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뮤지컬"에 대한 역링크 찾기

뮤지컬의 역링크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강예솔
         2011년 방송된 [[MBC TV|MBC]] 드라마 《[[마이 프린세스]]》에서 극중 [[김태희]]의 언니로 출연하면서부터 시청자들에게 주목받기 시작했으며,<ref>{{뉴스 인용|제목=‘마이 프린세스’ 뜨니 ‘김태희 언니’ ‘김태희 친구’도 인기 급상승|url=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ent&arcid=1295013458&cp=nv|출판사=쿠키뉴스|저자=유명준|쪽=|날짜=2011-01-14|확인날짜=2012-11-21}}</ref><ref>{{뉴스 인용|제목=‘마프’ 강예솔 “김태희와 격투신, 멍들었지만 재밌어”(종영 인터뷰)|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102251059231001|출판사=뉴스엔|저자=고경민|쪽=|날짜=2011-02-25|확인날짜=2012-11-21}}</ref> 2012년에는 케이블 채널 [[tvN]] 드라마 《[[로맨스가 필요해 2012]]》에서 첫 주역을 맡았다.<ref name=max /> 같은 해 6월에는 [[뮤지컬]] 배우 [[홍광호]]와 열애중인 사실이 언론에 공개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단독]강예솔, 뮤지컬배우 홍광호와 2년째 열애 중|url=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2176094|출판사=노컷뉴스|저자=봉준영|쪽=|날짜=2012-06-21|확인날짜=2012-11-20}}</ref>
  • 고세원
         고세원은 [[뮤지컬]]《오! 당신이 잠든 사이》에서 주인공으로 캐스팅되었다. [[뮤지컬]]에서 무뚝뚝하지만 속정 깊은 의사《닥터리》와 멀티맨으로 출연하는 고세원은 그동안 뮤지컬《벽을 뚫는 남자》,《아이러브 유》,《김종욱 찾기》등에서 실력을 인정받은 배우이다. TV쪽에서는 10년 여 간《[[막돼먹은 영애씨]]》의 김혁규(빡규)역으로 많은 사랑을 받았으며, 일일드라마에서는 여주인공과 사랑에 빠지는 로맨틱한 역할로 자주 출연하며 인기를 끌었다.
         * [[2009년]] 《신상남 뮤지컬 콘서트》 ... 완벽한 재벌남 역
         [[분류:1977년 태어남]][[분류:1997년 데뷔]][[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단국대학교 동문]][[분류:광주시 (경기도) 출신]][[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참가자]]
  • 공라희
         * 특기: [[외국어]] ([[영어]], [[프랑스어]]), [[뮤지컬]]
  • 김광석(1964년 1월)
         2013년 김광석의 노래들을 기초로 한 [[뮤지컬]] <그날들>이 대학로에서 초연되었다.
         === 뮤지컬 ===
         2013년 김광석 탄생 50주년을 맞아 무려 3개의 김광석 쥬크박스 [[뮤지컬]]이 초연되었다. 일정한 주제를 가지고 이미 발표된 곡들을 묶어서 뮤지컬을 만드는 형식으로 흔히 한 가수가 발표한 노래를 묶어서 뮤지컬을 만드는 경우가 많다. 최초의 작품이자 가장 유명한 '맘마미아!'(아바) 외에도 '올슉업'([[All Shook Up]], 엘비스 프레슬리), '위 윌 락 유'(퀸), '락 오브 에이지즈'(70년대 록 음악) 등이 있다. 2016년에 김광석 20주기 기념으로 뮤지컬 '바람이 불어오는 곳'과 '그 여름, 동물원'이 시작한다. 2016년은 김광석 20주기가 되는 해이다.
         2013.4.4 대학로 뮤지컬센터 대극장 초연을 시작으로 2016년 충무 아트센터 대극장에서 세번째 공연이 올라갔다.
         [[김종욱 찾기]], 오! 당신이 잠든 사이, 형제는 용감했다 등으로 유명한 장유정 연출가의 주크박스 뮤지컬. 장유정 연출이 최초로 발표하는 대극장 작품이기도 하다. 장유정 연출이 극본을 썼고 [[나는 가수다]] 출연으로 유명한 장소영 음악감독이 참여했다. 등이 출연했다.([[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65675754496010002|#]])
         김광석의 곡들을 완전히 뮤지컬 작법으로 편곡하고 일부는 매쉬업했다. 이런 탓에 혹자는 김광석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가 거의 없다고 비판 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혼자 남은 밤'은 김광석 본인은 방에 앉아서 기타치면서 부르던 편한 노래지만 그녀가 이 노래를 부르는 상황은 부모님께 '보내주긴 한다는데 슬슬 불안하다'라는 편지를 보내며 부르는 노래다. 하지만 뮤지션의 감성에 구애받지 않고 독자적인 감석을 구축한 것이 단점이자 장점으로 꼽히기도 한다. 연출가 장유정은 이런 비판에 대해 그의 음악 특유의 정서는 극을 관통하는 '그리움'이라는 정서로 표현하려고 노력했다고 인터뷰 하기도 했다.
         작품집 '오 당신이 잠든 사이'에 따르면, 장유정 연출은 이 작품 이전에 김광석의 음악으로 쥬크박스 뮤지컬을 준비한 적이 있다고 한다. 여러 번 재공연되고 있는 형제는 용감했다가 바로 그 작품. 다만 공연 준비 단계에서 새 노래들을 작곡해서 넣는 것으로 수정되었다.
         2012년 11월 30일 대구 떼아뜨르 분도 극장에서의 초연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공연을 이어오고 있는, 김광석 추모 뮤지컬의 대표주자이다.
         (사실, 2008년 5월 15일 홍대 상상마당에서 한 회의 공연을 한 적이 있다. 그 당시는 뮤지컬이 아니었음)
         대구 초연 이후에 바로 서울로 올라와서 `어쿠스틱 뮤지컬`이라는 장르를 개척하며 공연을 이어가고 있다.
         소극장 뮤지컬로 김광석의 유족들과 팬클럽이 후원하는 작품. 최근 유행인 콘서트 형식의 뮤지컬이다. 박창근 최승렬 박정권 등이 출연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3&aid=0004994060|#]] 정통성을 따지자면 가장 앞선다. 특히 라이브 무대를 중심으로 김광석 노래들의 감성을 충실하게 전달하는 데 성공했다는 평을 받았다.
         (2013.12.19 ~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 이 연출을 맡은 작품. 세 개의 뮤지컬 중 가장 규모가 큰 작품으로, 등이 출연했다.[[http://news1.kr/articles/1429833|#]] 가장 혹평을 받았다. 장진 특유의 연극적인 정서가 뮤지컬에는 맞지 않는다는 의견이 대다수. 여주인공 이름은 또 화이. 유화이라는 이름은 장진이 제일 많이 써먹던 여주인공 이름이다. 무엇보다 '''스토리라인이 조잡했다.''' 인생의 굽이굽이마다 만나는 가수라는 평이 있을 정도로 김광석의 노래들은 삶의 진정성을 노래하는 것들인데, 이런 노래들을 싣고 흘러가기에는 줄거리가 지나치게 빈약했다. '''그럼에도 또 김광석의 이름에는 지나치게 의존했다.''' 공연 초기에는 2막 시작과 함께 김광석이 홀로그램으로 관객들 앞에서 노래하는 장면이 있을 정도다. 이 장면은 프리뷰1회공연후 어색함을 이유로 삭제되었다. 대중적으로는 성공한 작품으로 특히 김광석을 그리워하는 중년관객들의 발길이 끊이지않았다. 후에 제작을 맡은 NEW대표 김우택은 영화7번방과 뮤지컬 디셈버의 흥행수익이 엄청났다고 회고했다
  • 김승우
         === 뮤지컬 ===
         * [[2009년]] [[뮤지컬]] "[[드림걸즈]]"
         [[분류:196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90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모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분류:의왕시 출신]][[분류:수원대학교 동문]][[분류:1박 2일]][[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개신교도 이탈자]]
  • 김원주(가수)
         늘 하던 익숙한 일을 잘 하고 도전을 좋아하는 성격이 아니며 남들 눈을 신경을 많이 쓴다고 한다. [[뮤지컬]]을 하고 싶어서 회사에 요청을 계속 했다는 걸로 보면 자신이 원하는 건 하고 싶다는 의욕이 강한 것으로 보인다.
         옛날에는 고음역대에 취약한 편이였지만 요즘은 뮤지컬때문인지 노래 연습을 많이 한 듯하다. 예전보다는 안정도가 생기고 고음을 그나마 잘 올리는 편.
         == 뮤지컬 활동 ==
          * 김원주는 이 뮤지컬에서 주인공인 '온조'역할을 뮤지컬배우인 유상화와 함께 맡았는데 다른 주인공인 '수'도 걸그룹 퀸비즈의 멤버 이루미와 뮤지컬배우 박혜미가 나왔다. 온조와 수 역할을 맡는 두 사람이 동시에 나오지는 않는데 역할은 번갈아서 했다.방청객들의 후기에 따르면 원주온조의 연기는 감정이 잘 전달되었지만 오글거렸다고 한다. 팬들이 선물을 보냈는데 [[https://twitter.com/musical_onjo/status/521269461290983424?s=09|인증샷]]을 남겼다.
          * 뮤지컬 마지막날에 눈물을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312&aid=0000054803|쏟았다고 한다.]]이유는 불분명.
  • 김준수(JYJ)
         ||<#FF0000> '''{{{#white 학력}}}''' ||<(> [[문경대학교]] 대학원 영화뮤지컬전공 ||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뮤지컬]] 배우. [[동방신기]]의 전 멤버이자 [[김준수(JYJ)|김준수]]의 현 멤버다. 그리고 [[제주도]] 강정마을에 위치한 '토스카나 호텔'의 창업 멤버이자 이사였다.
         2016년 10월 27일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8783696|보도]]에 따르면 2017년 1월(1월 3일 ~ 1월 26일)에 있을 뮤지컬 [[데스노트/뮤지컬]] 재연을 마지막으로 2월 9일에 경기남부경찰청 홍보단에 입대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날에 입대하는 이유는 2018년 11월에 전역을 하고 난 뒤 12월에 연말 콘서트를 열기 위해서라고. [[김준수(JYJ)|김준수]] 멤버들 중에서는 가장 늦게 입대[* [[김재중(1986년 1월)|김재중]]은 2015년 3월 31일에 현역으로 가장 먼저 입대를 했고 2016년 12월 30일 전역했다. [[박유천|다른 멤버]]는 2015년 8월 27일부터 2017년 8월 25일까지 사회복무요원으로 병역을 이행했다.]한 멤버다.
         전역 후 첫 활동 계획은 콘서트로 확정되었다.[[https://entertain.naver.com/read?oid=312&aid=0000356378|#]] 이후에는 과거에 출연했던 뮤지컬 엘리자벳에 다시 복귀할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전역 후 뮤지컬 엘리자벳으로 복귀해 여전한 티켓 파워를 과시하며 매진 행렬을 이어가고 있다. 대략 60회가 넘는 회차를 소화하는 중이며, 지방공연까지 예정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6년만의 '샤토드'의 귀환에 대해 뮤지컬 관객들의 관심 또한 높은 편으로 복귀는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기본적으로 SM 리드보컬과 통하는 부분이 있는 허스키보이스에 기반을 둔 기교 위주의 보컬을 구사한다. 어릴적 연습생 생활 초기에는 매우 맑은 미성이었으나 변성기 중에 목을 혹사시킬 정도로 노래 연습을 하다 보니(도중에 아예 목소리가 나오지 않았던 적도 있다고 한다. 목이 너무 답답해서 어머니께 목에 거미줄이 쳐져 있는 것 같다고 말한 적이 있다고도 한다.) 현재의 미성인 듯 하면서 허스키한, 개성있는 목소리를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변성기 이후 동방신기 시절의 목소리와 현재의 목소리는 또 다르다. 미성이 많이 사라지고 약간 더 허스키해졌다. 아마 뮤지컬 공연을 하면서 달라진 듯하다.) 목소리 자체에서 호불호가 갈린다고도 하지만 확실히 강한 인상을 주는 음색이다.
