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 유승민(정치인) . . . . 1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3, top1=정치인/목록, top2=불교/인물, top3=대구광역시/인물)]
[[유승민/생애]] 문서로.
[[유승민/정치 경력]] 문서로.
[[유승민/논문]] 문서로.
2017년 현재 [[임종석 UAE 특사 파견 논란]]으로 화제되고 있는 UAE와의 군사협약에 대해서 처음으로 의문을 제기했던 사람도 유승민이었다. [[http://www.nocutnews.co.kr/news/772179|''UAE 파병'' 결정, 문서없이 구두로만 이뤄져]] 구두협약으로 파병이 결정된다는 것에 의문을 가졌고, MOU와 관련된 것이 아니냐. 유사시 군사개입을 약속한 것이 아니냐며 당시 2급비밀로 분류된 4건의 문서 공개를 요구했다. 당시 김태영 장관은 UAE가 원하지 않는다며 이를 거부하고 파병과 상관없다고 해명했으나, 실제로 MOU와 파병이 연계되어 있었다는 것을 이후 인정했다.
[[유승민/비판 및 논란]] 문서로.
[[친유]] 문서 참조.
부친인 [[유수호(정치인)|유수호]] 의원도 [[박정희]] 정권 때 [[사법 파동]]으로 법복을 벗어야 했기 때문에, [[박근혜]] 대통령에 의해서 새누리당 원내대표에서 축출된것은 2대에 걸친 악연인 셈이다. 자세한 내용은 유수호 문서 참조. 결국 원내대표직 사퇴로 마무리되었지만, 오히려 이를 계기로 차기 대권 주자로 거론되기 시작했다.
대선후보 유세 과정에서 친딸 [[유담]]이 언론의 미모 관련 기사 도배로 유명해져, 아예 독립 문서까지 생겼다. [[유담]] 문서 참고.
== 관련 문서 ==
- 윤채경(가수) . . . . 1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5, top1=APRIL, top2=I.B.I, top3=C.I.V.A, top4=퓨리티, top5=프로듀스 101/참가자)]
||<bgcolor=#FF69B4><:>'''{{{#white 팬사이트}}}''' ||<(> [[http://cafe.naver.com/moonlight02210707|빛채경팬카페]] [[http://cafe.naver.com/dspuretty/|퓨리티팬카페]] [[http://9602210707.tistory.com/|투윤닷컴]] [[https://chaekyung.kr/|채경 팬페이지 블링블링]] [[http://gall.dcinside.com/board/lists/?id=chaekyoung|윤채경 갤러리]]^^[[윤채경 갤러리|(나무위키 문서)]]^^ ||
[[퓨리티]] 문서 참조.
[include(틀:상세 내용/문단, 문서명=카라 프로젝트, 앵커=s-3.4)]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윤채경/프로듀스 101)]
탁재훈이 가게를 오픈하자 C.I.V.A는 데뷔를 앞둔 상황에서 내키지는 않지만 어쩔 수 없이 가게 앞에서 춤을 추게 된다. 그리고 음반 녹음 함께 그동안의 출연진이 총출동한 C.I.V.A 뮤직비디오를 촬영한다. 그리고 윤채경의 생일이기도 한 7월 7일 디바의 노래 '왜 불러'를 리메이크한 음원이 발표되었다. [[C.I.V.A]] 문서 참고.
||<table align=center> 솔로 및 단독 참여음반만 기록합니다. [[APRIL]] 멤버들과 함께 참여한 음반은 [[APRIL/음반 목록]] 문서에 기록해주세요. ||
* Digital Single 《[[시계(음반)|시계]]》는 채경이 APRIL 합류전[* 연습생 신분일때, ~~ 《음악의 신 2》에서도 연습생~~] 2016년 6월 1일 발표한 음반이므로 이 문서에 기록합니다.
* [[I.B.I]]의 음반은 [[I.B.I]] 문서 참고.
* [[C.I.V.A]]의 음반은 [[C.I.V.A]] 문서 참고.
* [[퓨리티]] 시절의 음반은 [[퓨리티]] 문서 참고.
2016년 6월 1일 발매. [[시계(음반)]] 문서 참조.
- 창원시 . . . . 1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경상남도)]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프로젝트=나무위키 동남권 프로젝트)]
역사적으로 조선시대부터 한 지역이었으며, 개화기에 들어 행정적으로 완전히 분리되기 시작하였다가 2010년 다시 하나의 지역으로 통합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창원시/역사]] 문서 참조.
* [[무학(기업)|무학소주]] : 진짜 [[마산야구장]]에서 보면 지역특산물 같아 보인다.(...) [[마산아재]] 문서를 참조. 구 마산시 시절에는 9경 5미라고 해서 나름 밀던 컨셉이 있었는데 거기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일제시대 현재의 두월동 인근에 있었던 시미즈 양조장의 명맥을 계승한다.
[[창원시/생활환경]] 문서 참조.
[[창원시/정치]] 문서 참조.
[[창원시/행정]] 문서 참조. 현재 5개 일반구 산하에 읍면동이 있다.
== 관련 문서 ==
* [[사하 공화국]] '''[[야쿠츠크]]'''[* 문서를 보면 알다시피, [[헬게이트]]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창원, version=235)]
* [[문서 삭제식 이동]](창원 → 창원시)
- IncludeMacro . . . . 9회 일치
임의의 페이지를 불러들여 문서에 포함시켜줍니다.
* {{{[[Include(Page Name)]]}}} 혹은 {{{[[Include("Page Name")]]}}}라고 입력하면 문서이름 "Page Name"의 내용을 문서에 삽입하게 됩니다.
* 두번째 인자는 문서가 삽입되는 위치에 제목줄을 추가해주며, 세번째 인자는 추가될 제목줄의 레벨을 지정해줍니다.
* 예를 들어 {{{[[Include(Page Name, "포함되는 문서 제목", 2)]]}}}라고 입력하면 Page Name 문서를 포함시키고, 해당 문서가 포함되는 위치에 제목줄을 {{{== 포함되는 문서 제목 ==}}}이라는 제목줄을 함께 포함하여 출력합니다.
* 문서는 "틀:이름"
- NavigationMacro . . . . 9회 일치
문서를 하나 만들어서, 총알 리스트를 만들고, 총알리스트 각 아이템 맨 앞에 링크와 함께 설명을 쓰면, 해당 문서의 총알리스트에 나열된 링크를 바탕으로 네비게이션 링크를 만들어줍니다.
{{{[[Navigation(문서이름)]]}}}
/!\ 매크로를 사용할 때에 주의할 점은, 각 문서의 목록 하단에 {{{[[Navigation(목록문서이름)]]}}}을 삽입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 WikiName - 위키 문서 이름짓기
목록문서를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지정해주면 문서 상/하단에 Navigation 링크가 자동으로 추가됩니다.
{{{?action=navigation&value=목록문서}}}
- 박석민 . . . . 9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4, top1=NC 다이노스/선수단, top2=야구 관련 인물(KBO), top3=먹튀/야구, top4=돈 내놔라 먹튀야)]
~~[include(틀:관련 문서2, top1=개그맨, top2=브로콜리)]~~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석민/2013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석민/2014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석민/2015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석민/2016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석민/2017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석민/2018년)]
다수의 움짤이 포함된 상세 내용은 [[박석민/몸개그]] 참조. 야구선수 문서에 몸개그 항목이 분리되어 있다니.... '다수의 움짤'이라는 말이 괜히 있는 게 아니다. 항목에 들어가고 싶다면 '''반드시 와이파이를 켜고 들어가거나 웹으로 접속하자. 데이터가 엄청나다.'''
- 배영수 . . . . 8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top1=한화 이글스/선수목록, top2=야구 관련 인물(KBO))]
[include(틀: 관련 문서3, top1=한화 이글스/2018년, top2=참교육, top3=펠릭스 호세)]
이 후 5월 1일 대전 한화전에서 5이닝동안 1실점하며 다시 승리투수를 하면서 좋은 흐름을 찾는가 했는데, 이 후 SK와 두산을 상대로 연속 5이닝 미만 투구로 조기강판되면서 강타선을 보유한 상위팀을 상대로는 여전히 극복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사실 5월 중순까지의 투구 내용을 보면 위의 기사와 달리 실제로 구속은 회복되지 못했고,[* 안 되는 경우와 되는 경우의 비율이 절반 정도? 자세한 건 [[토미 존]] 문서에서 수술 부분을 읽어 보도록. [[임창용]]이 특이한 경우.] 예전처럼 묵직한 구위를 앞세운 속구위주의 투구를 더 이상 보여주기는 힘들기 때문에 기교파 투수로 변신했으나 강타선을 보유한 두산, SK와의 대결에서 다소 애매한 모습을 보여주고 말았다. 심지어 5월 20일 대구에서 열린 LG와의 경기에서는 1⅓이닝 동안 5실점(4자책)으로 통타당하는 모습까지 보이면서 결국 계투진으로 강등당하고 만다.
자세한건 [[배영수/2012년|해당 문서]] 참조.
자세한건 [[배영수/2013년|해당 문서]] 참조.
자세한건 [[배영수/2014년|해당 문서]] 참조.
12월 15일 보상선수로 [[정현석]]이 지명되었으나 선수 개인 사정과 삼성 프런트의 실책으로 인해 결국 연봉 300%의 보상금으로 바뀌었다. 자세한 내용은 [[정현석]] 문서 참고.
자세한건 [[배영수/2015년|해당 문서]] 참조.
- 이재학 . . . . 8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문서는 야구선수 이재학을 다루고 있습니다. 다른 동명이인, rd1=이재학(동명이인))]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NC 다이노스/선수단, top2=야구 관련 인물(KBO))]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딸기)]~~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재학/2013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재학/2014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재학/2016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재학/2017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재학/2018년)]
- 최준석 . . . . 8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야구 관련 인물(KBO))]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최준석/2013 포스트시즌)]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최준석/2014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최준석/2015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최준석/2016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최준석/2017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최준석/2018년)]
* 문서 상단의 사진에서도 보이듯이 두산 시절엔 MLB의 [[크레이그 비지오]]나 [[매니 라미레즈]]처럼 송진이 덕지덕지 묻어있는 지저분한 헬멧을 쓰고 경기를 했다. 롯데 이적 후로는 그냥 평범한 헬멧을 쓰고 있으며 최근엔 안면부 보호 헬멧을 착용하는 중.
- MoniWikiOptions . . . . 7회 일치
* 문서 저장 후 문서 리프레쉬 하도록 지정. 1 이상의 값이면 그 값에 1을 뺀 시간(초)을 기다린 후에 리프레쉬를 한다.
* 리플래쉬 하지 않는 경우에 문서를 다시 로딩(!F5)하면 문서를 다시 고치려고 시도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refresh를 하는 것.
* 문서 저장 이외의 리플래쉬가 필요한 액션의 경우 이 값이 사용된다. (예: scrap, userform 등등)
* 문서 저정 후 리프레쉬 되지 않게 하려면 `$use_save_refresh=0;`으로 지정
* 이렇게 페이지가 위키문서이므로 사용자가 추가/변경이 가능하다.
- 박명수(MC) . . . . 7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코미디언/목록)]]
아래 문서들을 참조하십시오.)]]
2012년 MBC 파업 기간 동안 동분서주한 박명수의 노력과 [[코미디에 빠지다]] 등을 이끌며 침체기에 빠진 MBC 코미디를 부흥시키려 한 것이 인정받은 셈이다. 다만 그 이면에는 논란도 상당히 많았다. 자세한 내용은 [[박명수/특징]] 문서 첫 문단 참고.
문서 참조.
문서 참조.
"G-Park World"라는 자기 스튜디오를 차리고 음악활동을 진행하면서 같이 일하게 된 사람들과의 인맥도 지니고 있다. DJ Charles로 알려진 양철수, Ice Breaker 김주형, 그리고 [[무한도전]] 이후로 대중에게 잘 알려진 --[[유재환]]-- 등의 사람들이 이에 해당한다(유재환에 대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여담이지만 무한도전 방송을 타서 가장 유명해진 게 유재환일 뿐, 다들 박명수가 출연하는 방송(<4가지쇼>, <무한도전>, <디제잉의 명수> 등)에 한 두 번씩은 다 출연한 적이 있다. 이를테면 DJ 찰스는 무한도전 방송 [[무한도전 라디오 스타|라디오스타 특집]]에서 도움을 주고 [[무한도전 쩐의 전쟁|쩐의 전쟁 특집]]에서 회오리감자를 파는 알바생으로 출연하였다.
== 관련 문서 ==
- 연정(우주소녀) . . . . 7회 일치
* 상위 문서: [[우주소녀]], [[I.O.I]], [[프로듀스 101/참가자]]
연정(우주소녀)/프로듀스 101 문서 참조.
||<table align=center> 단독 출연만 기록합니다. [[우주소녀]] 멤버들과 함께 출연한 목록은 [[우주소녀]] 문서에 기록해주세요. ||
||<table align=center> 솔로및 단독 참여음반 만 기록합니다. [[우주소녀]] 멤버들과 함께 참여한 음반은 우주소녀/음반 목록 문서에 기록해주세요. ||
* [[황도 12궁|황도13궁]] 중 [[땅꾼자리|땅꾼자리(뱀주인자리)]]를 맡고 있다. 탄생좌는 [[보나]]와 같은 [[사자자리]]이지만, 그룹의 컨셉과 합류 문제로 인해 땅꾼자리가 되었다. 해당 별자리 컨셉은 [[황도12궁]] 문서와 [[땅꾼자리#s-3|땅꾼자리]] 문서 참고.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연정(우주소녀)/I.O.I, version=38)]
- 김영철(배우) . . . . 6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명대사 제조기]]--
한편으로는 궁예 캐릭터에 애정도 있었는지 태조 왕건 이후 현대사인 [[서울 1945]]를 제외하면 한동안 사극에 출연하지 않는다. 그러다 2008년 [[대왕 세종]]에서 [[태종(조선)|태종 이방원]] 역을 맡았는데 그동안 사극 섭외를 정중히 거절한 이유는 바로 궁예 때문이라고 인터뷰했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0086918|#]] 일반적으로 대중들이 궁예와 김두한이라는 한 시대를 풍미한 캐릭터만으로 김영철이라는 배우를 논하는 경우가 있는데, 배우 본인이 그런 배역을 넘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음을 잊지 말아야 하며 존중해줘야 할 것이다.[* 비슷하게 [[서인석]]도 [[견훤(태조 왕건)|견훤]]으로 인해 이후 드라마에 출연할 때마다 견훤 이미지가 겹치는 일이 많았다. 자세한 건 문서 참조.]
김영철이 연기한 극 중 수양대군 캐릭터에 대해서는 [[공주의 남자]] 문서와 [[공주의 남자/등장인물#s-2]] 문서 참조.
