOP 작전이 성공하자마자 장난감 정이었던 퀴로스가 눈깜짝할 새 도플라밍고의 목을 베어버리는 장면을 목격한다. 그리고 놀랍다는 듯 우와!!! 밍고가 죽었어!!! 라고 ~~태연하게~~ 말한다. (...) 744화에선 쫓아오는 글라디우스를 피해 바이올렛과 함께 모양의 방에 뛰어들어간다. 동맹이 끝났다며 가버리라고 화를 내는 로의 말을 ~~당연히~~ 그대로 무시하고 해루석을 만지지 않도록 주의해가며 그의 수갑을 풀려고 하는데, 그 순간 '''잘린 도플라밍고의 머리가 말을 했다!!''' 루피는 경악한 표정을 짓더니 '''"우와!!! 밍고가 살아있어!!!"''' 라고 ~~이마저도 태연하게~~ 말한다. (...)
         '''코리다 콜로세움의 네임드들이 그에게 협력하게 된 것이다.''' 가장 먼저 루피 일행이 날아온 자리에 있던 [[캐번디시(원피스)|캐비지]]가 '갓' 우솝 덕분에 살았다며 루피 일행을 공격하지 않는다고 했고 ~~그러면서 동맹인 로는 잘만 죽이려 든다~~ 칭자오도 사이, 부와 함께 등장해 조력자로 참가하겠다고 하고 하이루딘 또한 콜로세움에서의 일을 모두 잊고 도움을 주기로 한다. 엘리자베로 2세 역시 ~~상금에 눈이 멀었던 다가마를 쥐어패고~~ 협력을 가했고 ~~상금에 눈이 멀 줄 알았던~~ 압둘라&제트, 올럼버스, 이데오, 술레이만, 블루 길리까지 합세한다. 그러고서는 상금에 눈이 먼 나머지 참가자들을 때려패고, 루피는 자신이 루시로 활동할 때 친해졌던 브루탈 불(우시)도 끌어들인다. 그렇게 해서 캐번디시는 '''인기'''를 위해, 칭자오는 '''인의'''를 위해, 하이루딘은 '''명예'''를 위해, 엘리자베로 2세는 '''리쿠 왕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압둘라&제트는 '''참회'''를 위해, 이데오도, 올럼버스도, 술레이만도, 블루 길리도 각자의 목적을 위해, '''전원 도플라밍고 레이드에 참가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현장에 다시 돌아갔을 때 그들을 최초로 발견한 어떤 해의 시선으로 설명을 하자면, '''서로 도플라밍고를 자신이 죽이겠다고 아가리 파이팅을 신나게 벌이는 흉악한 녀석들 떼거지가 밀짚모자를 선두로 다 때려부술 듯이 무섭게 들이닥치고 있는 중이다'''(...).
  • 원피스/842화 . . . . 10회 일치
          * 루피가 비스켓 사를 먹을 수 있는건 나미 덕분. 레인 스파크로 비를 뿌려서 사들을 부드럽게 만든다.
          * 새로운 비스킷을 만드는 크래커.
          * 비스킷 사가 먹힌 이유는 "나미가 비를 내려서 부드럽게 했기" 때문.
          * 크래커가 나미를 원망하는데 나미는 해적끼리 싸우는 판에 "약점이 들켰다고 남의 사를 탓하지 마라"라고 반박한다.
          * 유혹의 숲의 나무들은 그 말을 듣고 "우리가 왜 네 사냐"고 기가 막혀하는데 나미가 비브르 카드를 들고 눈 한 번만 흘겨도 꼼짝을 못한다.
          * 하지만 적들이 이 말을 정말로 믿고 비스킷 사들이 돌격해 오자 눈물을 머금고 푸드파이트 모드로 복귀한다.
          * 루피는 이 웃기는 모습을 보고 멍 때리는 나미에게 "앞에 있는 비스킷 사에겐 물을 뿌리지 마라"고 외친다.
          * 루피는 "만복의 힘을 깨달아라"고 외치며 비스킷 사를 향해 크래커를 쏘아버린다.
          * 신기술 캐논볼로 날아간 크래커는 단단한 상태의 비스킷 사를 몇 개나 뚫고 한없이 날아간다.
  • 원피스/853화 . . . . 10회 일치
          * [[타마고 남작]]은 "달걀달걀 열매" 능력자. 알에서 아리, 닭으로 진화해가는 열매다.
          * [[몽키 D. 루피]]는 사들을 때려잡으며 [[상디]]의 행방을 찾는 중.
          * 보물전에서는 빅맘 [[샬롯 링링]]이 너무나 간단하게 [[브룩]]을 제압하고 마치 애완동물처럼 어르고 있다. 그녀는 브룩의 머리를 쓰다듬고 볼에 부비기도 하며 "정말 귀여운 생물"이라 말한다. "살아있는 해골"인 점이 그녀의 컬렉터 기질을 자극한 모양이다. 게다가 브룩은 강하기까지 하다며 분명 그의 능력은 체스들에겐 천적같은 능력이라고 말한다.
          체스들은 브룩의 짐을 조사해 그가 아직 아무 것도 훔치지 못했다고 보고한다. 빅맘은 더욱 만족해하며 "의심해서 미안하다"며 브룩을 쓰다듬어 댄다. 브룩은 굴욕적이지만 참고 있다.
          * 3층의 안뜰에서는 [[타마고 남작]]과 [[페드로(원피스)|페드로]]의 결투가 이어지고 있다. 그런데 타마고 남작은 지난 번 참격에 당하고도 죽지 않았을 뿐더러 모습이 바뀌어 아리같은 모습이다. 사실 그건 타마고 남작이 가진 열매의 능력이었다.
          그는 "달걀달걀 열매"(타마타마 열매) 능력자. 문자 그대로 달걀이 되는 열매. 달걀->아리->닭 순으로 강해지는 능력으로 달걀 상태에서 페드로에게 당하다 곧 "아리 자작"으로 부활했던 것이다. 작위도 오르고 전투력도 오른 상태라 페드로를 애먹인다. 그러나 결국 페드로에게 또 한 번 베이고 만다.
          * 쓰러진 아리 자작은 잘려진 몸통 속에서 달걀 같은 내용물이 흘러나오더니 그게 닭의 형태로 변해간다. 이것이 바로 "닭 백작". 이 상태가 "진정한 기사"라 불릴 정도로 전투력이 올라간다. 하지만 마지막 변신이라 그런지 상당히 시간이 걸리는데 페드로가 그냥 보고 있을 리가 없다. 변신이 끝나기 전에 타마고 남작의 숨통을 끊으려 하자 부하들이 저지하려 한다.
          * 페드로는 적들에 포위되자 그동안 숨기고 있던 다이너마이트 뭉치를 내보인다. 지금까지 싸움은 그저 위장에 지나지 않았다. 그의 진짜 목적은 적들을 최대한 끌어모아 저승길 길동무로 삼으려는 것. 적들이 충분히 모이자 페드로는 주저없이 불을 붙인다. 안뜰이 통채로 쓸려나갈 것 같은 폭발이 일어난다. 부하사들은 물론 진화 중이던 닭 백작까지 휩쓸린다. 일대가 쑥대밭이 되고 한켠에 있던 "거울"은 산산조각이 나있는데.
          그건 [[빈스모크 레이쥬]]. 상디는 의무실을 떠났지만 그녀는 아직 여기에 남아 있었다. 레이쥬가 루피를 불러들이고 방문을 잠그자 루피를 추적하는 사들이 문 앞을 지나간다. 일단 루피를 숨겨준 셈이지만 상디를 빨리 찾아야 하는 루피는 성가셔 한다. 하지만 그녀가 상디의 누나라는 건 기억하고 있다.
  • 원피스/866화 . . . . 10회 일치
          * 마더 카르멜은 과거 거해적단이 두 선장 [[도리(원피스)|도리]], [[브로기]]를 잃고 일부 선원이 잡혀 처형될 뻔 했을 때 중재한 적이 있다.
          그녀의 부모는 링링을 낯선 곳에 내려놓으며 "근처에서 일하고 있을 테니 착하게 기다리고 있어라"고 말한다. 링링은 부모님과 떨어지기 싫었지만 "가방 속의 과자를 먹어도 좋다"고 하자 금새 좋아라한다.
          * 당시 엘바프는 "거 해적단"의 잔당들이 살고 있었다. 거해적단은 현대를 기준으로 약 100년 이상 전에 활동했던 공포의 해적단이었다. 전세계가 두려워했던 세력이었으나 두 선장 [[도리(원피스)|도리]], [[브로기]]가 우연한 계기로 해적단을 이탈, 이후 활동을 접으면서 전설적인 존재가 됐다.
          * 그런데 활동을 접은지 얼마 되지 않아서 해적단의 잔당 일부가 해군본부에 사로잡혔다. 해군은 당연히 이들을 처형하려고 처형대에 올리기까지 했는데, 그때 한 명의 아름다운 골초 수녀가 나타나 처형을 멈추라고 소리쳤다. 그녀가 바로 시스터 카르멜, 훗날 [[마더 카르멜]]이라 칭송 받는 수녀였다. 당시 방랑 중이던 그녀는 처형장에 나타나 "하늘이 화해를 원하고 있다!"는 선문답같은 소리를 했다. 물론 해군으로서는 헛소리로 치부하며 거해적단이 전세계에 끼친 공포를 강조한다. 카르멜은 그 공포 때문에 말리는 거라고 일갈한다. 그때 맑던 하늘에 암운이 몰리고 비바람이 몰아치기 시작한다.
          * 그렇게 해서 10개월이 지났다. 도리와 브로기가 결투를 시작한지는 40년. 당시에도 거해적단 출신자들이 마을에 남아 있었는데, 이들은 기어이 결투가 40년을 채웠다고 혀를 찼고 앞으로 10년 만 더 기다려 봐서 계속 이 모양이면 마중을 나가봐야겠다고 하고 있었다.
          링링에겐 거인족 친구가 한 명 더 있었는데, 그가 바로 [[하이루딘]]. 훗날 [[드레스로자]]에서 [[몽키 D. 루피]]와 만나는 그 거인족이다. 그도 링링, 게르즈와 친구사이였는데 이 시기에는 도리와 브로기가 돌아와 거해적단이 부활할 때를 기다리며 수련에 매진하고 있었다. 링링과 게르즈는 동지제 이야기를 하며 그의 훈련을 구경했다.
          * 마침 거인족 마을의 어른인 "폭포수염" [[요를]]와 "산수염" [[야를]]가 행차한다. 둘은 거해적단의 전 선장이었으며 거인족의 영웅이자 "전세계 최고령 전사"라는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었다. 요를가 344세, 야를가 345세. 이들은 하이루딘의 수련을 보고 만족해한다. 그들은 카르멜이 "약탈보다는 교역이 좋다"고 한 말을 언급하는데 그 말은 좋지만 그래도 엘바프족이 전사라는 정체성을 잃어선 안 된다고 조언한다.
          * 이들이 외출한 것은 양의 집 아이들을 마을로 부르기 위해서였다. 이것도 동지제를 위한 행사 중 하나였다. 두 노은 링링에게 "셈라를 먹으러 와라"고 하는데, 행사가 처음인 링링은 셈라가 뭔지 모른다. 게르즈가 설명해주는데, 동지제까지 12일이나 금식하기 위해서 미리 영양가 많은 음식을 먹어둬야 하는데, 그것이 셈라. 아주 달콤하고 맛있는 과자로 과자라면 환장하는 링링이 눈을 빛낸다.
          게르즈가 양의 집에 있던 카르멜을 급히 찾는다. 마을에서 링링이 난동을 부린다는 소식이었다. 카르멜이 갔을 땐 이미 마을이 괴멸 상태. 거 해적단 출신 전사들이 단 한 사람의 소녀에게 패했다. 그 파국의 한 가운데에는 세무라를 목놓아 부르는 링링이 있었다. 식탐이 폭주해서 셈라를 내놓으라고 이런 일을 벌인 것이다. 아연해하는 카르멜.
  • 은혼/618화 . . . . 10회 일치
          * 사천왕의 필두 [[토죠 아유무]]가 과감하게 돌격, 오우가이의 머리를 꿰뚫는 듯 했으나 그는 진검을 이쑤시개 씹듯이 씹어 먹으며 흉흉하게 웃는다. 오우가이는 토죠를 붙잡아 키타오오지, 미나모토와 함께 패대기 친다. 오우가이는 구태여 추격하지 않지만 다키니의 사들이 둘러싼다. 토죠는 상처는 없지만 검을 잃었고 미나모토는 치명상. 키타오오지도 충격으로 몸을 가누지 못하는 채로 적들에게 노출된다.
          * 빈보쿠사이는 정신을 잃은 니시노를 수습하는 중. 빈보쿠사이는 상처를 묶으며 이정도로 죽을 만큼 연약하게 키운 기억이 없다고 중얼거린다. 하지만 다키니 사들은 그럴 여유를 주지 않았다. 벽을 무너뜨리며 빈보쿠사이를 추격해온 사들. 빈보쿠사이는 작은 몸으로 니시노를 짊어지며 절대 버티지 않겠다고 다짐한다.
          그 완고한 기개를 본 오우가이는 정말 여자냐며 사들을 움직인다.
          큐베는 오우가이와 그 사들을 유인하기 시작한다.
          적의 력이 골목으로 들어서자 여자들은 옥상에서 통나무 더미를 투하한다. 하지만 다키니 력들에겐 큰 위협이 되지 않을 뿐더러 오우가이에겐 더더욱 타격이 되지 않는다. 오히려 오우가이는 통나무를 옥상으로 집어 던지며 아가씨들을 위협한다. 오우가이는 이런 잔꾀나 쓰니 여자들은 짜증난다며 력을 옥상으로 보내 고깃덩어리로 만들라고 말한다. 그 명령을 받은 다키니 사들이 좁은 계단을 통해 옥상으로 향하기 시작한다.
          * 이것이 함장의 목적이었다. 좁은 통로에 집중된 다키니 력은 계단을 신출귀몰하게 누비는 해결사 일행의 공격에 대응하지 못한다. 하지만 이것도 잠시. 오우가이는 철제 계단을 뭉개 버리며 성큼 성큼 올라온다.
  • 은혼/633화 . . . . 10회 일치
          * 그는 자신이 적의 파괴기를 파괴할 테니 가츠라와 다츠마는 적장 [[엔죠 황자]]를 처리해달라고 부탁한다.
          신스케가 뭐라 불리든, 이해를 받든 어떻든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우리가 알고 있으니 된거 아니냐고 정리한다. 그러면서 어차피 우리들은 정부군이 될 주제가 아니며 역적, 국적, 반란군 같은 별명이 잘 어울리는 족속들이라 말한다. 긴토기가 발끈해서 그건 중2인 신스케한테나 괜찮은 거라고 디스한다. 하는 김에 "귀대"라는 이름도 걸고 넘어지는데 이딴 이름을 잘도 얼굴에 철판깔고 떠벌린다며 차라리 진주단(珍走)이란 이름이 낫겠다고 해서 옥신각신한다.
          * 그 말대로, 수년이 지나서도 여전히 반란군인 양이지사들. 신스케가 해방군 모함 안을 종횡무진 휘저어 놓는다. 그의 호령에 따라 귀대가 돌격한다.
          원흉 우츠로. 바로 그를 쓰러드리기 위해 자신은 여기에 있다. 서당의 제자였던, 귀대의 대장이었던 모든 자신이 여기에 있다. 신스케는 이 일전에 자신의 모든 것을 부딪히겠다고 선언한다.
          * 벽이 뚫리면서 새로운 해방군 력이 쏟아진다. [[자작 제독]]이 적의 숫자가 압도적이라며 발이 묶이면 금방 끝장날 거라고 외친다. 신스케는 원수이자 동료인 다츠마와 가츠라를 먼저 보내려 한다.
          >가라. 저 더럽게 커다란 파괴기는 내가 멈추겠어.
          * 신스케와 귀대가 발을 묶는 동안 가츠라, 다츠마가 선두에 서서 진로를 뚫는다.
          [[무츠(은혼)|무츠]], [[엘리자베스(은혼)|엘리자베스]]가 뒤를 따르며 력을 이끈다. 노부노부는 이들을 따라 달리며 신스케의 진의를 떠올린다. 그가 당부하지 않았더라도 알고 있다. 나라에 위기에 처하고 가신들 조차 나라를, 장군을 버렸을 때 누가 손을 내밀었는가? 국적이라 불리면서도 나라를 지키고자 싸운게 누구인가?
          * 노부노부는 진격 중인 사들을 향해, 동료들을 향해서 입을 연다.
  • 은혼/641화 . . . . 10회 일치
          * 해방대 함대의 총공세는 수위를 높여가고 귀대 함대는 점차 밀려난다. 아군함이 급격히 줄어들자 귀대 대원들은 사력을 다해 전선을 지키며 [[다케치 헨페이타]]가 어떻게든 작전을 성공시킬 거라고 믿는다.
          * 히노카구츠치의 제어 중추로 향하던 신스케 일행은 발걸음이 늦춰졌다. 교신 중이던 헨페이타가 의미심장한 말을 남기고 통신에서 벗어났다. 아무리 그를 불러봐도 대답은 없다. 좋지 않은 예감. 그때 그들의 앞을 기관총 사격이 막는다. 황급히 샛길로 피하는 일행. 제어 중추가 코 앞이었다. 생존자를 쥐어짠 호위력이 복도를 빼곡히 매우고 있었다. [[키지마 마타코]]는 이쪽도 더는 한가하지 않다고 말한다. 그 말대로다. 방어가 두터울 거라 예상은 했지만 저 력들을 다 처리하려면 15분이 아니라 15시간이 필요할 지도 모를 일이다. 그러나 일단 제어 장치까지 도달하면 희망이 있다. 그 내부에서는 적의 공격도 기세를 죽을 것이다. 축적된 에너지를 유폭시키고 싶지 않다면.
          꼭두각시가 된 사들이 자군을 향해 총질을 해댄다. 적의 전열이 혼란에 빠진다. 그 빈틈은 신스케가 돌파하기에 충분히 컸다. 신스케가 낮은 자세로 파고 들고 마타코는 허공으로 솟구쳐 적을 쏜다.
          반사이는 총상을 입은 복부를 숨겼다. 적의 2파가 몰려오고 있었다. 바주카를 장비한 력이었다. 적이 막 신스케를 노리려 할 때 반사이는 과감하게 칼을 던져 적의 기를 유폭 시켰다. 거기서 일어난 폭발이 복도를 붕괴시켰다. 벽과 천장이 무너지면서 적 력과 신스케가 양단됐다. 그리고 반사이는 적들과 함께 남았다.
          >너의 등을 따라가는 것이 귀대다.
          * 방금 전 바주카로 반사이를 공격했던 해방군 력은 그가 죽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시체를 확인하러 접근하는 순간 그가 반격을 시작하자 시체가 움직인다고 밖엔 생각하지 못했다. 반사이는 그들의 목을 따져 "아직은 아니다"고 말한다. 오히려 그의 검은 어느 때보다 예리하고 현의 움직임은 정교했다. 그는 해방군으로부터 뺏은 소총을 현으로 조종해 스스로 엄호사격을 펼친다. 적들을 마치 볏단처럼 썰어넘겼다. 사지에 오고 나서야, 죽음이 다가오고 나서야 그는 옛날의 각오가 잘못됐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건 자신 뿐 아니라 저 우주의 헨페이타도 그럴 것이라는 확신이 들었다.
  • 은혼/642화 . . . . 10회 일치
          * 히노카구츠치 발사까지 앞으로 3분. 엔죠 황자는 단신으로 일대의 력을 묶어두고 있는 반사이의 모습을 보며, 마지막까지 발목을 잡을 태세라는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건 서툰 넘겨짚기였다. 반사이의 목표는 달라진 적이 없었다. 그는 지금도 중추 시스템을 향해 한걸음 씩 옮기고 있었고 그때마다 그를 막으려는 력들이 줄줄이 쓰러졌다. 이제 벽 하나가 남았다. 마지막으로 남은 적은 셋. 그의 의지가 이겼다. 살아서 여기까지 왔다. 남은 셋을 처리하는 것도 어려운 일은 아니었다. 그는 마지막 고비를 넘기고 마침내 고지에 도달했다.
          * 난데없는 폭발과 함께 반사이의 몸은 저 멀리까지 튕겨나갔다. 한 걸음씩 걸어온 고지가 다시 멀어졌다. 그는 중추시스템까지 도착했다. 그러나 그 문 뒤엔 쓰러뜨린 것 만큼이나 많은 력이 대기하고 있었고 신스케가 얌전히 문을 열개 두지 않았다. 그들은 문 째로 포격을 가했고 반사이는 그대로 쓰러져서 다시 일어나지 못했다. 그러나 그 한 명의 전과를, 쓰러지는 동료들의 보고를 들으며 기다리고 있던 최후의 적들은 경계태세를 풀지 않고 철저하게 옭아 매었다.
          니조가 기억하는 귀대는 그렇게 살가운 사이가 아니었다. 그는 반사이의 안부인삿말에는 관심도 없이 떨어진 그의 샤미센을 주웠다. 그것을 건네며, 자신이 나타난 용건을 밝혔다.
          >귀대잖아.
          >신스케. 귀대는 너와 함께 살아있다.
          * 불사의 사나이가 펼친 시체들의 행진. 해방군의 반응은 겁에 질렸다고 밖에 할 말이 없었다. 가지고 있는 모든 화기가 불을 뿜었다. 이제 전방은 피어오르는 연기로 혼탁하다. 그들은 고작 한 사람을 상대로 이런 화력을 쏟아붓게 될 줄은 몰랐다. 그리고 이렇게하고 나서도 폭연 속에서 건재하게 서있는 그의 모습을 보게 될 줄은 더욱 몰랐다. 폭연이 거치면서, 전열에 있던 한 사가 어떻게 그런게 가능했는지 눈치챘다.
          반사이는 이미 이 세상 사람이 아니었다. 그는 시체에 현을 걸었다. 자기 자신의 시체에까지. 그는 마치 자신이 쓰러지지 않는 것처럼 연출해서 적들의 이목을 끌어왔던 것이다. 해방군은 감탄과 함께 대체 이 남자가 무엇을 위해 이렇게까지 했는지에 생각이 미쳤다. 그러자 무서운 상황이 떠올랐다. 중추 시스템을 수비하던 력 대부분이 이쪽에 몰려있었다. 반사이가 노린 것은 이것. 력이 빠져서 수비가 약해진 틈에 동료들을 투입 시킬 시간을 버는 것이었다.
          * 여기까지는 똑똑한 사들이 쉽게 유추할 수 있는 대목. 반사이는 거기에 한 가지 고안을 더했다. 그가 죽어서도 놓지 않았던 샤미센이 떨어졌다. 이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었고, 반사이가 계산한 대로였다. 샤미센 뒤에 숨겨놨던, 그가 마지막까지 품고 있던 수류탄. 샤미센이 떨어지면서 그 기폭 장치가 작동했다.
  • 진격의 거인/93화 . . . . 10회 일치
          * 게다가 팔라디섬은 입체기동장치 등 대거인전 력이 있으며 무엇보다 "거인과학의 부산물"인 "아커만 일족"이 둘이나 존재하고 있다.
          * [[라이너 브라운]]은 스라가 요세 작전 이후 오랫동안 상에 있다 일어났다. 하지만 과거의 트라우마에 시달려서 정신적인 문제가 있다.
          >대지의 악마인 거인은 그저 하늘을 올려다 볼 수밖에 없을 겁니다.
          다시 시선은 그에게. 마가트는 자신의 설명이 충분치 않았던가 싶어 좀 더 직설적인 말을 하려 하지만 원수는 넋두리를 했을 뿐이다. 사실 그는 마가트보다 더 뼈져리게 현실을 직시했다. 마레는 전쟁의 주도권을 잃었다. 아예 뒤쳐져 버렸다. 원수는 한때 악마 엘디아인을 쳐부순 "영웅의 나라" 마레가 지금 이 꼴이 된 것을 씁쓸하게 여긴다.
          단숨에 질책하는 시선이 쏟아졌다. 마가트는 "지금까지 뭘 들었냐"고 무안을 준다. 지크는 그 점을 부정하지 않았다. 마레는 이제 신기 개발에 전력을 다해야 하지만, 그걸 다른 나라들이 기다려 줄 것인가? 따라서 지금 마레에게 필요한건 "신기를 개발할 시간", 좀 더 정확히 말해 "군부 재편까지의 공백을 메꿀 시간"이다. 거기에 "마레가 팔라디섬을 점거하고 모든 거인의 힘을 손에 넣었다"는 신문기사가 매우 적합할 것이다.
          * 그저 대답하지 않거나, 시무룩하게 맞다고 수긍하기만 하는 태도가 마음에 들지 않았을까? 갤리어드의 공격은 수위를 높여간다. 그가 유미르의 기억을 통해 바라본, 조사단 시절의 라이너 얘기다. 동기들의 리더이자, 큰형님 같았던 시절.
          일행은 인근에서 포로들이 배로 옮겨지는 장면을 본다. 하나같이 정신적인 외상을 입은 몰골이다. 모두 "무구의 거인"을 상대하고 살아남은 포로들로 본국에 돌아가서는 거인기의 공포와 비인도성을 설파하고 다닐 것이다. 그건 엘디아인에 대한 여론을 더 악화시킬 것이며 전세계에서 유미르의 백성들을 죽여버리자고 떠들 것이다. 우도는 분한 듯이 물건을 걷어찬다. 그때 누군가가 우도의 행동을 나무라며 그런데 화풀이하지 말라고 한다. 라이너였다. 침울해졌던 소년 소녀들의 표정이 단숨에 밝아지며 그에게 뛰어간다. 라이너는 그들의 무사를 확인하며 한 사람씩 머리를 쓰다듬어 준다. 가비가 특히 라이너를 좋아하는데, 파르코는 대조적으로 조금 떨어진 거리를 유지하고 쓰다듬도 받지 않았다.
          * 가비의 말처럼 그날 밤에는 전사단이 리베리오의 본부로 돌아간다. 사들은 밤열차에 탔다. 마레의 전사들과 후보생들, 전사단은 화물칸 같이 생긴 허름한 칸에 모여있다. 얌전한 타입인 콜트가 의외로 쩌렁쩌렁한 목소리로 외친다. 한 잔 걸친게 문제였다.
          파르코가 아차할 틈도 없이 라이너는 추궁이 이어진다. 거의 협박조다. 이 발언은 곧 상부에 보고해야 한다는 것, 자신이 하지 않아도 누군가 들었다면 밀고할 감이라는 것. 이렇게 되면 콜트가 짐승의 거인을 계승하기는 커녕 그의 그라이스 일가가 모두 반역자로 몰려서 "거인기행"이다. 다음 작전에서 비행선에서 투하되는건 다름아닌 파르코와 콜트, 부모님이 될 것이다. 겁에 질린 파르코는 뒤늦게 발언을 정정하겠다고 한다. 라이너는 다시 아홉 거인을 계승하는 명예를 뭐라고 생각하냐고 묻는다.
  • 토탈워: 쇼군 2/가문 . . . . 10회 일치
          * 모든 궁의 모집 비용과 유지비가 감소
          * 뛰어난 궁을 모집할 수 있음
         오다 가문으로 플레이를 시작하면 세 가문에게 다구리부터 당하고 시작한다. 있는 력을 싹싹 긁어모아 다구리에서 살아남는게 최우선 목표다. 인공지능이 잡으면 빠르게 도쿠가와 가문을 멸망시킨 다음 자신도 멸망당한다.
          * 기의 사기가 증가
          * 모든 기의 모집 비용과 유지비가 감소
          * 뛰어난 기을 모집할 수 있음
          * 승의 모집 비용과 유지비가 감소
          * 뛰어난 승을 모집할 수 있음
          * 뛰어난 승을 고용할 수 있음
          * 화약 보의 모집 비용과 유지비가 감소
  • Crusader Kings 2/특성 . . . . 9회 일치
          * 강인한 사(Tough Soldier)
          * 약한 아이(Sicky)
          ''이 아이는 약하게 태어나 유아기 동안 생존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질에 걸렸을 때 초기 증상으로 붙는 특성들. 이후 어떤 질에 걸렸는지 알게 되면 상태 특성으로 대체된다.
          ''악마 같은 가학성 변태 성욕자입니다. 타인에게 고통을 주는 것에서 흥분을 느낍니다.''
          * 경보 지휘관(Light Foot Leader)
          * 기 지휘관(Cavalry Leader)
          * 중보 지휘관(Heavy Infantry Leader)
  • 듄 2 . . . . 9회 일치
         스파이스 정제소에서는 하베스터를 써서 스파이스를 채취, 리파이너리에 캐서 모아둔 스파이스를 정제하고 크레딧([[돈]])으로 바꿔서 유닛을 생산한다. 원작소설에서 따온 것이지만 묘하게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스파이스는 사막 지형인 땅에서 붉은색으로 보이는 모래 부분이며, 하베스터로 채집을 선택하면 하베스터가 알아서 주변을 돌아다니며 채집하여 스파이스를 가져온다. 하베스터의 채집은 채집지역을 정해두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데, 가끔 하베스터가 엉뚱한 먼 곳에서 채집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하베스터 자체는 공격능력이 없지만 보은 깔아뭉개 죽이는 것을 할 수 있다.
         유닛 가운데 보(Soldier)는 업그레이드를 거쳐서 경보(Light Infantry)로 생산할 수 있다. 보은 1명 씩, 경보은 3명 한 세트로 나온다. 경보은 재미있는게 공격을 받아 죽으면 1명만 남는데 이 경우 유닛명이 솔져(사)로 바뀐다(?!).
         하베스터로 스파이스를 채집하여, 기지에서 각종 보과 차량을 만들고, 적 기지를 격파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징색은 붉은색. 기에디 프라임을 본거지로 하는 잔악하고 포악한 가문. 경보(Light Infantry)을 사용하지 않는다.
  • 마니교 . . . . 9회 일치
         마니교의 창세신화에서는 빛과 어둠의 대결이 있어, [[영혼]]은 빛의 세력이, [[물질]]은 어둠의 세력이 창조하게 되었다. 빛=영혼은 물질=육체에 갇혀 있는 상태이며, 인류의 육체는 어둠=악마에 의하여 창조되어 빛=영혼을 가두는 존재이다.
         가장 나쁜 것은 번식으로서, 번식 행위는 영혼의 감옥인 육체를 재생산 하기 위하여 악마가 만든 최악의 함정으로 여겨졌다. 성욕을 끊어서 자손을 남기지 않는 것이 인류의 의무라고 보았다.
         내세에 성직자는 [[천국]]에 올라가게 되며, 일반 신도는 영혼은 해방되지 않지만 공덕을 쌓았기 때문에 [[지옥]]에 가지 않고, 행실이 좋으면 선행을 쌓기 쉬운 성직자로 태어나 천국에 갈 가능성이 올라간다. 다만 행실이 나쁘면 동식물로 태어나서, 선행을 하는 것이 어려워져 윤회에서 벗어나기 어렵게 된다. 그리고 악마의 꾀임에 넘어간 이교도는 [[지옥]]에 떨어진다.
         마니교 문헌에서는 전도지에서 권력자의 딸이 에 걸리고 이교도는 고치지 못하는데 마니교 성직자가 의료나 기적으로 치료하며, 그로 인하여 부친이 개종하는 이야기가 빈번하게 나온다. 이는 마니교의 포교 전략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마니교라고 하면 비밀결사나 밀교의 이미지가 강하지만, 이는 탄압을 받아 숨어들어가게 된 중국 명교의 특수한 사례로서 오히려 중동의 마니교는 권력자와 지식인과 같은 사회 지도층을 중심으로 포교[* 나쁘게 말하면 권력에 아첨]하는 경향이 강했다.
         마니는 사푸르 1세로부터 제국 내에서 포교 허가를 얻게 된다. 마니교 문헌에서는 사푸르 1세로부터 3번에 걸친 초빙을 받고, 황제는 마니의 [[후광]]에 압도되어 존경하게 되었다고 하거나, 든 딸이 있고 마니가 의술로 완쾌시켰다는 이야기도 실려 있다. 다만 시대배경으로 보면 사푸르 1세는 이 무렵 여러 종교가 번창하던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통치하기 위하여 종교 관용 정책을 펼쳤던 것으로 보이며, 니시비스의 유대교 공동체의 지도자 사무엘을 불러들여 알현을 허락했다는 일화도 있는 것으로 보아 마니는 단순히 포교 허가를 얻었을 뿐. 특권적인 지위를 얻은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애초에 사푸르 1세는 조로아스터 교에 대한 신심이 깊었던 것으로 보이고.
         파티크, 앗다, 아브자카야는 로마 영토였던 시리아 지역으로 선교하게 된다. 이 무렵 제노비아 여왕의 지도 아래 [[팔미라 왕국]]이 독립하고 있었는데, 앗다는 마니가 전해준 "거대한 복음"이라는 저작을 바탕으로 하여 제노비아 여왕의 여동생에게 포교하는데 성공하였다. 아브자카야는 시리아 에데사 지역에서 포교에 성공하고, 마니는 시리아에서 기독교 사도를 이어받는 명성을 얻게 되었다. 앗다는 [[알렉산드리아]]에서 포교를 하며, 마니의 저작을 정리하여 기독교인을 대상으로 "모디우스"라는 저서를 출판한다. 그리고 이집트에도 마니교가 퍼지게 된다. 마니는 페르시아에 포로로 잡혀 있던 로마 사들에게 선교를 하였고, 이들이 귀환하면서 마니교는 로마 제국 동부로 널리 퍼져 나가게 된다. 또한 [[아라비아]]에도 마니교 선교가 행해졌다고 한다.
         >마니는 마술서를 도작하여 60세 까지 제자를 기른다. 페르시아 왕의 아들이 이 들자 마니는 을 치료하려 했으나 실패하여 체포되고, 옥중에서 기독교 서적을 읽으며 자신의 가르침이 기독교와 닮았다고 주장하며 성령을 사칭하여 사악한 교설을 기독교로 치장하였다. 마니는 옥졸을 매수하여 탈옥하고, 로마 제국 국경 지댂지 왔으나 주교 아르케라이와의 공개 토론을 하다가 자비와 자애로 가득찬 기독교의 올바른 가르침에 불명예스러운 패배를 당하고, 페르시아 왕에게 다시 체포되어 불명예스럽게 처형당하게 된다.
         명교의 신은 명사(明使)라고 불리며, 육불(肉佛), 골불(骨佛), 혈불(血佛) 같은 칭호가 있었다. 이남문집에서는 한나라의 [[장각]], 진나라(晋)의 손은(孫恩), 송나라의 방납(方臘) 같은 무리를 명교의 동료로 여기고 있다. 이들은 마술을 부려 꼭두각시를 싸우게 하고, 여자들은 요괴 같은 얼굴 화장을 하고 사들과 맞섯다고 한다.
  • 블랙 클로버/97화 . . . . 9회 일치
          * [[아스타(블랙 클로버)|아스타]]는 자신의 의식 속에서 블랙 클로버의 마도서에 깃든 반마법의 악마와 만난다.
          * 반마법의 악마는 아스타의 육신을 지배하려고 하지만 아스타는 자아를 빼앗기지 않고 흘러넘치는 반마법의 힘을 제어한다.
          * 아스타는 아무 것도 없는 무의 공간에 던져져 있다. 그것은 자신의 정신세계 같은 것이지만 아스타는 이 위도 아래도 없는 공간에 당황해서 자신이 죽은게 아닌가 의심한다. 아직 시스터와 결혼도 못했고 [[유노(블랙 클로버)|유노]]와 약속을 지키지도 못했다고 허둥대는데, 그때 거대한 그림자와 같은 악마의 형상이 나타난다. 당황한 아스타는 해괴한 비명을 지르며 누구냐고 묻는다.
          악마는 자신은 언제나 "가장 가까운 곳"에 있었다고 대답하는데 아스타는 절대로 모르는 녀석이라고 대꾸한다.
          악마는 그렇게 말하며 아스타에게 손을 뻗는다. 아스타는 당연히 거부하지만 자신에게 맡겨두면 "저 인간"도 이길 수 있다며 유혹한다. 하지만 아스타는 자신의 힘으로 이기겠다며 거절하고 악마의 팔목에 달라붙는다. 악마는 아스타같이 작은 놈은 이길 수 없다고 빈정거린다.
          * 아스타는 악마의 팔을 타고 달리기 시작한다. 악마는 그 "올라갈 곳"같은 것 없냐고 비웃으며 "인정해라"고 말하는데, 그런 말로는 아스타의 발을 멈출 수 없다. 아스타는 달려나가며 외친다.
  • 서울특별시/인물 . . . . 9회 일치
         * [[김태(강사)|김태]] - 성북구
         * [[김관(A.C.E)|김관]] - 용산구
         * [[민헌]] - 강서구(서울)
         * [[송철(코미디언)|송철]] - 마포구
         * [[이훈(야구)|이훈]] - 영등포구
  • 은혼/615화 . . . . 9회 일치
          * 주민들은 각기 특기를 살린 함정과 전술로 해방군 사들을 유린하며 선전한다.
          * 그때 [[무라타 테츠코]]가 자신이 수비하는 문에서 부른다. 신파치는 살았다고 생각해서 그쪽으로 접근, 테츠코는 서둘러 문을 열어주려고 한다. '''지옥의 문(헬즈 도어)을 말이다.''' 테츠코가 지키는 문은 적을 지옥으로 보내주는 문으로 못 쓰는 칼로 만들었다. 작동시키자 문 사이사이로 날붙이들이 날아가 적을 꼬챙이 신세로 만든다. 신파치는 왜 이런 위험한 입구로 부르냐고, 안 들여보내주냐고 투덜대지만 "지옥의 문은 한 번 들어오면 다시는 못 나가는 입구이며 입구가 아닌 기"라는 핀트가 빗나간 답변이 돌아온다. 테츠코는 대신 다른 입구가 있다며 저쪽으로 가보라고 하는데. '''천국의 입구 말이다.''' 신파치가 발을 내딛자 바닥이 내려앉으며 창이 번쩍거린다. 결국 적을 천국으로 보내는 입구이지만 입구가 아닌 기.
          결국 이곳도 다른 세상으로 가는 입구에 지나지 않았다. 아들이 인질로 잡힌 긴토키는 전쟁통인 것도 적들이 뒤통수를 노리고 있는 것도 잊고 문 앞에서 애걸복걸한다. 긴토키가 아들과 함게 지옥의 입구로 가려는 찰나, 문틈으로 누군가의 손이 뻗어나와 적 사의 아들래미를 부여잡는다.
          [[사이고 토쿠모리]]의 자비없는 징수. 순식간에 아들을 잃어버린 사들. 긴토키와 같은 신세가 되어 사이좋게 누워버린다.
          * 이번엔 가구라가 입구를 발견했다고 큰소리로 외친다. 하지만 그 소리를 듣고 긴토키와 신파치가 가기도 전에 해방군 사들이 우르르 몰려간다. 두 사람이 뒤따라 가봤더니 그곳엔
          [[혼죠 쿄시로]]와 타카마가하라의 호스트들에게 둘러쌓여 있다. 호스트 클럽 모드가 된 가구라의 범접할 수 없는 위엄에 해방군도 주춤거린다. 가구라는 "위험한 물건"을 가져가는 대가로 오로나민C를 한 씩 돌리는데.
          >주민놈들이 지키는 마을이라고 방심한 건가. 확실히 총이 없으면 싸우지도 못하는 사들보다는 기골이 있어 보이는군.
         오우가이가 가부키쵸로 들어가는 문을 연다. 가부키쵸 주민들도 백전을 준비해야 할 듯. 한편 오우가이는 가부키쵸 측 다키니인 [[헤도로]]가 상대한다는 예측이 지배적.
  • 은혼/625화 . . . . 9회 일치
          대로로 돌아오자 참담한 풍경이 그를 기다리고 있다. 전장을 고향으로 삼고 있던 다키니의 용부대가 얕보던 한낱 지구인들에게 쫓겨 대열도 없이 도망치고 있었다. [[야규 빈보쿠사이]]와 [[토죠 아유무]]가 선봉에 서고 있다.
          * 또다른 3대 용부족의 일각 [[신라(은혼)|신라]] 부대 또한 급히 퇴각하고 있다. 건물 위로 뛰어다니던 부대가 호각을 불자 산발적인 퇴각이 시작된다. 지휘관 [[소타츠]]는 [[사카타 긴토키]]의 일격으로 패배, 의식을 잃었다. 집단전술을 자랑하는 신라도 지휘관이 부재하면 오합지졸일 뿐이다. 백화와 [[코제니가타 헤이지]] 등과 싸우던 신라는 뒤도 돌아보지 않고 퇴각을 개시한다.
          [[츠쿠요]]는 백화를 이끌고 이들을 추격, 섬멸한다. 오우가이의 눈 앞으로 신라 사의 시체가 떨어진다.
          * 그때 입구를 휘저어 놓으며 나타나는 긴토키와 [[가구라]], [[시무라 신파치]]. 이들이 마을에 진입했던 전위 부대를 뒤흔들며 쫓아내는 모습에 사이고와 대치하던 해방군 본대도 동요하기 시작한다. 게다가 이들은 각기 3대 용 부족으로 유명한 다키니와 신라 부대. 이들이 정신없이 후퇴하는 모습은 해방군에 파문을 일으킨다. 긴토키의 말처럼 "공포는 전염"되는 것이다. 이 뿐만 아니라 서문에서 빈보쿠사이가, 남문에서 지로쵸가 날뛰며 적들을 밀어내기 시작하자 동요는 더욱 커진다.
          * 긴토키는 선봉에서 적진을 누비며 더 기세 좋게, 더 난폭하게 날뛰라고 동료들을 부추긴다. 어차피 지면 멸망 밖에 당하지 않으니 뒷일은 생각하지 말고 질러버리라며 마구잡이로 적들을 도륙한다. 그러자 도박이 먹혀들어간다. 3대 용부족 조차 적이 되지 못했다면 자기들이 어떻게 상대하겠냐며, 해방군 사들이 등을 보인 채 도망친다. 그렇게 하나둘 무너지기 시작하자 전체의 붕괴는 빠르게 시작되었다. 신파치는 이대로 전부 무너져 버리기를 비는데.
          후퇴하던 해방군 사들을 손수 짓뭉개 버린 오우가이. 그의 등장으로 사들의 동요가 방향을 틀었다. 그들에겐 역시 가부키쵸 주민들 보다는 오우가이가 더 큰 두려움이었고, 무너져가던 전의도 오우가이의 엄포에 떠밀려 다시 고개를 들었다.
          그런데 그의 철괴가 때린 곳에는, 곤죽이 되어버려야할 사가 아무렇지 않게 죄송하단 말을 떠들고 있다. 그는 바닥에서 피어난 작은 꽃이 짓밟혀있는 것을 들여다 보고 있다. 마치 오우가이의 공격 따위는 느껴지지도 않는 듯.
  • 은혼/626화 . . . . 9회 일치
          * 오우가이는 전력을 동원해 헤도로를 헤치우려 하지만 헤도로의 강함은 그런 정도가 아니었고 오우가이는 한 방에 나가떨어진다.
          * 대군 한 가운데 나타난 기이한 [[다키니]]족 사나이. 이곳에서 벌어지는 전쟁 보다는 짓밟힌 꽃 한 송이를 신경쓰는 그는 [[오우가이]]가 기억하는 "신의 뿔"이 틀림없었다. 그의 머리 위에 피어있는 꽃은 혹성 코하쿠의 기생종 식물 "파라파헤븐". 숙주의 뇌에 뿌리를 내리며 머릿속을 꽃밭으로 만들어버린다는 무서운 식물이다. 신의 뿔은 오우가이와 함께 "뿔의 단"이란 용단을 이끌며 무수히 많은 행성을 침략했으나 이 기생종에 당하면서 딴 사람처럼 되어 버렸다.
          오우가이의 철괴가 헤도로를 내려치며 커다란 굉음과 흙먼지가 휘날린다. 지금껏 무수한 력을 고깃덩어리로 만들었던 철괴. 하지만 헤도로는 머리를 정통으로 맞고도 아무렇지 않게 일어선다. 그리고 흙먼지가 걷히는 순간. 오우가이의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그가 휘두르던 철괴에 오른손만 남겨둔채, 어디론가 사라져버렸다. 헤도로의 "꿀밤" 한 방이 그를 팔 한짝만 남겨놓고 날려버린 것이다. 오우가이는 고층빌딩 위로 날아가 박혔고 남아있던 마지막 뿔까지 부러지고 만다.
          * 헤도로는 가까이 있던 력들부터 "꿀밤"을 먹이기 시작한다. 사들이 공처럼 날아다니는 진귀한 장면. 해방군을 추스리던 마지막 끈이 끊어지자 아비규환의 지옥도가 펼쳐진다. 겁에 질려 도망치는 력들을 보녀 [[시무라 신파치]]는 헤도로의 위력과 무서움을 동시에 찬양한다.
          헤도로의 무서움은 가부키쵸 주민들까지 겁에 질리게 만들었다. 그 중에서도 긴토키는 제일 앞장 서서 도망치고 있다. 긴토키는 해방군을 쫓아내고 헤도로 머리의 꽃이 시들면 마왕재림이 아니냐고 소리친다. 이 최종장은 저믚의 고질인 파워 인플레이션의 서장. 여기에 질려버린 긴토키는 [[소년 선데이]]로 가버릴 거라며 하염없이 달린다.
          음양사들이 지옥의 식신들을 불러내 긴토키와 가부키쵸 주민들을 압박한다. 등을 보이고 달아나던 가부키쵸 력들은 다시금 식신에 떠밀려 해방군 쪽을 향해 달려가기 시작한다.
          * 숫적 우위는 변함없는 해방군 쪽에는 아직도 싸우고자 하는 자들이 남아있었다. 이들은 어떻게든 전선을 유지하려고 하지만 곧 지구측에서 엄청난 수의 원군이 도착하는 걸 보고 마지막 저항의사를 꺾고 만다. 이것들은 모두 환혹의 술이 보여주는 환상이지만 그걸 알리 없는 해방군은 최후의 보루였던 숫적 열세까지 뒤집혔다고 보고 완전히 와해, 력들이 썰물처럼 빠져나간다.
  • 은혼/646화 . . . . 9회 일치
          * 때에 맞춰 [[한카이]]가 히노카구츠치의 파괴를 알려오자 다케치는 모선 내부에 잔존한 력을 모아 모선을 지구에 처박고 도주하려는 해방군의 뒤를 잡는다.
          * 력들을 끌어 모으는 과정에서 다케치는 [[키지마 마타코]]를 구조, 사루가쿠는 빈사의 [[다카스기 신스케]]를 구조해 해방군과 최종 결전에 그를 참가시킨다.
          * 신스케의 재등장으로 전세는 단번에 역전. 도주하려던 [[엔쇼]]와 해방군 잔당은 사방에서 밀려드는 력에 고립된다.
          그러나 사루가쿠는 바보였다. 거대한 원수를 상대로 어떻게 해야 그 약속을 지킬 수 있을지, 동료의 원수를 갚아줄 수 있을지 궁리할 수가 없었다. 동료의 빚을 갚는건 해적들만의 자존심은 아닐 것이다. 귀대도 비싼 희생을 치르지 않았던가. [[카와카미 반사이]]라는 희생. 그래서 다케치가 죽어선 안 되는 것이다. 사루가쿠는 자신과 부하들을 써 승리할 방법을 찾아달라고 다케치에게 부탁했다.
          * 통로 저편에서 또다시 굉음이 울렸다. 그 정체는 통신기를 통해 [[한카이]]가 알렸다. 히노카구츠치의 파괴. 드디어 이루어졌다. 하지만 희소식 만은 아니다. 히노카구츠치 파괴는 완전하지 못했고 적의 다음 행동은 계속된다. 다케치의 책략이 필요했다. 그리고 그는 필요할 때 할 일을 하는 남자다. 그는 선내에 남은 잔존력을 최대한 긁어 모으게 했다. 적은 틀림없이 아메노토리후네를 지구에 격돌시키고 자신들은 탈출하려 할 것. 그렇다면 결전의 장소는 이미 정해진 셈이다. 그는 사루가쿠에게 그 장소로 모두를 모아달라고 주문했다.
          * 쉬운 말이라도 실제로 구현하기는 어려운 법. 다케치의 말은 구상 자체도 쉬운 일이 아니었다. 폭발하고 무너져 가는 해방군 모선의 잔해 속에서 생존한 력을 모으고 다시 싸우게 하기란 불가능해 보였다. 한카이도 그것을 지적했다. 력이 얼마나 남았을지, 그리고 그들에게 싸울 기력이 있을지. 그러나 그들은 계속 나아갔다. 폭발에 삼켜지는 통로를 뚫고. 도저히 사람이 있을 것 같지 않은 곳도 샅샅이 뒤졌다. 그들은 곧 두 갈래로 나눠 각기 다른 곳을 찾아다녔다.
          * [[다카스기 신스케]]는 탈출을 목전에 두고 있던 해방군 잔당 위로 그늘을 드리웠다. 마타코와 다케치가 향하고 있는 그늘이었다. 사루가쿠의 구조를 받은 그는 곧바로 [[엔쇼]] 황자가 그 휘하 력을 요격하기 위해 매복을 감행했다. 엔쇼 황자가 [[가츠라 고타로]]와 [[사카모토 다츠마]]에 패해 쓰러지고 다카스기 일행은 최고의 타이밍에 해방군의 배후를 잡았다. 다카스기가 선두였다.
          사루가쿠는 자신이 선두에 세운 남자가 이해되지 않았다. 그저 거기에 서있는 것만으로 동료들의 기색이 바뀌는 것이 이해되지 않았다. 적들의 기색까지도. 이 피투성이 사내가 휘두르는 칼끝에 따라서 전장이 바뀌고 있었다. 아군 부대다 적들 위로 쏟아져내렸다. 통로를 통해 도크에 도착한 가츠라와 다츠마의 력들도 일제히 진격했다. 사루가쿠 자신도 그 뜻모를 열기에 휩쓸려 적들을 찍어내렸다.
  • 진격의 거인/81화 . . . . 9회 일치
         옥쇄를 각오한 조사단의 돌격.
          * 조사단과 돌격하던 엘빈은 가장 먼저 쓰러진다.
          * 단장이 쓰러져도 조사단은 돌격을 멈추지 않는다.
          * 짐승거인의 거듭되는 공격으로 조사단은 전멸하지만, 그는 연막이 주위를 감싸고 있는걸 뒤늦게 눈치챈다.
          * 연막 속의 거인들은 차례로 쓰러져있고 정신을 차렸을 땐 이미 리바이장의 사정거리다.
          * 누군가 생존한 사을 거인화 시켜 그 힘을 빼앗으려 하는 것이었다.
          * 놀랍게도 돌격한 조사단 중 한 사람이 살아남아 생존자를 찾고 있다.
          * 조사단은 전멸해버렸다. 설사 엘빈이나 리바이가 무사히 귀환해도 더이상 세력을 유지하기 어려울 것.
  • 킹덤/499화 . . . . 9회 일치
          * 조 서부 공략군으로 지칭된, 실제론 "업 공략"을 위한 연합군이 출한다. 수도의 사들은 함양이 떠나갈 듯이 성원을 보낸다. 꺼림직하게 여겨지던 산민족이나 환의군 조차 엄청나게 응원을 받는다. 비신대의 활형제를 비롯한 신들은 긴장으로 위축. 반대로 연을 비롯한 고참들은 자기들이 출세하긴 한 것 같다는 너스레를 떤다.
          * 그때 근처에서 [[창평군]]과 함께 [[왕전]]의 모습이 나타난다. 최고사령관이 모습을 드러내자 사들 사이에서 드높은 함성이 터져나온다. 그를 바라보던 벽은 하료초에게 그가 대장군을 맞는 것에 대해 어떻게 여기냐고 의견을 묻는다. 아무래도 벽은 그를 신뢰하지 못한다. 산양전에서 미끼로 쓰였던 전례도 있지만, 그 속 모를 눈빛은 아군 조차 불안하게 만든다는 이유였다.
          * 사들 앞에 모습을 드러낸 창평군과 왕전은 한가로워 보이지만 사실 엄청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그 자리엔 [[창문군]]을 비롯한 참모진이 전부 자리하고 있었는데, 창평군은 이들을 대포하는 입장이면서도 "업 공략이 전황 상 여의치 않으면 포기해도 좋다"는 발언을 한다. 업 공략이야 말로 작전의 진짜 목표이며 이것이 좌절되었을 땐 진나라의 명운도 좌절된다는 점을 생각하면 도저히 있을 수 없는 발언. 창문군은 그렇기 때문에 창평군의 발언에 내심 경악한다. 하지만 개억은 진짜 버리란 것이 아니라 그정도로 유연하게 대처할 것을 당부하는 것이며 그만큼 업공략이 무슨 일이 생길지 알 수 없는 전장이라 그렇다고 이해한다.
          * 출 행렬에 끼어 있는 비신데. 그런데 그들의 대장 [[이신]]은 행렬에서 빠져나와 누군가를 기다리고 있다. 그가 기다리고 있던 것은 바로 [[진시황(킹덤)|정]]. 그의 얼굴을 모르는 신들은 왠 귀족나부랭이가 치근덕댄다고 투덜대는데 고참들이 쥐어박으며 그가 바로 진나라의 왕, 대왕 정이라는 것을 알려준다. 대왕이 출 행렬 앞에 나타났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소란이 일어나는데 신은 태연하게 진정시키며 얼른 갈 길이나 가라고 재촉한다. 정은 신이 큰 작전을 앞두고도 별로 긴장한 기색이 없다고 놀란다.
          * 신은 그런 이야기보다는 "그걸" 가져왔냐고 묻는다. 아닌게 아니라 정의 뒤를 따라 거구의 사가 "어떤 창"을 힘겹게 옮기고 있다. 그 창이 나타나자 [[강외]]를 비롯한 비신대의 고참들이 분위기가 바뀐다. 신은 제법 힘겹게 창을 건내 받으며 가까스로 한 번 휘둘러 보인다.
  • 킹덤/511화 . . . . 9회 일치
          * 그의 말대로 왕전은 부하들에게 조차 알리지 않고 성을 빠져나왔다. 소수의 호위력만 대동한 그는 이목이 말하는 "그것"을 보러 향하고 있다.
          * 그로부터 이틀이 지났다. 왕전의 실종은 군 수뇌부만 아는 극비로 처리됐고 일선 사들은 짐작도 못하고 있었다. 그들은 갑작스런 이틀의 휴식이 다음 진격을 위한 거라고만 생각했다.
          만일 함곡관처럼 난공불락의 요새였다면, 반대로 조나라로서는 업의 코 앞에 적의 전진기지가 생긴 꼴이다. 하지만 쉽게 빼앗겨도 쉽게 되찾을 수 있게 만든다면 이런 상황을 만들 수 있다. 적이 열미를 뚫고 왕도에 진입했을 때 조는 그 력에 대응하는 한편 미리 태행산맥에 잠복시킨 력을 운용해 열미성을 급습, 열미를 탈환함과 동시에 적이 후퇴할 "출구"를 차단해 버린다. 이것만으로도 적 력은 포위섬멸되는 형태가 되고 마는 것이다.
          몽념이 그 이야기를 받아서 모든 사람들에게 이야기한다. 왕전이 없는 지금 이야기하는건 부적절하지만, 진군에겐 세 가지 선택지가 있다. 첫째는 예정보다 많은 력을 열미에 남긴 채로 왕도권에 진입하는 방법이다. 약하더라도 성은 성이니 충분한 력이 있다면 수비하는 것도 불가능하진 않다. 하지만 그만큼 왕도권 진입에는 력 수가 적어지고 그 력만 가지고 업을 공략할 수 있을지는 알 수 없다. 사실 그런게 가능하다면 처음부터 합종군 같은건 필요도 없었을 테니 사실상 불가능한 걸로 봐야한다.
  • 킹덤/512화 . . . . 9회 일치
          * 그건 상식적이지도 않고 도저히 말도 안 되는 일이다. 이곳은 조 왕도권의 가장 깊숙한 곳. 이쪽은 적의 눈을 피하기 위해 소대력 밖에 갖추지 않았다. 가뜩이나 삼언한 적의 경계속에서 느긋하게 군략을 짠다? 이러다 발각이라도 되는 날엔 끝장이다.
          아니나 다를까 적의 경계력이 나타난다. 수풀 속에 수상하게 늘어서 있는 이들을 그냥 지나칠리 없다. 하지만 왕전이 눈에는 동요가 보이지 않는다. 아광이 바람같은 솜씨로 경비들의 목을 날린다.
          * 경비 둘은 순식간에 치웠지만 위기가 끝난건 아니다. 소란을 감지한 경계부대가 이쪽으로 오고있다. 부하들은 서둘러 철수할 채비를 하려고 하나 왕전은 가만히 아광을 부른다. 아광은 곧 접근하는 부대가 자신들의 배는 됨직하다고 보고한다. 잠시 생각하던 왕전은 "괜찮겠나?"라고 한 마디만 던진다.
          >모든 량을 챙겨 전국 출진한다.
          이신, [[하료초]], 왕전, 몽념은 자신들의 예측을 뛰넘는 결정이 나오자 입을 다물지 못한다. 그리고 이 연합군이 꾸려진 이래 최초로 모든 장교, 모든 사에게 진정한 목표 "업 공략"이 명시되는 순간이다. 열미에 주둔하던 진군은 전력이 열미를 지나 조의 왕도권으로, 업으로 진격한다.
          * 이목은 방금 전의 첩보가 진짜라면 조와 진, 양국의 명운이 걸린 전쟁이 시작된 거라고 말한다. 이미 확인했듯 진의 목표는 업이다. 여기에 떨어진다면 왕도 한단의 목전까지 진의 칼날이 들어온다. 조나라는 진에 의해 분단되어 멸망의 위기에 처한다. 하지만 반대로 진 연합군이 실패한다면. 업을 함락하지 못하고 궤멸한다면 진은 20만 력과 대장군 왕전, 환의, 양단화에 유능한 장군과 참모들을 일거에 잃는다.
          [[카이네]]는 무도하게까지 들렸던 [[진시황(킹덤)|진왕 정]]의 선언을 떠올렸다. 진이 무력으로 6국을 멸하고 중화를 통일하겠다던 선언. 이목은 이 전쟁의 결말은 틀림없이 후자가 될 거라 장담한다. 그는 급히 왕도권의 각 력들에게 지령을 하달하며 진군에 대한 포위섬멸 작전에 돌입한다.
  • 토리코/394화 . . . . 9회 일치
         * 블루 니트로 페어도 이 생물에 대해 알고 있어서 이름과 내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고대 미식가들 사이에선 매우 유명했던 식재로 맛만을 놓고 보면 미식세계를 평정할 만한 식재. 네오의 안에서 맛이 더욱 숙성되고 있었던 것이다. 청귀는 블루 유니버스의 식재가 아닌 탓인지 전혀 관심을 주지 않는데 제 3의 악마는 유심히 쳐다보더니 "저 식재가 토리코의 여정의 마침표가 되진 않을 것 같다"고 평한다.
         청귀와 제 3의 악마는 결국 정체가 드러나지 않은 채 끝나게 됐으며 특히 제 3의 악마에 대해선 정확한 명칭 조차도 밝혀진게 없다. 팬덤에서는 최초에 "흑귀"라 불렀으나 "백귀"로 명칭이 바뀌었고 구현화됐을 때 몸체가 흰색으로 보여서 대체로 백귀란 명칭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하지만 이 세 번째 악마가 어떻게 네오를 흡수할 수 있었는지, 어디서 온 존재인지 전혀 설명되지 않고 있다.
         왜 토리코만 세 마리의 악마가 들어있었는지도 설명 되지 않았다. 사실 구르메 악마에 대한 떡밥은 거의 해결된게 없는데 사천왕들 조차 토리코의 적귀 외엔 제대로 각성한 악마가 없고 특히 코마츠의 경우는 구르메 세포가 활성화된 걸로 묘사됐지만 결국 지나가는 떡밥에 지나지 않았다.
         네오의 검은 세포에 대한 떡밥, 세 번째 악마의 정체에 대한 떡밥, 그리고 이번 주 세번째 악마가 "토리코의 여정은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는 맥락으로 한 발언 때문에 다음주 완결은 훼이크고 잡지를 옮기거나 하는 식으로 3부 연재로 가는게 아니냐는 설도 있다.
  • . . . . 8회 일치
         = 질 =
         현대인이 보편적으로 가장 두려워하는 질. 치료가 매우 고통스럽고, 재발율도 높은 난치이다.
         위의 3 종류가 가장 흔히 보여지는 암질환이지만, 암이란 것이 인체의 세포가 '미쳐서' 발하는 것이니만큼 인체의 어느 부위에서든 발할 수 있다.
         암은 사실상 다세포 동물과 함께 시작된 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심지어는 히드라와 같은 원시적인 다세포 동물조차도 암과 유사한 질을 앓는 경우가 있다.
         [[분류:동음이의어]] [[분류:질]]
  • 원피스/854화 . . . . 8회 일치
          * [[샬롯 몬도르]]는 오페라의 증언을 의심해서 독자적으로 순찰 력을 차출한다.
          * 보빈은 쓰러지면서 그가 어째서 방에 있지 않은 거냐고 중얼거리고, 경비들이 몰려오자 상디는 자신이 뭘하는지 몰라하며 그 자리를 황급히 뜬다.
          * 빅맘 해적단의 간부들은 상디가 방에서 나오지 않도록 감시하고 있다. 체스사가 방 안을 확인해보는데 누군가 침대에 누워서 자고 있다. 사는 별 의심없이 "상디가 방에서 자고 있다"고 보고하는데, 사실 그는 상디가 아니라 방을 감시하던 감시이었다.
          침입자들은 이렇게 정리됐다 치고 상디와 빈스모크 일가도 문제가 없다는걸 확인하자 몬도르는 모든 방해꾼이 사라졌고 결혼식 준비만 무사히 마치면 된다고 선언한다. 그러나 역시 오페라를 신용할 수가 없어서 따로 력을 차출해 일대를 감시하게 한다.
          * 소란이 일어나자 경비들이 몰려온다. 보빈도 정신을 잃지 않고 어째서 방에 있어야할 상디가 어디에 있는 거냐고 중얼거린다. 상황이 이상하게 돼버리자 상디는 또한번 "내가 뭘하고 있는 거지"라 되뇌인다. 그리고 경비들이 들이닥치기 전에, 도시락을 챙겨서 자리를 뜬다.