         특유의 음색을 살리면서 매우 안정적이고 다이나믹하게 노래를 하는 것이 특징이다. 기교와 표현력은 아이돌 가수 출신 중에서는 비교가 되는 상대를 찾기 어려운 수준이다. 띄울 때 띄우고 죽일 때 죽이는 완급조절에도 강해 곡의 도입부, 후렴구, 클라이막스 어느 파트를 맡아도 항상 최선의 결과를 이끌어낸다. 일본에서의 솔로곡 'Rainy Night'나 2005년 무렵 커버했던 빅마마의 '체념' 등을 들어보면 확실히 굉장히 꽉 찬 느낌의 노래를 감상할 수 있다. 동방신기 시절에 [[이소라(가수)|이소라]], [[백지영]], [[린(가수)|린]][* 이 중 린의 경우 2013년 12월 발매된 뮤지컬 디셈버 스페셜 앨범의 수록곡이자 [[김광석]]의 '너무 아픈 사랑은 사랑이 아니었음을'를 리메이크한 곡 '스치다'로 준수와 듀엣을 하기도 했다.] 등 많은 선배 가수들이 한번쯤 같이 작업해보고 싶다고 꼽았을 정도로 가창력을 인정받았었다.
         노래와 춤 모두 수준급이기 때문에 2012년 [[김준수(JYJ)/음반 목록|첫 솔로 앨범]]을 시작으로 솔로 가수로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고 동방신기 시절부터 키워온 무대 장악력을 무기로 하여 뮤지컬 배우로서도 승승장구하고 있다.
         두상이 굉장히 동글동글하고 예뻐서 깐머리와 내린머리 모두 잘 소화한다. 그가 입대 때문에 머리를 삭발해도 두상이 예뻐서 잘 어울릴 거라는 팬들이 다수.~~ 예상적중~~ ~~잔디준수~~ 팬들 사이에서는 깐준수 vs 내린준수로 논쟁이 벌어지기도 한다. 또한 입체적인 두상을 갖고있기 때문에 일반인이라면 각도의 중요성.jpg과 같은 참사가 발생했을 각도에서도 항상 살아남는다. 특성상 고개를 들고 있는 경우가 많은 [[http://cfile4.uf.tistory.com/image/2603224054092EF316E386|뮤지컬]] [[http://cfile28.uf.tistory.com/image/213F044452E930F71EC6AC|커튼콜]] [[http://postfiles11.naver.net/20160214_106/bhj1986_14553817075739BMsF_JPEG/160209_21.jpg?type=w1|사진]]에서 잘 확인할 수 있다.
         부모에게 물려받은 풍치가 있다. 그래서 2013년 [[https://youtu.be/jSmGrujfspM|ASK IN A BOX]](6:43~)에서 한 팬이 [[배스킨라빈스 31]]의 아이스크림 중에서 무슨 맛을 좋아하냐고 질문했을 때 본인은 풍치 때문에 차가운 아이스크림은 잘 먹지 못해서 무슨 맛이 있는지도 잘 모른다고 대답했다. 그런데 이 이후에 풍치 덕분에 몸에 좋은 짤이 생성되었다. 2014년 8월 호 THE MUSICAL 화보에 진분홍색 머리를 한 준수가 진빨강 [[하드]]를 혀로 녹여먹는 사진이 담겨있다. [[https://youtu.be/PxVvDyRRzOU|메이킹 필름.]] [* 여담으로, 이 화보에는 그가 흰 티셔츠를 입고 눈에 레이스 안대를 쓴 사진도 담겨있다. 여러모로 팬들의 마음~~흑심~~을 잘 노린 화보여서 팬들은 '더 뮤지컬에 시아준수 [[덕후]]가 있는 것 아니냐'며 '더 뮤지컬'을 '덕뮤'라 부르기 시작했다. 메이킹 필름을 보면 납득이 간다(...)] ?
         뛰어난 실력과 귀엽고 앳된 외모 덕분에 동방신기 시절부터 개인 팬 지분율이 높았고, 현재 활발한 뮤지컬 활동으로 뮤지컬 덕후들이 늘고 있다.
         [[슈퍼주니어]]의 [[은혁]]과는 어린 시절부터 절친이다. 어린 시절에 찍은 사진을 보면 준수 옆에 항상 은혁이 있는 걸 볼 수 있다. 김준수가 중학교 시절에 쓴 백문백답을 보면 태반이 은혁한테 장난치는 내용들이다(...). 그 외에도 어린 시절에 쓴 글을 보면 은혁과 서로 꼬봉이라고 디스하는 훈훈한(?) 모습을 볼 수 있다. [[SM엔터테인먼트|SM]]과의 관계를 험악하게 청산한 뒤 팬들은 이 둘의 사이도 틀어지지 않았을까 하고 우려했지만 ~~JYJ를 볼드모트 취급하는 다른 SM 연예인들과는 달리~~ 은혁이 예능에서 종종 준수를 언급한다거나 준수 트위터에 뮤지컬 디셈버 공연을 보러 온 은혁과 찍은 사진이 올라온다거나 하는 걸 보면 여전히 사이는 좋아 보인다.
         [[동방신기]] 시절에도~~ 쉬는 날에 게임질만 해서~~ [[연예인]] 인맥이 없기로 유명했는데[* '연차가 이 정도 된 연예인 중에 저만큼 인맥 없는 연예인 진짜 없다고 자부합니다.' 라고, 있다고 할거면 싸우자는 투로(...) 말해 아나운서 출신 MC가 말을 더듬기도 했다.] [[JYJ]] 활동을 하며 뮤지컬계에서 활동하는 배우 위주로 인맥이 형성된 듯하다. [[트위터]] 활동이 활발하던 시기에는 뮤지컬 배우들와 트윗을 주고 받으며 뮤지컬 대사로 장난을 치기도 했다.
         2011년까지는 [[패션요정|외모에 별로 신경을 쓰지 않아]] 헤어 색깔이 항상 검은색과 갈색 계열이었고, 2010년 즈음에는 심지어 '''[[민소매]]'''만을 종류별로 즐겨 입어 팬들은 안타까워 하고있다. 그런데 2011년 말, 뮤지컬 [[엘리자벳]]에 '[[죽음]]'역으로 캐스팅 된 이후 거울을 봤는데 이거 도무지 섹시하지가 않더란다. 그래서 [[백금발]]로 염색을 하고 손톱에 검은색 매니큐어[* 엘리자벳 재연 때는 버건디색 매니큐어. 죽음의 천사 역할을 맡았던 앙상블들은 매니큐어 대신 검은색 절연 테이프를 손톱에 붙이기도 했다. 여담으로 재연 때는 매니큐어가 벗겨지면 네일 아티스트 출신인 매니저가 네일을 해줬다. LINE에 매니저가 그의 손을 잡고 한땀한땀 매니큐어를 발라주는 [[http://cfile22.uf.tistory.com/image/2167824B5212F9C7091A6C|사진]]이 올라온 적 있다.]를 바르고 체중도 60kg까지 감량했는데 팬들의 반응이 정말 폭발적이었다. 그 이후로 외모를 가꾸는 것도 퍼포먼스의 일종으로 받아들이게 되었다고 한다. 패션센스도 이 즈음부터 좋아지기 시작했다.
         나비배지를 비롯한 [[위안부 문제|위안부 할머니 돕기]]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긍정적인 결과를 낳았다. 뮤지컬 디셈버의 [[커튼콜]]에서 준수가 차고 나온 나비배지가 팬들의 이목을 끌었는데, 이는 위안부 할머니들을 지원하는 캠페인의 일환이었던 것. 이외에도 알게 모르게 준수가 위안부에 관심을 가져온 사실이 팬들에게 알려지면서 나비배지의 공동구매가 이뤄졌다. 이를 통한 수익은 <김준수부흥회>[* 들어온 액수가 너무 많아 놀란 담당자가 이 배후(?)에 김준수 [[팬]]들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자 작명해 주었다고 한다.]의 이름으로 [[기부]]되었다.
          '시아'를 한번 빠르게 발음해보자. 주로 접두사로 쓰이며 아무데나 앞에 '샤'만 끼워넣으면 된다. 예를 들면 샤옹이, 샤에스트로, 샤토드(혹은 샤톧), 샤큘, 샤엘, 샤리안 등으로 쓰이며 뮤지컬 캐릭터 앞에 자주 쓰인다.
          뮤지컬 [[엘리자벳]] 초연에서 같이 죽음을 맡은 [[류정한]]이나 [[송창의]]에 비해 중후함보다는 [[소악마|작은 악마]] 느낌이 들어서 붙은 별명. ~~일명 죽음 가문 막내 쥬그미~~
          뮤지컬 드라큘라에서 '드라큘라'의 종 '렌필드'가 드라큘라 역의 김준수를 주인님이라 불렀는데, 팬들이 서로 렌필드를 자처하며 그를 주인님이라 부르기 시작했다. 주로 그의 카리스마에 앓을 때 이 별명을 쓴다. ~~언감언순~~
         === 뮤지컬 출연 ===
         || 2014 || [[드라큘라(뮤지컬)|드라큘라]] 초연 || 드라큘라 || 서울 예술의전당 총 30회 공연 ||
  • 김하나 (아나운서)
         [[울산광역시|경상남도 울산]]에서 출생하였으며 [[경기도]] [[이천시|이천]]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으며 [[충청북도]] [[청주시|청주]]에서 잠시 유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녀는 [[2003년]] [[뮤지컬 배우]] 첫 데뷔한 적이 있고 [[2008년]]에는 [[문화방송|MBC 문화방송]] [[텔레비전 드라마|드라마]] 《[[에덴의 동쪽 (드라마)|에덴의 동쪽]]》에 단역 출연한 적이 있으며 이어 같은 해 [[2008년]] [[대전문화방송|대전MBC]] [[아나운서]]로 입사하였고 [[2012년]] [[OBS경인TV|경기도 부천 OBS 경인방송]] [[아나운서]]로 이적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그녀는 [[여행]]과 [[뮤지컬]] 관람에 취미가 있고 [[뜨개질]]과 [[수상스키|수상 스키]]에 특기가 있다.
         === 뮤지컬 ===
  • 남경민(배우)
         신장은 166cm이고 체중은 48kg인 그녀는 2009년 6월, '''서지은'''이라는 [[예명]]으로써 [[모델 (직업)|패션 모델]] 첫 [[데뷔]]를 하였고, 2010년 2월에는 [[모바일 게임]] 《[[리듬스타 2|리듬 스타 2]]》의 [[사운드트랙|OST]]에 수록된 [[강철 (1972년)|Rion Project]]의 《Shiny day》의 [[뮤직 비디오]]에 출연하였다. 이 해(2010년) 3월 [[KBS 2TV|KBS]] [[텔레비전 드라마]] 《[[신데렐라 언니]]》에 출연하였고, 2011년 4월 '''남경민'''이라는 예명으로 연기자 활동을 시작하였다. 이후 [[영화]], [[연극]], [[뮤지컬]] 등에 출연하였다.
         === 뮤지컬 ===
         [[분류:1987년 태어남]][[분류:안성시 출신 인물]][[분류:사생아]][[분류:목동중학교 동문]][[분류:캐나다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이화여자고등학교 동문]][[분류:2009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서경대학교 동문]][[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비디오 자키]][[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
  • 남경주
         | 수상 = [[2009년]]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발 올해의 스타상
         '''남경주'''([[1964년]] [[9월 27일]] ~ )는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이다.
