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 김희애 . . . . 12회 일치
||<-5><tablebordercolor=#c0c000><#c0c000><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TV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
||<-5><tablebordercolor=#c0c000><#c0c000><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TV부문 대상'''}}} ||
|| 제23회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 여심 ||
||<|3> 1993년 || 제29회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대상, 여자 최우수연기상''' ||<|2> [[아들과 딸]] ||
||<|2> 1994년 || 제30회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인기상 ||
||<|3> 2003년 || 제39회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 [[아내(드라마)|아내]] ||
||<|2> 2004년 || 제40회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대상''' ||
|| 2013년 || 제49회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 [[아내의 자격]][* 공교롭게도 제목에 '아내'가 들어가는 작품으로 2회나 백상에서 최우수 연기상을 수상하게 되었다.] ||
||<|5> 2014년 || 제50회 [[백상예술대상]] || LF패셔니스타상 || ||
- 문희(배우) . . . . 9회 일치
||<-5><#c0c000><tablewidth=100%><tablebordercolor=#c0c000> {{{+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영화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
이후 꾸준히 영화에 출연한 결과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유명해졌다. 또한 [[윤정희(1944)|윤정희]], [[남정임]]과 함께 1960년대~70년대 여자 영화 배우 트로이카의 한 사람으로도 유명했다. 그러다가 1971년 갑자기 [[한국일보]] 부사장 장강재와 [[결혼]]해 영화 출연이 뜸해졌다. 다른 원로 여배우들이 결혼후 각종 구설수에 오르던 것과 달리 화목하고 잡음없는 결혼생활을 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후 1993년 남편이 간암으로 사망하면서 사별하였다. 현재는 백상재단 이사장으로 지내고 있다고.
* 1967년 제3회 [[백상예술대상]] 영화 신인연기상
* 1968년 제4회 [[백상예술대상]] 영화 여자최우수연기상 《[[막차로 온 손님들]]》
* 1970년 제6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인기상
* 1971년 제7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인기상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우주연}}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
- 손예진 . . . . 9회 일치
손예진은 2000년 박기형 감독의 영화 《[[비밀 (2000년 영화)|비밀]]》에서 홍미조 역을 맡아 출연(목소리 출연)한 후, 오디션을 통해 이듬 해 2001년에 방영 된 TV 드라마 《[[맛있는 청혼]]》에서 여주인공 장희애 역을 맡아 본격적으로 연기 경력을 시작했다.<ref>{{웹 인용|url=http://koreajoongangdaily.joins.com/news/article/article.aspx?aid=1885703|title=Young, Charming and Innocent ? What More Could You Want?|date=12 March 2001|work=Korea JoongAng Daily}}</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38&aid=0000100807 '방송'손예진 MBC 최고 루키 선정], 《한국일보》. 2001년 9월 25일 작성.</ref> 첫 드라마 작품부터 주연으로 시작한 손예진은 데뷔와 동시에 큰 인기를 얻었고, 특유의 청순한 모습을 통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첫사랑 이미지로 각인되었다. 같은 해 그녀는 연이어 《[[선희 진희]]》에 출연하며 [[MBC 연기대상]] 신인상을 수상하였다. 2002년, 손예진은 픽션사극 드라마 《[[대망 (2002년 드라마)|대망]]》과 [[임권택]] 감독의 영화 《[[취화선]]》에 출연하였고, 이 영화는 제55회 [[칸국제영화제]] 공식경쟁부문에 초청 되었다. 같은 해 출연한 영화 《[[연애소설]]》(2002)는 233만명의 관객수를 기록,《[[클래식 (영화)|클래식]]》(2003)은 154만명의 관객수를 기록하며 그녀의 초기 경력에서 가장 큰 성공을 안겨주었고, 점차 주목 받기 시작했다. 《클래식》은 현재까지도 아름다운 멜로 영화로 회자되며, 손예진의 맑고 순수한 이미지로 인해 단숨에 청순 아이콘으로 떠올랐다.<ref>{{웹 인용|url=http://kpopherald.koreaherald.com/view.php?ud=201606101410484008937_2|title=Korean stars dubbed ‘Nation’s first love’|website=The Korea Herald|date=10 June 2016}}</ref> 이 작품들을 통해 2002년 제22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신인여우상과, 2003년 제39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신인연기상, 제40회 [[대종상 영화제]]에서 신인여우상을 수상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살인의 추억' 대종상 4개부문 석권(종합) |url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0396132|출판사 ='살인의 추억' 대종상 4개부문 석권(종합) |저자 =김병규 |날짜 = 2003-06-20 |확인날짜 =2017-09-16 }}</ref> 손예진은 2003년 TV 드라마 《[[여름향기]]》에서 여주인공 심혜원 역을 연기했다. 이 작품은 [[한류 (문화)|한류 문화]]의 주역인 [[윤석호 (연출가)|윤석호]] PD의 ‘[[가을동화]]’, ‘[[겨울연가]]’를 잇는 계절 시리즈 세 번째 작품으로 큰 주목을 받았다.