  • 원피스/875화 . . . . 8회 일치
          * 추격대 력이 마침내 일행을 따라잡아 밀집모자 일당을 분산시키려 하나 징베가 일행이 함부러 흩어지지 않게 단속하며 계속 도망친다.
          * 페르스페로는 쵸파와 브룩에게 그대로 달아나면 눈감아 주겠다고 제안하나 둘은 써니호를 탈환하기 위해 페로스페로 력과 일전을 각오한다.
          * 써니호가 정박한 남서쪽 해안. 마지막 관문인 유혹의 숲. 루피 일행은 간신히 여기까지 도착했지만 빅맘 [[샬롯 링링]]의 추격을 쉽게 떨쳐낼 수 없었다. 이미 그들의 탈것(?)이었던 킹 밤이 당했다. 먹부림에 눈이 뒤집힌 빅맘은 유혹의 숲이 불타는 것도 아랑곳 없이 무차별 파괴행위를 거듭하며 루피 일행을 압박했다. 루피가 이 먹부림 상태에 대해서 궁금해하자 [[징베]]가 답을 줬다. 그는 그게 일종의 지이나 다름 없다고 말했다. 먹고 싶은 걸 실컷 먹기 전까진 모든 걸 파괴하는 . 원인은 "웨딩 케이크"일 것이다. [[나미(원피스)|나미]]가 새삼 "케이크를 부순 루피 탓이다"고 원망했지만 루피는 그 덕에 작전이 잘 풀리지 않았냐고 대꾸하는 데다, 실은 자신은 케이크를 맛 봤다. 도망치는 중인데도 그렇게 맛있는 케이크는 흔치 않을 거라고 감상까지 남겼다. 정작 그토록 원하던 빅맘은 입에 대보지도 못했건만. [[상디]]가 작정 와중에도 먹은 거냐고 한심하다는 듯이 질책하자 [[캐럿(원피스)|캐럿]]도 "사실 나도 먹었다"며 슬쩍 고백했다. 아무튼 그런 걸 따지고 있을 때가 아니다. 뒤에는 미쳐버린 빅맘. 앞에는 방해꾼인 유혹의 숲인 호미즈들. 써니호는 멀지 않은 위치였지만 제때 이 숲을 돌파할 수 있을지, 제대로된 방향으로 가는지는 알 수 없었다.
          * 프로메테우스를 쓰러뜨린 걸로 안심하기는 이르다. 빅맘이 지나쳐왔던 추격대 력이 그녀를 따라잡았다. 그들이 빅맘을 추월해 일행의 후미로 쇄도해왔다. 그 중 호박머리가 다린 허수아비가 긴 몸채를 뻗으며 공격했다. 그가 노리는 것은 페드로. 페드로가 공격을 받아내는 동안 다른 력들도 전개했다. 그 중 연기로 만든 산양 같은 것이 벽을 타고 달려왔다. 징베 바로 뒤로 달리던 캐럿은 자기 앞으로 끼어드는 녀석에게 선공을 날렸으나 막히고 만다.
          * 제우스가 크리마텍트를 빨대처럼 빨아먹은게 그때였다. 나미가 거절할 틈도 없었다. 제우스는 원액을 빨아먹은 셈인데 그 여파인지 녀석의 덩치가 삽시간에 불어났다. 숲의 상공을 가득 채울 정도로 커다래진 제우스. 몸체가 검고 방전이 흘러나오는 초거대 뇌운으로 성장해 버렸다. 나미는 녀석의 모습을 보고 발걸음을 멈출 정도로 놀랐다. 상디가 잽싸게 그녀를 붙들고 뛰었다. 적이 코 앞이라면서. 그 말대로 빅맘과 합세한 추격대의 대력이 물딜 듯이 들이닥치고 있었다. 하지만 나미는 불현듯 떠오른 좋은 아이디어 때문에 신경쓸 겨를이 없었다.지금 제우스 안에는 크리마텍트로 뿌린 웨더 에그가 가득 차있다. 나미는 일행에게 적과 최대한 거리를 벌리라고 말하고 자신은 크리마텍트를 치켜든다. 좋은 아이디어는 바로 써먹을 수 있는 아이디어였다. 굳이 제우스를 복종시키지 않아도 써먹을 수 있는 아이디어. 적당한 거리가 되자 나미가 크리마텍트를 내리쳤다.
          그 자리에는 빅맘 해적단만 있는게 아니었다. 잠수정으로 일행을 앞질러온 브룩과 쵸파도 그 광경을 보았다. 잠수정 위로 올라와 있었다. 사실 그들은 써니호 앞에서 부상했다가 매복한 페로스페로 일당과 딱 마주쳤던 참이었다. 그런 순간에 유혹의 숲에서 일어난 이변. 둘은 숲에 있을 일행을 걱정했다. 빅맘이 한 짓이기 아니긴 했지만 워낙 어마어마한 범위의 벼락이라 과연 일행이 무사했을지 알 수 없는 일이다. 페로스페로는 아예 그들이 들으란 듯이 "일행이 죽은 모야이다"고 빈정거렸다. 그리고 둘에게 이제 어쩔 테냐고 물었다. 혹시라도 그들이 배를 탈취하게 되더라도, 그 배에 태울 일행은 이제 없다. 페로스페로는 큰 자비라도 베푸는 것처럼 지금 그 잠수정으로 달아난다면 둘은 봐주겠다고 말했다. 그의 휘하의 체스사들은 활로 브룩과 쵸파를 겨누고 명령이 떨어지기만을 기다리고 있었다.
  • 은혼/617화 . . . . 8회 일치
          * 건물 안의 사정을 모르는 스마일의 아가씨들과 [[료우(은혼)|료우]]는 덩그러니 떨어진 다키니 사의 목을 보고 어찌할 바를 모른다. 그때 건물 외벽이 붕괴하기 시작한다.
          * [[야규 큐베]]가 다키니 사를 베면서 건물을 뚫고 나온다. 큐베는 지면에 내리 꽂아 마무리를 짓는다. 그 뒤로 쓰레기 더미 위로 [[시무라 타에]]도 무사히 착지.
          * 일행의 앞을 가로막는 사들. 하지만 [[야규 빈보쿠사이]]가 이들을 순식간에 베어버린다.
          * [[사이고 토쿠모리]]는 여전히 분전 중. 이들이 생각보다 잘 버티자 해방군은 력을 분산시켜 가부키쵸의 모든 문을 공격하기로 한다. 이렇게 되면 력이 열세인 가부키쵸 방위군도 력을 나눠야 하므로 방어벽이 얇아지는 것이다. 수에 의존한 전략이지만 현시점에선 가장 확실하고 치명적인 전략.
          * 그때 하늘을 가득 덮는 화살비가 쏟아진다. 어디선가 사무라이들이 쏟아져 나와서 해방군 력을 공격한다. 이들은 야규 가문의 가신들을 포함한 의용들이다. 하수도를 이용해 마을의 안팎에서 나타나 해방군을 막아낸다.
  • 은혼/622화 . . . . 8회 일치
          * 지로쵸의 검 앞에 신라의 력이 순식간에 쓸려나가고 소타츠가 단독으로 지로쵸와 맞선다.
          흙탕쥐파의 [[쿠로고마 카츠오]]는 보스가 복귀한 기념인지 앞장서서 신라들을 쳐나간다. 야쿠자들과 주민들이 합세한 력이 신라 력에 대대적으로 반격한다.
          그때 지로쵸의 등뒤를 노리고 신라이 접근하지만 긴토키가 베어버리고 지로쵸의 등뒤를 지킨다.
          이미 두 사람은 한 번 신라의 대을 상대로 무쌍을 펼친 바가 있다.
          * 소타츠는 이들이 과거 가부키쵸 사천왕이자 [[하루사메]]의 일원이었던 [[카다]]를 처치한 장본인이라는걸 깨닫는다. 그렇잖아도 일족의 복수를 하고 싶었다며 력들을 더 불러낸다. 지로쵸는 자신이 처리하려 하지만 이번엔 피라코가 자신의 상대라며 나선다. 자신은 이 마을과 해결사에게 많은 은혜를 받았지만 그걸 전혀 갚지 못했으며 그대로는 지로쵸의 딸도 해결사의 막내도 되지 못한다며 "모두가 선물해준 이 이름을 걸고 의리를 관철해 보이겠다"고 선언한다.
          * 신라의 력들이 사방에서 쇄도하지만 지로쵸는 미소를 지으며 싸움판으로 달려나간다.
  • 은혼/645화 . . . . 8회 일치
          * [[다카스기 신스케]]의 투지가 히노카구츠치의 중추 시스템을 파괴했다. 그때문에 시스템 룸 전체가 역류한 에너지에 휩쓸린다. [[키지마 마타코]]는 간신히 눈을 뜨고 나서야 자신의 생존을 확인했다. 그렇다고 해도 부러진 철근에 매달린 위태로운 목숨이었다. 시스템 룸을 가득채웠던 해방군 방위력의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끝까지 쫓아왔던 신스케의 모습도 보이지 않는다. 이제 [[귀대]]의 역할은 끝난 걸까?
          * 초연의 황자 [[엔쇼]]는 다 끝장난 것 같았던 해방군의 전세를 회복시킨다. 뿐만 아니라 양이지사들의 두 축 [[사카모토 다츠마]]와 [[가츠라 고타로]]에 역공을 가해 [[무츠(은혼)|무츠]]와 [[엘리자베스(은혼)|엘리자베스]]라는 두 동료를 희생시킨다. 력은 대부분 소실, 히노카구츠치 발사 저지, 해방군 모선 아메노토리후네는 침몰 중, 자신은 양이지사들에게 포위된 상황에서도 그의 안에서 타들어가는 불은 조금도 누그러들지 않았다. 오히려 그는 양이지사들이 치른 희생이야 말로 무의미하다고 평가절하했다.
          * 엔쇼는 소수의 력을 이끌고 통제실을 빠져나간다. 이미 자신의 계획을 실행할 준비는 끝났다. 그는 자작이 듣고 싶어하는 대답은 아니었지만 적어도 자신의 입장은 밝혔다. 그리고 남겨질 양이지사들에겐 선심도 썼다.
          불이란 불로 끌 수 없는 법. 엔쇼가 지른 불이 그들 가슴 속의 불을 끌 수는 없다.
          * 승부가 났다. 엔쇼는 가츠라의 공격으로 복도 반대편까지 나가떨어졌다. 게이트를 화려하게 박살내며 떨어진 곳은 탈출용 소형정이 대비 중인 도크였다. 엔쇼를 지나쳐갔던 력들은 엔쇼가 패하고 가츠라, 다츠마가 추격해오자 경악한다. 력들은 둘이 다가오는 복도를 향해 총구를 모았다. 그들이 오게 두어서는 안 된다. 탈출을 저지 당하면 자신들도 이 배와 함께 침몰하게 될 것이다. 그런데 그들이 탈출하려는 배 위에서, 예상치 못했던 단이 나타난다. 마타코가 막 구조되고 있던 시점이었다.
  • 일곱개의 대죄/226화 . . . . 8회 일치
          * 나머지 일행은 "원반혼의 법"으로 만들어진 해골과 싸우게 되나 허약한 몬스터라 전혀 상대가 되지 못한다.
          * 메라스큐라는 멜리오다스를 "암담의 고치"에 가두는데 이것은 해골과 연결되어 멜리오다스가 분노할 수록 그 힘이 해골들에게 부여되는 술법이다.
          * 메라스큐라는 멜리오다스를 도발해 보다 강력한 해골으로 일곱 개의 대죄 일행을 위협한다.
          * 일어난 해골들이 대죄 일행을 공격한다. 그러나 단순한 해골일 뿐이라서 지금의 일행에겐 아무 위협도 되지 않았다. 반이 맨 처음 덤벼든 녀석을 깨부수며 딸리 차원의 뒤틀림을 처리하고 단장을 구하러 가자고 목청을 높였다. 단원들은 아무런 어려움도 없이 해골들을 분쇄했다. 그 약해 빠진 호크 조차도 필살 "초지조 스트라이크"라는 필살기로 때려부술 수 있는 수준이었다.
          * 귀찮게 몰려드는 적들을 쓰러뜨리던 대죄 일행. 해골의 머리통을 후려친 반이 이상함을 느낀다. 이제 부서지지 않는다. 심지어 반격의 제법 매섭다. 다른 일행도 느낄 수 있었다. 해골들이 강화되고 있다. 이제는 통상적인 공격에 상처를 입지 않는다. 멀린은 이들의 공격, 방어, 대마법 능력이 눈에 띄게 올라가는 걸 확인했다.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걸까? 이것이 메라스큐라가 던진 수수깨끼의 답이었다.
          사령강화의 법 "수라의 원습". 메라스큐라의 말대로 그가 암담의 고치 속에서 뿜어낸 분노가 해골의 힘으로 바뀌고 있다.
  • 창작:티겔 왕국 . . . . 8회 일치
         과거, 현재 티겔의 강역은 거의 다 숲이었으며, 거기에 스스로를 '사냥꾼'이라 부르는[* 현재도 존재하며 티겔의 영토의 25%를 차지하는 미개척지에 알박으면서 살고 있다. 보통 티겔에서 용으로 일하고 있다.] 자들이 존재했다. 이들은 수많은 분파로 나뉘어져 있었는데, 그들 분파중 가장 세가 컸던 무리의 족장의 장남이었던 '달구'란 자가 자기를 따르는 자들을 이끌고 [* 그과정에서 자기를 막으려던 자기 무리들을 싹다 죽이고 떠났다. 다만, 후술하겠지만 전부 죽이지는 못했다.]북쪽으로 올라가서[* 가는 와중에 지금의 메말사막 일대에 존재했던 늑대족 마을들을 전부다 약탈해버리고 거기를 쑥대밭으로 만들어버렸다. 메말사막의 생성원인중 하나. 그것때문에 메말사막에 사는 늑대족 마적들은 호랑이족을 증오한다.] 중북부에 적당한 위치에 티겔이라는 도시를 세우고 거기서 자기가 왕노릇을 한게 시초.[* 이때부터 라이엘기스 대공국이 중북부를 통합하기전까지 유지됬던 때를 상티겔왕국이라 한다.]그렇지만 그의 통치는 오래되지 못했는데 10여년뒤, 그의 막내여동생인 '달순'이 그를 죽이고 자기가 직접 왕위에 올랐기 떄문. [* 이게 또 대단한게, 잠깐 행차를 나간사이 달순이 달구의 경호원 10여명을 혼자서 죽인뒤(....)살해했다. ~~리얼 소드마스터~~] 달순의 통치하에 상티겔왕국은 본격적으로 발전하는데, 그전까진 그냥 일개도시국가수준이던 상티겔왕국을 전제군주국가로 바꿔버렸다는 평을 받을정도이다. 그의 치세하에 상당한 량의 농지를 얻어내 이후 티겔이 본격적으로 중북부의 패자가 되는데 도움을 얻을 수 있었다. 달순여왕은 한편으론 음유시인들의 이야기로도 자주나오는데, 그녀의 모험을 모티브로 한 이야기만 십몇편은 될정도.
         그러나 상티겔 왕국은 달휴의 사후 점점 기울어져 갔는데, 우선 달휴가 죽고 그의 맏아들 '불운한' 달계가 즉위했으나, 그는 한달도 안되서 의문사하고(...) 그의 둘째 '천벌의' 달연이 왕위에 오른다.[* 호칭을 보면 알겠지만, 달계 암살의 유력 용의자이다.] 그러나 문제는 그가 왕위에 오르고 약 이틀도 안되어 그의 동생 달혜가 그를 암살하고(....) 또 왕위에 오르는데 그도 나흘이후 그의 제수의 명을 받은 암살자에게 죽을뻔 한다(...) 그에겐 다행히, 암기가 급소를 정말 아슬아슬하게 피하가서 살았고, 얼마 안돼 제수는 교수형, 그리고 그의 여동생은 가택연금을 시키는걸로 마무리시킨다. 달혜는 상티겔 왕국의 왕들중 최악의 왕중 하나로 평가받는데, 그전까지 충실한 우방이었던 하이엔 왕국을 괜히 외교적으로 도발해 적대관계로 가게 하고, 북쪽의 라이엘기스 대공국[* 레잉 왕국이 멸망하기전 마지막 왕의 동생(적자가 아닌 서자였다.)이 세운 국가.]에겐 지속적으로 력을 갈리면서(...) 국력을 낭비했으며, 그나마 우방이었던 츄프왕국과는 지속적으로 국경 분쟁이 벌어지는 상태인 불안한 동맹관계였다.[* 상티겔 왕국이 메롱한대도 츄프왕국이 굳이 티겔과의 관계를 끊지않은 이유는 북쪽의 숙적 크누고 공국과 그들을 지원하던 하이엔왕국 때문이었다. 즉, 크누고 공국을 제압하면 얼마든지 티겔과의 관계도 끊을 수 있었다는 애기.] 이렇게 외교적으로 불한한 상태에서 내정을 잘한 편도 아니었다. 지속적으로 사자족 토벌이라면서 상당한 량의 세금을 걷어갔고, 이는 지속적인 반란의 원인이 되었다.[* 사서에만 기록된 반란의 횟수는 약 20여회정도이다... 사서가 훼손되어서 기록되지 못한 반란까지 포함하면 이횟수이상일 가능성이 높다.] 결국 달계의 아들이었던[* 달계가 죽었을당시 아직 태어나지 못해 계승받지 못했다.] 달유가 귀족들에 도움을 받아 왕위를 찬탈하고 왕위에 오른다.
         달유는 상티겔 왕국의 멸망을 30년은 늦춘 왕으로 평가 받는데, 하이엔왕국 계승전쟁에 개입해 적자인 선왕의 손자를 왕위에 올려서 하이엔왕국과의 관계를 회복하고, 자신의 딸을 츄프왕에게 시집보내 동맹관계를 두텁게 하는데 성공했다. 이러한 외교적 성과는 지속적으로 북쪽 국경을 위협하던 라이엘기스 대공국쪽으로 안심하고 전력을 집중할 수 있게하는데 도움을 줬고, 최종적으로 나트렘 평원에서 벌어진 회전에서 라이엘기스 대공과 대공의 세아들을 모두 전사시키는 대승을 거둬, 라이엘기스대공국을 멸망시킬 수 있는 결정적인 기회를 얻어냈으나..... 기세를 몰아 라이엘기스로 공성을 곧장가는 도중에 으로 달유가 급사하면서 급히 력을 돌릴수 밖에 없었고, 이는 티겔 왕국이 마지막으로 라이엘기스대공국과 후신 레이먼 제국을 멸망시킬 수 있었던 기회로 평가받는다.
         달유의 급사이후 왕위에 오른 그의 아들 달윤은 아직 어려 섭정자리를 두고 다툼이 생기게 되었는데, [* 평범한 경우라면 그의 어머니가 섭정직을 맞는게 정상이었으나, 남편이 죽기전에 먼저 사 했다.] 우선 그의 새어머니였던 '에른 베트'를 중심으로 한 '북서부파'[* 레잉을 중심으로 모인 파벌로, 사자족이 많이 모여있는 지방을 지배하고 있었서 상당수가 이미 사자족의 문화를 받아들인 상황이었다. 사자족들과의 혼혈(후대의 라이거 일족)도 상당수 있음.]와 달제의 증손자이자 등퍼산맥 서쪽을 대부분 지배하고 있었으며 달유의 정변을 물심양면으로 도왔던 여쿨 공작 '달규'를 중심으로 한 '동부파'[* 단, 중심이 동부쪽 귀족들이란거지, 꼭 동부만 있던건 아니다. 실제로 라이엘기스와의 접경지대에 있었던 상당수의 귀족들은 라이엘기스를 싫어하는 만큼 사자족 역시 싫어했고, 그에따라 사자족을 학살하면서 거기에 호랑이족을 이주시키는짓도 서슴치 않은경우가 많다. 이러한 귀족들은 전부 동부파에 가담했다.]로 나뉘어 상당히 피튀기는 궁중 암투를 벌였다.[* 단적으로, 에른을 노린 암살사주만 해도 10여회정도 있었으며, 동부파쪽은 여쿨의 달규가 중간에 (아마도 에른이 사주한)암살자에게 암살당해 그의 아들이 우두머리를 맡기도 했다.] 이러한 궁중암투는 최종적으로 티겔의 사학자들이 '대내전'이라 부르는 내전으로 이어졌으며, 여기서 최종적으로 에른의 남동생 '용담공' 에른 보우드가 동부파의 본거지였던 여쿨을 함락시키면서 끝난다. 이 내전은 지금까지의 티겔에서 벌어진 내전중 가장 참혹한 전쟁으로 기록되며, 왕국의 인구중 절반이 이때 희생되었다. 이때 라이엘기스 대공국이 동부파에 가담했던 북부의 호랑이족 귀족들을 다수 굴복시키면서 다시한번 세를 키울 수 있었다. 그나마 이 내전의 의의가 있다면 북서부파가 권력을 잡으면서 티겔에도 레잉의 문화가 퍼졌다는것 정도? 이후 상티겔 왕국은 예전에 위세를 잃어버렸고, 하이엔 왕국과[* 그전까지 동맹관계였다만, '야심왕' 헤인켈이 동맹을 깨고 공격해 북동부쪽 땅을 상당수 빼앗아간 이후엔 적대관계로 돌아섰다.] 라이엘기스 대공국사이에 끼여 수많은 땅을 빼앗기는(...) 동네북이 되었다.
         이문제는 당장에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았으나, 레이먼 제국이 무력으로는 호랑이족을 복속시킬 수 없다는것을 깨닫고 마지막 왕 에르두른 2세의 조카 루이를 끌어들여 '태겡 대공국'을 만들면서 문제가 되기 시작했다. 그레두아는 북부파의 군소영주를 구워삶아 자신이 티겔을 공격할때 이들이 자신에게 협력한다는 다짐을 받아냈고[* 물론 보상으로 옛영토를 돌려주기로 합의했다.] 결국 츄프 왕국이 언제나처럼 남쪽의 대귀족들이 일으킨 반란에 고생해 티겔을 도와주기힘들때 공격해왔다. 레이먼으로부터 상당한 량의 군자금과 용대를 지원받은 태겡의 공세는 날카로웠고, 군소영주들의 협력까지 이루어져 순식간에 탈환한 영토의 3분의 2를 빼앗기기에 이른다. 그나마 섭정인 계형이 직접나서서 태겡과의 일전에서 태겡 력의 반을 한번에 분쇄시켰기에 공세를 막아내고 탈환지 영토의 반이나마 지킬 수 있었다. 그러나 태겡(그리고 그들의 주군인 레이먼 제국) 대공국과의 대립은 계속되었으며, 그들의 지원을 받은 군소영주들의 반란역시 계속되었다.
         이러한 대립속에서 계형이 죽고 실권을 잡은 계로는 레이먼 제국에 대항하기 위해 5000명의 친위대들인 '흑군'[* 모두 검은 망토를 차서 이렇게 부른다.]을 창설했으며, 이들을 이끌고 레이먼 제국과 태겡대공국의 침입을 수차례 격퇴했다. 한편으로 계로는 흑군의 숫자를 점차 늘려가기 시작했으며, 이것때문에 늘어난 지출을 줄이기위해 귀족들과 지방관들의 세금을 늘리기로 결정했다. 여기까진 큰 불만이 없었으나, 센티겔을 더이상 임시수도가 아닌 수도로 지정하고, 이름을 티겔로 바꾼다는 조치가 문제였다. 이는 고토의 탈환보단 남부쪽 개척에 집중하는게 아니냐는 논란을 낳았고, 결국 북부파와 남부파까지 망라한 귀족들의 연합이 태겡 대공 루이를 지지한다는 성명을 내고 반란을 일으키며, 태겡이 이를 명분삼아 침공을 해오기까지 한다. 탈환지의 귀족중 80%가 이 반란에 따랐으며, 태겡과 귀족 연합의 력은 3만에 이르렀다.
  • 킹덤/502화 . . . . 8회 일치
          * [[벽(킹덤)|벽]]을 비롯해서 당혹하지 않는 지휘관이 없다. 이들은 이번 전쟁은 흑양 공략이고 또 업이라면 우리가 아는 그 업이 맞냐고 재차 묻는다. 왕전은 그렇다고 대답한다. 그는 하급 지휘관들이 의문을 표할 틈도 주지 않고 속사포처럼 상황을 전달한다. 준비는 이미 끝났다는 그의 말처럼, 같은 시각 각 부대에는 금안에 축적되었던 량이 지급되고 있다. 각 부대에선 뭔지도 모르면서 일단 량을 수령 중.
          * 그런데 뜻밖의 기회가 생긴다. [[마남자]]는 오르도의 진로를 확인하는데 오르도는 무슨 일인지 남쪽의 중도시 "청가"를 향해 진군 중이라 한다. 이목과 마남자의 눈이 번쩍 뜨인다. 부하들은 어리둥절한다. 이목은 청가엔 "사마상"이 있다며 반색한다. 하지만 그의 부하들도 사마상의 이름도 잘 모른다. 한 사람이 "청가성 성주로 이 있어서 은둔하고 있다. 죽었다는 소문도 있다"며 말하는데 이목은 그건 전부 거짓말이라고 한다. 사실 그는 건강하며 그저 중앙에서 오는 명령을 무시하기 위해 그런 명분을 대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마남자는 충격적인 말도 더한다.
          이때 이목 진영에는 낭보다 도착한다. 그 사마상이 마침내 청가에서 5천의 력을 거해 오르도를 요격하러 나선 것이다. 그 말만 듣고도 마남자는 다 된 일이라며 "오르도가 잠자는 사자의 콧털을 건드렸다"고 비꼰다. 이목은 그만큼 단정하진 않지만 호첩에게 보낼 이동 명령을 거둬들이고 기존 동쪽 방어선의 전략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한다. 사마상이 오르도를 막는다면 조박이 동군을 이끌어 연군을 밀어낼 거라 본다.
          * 다시 문제는 서부가 됐다. 그는 진군의 움직임을 파악하기에 앞서 어째서 [[순수수]]가 아직도 도착하지 않았는지 묻는다. 전령은 순수수가 명한 대로 "진군 측에 수상한 움직임이 있어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고 고한다. 진군이 금안에서 진로를 변경할지 모른다는 보고가, 드디어 이목에게 전달된다. 이목은 그 말을 듣자마자 지도를 펼치고 다시 한 번 진군의 진로를 확인해 본다. 순수수의 직감이 맞았다면 그가 속은 것이 된다. 지금 흑양까지 이어지는 량의 흐름이 가짜라면, 진짜는 어디로 갈 것인가? 진짜 량이 금안까지 간 것은 맞으므로 거기에 축적됐을 것으로 보는게 맞다. 진군이 여기에 도착했으니 이 량을 들고 어디론가 간다는 것인데. 진군이 흑양으로 오지 않는다면 갈 곳은 한 군데 밖에 없다.
  • 킹덤/513화 . . . . 8회 일치
          * 왕전은 행군 도중 [[양단화]]에게 산민족 5만을 떼어서 양사에 주둔 중인 [[공손룡]]의 9만 력을 치게 한다.
          * 열미를 빠져나온 진군은 바쁘게 진격하고 있지만 지휘관들의 머릿속은 복잡하다. [[하료초]]는 [[이신(킹덤)|이신]]에게 이 작전이 불길한 예감 밖에 안 든다고 토로한다. [[몽념]], [[왕분]]도 이들과 말머리를 같이하고 달려가고 있다. 하료초는 참인 열미를 버리고 가지고 있는 량만 가지고 업을 친다는건 말이 되지 않는다고 본다. 몽념의 의견도 같다. 전략을 아는 사람이 취할 방법이 아니란 것이다. 그러면서 "네가 자살행위라고 했던 그 행동"이라고 왕분을 끌어들인다. 몽념은 [[왕전(킹덤)|왕전]]에게 간언을 할 수 있는 사람은 자식인 왕분 뿐이라며 은근히 그가 작전을 중단시켜 주길 청한다. 왕분은 말없이 한 발 앞서 가버린다.
          * 아무 말 없이 말을 달릴 뿐이었던 왕전은 마침내 열미에서 출한 이후 최초의 지시를 내린다. 그는 [[양단화]]의 산민족 군단을 분리했다. 현재 진군의 위치 북동쪽 양토에는 [[공손룡]]이 전선을 펼치고 있다. 왕전은 양단화의 산민군 5만으로 공손룡의 9만 력을 요격하게 지시한 것이다. 이신은 이게 좋은 판단인지 확신이 생기지 않았다. 우선 공손룡군이 4만이나 많고 자군 력은 분단됐기 때문이다. 하료초는 현시점에선 상책이라고 보는데 진군이 업으로 가는데 최대 장애물이 공손룡의 9만 력이었다. 양단화가 공손룡을 막는 동안 진군은 추격 당할 걱정없이 업까지 도착할 수 있다. 이신은 또 아군을 방패로 삼는 거냐고 달갑지 않아 하지만 이번만큼은 어쩔 수가 없는 일이라는 하료초에 말에 반박하지 못한다.
          * 그때 이들의 우측으로 량부대가 지나간다. 행렬이 끝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대단한 수지만, 업을 공략할 때까지 이것만 가지고 버텨야 생각한다면 그렇지도 않다. 하료초는 이게 군단의 목숨줄이라 말하며 압박감을 느낀다.
  • 킹덤/514화 . . . . 8회 일치
          * 조나라를 침공해 벌써 여러 성을 떨어뜨리고 "청가"성으로 향하던 [[오르도(킹덤)|오르도]]는 뜻밖의 적과 마주쳤다. 그야말로 "잠자던 대호"와 같은 인물로 그는 내심 [[이목(킹덤)|이목]]에게 왜 이런 인물이 연나라 전선에 배치돼 있다고 일러주지 않았냐고 농담을 한다. 그 사내는 [[사마상]]. 단 5천의 력으로 2만 연군의 발을 묶고 있다.
          * 오다성에 입성한 [[환의(킹덤)|환의]]사들은 민가를 털어서 량을 끌어모은다. 약탈행위를 질색하는 이신이 제지하려 하지만 [[몽념]]은 이번만큼은 저들의 "코"가 도움이 됐다며 이신을 자제시킨다. [[마론(킹덤)|마론]]은 환의에게 순조롭게 식량징발이 끝났다고 보고한다. 이제 이걸로 오다에 남은 식량은 없다.
          * 마론은 본보기로 몇 놈만 족쳤어도 일일히 찾는 수고를 덜었을 거라고 하는데, 이번만큼은 그럴 수가 없었다. 그건 총대장 [[왕전(킹덤)|왕전]]이 "민간인을 다치게 하면 참수한다"고 엄명을 내렸기 때문이다. 그래서 환의군이라도 량만 뺏을 뿐 사람을 다치게 하진 않았다. 물론 그 외 약간의 금전을 뜯어가긴 했지만,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한 최소한의 교환조건으로 본다면 애교같은 수준이다.
          이신은 학살을 막은 왕전의 지시로 그를 좀 다시 본 것 같지만, 군사인 하료초는 이제 참는게 한계에 달했다. 량이 있으면 도움이 되긴 하겠지만 이런 소도시를 털어봐야 20만 대군이 먹을 양으로는 턱도 없다. 게다가 여기를 치면서 반나절 넘게 시간을 허비했는데 이는 조군에게 그만큼 시간을 벌어준 것이다.
          >정말 량을 보충하기 위해 여기 온 거라면
          * 왕전의 파격적인 행보에 대해서는 뒷말이 많다. 놓아준 백성들이야 대체로 왕전을 칭송한다. 심지어 그는 무장해제시킨 조나라 사들까지 피난 행렬에 넣어주었다. 물론 일부는 전사자 가족도 끼어 있으니 왕전을 원망하기도 하지만, 일단 자기들을 죽이지 않은 걸로 충분히 감사하는 모습들이다.
          진군의 장수들은 어느 정도 왕전이 그리는 그림이 보이기 시작했다. 그가 노리는 건 량이 아니라 저 민간인들이다. 저렇게 바깥으로 내보낸 민간인들 자체가 왕전이 구상한 전략의 핵심임은 분명한데, 그게 정확히 뭘 노리는 건지는 알 수가 없다.
  • 토리코/389화 . . . . 8회 일치
          * 미도라는 자신의 구르메 세포의 악마를 드러내며 아카시아의 구르메 핸드에 대항하고 토리코와 원왕은 아카시아 본체를 공격한다.
          * 코마츠는 플로제에게 들은 조언을 말하는데 적합식재를 중심으로 자기 자신만의 풀코스를 만들면 구르메 세포의 악마의 속박도 벗어날 수 있다고 한다.
          * 그러나 자신의 구르메 세포의 악마를 꺼내는 미도라.
          * 코마츠는 GOD를 요리하며 플로제의 식혼에게 많은 것을 배우는데, 그 중엔 지구의 풀코스를 먹은 자가 구르메 세포의 악마에게 사로잡혀 버린다는 것도 있었다.
          * 열쇠를 적합 식재. 식욕의 선택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선택으로 결정한 고유한 풀코스를 만든다면 악마에게서 자아를 유지할 뿐 아니라 모습도 잃지 않는다고 말한다.
          * 네오의 세포는 "검정". 검은 세포의 악마는 무엇이든 집어삼키는 극악한 식욕의 소유자이다.
          * 네오의 색이 밝혀지면서 토리코 내면의 제 3의 악마의 정체에 대해서도 의견이 분분해졌는데, 네오와 같은 "검정"이라는 의견과 반대되는 "하양"이라는 의견이 대립하고 있다.
          * 플로제가 말한 아카시아를 구하고 싶다던 말은 바로 "그의 식욕의 악마에게서 구하고 싶다"던 말일 가능성이 높다.
  • 토탈워: 쇼군 2 - 사무라이의 몰락 . . . . 8회 일치
          * 본편에서는 한 계절이 한 턴이었지만 사무라이의 몰락에서는 한 개월이 한 턴이다. 적 성을 포위하다가 겨울이 오면 3턴 연속으로 력 소모를 겪어야 한다. 이외에 각 계절마다 이벤트와 효과가 추가되었다.
          * 200여년의 세월 동안 [[총기]]가 발달하며 전투의 양상이 달라졌다. 본편의 전투가 근접 보들의 힘겨루기와 궁들의 화살샤워, 기들의 허점 찌르기로 진행된다면 사무라이의 몰락의 전투는 전열보들의 힘겨루기를 중심으로 전투가 진행된다. 물론 전열보에게 근접보이 붙으면 전열보이 발린다. 으악.
  • 트로피코 4/칙령 . . . . 8회 일치
         1980년에 쿠바 정부가 미국으로 가는 망명자 행렬에 범죄자와 자들을 끼워넣은 것에 대한 패러디로 보인다.
         말 그대로 군대를 현대화시킨다. 사와 장교의 전투 능력이 크게 향상되며, 군사기지에서 제공되는 주거와 의료의 질도 좋아진다.
         === 징제 ===
         무학력자도 사가 될 수 있게 만든다. 무학력자 사의 전투 능력은 고졸 사의 전투 능력보다 떨어진다. 섬에서 나가거나 반란군이 되려는 시민이 늘어난다.
         의사 한명이 담당할 수 있는 환자의 수를 늘린다. 진료소, 원, 요양원의 수용인구를 늘린다는 뜻.
         사, 장교, 특수 기동대의 숙련도가 빠르게 발생하지만 오인 사격으로 사망자도 발생한다.
  • 페어리 테일/538화 . . . . 8회 일치
          * [[루시 하트필리아]]는 악마의 힘에 고통 받으면서도 END의 서를 고쳐쓰는데 성공하고 [[그레이 풀버스터]]는 멸악마법의 힘으로 루시 안의 악마를 뽑아낸다.
          아직 이러한 사정을 모르는 [[루시 하트필리아]], [[그레이 풀버스터]], [[해피(페어리 테일)|해피]]는 END의 서를 계속 수정하고 있었다. 본래 이것은 책 자체에 씌인 악마의 힘이 수정자를 침식해 자살행위나 다름없었다. 이미 루시의 오른팔 전체가 침식 당했고 서서히 우반신 전체로 뻗어나가고 있었다. 그런데도 루시는 펜을 멈추지 않았다. 그 결과 마침내 책의 수정이 끝났다. 책이 눈부신 빛을 내뿜으며 사방으로 흩어졌던 문자들이 책으로 돌아온다. 해피와 그레이는 그 모습을 신비롭게, 그리고 걱정스럽게 바라본다. 루시는 펜을 놓으며 말했다.
          그녀는 자신의 역량을 총동원해 그들이 알고 있던, 악마가 아닌 [[나츠 드래그닐]]의 정보를 써넣었다. 이제 기다릴 뿐이다.
          * 루시는 END의 서를 닫았지만 침식은 나아지지 않고 힘이 다해 쓰러진다. 그레이가 그녀를 부축하며 자신의 멸악마법의 힘으로 루시 안에 들어간 악마의 힘을 뽑아낸다. 그러자 루시가 막혔던 숨이 터져나오듯 기침과 함께 눈을 뜬다. 고맙다고 말하는 그녀의 몸에선 악마의 문양이 사라졌다.
  • 몽키 D. 루피 . . . . 7회 일치
         해적사냥꾼 [[롤로노아 조로]]와 함께 밀짚모자 해적단을 결성하였으며 처음에는 단 둘뿐이었다. 루피가 계속되는 동료를 찾다가, 소규모 ~~[[어선]]~~해적단이란 소리를 들을 쪽수는 채웠다. 그런데 멤버들이 하나같이 개성이 철철 넘치다 못해 흘러내릴 지경이며[* [[러시아식 유머|순록을 닮은]] [[토니토니 쵸파|너구리]](절대 오타가 아니다.), [[프랑키|로봇]]도 있는데 왜 또 [[브룩(원피스)|해골]]까지 동료에 추가하려 드냐고 상디한테 한 소리 들은바 있다.] 특히 [[위대한 항로]] 진입 이후에 들어온 동료는 전부 '''제대로 된 인간이 없다.'''[* 조로, 나미, 우솝, 상디는 '''일단은''' 멀쩡하게 생긴 인간이지만 쵸파는 순록 + 악마의 열매 능력자, 프랑키는 사이보그, 브룩도 해골 - 악마의 열매 능력자다. 그나마 외모로는 멀쩡하게 생긴 인간인 로빈도 악마의 열매 능력자. 사실 나머지 멤버도 조로, 상디는 초인급 싸움을 보여주고 나미는 위대한 항로에서 관측할 수 없는 사이클론을 감으로 예측하며 우솝은 사법의 탑 꼭대기에서 저 멀리 떨어진 다리에 있는 해군들을 정확하게 저격하는 등 나머지 네명도 평범한 사람과는 거리가 멀다.]
         모두가 끈끈한 동료애를 발휘하고, 일단 루피부터가 동료를 소중히 여기는 타입인 만큼 안 친한 멤버가 어디 있겠냐만은, 그 중에서도 해적단 내에서는 [[우솝]]과 가장 친한 편이다. 우솝이 좀 심한 겁쟁이에 평범한 인체스펙과 힘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루피는 무모한 성격과 악마의 열매로 인한 특이체질과 엄청난 힘 정도만 차이가 날 뿐, 기본적인 정신세계와 개그코드는 그야말로 [[소울메이트]]급으로 죽이 잘맞는다. [[남자의 로망]]을 동경하는 것도 그렇고, 둘다 [[빨간 머리 해적단]]과 깊은 관계가 있으며,[* 알다시피 [[샹크스(원피스)|샹크스]]는 루피의 '''인생 나침반''' 같은 존재이고, 동료인 [[야솝]]은 우솝의 '''아버지'''이다.] 그와 연령까지 똑같다. 이래저래 닮은 구석이 참 많은 콤비. 그래서인지 우솝이 루피의 바보짓에 태클을 많이 거는 만큼 루피의 장난에 가장 많이 받아주고 같이 행동하는 것도 우솝이다. 해적단에 별일 없으면 항상 루피 옆에는 우솝이 붙어 있다. [[토니토니 쵸파|쵸파]]가 합류한 이후로는 이 셋이 늘상 붙어다닌다. 일명 '''막내라인.''' 그렇기에 이 둘이 다투는 모습은 [[워터 세븐]]에서 [[고잉 메리호]]를 놓고 싸운 것이 유일했을 정도로, 이 때문에 당시에는 가장 친했던 멤버와의 처절한 결투를 비극적으로 그려내었다. 물론 [[에니에스 로비]]편 이후 [[프랑키|새로운 동료]]와 [[사우전드 써니 호|새로운 배]]가 생겼고, 배에 대한 트러블로 잠시 해적단을 이탈했던 우솝도 다시 돌아왔지만. 추가로 우솝이 루피에게 해적단에 멋대로 나간 점을 사과하고, 자신을 다시 넣어달라고 울고불고 하는 장면과 마찬가지로 그런 우솝에게 다시 손을 내밀고 눈물콧물범벅이 된 루피의 모습은 참 웃기면서도 한편으로는 감동적인 장면이다. 우솝의 재합류 이후로는 역시나 쵸파랑 항상 셋이서 붙어다닌다.
         [[드래곤볼]]의 [[손오공(드래곤볼)|손오공]][* 사실상 거진 오마쥬 캐릭터 같은 느낌에 가깝다. 먹보에 감으로 행동하고 동료를 중요시하며 자유로운 성격에 강한 적과 싸우고 싶어 하는 호승심, 적을 잘 죽이지 않는다는 점까지. 그리고 반죽었다가 살아나면 강해지는 사이어인스러운 면까지] 으로 대표되는 먹보 캐릭터로 식사를 하루 다섯 끼로 계산하고[* 알라바스타 왕국편에서 [[크로커다일]]과의 전투 후 의식을 잃고 자신이 3일만에 깨어났다는걸 알자마자 한다는 말이 '15끼를 건너뛰어 버렸어!!(...)'. 하루에 '''5끼'''씩 3일로 계산하면 15끼가 된다. 그런데 원래 뱃사람들은 환경 적응과 육체 활동 때문에 칼로리 소모가 극심해서, 보통 식사를 다섯 끼 정도로 계산하여 섭취한다. 그렇지만 원피스의 세계에서는 뱃사람들도 세 끼를 먹고, 다섯 끼를 '유독 많이 먹는' 편으로 취급할지도 모른다. 아니면 그냥 한 끼에 먹는 양이 보통 사람들보다 많아서 뱃사람도 세 끼만 먹는 걸지도. 작중 식사 씬을 보면 연회가 아니라도 확실히 양이 많다.] 특히 고기라면 환장을 하기 때문에[* 가장 좋아하는게 고기일 뿐이지 다른 음식을 가리거나 하는 일이 없고, 더불어 고기가 많다고 고기를 우선적으로 먹거나 하지도 않고 있는 대로 다 집어먹기 때문에 사실 영양이 치우쳐 있을 가능성은 그렇게 크지는 않다. 무엇보다 상디가 영양 밸런스도 신경쓰지 않을만큼 어수룩한 요리사도 아니다. SBS에서 독자가 "루피는 그렇게 많이 먹고도 왜 살이 안 찌나요?" 라고 작가에게 물어봤는데 작가 왈 '''"저렇게 날뛰고도 살이 안 빠지는 게 오히려 이상한 게 아닐까요?"'''] 하루 이상 깨어나지 않아야 하는 상황에서도 고기라는 발언에 반응해 깨어나기도 했다. 다쳐서 의식 없이 드러누워 있으면 굶어야 하는 게 싫어서 그런지 후반 들면 자면서도 밥을 먹을 수 있게 되는 등 좀 이상한 데로 발전하기도 했다.[* [[CP9]]의 [[로브 루치]]와 싸우고 이틀간 자면서 먹는 스킬을 썼다. [[몽키 D. 가프]]가 사랑을 실은 주먹으로 때려서, 강제로 일어나긴 했지만] ~~그리고 일어나면 밥 먹은 기억 없다고 또 처먹겠지~~ ~~대표적인 먹보 캐릭터인 손오공도 차라리 잠을 푸욱 자면 잤지, 자면서까지 저리 먹어대지는 않는다.(...)~~ 비명이 나올정도로 맛이 없다는 악마의 열매를 와작와작 잘 씹어 먹은걸 보면 맛치일지도 모른다. 사실 싫어하는 음식은 하나뿐이고 그 하나도 맛 때문에 싫어하는 게 아니다.
         [[니코 로빈]]을 구하느라 [[에니에스 로비]]를 박살내고, 포트거스 D. 에이스를 찾아 [[임펠 다운]]을 작살냈다. 뒤이어 [[해군본부(원피스)|해군본부]]를 뒤엎는 데도 한 몫 했다. 즉 루키 주제에, 그것도 최하위급 악마의 열매 능력자가 열기도 힘든 정의의 문을 넘고 넘어서 세계 정부의 중요기관 3개를 골고루 털었다.
         이것은 딱히 도플라밍고처럼 해적이 일개 국가를 소유한다거나 산하에 두는 것은 아니기에 국가를 자기 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다는 말은 아니다. 하지만 달리 말하자면 무력을 행사하여 적개심을 사지 않아도 루피 본인 의향만으로 여러 국가에 강대한 영향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으로, 국가마다 행사할 수 있는 영향력의 정도가 다르겠지만 워터세븐 시장이 손수 해적선을 조선해준 일이 있고[* 얘가 해적왕이 되기라도 하는 '''순간 불법행위로써 인정'''된다. 그렇게 되기 전이라 해도 루피가 에니에스 로비를 개작살내고 온 직후이니 세계정부에게는 미움받고도 남을 일이다. [[톰(원피스)|톰]]역시도 그저 해적왕의 '''배를 건조했다는 죄로 사형'''당한 상황을 보면 아이스버그도 스승과 똑같이 끝장날 수 있다. 다만 나서서 도와줄 이가 없었던 톰과는 달리 아이스버그는 그를 열렬하게 존경하고 걱정하는 시민들이 있다. 물론 밀짚모자 일행들도 아이스 버그에게 많은 도움을 받았으니만큼 이들이 아이스버그의 사형을 순순히 묵인할 것 같지는 않다. 또한 톰의 경우에는 스팬담의 온갖 방해공작이 있었다. 더군다나 워터세븐 마무리에서 아이스버그가 설계하고 있던 '워터세븐 전체를 바다에 띄우는 일'이 성공한다면 그의 위상이 과거의 톰과 같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밀짚모자 일당의 새 해적선 [[사우전드 써니 호]]에 대한 건조는 밀짚모자 일당과 소수의 관계자만이 아는 일인 만큼 죄를 묻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톰의 경우, 본디 조선공은 해군이건 해적이건 일반인이건 상관없이 누군가를 위한 배를 건조하는 행위 자체는 죄를 묻지 않으나 톰의 경우는 그가 건조한 배가 다름아닌 '''해적왕 골 D. 로저의 기함, 오로 잭슨 호''' 였던만큼, 해적왕과 관계된 이들을 전부 숙청하려는 해군 본부의 표적이 된 것이다. 또한 스팬담의 음모로 [프랑키|커티 프람]이 만들었던 전투함들이 사법선을 습격했을 당시, 오로 잭슨 호의 건조 건은 바다열차 퍼핑톰의 제작으로 사면받는다 쳐도 사법선 습격 건이 그대로 죄가 되기 때문에 이를 바다열차 건으로 사면받고 [아이스버그|자신의] [프랑키|제자]들을 위해 오로 잭슨 호 건조에 대한 죄를 받아들여 처형된 것이었다.][* 다만 문맥상 중요한 것은 일개 도시의 시장, 세계관 상으로는 국왕하고도 맞먹을 정도의 권력자가 세계정부를 적으로 돌리게 될지도 모르는 행위를 거리낌 없이 해 주었을 정도로 밀짚모자 일당을 강하게 지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사실 처벌 받는다 안 받는다 여부가 중요한 점은 아닌 것(…)~~림픽~~]어인섬의 경우는 언젠가 은혜를 갚아야 한다고 국왕이 못을 박아두는 장면이 나왔고[* 밀짚모자 일당에게 감사인사란 감사인사는 죄다 퍼부은 뒤였기 때문에 단순히 엄청 고마워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연출은 아니다. 어인섬에는 루피에게 붕괴당한다는 플래그도 서 있기 때문에 차후 재등장 가능성이 높기도 하고.], 알라바스타 왕녀는 비공식적이나마 밀짚모자 일당에 소속되어 있는 등 그 정도가 '''여차하면 특정 세력에게 적대 성향을 가지게 할 여지도 충분히 있기에''' 이미 심상치 않다고 말할 수준을 몇 단계 뛰어넘었다.
  • 바키도/126화 . . . . 7회 일치
          * 그와 함께 모토베는 술으로 무사시를 가격하고 연막을 피운다.
          * 모토베는 입장할 때 가져온 술을 집어들고 무사시 앞에 마주 앉는다.
          * 그리고 모토베의 술도 건내받아 향을 맡아보는데.
          * 술과 담배 모두 복어독이 발라져 있었던 것.
          * 무사시도 칼을 집어드는데, 그보다 모토베의 술이 더 빠르다.
          * 무사시가 칼을 뽑으려는 순간 술이 머리를 강타, 날카로운 유리가 무사시의 뺨을 긋는다.
          * 복어독이 발라진 술으로 때렸으니 무사시가 중독됐을지도?
  • 뱌체슬라브 몰로토프 . . . . 7회 일치
         [[화염]]을 뜻하는 은어 [[몰로토프 칵테일]]은, [[소련]]과 [[핀란드]] 사이에서 벌어진 [[겨울전쟁]]에서 몰로토프가 소련군이 [[폭격]]을 퍼붓고 있음에도, "우리 군은 핀란드 인민에게 빵을 공수하고 있다."는 [[망언]]을 한 데서 비롯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이 발언에 빡친 핀란드 측에서 "빵을 받았으니 칵테일로 돌려주마!"라면서 화염에 이름을 붙인 것이 어원이라고 한다.[http://chemistry.about.com/od/firecombustionchemistry/a/molotovcocktail.htm 참조출처]
         어찌된 영문인지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는, 1941년 6월 독일이 소련을 침공하자 '몰로토프 칵테일'이라고 알려지게 된 화염의 생산을 명령했다고 기록되어 있다.(…)[[http://preview.britannica.co.kr/bol/topic.asp?article_id=b07m4256a 참조]] 일본어 위키백과에서는 소련의 KS방화수류탄의 별명이 '몰로토프 수류탄'이라서 혼동된 것이 아닌가 하는 의견이 있는데, 인용 문헌이 없어서 확실하지 않다.[http://ja.wikipedia.org/wiki/%E3%83%A2%E3%83%AD%E3%83%88%E3%83%95%E7%81%AB%E7%82%8E%E6%89%8B%E6%A6%B4%E5%BC%BE 참조]
         아무튼 본인은 딱히 화염을 만들었는지 불확실하지만, 화염 이야기만 나오면 몰로토프가 언급되면서 화염의 대명사(…)로 살아가는 인물이다. 우리 문명이 멸망한 뒤에는 화염의 신으로 추앙될지도 모른다.
  • 원피스/833화 . . . . 7회 일치
          * 욘기는 상디에게 두들겨 맞아서 원행. 그런데 마치 몸이 사이보그인 것처럼 망치로 두드려서 고친다?
          * 대결의 현장. 사들은 상디의 강함에 환호한다.
          * 저지가 도약하자 사들은 "가루다"라는 그의 별명을 언급하며 환호.
          * 그런데 달려들던 저지가 "벽"이란 한 마디를 내뱉자 구경하던 사들이 스스로 달려나와 인간방패가 된다.
          * 상디가 머뭇거리는 사이 저지의 창이 사를 꿰뚫고 상디에게 향한다.
          * 저지는 그말을 비웃듯 "너에게도 내 피는 흐르고 있다"면서 사들은 가문을 위해 당장이라도 죽을 수 있는 시종들이라고 말한다.
          * 그러면 그 력을 써서 "한심한 꿈"이나 이루라고 하는데, 그것은 바로 "노스 블루의 정복".
  • 원피스/838화 . . . . 7회 일치
          * 그의 정체를 아는 자는 극소수로 정부의 수배서 조차 가짜의 얼굴이 올라있다. 크래커는 이 가짜들을 즉석에서 여러개 만들어 "사"로 사용한다.
          * 사를 앞세워 루피를 압박하는 크래커. 그 자신도 기어4의 무장색 패기를 베어버릴 수 있는 강자이다.
          * 페드로와 브룩은 마을에 돌아다니는 "비스킷사" 안에 숨어들어 빅맘의 섬으로 잠입하려 한다.
          * 그는 "늘어나는 비스킷"이야 말로 자신의 꿈이며, 그래서 "갑옷"도 늘어난다는 것. 그는 루피가 필사적으로 부순 갑옷도 "무한히 만들어내는 비스킷 중 하나"일 뿐이라며 루피를 조롱한다.
          * 비스킷들은 부서지면서도 크래커를 철통같이 방어한다. 크래커는 이들을 앞세우고 계속 전진.
          * 도시에 잠입해 있던 페드로와 브룩은 마을을 순찰하던 비스킷 안에 숨어드는데 성공한다.
          * 페드로는 비스킷이 빅맘의 능력으로 움직인다고 생각하는데 순찰이 끝나면 성으로 돌아갈 거라며, 잠입은 시간문제라고 말한다.
  • 은혼/612화 . . . . 7회 일치
          * 지상에선 다키니 군단을 앞세운 해방군 지상력이 네오암스트롱사이클론제트암스트롱 겐카이포를 향해 진군 중
          * 진선조도 지상군을 맞이할 채비를 한다. 전령이 준비가 끝났다고 알리자 곤도 이사오가 움직인다. 이들은 지상군 력이 가부키쵸에 도달하지 못하게 하는게 목적. 쭉 늘어진 력의 허리를 끊어 분단시키고자 한다. 곤도는 자신이 신호하면 "그것"을 사용하라고 말한다. 이후는 1인당 200명 씩만 베어버리면 되는 심플한 작전. 곤도가 200명만 베면 보너스를 준다고 하자 오키타 소고가 "그럼 1000명을 베면 부장자리는 내것"이라고 말한다. 왠일인지 히지카타 토시로는 "생각해두겠다"고 쿨하게 반응한다. 대원들은 오키타다 부장이 되는 날엔 세계가 멸망하는거 아니냐고 드립을 치고 야마자키 사가루는 어차피 망할거 그 편이 재미있겠다고 말한다. 그 말을 들은 곤도가 망하고 안 망하고는 중요하지 않은 거냐면서, 자신도 사실 그런 기분이 든다고 말한다.
          * 해방군 지상군의 행군 중에 고층빌딩이 폭발해 무너진다. 길 위로 잔해가 떨어지자 많은 사들이 깔리면서 력이 양단된다. 진선조와 오니와번슈는 일제히 기습을 건다.
          * 한편 우주. 해방군 본진의 도쿠가와 노부노부와 사카모토 다츠마는 다시 감옥으로 옮겨진다. 이들을 기다리고 있던 무츠는 지구의 동향과 현상황에 대해 묻는다. 다츠마는 기적적으로 잘 버티고 있지만 력차가 너무 커서 한계가 있다며, 그들이 버티는 동안 자신들이 무슨 수를 써서든 전쟁을 멈춰야 한다고 말한다. 그때 반대편 감옥에서 "무슨 수라도 있냐"고 말을 거는 이가 있는데.
          * 손의 정체는 가츠라 고타로. 황태자를 인질로 잡는다. 그는 종을 지키기 위한 노아의 방주 따윈 쪼잔한 일로 치부한다. 그러면서 황태자와 그를 구하러 온 력들에게 "별 전체를 지키는 거대한 방주를 만들어보지 않겠나"라고 제안한다.
  • 은혼/631화 . . . . 7회 일치
          * 야토 용부대를 통솔하는 "노사"는 해방군 본대의 결정을 지상군에 전파하고 [[히라가 겐가이]]에게 "[[엔죠 황자]]를 죽일 방도"를 묻는다.
          * 통신의 부활로 성사된 [[히라가 겐가이]]와 [[엔죠 황자]]의 기묘한 대담. 이들의 만남은 주선한 셈이 된 야토족 용부대의 통솔자 "노사"란 인물은 이들의 대화를 지켜보았다. 해가 뜰 때까지 나노머신 바이러스를 처리하지 못하면 지구를 통채로 지운다. 이것은 겐가이 영감한테만이 아닌, 지상력 전체에 대한 협박이기도 했다. 그는 곧 최대한 무전을 돌려 지상군 잔존세력에게 엔죠 황자의 의사를 전달한다.
          * 그때 레이더에 이상한 정보가 잡힌다. 상당한 수의 함대가 해방군 모함의 후방을 잡고 있다. 부하는 고장이라고 여겼지만 그렇지 않았다. 그건 [[하타 황태자]]가 고국 오우고쿠성에서 소집한 력이었다. 하타 황태자는 무전을 통해 해방군에 선전포고를 한다. 그들의 행위가 해방이란 이름의 침략 행위에 지나지 않고 이 이상의 만행은 우주가 용서해도 자신들은 용서하지 않을 거라고, 실로 그럴 듯한 선전포고를 하는 사람은
          * 잠잠하던 지상군도 격렬한 발악을 시작했다. 겐가이 영감을 추적하던 [[사카타 긴토키]]와 [[가구라]] 앞에 잔당들이 덮친다. 같은 시각 각지의 [[진선조]] 력들도 지상군의 재침공을 받는다.
          * 공교롭게도 두 대의 스텔스 함은 해방군 모함의 외벽을 뚫고 심부까지 돌입한다. 그 장소는 바로 다츠마 일행이 고립된 위치. 스텔스 함이 진입하면서 무너진 잔해가 다츠마 일행을 압박하던 력 위로 떨어져, 전멸시킨다. 구사일생하게 된 가츠라와 다츠마가 조심스럽게 바깥으로 고개를 내민다. 뜻밖의 구세주도 배에서 내려 모습을 드러내는데, 그들이 아주 잘 아는 인물이다.
          >지구를 부술 기? 미안하지만 그런 건 필요 없어.
  • 은혼/643화 . . . . 7회 일치
          * [[귀대]]가 적의 이목을 분산시키는 동안 [[사카모토 다츠마]]와 [[가츠라 고타로]]는 착실히 적들을 제압, 엔죠 황자가 있는 통제실까지 진격해왔다.
          * 다츠마의 탄환이 엔죠 황자의 심장을 꿰뚫고 가츠라, 주작 제독, [[엘리자베스(은혼)|엘리자베스]]가 승리를 확신하며 통제실의 력을 일소한다.
          * 제어 시스템을 호위하던 력들은 난데없는 폭발이 일어나자 일사분란하게 움직였다. 제 3게이트였다. 방금 전 단 한 명의 적을 막으려고 부대 하나가 간 방향이다. 거기서 일어난 폭발로 부대는 전멸, 게이트마저 파괴됐다. 남은 부대들은 신속하게 화제를 진압하고 방어를 강화했다. 동시에 제어 시스템에 방어인력을 충원했다. 총알 하나라도 잘못 맞았다간 이 배가 어떻게 될지 상상하기도 싫었다. 증원력이 막 도착했을 때였다. 신스케와 마타코가 제 3 게이트와 제어 시스템으로 양단된 력 위로 뛰어내렸다.
          * 중추 제어 시스템에 배치된 방어력은 통제실에서 벌어지는 일은 미처 모르고 있었다. 이쪽은 단 두 명의 적이 나타났을 뿐이지만 통제실 이상의 혼란으로 치달았다. 짐승처럼 날뛰는 신스케를 저지할 수가 없다. 그가 뛰어드는 곳마다 높게 피보라가 치솟았다. 사들의 살점이 튀기고 뼈가 썰려 나갔다. 신스케가 가는 곳에 시체로 된 길이 열렸다. 신스케는 또 달렸다. 목표에 아직 이르지 못했다. 적들은 안중에 없었다. 그가 궁금한 것은 앞으로 얼마나 더 시체를 쌓아야 하는가였다. 발 아래 놓여있는 이 시체들. 그리고 밟고 지나왔던 시체들.
  • 진격의 거인/88화 . . . . 7회 일치
          * 거인의 힘을 다루는 [[엘런 크루거]]는 마레의 사들을 하나도 남김 없이 처리한다.
          >얼마 후 당국의 모든 사는 즙을 짜고 남은 과일처럼 변했으며 바다에 뿌려졌다.
          * [[그리샤 예거]]의 수기는 이와 같이 적으며 "바다"에 대해서도 설명하고 있다. 바다를 본 적도 들은 적도 없는 이들을 향해, 그는 "지표의 7할을 점한 광대한 소금물"이라고 무기질적으로 적고 있다. 그의 기억 속에선 거인으로 변한 올빼미, 크루거가 마지막 남은 마레의 사를 살해하고 바다에 던지고 있다. 그리샤는 마레당국이 끌고 온 모든 것들, 그리고 마레인 자신들이 모조리 바다에 삼켜지는 것을 경이에 차서 바라본다. 짙은 색을 내기 시작한 석양이 거인의 등 뒤에 걸려있었다.
          * 모든 것을 그리샤의 기억 속에서 읽어내는 [[옐런 예거]]. 그 기억 속의 크루거는 이것을 "유미르의 저주"라 말했다. 옐런이 말하는 내용은 [[아르민 알레르토]]가 필기하며 동시에 그리샤의 수기에서 본 내용과 대조한다. 두 기록은 틀림없이 일치한다.
          기억 속의 크루거는 모든 거인과 유미르의 백성이 그 좌표로 이어져 있다고 설명한다. 이것은 마레 당국의 "거인화학 연구협회"의 최신 연구결과다. 마레는 이미 상당한 수준의 연구를 쌓아놓고 엘디아인 이상으로 거인의 힘을 잘 알고 있다.
          * 그리샤는 그걸 "마법"이라 부르며 시조 유미로는 마녀인지 뭔지 묻는다. 마레 정권에서는 악마를 다루는 자, 엘디아 제국 시대엔 신이 내린 기적. 그리샤는 그가 보내줬던 역사서도 그저 전의고양을 위한 먹이일 뿐이냐며 "진실"이 무엇인지 묻는다.