2016년 상반기에 방영하는 드라마 [[장영실(드라마)|장영실]]에 [[태종(조선)|태종]] 역으로 출연한다. [[대왕 세종]]에 이어 또다시 태종 이방원을 연기하게 되었다. 야인시대에서 연기한 배역인 김두한의 실제 외손자 [[송일국]]과 함께 출연하게 되었다. 거기에 비슷한 시기 그 앞 시대를 다룬 사극도 있어 [[유아인]]과 함께 찍은 사진도 있다. 자세한 내용은 [[유아인]] 문서 참조.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영철, version=217)]
- 유해진(배우) . . . . 6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include(틀:관련 문서, top1=가톨릭/인물)]
예능면에서는 2006년 [[차승원의 헬스클럽]]으로 처음 모습을 보인 뒤, 2013년 4월부터 [[1박 2일]]에 [[김승우]] 대신 출연했다. [[삼시세끼/어촌편|삼시세끼 어촌편]]에 [[차승원]],[* [[장근석]]도 둘과 함께 출연 예정이었으나, 본인의 [[탈세|어떠한 사건]]으로 인해 무산되었다. 자세한 건 [[장근석]] 항목으로.] [[손호준]][* [[장근석]]의 하차로 4회부터 고정으로 합류했다.]과 같이 출연했다. --그리고 [[참바다]]라는 별명도 덤으로 얻었다 카더라.-- --이 문서는 [[참바다]] 문서 검색으로도 들어올 수 있다.-- 여기서 본인의 이름이 "바다 해(海)에 참 진(眞)"임을 밝혀 자막을 통해 참바다라는 별명을 얻었다.
참고로 실제 성은 '[[류(성씨)|류]]'씨(버들 류)라고 한다. 그래서 원래는 류씨로 하는게 맞지만 우리나라 행정상 공문서에 류씨를 유씨로 기록하던 관례로 학교다닐 때부터 성인된 이후까지 유씨로 계속 등록되어 와서 본인도 그냥 유씨로 살았다고 한다.[* 실제로 한국에는 많은 류씨들이 행정상 유씨로 살고 있다. [[류현진]]의 경우에도 과거 데뷔 초 언론에서 '유현진'이라고 표기한 적이 많았다. 2007년 법이 개정되어 [[대법원]]이 호적예규 변경을 통해 [[두음법칙]]을 적용하는 성(姓)에 예외를 둠에 따라 '류'씨로 정정신청을 할 수 있게 되어서 신청한 사람들이 있지만 실제로 신청할 때 아버지 호적까지 류씨로 바꿔야 하는 규정이 있어 행정상 복잡한 부분도 있고 하기에 대부분의 류씨들이 안 하는 걸로 알려져 있다. 류현진의 경우에는 이를 신청하여 이후 언론에서 유현진이 아닌 류현진으로 표기되게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세한 사항은 [[류(성씨)|류]] 문서 내에 관계된 내용을 찾아 보면 알 수 있다. ~~이게 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윗 동네]] 때문이다.~~]
- 윤종신 . . . . 6회 일치
* 상위 문서: [[가수/한국]]
* 관련 문서: [[윤종신/디스코그래피]], [[윤종신/월간 윤종신]]
이들 중에 유명한 사람들이 소위 윤종신의 '음악노예'들인 [[유희열]], [[하림(가수)|하림]], [[조정치]]. 셋 다 전문적으로 음악을 공부한 정통파들로 전부 윤종신이 발굴하다시피한 인물들이다. 윤종신 본인도 방송에서 자기 자신은 천재가 아니지만 천재를 보는 안목은 있다고 자부했듯이 셋 모두 탁월한 능력을 가진 음악인들이다. [[유희열]]은 군에서 제대한 후 정신을 못 차릴 때 낚아챘다고 하며 [[조정치]]는 세션으로 활동하던 시절에 [[김C]]를 통해 세션 기타로 추천받았다가 재능을 알아보고 데려왔으며 심지어 하림의 경우 해당 문서에서도 알 수 있듯이 윤종신이 군 복무 시절에 알아보고 계약서를 쓰게 했다고 한다. 윤종신 본인은 이를 예능 소재로 써먹고는 있지만 본인의 한계점을 명확하게 인식한 뒤에 그 점을 보완하려고 재능 넘치는 원석들을 계속 발굴해서 성장시키며 가까이 두고, 서로 윈윈하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월간 윤종신)]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좋니)]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윤종신/사건 및 사고)]
- 카치구미 . . . . 6회 일치
사실 신도연맹이 탄생하기 이전, 1944년 부터 브라질 일본인 사회는 미쳐 돌아가고 있었다. 이 당시 '박하국적론'이라는 괴문서가 브라질의 일본인들 사이에 나돌고 있었는데, 이것의 내용이 이상과 같이 황당무계한 것이었으나 일본인들 사이에서는 믿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괴문서가 돌면서 당시 박하를 재배해서 미국에 수출하던 브라질의 일본인은 모두 미국에 무기를 보내는 것과 같다. 따라서 이들은 적에게 협력하여 일본을 공격하는 국적(国賊)이라는 논리였다. 이 괴문서 때문에 일본인이 운영하는 박하 재배 농장, 박하 가공 공장에서 일본인에 의한 [[방화]]가 잇따라 일어났던 것이다.
1945년 10월 3일, 브라질 일본인 사회에서 명망이 높은 인사였던 미야코시 치바타(宮腰千葉太)가 일본에서 종전을 알리는 문서와 외상이 해외 일본인에게 보내는 메시지를 만국 적십자사 브라질 지부를 통하여 받았다.
미야코시는 유력자들을 모아서 문서를 공개하고, 일본이 미국에 패배했다는 것을 알렸다. 미야코시는 즉시 카치구미에게 '''비국민(非国民), 국적(国賊)'''으로 몰려서 신변의 위협을 느낄 수 밖에 없었고, 본래 각지를 강연하려던 계획을 취소하고 대신 문서를 인쇄하여 반포하였다.
- 황효진(기업인) . . . . 6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3, top1=흑역사/목록/e스포츠, top2=금지어/스포츠, top3=사기꾼)]
[include(틀:관련 문서2, top1=소닉 스타리그, top2=스베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소닉 스타리그)]
BJ 소닉이 개최하는 BJ 스타리그. 자세한 내용은 [[소닉 스타리그|문서 참조]].
초기부터 여러 [[스베누#s-4|논란과 비판]]을 받아왔다. 자세한 내용은 [[스베누]] 문서 참조.
자세한 것은 [[스베누]] 문서 참고.
- 하현우 . . . . 5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가수/한국, top2=국카스텐)]
[[하현우/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문서와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41~50회]],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51~60회]] 문서 참조.
[[마이 리틀 텔레비전/방영 목록/MLT-31~MLT-35]] 문서 참조.
[[라디오 스타(황금어장)/2016년 상반기#s-23]] 문서 참조.
- Crusader Kings 2 . . . . 4회 일치
9. 특성. [[Crusader Kings 2/특성]] 문서 참조.
[[Crusader Kings 2/특성]] 문서 참조
[[Crusader Kings 2/종교]] 문서 참조
[[Crusader Kings 2/궁정]] 문서 참조
- 김연경(배구선수) . . . . 4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3, top1=배구, top2=배구 관련 인물, top3=장신/목록)]
[include(틀:관련 문서3, top1=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top2=소녀가장, top3=보이시)]
그리고 '''FIVB가 흥국생명의 편을 들어주고 말았다'''.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흥국생명]]-김연경 간의 합의서를 뒤늦게 알고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흥국생명]]의 손을 들어줬다는데 문제는 그 합의서는 FIVB의 유권해석이 나오기 전까지는 절대로 유출하지 않기로 했던 문서이다.[* 합의서 내용은 김연경에게 불리한 조항 투성이. 단, 마지막에 양 측은 FIVB의 결정에 따른다는 조항이 있었다. 김연경측은 그걸 노린 듯.] 이를 안 김연경 측은 선수 은퇴도 불사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76&aid=0002268707|#]] ~~농담이 아니라 제대로 선수 생활하려면 이젠 해외로 귀화하는 것밖에 답이 없다~~[* 소속 팀의 문제라 귀화한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현재 네티즌 여론도 귀화를 바랐다. 그러나 김연경 자신은 귀화는 절대로 하지 않는다고 이야기했다. 결국 이렇게 되자 김연경은 최후의 수단으로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에 제소를 하겠다고 밝혔다.
* 이전 문서에서는 [[개신교]] 신자라고 되어 있으나 영상을 찾아보면 [[https://www.youtube.com/watch?v=-pHMig1AqXE|성호를 긋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이로 미루어 보아 개신교 신자라기보단 [[가톨릭]] 신자일 가능성이 높다.[* [[https://www.instagram.com/p/aCrfx9qxpr/?hl=ko&taken-by=kimyk10]] 또한 비록 스치듯이 나왔지만 나 혼자 산다 출연 당시 성경의 글귀가 새겨진 액자가 보이기도 했다.] ~~[[성공회]] 신자일 수도 있겠다.~~
- 김재규 . . . . 4회 일치
* 상위 문서: [[대한민국 국군/인물]], [[불교/인물]]
* 관련 문서: [[박정희]], [[차지철]], [[김재규/항소이유 보충서]], [[10.26 사건]]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사육신]] 목록에 자신의 조상인 [[김문기]]의 이름을 넣도록 하기 위해 학계에 압력을 가한 적이 있다. 사육신 문서 참고. 이는 사육신만 알고 삼중신을 몰라서 벌인 촌극이다.
한국 [[미술]]계의 대형 스캔들인 [[천경자 미인도 위작 사건]]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미인도는 한때 김재규의 개인 소장품이었는데, [[10.26 사건]] 후 김재규의 재산을 몰수하는 과정에서 이 그림이 국가로 귀속되어 1980년 국립현대미술관에 소장된 이후 위작논란이 시작되었다. 즉, 김재규가 이 작품의 위작 여부를 알고 있었는지, 작품을 소장하게 된 경위가 어떤 지를 밝히는 게 위작논란의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다. 일단은 김재규의 남동생에 의하면 "형수가 그 그림이 진품인지는 알지못하고 걸었다"라고 인터뷰한 바가 있고 검찰에 의하면 김재규의 부인이 친한 오모 대령의 부인에게서 받은 그림이라고 한다. 처음 이 논란이 시작되었을 때는 단순히 전 소유주라는 사실 이상의 관심을 받지 못했지만, 2016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그 사건]]이 터지고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도 다루면서 '''김재규의 업적을 깎아내리기 위한 신군부와 미술계의 결탁'''이라는 가설이 힘을 얻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 김재박 . . . . 4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야구 관련 인물(KBO), top2=대구광역시/인물)]
~~[include(틀:관련 문서2, top1=물리학자, top2=임하룡)]~~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재박/선수 경력)]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재박/지도자 경력)]
- 울릉군 . . . . 4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경상북도)]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프로젝트=나무위키 대경권 프로젝트)]
군 부대도 주둔 중인데, 1982년 도서 방어 임무가 [[대한민국 육군]]에서 [[대한민국 해군]]으로 이관되면서 해군 [[제1함대사령부]] 예하의 [[레이더 사이트|전탐감시부대]]인 [[제118조기경보전대]]가 들어와 있다. 이 부대에는 [[제1해병사단]]에서 전속된 해병대원들도 같이 근무한다. 상시 주둔하진 않으나, 독도나 울릉도 유사시 1함대와 1사단에서 함정 및 해병대 전력을 지원받을 수 있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를 참조.
울릉군 관광은 푸른 바다와 섬, 독특한 모양의 바위와 지질 구조, 사람의 손을 타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산과 숲 등 수려한 자연 경관이 주를 이룬다. 육지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군 단위 지자체인 까닭에, 울릉군 외부로 통하는 교통과 울릉군 내 대중교통이 비교적 불편하고, 배값에 따른 여행 경비가 많이 들기 때문에, --시간과 경제력이 있는--장년층이나 노년층의 패키지 관광이 많은 편이다. 자유여행을 생각한다면 [[울릉군/교통]] 문서 또한 참고하면 좋다. 또한, 섬의 특성상 강풍이 불거나 풍랑이 거센 경우 통제되는 여행지가 여럿 있는데, 울릉군청 홈페이지에서 간편하게 확인이 가능하다. 이하는 행정구역에 따라 정리한 울릉군의 관광지들이다.
- 이수민(야구선수) . . . . 4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문서는 1995년생 야구선수 이수민에 대해 다룹니다. 동명이인, rd1=이수민)]
후에 스타로 떠오른 [[이수민(2001)|하니 이수민]], [[이수민(1984)|음악의신 이수민]], [[이수민(1999)|판타지오 출신 이수민]]을 제치고 위키에서 가장 먼저 이수민 이름으로 생성된 문서다(...) 2015년 11월 전까지 이수민을 검색하면 야구선수가 나왔으나, 후에 동명이인 문서로 바뀌고 야구선수 문서가 따로 나왔다. ~~이제 삼성 복귀하면 [[야갤]] 별명은 [[보니하니]] 확정~~
- 절대가련 칠드런/469화 . . . . 4회 일치
* [[우츠미 세이시로]]의 사념과 [[츠보미 후지코|츠보미 문서]]가 일행과 함께 대책을 협의한다. 우츠미는 효부가 평소답지 않은 점에 의문을 느낀다.
* 그래도 카오루는 다른 방법이 없지 않느냐고 하는데, 츠보미 문서와 [[우츠미 세이시로]]의 사념이 그녀를 다독인다. 츠보미 문서는 이럴 때를 대비해 자신이 있는 거라며 카오루를 진정시킨다. 하지만 상황이 막막한건 사실이다. 마츠카제는 미나모토가 "판도라의 전력을 써라"고 했지만 뭘 어떻게 해야할지 감이 잡히지 않는다.
* 우츠미는 효부가 이런 상황에서 너무 몸을 사리는게 아닌가 의문스러워한다. 그가 기억하는 효부는 적에게 당하고 얌전히 있을 타입이 아니기 때문. 그러자 츠보미 문서는 길리엄의 정신이 "어떤 의식"에 닿지 않도록 하고 싶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현재의 효부는 가족이나 원한 이상으로 어떤 존재에 의해서 삶을 이어가고 있다. 효부는 자신과 링크된 길리엄이 그 존재를 눈치채는 것을 경계했던 것이다. 그 존재는 물론 파괴의 여왕, 아카시 카오루의 미래다. 하지만 여기에 있는 카오루는 그런 사실에 대해서는 까맣게 모르고 "그게 누구냐"고 묻고 있다.
- FrontPage . . . . 3회 일치
4) 작성자를 알아보기 쉽게 하기 위하여, 문서에 '최초작성자'를 나타내는 표시를 기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 개인 사용자를 주제로 한 문서를 만드는 것을 금지합니다.
* 무단으로 위키 문서를 외부로 유출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권희동 . . . . 3회 일치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권희동/2017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권희동/2018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권희동/2019년)]
- 김상중(배우) . . . . 3회 일치
* 상위 문서 : [[배우/한국]]
누군가 김상중이 나온 롯데리아 모짜렐라 버거 광고를 이용해 동영상을 만들었다. [[모짜렐라 인 더 버거]] 문서로.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김상중(배우),version=37)]
- 김형준(배우,가수) . . . . 3회 일치
* 상위 문서: [[SS501(아이돌)]], [[Double S 301]]
||<table align=center> 솔로 및 단독 참여 음반만 기록합니다. [[SS501(아이돌)|SS501]] 멤버들과 함께 참여한 음반은 [[SS501(아이돌)/음반 목록]] [[Double S 301]] 멤버들과 함께 참여한 음반은 [[Double S 301/음반 목록]]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
== 관련 문서 ==
- 문서사유화 . . . . 3회 일치
"문서사유화"란, "위키 문서는 다 같이 쓰는 공간이므로, 혼자서 독점하여서는 안된다."는 정도의 의미이다.
