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매카시즘"에 대한 역링크 찾기

매카시즘의 역링크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매카시즘은 이제 매카시워즘이다
         [[매카시즘]](McCarthyism) 가운데 들어간 is를 과거형 was로 바꿔서 매카시즘은 이제 과거의 것이 되었다는 뜻으로 했던 발언이다.
         [[공화당]]의 조지프 매카시 상원의원이 미국 사회 각계 각층의 수많은 인사들을 공산주의의 주구로 모함하고 다니며 개판을 치다 급기야는 미국 군부까지 공산주의 세력으로 모는 병크를 터뜨렸고, 전쟁영웅인 아이젠하워 대통령에게까지 불똥이 튈 것을 염려한 [[공화당]] 주류 인사들이 이제까지와는 달리 매카시 의원을 버리고 탄핵소추를 추진하는 등 매카시를 정치적으로 거세[* 탄핵소추안 자체는 통과되지 않았으나, 명예를 존중하는 상원에서는 탄핵소추에 올랐다는 사실 자체로 의원으로서 자격이 없다고 인증 당한 것과 같다.]해 버렸다. 위의 발언은 이러한 '매카시즘의 종식'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발언.
         아이젠하워는 1955년 7월에 있었던 공화당 지도부 모임에서는 "매카시즘은 더 이상 없다."(“It’s no longer McCarthyism,”), "매카시워즘일 뿐이다."(“It’s McCarthywasm.”)라고 발언하기도 했다.
  • 박근혜
         한겨레 신문 역시 국가관을 이유로 의원직을 박탈해야 한다는 것은 매카시즘 시대에나 나올 법한 마녀사냥식 발언이라 주장하고, 박 의원 발언은 무엇보다 그의 민주주의적 소양을 의심케 한다고 지적했다. 민주주의는 생각이 다르다고 기본권을 제약할 수 없으며, 생각이 무엇인지를 따져서 국회의원 자격이 있네 없네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사설은 종북으로 제명을 논하면 마녀사냥이라는 같은 당 하태경의 발언을 인용하고, 박근혜의 민주주의적 소양이 당의 평균적 인식에도 미치지 못한다면 걱정스러운 일이라고 비판했다.<ref>[http://www.hani.co.kr/arti/opinion/editorial/535848.html (사설) 민주주의 소양 의심케하는 박근혜 의원 발언] 한겨레, 2012년 6월 3일</ref>
         [[연합뉴스]] 사장 출신의 언론인 [[김종철 (언론인)|김종철]]은 [[미디어오늘]] 칼럼을 통해 박근혜의 [[매카시즘]] 성향을 비판했다. 박근혜의 국가관 발언에 대해 김종철은 칼럼에서 "그들이 어떤 ‘종북행위’를 했는지에 관한 명확한 증거도 없이 ‘주사파’라고 보면서 국회에서 제명하자고 주장하는 것은 전형적인 매카시즘"이라고 주장했다.<ref>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3015</ref>
  • 이정미 (정치인)
         2016년 총선이 한창인 3월 13일 [[국민의당]]의 이종화 서울 서대문갑 예비후보가 이정미를 "공산주의자"로 지칭하는 일이 있었다. 이정미의 과거 자주파 활동을 들어 색깔론을 편 것이다. 정의당 당원인 [[진중권]]은 이에 대해 "야권연대를 거부할 명분이 없다 보니, 옛날 통진당 모델을 뒤집어 씌운다"며 이종화를 비판했다. 정의당에서도 공식적으로 이를 [[매카시즘]]이라고 비판하고 나서자 이종화는 뒤늦게 이정미에게 사과했다.<ref>http://news1.kr/articles/?2600835</ref>
11830의 페이지중에 3개가 발견되었습니다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