          크루거는 유미르를 "유기생물의 기원"과 접촉한 소녀라 부르는 자도 있다는 말과 함게 진실 같은건 없다고 일축한다. 그것이 현실이며 누구든 악마이자 신일 수 있다. 마레 측에서 말하는 1700년에 달하는 민족정화도 사실이라 볼 수 없다. 그랬다면 지금의 마레인은 존재할 수도 없으니까. 반대로 거인의 힘이 오로지 번영만 주었다는 엘디아 측의 기록도 믿을 수 없다. 그건 "그가 아는 인간"과 너무나 동떨어진 것이다. 이미 한 번 섣부른 해석을 내린 적이 있던 그리샤는 아무 말도 하지 못한다.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 . . . 7회 일치
         게임 내 사용 가능한 자원으로는 인력, 군수품, 연료가 있다. 자원을 얻기 위해서는 해당 자원을 제공하는 지역을 점령하여 얻어야 한다. 모든 지역(본부가 있는 곳 포함)이 인력을 제공하며, 총알 모양이 그려진 지역이 군수품을, 제리콘이 그려진 지역이 연료를 제공한다. 지역을 점령하려면 보 유닛을 해당 위치의 전략 거점으로 보내 점령 작업을 시켜야 한다. 이렇게 지역을 점령하면 해당 위치에서 자원이 조금씩 들어온다. 이렇게 점령한 지역은 추가적으로 "확보"하는 과정을 통해 상대가 빼앗는 걸 어렵게 하고 자원 획득량을 늘릴 수 있다. 확보의 방법은 각 진영마다 다르다. 마지막으로, 점령한 지역이 본부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해당 지역의 보급이 끊긴 걸로 쳐서 그 지역에서는 자원을 얻을 수 없게된다.
         보 유닛들은 근처에서 엄폐할 곳을 찾아서 움직인다. 엄폐는 주황색으로 표기되는 부분엄폐와 초록색으로 표기되는 완전엄폐가 있다. 당연히 엄폐를 안 하는 것보다 부분엄폐라도 하는게 보 유닛의 생존에 도움이 되고, 부분엄폐 보다는 완전엄폐가 더 생존성이 높다. 그런데 적들이 화염방사기를 가져오거나 수류탄을 던지면 다 쓸모없다.
         보 유닛들이 기관총 사격이나 박격포 공격같은 걸 당하면 제압 상태가 된다. 제압된 보 유닛들은 그대로 포복하기 때문에 생존성은 올라가지만 이동 속도가 느려진다. 이 상태에서 추가적인 공격을 당하면 머리를 감싸쥐고 바닥에 엎드려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사기 저하 상태가 된다. 이 경우에는 총을 쏠 수 조차 없기 때문에 다른 유닛의 도움을 받거나 후퇴를 통해 본부로 돌려보내야 한다.
         보 유닛들은 다른 유닛들이 죽으면서 떨어뜨린 지원화기나 중화기를 사용할 수 있다. 지원화기의 경우에는 들고있던 분대가 몰살당할 시 일정 확률로 땅바닥에 떨어뜨리는데, 이를 주우면 분대원 중 하나가 그 무기를 사용하게 된다. 중화기의 경우에는 분대원 중 2-3명이 빠져나가 해당 무기를 사용하는 분대가 된다. 이외에도 자원을 소모해 개별 업그레이드나 일괄 업그레이드를 하는 것으로 지원화기를 들려줄 수 있다.
          차량 유닛들이 죽을 때 일정 확률로 일어나는 현상. 그대로 돌진해 어딘가에 꼴아박고 폭발한다. 이 상태의 차량 유닛은 공격할 수 없다. 만약 꼴아박힌게 보 분대였다면 걔네들한테도 피해가 간다.
  • 킹덤/498화 . . . . 7회 일치
          * 창평군은 사들 앞에서 직접 조 서부 공략을 선언하고 지휘권을 가진 대장들을 소개한다.
          * 력을 증강한 이후 처음으로 전쟁 준비에 나서는 비신대. 갓 입대한 활형제와 간두 등 신들은 수도 함양으로 소집되면서 수도 함양의 전경과, 몰려드는 무수한 군세와 긴장감으로 정신이 없다. 초수 등 고참들이 이들이 들뜨지 않도록 관리하고 있다. 이 작전은 매우 기밀로 취급돼서 사들도 이 자리에 올 때까지 아무런 정보를 받지 못했다. 다만 여기에 모여든 지휘관들의 면면을 보고 얼마나 위험한 전투가 될지 짐작할 따름이다.
          * 창평군은 몸소 도열한 사들 앞에 나선다. 그는 직접 조나라 서부 공략전을 천명한다. 사들은 예상한대로 조 서부 공략이라며 흑양 등이 작전지역이 될 거라 생각한다. 그보단 창평군이 직접 나타났다는 것이 더 화제가 된다. 하지만 이들 중 진짜 작전은 서부 공략이 아니라는걸 아는 사람은 소수. 이신의 표정이 무겁다.
          * 이제 상황 파악이 된 사들은 이번 전투의 규모와 가혹함을 가늠하며 긴장한다. 신은 이번 조 공략전은 왕전, 환의, 양단화 군이 총집결한 "연합군전"임을 밝힌다.
  • 킹덤/507화 . . . . 7회 일치
          * [[이신(킹덤)|이신]]의 추천으로 [[창인]]. [[창담]] 형제는 [[바지오]]의 보 부대를 엄호할 궁으로 뽑혀가게 된다. 뽑혀가면서 [[하료초]]는 [[원각]], [[이귀]]에게 단단히 지켜주라고 신신당부한다. 원각과 이귀는 맡겨두라면서 형제에게는 산민족에게 [[비신대]] 궁의 솜씨를 보여주라고 격려한다.
          창담은 얼굴을 맞대고 있는 상대를 쏠 수 있을 정도로 마음이 모질지 못했다. 물론 고참 사인 원각과 이귀는 이들의 이런 마음을 쉽게 이해하지 못한다. 그때 창인이 말을 한다. 이런 상황이 오리라는 건 이미 예상했고 각오했던 바였다. 단지 두가지가 예상을 빗나갔다.
          * 그때 열미군의 이목이 조가족 쪽으로 향한다. 상급 궁들은 여전히 사다리를 저격하고 있지만 조가족의 엄호를 허트러뜨리기 위해 일부러 이쪽을 노리는 것이다. 갑자기 쏟아지는 응사에 창인, 창담은 방패 밑으로 숨는다. 창인은 동생에게 화살비 속에서 사다리를 오르고 있는 아군을 보여준다. 자기들이 망설이는 동안 아군이 저렇게 죽어가고 있다며 그걸 막는게 지금은 전부라고 말한다.
          창인이 첫 화살을 쏘아올린다. 그리고 화살은 열미 궁을 통솔하던 "마덕"이란 장수를 한 번에 꿰뚫는다.
          * 창인의 불 붙은 저격 덕인지 예상보다 빨리, [[바지오]]의 보부대가 성벽 위에 도달한다.
  • 토이 솔져스: 콜드 워 . . . . 7회 일치
         장난감 정 [[타워 디펜스]] 게임인 [[토이 솔져스 시리즈]]의 두번째 작품. 1편인 [[토이 솔져스]]가 [[제1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했다면, 토이 솔져스: 콜드 워는 미국과 소련 간의 [[제3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다뤘다.
          기관총. 보을 상대하는데 최적화 된 포탑이다.
          임시 기. 다수의 적 보을 한번에 상대할 수 있는 포탑. 다른 포탑들이 정품 모형의 모양을 하고 있는 것과 달리 임시 기들은 DDT, 간이 화염방사기, 폭죽 등 주변 기물을 대충 조합해서 만든 모양새다. 그래서인지 내구력도 약하다.
          특수부대. 주무장으로 기관총을 부무장으로 로켓 발사기를 장비한 보. 일반적으로 볼 수는 없고 Barrage에서 Spec Ops가 나오면 일정 시간 동안 쓸 수 있게 해준다. 매우 강해서 왠만한 지상 유닛은 한큐에 썰어버린다. 미군 스펙 옵스는 [[존 람보]]의 패러디인 듯 보이며, 소련군 스펙 옵스는 "암호명: 이반"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날아가며 적 보과 장갑차를 투하하는 적. 투하하는 위치는 붉은색 연막으로 표시된다. 장난감 상자를 노리지는 않지만 격추시킬수는 있기 때문에 격추시켜서 자금 확보용으로 쓸 수 있다. 적 유닛을 투하하기 전까지는 체력이 뻥튀기되어 잘 안죽는다.
  • 페어리 테일/505화 . . . . 7회 일치
          * 아이린은 인챈트 마법으로 전장의 사들을 버서커로 바꾼다.
          * 고통도 모르고 마구잡이로 밀어닥치는 적 앞에 페어리 테일의 마법사들도 하나둘 쓰러진다.
          * 아이린이 있는 곳으로부터 전기같은 파장이 일더니 제국군 사들 사이로 번져간다.
          * 적들은 감전된 것처럼 몸을 떠는데 무언가로 변이하는 것 같다.
          * 버서커가 된 적들은 노도처럼 밀려들어 페어리 테일 마법사들을 쓰러뜨린다.
          * 요정군사의 입장에선 각자 한 명의 사일지 모르지만 자기 자신에겐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자식들이다.
          * 빛이 지나간 후, 제국군 력은 깨끗하기 전멸한다.
  • Europa Universalis 4/아나톨리아 . . . . 6회 일치
         -초반 종이 말그대로 깡패다. 다른 국가들이 군사 테크 10렙을 찍어야 겨우 보에 사격능력치가 들어가지만 아나톨리아계 국가들은 군 4렙때부터 사격능력치가 들어가기 때문. 이때문에 군4렙찍은 오스만은 예니체리버프와 아나톨리아 초반 사기 종덕에 그 어떤 국가와도 동수에서 우위를 취할 수 있다.
         -초반 종은 정말로 쎄지만 중반부터 힘이 점점 빠진다는게 문제. 거기다가 후반종은 다른 테크에 비해 가장 약한 종이기에 이때 군사들은 말그대로 종이 호랑이(...)라 볼 수 있을 정도다.
  • 니세코이/226화 . . . . 6회 일치
          * 오노데라는 가지고 있던 열쇠를 건네고 이치죠는 오노데라가 약속의 아이임을 깨닫지만 마음은 흔들리지 않는다.
          * 약속의 장소에서 기다리고 있는 치토게.
          * 자신은 누가 약속의 아이인지 생각이 났지만, 더이상 가지고 있을 자격이 없다고 한다.
          * 약속의 장소로 향하던 이치죠는 중턱에서 자물쇠를 열어본다.
          * 오노데라가 약속의 아이였음을 깨닫는 이치죠.
          * 결심을 굳힌 이치죠는 약속의 장소에 오르고, 그곳에서 기다리고 있는 것은...
  • 데미안(드라마) . . . . 6회 일치
         영화 오멘에서 시간이 흐르고, 데미안이 30세가 되어 악마의 아들이란 운명에 맞부딪치게 된 상황을 그리고 있다.
         1편의 베이룩 부인과 비슷한 성격을 지닌, 데미안에게 굴절된 [[모성애]]를 지니고 있는 인물. 악마 숭배자 조직에서 데미안을 보호하는 역할을 맡고 있으며, 그냥 유모였던 베이룩 부인과는 달리 악마숭배자들이 운영하는 아미티지 재단의 거물 인사. 악마숭배자 조직도 여성의 지위 향상이 이루어지나보다(…).
         '''악질적인 데미안 스토커'''(…)로서 데미안이 취재한 사진들을 마구 사들이고, 어린 시절에 쓰던 물건들(오멘 1의 소품)을 방 안 가득히 챙겨놓고 있으며, 데미안과 관련되면서 뭔가 느끼는 표정(…)을 짓기도 하는 등 참 못말릴 아줌마. 역시 악마숭배자 답다.
         '''고 평범하게 훈훈한 사람으로 보이지만 사실 악마숭배자 조직 아미티지 재단의 우두머리'''(…). 데미안 앞에서는 훈훈한 모습만 보이지만 뒤에서 앤 러틀리지와 데미안을 놓고 마찰을 빚거나, 협상을 하거나, 온갖 능구렁이 짓을 벌이고 있다.
  • 메탈슬러그 시리즈 . . . . 6회 일치
         메탈슬러그 6 부터는 선택한 캐릭터마다 특수한 능력을 가지게 된다. 죽어도 무기를 잃지 않는다던가, 처음 맞은 공격은 무기를 잃어버리는걸로 대신한다던가, 적 보에게 [[아르헨틴 백브레이커]]를 쓸 수 있다던가 등등.
          메탈슬러그 6부터 등장하는 용부대 사령관. [[이카리 시리즈]]와 [[킹 오브 파이터즈 시리즈]]에 나오던 그 랄프 맞다.
          메탈슬러그 6부터 등장하는 용부대 부사령관. [[이카리 시리즈]]와 [[킹 오브 파이터즈 시리즈]]에 나오던 그 클라크 맞다.
          메탈슬러그 어드밴스의 플레이어블 캐릭터. "펠그린 팔콘즈"에 지원한 훈련이다.
          메탈슬러그 어드밴스의 플레이어블 캐릭터. "펠그린 팔콘즈"에 지원한 훈련. 영어 사이트에서는 자신의 기척을 완전히 숨기고 목표물에 접근할 수 있는 무시무시한 암살자라고 한다.
          모덴군의 사. 시리즈의 중간 보스격 인물로 기관총과 수류탄, 대검으로 무장하고 주인공들을 상대한다. 아무리 죽여도 다음 편에는 살아있다. 신기해라.
  • 무협/용어 . . . . 6회 일치
          * 애(愛兵) : 애용(愛用)하는 기(兵器)라는 의미. 한국 무협소설 이외에는 이러한 단어가 쓰이지 않는다. 중국 고전에는 [[손자법]]과 관련하여 애총화(愛兵總和)라는 말이 있는데, 이것은 애용하는 장기를 뜻하는 말이 아니라 "[[사]]들을 [[사랑]]하라."는 의미이다.
  • 십자군 전쟁 . . . . 6회 일치
         [[비잔티움 제국]]이 당시 [[룸 술탄국]]이 점유하고 있던 [[아나톨리아]]를 되찾기 위해 [[교황청]]에게 남이탈리아의 노르만 용대를 끌어들여달라는 요청을 해왔고, 이에 [[교황]] [[우르바노 2세]]가 교황청의 영향력 증대를 위해서 서유럽 영주들을 성지탈환이라는 명분으로 끌어들인 데서 시작된 전쟁.
         당시 비잔티움 제국은 [[만지케르트 전투]]에서 ~~망할 두카스 놈들때문에~~[[셀주크 술탄국]]한테 박살난 이후에 폰토스일대의 거점 일부를 제외한 '''아나톨리아 전체'''가 통째로 날아가버린 상황이었다. 게다가 이상황에서 남이탈리아의 노르만 정복자 [[로베르 기스카르]]가 아들인 [[보에몽]]을 데리고 비잔티움을 두번이나 침략하기도 했다. 당시 황제였던 [[알렉시오스 1세]]가 아풀리아지방에 지방귀족들을 부추겨 반란을 일으키게 해 기스카르의 력을 둘로 나뉜뒤 둘로 나뉜 력중 비잔티움 원정군을 지휘하던 보에몽의 군대를 라리사에서 격파해 한숨 돌릴 수 있었지만 기스카르는 포기하지 않았고, 그 결과 다시한번 보에몽을 데리고 원정을 나서게 된다. 알렉시오스에게는 다행히도, 악천후를 뜷고 그리스에 도달한 기스카르는 역으로 인해서 케팔로니아 섬에 사망하고, 그의 장남이자 그리스일대 기스카르의 정복지를 상속받은 보에몽도 역으로 인해 전력이 크게 약화되어, 어렵지않게 그를 격퇴하는데 성공한다.
         이렇게 남이탈리아의 노르만인들의 침략을 격퇴한 알렉시오스는 칼끝을 아나톨리아일대를 차지하고 있던 룸 술탄국으로 돌렸고, 아나톨리아 서부해안가 일대를 되찾는등 어느정도 성과를 낸다. 한편으론, 룸술탄국의 완전한 축출을 위해 교황에게 남이탈리아의 노르만인 용대를 지원해달라고 요청하게 된다.
  • 에이스 컴뱃 제로 : 더 벨칸 워 . . . . 6회 일치
         스타일 미터 왼쪽 부분은 용(Mercenery) 스타일, 오른쪽 부분은 기사(Knight) 스타일, 용과 기사 사이의 중간 부분은 사(Soldier) 스타일로 칭해진다.
         벨카 전쟁이 끝난 후, 벨카 전쟁에 대한 자료를 살펴보던 기자 브랫 톰슨은 "마왕"이라고 불리던 용을 알게된다. "마왕"에 대해 관심이 생긴 톰슨은 벨카 전쟁에 참전했던 에이스들을 찾아가 "마왕"에 대해 취재한다.
          우스티오가 고용한 용대.
          [[F-16|F-16C]]로 이루어진 편대. 가름 편대와 같은 용이다.
  • 역병신 . . . . 6회 일치
         [[일본]]에서 역이나 재앙을 불러온다는 [[신]]을 통칭하는 말. 액신(厄病神)이라고도 한다. 좋지 않은 것을 불러오는, 재수가 없는 사람을 뜻하는 말로도 쓰인다.
         고대에는 역이나 재앙을 신이 불러온다고 여겨서, 역이나 재앙이 돌면 신에게 바치는 [[제사]]를 지냈다. 여기에서 나오서 재수가 없는 사람을 뜻하는 말로 쓰이는데, 그 사람이 있어서 역이나 재앙이 온다는 뜻이므로 매우 안 좋은 말이다.
         일본에서는 욕설로 쓰인다. [[신]]과 어감이 비슷하게 느껴지겠지만 무관하다.
  • 영주시 . . . . 6회 일치
         ||<bgcolor=#04B486> {{{#FFFFFF '''1'''}}} ||<bgcolor=#EFFBEF> 황직 ([[무소속|{{{#808080 '''무소속'''}}}]]) ||
         2018년 6월 26일 서울신문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영주시청이 2019년부터 2022년 3월까지 영주시 순흥면 청구리(소수서원)~단산면 산리(선비세상 관광단지) 2.8㎞ 구간에 총 사업비 100억원(국비 50억, 경북도비 5억, 영주시비 45억원)을 투입해 모노레일을 설치할 계획이라고 한다. 모노레일 설치와 함께 탑승장 3곳과 정거장 5곳, 회랑(1548㎡)을 설치하고 모노레일 차량 14량(8인승)을 투입한다고 한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superidea&no=65078|꿈은]]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train&no=868480|이루어진다]].
          * [[송락]] : 경제학자.
          * [[안규]] : 재즈 피아니스트.
          * [[우우]] : 전 청와대 민정수석. 엄밀히 말하자면 출생지가 [[경상북도]] [[봉화군]]이므로 '''영주 출신은 아니고''', 초(?)중(영주중학교)고(영주고등학교) 유년기 학창 시절을 영주시에서 지냈다.
          * [[정주]] : 전 특수전사령관.
  • 원피스/867화 . . . . 6회 일치
          * 거인족을 감동시킨 사건도 모두 연기에 지나지 않았고 처음부터 거인족 사를 세계정부에 팔아넘기기 위한 계략이었다. 그 결과물이 존 자이언트.
          * 카르멜은 링링을 막기 위해 거인족 여인에게 셈라를 준비해줄 수 없냐고 묻는다. 마침 동지제 당일에 먹을 양을 남겨놓은게 있었다. 셈라가 준비되는 동안 거인족 청년들은 어떻게든 링링을 막고 카르멜은 마을에 번진 불을 끄겠다고 한다. 카르멜이 "게브아"라고 중얼거리자 손에서 희미한 영체가 빠져나온다. 이어서 "츠타크"라 외치자 손 안에 있던 영체가 타오르는 불길 속으로 빨려들어간다. 그러자 불꽃들이 마치 악마의 얼굴과 같은 형상으로 뭉친다.
          남자가 앓는 소릴 하자 카르멜은 "내지 못할리 없다"고 꼬집었다. 해이라면 대장, 혹은 원수까지 될 수 있고 CP 요원으로 쓴다면 [[천룡인]]들을 지키는 최고의 방패가 될 거라고.
          이것이 카르멜의 진짜 정체. 그녀의 진짜 얼굴은 "고아판매상"이며 뒷세계에서는 "야만바"(산 속 마귀할멈)이라 불리는 극악한 인물이었다. 그녀가 상대하는 인물은 세계정부의 하수인이며 양의 집을 통해 2년에 한 번씩 고아를 공급 받아 CP의 요원으로 쓰고 있었다. 37년 전 카르멜이 거 해적단 잔당을 구한 것도 연극. 처음부터 해군과 그녀는 한패였으며 엘바프 섬에 그녀를 잠입시키기 위한 작전이었다. 목적은 거인족의 아이를 꾀어내 해군에 "납품"하기 위해서였으며 해군 최초의 거인 해 "존 자이언트" 또한 그녀의 "유통라인"에서 나온 성과였다.
          * 시간은 계속 흘러, 링링이 여섯 살 생일을 맞는다. 양의 집 마당에서 생일잔치가 열렸다. 카르멜과 양의 집 아이들은 생일케이크로 셈라를 쌓아 만든 크로캉붓슈를 선물한다. 링링은 감격한 나머지 눈물콧물로 엉망이 된 얼굴로 감사한다. 친구들의 생일 축하를 받으며 정말로 좋아하는 셈라를 마음껏 먹는 링링. 뒷면에 시커먼 현실이 닥치고 있었지만 어쨌든 최고로 행복한 생일이었다. 그런데 바로 이 생일을 기점으로, 아이들을 팔아넘기는 악마, 카르멜이 사라지게 된다.
  • 원피스/876화 . . . . 6회 일치
          * "제우스 브리즈 템포"가 떨어진 결과 [[밀집모자 일당]]을 추격하던 력이 전멸, 빅맘 [[샬롯 링링]]도 직격 당해 거대한 구더이에 빠졌다.
          * [[샬롯 카타쿠리]], [[샬롯 페로스페로]]를 제외한 대부분의 력이 쓰러졌으나 나미의 방에 있는 거울에서 [[샬롯 브륄레]]가 력을 계속 보내는 중.
          * 동요하고 있을 시간이 없다. 상디가 시폰에게 작업장소를 물었다. 시폰은 쇼콜라 타운을 골랐다. 거기에 모든 재료가 있었다. 완성된 케이크는 배로 옮길 생각이었다. 루피 일행은 빅맘을 바다까지 유인해야 한다. 그녀가 바다 한 가운데서 고립될 수 있도록. 바다에는 빅맘 해적단의 해상력도 대기하고 있어서 힘든 싸움이 되겠지만 그들이라면 버티리라고 시폰은 믿었다. 이걸로 작전 브리핑은 끝. 작전 개시다. 상디도 라비앙으로 옮겨가려. 같이 쇼콜라 타운으로 가야하니까. 그런데 푸딩이 거기서 당황해버렸다. 손사레까지 쳐가며 거절하는 푸딩. 그때 후방에서 빅맘이 "위국"을 쓰기 위해 나폴레옹을 치켜들고 있었다. 일행은 그 공격을 피하면서 둘로 갈라졌다. 쇼콜라 타운으로 향하는 상디, 시폰, 푸딩 일행과 써니호로 향하는 나머지 일행. 상디와 루피는 바다 위에서 다시 만날 걸 기획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몸을 날렸다.
          브룩과 쵸파는 단 둘이서 한없이 밀려오는 빅맘 해적단의 력을 쓸어버렸다. 체스 대부분이 널부러져 있었고 일부 간부도 당해서 누워있다. 카타쿠리는 둘의 실력에, 특히 브룩 쪽에 감탄했다. 브룩은 자신은 소울킹이니 당연한 일이라고 허세를 부렸지만, 슬슬 체력이 한계였다. 아무리 쓰러뜨려도 적이 줄질 않았다. 나미의 방에 있는 거울에서 증원이 쏟아지고 있다. [[샬롯 브륄레]]의 짓이 틀림없다. 쵸파는 그런 사실을 말하며 "깨뜨리면 혼날까" 걱정했다. 브룩은 기회가 되면 깨뜨리고 나중에 사과하자고 받아쳤다.
  • 은혼/600화 . . . . 6회 일치
          * 노부노부 측이 미지의 기로 옥쇄할 작정이라고 판단한 주작 제독은 노부노부를 대등한 교섭 상대로 인정, 같은 자세로 힘겨루기에 나서는데
          * 하지만 지구는 이미 점령 상태. 그런 무기는 없으며 노부노부 일행이 타고 온 배도 감시하고 있는데 그런 기는 찾지 못했다.
          * 사들은 노부노부가 뱃속에 폭탄을 품고 온 거라고 착각하고 주작은 "사무라이들은 배에 무기를 지니고 있으며 자결을 각오하고 사용하는 그 기는 핵에 필적한다. 그것이 할복이다"라는 헛소문을 진지하게 인용한다.
          * 게다가 노부노부의 자세를 보고 "배 안에 감춰진 무언가를 에너지로 변환시켜 엉덩이로 내보내는 기"라는 엉터리 짐작까지 추가한다.
          * 다급해진 해방군은 노부노부를 구속하려 시도하지만 외부 자극으로 인해 노부노부가 가스를 분출하면서 사들을 기절시킨다.
  • 은혼/616화 . . . . 6회 일치
          * [[오우가이]]는 가부키쵸에서 준비한 함정을 하나하나 돌파하며 력을 진입시킨다.
          * 가부키쵸의 문 앞에선 [[사이고 토쿠모리]]가 다키니 사를 힘으로 제압하려 한다. 그러나 다키니도 힘으로는 지지 않았다. 오히려 사이고의 손을 맞잡고 찍어누르는데 힘에서 밀린 사이고가 머리로 들이받는데도 꿈쩍도 없다. 한계까지 밀리던 사이고의 왼팔 쪽에서 검붉은 핏줄기가 뿜어지는 듯 했으나...
          [[사카타 긴토키]]가 구원한다. 긴토키가 다키니의 오른팔을 후려쳐 부러뜨리면서 선혈이 낭자하다. 균형이 무너진 사이 긴토키와 사이고의 집중공격으로 다키니 사를 쓰러뜨린다.
          힘겹게 하나씩 처치하고 있지만 다키니의 사들은 만만한 상대가 아니다. 보통 천인 사는 무쌍하듯 처부수던 양이전쟁의 경험자들도 이들을 상대하는건 목숨을 걸어야할 판이다. 긴토키와 사이고는 이런 놈들이 마을로 몇 명이나 들어갔을지 셀 수도 없다고 우려한다. 이들은 무서진 문을 사수하며 더이상 마을로 진입되는 력이 없도록 저지할 생각이다. [[가구라]], [[시무라 신파치]], [[턱순이]]등도 최선을 다하지만 적들의 수가 줄지 않는다.
  • 은혼/621화 . . . . 6회 일치
          * 그런데 갑자기 건물 옥상이 무너지면서 소타츠를 비롯한 신라 사들이 추락한다.
          * 신라 부대의 [[소타츠]]는 옥상을 점거하고 [[시무라 타에]]를 비롯한 스마일 아가씨들을 인질로 잡는다. 소타츠는 다키니 대장 [[오우가이]]의 지휘는 전략적 목적을 도외시한 전쟁놀이에 지나지 않는다고 쓴소릴 한다. 그들의 목표는 어디까지나 '''네오암스트롱사이클론제트사이클론 겐가이포'''를 저지하고 나노머신 기를 무력화해 본대와 통신을 회복하는데 있었다.
          * 그 말이 당연하다고 받아치며 나타나는 [[혼죠 쿄시로]]와 "타카마가하라"의 호스트들. 이쪽 쓰지도 않던 안경을 끼고 인텔리인 척한다. 쿄시로는 자신이 저 대포를 만들었다며 자신을 데려가라고 한다. 그러면 나노 바이러스는 멈추겠지만 당신네 별의 여자들이 자기한테서 벗어나지 못하는 바이러스의 포로가 될 거라고 경고한다. 카츠오는 자신도 바이러스를 왕창 가지고 있다고 경쟁하듯 외치는데 쿄시로는 "당신이 가진건 그냥 성"이라고 단정한다. 카츠오는 "누가 완선이냐"고 반발하며 자신의 명을 만천하에 공개한다.
          신라 사들이 달려들던 위치가 무너지면서 주민들의 위기는 지나간다.
          * 옥상이 무너지면서 건물 안으로 떨어진 소타츠와 신라 사들. 그들 앞에 삿갓을 쓴 협객의 모습이 나타난다. 누구냐고 묻자 그는 삿갓을 벗어던진다. 그는 본래 에도의 가부키쵸 사람으로 속죄를 위해 여행하고 있었으나 고향이 그립고 친구의 약속이 마음에 걸려 돌아왔다.
  • 은혼/635화 . . . . 6회 일치
          * 야토족 용부대의 대장 "노사"는 일족 내에선 "장로"라 불리며 기공으로 가사상태를 반복해 200년 이상 살고 있는 괴물.
          * [[히라가 겐가이]]를 구하기 위해 단신으로 야토족 용 부대 사이로 뛰어들었던 [[가구라]]. 그러나 중과부적으로 위기에 처하고 위험한 순간 [[카무이(은혼)|카무이]]가 나타난다. 용부대의 지휘관 "노사"는 가구라가 지구인을 위해 헌신하는 걸 보고 "바보"라 비하하자 카무이는 적들을 날려보내고 "바보는 혼자가 아니다"고 말했다.
          같은 시각 우주에서는 [[엔죠]] 황자가 [[귀대]]의 함대와 교전 중. 함대의 수와 질은 단연 해방군이 우위였다. 그런데 우현에서 뜻밖의 공격이 직격한다. 당황하는 엔죠.
          * 카무이의 말처럼 전우주를 상대로 싸우러 온 하루사메 함대. 전 삼흉성 [[바토우]]와 [[사루가쿠]]가 카무이의 동지로서 하루사메 잔당을 규합, 귀대를 지원하러 온 것이다. 이들의 도착 소식에 [[다카스기 신스케]]는 "꽤 늦었다"며 쓴소릴 날리지만 바토우는 늦은 만큼 매꿔주겠다고 대꾸한다. 작전방침 상의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늦었다는데. 그들의 대장이 총대장인 주제에 곧 날아가버릴 지구로 내려가겠다고 고집을 부렸던 것이다. 어지간히 단세포인 사루가쿠도 두 손 들었다며 "대장이 당하기 전에 해방군을 처리한다"고 최종적으로 결정. 무엇보다 카무이는 그 지구에 해방군 전체보다 위험한 놈이 있다고 강변했다 한다. 신스케가 그 말을 듣고 "해방군은 그냥 시작에 불과하다"고 카무이의 말에 맞장구를 치자 사루가쿠는 자기도 내려가 볼걸 그랬다고 투덜거린다.
          * 그런 변신은 평범한 야토에게는 없는 기술이다. 단원들이 당황하자 아부토는 오래 전 들었던 정보를 언급하는데, 그 또한 야토의 전설적인 용으로 일명 "장로"라 불리는 자다. 기공의 달인으로 육체를 자유자재로 가사상태로 만들고 활성화시키는 기술을 가지고 있다. 그런 방식으로 긴 수명을 손에 넣은 그는 무려 200년 이상 전장에서 모습을 비추고 있었다. 그야말로 야토의 산신령 같은 존재. 아부토의 설명이 끝나기 무섭게 노사가 달려든다. 그의 공격에 여러 야토가 단 번에 날아간다. 그는 젊고 강한 육체를 가지고도 거기엔 썩은 피가 흐르고 있다며 한탄한다.
  • 일곱개의 대죄/고서 외편 . . . . 6회 일치
          * 하필이면 그 장면이 경비들에게 발각, 고서는 공주를 능욕하고 시해했다는 "색욕의 죄"를 뒤집어 쓰고 화형에 처해진다.
          나자가 그렇게 말하자 바트라는 커튼을 향해서 "그렇다고 합니다"라고 신호를 준다. 그러자 커튼 뒤에 숨어있던 고서가 모습을 드러내는데... 메이드차림이다. 바트라는 사들 눈도 있으니 이렇게 하는 쪽이 눈에 덜 뛰고 좋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하지만 나자는 고서에게 이상한 버릇이 들면 어쩔 거냐고 따진다. 아무튼 고서는 나자를 끌어안으며 미움 받지 않아서 다행이라고 기뻐한다. 이건 멜도르 이야기에서 공주가 일어났을 때 멜도르가 껴안아 준 것을 따라한 것이다. 나자는 동생의 눈을 의식해서 얼른 떼어놓지만 어쨌든 자신이 고서를 싫어하게 될 일은 없을 거라고 확언해준다.
          하루는 나자가 고서에게 새로운 선물을 줬다. 부왕이 젊은 시절 입던 곳인데 이걸 차려입은 고서는 정말로 이야기 속의 멜도르처럼 보였다.
          고서의 고함소리는 방 바깥까지 울러펴진다. 경비들이 공주의 방에서 수상한 소음이 발생한걸 감지한다. 그들이 다가오고 있었지만 고서는 모르는지, 아는데 무시하는 건지 알 수 없다. 그에게 중요한 문제는 한 가지다.
          경비들이 문을 열었을 때, 방 안의 풍경은 참혹했다. 그들은 공주의 메이드가, 피투성이가 된 공주를 침대 위에 눕혀두고 있는 것을 보았다. 그들에겐 메이드가 공주를 능욕하고 시해한 걸로 밖에는 보이지 않았다.
          * 고서의 "이식"은 실패했다. 자신에게 마음과 인간성을 준 심장은 그녀의 안에서 아무 작동도 하지 않았다. 그는 경비이 온 것도 모른 채로 망연자실하게 중얼거린다.
  • 전국 BASARA . . . . 6회 일치
          이름이 붙어있는 무장들. 무장이 없을시 근처에 있는 사들이 겁에 질려 도망가거나 주저앉는다. 도망가는 사들은 한번에 쓰러뜨릴 수 있다. 극소수의 등장인물만이 모델링이 있으며 나머지는 그냥 모델링 돌려쓰기다.
          * 궁
          줄지어서 활을 쏘는 사. 화살은 포물선으로 나간다.
          * 철구
          * 기
  • 진격의 거인/85화 . . . . 6회 일치
          * 조사단은 벽 위에 모인 9명이 생존자 전원이며 시간시나구의 벽은 막았지만 라이너와 짐승거인은 도주, 베르톨트는 포획했다.
          * 단의 수뇌들은 엘빈이 남긴 "어떤 의문"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 그때 조사단의 귀환 소식이 들려온다.
          * 그러나 시민들의 환호와는 별개로, 귀환한 조사단 생존자들의 모습은 어두워버리는데.
          * 베르톨트는 벽 안 인류를 "악마의 자식들"이라 불렀고 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짐승거인 또한 차이는 없는 듯. 따라서 바깥 인류와 벽 안 인류는 적대관계로 추정할 수 있다.
          * 레이스 왕가와 그를 추종하는 인류는 과거 "악마"라고 불릴 법한 어떤 죄를 저지르고 벽 안까지 도망쳐야 했던 것.
  • 창작:왕국 . . . . 6회 일치
         || 최초작성자 || 노숙아리 ||
         여러가지 이유로 국왕의 통치에 반대하는 자가 소수 존재한다. "반국가주의자"라고 불리는 이들 중에는 과격한 행동 양상을 보이는 자들도 있기 때문에 국가의 적으로 여겨진다. 그렇기때문에 "반국가주의자"로써의 의견을 내는 자는 방첩기관과 경찰, 국가헌대에 의해 제재된다.
         심각한 인구 부족 현상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에 노동력을 어떻게든 수입해오려고 하는 편. 이 때문에 다민족 국가의 면모를 보인다. 이에 반대하는 왕국인들도 존재하며, 과격파의 경우에는 총기를 들고 이민족을 사냥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에는 방첩기관과 경찰, 국가헌대에 의해 제재된다.
         전체적인 외교관계는 왕따. 한때 플라흐란트 왕국과 리자 연방이라는 동맹국이 있었지만 플라흐란트 왕국은 연합에게 합당했고, 리자 연방과는 점점 서먹서먹해지는 중.
         징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18세 이상의 남녀가 징집된다. 군복무 기간은 3년. 자신이 동성애자임을 증명하면 군복무에서 면제된다.
         인력 부족으로 인해 외인부대나 용의 비율이 높다. 사발타에게 자금을 지원하는 댓가로 사발타 정규군을 대여중이며, 망한세계 사람들 상대로도 여러가지 혜택을 언급하며 외인부대 입대를 권유하고 있다.
  • 콩고(소설) . . . . 6회 일치
         그렇지 않아도 일본과 유럽 합작 기업의 탐사대가 추격 중이라 바짝 긴장한 연구소는 급히 과학자 카렌 로스를 팀장으로 삼아 소규모 탐사대를 재차 투입한다. [* 이렇게 급하게 탐사대를 다시 꾸린 건 경쟁 기업의 추격도 있었지만 해당 지역이 정부군과 식인종 키가니족이 내전 중이라 어렵게 따낸 탐사 허가를 또다시 따낼 틈이 없어 일단 탐사대의 전멸은 비밀로 한채 새로운 탐사대를 투입하는 걸 들키기 전에 얼른 투입시키기 위해 서둘렀다.] 영상에 집힌 고릴라의 이미지 때문에 영장류 전문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카렌은 수화를 할 줄 아는 [[고릴라]] 에이미와 그녀를 돌보는 동물학자 피터 엘리어트, 아프리카의 백인 용 찰스 먼로 등이 이끄는 탐험대가 자이르 정글 깊숙한 곳으로 잃어버린 전설의 다이아몬드 광산도시 진즈(Zinj)를 찾는 모험이 중심 소재이다. 마치 전형적인 모험 소설 같지만, 탐험의 주체가 현대적인 광산 기업이거나, 위성으로 연락, 데이터를 컴퓨터로 분석하거나 NASA에서 개발된 탐험 장비를 사용하는 등 상당히 현대적인 가제트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정글에 투입시 지대공 미사일의 공격을 시작으로 식인종의 식인 행위를 목격하고[* 창칼로 무장한 원시인 수준이긴 했지만 너무 호전적이라 닳고닳은 용인 먼로도 경계할 정도였다. 그렇다고 정부군이 멀쩡한 건 아니라 수틀리면 간빼먹는 건 일도 아니게 생각할 사들이 그득하다고.] 하마의 공격에 혼쭐나기도 하고 피그미족에게 구출된 1차 탐사대원도 만난다.[* 너무 큰 충격을 받아 한마디도 못하는 폐인이 된 상태였지만 에이미의 냄새를 맡자 극도로 흥분한다. 이들이 당했던 일과 앞으로 벌어질 일에 대한 복선.] 일본, 독일, 네덜란드의 합작 기업을 추격하지만 결국 그들이 먼저 도착했다는 연구소의 소식에 좌절하고 일단 가는데까지 가보자며 털레털레 가지만 정작 추락한 합작 기업의 수송기에 실린 물자는 그대로고 곧이어 찾은 합작 기업의 탐사대 캠프 역시 전멸당한 상태였다.
         영장류 연구가. 동물학자. 에이미에게 [[수화]]를 가르쳤다. 에이미가 그린 꿈 속의 도시와, 아랍인들의 그림으로 그려진 진즈가 기묘하게 일치하는 것을 보고 흥미를 느껴, 에이미를 고향에 데려가보는 것을 목적으로 탐험에 나서게 된다. 진즈에서 회색 고릴라들과 만나게 되자 본래 목적을 잃고 회색 고릴라를 고릴라 엘리어트네스라고 이름 붙이고 신종임을 입증하는데 열중하기도 한다.
         아프리카 출신 백인 [[용]]. 일명 캡틴 먼로. 탐험의 무력을 책임진다. 의외로 에이미와 사이가 좋은데 고릴라 취급 안하고 평범한 10대 여자애들처럼 대하기 때문. 인정도 많아서 피그미 마을에 낙오된 백인이 있다는 말을 듣고 일정이 촉박한 와중에도 도와주려 나섰다. 이때 카렌이 시간 없다며 반대하는데 극중 먼로가 유일하게 화낼 때가 이때였다. 이후 그 백인이 먼저 투입됐던 탐사대원이라는 걸 알고 카렌도 군말 없어디긴 하지만.
         정글에 묻혀 있는 고대도시 진즈의 잔해에 거주하는 회색 [[고릴라]]. 평범한 고릴라가 아닌 신종으로서, 현재는 사라진 진즈의 주민들에게 경비으로 훈련되어 있다. 언듯 보기에는 평범한 고릴라지만, 털 색이 회색이며 평범한 고릴라와는 해부학적 특징이 다르고, 독자적인 언어를 사용하기도 하는 등 지적인 생물이다. 다만 얌전한 초식동물인 고릴라와는 달리 흉폭성도 높아서 위험한 생물이다.
  • 킹덤/515화 . . . . 6회 일치
          * [[이목(킹덤)|이목]]이 왕도권에 도착하기 전 삼 일동안 모든 소도시를 공략하기로 하고 력을 나눠 출발시킨다.
          창평군은 사전에 언질하길, 만약 수뇌부가 사전에 세운 계획이 어그러진다면 왕전 개인의 독단으로 움직여도 좋다고 허가했다. 즉 왕전이 이렇게 나온다는건 본래 계획을 버리고 왕전 개인의 판단으로 진로를 바꿨다는 얘기가 된다. 분명 그들에게 열미를 방어하지 못할 사정이 생겼을 것이다. 그런데 왜 왕도권으로 진입했을까? 창문군은 그 점을 납득하지 못한다. 사정이 그렇게 됐으면 당장 군을 물려서 돌아와야 할 일이다. 연합군의 량이 떨어질게 불보듯 뻔하니까. 창문군은 어전에도 탁자를 내려칠 정도로 분개해하는데 누구 하나 말리지도 해석을 내놓지도 못한다.
          다시 창평군은 진군의 보다 정확한 동향을 묻는다. 보고자는 [[양단화]]의 산민군 5만이 [[공손룡]]군 9만과 대치하면서 본대의 방패역을 하고 있다는 것, 본대는 그대로 진격 중이라는 사실을 전한다. 창면군은 그래서 본대는 업과 얼마나 떨어진 곳에 있냐고 묻는데, 보고자는 머뭇거리며 "업으로 가지 않고 근처 소도시 오다로 갔다"는 뜻밖의 사실을 전한다. 이것은 앞선 보고보다 더 말이 안 되는 소리다. 량이 문제라면 서둘러 업으로 갈 일이다. 고로 량 때문은 아니다. 누구하나 짐작가는 바도 나오지 않는 가운데, 답답해진 진왕이 창평군에게 뭐가 어찌된 일이냐고 대답을 재촉한다. 하지만 그 창평군도 지도 위에 놓인 말들을 지그시 쳐다볼 뿐, 대답이 떠오르지 않는다.
          상식적이다. 특히 지금 양단화군이 본대의 방패막이 되기 위해 공손룡의 9만 력과 싸우고 있다. 이신은 그들을 봐서라도 빨리 진군하자고 성화다. 낙화대의 [[몽념]]은 저렇게 직설을 퍼붓는게 "바보의 특권"이라면서도 모두가 묻고 싶어하던 말임은 부정하지 못한다.
          * 그때 열미로부터 급보가 날아온다. 열미는 진군의 깃발만 올려뒀을 뿐 력은 남기지 않은 상태였다. 태향산맥을 타고 내려온 조군 5만은 열미로 무혈입성, 진군의 퇴로를 틀어막았다.
  • 킹덤/520화 . . . . 6회 일치
          * 기수는 진격 중 낙화대의 력이 절반으로 줄었단 첩보를 받고 주춤하는데 때마침 군의 우측에서 몽념이 이끄는 기마대의 습격을 받는다.
          * [[이목(킹덤)|이목]]과 [[왕전(킹덤)|왕전]]의 결전은 주해평원에서 이루어졌다. 조군 12만 대 진군 8만 8천. 력만 놓고 보면 조군이 유리하나 쉽게 계산할 일은 아니다. 정석적으로 균형감있게 포진한 조군과 달리 진군은 좌익을 거의 비워놓는 묘한 포진을 했다.
          * 진군의 포진은 조군 진영에서도 많은 추측을 낳았다. 우선 중앙의 포진. 비신대를 뒤로 빼서 앞뒤로 긴 배치는 중앙의 전체 력수를 파악하기 어렵게 했다. 약 5만 이상이라는 애매한 수치가 보고됐다. 그리고 역시나 이해불가한 좌측. [[몽념(킹덤)|몽념]]의 낙화대 5천이 있을 뿐이다. 장교들은 잘못된 보고가 아닌지 거듭 확인한다. [[요운]]은 별다른 의심없이 첩보를 믿는다. 그러면서 왕전이 신중한 남자일 줄 알았는데 의외로 대담하다고 평한다. 이목도 같은 의견이다. 지금 왕전은 명백히 수작을 부리고 있다. 왕전의 의도는 이렇다. 전쟁에서 각자 싸우기 쉬운 국면을 고르는게 필연. 좌익에 고작 5천을 뒀다는건 도발에 가깝다. 즉 "우익으로 여길 치면 된다"고 권하는 거나 마찬가지. 따라서 이목은 두 가지 선택지가 있다. 그 도발에 응해 조군 우익 [[기수]]의 3만 력으로 진 좌익을 칠 것인가, 아니면 뻔한 함정을 피해서 다른 곳부터 시작할 것인가.
          * 몽념의 기마대였다. 몽념은 선두에서 직접 조군 보대를 친다. 예측하지 못한 기습으로 보대 상당수가 무방비하게 도륙난다. 기수의 대응은 빨랐다. [[황각]]에게 기마 2천을 줘서 요격하게 보낸다. 조군의 기마대가 빠른 속도로 접근하자 몽념은 공격을 멈추고 미련없이 돌아선다.
  • 킹덤/525화 . . . . 6회 일치
          * 아광군을 한 번의 돌격으로 막아세웠던 마남자는 자신도 같은 처지에 처했다. 그들이 아광군을 한참 몰아세우던 사이 옥봉대가 우측을 깊게 찔러 들어오자 부대가 앞뒤로 분단되고 마남자도 고립됐다. 이윽고 이쪽을 노리고 달려오는 적 기대의 선두가 보였다. 깃발의 숫자를 보면 적장. 상황이 숨가쁘게 변하고 있었고 결코 유리하지 않았으나 마남자는 어찌된 일인지 미소를 머금었다.
          후위에 있는 사들은 마남자를 고립시키지 않기 위해 사력을 다했으나 왕분이 펼치는 창술 앞에 부질없이 목숨을 잃었다. 옥봉대의 공격이 쐐기처럼 박히고 상황이 난전으로 전환됐다. 왕분은 현장을 [[관상]]에게 맡겼다. 이대로 적의 후위가 올라오는걸 막고 적장의 고립 상태를 유지한다. 그동안 자신은 직접 적장의 목을 취할 것이다. 관상은 이 같은 지시에 별 반대 없이 무운을 빌었다. 그리고 [[영강]]에게 부탁에 왕분의 호위를 맡겼다. 늘 한 마디씩 토를 달던 관상이었다. 아무 반대도 없어 미심쩍기도 했으나 왕분은 깊게 생각하지 않고 곧 [[반양]]과 함께 출발했다.
          * 마남자가 휘두르는 한 칼이 전방의 사들을 반으로 갈랐다. 영강은 철구를 들어 재빠르게 막았지만 힘에서 밀려났다. 영강은 무기가 부러졌지만 낙마했을 뿐 경상에 그쳤다. 옥봉대 사들의 떨어져 나간 몸뚱이가 흩날렸고 돌격은 저지됐다. 사들이 왕분을 지키려고 모여드는 동안 왕분은 죽은 부하들의 시체에서 눈을 떼지 못했다.
          * 마침내 왕분과 마주한 조군 우익 삼장 중 하나 마남자. 열세에 처한 장수라고 볼 수 없는 기백이 흘러넘쳤다. 마치 이쪽을 몰아붙이고 있었던 양 당당하게 자신의 이름을 밝히는 마남자. 여전히 적진 한가운데에 있는데도 진군 사들은 [[몽무]] 장군에 비견되는 체구에 압도되고 있었다. 반양은 그가 삼장 중 하나면서도 직접 왕분을 치러 왔다는 점에 놀라고 있었다.
  • 킹덤/529화 . . . . 6회 일치
          * 견융족의 등장으로 요양의 싸움이 크게 바뀐다. 조군에겐 악몽 같았던 산민족 사들이 먼 친척 상대로는 별 힘을 쓰지 못했다. 밀려드는 견융족 사들 앞에 진영이 무너진다. [[벽(킹덤)|벽]]은 전열을 유지하길 포기하고 [[양단화]]에게 퇴각을 권했다. 일단 한 발 빼서 재정비해야 했다. 양단화로선 불쾌하지만 구너유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전군퇴각.
          * 견융왕 [[로조]]는 상황을 아주 쉽게 봤다. 산민족 진영은 속절없이 무너지고 있었고 그의 사들은 거침없이 그들을 분쇄했다. 견융의 영역을 침범한 벌, 로조가 그렇게 중얼거렸다. 그는 조군 지휘관 [[순수수]]를 향해 이제부터 산민족군 후미를 쳐서 절반을 몰살시키겠다고 장담했다.
          벽에겐 무모한 돌진으로 보였다. 전술의 기본은 무시하는 공격이었다. 곧 언덕의 견융족 기마대가 양단화를 향해 치닫기 시작했다. 벽은 끔찍한 결과가 나오리라 짐작했다. 그리고 잠시 뒤 끔찍한 결과는 견융족에게 일어났다. 보란 듯한 정면돌파. 양단화는 강했다. 그녀의 용기가 해냈다. 고지를 점한 군대가 유리하다는 법의 기본이 그녀에게는 통용되지 않는 듯 했다. 양단화가 선두에서 견융족을 난도질하며 고지를 빼앗았다. 바로 뒤에는 전원 여성으로 구성된 메라 족 기마대가 뒤따르고 있었다. 그 중 하나가 가면을 벗으며 견융 같은 낡아빠진 기마민족에게 개차반으론 당할 수 없었다고 빈정거렸다. 그말대로 이루어졌다.
          로조의 예측대로 진행됐다. 양단화는 퇴각하기 위해 산등성이를 따낸게 아니었다. 이곳은 반격의 거점이었다. 양단화는 직접 콘 족의 군기을 통솔해 산 아래를 향해 일제오사를 명령했다. 궁사들이 한 번에 화살을 다섯 개씩 죄었다. 비처럼 쏟아지는 화살. 밑에서 한창 열을 올리던 견융족은 불현듯이 쏟아지는 궁시로 쓸려나갔다. 당황한 견융족 기마대가 고지를 탈환하고자 달려들었지만 이는 기다렸던 바. 양단화는 다시 선두에 서서 이번엔 산 아래로 들이쳐갔다. 한순간도 버티지 못하는
          * 좌익의 싸움이 무르익었다. 작고 높은 언덕을 낀 [[기수(킹덤)|기수]]군과 그걸 밀어내려는 [[마광]]군의 싸움. 마광은 하료초의 예상보다도 더 강한 기세로 적을 밀어냈다. 마광은 기수의 본군을 함락시킬 때까지 사들을 쉬지 않고 몰아붙였다. 이신은 그 기세를 보고 과연 왕전 장군의 2장을 맡을 만하다고 감탄했다.
  • 토리코/366화 . . . . 6회 일치
          * 지로는 100% 파워를 해방하고 블루 니트로는 '''"죽일 수 없다면 조리한다"'''면서 따개를 준비한다.
          * 지로 앞에서 '''황금식기'''를 꺼낸 블루 니트로는 갑자기 자신들은 "구르메 세포의 악마"라며 설명을 시작한다.
          * 구르메 세포의 악마들은 번식력도 무엇도 없지만 죽지 않으며 죽어도 부활하는 존재.
          * 원래 '''구르메 세포의 악마에겐 "데빌, 오거, 사탄" 등의 형태'''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번성한 것이 자신들 '''"트롤"'''형.
          * 니트로들이 자신들의 내력을 소개하면서 구르메의 악마는 "트롤", "데빌", "사탄", "오거"등 다양한 종류가 있음을 밝혔다.
          * "데빌"은 코코와 제브라의 악마가 각각 "포이즌 데빌"과 "사운드 데빌"로 명명됐으니 이쪽일 듯.
  • 토리코/396화 . . . . 6회 일치
          * 토리코는 1화에서 처럼 낚시를 하며 코마츠에게 두 식욕의 악마와 나눈 이야기를 들려준다.
          * 모든 것이 끝난 후. 토리코는 식재를 쌓아놓고 청귀, 백귀와 둘러앉아 있다. 그는 두 식욕의 악마가 하는 이야기를 즐겁게 듣고 있는데.
          * 이런 소식을 들은 토리코는 자기 내면에 남은 두 악마에게 물어봤다고 한다. 그랬더니 그들이 여러가지 사실을 알려주었다. 우선 "가장 끝의 땅"이라는, 미식의 원류와도 같은 곳을 알려준다. 미식의 신이라 부를 민족이 살던 곳으로 이곳에서 식욕 인플레이션이 일어나 구루메 에너지가 폭발을 일으킨데 139억년 전의 "구르메 빅뱅"이다.
          이 가족들의 색이 각 우주의 색이 된 것으로 아버지가 흑, 어머니가 백, 장남이 적, 차남이 녹, 막내가 청색이다. 코마츠는 아카시아의 가족들가 닮았다고 말하는데 실제로 아버지인 아카시아의 구르메 세포의 악마 네오는 "검정" 세포를 가지고 있었다. 어머니 플로제는 "백색"이었을 거라고 추론. 그런 코마츠의 말을 듣자 토리코도 그럼 이치류 회장은 적색이고 지로는 녹색이었을까 하고 생각한다. 하지만 지로에게 구르메 세포의 악마가 있었는지 어땠는지는 추측하지 못한다. 어쨌든 그의 손자인 텟페이의 머리는 녹색인데, 그게 격세유전일지도 모른다고 말한다. 미도라가 청색인지는 모르겠지만 그럴 듯하다고 말하고 참고로 자신의 세 번째 악마는 백색이라고 첨언한다.
  • 페어리 테일/515화 . . . . 6회 일치
          * 모든 명예와 인권을 빼앗긴 아이린은 비참한 상황 속에서도 뱃속의 [[엘자 스칼렛]]을 지키며 버틴다.
          * 그러나 장군은 끝내 아이린을 처형하려 들고 뱃속의 아이까지 살해하려 하자 아이린은 완전히 용화해서 그 나라를 멸망시켜 버린다.
          그 뒤 죄수가 된 아이린의 생활은 비참했다. 모진 고문과 학대, 대중들 앞에서 치욕을 당하는 등 이루 말 할 수 없는 세월이었다. 그 와중에도 용화는 끊임없이 진행되었고 이젠 거의 전신이 용의 비늘로 덮인다. 지옥같은 생활을 그녀는 뱃속의 아이를 지킨다는 일념으로 버텨내고 있었다.
          * 어느날 장군이 그녀가 있는 감옥에 나타난다. 그는 아이린의 처형이 결정되었다는 소식을 전할 뿐 어떤 동정의 빛도 띄지 않는다. 아이린은 뱃속의 아이만은 살려달라고 애원하지만 장군은 "3년이나 태어나지 않는 아이가 어디있냐"며 헛소리 취급한다. 그건 아이린이 이런 환경에서 아이를 낳을 수 없어 마법으로 지연시키고 있는 거지만 그런 해명도 장군에겐 용납할 수가 없다.
          때아닌 소란에 사들이 달려오지만 그들이 본 건 드래곤으로 변한 아이린의 모습. 아이린은 포효 한 방으로 그 나라를 멸망시키며 하늘로 날아오른다.
          * 그녀는 뱃속의 아이를 "인간의 아이"로 낳고 싶었다고 중얼거린다. 그런데, 그런 그녀에게 무서운 생각 하나가 스쳐간다. 그녀의 뱃속에 있는건 분명 "인간". 분명 "인간의 몸"이다.
  • 페이데이: 더 하이스트/하이스트 . . . . 6회 일치
         머키워터 용단이 수송 중인 금괴운반차를 습격해 금괴를 컨테이너로 빼돌리는 하이스트.
          포크레인이 금괴운반차를 도로 옆 낭떠러지로 밀쳐버렸다. 옆건물 비상계단, 포크레인 옆 계단을 타고 내려와 도살장 건물에 들어가자. 머키워터 용이 강하니 주의. 도살장 안에 있는 경비 두명을 처리하면 천장에 박힌 금괴 운반차가 보일 것이다. 기습 때 운반차를 쏘지 않았다면 운반차의 뒷쪽이 밑으로 가있다. 이 경우 뒷문에 C4를 설치해 금고를 떨어뜨려야 한다. 운반차를 쏘았다면 운반차의 앞쪽이 밑으로 가있다. 이 경우 전선을 쏴 운반차를 떨어뜨린 후, 뒷문에 C4를 설치해 금고를 꺼내야 한다. 전선을 쏘지 않고 오랫동안 기다려도 운반차가 떨어지지만 시간이 오래 걸린다. 가끔씩 차량 안에 불도저가 들어있는 경우가 있다.
         머시 원을 습격, 희귀을 앓고 있는 환자의 혈액을 채취하는 하이스트.
         >오후 8시 24분, 머시 원 - 격리
  • Hanging On The Old Barbed Wire . . . . 5회 일치
         [[제1차 세계대전]] 당시 불려진 노래. 영국군 사이에서 구전 가요스럽게 불려졌다. 그 덕택에 여러 버전의 가사가 있지만 내용은 비슷하다. 누구(주로 간부)는 놀고있는데 누구(주로 사)는 가시 철조망에 걸려죽어 있다는 내용.
         Drinking all the company rum||[[장]]을 찾고 있다면
         [[장]]을 찾고 있다면
         Hanging on the old barbed wire || [[이]]을 찾고 있다면
         [[이]]을 찾고 있다면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30화 . . . . 5회 일치
          한 가지 이상한건 강도단 쪽. 분명 엉망진창으로 당했는데 검거되고 난 뒤에는 상처 하나 없이 멀끔한 모습. 오히려 지으로 가지고 있던 충치나 류머티스 같은게 깨끗히 나아서 건강해져 버렸다. 이 모든게 오버홀이 가진 "개성"의 힘으로 보이지만 구체적인건 알 수 없으며 사상자 없이 강도단을 제압했으므로 죄를 추궁할 수도 없었다.
          * [[미네타 미노루]]는 미도리야에게 인턴활동이 어땠냐고 물으며 야한 여성 히어로는 없었냐는 흑심 가득한 질문을 던진다. [[아시도 미나]]가 은근슬쩍 끼어든다. 바쿠고는 자기가 뒤떨어진 분야의 이야기가 나오는걸 적으로 기피한다. 반은 언제나처럼 부산스럽지만 미도리야는 붕 뜬 것처럼 현실감이 없다. 수업 중에도 초조함이 더해져 집중이 되지 않고 평소에 하지 않던 실수를 연발한다. 그러다가 결국 [[아이자와 쇼타]]에게 쓴소릴 듣기도 한다.
          나이트아이는 아직 상에서 일어나지도 못한 올마이트가 억지로 사람들을 구하러 나서자 그렇게 말했다. [[리커버리 걸]]의 원. 올 포 원과 격전 직후였다. 그 자리엔 [[네즈]]와 리커버리 걸, [[그랜토리노(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그랜토리노]]도 있었다.
          나이트아이는 올마이트를 돕기 위해 여기있는 거라 강변한다. 하지만 올마이트는 "나는 세상을 위해 여기 있으면 안 된다"고 받아치며 끝끝내 발걸음을 실로 돌리지 않는다. 결국 나이트아이는 자신이 본 끔찍한 미래에 대해 털어놓고 만다.
  • 바키도/134화 . . . . 5회 일치
          * 힘겹게 승리했지만 만신창이가 된 모토베 이조. 한마 바키가 문온다.
          * 무사시를 상대로 천신만고 끝에 승리를 쟁취했지만 모토베 이조는 심각한 부상으로 원행이 된다. 장소는 시노기 쿠레하 선생이 근무하는 원. 무사한건 오른팔 뿐인데 그나마도 여유롭게 움직이진 못하는 것 같다.
          한마 바키가 문온다. 바키는 모토베에게 용서를 구하며 "지키고 싶다"는 말을 비웃고 모욕적으로 여긴 일을 반성한다.
          * 그때 실문이 열리며 닥터 쿠레하가 들어온다. 밖에서 듣고 있었는지 모토베가 거명한 것 중에 자기도 있어 한시름 놨다고 농담을 던진다. 그는 마침 무사시에 대해 중요한 소식을 가져왔는데, 무슨 일인지 그가 TV에 나오고 있다는데.
  • 바키도/140화 . . . . 5회 일치
          * 경찰 력에 포위된 [[미야모토 무사시(그래플러 바키)|무사시]].
          * 전광석화 같은 솜씨로 총을 든 경관을 가장 먼저 무력화시키고 밀려드는 력도 하나둘 박살. 현장엔 오오츠카 헤이베만 남는다.
          * 경쳘력과 대치하게 된 [[미야모토 무사시(그래플러 바키)|무사시]]. 숫자는 경찰이 많지만 무사시의 범상치 않은 기세에 위축되어 쉽게 달려들지 못한다.
          * 눈의 상처를 지혈한 오오츠카는 정신을 차리고 상황을 살펴본다. 이미 무사시가 력들을 쓰러뜨린 채 오오츠카 앞에 버티고 있다. 훗날 그는 다른 이에게 이 사건을 증언한다. 이때 무사시를 상대했던 경찰들은 한결 같이 "목이 날아갔다"고 증언했다. 하지만 그때까지도 무사시는 칼 한 번 뽑지 않았다. 그렇게 되는 건 좀 더 뒤의 일.
          * 좌우간 그 뒤에도 "포획"은 계속된다. 그러나 건장한 경찰 여섯이 한 꺼번에 덤비는 것도 전혀 상대가 되지 못한다. 분명 단단히 포위한 채 사방에서 달려들었는데, 막상 상대하게 되면 아군이 시야를 가리고 장애물이 되어 접근할 수 없고 무사시와 대면하게 되면 언제나 1대1. 오오츠카는 자신이 본 사실과 그들의 증언을 모두 전하며 그것이 당대에서 말하던 "법"이라고 말한다. 이제 경시청에선 그걸 의심하는 사람은 한 사람도 없다는데.
