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박차정"에 대한 역링크 찾기

박차정의 역링크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박차정 (독립운동가)
         | 이름 = 박차정(朴次貞)
         | 사진설명 = 박차정
         '''박차정'''(朴次貞, [[1910년]] [[5월 7일]] ∼ [[1944년]] [[5월 27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로, [[김원봉]]의 두 번째 부인이며<ref>김원봉의 본부인은 평안도 출신 최씨이고, 셋째 부인은 독립운동가 최석순의 딸 최동선이다.</ref> 독립운동가이자 북한의 초대 국가원수 겸 초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김두봉]]의 조카딸이었다. 근우회와 부녀복무단에서 활동했다.
         [[동래]] [[동래여자고등학교|일신여학교]]에 입학하여 동맹휴학을 주도하고, [[근우회]] 중앙집행위원, 중앙상무위원으로 활동하였다.<ref name="new22">[http://www.newswire.co.kr/newsRead.php?no=146639 5월의 독립운동가:박차정 전시회 개최]</ref> 1930년 근우회사건을 배후에서 지도하다 옥고를 치르기도 하였다. [[1930년]] [[중국]]으로 망명한 후 [[의열단]]에 가입, 의열단원으로 활동하다 [[의열단]]장 [[김원봉]]과 결혼하였으며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 여자교관, [[조선민족혁명당|민족혁명당]] 부녀부 주임, 조선의용대 부녀복무단장 등으로 활동하였다.<ref name="new22"/> 1939년 2월 장시성 쿤륜산 전투 중에 부상을 입고 그 후유증<ref name="new22"/>과 성병<ref>김학준, 《혁명가들의 항일 회상》 (도서출판 민음사, 2005) 244</ref> 등으로 1944년 5월 27일 충칭에서 병사하였다. 독립 운동 중 사용한 가명은 임철애(林哲愛), 임철산(林哲山)이다. <ref>[http://www.suwon.com/news/articleView.html?idxno=70943 부산이 낳은 대륙의 들꽃 '박차정'] 수원일보( 2011.12.14) 기사 참조</ref>
         박차정은 [[1910년]] [[5월 7일]] 당시 [[경상남도]] [[동래구]]이던 현 [[부산광역시|부산]]에서 출생했다. 부친은 일제에 항거하여 자결했고, 숙부 [[박일형]]과 외가의 친척들, 오빠들이 항일 운동에 뛰어든 집안에서 자랐다. 일제의 침탈에 항거하여 자결·순국한 아버지와 독립운동가 김두전(金枓全), [[김두봉]](金枓鳳)과 친척인 어머니, 사회주의계열 독립운동가 숙부 박일형(朴日馨) 등의 영향을 받았다.<ref name="new22"/> 박차정은 김두봉의 조카딸이었고, 독립운동가 김두봉은 해방 후 북한의 초대 국가원수 겸 초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된 인물이었다.
         [[베이징]]에서 [[조선공산당]] 재건 운동을 벌이다가 [[안광천]]의 소개로 [[의열단]] 단장 김원봉과 [[1931년]] 결혼했고, 김원봉(金元鳳)과 결혼하면서 본격적으로 의열단의 핵심멤버로 활약하였다. [[김원봉]]은 본래 [[평안도]] 출신의 최석진이라는 사람의 딸과 결혼한다.<ref name="hyuk244">김학준, 《혁명가들의 항일 회상》 (도서출판 민음사, 2005) 244</ref> 그러나 본처와 헤어지고 나중에 새 장가를 든다. 후일 [[정화암]]은 그가 [[박차정]]을 만나기 전에 본처가 있었으며 김두봉의 조카딸(박차정)과의 결혼은 새장가라고 증언하였다.<ref name="hyuk244"/>
         해방 후 독립운동가이자 남편 김원봉에 의해 밀양에 안장된 박차정의 유해
         [[조선민족전선연맹]]이 한중 연합 전선 무장 세력인 [[조선의용대]]를 구성하자 여군 격인 부녀복무단을 설치하여 단장을 맡았다. [[1939년]] 2월 [[장시 성]](江西省) 쿤륜산(昆崙山) 전투 중에서 일본군과 전투 중 입은 총상의 후유증과 [[관절염]] 등의 후유증을 앓았다. 또한 [[성병]]도 앓았는데, [[정화암]]에 의하면 박차정은 [[성병]]으로 사망했다 한다.<ref name="hyuk244"/> <ref>[http://miryang.newsk.kr/bbs/bbs.asp?exe=view&group_name=407§ion=9&category=5&idx_num=1831 약산 김원봉 장군(임정 군무부장)]</ref> [[1944년]] [[5월 27일]] [[충칭]]에서 병사했다. 당시 그의 나이 향년 34세였다.
         사회주의 계열에서 활동했고 남편 김원봉도 월북, 북한에서 장관급 각료를 역임했기 때문에 평가받지 못하였다. 공적에 비해서는 뒤늦게 [[1995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부산시 동래구현, 동래고등학교 맞은편에 생가가 복원되고<ref>《뉴스앤뉴스》 (2005.07.13) [http://newsandnews.com/article/zboard.php?id=pusan_youngnam&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name&desc=desc&no=18 여성 항일독립운동가 박차정 생가 복원] {{웨이백|url=http://newsandnews.com/article/zboard.php?id=pusan_youngnam&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name&desc=desc&no=18# |date=20070930000028 }}</ref> [[부산 금정구]]에 동상이 마련되어 있다.<ref>사이버인권관, [http://www.cyberhumanrights.com/Kor/Information/1st/MOVEMENTVIEW.html?code1=MOV05&lang=KOR&lpage=5&no=241 독립운동가 박차정]</ref>
         [[정화암]]에 의하면 김원봉의 본부인인 최씨는 '완전히 화류병으로 세상을 떠났다.<ref name="hyuk244"/>'하고, 박차정 역시 마찬가지라 한다.<ref name="hyuk244"/> 그밖에 곤륜산 전투에서 얻은 총상의 후유증과, [[관절염]]<ref>[http://miryang.newsk.kr/bbs/bbs.asp?exe=view&group_name=407§ion=9&category=5&idx_num=1831 약산 김원봉 장군(임정 군무부장)]</ref> 등도 그녀를 괴롭혔다.
         *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contents_id=3391&path=|183|193|&leafId=223 네이버 캐스트 : 오늘의 인물 - 박차정]
         * [http://bsinews.com/ArticleView.asp?intNum=4720&ASection=001018 '대륙의 들꽃' 박차정 의사 - 뮤지컬로 환생:부산신문]
         * [http://www.newswire.co.kr/newsRead.php?no=146639 5월의 독립운동가 박차정 선정 및 전시회]
         * 박태일. <광복열사 박차정의 삶과 문학>
  • 정칠성
         * [[박차정]]
11830의 페이지중에 2개가 발견되었습니다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