옛날 [[엔하위키]]에서 특정 문서를 자기 마음에 드는 형태로만 수정되어야 한다고 철저하게 관리하는 사람을 제제하기 위하여 새롭게 만들어졌던 용어. 생각해보면 위키위키인 이상 당연한 것이다.
- 박상철(가수) . . . . 3회 일치
* 코미디언은 [[박상철(코미디언)]] 문서로.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가수/한국, top2=불교/인물)]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젤나가 감시탑)]~~
- 박주영 . . . . 3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축구 해외파 선수들)]
* 주영신(갓주영) : 비꼬는 의미로 더욱 많이 쓰이나 가끔 가다 현실이 되기도 한다. [[2012 런던 올림픽]]에서 동메달 결정전에서 한 골을 넣고 잠시 이런 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가끔이라고 하기도 뭐한것이,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도 동메달 결정전 딱 한 순간뿐이고 그 이후에는 없다.~~가끔은 가끔인데 가끔이 너무 가끔이야. 그리고 사실 한일전 그것도 청대에서 한골 넣었다고 갓주영이면 역대 한일전 최다득점자인 [[최정민(축구)|최정민]]은 [[옥황상제]]인가?~~ 취소선 드립처럼 한계가 너무 명확하기 때문에 2017년까지도 가끔 축구 사이트에서 이런 말을 하는 사람도 있으나 집중포화를 맞고 사라지곤 한다. 그러나 슈틸리케호 말기 축구 국가대표팀의 부진이 너무나도 심했기 때문에 자조적인 의미로 상당한 호응을 얻기도 한다. 그러나 착각을 심하게 한 나머지 진지하게 주영신 같은 얘기를 과도하게 하면 집중포화를 맞고 버로우하게 되니 한계를 명확히 알고 주의하자. 박주영은 국대에서 잘 나갔던 시절은 정확히 말해 08-12년이 전부라 해도 과언은 아니다. 08년 동아시아컵부터 남아공시절엔 주전력으로 뽑혔고 본인도 피크시절 능력치지만 11년을 기준으로 터키 세르비아 가나 폴란드 는 평가전이었고[* 그렇다고해서 이걸 평가 절하할 필요는 없다. 전에 문서 작성에 세르비아는 2진 시차적응 등을 문제삼는 댓글이 있었으나 이런걸로 따지면 13년 스위스는 시합전날 입국했고 17년 콜롬비아는 3-4일전 입국해 더운데 사는놈들 추운데서 이겼다고 승리가 평가 절하됄 이유는 없다.가나는 주전력은 빠졌지만 기안이나 월드컵 주전은 대부분 출전했다]브라질 예선은 최종예선 같이 한국과 호각을 이룰만한 팀들이 아니었다.[* 레바논이 그나마 최종예선까지는 왔지만 주전력이 약하고 결국 최종예선에서 하위권 팀이었다]하지만 알다시피 13년은 이적실패와 벤치를 달구면서 월드컵에서 주적이 되고 부진한것은 부정할수 없다.
- 박진성(시인) . . . . 3회 일치
* 2018년 2월 새벽을 기점으로 [[https://namu.wiki/history/%EB%B0%95%EC%A7%84%EC%84%B1(%EC%8B%9C%EC%9D%B8)|r143 버전]]부터 박진성 시인의 [[블로그]], [[트위터]] 계정명과 동일한 아이디의 [[위키러]]가 이 항목을 수정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아 [[나무위키]]에도 출연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같은 날 새벽 박진성 시인이 자신이 활동하고 있는 [[웃긴대학]] 커뮤니티에 [[http://web.humoruniv.com/board/humor/read.html?table=pds&number=743737|이러한 글]]을 올렸는데, '''[[이파리]]가 떨어진다'''는 표현이 이 [[나무위키|'''나무'''위키]]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있다.] 이후 박진성 시인의 [[나무위키]] 가입 여부를 언급했던 위키러가 정말 박진성 시인 본인이 위키에 가입한 것인지를 알고 싶었던 것인지 이 항목에 토론을 올렸다. [[https://namu.wiki/thread/RBRLvDusL3QxF9GCGwhXK5|#]] 본인의 답이 없어 토론이 닫혔으나, 이후 웃대에 박진성 시인이 [[http://web.humoruniv.com/board/humor/read.html?table=pds&number=744267|나무위키에 대한 글]]을 올렸고, 3월 21일 [[리얼뉴스]]와의 인터뷰에서도 이 문서의 혐의와 핍박 항목을 언급한 것으로 보아 이 문서를 주시하고 있는 것은 분명해졌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박진성, version=49)]
- 백승주(정치인) . . . . 3회 일치
[[최순실 청문회]]의 새로운 X맨으로 등극 중이다.[* 최순실, 박근혜 게이트의 우병우 증인 등 변호하는 듯한 답변 유도와 태블릿PC에 집중하고 야당 의원에게 고함을 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중 백미는 왜 최순실의 PC를 조사했냐는 것. 그리고 [[노승일]]이 멋대로 문서를 복사해 갔다고 범죄행위로 몰았다. --노승일은 쿨하게 처벌받겠다고 했다.-- 그리고 노승일에게 무슨 의도로 문서를 복사했냐는 등 어떻게든 물타기를 시도했다가 의도와 정 반대로 답변이 나와서 모두 실패했다. 박근혜와 친족관계임이 밝혀지면서 '친박 이완용을 넘어서는 친족 백승주가 왔다' 는 평이 나왔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백승주, version=81)]
- 성훈(배우) . . . . 3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 [[신기생뎐(드라마)|신기생뎐]] : [[아다모]] 역. 문서 참조.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성훈,version=68)]
- 송창현 . . . . 3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top1=한화 이글스/선수목록, top2=야구 관련 인물(KBO))]
[include(틀: 관련 문서, top1=한화 이글스/2019년)]
해당 문서 참조.
- 승리(빅뱅) . . . . 3회 일치
[include(틀:관련 문서4]
[include(틀:상세 내용/문단, 문서명=Alan Walker/음원 목록/공식 보컬음원, 앵커=s-2.2.3)]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빅뱅(아이돌)/사건사고)]
- 안기효 . . . . 3회 일치
* 관련 문서: [[e스포츠 관련 인물]]. [[대구광역시/인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더미:안기효, version=50)]
[[분류:프로게이머/스타크래프트]][[분류:동구(대구) 출신 인물]][[분류:문서 삭제식 이동]][[분류:아프리카TV BJ]]
- 영주시 . . . . 3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경상북도)]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프로젝트=나무위키 대경권 프로젝트)]
> 아래께(=며칠 전에) 한데서(=바깥에서) 다릐가(=다른 이가) 마케(=전부/죄다. 사실 이건 강원도 사투리 '마카'의 변형이다) 시스맘(=각자/제각기) 선낱씩(=하나 둘/적은 수/조금씩) 주께는데(=지껄이는데) 메란도 없었(=매우 많다/정신 없다/난장판이다)니더(=경북 북부지방 종결어미. [[동남방언]] 문서에서 유홍준이 능교형과 니껴형으로 구분한 문단 참조할 것).
- 영천시 . . . . 3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영천(永川)은 이 문서로 연결됩니다. 영천(榮川), rd1=영주시)]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경상북도)]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프로젝트=나무위키 대경권 프로젝트)]
- 완벽한 공산주의 . . . . 3회 일치
일부 사람들이 주장하는 [[카를 마르크스]]의 이상론, '''SF 창작 설정'''. SF 창작 설정이라는 표현이 부적절하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카를 마르크스가 자신이 갖춘 과학적 지식과 따라서 상상한 것을 뜻하므로, 현실에 있었던 공산주의 체제와의 '명확한 대비'를 위하여 이 문서에서는 'SF 창작 설정'이라는 표현을 떄떄로 사용하고 있다. 소설로서 써진 것은 아니기 때문에, 상당히 SF적으로 창작된 이상론이라고 봐도 좋다.
사회주의자들이 현실에 있었던 '공산주의 국가'를 '불완전한 공산주의'라고 까면서 제시하는 사회. 일부 사람들은 '완전한 공산주의'라고도 한다. 현실 공산주의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별도의 문서로 설명한다.--공산주의 문서가 없잖...--
- 윤태진(아나운서) . . . . 3회 일치
* 정치인은 [[윤태진(정치인)]] 문서로.
* 상위 문서: [[아나운서/목록]]
* 2016년 10월 16일부터, [[소사이어티 게임]]에 출연--이라고 쓰고 광탈 내지 1일 출석, 까메오 등장--하였는데, 자세한 것은 [[윤태진/소사이어티 게임]] 문서 참고.
- 은지원 . . . . 3회 일치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 프로젝트=나무위키 보이그룹 프로젝트)]
||<#000000> '''{{{#FFFFFF 별명}}}''' ||<(> G, '''G1'''[* 실제로 자신의 모든 솔로 앨범표지에 Eun G1이라는 예명을 쓴다. --무한도전에서는 [[김재덕]]에게 [[장수원|장로봇]]이 형은 덕2로 하자...--], =G1, '''은초딩''', '''은각하'''[* 데뷔 초에 멤버들끼리 놀리듯이 붙여졌다. 그러나 시작과 달리 외모와 분위기 탓에 자연스레 받아들여졌다. 여담으로 [[은초딩]]과 [[은각하]]를 쳐도 이 문서에 들어올 수 있다.], 절대자, 은간지,[br]은까리, 은리더[* 방송 자막에서도 자주 등장한다.], 은대장, 은리다,[br] 지니어스원, 은둘리, 여의도돌싱[* 신서유기 시즌1에서 이승기가 붙여준 별명. 바리에이션으로 여의도 이혼남이 있다.], [[외계인]][* 1박 2일에서 은지원이 외계인에게 관심을 너무 가진 것이 외계인이라는 별명을 얻게 만들었다. 공주편에서 은지원이 공상과학 이야기 중 외계인 이야기를 하는데 "형 외계인이 있다고 생각해? 없다고 생각해? 사람 몸속에 아무 흔적없이 마이크로 칩을 넣는데?"라고 발언 한 것. 이후 은지원이 강호동의 엉덩이를 나무로 때리고 이후 [[박찬호]]가 은지원보고 외계인 아니냐며 의심을 한 것이다. 이후 팜스테이 편에 등장하는 일심동체 게임에서 김C가 외계인 하면 떠오르는 단어가 뭐냐는 문제에서 은지원을 적은 것. 이후 전국일주에서 UFO 관련해서도 빨리 사진 지우라는 등의 모습을 보여줬다.],[br]거칠이, 극한직업 젝키리더(...)[* 옛날부터 멤버들과 예능 나오면 마음 졸이며 수습하고 관리하기 바빴다. 최근 나온 방송들을 보면 멤버들이 산만한 편...],[br]젝키 유일 일반인[* 밖에선 미친자, 도른자, 돌아이, 외계인 취급받지만 젝키에선 가장 평범한 일반인 포지션이다. 그 정도로 동생들--특히 이재진--이 남다르다(...).], 섭섭이(...)[* [[1박 2일]]에서 얻게 됐다. 후에 --[[MC몽]]--이 섭섭이 라인에 합류하면서 은지원은 일섭이, --MC몽--은 이섭이로 불리게 됐다.], 미친者(...)[* 신서유기에서 얻게된 별명이다.], 구美[* [[안재현|이 사람]]이 합류하자마자 그에 못지않은 미친者의 면모를 보여서 신美 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자동적으로 은지원은 기존의 미친者를 뜻해서 옛날을 뜻하는 한자 舊(옛 구)를 넣은 셈.], 찌오니[* 본인의 이름을 모에화하여 팬들이 부르는 별명, 본인도 이렇게 불리는 것을 알고 있다.], 은먹금[* 본인의 칭찬이 나오면 황급히 화제를 전환하거나 아예 외면해서 붙은 별명. 방송생활 20여 년간 본인 칭찬을 한 적이 한 손에 꼽는다(...).], 은요물[* 촉이 좋아서 미션의 흐름을 한번에 이해하고 진행해나가 신서유기 제작진들이 붙여준 별명], 은왜은[* 연예인 중에서 유일한 [[은(성씨)|은씨]]와 흔하지만 세련된 '지원'이라는 이름 때문에, 팬들이 은지원은 이름도 잘생겼다며 '은지원은 왜 이름도 은지원인가'를 줄여서 만든 별명.] ||
* 평소 초딩 이미지와 함께 쌓이던 지니어스 이미지를 살려 [[더 지니어스:룰 브레이커]]에도 참여하였다. 그러나 [[더 지니어스:룰 브레이커/6화|한 사건--사고--]]이후 '''이미지가 크게 폭락하였다.''' 그의 지니어스 활약--및 몰락과정--은 [[은지원/더 지니어스|이 문서 참조]]. 그러나 젝스키스 재결합으로 인해 듬직한 리더의 이미지 및 [[신서유기]] 출연으로 1박 2일 시절의 초딩 이미지를 얻으며 지니어스에서 실추된 이미지를 많이 회복하였다.
- 이병욱(스트리머) . . . . 3회 일치
예전엔 마른 체격이었는데 체중이 불었는지 통통한 체격이되었다. [[2014년]]도에 [[아프리카TV]]에서 명불허전와꾸로 활동했었던 인물.[* 명불허전와꾸를 검색하면 이 문서로 넘어온다.] [[남구(범죄자)|남구]]에게 사기[* 남구에게 핸드폰 명의를 빌려줬다가 [[신용불량자]]가 될 수 있는 상황이라고 한다]를 당한 피해자였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갓건배/사건사고)]
[[갓건배]] 문서 참조. 이 때문에 신고당할 여지를 남기게 되었다. 참고로 타 스트리머와 분쟁이나 비하가 있을 시 경고 처리를 받는다.
- 이성희(배구감독) . . . . 3회 일치
||이 문서는 해당 인물의 멸칭인 [[돌성희]](...)로도 들어올 수 있습니다.||
* 상위 문서: [[배구 관련 인물]]
* 관련 문서: '''[[금지어/배구]]''', '''[[흑역사/목록/배구]]'''
- 이채영(fromis_9) . . . . 3회 일치
* 상위 문서: [[아이돌학교]], [[유용근밴드리즈]]
* 하위 문서: [[이채영(유용근밴드리즈)]]
[[이채영(유용근밴드리즈)]] 문서 참고.
- 임윤선(법조인) . . . . 3회 일치
* 관련 문서: [[법조인/목록]]
2013년 12월 7일부터 방영된 <[[더 지니어스:룰 브레이커]]>에 출연해서 5회까지 살아 남았고 2015년 6월 27일부터 방영되었던 <[[더 지니어스:그랜드 파이널]]>에 출연하여 4회까지 살아 남았다. 자세한 내용은 [[임윤선/더 지니어스]] 문서 참조.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임윤선, version=153)]
- 정승화(육군) . . . . 3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대한민국 국군/인물)]
그리고 그의 인생에서 큰 사건이 터지는데 1979년 [[10.26 사건]](김재규의 박정희 전 대통령 시해사건)이다. 당시 육군참모총장이였던 정승화에게는 인생의 전환점이 된다. 자세한 사항은 [[10.26 사건]] 문서로.