  • 베를린 보병여단 . . . . 5회 일치
         [[냉전]] 시기 [[영국군]]에 존재하던 부대. 사실 "베를린 보여단"은 냉전이 끝날 때의 부대명이었고, 그 전에는 "베를린 야전군"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이름 그대로 베를린, 그 중에서도 서방 국가들의 구역이었던 서베를린에 주둔하는 부대이다. 주요 부대로는 1989년 기준으로 세개 [[기계화보]] 대대와 [[치프틴 전차]]를 운용하는 한개 기갑 대대가 있었다. 이외에 방공부대, 공부대, 헌부대와 같은 지원 부대가 있었다. 항공 전력으로는 헬리콥터와 훈련기가 있었는데, 이 중 훈련기는 주독소련군과 연락하는데 사용되었다.
         베를린 보여단 소속 차량들은 사각사각한 흰색-회색-갈색 위장무늬를 사용했다. 아마 시가전용 위장이었겠지만 아무리봐도 누더기나 레고 블록 쌓아둔 것 같다. 구글에 Berlin Brigade Camo라고 치면 이미지 나오니 알아서 찾아봐라.
  • 보루토/6화 . . . . 5회 일치
          * 우즈마키 보루토는 원에서 깨어나 아버지는 납치 당하고 어머니는 그걸 막다 적에게 당했다는걸 알고 자괴감에 빠진다.
          * 정신을 차려보니 원. 보루토는 도중에 정신을 잃었다.
          * 우즈마키 히나타는 옆 상에서 치료 중. 우치하 사쿠라의 치료를 받고 있다.
          * 히마와리는 상 곁에서 어머니를 지켜보고 있다.
          * 실에 있는걸 견디지 못하고 바깥으로 뛰쳐나가는데, 그러다 바닥에 놓인 구급상자에 발이 걸려 넘어진다.
  • 북유럽 신화 . . . . 5회 일치
         북유럽 신화는 게르만 민족에 널리 퍼져 있었으나, [[기독교]]의 전파와 함께 게르만 전통 종교가 [[악마]] 숭배 등으로 몰려서 박해를 받자 점차 사라지게 된다. 기독교가 사회를 지배하게 된 뒤에는 언어, 문화적으로 흔적만 남았다. 오랫동안 묻혀 있다가 근대 [[민족주의]]가 발흥하자, [[독일]], [[스웨덴]] 등의 게르만 계열 민족 국가에서는 민족 정체성 찾기의 일환으로서 북유럽 신화를 다시 연구하게 되었다.
          * [[오딘]] : [[주신]]이자 만악의 근원(…). 말로는 톱인데 온갖 악행을 저질러서 매우 정떨어지는 신. 기독교 도래 이후에는 [[악마]]라고 여겨졌는데 하는 짓을 보면 당연하다 싶다.
         === 괴물, 악마 ===
          * 묘르닐 : 토르가 쓰는 [[망치]]. "뮬니르"라고도 한다. 토르의 [[번개]]를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신화 내내 '''궁극최악살육기'''로서 온갖 괴물과 적들 (주로 요툰의) 골통을 부수는데 사용된다. 정타를 맞으면 어떤 괴물이라도 일격에 헬님 곁으로 퇴장하는 무시무시한 기. 본래 손잡이가 짧다는 결함이 있어 셋트가 되는 쇠장갑이 없으면 토르도 제대로 쓸 수 없지만 이 점은 많은 대중문화에서 폼이 안 난다고 생각했는지 무시된다.
  • 어쌔신 크리드 III/아이템 . . . . 5회 일치
         이걸로 적을 잡으면 죽지 않고 바닥에 누워 끙끙거린다. 설마 아무것도 모르는 경비을 붙잡아 보스턴 돌바닥에 [[파일 드라이버]]를 먹여도. 이 때문에 완전 동기화 과제로 살해 제한이 걸린 임무에서 사용된다.
         정찰이 들고 나온다.
         정찰이 들고 나온다.
         커다란 도끼. 척탄이 들고 나온다.
          사들이 들고 다니거나 가지런히 배치되어있는 총. 전투중에 잠깐 주워 쓸 수는 있지만 소지할 수는 없다.
  • 우츠미 사토루 . . . . 5회 일치
         도쿄경찰원(東京警察病院) 소화기내과 근무
         우시쿠아이치 종합원(牛久愛和総合病院) 내과 한방과 근무
          * 난치, 교원, 알레르기, 아토피 등에 대해서 스테로이드와 면역억제제 등의 치료 중지를 요구한다.
          * '''[[백신]]은 전혀 효과가 없다. 오히려 질이 늘어난다.'''
  • 원피스/852화 . . . . 5회 일치
          * 레이쥬는 상디에게 출생에 대한 진실을 알려주는데 그들의 어머니는 [[빈스모크 저지]]의 계획에 반대했고 아이들이 감정없는 기로 태어나길 원치 않았다.
          * 홀 케이크 성의 의료실에서는 의사가 [[빈스모크 레이쥬]]를 치료하고 있다. 사실 그녀는 개조인간이라 괴물같은 자연치유력으로 벌써 상처가 아물고 있다. 의사는 안정을 취하면 내일 "다과회"에도 참석할 수 있겠다며 안심한다. 의사는 이 방은 경비에도 맡기고 자신은 4층의 또다른 의료실로 발길을 옮긴다. 경비가 혼자 남자 바깥에선 수상한 그림자가 접근하는데. 얼마 후 레이쥬가 상에서 눈을 뜬다.
          나미는 징베가 이 섬에 있는 까닭을 묻는데, 그는 덤덤하게 자신의 태양 해적단이 빅맘 산하에 들어갔으며 지금 자신의 행동은 "모반"에 해당한다고 말한다. 그러는 사이 성 내에는 죄수도서실의 파란이 전파되며 력들이 몰려온다. 루피는 전투의 상처가 회복되지 않은데다 공복까지 겹쳐 시들시들한데 [[샬롯 푸딩]]이 상디를 속이고 있는 걸 전해줘야 한다며 억지로 일어나 죄수도서실을 박차고 나선다. 징베와 나미는 성내엔 강자가 쫙 깔렸다고 말려보지만 소용이 없다.
          상디가 기억하는 어머니의 은 바로 그것의 영향. 어머니는 목숨을 바쳐 아들들을 구하려고 했지만 결국 상디의 형제들은 저지가 바라는 감정없는 인간으로 태어났다. 하지만 상디만큼은 그렇지 않았다. 어머니의 바람이 단 한 명에겐 이루어진 것이다.
          * 상디가 인간으로서 자라나고 있는 동안 어머니는 날로 쇠약해졌다. 상디는 자신이 봤던 어머니의 투이, 결국 자신 때문이었던 거냐고 묻는다. 하지만 레이쥬는 자기 탓이라고 생각하지 말라며 어머니는 상디가 "인간"으로 태어난 것을 진심으로 기뻐했고 자랑스러워했다. 하지만 저지는 이런 사실을 전혀 인정하지 않았고 어머니의 죽음도 상디의 탓이라고 여기기에 이르렀다.
  • 원피스/874화 . . . . 5회 일치
          * 빅맘 해적단은 [[샬롯 브륄레]]에게 미러 월드에 1만 력을 대기시켜 어디든 급습할 수 있게 하고 각 섬에서 차출된 해상력으로 남서쪽 해안도 봉쇄한다.
          * 다과회와 결혼식이 엉망이 되고 빈스모크 일가 암살도 실패, 고대해 마지 않았던 웨딩 케이크까지 엉망이 되어 먹을 수 없다. 숨가쁘게 이어진 기막힌 사건들 때문에 빅맘 [[샬롯 링링]]의 식탐이 폭주한다. 한때를 모면하기 위해 [[샬롯 페로스페로]]는 웨딩 케이크는 밀집모자 일당이 가져갔다는 거짓말을 하고, 빅맘은 그 말에 따라 직접 밀집모자 일당을 뒤쫓는다. 뇌운 "제우스"에 탄 빅맘은 놀라운 속도로 돌아와 "킹밤"을 타고 도주하던 밀집모자 일당을 따라잡았다. 역시 밀집모자 일당을 추격하던 빅맘 해적단의 력들은 빅맘이 하늘에서 나타나 자신들을 앞질러가자 이상하게 여기나 곧 그녀의 먹부림이 도진 것임을 알아차린다.
          밀집모자 추격을 맡은 [[샬롯 브륄레]]는 미러 월드로 1만의 력을 이동시켰다. 이제 거울이 설치된 곳이라면 어디든 기습할 수 있다. 거울 밖의 몬도르에게 그런 내용을 전하자 적당한 때를 알려주겠다고 대답한다. 이어서 몬도르는 해방력도 점검한다. 토트랜드의 초콜릿섬, 치즈섬, 너트섬에서 출동한 군함들로 남서쪽 해안을 봉쇄했다. 써니호의 출항을 허용하지 않을 작정이었다. 이들은 포위망의 제 1관문일 뿐. 그 뒤에는 플레버섬과 리큐르 섬에서 출동한 "타르트 쉽"이 준비하고 있다. 이들은 항구에서 대기하면서 정찰용인 "영역 해우"를 풀어서 감시망을 조였다.
  • 은혼/610화 . . . . 5회 일치
          * 네오암스트롱사이클론제트암스트롱 겐카이포가 발사된 직후부터 해방군의 모든 기계화 력이 정지된다. 이는 지상군만이 아니라 상공의 함대까지 겪는 현상. 통신조차 차단되고 함선들은 고도를 유지할 수도 없게 돼서 서서히 추락한다. 이것이 네오암스트롱사이클론제트암스트롱 겐카이포의 진짜 목적. 이것은 포격을 위한 대포가 아니라 기계를 죽이는 바이러스를 살포하는 나노머신 기였던 것이다.
          * 히라가 겐카이가 말한 "기계를 멈추는 기"란 것은 네오암스트롱사이클론제트암스트롱 겐카이포 자체를 말하는게 아니었다. 거기에 탑재되는 작은 "탄두" 쪽. 이것은 최첨단 나노머신으로 겐카이는 이것을 "벌"이란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 벌은 대포를 통해 대기중에 살포, 꽃가루처럼 퍼져나가 기계에 점착하면 탑재된 컴퓨터 바이러스를 심어서 시스템을 점거하고 자기자신을 "독침"으로 바꿔 회로를 파괴, 기계 자체를 말살해버리는 무서운 무기다.
          * 본래 천인의 기술을 해석해 만든 것으로 설사 해방군의 기라도 예외는 없으며 겐카이 영감은 "전장은 죽창을 들고 다니던 시절로 회귀한다"고 자신있게 말할 정도다. 다만 일시적으로 벌을 살포하는 것만으론 의미가 없고 실질적으론 이 나라 전역을 커버할 정도의 규모로, 그것도 장시간 동안 유지해야 해방군을 무력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한다면 자연히 이 에도에서 활동했던 모든 기계들까지 파괴해야 한다는 얘기가 된다. 겐카이 영감이 작전 시작 전에 타마에게 이야기하길 "인간이 살기 위해 너희를 버리는 것"이라 표현한다.
          * 거대 기동시 타케미카즈치가 추락, 지면에 처박힌다. 벌은 대기권을 뚫고 우주공간에 있던 해방군 본진에까지 영향을 미치며 그야말로 해방군 전체가 마비된다. 당황하는 원상 황자.
  • 은혼/613화 . . . . 5회 일치
          * 이마에 외설물을 달고 살아가는 오우고쿠별 사람들. 과거 하타 황태자는 왕위를 둘러싼 정쟁에 휘말린 적이 있다. 왕이 에 걸려 언제 붕어할지 모르는 상황. 왕궁 오우고쿠성에선 왕위 계성을 놓고 두 파로 갈라져 지저분한 당파 싸움을 벌인다. 이에 오우고쿠 왕이 가신들을 불러 두 파벌을 화합시키고 후사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자리를 마련한다.
          * 신하들이 림픽을 벌이는 사이 왕의 안색이 급격히 나빠진다. 숨도 가빠지는데 아무래도 눈 앞에서 신하들이 이런 키배질이나 하고 있으면 암이 발하는 것도 무리가 아닐 것이다. 오우고쿠왕은 각혈하고 쓰러진다. 신하들은 정신없는 림픽 탓에 뒤늦게 깨닫고 왕의 주위로 모여든다. 왕의 상태를 보아 가망이 없다 여긴 것인지 이와중에도 칭코가 큰 쪽과 작은 쪽, 어느 쪽이 왕위를 이어야겠냐고 묻고 자빠졌다. 죽어가던 오우고쿠 왕은 마지막 기력을 짜내 말한다.
         소라치가 예송논쟁을 아는게 아닐까 싶을 정도로 날카로운 에피소드. 전반부의 림픽은 마치 예송논쟁을 은혼버전으로 만든 듯하다.
  • 은혼/627화 . . . . 5회 일치
          * [[오우가이]]까지 패퇴시킨 가부키쵸 주민들. 짦은 휴식의 시간이 찾아오지만 그들의 동향은 [[야토]]족 용부대에 주시되고 있다.
          한편 조금 떨어진 곳에선 아직도 퇴각하지 않은 한 부대, [[야토]] 족의 용 부대가 가부키쵸 주민들의 동향을 주시하고 있다.
          지로쵸는 냉정하게 상황을 설명한다. 설사 적을 물리쳤지만 그건 일시적인 상황에 지나지 않는다. 적의 전체 력에는 조금 금이 간 수준의 영향 밖에는 없으며 반대로 가부키쵸는 많은 소모를 치렀다. 막부군이 퇴각한 적을 요격하며 시간을 벌고 있지만 진짜로 작정해서 잔존 세력을 규합, 다시 한 번 들이친다면 버틸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이 짧은 휴전기간에 우주에 있는 [[가츠라 고타로]] 일행이 본대의 작전을 바꿔야할 필요가 있다.
          오토세는 부상자들에게 지금은 푹 쉬는 것이 그들이 해야 할 일이라고 말해준다. 하지만 부상자들은 지금이라도 적들이 처들어올게 두려워서 편히 쉬지도 못한다. 오토세는 자신들이 있으니 잘 먹고 잘 쉬라며 특제 다크마타를 처먹여 영원히 쉴 수 밖에 없는 몸으로 만들어주고 있다. 게도마루는 재기불능이 된 력에게 판데모니엄을 데코레이션하는 흉악한 짓을 하는데 신파치는 제대로된 식량을 배급하라며 태클을 건다. 그때 또다시 나타나는 판데모니엄씨. 이제 신파치의 본심을 알았다며 떠나려고 하는 그녀. 신파치는 눈물을 흘리며 모든 판데모니엄을 먹어치우려고 한다. 가구라는 머리가 맛이 가버린 신파치에게 좀 쉬는게 좋겠다고 권한다.
          * 오토세가 돌보던 부상 옆에 [[곤도 이사오]]가 주저앉는다. 힘겨운 싸움을 마치고 마침내 돌아온 곤도는 마치 멀쩡한 사람같은 소리를 했다.
  • 장갑차 . . . . 5회 일치
         === 력수송장갑차 ===
         력을 수송하는데 중점을 둔 장갑차. "전장의 택시"로써의 능력에만 중점을 뒀기에 자체적인 전투 능력은 보전투차보다 떨어진다.
         === 보전투차 ===
         력을 수송하는 것 뿐만 아니라 자체적인 전투 능력에도 중점을 둔 장갑차. 대부분의 APC가 기관총으로 무장한다면 대부분의 IFV는 기관포로 무장한다. 여기에 적지 않은 IFV가 대전차미사일을 달고다닌다.
  • 청송군 . . . . 5회 일치
         고려 시대 청부현이었다. 그러다가 1419년(세종 1) [[소헌왕후]] 심씨의 고향이라 하여 청보군(靑寶郡)으로 승격하였다. 후에 진보와 분리되고 [[세조(조선)|세조]] 때 송생현(松生縣)과 합하여 청송군으로 개칭되었다. 이후 안덕현(安德縣)을 합하여 청송도호부(靑松都護府)로 승격하고 9개 [[면(행정구역)|면]] 57개 [[리(행정구역)|리]]로 구분하였다. 한편 북쪽에는 진보현이 있었다.
         '''[[주왕산]] [[국립공원]]''', 주산지, 송소고택, 청송문화관광재단의 청송백자 전시관과 심수관 도예전시관이 있으며, 청송문화관광재단에서 운영하고 있는 민예촌에서 한옥숙박체험도 가능하다. 또한 인근의 청송 달기약수탕 부근에 장난끼공화국 달빛예술학교에서 각종 체험 및 플리마켓등을 체험 할 수 있다.또한 지역의 전통문화유물인 청송백자,소설가 김주영선생의 소설 객주를 모티브로 한 객주문학관, 야송이원좌선생이 운영하고 있는 군림청송야송미술관과 위장과 관절에 좋은 약수가 나오고 있는 달기약수, 신촌약수터 등이 있다.
         ||<|2> [[황우]]/3선[br][[민주정의당]] ||<|2> [[김찬우(1933)|김찬우]]/재선[br][[통일국민당]] ||<|2> 김찬우/3선[br][[신한국당]] ||<|2> 김찬우/4선[br][[한나라당]] ||<|2> [[김재원(정치인)|김재원]]/초선[br]한나라당 ||<|2> [[정해걸]]/초선[br]무소속 ||<|2> 김재원/재선[br][[새누리당]] || --[[김종태(1949)|김종태]]/재선--[* 17.2.9 의원직 상실(선거법 위반)][br]--새누리당-- ||
          * [[정곤]] : [[삼성 라이온즈]] 야구선수
          * [[황우]]
  • 칼리파 하프타르 . . . . 5회 일치
         1980년 년대 중엽, 칼리파 하프타르 장군은 리비아-차드 전쟁(통칭 토요타 전쟁)에 리비아 군을 이끌고 참전했으나, [[차드]] 군은 [[프랑스]]의 후원과 [[토요타]] 픽업트럭을 이용한 기동전술로 리비아 군을 참패시켰다. 1987년에 하프타르 장군은 사들과 함께 차드 군에 [[포로]]로 붙잡히고 말았다. 카다피는 하프타르와 관련성을 부인하여 그를 [[투사구팽]]해버린다.--딱히 토끼를 잡지는 않았지만.--
         포로 신세가 된 하프타르에게 접근한 것은 당시 카다피와 적대하던 [[미국]]이었다. 1990년 [[미국]]의 [[CIA]]는 난민 프로그램을 통하여 수단에서 하프타르와 300명의 포로 사들을 미국으로 입국시켰다. 하프타르는 미국 시민권을 획득하여 20년 동안 미국에서 거주하면서, 미국 정보부의 협력하여 카다피 암살을 시도하기도 했다.
         하프타르는 [[이집트]]와 [[UAE]]의 후원을 받으며 국민군을 이끌고 이슬람주의자들에게 맞서서 2014년 5월 부터 벵가지와 동부지역의 이슬람주의 민대를 척결했다.
         하프타르는 내전에서는 뛰어난 역량을 보였는데, 2016년 2월에 리비아 국군은 이슬람주의 민대를 대부분 벵가지에서 축출했으며, 2016년 4월 중순에는 이슬람주의 민대는 벵가지 동족 250km나 떨어진 데르나 까지 축출되었다. 하프타르가 이끄는 리비아 국군은 [[무슬림형제단]]이 이끄는 리비아 돈, 미스라탄 부대, 벵가지의 혁명 세력 슈라위원회, 시르테 지역을 장악한 [[이슬람 국가]]와 대결하고 있다.
  • 콜 오브 듀티 . . . . 5회 일치
          * 마틴 이
          영국군 장교. 프라이스와 함께 독일군에게 붙잡혔다. 구하러 갔을때는 쇠창살을 사이에 두고 독일군 초 하나를 목졸라 죽이고 있다.
          * 워터스
          * 보로딘
          >1907년 제1차 세계대전 발발 당시 처음 등장한 리엔필드는 영국 보의 제식 소총입니다. 강력하고 장거리 사격에 적합한 볼트액션 소총입니다. 10발을 장전할 수 있으며, 두개의 5발들이 스트리퍼 클립으로 장전됩니다.
  • 킹덤/503화 . . . . 5회 일치
          * 태행산맥의 조군 봉화대에서 산맥을 넘는 전서구의 무리가 관찰된다. 봉화를 관리하던 사는 무슨 일이 있길래 이 높은 산맥을 넘어, 저 정도 숫자의 전서구가 날아가는 건지 불길해한다. 그 전서구는 진군이 업을 노리고 있다는 급보를 담은 [[이목(킹덤)|이목]]의 전서구다.
          호주는 그들이 서부공략을 빌미로 거해 급히 진로를 틀어 한단으로 처들어오고 있다고 설명한다. 그 수는 20만. 이목이 이 같은 사실을 알려왔다고 설명한다. 이렇게 말을 하니 귓등으로도 듣지 않던 곽개와 도양왕도 조금 듣는 척을 한다. 호주는 이목이 한단군을 움직여 요지 "열미"를 막아 진군의 진입을 사전에 차단하는 계책을 올렸다는 것도 전한다. 그런데 도양왕이 또 뜻모를 고집을 부린다. 그는 정예 한단군이 수도를 떠나면 누가 자기를 지키냐는 논리로 그 계책을 거절한다.
          도양왕은 한단군 대신 주변 지역에서 모은 사를 움직이자고 하는데 그 또한 이목이 "한단군을 움직이지 않거든"하며 일러둔 차선책. 곽개는 그것마저 트집을 잡으며 대책이 있는데 왜 이제야 말하냐며 호주를 구타한다.
          * 호주는 기가 차면서도 차마 욕은 할 수 없고 걱정하지 않아도 이목은 군대와 함께 오고 있다고 말한다. 그의 말처럼 이목은 자신의 사들을 이끌고 진군을 저지하기 위해 필사의 진군을 하고 있다.
          * 이들의 진로는 다소 남쪽으로 치우져 있다. 중도시 "조사"를 피하기 위한 진로다. 진로에서 최대한 장애물을 배제하고 교전을 피한체 도착하려는 의도다. 그러다 보니 그들은 우측에 황하를 끼고 돈다. 황하를 처음 본 사들은 "거대한 호수"라고 생각한다. 황하가 보인다는건 곧 "열미"에 도착한다는 이야기. 드디어 전쟁의 승패를 가늠할 시점이 온 것이다.
  • 킹덤/505화 . . . . 5회 일치
          * 열미는 이틀 가량이면 왕도에서 원군이 도착하지만 그 전에 독자력으로 진군을 격멸하겠다고 이를 간다.
          * 열미성에는 이틀이면 도성에서 원군이 도착하는 소식이 전해져 있다. 그러나 열미군은 사기가 하늘을 찌르고 호전적이기 이를데 없어서 원군이 도착하기 전에 자체 력만으로 진군을 격퇴하자고 함성을 드높이고 있다.
          몽념은 내심 열미 성의 최대 무기는 성이나 력이 아닌 저 높은 "사기"라고 생각한다. 진나라도 함곡관이 돌파됐을 때 사례를 들 수 있는데 오합지졸의 민으로 어떻게든 수성에 성공한건 진왕 [[진시황(킹덤)|정]]이 직접 전선에 나서야 사기를 끌어올렸기 때문이다. 같은 맥락이 이번엔 진군에게 부담이 되고 있다. 그는 비신대 지휘관 [[이신(킹덤)|이신]]에게 큰 짐이 지워졌다고 본다.
          하지만 그 단순한게 어려운 점. 둘은 양단화가 공성전을 이해 못해서 이런 말을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양단화는 알겠다며 "우리가 성벽을 오를 테니 문이 열리면 비신대가 돌입해라"고 선심쓰듯 말한다. 사실 이들의 백전 능력은 검증됐지만 공성전 경험에 대해서는 둘 모두 확신이 없었다.
  • 킹덤/530화 . . . . 5회 일치
          * 정면에서 섣부른 싸움을 벌였던 마정은 톡톡한 대가를 치르고 있었다. 마광군과 대치한 언덕의 싸움은 갈 수록 치열했다. 마정 자신의 부대는 백중세로 막아내고 있었으나 후방이 어지러지는 것을 저지하지 못했다. 지금도 그에겐 본대의 어려움이 시시각각 보고되고 있었다. 마침내 비신대의 등장까지. 하다못해 기수로부터 다른 지시라도 내려오길 바랐지만 그쪽도 그럴 여유가 없었다. 물론 이쪽도 본진을 도우러갈 여유가 없었고. 그가 새삼 마광이라는 적장을 용술에 탄식하고 있을 때, 그의 시야로 유동의 기마대가 비신대 쪽으로 향하는 것이 보였다. 부하들이 유동의 기마대라도 한 발 늦게 보고하자 자신도 안다고 꾸중했다. 그는 이제는 없는 유동을 떠올리며 그가 저들을 지켜봐주길 마음 속으로 기원했다.
          싸움은 결국 흐름. 어떤 요소든 주연이 될 수 있는게 전국의 전장이었다. 하지만 마광은 이 전장의 주역은 단연 자신이라 확신했다. 그는 잔류하던 정예을 총동원해 기수의 숨통을 더욱 바싹 죄었다.
          부장들이 다시금 마정에게 원군을 청하자고 고하고 있을 때, 마침내 비신대의 선두가 시야에 들어왔다. 신이 기수의 이름을 부르며 달려오고 있었다. 부장들이 기수를 둘러싸고 수비을 동원하러 할 때 반대쪽에서 낙화대가 3진을 돌파하고 여기까지 육박한다는 보고가 왔다. 두 부대는 마치 경쟁하듯 기수를 향해 몰려왔다. 이렇게 되자 부장들의 의견이 둘로 갈랐다. 당장 본진을 버리고 물러나가는 쪽과 버텨야 한다는 쪽. 후자는 여기서 본진만 빠져나간다면 마정군은 홀로 남아 괴멸할 것이므로 도망칠 거라면 같이 움직여야 한다고 했다. 전자는 그럴 겨를이 없고 우물쭈물하다간 같이 격멸될 거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어느 쪽이든 기수에게 결단을 요구하고 있었고 그의 결단은 한결같았다.
          이번엔 부장들 모두가 말도 안 되는 결단이라 입을 모았다. 후방에서 오는 것만 삼천이 넘는 력. 비신대를 막아도 그 력이 닥치면 끝장이다. 그럴 수록 기수는 더 단호한 태도로 "이 형태"를 무너뜨릴 수 없다고 강변했다. 이 형태라니? 부장들이 어리둥절한 얼굴을 들자 기수는 다시 한 번 강조했다.
  • 타쿠마 마모루 . . . . 5회 일치
         타쿠마 마모루는 중학교에서 공업 고등학교로 진학했다. [[야구부]]에 소속되었지만, 연습 태도가 나빠 상급생에게 괴롭힘을 당하고 고등학교 2학년에 [[중퇴]]했다. 중퇴 이후에는 이타미 시에서 정신원에 입원하였다.
         1984년 11월, 부동산회사 업무 중 관리하던 오사카 시내의 아파트에, 수금을 빌미로 하여 여성의 집에 들어가서 폭행하고 [[강간]]을 저질렀다. 체포를 당하지 않으려고 [[정신원]]에 입원하고, "환청이 들린다."고 호소하여 [[정신분열]] 진단을 받는다. 하지만 오사카 지검에서는 성격 이상이 있으나 이성적인 판단 능력이 있다고 진단하여 기소하였다. 그리고 1986년 7월 31일, 오사카 지방법원에서 징역 3년으로 실형 판결을 받고 나라 소년 교도소에 들어간다. 1989년 8월에 교도소를 나왔다.
         1998년 부터 이타미 시내 초등학교에 기술자로 근무했다. 1999년 3월에 교사 4명에게 정신안정제를 넣은 차를 먹여서 상해혐의로 체포되었다가, 간이감정에서 "정신분열증 의심"이라고 진단을 받고, 니시노미야 시(西宮市)의 정신원에 입원조치 된다. 사건은 불기소가 되었다.
         2000년 10월 14일에, 택시 운전사로 근무하다가 오사카 시내의 호텔에서 벨보이와 말다툼을 벌여서, 폭행으로 체포된다. 11월에는 이케다 시 건축자재 판매회사에 10톤 트럭 운전사로 채용되었고, 이케다 시의 원룸으로 이사했다. 하지만 신호대기를 할 때 나란히 서있던 차에 타고 있던 여성을 "눈이 마주쳤다"고 트집을 잡으며 침을 뱉는 등의 문제를 일으켜서 2001년 2월에 그만둔다. 2001년 5월 하순에는 스스로 하룻동안 정신원에 입원하였다.
  • 토리코/362화 . . . . 5회 일치
          * 오가이의 냄새를 맡은 '''토리코의 내면에서 세 번째 구르메 세포의 악마, 날개 달린 귀신이 깨어난다.'''
          * 토리코 얼굴의 흉터는 바로 세 번째 구르메 악마의 얼굴에 난 흉터와 같은 것이다.
          * 오가이는 고대의 해양생물로 고동과 비슷한 종류다. 토리코 일행의 구르메 세포 악마들 조차 멸종된 줄 알았던 초고대의 생물. 겉보기엔 작지만 실은 내부에 무한에 가까운 공간이 있다. 고대 바다의 모든 생물을 먹어봤다고 전해지며 악귀, 도깨비와 같은 식욕을 지녔다고 한다.
          * 지지는 '''"오래 전 어떤 악마를 황금색 캔에 봉인했다"'''는 말을 하며 그가 우려했던 것도 그 얘기 때문이었다. 지금은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아 다행이라고 넘어가지만...
          * 지지가 경계했던 "악마"란 존재는 새로운 떡밥거리
  • 토리코/374화 . . . . 5회 일치
         토리코의 구르세 세포의 악마가 모습을 드러낸다.
          * 원래 구르메 세포의 악마는 100% 순수한 식욕의 구현화이기 때문에, 서로 잡아먹거나 하기 힘들다.
          * 구르메 세포는 원래 배타적이기 때문에 같은 구르메 세포의 악마끼리 먹는다면 상호 붕괴하기 때문.
          * GOD는 장난치듯이 혓바닥으로 지구 반대편을 관통하며 땅 속의 먹을 것을 찾아다닌다.
          * 그리고 지금까지 숨겨두고 있던 "식욕기"의 기폭 스위치를 해제한다고 하는데.
  • 토리코/375화 . . . . 5회 일치
          * 아톰은 토리코에게 악마가 한 마리 더 있는 것과 "우리와 같은 푸른 악마"라는 것에 놀란다.
          * 두 악마를 꺼낸 토리코는 탈진한 상태. 머리 색이 검게 변해있다.
          * 두 악마가 빠져나간 뒤 토리코의 머리가 스타준처럼 검은 색으로 바뀐다. 사실 이전에 토리코는 "원래 푸른 색이 아니었는데 언젠가부터 바뀐 거"라고 밝힌 적이 있다.
          * 제 3의 악마는 지금까지 "흑귀"로 추정되고 있었는데, 토리코의 머리 색이 검은 색이 되면서 거의 확정된 걸로 보는 시각이 많다. 그와 별개로 원래 토리코 본인이 가진 머리색이라는 의견도 있다.
  • 통합실조증 . . . . 5회 일치
         우리나라에서는 [[조현]]이라고 부른다.
         과거에는 정신분열(精神分裂病)이라는 명칭을 썻다. 통합실조증으로 변경되었다.
         우리나라도 비슷한 이유로 정신분열에서 조현으로 변경되었다.
         [[분류:질]][[분류:일본어]]
  • 페어리 테일/520화 . . . . 5회 일치
         [[페어리 테일]] 제 520화. '''용인가 악마인가'''
          * 심상세계에 있던 [[나츠 드래그닐]]은 [[이그닐]]에게 모든 사정을 듣는데 이그닐은 "용과 악마 중 하나를 택하면 죽지 않는다"고 알려준다.
          * 비색의 절망, 최강의 여마도사 [[아이린 베르세리온]]이 마침내 쓰러졌다. 악마같아 보였던 그녀도 결국 모성애를 끊어내지는 못했던 모양이다. [[엘자 스칼렛]]이 그녀를 보는 표정은 복잡하다. 그녀는 쓰러진 채로 뒤늦은 작별인사를 건넨다.
          >강한 의지를 가지고. 용인가, 악마인가.
          * 이그닐은 "뭐야, 정답을 잘 알고 있잖아"라고 중얼거린다. 나츠 안의 두 싹이 서서히 붕괴된다. 이그닐은 설사 악마의 힘으로 되살아나고 용인 자신이 길렀다 해도 나츠는 "인간"이라며 그 사이에서 고민한 것이 두 싹을 키웠던 거라고 알려준다.
  • 화염병 . . . . 5회 일치
         에 휘발성 물질을 담고 불을 붙여 던지는 무기. 영어로는 [[뱌체슬라브 몰로토프|Molotov]] cocktail, Petrol bomb라고 한다.
         만들면 잡혀간다. [[http://www.law.go.kr/%EB%B2%95%EB%A0%B9/%ED%99%94%EC%97%BC%EB%B3%91%EC%82%AC%EC%9A%A9%EB%93%B1%EC%9D%98%EC%B2%98%EB%B2%8C%EC%97%90%EA%B4%80%ED%95%9C%EB%B2%95%EB%A5%A0|화염 사용 등의 처벌에 관한 법률]] 참조.
         불을 사용한 무기인지라 사람에게 끔찍한 피해를 입힌다. 이는 제작 과정에서도 마찬가지. 미국에서는 이란인 대학생이 화염을 만들다가 몸 90%에 화상을 입고 사망한 사례가 있다. [[http://www.dailymail.co.uk/news/article-2575346/Iranian-student-burns-death-Molotov-cocktail-Georgia-Tech-University.html|데일리메일 링크]].
         2015년 12월 4일, 이집트에서 나이트클럽 입장을 제지당하자 화염을 던진 사람들도 있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2/06/0200000000AKR20151206054100079.HTML|연합뉴스 링크]].
         2016년 1월 8일, 위안부 합의에 불만을 품은 승려가 외교부에 화염을 던지려다 실패한 사건이 있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1/08/0200000000AKR20160108105951004.HTML|연합뉴스 링크]].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3/10/0200000000AKR20160310133000004.HTML|이후 집행유예를 받았다.]]
  • Victoria II/POP . . . . 4회 일치
         가질 수 있는 육군 력의 수를 제공한다. 만약 육군 력이 피해를 입는다면 같은 지방, 같은 문화의 군인 POP들이 보충으로 차출된다. 수가 부족하다면 력이 보충되지 않는다.
  • Victoria II/개혁 . . . . 4회 일치
          * 현지 훈련 방식: 사들이 전통적인 방식으로 훈련 받는다.
          * 해외 훈련 방식: 사들이 서양인 군사고문에게, 혹은 서양식 방식으로 훈련 받는다.
          * 현지 장교 훈련: 현지인 장교가 력을 지휘한다.
          * 군사학교: 장교들은 전장에서 사들을 지휘하기 전에 잘 훈련 받는다.
  • Victoria II/정당 . . . . 4회 일치
         군대의 효율, 전쟁명분 조작 속도, 동원령으로 생성되는 력, 군대가 퍼먹는 보급품 등에 영향을 끼친다.
          군대가 나라의 중심을 지키고 있어요. 국방예산을 최대치까지 배정할 수 있으며, 부대의 보충 속도와 조직력 회복 속도가 50% 증가한다. 전쟁 명문을 조작하는 속도가 30% 증가한다. 또한 동원령을 내렸을 시 일반적으로 모집 가능한 양의 4배의 력을 징집하게 된다. 다만 군대가 퍼먹는 보급품이 10% 증가한다.
          정부가 군대를 강하게 지원하길 바란다. 국방예산을 최대치까지 배정할 수 있으며, 부대의 보충 속도와 조직력 회복 속도가 25% 증가한다. 전쟁 명문을 조작하는 속도가 20% 증가한다. 또한 동원령을 내렸을 시 일반적으로 모집 가능한 양의 3배의 력을 징집하게 된다.
          군대를 돈 먹는 하마로 여기며 다른 곳에 예산을 쓰고싶어한다. 국방예산을 기본치의 175%까지 배정할 수 있으며, 부대의 보충 속도와 조직력 회복 속도가 25% 감소한다. 전쟁 명문을 조작하는 속도가 20% 감소한다. 또한 동원령을 내렸을 시 일반적으로 모집 가능한 양의 2배의 력을 징집하게 된다. 군대가 소모하는 보급품이 25% 감소한다.
  • 경관 . . . . 4회 일치
         삼국지 등애전에 [[등애]]가 촉한을 평정하고, [[면죽]]에 가서, 대(臺)를 쌓고 경관을 만들었다고 한다. 면죽에서 [[제갈첨]]이 크게 패배하였기 때문에 촉한 사의 시체가 많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 때 특이한 점은 등애는 촉한의 사들 뿐만 아니라, 위나라의 사졸(士卒) 가운데 죽은 자들 역시 경관에 함께 묻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아군 전사자를 이런 식으로 경관에 함께 묻는 것은 이례적이다. 등애가 왜 위나라 사졸의 시체들까지 함께 경관에 묻었는지, 그 이유에 대해서는 두가지 가설이 있다.
         삼국지 등애전에 [[등애]]가 촉한을 평정하고, [[면죽]]에 가서, 대(臺)를 쌓고 경관을 만들었다고 한다. 면죽에서 [[제갈첨]]이 크게 패배하였기 때문에 촉한 사의 시체가 많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 때 특이한 점은 등애는 촉한의 사들 뿐만 아니라, 위나라의 사졸(士卒) 가운데 죽은 자들 역시 경관에 함께 묻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아군 전사자를 이런 식으로 경관에 함께 묻는 것은 이례적이다. 등애가 왜 위나라 사졸의 시체들까지 함께 경관에 묻었는지, 그 이유에 대해서는 두가지 가설이 있다.
  • 고종(조선) . . . . 4회 일치
         여기에 불만을 품은 [[김옥균]]과 [[박영효]] 등은 --희대의 크-- [[갑신정변]]을 일으키게 되고 이로 인해 조선에서의 일본의 영향력이 강화되는 바람에[* 아이러니하게도 이로 인해 그 당시 조선 조정 내부에서 가장 친일적이었던 급진개화파는 세력이 엄청나게 쪼그라들어 구성원들 모두가 죽거나 망명생활을 하게 된다.] 여기에 위협을 느낀 민씨와 고종은 청과 일본사이에서 줄다리기를 할 필요를 느끼게 된다.
         그 이후 10여년동안 조선은 청이 주류로, 그리고 일본이 보조로 마지막으로 미국등의 열강이 찔끔찔끔 이권을 뺏어먹는 형편이 되고(...), 결국 이는 [[동학농민운동]](갑오농민전쟁)으로 이어진다. 처음에 동학의 교주였던 최시형의 탄원시도로 시작한 이 운동은 결국 고부군수 조갑의 학정에 분노한 농민들이 황토현에서 관군을 박살내고 전주성을 점령하자 놀란 조정은 청군에게 력을 급파해주길 요청한다. 그런데 전주성을 점령한 농민군은 홍계훈의 대포에 밀려 더이상의 북상을 하지 못하고 있었고 청과 미리 텐진조약을 맺은 일본은 청이 조선으로 간다는 얘기를 듣자마자 조선에 력을 상륙시킨다. 어찌됐든 '''일본이 개입하자''' 놀란 농민군과 조정은 전주화약을 맺어 일단 농민군의 요구를 어느정도 수용해주는걸로 끝난다.
  • 기간트 . . . . 4회 일치
         레프카의 최종기. 작품의 후반부에 등장한 강력한 비행체다. 플라잉 머신이나 몬스리의 팔코 [[비행정]], 하이하바에서 코난 일행이 사용한 비행체와는 차원이 다른 거체를 지닌 비행요새나 다름없는 존재로 곳곳에 무기가 설치되어 있다.
         [[2008년]]에 핵무기보다 더 강력한 초자력 기로 과거의 문명을 개발살 낸 주역중 하나로 아래와 같은 엄청난 능력을 보유한다.
          이 외에도 설정상으로는 동체 하부에 초자력 기를 보유하지만, 작품상에는 나오지 못했다.
          * 비행능력도 탁월하다. 우선 덩치에 어울리지 않게 '''수직이착륙이 가능하다.''' 그리고 [[우주선]]도 아닌 주제에 '''단독으로 대기권 돌파 및 우주공간 진입도 가능하다.''' 물론 우주공간에서 다시 지구로 재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우주공간으로 올라가면 태양 에너지를 직접 받으므로 동력원 문제가 해결되면서 반영구적으로 지속비행이 가능해지고, 따라서 항속거리는 이론상 무한대에 가깝다. 덤으로 태양 에너지로 초자력 기를 충전해 사용할 수도 있다.
  • 기계화보병 . . . . 4회 일치
         [[보]]의 한 종류. [[장갑차]]를 타고 이동하는 보을 말한다.
         유사품으로 [[트럭]]을 타고다니는 [[차량화보]]이 있다.
         [[사이보그]]나 [[강화복]]을 착용한 보으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52화 . . . . 4회 일치
          * 오버홀은 개성을 "현대"으로 규정하며 히어로들을 그 의 환자이니 자신이 "고쳐주겠다"는 사고를 하고 있었다.
          * 그는 이미 만신창이였다. 여유롭게 달변을 쏟아내는 것도 할 수 없었다. 그가 하는 말이라곤 광기에 찬 궤변이었다. 그에겐 모든 것이, 이 시대 전부가 더러운 현대이었다. 그리고 히어로들, 루밀리온은 중자. 그는 그들을 "고쳐주겠다"고 말했다. 에리를 희생한 힘으로.
  • 난치병 모금사기 . . . . 4회 일치
         [[난치]]에 걸린 아이를 위하여 모금을 하지만, 그 내역이 불확실하거나 문제가 있는 경우 [[죽는다 죽는다 사기]]를 참조.
          * 애초에 난치에 걸린 아이가 있는지 여부조차 알 수 없다.
          * 현실에서 난치을 앓고 있는 아이들에게 야유를 한다.
          * 자신의 아이가 난치일 경우, 자산을 모두 매각해야 한다는 등의 주장.
  • 디펜더 2 . . . . 4회 일치
          * 근접 - 권투 주먹을 낀 파란색 생명체. 근접형이며, 그냥 쏘다 보면 죽는다. 공격력은 3.
          * 고속 근접 - 분홍색 괴물로 근접형이다. 속도가 빠르다는 점 이외에 위협적인 점은 없다. 공격력은 3.
          * 악마 - 원거리형으로 일정 거리에 다다르면 녹색 불을 쏜다. 멀리서 연속적으로 빠르게 대미지를 주기 때문에 근접형보다 더 위험하므로 우선적으로 처리해야 한다. 공격력은 3.
          * 투석기 - 이번작에서 새로 추가된 몬스터. 원거리형으로 이동속도, 공격속도 모두 악마보다 크게 떨어지지만 공격력이 15로 훨씬 높고 체력도 끔찍하게 높으며 빙결과 마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 막부 . . . . 4회 일치
         일본에서 막부 체계가 나타난 이유는 일단 조정이 군사적으로 무력해졌기 때문이다. 헤이안 시대 초기에 일단 도호쿠 지방까지 정벌이 완료되자, 일본 조정은 막대한 군비가 드는 국군(國軍) 제도를 폐지해버리고, 군사를 수도의 경비대와 [[한반도]]와 가까운 큐슈 다자이후의 경비 수준으로 축소하였다. [[섬나라]]인 일본은 일단 혼슈 평정이 완료되자 당장 외적의 침공을 걱정하지 않아도 괜찮게 되었고, 군사력의 필요성이 낮았기 때문에 이 같이 과감한 결단을 내려서 국가의 재정을 아끼게 된 것이다.
         이렇게 치안이 악화되었지만, 조정에서 일반 서민이나 호족들의 민생은 별로 신경쓰지 않았고 이러한 사투는 거의 방치되다 시피 했다(…). 하지만 헤이안 시대 말기에 정권을 장악한 귀족 세력이나 지방 세력가인 [[호족]]들은 자신들이 보유한 막대한 [[장원]]을 보호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각자 개인적으로 호위을 고용하기 시작했다. 이렇게 고용되어 고위 귀족을 모시게 된 [[사]] 격인 '무사'들이 [[사무라이]]의 기원이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일본 국내에서 '거의' 유일[* 사무라이와 다른 경우로는 사원에서 자체적으로 보유한 [[승]] 같은 사례가 있다.]하게 무력을 보유하게 된 사무라이들이 점차 정권을 장악하게 된다. 결국 이 사무라이들 가운데 유력해진 겐지(原氏) 일족의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헤이케|헤이지(平氏) 일족]]과의 항쟁에서 최종적으로 승리를 거둔다.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는 덴노에게 정이대장군 칭호를 받고 가마쿠라에 막부를 열면서 조정을 제치고 일본 전역에 할거하고 있던 무사들을 통솔하는 것으로 사실상의 통치권을 행사하게 된다. 이것이 [[가마쿠라 막부]]의 시작이다.
  • 맥스 페인 . . . . 4회 일치
          * [[화염|몰로토프 칵테일]]
          Jack Lupino. 펀치넬로 패밀리의 언더보스. 매춘, 마약매매, 청부살인을 밥줄로 삼고있다. "발키리"를 밀거래하고 있었기에 맥스가 펀치넬로 패밀리에 잠입수사를 벌이는 이유가 되었다. 뇌가 벽에 튀긴 모습을 보려고 사람을 쏠 정도로 미쳐버린 상태로 펀치넬로 또한 이를 알고 있어서 개선하지 않으면 트리오를 보내겠다고 편지를 보낸다. 하지만 루피노는 인신공양을 할 정도로 미쳐버렸기에 효과가 없었다. 라그나록에 쳐들어 온 맥스를 죽이려고 했지만 맥스에게 죽는다. 맥스는 루피노가 죽은 후에도 그에게 총을 쏜다. 더블배럴 샷건과 화염으로 무장했기에 짜증난다. 화염 작작 던져라.
          미 육군이 연구한 "발할라 계획"의 산물로, 1991년 처음 만들어졌다. 제작 목적은 사들의 체력과 사기를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되었으나 불만족스러운 성과를 내 1995년에 발할라 계획 자체가 취소되었다. 그럼에도 니콜 혼을 비롯한 몇몇은 허가 없이 실험을 계속했으며, 정량의 두배를 투여한 실험체들을 도시에 풀어 맥스의 가족들을 죽이기도 했다.
  • 미즈우치 타카시 살인사건 . . . . 4회 일치
         피해자 시라타 히카루는 야마가타 현 출신으로, 친가는 니시카와쵸(西川町内)에 있다. 초등학교 때부터 [[배구부]]로 활동하여, 중학교 졸업 이후에는 요네자와 시(米沢市)에 있는 고등학교에 진학했다. 고등학교 시절에는 [[배구부]]로 활동하여 현 대회에서 우승한 적이 있다. 고교 졸업 이후 미야기 현에 있는 사립대학에 진학하여 사회복지론을 배웠으며, 2014년 4월 부터 오사카 시내의 원에서 근무하였다. 평소 업무 시작 30분 전에 출근하고 무단 결근도 한 번 없었던 성실한 사원으로서, 동료와 환자들 사이에서도 평판이 좋은 의료 사무원이었다.
         이렇게 고민하면서도 시라타 히카루는 열심히 공부하여 [[사회복지사]] 자격을 취득하였다. 그녀는 [[할머니]]와 [[어머니]]를 [[암]]으로 잃은 경험이 있어, "한 사람이라도 많은 환자와 그 가족의 힘이 되어주고 싶다."는 생각으로 사회복지사가 되고자 했던 것이다. 그녀는 오사카 시 히가시스미요시 구(大阪市東住吉区)에 있는 암 치료 원에 사회복지사로 취직하게 되어, 2014년 봄에 오사카로 이주했다.
         미즈우치는 특별히 신경쓰지 않고, 또 새로운 여성과 교제를 시작햇다. 1월 21일 밤, 마침내 시라타 히카루는 "사회적 제제를 받게 하겠다"고 기입하였으며, 그제서야 대처를 시작했다. 이 무렵 시라타 히카루는 주변에 이 상황을 해결할 방법에 대하여 상담을 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이는데, 원 상사의 증언에 따르면 사건 3일 전에 다른 직원에게 페이스북으로 미즈우치가 기혼자라는 것을 알았고 상담을 했었다고 한다. 시라타는 미즈우치가 LINE으로 보낸 메시지에 대답하지 않았기 때문에 미즈우치는 1월 23일 A에게 상담하였다.
         1월 24일, 피해자 시라타 히카루의 근무처에서는 항상 업무 시작 45분 전에 출근하는 피해자가 출근을 해오지 않자, 경찰에 통보를 하였다. 피해자의 자택과 근무처인 원은 [[자전거]]로 15분 정도 걸리는 가까운 거리에 있었다. 이 때, 히가시스미요시 경찰서의 경찰관이 시라타 히카루가 거주하는 오사카 시 히가시스미요시 구에 있는 독신자 아파트를 방문했다.
  • 상디 . . . . 4회 일치
          * ~~[[칼리파(원피스)|칼리파]]~~ - 절대로 여자를 때리지 않는다는 자신의 신념을 지키기 위해 계속 얻어터지기만 하다가 결국 패배 후 나미와 교체. 실력으로 패한 게 절대 아니다. 전투력은 압도적으로 상디가 우위라, '''떄리지 못한다'''는 핸디캡을 안고도 몇 번이나 칼리파를 제압할 수 있었다. 단지 실력으로 제압은 했으면서도 마지막 일격은 매번 날리지 못한 탓에 오히려 반격을 연달아 얻어맞고 결국 악마의 열매 능력에까지 당해버려 리타이어한 것 뿐.
          * [[돈키호테 도플라밍고]] - 애니 654화에서 동료들을 죽이려는 도플라밍고를 막기 위해 맞붙었으나 도플라밍고의 악마의 열매 능력을 감당하지 못하고 붙잡혀서 패배. 최후의 일격을 맞기 전 [[트라팔가 로]]에 의해 구출되었다.
         > 여긴 전장이지. 요리가 맛있어야 함은 물론이지만, 식재료가 떨어지는게 가장 곤란하잖아. 일만 베리든 백만 베리든 식재료를 조금이라도 낭비해서는 안돼. 어떤 식재료든 통째로 사랑을 쏟아 붇는 것이 요리사의 가짐이다. 숙녀의 모든 것을 사랑하는 것 처럼. 어느 영감의 가르침이지.[* 나바론 요새에서 취사들과 100인분 요리대결에서 사용하고 남은 재료들로 최고의 요리를 만들고 한 말.]
         > '''신은 먹을걸 만들고, 악마는 조미료를 만들지. 그런데 오늘은…매운 맛이 너무 많이 들어갔군.'''
  • 서든어택 2/캐릭터 . . . . 4회 일치
         ||미야는 전 세계를 무대로 활동하는 프리랜서 용으로, 개성 강한 복장과 아름다운 외모, 뛰어난 전투능력 때문에 용 세계에서는 모르는 이가 없는, 말 그대로 전장의 아이돌이다.
         그녀와 한 전장에 설 수 있다면 아무리 위험한 일이라도 기꺼이 맡겠다고 단언하는 과격한 용 팬도 많다고 전해지며, 심지어 유명 용 그룹 네 개가 제각각 그녀의 팬클럽을 자처, 누가 공식 팬클럽인지를 정하자며 소규모 전투를 치렀다는 소문마저 있다.
  • 식극의 소마/223화 . . . . 4회 일치
          * 거기에 "글쎄"라고 반박하는건 쿠가가 아닌 [[미마사카 스바루]]. 자기 조리를 한참 하다 말고 쿠가에게 검은 액체가 든 을 넘긴다.
          * 마치 쿠가를 대신한 것처럼 누군가 "글쎄다"라고 빈정거린다. 그건 전혀 엉뚱한 곳에서 들린 소리였다. 동시에 거기에서 검은 액체가 담긴 이 날아온다. 쿠가가 그걸 받더니 기다렸다는 듯 녹차봉투를 끌른다.
          * 을 건넨 사람은 여기껏 자기 조리만 하는 줄 알았던 미마사카였다.
          쿠가는 그가 이 을 넘기기만을 기다리고 있었고, 미마사카는 자기 조리 말고도 쿠가의 밑준비도 거들고 있었던 것이다. 적인 사이토만이 아니라, 아군인 "쿠가"를 트라이스한 상태에서 말이다.
  • 엉클 샘 . . . . 4회 일치
         과거 미군 모 포스터에서부터 등장. 한 인상 하는 노인의 눈빛과 삿대질 덕인지 현재에도 패러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엉클 샘과 비슷한 캐릭터는 미국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영국]]도 '존 불(John Bull)'이라는 캐릭터가 엉클 샘보다 먼저 등장했다.[* 첫 등장 시점에서는 사람이 아니라 황소였으며 이후에 지금의 사람 모습이 되었다.] 또한 키치너 원수가 등장하는 모 포스터의 경우에는 엉클 샘의 모 포스터에 영향을 줬다고 한다.
         [[독일]]과 [[소련]]에서도 엉클 샘과 비슷한 모 포스터가 나왔다.
  • 왝더독/줄거리 . . . . 4회 일치
         대통령 선거 2주일 전 밤, 콘래드 브린(로버트 드 니로)이라는 남자가 [[백악관]]에 찾아온다. 백악관을 방문했던 "반딧불 소녀단"의 단원 중 하나가 대통령과 단 둘이 방에 들어갔다 나왔다. 이후 그 소녀는 대통령이 자신을 성희롱했다고 주장했다. 브린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백악관을 방문한 것. 그는 시간을 끌기 위해 당시 [[중국]]을 방문 중이던 대통령이 희귀에 걸린걸로 위장해 귀국을 지연시킨다.
         다음날, 대통령이 에 걸려 귀국이 지연되었다는 뉴스와 반딧불 소녀단 단원이 대통령의 성희롱을 고발했다는 뉴스가 연이어 방송된다. 브린은 이 사건을 덮기 위해 [[알바니아]]와 [[전쟁]]이 난 것 처럼 꾸미기로 결심한다. 그는 이를 위해 [[헐리우드]] [[영화 제작자]]인 스탠리 모스(더스틴 호프만)를 찾아간다.
         하지만 전쟁 발발(뻥) 3일 만에 미국과 알바니아가 평화 협정을 맺었다는 뉴스가 올라온다. 속아 넘어간 줄 알았던 CIA가 뒤에서 손을 쓴 것. 이후 사실을 추궁하는 여론이 일자 일행은 망연자실하지만 모스는 포기하지 않고 또다른 계획을 짠다. 알바니아에 [[포로]]로 잡힌 미군 사가 있다고 꾸며내는 것. 이들은 펜타곤에서 윌리엄 슈만 상사(우디 해럴슨)를 제공받아 슈만 상사를 전쟁 영웅으로 포장한다.
         어찌어찌 귀환식장에 도착한 일행. 슈만의 영결식을 진행하는 동안 브린과 모스는 TV를 본다. TV에서는 대통령의 지지율이 80%대까지 올라갔다는 내용의 방송을 하며 그 공을 홍보 영상에게 돌린다. 모스는 자신의 업적을 신같은 홍보 영상 따위에 빼앗긴 것에 분노, 사실을 폭로하겠다며 브린과 말싸움을 하다 자리를 떠난다. 이후 요원들이 모스를 차에 태워 어디론가 데려간다.
  • 원피스/834화 . . . . 4회 일치
          * 잠시 정들이 찾아와 타마고 남작과 따로 이야기하고 브룩과 페드로가 엿듣는다.
          * 정들은 다름 아닌 밀집모자 일당에 대해 보고하러 온 것. 쇼콜로 타운에 정박했을 때 이미 그들의 움직임을 인지하고 있었다.
          * 정들은 거기에 대해서 보고하면서 "페콤즈는 그때 이미 보이지 않았다"라고 하는데.
          * 사실 타마고 남작은 페드로의 옛 콤비. 정들에게 페콤즈를 찾으라고 지시하고 혼자 차를 마신다.
  • 원피스/859화 . . . . 4회 일치
          벳지는 이야기를 계속한다. 우선 암살에 필요한 "물건"이 두 가지. 우선은 시저가 개발한 KX런처다. 독가스를 적의 체내에 주입시키는 흉악한 기로 한 발만 맞춰도 충분히 치사량이지만 만약을 위해 총 세 정을 준비했다. 그런데 팔팔한 상태의 빅맘에겐 이것도 통하지 않는다. 피부가 너무 두껍고 강인해서 이런 걸로는 체내로 뚫고 들어가지 못하기 때문.
          * 제르마 왕국 쪽도 비슷한 양상이다. 사들은 결혼식 같은거에 호위가 필요하겠냐며 답지 않게 풀어진 모습이다. 홀 케이크 성의 제르마 일가는 정장으로 갈아입는 중. [[빈스모크 저지]]는 [[빈스모크 레이쥬]]가 없어진걸 눈치채지만 깊게 신경쓰진 않는다. [[빈스모크 이치디]]는 별실에서 준비를 끝냈을 거라 여기며 역시 신경쓰지 않는다.
          * 9층 빅맘의 침실에선 빅맘이 가벼운 발작을 일으킨다. 사들이 혼비백산해서 가보니 브룩이 가짜로 바꿔치기 된 걸 눈치 못채고 "해골이 죽어버렸다"고 울음을 터뜨린 것이다. 하지만 프로메테우스와 제우스가 "오늘은 다과회"라고 달래자 웨딩케이크를 떠올리곤 급빵긋한다. 사들은 온 김에 "모건즈"란 사람이 손님으로 도착했다는 소식과 다른 내빈들의 도착을 알린다.
  • 은혼/608화 . . . . 4회 일치
          * 해방군 측은 거대 기동기 타케미카즈치와 삼대 전투종족 야토, 다키니, 신라를 총집결시켜 지구를 압박한다.
          * 보 부대는 핫토리 젠조, 사루토비 아야메가 이끄는 오니와라 번중이 습격, 배후를 잡힌다.
          * 거대 기동시 타케미카즈치. 일반 함선의 수십배에 달하는 육중한 대포이다.
          * 다키니, 신라, 야토 3대 용 종족이 총집합.
  • 은혼/637화 . . . . 4회 일치
          * 카무이는 이제서야 할배가 할배답게 쭈그러들었을 뿐이니 저 "고목"을 가지고 빨리 퇴각하라고 조롱한다. 역시 가구라만이 이 발언에 불편해 한다. 어쨌든 카무이는 지금 싸우는 야토족 용부대를 자신의 동족으로 여기지 않았다. 지나간 전설에 매달라는 것들에 불과하다. 그러나 자신들은 전설을 만들려는 쪽. 이대로 계속 저항한다면 그 다름을 뼈져리게 느끼게 해줄 뿐이다.
          * 이렇게 되자 야토족 용부대다 더는 버틸 수 없다. 본래 7사단에게도 밀리고 있었으니 증원까지 왔다. 중간관리자로 보이는 야토가 당장 퇴각하라고 외치고 있는데, 하늘에서 석장이 내려온다. 그 석장이 그를 꼬치로 만든다.
          * 적과 아군이 뒤엉킨 한 가운데로 뛰어든 우츠로는 그대로 한 번 휘두름으로 주위의 사를 피분수로 만든다. 사들이 기껏 쓰러드린 나락들도 비척거리며 다시 일어선다.
  • 일곱개의 대죄/204화 . . . . 4회 일치
          * 마신족 대군을 이끌고 나타난 십계 [[데리엘]], [[몬스피드]], [[갈란]], [[메라스큐라]], [[프라우드린]]. 이 무서운 대군 앞을 한 명의 소녀가 가로막고 있다. 그것은 바로 엘리자베스. 그녀는 혈혈단신으로 대군을 가로막고 자신을 밝힌다. 갈란과 메라스큐라는 자진해서 죽으러 왔다고 비웃는데 몬스피드는 어디선가 들은 이름이라고 곰곰히 생각한다. 그런데 프라우드린은 자신들이 끌고 온 사들이 엘리자베스를 보고 동요하고 있는걸 발견하고 이상하게 여긴다.
          그때 프라우드린이 사들에게 확인한 사실을 전달한다. 어제 인간 마을을 습격했을 때 사들을 돌려보낸 존재가 바로 저 엘리자베스라는 것. 사들은 자신들도 왜 도망치게 됐는진 모르겠지만, 엘리자베스의 눈을 보고 있으면 싸울 맘이 사라진다고 수군거리고 있다.
  • 절대가련 칠드런/463화 . . . . 4회 일치
          * 장관의 퇴장 후 척보기에도 수상한 무리가 나타난다. 더 칠드런 일행과 판도라의 간부들이 작전에 나선 것이다. [[미나모토 코이치]]는 관리관이 상대지만 실패는 용납할 수 없다고 팀원들에게 주의를 준다. [[효부 쿄스케]]가 거기서 리더 인양 굴지 말라고 끼어든다. 미나모토는 판도라는 용 입장이 아니냐고 따지는데 효부는 자기가 능력, 경험, 기술, 인격 면에서 모두 앞선다고 대꾸한다. 물론 미나모토는 "적어도 인격은 아니다"고 격렬하게 반박.
          리더들이 림픽을 벌이는 옆에선 [[후지우라 요우]]가 왠일로 어른스럽게 "리더 따윈 누구든 상관없고 싸움은 리듬을 타고 타닷하고 접근해 파밧하고 이기면 된다"고 말한다. 진지한 말투와는 달리 내용은 대충. [[사카키 슈지]]는 거기에 태클을 걸며 어차피 용으로 쓸 거면 [[마기 시로]]가 제일 쓸만할 것 같으니 데려 오라고 한다. 요우는 자세히 밝히지는 않지만 "사정이 있어 못 온다"고 말한다.
          * 입구의 경비력은 효부와 유리의 최면으로 간단히 통과, 보안키도 미리 준비한 위조ID카드로 무사히 지나간다. 하지만 지금부터는 난관이다. 바벨 보안시스템의 최종 방어라인 더 더블 페이스. 하이 레벨 에스퍼인 [[노와키 호타루]]와 [[토키와 나츠코]]에겐 최면도 통하지 않는다. 일행이 나타나자 마자 더블 페이스는 초감각으로 투사가 안 되는걸 감지하고 경계한다.
  • 죽는다 죽는다 사기 . . . . 4회 일치
          * 「●●쨩을 구하는 모임(ちゃんを救う会)」이라는 홈페이지를 개설하고, [[난치]]에 걸린 어린 아이의 정보를 게재하여 난치 치료를 위한 치료비를 공개적으로 [[모금]]하는 행위에 대하여, 비판하는 사람들이 이러한 활동을 칭하는 이름이다. [[난치 모금사기]]를 참조.
          * [[자살]]을 선언하고, 이를 통하여 이득을 얻거나 관심을 받으려는 행위. 관심 받으려는 경우는 [[관심]]의 일종.