         [[분류:196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동아방송예술대학교 교수]][[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서울예술대학 연극과 동문]][[분류:안양시 출신]]
  • 류승완(영화감독)
          * [[호러 영화]]와 [[뮤지컬]] 영화도 좋아하는지 저서 《류승완의 본색》을 보면 호러 영화와 뮤지컬 영화를 대상으로 한 나름대로 애정과 호러·뮤지컬 영화를 감독해 보고 싶은 소망 등을 밝히는 부분이 꽤 많다.
  • 모닝구 무스메
         CD, DVD, 콘서트 같은 가수 활동 이외에도, [[뮤지컬]], [[예능 프로그램]] 등 다양한 방면으로 활동하고 있다. 2014년 1월 1일 부터 그룹 이름을 모닝구 무스메.'14(モーニング娘。’14)로 한 것을 계기로 하여 2015년 부터 매년 연도를 변경하면서 활동하고 있다.
  • 문정희(배우)
         단아한 매력을 가진 배우. 차분하고 매력적인 목소리 톤[* 덕분에 '60만번의 트라이'라는 다큐멘터리 영화, KBS1 다큐멘터리 '색' 에 내레이션을 하기도 했으며, 라디오DJ를 맡았던 경험도 있다.]과 탄탄한 연기력이 일품인 배우이며, 뮤지컬과 커리어를 병행하는 만큼 노래 실력도 상당하다. 춤 실력도 뛰어나 댄스 강사 경력도 있을 정도. 살사댄스 국제대회에 참가했을 만큼 아마추어라기보다 프로 댄서에 가깝다는 평. 또 가끔 안경과 콘택트 렌즈를 번갈아 끼는 거 같다.
         이후 KBS 사극 '[[천추태후(드라마)|천추태후]]'에서 문화왕후 김씨 역으로 [[채시라]]에 밀리지 않는 연기력을 선보였다. 활동적이고 극에서 주장하는 고려 특유의 기풍을 대변하는 채시라와 달리 유교적 세계관을 신봉하면서 채시라와 끝까지 대립하며 끝내는 최후의 승리를 거머쥐는 역할로 안정적인 사극 연기를 보여줬다.[* TV 데뷔작 신돈도 사극이었지만 동기 [[오만석]]과 다르게 거기서 진짜 인간 병풍(...)급 비중이었기 때문에... 특별히 연기력을 보일 것도 없었을 정도였다. 당시 디씨 신돈갤에서 자주 비치지도 않는 문정희를 '혜비맘하'라 불러대며 좋아했던게 좀 유난했을 정도.] 여담으로 이 당시 브로드웨이의 러브콜을 거절했다는 떡밥이 있었는데, 팬미팅에서 노래하는 것이 너무 떨리고 앞으로 [[뮤지컬]]을 못할지도 모르겠다고 한 것으로 봐서 꼭 국내에 집중하거나 스케줄이 많이 차 있다는 이유만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 내용이 사실이라면 천추태후 선택은 정말 악수 of 악수였던 것이.... 드라마가 안드로메다급 역사인식으로 극에 구멍이 뻥뻥 터지며 진짜 처절하게 망했다.... 그냥 출발부터가 틀린 드라마였다. 자세한 건 [[천추태후(드라마)|천추태후]] 항목 참조.
          * 2001년 뮤지컬 '록키호러쇼'
          * 2003년 뮤지컬 '그리스'
  • 민해경
         |직업 = [[가수]], [[배우|텔레비전 연기자]], [[뮤지컬 배우]]
         '''민해경'''(閔海景, [[1962년]] [[4월 18일]] ~ )은 [[대한민국]]의 여성 [[가수]], [[배우|텔레비전 연기자]], [[뮤지컬 배우]]이다.
         한때 1993년 [[SBS]]에도 1편 출연하였고 이듬해 1994년 [[뮤지컬]] 《[[광개토왕|광개토대왕]]》에서 [[말갈]] 공주 역으로 연기하기도 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196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79년 데뷔]][[분류:통영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골든디스크 본상 수상 음악가]][[분류:골든디스크 인기상 수상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박상면(배우)
         1993년 [[뮤지컬]] [[아가씨와 건달들]]로 데뷔한 그는, 1997년 영화 [[넘버 3]]에서 [[재떨이]] 역을 맡으며 충무로계에서 본격적으로 얼굴을 알리기 시작한다. 1999년 MBC 드라마 [[왕초]]에서 하마 역을 맡으며 드라마 쪽에서도 유명세를 타기 시작하더니, 2000년에는 [[드라마]] 나쁜 친구들을 비롯해 ~~[[미생(선덕여왕)|미생]]~~[[정웅인]], [[윤다훈]] 등과 같이 MBC 시트콤 [[세 친구]]에서 공동 주연까지 따냈고, 2001년에는 영화 [[조폭 마누라]]에서 주인공 [[신은경(배우)|신은경]]의 남편 역으로 주연급 배역을 맡으며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후 각종 [[드라마]] 및 [[영화]]에서 조연으로 꾸준히 활약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주유소 습격사건|주유소 습격사건 2]]에서 집단탈옥하는 폭력조직의 두목으로 나온 적이 있으며 [[제빵왕 김탁구]]에서는 주인공 김탁구를 여러모로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 박상민 (1970년)
         의사의 아들로 태어나 유복한 환경에서 자랐고 미술과 운동을 좋아했다. '''서울예전'''(현 [[서울예술대학교]]) 재학중이었던 [[1990년]] 영화 《[[장군의 아들]]》의 주연을 통하여 [[영화 배우|영화배우]] 첫 데뷔를 하였다. 영화 《장군의 아들》이 대히트를 하면서 [[김두한]]이라는 배역으로 강한 임팩트를 남겼지만 이후 다른 영화 작품들에서는 별다른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다 [[연극]] 무대와 [[뮤지컬]] 무대를 거쳐 브라운관으로 활동 무대를 옮기고 [[텔레비전 드라마|TV 드라마]] 《[[젊은이의 양지 (드라마)|젊은이의 양지]]》와 《[[태양은 가득히 (2000년 드라마)|태양은 가득히]]》 등의 작품을 통하여 꾸준한 연기 활동을 펼쳤다. 결혼 실패 등으로 한동안 슬럼프를 겪기도 하였지만 《[[내 사랑 못난이]]》로 성공적인 복귀를 하였고 《[[자이언트 (드라마)|자이언트]]》에서 이성모 역으로 연기 호평을 받았고 계속 활발히 활동 중이다.
         === 뮤지컬 ===
         [[분류:대한민국의 미술가]][[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서울예술대학교 동문]][[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연출가]][[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싱가포르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타이완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불교 이탈자]][[분류:개신교도 이탈자]][[분류:창원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밀양 박씨]]
  • 박재란
         '''박재란'''(朴載蘭, [[인명|본명(本名)]]은 '''이영숙'''(李英淑), [[1938년]] [[12월 16일]] ~ )은 [[대한민국]]의 여성 [[가수]] 겸 [[작사가]]이며 [[영화배우]], [[뮤지컬]]배우이다.
         [[분류:193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재즈 가수]][[분류:공주 이씨]][[분류:1953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대한민국의 장로교도]]
  • 박정민 (1987년)
         |직업 = [[가수]], [[뮤지컬 배우]]
         그룹 [[SS501]]의 멤버이며 2005년 6월 8일 싱글앨범 ' SS501 ' 로 데뷔했다. 연기활동으로는 2005년 KBS '[[시트콤]] 사랑도 리필이 되나요 '에 출연하였고<ref>{{뉴스 인용|제목= SS501의 박정민, ‘사랑도 리필이 되나요?’에서 김현중의 라이벌로 등장|url=http://media.daum.net/entertain/enews/view?newsid=20051121115011587|출판사=뉴스엔|저자=이은정 기자|날짜=2005-11-21}}</ref> 2008년 12월 20일 부터 2009년 03월 01일에 공연한 '[[뮤지컬]] 그리스'에서 주인공 대니역할을 맡았으며<ref>{{뉴스 인용|제목= 'SS501' 박정민, 뮤지컬‘그리스’의 대니|url=http://media.daum.net/culture/art/newsview?newsid=20081027121219463|출판사=뉴시스|저자=이민정 기자|날짜=2008-10-27|}}</ref> 2010년에는 MBC 에브리원 드라마 '인생극장'에 주연으로 출연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SS501 박정민‘인생극장2010’으로 연기도전|url=http://media.daum.net/entertain/enews/view?newsid=20100120094105932|출판사=스포츠월드|저자=한준호 기자|날짜=2010-01-20 }}</ref> 라디오 DJ로는 2006년 5월 1일부터 2007년 4월 15일까지 SBS 파워FM '영스트리트'의 라디오 DJ를 맡았으며 2011년 국내활동시 KBS FM '볼륨을 높여요'와 MBC FM '심심타파'의 객원DJ로 활동했다.<ref>{{뉴스 인용|제목=박정민, 주인잃은 `심심타파` 구원 DJ 나선다|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9&aid=0002397955|출판사=스타투데이|저자=이현우 기자|날짜=2011-01-25}}</ref> 가수활동으로는 2011년 1월 20일 ' 낫 얼론(Not Alone) '으로 솔로 가수 데뷔를 하였으며 2012년 11월 14일 ' 뷰티풀(Beautiful) '로 앨범 제작의 전과정에 참여하고 자신이 직접 프로듀싱한 앨범을 만들었다.<ref>{{뉴스 인용|제목=박정민, 22개월만에 셀프 프로듀싱 앨범으로 컴백|url=http://media.daum.net/entertain/enews/view?newsid=20121114100626340|출판사=스타투데이|저자=이현우 기자|날짜= 2012.11월 14일}}</ref>
         === 뮤지컬 ===
         * [[2010년]] [[1월 7일]] : 2009 골든티켓 뮤지컬 기대주상
         [[분류:SS501의 일원]][[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아이돌 가수]][[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1987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가수]][[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청도군 출신]][[분류:단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 동문]][[분류:단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동문]][[분류:2005년 데뷔]][[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참가자]]
  • 박준형 (1973년)
         | 직업 = [[희극 배우]], [[뮤지컬 배우]], [[방송인]]
         '''박준형'''(朴俊亨, [[1973년]] [[12월 22일]]~)은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이자 [[뮤지컬]]배우로 [[희극 배우|개그맨]] 소속사 갈갈이패밀리의 대표이기도 하다.
  • 박해미
          | 소속사 = 해미뮤지컬컴퍼니 (대표이사)
          | 웹사이트 = [http://www.haemee.net/ 뮤지컬배우 박해미 공식 팬 카페] <br/> [http://www.cyworld.com/parkhaemee/ 여성 연기자 박해미 싸이월드]
         1984년 [[뮤지컬]]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로 [[뮤지컬 배우]] 첫 데뷔 이후 뮤지컬 [[맘마미아]]를 포함 다수의 뮤지컬에 출연했으며, TV 드라마 《[[하늘이시여]]》, 《[[거침없이 하이킥!|거침없이 하이킥]]》 등을 통해 TV 브라운관을 물론 영화 부문에도 도전하고 있다.
         === 뮤지컬 ===
         * [[2008년]] 제16회 대한민국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영화뮤지컬부문 대상
         * [https://web.archive.org/web/20080322054250/http://www.haemee.net/ 뮤지컬배우 박해미 공식 팬 카페]
         * [http://www.kmdb.or.kr/vod/mm_basic.asp?person_id=00050510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 여성 뮤지컬배우 겸 영화배우 박해미]
         [[분류:196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84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밀양 박씨]][[분류:비디오 자키]][[분류:통영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여성 기업인]][[분류:동아방송예술대학교 교수]]
  • 박해미(배우)
         || '''데뷔''' ||<(> [[1984년]] 뮤지컬[br]'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 ||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연기자이자 [[뮤지컬]] [[배우]], 연출자.[* 이 때는 '''박솔영'''이라는 이름을 쓰고 있다.]