손예진은 2006년 노자와 히사시의 동명 소설을 기반으로 한 TV 드라마 《[[연애시대]]》에서 수영강사 유은호 역을 연기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손예진 "대본 보고 이런 게 사랑이라 생각했죠"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1240659|출판사 =연합뉴스 |저자 =백나리 |날짜 = 2006-03-09 |확인날짜 =2017-09-16 }}</ref> 이 드라마는 ‘이혼후 다시 시작하는 연애’라는 참신한 소재로 호평을 받았으며, 20대 여배우가 선뜻 마음먹기 힘든 이혼녀를 연기, 더 이상 예쁜 얼굴만 무기가 되는 여배우가 아님을 인정 받았고, 이혼 했지만 묘하게 남아있는 미련, 헤어진 뒤 비로소 시작된 사랑의 감정을 자연스럽고도 설득력있게 그려내며 드라마의 인기를 견인했다.<ref>{{뉴스 인용 |url=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0704241121121116|제목=손예진, "'연애시대'통해 현실적사랑 생각하게됐다" |출판사=마이데일리|날짜=2007-04-24|확인날짜 =2017-09-09}}</ref> [[SBS 연기대상]] 여자최우수연기상, 제43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최우수연기상을 수상하는 등 연기력을 크게 인정받았다.<ref>{{뉴스 인용 |url=http://star.moneytoday.co.kr/view/stview.php?no=2007042514301218841&type=1&outlink=1|제목='연애시대' 손예진, 백상 TV부문 최우수여자연기상 |출판사=스타뉴스|날짜=2007-04-25|확인날짜 =2017-09-09}}</ref> 2007년 손예진은 국내 애니메이션 영화 《[[천년여우 여우비]]》에서 주인공 여우비의 목소리 연기를 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손예진 "성인 목소리 나올까봐 걱정했죠" |url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5&oid=001&aid=0001910455|출판사 =연합뉴스 |저자 =홍성록|날짜 = 2006-12-22|확인날짜 =2017-09-09}}</ref>
2008년, 손예진은 TV 드라마 《[[스포트라이트 (드라마)|스포트라이트]]》로 2년여만에 브라운관에 복귀하였다.<ref>[http://www.koreatimes.co.kr/www/news/art/2008/05/201_24097.html "Spotlight Shows Lives of Reporters"]. ''The Korea Times''. 13 May 2008.</ref><ref>{{웹 인용|title=SON Ye-jin as a Criminal Kingpin|url=http://www.koreanfilm.or.kr/jsp/news/news.jsp?mode=VIEW&seq=741|work=Korean Film Council|date=26 July 2007}}</ref> 같은 해 영화 《[[무방비도시 (2008년 영화)|무방비도시]]》에서 소매치기 조직을 진두지휘하는 리더 백장미 역을 연기했으며,<ref>{{뉴스 인용 |제목 =손예진, "섹시함 유지, 가장 힘들어"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76&aid=0000088606|출판사 =스포츠조선 |저자 =김경민 |날짜 = 2008-01-04 |확인날짜 =2017-09-16 }}</ref><ref>{{웹 인용|url=https://web.archive.org/web/20140202223903/http://twitchfilm.com/2006/09/alone-in-love-review.html|title=Alone in Love Review|성=|이름=|date=1 September 2006|work=Twitch Film|출판사=|확인날짜=2018-04-12}}</ref><ref>{{웹 인용|title=Actress Son Ye-jin's Movie Picks|url=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122317340286147|work=10Asia|date=23 December 2011}}</ref> 박현욱 작가의 동명의 소설을 기반으로 영화 《[[아내가 결혼했다 (영화)|아내가 결혼했다]]》에서 자유로운 연애를 조건으로 달고 결혼한 후에도 다른 남자를 사랑하길 멈추지 않는 주인아 역을 연기했다.<ref>{{웹 인용|title=SON Ye-jin puts a new spin on marriage|url=http://www.koreanfilm.or.kr/jsp/news/news.jsp?mode=VIEW&seq=914|work=Korean Film Council|date=11 February 2008}}</ref> 그녀의 연기는 평단의 호평을 받아 제29회 [[청룡영화상]] 여우주연상, 제4회 [[대한민국 대학영화제]] 여우주연상, 제45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최우수연기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뤘다.<ref>{{뉴스 인용 |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0811210837541003|제목=눈물의 손예진 유일무이 3관왕 석권 기염, 청룡 여우주연상-인기스타상-베스트커플상 |출판사=뉴스엔|날짜=2008-11-21}}</ref><ref>{{뉴스 인용|url=http://news.hankooki.com/lpage/sports/200812/h2008121108013691980.htm|제목=손예진 '대한민국 대학영화제' 여우주연상|출판사=한국일보|날짜=2008-12-11|확인날짜=2014-02-18|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81224030924/http://news.hankooki.com/lpage/sports/200812/h2008121108013691980.htm#|보존날짜=2008-12-24|깨진링크=예}}</ref><ref>{{뉴스 인용 |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1&aid=0002411169|제목=김윤석.손예진, 영화학도가 뽑은 최고 배우|출판사=연합뉴스|날짜=2008-12-15}}</ref><ref>{{뉴스 인용 |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09022720042800689&type=1&outlink=1|제목=손예진, '아내가 결혼했다'로 여우주연상 3연패 |출판사=머니투데이|날짜=2009-02-27}}</ref> 2009년, 동명의 소설을 기반으로 한 영화 《[[백야행 (영화)|백야행 - 하얀 어둠 속을 걷다]]》에서 욕망으로 가득찬 치명적인 매력의 여자 유미호 역을 연기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손예진, 차기작 ‘백야행’서 고수와 멜로호흡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1996689|출판사 =마이데일리 |저자 =남안우 |날짜 = 2008-12-15 |확인날짜 =2017-09-16 }}</ref><ref>[http://www.koreatimes.co.kr/www/news/art/2009/11/141_53971.html "Son Ye-jin, Ko Soo to Bring Mystery Romance"]. ''The Korea Times''. 21 October 21 2009.</ref>
2016년에는 손예진이 주연을 맡은 두 편의 영화 《[[비밀은 없다]]》, 《[[덕혜옹주 (영화)|덕혜옹주]]》가 개봉 되었다.<ref>{{뉴스 인용 |제목 =손예진 "'비밀'덕혜'가 2016년의 나..말그대로 다사다난"(직격인터뷰①)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2578621|출판사 =스타뉴스 |저자 =김현록 |날짜 = 2016-12-21 |확인날짜 =2017-09-16 }}</ref> 이경미 감독의 영화 《비밀은 없다》는 비록 25만 관객을 동원하며 흥행에는 실패했지만, 손예진은 평론가의 호평을 받으며 제36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여우주연상, 제22회 [[춘사영화상]] 여우주연상을 받으며 연기력을 인정받았다.<ref>{{뉴스 인용 |제목 ='비밀은 없다' 손예진 연기, 촬영·미술이 살렸다? |url =http://www.munhw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5111|출판사 =문화뉴스 |저자 =양미르 |날짜 = 2017-09-02 |확인날짜 =2017-09-16 }}</ref> 대한민국의 마지막 황녀 [[덕혜옹주]]의 삶을 그린 [[허진호]] 감독의 영화 《덕혜옹주》는 560만명의 관객수를 동원하며 여성 원톱 영화로서는 보기 드문 흥행도 일궈냈으며, 손예진의 인생작이라는 호평을 받았다.<ref>{{뉴스 인용 |제목 =[핫 아이콘★②] 손예진 "'덕혜옹주'·'비밀은 없다', 두려움 많았던 작품"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27&aid=0000026414|출판사 =OBS 독특한 연예뉴스 |저자 =조연수 |날짜 = 2017-01-02 |확인날짜 =2017-09-16 }}</ref> 이 작품으로 제37회 [[청룡영화상]] 여우주연상 후보에 올랐으며, 제53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최우수연기상을 수상하였다.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최우수연기}}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우주연}}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