  • 진격의 거인/83화 . . . . 4회 일치
          * 조사단은 거인이 되는 약물을 연구한 결과 다른 인간이 가진 거인의 힘을 빼앗을 수 있다는게 드러났던 것.
          * 리바이가 약물을 넘기려 할 때 조사단의 생존자가 죽기 직전의 엘빈을 찾아내 데리고 온다.
          * 엘런 일행 쪽에서는 리바이가 약물을 넘기려는 그 순간, 조사단의 생존자가 엘빈 단장을 구조해 온다.
          * 사는 약물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 창작:좀비탈출/5-1-1-1-1 . . . . 4회 일치
         자 보자. 좀비 아포칼립스가 일어나기 바로 얼마 전에 옆집 아줌마는 수상한 으로 한 달이나 모습을 보이지 않았고 그 집 아저씨만 수상한 약을 지어다 먹이고 있었다. 그로부터 몇 달 뒤에 사단이 일어나고 우연히 옆집의 생존자가 탐색하러 왔는데…… 죽은지 오래된 녀석의 하반신이 덩그러니 있다.
         나는 아주 짧은 시간 만에 이야기를 한 편 짜맞췄다. 어떤 남자가 정체불명의 에 걸린 아내를 헌신적으로 간호했다는 얘기다. 너무 헌신적이었는지 침대를 떠나지도 못하게 묶어놨을 정도였다. 아직도 이 넝마같은 침대에는 '''가죽끈'''이 달려있다. 참 솜씨 좋게 붙여놨군. 그러던 끝에 결국 아내는 간호가 지겨웠는지 침대에서 빠져나왔고, 전쟁 같은 부부싸움을 치렀다. 장롱은 그 과정에서 넘어졌을 것이다. 아내는 거기에 깔렸고 살아남은 남편은 뭘로 했는지는 몰라도 아무튼 아내의 허리를…… 이하 자체검열.
         잠깐 중단하자. 얘기가 맞물리지 않는다. 물론 그 정체불명의 의 정체가 좀비라고 생각하면 어느 정도 일리가 있다. 설마 그런 증상일 거라고는 몰랐을 아저씨는, 혹은 알았기 때문에 더 그랬을지도 모르는 아저씨는 아내는 숨긴 채로 어떻게든 되돌릴 방법을 고심했을 것이다. 약국 아저씨도 열광적인 조기축구회 멤버였던 걸 생각하면 처방전 없이 특제 몸살약을 제조하는 것도 있을 수 없는 얘기가 아니다. 그렇게 지내던 한달여 만에 결국 아줌마가 빠져나오고 안방에서 악몽 같은 일전 끝에 장롱으로 깔아뭉게는 걸로 결론이 났다면 아주 말이 안 되는 얘기는 아니다.
         확인하고 싶다. 다이너스티의 키만큼 해답을 찾고 싶다. 하지만 키는 결국 발견되지 않겠지. 토트넘이 그걸 가지고 다니다 흘렸을 가능성을 무시한게 잘못이었다. 만약 내가 추론대로라면 그는 제일 먼저 원으로 가고 싶었을 거고 자신의 애마를 이용하지 않을 이유가 없었겠지. 하지만 예상보다 감염은 빨랐고 그가 미처 차에 탈 수도 없었을 것이다. 차키를 손에 들고 어디로든 돌아다녔을 것이고 만나는 사람마다 슬픔을 나누고 다녔겠지. 아내와 자신의 죽음에 대하여.
  • 창작:좀비탈출/5-1-1-1-1-2 . . . . 4회 일치
         이 나는건 예상하고 있었다. 하지만 현실에 예상을 따라가는 일이 얼마나 되던가? 그 예상이란건 해열제나 소화제로 처리되는 에 대한 것이고 이토록 격렬한 발열과 의식의 끈이 끊기는 상황을 상정한게 아니었다. 나는 생전 처음으로 손발이 남의 것 같고 신체 어느 것 하나 맘대로 움직이는게 없는 상황에 처했는데, 우연히 그게 전멸한 도시 한 복판에서다. 이런 기막힌 상황이 있나!
         이제 얼마 안 되는 정신으로 냉정을 흉내내 보자. 아무 일도 없는데 이 났을 리는 없다. 물론 내 몸이 약해지긴 했겠지만 추위하고는 백만년은 거리가 먼 이런 계절에 감기가 걸렸을 리는 없다. 갑작스런 과로로 인한 몸살은? 가능성은 있다. 하지만 발열까지 설명이 될까?
         처음엔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다. '''누가 그런 생각을 하겠어?''' 그저 뜻대로 움직이지 않는 거라고, 이 때문에 제대로 움직이지 않는 거라고 생각했지. 아니었다.
  • 콘도 마코토 . . . . 4회 일치
         2000년 『의원(医原病)』, 『좋지 않은 치료 안된 의사(よくない治療ダメな医者)』 출판
         2002년 『성인의 진실(成人病の真実)』 출판
         암 치료의 3대 요법인 외과수술, 화학요법, 방사선요법을 의미가 없으며 오히려 유해하다고 주장하고, 암은 방치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 그의 주장은 암 치료로 수명이 길어진다는 근거가 없으며, 오히려 합증이나 후유증으로 불이익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암의 조기발견이나 치료에는 의미가 없고, 암 치료를 받지 않는 것이 오히려 오래 살 수 있다는 것이다.
          * 그의 주장에 따라서 [[암]]을 방치하여, 말기 암이 된 채로 원에 와서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있다.
  • 킹덤/500화 . . . . 4회 일치
         [[킹덤]] 제 500화. '''진군하는 력들'''
          * 이런 이야기를 하는데 전방에 앞서가던 환의군의 후미가 보인다. 하료초는 기겁을 하며 "속도가 생명인 승부가 될 텐데 왜 이리 꾸물거리냐"고 성화를 부린다. 양단화는 그녀를 진정시키며 환의군은 전혀 느린게 아니고 오히려 비신대 쪽이 너무 빠르며 하료초가 지나치게 긴장한 상태라고 지적한다. 이런 부자연스러운 긴장은 사에게, 나아가선 적에게 노출된다.
          이번 작전은 고소의 기만전술. 흑양으로 출하지만 실제 노리는건 업이다. 중간에 진로를 바꿔 단숨에 업으로 처들어가야 하는데, 조금이라도 수상한 낌세를 흘리거나해서 적이 알아차린다면 시작해볼 수도 없는 작전이다. 이목은 분명 진군 내부에도 밀정을 심어놨을 것이며 평소와 다른 분위기를 보인다면 분명 그 사실이 이목에게 전달될 것이다. 양단화는 그렇게 말하며 전쟁은 이미 시작되었다고 충고한다. 그 의미를 이해한 하료초는 감사를 표한다.
          * 이번 작전에서 진군의 군량 조달의 중계지가 된 금양으로 어마어마한 양의 군량이 모여든다. 참은 중요한 만큼 보급부대는 전투부대보다 한 발 먼저 금안으로 향하고 있다. 양단화가 우려한 대로 이 보급부대 사이에도 조군의 밀정이 섞여 있다.
  • 킹덤/501화 . . . . 4회 일치
          * 연의 대규모 력이 이동 중. 놀랍게도 대장군은 한직으로 밀려났던 [[오르도]라고 하는데.
          그 예상대로 갑작스러운 폭우가 쏟아진다. 기세도 금방 그칠 것 같지 않다. 산민족들은 평지의 사들은 이만한 비에도 행군을 못 하냐고 빈정거리는데 [[양단화]]는 그런건 아니지만 지금은 그래서 득이 될게 없다고 설명한다. [[환의]]도 비슷한 의견인데 빗속의 행군은 지나치게 지치기 마련이니 체력을 보존하려는 의도라는 것이다.
          * "동쪽의 그 남자", 연나라의 [[오르도]]가 돌아왔다. 연합종군 이후 한직으로 밀려난 줄 알았던 그가 진-조의 대립국면에서 어부지리를 노리며 대군을 몰고 온 것이다. 물론 조나라가 진군에 대비해 서쪽에 력을 집중하면 자연 동쪽은 허술해질 거란 계산도 깔려 있었다.
  • 킹덤/504화 . . . . 4회 일치
          * 조군의 기대는 [[환의(킹덤)|환의]]군단이 발을 묶어 본대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숫자는 환의군이 압도적으로 많지만 조군 또한 4, 5천에 달하는 정예들. 환의군이라도 아무 희생없이 저지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었다.
          하료초는 그래도 왕전이 여기서 력을 아끼진 않을 거라고 여긴다. 여기서 꾸물대다간 안팎으로 포위당해 끝장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 책략의 달인인 왕전은 이미 계획을 짜고 있을 거라고 짐작한다.
          신은 사들에게 기합을 넣어주려는 듯 "내일이든 모레든 정신차리고 가자"고 힘차게 외친다. 그때까지 잠자코 있던 [[강외]]는 "모레가 아니라 내일"이라며 맞장구친다.
  • 킹덤/506화 . . . . 4회 일치
          * [[산민족]]은 상상을 뛰어넘는 속도로 성문 근처까지 접근해 기 중 일부를 처치했으나 성문 안으로 진입하는 데에는 실패.
          * 이를 걱정하는 [[이신(킹덤)|이신]]에게 양단화가 찾아와 [[바지오]]의 부대를 엄호할 궁이 있는가를 묻는다.
          * 양단화는 공략지점을 찾았고 오가족의 엄호 속에 바지오 부대를 성벽에 올린다고 한다. 신도 바지오만 돌입하면 이긴거나 다름 없다고 맞장구 친다. 문제는 엄호할 인원이다. 오가족만으론 부족. 양단화는 비신대에 실력좋은 궁이 있냐고 묻는다. 신은 웃으며 "무지막지한 놈들"이 있다고 답하는데. 그 "무지막지한 놈들", [[창인]]과 [[창염]] 형제는 얼어붙다시피한 신들 사이에서 대기하고 있다.
  • 킹덤/523화 . . . . 4회 일치
          * 몽념이 염두했던 남자, [[왕분]]은 진군 우익에 배치되어 조군 좌익 [[조아룡]], [[마남자]], [[악영]]의 3만 력과 일전을 앞두고 있었다.
          * 몽념이 염두했던 남자, 왕전의 아들인 [[왕분]]. 그는 [[아광]]과 함께 진의 우익에 배치되었다. 총 2만 5천 력. 언덕 위에서 교전이 벌어질 벌판을 바라보는 왕분. 지평선 너머로 다가오는 조군 좌익이 일으키는 흙먼지가 보였다.
          * 조군의 좌익은 총 3만 력에 보기에도 위압감이 느껴지는 맹장 셋이 배치되었다. 우측부터 [[조아룡]], [[마남자]], [[악영]]이 그들이다. 그런데 이들은 서로 아는 사이도 아니거니와 함께 작전을 수행해본 적도 없었다. 이런 셋을 한 군으로 편성한 [[이목(킹덤)|이목]]은 무슨 생각이었을까? 역시나 시작부터 신경전이 벌어진다. 선봉을 누가 맡는지 문제를 놓고 악영이 먼저 나서며 다른 두 장수를 무시했다. 마남자는 자기가 말을 꺼냈는데 냉큼 악영이 받아먹으려 들자 그를 "창쟁이"라 부르며 뭐하는 짓이냐 따졌다. 악영이 차가운 태도로 잘 알지도 못하는 둘에게 이 전장의 첫 칼날을 맡길 수는 없다고 쏘아붙였다. 그러자 조용히 있던 조아룡이 중재했다. 우선 악영이 마남자를 잘 모른다고 했으나 그럴 리는 없다. 마남자는 대단한 체격의 거한이면서 그 이목의 부관을 맡을 만큼 검증된 인물. 악영이 그 개인과 친분이 없을 지라도 그를 "보통내기"로 여기고 있을 리 없다고 지적한다. 악영도 그 지적을 부정하지는 못하지만 이번엔 조아룡을 두고 "어디서 굴러먹던 개뼈다귀"냐고 험한 소릴 입에 올린다. 조아룡은 쓴웃음을 짓고 말이 심하다고 할 뿐, 자기 자신에 대해서는 선전하지 않았다.
          * 가령 제 2장 마광은 왕전군 최강의 공격력을 자랑하나 의외로 책략을 잘 쓰는 인물. 반면 아광은 "정면에서 당당하게 적과 부딪히는" 성격이었다. 아광의 사들 또한 마치 지휘관의 복사판 같은 인물들. 겁이라는 걸 모르듯 그저 장군을 따라 적진으로 향하는 자들이다. 옥봉대에도 몇 번 아광 밑에 편성됐던 자들이 있는데, 이들은 한결 같이 "악몽 같은 경험. 다시는 편성되고 싶지 않다"고 입을 모았다. 이런 증언을 입증하듯 조군의 전열이 가속하자 아광군도 맞서서 가속, 한 복판에서 그대로 충돌한다.
  • 킹덤/524화 . . . . 4회 일치
          * [[왕분]]과 옥봉대는 총대장 [[왕전(킹덤)|왕전]]의 지시로 전장에서 물러나 상황을 지켜보고 있었다. 아광군이 적과 비등하게 부딪히자 모두가 감탄했으나 [[관상]]만은 그저 맞먹을 뿐이 아니며 아광군이 강한건 지금부터라고 말한다. 곧 그 말이 무슨 뜻인지 알 수 있었다. 양군의 제 1열은 적과 부딪히면서 큰 희생자를 냈다. 아무리 급박한 전장이라도 이렇게 격돌하고 나면 서로 부상자와 시신에 가로막혀 잠시 물러설 수도 있는 일. 그러나 아광군은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오히려 제 1열의 사들을 방패로 삼고 넘어뜨리고 짓밟으면서 계속 전진했다. 관상은 선두의 기마들은 설사 그 앞에 있는게 자기 가족이라 해도 결코 속도를 늦추지 않으며 무엇이든 짓밟고 무너뜨릴 각오 뿐이라고 말했다.
          * 아광은 자신의 군단을 둘로 나눠 악영과 직접 격돌한 1진, 후방에서 대기하는 2진으로 구성해두었다. 1진이 난입한 마남자 군에 측면을 유린 당하자 2진의 제 1대, 2대가 원군을 급파한다. 그런데 그 2진도 좌측에서 습격을 받았다. 마남자는 아광의 부대 구성을 꿰뚫고 있었다. 그도 부대를 둘로 나누었다. 악영을 구하러 가는 주공에 3천, 그리고 제 2진을 저지하러 가는 조공을 7천으로 배정했다. 주공의 목적은 악영군과 합류해 아광 1진을 정면과 좌측에서 압박하는 것이 목적이었고 조공은 제 2진에서 조력하러 오는 력을 저지하는 것.
          조아룡은 적진을 난도질하는 마남자의 무용과, 적의 배치를 이용해 절묘한 력 분산을 펼친 전술안을 한눈에 바라보며 과연 그 [[이목(킹덤)|이목]]이 부장을 맡길 만하다고 생각한다. 심지어 그의 무력은 [[개자방]]과 [[염파]]에 비견된다 알려져 있으니, 마남자야 말로 왕전과 이목의 지략전에서 승패를 좌우할 인물일지 모른다.
          * 적을 몰아붙이는데 골몰하고 있던 아광군은 측면을 내주면서 급격히 약화되고 있엇다. 1진은 이미 악영군과 한참 교전 중이라 측면을 강화하러 보낼 력이 없었고 2진도 마남자가 세운 벽에 걸려 운신이 자유롭지 못했다. 싸움은 순식간에 난전 양상으로 바뀌고 있었는데, 이때 1진과 2진 사이를 소속 불명의 기마대가 가로질러갔다. 양군 모두 전투의 도중인데도 저 기마대가 어디서 온 건지, 누구의 편인지 어리둥절해했다.
  • 킹덤/531화 . . . . 4회 일치
          * 그러나 정해진 승부는 뒤바뀌지 않았다. 마광의 혼신의 칼날보다도 빠르게, 이목이 내리친 칼이 마광의 목과 팔을 단칼에 잘랐다. 기수군을 몰아가는데 골몰하던 진군은 저희 대장의 목이 굴러디는 걸 보지 못했다. 반면 언덕에 있던 기수와 그 부관들, 조군 사들은 똑똑히 보았다. 이목이 마광의 목을 쳤다. 믿기지 않기로는 목이 떨어진 당사자 못지 않았지만 분명한 사실이었다. 부관들은 울지도 웃지도 못하는 채로 기수를 돌아보았다. 그도 눈 앞의 광경을 의심하고 있었다. 이렇게 되리라 알고 있었는데도.
          * 진군에 마침내 마광이 죽었다는 말이 퍼져나갔다. 조군은 현실을 인정하는 환호성이 퍼져나갔다. 기수는 이쪽을 향해 포권을 하고 말을 돌리는 이목을, 조나라의 삼대천을 보며 그 역량에 감탄했다. 이제 그가 할 일을 할 차례다. 기수가 기름처럼 끓기 시작한 력에 불을 질렀다. 전부대, 전력을 향해 조군 총대장 삼대천 이목이 직접 적장의 목을 쳤음을 선언했다. 그는 목이 터져라 외치고 전령을 통해 모든 하급부대에 급파했다. 마광의 목이 떨어졌다. 그 이상의 지시는 필요가 없었다. 위축을 거듭하던 군대가 단숨에 살아났다. 반면 진군은 대혼란. 마광이 죽었다는 말과 거짓선동이란 말이 뒤섞였다. 최전방은 마광의 안위를 확인할 수 없었고 백 배 기세로 돌격하는 조군을 상대하면서 후방의 진위를 파악할 수도 없었다. 그럴 수록 조군이 외치는 "이목이 마광의 목을 쳤다"는 구호는 섬뜩했다.
          * 마침내 기수의 목을 치러 가던 [[이신(킹덤)|이신]]과 [[몽념(킹덤)|몽념]], 두 장수에게도 그 외침이 들렸다. 신은 무엇보다 "이목"이란 이름에 눈이 뜨였다. 그와 칼을 맡대고 있던 조군 사가 "그러니 너희는 끝장"이라고 빈정거렸다. 신은 단칼에 상대를 베어넘기고 뛰쳐나갔다.
  • 트로피코 4/진영 . . . . 4회 일치
         관계가 험악해졌을 경우 장교들의 불만이 많아졌다는 투의 경고를 두번 해온다. 장교들의 불만을 만족시키지 못했을 경우 쿠데타가 일어나 각하를 지지하는 장들과 각하를 조지려는 장들의 전투가 벌어진다.
          * 반역자보다 많은 수의
          * 사수 확대 - 지식인의 존경심이 떨어진다.
  • 페이데이 2/하이스트/로크 . . . . 4회 일치
         수송기 제일 뒷부분 구석에 숨어들어간 상태로 시작한다. 빠르게 가면을 쓰고 뛰쳐나와 용들을 해치우자. 패널을 조작해 수송기 뒷문을 열면 머키 용들이 막혀있던 곳을 열고 나타난다. 용들을 쏴죽이며 그대로 직진, 계단을 타고 올라가면 용들이 빼곡한 객실이 나온다. 이 객실을 돌파하면 처음 시작했던 곳의 2층이 나오는데 2층에 있는 조작 장치를 건드려서 돈을 사출시키자. 이후 플레이어들도 낙하산 상자에서 낙하산을 하나씩 집은 다음 수송기 뒷문으로 뛰어내린다. 낙하산 없이 뛰어내렸다가는 바로 철장행이니 주의. 착지하고 나면 낙하산은 필요 없으니 내다버리자.
  • That 70's show . . . . 3회 일치
         여주인공2. 거만하고 자기중심적인 성격. 미모에 자신감이 넘치고 [[공주]]이 강하다. 도나와 친구, 켈소와 연인 관계라서 그룹에 끼어들었지만 사실 초반에는 아무도 재키를 좋아하진 않았다(…). 시즌이 갈수록 우정으로 그룹의 일원이 되어간다. 작중 내내 켈소, 하이드, 페즈를 오가다가 8시즌 최종화에서 페즈와 맺어진다.
         에릭과 서로 과거 폭로전을 벌이다가, 사실 태어났을 때는 [[꼬리]]가 있었다(…)는 비밀이 밝혀지기도 했다. 카드놀이를 하다가 666을 연속으로 뽑는 등 악마(…) 기믹이 들어가기도.
         사진관 체인점 포토헛(Foto Hut)을 경영하는 [[히피]]로 등장. 과도한 대마초 사용으로 단기기억상실증을 앓고 있으며, 정신이 오락가락 한다. 그런데 8시즌에서 사실 과거에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여 퍼플하트훈장을 받은 전쟁영웅이었다는 것이 밝혀진다. 수송으로 참가했지만 수송 트럭으로 독일군 탱크 부대를 뚫고 들어가서 소대원을 구출한 경력이 있다고. 귀국하고 차를 타는데 대마 연기를 풍풍 풍기는 수상한 재즈 뮤직션의 차를 얻어탓다가 그 이래로 히피화 된 것으로 보인다.
  • V-22 오스프리 . . . . 3회 일치
         24명의 력이나 20,000 파운드(약 9 톤)의 물자를 수송할 수 있으며, 15,000 파운드(약 6.8 톤)의 물자를 매달아서 수송할 수 있다.
         미 해대는 CH-46E 시나이트를 대체하기 위해 MV-22를 채용하였으며, 미 공군 또한 특수 작전 보급과 장거리 침투, 구조를 위해 CV-22를 도입하였다. 또한 일본 육상자위대 역시 V-22 오스프리를 도입하였다.
         [[http://www.marines.com/operating-forces/equipment/aircraft/mv-22-osprey|미 해대 사이트의 MV-22 오스프리 페이지(영문)]]
  • 강남역 묻지마 살인사건 . . . . 3회 일치
         2016년 5월 17일 서울 서초구 강남역 인근에서 일어난 살인사건. 이날 새벽 서초구의 한 노래방 화장실을 이용하던 23세 여성이 34세 남성 피의자 김모씨에 의해 흉기에 찔려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피해자는 남자친구에 의해 발견되어 오전 1시 25분 경에 인근 원으로 옮겨졌으나 숨졌다. 같은 날 오전 10시 김모씨는 긴급 체포되었으며 자백을 받아냈다.
         김모씨는 2008년부터 올해까지 6차례나 정신원에 입원과 퇴원을 반복할 정도로 불안정한 정신상태였다. 그의 력은 조현증, 즉 정신분열증이었으며 평소 여성에게 피해를 당하고 있다는 피해망상에 시달리고 있었다. 경찰은 피해망상에서 비롯된 묻지마 범죄로 규정했는데, 여기에 대해서 시민과 전문가들 사이에서 의견이 극명하게 갈린다. 대체로 수사관과 범죄심리학 관련자들 사이에서는 기존 묻지마 범죄의 전례와 완전히 일치하며 특정한 편견에 의한 범죄가 아니므로 묻지마 범죄로 봐야한다는 여론이 강세이나 반대로 사회학자, 페미니즘 학자들 사이에서는 전형적인 여성혐오범죄이며 여성이 사회적 약자이며 강력 범죄에 취약함을 주지시키는 사건이라는 여론이 강세이다. 이러한 입장의 차이는 시민들 사이에서도 극명하여 때아닌 성대결 양상으로까지 비화되었다.
  • 경산시 . . . . 3회 일치
         * [[최국 (1956년)|최국]] - 전 경산시장
         * [[김일생]] - 전 무청장
  • 김취경전 . . . . 3회 일치
         삼국시대 고구려 평안도 숙천(肅川)에 김형국(金亨國)이라는 선비가 살았다. 김형국은 늦은 나이에 [[단군]](檀君)으로부터 점지를 받아, 아들 취경(就景)과 딸 선애(仙愛)를 얻게 된다. 부인 양씨는 취경, 선애 남매를 낳고 취경이 6살 되던 해 사하였는데, 김형국은 안씨(安氏)를 후처로 들인다.
         방황하던 취경은 어느 수수께끼의 백발노인의 인도를 받아, [[흉가]]에 갔는데 그곳에서 괴물을 물리치고 미인 목소저를 구해준다. 목소저는 백제국 태부상서의 딸이었다. 취경은 목소저에게 의지하여 서와 무술을 공부하게 된다. 한편 집을 나온 선애와 설애는 [[남장]]을 하고 다니다가 함흥부의 소년 양화춘과 의형제를 맺고, 함께 오빠 취경을 찾아다니다 취경과 재회한다.
         그런데 이 때, 백제국이 고구려를 침공하여, 고구려왕은 백제군에 패배하고 위기에 바진다. 취경과 양공자는 함께 법과 무술을 고웁하다가, 양공자가 천문을 보고 왕이 위험하다는 걸 알게 되고, 취경이 전장에 나가서 왕을 구하기로 한다. 취경은 장인의 영혼[* 백제국 태부상서인데 어지간히 백제왕이 싫었나보다(…).]으로부터 삼척보검을 얻고, 도적 천철웅에게 군량미를 지원받으며, 단군에게 갑주와 용마를 받는다.
  • 나고야 대학 여학생 살인사건 . . . . 3회 일치
         함께 노래방에 갔던 중학생 시절 동급생에게 탈륨을 투여했다. 이 때 소녀를 문하러 방문했는데, 진술에서 문안은 탈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했을 뿐이며, "의외로 건강해서 실망했다."고 밝혔다.
         입시를 앞둔 시기에는 [[황산탈륨]]을 [[쥬스]]에 넣어서 동급생 남학생을 살해하려 했다. 이 남학생은 거의 실명에 이를 뻔 했으나 원인 불명의 건강 이상으로 처리되었다. 교내에서는 범행을 의심하는 소문이 퍼졌고, 원에서도 학교 측에 특수한 약물이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통보했으나, 학교에서는 입시철을 앞두고 학생들을 동요하게 하고 싶지 않다는 이유로 안이하게 처리하였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61화 . . . . 3회 일치
          * 원으로 후송된 히어로들은 중상자가 많지만 대부분 생명에 지장은 없다. 미도리야는 오른팔에 설명하기 어려운 흉터가 남았지만 기능에 이상은 없다. 에리는 고열이 내리지 않은 채로 격리된 상태. [[아이자와 쇼타]]는 "되돌리는" 개성의 특성상 이렇게 하는게 최선이라는 결론을 내린다. 게다가 이 개성은 오로지 인간에게만 발동하며 훈련도 제어도 어려운 특이한 것이라고 설명한다. 그러면서 "에리의 개성에는 의존할 수 없다"고 못을 박는데, 그건 [[서 나이트아이]]를 두고 한 말이었다.
          * 마침 [[올마이트]]도 도착해 있는데, 나이트아이의 상태가 오늘을 넘기기 어렵다는 소식을 듣고 오는 길이다. 나이트아이는 상태가 너무 나빠 리버커리걸의 치료도 먹히지 않는다. 나이트아이는 간신히 숨만 붙어있는 상태로 상에서 올마이트와 재회, 올마이트가 "네게 끔찍한 짓을 했다"고 사과하자 그저 올마이트가 행복해지길 바랐고 그가 저항하기로 결심한 거라면 만족한다고 대답한다. 올마이트는 그도 저항하라며, 자신에게 속죄할 기회를 달라고 하지만 나이트아이는 남에게 폐를 끼친 것은 자신도 마찬가지며 그동안 올마이트의 미래를 바꾸기 위해 노력했지만 실패했다고 고백한다. 하지만 미도리야는 오늘 미래를 바꾸는걸 보여줬고 그건 모든 사람들이 각자 바라는 미래를 바라는 힘이 "에너지"의 형태로 모여서 미도리야에게 전해진 결과라고 추측한다. 원 포 올 100%가 해방된건 그 덕. 그렇게 미래가 바뀌는 걸 봤으니 만족하지만, 한 가지 미련이 남아 있다고 하는데.
          * 그때 [[토오가타 밀리오]]가 간호사의 만류도 뿌리치고 실로 들어선다. 밀리오는 자신도 중상인 것도 잊고 나이트아이에게 살달라고 눈물로 호소한다. 나이트아이는 그저 "그릇"으로 받아들였을 뿐인데 밀리오가 자신을 믿고 존경해주면서 차츰 자신의 긍지로 변해갔다며 유언을 남긴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83화 . . . . 3회 일치
          * 미도리야는 원신세가 돼서 아직도 퇴원하지 못했다.
          * 반친구들이 문을 오는데, [[지로 쿄카]]와 [[하가쿠레 토오루]], [[야오요로즈 모모]]는 아직도 퇴원하지 못했다.
          * [[키리시마 에지로]]와 [[토도로키 쇼토]]는 전날에도 문을 왔다가 야오요로즈가 올마이트와 경찰에게 "사라진 빌런 중 한 명에게 발신기를 붙였다"는 증언을 하는걸 들었다.
  • 니세코이/219화 . . . . 3회 일치
         약속의 장소로 다가가는 일행들
          * 깜짝 놀란 이치죠에게 "원에서 잠깐 빠져나왔다"고 날림으로 설명하는 마리카.
          * 이치죠가 진짜 약속의 아이를 기억해내면 다시는 기회가 없을 거라고 생각했기 때문.
  • 니세코이/220화 . . . . 3회 일치
          * 치토게 또한 약속의 장소를 발견하고 기억을 더듬어 간다.
          * 치토게도 약속의 장소에 있는 바위를 살펴보다 무언가 새겨놓은걸 발견하는데 그것을 보고 그때의 기억이 완전히 돌아온다.
          * 약속의 아이는 치토게?
  • 니세코이/224화 . . . . 3회 일치
          * 마리카는 "정말로 좋아했다면 없었던 걸로 만들지 마라"고 꾸짖고 마음을 고쳐먹은 치토게는 약속의 장소로 향한다.
          * 동틀 무렵 이치죠는 약속의 장소에 도착하는데 때마침 오노데라도 도착한다.
          * 치토게는 미국에 있다고 들은 마리카가 약속의 장소에 있어 놀란다.
  • 니세코이/225화 . . . . 3회 일치
          * 약속의 장소에서 만난 오노데라와 이치죠.
          * 약속의 장소에서 다시 만난 이치죠와 오노데라는 합류해서 함께 치토게를 찾아다닌다.
          * 자신이 약속의 아이인 것도 말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 망설인다.
  • 니세코이/229화 . . . . 3회 일치
          * 이치죠와 치토게는 약속의 장소에서 재회한다.
          * 그날 이후 처음으로 약속의 장소에 온 이치죠.
          * 기존에 있던 열쇠와 펜던트는 오노데라와 함께 약속의 장소에 묻었다.
  • 라무네 . . . . 3회 일치
         일본에서 라무네라고 하는 음료는, 레모네이드를 기반으로 한 탄산음료로, 유리구슬로 탄산이 나오지 않도록 막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유리구슬(ビー玉ビン)에 담는 것이 특징이다.
         1872년에 [[영국]]에서 유리구슬로 막는 이 발명되고, 1887년에 일본에서 이 을 사용해서 레모네이드를 담게 되어 이것이 '라무네'로서 일반인들에게 널리 팔리게 되었다.
  • 로라 로라 . . . . 3회 일치
         안 까이는 경우는 별로 주목을 못 받아야 가능한 경우인데... 대표적으로 [기동전사 Z 건담]의 [화 유이리] 정도만큼 존재감이 희미하거나 [기동전사 건담: 제08 소대]의 [아이나 사하린]처럼 주인공(남편)을 쉴드삼아 성녀로 등극해야지만 가능한 경우다. 이는 건담이 가지고 있는 인간의 성장드라마가 진행됨에 따라 등장인물들이 성숙해지면서 미성숙 단계의 크가 부각되거나 '''작품이 끝날때까지 정신적 성장이 안 되는''' 경우에 팬들에게 까이는 요소가 되는데, 토미노 작품에서도 로라 로라의 존재는 특이하게도 등장 시점부터 '''성숙한 단계'''였다.
         잉그렛샤 뿐만 아니라 지구측의 전력은 문레이스에 비해서 압도적으로 약한 수준이기 때문에(첫 싸움 당시 달은 I필드 배리어를 쓰는데, 지구는 제1차 세계대전 수준의 기를 운용했다) 정략적으로 지구측이 만만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구엔이 선택한 방법이다. 여장한 로랑을 보여주면서 "지구인들은 이렇게 연약해 보이는 여성도 싸울 수 있다"는 것을 어필하기 위해서 여장시켰던 것.
         구엔의 정략적 선택은 효과가 발군이라서 지구와 문레이스 일부를 제외하고 일반 사들에게 수염([화이트돌])의 파일럿 = 로라라는 여자로 인식되고 있다. 그리고 이건 구엔의 사심도 들어가 있는 것이 구엔은 로랑을 로라라고 부르며 늘 곁에 두길 바랬던 것이 투영된 캐릭터이기도 하다. 이 캐릭터의 존재로 구엔은 빼도박도 못하는 ~~[[로리콘]]~~[[쇼타콘]]으로 확실시되었다. ~~잠깐. 첫 만남때가 로라가 15살때잖아?~~
  • 마기/311화 . . . . 3회 일치
          * 아르바는 알사멘의 력을 총출동시켜서 네 개의 극대마법으로 알라딘을 공격한다.
          * 아르바는 알 사멘의 전력을 끌어내 승부를 내고자 한다.
          * "은행가"를 비롯해 알사멘의 력이 총출동. 한 명 한 명이 평범한 마도사를 웃도는 전력이다.
  • 마기/322화 . . . . 3회 일치
          * 우고는 력을 동원해 신드바드가 성궁에 접근하지 못하게 막으려 한다.
          * 사방을 애워싸는 력을 썰어나가는 신드바드.
          * 우고는 더 많은 력을 동원해 압박을 가한다.
  • 마기/339화 . . . . 3회 일치
          * 백룡은 환상 속의 자신을 여러조각내서 그 힘을 황제국의 동료들에게 나눠준다.
          * 신드바드는 그가 많은 희생을 치르고 조국을 되찾았지만 제대로 지키지 못했으며 쇠퇴로 이끌다가 끝내 자리에서 끌어내려진 왕이라고 비난한다. 그가 황제 자리에 오르기 위해 희생시킨 많은 백성과 사들, 그리고 그가 쓰러뜨린 형제들.
          풍경 속의 [[연홍옥]]은 백룡에게 받은 힘으로 신드바드에 견줄 정도로 거대하게 자라난다. 백룡의 뒤를 이어 황제가 된 홍옥은 백성들을 독려해서 자기 자신의 힘으로 나라와 긍지를 지키게 한다. 신드바드는 백룡이 하는 일이 무엇인지 이해하지 못한다.
  • 맥스 페인 2: 맥스페인의 몰락 . . . . 3회 일치
          * [[화염|몰로토프 칵테일]]
          Address Unknown. 90년대 방영했다는 설정의 극중극. 존이라는 남자가 느와르욕(Noir York)라는 도시에서 연쇄살인범 존 미라(John Mirra)를 쫓는 남자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미라를 쫓던 존은 정신원에 수감되지만 의사와 환자들을 드릴로 죽이고 도망친다. 그제서야 존은 자신이 존 미라였다는걸 깨닫는다는 그런 내용. 이걸 배경으로 한 테마파크도 있었던 것 같지만 원작 드라마가 방영 중단 먹으며 망한 듯. 솔직히 테마파크 겁나 기분 나빠서 방영 중단 안 되었어도 망했을 것 같다.
          Captain Baseballbat Boy. 야구방망이를 무기로 쓰는 캡틴 베이스볼배트보이의 이야기. 캡틴 베이스볼배트보이는 인정 안하지만 애인으로 바이시클 헬멧 걸이 있으며, 맥스웰의 악마라는 적이 있다.
  • 메두사 헤드 . . . . 3회 일치
         악마성 드라큘라 시리즈에 나오는 [[몬스터]].
         별거 아닌 것처럼 보이지만 고전 악마성에서는 매우 짜증나는 적이다. 왜냐하면 시계탑 스테이지처럼 점프를 해서 올라가야 하는 위태로운 곳에서 꼭 등장하기 때문. 메두사 헤드와 접촉하면, 재수없을 경우 그대로 뒤로 밀리면서 석화+추락사 콤보를 당할 수 있기 때문. 오묘하게 위아래로 날아다니는 궤도 때문에 [[채찍]]으로 제거하기도 쉽지 않다. 다수의 메두사 헤드가 출몰하는 곳에서는 신중한 플레이가 필요하다.
         [[분류:악마성 드라큘라 시리즈]] [[분류:몬스터]]
  • 모레아 전제국 . . . . 3회 일치
         모레아는 제국의 다른 지역처럼 오스만 제국의 공격을 받거나 전염의 유행으로 타격을 입기도 했으나, 코린토스 지협으로만 본토에 연결되고 이 지역에 건설한 [[헥사밀리온]] 성벽 덕분에 방어가 쉬워 제국의 다른 지역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안전한 편이었다. 모레아는 아카이아 공국 세력을 몰아내면서 발전을 거듭했다.
         이러한 모레아의 국력을 바탕으로 콘스탄티누스 전제공은 [[헝가리]] 중심의 [[십자군]]에 호응하여 출, 오스만에 복속되어 있던 아테네 공국을 복속시켜 아티카를 지배 하에 넣고, 테살리아 남부까지 세력을 확대하는 성과를 올렸다. 그러나 1444년 바르나 전투에서 십자군이 패퇴하자 다시 반도로 철수할 수 밖에 없었고, 1446년 11월에는 오스만의 강렬한 반격을 받게 된다.
         이러한 상황을 놓치지 않고 메흐메트 2세는 모레아에 친정하여, 1460년 5월 29일 콘스탄티노플 함락 후 7년 만에 수도 미스토라스가 점령되고, 그 해 여름까지 반도의 거의 전역이 오스만 제국에 합되어 모레아 전제군주국은 멸망한다. 드미트리는 오스만 제국에 복속하였고, 토마스는 이탈리아로 망명하였다. 모레아의 그리스인은 산악 지역이나 해안 지역에서 저항하거나, 이 당시 모레아 각지에 거점을 가지고 있던 [[베네치아 공화국]]에 투항하였고 베네치아 공화국은 그리스 인 군단을 편성하여 오스만에 저항하기도 했다. 그리고 이 거점들 마저도 오스만-베네치아 전쟁에서 궤멸하면서 그리스는 베네치아의 마지막 거점이었던 코르푸를 제외한 모든 지방이 오스만의 지배하에 들어서게 됀다.
  • 바키도/141화 . . . . 3회 일치
          * 대력을 눈 앞에 두고도 무사시는 "잡고 싶으면 잡으라"고 눈하나 깜짝하지 않는다.
          모토베는 석에서 "우리는 모두와 이어져 있다"는 말을 했다. 현대인은 모두 누군가와 어떤 형태로든 인연을 짓고 살아가고 있다. 하지만 무사시는 어떨까? 바키는 이제가 돼서의 그의 지적이 얼마나 타당하고 날카로운 것이었는지 실감한다. 그저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무사시의 고독". 그것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했던 자신에게 화가 나 주먹을 불끈 쥔다.
          * 오오츠카는 대력이 이곳을 포위하고 있다고 고한다. 그리고 현명하게 행동하라며 "오랏줄을 받아라"고 말한다.
  • 반지닦이 . . . . 3회 일치
         "괜찮아"를 "괸찮아"라고 쓰는 등 상당히 막장이다. 가장 유명한 대사로는 "일기가 좋은 날, 진흙같이 어두운 밤. 아니다 이 악마야, 내 앞에서 사라지지. 누가 사악한 수도 악마를 숭배하는지 볼까. 나의 힘을 조심하여라, 그린랜턴 빛!" 으로 원래 대사는 "가장 밝은 날에도, 가장 어두운 밤에도. 그 어떠한 악도 내 시야를 벗어날 수 없다. 악의 힘을 숭배하는 자들이여. 내 힘을 경계하라, 그린 랜턴의 빛을!" 이다.
         영화가 그냥 평범한 수준이었다면 한번 웃고 넘어갈 퀄리티였으나 사실 영화부터가 맛이며 사실 나올 때부터 망작취급 받았다. 덕분에 이 오역 자막은 한국의 DC 코믹스 팬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게 되었다. 그리고 이후부터 망한 영화에는 'OO닦이'라는 별명이 붙는 것이 유행하게 되었다.
  • 블랙 클로버/53화 . . . . 3회 일치
          * 우선 "악마"가 깃들었다는 표현 등으로 볼 때 초대 마법제가 물리친 악마일 가능성이 높다.
          * 그렇다면 백야의 마안이 추종하는건 그 악마라는 얘기가 된다.
  • 비니 고그니티 . . . . 3회 일치
         이후 맥스의 악몽에 나오는 TV 속에서 마지막으로 등장한다. 블라드에게 살려달라고 애원해 기회를 얻는다. 캡틴 베이스볼배트보이에 관한 문제들을 맞추면 인형탈에 설치된 폭탄을 제거해주겠다는 것. 비니는 첫번째 문제인 "캡틴 베이스볼배트 보이의 덩치 큰 악역은 누구인가?"의 답인 "맥스웰의 악마"를 맞춰 폭탄 반쪽을 해체받지만, 두번째 문제인 "현실에서 맥스웰의 악마를 만들어낸 사람은 누구인가?"를 틀려 폭발한다. 비니는 캡틴 베이스볼배트보이의 작가인 새미 워터스라고 대답했지만 정답은 "맥스웰의 악마"라는 사고실험을 만들어낸 스코틀랜드 물리학자 제임스 클라크 맥스웰이었다.
  • 사혈 . . . . 3회 일치
         치료 목적으로 [[피]]를 뽑아버리는 것. 역사적으로 매우 오랫동안 실행되었으나, 현대 의학에서는 치료 효과를 의문시하고 있으며 특수한 몇몇 질의 경우를 제외하면 거의 실행되지 않는다.
          * 서양 전통의학에서는 [[히포크라테스]]의 [[4체액설]]에 근거하여, 혈액∙점액∙황담즙∙흑담즙의 균형이 흐트러짐으로서 질이 생겨난다고 보았다. 사혈은 혈액을 줄여서 이 균형을 맞춰주는 행위로 보았다.
          * 사혈요법은 무수히 많은 사람을 말 그대로 '''잡았으며''', 그냥 내버려둬도 자연치유될 사람이 과도하게 사혈하는 바람에 죽어버리는 경우도 많았다. 유명인들 가운데도 사혈 때문에 죽은게 아니냐는 의혹이 있는 사람은 무척 많다. 사실 사망 직전 기록에 나타나는 미친 사혈질(…)을 보면 이나 부상보다도 오히려 사혈 때문에 죽은 걸로 보이는 사례가 굉장히 많다.
  • 슈퍼걸(드라마)/1시즌 5화 . . . . 3회 일치
         레슬리는 중태에 빠져서 원에 입원. 번개의 영향으로 머리카락이 새하얗게 변하게 된다. 카라와 그랜트는 레슬리를 문안 오지만 그녀는 꺠어나지 못한다. 그런데 두 사람이 사라지자 레슬리의 주변에서 스파크가 일어난다.
         원에서 나온 레슬리는 자신의 몸에 전기가 튀고 뭔가 변화했다는 것을 느낀다. 레슬리에게 헌팅남이 접근하다가 감전당하여 쓰러진다. --그저 헌팅을 하고 싶었을 뿐인데-- 라이브와이어가 된 레슬리는 전기로 몸을 변화하여 가로등 속으로 사라진다.
  • 스쿼키 청소회사 . . . . 3회 일치
         맥스가 발레리 윈터슨의 총에 맞아 원으로 실려가자 원을 습격한다. 이들은 비무장 상태의 맥스를 구석으로 몰아넣는데까지 성공했지만, 맥스가 원 경비가 가지고 있던 권총으로 탈출해버려 실패한다.
  • 스트레인지리얼 . . . . 3회 일치
         과학이 현실 세계에 비해 발달해있다. 1995년에 [[레이저]] 기가 전술 레이저 체계(Tactical Laser System, TLS)이라는 명칭으로 등장하였다.
         1994년 부터 율리시스 1994XF04라는 이름의 [[운석]]이 날아오는게 발견되었다. 이 때문에 율리시스를 요격하기 위해 [[스톤헨지]]를 위시한 수많은 기들이 만들어졌다. 율리시스는 지구의 중력에 의해 분해되어 낙하, 수많은 피해를 만들어냈다. 이 피해로 인해 지금까지 두번의 전쟁[* [[에이스 컴뱃 4]], [[에이스 컴뱃 6: 해방으로의 전화]].]이 발발하였다. 그리고 율리시스 요격을 위해 만들었던 기들은 전쟁무기화.
  • 예천군 . . . . 3회 일치
          * 1914년 : 용궁군 합.
         ||<|2> [[유학성]]/재선[br][[민주정의당]] || 유학성/3선[* 93.3.31 의원직 사퇴][br][[민주자유당]] || [[황태]]/재선[* 97.12.26 의원직 상실(뇌물수수)] [br] 신한국당 ||<|2> 신영국/3선 [br] 한나라당 ||<|2> [[신국환]]/초선 [br] 무소속 ||<|2> [[이한성]]/초선 [br] 무소속 ||<|2> 이한성/재선 [br] 새누리당 ||<|2> [[최교일]]/초선 [br] 새누리당 ||
          * [[황태]] : 전 [[주중대사]], 전 신한국당 국회의원, 전 [[대구한의대학교]] 총장
  • 원피스/828화 . . . . 3회 일치
          * 국왕으로 보이는 남자는 "악마의 손이 아니라 신의 손을 빌렸다"고 중얼거리며 사들과 백성들은 제르마의 이름을 연호하며 승리의 함성을 지른다.
          * 제르마66의 정체는 일종의 용국가인 듯.
  • 원피스/846화 . . . . 3회 일치
          * "서사" 샬롯 몬도르는 별명대로 책을 무기로 쓴다. 책들이 허공을 날아디는데 그걸 밟고 돌아다닌다. 남자는 루피가 삼장성 중 하나인 크래커와 하룻밤 내내 싸웠는데 선전하고 있다고 감탄한다. 실제로 결코 약하지 않다고 평가한 체스들이 무수히 널부러져 있다. 모두 루피가 쓰러뜨린 것. 하지만 이미 체력이 한계에 달했고 사방에서 몰려드는 강자들 덕에 상황은 좋지 않다.
          "생크림 대신" 샬롯 오페라가 체스과 싸우는 루피에게 생크림을 바른다. 그의 생크림은 끈적끈적해서 움직임을 제한한다.
          * 킹밤은 기어이 두 동강 나고 나미는 아망도에게 몸수색을 당한다. 아망도는 나미의 앞섬에서 로라의 비브르 카드를 찾아낸다. 가렛은 체스들이 제대로 싸우지 못한 것과 유혹의 숲에서 도망칠 수 있었던 것이 이것 때문이라고 판단한다. 그러면서 이걸 어떻게 손에 넣었냐고 묻는다. 빅맘의 군사들은 그게 로라를 죽이고 빼앗은 거라고 여긴다. 여기서 로라는 가출소녀 취급. 그렇지만 가족이라는 의식은 있는지 그녀의 죽음을 슬퍼하며 유언은 남긴게 없냐고 묻는다. 나미는 친구라서 받은 거라고 항변하지만 쉽게 믿어주지 않는다.
  • 원피스/851화 . . . . 3회 일치
          * 그때 푸딩이 갑자기 총을 쏘는데 총알이 상디가 서있는 벽 옆을 뚫고 나간다. 퍼커션 락 36구경 권총 "워커"와 통칭 "캔디 재킷"이라 불리는 탄환이다. 그 위력은 장갑을 두른 방패을 등까지 관통하며 "철의 몸"을 가진 빈스모크 일가에 대해서도 유효하다. 푸딩은 바로 이 총으로 [[빈스모크 레이쥬]]를 저격했던 것이다. 푸딩은 내일도 이 총으로 상디를 쏠 건데 무슨 표정을 지을 건지 기대된다며 악취미적인 발언을 한다.
          푸딩은 [[메모리메모리 열매]] 능력자. 사람의 기억을 머릿속에서 필름 형태로 끄집어 낼 수 있으며 마음대로 편집할 수도 있다. 그녀는 자신이 레이쥬를 저격했던 시점부터 지금까지의 기억을 잘라내고 대신 "유탄"에 맞은 사의 기억을 덧붙인다. 이것으로 레이쥬는 지금 들은 내용에 대해서는 기억을 잃게 된다. 푸딩은 의식을 잃은 레이쥬를 의료실로 옮기게 한다.
         푸딩의 메모리메모리 열매는 비전투 능력이지만 충분히 위협적. 작중 묘사로 볼때 기억을 완전히 만들어내는건 불가능해 보이지만 다른 사람의 기억을 이어붙이는 건 가능. 레이쥬의 기억을 조작하기 위해 사 하나를 희생한 걸로 보인다.
  • 원피스/855화 . . . . 3회 일치
          * 약속의 장소에 나타난 상디는 멀리서 "꼬르르르륵" 소리를 듣는데, 그곳엔 미라처럼 홀쭉해진 루피가 기다리고 있었다.
          * 비바람을 맞으며 약속의 장소로 향하던 상디. 어렸을 적 태풍을 뚫고 어머니에게 향하다 들개의 습격을 받은 것처럼, 이번에도 어디선가 들개가 나타나 도시락을 노린다. 상디는 당황하며 개를 쫓아낸다.
          * 상디는 루피가 약속한 스위트 시티의 변방 평원에 도착한다. 이곳은 낮에 루피가 사투를 벌이며 쓰러뜨린 체스들의 시체가 널려있다. 상디는 루피가 이곳에서 기다린다고 했으니 여기 어딘가에 있을 거라고 생각하고 시체들 사이에서 루피를 찾기 시작한다.
  • 원피스/877화 . . . . 3회 일치
          * 빅맘 해적단의 력은 미러 월드를 통해 계속 충원된다. [[브룩]]과 [[쵸파]]는 [[샬롯 페로스페로]]의 사탕에 묶여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 [[브룩]]과 [[쵸파]]의 선전도 거기까지였다. 적을 아무리 쓰러뜨려도 소용없었다. [[샬롯 브륄레]]가 미러월드에서 보내오는 력은 끝이 없었다. 거울에 있는 나미의 방에는 입장을 기다리는 대기줄이 길게 늘어섰다. 모두 브룩과 쵸파를 노리고 오는 적들이었다. 먼저 제압된 건 쵸파였다. 브룩도 얼마 시간을 두지 않고 잡혔다. 적의 수도 만만치 않았지만 [[샬롯 페로스페로]]의 사탕 공격이 결정적이었다. 쵸파는 벌써 몸의 대부분이 사탕으로 코팅 당했다. 사탕 코팅에 당한 이상 변신도 무리였다. 브룩은 아직 팔다리 뿐이지만 면적이 점점 넓어지고 있었다. 페로스페로는 무슨 생각을 한 거냐고 비웃었다. 정말 자기들로부터 배를 탈환할 줄 알았냐면서. 그는 겁에 질린 쵸파를 잔인하게 조롱했다. 이미 한 번 기회를 줬지만 그들이 차버렸으니, 전부 "캔디 인간"으로 만들어서 핥아먹어주겠다고 말했다. 사탕 코팅은 이제 쵸파의 얼굴까지 도달했다. 쵸파가 사탕에 익사당할 것 같았다. 완전한 "캔디 인간"을 만드는데 드는 시간은 단 3분. 마침내 쵸파의 머리 끝까지 사탕에 쌓이며 머리 위엔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사탕 타이머까지 생겼다.
          * 카타쿠리가 루피를 상대하는 동안, 페로스페로는 구태여 배에 오르는 일행을 요격하지 않았다. 대신 전보벌레를 들었다. 반대편에선 [[샬롯 몬도르]]가 대기하고 있었다. 그가 군함으로 해안을 포위하라고 명령했다. 루피 일행이 아직도 살아남았다는걸 안 몬도르는 지체없이 지시를 이행했다. 곧 그의 명령만 기다리던 빅맘의 해상력들이 움직일 것이다. 밀집모자 일당은 이 배와 함께 해안에서 수장될 것이고.
  • 위안부 소녀상 망치 테러 사건 . . . . 3회 일치
         최씨는 과거 조현으로 2차례 입원[* 약 5년 전에 3개월, 1~2년 전에 2개월]한 적이 있었다. 최씨는 “망치를 [[철물점]]에서 구입해 소녀상을 내리치라고 (머리가) 지시했다”고 경찰에서 증언했다. 경찰에서는 조현으로 인한 망상, 환청 증세로 보고 있는 듯 하며, 가족의 동의 하에 최씨를 정신원에 입원 시킬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 은혼/580화 . . . . 3회 일치
         * 우미보즈는 코우카의 을 치료하기 위해 온 우주를 돌아다니지만 진척이 없고 집을 비우는 시간이 늘어간다
         * 카무이는 코우카의 도, 우미보즈가 자주 집을 비우는 것도 자신이 약해서라도 생각하며 우미보즈처럼 강해질 것만을 생각한다. 아버지의 가르침대로 사소한 싸움이나 괴롭힘은 그냥 넘기기 시작한다
         - 우미보즈. 코우카의 을 치유하기 위해 코우카 곁을 떠나며.
  • 은혼/590화 . . . . 3회 일치
          * 도주하던 양이지사들. 다카스기와 귀대는 도주 중 일행과 떨어져 버리고 만다.
          * 추적자들을 물리치며 나아가는 귀대 앞에 나타난 오보로.
          * 귀대는 이 지시를 의아해하는데, 오보로는 양이지사가 살아남은게 예상 외였을 뿐 우츠로의 목적 자체는 이루어졌다고 대답한다.
  • 은혼/597화 . . . . 3회 일치
          * 오토세 아줌마 또한 그 자리에 있는데, 그 모습을 "세전함" 같다면서 "그 [[역신]]들에게 뭘 바라는건지 모르겠다, 결국 내 집세가 될 것"이라고 말한다.
          * 타에는 역신이라도 집세가 될 지라도 해결사만 돌아와 준다면 괜찮아질 거라며 여러 주민들의 의뢰서를 꺼낸다.
          * 천인 용들을 막아선 하세가와는 자신은 입국관리소 소장이라 밝히며 더이상 마음대로 하게 두지 않겠다고 선언한다.
  • 일곱개의 대죄/187화 . . . . 3회 일치
          * 덴젤이 목숨을 걸고 소환한 여신족 "신장" 네로바스타. 그러나 그녀는 십계와 싸우길 거부하더니 급기야 도주한다.
          * 어쨌든 덴젤에게 빙의한 것은 여신족 "신장" 네로바스타.
          * 네로바스타를 죽이고 흥분이 조금 누그러지자 몬스피드가 그녀를 위로한다. 그리고 "신장"급이라 망정이지 "사대천사"급이었다면 사정이 달랐을 거라고 주의를 준다.
  • 일곱개의 대죄/228화 . . . . 3회 일치
          * 해골사를 포기한 [[메라스큐라]]는 [[멜리오다스]]의 힘으로 강화된 원념을 [[디안느]]의 마음의 상처로 파고들게 했다.
          * [[멜리오다스]]의 부의 에너지로 강화된 해골으로 일곱 개의 대죄를 처치하려던 [[메라스큐라]]의 계획은 좌절됐다. 하지만 그녀는 포기하지도 않고 새로운 음모를 고안했다. 해골이 감당하지 못한 부의 에너지, 그렇다면 같은 일곱 개의 대죄는 어떨까? 예상대로 안성맞춤인 그릇이었다. [[디안느]]가 마수에 걸려들었다. 섬뜩한 피눈물과 불길하게 물든 눈동자. 사령에 지배당한 디안느가 일행을 향해 공격 자세를 취했다. "드롤의 춤".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의 그만두라는 외침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공격이 쇄도해온다. 심지어 즐거워 보였다.
  • 임페라토르 . . . . 3회 일치
         로마 공화정에서는 대개 1개 군단 이상의 지휘관이 휘하 사들로부터 임페라토르의 칭호를 받았다. 내전기에는 다수의 군단을 거느리는 인물들이 나타나면서, [[폼페이우스]]나 [[안토니우스]] 같은 거대 군벌도 일상적으로 이 칭호를 쓰게 된다.
         아우구스투스가 제정을 성립하면서 군단편성권과 같은 군권을 자신에게 독점시켜 황제는 유일한 '임페라토르'가 된다. 그러나 여기에는 한 가지 구멍이 있었는데, 내전기의 로마 전통에 따라서 사들은 자신의 지휘관을 [[투표]]로 선출할 수 있었기 때문에, 군단 사들의 지지를 얻은 지휘관은 언제든지 '임페라토르'로 승격될 수 있었다. 임페라토르의 칭호를 얻게 된 사령관은 사실상 '잠정 황제'가 되는 것이며, 여기에 [[원로원]]의 동의를 얻으면 진짜 황제가 될 수 있다. 평시에 황제(현임 임페라토르)의 권위가 높다면 이러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지만, 황제의 권위가 떨어지는 정치적 혼란기에는 언제든지 제국 각지에서 임페라토르가 난립하는 사태가 벌어질 수 있었다. 이는 로마 제국에서 여러 차례 있었던 내전과 군인 황제들의 지배에서 찾아볼 수 있다.
  • 자시키로우 . . . . 3회 일치
         정신원이 아닌 사택이므로 제대로 전문적인 치료를 받지 못하고, 정상으로 치료되는 경우는 기대하기 어렵다. 정신적인 문제가 더욱 악화되는 일도 흔히 있다. 일평생 자시키로우에 갇혀 살다가 죽는 사례도 있다.
         법률적으로 1900년에 『사택감치(私宅監置)』라는 제도가 도입되었다. 당시 정신의학에서는 정신질환자를 일단 감금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삼았는데, 당시 일본에서는 정신원의 시설이 부족한 편이었다. 게다가 이미 자시키로우의 관습이 있었으므로 쉽게 도입되었다.
         법률적으로는 1950년대 무렵에 폐지되었으나, 그 이후에도 정신원 시설이 부족하거나 주변의 시선을 걱정하여 자시키로우에 가두는 관습이 상당히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 잠버릇 . . . . 3회 일치
         === 질 ===
          * 몽유, 램수면행동장애 : 자면서 어떤 행동을 취한다.
         [[분류:생활]][[분류:질]]
  • 절대가련 칠드런/454화 . . . . 3회 일치
          * 효부 쿄스케는 원을 빠져나오다가 택시를 타는데, 그 택시는 변장한 츠보미 후지코가 몰고 있었다.
          * 교복차림으로 돌아와 원을 나서는 효부 쿄스케.
          * 서플리먼트 4컷에선 "여왕을 보려고 원에 잠입했다가 진짜 의사로 오인 당해 진료를 보다 기진맥진해 있는걸 사카키 슈지의 제보로 츠보미 후지코가 검거"했다고 했었는데 내용이 좀 다르다.
  • 절대가련 칠드런/456화 . . . . 3회 일치
          * 결국 바벨의 전력이 현장에 집결하는데 그 자리에 마기 시로와 효부 쿄스케가 나타난다.
          * 마기의 계획은 바벨을 도심지로 유인해서 지나치게 위험한 행동을 못하게 막고 력이 쿄스케에게 집중될 사이 돈될 만한 물건들을 털어가는 것.
          * 마기의 작전은 이렇다. 장소를 도심지로 옮긴 이상 아무리 츠보미 후지코라도 과격한 조치는 할 수 없을 것이고 적당히 싸우다 안전하게 잡혀주면 되는 것. 그리고 바벨의 전 력이 이곳에 집중된 동안 나머지 판도라 일행은 박물관 등 돈 될만한 물건이 있을 곳을 털어서 앞으로 활동에 필요한 자금을 확보한다. 일단 효부가 잡혀간 동안은 판도라에 대한 감시도 소홀해질 테니 이후 판도라의 활동은 아주 여유로워 지게 되는 것.
  • 주아브 . . . . 3회 일치
         Zouave. [[제국주의]] 시대 [[프랑스]]의 [[경보]]들 중 한 종류. 북아프리카에 사는 [[베르베르족]]의 일부였던 Zouaoua를 영입한 사들이다.
         [[빈센트 반 고흐]]가 그린 그림 중에는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553520&mobile&cid=46720&categoryId=46846|주아브 사]]라는 그림이 있다.
  • 진찰권 . . . . 3회 일치
         [[원]]에서 진찰을 받을 때 필요한 표. 플라스틱 카드 같은 것으로 만들어지며, [[원]]에서 발행하여 [[환자]]들에게 지급한다. 카드에는 환자의 이름과 주소, 연령 등이 기입되어 있다. 원용 회원증 같은 것.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진료카드]]라고 부른다.
  • 천안함 침몰사건 . . . . 3회 일치
         천안함 사건 당시 생존한 정주현 중사[* 천안함 사건 이후 소말리아 청해 부대로 파을 자원했다.]는 2015년 6월 전역하여, 청해부대소속 부대 부사관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내부 교육 자료에서 "승조원들의 안이한 태도 떄문에 피격을 당했다."고 되어 있었다며 분개하였다.
         또 다른 천안함 생존 장 강정원 하사는 2012년 한 교육에서 교육사령관은 "나약하고 방심하고, 제대로 정신 안 차리면 천안함 사건처럼 당한다."고 발언하여 수치심을 느꼈다고 증언했다. 패배한 전장에서 살아나온 것은 수치심을 느껴야 한다는 것이다.
         함은혁 하사, 공창표 중사는 패배하고 살아남은 천안함 생존 장들에 대하여 은밀한 '따돌림'이 있다고 증언하였다.
  • 킹덤/518화 . . . . 3회 일치
          공손룡은 순수수가 언제 도착하는지를 확인한다. 그는 1천 정예을 데리고 반나절 안에 도착할 것이다. 공손룡은 이목의 지시를 전부 따르기로 하고 공격 대형으로 전환한 채 새로운 총대장이 오는 즉시 시작할 수 있도록 하라 명령한다.
          * 양단화군에 도착한 전령도 비슷한 소식을 전했다. 업성의 상황과 왕전이 그리는 큰 그림. 그리고 [[벽(킹덤)|벽]]이 1만의 증원과 10일치 량을 가지고 온다는 사실. 전령은 왕전이 공손룡의 9만이 더 늘어날 거라고 예측했다는 것과 그럼에도 어떻게든 요양군을 저지해 업성에 도달하지 못하게 하라고 지시한 사항을 가감없이 전달했다. 들으면서도 적진을 향해 시선을 고정하고 있던 양단화는 전령의 이야기가 끝나자 고개를 돌려 상냥하게 치하의 말을 전한다. 뜻밖의 친절에 전령이 감사를 표하고 언제든 필요하면 불러만 달라고 고한다.