         유명한 만큼 실력 또한 기초가 탄탄하여 뮤지컬계에서도 굉장히 뛰어난 배우라고 평가받는다. 또한 연출자와 제작자로써도 활동하며 본인의 한계를 넓히고 있으며, 무대 연출과 제작에서도 뛰어난 기량을 뽐낸다.
         첨언하자면 원래 맘마미아 자체가 엄청난 대서사를 가지고 인간의 고상한 관념, 철학을 다룬다기보다(햄릿 등..)는 [[ABBA]]의 명곡들을 대중들이 쉽게 즐길수 있게 이어만든 주크박스 뮤지컬이다. 그리고 애초에 박해미가 맡은 도나 역은 개방적이고 무거움과는 살짝 거리가 있는 배역이다. 그런 배역을 우아하지 않다며(...) 비판 하는게 모순적이지 아닐수가 없다
         뮤지컬 '맘마미아'하면 딱 떠오르는 배우지만 똑부러지는 성격땜에 루머 또한 많다. 하지만 루머 또한 루머일뿐 사실무근의 루머가 많다. 뮤지컬계 알만한 사람들은 이미 다 알듯 '맘미미아' 제작자인 박명씨의 말 또한 루머일뿐 박솔영은 본인의 뜻으로 맘마미아를 하차하고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동료들에게도 뮤지컬계 대인배로 인정받고 있는 매력있는 아티스트이다.
         === 뮤지컬 ===
         2011년 [[아리랑 판타지]] 뮤지컬 배우
          * 2008 제16회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영화뮤지컬부문 대상
         [[분류:뮤지컬 배우]][[분류:한국 여배우]][[분류:라디오 스타의 역대 게스트]][[분류:1대 100 역대 1인]][[분류:1964년 출생]][[분류:1984년 데뷔]][[분류:통영시 출신 인물]][[분류:거유/목록]]
  • 서현진(배우)
         [[대한민국]]의 [[배우]]. 2001년에 [[SM엔터테인먼트]]에서 발굴한 걸그룹 [[밀크(걸그룹)|밀크]]로 데뷔하면서 인기를 얻었으나, [[배유미(1984)|다른 멤버 1인]]의 탈퇴로 그룹이 공중분해가 되었고, SM의 새 걸그룹 프로젝트였던 [[소녀시대]]로 재데뷔하기 위해서 연습생 생활을 다시 시작했지만, 2005년 이후 [[배우]][* 《[[식사를 합시다 2]]》 이후 연기에 대한 가치관이 확고해지고 뮤지컬 '신데렐라' 작품이 끝나고 나서야 비로소 본인이 '연기를 하는 사람이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하며, 이전까진 불안정하다는 생각에 직업란에 '배우'를 적을 수 없었다고 한다.]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무명 생활이 꽤 긴 편인데, 드라마와 영화, 뮤지컬 등에서 꾸준한 작품 활동을 통해 서서히 입지를 다져오다가 [[MBC]] 《[[신들의 만찬]]》 에서 주인공 [[성유리]]의 라이벌 하인주 역을 맡게 되면서 연기력을 인정받았고, 2016년 인기리에 방영된 드라마 《[[또 오해영]]》 의 주인공 [[오해영]] 역을 맡아 열연하면서, 본격적인 주연급을 소화할 수 있는 배우로 소위 대박을 이뤄냈다. 그리고, 이후 2016년 연말부터 2017년 초까지 방영된 [[SBS]] 월화드라마 《[[낭만닥터 김사부]]》 에서도 여주인공 [[윤서정]] 역을 맡아 열연, 연이어 대호평을 받으면서 대세 배우로 떠올랐다.
         그러다 2005년, 소속사의 제안을 통해 [[뮤지컬]] '[[사운드 오브 뮤직]]' 에 본 트랩 대령의 큰딸 '리즐'로 출연하게 된다. 걸그룹 데뷔 이전 10년간 한국무용을 전공하고, 또한 가창력을 인정받아 오디션 자체는 손쉽게 통과했으나, 연기에 대한 준비가 전혀 안된 신인이라 당시 고생을 많이 했다고. 그러나 이 작품을 계기로 본격적인 연기 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 [[뮤지컬]]을 인연으로 연기 지도 선생님 아래에서 4년동안 울고 웃으며 엄하게 연기를 배웠다고 한다. 당시를 떠올리면 대책없이 성실하게 남들 대학교 다니듯 다녔다고... 후에 꾸준히 활동하며 드라마에 출연하고 활약하자, 연기 선생님으로부터 덤덤한 목소리로 연락을 받아 감정이 복받쳐 올랐던 적이 있다고 고백한 바 있다.]
         뿐만 아니라 오랜만에 뮤지컬에 복귀해 9월부터 12월까지 뮤지컬 [[신데렐라]]의 주인공 신데렐라 역을 맡아 노래+춤+연기의 완벽한 삼박자를 자랑하며 쉴 틈 없는 2015년을 보내게 된다.
         === 뮤지컬 ===
          * 뮤지컬 궁 O.S.T. 'No More No Mercy' (2010)
         어릴 때부터 고등학교 때까지 근 10년간 한국[[무용]]을 배웠다가 이를 포기하고 연예계에 데뷔한 거라고 한다. 그래서인지 [[뮤지컬]] 등을 통해 가끔씩 자신의 무용 실력을 뽐내는 경우도 있었고, 심지어 드라마 [[오자룡이 간다]]에서는 '''대놓고 무용과 교수로 설정'''되어 나오기도 했다.[* 위의 짤방이 바로 서현진이 발레를 하는 모습과, 극중 서현진의 방의 모습이다.][* 물론 극중 캐릭터의 전공은 한국무용이 아닌 서양무용인 발레이긴 한데, 실제로 서현진이 발레를 부전공으로 좀 배웠다고 한다.] 하지만 본인 입장에서는 무용을 배우던 시절이 그리 좋은 기억은 아니었던 듯(…). 실제로 당시 학교가 끝나면 늘 무용학원을 갔기 때문에 맘껏 쉬거나 친구들과 놀아본 적이 없어서, 밀크 활동 후 공백 기간 동안에 친구들과 함께 평범한 대학생활을 하는 게 정말 즐거웠다고 한다.
         [[분류:한국 여배우]][[분류:뮤지컬 배우]][[분류:전직 가수]][[분류:1985년 출생]][[분류:2001년 데뷔]][[분류:무한도전의 역대 게스트]]
  • 손보승
          | 직업 = [[뮤지컬배우]] 겸 [[연기자]]
          | 수상 = 2017년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 뮤지컬스타 장려상
         '''손보승'''(孫甫昇, '''브라이언 선'''({{llang|en|Brian Son}}), [[1999년]] [[1월 11일]] ~ )은 [[대한민국]]의 [[남성]] [[뮤지컬 배우]] 겸 [[텔레비전 연기자]]이다.
         개그우먼 겸 연기자 [[이경실]]의 1남 1녀 중 막내인 그는, 2016년 연기자 데뷔를 하였다. 신장은 185cm이고 체중은 102kg인 그는 [[초등학교]] 시절이던 [[2008년 8월]]에서 [[중학교]] 시절이던 [[2012년 5월]]까지 [[캐나다]] 유학을 4년 남짓 한 전력이 있다. [[유도]] 경기 관람에 취미가 있고 [[록 음악]] [[노래]] 부르기, [[랩 (음악)|래핑]], [[기타]]·[[피아노]]·[[키보드 (악기)|전자 키보드]] 연주와 [[영어]]·[[프랑스어]]·[[스페인어]]·[[중국어]]·[[일본어]]·[[독일어]] 회화와 [[뮤지컬]] 연기와 [[성악]]에 특기가 있다.
         === 뮤지컬 ===
         * 2017년 :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 뮤지컬스타 장려상(2017년 6월)
         [[분류:1999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광주광역시 출신]][[분류:2016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어린이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창극 배우]][[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캐나다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일본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타이완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스페인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불교 이탈자]][[분류:대한민국의 장로교도]]
  • 송기윤
         === [[뮤지컬]] ===
         [[분류:195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73년 데뷔]][[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개신교도 이탈자]][[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여산 송씨]]
  • 송원근(배우)
         [[아이돌]] [[가수]]→[[뮤지컬]] 배우→드라마 연기자라는 상당히 특이한 경력을 갖고 있는 배우.
         결국 연예계 생활에 회의를 느끼고 모든 것을 내려놓으려 하다가 드라마 '신이라 불리운 사나이' OST에 참여할 당시 음악감독이었던 가수 하울의 소개로 [[뮤지컬]] ‘궁’ 캐스팅 오디션을 봤고, 주인공 이신 역으로 발탁됐다. 이후에 [[렌트]], [[김종욱 찾기]], [[쓰릴 미]], [[블랙메리포핀스]], [[아가씨와 건달들]] 등에 출연하며 뮤지컬 배우로서 괜찮은 필모를 쌓아가고 있는 중이다. 평은 대체로 크게 나쁘지는 않은 듯.
         오로라 공주의 인기 덕에 빛을 보게 된 후 뮤직비디오에도 출연하고 뮤지컬 [[아가씨와 건달들]]에도 출연하며 제 2의 전성기를 맞았다. 이후 임성한 작가의 후속작 [[압구정 백야]]에도 [[장무엄]] 역으로 출연하기도 했다. --나타샤와 노다지의 재회--
         === 뮤지컬 ===
          * 2015년 뮤지컬 토크 콘서트 Who Am I 24(2015. 08. 26)
          * 2016년 [[키다리 아저씨(뮤지컬)|키다리 아저씨]] - 제르비스 펜들턴 역
          * 2017년 [[키다리 아저씨(뮤지컬)|키다리 아저씨]] - 제르비스 펜들턴 역
          * 2017년-2018년 뮤지컬 타이타닉 - 짐 파렐 역
          * 2018년 [[키다리 아저씨(뮤지컬)|키다리 아저씨]] - 제르비스 펜들턴 역
  • 신동미
          | 전배우자 = 허규 (뮤지컬 배우)
         1998년 연극배우로 첫 데뷔하였다. 이듬해 1999년 뮤지컬 배우 데뷔하였고 이후 2001년 [[MBC]] 문화방송 공채 탤런트(30기)로 정식 데뷔하였는데 2004년 같은 채널 [[12월의 열대야]] 이후<ref>{{뉴스 인용
         동료 배우 허규와 [[뮤지컬]]에 함께 출연하면서 [[친구]]로 지내다 연인으로 발전하여 2014년 12월 결혼했다. 허규는 노래 《''''사랑과 우정 사이''''》로 잘 알려진 음악그룹 피노키오 3집 [[보컬]]로 데뷔했으며, 뮤지컬 배우로 활동중이다.<ref>{{뉴스 인용 | url=http://entertain.naver.com/read?oid=421&aid=0001828889 | 제목=[TV까기]‘불후의 명곡’ 신동미♥허규, 이 부부가 사랑하는 법 | 저자=허초현 | 뉴스=뉴스1 | 날짜=2016-01-10 | 확인날짜= | 보존url=https://archive.today/20160808144521/http://entertain.naver.com/read?oid=421&aid=0001828889 | 보존날짜=2016-08-08 | 깨진링크=아니오 }}</ref><ref>{{뉴스 인용 | url=http://daily.hankooki.com/lpage/entv/201601/dh20160118212244139020.htm | 제목=신동미의 꽃미남 가수 남편 알고보니 "이 사람이었다고?" 충격 | 저자=이슈팀 | 뉴스=데일리한국 | 출판사=한국일보 | 날짜=2016-01-18 | 확인날짜= | 보존url=https://archive.today/20160808144558/http://daily.hankooki.com/lpage/entv/201601/dh20160118212244139020.htm | 보존날짜=2016-08-08 | 깨진링크=아니오 }}</ref>
         === 뮤지컬 ===
         [[분류:197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비디오 자키]]
  • 신소민
         [[부산광역시|부산]] 출생이며 [[1988년]] [[한국방송공사|KBS 한국방송공사]] [[텔레비전 드라마|TV 드라마]]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드라마)|그 해 겨울은 따뜻했네]]》의 단역을 통하여 [[배우|연기자]] 첫 [[데뷔]]를 하였고 2년 후 [[1990년]] [[문화방송|MBC 문화방송]] TV 드라마에도 첫 출연하였으며 2년 후 [[1992년]] [[서울방송|SBS 서울방송]] TV 드라마에도 첫 출연하였고 이듬해 [[1993년]] [[연극배우]] 데뷔하였으며 같은 해 1993년 [[뮤지컬 배우]]에 이어 같은 해 1993년 [[모델 (직업)|패션 모델]] 데뷔하였고 1년 후 [[1994년]] [[한국방송공사|KBS 한국방송공사]] 16기 공채 [[배우|탤런트]] 정식 데뷔하였다.