10.26 사건 이후 계엄사령관이 되어 사건 수습을 진행한다. 그러나 당시 보안사령관 겸 합동수사본부장인 [[전두환]]의 [[12.12 군사반란]] 때 신군부측에 납치당하고 만다. [[10.26 사건]] 문서에도 자세히 나오지만, [[박정희]]가 피살된 [[10.26 사건]] 당시 궁정동 안가 '가'동(피살장소는 '나'동이었음)에 있었다는 점을 조사하겠다는 명목으로 전두환의 부하 허삼수 [[대령]] 등에게 강제 연행, 군사재판에 회부되었다. 사건 당일 [[김재규]]는 대통령이 연회가 있으면서도 정승화에게 저녁을 같이 하자고 궁정동으로 불러냈다. 물론 김재규는 박정희와의 연회가 있었기 때문에 정승화와 함께하지 못했고, 정승화는 김재규가 보낸 중정 차장과 저녁을 먹던 중에 사건이 일어난 것이다. 김재규의 치밀한 계략인지, 순간적인 기지인지, 본능적인 직감인지는 이제 알 수 없게 되었지만 당시 피살 현장에서 매우 가까이 있으면서도 김재규의 암살 시도를 눈치채지 못했고,[* 다만 뭔가 수상쩍다는 건 느꼈는지 차 안에서 김재규가 "목이 마를 텐데 이거라도 좀 드시라." 하면서 준 사탕을 바로 바닥에 버렸다고 한다. 본능적으로 자신도 암살 당할지도 모른다는 위협을 느꼈다고... 영화 [[그때 그사람들]]에서는 사탕 대신 껌을 준다.] 김재규와 같은 차를 타고 [[육군본부]]에 갔으며, 육군본부에 도착한 이후에도 대통령이 저격에 의해 피살되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음에도 이를 숨긴 채 [[노재현]] [[국방부장관]]에게 대통령께서 돌아가셨으며 자세한 경위는 중앙정보부장에게 물어보라면서 사건 경위를 축소하여 보고하였고 [[차지철]]이 지휘했던 [[수도방위사령부|수경사]]를 불법적으로 장악하려 시도하는 등 김재규의 정권장악시도에 암묵적으로 동조하는 행보를 보인 사실은 정승화에게 치명적인 약점이 된다.[* 훗날 [[노태우]]는 회고록에서 박정희의 죽음을 현장에서 막지 못한 죄인이니 마땅히 물러나야 하는 사람인데 뻔뻔하게도(?) 자리를 보전하길래 의로운 마음으로 들고 일어났다고 주장했지만...]이에 대해 정승화는 청문회 등에서 평소 차지철의 행보와, 당시 상황의 급박함으로 인해 대통령을 암살한 범인이 차지철이라고 오판해서 수경사 병력을 장악해 차지철을 제압하려 한 것이라고 자기 변호하였다.
- 조성모(가수) . . . . 3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가수/한국)]
[[조성모/음반 목록]] 문서 참조.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조성모,version=219)]
- 조원진 . . . . 3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정치인/목록, top2=대구광역시/인물)]
* 관련 문서: [[친박]], [[미국병/사대주의]]([[미빠]]), [[친미파]], [[극우]], [[박근혜 탄핵 반대 집회]]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조원진/논란)]
- 청도군 . . . . 3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문서는 한국의 지역을 다루고 있습니다. 중국의 도시, rd1=칭다오)]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경상북도)]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프로젝트=나무위키 대경권 프로젝트)]
- 청송군 . . . . 3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경상북도)]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프로젝트=나무위키 대경권 프로젝트)]
[[농업]]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특산물로는 [[사과]]와 [[고추]]가 있다. 실제로 [[청양고추]]가 [[충청남도]] [[청양군]]이 아닌, 청송군의 '[[청]]', [[영양군]]의 '[[양]]'을 따서 이름지었다는 [[가설]]이 있다. [[청양고추]] 문서 참고. 그 외에도 [[담배(식물)|담배]]와 [[파프리카]], [[야콘]]등이 있다.
- 최정원(1981년 4월) . . . . 3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최정원]]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연예계에서 활동하는 [[동명이인]]이 꽤 많다. 공통된 점은 모두 [[현재]] 연기 활동을 하고 있다는 것인데, 이들 중 그룹 [[UN(가수)|UN]] 출신의 [[최정원(남자배우)|최정원]]과는 이름뿐만 아니라 [[1981년]] 생으로 [[나이]]도 같고 [[생일]]도 비슷하다. 한 가지 재미있는 것은 [[드라마]] [[그녀의 신화]]에 출연할 당시 여주인공 역을 맡았는데, 공교롭게도 남주인공으로 같이 호흡을 맞춘 상대가 그룹 UN의 다른 멤버인 [[김정훈]]이라는 것이며 [[마녀의 성]]에서도 잠깐이지만 김정훈과 같이 출연했단 거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최정원, version=54)]
- 표창원 . . . . 3회 일치
* 상위 문서: [[정치인/목록]], [[가톨릭/인물]]
방송 쪽으로는 [[SBS]] [[그것이 알고 싶다]]와 같은 범죄 관련 프로그램에 단골로 출연하여 유명해졌고, 케이블 채널의 <살인자는 말한다>등의 자기 이름을 걸고 나오는 프로를 진행한 적도 있다. 2012년 경찰대학 정교수 퇴직 이후에는[* 개인 [[블로그]] 및 [[트위터]]를 통해 [[국가정보원 여론조작 의혹]]에 대한 견해를 표명하는 과정에서 돌연 "경찰대의 정치적 중립성을 침해할 수 있다."는 이유로 경찰대학 교수직을 사퇴했다.] [[JTBC]] [[표창원의 시사 돌직구]]라는 프로그램에 MC로 발탁돼 방송인을 겸했으며, 범죄심리분석 전문가로서의 행보는 계속해서 이어가고 있다. 대외적으로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면서 본 문서에서도 여러 차례 지적했던것 처럼, "저명성에 걸맞는 전문성을 갖추고 있냐."는 지적들이 나왔지만, 어쨌거나 [[대한민국]]에 프로파일 기법이나 범죄자에 대한 복합적 연구를 처음으로 대중화한 점에서 공로가 있다는 것은 인정 받고 있다.
[[표창원/논란]] 문서로.
- 현이와 덕이 . . . . 3회 일치
자세한 정보는 각 음반 문서를 참고할 것.</small>
자세한 정보는 각 음반 문서를 참고할 것(참여 음반은 장덕이 참여한 곡에 한한다.).</small>
자세한 정보는 각 음반 문서를 참고할 것.</small>
- Crusader Kings 2/특성 . . . . 2회 일치
* 왕가 친족살해자(Dynastic Kinslayer) - '''문서 수정자의 자체적인 번역. 정식 번역명으로 교체 바람.'''
* 가족 친족살해자(Familial Kinslayer) - '''문서 수정자의 자체적인 번역. 정식 번역명으로 교체 바람.'''
- HelpOnEditing . . . . 2회 일치
등호 두 개짜리 소제목(이 문서의 '개요'와 같은 크기)을 사용하시기를 권장합니다.
이러한 색깔 효과는 주로 [[리듬게임]]의 곡 등 게임과 관련된 요소의 난이도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며, 대사집 등에서 각 인물의 대사를 분류하거나 문서를 대조할 때 구분하는 등 여러가지로 쓰입니다. 특히 긴 글을 인용할 때 몇몇 부분을 구분해야 하는 경우에만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 RecentChangesMacro . . . . 2회 일치
대부분의 위키위키에서 RecentChanges 문서는 위키의 가장 중심이 되는 뷰이며 위키위키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는 일반 게시판에서 게시판 목록을 보는 것과 거의 같은 기능을 담당합니다.
모니위키는 여타 위키에서 손쉽게 커스텀하기 어려운 RecentChanges 문서를 RecentChangesMacro를 통해 비교적 손쉽게 커스텀할 수 있으며,
- Victoria II . . . . 2회 일치
상품의 목록은 [[Victoria II/상품]] 문서 참조.
[[Victoria II/POP]] 문서 참조
- 고현정(미스코리아)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불교/인물)]
- 구성윤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축구 해외파 선수들)]
- 권혁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top1=한화 이글스/선수 목록, top2=야구 관련 인물(KBO))]
[include(틀: 관련 문서3, top1=한화 이글스/2018년, top2=불교/인물, top3=살려조)]
- 금잔디 . . . . 2회 일치
* 상위 문서: [[가수/한국]]
[[마키노 츠쿠시#s-3|마키노 츠쿠시]] 문서 참조
- 김국진(MC)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코미디언/목록)]
[include(틀:관련 문서, top1=가톨릭/인물)]
- 김기수(코미디언) . . . . 2회 일치
* 상위 문서: [[코미디언/목록]], [[DJ/목록]], [[가톨릭/인물]], [[유튜버]]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김기수,version=26)]
- 김다솜(배우)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씨스타, top2=배우/한국)]
[include(틀:다른 뜻 설명, 설명=<b>김다솜</b>은 이 문서로 리다이렉트 됩니다.)]
- 김동욱(배우)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Include(틀:관련 문서, top1=가톨릭/인물)]
- 김민희(1972) . . . . 2회 일치
* 관련 문서: [[배우/한국]]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김민희,version=51)]
- 김민희(1982)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민희, version=38)]
- 김윤아(1974) . . . . 2회 일치
* 상위 문서: [[가수/한국]]
* 관련 문서: [[유용근밴드리즈]]
- 김지석(배우) . . . . 2회 일치
* 상위 문서 : [[배우/한국]]
[include(틀:문서 가져옴/문단,title=김지석, version=70, paragraph=3)]
- 김지수(배우)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bgcolor=#363232> {{{#ffffff '''본명'''}}} ||<(> 양성윤[* 이 이름으로도 이 문서로 들어올 수 있다.](梁成允) ||
- 김창숙(배우) . . . . 2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창숙, version=30)]
- 김태연(배우) . . . . 2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김태연,version=33)]
* 상위 문서: [[배우/한국]]
- 김현성(가수) . . . . 2회 일치
* 관련 문서: [[가수/한국]]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현성, version=62)]
- 김형태(정치인) . . . . 2회 일치
* 상위 문서 : [[정치인/목록]]. [[기자(직업)/목록]]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형태, version=240)]
- 남유진 . . . . 2회 일치
* [[대한민국]]의 [[웹툰작가]] [[뚱땡이냐옹이]]의 본명. [[뚱땡이냐옹이]] 문서 참조.
* [[대한민국]]의 여성 솔로 가수 [[Eyedi]]의 본명. [[Eyedi]] 문서 참조.
- 다키스트 아워 . . . . 2회 일치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 문서 참조.
[[다키스트 아워(영화)]] 문서 참조.
- 디도(성우) . . . . 2회 일치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 프로젝트=나무위키 성우 프로젝트)]
* 상위 문서: [[성우/한국]], [[대원방송 성우극회]]
- 문근영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일본)]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불교/인물)]
- 박경림(MC) . . . . 2회 일치
* 대표적인 연예계 마당발이라 할 정도로 폭넓은 [[인맥]]을 자랑한다. 결혼식 당시 참석한 하객들이 ㅎㄷㄷ하다…[* [[강경준]], [[강수정]], [[강타]], [[강혜정#toc|강혜정]], [[강호동]], '''[[거스 히딩크]]''', [[김규리(1979년 6월)|김규리]], [[김기수(코미디언)|김기수]], [[김동완(신화)|김동완]], [[김민종]], [[김수미]], [[김아중]], [[김용만]], [[김을동]], [[김장훈]], [[김현철(가수)|김현철]], [[노홍철]], [[주종혁|라이언]], [[바다(가수)|바다]], [[박명수]], [[박상민]], [[박수홍]], [[박신혜]], [[별(가수)|별]], [[서경석]], [[솔비]], [[스윗소로우]], [[신혜성]], [[안재모]], [[양파(가수)|양파]], [[우승민]], [[유재석]], [[유진(배우)|유진]], [[윤다훈]], [[윤종신]] & [[전미라]] 부부, [[윤해영]], [[이루(가수)|이루]], [[이수영(가수)|이수영]], [[이지연(1975)|이지연]], [[이지훈(1979)|이지훈]], [[이혁재]], [[이효리]], [[임창정]], [[자두(가수)|자두]], [[장근석]], [[장나라]], '''[[정몽준]]''', [[정선희]], [[조인성]], [[조정린]], [[주영훈]] & [[이윤미]] 부부, [[지상렬]], [[차예련]], [[차태현]], [[채연]], [[하하(가수)|하하]], [[한효주]], [[현영]], [[환희(플라이 투 더 스카이)|환희]], [[황보라]]가 찾아왔다. 더불어 대표적인 하객들이 나무위키에 문서가 있는 사람들이다(...)''' 결혼식에 총 5000여명의 하객들이 왔다갔다.]
== 관련 문서 ==
- 박노식(1971) . . . . 2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박노식, version=40)]
- 박상규(가수) . . . . 2회 일치
* 상위 문서 : [[가수/한국]]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박상규,version=27)]
- 박신혜 . . . . 2회 일치
이문서는[[일본]]황후에대한문서입니다
- 박영진(코미디언) . . . . 2회 일치
* 상위 문서: [[코미디언/목록]]
급기야 2013년 6월 2일 [[개그 콘서트]]의 [[현대레알사전]]에서 외화 더빙에 대해 풍자개그를 했다가 성우계의 [[어그로]]를 제대로 끌기도 했다. 이에 대해 자사 성우인 [[구자형]]은 외화를 더빙할 때 말하는 대사의 길이를 맞추려고 노력하는 게 기본인데 이걸 지키지 않는 것처럼 묘사를 했다고 주장하였으며 이 문제는 삽시간에 논란이 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현대레알사전]] 문서 참조.
- 박정민(배우)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박정민, version=72)]
- 박준규(1925) . . . . 2회 일치
* 상위 문서: [[정치인/목록]], [[대구광역시/인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박준규, version=85)]
- 박화요비 . . . . 2회 일치
qkrghㅏ * 관련 문서: [[가수/한국]]
2007년, 몇년 전부터 앓아오던 성대낭종이 악화되어 수술을 받았다. 수술 회복 이후 2008년 초 6집 활동을 시작하고, 예능 [[우리 결혼했어요]]로 큰 인기를 얻었다. 특유의 [[환희(플라이 투 더 스카이)|환희]]와의 앙상블은 코믹 그 자체. 자세한 사항은 후술할 문서 참조.
- 배경 세계 공유 . . . . 2회 일치
* '''본 문서의 명칭은 가칭입니다. 올바른 표기를 아시는 분은 수정 바랍니다'''.
상단의 정보처럼 본 문서명은 가칭이다. 이러한 스타일에 관해 'shared universe', 'shared world' 등의 단어가 있으며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영향을 받아 영화계열는 '시네마틱 유니버스'라고도 한다. 공통 세계관, 동일 세계관, 세계관 공유 등이라 부르는 경우도 있다.