          * 양단화군이 행동을 시작하는 시점에서 공손룡군은 두 가지를 놓치고 있었다. 첫째는 "양단화군은 조군을 저지하기 위해 방어전"을 펼칠거라 생각했던 것. 그것은 뜻밖의 공격 시도로 보기좋게 빗나갔다. 방패와 창을 장비한 인족 보들이 일사분란하게 조군으로 들이닥친다. 부관들이 동요하는 것을, 공손룡은 단칼에 조용히 시키고 이목이 위험시한 산민족 군세의 "힘"이란 어떤 것인지 지켜보기로 한다.
  • 킹덤/528화 . . . . 3회 일치
          * 우습지만 그들의 존재가 뜨악한 것은 조군도 마찬가지였다. 일선 사들이 동요하고 있었고 장수들 또한 "견융족"이란 이름만 알 뿐, 왜 그들이 이곳에 있는지 알 길이 없었다. 견융족은 500년 전 주나라를 멸망시킨 대기마민족으로 역사서에도 이름이 올라 있었으나 지금에 이르러서는 중화대륙에선 사라진 종족. 그들이 어째서 조나라에, 그것도 왕도권인 요양에 있단 말인가? 술렁거리는 장교들을 향해 순수수가 입을 열었다. 견융족은 주나라를 멸망시키고 사라진게 아니었다. 처음엔 그들도 대륙에 정착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대부분의 무리는 북쪽으로 유입되었다. 그것이 오늘날에 "흉노"라는 형태로 변해 조나라와 지겹게 싸워왔다. 하지만 모든 견융족이 흉노가 된 것은 아니다. 일부는 태행산맥을 근거지로 잔류했으며 훗날 조나라가 태행산맥을 끼고 생겨나면서 그들과 충돌했다. 조나라는 이들과 다투기보다는 회유하는 정책을 펴 요양성을 내주고 왕도권에 편입시키기에 이른다. 그러나 편입시켰다는 건 조나라의 입장일 뿐.
          * 격돌. 그러나 결과는 일방적이었다. 슌멘이 적의 선두를 베었지만 뒤따르던 부하들은 죄다 목이 달아났다. 벽이 그 모습에 경악했다. 언제나 귀신같은 돌파력을 자랑하던 산민족이, 철저학 봉쇄되고 있었다. 슌멘이 낭패한 듯 혀를 차며 주위를 애워싼 적들에게 몸을 돌렸다. 하지만 늦었다. 슌멘이 적의 기마을 베려 하자 그 적이 말과 함께 뛰어올라 슌멘의 머리 위를 뛰어넘는 신기를 펼쳤다. 진군의 장수들은 보고도 그 광경을 믿지 못했고 양단화 조차도 입을 다물지 못했다. 그 놀라움이 가시기도 전에 적은 허공에서 슌멘의 텅 빈 어깨를 베며 땅에 내려섰다.
          뜻밖의 수락. 무엇이 견융왕의 마음을 움직였는지는 알 수 없었으나 그는 크게 만족해했다. 곧 부하들을 시켜 성 안의 사들까지 모조리 데려와 "축제"를 시작한다고 선포했다. 뜻하는 바를 모두 이루고 단 하나, 진군의 격멸만이 남은 순수수는 견융왕에게 상대를 얕보지 말라고 충고했다. 그는 적의 정체가 서쪽 산민족을 통일한 자라고 알려주려 했는데, 견융왕은 그의 정보가 필요치 않았다.
  • 태영호 . . . . 3회 일치
         태영호의 아버지 태렬은 [[김일성]]과 함께 활동한 항일 빨치산 1세대로서, 빨치산 시기에 김일성의 [[전령]]으로 활동했다. 1913년 생 태렬은 노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김일성 국가장의위원회 위원 등을 거쳐서 1997년에 사망했다.
  • 토리코/365화 . . . . 3회 일치
          * 블루 니트로는 그 가공할 힘을 '''팔왕이나 구르메 세포의 악마에 비견'''한다. 하지만 지로는 '''"재생기관"을 가진 인간'''인데, 인간의 몸임에도 '''"어둠의 세포"'''가 농축되어 있다는데...
          * 아마도 태어나면서도 '''레드 니트로나 순도 100%의 구르메 세포의 악마를 포식'''해왔을 거라 추측한다. '''지로는 "많이 먹었다고 했지 않느냐"며 너스레를 떤다.'''
          * 블루 니트로들은 "어쩔 수 없게 됐다"며 '''"따개"'''를 사용하겠다고 하는데...
  • 토탈워: 쇼군 2/세력 기술 . . . . 3회 일치
         >보아라! 지옥불 악마가 길들여졌다. 이제 죽이거나 불구로 만들어라.
          * 기독교: 예배당(Chapel)을 원(Hospital)으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게 됨
          * 원(Hospital)을 예수회 신학교(Jesus Seminary)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게 됨
  • 트로피코 4 . . . . 3회 일치
         이들의 습격이 시작되면 사, 장군, 대통령 각하가 반란군에 맞서 싸운다. 전투는 어느 한쪽 모두가 죽거나 도망칠 때 까지 지속된다. 정부군이 승리하면 별 탈 없이 끝나지만, 반란군이 승리할 경우 습격당한 건물이 폭파된다. 대부분의 경우 다시 지으면 되지만 대통령 관저가 폭파되면 게임오버.
          * 1967-1970: 광우의 공포 - 소고기와 훈제 소고기의 시장가격이 50% 하락
          * 벙커 건물 추가 - 장교 없이 건설할 수 있으며 5명의 사를 수용할 수 있음
  • 페어리 테일/494화 . . . . 3회 일치
          * 길드가 위치한 언덕 밑으론 제국군이 새까맣게 깔려있다. 약 100만의 력.
          * 제레프는 라케이드를 자신의 비밀기로 소개하며 아크놀로기아도 이길 수 있는 인물이라 한다.
          * 디마리아는 브랜디쉬와 적대할 거란 예상을 깨고 동상련이라도 느꼈는지 엄청 달라붙는다.
  • 페어리 테일/498화 . . . . 3회 일치
          * 그레이는 얼음조형 마법이 통하지 않자 멸악마법을 해금한다.
          * 멸악마법에 기반한 얼음조형은 잉벨에게 타격을 준다.
          * 그는 그레이의 멸악마법을 두고 "마음을 빼앗는 힘"이라 평하며 정상적인 사고를 유지할 수 없을 거라고 생각한다.
  • 페어리 테일/504화 . . . . 3회 일치
          * 그레이는 자신이 겪은 불행의 궁극적 원인을 "제레프 서의 악마 때문"으로 돌리고 나츠를 쓰러뜨리고 죽이겠다고 선언한다.
          * 그는 지금까지 제레프 서의 악마 때문에 모든 걸 잃었고 쥬비아마저 죽었다며 나츠에게 "널 멈추고 죽이겠다"고 선언한다.
          * 마카로프는 체력이 한계에 달했는데 제국측의 사는 숫자가 줄지 않는다.
  • 페어리 테일/506화 . . . . 3회 일치
          * 나츠는 END로서 각성도가 높아지고 그레이도 멸악마법을 본격적으로 구사한다.
          * 력의 7, 8할 가량이 사라지는 괴멸적인 타격이지만 스프리건 12는 대부분 건재하다.
          * 그레이는 이에 맞서 멸악마법을 본격적으로 발동, 작은 얼음 조각을 날려 나츠를 사방에서 공격한다.
  • 폴리스 . . . . 3회 일치
         폴리스의 특징은 시민 계급이다. 폴리스에서 [[시민]]은 곧 [[전사]]이며, 이들은 [[호플리테스]]라 불리는 고대 그리스 식 중장보의 구성원으로서, 폴리스가 보유하고 있는 '군사력'의 핵심이었다. 그리고 이들은 중장보이 되기 위하여 무장을 갖출 경제력을 보유한 토지 보유자([[지주]])이기도 했다. 이러한 구조는 중세 유럽의 도시 시민들이 [[상인]]이나 [[수공업자]] 계층이었던 것과는 대비를 이루는 점이다.
         폴리스마다 차이가 있었지만, 대체로 중장보과 자산 시민 계급은 동일시 되었다. [[스파르타]]는 이러한 체계에 극단적으로 집중하였으며, [[아테네]]는 [[해군]]의 발달과 영향력의 확대로 해군의 노잡이로 복무하는 무산 계급의 영향력이 커졌다.
  • Crusader Kings 2 . . . . 2회 일치
          4. 출 금지 토글. 이걸 눌러놓으면 군대를 직접 이끌지 않는다. 이로인해 전장에서 전사할 확률을 원천봉쇄할 수 있다.
          * 육군 징집: 현재 자신이 직접 징집 가능할 수 있는 사 수.
  • USS 피닉스 (CL-46) . . . . 2회 일치
         이렇게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피닉스는 미국 본토와 하와이 간의 수송 함대를 호위하는 임무나 호주 해역을 항해하는 력수송선을 호위하는 임무를 맡았다. 1942년 2월에는 당시 네덜란드 영토였던 [[자바]] 섬에 항공기를 수송하는 선박들[* USS 랭글리(USS Langley)와 MS 씨위치(MS Seawitch).]을 호위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인도양 초계, [[봄베이]]로 가는 수송선단 호위, 자바 섬에서 패배한 연합군 력 구조 등의 임무에 참가하였다.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41화 . . . . 2회 일치
          * 왠지 봄바는 리로드도 못할 정도인걸 보면 게임은 젬이다.--봄바가 젬 아닌게 어딨어--
  • 공병 . . . . 2회 일치
         군대에서 전쟁이나 전투에 필요한 각종 시설물을 만들거나 설치하는 데에 관여하는 과.
         국내에서는 주로 쇳덩어리인 장간교나 부교 등을 설치하는 이미지 정도가 고작이고, 그나마도 전투과에 비해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는다.
  • 규성 진씨 . . . . 2회 일치
         [[손씨]](孫氏) 역시 전씨에서 갈라져 나오는데, 전완의 5대손이 군공을 세워 손씨(孫氏)를 하사받았고, 그 손자가 [[손자법]]을 저술한 법가 [[손무]](孫武)이다. 『신당서(新唐書)』「재상세계삼하(宰相世系三下)」에서는 손무의 아버지를 손빙(孫憑)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그 후손으로 삼국시대에 오나라를 세우는 [[손견]] 등이 있다.
  • 그랜드 테프트 오토 2/무기 . . . . 2회 일치
          * [[화염]](Molotov Cocktail)
          화염을 곡사로 던진다. 땅에 떨어지는 즉시 폭발한다.
  • 김지석(배우) . . . . 2회 일치
         || 2011년 || 국군방송 || 행군 시즌 1 || 강대산 상 || ||
         || 2012년 || 무청 || 감사패 || ||
  • 깨끗한 독일국방군 신화 . . . . 2회 일치
         이 과정에서 우익 정치 세력과 결탁하게 되었으며, 베르사유 조약으로 [[무직]](…)으로 전락한 많은 독일군 퇴역 장교들은 우익 민대로 흘러 들어갔다. [[나치 돌격대]]나 [[철모단]] 같은 우익 정치 조직은 퇴역 군인들이 중심이 되어 만들어졌다.(물론 좌익으로 흘러들어간 경우도 적지 않았다.) 독일군 내부에도 우익 세력이 침투하게 된다. 그리고 많은 우익 단체들 가운데 [[나치]]가 우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독일군 장성들은 마음껏 자신들의 지휘관으로서 전문적 식견, 군사 기술을 칭송하고, 독일군 장의 용기와 인내심을 강조했다. 모든 전쟁 범죄의 책임은 아돌프 히틀러와 나치스에게 돌렸고, 독일 국방군은 "'''어쩔 수 없이''' 나치스에 남용되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쟁 범죄를 반대하고 억제했다'''."는 자기 변호를 '역사 기록'으로 만들어냈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10화 . . . . 2회 일치
          * 어둠 속의 누군가가 주최측과 교신하며 상황을 파악하고 있는데, 그는 히어로에겐 "복합적인 움직임"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 주최측은 "구조와 테러리스트 제압을 행하라"는 어려운 지시를 내리는데.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25화 . . . . 2회 일치
          * [[오버홀]]은 과거 뒷세계를 장악했던 "야쿠자"의 잔존들인 "극도"에 속하는 인물.
          생각보다 오버홀은 아주 현실적인 지적을 늘어놓는다. 세력을 늘린다면 다음은? "어떤 조직"을 만들 건지 비전은 있는 것인가? 일찍히 빌런연합은 히어로 살해자 [[스테인]], 쾌락살인 [[머스큘러]], 탈옥사형수 [[문 피시]], 이렇게 쟁쟁한 인물들을 섭외했다가 간단하게 잃었다. 그런 마당에 정신자들을 늘리는 걸로 세력확대를 논한다는건 언어도단. "컨트롤 할 수 없는 힘을 늘려서 어쩌자는 거냐"라고 할 수 있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29화 . . . . 2회 일치
          그가 경계하고 있다는 것을, 밀리오가 놓치지 않는다. 그는 자신들은 직장체험 중인 학생이라며 사무소를 밝힐 것도 없는 아리라고 둘러댄다. 나이트아이의 이름을 밝히면 틀림없이 곤란한 일이 생길 것이다. 밀리오는 서둘러서 자리를 뜨려고 미도리야를 부추긴다.
          * 아지트로 돌아온 오버홀은 "최근 젊은이"들은 한층 더 들었다고 투덜거리며 쿠로노라는 부하에게 목욕 준비를 부탁한다. 본래 에리의 감시를 맡았던 부하가 따라와서 실책에 대해 사죄하는데 오버홀은 듣지도 않고 부하를 처분해 버린다. 그가 손을 휘두른 것만으로 부하는 커다란 핏자국으로 변한다. 이것의 청소도 쿠로노의 몫이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95화 . . . . 2회 일치
          * 입원한 올마이트. 그랜토리노와 츠카우치가 문 왔다.
          * 그는 상에서 일어나 자신 안의 원 포 올이 완전히 사라졌고 "평화의 상징은 죽었다"고 선언한다.
  • 노루토끼 . . . . 2회 일치
         본래 볼퍼팅어는 크립티드로, 토끼의 몸, 노루의 뿔, 날카로운 이빨에 꿩 날개를 가진 기기묘묘한 생물이라고 한다. 파필로마라는 토끼에게만 걸리는 일종의 피부 때문에 이러한 환상종을 생각한 것으로 추정되기도 하지만 보통 그려지는 모습은 뿔과 이빨, 날개가 분명하게 묘사되는 탓에 이 있는 토끼와는 확연히 다른 건강한 매력이 느껴진다. 유사한 생물로 꿩 날개가 없는 [[재칼로프]]가 있다.
  • 노무리쉬어 . . . . 2회 일치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에서 프로듀서 [[노무라 테츠야]]가 담당한 작품에서 나오는 표현들이, 매우 [[중2]] 스럽기 때문에 이걸 놀리는 의미로 붙여진 말이다.
          * 문장의 경우, 알아듣기 쉬운 설명 중시보다는 고유명사를 다용하는 비유적이고 스타일리쉬한 표현을 쓴다. 간단히 말하면 중2.
  • 니세코이/214화 . . . . 2회 일치
          * 치토게는 열쇠를 보면서 "만일 자신이 약속의 여자아이였다면 이치죠가 다르게 봐줬을까"하고 의문을 가지는데...
          * 다 잊혀져 가던 약속의 여자아이 떡밥이 부활했다.
  • 니세코이/216화 . . . . 2회 일치
          * 라쿠는 약속의 아이가 "그 그림책을 읽고 있을 때" 만났다고 했기 때문에 자신이 약속의 아이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하나 금새 확실한건 아니라고 생각을 고친다.
  • 니세코이/221화 . . . . 2회 일치
          * 그걸 전해주기 위해 오노데라를 찾아가는데, 오노데라와 이치죠가 약속의 장소에서 둘이 만나고 있는걸 발견한다.
          * 모든 것을 듣게 된 치토게는 두 사람이 돌아간 뒤, 약속의 장소에 둘 사람만의 약속이 새겨져 있는걸 보고 충격을 받는다.
  • 니세코이/222화 . . . . 2회 일치
          * 약속의 장소를 발견한 치토게도 그 날의 기억을 되찾고 "내가 아니었다"고 절망한다.
          * 그 사이 치토게는 모든 것을 단념한 듯 약속의 장소를 떠난다.
  • . . . . 2회 일치
         [[조류]]의 일종. [[아리]]가 자라면 닭이 된다.
         [[소]], [[돼지]]와 함께 대표적인 [[가축]] 중 하나다. [[알]]은 [[달걀프라이]]나 [[삶은 달걀]]이 될 수 있고. 몸뚱아리는 [[치킨]]이나 [[백숙]]이 될 수 있으며, 심지어는 자신의 새끼인 [[아리]] 까지도 [[초등학생]]의 [[노리개]]로 바치는 갸륵한 새다. 닭털은 쓸모가 없는 줄 알았더니 [[http://www.sciencetimes.co.kr/?news=%EB%8B%AD%ED%84%B8%EC%9D%80-%EA%B3%A0%ED%9A%A8%EC%9C%A8-%EC%97%B0%EB%A3%8C-%ED%83%B1%ED%81%AC|수소 저장고]]나 [[http://www.ibric.org/myboard/read.php?Board=news&id=96762|플라스틱의 재료]]로 써먹을 가능성이 보인다.
  • 로힝야 . . . . 2회 일치
         유엔난민기구의 보고서에 따르면, 인신매매범은 로힝야나 방글라데시인을 상대로 1인당 90~370달러의 적은 돈을 받고 밀입국선에 태워준 다음, 배가 타이에 상륙하면 본색을 드러내서 타이-말레이시아 국경에 있는 타이 남부의 밀림 캠프에 가둬버리고, 가족에게 연락하여 몸값을 1인당 200달러까지 내놓으라고 협박한다. 난민들은 몸값을 낼 때까지 밀림 캠프에 감금당하는데, 사하거나 구타를 당해 사망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난다.
         미얀마 정부의 로힝야 박해는 20세기 내내 계속되었다. 1962년 군부 쿠데타 집권한 네윈 정권은, 인구의 60%를 차지하는 버마족과 다수 불교도 위주의 정책을 펼쳤으며, 소수민족 탄압이 본격화 되었다. 1978년 네윈 정권은 무슬림 반군 토벌을 명분으로 하여, ‘킹 드래건 작전’ 을 펼쳐서 로힝야를 대규모로 체포했다. 로힝야 20만명이 방글라데시로 피난갔으나, 방글라데시에서도 지원을 별로 받지 못하여 1만 2천명이 아사나 사했으며, 생존자는 미얀마로 송환됐다.
  • 몬스터 페어런트 . . . . 2회 일치
         이후 피고인 어머니로부터 항의를 받고 상호연락책에 "최저의 선생","비상식","악마"등의 발언을 쓰고, 교육위원회와 교육부에 비판하고 책임을 요구했다. 다른 날에는 교사가 급식지도중에 피고 아동의 등을 가볍게 만진 것 만으로 폭행 혐의로 경찰서에 피해를 신고하였다. 교사와 학교 측은 대화를 가지고자 했지만 부모는 참석을 거부했고, 교사는 이 때문에 불면증에 몰렸기 때문에 제소를 단행하였다.
         2013년 2월에 사이타마 지방법원은 명예훼손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원고 측 교사의 청구를 기각했다. 연락장에 써진 문구는 교사의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키는 표현을 포함하지만, 연락장은 비밀 유지 의무 있는 교직원으로 제한되어 있으므로 불특정 다수에게 내용이 전파된 것으로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한 "악마 같은 선생"이라고 써진 것은 "지독한 선생"과 같은 표현이므로 모욕은 성립하지 않아 명예훼손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결내렸다.
  • 무라하치부 . . . . 2회 일치
         무라하치부의 어원은 보통 다음과 같이 말해진다. 무라 하치부는 무라 사회에서 공동으로 하는 활동 가운데 성인식, 결혼식, 출산, 질, 집의 신축과 개축, 수해 피해 복구, 매년의 법요(불교식 제사), 여행 등의 8가지 활동에서 따돌리며, 장례식과 소방 활동을 제외한 모든 활동에서 함께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 장례식을 치르지 못해서 시체가 썩으면 질이 생기가 쉽다. 혹은 죽은 자는 벌을 줄 수 없다는 관념.(죽을 때까지가 벌이라는 주장도 있다.)
  • 무신 . . . . 2회 일치
         문신과 무신의 분리는 세월이 지나가면서 서서히 나타나게 되는데, [[과거 제도]]가 나타나면서 문과(文科)와 무과(武科)가 시험 단계에서 분리되면서 문무의 분리가 가속되었다. 문신과 무신은 등용 과정 부터가 달라졌기 때문에 명확하게 별도로 구분되는 '집단'이 된 것이다. 무신은 오직 군사 관직에만 임명되게 되었고, 승진하는 루트도 달라져서 '직업군인'화 되었다. 또한 당나라 이후 중국에서 징제가 사라지고 모제가 중심이 되면서 무신의 전문화도 진행되었다.
  • 바레브 라인 . . . . 2회 일치
          * [[공군]]의 지원을 상정하여 포의 배치가 적었다. 제4차 중동전쟁에서 이집트 군은 2000 문 이상의 박격포와 야포를 동원하여, 1분에 1만발 이상의 포탄을 쏟아부어 포격전에서 압도하게 된다.
          * 참호에 가스 파이프를 묻어서 화염을 내뿜는 비밀기도 만들었지만,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서 쓸모없다고 판단하고 사용은 중지했다. 이집트 군은 [[콘크리트]]를 사용해서 이 기구를 매립해버렸다.
  • 바실레이오스 1세 . . . . 2회 일치
         이러한 그에게 있어서 남은건 사냥뿐이었다. 그의 죽음도 사냥사고라고 사서에 알려져있는데, 문제는 해당 사고에 대한 설명이 상당히 이해하기어렵다. 그의 죽음에 대해 설명한 사서에 따르면, 그는 수행원들이 '지쳐서'그를 따라가지 못할때 혼자 숲 깊숙한 곳에서 사냥중이었으며, 그러던중 한 사슴을 만난다. 황제가 그 사슴을 잡으려 할때, 그 사슴이 황제에게 돌진해 뿔로 그의 허리띠를 걷어 그를 안장에서 내쳤다. 그리고 그사슴은 장장 25km를 황제를 건채로 다니다가(...) 황제를 찾은 경호이 허리띠를 잘라버리고 수행원들이 모여들자 도망쳐버렸다.
         이후 황제는 정신을 차린뒤 자신의 몸에 칼을 댔다고 허리띠를 자른 경호을 죽이고(....) 황궁으로 갔다가 거기서 복부 출혈로 사망하게 된다. 향년 74세.
  • . . . . 2회 일치
         땅바닥을 디디고 다니는 신체 특성상 더러워지기 쉬우므로 외출하고나선 꼭 씻자. 잘 씻고 잘 말리기만 잘 한다면 각질 축적은 물론 무좀 등 악성 발 질을 예방할 수 있다.
         물론, 하이힐이나 밀폐형 부츠등을 쉬지도 않고 장시간동안 신는다면 비단 발의 피부질문제가 아니라 근육과 골격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남녀노소 모두 바람직한 생활 습관으로 소중한 발을 잘 지키도록 하자. 발이 건강하다면 그 사람의 건강도 보장된다.
  • 보에몽 1세 . . . . 2회 일치
         이후 1084년에 아버지가 다시 비잔티움을 침략할때 따라가서 아버지와 함께 디라키움 등 그리스 서부를 점령하는데 성공하지만, 진지내에 역이 들어 이듬해에 케팔로니아섬에서 아버지인 로베르가 죽게된다.
         이후 보에몽은 아버지의 동쪽 영지를 상속받지만 역의 여파로 전력이 크게 약화된 상태였고, 얼마안되어 알렉시오스에게 격퇴당한다.
  • 북한의 역사왜곡 . . . . 2회 일치
         >이른바 《인천상륙작전》이라고 하면 세상사람들이 제일먼저 생각하는 것이 월미도이다. 월미도에서 우리 인민군대의 1개 해안포중대가 단 4문의 해안포로 약 1 000대의 비행기와 수백척의 함선을 가지고 달려드는 맥아더 5만대군의 인천상륙기도를 3일간이나 좌절시켜 대참패를 안기고 우리의 전승에 크게 기여하였다. 당시 맥아더자신도 《인천상륙작전》에 대해 《실패한 작전》이라고 실토할 정도로 완전한 패전이였다.
         >- 이에 따라 대 살육작전을 현지에서 조종 지휘할 데 대한 임무를 받은 남조선 강점 미군사령관 윅캄(위컴)은 의로운 항쟁자들을 ‘버릇없는 망나니’, 지어는 ‘들쥐’로 모독하면서 ‘공수특전대’ 5개 여단과 보사단, 기갑부대, 항공대를 비롯한 7만 여명의 방대한 무력과 장갑차, 중포, 군용직승기와 지어는 항공모함전단까지 광주의 평화적 주민들을 살육하는데 투입하도록 명령했다.
  • 브레이킹 배드 . . . . 2회 일치
         >- [[전미가 울었다]]! 말기 암에 걸린 고교 화학교사 월터 화이트의 투기를 다룬 감동의 인생극장.
         >- 아버지의 질과 함께 닥쳐오는 평범한 교사 화이트 일가의 고난을 통하여 미국 의료보험 체계에 질타를 가하는 문제작.
  • 브로포스/브로 . . . . 2회 일치
          * 화염(최대 3개 소지 가능)
         발매 초기에는 단발 소총과 화염으로 무장한 캐릭터였고, 해금 시기도 브로인블랙 다음이었다. 하지만 캐릭터와 맞지 않는다는 이유[* 스팀 트레이딩 카드의 설명에 따르면]로 수정이 이루어졌고, 그 결과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그리고 원래 해금 시기도 브로티 해리에게 물려주고 한-참 뒤로 미뤄졌다. 하지만 수정 이전 스네이크 브로스킨을 해금했던 플레이어들은 브로티 해리와 스네이크 브로스킨 둘 다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 브와나 비스트 . . . . 2회 일치
         이름답게 [[동물]] 관련 초인으로 아프리카의 동물들과 연결되어 초인적인 힘, 스피드, 감각을 소유한다. 또한 킬리만자로 동굴의 미네랄 워터를 마셔서 마신 양만큼 상해에 대한 저항력을 얻는다. 이 미네랄 워터는 붉은 원숭이 듀바(Djuba)가 에 담고 다니며 보충해준다.
         또한 백전에 능하다.
  • 블랙 클로버/102화 . . . . 2회 일치
          던전에서 뭘 잘못 먹었는지 중2에 푹 쩔어서 돌아온 두 사람. 매그너는 쓸데없이 큭큭거리며 폼잡는 머저리가 되었고 락은 전파나 수신하는 멍청이가 되어 돌아왔다. 아무튼 마력이 넘치는 걸로 보아 강해지긴 한 모양. 매그너는 쓸데없이 강해지기만 했을 뿐 치료법은 못 찾았다고 사과하는데 아스타가 말끔하게 나은 두 팔을 들어보이자 겨우 평소의 모습으로 돌아온다.
          * 사실 아스타가 굳이 이들을 부른 것은 선물이 있어서였다. 그는 키아토에게 잘린 다리를 잘 가져오라고 했는데 키아토는 그 말대로 물마법으로 보존해 잘 간수하고 있었다. 아스타는 [[마녀왕]]의 마법 "멸주의 피고치"를 에 담아 왔다. 마법을 풀어놓자 순식간에 키아토와 카호노의 상처를 치료해 버린다.
  • 블랙 클로버/121화 . . . . 2회 일치
          * 금색의 여명 부단장 [[알렉드라 산드라]]는 전쟁 중 복에 당해 낙오했으나 [[윌리엄 벤전스]]에게 구조받으며 그를 추앙하게 됐다.
          * 때는 수년 전. [[알렉드라 산드라]]는 전쟁 중 부상을 입었다. 숨어있던 매복에 당한 그는 어느 동굴에 고립되어 서서히 죽어가고 있었다. 도저히 구조는 바랄 수 없다고 생각하던 찰라. 신은 그를 버리지 않았다. 금색의 여명 단장 [[윌리엄 벤전스]]는 그를 버리지 않았다. 거짓말처럼 나타난 그를 바라보며, 알렉드라는 일종의 경의를 느꼈다. 그 표현도 부족했다. 그는 어린 시절 어머니와 함께 본 그림을 떠올렸다. 그 안에 묘사된 신의 모습. 신이 눈 앞에 나타났다. 신은 벤전스였다. 벤전스에게 구원 받고, 그를 추앙하며 지내온 나날. 알렉드라는 벤전스에게 마법 외에도 불가사의한 힘이 있고 그 따스한 힘이 단원들을 하나로 연결하고 있다고 믿었다. 금색의 여명은 바로 그런 형태의, 벤전스에게 선택받은 엘리트 귀족 집단. 마치 신앙 같은 믿음. 그는 벤전스와 자신의 믿음을 위해 싸워왔다. 그 믿음은 영원히 흔들리지 않을 것 같았지만 한 사람의 등장으로 무참히 짓밟혔다. [[유노(블랙 클로버)|유노]]의 입단. 볼품없는 하층민. 모든 단원을 평등하게 대해준 벤전스가 유일하게 특별취급하는 햇아리.
  • 블랙 클로버/126화 . . . . 2회 일치
          * "피네스"양이 나타나면서 형제싸움은 전혀 다른 양상이 된다. 피네스 양은 아버지가 점찍은 며느리감이었다. 어느날 아버지가 피네스양을 형제에게 소개했다. 차기 보드가 당주의 아내가 될 사람이라면서. 그녀는 형제보다도 연상이었고 지도 있었지만 아버지의 기준에선 문제가 없었다. 그녀가 유서 깊은 마력을 계승한 사람이라는게 중요했다.
          얼마 뒤 랜길스는 형과 약혼자가, 피네스가 함께 있는 걸 목격한다. 정원의 벤치에서였다. 피네스가 핀랄에게 "들고 연상인 이런 여자가 약혼자라서 미안하다"고 말하고 있었다. 이 시절 핀랄은 아직 여자가 서툴렀는지 우물쭈물대며 "그렇지 않다, 당신은 아름답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곧 자조하는 웃음과 함께 자기 처지를 말했다. 자신은 보드가 당주가 되지 못할 거고, 동생 랜길스가 피네스를 행복하게 해줄 거라는 얘기였다.
  • 블랙 클로버/133화 . . . . 2회 일치
          * 한편 불완전연소로 대회를 마친 [[아스타(블랙 클로버)|아스타]]는 멍한 상태로 검은 폭우단 아지트에 방치돼 있다. 유노가 새로운 힘에 각성한 것이나 잭스가 실제론 사칭이었던 것, [[핀랄 룰러케이트]]의 용태 등으로 머리가 복잡해서 결국 아무 것도 못하고 있다. [[챠미 퍼밋슨]]도 유노에 대한 상사이 도져서 멍하지만 밥은 잘 먹고 있다. 노엘이나 [[매그너 스윙]], [[락 볼티어]]는 서로 자기야 말로 로얄 나이츠로 선발될 거라며 티격태격한다. 핀랄은 목숨은 구했지만 여전히 중환자. 의식이 돌아오지 않았다. [[랜길드 보드]]는 연행. 노엘은 그가 막판에 발휘했던 수상한 마력을 찜찜해한다.
          * 그러던 차에 불청객이 나타난다. 마나스킨 수업을 시켜주엇던 누님레온 [[메레오레오나 버밀리온]]이 다짜고짜 처들어왔다. 일단 문부터 다 때려부수면서 들어오더니 공습경보를 발동한 [[야미 스케히로]]에게 "[[푸에고레온 버밀리온]]을 간해준 보답"이라며 독한 술을 선물한다. 야미는 제대로된 물건일 리가 없다며 난색. 하지만 그녀의 진짜 용건은 로얄 나이츠 합격자들을 연행(?)하기 위해서. 직접 아스타, 노엘, 락을 붙잡아 데려간다. 매그너는 아무래도 떨어진 모양. 그런데 딱 한 명, 이 자리에 없지만 검은 폭우엔 합격자가 더 있다고 하는데.
  • 블랙 클로버/59화 . . . . 2회 일치
          * 그런데 사실 아스타는 맥주이었다.
          * 아스타는 의외로 맥주.
  • 블랙 클로버/75화 . . . . 2회 일치
          * 키텐의 수비 력은 손쉽게 격파 당하고 위기의 순간 금색의 여명이 도착한다.
          * 이때를 기회로 삼아 다이아몬드 왕국의 력이 진격. 도시는 순식간에 위기에 처한다.
  • 블랙 클로버/77화 . . . . 2회 일치
          * 키텐에 자라난 세계수는 다이아몬드 왕국의 력을 거의 전멸시킨다.
          * 급격히 자라난 세계수로 인해 다이아몬드 왕국의 력은 괴멸.
  • 블랙 클로버/90화 . . . . 2회 일치
          * 라드로스는 원래 내성적이고 자신감이 없는 소년이었으나 지금은 개조시술로 타인의 마력을 흡수 방출하는 전투기가 되어버렸다.
          사방으로 퍼져나가는 레이저가 마녀의 숲에서 항전하던 마녀들을 덮친다. 잠시 뒤 숲은 폭격으로 엉망이 되고 마녀들 대다수가 사상한다. 무차별적인 공격이라 다이아몬드의 사들까지 휩쓸렸지만 라드로스는 전혀 개의치 않으며 젤이 아직 살아있는지 찾아다닌다.
  • 블루 마블 . . . . 2회 일치
         한국전쟁에 참가한 경력이 있는 해 출신에 뛰어난 과학자다. 연구하다가 실수로 반물질을 만들어서 네거티브 존에 빠지게 되었고, 그 안의 네거티브 존 방사선에 의해 초능력을 얻게 되었다. [[슈퍼맨]]과 비슷한 능력에 [[반물질|반물질 에너지]]를 흡수하거나 조작할 수 있고, 일반적인 상태의 센트리에게 어느정도 대항하는 초음속의 스피드와 93,000톤 가량의 물체를 감당해내는 힘, [[센트리]]를 지구 밖으로 날려보낼 정도로 강력한 능력을 갖춘 초인. 같은 마블 코믹스 캐릭터인 [[하이페리온(마블 코믹스)|히페리온]], 센트리처럼 슈퍼맨과 비슷한 캐릭터.
  • 블리치/698화 . . . . 2회 일치
          * 이시다 우류도 아버지의 뒤를 이었다. 대형 원의 의사가 되어 있다.
          * 이시다도 가업을 이었으며 원 옥상에서 혼자 차드의 경기를 지켜보고 있다.
  • 빅터 차 . . . . 2회 일치
         아버지 차문영은 한국에서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미국으로 건너가 콜럼비아 대학에서 정치학을 전공했다. 뉴욕에서 도자기, 자개, 풍 등을 판매하는 기프트 가게를 열었으며, 동양 화에 미국제 갓을 얹고 중국제 나무로 받침대를 한 --기괴한-- 동양램프라는 상품을 백화점에 납품하여 큰 돈을 벌었다고 한다. 차문영은 2001년까지 40년간 아시아하우스를 운영하고, 2005년 타계했다.
  • 샬롯 링링 . . . . 2회 일치
         다만 이와는 반대로 '''부하를 최소한 한 명은 잡아먹었다.''' 그런데 이 부하들이라는 것이 인간이 아닌 과자로 된 사들일 수 있다. 만화책에서는 651화에서 자세히 나오지 않았으나, TVA에서는 [wiki:"보빈" 과자로 만들어진 듯한 부하]가 빅 맘에게 보고를 하는 장면이 나왔다. 이를 근거로 빅 맘은 과자 같은 무생물을 사람처럼 움직이게 만들 수 있는 능력자인지도 모른다는 설이 나오고 있다. 730화에서 빅맘의 배'''[[선수상]]이 노래를 불러서''' 이 무생물에 생명 부여 설이 강화되었다. 무엇보다도 빅 맘이 정말 [[wiki:"식인" 사람을 잡아먹는]] 사악한 인물이었다면, 그 [[징베]]가 머리를 숙이고 산하에 들어가진 않았을 것이다. [* 단, 징베의 경우 [[사황]] 페이지에도 언급되었듯이 속단하기는 이르다.][* 다만 빅 맘 본인이 생명을 부여하는 능력자일 필요는 없고 그냥 해적단의 간부 중 하나가 그런 능력자일 수도 있다.] 또한 오다가 제일 존경하는 작가이고 콜라보도 함께한 [[토리야마 아키라]] 의 [[드래곤볼]]에 나온 [[마인부우]]도 인간을 과자로 만들어 먹는 기술이 있어 여기서 따왔을수도 있다.
         거기다가 빅 맘 해적단의 모티브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로, 빅 맘의 모티브는 [[퀸 오브 하트]]로 추정된다. 다과회를 좋아한다는 점이나, 부하 목숨을 막 날려버리는 점, 그리고 자기 먹을 거를 누가 훔쳐먹었을 때 불같이 화낸다는 점이 비슷하다.[* 하트의 여왕이 첫 등장할 때도 자기 파이를 훔쳐먹은 범인을 찾는 재판을 벌이고 있었다.] 그렇다면 부하들도 '트럼프 사'들처럼 무생물에 생명을 부여한 것일 확률이 높다.[* 사실이라면 적어도 먹혀버린 부하들이 빅맘을 마마라고 부른 이유는 해명된다.]
  • 서든어택 2/무기 . . . . 2회 일치
         ||M4A1 소총은 베트남전 때부터 제기된 M16의 카빈(단축형 소총) 소요를 맞추기 위해 등장한 M4 소총의 개량형으로, 총열을 굵게 만들어 연사 능력을 높힌 총이다. 1997년에 제식 채용되어 장갑차량 승무원과 기계화보, 특수부대 중심으로 보급이 시작되었으며, 2001년 대테러 전쟁이 시작된 이후부터는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쓸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어 전군에 지급하기 시작, 이제는 미군의 상징 그 자체가 되어버릴 정도로 모든 과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 세컨드 오피니언 . . . . 2회 일치
         의료 분야에서는 새로운 치료법이 매일 생겨나며, 단 한 명의 의사가 모든 의료 정보를 파악할 수 없다. 한 명의 의사, 하나의 원이 제공할 수 있는 의료 방법에는 한계가 있으며, 환자가 받고 싶어하는 의료 역시 다양하다. 세컨드 오피니언은 환자가 최선이라고 생각되는 의료를 결정하기 위하여 다른 의사의 의견을 듣는 것이다.
         원을 바꾸거나, 의사를 바꾸는 것과는 다르다. 세컨드 오피니언을 받고, 결과적으로 의사를 바꾸는 경우는 있을 수 있다. 현실적으로 의사에 따라서는 세컨드 오피니언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거나, 자존심으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의사가 있어, 기존 주치의와 환자의 관계에 지장이 올 수 있다.
  • 스틸오션/미국 . . . . 2회 일치
         >애틀랜타급 순양함은 원래 선도구축함으로 설계된 경순양함이었지만, 제2차 세계대전에서 효과적인 대공구축함이라는걸 증명해냈다. 애틀랜타급 순양함 총 네척과 개선형인 오클랜드급 순양함(Oakland-class) 네척이 발주되었다. 애틀랜타는 1942년 11월 13일에 일어난 과달카날 해전에서 심각한 피해를 입고 격침되었다. 주노(Juneau)는 인디스펜서블 해협에서 후퇴하던 도중 일본 잠수함 I-19에게 격침되었다. 이때 사망자에는 설리반 오형제가 포함되어 있었다. 설리반 오형제의 죽음으로 미 전쟁성은 솔서바이버 정책[* Sole Survivor Policy. 형제들 중 전사자가 있을 경우 역이나 전투과에서 제외되는 정책.]을 채택한다.
  • 스틸오션/일본 . . . . 2회 일치
         >순잠3형(巡潛三形, Junsen III)을 기반으로 여덟척의 형(丙形, Type-C)이 건조되었다. 어뢰 발사관과 어뢰 탑재량은 증가했지만 일본 잠수함에서 흔히 볼 수 있던 수상정찰기가 제거되었다. 2차 세계대전 동안 갑표적(甲標的, Ko-hyoteki) 모함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 형구축함(丙形驅逐艦, Type-C destroyer)로도 알려져 있는 시마카제는 2차대전 중 건조된 일본 구축함중 가장 강하고, 가장 진보된 함선이었다. 일본의 수뢰전 중심 전략에 의한 산물이었지만 과도한 가격과 태평양 전쟁의 중심이 전함에서 항공모함으로 바뀌는 바람에 후속함은 건조되지 못했다. 1944년 11월, 오르목 만 전투에서 미국 항공기에게 공격받아 격침되었다.
  • 시계태엽 오렌지(영화) . . . . 2회 일치
         어느날, 알렉스는 자신의 동료들이 자신의 뒷통수를 치려고 한다는걸 깨닫고 그들을 후려팬다. 그 직후 동료들을 데리고 고양이와 함께 사는 여인의 집에 침입한다. 처음에는 작가 부부처럼 속이고 들어가려고 했으나 여인이 문을 열어주지 않자 알렉스 혼자 집에 침입한다. 알렉스는 여인과의 몸싸움 끝에 여인을 죽이고 만다. 그는 집 앞에서 대기하던 동료들과 도망치려고 했지만, 동료들이 우유가 담긴 유리으로 알렉스의 얼굴을 후려치고 도망가버려 경찰에 체포, 교도소에 들어가게 된다.
         이 일은 크나큰 파장을 불러온다. 정부는 혼수상태에 빠진 알렉스의 루드비코 요법을 치료한다. 그러고는 깨어난 알렉스에게 정부의 편을 들 것을 권하며 환희의 송가를 연주하는 오디오를 선물한다. 기자들이 실로 몰려들어와 정부 관계자와 악수를 나누는 알렉스의 사진을 찍는 와중, 알렉스는 섹스를 하는 장면을 생각하며 자신은 치유되었다고 독백한다.
  • 식객 . . . . 2회 일치
         춘추전국시대에는 식객을 자처하고 나타나는 사람을 주인이 보호해주고 대접해주는 것이 당연시 되는 문화가 있었으며, 이러한 문화는 상당히 오랫동안 유지되었다. 춘추전국시대의 식객은 여러 나라의 귀족 계급의 분쟁에서 주요한 전력으로 이용되었으며, 그 뛰어난 실력을 살려서 일종의 [[사]](私兵)이 되거나 주인의 참모 역할을 하기도 했다. 때로는 주인이 살해되면 식객이 [[복수]]에 나서는 경우도 있었다.
         식객이 복수를 한 사례로는 전국시대 초기에 조양자[* 위씨, 한씨와 함께 진(晉)나라를 3등분하여 '조, 위, 한' 중 조나라를 건국한 인물.]에게 패사(敗死)한 지백의 식객 '예양'의 사례[* 조양자를 시해하려다 연거푸 실패하고 붙잡히자 조양자의 옷이라도 베길 원한다고 말해 원을 풀고 자결한다. 공교롭게도, 그 후 얼마 되지 않아 조양자는 이 들어 죽고 만다.]와, 삼국지에 나오는 [[손책]]이 [[허공]]을 죽이자, 그 식객들 가운데 몇몇이 손책을 암살한 사건이 있다.
  • 식극의 소마/168화 . . . . 2회 일치
          * 이미 저 시기부터 아자미는 타락--뒤늦은 중2--이 시작되었다.
          * 정작 센자에몬이나 에리나의 어머니는 아자미의 야망이나 이념에 별로 상관하지 않는 듯 한데, 왜 이런 차이가 있는 걸까?--사위라고 하나 있는게 노답 중2--
  • 식극의 소마/228화 . . . . 2회 일치
          * 그러나 2rd Bout에서 가장 주목할 음식은 [[안(식극의 소마)|안]]이 심사한 [[츠카사 에이시]]의 "네 가지 녹차를 사용한 그라데이션 퓌레 스프"였다. 각기 사용한 녹차와 가장 상성이 좋은 채솟, 버섯, 콩을 사용한 퓌레를 한 접시에 담은 요리다. 각각의 퓌레는 옥로와 아티쵸크, 찐 전차와 화이트 아스파라거스, 현미차와 아리콩, 전차와 포르치니의 네 가지 조합.
          아리콩은 물에 삶아서 준비하고 아티쵸크와 아스파라거스는 손질해서 슬라이스로 썬 뒤 버터로 소테한다. 살짝 익으면 각각 조합된 차와 함께 푸드 프로세서로 퓌레 제작. 마지막엔 버터와 후추소금으로 간을 해서 크넬 모양으로 장식. 거기에 함께 나온 카푸치노 스프를 곁들여 먹으면 맛의 그라데이션이 놀랍도록 깊어진다. 각기 다른 개성을 가졌던 퓌레의 맛이 한데 모여 부드럽게 연결되는 풍미.
  • 실업팀 . . . . 2회 일치
         이러한 역사가 흔적으로 남은 유명한 사례로, [[잉글리쉬 프리미어 리그]]의 [[아스날 FC]]가 있다. 아스날은 영국 육군 조창의 실업팀에서 유래하였으며, [[클럽팀]]으로 전환한 뒤에도 아스날(조창)이라는 명칭을 유지하고 있다.
  • 악마성 . . . . 2회 일치
         [[악마성 드라큘라 시리즈]]에 등장하는 [[드라큘라]]의 성(城).
         [[분류:악마성 드라큘라]]
  • 악마의 대변인 . . . . 2회 일치
         악마의 대변인은 논쟁 집단이 ‘집단사고’의 위험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맡을 수 있다고 하여, 의도적으로 의사결정 과정에서 악마의 대변인을 지명하는 경우도 있다. 토론 문화가 부족하여, 반대 의견 자체를 용납하지 않는 풍토에서는 존속하기 어렵다.
  • 영창대군 . . . . 2회 일치
         >광해 74권, 6년(1614 갑인 / 명 만력(萬曆) 42년) 1월 13일(인) 5번째기사 정항을 강화 부사로 삼다
         >광해 74권, 6년(1614 갑인 / 명 만력(萬曆) 42년) 1월 13일(인) 5번째기사 정항을 강화 부사로 삼다
  • 오기노 쿄우사쿠 . . . . 2회 일치
         1912년, 니가타 시내의 타케야마 원(竹山病院)에서 근무. 산부인과 부장으로 근무한다.
         1936년, 타케야마 원 의장이 된다. 1958년 까지 근무.
  • 용융금속형 . . . . 2회 일치
         사인은 의학적으로 확실하지 않지만 녹인 금속의 온도 때문에 부은 부위에 중화상을 입게 되고, 목구멍에 부으면 금속의 연기로 호흡기가 파괴되거나, [[금속]]이 굳어지면서 기도를 막게 되어 [[끔살]] 당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아무튼 매우 고통스럽게 죽게 된다.
  • 울진군 . . . . 2회 일치
         역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울진은 경상북도와는 조금 다른 성향을 보였는데, 지역적 성향 탓도 있지만 [[김중권]]이라는 지역 유명 정치인 때문이다. 1981년부터 3선을 달리고 이후 20년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6번이나 연이어 낙선했으나 매우 높은 득표를 보였다. [[민주정의당]] - [[민주자유당]] - 공천탈락 - "무당파국민연합" - [[김대중]] 정부의 초대 [[대통령비서실]]장 + [[새천년민주당]] 대표 - 무소속의 길을 밟았으며,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노무현]] 대통령보다도 먼저 "영남 대통령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었다. 2012년에는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를 지지하였다.
         [[제50보사단]] 예하 해룡연대가 울진군에 있다. 울진은 경상북도의 최북단인 탓에 [[제2작전사령부]]의 최전선 역할을 하고 있다. 그래서 이 지역은 강원도 울진군이었던 시절에도 [[제2작전사령부]]의 모체였던 2군 관할 지역이었다.
  • 원피스/832화 . . . . 2회 일치
          * 구성원 대부분은 남자이자 사이며 고도로 단련된 전사들.
          * 제르마66의 국민 대부분은 남자이며 곧 사. 하루도 빠짐 없이 훈련을 거듭한다.
  • 원피스/839화 . . . . 2회 일치
          * 그들이 향한 곳은 어렷을 땐 금지된 구역이었던 구역. 그곳에서 상디는 대량으로 복제되고 있는 제르마의 사들을 목격한다.
          * 그 방안에서는 제르마의 사들이 배양액이 가득한 캡슐에 들어가 있다.
  • 원피스/849화 . . . . 2회 일치
          * 브룩은 보물전을 제압하는데 성공. [[포네그리프]]에 접근하기 위한 열쇠를 손에 넣는다. 그는 파트너에게 죽음을 각오하라고 부탁한 이상 가져갈 건 다 가져가야 한다며 보물전의 사들을 쓸어버리고 포네그리프를 찾아 전진한다.
          * 력을 끌고 다니던 페드로는 마침내 안뜰까지 쫓겨온다. 그를 추격한 [[타마고 남작]]이 기다리고 있다. 타마고 남작이 밝힌 그의 전 직함은 "녹스 해적단 선장 캡틴 페드로". 그는 비록 적이라도 페드로를 "너른 자"라 인정하고 있었다고 말한다. 그는 오랜만에 숙적을 마주하니 "왼쪽 눈의 상처"가 쑤신다고 말하는데. 그는 빅맘에게 사로잡혔던 "5년 전"엔 그토록 삶에 집착했던 페드로가 어째서 똑같은 짓을 반복하냐고 묻는다. 하긴, 그는 이미 "제대로 살아있을 수도" 없는 몸이다. 5년 전 그날 페드로는 50년 치 수명을 바치는 대가로 살아나갈 수 있었다. 그렇게 말하며 선글라스를 벗는 타마고 남작. 그는 왼쪽 눈이 없는 애꾸였다.
  • 원피스/856화 . . . . 2회 일치
          * 방 안의 호미즈들은 물론 방 밖에서 "경비"라는 핑계로 감시하고 있는 체스들은 그들의 일거수 일투족을 간부들에게 보고한다. 이들이 완전히 방심한 채 누구와도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미 [[빈스모크 레이쥬]]가 있는 의무실에도 력을 배치해놨다. 이런 사정은 꿈에도 모른 채 빈스모크 일가는 잠에 든다. 표면적으로는 아주 평온한 밤. 진실을 알고 있는 레이쥬는 생각에 잠겨 뜬눈으로 잠을 지샌다.
  • 원피스/868화 . . . . 2회 일치
          슈트로이젠과 마음을 터놓게 된 링링이 처음 그 말을 꺼냈다. "마더가 기뻐해주는 나라"를 만드는 거야 말로 자신의 꿈이라면서. 이게 계기였다. 링링은 얼마 되지 않아서 자신이 카르멜이 썼던 "소울소울 열매"의 능력을 쓸 수 있다는걸 알게 됐다. 슈트로이젠은 그 힘에 이 악마의 열매 능력이라면 충분할 거라고 생각하고 링링이 말하는 꿈의 나라를 만들기 위한 작업에 착수했다.
          * '악마의 열매'의 능력을 해당 능력자를 '먹어서' 가질 수도 있다는 것이 증명됨에 따라, 과거 정상결전 당시 검은 수염이 흰수염의 힘을 빼앗아갔을 것이라고 추측하던 가설이 더욱 힘을 얻게 되었다.
  • 원피스/882화 . . . . 2회 일치
          * 하지만 낭보도 도착한다. 샬롯 누스토르테가 1만 력으로 제르마66을 추격, 그들을 괴멸하고 왕국을 손에 넣었다는 보고였다. 누스토르테는 밀집모자 일당의 추격결과에 대해서도 묻고 몬도르는 의심없이 정보를 공유한다. 그것이 실수. 사실 제르마를 쫓아간 력은 전멸 당했다. [[빈스모크 니디]]가 누스토르테의 목소리를 흉내내 전화를 건 것. 밀집모자 일당이 서쪽으로 출항했다는 소식을 접수한 제르마66은 곧 그 방향으로 출항한다.
  • 월드 인 컨플릭트 . . . . 2회 일치
          시애틀에 거주하던 워싱턴 주방위군 사. 미군이 시애틀에서 후퇴하며 정규군에 편입되었다. 안톤과는 친구 사이. 아내가 있었지만 현재는 이혼했다.
          시애틀에 거주하던 워싱턴 주방위군 사. 정규군에 편입되었다. 마이클과는 친구 사이. 가족으로 딸과 아내가 있다.
  • 위의공 . . . . 2회 일치
         이민족인 적(狄)에 의한 위나라의 멸망은 이 당시 다른 어떤 제후국 또한 단독으로 대항해서는 이민족의 침공을 이기지 못하고 위나라와 같이 비참하게 멸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걸 보여주고 있다.[* 위의공이 도가 지나친 암군이었다는걸 감안한다고 해도, 다른 제후국들 역시 그 같은 암군이 집권하지 말라는 법은 없는 것이고(…)] 잘못하면 중원 문명국들이 이민족에게 각개격파-탄 당하여 [[황하 문명]]이 [[인더스 문명]]처럼 땅 속에 묻히는(…) 상황이 오지 않는다고 보장할 수도 없는 것이다.
         이런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회맹-제후연합군을 구성하여 이민족과 대항하는 집단안보체계는, 과거 [[주나라]]가 주도하였으나 춘추시대가 개막하고 주나라의 권위가 상실하면서 붕괴하였다. 따라서 새로운 권위로 제후국들의 '연합군'을 만들어서 질서를 바로 잡을 필요성이 대두된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부국강 정책을 펼치던 제나라의 [[제환공]]이 주도하여 위나라를 재건해줌으로서, 주 천자의 권위를 대신하여 이러한 집단안보체계를 주도하는 '패자'의 시대가 나타나는 배경이 되었다.--결국 제환공의 패업의 발판일 뿐이라는 뜻인데 장대하게 썼다.--
  • 은혼/588화 . . . . 2회 일치
          * 가구라는 "언젠가 엄마의 이 나으면 파파와 카무이와 함께 가자"고 하는데, 코우카는 "내 이 낫는 것과 그 덜떨어진 놈들(우미보즈와 카무이)가 돌아오는 것 중 어느 쪽이 빠를까"라며 웃는다.
  • 은혼/592화 . . . . 2회 일치
          * 그리고 실에서 눈을 뜨는 우미보즈.
          * 다츠마는 "장사 얘기는 끝났으니 이쪽 얘기도 얼른 끝내자"는데, 귀대의 다케치가 와있다.
  • 은혼/602화 . . . . 2회 일치
          * 기지로 침투한 나락들은 해방군 사들의 집중 사격으로 쓰러지지만 우츠로는 건재.
          * 사들은 지지않고 응사를 계속하는데 그때 쓰러진 나락들에게서 이변이 일어난다.
  • 은혼/603화 . . . . 2회 일치
          * 긴토키 일행도 나락이 보통 사가 아닌 불사신 군단이라는 걸 알게 된다.
          * 묘사되고 있진 않지만 귀대 또한 지구로 향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 중.
  • 은혼/606화 . . . . 2회 일치
          * 마츠다이라 카타쿠리코가 력을 이끌고 온 것이다.
          * 사카타 긴토키는 그 전력이 전우주를 상대로 어느 정도 먹히겠냐고 묻는데, 그때 해방군의 새로운 지상력이 당도한다.
  • 은혼/623화 . . . . 2회 일치
          * [[소타츠]]는 [[도로미즈 지로쵸]], [[도로미즈 피라코]] 부녀와 해결사 일행에게 력을 집중시킨다.
          * 지로쵸와 해결사는 건물 안으로 장소를 옮긴다. 신라 부대는 이들을 뒤따르다 좁은 입구에 막혀 각개격파 당한다. 좁은 건물 안이라면 신라의 집단 전술이 효율을 잃는다. 정공법이지만 그것도 한계는 있었다. 물량과 사 개개인의 역량이 높은 탓에 단지 그것만으로는 열세를 극복할 수 없었다. 결국 [[도로미즈 피라코]]가 밀리면서 입구가 뚫린다. [[시무라 신파치]]가 조력해서 피라코를 데리고 피신, 지로쵸와 긴토키가 천장의 파이프를 떨어뜨려 추적을 지연시키며 퇴로를 연다. 둘은 [[가구라]], 신파치, 피라코를 선행시키고 배후를 지킨다.
  • 은혼/638화 . . . . 2회 일치
          * 이 정체를 알 수 없는 폭발은 에도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각지에서 흩어져 싸우던 가부키쵸 연합군이 퇴각한다. [[츠쿠요]], [[사루토비 아야메]]가 백화와 오니와반슈를 수습하고 [[도로미즈 지로쵸]], [[도로미즈 피라코]] 부녀와 [[사이고 다카모리]]도 력과 함께 퇴각하나 어디로 가야할까? 폭발은 빠른 속도로 뒤따라온다. 가부키쵸의 고지대에서 이 상황을 지켜보는 [[오토세]] 여사. 그녀와 함께 전황을 지켜보던 가부키쵸 주민들 사이에서 [[시무라 타에]]가 조심스럽게 걸어나온다. 그녀의 눈은 믿기지 않는 광경으로 향하고 있었다.
          엔죠의 추론대로 "누군가"는 지구 위에 있었다. [[우츠로(은혼)|우츠로]]는 이 전쟁의 클라이막스에 텐쇼인 나락과 함께 모습을 드러냈다. [[사카타 긴토키]], [[가구라]], [[시무라 신파치]]의 해결사 일행과 [[히지카타 토시로]], [[오키타 소고]]의 진선조 부대, [[카무이(은혼)|카무이]]의 하루사메 7사단까지 연합한 력을 완벽한 타이밍에 포위하고 있었다. 그는 다가오는 파국을 즐기며 일행에게 말했다.
  • 은혼/647화 . . . . 2회 일치
          신스케는 몸상태를 걱정하는 헨페이타에게 너스레로 대답했다. 그에게 걱정을 끼치는 걸 보면 자신도 참 망가졌다면서. 그는 다른 문제는 언급하지 않은 채 [[키지마 마타코]]의 구조와 보호를 부탁했다. 그녀는 자신이나 헨페이타 같은 악당이 아니라 악운만으론 살 수 없을 테니까. 그리고 귀대를 탄생시킨 장본인이 죽으면 [[카와카미 반사이]]가 반드시 화를 낼 테니까. 그 외의 지시는 없었다. 지극히 당연한 일을 할 뿐이었다.
          [[우츠로(은혼)|우츠로]]는 폐허가 된 가부키쵸의 지표에서 명멸하는 점처럼 보이는 히노카구츠치를 보았다. 그 속의 해방군의 운명을 보았다. 그는 해방군의 실패를 직감했지만 아무런 걱정도 없었다. 그가 이 자리에 있는건 사라져 가는 것들을 향한 조문이었다.
  • 은혼/654화 . . . . 2회 일치
          * 자작 제독은 이제 함 내에서 해결할 방법은 없다고 확정했다. 이미 히노카쿠츠치의 에너지가 역류하면서 배를 파괴하고 있다. 배는 곧 컨트롤이 안 되는 거대한 에너지 덩이가 될 것이고, 인력에 이끌려 확실하게 지구에 때려박을 것이다. 그 충격의 여파는 지구는 커녕 은하가 무사할지 걱정해야 할 판. 그러므로 지금으로선 배의 외부에서 모선을 공격, 추락하기 전에 우주공간에서 파괴하는 수밖에 없다. 불행하게도 선내의 인원을 대피시킬 시간적 여유는 없고 그렇다고 전은하의 생명과 저울질 할 수도 없다. 그리고 지금 시점에서 이 배를 외부에서 파괴하는게 가능한 력을 가진 건 한 군데 뿐. 자작 제독은 이상의 내용을 정리해 접근한 하타황태자에게 전달했다.
          가츠라, 다츠마, 신스케가 동시에 리타이어 하면서 제일 바쁜 사람. 우주의 전쟁은 끝났지만 해방군 모선은 여전히 폭주 중이며 제어도 불가능해서 지구로 추락을 피할 수 없다. 결국 그가 택한 것은 동생 하타 황태자에게 방아쇠를 맡기는 것. 어차피 함내에서는 탈출도 불가능하고 지구와 함께 죽는게 기정사실이라면, 그 전에 모선이라도 파괴해서 지구와 이 우주는 살려보자는 계산이다. 그리고 그 역할을 할 수 있는 력은 현시점에선 하타황태자의 함대가 유일. 동생에게 가혹한 선택지를 주는게 거리껴졌는지 "강요는 하지 않는다"고 했지만, 이미 선택의 여지가 없다.
  • 일곱개의 대죄/202화 . . . . 2회 일치
          * 십계를 아주 손쉽게 처리한 셈인데 현세에서 그 십계들 때문에 숨어있던 킹과 디안느는 믿기지가 않아 흥분한다. 반면 멜리오다스는 심드렁한 표정으로 "일단 격퇴했다"고 할 뿐이다. 킹은 이럴 때가 아니라 다른 력도 있다며 경계를 늦추지 않는데, 뒤돌아 보니 하늘을 가득 메울 것 같았던 마신족의 군세가 사라져 있다. 그 자리엔 엘리자베스가 씁쓸한 표정으로 날고 있을 뿐인데. 그녀는 어떻게 된거냐는 물음에 "돌려보냈다"고 답한다. 킹과 디안느는 방금 전까지 마신족들이 날뛰던 걸 봤기 때문에 쉽게 받아들이지 못한다.
          그 숲 한가운데에 희고 높은 탑이 보인다. 디안느가 저게 뭐냐고 눈이 휘둥그레지는데 킹도 현세엔 없는 구조물이라 모르긴 마찬가지다. 그때 멜리오다스가 "우리 거점을 보고 무슨 소리냐"며 이상하게 여긴다. 이 탑에는 요정족과 거인족 사들의 모습이 모인다. 물론 여기엔 여신족도 있다.
  • 일곱개의 대죄/203화 . . . . 2회 일치
          * 스티그마 내에서는 마신족에 대한 흉흉한 소문들이 돌고 있다. 각지에서 마신족에게 희생자가 나오고 있는데 "십계"는 물론 "흑의 육기사"라는 조직에게도 상당히 고전하고 있다. 모여있던 스티그마의 사들은 이같은 소식들을 공유하며 마신족에 대해 증오를 숨기지 않는다. 그들은 공공연하게 마신족을 섬멸하고 멸종시키겠다는 발언을 한다.
          스티그마의 사들은 누구나 숲에 준동하는 불길한 마력과 흑운을 목격한다. 킹은 이거야 말로 "시련"인 거냐고 중얼거린다. 디안느도 어느 새 진지한 얼굴로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로우, 멜리오다스, 엘리자베스도 불길한 상황을 감지했다.
