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 송병구 . . . . 14회 일치
====홍진호, 박성준====
'''[[박성준 (1986년)|박성준]]'''
투신 박성준은 프로토스전이 꽤나 강력한데, 여러 프로토스 선수들을 상대로 강세였고, 송병구를 상대로도 꽤 강세였다. 상대전적은 공식전만으로는 2:5로 열세. 그러나 비공식전까지 합치면 7:6으로 우세하다. 비공식전만 보면 송병구가 5:1로 우세. 박성준이 스타2로 전향하면서 이제 두선수는 더이상 만날 기회가 없을 것 같았으나, e스포츠가 스타2로 종목 전환을 하면서 다시 만날 가능성이 생겼다.
* 2005년 6월 6일 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 1라운드 삼성전자 vs POS 1세트 박성준 승
* 2005년 6월 6일 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 1라운드 삼성전자 vs POS 5세트 박성준 승
* 2006년 1월 6일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5 16강 B조 5경기 박성준 승
* 2007년 8월 17일 WCG 2007 최종 대표선발전 8강 B조 1경기 박성준 승
* 2009년 2월 18일 바투 스타리그 08-09 16강 A조 5경기 박성준 승
* 2009년 2월 27일 바투 스타리그 08-09 16강 A조 재경기 2경기 박성준 승
**'''스타리그 최다 진출''' - 총 17회로 EVER 스타리그 2005부터 Tving 스타리그 2012까지. 2위는 박성준 15회<ref>{{뉴스 인용
|이전=[[박성준 (1986년)|박성준]]
- 안기효 . . . . 12회 일치
2005년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5]] 8강 (VS'''[[박성준]]''' 0:2)
2006년 WCG 2006 한국예선 B조 4강 (VS'''[[박성준]]''' 1:2)
2008년 [[EVER 스타리그 2008]] 8강 (VS'''[[박성준]]''' 0:2)
2008년 WCG 2008 한국대표선발전 24강 (VS'''[[박성준]]''' 0:2)
투신 [[박성준]]에게 천적 관계[* 사실 [[박성준]]에게 승리를 보장할 수 있는 [[프로토스]]는 '''아무도 없다.''' [[박성준]]은 '''대 [[프로토스]]전 5전 3선승제에서 한 번도 진 적이 없는 걸 넘어서, 5전제를 치를 때 2패째를 허용한 적도 없다.''' 전성기가 한참이나 지났다고 평가 받던 [[EVER 스타리그 2008]] 결승전에서도 당시에 잘나갔던 [[도재욱]]을 상대로 3:0 떡실신을 먹였을 정도. 전무후무한 저그전 최강이라던 [[김택용]]에게도 3대3의 상대전적을 보유하고 있다. 박성준을 상대로 전적이 앞서는 프로토스는 비공식 포함 7승6패의 [[송병구]] '''뿐.''' 이도 호각세 정도에 지나지 않으며 공식 전적만 볼 때는 오히려 2승 5패로 송병구가 [[김준영]]만큼 고배를 마신 저그가 박성준이다. 안기효가 유난히 자주 만났다고 보는 게 맞을 듯하다. 즉, '''그냥 재수없는 거다.'''(...)]이며, 두 번의 16강, 두 번의 8강, 그리고 [[WCG]] 대표선발전에서 에서 고배를 마셨으며, [[라이드 오브 발키리즈]]에서 유명한 미니맵 [[관광]]을 당한다. 실은 안기효가 첫 온겜 [[스타리그]] 데뷔전 당시 꺾었던 상대가 다름아닌 전대회 우승자였던 [[박성준]]이었다. 리버+캐논으로 인한 조이기 라인으로 체면이 팍 깎인 [[박성준]]이 그 후 안기효만 보면 잡아먹으려 든다는 이야기.(...) 아무튼 안기효의 개인리그 상위 라운드 진출은 번번이 [[박성준]]에게 막혔다. 전략성을 감안하면 개인리그에서도 4강 한 번쯤은 노려볼 수 있는 선수였기에 매우 아쉬운 일.
- 이윤열 . . . . 8회 일치
이후 Stout MSL에서 준우승, 천적 최연성의 등장으로 기세가 조금 꺾이긴 하였지만 꾸준히 MSL 결승에 오르며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고, 2005년에는 IOPS 스타리그에서 당시 최고의 기량을 보여주던 저그 박성준을 3:0으로 완파하고 우승하였다. 또한 2006년 11월 18일,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2 우승을 차지하며 골든 마우스의 첫 수상자로 기록되었다. 골든 마우스는 온게임넷 스타리그 3회 우승자에게 주어지는 부상으로, 이윤열과 박성준(STX SouL), 이제동(화승 OZ), 이영호(KT 롤스터)만이 수상한 바 있다.
* [[2005년]] '''IOPS 04~05 스타리그 우승''' (3:0 [[박성준 (1986년)|박성준]])
| 다음명 = [[박성준 (1986년)|박성준]]
|다음=[[박성준 (1986년)|박성준]]
- 김근백(프로게이머) . . . . 4회 일치
* [[2005년]] [[IOPS 스타리그 04~05|IOPS 스타리그]] 8강 (vs [[박성준(1986)|박성준]] 0:2)
하지만 8강 상대는 당시 물이 오른 [[박성준(1986)|박성준]]이었고 0:2[* 특히 2경기 네오 기요틴에서는 역전패.]로 패하며 결국 탈락하고 만다.