         === [[뮤지컬]] ===
         [[분류:1973년 태어남]][[분류:부산광역시 출신]][[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어린이 배우]][[분류:1988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수원여자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신정균 (영화 감독)
          | 직업 = 영화감독 <br/> 영화 영화 스크립터 감독 <br/> 영화제작자 <br/> 영화 각색가 <br/> 연극감독 <br/> 연극연출가 <br/> 뮤지컬 감독 <br/> 뮤지컬 연출가
         * [[2011년]] [[뮤지컬]] 《창공에 사는 우리의 빨간 머플러》로 뮤지컬 연출가 겸 뮤지컬 감독 데뷔.
         [[분류:196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영화 제작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1980년 데뷔]][[분류:평산 신씨]][[분류:연극 감독]][[분류:미술 감독]][[분류:뮤지컬 감독]][[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미술가]][[분류:대한민국의 연출가]][[분류:자유민주연합 당원]][[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양자]][[분류:불교 이탈자]][[분류:개신교도 이탈자]][[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
  • 심규선 (가수)
         * [[2009년]] [[뮤지컬]] 《마법사들》 주연 (구자은 역)<ref>{{뉴스 인용|제목=‘마법사들’ 대학로 창조아트센터서 공연중|url=http://sportsworldi.segye.com/Articles/EntCulture/Article.asp?aid=20100122003913&subctg1=20&subctg2=00|출판사=스포츠월드|저자=탁진현 기자|날짜=2010-01-22|확인날짜=2012-04-20}}</ref>
         [[분류:198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분류:부산예술대학 동문]][[분류:2000년대 가수]][[분류:2010년대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재즈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싱어송라이터]][[분류:대한민국의 재즈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청송 심씨]]
  • 심현섭(코미디언)
         '[[리얼체험 프로젝트 인간의 조건]]'에서 [[김준호(개그맨)|김준호]]를 통해 간만에 모습을 보였는데, 당시 [[뮤지컬]] '문나이트' 연습 중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극중 [[DJ]] 역할로 연기했다.
  • 안재욱
         안재욱은 [[1994년]]에 [[MBC]] 공채 탤런트 23기에 합격해, [[김혜수]]와 첫 호흡을 맞춘 단막극 《눈먼 새의 노래》로 배우로 연기자로 데뷔했다. 이 작품에서는 실제 인물인 시각장애인 강영우 박사 역할을 당시 신인으로 실감나게 연기해 큰 호평을 받으며, [[백상예술대상]] TV부분 신인상을 수상했다. 또한 1994년부터 1997년까지 4년여 동안 인기리에 방송 된 드라마 《짝》 외에도, 《호텔》, 《자반고등어》를 통해 대중들에게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안재욱은 [[뮤지컬]] 《베이비 베이비》, [[연극]] 《한평 반짜리 혁명》, 《나비처럼 자유롭게》, 뮤지컬 《아가씨와 건달들》에 출연했고, 드라마 《전쟁과 사랑》(1995년), 《그들의 포옹》, 《자반고등어》(1996년) 등의 작품에 조연급으로 출연하며 연기 경력을 쌓아갔다.
         |제목= 안재욱 우울증 고백, 드라마 시청률 쪽박에 “무관심이 너무 두려워” |url= http://bntnews.hankyung.com/apps/news?popup=0&nid=04&c1=04&c2=04&c3=00&nkey=201210161749073&mode=sub_view |출판사= bnt뉴스 |날짜= 2012-10-16 }}</ref> 안재욱은 삭발을 하는등 한동안 방송 활동을 중단했고, [[2009년]] 뮤지컬 《잭 더 리퍼》를 시작으로 《락 오브 에이지》에 출연하며 무대 연기에 집중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안재욱, 11년만에 '살인마 잭'으로 뮤지컬 도전 |url= http://star.moneytoday.co.kr/view/stview.php?no=2009082508453090091&type=1&outlink=1 |출판사= 스타뉴스 |날짜= 2009-08-25 }}</ref><ref>{{뉴스 인용
         |제목= [현장] 뮤지컬 <잭 더 리퍼> 안재욱 “좋은 연기로 후배들에게 모범 되고파” |url= http://www.maxmovie.com/movie_info/news_read.asp?idx=MI0096369728 |출판사= 맥스무비 |날짜= 2012-07-25 }}</ref> 그러던 중 [[2009년]]에 출연한 예능 토크쇼 《무릎팍도사》에서 처음 겪는 사람들의 무관심에 우울증을 겪을 정도로 힘든 시기를 보냈다고 고백했다. [[2011년]]에는 오랫동안 러브콜을 해온 [[최완규]] 작가의 드라마 《빛과 그림자》를 통해 3년만에 브라운관에 복귀하였고, 극중 강기태의 성공 스토리를 담은 이 작품에서 열연을 펼치며 20%가 넘는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고 당초 50부작에서 14회 연장되어 64부작으로 연장 방송하는 등 드라마의 인기를 이끌며 대상 수상이 유력했다. 하지만 안재욱은 연말 [[MBC 연기대상]]에서 대상 후보에도 오르지 못하고 무관에 그쳐 많은 시청자들 사이에서는 많은 논란이 되었다.<ref>{{뉴스 인용
         |제목= 안재욱 지주막하출혈, 美서 급수술..공연일정 조정 '불가피' |url= http://www.fnnews.com/newsview/starnews.jsp?newsid=20130206166236 |출판사= 파이낸셜뉴스 |날짜= 2013-02-06 }}</ref> 당초 안재욱은 뮤지컬 《황태자 루돌프》의 서울 공연을 마친후, 지방 공연을 앞두고 있었으나 갑작스런 수술로 지방 공연이 취소되었으며, 수술후에는 한달여간 중환자실에 입원해 투병 생활을 마치고 수술 및 회복 경과가 매우 좋다는 진단을 받고 퇴원해 한국으로 귀국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지주막하 수술했던 안재욱, 10월 컴백 앞서 26일 싱글 '새삼스럽게' |url= http://www.sportsseoul.com/?c=v&m=n&i=112466 |출판사= 스포츠서울 |날짜= 2014-09-25 }}</ref> 뮤지컬 《태양왕》의 주연 루이14세 역할을 맡아 1년여만에 무대에 복귀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안재욱 뮤지컬 '태양왕' 루이14로 복귀 '진면목 보일 것' |url= http://reviewstar.hankooki.com/Article/ArticleView.php?WEB_GSNO=10164993 |출판사= 서울경제 |날짜= 2014-01-29 }}{{깨진 링크|url=http://reviewstar.hankooki.com/Article/ArticleView.php?WEB_GSNO=10164993 }}</ref><ref>{{뉴스 인용
         |제목= '섹션' 안재욱, 지주막하출혈 수술 이후 근황 '뮤지컬 컴백' |url= http://www.xportsnews.com/?ac=article_view&entry_id=508519 |출판사= 엑스포츠뉴스 |날짜= 2014-10-12 }}</ref>
         [[2015년]] [[6월 1일]] : [[안재욱]]은 경기 안성에 위치한 반얀트리 클럽 앤 스파에서 9살 연하의 뮤지컬 배우 [[최현주 (1980년)|최현주]]와 결혼식을 올렸다.<ref>{{뉴스 인용|제목=안재욱-뮤지컬배우 최현주 결혼…"예쁜 가정 꾸릴게요"|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6/01/0200000000AKR20150601168500005.HTML?input=1195m|날짜=2015-06-01|뉴스=연합뉴스}}</ref>
         | align="center"| 뮤지컬 《광화문연가》
         | align="center"| 뮤지컬 《아리랑》
         | align="center"| 뮤지컬 《영웅》
         |align="center"| 뮤지컬 《아리랑》
         |align="center"| 뮤지컬 《태양왕》
         |align="center"| 뮤지컬 《황태자 루돌프》
         |align="center"| 뮤지컬 《락 오브 에이지》
         |align="center"| 뮤지컬 《잭 더 리퍼》
         |align="center"| 뮤지컬 《아가씨와 건달들》
         |align="center"| 뮤지컬 《베이비 베이비》
         * 2013년 대구 국제 뮤지컬 페스티벌 (DIMF) 홍보대사
         * 2010년 제4회 대구 국제 뮤지컬 (DIMF) 올해 뮤지컬 인기스타상
  • 안재욱(배우,가수)
         2017년 1월 18일부터 [[세종문화회관]]에서 [[뮤지컬 영웅]]에서 [[안중근]]역으로 출연중이다. 1월 9일 삼성카드홀 [[블루스퀘어]]에서 열린 쇼케이스에서 가사를 틀리는 실수를 범했다.
         2008년 사랑해 이후 슬럼프를 겪고 있던 도중 안재욱은 2009년 [[뮤지컬]] '살인마 잭'에 출연한다. 이 이후 안재욱은 꾸준히 뮤지컬에 출연한다. 2010 [[잭 더 리퍼(뮤지컬)|잭 더 리퍼]], 2011 [[락 오브 에이지]], 2012 [[황태자 루돌프]], 2014 [[태양왕]], 2017 [[영웅(뮤지컬)|영웅]].
         2015년 6월 1일 뮤지컬 배우 최현주와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2614530|결혼했다]]. [[프로불참러|그런데 세바퀴에서 김흥국이 이것 때문에 조세호를 갈궜다]]. 정작 조세호와 안재욱은 아예 모르는 관계다. 그리고 2016년 2월 16일, 득녀했다.
         2017년 8월 1일 뮤지컬 아리랑 홍보를 위해 [[SBS 나이트라인]] 초대석에 고선웅 연출가와 함께 출연하여 인터뷰했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323929|영상]]
         === 뮤지컬 ===
          * [[영웅(뮤지컬)|영웅]] - [[안중근]] 의사
          * [[잭 더 리퍼(뮤지컬)|잭 더 리퍼]]
          * 2010년 제4회 대구 국제 뮤지컬 (DIMF) 올해 뮤지컬 인기스타상
          * 2015년 제23회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뮤지컬부문 최우수상
  • 양파 (1979년 가수)
         * 2016년 12월 20일 [[강남구]] LG아트센터에서 열린 [[뮤지컬]] '보디가드' 무대에 오르며 [[뮤지컬 배우]]로 변신했다.<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404&aid=0000161474 뮤지컬 '보디가드' 이은진, 가수 양파에서 뮤지컬 여왕으로 변신] 뉴스24. 2016년 12월 20일</ref> 양파는 데뷔 이후 줄곧 '제 2의 [[휘트니 휴스턴]]'이 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던 만큼, 뮤지컬 무대에서 휘트니 휴스턴 역할을 맡아 휘트니 휴스턴의 명곡들을 폭발적인 가창력으로 소화해 냈고,<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241&aid=0002622987 양파, 생애 첫 뮤지컬 '보디가드' 도전…"휘트니 휴스턴 재현 영광"]{{깨진 링크|url=http://entertain.naver.com/read?oid=241&aid=0002622987 }} 일간스포츠. 2016년 12월 15일</ref><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9&aid=0002159153 '보디가드' 양파, 소름 돋는 무대 '휘트니 휴스턴 부활'] 데일리안. 2016년 12월 20일</ref> [[이종혁 (배우)|이종혁]]과의 키스신까지 선보였다.<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404&aid=0000161694 '보디가드' 양파, "이종혁과 첫키스, 집에 와서 술 마셔"] 뉴스24. 2016년 12월 22일</ref>
         * [[2010년]] 12월 뮤지컬 《[[천국의 눈물]]》 (Tears Of Heaven) O.S.T - Can you hear me?