  • 일곱개의 대죄/211화 . . . . 2회 일치
          * 그러는 사이 [[로우(일곱 개의 대죄)|로우]]를 비롯한 인간 전사들은 스티그마의 력을 인정사정없이 유린한다.
          * 디안느는 그러는 사이에도 엄청나게 많은 마력이 사라지는걸 감지한다. [[로우(일곱 개의 대죄)|로우]]를 비롯한 인간 전사들은 스티그마의 사들을 도륙하며 은총의 빛을 사수한다. 마침내 할리퀸은 [[그로키시니아]]의 여동생 [[게라이드]]가 부르는 소리를 감지하고 고서를 내버려둔 채 은총의 빛으로 향한다.
  • 일곱개의 대죄/213화 . . . . 2회 일치
          * [[로우(일곱 개의 대죄)|로우]]는 스티그마의 사들을 무차별 학살하지만 싸움을 말리려는 [[게라이드]]를 공격하진 않는다.
          * 게라이드가 어린 요정사를 지키는 과정에서 또다른 인간 전사가 공격, 게라이드의 눈을 빼앗고 사지를 자르는 만행을 저지르다 로우에게 살해당한다.
  • 절대가련 칠드런/457화 . . . . 2회 일치
          * 효부는 카오루가 태어난 원까지 돌아가는데 성공했지만 몸도 가누지 못한다. 어떤 소년이 그에게 친절을 배푸는데, 소년시절의 사카키 슈지였다. 사카키는 효부에게 마실 물을 주고 쉬어갈 장소를 마련해주는데 이때 이미 힙노에 각성한 상태라 효부의 정체와 상황을 간파한다. 사카키는 자기도 나중에 당신 조직에 들어갈지 모르겠다며 못 본척 해주겠다고 말한 뒤 사라진다. 효부는 그때는 "그렇게 생각하고 싶어서" 사카키를 마기와 닮았다고 생각하며 완전히 안심한다.
          * 이때 효부는 힙노를 발생시켜서 간단한 정신간섭도 행하고 있지만 간절한 마음과 달리 효과는 미지수. 설상가상으로 블랙팬텀의 새로운 함정이 접근한다. 잠수함 언터쳐블 엠프렌스에 탑승 중이던 쿠구츠 타카시가 잠수함에서 긴급하게 무전하는데 블랙팬텀이 발사한 미사일이 접근 중이다. 상공에는 폭격기까지 대기 중. 사면초가의 상황이다.
  • 절대가련 칠드런/464화 . . . . 2회 일치
          * [[쿠모이 유리]]의 힙노로 블랙 팬텀이 파견한 용들을 간단하게 제압한다.
          이것은 [[쿠모이 유리]]가 보여준 환상. 이들은 모두 블랙 팬텀 산하의 경비업체에 소속된 용들이다. [[효부 쿄스케]]는 신념도 뭣도 없이 상황이나 이득에만 관심있는 녀석들은 최면에 걸리기 쉽다고 비아냥 댄다. 그러자 유리는 "대부분의 인간이 그렇기 때문에 아버지나 [[길리엄(절대가련 칠드런)|오빠]]도 세력을 키웠다."고 자조한다.
  • 절대가련 칠드런/472화 . . . . 2회 일치
          * [[파티 크루]]가 셋의 허를 찌르고 도주하려 하나, 상대도 복을 감추고 있었다. 더 하운드의 [[야도리기 아키라]], [[이누카미 하츠네]] 난입.
          * 당연했던 걸지도 모르지만 블랙 팬텀의 복은 저들만이 아니었다. 더 하운드의 [[야도리기 아키라]], [[이누카미 하츠네]] 페어도 대기 중이었다. 역시 정신 오염이 완료. 아키라 카가리의 몸과 바꿔치기를 해서 발화, 파티의 입자로 분진폭발을 유발한 것이다. 하츠네는 밖에서 아키라의 몸에 들어온 카가리를 제압. 하츠네는 정신오염에 덤으로 팀과 바렛의 중2 취미까지 옮은 건지 "위기에 몰린 주인공이 역전할 땐 분진 폭발이 단골소재"라며 실없는 소릴한다.
  • 조선활자본 삼국지통속연의 . . . . 2회 일치
         [[명종]] 년간(1534~1567)에 간행된 것으로 추측된다. 금속활자로 간행되었고, 자자(丙子字)를 썻다. 드문드문 굵기와 크기가 다른 목활자가 끼어 있어 '후기 자자'로 추정된다. 활자로 볼 때 1552년 이후 1560년대 초중반 사이에 인출된 것으로 추측된다.
  • 진격의 거인/78화 . . . . 2회 일치
          * 베르톨트는 단이 있는 위치에서 거인화 해 일대를 날려 버리려 하다가 근처에 라이너가 빈사 상태임을 알고 중단한다
          * 베르톨트는 단이 애니를 확보 못한 것이나 그저 시간 벌이를 위해 아르민이 접근한 것도 다 알고 있다
  • 진격의 거인/79화 . . . . 2회 일치
          * 한편 리바이 장 일행은 짐승 거인을 견제하며 작은 거인들을 거의 정리했다
          * 하지만 짐승 거인은 암석을 잘게 부셔서 투척하는 기술을 선보인다. 마치 산탄총처럼 날아온 암석 때문에 조사단은 전멸의 위기에 놓인다
  • 진격의 거인/87화 . . . . 2회 일치
          * 비명을 지르며 눈을 뜨는 엘런 예거. 여기는 징벌방이다. 엘런은 창살 안에 있고 옆방엔 미카사 아커만이 자고 있었다. 아르민 알레르토는 그 앞의 의자에서 함께 밤을 지내고 있었는데 엘런이 비명을 지르는 바람에 모두가 깨어난다. 엘런은 꿈 때문인지 기억이 혼선된 상태인데 자신이 왜 여기에 있는지, 왜 눈물이 나는지 모른다. 아르민은 여기가 징벌방이고 미카사랑 같이 기위반으로 벌을 받았다고 알려준다. 엘런은 천천히 기억을 되찾아가는데 아르민은 방금 전 "나는 왜"라고 중얼거린걸 지적하며 일인칭이 변했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것도 기억이 애매하다.
          * 벽 너머에선 이변을 눈치챘다. 쉬고 있던 력들이 총기를 모여든다. 클루거는 상황의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는 그리샤의 눈 앞에서 손 바닥을 긋는다. 그에게 잘 봐두라고 말하면서.
  • 짐 브라부라 . . . . 2회 일치
         윈터슨을 쏴죽인 맥스가 원에서 깨어난걸 보자마자 도대체 무슨 짓을 한거냐며 따지려 하지만, 말을 끝내기도 전에 원을 습격한 스쿼키 청소회사의 총격에 쓰러진다. 맥스는 꿈속에서 그가 죽는 장면을 보았지만 다행히 현실의 브라부라는 수술을 받아 살아났다.
  • 창작:6피트 계획 . . . . 2회 일치
         || 최초작성자 || 노숙아리 ||
          * 신성 용기
  • 창작:좀비탈출/4-0 . . . . 2회 일치
         중에 식량이 없다는건 놀라운 일이다. 아무렇지 않은 도 순식간에 생명을 위협하기 시작한다.
  • 창작:좀비탈출/5-1-1-1-1-1 . . . . 2회 일치
         왜 바로 머리를 내려치지 않았냐는 의문이 남지만…… 그거야 '''자기 마누라잖아.''' 아줌마가 무슨 에 걸렸는지도 모르는 아저씨가 머리를 날려야 끝난다는 걸 알리는 없었겠지. 그리고 다 끝낸 다음에…… 머리가 없는 시신을 수습하고 싶지도 않았을 거고. 그래서 생각해낸 절충안이 허리였을 것이다. 따지고 보면 척추는 뇌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게 절단되는 충격은 당연히 뇌에도 영향을 줬을 것이고, 원하는 결과로 이어졌겠지.
         결국 아저씨가 고를 수 있는 납골당은 여기 한 군데였다. 그렇게 아내를 보내고 나서 몸에 난 상처가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을 것이고 다이너스티를 몰고 원까지 가려고 했겠지. 이미 몸이 이상해지기 시작했겠지만 설마 늦었을 거라곤 상상도 안 했고. 그렇게 차로 향하던 사이에…… 그는 '''토트넘'''이 되었다.
  • 창작:좀비탈출/5-1-2 . . . . 2회 일치
         머릿 속의 목소리가 말했다. 녀석들의 개인차. 하체가 발달한 녀석이 있으니 다른 것이 발달하거나 썩지 않은 녀석도 있을 법하다. 그래 예를 들자면…… '''후각이 멀쩡한 녀석.''' 이제 토트넘은 시체 본연의 자세로 돌아갔다. 움직이지 않는 '''고정된 썩은내 스팟'''으로 활약하겠지. 녀석들 중에 후각이 남은 녀석이 있다면? 녀석들의 뇌는 냄새의 호불호를 분별하진 못할 것이다. 하지만 강렬한 자극이 있다는 것 정도는 감지할 것이고 그게 녀석들의 구미를 당기게 한다면…….
         식량을 옮긴 뒤 깨끗히 몸을 씻었다. 물리진 않았지만 잠깐이나마 녀석들과 접촉했던 것은 찜찜한 일이다. 마지막으로 들었던 라디오 정보에선 녀석들에게 물리거나 체액이 혈관에 들어가지 않는 한은 안전하다고 했다. 하지만 그게 어디까지 진실일까? 혼란을 막아보려는 질관리국의 정보조작이 아니란 증거가 어디에 있을까? 그러다가 내가 씻는 그 물이 며칠 동안 찜찜해서 쓰지 않았던 "수돗물"이란 사실을 떠올렸다. 하지만 뭐가 어떤가? 왠지 이젠 신경쓰이지 않는다. 체약이 묻었던 옷은 비닐봉지에 담아서 버렸다. 세탁을 하기엔 물이 아깝고 시간도 아깝다.
  • 창작:헤이즈 . . . . 2회 일치
         무동고등학교의 영화동아리인 RECORD의 일원들은 여름방학을 이용해 엄두를 내지 못했던 정식 영화 촬영에 도전해 보기로 한다. 처음에는 단순히 전원일기처럼 동네 소개 영상에 불과했지만, 시나리오에 살이 점점 붙어가자 아예 스릴러 영화를 찍자는 쪽으로 계획을 고치게 된다. 그리하여 그들은 거의 버려진 거나 마찬가지인 [[창작:세정종합원|세정종합원]]의 별관에 숨어들어 촬영을 하기로 한다. 촬영은 순조롭게 진행되었지만, '어떤 일'을 계기로 갑자기 계획이 이상해진다...
  • 청도군 . . . . 2회 일치
         [[삼국]] 시대 초기 이서소국(伊西小國)의 땅이었다. 그러다가 [[신라]] [[유리왕]] 때 신라에 합되었다. 후에 구도성의 경내 솔이산, 경산, 오도산의 3[[성(건축)|성]]을 합하여 대성군(大城郡)을 두었다. 경덕왕 때 구도를 오악현(烏岳縣)으로 개칭하고, 경산을 형산현(荊山縣)으로, 솔이산을 소산현(蘇山縣)으로 고쳐 밀성군(密城郡, 현 [[밀양시]])의 소속으로 삼았다.
          * [[임헌]] : 전 대구 남구청장(3선)[* [[풍각면]] 출신]
  • 츠라츠라 와라지 . . . . 2회 일치
          * 관백 : 후지와라 씨의 혈통을 지닌 다섯 가문 중 하나인 이치죠 가문 출신 공가(公家. 귀족). 형제가 없어서, 종제(從弟)인 이즈미(관백의 모친이 이즈미의 백모)가 수행 가로가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그를 만나고 싶어하여 거짓 칭(稱病)을 하였다. 조정과도 사이가 소원한 사다노부에게 반감을 갖고 있으며, 반대로 하루타카의 인품을 잘 알고 있는 인물이다.
          * 협본진 찬모 : 고오리야마 본진(本陳. 에도 시대의 숙박 시설 중 다이묘와 그 수행원들이 이용하던 숙사의 통칭)의 찬모(반찬을 비롯한 음식을 만드는 여자). 누명을 쓰고 탈번(脫藩. 번을 이탈하여 낭인이 되는 것. 당시 무단으로 탈번하는 것은 중죄였다)한 관리와 정을 통한 사이로, 임신한 지 얼마 되지 않아 그 관리가 숙사를 수배하러 온 선발대에게 들켜 처형당하자 쿠마다 가에 원망을 품었다. 그녀의 사정을 알게 된 하루타카가 그녀 뱃속의 자식을 자신의 사생아인 것으로 꾸미고 이를 인정하는 듯한 연기를 하여 협본진에서 계속 일하며 아이를 키울 수 있게 되었고, 원망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지만 하루타카의 배려에는 감사하게 된다.
  • 크림 전쟁 . . . . 2회 일치
         [[발라클라바 전투]] 도중 영국군 경기대가 명령 착오로 인해 러시아군 대포 앞으로 돌진, 엄청난 피해를 입은 사건이 있었다. 이 사건은 "[[경기 여단의 돌격]]"[* Charge of the Light Brigade]이라는 이름으로 역사에 기록되었다.
  • 키이치 보우겐 . . . . 2회 일치
         요시츠네의 전설을 기록한 「의경기(義経記)」에 따르면, 키이치 보우겐은 교토 이치죠(都一条堀川)에 살고 있는 [[음양사]]이며, 문무를 겸비한 인물이었다. 그는 중국에서 들여온 전설적인 법서 《육도삼략(六韜三略)》을 소지하고 있었다.
         참고로 의경기에서 육도삼략은 엄청난 법서로서, [[타이라노 마사카도]]가 육도삼략을 읽었기 때문에 여러 발의 화살을 한 번에 쏘아 적들을 죽일 수 있었다--멀티샷?--고 과장스럽게 설명된다. --[[하후무]]:나도 육도삼략을 마스터 했는데?!--
  • 킹덤/497화 . . . . 2회 일치
          * 몽의는 그렇게 될 작전을 짜지 않았다며 자신들을 믿어달라고 호소한다. 그러자 왕분은 "조의 눈을 서쪽으로 돌리고 그 사이 업까지 진격한다"는 전제 자체는 성립한다고 치더라도 거기서 참이 분단되고 퇴로가 막히게 된다고 지적한다. 더불어 한단, 알여, 요양 등에서 오는 대규모 원군에 업에서 생길 각종 최악의 상황들에 대해서도 언급하며 이러한 악조건을 모두 고려한 책략이 나온 거냐고 묻는다.
         코에이의 삼국지에서도 업을 공략하는 건 꽤 어려운데, (고대 기준으로) 하북평야의 한가운데 위치한 대도시로 보통 조조나 원소 같은 강자들의 력이 집중되는 곳. 더군다나 진나라에 대한 공동전선이 형성돼 온갖 나라들이 진나라를 공격하려 올 판에 업으로 역공을 간다는 얘기이므로, 얼마나 하드코어한 플레이인지 알 법하다.
  • 킹덤/526화 . . . . 2회 일치
          * 마남자의 부하들이 서둘러 그를 둘러쌌다. 이젠 정말 물러나야 할 시간이다. 마남자 또한 강자 둘을 상대로 데려온 력이 너무 부족했다고 인정했다. 그러면서 퇴각할 기색을 보이자 아광은 이 상황에서 그게 가능할 거 같냐고 쏘아붙였다. 그 동안 왕분은 반양의 도움으로 다시 말에 올랐다.
          아광의 엄포에도 불구하고 마남자는 이 상황을 전혀 심각하게 여기지 않았다. 오히려 이런 데서 자신의 목을 가져갈 수 있다고 생각하냐고 받아쳤다. 그 말은 허세가 아니었다. 왕분은 곧 아군의 후방을 들이치는 조군의 대력을 발견했다. 마남자는 사전에 군을 두 갈래로 나눴다. 자신과 함께 아광군의 측면을 요격한 1진과 아광군 2진을 견제하러 보낸 2진. 그 2진이 지금 돌아오고 있었다.
  • 타이라노 마사카도 . . . . 2회 일치
         마사카도는 삼남 요시마사의 아들로서, 소년 시절에는 교토에서 후지와라노 타다히라(藤原忠平, [[후지와라 요시후사]]의 손자)를 가신으로 모셨다. 그러다가 요시마사가 사망하자 시모우사로 귀환하였는데, 귀향한 마사카도는 쿠니카와 요시카네가 요시마사가 남긴 장원을 마음대로 분배해서 나눠가졌다는 것을 알게 된다. 쿠니카의 동생 타이라노 요시마사(平良正)는 마사카도를 토벌하려 했으나 마사카도에게 격파당하여 패배, 타카모치의 차남 타이라노 요시카네가 마사카도를 공격했으나 역시 마사카도에게 패배한다. 요시카네 토벌은 조정에서 허가를 얻었으며, 934년에 요시카네는 결국 사하고 만다.
         조정에서는 시모츠케국(下野国)의 압령사(押領使) 후지와라노 히데사토(藤原秀郷)에게 마사카도 토벌을 명령하는 한편, 후지와라노 타다후미(藤原忠文)를 정동대장군으로 임명하여 마사카도의 난을 진압하도록 파한다.
  • 토리코/359화 . . . . 2회 일치
          * 돈 슬라임은 한때 우주의 왕이라 불렸던 구르메 세포의 악마이다. 무엇으로든 변신할 수 있고 전성기에는 행성 하나를 복제할 정도로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었다.
          * 지금까지 등장했던 구르메 세포의 악마들은 하나같이 음험하거나 음모를 꾸미는 이미지였는데, 돈슬라임은 이치류와 인간적인 우정을 과시해서 단숨에 호감형 캐릭터가 됐다.
  • 토리코/368화 . . . . 2회 일치
          * 마침내 GOD가 나타난다고 말하려는데, 갑자기 구르메 세포의 악마가 얼굴을 드러낸다.
          * 토리코만이 아니라 코코, 써니, 제브라도 차례로 악마의 얼굴이 떠오른다.
  • 토리코/373화 . . . . 2회 일치
          * 아이마루는 소식을 원칙으로 삼는 구르메 나이트가 이렇게 무시무시한 식욕의 악마를 숨기고 있었다며 다른 단원들이 까무라칠 거라고 자조한다.
          * 아이마루도 역시 구르메세포의 악마를 숨기고 있었다.
  • 토탈워: 쇼군 2 - 사무라이의 몰락/번 . . . . 2회 일치
          * 참: 모든 지상 유닛의 유지비 -10%
          * 포술: 모든 포의 정확도 +5
  • 판타스틱 포(2015년 실사영화) . . . . 2회 일치
          * 마찬가지로 마블 코믹스 원작에 폭스에서 영화화한 [[브라이언 싱어]]의 [[엑스멘 실사영화 시리즈]] 세계관과 크로스오버를 얘기하는 팬들도 있는데, 사실 판타스틱 포 영화의 리부트 계획 당시 엑스맨 영화의 세계관과 합시키고자 하는 '''크로스오버 계획이 있었다'''. 그러나 차츰 계획 진행이 예상과 달라지면서 세계관 합은 무리라고 판단한 20세기 폭스가 독자적인 영화로 만들고자 했는데, 제작자의 현재 입장은 "엑스맨과의 크로스 오버는 언제든 가능하다. 하지만 일단 판타스틱 4는 그 자체 작품만으로 집중할 것이다. 마블이 그들만의 세계관을 합치는 과정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엑스맨과 판타스틱 4 역시 그러한 방면에서 융합이 시도될지도 모르지만 지금은 아니다." 라고 말했다.
  • 페어리 테일/492화 . . . . 2회 일치
          * 미라젠은 타르타로스에서 다양한 악마를 흡수해 "사탄 소울 미라젠 알레그리아"를 완성. 압도적으로 승리한다.
          * 타르타로스와 싸울 당시 접촉했던 악마들의 소울을 전부 흡수했던 것.
  • 페어리 테일/507화 . . . . 2회 일치
          * 그 말을 들으며 END로 각성했던 나츠의 몸이 원래대로 돌아간다. 그레이도 전의를 잃고 멸악마법의 표식이 사라져간다.
         나츠와 그레이, END 대 멸악마법의 대결은 일단락. 하지만 재대결의 여지가 없는 것도 아니다. 이번엔 END의 각성이 멈췄기 때문에 엘자가 막을 수 있었지만 제레프전에서 END로 완전 각성한다면 그레이가 나츠를 막기 위해 재대결하게 될지도 모른다.
  • 페어리 테일/508화 . . . . 2회 일치
         라케이드가 제레프를 "아버지"라고 폭로해버렸는데 이쪽도 "논란이 많을 테지만 중요한 에피소드"에 부합하는 부분. 우선 제레프 본인의 친자라는 의미인지, 단지 그 자신도 제레프 서의 악마라서 그런 발언을 한 것인지 불분명하다. 다른 제레프 서의 악마들이 직접적으로 아버지란 호칭을 쓰지는 않는 점, 그리고 제레프 본인이 라케이드의 마법에 격하게 반응한 점을 들어 전자로 추정하는 의견이 많은데 그렇다면 과연 어머니는 누가될지도 관심거리.
  • 페어리 테일/511화 . . . . 2회 일치
         스팅이 라케이드의 냄새가 나츠와 같다는걸 이상하게 여기는 부분은 그가 제레프서의 악마라는 증거일 수 있다. 정황으로 볼때 메이비스 버밀리온의 친아들일리는 없는데다 이번 스팅의 냄새 떡밥이 더해져서 라케이드는 제레프 서의 악마로 확정되는 분위기.
  • 페어리 테일/516화 . . . . 2회 일치
          * 한편 나츠는 자신의 심상세계에서 아버지 [[이그닐]]을 만나는데 이그닐은 그의 안에서 "용의 싹"과 "악마의 싹"이 융합해 자신이 더는 막을 수 없다고 밝힌다.
          나츠의 몸안에는 용의 싹 말고도 "악마의 싹"이라 할 만한 것이 들어있다. 바로 그게 END의 증표. 두 개의 싹이 융합하려 하고 있고 나츠의 몸에 나차난 증세가 바로 그것이라고 말한다. 나츠는 그게 자신이 죽는 원인이냐고 묻고 이그닐은 사뭇 냉정한 어투로 "그렇다"고 대답한다.
  • 페어리 테일/522화 . . . . 2회 일치
          * 의외로 제레프는 [[나츠 드래그닐]]의 주변인물에 대해서 소상히 파악하고 있었다. 그레이가 제레프 자신이 만든 악마 데리오라에 의해 양친을 잃고 마침내 스승 [[울(페어리 테일)|울]]조차 잃었다는 것, 그리고 자신에게 원한이 있다는걸 정확히 알았다. 그레이는 그런 것도 아는건 의외라고 말하는데, 제레프는 "적의 정보를 파악하는게 전쟁의 기본"이라 대답한다.
          * 오거스트는 이미지와 달리 백전으로 도전하는 길다트에게도 뒤지지 않는다. 그러나 한순간에 배후를 잡은 길다트가 결정타를 날려 오거스트를 산산조각낸다. 그렇게 승부는 싱겁게 끝나는 것 같았는데.
  • 페어리 테일/526화 . . . . 2회 일치
          * [[제레프 드래그닐]]은 [[라케이드 드래그닐]]이 그저 잘 만든 제레프서의 악마일 뿐인데 자신을 아버지라 여기고 방해한다고 걷어차버린다.
          >너는 제레프서의 악마잖아
  • 페어리 테일/535화 . . . . 2회 일치
          * 그레이와 해피는 거기까지는 짐작할 수 있지만 역시나 어쩔 방법이 없다. 루시는 그래도 이게 "단서"라면서 이 마력을 따라가면 나츠를 구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 해피는 그렇게 하면 나츠 안의 악마를 바꿔 쓰는 것도 가능하긴 하겠지만, 그래서는 루시가 어찌될지 모른다고 걱정한다. 루시가 그래도 자신은 할 거라고 고집을 부리자 그레이는 말 없이 얼음마법으로 불덩이 같은 루시의 몸을 식힌다.
          그럴 가능성은 낮다. 악마의 문자를 다룰 수 있는 인간은 얼마 없으니까. 다루더라도 그 인간은 침식 당해 어둠에 빠진다. 그렇지만 나츠가 저렇게 일어났다는 것은... 제레프는 눈 앞의 사실을 인정하기로 한다. 나츠의 부활은 "그야말로 기적의 부활"이라며 다음은 없고 개변자의 목숨이 사라질 거라고 경고한다.
  • 페어리 테일/541화 . . . . 2회 일치
          * 매그놀리아에는 페어리 테일을 중심으로 생존한 전력들이 속속 집결한다. [[엘자 스칼렛]]에게 지금 상황이 전모를 들은 [[마카로프 드레아]]는 력을 모아놓고 절망적인 사실을 털어놓는다. 마룡 아크놀로기아의 육체가 지상에서 날뛰고 있고, 대항할 수단인 멸룡마도사들은 모두 시간의 틈새로 끌려가 버렸다고. 그들에게 남은 방법은 없다.
          엘자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싸울 수밖에 없다고 강변한다. [[그레이 풀버스터]]가 자신의 멸악마법으로 봉인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쥬비아 록서]]도 아예 얼려버린다면 제아무리 마룡이라도 어쩌지 못할 거라 생각한다. 하지만 엘자는 어떤 마법이든 마법 그 자체가 통하지 않는다고 잘라 말한다. [[미라젠 스트라우스]]는 검 같은 물리적인 공격은 어떻겠냐고 하는데 이 또한 기대하기 어렵다. 웬디가 있어 검에 멸룡마법을 걸 수 있다면 모를까.
  • 페이데이 2 . . . . 2회 일치
          수송차량을 습격하는 Transport 하이스트(의 5개 버전)와 기차에서 프로토타입 군용 기를 훔치는 Transport: Train Heist 하이스트, 돌격소총(Commando 553), 기관단총(Swedish K), 권총(Gruber Kurz)이 들어있는 DLC
          주무기인 화염방사기, 6연장 유탄발사기, 전자동 산탄총과 화염, 고기 찌르개, 뒤집개, 꼬치, 고기 다지는 망치가 들어있는 DLC. 산탄총용 드래곤 브레스 탄과
  • 페이데이 2/적 . . . . 2회 일치
         "보일링 포인트"에서 등장하는 러시아 용들은 스킨만 바꾼 경찰이라 소개하지 않는다.
         민간군사업체 머키워터의 용들. 머키워터가 관련된 하이스트 초반에 등장한다. 군인스러운 복장에 페이스가드가 포인트.
  • 페이데이 2/하이스트/블라드 . . . . 2회 일치
         >너희들이 머키워터 창고 안에 숨어들었다는 이야기는 끝내줬어. 매우 인상깊었지. 다시 거기 가줬으면 하는군. 그 용들이 얻어낸 "뭔가 작은걸" 숨기고 있다는군. 그 작은 것은 내가 원하는 물건이야. 머키 놈들이 발을 빼려 하고있어. 난 그게 사라지기 전에 가져가고 싶어.
         게임을 시작하고 나면 [[짚라인]]을 통해 머키워터 창고를 습격하게 된다. 머키워터 용들을 죽이며 머키워터 로고가 그려진 컨테이너들을 따고 다녀야 한다. 대다수의 컨테이너는 비어있지만 수류탄 케이스나 불도저가 들어있는 경우도 있다.
  • 포스탈 리덕스 . . . . 2회 일치
          >내 콧속의 그슬린 검은 가죽 고리가 죽음의 놀라움으로 흥분하고 있다. 내가 엉덩이 높이까지 오는 살점, 뼈, 내장을 헤치고 걸을수록 인간 잔해들이 장미 가시 처럼 내 옷에 달라붙는다. 나쁜 이웃이 오고있다!
          * [[화염]]
  • 하야시 선생님 . . . . 2회 일치
         [[http://storyis.blogspot.jp/2014/03/2ch_6362.html 설마라고는 생각합니다만, 이 「남동생」이란, 당신의 상상(想像) 속의 존재에 지나지 않는 것이 아닐까요.]] - 하야시 선생님을 대표하는 문구. 너무 임팩트가 커서 다양한 꾸준글이 만들어질 정도이다.
         당신의 은 악화되고 있습니다.
  • 2016년 남양주 폭발사고 . . . . 1회 일치
         폭발과 함께 현장이 붕괴되었으며, 4명이 숨지고 10명이 부상을 입었다. 사고로 52세 서모 씨, 50세 김모 씨, 60세 정모 씨, 62세 윤모 씨 등 4명이 숨졌으며, 60세 안모씨와 51세 심모씨(중국인) 등 10여명이 부상을 입고 원 4곳으로 옮겨졌다.
  • AC-130 . . . . 1회 일치
         [[http://www.thedailybeast.com/articles/2015/10/05/how-a-u-s-gunship-slaughtered-doctors.html|2015년 10월 3일, 아프가니스탄 북부의 국경없는 의사회 원을 공격했다.]] 이로인해 22명의 사람이 사망했다.
  • AEC 장갑차 . . . . 1회 일치
          2파운드 전차포를 장비한 초기형. [[발렌타인 보전차]]의 포탑을 그대로 달았다.
  • FN 에르스탈 . . . . 1회 일치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이 벨기에를 점령하자 FN도 독일 정부에게 징발당한다. 이 때 경영진들이 제작공구를 빼돌리는 등의 저항을 했다고. 제2차 세계대전 말기가 되어 독일 정부의 손아귀에서 벗어날까 싶자마자 독일군의 로켓기로 보복폭격을 맞았다.
  • HMMWV . . . . 1회 일치
         [[http://www.marines.com/operating-forces/equipment/vehicles/hmmwv|미 해대 웹사이트의 HMMWV 페이지]]
  • K리그 챌린지 플레이오프/2015시즌 . . . . 1회 일치
         ||<|2> 득점선수 || 노준(17) || || 배신영(13) ||
  • K리그 챌린지/2014시즌 . . . . 1회 일치
         [[분류:악마성 드라큘라]]
  • MythTemplate . . . . 1회 일치
         ## === 괴물, 악마 ===
  • Oui Oui Marie . . . . 1회 일치
         [[프랑스]]로 파간 미국 군인 "조니"가 프랑스 여성인 "마리"에게 반해 청혼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 StoryTemplate . . . . 1회 일치
         ## === 괴물, 악마 ===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해군 . . . . 1회 일치
         === Naval Logistics(해군 참) ===
  • World Of Guns: Gun Disassembly . . . . 1회 일치
          * [[BMP-3|BMP-3 보전투차]]
  • Y2K 버그 . . . . 1회 일치
         연도를 두글자로 기억하는 컴퓨터들이 2000년이 되면 연도를 1900년으로 인식, 오작동을 일으킬 것이라는 버그. 당시 1990년대만 해도 컴퓨터가 상당히 많은 곳에 퍼져 있었기에 이 버그는 회사나 국가의 전산 시스템, 원의 의료기기 등에 심각한 결과를 가져올것이라고 예상되었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122900099118001&edi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8-12-29&officeId=00009&pageNo=18&printNo=10254&publishType=00010|매일경제 1998년 12월 29일 기사,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 감정없는 존재 . . . . 1회 일치
         생각보다 별로 특별한 것은 아니다(…). [[정신원]]에서 비교적 높은 확률로 흔히 볼 수 있다. 이들은 감정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인생]]에서 뭔가를 해야 한다는 [[의욕]]이 없어서 많은 시간을 [[침대]]에 누워서 지낸다.
  • 개밥 . . . . 1회 일치
         사실 인간이 먹는 음식은 영양 밸런스나 염분 측면에서 개의 몸에 그리 좋지 않아, 장기적으로는 질을 일으킬 수 있다.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49화 . . . . 1회 일치
          * 다툴 새도 없이 바쁘게 청소와 요리를 행하다 보니 완전히 녹초가 된다.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54화 . . . . 1회 일치
          * 그러자 이번엔 "복권 사는 걸로 몽땅 써버려야겠다"고 하자 우마루가 "그 돈이면 콜라를 몇 산다고 생각하냐"고 뜯어말린다.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56화 . . . . 1회 일치
          * 그러자 실핀도 이해를 했는지 "이 비 때문에?"라며 꿍짝을 맞춘다. 우마루는 이 비가 좀비가 되는 화학기라는 설정을 붙여본다.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75화 . . . . 1회 일치
          *우마루와 히카리는 경쟁과 협력을 행하며 게임계를 평정한 2인조 플레이어로 거듭났다. 하지만 현실적으론 게임폐인이 두 명으로 늘어났을 뿐, 보호자인 타이헤이의 시름은 깊어져만 간다.
  • 건즈 고어 앤 카놀리 . . . . 1회 일치
          * [[화염]]
  • 검은방 시리즈 . . . . 1회 일치
          류태현의 애인. 백화점 붕괴 사고 당시의 일로 인해 검은방 1편에서 감금당한다. 검은방 1편 이후 실어증에 빠져 원 신세를 지게된다.
  • 경마 . . . . 1회 일치
         한국의 경마는 1898년 서구식 경마가 처음으로 열렸다. 나귀경주, 기경주가 열리다가 1922년 본격적인 경마가 시작되었다.
  • 경주시 . . . . 1회 일치
         동국대학교 경주
  • 고스트 패트롤 . . . . 1회 일치
         프레드(Fred), 페드로(Pedro), 슬림(Slim)으로 구성된 3인조 팀. 한때 용이었으며 [[프랑스 외인부대]] 소속이었다.
  • 곤조야키 . . . . 1회 일치
         주로 불량배들이 자신의 근성(인내력)을 과시하기 위하여 벌인 행위이다. 주로 선배가 후배의 손목이나 손등에 담배불을 꺼서 후배의 근성과 충성을 얻는 행위였다. 동료의식을 높이고, 집단에 귀속의식을 높이는 목적으로 행해진다. 곤죠야키를 하면 화상 흉터가 눈에 뛰게 남게 되는데, 불량배들 사이에서는 이러한 흉터는 하나의 훈장처럼 다루어지고 있었다.
  • 광해군 . . . . 1회 일치
         [[임진왜란]] 이전부터 대신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고 있었으며, 왜란 때에는 선조가 의주로 도망갔을 때 분조를 이끌고 평안도로 가서 사들을 독려해서 당시 명군이나 대신들로부터 칭송받았다. 명이 몇 번 선조보고 "야 이제 슬슬 양위하지?"라는 말까지 했을 정도로(...). 이에 선조는 자신의 왕권을 회복하기 위해 몇번 양위소동까지 일으켰을 정도.
  • 그랜드 테프트 오토: 산 안드레아스/무기 . . . . 1회 일치
          * [[화염]]
  • 근육경련 . . . . 1회 일치
         [[분류:질]]
  • 기동경찰 패트레이버 . . . . 1회 일치
         특징은 일상 속의 [[거대로봇]]이란 점. 커봐야 10m 정도이지만 거대한 로봇이 거리에서 어렵지않게 볼 수 있는 건설기계처럼 묘사되고, 그러한 것에 어색함이 없는 높은 완성도를 지니고 있다.
  • 기동전사 건담 . . . . 1회 일치
         전반적으로 아폴로 계획으로 태동된 우주개발 붐 문화('아폴로 문화')가 바탕에 깔려 있는 작품[* 아폴로 붐 당시 우주개발에 대한 열기는 경제적인 문제로 본격적인 우주개발이 '과거'의 일이 되어버린 현대와는 크나큰 차이가 있었다.]이다. 또한 당시 인기를 끌었던 SF 영화 '[[스타워즈 시리즈]]'의 영향이 강하다. 소년들이 다수인 집단이 지구와 우주 각지를 떠도는 부분은 '15소년 표류기' 등의 작품에서 영향을 받았다는 분석도 있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02화 . . . . 1회 일치
          * 아이자와는 학생들을 격려하며 "임시 면허를 따면 너희들은 달걀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아라, 세미 프로로 부화할 수 있게 된다."고 말한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08화 . . . . 1회 일치
          * 미네타가 머리카락을 뿌려서 적들을 묶고 오지로가 백전으로 마무리.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15화 . . . . 1회 일치
          * 그는 자신이 처리한 빌런들을 ""이라고 비하하며 고쳐야 하는 대상이라고 말한다. 새의 부리같이 생긴 묘한 가면을 쓰고 있다. 신호등 위에는 네 번재 동료도 있는데, 역시 비슷한 가면을 쓰고 있다. 녀석은 리더를 "오버홀"이라 부르며 돈은 받았으니 히어로가 오기 전에 튀자고 한다. 부하의 말에 대답도 없이 타오르는 잔해를 바라보며 "환자들 뿐"이라 중얼거리는데.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16화 . . . . 1회 일치
          * 대화가 한창이지만 형무소 측에선 3분 남았다고 통보한다. 올 포 원은 정말로 즐거운 듯 조금만 더 하게 해달라고 한다. 그러면서 올마이트의 은퇴로 세상이 동요하고 있을 거라며 세상의 동향을 묻는다. 그는 세상과 교류가 단절돼 있고 이 순간 조차 올마이트에게 바깥 일에 대해선 함구하라고 경고한다. 그럼에도 올 포 원은 바깥의 사정을 매우 정확하게 추정하고 있다. 올마이트의 은퇴가 야기한 혼란들. [[엔데버]]를 중심으로 새로운 질서를 세우려 하지만 세상은 불안해지기만 하고 억지력이 사라진 그늘 속의 인생들이 할거한다. 시가라키는 잠시 동안 잠복할 것이며 대두하는 세력들을 파악하고 세력을 키우기 위해 기회를 엿본다. 빌런들 간의 경쟁, 대립도 심화.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34화 . . . . 1회 일치
          패트껌은 약물 쪽이 마음에 걸린다. 개성을 강화하거나 폭주시키는 거라면 그도 아는 물건이지만, 개성을 쓰지 못하게 하는 약은 금시초문이다. 그는 좋지 않은 예감을 느끼며 타마키를 원으로 데려가 정밀검사 받게 한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35화 . . . . 1회 일치
          그는 스크린을 띄워 설명을 계속한다. 스크린에는 [[빌런 연합]]의 일원인 [[트와이스(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트와이스]], 본명 "부바이가 와라진"의 모습이 나타난다. 스크린 속의 그는 [[오버홀]]과 접촉하고 있다. 이들의 접촉 장면을 센티피더가 목격했으며 경계가 심해 추가적인 미행은 불가능했지만 이후 경찰의 협조로 두 조직 간의 다툼이 발생한 것을 확인했다. 그랜토리노에게 연락이 간 것도 빌런 연합이 목격됐기 때문이다. 그외에도 [[츠카우치 나오마사]]에게도 연락이 갔다. 원래는 그도 이 자리에 있어야 하지만 또다른 목격 정보를 입수해 그쪽으로 갔다. 그랜토리노는 자신이 나이트아이 사무소를 소개해준 덕에 미도리야가 엮이게 됐다고 여겨서 그에게 사과한다. 하지만 미도리야는 그렇지 않다고 사양한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39화 . . . . 1회 일치
          * 나이트아이의 예지로 숨겨진 지하시설로 가는 문까지 도달한 일행, 하지만 그곳에도 [[오버홀]]이 배치한 력과 장애물이 깔려있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42화 . . . . 1회 일치
          * 1층에선 [[버블걸]]과 [[센티피더]]가 경찰과 협조해 시에핫사이카이 조직원을 거의 체포했다. 버블걸은 설마 전원이 방해하러 올 줄은 몰랐다며 제정신이 아니라고 비난한다. 이래서는 잡히러 온 것 밖에 안 되니까. 조직원들은 "제정신이라 잡히러 왔다"고 반박한다. 얌전히 있으면 오버홀에게 반드시 죽었을 거라며. 그들은 오버홀, 아니 치사키가 권력을 잡으면서 모든게 변했다고 털어놨다. 원래 지금의 두목은 야쿠자 생활에 염증을 느끼고 있었다. 시에핫사이카이도 빌런집단과 선을 긋고 어디까지나 "협객"으로서 양지로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부분의 조직원들은 그런 두목의 뜻을 따랐다. 반기를 든 것은 두목의 아들이었던 치사키. 그가 오버홀이란 이름을 걸고 조직을 장악했다. 그러고 나서는 빌런 같은 이름을 대고 행동을 했으며 빌런과 힘을 합쳤다. 개성 관련 금지 약품을 유통한 것도 치사키. 반항은 할 수 없었다. 조직원들은 현두목이 와생활을 하게 된 것도 분명 오버홀의 짓이라고 수군댔다. 버블걸은 그렇게 치사키를 싫어하면서도 그가 잡힐 거라고, 실패할 거라 생각하진 않는 거냐고 반문한다. 조직원은 그렇다고 답했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47화 . . . . 1회 일치
          * [[오버홀]]은 계획의 전모를 공유하는 조건으로 [[시라가키 토무라]]에게 빌런 연합의 력을 일부 빌려쓴 것이었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55화 . . . . 1회 일치
          * 밀리오는 만신창이 몸으로 에리를 데리고 피신 중. 하지만 신체적으로 한계이고 방금 전 나이트아이가 당하는 모습까지 본 뒤라서 무너지고 만다. 움직일 힘도 낼 수 없는 밀리오는 에리에게 근처에 숨어서 후속력이 도착하길 기다리라고 하지만 에리의 표정은 어둡다. 밀리오는 그런 상황에서도 어떻게든 에리를 안심시키려 하지만 쉽지 않다. 그때 오버홀의 목소리가 복도 저편에서 들려온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59화 . . . . 1회 일치
          * 시에핫사이카이의 조직원 11명은 구속, 전원 중상이라 타코다나의 빌런원으로 이송 중이다. 호송 차량은 이들과 이들이 가지고 있던 소지품들, 문제의 탄환들과 아직 보고에 없는 캡슐을 전부 싣고 고속도로에 진입했다. 이렇게 작전은 끝나는 듯 했지만, 한 가지 사건이 남아있었다. [[빌런 연합]]과 [[시가라키 토무라]]. 그가 호송차량을 급습한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79화 . . . . 1회 일치
          * 토코야미의 중2 돋는 대사가 작렬한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98화 . . . . 1회 일치
          * 토코야미는 필사적으로 버티다 매우 [[중2]]스러운 방을 공개당하고 좌절한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99화 . . . . 1회 일치
          * 츠유는 자신은 생각하는건 바로 말하는 타입이라며, 원에서 했던 말을 기억하냐고 묻는다.
  • 남명학파 . . . . 1회 일치
         이에 따라 이들이 남긴 저서는 거의 남아있지 않지만, 그나마 이들의 시초인 조식의 사상을 그의 애제자인 정인홍이 정리한 남명집에서 나온 바에 따르면, 그들은 마음을 기본적으로 하나의 지켜야될 '성'으로 보았고, 이것을 공성하려하는 잡념이나 악심들을 막는걸 중요하게 여겼다. 이러한 학문적 특징때문에, 이들은 군사학 역시 해박하게 공부했다고 하며, 임진왜란 시기 이들은 의장으로써 크게 활약했다.
  • 남치근 . . . . 1회 일치
         포도대장으로서 남치근은 한 차례 임꺽정에게 크게 얻어맞았는데, 명종 15년 좌포도대장으로 있던 남치근은, 서울에 기습공격해온 임꺽정 패거리의 공격을 미리 파악하지 못하고 서울 내에서 시가전을 벌였으며, 포도부장이 활을 맞고 사망하는 참패를 겪었다. 임꺽정은 유유히 달아났으며, 남치근은 임꺽정의 처 3명을 체포하였으며 임꺽정 일당을 계속 추적하려 했으나 [[사간원]]의 탄핵을 받는다. 이에 명종은 남치근을 파면하지는 않고 체직(벼슬을 깍는 것)하는 처분을 내렸다.(우포도대장 이몽린은 이 때 와으로 움직이지 못하는 상태였다.)[* 참조 : 조선의 포도대장]
  • 노해 . . . . 1회 일치
          * [[프로레슬링]] 같은 경우는 종목 특성상 유명 선수가 오래 뛸 수 있으며, 집객능력 면에서 베테랑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다. 또한 몇몇 유명 선수가 '챔피언'(…)에 걸려서 장기집권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결과 신인데뷔가 줄어들고 단체나 종목 전체 에서 고령화 현상이 일어나서 심각한 문제를 겪기도 한다.
  • 뇌내 꽃밭 . . . . 1회 일치
         --[[뇌]]에 [[식물]]이 [[기생]]하여 [[꽃]]이 자라나는 무서운 질.--
  • 니세코이/217화 . . . . 1회 일치
          * 이치죠 어머니가 "거짓말"을 했다는걸 보면 약속의 소녀는 치토게가 아닐 확률이 높다.
  • 니세코이/227화 . . . . 1회 일치
          * 그리고 이곳에 와서 자신이 약속의 아이가 아님을 깨달았기 때문에 포기할 마음이 들었다고 고백한다.
  • 니트로글리세린 . . . . 1회 일치
         [[화약]]의 일종. 상온에서 액체인 화약으로 폭발력이 대단하지만 지나치게 민감해서 다루기 어렵다. 폭약으로는 흔히 [[규조토]]와 혼합하여 [[다이너마이트]]로 만들어서 쓴다. 소량은 약용 효과가 있어서 [[심장]] 약으로도 쓰인다.
  • 다운증후군 . . . . 1회 일치
         [[머리]], [[귀]], [[손가락]]이 작고, 얼굴이 편평해진다. 눈초리가 치켜 올라간다. [[심장]], [[지적장애]], 내장 이상 등을 수반한다.
  • 단신부임 . . . . 1회 일치
         가족이 있는 노동자(주로 유부남)가 기업의 전근 명령을 받고, 본인 혼자만 임지에 부임하는 취업, 생활 형태이다. 가족이 모두 이동하지 않는 이유로는 아이의 생활(주로 교육)과 주택 보유 등 경제적 문제, 가족의 질, 출산 같은 이유가 있다.
  • 대군 . . . . 1회 일치
         근대에는 국가 총력전 체계가 갖추어지면서 양차대전을 거쳐서 몇백만~몇천만 규모의 인구가 전투에 투입될 지경에 도달하였다. 역사상 최대의 대군이 투입된 전쟁은 제2차 세계대전이다. 현대전에서는 첨단 기가 발전하고 총력전이 없어져 제한전에 국한되면서 군 인원 자체의 규모는 줄어드는 상황이다.
  • 대라신선 . . . . 1회 일치
         대라신선은 보통 의술과 관련하여 언급된다. 그가 언급되는 장면에서는 보통 중, 중상을 입었을 때 언급된다. 누군가가 중상을 입거나 중독되었을 때, 등장인물의 대사나 전지적 지문으로 "대라신선이 와도 살릴 수 없을 것이다."라고 언급되는 것이다. 물론 초월적인 의술을 지닌 몇몇 작중 인물들은 이런 언급이 나왔는데도 불구하고 살려내서 대라신선을 무색하게 만들기도 한다.
  • 동군연합 . . . . 1회 일치
         당시 보헤미아지방을 차지하던 룩셈부르크가가 단절되면서 생긴 연합. 다만, 보헤미아는 선거왕정이었기에 중간중간 오스트리아가 왕위를 놓치는 경우가 상당히 많았다.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이 생기면서 합되었으며, 이후 제 1차 세계대전에서 제국이 패배하면서 상실된다.
  • 동북중고등학교 . . . . 1회 일치
         [[홍위]] 혹은 [[빨갱이]]라는 애칭으로 불린다.개량 한복을 연상시키는 와인색 와이셔츠와 감색 조끼의 투톤으로 구성되있다.
  • 듀폰 . . . . 1회 일치
         2015년 12월,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51211_0010473179&cID=10101&pID=10100|미국의 화학회사인 다우케미칼과 합했다.]]
  • 라몬 베렝게르 3세 . . . . 1회 일치
         이후 그는 1112년에 프로방스의 마지막 상속녀인 두세와 혼인해 프로방스 백작위를 획득하고, 우르겔과 페랄라다를 제외한 모든 카탈루냐 국가들을 합한다. 이후 우르겔 백국과 동맹을 한 그는 바르바스트로와 발라구에르를 정복해내는데 성공한다.
  • 랄프 알거 배그놀드 . . . . 1회 일치
         1915년 가족 전통에 따라 영국 육군 왕립 공대에 들어갔다. 당시에는 [[제1차 세계 대전]]이 벌어지고 있었기에 전쟁이 끝날 때 까지 [[프랑스]]와 [[벨기에]]에서 복무하였다. 전쟁이 끝난 후에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공학을 공부하였다.
  • 러브라이브! . . . . 1회 일치
          "타락천사 요하네"라고 자칭하는 중2.
  • 레스터 길리스 . . . . 1회 일치
         [[http://news.donga.com/3/all/20081127/8663385/1|동아일보 - 책갈피 속의 오늘 - 1934년 美은행강도 넬슨 총격 사망(한글)]]
  • 레킹 크루 . . . . 1회 일치
          목과 어깨를 보호하는 특수 헬멧을 착용. 그래서 불도저처럼 돌진한다. 백전 기술도 익혔다.
  • 레프카 . . . . 1회 일치
         인더스트리아의 부흥을 위해서 태양 에너지의 권위자인 라오 박사를 찾지만 이것은 표면적인 이유이며 사실은 세계정복을 꿈꾸는 야심가. 삼각탑 지하에 잠든 초자력 기를 탑재한 거대한 우주 비행기 [[기간트]]를 부활시키려 하며, 이에 필요한 태양 에너지를 얻기 위해 라오 박사를 추적하는 것이다.
  • 로리타 패션 . . . . 1회 일치
         아마(甘)는 달콤하다는 의미. 백색이나 핑크색을 기본으로 하여, 프릴이나 리본 같은 장식을 많이 사용한다. 동화책 속의 공주님을 이미지 한 듯한 의상이다.
  • 로미오 메일 . . . . 1회 일치
         또한 시나 연애 노래를 연상케 하는 듯한 표현을 많이 사용하면 웃음 평가는 더욱 높아지며, 그게 어디서 따온 표절이라면 더욱 세다. 중2이면 최고.
  • 마기/298화 . . . . 1회 일치
          * 무 알렉키우스의 밑에서 "파나리스 단"에 속해 있는데, 알리바바는 겉보기엔 전혀 변한게 없다고 생각했지만 3년 동안 애를 넷이나 만들었고 아내는 둘이나 있다고 한다
  • 마기/308화 . . . . 1회 일치
          * 유난은 방어마법과 보조마법을 행하며 아르바를 억누르려 하나 먹히지 않는다.
  • 마기/310화 . . . . 1회 일치
          * 연백룡은 여전히 검술로는 아르바에 미치지 못하나 마법과 행하면 아르바도 무시할 수 없는 실력이 된다.
  • 마기/324화 . . . . 1회 일치
          * 얌전히 그의 인형이 되는 아르바. 우고는 자신의 수족들을 조종해 의자와 사 같은걸 만들어서 그녀를 여왕처럼 앉혀 놓는다.
  • 마기/330화 . . . . 1회 일치
          * 기분 나쁘도록 한결같은 환호 속에서 알리바바와 알라딘만 고립돼있다. 정신자 사이에 유일한 정상인처럼 돼버린 알리바바와 알라딘. 알리바바는 이 [[성궁]]의 힘에 치를 떨며 정말 신드바드에 영향을 받지 않은건 자기들 뿐이냐고 한탄한다.
  • 마기/333화 . . . . 1회 일치
          * 림픽 끝에 알라딘이 마고이 전송을 담당할 다섯 번째 동료를 영입하자고 제안한다. 그런데 신드바드의 영향을 받지 않은 인물이여야 해서 인선이 어려운 문제. 그때 백룡과 쥬다르가 동시에 "짚이는 사람이 있다"고 말한다. 알리바바가 잠시 자리를 지키고 쥬다르는 혼자, 백룡은 알라딘의 전송마법진으로 각자 동료 후보를 데려오기로 한다.
  • 마기/340화 . . . . 1회 일치
          * 앞장서 던전에 들어온 알리바바는 이번에도 기이한 던전 속의 풍경을 목격한다. 이곳은 결혼식장 같은 분위기의 던전. 재단 앞에 한 쌍의 남녀가 기다리고 있다. 바로 17세의 신드바드와 그의 반려였던 [[세렌디네 파르테비아]]다.
  • 마기/342화 . . . . 1회 일치
          >대제국을 지키고자 거하는 어머니까지
  • 마누엘 고도이 . . . . 1회 일치
         [[스페인]]의 정치가, 재상. 하급 귀족 출신으로 근위이 되었다가, [[카를로스 4세]]의 [[왕비]] [[마리아 루이사 테레사 드 파르마|마리아 루이사]]의 총애를 받아 왕비의 애인이 되고 그 뒷빽으로 재상의 지위에 올랐다. 하지만 무능하고 실정을 거듭하여 평가는 매우 나쁘다.
  • 마주 . . . . 1회 일치
          * [[경마]] 업계에서는 '경주마'의 소유주를 뜻한다. 경마에서 말이 우승하면 수익을 배당 받는다. [[유럽]]에서는 고대로부터 경마의 마주는 [[왕]]이나 [[귀족]]이 맡았는데, 이는 경마가 단순히 [[도박]]이 아니라 소유한 말의 능력을 비교해보고 우수한 말을 육성하여 군사력[* 근대까지 군대에서는 말을 타는 [[기]]은 주요한 전력이었기 때문이다.]에도 기여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사회고위층이 마주가 되었고, 마주는 명예로운 일로 여겨졌다.
  • 매카시즘은 이제 매카시워즘이다 . . . . 1회 일치
         [[공화당]]의 조지프 매카시 상원의원이 미국 사회 각계 각층의 수많은 인사들을 공산주의의 주구로 모함하고 다니며 개판을 치다 급기야는 미국 군부까지 공산주의 세력으로 모는 크를 터뜨렸고, 전쟁영웅인 아이젠하워 대통령에게까지 불똥이 튈 것을 염려한 [[공화당]] 주류 인사들이 이제까지와는 달리 매카시 의원을 버리고 탄핵소추를 추진하는 등 매카시를 정치적으로 거세[* 탄핵소추안 자체는 통과되지 않았으나, 명예를 존중하는 상원에서는 탄핵소추에 올랐다는 사실 자체로 의원으로서 자격이 없다고 인증 당한 것과 같다.]해 버렸다. 위의 발언은 이러한 '매카시즘의 종식'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발언.
  • 메시아 컴플렉스 . . . . 1회 일치
         실제 정신리적 사례로는 '[[대리 뮌하우젠 증후군]]' 등이 있다.
  • 미래소년 코난 . . . . 1회 일치
          * <[[미래소년 코난II 타이가 어드벤처]](未来少年コナンII タイガアドベンチャー)>라는 것이 있다. 감독은 미래소년 코난의 연출, 콘티에 참여했던 하야카와 케이지. 1999년에 방영했으며 화수는 24화. 내용은 초자력기 등의 일부 단어는 공통되나 그외에는 미래소년 코난과 아무런 관계 없다.
  • 미래소년 코난/설정 . . . . 1회 일치
          * 초자력기 (超磁力兵器)
  • 미스터 피어 . . . . 1회 일치
         본명 래리 크래스턴. 무려 데어데블의 법학과 동기지만 적이 되었다. 1대, 2대와 달리 마음을 조종하는 마약을 만들어 악당들에게 퍼뜨렸고, 심지어는 데어데블의 아내에게도 마약을 제공헤 정신자로 만들었다.
  • 미이라(2017년 영화) . . . . 1회 일치
          * 제이크 존슨 - 베일
  • 바이오하자드 시리즈 . . . . 1회 일치
         게임 내용은 부도덕한 거대 기업 [[엄브렐러]]가 몰래 개발하던, '생물체를 가공할 전투력을 지닌 괴물로 변이시키는' 바이러스 기가 유출되어 사람은 물론 벌레까지 감염되어, 게임 배경이 [[좀비]]와 별 희한한 괴물들로 득실대는 막장이 된 와중에 용감하고 정의감 넘치는 주인공들(경찰 관계자인 경우가 많다.)이 각종 화기를 능숙하게 휘둘러 온갖 몬스터를 처치한 후 탈출하는 것이다.
  • 바키도/111화 . . . . 1회 일치
          * 하지만 현대의 전사, 현대의 사를 얕보지 말라며 공격 태세를 취하는데
  • 바키도/114화 . . . . 1회 일치
          * 그러나 무사시 또한 요시오카 일문과 대결에서 보여주었듯 악마적인 전투력을 자랑한다.
  • 바키도/127화 . . . . 1회 일치
          * 술에 맞은 얼굴이 크게 찢어져 있다.
  • 바키도/135화 . . . . 1회 일치
          * 어떤 무기보다, 어떤 력보다 자신이 우위라는걸 그는 뒷모습만으로 입증하고 있었다. 마치 전쟁 그 자체 같은 모습. 일국의 대통령을 팬티 바람으로 맞은 유지로는 전혀 담배를 문 채로 말한다.
  • 바키도/136화 . . . . 1회 일치
          * 모토베의 실에서 그 장면을 보고 있는 [[한마 바키]]는 당혹한 표정을 숨기지 못한다. 모토베와 [[시노기 쿠레하]] 박사는 조용히 시청한다.
  • 바키도/138화 . . . . 1회 일치
          * 전국을 떠들썩하게 한 "에어참격" 방송이 나간지 얼마 뒤. 경시청엔 당시의 아나운서가 참고인으로 불려와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그 당시 그는 "베어졌다고 느꼈다"고 증언했고 실제로 그 뒤에 실신해서 원에서 눈을 뜬다. 그는 "베인 뒤의 뒷일"은 어떻게 됐냐 질문에 조금 생각하다가 이렇게 대답한다.
  • 바키도/139화 . . . . 1회 일치
          * 바깥에 있던 경찰력들은 현장파. 무사시의 기백에도 겁먹지 않고 체포하려 한다.
  • 발달장애 . . . . 1회 일치
         [[분류:질]]
  • 변신합체로봇 . . . . 1회 일치
         일부 부품을 분실하면 로봇이 [[신]]이 되버린다(…).
  • 변질자 . . . . 1회 일치
         퇴폐, 변질을 뜻하는 [[프랑스어]] dégénéré에서 나온 말이다. 과거에 [[동성애자]]들이 정상이 아닌, '이상'으로 간주되었던 것에 기원을 가진다. 성적인 퇴폐, 정신장애를 사회적 리와 동일시한 [[우생학]]과 연관이 되어 있는 말이다.
  • 보루토/4화 . . . . 1회 일치
          * 백전은 보루토와 막상막하지만 풍선껌을 사용한 인술을 쓰면서 우세해진다.
  • 보통국가 . . . . 1회 일치
         즉, 제1차 세계대전 이후에 세계의 '[[전쟁]]에 대한 [[상식]]'이 완전히 바뀌었다는걸 무시하고, 1차대전 이전 기준으로 마음대로 다른 나라에 '침략'(그네들 말로는 '출')할 수 있는 권리를 달라고 하는 것이 일본 우익들의 주장인 것이다. 양차대전을 거치면서 '''세상이 바뀌었다'''는걸 의도적으로 국민들에게 감추고, 1차대전 이전의 질서가 올바르다고 주장하고 있는 어이없는 모습이다.
  • 부모교실 . . . . 1회 일치
         아버지 학교나 어머니 학교, 혹은 [[일본]]에서는 양친학급(両親学級), 모친학급(母親学級), 부친학급(父親学級)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곧 부모가 될 사람에게 부모로서 자각을 심어주고, 출산, 육아에 필요한 지식을 알려주는 교실이다. [[원]]이나 [[보건소]]에서 주최된다.
  • 분류:유전질환 . . . . 1회 일치
         [[분류:질]]
  • 분류:정신질환 . . . . 1회 일치
         [[분류:질]]
  • 브레이니악 . . . . 1회 일치
         [[애니메이션]] [[슈퍼맨 TAS]]와 [[저스티스 리그 언리미티드]]에서도 등장했는데 슈퍼맨 애니메이션에서는 클립톤 행성의 멸망을 알리지 않고 그들이 멸망하게 방치했다는 설정이 생겼으며 이후 렉스 루터를 부려서 자기 몸을 만들게 했다. 이후 JLU에서 재등장했는데 이때 브레이니악은 정말 치밀하기 짝이 없는 계략을 구사했다는 것이 밝혀졌다. 과거 슈퍼맨 애니메이션에서 브레이니악은 몸이 만들어지자 렉스를 공격했는데 이때 이 공격은 렉스를 죽이지 못했다. 애초에 그에게 죽일 생각이 없었기 때문. 이때의 공격은 브레이니악의 일부를 렉스에게 옮기기 위한 것이었으며 이후 이 일부는 렉스의 안에 잠복하게 된다. 그러면서 렉스라 크립토나이트 오용으로 얻은 암을 치유하고 괴력을 줬는데 렉스가 아마조를 기반으로 한 나노머신 로봇 몸에 의식을 옮기는 때를 기다렸다가 그게 좌절되자 모습을 드러냈다. 이어서 저스티스 리그의 눈을 피하는 동안 렉스에게 설득되어 이전에 지구를 침공한 외계의 기를 흡수하고 렉스 루터와 융합되었다. 그러나 플래시의 활약에 의해 패배.
  • 브로포스 . . . . 1회 일치
          * 척탄 무크
  • 블라디미르 렘 . . . . 1회 일치
         맥스가 저택 옥상까지 쫓아오자 블라디미르는 옥상 구조물에 올라가 맥스에게 다이너마이트를 던지기 시작한다. 하지만 맥스는 구조물의 지지대를 무너뜨린다. 블라드는 그에게 화염을 던지고 돌격소총을 쏴갈기지만 맥스의 총에 맞아 쓰러진다.
  • 블랙 클로버/106화 . . . . 1회 일치
          * 이렇게 축제의 분위기가 최고조에 오르자 은막 속의 인물이 서서히 모습을 드러낸다. 그는 바로 클로버 왕국의 국왕. 그는 마법기사단의 성과발표를 여흥 정도로 치부하며 대중의 환성을 기대하고 있다.
  • 블랙 클로버/116화 . . . . 1회 일치
          * 솔 마론도 생각없이 뛰쳐나가기는 똑같았다. 그녀가 흙 창조마법 "날뛰는 대지모신"으로 거대한 고렘을 만들어내자 적은 진흙 구속마법 "프레쉬 보그"로 늪을 생성해 발을 묶었다. 귀찮게도 마론에겐 상성상 밀리는 마법이다. 그녀가 애를 먹자 어김없이 키르슈가 달려왔다. 괴악한 포즈와 함께. 그는 하나같이 단세포적인 인간들 뿐이라 매도한 뒤 명령을 내릴 정도의 골렘을 만들 수 있다면 쓸데없이 크게 만들 필요가 없다고 지적한다. 딱히 양동을 거는 상황도 아니니 차라리 작은 골렘 다섯을 만들어 분산시키면 적을 혼란하게 할 수 있다. 지면에 숨겨 복으로 삼는 것도 고려할 법하다.