- 서수민 . . . . 2회 일치
* 상위 문서: [[PD(방송)|PD]]
많은 사람들에게는 [[개그 콘서트]]의 PD를 맡았던 당시 과도한 정치 개그, 여성 편향 개그[* 이를테면 여성 편향의 로맨스물과 꽃미남 게스트 출연 등. [[용감한 녀석들]]도 여성 편향적인 노래가 많으며([[용감한 녀석들/노래 가사]] 문서 참조.), [[애정남]]에서도 무조건 여자한테 유리하게 이끌어졌다. 헌데 정작 여성 측도 '재미없다'는 평이 다수.] 및 [[노잼]]화의 최대 원흉으로 지목되고 있다. 그리고 어느샌가 게스트를 섭외하는 일이 늘어나면서 일명 '[[게스트]] 콘서트' 혹은 '[[로맨스]] 콘서트' 등으로 변질된 책임을 묻는다.
- 성격 . . . . 2회 일치
~~사실 이 문서를 생성한 진짜 이유라 카더라.~~
여기 나와 있는 단어들은 '감정'에 가까운 것들도 있으나, ~~원래 창작을 위해 문서를 만들었으므로~~ 기재하기로 한다.
- 성세현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한민국/컬링)]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2, 프로젝트1=나무위키 동계스포츠 프로젝트, 프로젝트2=나무위키 올림픽 프로젝트)]
- 세정(구구단)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세정(구구단)/프로듀스 101)]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세정(구구단)/I.O.I, version=58)]
- 슈가(방탄소년단) . . . . 2회 일치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 프로젝트= 나무위키 보이그룹 프로젝트)]
* [[방탄소년단]] 멤버들 중 가장 먼저 개인 문서가 개설된 멤버이다.
- 신고은(가수) . . . . 2회 일치
* 관련 문서: [[가수/한국]]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신고은, version=30)]
- 신현준(군인) . . . . 2회 일치
* 관련 문서: [[대한민국 국군/인물]], [[가톨릭/인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신현준, version=237)]
- 연규진 . . . . 2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불교/인물]]
[[여담]]으로, 본 [[문서]]는 [[아들]] [[연정훈]], [[며느리]] [[한가인]] 등보다도 훨씬 늦게 작성되었다.
- 영덕군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경상북도)]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프로젝트=나무위키 대경권 프로젝트)]
- 영양군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경상북도)]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프로젝트=나무위키 대경권 프로젝트)]
- 예천군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경상북도)]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프로젝트=나무위키 대경권 프로젝트)]
- 우현(배우)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include(틀:관련 문서, top1=경상북도/인물)]
- 울진군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경상북도)]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프로젝트=나무위키 대경권 프로젝트)]
- 원우(가수)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세븐틴(아이돌), top2=세븐틴(아이돌)/힙합팀)]
[[원우]]의 소속 유닛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세븐틴(아이돌)/힙합팀|힙합팀]] 문서 참조.
- 유인촌 . . . . 2회 일치
참고로 실제 성은 '[[류(성씨)|류]]'씨(버들 류)라고 한다. 그래서 원래는 류씨로 하는게 맞지만 우리나라 행정상 공문서에 류씨를 유씨로 기록하던 관례로 학교다닐 때부터 성인된 이후까지 유씨로 계속 등록되어 와서 본인도 그냥 유씨로 살았다고 한다.[* 실제로 한국에는 많은 류씨들이 행정상 유씨로 살고 있다. [[류현진]]의 경우에도 과거 데뷔 초 언론에서 '유현진'이라고 표기한 적이 많았다. 2007년 법이 개정되어 [[대법원]]이 호적예규 변경을 통해 [[두음법칙]]을 적용하는 성(姓)에 예외를 둠에 따라 '류'씨로 정정신청을 할 수 있게 되어서 신청한 사람들이 있지만 실제로 신청할 때 아버지 호적까지 류씨로 바꿔야 하는 규정이 있어 행정상 복잡한 부분도 있고 하기에 대부분의 류씨들이 안 하는 걸로 알려져 있다. 류현진의 경우에는 이를 신청하여 이후 언론에서 유현진이 아닌 류현진으로 표기되게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세한 사항은 [[류(성씨)|류]] 문서 내에 관계된 내용을 찾아 보면 알 수 있다.]
- 윤주희(배우)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대전광역시/인물)]
- 의성군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경상북도)]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프로젝트=나무위키 대경권 프로젝트)]
- 이경영(1958) . . . . 2회 일치
* 관련 문서: [[배우/한국]]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경영, version=197)]
- 이경영(1960) . . . . 2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출연금지 연예인]]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경영, version=214)]
- 이근택(1865)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정치인/목록)]
[include(틀:관련 문서3, top1=매국노, top2=친일반민족행위자, top3=을사오적)]
- 이명규(국회의원) . . . . 2회 일치
* 상위 문서: [[정치인/목록]], [[법조인/목록]], [[불교/인물]],
* 출생명이 같은 코미디언 [[이경규]]를 찾으신다면 해당 문서로.
- 이민호(1987)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민호, version=210)]
- 이석훈 . . . . 2회 일치
* 상위 문서: [[가수/한국]], [[SG 워너비]]
[[SG워너비/음반 목록#s-6|문서 참고]].
- 이수진(치어리더) . . . . 2회 일치
* 상위 문서 : [[야구 관련 인물(KBO)]], [[치어리더]]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수진, version=18)]
- 이시영(배우) . . . . 2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권투|권투 선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시영, version=145)]
- 이원재(축구선수)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축구 해외파 선수들)]
- 이유리(배우)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이유리,version=272)]
- 이종훈(코미디언) . . . . 2회 일치
* 상위 문서: [[코미디언/목록]]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종훈, version=29)]
- 이중환(법조인) . . . . 2회 일치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 프로젝트=박근혜-최순실 게이트 프로젝트)]
* 상위 문서 : [[법조인/목록]]
- 이철우(1955)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정치인/목록)]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철우, version=25)]
- 이철희(1964)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정치인/목록)]
3월 15일, 이러한 루머들에 대해 [[http://m.ohmynews.com/NWS_Web/Mobile/at_pg.aspx?CNTN_CD=A0002190562&CMPT_CD=Mnew#cb|자신의 팬카페를 통해 반박하는 글을 올렸다.]] 간단히 말한다면 자신은 공천에 영향을 주지 못하며, [[박영선]] 문서에 적혀 있기도 한 녹취록 건은 사실과 다르다고 하며 그 당시 이야기한 내용은 외부 상황의 심각함과 기자들의 반응에 대해 이야기하는 내용이었다고. 후에 유시민 작가도 자신의 발언이 잘못되었음을 인정하였다.
- 이효정(남배우) . . . . 2회 일치
* 관련 문서: [[배우/한국]]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효정, version=60)]
- 임동규(정치인) . . . . 2회 일치
* 상위 문서 : [[정치인/목록]], [[불교/인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임동규, version=49)]
- 장서희(1972)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배우/한국, top2=불교/인물)]
=== 드라마[* 워낙 어렸을 때부터 연기 활동을 시작했고, 수 차례 단역으로서 출연했기 때문에 모든 작품을 서술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현재 서술되어 있는 드라마는 나무위키에 문서가 작성되어 있는 작품들이다.] ===
- 장세용 . . . . 2회 일치
그러나 구미공단으로 인해 청년 인구가 대거 유입되면서 [[더불어민주당|민주당]] 지지세가 조금씩 강해지기 시작했고 [[남유진|그 전 시장]]의 여러 구설수와, [[구미시]] 항목에도 서술되어 있는 경제 문제, 즉 [[삼성]], [[LG]]공장의 이탈로 인해 지역 경제가 치명타를 맞는 동안 1,000억 원대에 달하는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곤 하던 [[박정희]] 기념 사업을 강행한데 대한 불만이 폭증하였고, 무엇보다 [[바른미래당]] 후보(7.5% 득표)와 [[자유한국당]]의 공천에 반발해서 뛰쳐나온 보수 성향 무소속 후보(9.5% 득표)들이 '''총합 17%'''나 득표하면서 --[[홍준표|모 대표]]의 [[트롤링]]으로-- '''보수 표가 세 갈래로 분열'''되는 역대급 행운과 함께[* 단, 바른미래당과 무소속 후보들의 득표율이 무조건 보수 성향 지지자가 던졌을 것이라고 장담할 수는 없다. 진보 성향의 지지자나 부동층이라도 자유한국당이 너무 노답으로 나오지만 그렇다고 장세용 시장의 공약이 마음에 들지 않거나 더불어민주당에게 표를 주기 싫어서 투표 자체를 하지 않았거나 사실상 무효표로 던졌을 가능성도 배제해서는 안된다. 물론 진짜로 국민의당이나 바른정당 시절부터 응원한 바른미래당 지지자들이 찍어줬을 가능성이 없지는 않겠지만...] 젊은 구미 시민들이 바꿔야 된다는 공감대가 함께 형성되면서 결국 민주당 소속으로 구미시장에 당선 된 첫 번째 인물이라는 영예를 안게 되었다. 실제로 장세용 시장이 당선된 직후 [[남유진]] 문서는 구미시민의 분노로 점철되어 가고 있다고(...) --돌이켜 보면 남유진이 어떻게 구미에서 내리 3선을 그것도 모두 과반 득표로 당선되었는지 정말 의문이다..--
하지만 ‘[[박정희]] 기념사업’을 전면 재검토하느냐는 사회자의 질문에 “그렇지는 않다. 박 전 대통령을 존경하는 분들이 계시기에 그 자체로는 인정한다”라고 발언하고 또한 전임 시장인 [[남유진]]이 '박정희 타운'을 만드는데 천문학적인 자금을 쏟아붇고도 내리 3선을 그것도 모두 과반 득표에 성공해서 당선된 것에서 볼 수 있듯이[* 전임 [[구미시]] 시장인 [[남유진]] 문서에는 남유진에 대해서 대부분 구미 시민들이 악평을 하는 것으로 묘사돼 있지만 엄연히 남유진은 구미에서 '''내리 3선을 과반 득표로 모두 당선'''된 인물이다. 이게 어떻게 된 거냐면, 4~6회 지선 광역비례에서 한나라당-새누리당 표가 76.5%, 48.7%, 71.5%로, 이 표가 남유진 전 시장표(75.9%, 53.1%, 52.6%)로 이어졌다.(단, 6회는 새누리당 표가 분열되었다.) 그래서 3선. 그리고, 2016년 20대 총선에서 새누리당 50.4%로 하락했고, 2018년 지선에서는 자유한국당 41.3%로 더불어민주당 43.3%에 졌고, 이에따라 시장직도 자유한국당이 더불어민주당에 넘겨주게 되었다. 만약, 1:1로 대결하였더라면 기초의회 비례득표를 기준으로 계산하였을 때, 진보vs보수 구도에서는 48.2%vs51.8%로 보수측이 승, 반자유한국당vs자유한국당(+대한애국당) 구도였다면 57.5%vs47.5%로 반자유한국당측이 승리하였을 것이다. 바른미래당 지지층이 어느쪽을 선택할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진보(더불어민주당+정의당)가 48.2%로, 보수(자유한국당+대한애국당, 42.5%)보다 좀 더 유리했을 것이다.] 여전히 구미시에서 [[박정희]]의 존재감과 위치란 [[목포시]]에서의 [[김대중]] 이상의 위치이고 또한 '[[박정희]] 기념사업' 축소에 대한 보수파들의 반발도 상당할 것이기 때문에 과연 '[[박정희]] 기념사업'들을 어디까지 축소할 수 있을지는 좀 더 지켜봐야 알 수 있는 부분이다.
- 전효성 . . . . 2회 일치
* 상위 문서: [[시크릿(아이돌)]]
2016년 2월 12일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 여군 특집 시즌 4에 합류한다고 한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76&aid=0002888639&cid=1012951&gid=999339|#]] 자세한 내용은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출연 멤버/여군 특집]] 문서를 참고하길 바란다. 여담으로 [[차오루]]는 2세 아래의 "전효성 선배님은 몸매가 좋다"고 말했다.
- 절대가련 칠드런/465화 . . . . 2회 일치
* 이 때 '츠보미 문서'가 나타나 수많은 난관에도 불구하고 이상을 추구하려던 과거의 자신을 떠올려달라고 하고, 후지코는 흔들린다.
* 시호의 어깨 위에서 또다른 목소리가 들린다. 잠들고 있던 "츠보미 문서"다. 후지코의 사념체는 작게 모습을 드러내며 지금의 후지코가 하는 말은 자신이 택한 삶이 아니라고 한다.
- 절대가련 칠드런/468화 . . . . 2회 일치
* "츠보미 문서", 후지코의 사념체도 그 말에 동조한다. 그녀는 효부와 칠드런 전원이 생포되는 상황을 가장 두려워한다. 후지코의 사념체는 요우에게 몇 명이나 데리고 날 수 있는지 확인한다. 하지만 요우의 비행은 공기를 진동시켜 부력을 만드는 거라 효율이 좋지 않다.
* 미나모토는 바로 탈출 인원을 선별한다. 효부는 당연히 피신해야 하고 그를 살리고 있는 카오루도 마찬가지. 그리고 ECCM 범위 밖에서 텔레포트를 사용할 아오이와 츠보미 문서를 구현하고 있는 시호, 힙노와 블랙팬텀의 네트워크에 대항할 수 있는 유리. 그리고 요우가 아슬아슬하게 한 명 더 데리고 갈 수 있어서 마츠카제를 더하기로 한다.