         * [[2016년]] 12월 15일 ~ [[2017년]] 3월 5일 뮤지컬 보디가드 / LG아트센터
         * [[2017년]] 4월 1일 ~ 2일 뮤지컬 보디가드 부산 / 소향씨어터 신한카드홀
         * [[2017년]] 4월 12일 ~ 16일 뮤지컬 보디가드 대구 / 계명아트센터
         * 2017년 Dimf Awards 올해의 신인상 - 뮤지컬 '보디가드'
  • 양희은
         * [[포크 록]] [[가수]] [[한대수 (가수)|한대수]], [[포크송|포크 팝]] [[가수]] 겸 [[뮤지컬]] [[연출가]] [[김민기 (가수)|김민기]], [[사회자|방송인]] [[이상벽]]과 사적 친분이 두텁기도 하다.
  • 오종혁
         2008년 《온에어》로 뮤지컬에 데뷔한 그는 연기자로서 새로운 변신을 시도하게 됐다. 이후 《쓰릴 미》, 《오디션》으로 차근차근 무대 경험을 쌓았다. 연기를 정식으로 배우지 않았지만 그는 상당한 노력파로 캐릭터 습득력이 빠르다. 군 제대 후 복귀작 《그날들》을 통해 연기 활동을 계속해 나가고 있으며 2014년 연극 《프라이드》에 올라 무대에 대한 남다른 애정을 드러냈다.
         [[2013년]] [[2월 22일]] [[대한민국 해병대|해병대]] 복무를 마친 오종혁은 [[뮤지컬]] 《그날들》로 연예활동에 복귀하였으며,<ref>[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cID=&ar_id=NISX20130222_0011862381 해병대 전역 오종혁, 컴백작은 뮤지컬 '그날들']</ref> [[SBS]]의 《[[정글의 법칙]]》에 출연하였다.
         === 뮤지컬 ===
         | 제5회 [[예그린뮤지컬어워드]]
         [[분류:198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단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베이스 기타 연주자]][[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DSP 미디어 소속]][[분류:서울수색초등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1999년 데뷔]][[분류:클릭비의 일원]][[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참가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
  • 왁스 (1972년)
         * [[2007년]] 10월, 왁스는 자신의 노래를 토대로 제작된 창작 [[뮤지컬]] 《화장을 고치고》에서 주인공 혜리 역을 맡으면서 배우로서 데뷔하였다.<ref>한상미. [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678705 왁스, 연말 콘서트 대신 뮤지컬 무대에서 관객과 만난다] . 노컷뉴스. 2007년 11월 25일.</ref>
         === 뮤지컬 ===
         * [[2007년]] 뮤지컬 《화장을 고치고》
  • 왕용범
         | 직업 = [[뮤지컬]] [[연출가]] <br /> [[뮤지컬]] [[연출가|감독]] <br /> [[뮤지컬]] [[제작자]] <br /> [[교수|대학 교수]] <br /> 前 [[뮤지컬 배우]] <br /> 前 [[연극]][[배우]] <br /> 前 [[뮤지컬]] 조명[[연출가|감독]] <br /> 前 [[뮤지컬]] 음향[[연출가|감독]] <br /> 前 [[연극]][[연출가]]
         '''왕용범'''([[1974년]] [[8월 14일]] ~<ref name="hankyungm">{{뉴스 인용|제목=‘사랑도 뮤지컬도 모두 운명이죠’|url=http://magazine.hankyung.com/main.php?module=news&mode=sub_view&mkey=1&vol_no=671&art_no=29&sec_cd=1005|출판사=한국경제매거진|날짜=2008-10-09}}</ref>)은 [[대한민국]]의 [[뮤지컬]] [[연출가]]이다.
         [[1991년]] [[뮤지컬 배우]]로 첫 데뷔하였는데 고등학교 시절 교회에서 공연한 뮤지컬 《가스펠》에서 주인공을 맡은 것이 뮤지컬에 눈을 뜬 계기였다.<ref name="mk">{{뉴스 인용|제목=왕용범 연출 ‘전성시대’|url=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07&no=665318|출판사=매일경제|날짜=2007-12-05}}</ref> [[서울예술대학교|서울예술전문대학]] 연극과를 졸업했고, 학창 시절에는 배우로서 연기를 하기보다는 무대, 조명, 음향 등을 주로 담당했다.<ref name="mk"/> [[2005년]] 《[[밑바닥에서]]》로 서울외신기자클럽이 주최하는 외신홍보상을 수상했고, [[2007년]] 초연한 뮤지컬 《[[햄릿 (뮤지컬)|햄릿]]》으로 제15회 한국최고인기연예대상 뮤지컬 부문 최우수작품상을 수상했다.
         그는 뮤지컬 배우 [[서지영 (1968년)|서지영]]의 남편이자<ref name="hankyungm"/> 前 KBS 아나운서 [[왕종근]]의 조카이다.<ref>배경희, 《월간 더 뮤지컬》 통권 제98호, 2011</ref> 현재 [[서울종합예술전문학교]] 뮤지컬예술학부 학부장을 맡고 있다.
         * [[잭 더 리퍼 (뮤지컬)|살인마 잭]](2009)
         * [[삼총사 (뮤지컬)|삼총사]](2009)
         * [[잭 더 리퍼 (뮤지컬)|잭 더 리퍼]](2010)
         * [[삼총사 (뮤지컬)|삼총사]](2010)
         * [[잭 더 리퍼 (뮤지컬)|잭 더 리퍼]](2011)
         * [[삼총사 (뮤지컬)|삼총사]](2011)
         * [[캐치 미 이프 유 캔 (뮤지컬)|캐치 미 이프 유 캔]](2012)
         * [[잭 더 리퍼 (뮤지컬)|잭 더 리퍼]](2012)
         * [[프랑켄슈타인 (뮤지컬)|프랑켄슈타인]] (2014)
         * [[올슉업 (뮤지컬)|올슉업]] (2014~2015)
         [[분류:197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연출가]][[분류:뮤지컬 감독]][[분류:개성 왕씨]][[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1991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서울예술대학 연극과 동문]][[분류:서울종합예술실용학교 교수]][[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왕재민
         아나운서 [[김석원 (기업인)]]과 배우 이재은의 아들이다. [[2011년]] [[한국교육방송공사|EBS 한국교육방송공사]] [[텔레비전 드라마|드라마]]에서 [[배우]]로 데뷔하였고, [[2012년]] [[뮤지컬]] 《[[라이온 킹 (뮤지컬)|라이온 킹]]》으로 [[뮤지컬 배우]] 데뷔에 이어 같은 해 [[2012년]] [[연극]] 《[[햄릿]]》으로 [[연극]][[배우]]로 데뷔하였다.
         === [[뮤지컬]] ===
         * [[2012년]] 《[[라이온 킹 (뮤지컬)|라이온 킹]]》 ... 에드 역(단역)
         [[분류:199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개성 왕씨]][[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2011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유열 (가수)
         |직업 = [[가수]] <br /> [[작사가]] <br /> [[뮤지컬 배우]] <br /> [[뮤지컬]] [[제작자|감독]] <br /> [[음반]] [[음악 프로듀서|프로듀서]]
         '''유열'''(柳列, 본명 '''류종렬'''(柳鍾列) 예명 유열로 개명 (2009.11.09), [[1961년]] [[1월 12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뮤지컬|어린이 및 가족 뮤지컬]] [[연출가|프로듀서]]이다. 대표곡으로는 《지금 그대로의 모습으로》, 《가을비》, 《이별이래》, 《하늘을 닮은 그대에게》, 《단 한번만이라도》, 《화려한 날은 가고》, 《어느날 문득》, 《그 여름》, 《사랑의 찬가》 등이 있다.
         직접 제작한 어린이 뮤지컬 《브레멘 음악대》는 현재까지 70만명 관객돌파 흥행뮤지컬로 자리매김하고 있고 2009년에는 [[독일]] [[브레멘]]주정부 초청공연,2011년 8월[[중국 상해]] [[국제 아동극 페스티벌]]에 개막작으로 선정된 바 있다.
         2014년 [[제3회 예그린어워드]]에서 한해 가장 우수한 아동 청소년 창작뮤지컬 작품상인'아시테지상'을 수상하였다.
         === 출연한 [[뮤지컬]] ===
         === 제작한 뮤지컬 ===
         * [[2006년]] -> 現 어린이뮤지컬〈브레멘 음악대〉제작
         * [[2011년]] -> 現 뮤지컬<수궁 Fantasy> 기획중.
         [[분류:196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학가요제 출신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음악 프로듀서]][[분류:대한민국의 팝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연출가]][[분류:뮤지컬 감독]][[분류:1986년 데뷔]][[분류:동아방송예술대학교 교수]][[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구초등학교 동문]][[분류:대구중학교 (대구) 동문]][[분류:한국외국어대학교 동문]][[분류:대구고등학교 (대구)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침례교도]][[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음악가]]
  • 유인촌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뮤지컬]]에도 적극적으로 출연했다. 특히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의 [[빌라도]]역은 1980년 초연 이래 무려 십수년간 계속 맡아 오기도. 그 외에도 한강은 흐른다나 지하철 연가 등 창작 뮤지컬의 주연도 자주 맡았다.
  • 윤도현
         | 직업 = [[가수]], [[뮤지컬 배우]], [[방송인]]
         '''윤도현'''([[1972년]] [[2월 3일]] ~ )은 [[대한민국]]의 [[록 밴드]] [[YB (밴드)|YB]]의 보컬이자 [[뮤지컬 배우]], [[사회자|방송인]]이다.
         |날짜=2003-05-28}}</ref> 같은 해 나머지 밴드 구성원들과 함께 영화 《[[정글 스토리]]》에 공동 출연했다. 뮤지컬 활동당시에는 [[학전]] [[뮤지컬]] 《개똥이》에 출연한 바 있다.