  • 블랙 클로버/118화 . . . . 1회 일치
          * 발터는 그가 처음 그리모어를 얻었을 시절에도 그의 집사였다. 정확히는 그의 집안의 집사였다. 부아모르티에 가문의 저택은 릴이 일으키는 마법사고로 성할 날이 없었다. 그가 캔버스에 그림을 그릴 때마다 뭔가가 망가졌다. 자기 방이 박살나는 것도 예사였다. 언제 인명사고가 나더라도 그건 예정된 수순으로 보였다. 릴은 본래 조금 이상한 아이라는 평가였지만 그리모어를 얻으면서 평가가 곤두박질쳤다. 방에 틀어박힌 채 날뛰는 아이, 집안의 고용인들조차 그렇게 수군거렸다. 그의 아버지 도 릴을 억누를 엄두를 내지 못했고 어머니는 "어쩌다 저런 아이가 되었을까"라고 한탄하며 정신이 들고 있었다.
  • 블랙 클로버/119화 . . . . 1회 일치
          * 이제 6회전 시합이 시작됐다. 예상대로 초반부터 난타전이었다. 양팀 모두 필드 중앙에 진출해 한순간도 방심할 수 없는 육박전에 돌입했다. 클라우스 류넷은 크리스탈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저돌적인 싸움에 나섰다. 적 마법기사가 공격을 가하자 자신의 강철 마법으로 방벽을 세워 막았다. 하지만 부정형의 액체를 다루는 적의 마법은 방벽을 돌아서 크리스탈을 덮쳤다. 이때 잽싸게 움직인 것이 락 볼티어. 크리스탈을 옆구리에 끼고 적을 뛰어넘었다. 아스타는 그의 마법 형태가 바뀐 걸 눈치챘다. [[매그너 스윙]]의 설명에 따르면 그리모어에 추가 페이지를 채워넣어서 모습을 강화한 거라고 한다. 그 위력은 보는 그대로였다. 락은 크리스탈을 가진 채로 필드 중앙을 안마당처럼 누볐다. 거의 활공에 가까운 점프를 거듭하며 건물 뒤에 숨은 적 크리스탈을 정확하게 포착했다. 그의 장기인 벼락 마법 "진뢰의 붕옥". 백전 타입에 어울리지 않게 높은 위력과 탄속을 자랑하는 원거리 공격이었다. 그야말로 근, 원거리를 가리지 않는 공격력. 필드 바깥의 선수들이 "하급 기사의 실력이 아니다"고 하나같이 감탄하는 가운데 매그너는 자신도 락도 [[야미 스케히로]]에게 몇 달에 걸쳐 지겹게 부려먹힘 당했으니 당연한 일이라고 자신한다.
  • 블랙 클로버/56화 . . . . 1회 일치
         * 산드라 수녀는 다행히 회복했다. 고슈 아들레이는 문을 와서 서로 "죽다만 할망구"니 "전과자시스콤"이니 디스를 주고 받는다.
  • 블랙 클로버/69화 . . . . 1회 일치
          * 먼 옛날 마력을 독점하려는 악마의 백성들이 있었고 이들 중 가장 강한 자가 금단의 마법으로 마신이 되어 인간을 멸망시키려했다.
  • 블랙 클로버/71화 . . . . 1회 일치
          * 그리고 지금까지 무시했던 아스타가 자신과 같은 짐승, 혹은 그 이상의 "절망 조차 삼키는 악마"로 보이기 시작한다.
  • 블랙 클로버/73화 . . . . 1회 일치
          * 노엘 실버는 카호노와 키아토를 문하러 왔다.
  • 블랙 클로버/76화 . . . . 1회 일치
          * 라고스는 또다른 사를 괴롭히며 즐기고 있다.
  • 블랙 클로버/84화 . . . . 1회 일치
          * 증오의 파나는 리히트를 위해서 마석을 빼앗아간 녀석을 쫓아왔다고 중얼거린다. 세뇌되거나 신분을 숨기고 있는 듯 하진 않고 다이아몬드 측 력들도 그녀의 정체를 알고 있다. 오히려 그 녀석들의 숲의 중심부에 있으나 싹 태워서 모습을 보여달라고 부추긴다.
  • 블랙 클로버/93화 . . . . 1회 일치
         [[블랙 클로버]] 페이지 93. '''약속의 세계'''
  • 블랙 클로버/98화 . . . . 1회 일치
          * 아스타는 라드로스에게 다가간다. [[노엘 실버]]는 방금 전 보여줬던 강함, 전투방식이 도저히 평소 아스타의 것이 아닌 것 같다고 여긴다. 현재의 모습도 마치 악마와 같은게, 폭주해서 평소와 다른 행동을 할지도 모른다고 우려한다. 라드로스는 다가오는 아스타에게 각오는 됐다며 죽이라고 말한다.
  • 사람을 죽여 보고 싶었다 . . . . 1회 일치
         [[일본]]에서 몇몇 살인범들이 하는 발언. [[중2]]이 심각하게 악화된 대사이기도 하다.
  • 사키모리 . . . . 1회 일치
         고대 일본에서 관동 지방(지금의 도쿄 인근)에서 징되고 큐슈로 파견되어 수비와 축성 등을 담당하던 군역(軍役)의 일종이다. 당시 농민들에게는 부담이 큰 일이었다.
  • 산킨고타이 . . . . 1회 일치
         이는 중세 봉건제도의 관습에 근거하여, 하급자인 사무라이가 상급자인 대귀족[* 후대에는 실권을 사무라이가 쥐게 되었지만, 당초 사무라이는 대귀족을 따르는 호위무사라는 개념에서 출발했다.]이나, 사무라이를 통솔하는 막부의 쇼군에게 '참배'하여 그들을 호위함으로서 '역'을 봉공으로 바치고, 그 댓가로서 영지를 보유할 권리(은상)을 얻는다는 개념을 바탕에 두고 있다.
  • 삼감의 난 . . . . 1회 일치
         [[상나라]]의 왕족으로 [[주왕]]의 아들인 무경(武庚)은 [[주나라]]에 항복하여 옛 상나라 영토에 봉해지고, 이를 [[주문왕]]의 아들들([[주무왕]]의 동생들)이 감시하게 되었다. 감시를 맡은 주나라 왕자들을 삼감(三監)이라고 한다. 무경은 덕(德)이 있어 옛 상나라 영토를 부흥시켰고, 본래 감시를 맡은 주나라 왕자들은 오히려 무경에게 충성을 바치게 되었다. 반면 주나라는 주무왕이 젊은 나이에 사하고, 어린 [[주성왕]]이 즉위하며 [[주공단]]이 섭정을 맡아 보좌하는 상태가 되었다.
  • 삼류무공 . . . . 1회 일치
          * 육합권(六合拳) : 현실의 '심의육합권'은 훌륭한 권법이지만, 왜일까 무협지에서는 삼류무공으로 여겨진다. 이유는 알 수 없다 .신육갑(…)이 연상되어서일까?
  • 서림 . . . . 1회 일치
         기재잡기에서 서림은 임꺽정의 마지막 죽음에까지도 관여하는데, 관군의 추격을 받아 궁지에 몰린 임꺽정은 한 노파의 집에 들어간다. 임꺽정이 노파를 위협하여 노파가 "도적이야!"하고 외치면서 달아나게 하고, 자신은 관군인 척 하면서 관군에 뒤섞여서 도망치려 했다. 하지만 아프다는 핑계를 대면서 슬쩍 진을 빠져나가 도망치려 하는 임꺽정을 보고, 수상하게 여긴 기이 추적한다. 서림이 임꺽정을 보고 "도적이다!"라고 소리치자, 화살에 맞아 중상을 입은 임꺽정은 서림이 투항하여 자신이 이렇게 되었다고 분통하게 여기는 말을 내뱉게 된다.
  • 세종 . . . . 1회 일치
         그러나 이처럼 정력적으로 다방면에 걸쳐 직접 일을 하였기 때문에 본인의 섭식 문제(육식을 너무 좋아했다)와 겹쳐 각종 성인에 시달려 고생하였다. 이 때문에 만년에는 세자(후의 문종)에게 대리청정을 맡기기도 하였다.
  • 슈퍼걸(드라마)/1시즌 6화 . . . . 1회 일치
         루시의 아버지 레인 장군이 DEO에 찾아와서, 슈퍼걸에게 미군에서 개발한 신형 기와 싸울 것을 요청한다. 루시는 슈퍼걸에게 강제집행서를 내밀기도 한다. 모로 박사가 자신이 개발한 로봇을 공개하는데, 그것은 레드 토네이도였다.
  • 스위스 방공호 . . . . 1회 일치
         소넨베르크 방공호는 직경 16미터, 깊이 37미터의 지하건물로서, 2만 1천개의 침대, 원, 회의실, 오락실, 은행, 감옥, 공동묘지가 갖추어져 있으며, 4개의 입구에는 9기압의 압력을 버틸 수 있는 3백 50톤의 석문이 있다. 루세르네 방공호는 2시간 이내에 2만 여명을 피난시킬 수 있으며, 이는 루세르네의 7만 5천명의 시민들 가운데 30%에 해당한다.
  • 스트라테고스 . . . . 1회 일치
         결국 제국 말기에는 마기스테르 밀리툼과 황제의 권력관계가 역전되고 말았다. 예를 들어, 리키메르는 거꾸로 황제를 꼭두각시로 만들고 마음대로 죽이고 폐위를 반복하며 농락하였다. 서로마 최후의 마기스테르 밀리툼은 [[훈 족]]의 [[왕]] [[아틸라]]를 따르던 플라비우스 오레스테스로서, 그는 자신을 마기스테르 밀리툼으로 임명한 [[율리우스 네포스]] 황제를 몰아내고 자신의 아들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를 서로마 황제로 삼았다. 그러나 오레스테스는 게르만 족 용대장 [[오도아케르]]에게 패배하여 사망하고,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가 폐위되면서 서로마 제국은 소멸한다. 이로서 서로마의 마기스테르 밀레툼 역시 사라지게 된다.
  • 시간이 약 . . . . 1회 일치
         이나 나쁜 상태가 시간에 따라서 나아진다는 의미.
  • 식극의 소마/164화 . . . . 1회 일치
          * 소마의 "이상한 소재 집어넣기" 이 또 도졌다.--뭐 그래도 이기겠지--
  • 식극의 소마/166화 . . . . 1회 일치
          * 오랜만에 니쿠미와 타도코로 등장.--타도코로는 자주 나왔어. 풍이었지만--
  • 식극의 소마/224화 . . . . 1회 일치
          * [[쿠가 테루노리]]는 이 순간만을 기다리고 있었다. [[미마사카 스바루]]가 검은 액체가 든 을 넘기자 대결의 주제 "녹차"에 손대기 시작한다.
  • 식극의 소마/230화 . . . . 1회 일치
          초등학생 메구미는 한때 순정만화에 푹 빠진 소녀였다. 특히 좋아했던 건 어떤 스포츠 근성 탁구만화. 거기 나오는 "코치"에 매료되어 있었다. 그녀가 중학생 때까지 탁구계에 몸담았던 것도 이 만화와 무관하지 않았다. 시노미야의 근성론이, 그 만화 속의 가르침을 일깨운 것이다.
  • 신혼부부 함정구멍추락 사망사고 . . . . 1회 일치
         친구들은 일단 자기들 스스로 구조 작업을 하려고 했으나 잘 되지 않았는지 나중에야 소방서에 연락했다. 결국 구출할 때까지는 2시간 이상의 시간이 걸렸다. 구급대원 2명이 끌어내서 원에 이송됐지만 이미 늦었다. 부검 결과, 부부의 사인은 모래에 묻혔을 때 흉부 압박에 의한 질식사였다.
  • 심령 스팟 . . . . 1회 일치
         대표적인 심령 스팟으로는 [[런던탑]], [[후지산]]의 [[주카이 숲]]이 있다. [[폐가]], [[흉가]] 등과 부분적으로 겹친다. 폐원, 폐학교, 폐터널, 폐탄광 등도 심령 스팟에 자주 들어간다.
  • 아돌프 히틀러 . . . . 1회 일치
         이후 [[독일 제국]]로 건너갔는데, 그 때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독일 제국군에 자원하였다. 이때 전투 중 부상을 입은 적도, 영국군 사가 히틀러를 쏘지 않고 살려보낸 적도 있었다고 한다.
  • 아웃워드 작전 . . . . 1회 일치
         [[https://www.theguardian.com/news/2016/sep/15/weather-balloons-britains-secret-weapon-weatherwatch|가디언-어떻게 10만개의 기상 관측 기구가 영국의 비밀 기가 되었는가(영문)]]
  • 아워맨 . . . . 1회 일치
          렉스의 DNA로 설계되어서 릭은 그를 싫어했지만 그가 릭의 백혈을 치유해준 것을 계기로 친해졌다.
  • 알프레드 우든 . . . . 1회 일치
         원에서 탈출한 맥스가 그를 찾아가 이너 서클이 자신을 죽이려고 하는 이유를 물어보자, 우든은 [[블라디미르 렘]]이 범인이라고 지목한다. 몇년간 우든을 위해 더러운 일을 하던 블라드는 우든이 암으로 죽어가며 권력을 잃게되자 반란을 일으킨 것이었다.
  • 알프레드 페니워스 . . . . 1회 일치
         웨인 가문의 집사 이전에는 배우인 적도 있으며 심지어 군의관, 용 활동도 해본 적이 있는 인물.
  • 애니 일본어 . . . . 1회 일치
         가능하면 NHK나 일본드라마같은것도 같이 행해서 시청하고 좀더 제대로 된 공부를 하고 싶다면,
  • 애로우 . . . . 1회 일치
         2시즌 최종보스. 과거 리안유에서 올리버와 생사고락을 같이 했던 호주군 특수부대 대원, 그러나 리안유에서 있었던 사건 때문에 올리버를 증오하게 되었으며, 구일본군이 개발한 슈퍼솔저 제조약물(…) '미라쿠루'를 맞아서 초인적인 힘을 얻게 되었다. 미라쿠루를 남용하여 대량의 용들을 만들어 스타 시티를 정복하려 했으나 실패한다.
  • 액병신 . . . . 1회 일치
         #redirect 역
  • 양시칠리아 왕국 . . . . 1회 일치
         구시대적 체계를 유지한 양시칠리아 왕국은 경제적으로 상당히 낙후되었는데, 사실 북부의 사르데냐-피에몬타 왕국은 경제적 문제 때문에 남부에 대한 합을 망설일 정도였다(…).
  • 어쌔신 크리드 III/등장인물 . . . . 1회 일치
          영국 해대 장교. 찰스 리가 도움이 될 것이라며 소개해준 템플기사단원. 상관인 브래독이 핏케언을 데려가는걸 승인하지 않자 헤이덤과 찰스 리가 군대 행렬을 습격해 데려갔다.
  • 에이스 컴뱃 5 : 언성 워 . . . . 1회 일치
          우주 궤도 상에서 탄환을 발사하는 위성기.
  • 여태조 . . . . 1회 일치
         명나라가 베트남을 점령하면서 제4차 북속시기가 시작되자 세력을 모아서 남산기의를 일으키고 명의 식민지배에 저항하였다. 처음에는 력의 질과 수적 열세로 명나라군에게 패배를 거듭했다.
  • 연하장 . . . . 1회 일치
         조선시대에는 ‘세함(歲銜)’이라고 하여, 신년 초에 직접 찾아가 인사하지 못하면 아랫사람을 시켜서 서찰을 보내는 풍습이 있었다. 관아에 속한 장교나 졸은 자기 이름을 적은 쪽지를 상관의 집으로 찾아가서 세합장에 넣었다.--셀프 우편배달-- 양반 집안 여인들은 바깥 출입이 어려워, 친지에게 덕담을 담은 글을 써서 여종을 시켜 배달하게 했는데, 이를 문안비(問安婢)라고 불렀다.
  • 영국 요리 . . . . 1회 일치
         근대에는 또한 맛 뿐만이 아니라 건강과 영양에 대한 관심도 대두되어, 영국 요리는 건강영양식으로 개량되었다. 건강영양식을 먹은 영국 사들은 높은 전투력을 발휘하여, 대영제국이 군사적으로 명성을 떨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 오드아이 . . . . 1회 일치
         좌우 [[눈동자]]의 색깔이 다른 경우를 말한다. '금은요동'(金銀妖瞳)이라는 일본식 표현을 쓸 때도 있다. 판타지에서 간혹 캐릭터성을 부여하기 위한 설정으로 간혹 쓰이며, 그 특이성 때문에 ~~중2~~ 감수성이 예민한 시기의 아이들이 선망하기도 한다.
  • 오석산 . . . . 1회 일치
         부작용으로는 피부, 감정 혼란, 피해망상, 최악의 경우에는 중독사하는 경우도 있었다. 일설로는 자수정, 백석영, 적석지, 종유석, 유황 등의 광물을 성분으로 썻다고 하며, [[중금속 중독]] 증세를 일으켰을 것으로 추측된다.
  • 오오모노노누시노카미 . . . . 1회 일치
         다음날 아침 보니 삼실은 문열쇠 구멍으로 빠져나가고 있었고, 실타레는 3바퀴만 남아 있었다. 더듬어가서 찾아보니 미와산(三輪山)의 오오모노누시노카미(大物主神)의 사당이었다. 이로서 뱃 속의 아이가 산신의 아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 오하라이 . . . . 1회 일치
         [[일본]] [[신도]]의 주술 의식. 재앙이나 부정을 씻어내고 퇴치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한국 무속의 [[굿]]과 비슷하며, 굿으로 번역하는 경우도 있다.
  • 와일드 독 . . . . 1회 일치
         상당히 안쓰러운 인생 끝에 자경단원으로 거듭난 인물. 원래 [[장학금]]을 받고 대학에 입학한 운동선수였으나 부상을 입으면서 팀을 나온데다 학교도 떠났다. 이후 해대에 입대했는데 테러리스트의 폭탄에 의해 동료 대원들이 사망하는 일이 벌어지고 제대, 이후 주립대학에서 야간수업을 받다 클레어 스미스라는 여성과 연인이 되었으나 사실 그녀는 최근 살해된 시카고 갱단 두목의 딸인 클레어 카몬티였으며 총에 맞아 사망했다. 이후 낮에는 자동차 정비공으로 일하고 밤에는 와일드독이 되어 범죄와 싸우기 시작했다.
  • 외도 . . . . 1회 일치
          * (일본어) 재앙을 불러오는 것. 악마나 또는 사악한 존재의 모습을 한 가면. 외도의 면(外道の面).
  • 요괴:냉장고 . . . . 1회 일치
         || 엄마가 밥먹듯이 해주던 말이 혼자서 냉장고 근처에 가지 말라는 거였어요. 그건 내가 중학생이 될 때까지 계속됐는데 사이다나 아이스크림 꺼내먹으려고 냉장고에 기웃거리자면 어김 없었죠. 엄마는 내가 문을 열고 멍청하게 서있는다고, 그러면 전기세가 어마어마하게 늘어난다고 핑계를 댔는데 나는 아주 어렸을 때부터 그 말은 믿지 않았어요. 엄마도 간장을 찾는다고 5분씩 문을 열어놓기가 일쑤였거든요. 또 엄마는 자기가 보는 앞에서는 내가 아무리 문을 열었다 닫았다 해도 뭐라고 하지 않았어요. 그러니까 그 얘기는 핑계에 지나지 않는다고 눈치 챌 수 밖에 없죠.
  • 요괴:닭둘기 . . . . 1회 일치
         갑자기 나타나 사람을 놀라게 하며, 주변을 지나가면 온갖 먼지를 흩뿌려 사람들을 괴롭게 한다. 또 몸에 붙어 있는 [[세균]]과 [[바이러스]]로 각종 질을 퍼트리기도 하여, 요사하고 무서운 흉조(凶鳥)로 널리 알려져 있다.
  • 요시다 세이지 . . . . 1회 일치
         요시다 세이지는 야마구치현 노무보국회 시모노세키 지부에서 동원부장으로 일했다고 주장했으며, 1977년 '조선인 위안부와 일본인', 1983년 '나의 전쟁범죄'라는 책을 저술하여, 이 책에서 자신이 군부대를 이끌고 [[제주도]]의 마을 등에서 200여명의 여성을 강제로 징하여 위안부로 삼았다고 진술했다. 또한 1982년 9월 [[아사히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를 증언하였다. 1900년대 아시히 신문은 요시다 세이지의 증언을 바탕으로 다수의 기사를 작성했고, 이는 일본 사회에서 위안부 문제가 널리 인식되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이 소위 '요시다 증언'에는 의혹도 뒤따르게 되었다.
  • 욕창 . . . . 1회 일치
         [[분류:질]]
  • 원피스/829화 . . . . 1회 일치
          * 그 루트는 섬에 상륙하지 않고 빅맘의 감시들의 눈을 피해 홀 케이크 아일랜드로 직행하는 최적의 루트.
  • 원피스/844화 . . . . 1회 일치
          * 높이 솟아올라 내리찍는 발기술 "콩갓세". 루피의 정수리에 정확히 내리꽂힌다. 지금까지 어떻게든 버티고 다시 일어섰던 루피도 정신을 잃고 무너진다. 결투는 상디의 승리로 끝나고 제르마의 사들은 그가 보여준 디아블 잠브의 불꽃과 화려한 기술, 강력함에 혀를 내두른다.
  • 원피스/845화 . . . . 1회 일치
          * 상디가 푸딩의 프로포즈를 들은 그 순간, 루피는 빅맘의 군단과 사투를 벌이고 있다. 사들은 쓰러뜨리고 있지만 군단의 이름있는 자들은 여유로워 보인다.
  • 원피스/847화 . . . . 1회 일치
          * 한편 성안에선 침입자를 발견하고 소란이 일어난다. 경비들이 "호랑이" 밍크족을 발견했다며 타마고 남작에게 보고한다. 타마고 남작은 "재규어"라고 정정해주며 예상대로 페드로가 왔다고 경계한다.
  • 원피스/850화 . . . . 1회 일치
          * 레이쥬는 쇼파에 묶여 있는 채로 폭언을 듣고 있다. 잠자코 있는 듯 하지만 그녀가 앉은 자리에서 뭔가 흘러내리는 듯 한데? 눈치채지 못한 푸딩은 빅맘이 제르마의 "클론단"과 "과학력"을 노리고 있었다고 말한다. 처음부터 빈스모크 일가와 손잡을 생각은 없었는데 그들은 반항적이라 도저히 말을 듣게 할 수 없을 거라고 봤기 때문이다. 현재 제르마는 그 영토를 포함해 "모든 것"이 빅맘의 영역에 들어와 있다. 푸딩은 이들을 "정략결혼이란 달디단 과자에 꼬여든 파리"라고 빈정거린다.
  • 원피스/858화 . . . . 1회 일치
          악마의 열매로도 설명할 수 없는 특이체질에 벳지의 부하도 버럭한다.
  • 원피스/864화 . . . . 1회 일치
          * 벳지는 징베와 페드로에게 전력으로 루피를 원호할 것, 그리고 루피는 다시 한 번 빅맘에게 깨진 사진을 보여주라고 지시한다. 그리고 큰 소리도 회장에 있는 모든 "연합군"에게 귀마개 "인지지블 심포니아"를 장비하라고 소리친다. 이 행동으로 빅맘 해적단의 이목이 그에게 쏠린다. 하지만 개의치 않는다. 그동안 루피는 사진을 챙겨서 빅맘에게 향하고 케이스 속의 나미 일행은 귀마개를 낀다.
  • 원피스/879화 . . . . 1회 일치
          쇼콜라 타운으로 이동하는 중에 아버지 "파운드"를 지나쳐가지만 눈치채지 못한다. 상디에게 원래 [[샬롯 로라]]가 쵸콜릿 대신이었고 푸딩이 후임이었으나 그녀의 의사로 공석으로 남겨뒀다는 이야기를 해준다. 그리고 정신에 가까워지는 동생의 츤데레 활동을 타이르지만 별 소용은 없는 듯 하다.
  • 원피스/881화 . . . . 1회 일치
          * 미러 월드의 빅맘 해적단 력들도 그 소식을 접했다. [[샬롯 카타쿠리]]의 전보벌레에서 그 소식이 흘러나오자 루피는 믿기지 않는 듯이 거울조각으로 일행을 부른다. 그러나 아무 대답도 없다. 밀집모자 일당의 전멸이 기정사실화되고 [[샬롯 브륄레]는 새로운 거울로 진군할 필요도 없겠다며 작전을 중지시킨다. 그런데 부하들은 여전히 거울 너머에 아무런 일도 없다고 이상해 하는데, 그때 갑자기 거울이 깨진다. 그리고 미래를 예지하는 카타쿠리 만큼은 페로스페로의 공지에도 아무런 반응이 보이지 않는다.
  • 원한해결사무소/1화 . . . . 1회 일치
         의뢰인 '후쿠자와'의 아내가 누군가에게 피살. 1개월 정도 된 신혼생활, 뱃속의 아이도 함께 살해당하여 후쿠자와는 원한을 품게 된다. 회사를 그만두고 알콜중독에 빠진다.
  • 원한해결사무소/2화 . . . . 1회 일치
         의뢰인 가족은 원한해결사에게 사실을 듣고 미노리카와란 사람이 불쌍하다고 말하지만, 원한해결사는 미노리카와가 자살을 시도했다가 원한해결사에게 설득을 받고, 보험을 들어서 가족에게 전하는 대신 '죽어주는 역'이 되었다는 것을 알려준다. 의뢰인 부부는 '악마'라고 경악한다.
  • 원한해결사무소/3화 . . . . 1회 일치
         지난달 사장이었던 아버지가 으로 돌아가시자 유언장이 공개되었는데, 동생이 대표이사가 되고 자신은 전문에 그쳐 동생 아래에서 일하게 된 것에 원한을 품었던 것이다. 히트상품을 연달아 내놓던 동생과는 달리, 그는 경리부장으로서 수수한 일만 해왔으며, 맛에는 꽝이었기 때문이다. 또 이 가문은 매우 '다혈질'인 성격이었다.
  • 월경전 증후군 . . . . 1회 일치
         [[분류:질]]
  • 위키 템플릿 . . . . 1회 일치
          * [[DiseaseTemplate]] - 질 템플릿
  • 유목민 . . . . 1회 일치
         유목민이라고 하면 [[말]]. 유목민들은 승마 기술을 처음으로 익혔으며, 그들의 생업인 유목의 특징상 어린 시절부터 승마를 배워 뛰어난 마술(馬術)을 발휘하였다. 이렇게 평소부터 단련된 유목민들은 거의 모든 부족원이 순식간에 위력적인 기마이 될 수 있었으며, 이는 유목민족의 높은 전투력의 근원이 되었다.
  • 육미당기 . . . . 1회 일치
         신라국 태자 김소선(金簫仙)은 부왕의 을 고치려고 남해의 [[보타산]](普陀山)으로 가서 [[죽순]]을 구해 오다가, 이복형 세징(世徵)에게 습격당해 죽순을 빼앗기고 [[실명]]하여 섬에 떠내려간다.
  • 율리우스 네포스 . . . . 1회 일치
         480년, 네포스는 궁전에서 암살당하고 만다. 당시 사료에서 이 사건은 네포스의 장군 오비다가 배신했거나, 네포스의 신하가 되어 있던 글리케리우스(Glycerius)가 개입됐을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아무튼 이 사건은 오도아케르에게는 희소식으로서, 명목상이라고는 해도 주군인 네포스가 '다른 부하'에게 시해당하고 말았던 것이다. 오도아케르는 이를 명분으로 하여 달마티아를 공격하고, 달마티아를 지배하던 오비다는 패배하고 사망했다. 달마티아 지역은 오도아케르의 이탈리아 왕국에 합당한다. 여담으로 글리케리우스는 이후로도 오도아케르의 신하로서 살아서 음모론의 소재가 됐다.
  • 은혼/578화 . . . . 1회 일치
         * 우미보즈는 스승이 되길 거절하지만 무츠는 "당신의 제자가 되기엔 너무 분에 넘친다"면서도 새장 속의 새에게 세상에서 본 것을 이야기해달라고 청한다
  • 은혼/587화 . . . . 1회 일치
          * 오랫동안 풍 노릇하던 신파치가 드디어 각성
  • 은혼/594화 . . . . 1회 일치
          * 우츠로는 이들을 교묘히 이용해서 그들의 눈을 피해 력을 운용하고 그들이 가진 용혈의 제어코드 "각인"을 빼앗는다.
  • 은혼/598화 . . . . 1회 일치
          * 신파치는 분명 평범한 지구인 클라스였을 텐데, 자연스럽게 천인 용들을 썰고 다닌다--파워인플레의 폐해--
  • 은혼/607화 . . . . 1회 일치
          * 상공에서는 마츠다이라 가타쿠리코가 이끄는 구 막부파 력과 해방군이 대치 중
  • 은혼/619화 . . . . 1회 일치
          * 츠쿠요와 백화는 상공에서 장마비처럼 수리검을 퍼붓는다. 이들의 공격은 오우가이 휘하 력들의 발을 묶고 막 일어서려던 오우가이를 고립시킨다. 츠쿠요가 직접 오우가이를 노리고 낙하하며 수리검을 난무하는데 오우가이는 또 한 번 괴력을 발휘해 봉쇄 당한 사지를 풀고 수리검을 막아낸다. 수리검에 벌집 같은 모습이 되지만 치명상은 하나도 없다. 머리에 날아온 수리검도 또 뿔에 걸린다.
  • 은혼/620화 . . . . 1회 일치
          * 다키니의 사들은 오우가이가 쓰러진걸 발견하고 경악한다. 그들은 오우가이가 이런 자들에게 쓰러졌다는걸 믿지 못한다. 긴토키는 이제와서 이들을 "여자나 아이들"이라 부를 생각은 없지 않냐고 빈정거린다.
  • 의성군 . . . . 1회 일치
          * [[권노]] : 전 정치인.
  • 의식 높은 계 . . . . 1회 일치
         자신을 "의식이 높은 사람"으로 가장하고 있는 것을 뜻한다. 어른에게 찾아오는 [[중2]].
  • 이노센트 투어 . . . . 1회 일치
         가끔이긴 하지만 조커가 나오기도 하는데, 조커는 문자 그대로 꽝이다. 얘는 정령이 아니라 악마이기 때문에 누적시킬 수 있는 속성도 없고 속성이 없으니 숫자도 없다.
  • 이별대행업체 . . . . 1회 일치
         [[이혼]]이나 [[이별]]을 원만하게 이루어지도록 공작을 꾸며서 '처리'하는 업체를 뜻한다. 주로 [[탐정]]사무소가 행하는 하는 경우가 많다. 이별만이 아니라 재회나 복연, 만남 역시 공작을 대행하기도 한다.
  • 이성계 . . . . 1회 일치
         그러나 후계자 선정 과정에서 전처 소생의 아들들을 외면하고 막내아들 방석을 세자로 세우려고 하여 그들의 불만을 사서, 결국 그들의 불만을 등에 업은 이방원(후의 태종)이 '1차 왕자의 난'을 일으켜 방석과 방번, 정도전 등을 참살하고 이성계를 상왕으로 만들어 실권을 탈취한다. 이에 격분하여 자신의 옛 근거지인 함경도 지역에서 조사의 등과 결탁해 군대를 거하고 태종을 공격하였으나(조사의의 난) 태종의 친정군에 패배한다. 그 후에는 완전히 정치 일선에서 물러나 사냥 등으로 소일하다 서거.
  • 이센고린 . . . . 1회 일치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의 징집을 칭하던 속어. "니센고린"라고도 한다.
  • 인조 . . . . 1회 일치
         인조는 [[조선]]의 16대 왕이다. [[인조반정]]을 통해 집권했으며, 명과 후금사이에서 중립외교를 표방한 [[광해군]]을 비판하면서 존명배금(명을 따르고 후금을 배척한다)를 내걸었다. 그러나 현실은 명이 후금보다 여러모로 딸리는 상황이었기에 애매한 외교정책을 실시할 수 밖에 없었으며, 결과적으로 [[정묘호란]]과 [[자호란]]이 일어나게 된다.
  • 일곱개의 대죄/169화 . . . . 1회 일치
         * 악몽 속의 멀린은 "내일이 없는 자와 함께 길을 걸을 순 없어. 왜냐면 네 저주는 절대 풀 수 없으니까. 강대한 저주는 이윽고 그 몸을 전부 침식하겠지. 너는 결국 내 실험 재료일 뿐인 존재. 평생 누군가에게 사랑 받는 일 없이 고독하게 죽어라 에스카노르."라고 독설을 퍼붓는다.
  • 일곱개의 대죄/172화 . . . . 1회 일치
          * 나머지 일곱개의 대죄는 완전 풍화되었다.
  • 일곱개의 대죄/190화 . . . . 1회 일치
          * 알 속의 사람들은 원래 형태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알이 깨짐과 동시에 완전한 마신족의 모습으로 변한다.
  • 일곱개의 대죄/205화 . . . . 1회 일치
          * 본진에서는 [[뤼드셀]]이 사리엘과 타르미엘의 일처리에 투덜거리고 있다. 기껏 미끼까지 동원해서 십계는 어쩌지 못하고 잡만 치웠다는 것이다. 그러나 곧 생각을 바꿔 "역시 십계가 정예"라고 정정한다. 그는 자신이 직접 나서야겠다고 마음먹는다. 그는 떠나기 전 [[네로바스타]]에게 "문"을 잘 지키라고 당부한다. 십계를 처리할 때까지 문에는 아무도 다가가선 안 되며 설사 십계를 처리하더라도 문이 부서지면 원군을 불러올 수 없게 되므로 전황은 단숨에 불리해진다는 것이다.
  • 일곱개의 대죄/212화 . . . . 1회 일치
          할리퀸은 고서의 설명을 개소리라고 일축한다. 결국 그가 자유를 얻기 위해서 모든 걸 이용한 셈이다. 마신족 포로와 스티그마의 사들. 그리고 인간 전사들 자신들까지도. 할리퀸이 강하게 비난하자 고서가 내놓은 대답은 뜻밖의 것이다.
  • 일곱개의 대죄/214화 . . . . 1회 일치
          * 인기척을 느끼고 돌아본 그 자리에는 할리퀸 자신, 아니 역사 속의 진짜 [[그로키시니아]]가 귀신 같은 형상으로 창을 던지고 있었다.
  • 일곱개의 대죄/221화 . . . . 1회 일치
          * 한동안 조용했던 리오네스 성에 작은 소란이 벌어졌다. 하녀들이 절절매며 리오네스 왕가의 장녀 [[마가렛 리오네스]]를 쫓아다닌다. 하녀들이 지금 마가렛이 하려는 행동은 "[[바트라 리오네스|폐하]]께서 용서하지 않으실 거다"고 설득하지만 마가렛은 "아버지를 번거롭게 하지 않는다"고 대꾸하며 조금도 아랑곳하지 않는다. 그보다 일전에 내린 명령에 대해 확인한다. 납치된 성기사 [[길선더]]의 수색과 구출. 그리고 그를 범인 마녀 [[비비안]]을 토벌하라는 명령이었다. 하녀들이 주저하며 밝힐 바로는 진전이 없다. 리오네스 왕국은 한 차례 위기를 넘겼으나 아직 십계 토벌이 완료되지 않았고 언제 재차 침공당할지 모르는 상황. 국왕 바트라 리오네스의 명령으로 현역 성기사들은 모두 성의 수비로 투입되어 도저히 차출할 력이 없었다. 마가렛은 그럴 줄 알았다는 듯이 대답했다.
  • 전국 BASARA(애니메이션) . . . . 1회 일치
          다테군의 사들을 인질로 잡고 다테의 육조도와 다케다의 갑옷을 내놓으라고 협박했다.
  • 절대가련 칠드런/438화 . . . . 1회 일치
          * 하지만 로켓을 타고 온건 국장 직속의 A팀 대원들. 효부는 미나모코와 사카키가 연락도 닿지 않을 어딘가로 옮겨졌을 거라고 추론한다.
  • 절대가련 칠드런/449화 . . . . 1회 일치
          * 때마침 효부를 추적해온 정부군의 력이 들이닥치고 효부는 시로에게 "싸우는 방법"을 가르쳐주겠다고 하는데.
  • 절대가련 칠드런/452화 . . . . 1회 일치
          * 그들은 감시위성 광속의 여신(라이트 스피드 가데스)도 소유하고 있는데 자위대 등 일본 정부를 감시하고 있다.
  • 절대가련 칠드런/453화 . . . . 1회 일치
          * 효부는 이들을 지키기 위해 공격을 받아내는데 그런 태도가 마기의 마음 속의 허점이었다.
  • 절대가련 칠드런/455화 . . . . 1회 일치
          * 후지코는 또다른 신기를 꺼낸다.
  • 절대가련 칠드런/465화 . . . . 1회 일치
          또다른 자신의 설득에 후지코의 마음이 흔들린다. 그녀가 빛을 위해 살고자 했던 이유, "그들". 육군초능특무부대의 죽어간 동료들이 떠오른다. 효부와는 다른 형태지만 그녀에게도 그 시절의 기억은 마음 속의 틈이었다. 그녀가 흔들리자 미나모토는 사카키에게 백신을 준비해달라고 요청한다. 후지코는 가까이 오면 공격하겠다고 위협하지만 동요하는 기색이 역력하다.
  • 절대가련 칠드런/468화 . . . . 1회 일치
          * 바깥에는 이미 블랙 팬텀의 새로운 력이 몰려오고 있는데 ECCM에 봉쇄되고 부상자가 속출한 상황에서는 저항이 어렵다.
  • 절대가련 칠드런/471화 . . . . 1회 일치
          * 일행이 진입하기 전부터 블랙 팬텀의 력이 그들을 주시하고 있었다. 카가리와 카즈라가 쓰러지자 숨어있던 에스퍼가 모습을 드러낸다. 바벨의 와일드 캣, [[우메가에 나오미]]였다. 그녀도 정신오염 당해 블랙 팬텀의 수하가 되었다.
  • 절대가련 칠드런/473화 . . . . 1회 일치
          카오루가 책임감을 느끼는 모습을 보여주자 시호와 아오이도 한 발 물러선다. 둘은 각각 "카오루가 파괴의 여왕이라면 "금단의 여제"(언터쳐블 엠프레스), "신속의 여신"(라이트스피드 가디스)인가"라고 중얼거린다. 이 말을 들은 유리가 흥분해서 "그런 나는 뭐야"라고 끼어드는데, 마츠카제가 "넌 그냥 "팬텀 도터"잖아"라고 대충 정해준다. 하지만 유리는 세트가 좋다며 "현혹의 여교황"(다즐링 하이프리스너스)같은 급조한 명칭을 제안한다. 여기서 마츠카제가 대항심을 느껴 "지옥의 타천사"같은 되도 안 되는 명칭을 들이밀어서 사이좋게 둘 다 츳코미 당한다.
  • 절대가련 칠드런/477화 . . . . 1회 일치
          * 블랙팬텀의 영향력이 확대되어 에스퍼들에게 세상은 점점 더 살기 어려워져 가고, BABEL은 에스퍼들을 탄압하는 첨으로 전락한다.
  • 정좌관심 . . . . 1회 일치
         정좌관심은 간화선과 같이 한 순간에 얻어지는 깨달음(돈오돈수)가 아니라 독서와 행한 '점진적'인 깨달음(돈오점수)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중국이나 한국 불교에서 주류가 되는 [[간화선]]보다는 이후 불교계에서 쇠퇴하여 사라지는 [[묵조선]]과 유사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 제너럴 우 . . . . 1회 일치
         미군 헬기 조종사인 짐 베이커 중위를 구하려는 캡틴을 맞아 싸우게 되었다. 일단 캡틴은 교섭을 위해 왔으나 공격해오니 싸울 수밖에 없었는데 약점을 발견할수 없어서 고전한 캡틴은 베이커를 풀어준 뒤, 탈출했다. 몇년 후, AIM의 보카 칼리엔테(Boca Caliente) 섬기지에서 그들의 무기전시회가 열렸는데 바트록(Batfoc)에게 매드독(Mad Dog), 램로드II(Ramrod II), 레이저 피스트III(Razor-Fist III)를 포함한 백전 전문가로 선정되었고, 이후 캡틴과 재전투를 하게 되었다. 이때 캡틴은 잠입을 위해 세르시의 도움으로 모습을 크로스본즈로 바꾼 상태였고, 의심을 피하려고 바트록의 결투신청을 받아들였다. 이때 우는 램로드에 의해 위기에 처한 캡틴을 공격했는데 캡틴에 의해 기관지가 압박되어 그를 내던졌다. 그러나 그에게 패배.
  • 존 딜린저 . . . . 1회 일치
         밤 10시 30분. 영화를 보고 난 딜린저는 두 여자를 데리고 극장 밖으로 나선다. 극장 문 앞에 서있던 멜빈 퍼비스(Melvin Purvis) 특별 수사관이 시가에 불을 붙이는 것을 신호로, FBI 요원들과 경찰들이 딜린저에게 접근했다. 위기에 처했다는 걸 깨달은 딜린저는 바지 주머니에서 권총을 꺼내들고 골목길로 도망갔지만 그곳에는 FBI 요원들이 매복해 있었다. 세 발의 총알을 몸에 맞은 딜린저는 그대로 쓰러졌다. 20분 후, "공공의 적" 존 딜린저가 알렉시안 브라더즈 원(Aliexian Brothers Hospital)에서 사망했다는 사실이 발표되었다.
  • 존 헨리 . . . . 1회 일치
         이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존 헨리이즘(John Henryism)이라는 연구가 있다. 이는 가난을 극복하기 위해서 보통 사람보다 훨씬 많은 노력을 한 사람이, 중년 이후에 그 간 무리한 탓에 건강이 손상되어 고통을 받는 현상을 뜻하는 말로서, 80년대, 셔먼 제임스라는 청년 연구가가 소작농 출신 존 헨리 마틴이라는 사람의 사례를 기초로 하여 “존 헨리 척도”를 제안했다. 이는 “일이 내 뜻대로 풀리지 않으면 오히려 더 열심히 노력한다”, “인생은 내가 노력하기 나름이다” 는 등의 문항에 얼마나 동의하느냐 하는 것으로 측정된다.([[http://newspeppermint.com/2017/01/31/john-henryism/ 참조]]) 특히 미국에서는 사회 구조적으로 차별을 받는 흑인 남성에게 많이 나타나던 현상인데, 기계와 싸우다가 죽음을 맞은 이야기 속의 존 헨리처럼 존 헨리이즘은 현실과 싸우다가 스스로 피폐해진 사람들을 뜻하는 단어라는 점이 아이러니하다.
  • 중화소바 . . . . 1회 일치
         본래 [[밀가루]]면을 사용한 [[국수]]를 일본에서는 '중화소바'라고 불렀다. 그런데 [[치킨]]라멘이 히트하면서 라멘이라는 명칭이 퍼져서 정착하게 된다. 그래서 라멘과 중화소바라는 명칭이 존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같은 것이다.
  • 지옥의 미사와 . . . . 1회 일치
         일본의 만화가. 눈코입이 몰리고, 왠지 모르게 통통한 독특한 그림체를 가지고 있다. 이런 캐릭터가 멋진지 멋지지 않은지 애매한, 왠지 맛나는 대사를 하는 개그 만화를 주로 그리고 있다. 괴이한 센스 때문에 컬트적인 인기를 자랑하고 있다.
  • 진격의 거인/82화 . . . . 1회 일치
          * 코니는 무리라고 만류하는데, 그때 바람 같이 나타나 뇌창을 꽂는 사가 있었다.
  • 진격의 거인/99화 . . . . 1회 일치
          * 어떤 사가 [[테오 마가트]]의 호출이라며 [[포르코 갤리어드]]와 가비를 데려가는데 이는 함정. 포르코와 가비가 함정에 빠진다.
  • 착각남 . . . . 1회 일치
         평범한 경우라면 자신이 착각하고 있다고 깨닫게 되면 행동을 멈추지만, 지적을 받아도 망상을 멈추지 않게 되는 사례도 존재하며 이미 정신 환자라고 해야 할 것이다. 스토커로 악화되기도 한다.
  • 창작:악마의 열매 . . . . 1회 일치
         원피스에 나오는 악마의 열매를 마음대로 생각해보는 항목.
  • 창작:좀비탈출/0-1 . . . . 1회 일치
         나는 마지막으로 다이제스트 아홉 쪽과 1리터 짜리 끓인 물 한 이 남았음을 확인했다.
  • 창작:좀비탈출/0-1-2 . . . . 1회 일치
         우리집 담벼락은 다름 집보다는 한 뼘 이상이 더 높고 그 위엔 뾰족하게 휘어진 창살도 박아놨다. 이 녀석은 실제로 한 번 도둑을 막기도 했는데, 그 무모한 양반은 자기 능력을 너무 과신했는지 뛰어넘지 못하고 영 좋지 않은 곳이 걸려서 원으로 후송됐다. 뭐, 감옥에 가는건 차라리 별 일이 아니었겠지.
  • 창작:좀비탈출/4-1-2-1 . . . . 1회 일치
         나는 꽁지에 불똥이 튄 쥐새끼처럼 펄쩍 뛰어올랐다. 머릿 속의 소리가 아니다. 그건 아무리 생생해도 내 머릿 속이란 걸 알 수 있다. 이렇게 지문이라도 새겨진 것처럼 구체적인 촉감을 제공하진 못한다. 그리고 소리보다 뒤늦게 다가오는…… 썩은 냄새.
  • 창작:좀비탈출/요새편/1-1 . . . . 1회 일치
         비닐 시트는 일반적으로 하우스에 치는 것만큼 얇고 약한 소재가 아니었다. 다루면서 보니 그보다는 방수포에 가까운 두꺼운 물건이었다. 실험 삼아서 손으로 당겨서 찢어보려고 했는데 불가능했다. 그래서 이 녀석을 다듬는 역할은 방금 찾은 전지가위에 맡겼다. 하지만 재활용도 염두해야 하고 나는 재단 일에도 문외한이다. 최대한 길고 네모낳게 잘라냈다. 잘라낸 비닐을 팔다리에 둘둘 감고 그 위에 철사를 감아서 고정시켰다. 몸통도 비슷한 방식으로 처리했고 그 외에 비닐로 감을 수 있는 곳은 전부 감았다. 제일 얼려운건 머리였다. 클로버필드 10번지에서는 적당한 크기의 패트이 있었고 주인공은 디자이너였다. 어떻게 해도 방도면같은 형태는 되지 못했고 그냥 머리에 둘둘 감은 후 눈구멍과 숨구멍만 뚫었다. 숨쉬는게 다소 불편했지만 어쨌든 호흡이 가능하고 앞도 보였다.
  • 첼렌느 베르체코프 . . . . 1회 일치
         술을 굉장히 좋아하며 임무가 없을땐 거의 술을 입에 달다시피하고있다. 본인의 말에 의하면 자신은 다른 사람보다 간이 3배정도 튼튼하다고 원에서 들었으니 3배는 더 마셔도된다는 괴악한 논리를 펼치고있다. 술뿐만이 아니라 홍차도 주로 자주 마시는 편이지만 이미 다른 발할라 요원이나 관계자들은 주당으로인식하고있으나 본인은 사실이니 신경쓰지않는 모양이다(...)
  • 츠츠모타세 . . . . 1회 일치
          [[성]]이나 [[임신]]의 위험을 생각하면, 처음 만나는 사람과 피임 없이 성관계를 가지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피임 없는 성행위를 반복적으로 요구하는 경우는, [[임신]]과 [[낙태]]를 명분으로 위자료를 청구해오는 유형일 가능성이 있다.
  • 카맛테쨩 . . . . 1회 일치
         [[관심]]으로 번역할 수 있다.
  • 카쿠스 . . . . 1회 일치
         꺠어난 헤라클레스는 소떼의 흔적을 쫓아가려 했는데, 소 몇 마리가 울기 시작하자 카쿠스가 숨긴 동굴 속의 소떼들이 대답하는 울음 소리를 내서 속임수가 폭로되었다. 헤라클레스는 당장 카쿠스를 쫓아가서 곤봉으로 때려 죽였다.
  • 캡콤 스포츠 클럽 . . . . 1회 일치
         세가지의 게임 다 룰을 간략화 시키고, 조작도 단순하게 만들어서 머리 식히고 즐기기에는 최적이다. 다만 테니스의 경우에는 축구, 농구와는 달리 난이도가 죽여준다. 그런데 스포츠 게임이 잼인 플레이어라면 답이 없다.(...) 세가지 종목을 전부 클리어하면 엔딩이 나온다.
  • 코만단테 카펠리니 . . . . 1회 일치
         1942년 9월 12일, [[독일]] 잠수함 U-156이 [[영국]] 력수송선 라코니아(Laconia)를 격침시킨다. 징발된 민간 여객선이었던 이 선박에는 영국 군인, [[자유 폴란드군]] 군인, 이탈리아군 포로들이 타고있었다. U-156은 구조 지원을 요청한다. 코만단테 카펠리니는 구조를 위해 이동한다. 카펠리니는 15일에 현장에 도착, U-156, U-506, U-507과 함께 생존자들을 주렁주렁 태우고, 구명보트를 끌며 구조작업을 돕는다. 그와중에 [[미육군항공대]] 소속 [[B-24 리버레이터]] 폭격기에게 공격당했고, 이에 잠수함들은 견인하던 구명보트 줄을 끊고 잠항해버린다.
  • 코스트코 . . . . 1회 일치
         1993년에 '프라이스 클럽'과 '코스트코'가 합하여, '프라이스 코스트코'라는 이름으로 206개 점포를 세워 연간 160억 달러의 매출을 올렸다. 1997년에 회사명을 '코스트코'로 고치고, 세계로 뻗어나가기 시작하여 600점포에 달하게 되었다.
  • 콜만스코프 . . . . 1회 일치
         콜만스코프는 19세기 후반에 [[다이아몬드]] 붐으로 만들어진 마을이었다. 이 지역에서 다이아몬드가 발견되자 다이아몬드를 캐려는 광부들과 그들을 먹여 살리는 사람들이 정착한 것. 콜만스코프가 성장하면서 거주민들을 위한 술집, 학교, 원, 오락 시설 그 외 등등도 만들어지며 큰 마을이 되었다.
  • 킹덤/509화 . . . . 1회 일치
          * 열미로부터 반나절 거리인 적마 언덕엔 [[공손룡]] 장군이 조군을 이끌고 행군 중이다. 진격 중에 열미성이 함락되었다는 급보가 도착한다. 조군은 단 하루만에 이런 결과가 나왔다는 것에 술렁대지만, 곧바로 들이쳐서 탈환하면 그만이라고 사기를 끌어올린다. 이들 계산으론 그렇게 무리한 일정으로 공성을 했다는건 현재 온전한 력이 남지 않았을 것이고, 이때를 노린다면 손쉽게 탈환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아직 그들은 "성에 익숙하지 않을 것"이다.
  • 타오파이파이 . . . . 1회 일치
         등장 당초에 손오공 이상의 강자로서, 손오공을 고전시켰던 블루 대령을 혀만 가지고 살해했다. 또 레드리본군 사들을 쉽게 제압하던 우파의 아버지 보라를 살해. 손오공과 대결하여 도돔파로 쓰러뜨렸으며, 손오공은 품 속에 넣어둔 드래곤볼이 없었다면 죽었을 것이다. 하지만 카린탑에서 수행한 손오공에게는 패배하고 만다.
  • 태학 . . . . 1회 일치
         서진에서는 276년 공경, 대부 등 고위 관료의 자제를 교육하기 위하여 태학과는 별도로 국자학(國子學)이 설치된다. 국자학과 태학은 당날 때까지 행하여 지속되었는데, 국자죄주(國子祭酒)가 관리했다. 당나라에서는 국자감(國子監)을 둬서, 국자학, 태학 이외에 사문학(四門學), 율학(律學), 서학(書學), 산학(算學) 등을 관리했다.
  • 토리코/358화 . . . . 1회 일치
          * 네오는 환경적인 요인으로 죽은 적도 있지만 "압도적인 적"에 의해 죽은 적도 있는데, '''이 중 돈 슬라임이나 사천왕의 구르메 악마로 보이는 존재'''도 있다.
  • 토리코/369화 . . . . 1회 일치
          * 아이마루는 구르메 세포의 악마는 커녕 시작하자마자 리타이어--야무차?--
  • 토리코/371화 . . . . 1회 일치
          * 그리고 "이 녀석들에게 붙어 있는건..."이라며 그들 안에 있는 구르메 세포의 악마를 꿰뚫어 본 듯한 발언을 한다.
  • 토리코/379화 . . . . 1회 일치
          * 그러나 두 마리의 구르메 세포 악마를 꺼내놓은 탓에 극도로 지쳤지만 GOD에 의해 식욕이 자극되어 어떻게든 도착할 수 있었다.
  • 토리코/380화 . . . . 1회 일치
          * 네오가 완전체가 되면서 아카시아와 분리되었는데, 토리코에 이어 두 번째로 구르메 세포의 악마를 체내로 완전히 분리시킨 사례
  • 토리코/385화 . . . . 1회 일치
          * 죠아는 악마의 위액을 뿜어내지만 역시 소용이 없다.
  • 토리코/391화 . . . . 1회 일치
         토리코는 제대로 싸우고 있지만 여전히 청귀와 제 3의 악마가 각성할 기미가 없다.
  • 토리코/393화 . . . . 1회 일치
          * 그로부터 얼마 후. 아카시아는 페어의 협조요청을 받아들이고 네오의 봉인을 위해 활동하고 있었다. 페어에게 이것저것 지식을 얻던 아카시아는 문득 "식욕의 악마에게 잠식 당하지 않는 법"에 대해 묻는다. 아카시아는 그것이 네오에게 먹힌 식혼들을 구하는 열쇠가 될지 모른다고 여긴 것이다. 그는 만약 그 식혼들이 네오 안에서 살아 있는 거라면 반드시 꺼내줄 방법도 있을 거라고 역설하는데 페어는 쓸데없는 소리라 일축하며 혹시 네오 때문에 죄책감이라도 느끼는 거냐고 묻는다. 페어는 과거 네오의 소행은 악행도 뭣도 아닌 그저 식사이며 지금와서 아카시아가 책임을 느낄 이유는 없다고 말한다. 아카시아는 그저 자신 안의 식욕에 대한 수수깨끼를 해결하고 싶은 거라고 항변하지만 페어는 귀담아 듣지 않고 풀코스의 출연이 가까웠으니 플로제의 설득이나 신경쓰라고 말한다.
  • 페어리 테일/480화 . . . . 1회 일치
         * 포로들이 묶여있는 행색이 엄하기 짝이 없는데다 사들이 희롱하고 있어서 엄한 상상을 하는 독자들이 폭주하고 있다.
  • 페어리 테일/485화 . . . . 1회 일치
          * 어쨌든 "최악의 과거"라고 하는걸 보니 본인 입으로 흑역사 인증. 일시적으로 중2이 쩔었던 시기였나 보다.
  • 페어리 테일/487화 . . . . 1회 일치
          * 블러드맨이 다루는 힘의 본질은 "주력". 주법을 다룬다. 즉 제레프서의 악마.
  • 페어리 테일/493화 . . . . 1회 일치
          * 드래그닐이란 성 때문에 제레프가 만들어낸 새로운 악마이거나 원래 제레프의 가족 중 하나가 아니냐는 설이 있다.
  • 페어리 테일/497화 . . . . 1회 일치
          * 나인하르트의 정체에 대해서도 떡밥이 던져졌는데, 지금까지는 히스토리아에 맡기고 뒷전에 물러나 있었기 때문에 직접 전투력은 낮다고 평가되었다. 그러나 아이린이 직접 엘자를 처리하라고 지시하는걸 보면 원래 주종목은 직접 전투로 보인다. 게다가 마지막에 마족눈을 뜨는걸 보면 그 또한 인간이 아닌 존재, 제레프서의 악마이거나 아이린의 두 부하처럼 인챈트로 창조된 존재일 가능성이 높다.
  • 페어리 테일/500화 . . . . 1회 일치
          * 사의 수는 물론 스프리건12와 오거스트, 아이린의 존재. 게다가 황제는 페어리 하트를 손에 넣으려 하고 있다.
  • 페어리 테일/501화 . . . . 1회 일치
          * 루시는 그 순간을 이용해 브랜디쉬의 머리 위로 이동, 보궁의 아쿠에리아스 폼으로 변신.
  • 페어리 테일/503화 . . . . 1회 일치
          * "악마적인 무언가의 힘에..."
  • 페어리 테일/510화 . . . . 1회 일치
          포박된 디마리아는 정신이 들었는지 "녀석은 악마"라고 기분 나쁜 말을 중얼거린다. 루시는 그렇다 않다고 반발한다.
  • 페어리 테일/521화 . . . . 1회 일치
          * [[아이린 베르세리온]]의 유니버스 원이 해제되면서 매그놀리아는 원래 모습을 되찾는다. 길드원들은 순식간에 익숙한 매그놀리아의 모습으로 돌아오는 걸 보고 환호성을 지르지만 아직도 적군의 력은 사라지지 않았다.
  • 페어리 테일/527화 . . . . 1회 일치
          * [[라케이드 드래그닐]]은 자신의 아버지, 아니 아버지라 믿었던 [[제레프 드래그닐]]에게 당해 죽어가면서도 그를 아버지라 부르며 애정을 갈구한다. 그러나 제레프는 그가 자신이 적은 책이며 거기서 나온 악마일 뿐이라며 라케이드를 깨끗하게 소멸시킨다.
  • 페어리 테일/529화 . . . . 1회 일치
          * 포격은 정확하게 명중하지만 아크놀로기아는 마법을 먹는 마룡. 조금의 타격도 줄 수 없었다. 곧 실탄기로 바꿔서 공격을 가해보지만 기관총 정도로는 맞추는 것도 불가능했다. 아크놀로기아는 자잘한 공격 따위는 비웃으며 총알을 피해 속도를 높여온다. 크리스티나호 측은 공격을 멈추고 속도를 올려 더욱더 목표를 끌어들인다.
  • 페어리 테일/545화 . . . . 1회 일치
          * 좋은 자리니만큼 술에 약한 루시도 일단 축하주를 마신다. [[카나 알베로나]]가 모처럼 경사스런 자리니 더 마시라며 나발을 강요하다 아버지 [[길다트 클라이브]]에게 "여자에게 너무 먹이지 마라"고 쓴소릴 듣는다. 길다트는 제법 아버지티가 나게 됐지만 쥬비아가 취해서 벗어재끼는 걸 보고 "역시 더 먹이는게 좋겠다"고 말을 바꾸는걸 보면 갈 길이 한참 멀었다. 결국 카나에게 두들겨맞는다.
  • 페이데이 2/인벤토리 . . . . 1회 일치
         [[화염]]. 착탄된 자리에 불을 지른다.
  • 페이데이 2/하이스트/베인 . . . . 1회 일치
         >우린 숲 속의 메스 제조소로 돌아간다. 이번에는 헥터의 뒤치닥거리가 아니다. 우리 이익을 위해 하는 일이다.
  • 페이데이: 더 하이스트 . . . . 1회 일치
          * 머키워터 용
  • 풍진 . . . . 1회 일치
         [[분류:질]]
  • 하이큐/234화 . . . . 1회 일치
          * 야마구치의 두 번째 서브. 이번엔 정확하게 테라도마리를 노린다. 테라도마리가 받아내지 못하면서 서브로만 2연속 득점. 스코어는 11대 9로 좁혀진다. 적절한 용술이 된 우카이 코치는 환호. 그러면서 야마구치의 급격한 성장세에 다시 한 번 놀란다.
  • 하이큐/251화 . . . . 1회 일치
          * 하지만 카라스노 응원단도 이대로 주저앉진 않았다. 증원군이 도착했다. 타나카의 누님 [[타나카 사에코]] 등장. 새로운 응원도구와 지원력을 대동하고 나타났다.
  • 하이큐/265화 . . . . 1회 일치
          쿠로오의 쇼크. 본인이 정말 그렇다고 말하니 꽤 충격이다. 하지만 코즈메는 다시 "조금 그렇다는 얘기"라며 소꿉친구의 호들갑을 차단했다. 단지 신경 쓴다는 이유만으로 몇 시간씩이나 연습할 수는 없고 애초에 배구가 싫었다면 하지도 않았다고 말했다. 물론 세상에는 [[히나타 쇼요]]처럼 100% 능동적이고 자주적인 동기로 배구를 하는 선수도 있다. 하지만 그런 쪽이 오히려 드물고, 그건 일종의 이다.
  • 핫라인 마이애미 . . . . 1회 일치
          * 유리
  • 해외결혼식 . . . . 1회 일치
         결혼식 풍속의 하나. 해외의 관광지에서 올리는 결혼식을 뜻한다. 호화, 사치스러운 결혼식으로서 행해지기도 하지만, 관광지 이벤트로서 비교적 간소하게 행해지는 경우도 있다.
  • 허드슨 대학교 . . . . 1회 일치
          * '''미국 픽션의 5대 신 대학'''. '''10/10으로 허드슨 1위.''' http://www.salon.com/2011/07/22/fictional_colleges/
  • 현기증 . . . . 1회 일치
         보통 [[눈]]을 감으면 괜찮아지기도 하지만 질 등으로 인한 현기증의 경우 눈을 감아도 별 차이가 없기도 하다.
  • 현실문화사 . . . . 1회 일치
         이후 1990년 10월, 보안사에서 탈영한 윤석양 이(당시 24세)이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위원회 사무실에서 보안사의 민간인 사찰을 폭로해 버렸다. 이 과정에서 보안사가 현실문화사를 운영하던게 드러난다.
  • 후쿠오카 예비교생 살인사건 . . . . 1회 일치
         피해자 키타카와 히카루는 얼굴, 목, 머리 등 20곳 이상을 찔렸으며, 원으로 옮겨지고 사망이 확인됐다. 현장에는 흉기로 보이는 대형 나이프 2개와 작은 [[도끼]]가 떨어져 있었다.
  • 히어로즈 포 하이어 . . . . 1회 일치
         돈을 받고 일하는 회사나 용에 가까우나 상당히 많은 히어로들이 거쳐갔으며 버전도 많다.
11531의 페이지중에 675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16-04-16 18:51:23
Processing time 1.0880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