[[분류:198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2000년 데뷔]][[분류:김포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올해의 영화상 수상자]][[분류: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수상자]][[분류: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수상자]][[분류:춘사영화상 수상자]][[분류:부일영화상 수상자]][[분류:대종상 여우주연상 수상자]][[분류:청룡영화상 여우주연상 수상자]][[분류:대종상 신인여우상 수상자]][[분류:SBS 연기대상 여자 최우수연기상 수상자]][[분류:백상예술대상 수상자]]
- 이창동 . . . . 8회 일치
* 1996년 제32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시나리오상
* 1997년 제33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작품상
* 1997년 제33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신인감독상
* 1997년 제33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시나리오상
* 2003년 제39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감독상
* 2008년 제44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감독상
* 2011년 제47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감독상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감독}}
- 고아성 . . . . 7회 일치
2015년 SBS 드라마 《[[풍문으로 들었소]]》으로 브라운관에 복귀한 고아성은 성인 연기자로 변신에 성공했고,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등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뤘다. 2017년 [[MBC]] 드라마 《[[자체발광 오피스]]》으로 드라마 첫 주연을 맡았다.<ref>{{뉴스 인용 |제목 =고아성 “부당한 경험 있어...은호원에게 감정이입했죠” |url =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170522010007552|출판사 =브릿지경제 |저자 =조은별|날짜 = 2017-05-24|확인날짜 =2017-09-07}}</ref>
| 제43회 [[백상예술대상]]
| 제46회 [[백상예술대상]]
| 제50회 [[백상예술대상]]
| 제51회 [[백상예술대상]]
| 제55회 [[백상예술대상]]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신인연기}}
- 소지섭 . . . . 7회 일치
| 제40회 [[백상예술대상]]
| 제41회 [[백상예술대상]]
| 제45회 [[백상예술대상]]
| 제46회 [[백상예술대상]]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남자 신인연기}}
[[분류:1977년 태어남]][[분류:진주 소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청운대학교 동문]][[분류:1995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백상예술대상 수상자]][[분류:대종상 수상자]][[분류:부일영화상 수상자]][[분류: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수상자]][[분류: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수상자]][[분류:KBS 연기대상 남자 우수연기상 수상자]][[분류:군포시 출신]]
- 하정우(영화감독) . . . . 7회 일치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0c000><#c0c000><-5> {{{+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영화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2011년]] 연말, 말 한마디 잘못 했다가 국토대장정을 떠났다. [[2011년]] [[5월]]에 열린 제47회 [[백상예술대상]]에서 작년도 수상자로서 남우주연상 시상자로 나와서 2년 연속으로 수상하게 되면 국토대장정을 떠나겠다는 공약을 내세웠다. 그리고 ''''감사합니다. <[[황해(영화)|황해]]> 하정우.'''' 라고 발표하며 어색하게 웃었고 '''진짜로 갔다.'''[* 이 당시 그와 함께 시상자로 참가했던 [[하지원]]은 그 이후로 공약에 대해서 묻지 않는단다. ~~하정우처럼 했다 또 그러면?? 그 땐 하지원도 가야지.~~] 그리고 다른 배우들과 같이 국토대장정 하는 소재로 --반쯤 다큐인 영화-- '577 프로젝트'가 [[2012년]] [[8월 30일]]에 개봉했다. 제목이 지어진 배경은 이 프로젝트를 --작당-- 계획한 장소가 압구정의 '577술집'[* [[영화]]에서도 회의 장소로 나온다. 하정우의 단골집이기도 하다.]이기 때문.--577km 아니었어?--
* 출중한 연기력과 주연작으로만 1억 관객을 돌파했을 정도로 티켓파워가 어마어마한데 비해 의외로 상과 크게 인연이 없다. 물론 [[백상예술대상]]에서 남우주연상에 해당하는 영화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을 3회나 수상했지만, 아직 [[대종상]]과 [[청룡영화상]]에서 인기상 외에 수상한 적이 없다.
|| 제49회 [[백상예술대상]] || '''영화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베를린 ||
|| 제47회 [[백상예술대상]] || '''영화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2> 2010 || 제46회 [[백상예술대상]] || '''영화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2> 국가대표 ||
- 한가인 . . . . 7회 일치
| 제40회 [[백상예술대상]]
| 제40회 [[백상예술대상]]
| 제40회 [[백상예술대상]]
|<ref>{{웹 인용|url=http://isplus.live.joins.com/award/bs/2013/history/h_history.asp?menuid=1&R=40|제목=제40회 백상예술대상 수상작 수상자|출판사=하이원 백상예술대상|확인날짜=2014-02-24|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227214153/http://isplus.live.joins.com/award/bs/2013/history/h_history.asp?menuid=1&R=40|보존날짜=2014-02-27|깨진링크=예}}</ref>
| 제48회 [[백상예술대상]]
|<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3&aid=0000017312 |제목=백상예술대상 오늘(26일) 개최 ‘해품달’ 잔치되나?..최다 노미네이트|출판사=뉴스엔미디어|저자=하수정|날짜=2012-04-26|확인날짜=2014-02-24}}</ref>
- 백상원 . . . . 6회 일치
|선수명 = 백상원
'''백상원'''(白相元, [[1988년]] [[1월 2일]] ~ )은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내야수]]이다.
시즌 후 곧바로 [[상무 야구단]]에 입대하여<ref>조이 뉴스 24 - 2010년 10월 26일 기사 [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120&g_serial=523983 "홍희정의 아웃사이더: 퓨처스 남부 리그 수위 타자 백상원, 삼성 내야의 미래"]</ref> 복무를 마치고 [[2012년]]에 제대했다.
[[2013년]] [[4월 27일]] [[KIA 타이거즈|KIA]]전을 앞두고 처음으로 1군에 등록되어 그 날 경기에서 대수비로 출전했다. 하지만 이후에는 1군에서 안타를 기록하지 못해 2군에 계속 머물러 있다가, [[김상수 (1990년)|김상수]]의 부상으로 다시 1군에 올라와 [[2013년]] [[10월 3일]] [[롯데 자이언츠|롯데]]전에서 [[김성배 (야구 선수)|김성배]]를 상대로 데뷔 첫 안타와 타점을 올렸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629325 '백상원을 아시나요' 삼성의 화수분 야구는 계속 된다] - OSEN</ref>
이름에 '백상'이 들어가 '백상아리'라고 불린다.