- 김준영 (프로게이머) . . . . 4회 일치
[[2005년]] [[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 공동 다승왕을 차지했다. ([[강민 (프로게이머)|강민]](당시 [[KTF 매직엔스]]), [[박지호]](당시 [[MBC게임 히어로|POS]]), [[박성준 (1986년)|박성준]](당시 [[MBC게임 히어로|POS]]), [[송병구]](당시 [[삼성전자 칸]]), [[오영종]](당시 [[화승 OZ|Plus]]와 공동 기록 보유)
* 과거 리그를 선도하던 저그 플레이어들의 이름을 줄여 부르는 게임팬들의 전통에 맞춰, 2006~2007 시즌 저그를 이끌었던 마재윤, 김준영, [[이제동]] 세 선수를 일컬어 '마준동'이라 불렀다. 이전 세대에는 '조진락([[조용호 (프로게이머)|조용호]], [[홍진호]], [[박경락]])', '변태준([[변은종]], [[박태민 (프로게이머)|박태민]], [[박성준 (1986년)|박성준]])'이 저그 진영을 대표하는 플레이어였다.
- 강구열 . . . . 2회 일치
* [[손찬웅]] (현 [[화승 OZ]]) : 2011년 7월 은퇴. 손찬웅의 행보는 강라인이 되는 데 정말 완벽했다. 2007 스타챌린지 S2에서 손찬웅은 [[변길섭]]과의 최종전에서 변길섭을 꺾고 박카스 [[스타리그]]에 올라가 김동건, 박명수, 박영민에게 패하며 탈락했고, 그 다음 시즌 [[에버 스타리그 2008]] R1에서 [[이제동]]과 [[한동욱]]을 떨어트리는 충격적인 대진으로 2R에 진출했다. 그 후 R2에서 [[김택용]], [[박성균]], [[박영민 (1984년)|박영민]]과 같은 조가 되어 김택용과 박영민을 이기고 박영민과 8강에 진출하며 김택용과 박성균의 진출을 기대하였던 관계자에게 충격을 주었다. 또 8강에서는 강력했던 로얄로더 후보 [[허영무]]를 2:1로 역전시키며 4강에 진출하여 시드를 얻었다. 하지만 4강에서 [[프로토스]]전을 제일 잘 하기로 유명한 [[박성준 (1986년)|박성준]]에게 3:1로 패하는 무력한 모습을 보여주며 탈락하였으며, 끝내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 16강에서도 [[송병구]], [[염보성]], [[정명훈 (프로게이머)|정명훈]]에게 전패를 당하고 광속 탈락, 강라인의 일원이 되고 말았다. 인크루트 스타리그 3패 탈락의 영향으로 [[클럽데이 온라인 MSL 2008]]에서도 김택용, 박영민에게 2패를 당하고 광속 탈락, 이 후에도 서바이버 시즌 3에서도 [[박태민]]과 STX의 저그 신예 [[조일장]]에게 연패하며 탈락, 강라인의 일원임을 입증했다. 이후 [[박카스 스타리그 2009]]에서는 [[박태민]]과 [[서기수]]를 이기고 16강에 진출은 하나 [[문성진]], [[송병구]], [[정명훈 (프로게이머)|정명훈]]에게 무난한 3패로 광탈하며 강라인임을 다시 한번 입증한다. 차기 시즌에서는 36강에서 탈락하며 본선 진출 실패. 그 뒤로는 스타리그에도 MSL에도 복귀하질 못하였고, 계속 탈락만 하다가 2011년 7월 은퇴.
- 박근혜 . . . . 2회 일치
* [[2014년]] [[4월 16일]] "구명조끼를 학생들은 입었다고 하는데 그렇게 발견하기가 힘듭니까?" <small>([[세월호 침몰 사고]]와 관련해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찾아 상황을 점검하며)</small><ref>박성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214&aid=0000367321 朴대통령 "참담한 심정, 구조에 최선"…청와대 시상체제로 전환], MBC, 2014년 4월 16일</ref>
* [[2014년]] [[12월 7일]] "한 언론이 제대로 확인도 하지 않고 보도를 한 후에 찌라시에나 나오는 그런 얘기들에 이 나라 전체가 흔들린다는 것은 정말 대한민국이 부끄러운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small>(새누리당 지도부 등을 청와대로 초청해 가진 오찬에서 [[정윤회]] 국정개입 의혹 등에 대한 입장을 밝히며)</small><ref>박성준, [http://imnews.imbc.com/replay/2014/nwdesk/article/3568627_13490.html 박 대통령 "지라시에 나라 전체가 흔들려…부끄러운 일"], MBC, 2014년 12월 7일</ref>
- 마재윤 . . . . 1회 일치
당시 저그는 2해처리 빌드로 테란,프로토스와 경쟁을 했었다. 당시 공격형 저그 [[박성준]] 과 운영형 저그 [[박태민]] 두 부류가 있었다.
11532의 페이지중에 8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