- 정광용 . . . . 2회 일치
* 상위 문서: [[친박]], [[박사모]], [[박근혜 탄핵 반대 집회]], [[대통령 탄핵무효 국민저항총궐기 운동본부]], [[정치깡패]], [[범죄자/목록/한국]]
탄핵반대 집회 관련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박사모 집회에서 계엄령 선포요구, 폭력집회 선동, 내란 선동, 경찰관 폭행, 기자, 시민 폭행 등 헤아릴 수가 없을 정도로 불법행동을 많이 저질러졌다. 심지어 3월 10일 박근혜 파면이 결정된 날에는 박근혜 지지자들의 폭동이 격화되는 바람에 사망자가 3명이나 나왔다. 결국 경찰은 수사에 착수했고 박근혜 탄핵 반대 집회의 주동자 정광용은 경찰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했지만 끝까지 변명을 늘어놓으며 책임지지 않는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7885974|무책임한 행동을 보여주었다]]. 결국 2017년 5월 25일 같이 폭력 시위를 선동한 손상대 뉴스타운 대표와 함께 구속되었고 2017년 12월 1일 1심 재판에서 손상대와 함께 실형 2년을 선고 받았으나 2018년 5월 31일,2심 재판부는 징역 2년의 실형을 선고한 1심을 깨고 징역 1년 6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http://naver.me/GGVzj1Wi|#]]
- 정승환(가수) . . . . 2회 일치
* 상위 문서: [[가수/한국]]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정승환,version=57)]
- 정재용(1973)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가수/한국, top2=배우/한국)]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재용이의 순결한 19)]
- 조응천 . . . . 2회 일치
[include(틀:관련 문서4, top1=법조인/목록, top2=정치인/목록, top3=대구광역시/인물, top4=불교/인물)]
인터넷상에서 격의 없고 소탈한 모습을 보여주곤 한다. [[대한민국 검찰청]]과 [[청와대]] 민정라인에서 근무했던 50대 아저씨가 맞나 싶을 정도. [[https://www.facebook.com/chopros|페이스북]]과 [[https://twitter.com/chopros|트위터]]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오늘의유머]]에 인증을 했는데 닉네임이 무려 [[http://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freeboard&no=1278460#memoWrapper75166001|뽀오통령]]이라고 한다(...). [[더불어민주당]] 입당 이후 나온 출연 모습에서 [[뽀로로]]를 닮았다는 평이 꽤 올라왔고, 이게 본인에게도 마음에 들어서 정한 닉네임인 듯. 그리고 선거 유세 과정에서도 실제로 뽀로로 탈인형이 줄곧 등장했다. 그래서 나무위키에 '''뽀응천'''을 쳐도 이 문서로 들어올 수 있다.--그렇다고 의정활동 안 하시고 노는 것만 제일 좋아하시면 안 됩니다--
- 지훈(TRCNG) . . . . 2회 일치
* 상위 문서: [[TRCNG]], [[가수/한국]], [[대한민국 아이돌]], [[보이그룹]], [[보이그룹/목록]], [[한국 아이돌/역사]]
||<table align=center> 솔로 및 단독 참여음반만 기록합니다. [[TRCNG]] 멤버들과 함께 참여한 음반은 [[TRCNG/음반 목록]] 문서에 기록해주세요. ||
- 최성원(가수) . . . . 2회 일치
* 관련 문서: [[가수/한국]]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최성원, version=41)]
- 최재성(배우) . . . . 2회 일치
* 관련 문서: [[배우/한국]]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최재성,version=106)]
- 최재원(배우) . . . . 2회 일치
* 상위 문서 : [[배우/한국]], [[가톨릭/인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최재원, version=77)]
- 최정원(남자배우) . . . . 2회 일치
* 관련 문서: [[배우/한국]], [[가수/한국]]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최정원, version=55)]
- 추미애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세 내용/문단, 문서명=추미애/정계 활동, 앵커=s-1)]
[include(틀:상세 내용/문단, 문서명=추미애/정계 활동, 앵커=s-2)]
- 하정우(영화감독)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878787> '''{{{#EEE156 데뷔}}}''' ||<(> [[2002년]] [[영화]] '[[마들렌]]'[* 데뷔시기는 포털 사이트 프로필에서도 계속 변해왔다. 1997년 연극 《굿닥터》로 데뷔했다는 적도 있었고, 이 문서도 1998년 CF로 표기되어 있었다. 다만 대학 시절 참여한 연극이나 아르바이트로 참여한 CF를 데뷔로 보기 어렵다.] ||
- 한지우(배우)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지우,version=51)]
- 한진희(1949) . . . . 2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문서는 한국 남배우에 대해 서술합니다. 동명이인 한진희, rd1=한진희(동명이인))]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현진건 . . . . 2회 일치
[[1925년]] 1월, 현진건은 『개벽』에 단편 「불」을 발표하였다. 이때 그는 「시대일보」의 사회부장이 되었으나 「시대일보」가 폐간되면서 동아일보사로 전직하여야 했다. 3월 1일자 『개벽』 제57호에는 이때의 현진건의 근황에 대해 "근래에 빙허(憑虛) 군은 신문사 일도 뜻대로 되지 않으므로 더 많은 독서와 연구에 노력하겠다 한다. 늘 군은 조선의 평론계가 아무 보잘 것 없는 것을 매우 분개해서 앞으로는 논문도 쓰실 작정이라고. 고마운 일이며 즐거운 일이며 마음히 든든해지는 일이다."라고 짤막하게 소개하고 있다.<ref>「文壇雜談」 1925년 3월 1일자 『개벽』제57호.</ref> 그리고 박문서관에서 그의 중편 「지새는 안개」가 단행본으로 간행되었다. 또한 2월에 단편 「[[B사감과 러브레터]]」를 『조선문단』에 발표하고<ref>현진건이 『조선문단』에 작품을 싣기 시작한 것은 『개벽』이 점점 '계급주의 문학'을 외치는 [[카프]]에 동조하는 모습을 보이면서부터였다는 지적이 있다. 양진오, 「조선혼의 발견과 민족의 상상 - 현진건의 학술적 평전과 문학 연구」(도서출판 역락, 2008), p.91.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총서24.</ref>, 4월과 5월에는 수필 「목도리의 복면」과 「설 때의 유쾌와 낳을 때의 고통」을 각각 기고하였다. 7월에는 「조선문단과 나」라는 기고에서 작가는 삼삼오오 짝을 짓고 당을 나누어 서로 갈라서서 싸우는 존재가 아니라 작가 하나하나가 독립적인 개체라는 "일인일당(一人一黨)주의'라는 용어를 써가며, 계급주의 문학을 옹호하는 카프의 주장에 맞서 내용적 가치와 계급적 가치란 별개임을 주장하였다. 또한 『조선문단』에서 만든 조선문단합평회의 정기회원으로서, 10월에는 『조선문단』 신추문예(新秋文藝)에 응모한 작품들의 심사를 맡아 처음으로 평론을 싣기도 했다.
원고료에 양계만으로는 생계를 해결할 수 없었던 현진건은 돈을 벌 수 있다는 친구의 유혹에 넘어가(방인근은 "박씨 성을 가진 친구의 꼬임에" 넘어갔다고 했다) 기미(期米) 사업을 시작하지만, [[1940년]]에 당시 명동에 있던 증권회사에 미두를 투자했다가 그것이 모두 실패하면서<ref>이재민, 「새 자료로 본 빙허의 생애」, 『문학사상』 1973년 4월. p.355.</ref> 양계장이나 다른 재산, 부암동에 있던 집도 처분하고 신설동 고려대학교 정문 앞의 조그만 초가집(지금의 [[동대문구]] [[제기동]] 137번지 61호)으로 이사해야 했다. 이 실패로 현진건은 더욱 술에 빠져 살게 되었고 결국 '혈압' 때문에 쓰러져 눕게 되었다(이 해에 현진건의 단편소설과 역사소설 「무영탑」이 박문서관에서 「현진건 단편집」과 「무영탑」으로 발간되었다). 현진건은 『동아일보』 기자였던 양재하가 만든 친일잡지인 『춘추』 4월호에 소설 「선화공주」를 연재하지만 9월호에서 중단하였다(미완).
- K리그 클래식 . . . . 1회 일치
나머지 1개 티켓은 K리그의 결과에 따라 부여되는 게 아니라 [[대한민국 FA컵]]의 결과에 따라 진출 여부가 결정되므로 이는 대한민국 FA컵 문서에서 다룬다.
- Victoria II/상품 . . . . 1회 일치
[[Victoria II]]에 등장하는 상품들을 소개하는 문서.
- 강대식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정치인/목록]], [[대구광역시/인물]]
- 강동우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야구 관련 인물(KBO), top2=두산 베어스/선수단)]
- 강동진 (야구선수) . . . . 1회 일치
{{문서 등재 기준|날짜=2017-09-20}}
- 강연재 . . . . 1회 일치
* [[2016년 1월]] : 미래창조과학부 전자문서전자거래분쟁조정위원회 위원
- 강영식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야구 관련 인물(KBO))]
- 강은탁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 [[배우/한국]]
- 강진(가수)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강진,version=19)]
- 강흠덕 . . . . 1회 일치
{{문서 등재 기준|날짜=2017-09-20}}
- 거미(가수)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가수/한국]]
- 경대수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3, top1=정치인/목록, top2=법조인/목록, top3=가톨릭/인물)]
- 고산케 . . . . 1회 일치
* 왜일까, 구글 번역기는 '[[스타팅 포켓몬]]'이라고 번역한다(…). 포켓몬의 스타팅 포켓몬을 이렇게 말하기도 하므로 포켓몬 문서에서는 틀린 번역이 아니지만.;
- 고소영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레이싱모델/한국)]
- 고주원(배우)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 공명(배우)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구명환 . . . . 1회 일치
{{문서 등재 기준|날짜=2018-05-26}}
- 구본욱 . . . . 1회 일치
{{문서 등재 기준|날짜=2018-05-25}}
- 구자춘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대한민국 국군/인물, top2=정치인/목록)]
- 권민중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권혁 (기업인) . . . . 1회 일치
{{문서 등재 기준|날짜=2011-4-23}}
- 길은정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가수/한국]], [[불교/인물]]
- 김가은(1989년 5월)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트위치 스트리머)]
- 김갑수(배우) . . . . 1회 일치
|| 1994년 || KBS1 || 이선풍 저승 유람 || 이선풍 || 주연 || [* 이마에 '''죽을 사(死)'''를 새겨 '''죽은사람 취급(...)''' [[팽형]] 문서 참고.] ||
- 김건우 (1990년) . . . . 1회 일치
{{문서 등재 기준|날짜=2018-05-25}}
- 김기철 . . . . 1회 일치
* [[김(성씨)/목록]]. . 동명의 [[성우]]는 [[김기철(성우)]] 문서로.
- 김대륙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롯데 자이언츠/선수단, top2=야구 관련 인물(KBO))]
- 김대호(축구선수)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 김도균 . . . . 1회 일치
* 관련 문서: [[김(성씨)/목록]]
- 김도연(배우)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도연, version=47)]
- 김동준(제국의아이들)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제국의아이들]]
- 김미경(강사)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미경(1963), version=23)]
- 김미숙(1959)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 김민기(가수) . . . . 1회 일치
'''[[2018년]] [[9월]]부터 [[지하철 1호선]]의 재공연을 시작한다고 한다.''' 워낙에 인기가 많던 뮤지컬이다보니 재공연 결정이 뜨자마자 관련 기사가 올라오는가하면, 배우의 면접을 위해 서류 심사를 시작한지 2주만에 1000명 가까이 되는 사람들이 지원하기도 했다. 자세한 사정은 [[지하철 1호선]] 문서의 재공연 문단을 참조하자.
- 김민서(배우)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 [[배우/한국]]
- 김병옥(배우)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 김병찬(아나운서)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김병찬,version=73)]
- 김봉근(배우)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봉근, version=29)]
- 김봉수(1953)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기업인/목록)]
- 김상훈 (1990년) . . . . 1회 일치
{{문서 등재 기준|날짜=2018-05-26}}
- 김석훈(탤런트)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 김선영(1976)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김성겸(탤런트)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가톨릭/인물]]
- 김성곤 . . . . 1회 일치
[[파일:나무위키+유도.png|align=left&width=21.6px]] {{{#!html 1913년생 기업인 겸 정치인을 제외한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김성곤(동명이인)]]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 김소혜(1992)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 [[배우/한국]], [[경기도/인물]]
- 김승관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야구 관련 인물(KBO))]
- 김승대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 김쌍수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기업인/목록)]
- 김연수(작가)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작가/목록]]
- 김영준(1941)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영준, version=31)]
- 김영환(1955)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정치인/목록, top2=의사)]
- 김원주(가수)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가수/한국]]
- 김유미(1979)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 김윤환 . . . . 1회 일치
* 상위문서: [[경북대학교/출신 인물]]
- 김인철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야구 관련 인물(KBO))]
- 김정난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가톨릭/인물]]
- 김정우(1990)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남녀공학(아이돌), version=465)]
- 김정태(영화배우)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김정행 . . . . 1회 일치
* 동명의 [[재일 한국-조선인]] 야구선수를 찾는다면 [[카나이 마사유키]] 문서 참고.
- 김정혁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야구 관련 인물(KBO), top2=삼성 라이온즈/선수단)]
- 김종호(1933)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종호, version=162)]
- 김종호(1935)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정치인/목록, top2=가톨릭/인물)]
- 김주승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 [[배우/한국]]
- 김준현(코미디언)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3, top1=김(성씨)/목록, top2=코미디언/목록, top3=가톨릭/인물)]
- 김지훈(배우)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 김진(배우)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김진,version=140)]
- 김진선(군인)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진선, version=23)]
- 김진우(WINNER) . . . . 1회 일치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 프로젝트=나무위키 보이그룹 프로젝트)]
- 김진향 . . . . 1회 일치
{{문서 등재 기준|날짜=2017-05-17}}
- 김진환(iKON) . . . . 1회 일치
||<:><#FF0000> '''{{{#FFFFFF 별명}}}''' ||<(> 뿌요[* 뿌리부터 요정--이라고는 하지만 사실은 뿌랄 요정이다, WIN 참고.--], 지난, 지나니, 나니[* 일본 인터뷰에서 이렇게 불러달라고 했다. 가족들도 부르는 별명이다.], 거난영[* [[B.I]]가 '얼굴이 너무 하얀 지난형'을 이상한 글씨체로 써서 거난영처럼 보여서 생긴 별명], 13센치 요정[* 어느 팬이 사진을 자로 쟀는데 13센치여서 붙여진 별명... 트리비아 문서의 세번째 트리비아 참고], 맏내, 귀염뽀짝감귤[* [[NEW KIDS : CONTINUE]] 컴백 카운트다운 V APP에서 팬이 보내준 별명. 나머지 멤버들이 1분동안 이 별명을 그림으로 표현하고 진환이 그 그림이 자신의 무슨 별명인지 맞추는 거였는데 결국 못 맞췄다. ~~귀엽고 뽀샤버리고 싶은 뭐 그런 거 아닌가요?~~]||
- 김창규 (작가) . . . . 1회 일치
{{문서 등재 기준|날짜=2012-11-23}}
- 김처선 . . . . 1회 일치
다만, 김처선의 죽음에 대한 서술이 [[연산군]] 문서의 흥청망청 문단의 내용과 상충된다.
- 김청(1962년 6월)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사생아/인물]]
- 김충섭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정치인/목록)]
- 김태룡(정치인)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태룡, version=62)]
- 김태환(1943)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태환, version=45)]
- 김현민 (야구선수) . . . . 1회 일치
{{문서 등재 기준|날짜=2018-05-26}}
- 김형인(코미디언)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코미디언/목록]]
- 김형일(배우)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 김혜선(배우)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김(성씨)/목록]]
- 김혜영(코미디언)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코미디언/목록]]
- 김혜은(탤런트)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김호근 . . . . 1회 일치
{{문서 등재 기준|날짜=2014-9-20}}
- 김효기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경남 FC]], [[축구 관련 인물]]
- 김희애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가톨릭/인물]]
- 김희철(1983) . . . . 1회 일치
[[만물여혐설]]의 피해자라 볼 수 있다. [[희철/여성시대 비판 논란]] 문서 참조. 본인의 [[http://bbs.ruliweb.com/sports/board/300446/read/2374417?|댓글]]을 확인해보면 알겠지만, '''상식과 비상식의 문제일 뿐 젠더 이슈에 대한 문제가 전혀 아니다.''' 참고로 이 날은 소속사인 SM이 대대적인 악플러 및 루머 유포자 고소선언을 한 날이기도 한다. 몇몇 여성 누리꾼은 여시와 악플러들을 향한 일침이 왜 여성들 전체를 혐오하는 발언인지 알 수 없다는 댓글을 남기기도 한 바 있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01화 . . . . 1회 일치
* 코스튬의 개량도 만만한 일이 아닌데, 기본적으로 라이센스가 있어야 하며 세세한 수정 사항에 대해선 문서로 기재해 정부의 심사를 받는다.