- 수애 . . . . 6회 일치
| 제41회 [[백상예술대상]]
| 제45회 [[백상예술대상]]
| 제47회 [[백상예술대상]]
| 제48회 [[백상예술대상]]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
[[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1999년 데뷔]][[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백상예술대상 수상자]][[분류:청룡영화상 여우주연상 수상자]][[분류:대종상 여우주연상 수상자]]
- 이정재(영화배우) . . . . 6회 일치
||2015||제51회 [[백상예술대상]] 인스타일 베스트 스타일상|| ||
||2014||제50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남자 조연상||관상||
||1999||제35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인기상||태양은 없다||
||1997||제33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인기상||불새||
||1995||제31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남자 신인연기상||젊은남자||
||1995||제31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 신인연기상||모래시계||
- 고현정(미스코리아) . . . . 5회 일치
||<:><-5><table align=center><tablewidth=100%><#c0c000><tablebordercolor=#c0c000> {{{+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TV부문 대상'''}}} ||
[[선덕여왕(드라마)|선덕여왕]]으로 2009년 MBC 연기대상을 수상하였고, 드라마가 끝난 다음 해에도 2010년 [[백상예술대상]], 2010년 [[한국방송공사]] 탤런트상, 2010년 서울드라마어워즈 한류스타상 등을 석권하여, 완벽한 일인자의 자리에 올랐다. 이후 다른 드라마에서 주인공 또는 조연이 '미실'을 흉내내는 장면이 나오거나 성격을 묘사하면서 언급된 작품이 공중파만 무려 3개로[* '[[역전의 여왕]]' '[[최고의 사랑]]' '[[마이 프린세스]]'.], 드라마 작가들에게도 어지간히 강한 인상을 남겼던 것 같다. ~~[[육룡이 나르샤]]는 작가가 같으니까 제외;; ~~
|| 1992년 || [[백상예술대상]] || TV 부문 여자 신인 연기상 || [[대추나무 사랑걸렸네]] ||
||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대상''' ||
- 김갑수(배우) . . . . 5회 일치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c0c000><#c0c000> {{{+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영화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그 이전에도 연극계에서 유명세를 떨쳤으나[* '님의 침묵'이라는 연극에서 한용운 선생역을 연기함으로서, 그쪽에선 이미 유명인사였다 한다. 관객동원수는 자그마치 약 3만명. 그는 이 작품으로 백상 예술대상을 비롯 총 5개의 상을 받았다. 그는 이 수상을 계기로 영화 '태백산맥'에 케스팅 되기도 했다.] 이 단 한 편의 드라마로 톱 중년 연기자로 단숨에 발돋움한 그는 그 이후로도 주로 현대극도 꽤 했지만 주로 사극에 많이 출연하게 된다.
|| 1990년 ||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남자 신인연기상 || 역사는 흐른다 ||
||<|2> 1995년 || 백상예술대상 || 영화부문 남자최우수연기상 ||
- 김국진(MC) . . . . 5회 일치
||<-5><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0c000><#c0c000><tablewidth=100%> {{{+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TV부문 남자 코미디연기상'''}}} ||
* 1997 [[백상예술대상]] 남자코미디언 연기상
* 1999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인기상
* 2001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인기상
- 김민희(1982) . . . . 5회 일치
||<-5><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0c000><table width=100%><#c0c000> {{{+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영화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
이후 [[2008년]] 영화 《[[뜨거운 것이 좋아]]》로 2008년 제44회 [[백상예술대상]]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제49회 [[백상예술대상]] || '''영화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
|| 제44회 [[백상예술대상]] || '''영화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
- 문근영 . . . . 5회 일치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c0c000><#c0c000> {{{+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TV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
[[SBS 연기대상]]에서 [[신윤복]] 역으로 정향 역을 맡았던 [[문채원]]과 함께 베스트 커플상을 수상했고, 연기대상까지 수상했다. 통상 연기대상은 관례상 시청률이 높은 자사 드라마의 주연 내지는 자사 드라마에 출연해 주길 바라는 거물급 배우에게 수여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히 파격적인 수상이었다. [[박신양]]의 [[김홍도]]가 캐릭터로서의 매력이 완전히 사라진 상태에서 드라마를 혼자 이끈 문근영의 공을 감안해도 10%대의 드라마 주연에게 연기 대상을 수여하는 일은 파격적이었다. 이로써 문근영은 만 21세에 연기대상을 수상, 방송 3사 통틀어 2번째로 어린 나이에 연기대상이라는 기록을 남겼다.[* 참고로 역대 최연소 연기대상 수상자는 1998년 [[미스터Q(드라마)|미스터Q]]의 [[김희선]](당시 만 21세). SBS 연기대상은 그 해 12월 31일에 진행되고, 생일이 12월과 가까울수록 어린 나이가 되므로, 만 21세 때 대상을 수상한 두 사람 중 생일이 6월인 김희선이 역대 최연소 수상자다.] 이날 대상을 수상한 문근영은 수상소감 내내 몸을 바들바들 떨정도로 기쁨보다 두려움이 먼저 앞선다며 대상 수상을 버거워하기도 했다. 백상예술대상에서 드라마부문 여자 최우수상(방송)을 수상하기도 했다.
||<|2> 2009년 || 제45회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2> 바람의 화원 ||
|| 제47회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여자 인기상 || 신데렐라 언니 ||
- 유동근(배우) . . . . 5회 일치
||<-5><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c0c000><table align=center><#c0c000> {{{+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2> 1997년 ||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3> 1998년 ||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2년 연속수상.] ||
|| 2000년 ||<|2>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인기상 || 남의 속도 모르고 ||
- 정성주 . . . . 5회 일치
| 수상 = 제50회 백상예술대상 극본상<br />제36회 백상예술대상 극본상
* 제50회 [[백상예술대상]] 극본상 ([[밀회 (드라마)|밀회]])
* 제36회 [[백상예술대상]] 극본상 ([[장미와 콩나물]])
[[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각본가]][[분류:195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이화여자대학교 동문]][[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극작가]][[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백상예술대상 수상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
- 정혜선(배우) . . . . 5회 일치
||||||||||||||<#c0c000><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TV부문 대상'''}}} ||
||<width=30%><:>―[br][* 백상예술대상 TV부문은 1979년 제15회 시상식부터 수상했다.] ||<:> → ||<width=30%><#FFFFA1><:> '''정혜선'''/[[김혜자]]/[[김영옥(배우)|김영옥]][br]'''(1979)''' ||<:> → ||<width=30%><:>김민자[br](1980) ||
||<-5><#c0c000><table width=100%> {{{+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TV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
- 최지우(영화배우) . . . . 5회 일치
[[올가미(영화)|올가미]]가 그녀의 스크린 데뷔작이다.[* 1996년에 개봉하여 똥폼만 잡고 끝난 '귀천도'에 여주인공으로 출연하기로 하였으나, 건강문제로 인하여 도중 하차한다. ] 흥행은 못했지만 나름 호연과 더불어 백상예술대상에서 신인상까지 수상했다. 문제는 1997년 <올가미> 출연 이후 영화에도 꾸준히 출연하였으나, '''흥행작이 없다'''. <[[인정사정 볼 것 없다]]>에도 출연했지만, 일단 이 영화는 [[안성기]]와 [[박중훈]]의 비중이 워낙 큰 데다 [[장동건]]이 조연으로 출연했기 때문에 아무도 최지우가 나온 것을 기억하지 못한다.
