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 뱌체슬라브 몰로토프 . . . . 11회 일치
뱌체슬라브 미하일로비치 몰로토프(Vyacheslav Mikhaylovich Molotov)
1941년 5월 스탈린은 몰로토프를 대신하여 각료회의(이전의 인민위원회) 의장이 되었고, 몰로토프는 제1부의장 지위로 내려갔다.
1947년에는 [[미국]]의 [[마셜 플랜]]에 대항하는 동구권 국가들의 경제 협력 강화 계획인 몰로토프 플랜을 입안하였고, 1949년 1월부터 이것이 실행되었다.
=== 몰로토프 칵테일 ===
[[화염병]]을 뜻하는 은어 [[몰로토프 칵테일]]은, [[소련]]과 [[핀란드]] 사이에서 벌어진 [[겨울전쟁]]에서 몰로토프가 소련군이 [[폭격]]을 퍼붓고 있음에도, "우리 군은 핀란드 인민에게 빵을 공수하고 있다."는 [[망언]]을 한 데서 비롯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이 발언에 빡친 핀란드 측에서 "빵을 받았으니 칵테일로 돌려주마!"라면서 화염병에 이름을 붙인 것이 어원이라고 한다.[http://chemistry.about.com/od/firecombustionchemistry/a/molotovcocktail.htm 참조출처]
어찌된 영문인지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는, 1941년 6월 독일이 소련을 침공하자 '몰로토프 칵테일'이라고 알려지게 된 화염병의 생산을 명령했다고 기록되어 있다.(…)[[http://preview.britannica.co.kr/bol/topic.asp?article_id=b07m4256a 참조]] 일본어 위키백과에서는 소련의 KS방화수류탄의 별명이 '몰로토프 수류탄'이라서 혼동된 것이 아닌가 하는 의견이 있는데, 인용 문헌이 없어서 확실하지 않다.[http://ja.wikipedia.org/wiki/%E3%83%A2%E3%83%AD%E3%83%88%E3%83%95%E7%81%AB%E7%82%8E%E6%89%8B%E6%A6%B4%E5%BC%BE 참조]
아무튼 본인은 딱히 화염병을 만들었는지 불확실하지만, 화염병 이야기만 나오면 몰로토프가 언급되면서 화염병의 대명사(…)로 살아가는 인물이다. 우리 문명이 멸망한 뒤에는 화염병의 신으로 추앙될지도 모른다.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장관 . . . . 4회 일치
* Chairman of the Council of the People's Commissars(인민위원평의회 의장) - 소련의 뱌체슬라프 M. 몰로토프
주요 인물: 소련의 [[뱌체슬라브 몰로토프|뱌체슬라프 M. 몰로토프]]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디시전 . . . . 2회 일치
* The Molotov-Ribbentrop Pact(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
* 발동 조건: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 - 역사적 결말" 이벤트에서 305일이 지나야 함.
- 화염병 . . . . 2회 일치
병에 휘발성 물질을 담고 불을 붙여 던지는 무기. 영어로는 [[뱌체슬라브 몰로토프|Molotov]] cocktail, Petrol bomb라고 한다.
- 맥스 페인 . . . . 1회 일치
* [[화염병|몰로토프 칵테일]]
- 맥스 페인 2: 맥스페인의 몰락 . . . . 1회 일치
* [[화염병|몰로토프 칵테일]]
11535의 페이지중에 6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