- 나폴레옹: 토탈워 . . . . 1회 일치
== 하위문서 ==
- 남능미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 [[배우/한국]], [[불교/인물]]
- 남보라(배우)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대군 . . . . 1회 일치
외교문서에서 '일본국 대군(日本國 大君)'이라는 칭호를 썼다. 이는 명목상의 왕인 '[[덴노]]'와 실권자인 '쇼군'이 따로 존재하는 일본 정치의 특수성을 외부에 얼버무리기 위해 사용한 정치적 술책이다. 어떻게보면 [[외왕내제]]의 일종.
- 라미란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롬니아 제국 흥망기 . . . . 1회 일치
* 슈라투 : 사이파카르의 가신 중 유일한(?) 남성. 특기는 문서 위조 및 날조. 제국이 천하를 평정한 후의 평화로운 세상에 지루해한다.
- 마기/310화 . . . . 1회 일치
* 유난은 그 서슬에 "화나니까 무섭다"고 중얼거리고 알라딘은 "그치? 모르지아나와 백룡 모두 강하지?"라고 동문서답한다.
- 마기/311화 . . . . 1회 일치
* 알라딘은 인사와 함께 "백영의 몸을 돌려주고 신드바드에게 찝적거리지 마라"고 요청하는데 아르바는 "많이 컸다. 네 얼굴은 솔로몬과 시바를 닮아서 싫다"고 동문서답한다.
- 마철준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 몬스터 페어런트 . . . . 1회 일치
학교 측은 제소 후 시 교육위원회에 "몬스터 페어런트에 지지 않기 위해서 소송"이라는 문서를 교장의 이름으로 제출, 언론은 이에 근거하여 기사에 '몬페어 재판" 등의 기사를 내놓았다.
- 문문 . . . . 1회 일치
문제는 해당 내용이 범행 당시 혹은 수사 도중이 아닌, '''적법한 절차로 죗값을 다 치르고도 한참이 지난 이후에야''' 폭로 되었다는 것이다. 이에 관해서는 [[디스패치#s-4.1]] 문서에 서술.
- 문석희 . . . . 1회 일치
{{문서 등재 기준|날짜=2018-07-09}}
- 문희(배우)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 문희옥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가수/한국]]
- 미래소년 코난/설정 . . . . 1회 일치
미래소년 코난에서 등장하는 국가로 공업시설이 대부분이고 작 중에서 유일하게 첨단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지역이다. 실적에 따라 1등시민, 2등시민, 3등시민으로 나뉘어 지는 데 지하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레프카에 반대한다는 이유로 레프카에 의해 정치범[* 작 중에서 레프카 본인은 지하거주민들을 반역자, 쓰레기라고 부른다.]으로 규정되어 있다.[* 지하거주민들의 이마에 정치범이라는 것을 상징하는 사각별 형태의 낙인이 찍혀있다.] 참고로 이 지역은 대참사 이전의 유산들이 남아 있는 곳으로 지각변동으로 가라 앉게 될 징조가 보이면서[* 때문에 지하도시의 정치범들이 불안을 느끼기도 했다. 그러나 레프카는 답없는 행보를 바꾸지 않는다.] 25화에서 침몰하게 된다. 작 중에서 인더스트리아는 옛 시대의 마지막 지역이었음을 의미하고 인더스트리아의 침몰은 옛 시대의 완전한 종말을 의미한다. 자세한 내용은 [[삼각탑]] 문서 참조. 여담으로 시민과 정치범 간의 괴리감은 심한데 시민은 정치범을 마구잡이로 대해 함부로 총질하기도 한다. 결국 나중에 레프카가 쫓겨날때 같이 쫓겨난다.
- 바르나바 복음서 . . . . 1회 일치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사본은 문헌 비평 등으로 미루어보아, 이탈리아어, 스페인어로 된 바르나바 복음서는 대략 14세기 이후에 쓰여진 것으로 추측된다. 이 문서의 생활상 묘사나 지식으로 미루어보아, 일반적으로 [[중세]] 시기에 만들어진 문헌으로 추정하고 있다.
- 박경석(1933)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박경석,version=11)]
- 박경석(1937)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박경석,version=12)]
- 박광정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 [[배우/한국]]
- 박상규(정치인)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박상규,version=35)]
- 박상면(배우)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 박세웅(1996)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박세웅, version=161)]
- 박세직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대한민국 국군/인물, top2=정치인/목록)]
- 박승호(정치인)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정치인/목록]]
- 박연우 . . . . 1회 일치
{{문서 등재 기준|날짜=2016-02-17}}
- 박용우(배우)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 박정수(배우)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 박정수(정치인)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박정수,version=46)]
- 박정철(배우)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 [[배우]], [[배우/한국]]
- 박진옥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축구 관련 인물]], [[제주 유나이티드]]
- 박창달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정치인/목록]]
- 박하나(배우)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방실이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가수/한국)]
- 배슬기(배우)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 [[배우/한국]]
- 배장원 . . . . 1회 일치
{{문서 등재 기준|날짜=2018-05-26}}
- 백정현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야구 관련 인물(KBO) , top2=삼성 라이온즈/선수단)]
- 베이지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가수/한국]]
- 변요한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변정수(배우)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변정수(동명이인)]]
- 북한의 역사왜곡 . . . . 1회 일치
[[북한]]이 저지르는 [[역사왜곡]]에 대해서 알아보는 문서.
- 붐(연예인) . . . . 1회 일치
자세한 내용은 [[2013년 연예인 불법도박 사건]] 문서 참조.
- 블랙기업 . . . . 1회 일치
* 업무의 문서화를 의도적으로 하지 않음으로써 노동환경에 따른 귀책사유를 교묘하게 피해간다.
- 서동민 . . . . 1회 일치
{{문서 등재 기준|날짜=2018-05-25}}
- 서신애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서영춘(코미디언)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코미디언/목록]], [[불교/인물]]
- 서용주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야구 관련 인물(KBO))]
- 서유정(배우)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 [[배우/한국]]
- 서지석(배우) . . . . 1회 일치
* 관련 문서: [[배우/한국]]
- 성재(가수) . . . . 1회 일치
{{문서 등재 기준|날짜=2010-06-22}}
- 소냐(가수)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가수/한국]],
- 손민수(희극인)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 [[코미디언/목록]]
- 손지현(배우)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포미닛]]
- 송원근(배우)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 송재호(배우)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실향민/대한민국]]
- 송진현 . . . . 1회 일치
* 서울형사지방법원 형사항소6부 재판장으로 재직하던 1997년 10월 24일에 [[인천역]]에서 다른 승객이 놓고 간 35000원 상당의 공구함을 들고가다 붙잡힌 피고인에 대해 "지하철이 종착역에 도착한 순간부터 점유권이 지하철공사에 있으므로 피고인의 행위는 절도죄에 해당한다"며 징역10월을 선고했다.<ref>경향신문 1997년 10월 25일자</ref> 1998년 1월 10일에 일반음식점 영업 허가없이 통조림, 캔류 등 안주류를 파는 24시간 편의방을 운영해 1심에서 무죄가 선고된 피고인에 대해 식품위생법 위반으로 벌금 100만원을 선고했다.<ref>경향신문 1998년 1월 11일자</ref> 1999년 1월 10일에 폭행 혐의로 조사를 받다가 경찰관의 신분증 제시 요구에 다른 사람의 운전면허증을 보여줘 공문서 부정행사죄로 기소되어 1심에서 징역8월 집행유예2년을 선고받은 정모씨에 대한 항소심에서 "관련 법령에 따라 운전면허증을신분증으로 규정한 조항이 없다"며 일부 무죄를 선고했다.<ref>경향신문 1999년 1월 11일</ref> 4월 24일에 서울대 캠퍼스에서 집단 농성을 주도한 한국통신 서울본부 위원장에 대해 "서울대 총장이 한국통신 노조의 총파업에 대해 학내 출입을 금지했음에도 무단 진입했다"며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과 업무방해죄를 적용해 벌금 700만원을 선고했다.<ref>동아일보 1999년 4월 26일자</ref> 5월 17일에 [[한총련]] 범민족통일대축전에 참가했다가 [[집시법]]위반과 건조물 침입죄로 1심에서 징역8월 집행유예1년이 선고된 노래패 '희망새에 대해 단장 조모씨(31세)에 대해 "당국의 허가를 받지 않은 집회라고 하더라도 공연의 목적으로 참석했고 구호를 외치거나 연설을 하는 등 집회,시위를 한 것이 아니다"는 이유로 원심을 깨고 [[집시법]]위반에 대해 무죄를 선고했다.<ref>한겨레 1999년 5월 18일자</ref> 10월 7일에 폭력배를 동원해 채무 해결사 노릇을 했던 [[홍수환]]에 대해 "평소 알고 지내던 사람 부탁으로 후배를 연결해준 점은 인정되지만 채권을 회수하기로 후배와 공모한 일은 그 뒤에 이뤄져 피고인이 개입됐다고 볼 수 없다"며 원심을 깨고 무죄를 선고했다.<ref>한겨레 1999년10월 8일자</ref>
- 송하윤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신경림(대학교수) . . . . 1회 일치
* [[정치인]]은 [[신경림(정치인)]] 문서로...
- 신동주(야구)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신동주, version=39)]
- 신민아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 [[배우/한국]]
- 신성우(가수)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가수/한국]], [[배우/한국]]
- 신혜진 . . . . 1회 일치
[[2016년]] [[8월 25일]], [[거식증]]으로 인해 활동을 잠정적으로 중단했다.[* "거식증이 뭐가 큰 병이냐"고 하는 이들이 간혹 보이는데, [[거식증]] 문서로 들어가서 확인해 보면 심할 경우 '''[[사망]]'''까지 가는 엄연한 [[정신병]]의 일종이다.] 이로 인해 [[현재]] [[포항시|고향]]에서 휴식 중. 진이의 경우 [[체중]] 감소가 심각해 [[거식증]]의 기본 증상인 [[저체온증]], 무[[월경]], 부종, 그리고 [[저혈압]] 등의 다양한 내과적 [[문제]]가 발생했다고 한다. [[승희(오마이걸)|승희]]와 [[비니(오마이걸)|비니]]에 이어서 또다시 [[건강]]상의 [[문제]]가 불거지자 [[미라클|팬들]]은 그저 안타까워하는 중. 사실 [[거식증]] 외에도 살짝 통통했던 <[[OH MY GIRL#s-2.2|CUPID]]> 활동 때 [[사진]]을 보고 2달 만에 8~9kg를 빼는 무리한 [[다이어트]]를 했다가 [[식도]]염 증세가 생긴 적이 있다. ~~혜진아 안 빼도 돼ㅠㅠ~~ 결국 식단 조절과 병원 치료까지 받은 뒤 지금은 나아진 상태지만 가장 적게 나갈 때는 38kg이었다고 하며, 조금 나아진 현재도 40kg 초반으로 몸무게가 늘었다고 한다. 하지만 활동 재개 이후에도 자존감이 낮아질 것으로 예상돼 팬들의 마음을 여전히 아프게 하고 있다. '''다행히 지금은 건강이 회복되고 있다고 한다!!'''[* [[WM엔터테인먼트|소속사]]가 공식적으로 [[언론]]에 밝힌 [[거식증]]의 [[원인]]으로는 [[데뷔]] 당시 정상 체중이었지만 살이 잘 찌는 체질 때문에 통통하다는 [[악성 댓글]]이 많아서 스트레스를 받아 너무 무리하게 [[다이어트]]를 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하지만 '[[PINK OCEAN#s-2.1|LIAR LIAR]]'부터 '[[PINK OCEAN#s-2.5|한 발짝 두 발짝]]', '[[WINDY DAY]]', '[[내 얘길 들어봐]]'까지 휴식을 가지지 못하고 계속 활동한 것이 또 다른 원인으로 추정된다.]
- 신화용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 심양홍 . . . . 1회 일치
* 관련 문서: [[배우/한국]], [[가톨릭/인물]]
- 심현섭(코미디언)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코미디언/목록]], [[경기도/인물]]
- 아기발도 . . . . 1회 일치
이성계가 고려 정계에서 본격적으로 이름을 떨치기 시작한 계기를 마련한 부분 때문에 [[조선]] 역사에서 오랫동안 그 이름이 회자되었으며, 이 때문에 고려를 멸망시킨 주역인 이성계에 대한 반감을 토벌당한 아기발도에게 투영하여 그를 동정적으로 보는 설화로 이어졌다는 분석도 있다. [[아기발도 우투리 관련설]] 문서 참고.
- 악당 . . . . 1회 일치
[[성격]] 문서도 참고.
- 안영준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농구 관련 인물(한국), top2=동명이인/ㅎ)]
- 안재욱(배우,가수) . . . . 1회 일치
* 관련 문서: [[배우/한국]], [[가톨릭/인물]], [[음주운전/명단/대한민국]]
- 애로우버스 . . . . 1회 일치
* '''본 문서의 명칭은 정식 명칭이 아닙니다. 공식 명칭이 확정되면 수정 바랍니다'''.
- 양예나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유용근밴드리즈)]
- 양진성(배우)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연경흠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야구 관련 인물(KBO)]]
- 연하장 . . . . 1회 일치
새해를 축하하는 뜻으로, 간단한 글이나 그림을 담아서 보내는 문서, 엽서.
- 오대석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야구 관련 인물(KBO))]
- 오세창 . . . . 1회 일치
[[1919년]] [[2월 27일]] 오세창은 [[천도교]] 지도자들을 설득, 그들과 함께 [[경성부]] 재동(齋洞) 김상규(金相奎)의 집에 모여, 독립선언서와 기타 문서의 초안을 최종 확인하고 찬동, 민족대표자 33인의 한 사람으로서 서명 날인한다. 이어 그는 [[최남선]]의 독립선언서 용지 보급과 인쇄 등을 지원하였다.
- 오수미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 [[배우/한국]]
- 오영실 . . . . 1회 일치
* 관련 문서: [[배우/한국]]
- 오정환 (야구선수) . . . . 1회 일치
{{문서 등재 기준|날짜=2018-05-26}}
- 오지호(배우) . . . . 1회 일치
* 관련 문서: [[배우/한국]]
- 온주완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왝더독 . . . . 1회 일치
스포일러를 원한다면 [[왝더독/줄거리]] 문서로.
- 요시다 세이지 . . . . 1회 일치
사실, 요시다 증언의 영향은 한정적이다. 위안부 문제에 관련된 증거는 요시다 증언만이 아니기 때문이다. 일본 정부는 1993년 고노 담화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요시다 증언을 참조하지 않았으며, 이는 1991년 1월 일본군이 위안소 설치와 위안부 동원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했음을 증명하는 일본 정부의 내부 문서를 아사히 신문이 공개한 것이 결정적이었다. 그리고 1991년 8월 위안부 피해자 김학순 할머니가 첫 공개 증언을 하면서, 한국은 물론 동남아에서도 피해자 증언이 잇따르게 되었다.
- 우건도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정치인/목록]]
- 우미나리 시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 [[가공의 도시]],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 시리즈]]
- 우찬양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 원빈(배우)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월하노인 . . . . 1회 일치
노인이 말하길, "천하의 혼사를 다루는 문서다."