||<|2> 1998년 || [[백상예술대상]] ||<|2> 신인여우상 ||<|2> [[올가미(영화)|올가미]] ||
||<|3> 2002년 ||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인기상 || [[겨울연가]] ||
||<|2> 2004년 ||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여자 인기상 ||
|| 2005년 || 백상예술대상 || 한류특별상 || ||
- 김민기(가수) . . . . 4회 일치
||<-5><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0c000><tablewidth=100%><#c0c000> {{{+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연극부문 대상'''}}} ||
||<#9FC93C> {{{#white '''수상 경력'''}}} ||<#FFFFFF> [[백상예술대상]] 음악상 '개똥이' [br] 한국평론가 협회 음악극 부문 연극상 [br] 서울연극제 극본상, 특별상 《[[지하철 1호선]]》 [br] 한국연극협회 '98 우수공연 5' 단체상, 번안상 《의형제》 [br] 제35회 동아 연극상 작품상 《의형제》 [br] 제6회 한국 뮤지컬 대상 특별상 [br] 제37회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분 대상 및 연출상 《의형제》 [br] 파라다이스상 문화예술부문 [br] [[괴테 메달]] [br] 제5회 [[더 뮤지컬 어워즈]] 공로상 [br] 제10회 [[한국대중음악상]] 공로상 [br] 2018년 대중문화예술상 [[문화훈장]] 은관 ||
- 김영철(배우) . . . . 4회 일치
||<-5><tablebordercolor=#c0c000><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c0c000> {{{+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 1989년 25회 [[백상예술대상]] TV 부문 남자 최우수 연기상
* 2001년 37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 최우수 연기상
- 백진희 . . . . 4회 일치
| 제46회 [[백상예술대상]]
| 제4회 [[백상예술대상]]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신인연기}}
[[분류:199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2008년 데뷔]][[분류:부산광역시 출신]][[분류:수원 백씨]][[분류:백상예술대상 수상자]]
- 유인촌 . . . . 4회 일치
||<table width=100%><-5><#c0c000> {{{+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영화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5><tablebordercolor=#c0c000><table align=center><#c0c000> {{{+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 박경림(MC) . . . . 3회 일치
||<-5><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0c000><#c0c000><tablewidth=100%> {{{+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TV부문 여자 코미디연기상'''}}} ||
||<|3> 2001년 ||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여자예능상 || [[전파견문록]] ||
- 박명수(MC) . . . . 3회 일치
||<-5><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0c000><#c0c000><tablewidth=100%> {{{+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TV부문 남자 예능상'''}}} ||
* 2008년 제44회 [[백상예술대상]] TV예능상
- 박신혜 . . . . 3회 일치
박신혜는 2014년 11월부터 방영 된 드라마 《[[피노키오 (드라마)|피노키오]]》에 캐스팅 되어 《[[천국의 나무]]》 PD였던 조수원 감독과 9년만에 재회하게 됐다.<ref>{{뉴스 인용 |제목 ='피노키오' 박신혜 "작품 기다리는 배우, 취준생의 심정"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311&aid=0000404814|출판사 =엑스포츠뉴스 |저자 =김승현 |날짜 = 2014-11-06 |확인날짜 =2014-11-10 }}</ref> 이 작품은 방송국 사회부 기자들의 삶과 24시간을 함께 하며 전쟁같이 보내는 이들이 설레는 관계로 발전해가는 풋풋한 청춘을 그린 드라마로 박신혜는 거짓말을 하면 딸꾹질을 하는 가상의 증후군인 '피노키오 증후군'을 앓고 있는 최인하 역을 연기하였고, 실제 사회부 기자들의 실상이나 문화를 현실적으로 잘 반영해 호평을 받았다.<ref>{{웹 인용|url=http://www.koreaherald.com/view.php?ud=20140904000373|title=Park Shin-hye confirmed to star in ‘Pinocchio’|publisher=The Korea Herald|accessdate=2014-09-08}}</ref><ref>{{웹 인용|title=Cultural Exports to Surpass 1 Trillion Won This Year|url=http://www.businesskorea.co.kr/english/news/lifestyle/8231-culture-trade-balance-cultural-exports-surpass-1-trillion-won-year|work=Business Korea|accessdate=2015-10-24|date=2014-12-26}}</ref><ref>{{웹 인용|title=‘Pinocchio’ sells distribution rights to China for record price|url=http://kpopherald.koreaherald.com/view.php?ud=201411241750324868840_2|work=Kpop Herald|accessdate=2015-10-24|date=2014-11-24}}</ref> 박신혜는 [[SBS 연기대상]] 중편드라마부문 여자최우수연기상과 베스트 커플상, 10대스타상 3관왕을 수상했다. 또한 제51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최우수연기상 후보에 올랐으며, 지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5년 연속 인기상을 수상하는 대기록을 세웠다.<ref>{{뉴스 인용 |제목 =박신혜, 5년 연속 인기상 수상…대세 여배우 입증 [51th 백상]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2612085|출판사 =마이데일리 |저자 =이은지 |날짜 = 2015-05-26 |확인날짜 =2017-09-20 }}</ref> 같은 해 12월, 개봉 된 사극 영화 《[[상의원]]》에 왕비 역을 연기하였다.