         2002년 6월 15일 오랫동안 사귀어 왔던 [[뮤지컬]] 배우 [[이미옥 (배우)|이미옥]]과 혼인하였다. 이듬해 수시모집인 문화활동 우수자 전형으로 신문방송학과에 입학했다.<ref>{{뉴스 인용
         == 뮤지컬 활동 ==
         * 학전 록뮤지컬 개똥이 (1995년) - 개똥이 역
         [[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하드 록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록 가수]][[분류:대한민국의 가수]][[분류:대한민국의 포크 록 가수]][[분류:대한민국의 포크 록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발라드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SBS 인기가요 뮤티즌송 수상자]][[분류:Mnet 엠카운트다운 1위 수상자]][[분류:한국대중음악상 수상 음악가]][[분류:이라크 전쟁 반전 운동가]][[분류:광주광역시 출신]][[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새천년민주당 당원]][[분류:민주당 (대한민국, 2008년) 당원]][[분류:파평 윤씨]][[분류:1992년 데뷔]][[분류:친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
  • 윤형빈
         [[연극]](2003년), [[뮤지컬]](2004년) 등을 하다가 [[2005년]] [[한국방송공사|KBS]] 20기 공채 개그맨으로 정식 데뷔했고《[[개그 콘서트]]》의 '특종! 나불나불' 코너를 통해 자신의 이름을 알렸다. 2008년 4월 《[[개그콘서트]]》의 '[[봉숭아 학당]]' 코너에서 '''왕비호''' 역을 맡아 맹활약, 큰 인기를 끌었다. '안 웃기는 개그맨'이란 평가에 나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려고 독하게 준비한 역이었다. 하지만 얼마 후 식상하다는 지적에 하차하고 말았다.<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2280253 윤형빈, 개그맨 '왕비호'부터 '핵주먹 파이터'까지], 스타뉴스. 2014.02.10.</ref> 당시 [[한국방송공사|KBS]] 《[[연예가 중계]]》의 '윤형빈의 조금 불편한 인터뷰'라는 코너에서 [[리포터]]로도 활동했는데 이 마저도 곧 하차했다. 2013년 5월 19일 《[[개그콘서트]]》로 다시 복귀, '살아있네' 코너에서 활약했지만 이렇다 할 주목을 받지 못한 채 코너는 조기 폐지됐다. 그래서 새로운 도전을 했다. [[종합격투기]]에의 도전이었다. 2009년 종합격투기를 시작, 2011년부터 선수 데뷔를 준비해 오던 그는 "두려움에 맞서는 순간을 만나고 싶었다."며 2013년 10월 30대의 늦은 나이에 본격적으로 [[로드 FC]]와 계약을 맺고 종합격투기 데뷔를 선언했다. 그리고 2014년 2월 9일 [[Road FC 014]] 대회에 출전, [[일본]]의 [[츠쿠다 다카야]]를 상대로 1라운드 4분 19초 만에 TKO<ref>[http://imnews.imbc.com/replay/2014/nwtoday/article/3414666_13495.html <nowiki>[연예 투데이]</nowiki>윤형빈 종합격투기 데뷔전, 통쾌한 KO승]</ref>로 승리했다.
         [[분류:해피선데이]][[분류:개그콘서트]][[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희극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2003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명지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성우]][[분류:계룡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종합격투기 선수]]
  • 윤희석
         === [[뮤지컬]] ===
         [[분류:1975년 태어남]][[분류:파평 윤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96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고령군 출신]]
  • 윤희석(배우)
         대한민국의 배우. [[뮤지컬]] 배우 출신이다. 2006년 MBC 수목 드라마 '''[[90일, 사랑할 시간]]'''에서 고미연([[김하늘]])의 남편 김태훈 역을 맡았는데, 아내가 한 때 사랑하던 사람을 만나기 위해 잠시 아내를 보내주는 연기를 하며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그런데 여기서 [[발연기]]로 까였다.
         === 뮤지컬 ===
  • 이순재(1935년 10월)
         활동 초기에는 텔레비전 외에 [[연극]] 무대에서 열연하기도 했는데, 2010년 12월 10일부터 [[명동예술극장]]에서 상연되었던 [[돈키호테]]에서 오랜만에 연극 배우로 출연했다. 기존에 많이 상연되던 [[뮤지컬]] 버전인 [[맨 오브 라만차]]의 각색이 아닌 [[프랑스]] 극작가 빅토리앵 사르두의 중후한 희곡 버전을 택했고, 여기에 일부 한국식 풍자 요소를 더해 연출했다고 한다. 이순재의 배역은 타이틀 롤인 돈키호테. 다만 단독 캐스팅은 아니고, 후배인 한명구가 번갈아가며 출연했다. 종연 후에도 꽤 인기가 있었는지, 2012년 초순에 같은 극장에서 한 차례 더 공연했다.
  • 이윤택
         '''이윤택'''(李潤澤, [[1952년]] [[7월 9일]] ~ )은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극작가]], [[연극]], [[뮤지컬]] [[연출가]]이자 [[성범죄]] [[피의자]]이다. 2018년 연극계에서 [[성추행]] 및 [[강간|성폭행]]을 했다는 폭로가 나와, 여성 연극인 17명에 대한 성범죄 혐의로 구속되었다.<ref name="sexcrime"/> 본관은 [[여주 이씨|여주]]이며, [[부산광역시|부산]] 출생이다.
         연극 작업을 하면서도 끊임없이 시, 평론, 시나리오, TV드라마, 신문 칼럼을 쓰는 문학가이면서 뮤지컬, 무용, 축제극, 이벤트 연출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는 전방위 예술가이다. 전직 연희단거리패 예술감독이며, ‘문화게릴라’,‘공훈예술가’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 선거|2012년 대통령 선거]] 당시에는 훗날 제19대 [[대한민국의 대통령|대한민국 대통령]]이 된 [[문재인]] 당시 대통령 후보와 [[경남고등학교]] 같은 반 동창이었던 인연으로 그를 지지하는 연설을 한 바 있으며,<ref>{{뉴스 인용|title=이윤택 “철저히 아웃사이더로 지낼 것… 文정부, 문화 르네상스 꽃피우길” |url=http://news.donga.com/3/all/20170516/84376619/1 |work=동아일보 |date=2017-05-16}}</ref> [[대한민국의 언론|대한민국 언론]]인 [[중앙일보]]에서는 그를 문화예술계 [[친문]] 인사 중 한 명으로 평가하였다.<ref>{{뉴스 인용|title='블랙리스트' 피해자에서 '성폭행' 가해자…이윤택의 '영욕' |url=http://news.joins.com/article/22384505 |work=중앙일보 |date=2018-02-21}}</ref>
         * [[1990년]] [[오구-죽음의 형식]], [[청부]], [[뮤지컬 슈퍼스타]]
         * [[2008년]] [[세자매]], [[왕의우인 - 공길]], [[원전유서]], [[창작뮤지컬 이순신]], [[몽환의 오셀로]]
         * [[2009년]] [[하녀들]], [[수업]], [[창작뮤지컬 이순신]], [[원전유서]], [[햄릿]], [[화성에서 꿈꾸다]], [[창극-적벽]], [[베니스의 상인]]
         * [[2010년]] [[베니스의 상인]], [[로빈손과 크루소]], [[수업]], [[오구]], [[햄릿]], [[태양의제국-도래인이야기]], [[창작뮤지컬 이순신]], [[한마리호랑나비가 해협을 건넜네]], [[하녀들]]
         * [[2000년]] 한국뮤지컬 대상 작품상 - 《태풍》
         * [[2006년]] 대한민국 뮤지컬 대상 연출상 - 《화성에서 꿈꾸다》
         * [[2007년]] 더 뮤지컬 어워드 최우수작품상 - 《화성에서 꿈꾸다》
         [[분류:195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연출가]][[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연극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극작가]][[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각본가]][[분류:대한민국의 문학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연극 감독]][[분류:1971년 데뷔]][[분류:뮤지컬 감독]][[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초량초등학교 동문]][[분류:부산중학교 동문]][[분류:경남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예술대학교 교수]]
  • 이은하
          | 직업 = [[가수]], [[작사가]], [[영화 배우]], [[뮤지컬 배우]]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공백기를 가지게 되었다. 그 동안에는 [[콘서트]]나 [[뮤지컬]]을 하기도 했다. 이은하는 지난 2007년에 가수로 복귀하였고 그 해 [[서울가정법원]]에 호적정정허가신청서를 냈으며 자신의 실제 생년을 주민등록상으로 1958년에서 1961년으로 정정되었다. 2012년에는 5년 만에 새롭게 [[재즈]]분야의 음악으로 전향하여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록 가수]][[분류:1973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시인]][[분류:대한민국의 여성 기업인]][[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캐나다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이재영
         * '''[[이재영 (뮤지컬 배우)|이재영]]'''(1968 ~ )은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이자 [[가수]]이다.
  • 이효정(남배우)
          *[[뮤지컬]]
  • 전국환(배우)
          * 아들 전재홍은 [[뮤지컬]] 배우로 활동중이다.
  • 전혜진 (1970년)
         === [[뮤지컬]] ===
         * 《[[오페라의 유령 (뮤지컬)|오페라의 유령]]》 ... 크리스틴 역(주연)
         [[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197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91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비디오 자키]][[분류:김천중앙초등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한양여자대학교 동문]][[분류:미스코리아 지역 대회 입상자]][[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김천시 출신]]
  • 조민희(배우)
         ==== [[뮤지컬]] ====
  • 조성모(가수)
          - [[http://youtu.be/C9CMZ35vTYs|아시나요 (3집)]][* 영화 '플래툰'의 촬영지인 [[필리핀]] [[마닐라]] 올로케로 촬영되었으며 2000년 당시 총 제작비로 15억원이 들어간 드라마타이즈 뮤직비디오 사상 전무후무한 대작 스케일을 내뿜는다. 스토리 내용은 주인공 조성모가 월남전쟁에 파병되어 베트남 소녀와 사랑에 빠졌다가 결국 함께 죽는 슬픈 결말로 구성된다. 극중 파병 부대로 마크까지 등장하는 [[제9보병사단]]으로부터 베트콩에게 전멸당하는 전투장면 및 얼차려 등의 병영생활 등이 나오는 장면들과 관련하여 거센 항의를 받고 법정공방까지 가기도 했다. 한편 [[천국의 눈물|이를 바탕으로 한 뮤지컬]]도 만들어진 바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조.]([[http://www.youtube.com/watch?v=oB4oCDXFXhE|수정판]][* [[제9보병사단]]으로부터 항의로 인해 부대마크를 모자이크 처리 및 전반부 국군이 베트콩에 전멸하는 전투장면을 삭제하고 후반부 전투에서도 주인공 조성모가 베트콩 수장을 죽이는 장면을 추가 삽입하는 등의 수정작업을 거쳤다.]) : [[신민아]][* 1999년 이승환의 당부 뮤직비디오로 데뷔하였고, '아시나요'는 그녀가 출연한 두 번째 뮤직비디오 작품이자 실질적으로 자신의 얼굴을 제대로 알린 첫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뮤직비디오에서 주연으로 열연한 조성모의 히로인이라 할 수 있는 민간인 베트남 소녀 역할을 맡았으며, 전투를 떠나는 부대원의 지리정보를 주기위해 겁도 없이 총도 안가지고 전투에 참여했다가 결국 베트공의 총에 맞아 죽는다.], [[허준호]][* 주인공 조성모가 소속된 월남파병 부대의 [[말년병장]] 쯤으로 추정된다. 방탄모도 안쓰고 지멋대로 두건을 하고 다니는 등 군기가 제대로 빠져있는데, 중간에 민간인 구출 작전 과정에서 베트공에게 포로로 붙잡히게 되고, 베트공 대장의 살해 협박에 아군의 부대 위치를 알려주는 병크를 저지르고 결국 살해 당한다.], [[정준호]][* 조성모가 있는 파병부대의 소대장으로 계급은 중위. 민간인 구출 작전에서 구해낸 현지 월남 주민인 신민아가 현지 지리에 밝은 것을 활용해 도움을 받기도 한다. 마지막 부분 전투에서 숲속에 [[네이팜탄]]을 뿌리며 불을 지르다가 베트공의 습격에 폭사당한다.], [[신지수]][* 극중에서 신민아의 여동생으로 연기한다.], ~~[[오상훈]]~~[* To Heaven에 출연했던 악역 전문 배우와 동일 인물이며, 뮤직비디오에서 한국군과 대치하는 베트콩의 대머리 수장 역할로 거의 주연급 악역으로 출연한다.], ~~[[김대진]]~~[* '여름아 부탁해'를 부른 그룹 인디고의 멤버 맞다. 그 이전에는 지오에서 활동했다. 조연급 배우로 활동중이며, 아시나요 뮤직비디오에서 조성모의 동료 병사로 출연하는데, 극중에서 전투중에 아역배우였던 신지수를 비롯한 월남 민간인들을 구출하려다 총상을 입고 전사한다.]. ~~[[한나나]]~~[* 가을동화에서 송승헌의 약혼자로 나왔던 그 배우 맞다. 뮤직비디오에서 간호장교로 간간히 등장한다.]