- 위키규정 . . . . 1회 일치
* 개인 사용자를 주제로 한 문서는 만들어서는 안됩니다.
- 유다인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유동근(배우)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 유미(가수)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가수/한국]]
- 유민상(개그맨)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코미디언/목록]]
- 유지인(1956)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 유키히라 소마 . . . . 1회 일치
주로 사용하는 식칼은 데바보쵸(でばぼちょう). 날이 두껍고 폭이 넓으며 끝이 뾰족한 물건이다. 매일 밤 자기 전에 갈아두는 듯 하며 작은 전용 케이스에 담아 보관한다. 이 문서의 맨 위에 있는 그림에서 소마가 들고 있다.
- 유태웅(탤런트) . . . . 1회 일치
* 관련 문서: [[배우/한국]]
- 유하나(1986)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대구지하철참사|김대한]]
- 유한식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정치인/목록]], [[가톨릭/인물]]
- 윤균상(1987)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 윤문영 . . . . 1회 일치
{{문서 등재 기준|날짜=2018-05-25}}
- 윤보라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씨스타]], [[배우/한국]]
- 윤찬수 . . . . 1회 일치
{{문서 등재 기준|날짜=2018-05-24}}
- 윤철형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 [[배우]], [[배우/한국]]
- 이갑성 . . . . 1회 일치
[[3·1 운동]]이 일어날 때는 병원 제약부 담당으로 재직 중 [[민족대표 33인]]에 [[기독교]] 대표의 한 사람으로서 참가하여 독립선언서에 서명하고 원로격인 33인과 학생들과의 매개 역할을 맡아 학생 시위를 조직했다. [[1919년]] [[2월 20일]] 밤 [[서울]] [[남대문로]]5가의 함태영 집에서 [[함태영]], [[현순]](玄楯), [[안세환]], 오상근(吳尙根) 등과 만나, 3월 1일의 만세운동을 계획하였다. [[1919년]] [[2월 22일]] 학생들이 따로 독립선언서를 만들어 독립선언을 할 계획이 있다는 사실을 듣고는, 이를 중지하고 [[손병희]] 등이 주도하는 독립운동 계획에 참가할 것을 호소하여 성사시켰다. [[2월 27일]] [[박희도 (1889년)|박희도]], [[함태영]](咸臺永), [[김창준]](金昌俊), [[신석구]](申錫九), [[오화영]](吳華英), 이인한(李寅煥), 최성모(崔聖模), 이필주(李弼柱), 박동완(朴東完) 등과 함께 이필주의 집에 모여, [[함태영]]이 [[최남선]](崔南善)이 기초한 여러 가지 문서의 초안을 [[천도교]]계 인사 [[최린]](崔隣)으로부터 받아와, 그 취지에 찬성하여 [[기독교]]측의 민족대표의 한 사람으로서 서명 날인한다.
- 이강덕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정치인/목록]]
- 이경실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코미디언/목록]]
- 이광수(배우) . . . . 1회 일치
[include(틀:런닝맨 현 출연진(개인문서))]
- 이규한(배우)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 이기백(군인)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기백, version=29)]
- 이기택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정치인/목록]], [[고려대학교/출신 인물]]
- 이덕건 . . . . 1회 일치
{{문서 등재 기준|날짜=2014-05-21}}
- 이동찬(기업인)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기업인/목록)]
- 이문식(배우) . . . . 1회 일치
* 관련 문서: [[배우/한국]]
- 이민우(배우)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이상무(만화가)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상무, version=21)]
- 이상휘 . . . . 1회 일치
* 상위문서: [[정치인/목록]], [[친이]]
- 이순재(1935년 10월) . . . . 1회 일치
> ㅡ 꽃보다 할배 스페인편[* 여행 도우미인 이서진 없이 숙소를 찾아가야하는 상황이라, 비행기에서 잠도 마다하시고 스페인어를 속성 공부하셔서 결국 공항부터 숙소까지 동생들을 이끌고 오신뒤 하신 말씀. 이 내용은 [[노슬아치]] 문서에도 있는데 나이 먹은걸 벼슬로 여기는 일부 무개념한 노인들에게 일침을 날리는 명언이라 할수 있다.]
- 이애란(가수)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애란, version=82)]
- 이영아(배우)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이원형(1951)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원형, version=9)]
- 이은수(육군)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은수, version=18)]
- 이인영(정치인)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정치인/목록]], [[고려대학교/출신 인물]]
- 이재룡(1964)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 이재용(배우) . . . . 1회 일치
* 관련 문서: [[배우/한국]], [[불교/인물]]
- 이재황(배우)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이정재(영화배우)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이제석 . . . . 1회 일치
{{문서 등재 기준|날짜=2011-12-10}}
- 이종배(국회의원)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정치인/목록]], [[불교/인물]]
- 이주승(영화배우)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이준(배우)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 이지아(배우)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이지은(2000)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고등래퍼]], [[믹스나인]], [[고등래퍼 2]]
- 이차영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정치인/목록)]
- 이하영(강사)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하영, version=129)]
- 이현우(배우)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이홍기(군인)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대한민국 국군/인물]], [[가톨릭/인물]]
- 이홍렬(코미디언)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코미디언/목록]]
- 이훈(배우)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 임백천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가수/한국]]
- 임성은(가수)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영턱스클럽]]
- 임수정(탤런트)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임지현(가수)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 [[가수/한국]]
- 임채무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 임현성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 [[배우/한국]]
- 임현식(배우) . . . . 1회 일치
* 관련 문서: [[배우/한국]], [[가톨릭/인물]], [[음주운전/명단]]
- 임효성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농구 관련 인물(한국))]
- 장민호 (야구선수) . . . . 1회 일치
{{문서 등재 기준|날짜=2018-05-25}}
- 장우수 . . . . 1회 일치
{{문서 등재 기준|날짜=2015-08-17}}
- 장재인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가수/한국)]
- 장정희(배우)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 장헌식 . . . . 1회 일치
[[1946년]] [[3월 15일]] 공금횡령 및 공문서 위조 혐의로 서울지방법원에서 징역 6개월형을 언도받은 뒤, 투옥됐다가 집행유예를 받고 풀려났다. 다시 미군정 자문관으로 복직하였다.
- 장혁진 (야구선수) . . . . 1회 일치
{{문서 등재 기준|날짜=2018-05-25}}
- 전소민(배우) . . . . 1회 일치
[include(틀:런닝맨 현 출연진(개인문서))]
- 전혜빈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 전혜진(1970)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전혜진, version=75)]
- 전호영 . . . . 1회 일치
{{문서 등재 기준|날짜=2018-05-24}}
- 절대가련 칠드런/470화 . . . . 1회 일치
* [[효부 쿄스케]]의 분신, [[츠보미 후지코|츠보미 문서]], [[우츠미 세이시로]]가 참여한 회이에선, 정신오염을 역으로 이용하는 게 좋다는 분석이 나온다.
- 절연금 . . . . 1회 일치
이 때, 합의가 서면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같은 사안으로 절연금 청구를 반복하는 일이 없도록, 합의 내용을 각서나 서약서 등의 문서로 남겨놓는 것이 추천된다.
- 정경호(1972)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정경호, version=34)]
- 정다혜(1985)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 [[배우/한국]]
- 정다흰 . . . . 1회 일치
{{문서 등재 기준|날짜=2018-05-24}}
- 정소담 . . . . 1회 일치
{{문서 등재 기준|날짜=2016-11-11}}
- 정영기(배우)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정은표 . . . . 1회 일치
* 관련 문서: [[배우/한국]]
- 정인선(탤런트)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정진욱(코미디언)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코미디언/목록]]
- 정진호(1956)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야구 관련 인물(KBO))]
- 정찬성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종합격투기 관련 인물]]
- 정혜선(배우)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정혜선, version=56)]
- 조동혁(배우)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 조안(배우)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조청희 . . . . 1회 일치
{{문서 등재 기준|날짜=2017-10-04}}
- 종활 . . . . 1회 일치
* 엔딩노트 : 자신에게 만약의 일이 있었을 때, 가족에게 전하고 싶은 것을 적어놓은 문서.
- 주상철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아나운서/목록]], [[가톨릭/인물]]
- 주영(가수) . . . . 1회 일치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주영, version=37)]
- 주토피아 . . . . 1회 일치
이 문서 왜 아무도 수정을 안해요 이거 반달 아닌가요
- 주현미 . . . . 1회 일치
== 관련 문서 ==
- 지석진 . . . . 1회 일치
[include(틀:런닝맨 현 출연진(개인문서))]
- 진시몬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 [[가수/한국]], [[가톨릭/인물]]
- 차선우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B1A4]], [[작사가]], [[배우/한국]]
- 차수연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최공웅 . . . . 1회 일치
* 대구지방법원 형사3부 재판장으로 재직하던 1980년 6월 11일에 가짜 중등교사 자격증을 갖고 교직 생활을 했던 10명의 피고인들에게 뇌물공여, 공문서 위조와 동행사죄로 각각 징역1년6월 집행유예3년을 선고했다.<ref>경향신문 1980년 6월 12일자</ref>
- 최대원(정치인,국회의원)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정치인/목록]]
- 최란(배우) . . . . 1회 일치
* 관련 문서: [[배우/한국]]
- 최석기 . . . . 1회 일치
==참조 문서==
- 최성민(1995)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 최성재(배우)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 최윤수(정무직공무원) . . . . 1회 일치
검찰은 최윤수를 불구속 기소했다. 재판 상황은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재판/최윤수]] 문서를 참고하길 바란다.
- 최윤철 . . . . 1회 일치
{{문서 등재 기준|날짜=2017-09-15}}
- 최은주(배우)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 [[배우/한국]]
- 최종원(국회의원)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최지우(영화배우)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 최진희(가수) . . . . 1회 일치
* 관련 문서: [[가수/한국]]
- 최항석 . . . . 1회 일치
{{문서 등재 기준|날짜=2015-07-05}}
- 최홍만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장신/목록]]
- 최흥철 . . . . 1회 일치
[include(틀:관련 문서, top1=국가대표(영화))]
- 카자미노 시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가공의 도시]],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 탁석산 . . . . 1회 일치
탁석산은 1956년 서울 태생이다.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자연계열에 입학했으나 1년 후 자퇴했다. 군 복무를 마치고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과에 입학했다. 부전공으로 택한 철학에서 가능성을 발견하고는 철학을 전공하기 위하여 대학원에 진학하여 주로 서양철학을 공부하였다. 《흄의 인과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한국외국어대학교]], [[한양대학교]], [[KAIST]] 등에서 강의를 했고,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철학사상연구소 박사 후 연수과정을 마쳤다. 주로 흄에 관한 논문을 발표해왔는데, <흄의 두 원인 정의의 완전성과 양립가능성> <흄의 초기 단편과 《대화》에서의 악의 문제> <툴리의 인과실재론 비판> <흄의 합리론 비판과 그 역사적 원천>등의 논문을 썼으며, 최근에 『열린지성』에 『언어분석철학의 종언과 한국철학』을 발표했다. 저서로는 『한국의 정체성』 『한국의 주체성』 『오류를 알면 논리가 보인다』 등이 있다.<ref>[http://www.kyobobook.co.kr/author/info/AuthorInfo.laf?authorid=1000033701 교보문서 저자 정보]</ref>
- 토탈워: 쇼군 2 . . . . 1회 일치
== 하위문서 ==
- 토탈워: 쇼군 2 - 사무라이의 몰락 . . . . 1회 일치
== 하위 문서 ==
- 특이한 세금 . . . . 1회 일치
특이한 종류의 [[세금]]에 대해서 알아보는 문서.--이런 [[세금 도둑]]들--
- 페어리 테일/534화 . . . . 1회 일치
* 제레프가 이 세상의 종말을 고하는 사이, 공원의 [[루시 하트필리아]]와 [[그레이 풀버스터]], [[해피(페어리 테일)|해피]] 일행은 다시금 END의 서를 펼치고 있다. 그런데 이번에는 방대한 문자들이 하나둘 사라지는 이상한 현상이 나타난다. 유전자의 고리처럼 길게 이어지던 문자열에서 몇 개의 문자가 튕기듯 사라진다. 그레이는 나츠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기 때문일 거라고 직감한다. 그것이 단서가 되었는지 루시는 몸의 어딘가에 큰 상처를 입었을 거라고 추측한다. 그리고 그녀는 자신의 마법 팬을 들어 문서를 수정하려고 한다.
- 하재숙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 하춘화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가수/한국]][[분류:한국 여가수]]
- 한교원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 한규복 (1881년) . . . . 1회 일치
[[1906년]] [[3월 31일]] [[탁지부]][[번역관]](度支部繙譯官) 주임관 4등(奏任官四等), [[5월 31일]] [[탁지부]] 문서과 수석번역관(度支部首席繙譯官) 주임관 4등(奏任官四等), [[1907년]] [[탁지부]][[서기관]] 양지과장(量地課長)을 역임했다. [[1907년]](융희 2년) [[6월 27일]] 탁지부 서기관, 풍지과장으로 재직 중 [[주임관]] 3등으로 승급하였다. [[1907년]] 수석번역관, 이어서 [[탁지부]] [[서기관]](書記官), [[토지조사국]] 서기관을 역임했다. [[1910년]](융희 4년) [[3월]] [[탁지부]] [[토지조사국]] [[서기관]], [[주임관]] 2등이 되고, 탁지부 토지조사국 정리과장에 보직되었다.
- 한수연(배우)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 한운사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각본가, top2=불교/인물)]
- 한재석(1973) . . . . 1회 일치
* 동명의 1991년생 배우는 [[한재석(1991)]] 문서로.
- 한재석(1991) . . . . 1회 일치
* 동명의 [[1973년]] 생 [[배우]]는 [[한재석(1973)|한재석]] 문서로...
- 한지유 (모델) . . . . 1회 일치
{{문서 등재 기준|날짜=2015-02-10}}
- 한현민(코미디언)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코미디언/목록]]
- 한혜숙(배우)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불교/인물]]
- 현석문 . . . . 1회 일치
현석문은 온 생애를 [[선교사]]들과 교우들을 돕는데 바쳤다. [[교황청]] 문서는 다음과 같은 말로 그를 기린다.:
- 현아 . . . . 1회 일치
== 음반 목록 ==<!--음반 목록 문서가 있으므로 EP, 정규 음반만 적습니다.-->
- 홍경인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홍은희(배우) . . . . 1회 일치
* 관련 문서: [[살인/한국]]
- 홍인영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 [[배우/한국]]
- 홍준표(야구선수)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야구 관련 인물(KBO), top2=SK 와이번스/선수단)]
- 홍학표(배우)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 황동주(배우)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 황산 (삽화가) . . . . 1회 일치
{{문서 등재 기준|날짜=2015-01-10}}
- 황정민(남자배우)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우/한국)]
- 회고록 . . . . 1회 일치
개인이 자신의 삶이나 어떠한 사건에 대해서 회고(回顧)하여 기록(録) 한 문서 혹은 서적. 개인적인 기록이므로 개인의 주관이 반영되는 경우가 많다.
11531의 페이지중에 451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