2016년 6월, 첫 방영 된 메디컬 드라마 《[[닥터스 (드라마)|닥터스]]》에 캐스팅 된 박신혜는 학창시절 무기력한 반항아에서 사랑이 충만한 국일병원 신경외과 펠로우 의사로 성장하는 유혜정 역을 맡아<ref>{{뉴스 인용|제목=박신혜·김래원, '닥터스' 본방사수 독려 "오늘 첫방 아시죠?"|url=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606210100156110010947&servicedate=20160620|출판사=스포츠조선|저자=정유나|날짜=2016-06-20|확인날짜=2016-06-20}}</ref> 한층 더 발전한 연기력을 선보였고, 드라마는 최고 시청률 21.3%의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많은 사랑을 받으며 따뜻한 감성 드라마로 호평를 받았다.<ref>{{뉴스 인용 |제목 ='닥터스' 박신혜, 이게 바로 인간 승리…'공부의 신' 됐다 (종합)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68&aid=0000162374|출판사 =스포츠서울 |저자 =김수현 |날짜 = 2016-06-21 |확인날짜 =2016-06-21 }}</ref> 연출을 맡은 오충환 감독은 제작발표회 당시 박신혜에 대해 “촬영장 공식 명칭이 ‘우리 신혜’다. 오전, 오후로 미담을 만들어 내고 있다. 처음으로 내가 열심히 해서 배우를 잘 되게 만들어 주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연기도 좋고 인성도 좋다”고 말했다.<ref name="mbn" /> 박신혜는 연말 [[SBS 연기대상]] 장르&판타지드라마부문 여자최우수연기상, 10대스타상 3관왕을 수상했우며, 제53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최우수연기상 후보에 올랐다. 이 작품을 통해 박신혜는 20대 여배우 중 가장 주목 받는 한류 스타이자 대표하는 ‘흥행배우’로 성장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닥터스' 종영기획②] '3연속 흥행퀸' 박신혜, 믿고 보는 20대 女배우 우뚝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2807409|출판사 = 마이데일리|저자 =최지예 |날짜 = 2016-08-24 |확인날짜 =2016-09-01 }}</ref><ref>{{뉴스 인용 |제목 =[SS이슈]'닥터스' 박신혜,안방 흥행여왕+20대 CF퀸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68&aid=0000169345|출판사 =스포츠서울 |저자 =조현정 |날짜 = 2016-07-12 |확인날짜 =2013-09-01 }}</ref> 2016년 11월 개봉 된 코미디 영화 《[[형 (2016년 영화)|형]]》에서 국가대표급 오지랖 유도코치 이수현 역을 연기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박신혜, 만났다하면 케미퀸…이번엔 조정석x도경수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213&aid=0000923745|출판사 =TV리포트 |저자 =김수정 |날짜 = 2016-11-08 |확인날짜 =2016-11-10 }}</ref>
- 백일섭 . . . . 3회 일치
* [[1975년]] 제11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1993년]] 제29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인기상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남우주연}}
- 봉준호 . . . . 3회 일치
* [[2014년]] 제50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감독상
* [[2007년]] 제43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작품상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감독}}
- 에릭 (가수) . . . . 3회 일치
* 제41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 신인연기상
* 제41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인기상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 신인연기}}
- 이경실 . . . . 3회 일치
||<-5><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0c000><#c0c000><tablewidth=100%> {{{+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TV부문 여자 코미디연기상'''}}} ||
* 1994 제30회 백상예술대상 TV 여자예능상
- 이보희(배우) . . . . 3회 일치
||<-5><#c0c000><tablewidth=100%><tablebordercolor=#c0c000> {{{+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영화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
80년대 활동한 여성 연기자들 중에서 보면 최전성기 기준으로 당대 최고로 평가받았으나 전성기가 짧은 편. 1984년 [[무릎과 무릎 사이]]에서 주연을 맡아 영화 흥행을 이끌어 낸 후 1985년에 [[어우동]]에서 원탑 주연을 맡아 그해 [[깊고 푸른 밤]] 다음으로 한국영화 최고 흥행을 이루면서 전성기를 맞았고, 그뒤 88년 초반까지 영화 흥행에도 성공을 거두면서 백상예술대상을 비롯한 주요 영화제 상도 휩쓸면서 흥행과 연기력 양쪽으로 인정을 받았으나, 88년에 결혼 후 잠정 은퇴하면서 전성기가 순식간에 꺾였다. 그러나 전성기라고 해도 영화에 한정되어 있다 보니 대중성이 좋은 드라마까지 흥행시킨 원미경이나 이미숙, 드라마만 흥행시킨 정애리보다는 인기의 등급이 떨어지는 편이었다.
- 이요원 . . . . 3회 일치
| 제38회 [[백상예술대상]]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1998년 데뷔]][[분류:성남시 출신]][[분류:전주 이씨]][[분류:단국대학교 동문]][[분류:SBS 연기대상 여자 최우수연기상 수상자]][[분류:MBC 연기대상 여자 최우수연기상 수상자]][[분류:그리메상 수상자]][[분류:춘사영화상 수상자]][[분류:청룡영화상 신인여우상 수상자]][[분류:백상예술대상 수상자]][[분류:디렉터스 컷 시상식 수상자]]
- 이휘향 . . . . 3회 일치
* 1986년 [[MBC]] 주말연속극 《[[풀잎마다 이슬]]》 ... 백상희 역
| 제27회 [[백상예술대상]]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최우수연기}}
- 천호진 . . . . 3회 일치
| 제28회 [[백상예술대상]]
| 제54회 [[백상예술대상]]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 신인연기}}
- 한진희(1949) . . . . 3회 일치
||<-5><tablewidth=100%><tablebordercolor=#c0c000><table align=center><#c0c000> {{{+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동양방송|TBC]] 연기대상을 1975년, 1976년 2회 연속 수상한 1970년대 [[동양방송|TBC]]의 간판 배우이고 [[주말 드라마]] [[애정의 조건]]으로 제13회 백상예술대상 최우수연기상(남자부문)을 수상하기도 했다.