         2011년 '아시나요'의 뮤직비디오를 토대로 만든 [[뮤지컬]] [[천국의 눈물]]이 올라오긴 했는데... 자세한 것은 [[천국의 눈물]] 항목 참조.
  • 최성수 (가수)
         | 직업 = [[싱어송라이터]] <br/> [[영화 배우|영화배우]] <br/> [[뮤지컬 배우]] <br/> [[기업가]] <br/> [[교수|대학 교수]]
         [[부산광역시|부산]] 출생이며 [[서울특별시|경기도 서울]]에서 잠시 유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녀는 [[1982년]] 언더그라운드 라이브 클럽에서 솔로 통기타 음악 가수 첫 데뷔하였고 이듬해 [[1983년]]에 《그대는 모르시더이다》로 [[솔로]] [[가수]] 정식 데뷔한 이후 《풀잎 사랑》, 《동행》, 《남남》, 《기쁜 우리 사랑은》등의 히트곡이 있다. [[1985년]]에는 [[영화]] 《창밖에 잠수교가 보인다》의 단역으로 [[영화 배우|영화배우]] 데뷔한 바 있으며 이어 같은 해 "[[꾸러기들 (음악 그룹)|꾸러기들]]"이라는 [[포크송|포크 팝]] [[보컬]] [[음악 그룹]]에서 잠시 활동하였고 그 후 [[1987년]] [[솔로]] [[가수]] 활동을 재개하였으며 [[2002년]]에는 [[뮤지컬 배우]]로 데뷔하였다. [[미국]] [[버클리 음악 대학|버클리 음악대학교]]에서 [[뮤지컬]][[학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예당아트TV]] 사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 뮤지컬 ===
         * [[미국]] [[버클리 음악 대학|버클리 음악대학교]] [[뮤지컬|뮤지컬학과]](부전공: [[작곡]]) [[학사]]
         * [[미국]] [[:en:American Musical and Dramatic Academy|아메리칸 뮤지컬 앤드 드라마틱 아카데미]] 음악대학원 음악연출학과 [[음악학]] [[석사]]
         [[분류:골든디스크 본상 수상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팝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싱어송라이터]][[분류:해주 최씨]][[분류:1982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동아방송예술대학교 교수]][[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음악 프로듀서]][[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동문]][[분류:버클리 음악 대학 동문]][[분류:196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부산광역시 출신]]
  • 최창권
          | 장르 = [[서양 고전 음악]]<br/>[[영화 음악]]<br/>[[뮤지컬|뮤지컬 음악]]<br/>[[대중 음악]]
         '''최창권'''(崔彰權, [[말레이시아]]에서 [[음악가]] 활동 당시 [[영어]] 이름은 '''폴 초이'''({{llang|en|Paul Choi}}), [[1929년]] [[10월 26일]]<ref>호적상의 출생년월일은 [[1934년]] [[10월 26일]].</ref> ~ [[2008년]] [[1월 25일]])은 한때 [[피아노 연주자|피아니스트]] 활동한 [[대한민국]]의 [[작곡가]]이며 [[뮤지컬]] [[연출가]]이다.
         [[본관]]은 [[해주 최씨|해주]](海州)이며 호(號)는 산남(山南)이고 그는 대한민국 [[뮤지컬]]의 대부로도 불린다.<ref name="경향_1">뮤지컬 전문작곡가 최귀섭 음악속으로 들어간 29살의 열정, 《경향신문》, 1996.11.30</ref> 작품으로 뮤지컬 《살짜기 옵서예》가 유명하며, 영화 《로봇 태권브이》의 음악을 담당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ref name="경향_1"/>
         [[전라남도]] [[순천시 (전라남도)|순천시]] 출생으로,<ref name="한국_1">[http://news.hankooki.com/lpage/people/200801/h2008012718144084840.htm 원로 작곡가 최창권씨 별세]{{깨진 링크|url=http://news.hankooki.com/lpage/people/200801/h2008012718144084840.htm }}, 《한국일보》, 2008.1.27</ref> [[서울대학교|서울대 음대 작곡과]]를 중퇴한 그는 1953년 미8군 무대에서 피아니스트 첫 데뷔하였으며 [[1956년]]부터 [[1959년]]까지 [[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군악대]]에서 복무하였고 [[1959년]] [[대한민국 육군|육군]] [[병장]] 제대 이후 [[1960년대]] 시기부터 예그린악단에서 활동하면서 뮤지컬을 작곡하였고, 100편이 넘는 영화 음악을 작곡하였다.<ref name="한국_1"/>
         그의 첫째아들은 [[작사가]] 겸 [[작곡가]] [[최명섭]], 둘째아들은 [[가수]] 겸 [[뮤지컬 배우]] [[최호섭 (가수)|최호섭]], 셋째아들은 작곡가 [[최귀섭]]이다.
         === [[뮤지컬]] ===
         * 2008년 제2회 더뮤지컬어워즈 공로상 수상
         [[분류:1929년 태어남]][[분류:1953년 데뷔]][[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자유민주연합 당원]][[분류:대한민국의 피아노 연주자]][[분류: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말레이시아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타이완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영화 음악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뮤지컬 감독]][[분류:서울예술대학교 교수]][[분류:추계예술대학교 교수]][[분류:2008년 죽음]][[분류:해주 최씨]][[분류:순천시 (전라남도) 출신]]
  • 최창엽
         경상북도 경주 출생이고 지난날 한때 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2006년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영상제 청소년부 대상을 수상하면서 [[데뷔]]하였다. 이후 [[2009년]] [[뮤지컬]]에 출연하였고, [[2011년]] [[한국방송공사|KBS 한국방송공사]] TV 드라마에 출연하였으며 이후 마약류관리에 관한 법률위반 혐의로 [[2016년]] [[9월]] 구속 수감되었고<ref>{{뉴스 인용
         === 뮤지컬 ===
         [[분류:1989년 태어남]][[분류:경주시 출신]][[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2006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연출가]][[분류:해주 최씨]][[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비디오 자키]][[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모델]][[분류:고려대학교 동문]][[분류:더 지니어스 참가자]][[분류:대한민국의 마약범]][[분류:대한민국의 범죄인]]
  • 한혜진 (1965년)
         * [[1984년]] [[뮤지컬 배우]] 첫 데뷔하였고 이듬해 [[1985년]] [[한국방송공사|KBS 한국방송공사]] 공채 탤런트로 정식 [[배우|연기자]] 데뷔하였으며
         === [[뮤지컬]] ===
         [[분류:196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1984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서울예술대학교 동문]][[분류:최면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
  • 허준호(배우)
         ||<bgcolor=#113759> {{{#white '''데뷔'''}}} ||[[1986년]] 영화 '청 블루 스케치'[* 뮤지컬 데뷔는 [[1983년]] '방황하는 별들']||
         [[대한민국]]의 [[배우]]. 뮤지컬 출신.
         청소년 시절에 방황이 길었다고 한다. 처음에 서울예대 무용과로 들어갔는데 입학해서도 겉도는 허준호에게서 그래도 소질을 꿰뚫어본 교수가 "너를 괜히 붙여준줄 아느냐? 정신 차리고 열심히 하거라" 라고 말을 남겼는데 알고보니 그는 돌아가신 아버지의 지인이었다고. 무용과를 졸업하고 나서 뮤지컬을 하고 싶어 서울예대 연극과로 다시 들어갔다고 한다.
         신인 시절인 199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정이 많고 편안한 이미지의 캐릭터도 많이 맡았다. 뮤지컬 배우인지라 노래에도 자신이 있었는지 1994년에는 동료 탤런트 김대희와 함께 가수 활동을 한 적도 있고, 그가 부른 솔로곡 중에 '어머님의 자장가'('사랑과 평화'가 부른 노래를 리메이크)가 어느 정도는 유명하다.
         최근 영화 출연보다는 뮤지컬 출연이 더 잦다. 원래 갬블러 자체가 일본에 건너간 거의 최초의 뮤지컬 수출작이기도 하다. 허준호는 갬블러에 거의 10년째 출연했고 [[시카고(뮤지컬)]]나 [[바람의 나라]]에도 출연했다.
         [[2005년]] [[뮤지컬]] "갬블러"를 공연(재공연)하러 일본에 갔는데, 그가 비중있게 출연했던 드라마 [[올인(드라마)|올인]]이 당시 일본에서 인기리에 방영중이었던지라 일본인 [[기자(직업)|기자]]로부터 인터뷰를 하게 되었는데 [[독도]]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질문받고는 말없이 걸어가 [[펜]]을 훅 뺏고는 "기분이 어떠세요?"라고 했다는 [[간지폭풍]]의 일화가 전한다. [[http://sangto3.tistory.com/1193|#]] 기자는 사과했다고.
          * 2000년 제6회 한국뮤지컬대상 남우주연상
          * 2002년 제8회 한국뮤지컬대상 인기스타상
  • 현이와 덕이
         * 2015년 5월 28일 <오마주 현이와 덕이 [[문화콘텐츠]] 사업 발표, 출범> ([[리메이크]] [[음원]], [[영화]], [[뮤지컬]], [[출판]] 등)
         * 2015년 5월 28일 <오마주 현이와 덕이 [[문화콘텐츠]] 사업 발표, 출범> ([[리메이크]] [[음원]], [[영화]], [[뮤지컬]], [[출판]] 등)
  • 홍인한
         * [[2008년]] [[뮤지컬]] 《화성에서 꿈꾸다》 배우 : [[표정범]]
  • 황정민(남자배우)
         ||<#6495ed> {{{#white '''가족'''}}} ||배우자 [[김미혜]][* 뮤지컬 배우로 활동했으며, 현재는 뮤지컬제작자로 샘컴퍼니 대표를 맡고 있다], 동생 황상준, 아들 황서현 ||
         ||<#6495ed> {{{#white '''데뷔'''}}} ||1994년 뮤지컬 '지하철 1호선' ||
         현재 부인과 함께 [[뮤지컬]] 배우로도 활동 중이다. 2012년에는 뮤지컬 어쌔신을 직접 연출하며 연출자로 활동하기 시작했으며, 이후 2015년 겨울에는 뮤지컬 《오케피》의 주연인 지휘자역 뿐만 아니라 연출까지 맡았다.
         [[샘컴퍼니]]라는 연예 기획사 사장이다. 연예인 육성, 뮤지컬 제작 등을 다 도맡아 하는 듯. 소속 연예인은 [[평양성(영화)|평양성]]에서 [[연개소문]]의 막내아들로 나왔으며 [[미생(드라마)|미생]]의 장백기역인 [[강하늘]], 영화 [[파수꾼(영화)|파수꾼]]에 희준으로 나오는 [[박정민(배우)|박정민]][* 뿐만아니라 [[댄싱퀸(영화)|댄싱퀸]], 들개에서도 나왔다.], [[양꼬치엔 칭따오]]의 [[정상훈]], 백주희, 최우리, [[한재영(배우)|한재영]][* [[강남1970]]를 보고 황정민이 직접 캐스팅했다고 한다.]이 있다.
         이렇게 영화, 뮤지컬, 광고까지 섭렵하면서 최고 흥행 배우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
         === [[뮤지컬]] ===
         ||<:>2012||<:>[[어쌔신(뮤지컬)|어쌔신]]||<:>찰리 귀토||
         [[분류:한국 남배우]][[분류:뮤지컬 배우]][[분류:1970년 출생]][[분류:1994년 데뷔]][[분류:장흥군 출신 인물]][[분류:무한도전의 역대 게스트]]
11831의 페이지중에 61개가 발견되었습니다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