- 김준현(코미디언) . . . . 2회 일치
||<-5><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0c000><#c0c000><tablewidth=100%> {{{+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TV부문 남자 예능상'''}}} ||
- 김청(1962년 6월) . . . . 2회 일치
||<-5><tablebordercolor=#c0c000><#c0c000><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TV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
- 서효림 . . . . 2회 일치
| 학력 = 서귀포시백상치과의원
* 서귀포시백상치과의원
- 손지창 . . . . 2회 일치
* 1993년 제29회 백상예술대상 TV부분 신인연기상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 신인연기}}
- 송재호(배우) . . . . 2회 일치
||<-5><tablebordercolor=#c0c000><table align=center><tablewidth=100%><#c0c000> {{{+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 심현섭(코미디언) . . . . 2회 일치
||<-5><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0c000><#c0c000><tablewidth=100%> {{{+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TV부문 남자 코미디연기상'''}}} ||
- 유지인(1956) . . . . 2회 일치
||<-5><#c0c000><tablewidth=100%><tablebordercolor=#c0c000><tablealign=center> {{{+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영화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
- 윤정희(1944) . . . . 2회 일치
||<-5><#c0c000><tablewidth=100%><tablebordercolor=#c0c000> {{{+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영화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
- 이경영(1960) . . . . 2회 일치
||<table width=100%><-5><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0c000><#c0c000> {{{+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영화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 이미연 (배우) . . . . 2회 일치
* 1990년 제26회 [[백상예술대상]] 영화 부문 신인연기상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
- 이민우(배우) . . . . 2회 일치
* 1985년 제21회 [[백상예술대상]] (당시 한국 연극 영화 TV 예술상) 아역상 《TV 문학관 '저승새'》
* 1995년 제31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신인연기상 《춘향전》
- 이민호(1987) . . . . 2회 일치
||<|3> 2009년 || 제45회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남자 신인연기상 ||<|3> 꽃보다 남자 ||
||<|8> 2015년 ||<|2> 제51회 백상예술대상 || 영화부문 인기상 ||<|4> [[강남1970]] ||
- 이순재(1935년 10월) . . . . 2회 일치
* 1977 제3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2009 제45회 백상예술대상 공로상
- 이혜숙(영화배우) . . . . 2회 일치
||<-5><tablebordercolor=#c0c000><tablewidth=100%><#c0c000> {{{+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영화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
- 임현식(배우) . . . . 2회 일치
||<-5><tablebordercolor=#c0c000><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c0c000> {{{+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 장서희(1972) . . . . 2회 일치
하지만 성인이 되고 나서는 별 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다. 데뷔 직후에는 '[[백상예술대상]]'에서 신인상을 수상하고 '[[뽀뽀뽀]]'의 뽀미언니(7대)를 맡는 등 나름대로 인지도가 있었으나, 그 이후로 인기를 얻지 못해 조연이나 단역 생활에 머물러야 했다. 《[[허준(드라마)|허준]]》이나 《[[태조 왕건]]》, 《[[그 여자네 집(드라마)|그 여자네 집]]》등의 인기 드라마에 조연으로 자주 출연했고, 특히 《[[한명회(드라마)|한명회]]》에서는 '''[[폐비 윤씨]]'''역을 맡으며 열연을 펼쳤으나, 이후 작품 출연에 영향을 주지 못한 채 묻히고 말았다.[* 지금이야 조연 배우도 연기를 잘하면 ‘명품 조연’, ‘신 스틸러’라는 찬사를 받기도 하지만, 당시에는 그런 경우가 거의 없었다.] 거기다 통보 없이 배역에서 잘리거나 감독에게 화풀이를 당하는 등 무명 배우의 설움도 끊임없이 겪어야 했다. 그래서 [[문화방송|MBC]] 지하에 화장실 하나를 정해두고 서러울 때마다 가서 울기도 했다고 한다.[* '[[무릎팍도사]]'에서 본인이 직접 언급했다.]
|| 1991년 || 제27회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 그 여자 ||
- 장현수 (영화감독) . . . . 2회 일치
* 2002년 제38회 백상예술대상 영화 시나리오상
* 1993년 제29회 백상예술대상 영화 신인감독상
- 정규수(배우) . . . . 2회 일치
* [[1996년]] 제32회 [[백상예술대상]] 인기상
* [[2000년]] 제36회 [[백상예술대상]] 연기상
- 정종철 . . . . 2회 일치
* [[2007년]] 제43회 백상예술대상 남자예능상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예능}}
- 정진(1941) . . . . 2회 일치
| 수상 = 1985년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연기상
그는 [[동국대학교]] 연극영화학과를 중퇴하였으나 연극연출가 [[이해랑]](李海浪)에게 픽업되어 [[1962년]] [[연극배우]]로 첫 데뷔를 하였고 5년 후 [[1967년]] [[동양방송|TBC 동양방송]] 특채로 [[텔레비전 드라마]]에 첫 출연하였으며 [[영화배우]] 데뷔는 [[1973년]] [[영화|사극 영화]] 《오타 줄리아와 도꾸가와 이에야스》로 데뷔하였다. 이후 [[1984년]] [[문화방송|MBC 문화방송]] 사극 [[텔레비전 드라마|드라마]] 《[[설중매 (드라마)|설중매]]》에서 [[한명회]](韓明澮) 역을 배역하여 [[1985년]] 제23회 [[백상예술대상]]에서 TV부문 연기상을 수상하였다.
- 최재성(배우) . . . . 2회 일치
||<-5><tablebordercolor=#c0c000><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c0c000> {{{+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 최희서 . . . . 2회 일치
| rowspan=2| 제54회 [[백상예술대상]]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
- 한혜숙(배우) . . . . 2회 일치
||<-5><tablebordercolor=#c0c000><table width=100%><#c0c000><table align=center><:>{{{+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TV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
- 경주시 . . . . 1회 일치
|align="center"|[[백상승]]
- 김병기(배우) . . . . 1회 일치
* [[1982년]] [[백상예술대상]] 최우수 연기상
- 김정혁 . . . . 1회 일치
6월 19일 1군에 올라왔다. [[박석민]]이 허벅지 통증으로 1군 엔트리에서 제외된 후 대신 3루수로 선발 출장한 [[백상원]]이 6월 18일 두산전에서 3타수 무안타 1볼넷 1삼진으로 이렇다 할 활약을 못 보여준데다 6월 19일 SK전 선발이 [[김광현]]이었기 때문이었는데, 7번 3루수로 선발 출장했지만 3타수 무안타로 침묵했다. 박석민의 복귀를 앞둔 6월 29일에 [[조현근]]과 함께 1군 엔트리에서 제외됐다.
- 김태희 . . . . 1회 일치
이 드라마를 통해 자리를 확고히 한 김태희는, 2006년 제작비 130억, [[중화인민공화국|중국]] 올로케이션으로 촬영한 영화 《[[중천 (영화)|중천]]》에서 [[정우성]]과 함께 공연하며 소화 역할로 첫 장편 영화에서 주연을 맡았다.<ref name="김태은"/> 이 영화로 [[백상예술대상]],<ref>최지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230&aid=0000001410 '국내' '이 상을 <하얀거탑> 폐인 분들께 바칩니다'] 매거진t 2007년 10월 4일</ref> [[대종상영화제]],<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43&aid=0000063392 ‘가족의 탄생’최우수작품·시나리오상…대종상 이변] 국민일보 2007년 6월 9일</ref> 그녀는 [[청룡영화상]]에서 인기스타상을 수상했다.<ref>{{웹 인용|url=http://www.blueaward.co.kr/bbs/board.php?bo_table=awards_news&sca=28|제목=제28회 청룡영화상|출판사=청룡영화상|확인날짜=2014-02-27}}</ref> 하지만 연기력에서 “대사 소화가 부족하고 표정연기가 풍부하지 못했다”, “평면적 연기다” 등의 부정적인 평가가 많았다.<ref name="김태은"/> 《[[중천]]》은 관객수 150만 명을 기록하면서 흥행에도 실패했다.<ref>{{뉴스 인용 |제목='중천' 참패, CJ 주가 폭락|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3&aid=0000319790|출판사=뉴시스|저자=김용호|날짜=2007-02-19|확인날짜=2014-03-05}}</ref> 2007년에는 영화 《[[싸움 (영화)|싸움]]》의 윤진아 역할을 연기했다. 연기파 배우 [[설경구]]와 공연하며 연기력에 있어서는 이전 작품보다 확실히 좋아졌다는 평을 받았으나,<ref>{{뉴스 인용 |제목=김태희, 연기력과의 싸움에서 '웃다'|url=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1100&g_serial=299002|출판사=조이뉴스24|저자=정명화|날짜=2007-12-05|확인날짜=2014-03-05}}</ref> 34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는데 그쳤다.<ref>{{뉴스 인용 |제목=톱스타 마케팅, 더 이상 안 통한다!|url=http://osen.mt.co.kr/article/G1010070161|출판사=OSEN|저자=이명주|날짜=2010-10-07|확인날짜=2014-03-05}}</ref>
- 김혜옥 . . . . 1회 일치
* [[1982년]]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문 신인연기상
- 도지한 . . . . 1회 일치
| rowspan="2"| 제49회 [[백상예술대상]]
- 동물의 체온조절 시스템 . . . . 1회 일치
* 중온동물(mesothermic) : 항온동물과 변온동물의 중간. 주변 환경에 따라 체온이 달라지지만, 체내에서 열을 생성하는 기능 또한 갖추고 있다. [[공룡]]이 [http://jjy0501.blogspot.kr/2014/06/Is-Dinosaur-a-mesotherms.html 중온동물이었다]는 학설이 있다. 현존하는 동물 가운데서는 가시두더쥐, 백상아리 등이 이로 분류된다.
- 라미란 . . . . 1회 일치
|| 제52회 [[백상예술대상]] || 영화부문 여자 조연상 || 히말라야 ||
- 류현경 . . . . 1회 일치
| 제52회 [[백상예술대상]]
- 박상원(배우) . . . . 1회 일치
* [[백상예술대상]] 신인상(1989년)
- 박정민(배우) . . . . 1회 일치
|| 제52회 [[백상예술대상]] || 영화부문 남자 신인연기상 ||
- 변요한 . . . . 1회 일치
2015년 5월 열린 [[백상예술대상]]에서 레드카펫을 밟았는데, 멋지게 차려입고도 누가 쫓아오는 듯한 빠른 워킹을 보여주는 바람에 일부에서는 동공지진 뿐만이 아니라 손바닥, 발바닥 지진까지 같이 왔다며 놀려댔다.
- 세정(구구단) . . . . 1회 일치
* 2018년 5월 3일 개최된 제54회 [[백상예술대상]]에 참여했다. [[다솜(배우)|다솜]](언니는 살아있다), 김세정(학교 2017), [[서은수]](황금빛 내 인생), [[원진아]](그냥 사랑하는 사이), [[허율]](마더)이 TV 여자신인연기상 수상 후보로 선정되었으며 수상자는 [[하율]]로 결정되었다. 참고로 [[학교 2017]]을 함께 했던 김정현 역시도 TV 남자신인연기상 후보 중 한 명이었다.
- 손전 . . . . 1회 일치
* [[1989년]] [[백상예술대상]] 특별상
- 신민아 . . . . 1회 일치
||<|4> 2015년 || 백상예술대상 || 여자 InStyle 베스트 스타일상 || ||
- 안석환 . . . . 1회 일치
* 1998년 제34회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문 인기상
- 안재욱(배우,가수) . . . . 1회 일치
* 1996년 제32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신인연기상 《전쟁과 사랑》
- 연정훈 . . . . 1회 일치
| 제40회 [[백상예술대상]]
- 원빈(배우) . . . . 1회 일치
* 2001년 제37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 신인연기상 《가을동화》
- 유해진(배우) . . . . 1회 일치
* 2015 제51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남자 조연상
- 윤주상 . . . . 1회 일치
* [[1997년]] 제33회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문 연기상
- 윤진이 . . . . 1회 일치
| 제49회 [[백상예술대상]]
- 이경영(1958) . . . . 1회 일치
백상예술대상 신인연기상(연극부문)(1985년)|}}
- 이선희 . . . . 1회 일치
* [[4월 3일]] [[백상예술대상]] 인기상 수상 (뮤지컬 부문)
- 이승엽 . . . . 1회 일치
* 제37회 백상체육대상 (2000년)
- 이영아(배우) . . . . 1회 일치
|| 제42회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 황금사과 ||
- 이지아(배우) . . . . 1회 일치
||<|4> [[2007년]] || 제44회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4> [[태왕사신기]] ||
- 정흥채(배우) . . . . 1회 일치
1987년 연극 '''끝없는 아리아'''를 통해 연극 배우로 데뷔하였다. 주로 연극 분야에서 활동하다 32세이던 1996년, SBS 드라마 [[임꺽정(드라마)|임꺽정]]에서 주연 임꺽정 역을 맡아 무명을 씻고 인기를 끌었다.[* 이 작품으로 [[백상예술대상]] 신인상을 수상했고, 단발성이긴 하지만 그간 [[백일섭]]이 전담하던 [[우루사]] 광고까지 따냈다.] 큰 체구와 부리부리한 눈매 때문인지 사극에 출연할 때는 [[차지철|힘세고 무식한 개그 캐릭터]]나 우직한 장수 역으로 등장할 때가 많다.
- 조안(배우) . . . . 1회 일치
|| [[2010년]] || 제46회 [[백상예술대상]] || 영화 여자신인연기상 || [[킹콩을 들다]] ||
- 진구 . . . . 1회 일치
| 제43회 [[백상예술대상]]
- 차승재 . . . . 1회 일치
| 수상 = 2006년 [[백상예술대상]] 작품상
- 표민수 . . . . 1회 일치
* [[1998년]] 제35회 [[백상예술대상]] 신인연출상 《[[거짓말 (드라마)|거짓말]]》
- 허안나 . . . . 1회 일치
* 2015 백상예술대상참석
- 홍경인 . . . . 1회 일치
|| 1993년 || 제29회 [[백상예술대상]] || 특별상 || ||
- 홍아름 . . . . 1회 일치
| 제45회 [[백상예술대상]]
11531의 페이지중에 94개가 발견되었습니다 (500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