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 도영(1996) . . . . 33회 일치
또한 음역대가 넓고 감정표현이 뛰어나 보컬의 활용도가 높다. [[https://youtu.be/QbesRHH9Moo|루키즈 시절 도영 파트 편집 영상]] [[https://youtu.be/dn_umnXe73U|루키즈 시절 솔로무대:미워요]]
루키즈 시절에는 도입부를 많이 맡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rGiao5WKndk|Under the Sea]], [[https://www.youtube.com/watch?v=3BCRUewBgcs|Switch]], [[https://www.youtube.com/watch?v=Re-DiAW0grg|Show me your love]] 등 모든 루키즈들이 함께하는 무대나 [[https://www.youtube.com/watch?v=8Oy--IFD_T4|Mirotic]], [[https://www.youtube.com/watch?v=05xMerUATt4|View]] 등 큰 루키즈들끼리의 무대, [[https://www.youtube.com/watch?v=5Q4mKCyZI3k|텐데]], [[https://www.youtube.com/watch?v=pfnm8chwDfM|Who Are You]] 같은 보컬라인의 무대 등 다양한 곡에서 도입부를 많이 맡은 편. 주로 도영-재현 순서로 시작하는 곡이 많았다.
루키즈쇼에서 태용과 부른 미공개 곡이 몇 개 있다. 대표적인 곡이 [[https://www.youtube.com/watch?v=5SIOGkxd_B0|Piece of mind]]. 제목이 밝혀지기 전에는 가사에 나오는 단어인 '귓속말'로 알려지기도 했다. 사실 이 곡은 J.cole의 sideline story의 트랙을 빌려와 그 위에 멜로디와 랩을 붙인 곡으로 태용이 연습생 시절 힘들고 지칠때마다 힘이 되어주었던 노래였다고 방송에서 언급하기도 했다. Piece of mind 보다는 덜 알려졌지만 루키즈 쇼에서 두 사람이 부른 또다른 곡인 [[https://www.youtube.com/watch?v=HjMaLw-57qw|Switch off(가제:백열등)]] 또한 정식 발매되기를 원하는 팬들이 종종 있다.
SM 어린 루키즈들이 출연하는 [[미키 마우스 클럽(대한민국)|미키 마우스 클럽]]에 특별출연하여 [[SM Rookies]] [[고은(SM Rookies)|고은]]과 <[[Beauty and the Beast]]>를 듀엣으로 불렀다. [[https://youtu.be/Bvd38mv_Wwg|SMROOKIES Doyoung & Koeun - Beauty and the Beast]]
언변이 뛰어나서 데뷔 전이나 NCT 유닛에 합류하지 않는 기간 동안 꽤나 많은 MC 일을 맡았다. 우선 루키즈로 공개된 지 하루 만에 [[재현(NCT)|재현]]과 함께 [[쇼 챔피언]]을 진행했으며 루키즈쇼에서도 재현과 함께 MC를 보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C86JWVC-dME|도영, 재현 MC 2015 VS 2018]]
* 루키즈에 공개되기 전인 2014년 8월 Mnet EXO '90:2014'에서 공개된 [[https://www.youtube.com/watch?v=OJzA6krTUMo|'빛']] 리메이크 음원에 참여하였다. 당시 음원에 함께 참여했던 재현, 쟈니와 뮤직비디오에 출연한 유타는 이 시점에 이미 루키즈로 공개된 상태.
|| 2015년 1월 21일 ~ 2015년 7월 1일 || [[MBC뮤직]] || 쇼!챔피언 || 4대 고정 MC[* 같은 팀 NCT 재현과 SM루키즈 SR15B시절 더블MC] ||
* 웃을 때나 노래할 때는 입이 커지고 눈썹도 움직인다. 루키즈 시절에 작성한 백문백답에서 신체비밀을 '''입이 크다'''고 설명했다. 그 이후에도 방송에서 신체 비밀 질문이 있을 때마다 큰 입을 얘기하곤 한다.--너무 많이 얘기해서 더이상 비밀이 아니다-- 마이크가 입에 들어갈 정도라고.
* 처음 회사에 들어오고 연습생 시절에 이비인후과에서 성대 테스트를 받은적이 있는데 그때 받은 성대 진단서와 성대 동영상이 담긴 CD를 아직도 간직하고 있다고 한다. 루키즈 시절 백문백답에 따르면 편도선 제거 수술을 받은적이 있다고 한다.
* 집안에서 막내로 말투나 발음, 행동이 모태애교다. ㄴ받침에 ㄴ을 첨가해서 발음할 때가 많은데 "이천넌" "재현니" "미안내" 등. 팬들이 귀여운 말투에 반해 "미안내"를 미안해 대신 사용한다. --십덕 포인트다.-- 라디오 등에서 팬들이 몇번 사연을 보낸적이 있어서 도영 본인도 자신의 말투에 대해 인지하고 있으며 스스로 밝히기로는 비염 때문에 그런 발음이 나오는 거라고. 루키즈 시절 ~ 데뷔 초에는 좀 더 심했는데 최근에는 그런 경향이 많이 줄어들었다. 특히 MC를 볼 때는 의도적으로 또박또박 말하려고 노력하는 편이라 거의 그런 발음을 찾아볼수 없으나 아직도 브이앱 등 편안한 방송에서는 귀여운 말투가 나온다. [[https://www.youtube.com/watch?v=nF_dSpySAVA|ㄴ발음모음]]
* [[SM엔터테인먼트]]에 캐스팅되자마자 친구들에게 해외로 이민간다고 하며 고등학교를 자퇴했다고 한다. 그래서 2015년에 [[SM Rookies|SM루키즈]]에서 공개된 후 도영의 친구들이 '''쟤 왜 저기 있느냐'''는 글을 썼다고 한다. 다만 친한 친구들에겐 연습생이 된 것을 알렸다고.
* 루키즈 시절 가장 좋아하는 계절을 봄[* 봄과 민들레를 좋아한다고.]이라고 했었는데 2018년 기준으로는 가장 좋아하는 계절이 가을로 바뀌었다. 춥지도 않고 덥지도 않아서. 가을하면 단풍이 떠오른다고 한다. 좀더 자세히 말하자면 길을 따라 가로수들이 서 있고 그 아래가 주황빛으로 물든 풍경. 여름과 겨울 중에는 겨울이 좋다고 한 것을 보아 선호 계절 순위는 가을>봄>겨울>여름인듯 하다.
* 의외로 초콜릿은 그렇게까지 좋아하지 않는 것 같기도 하다. 디스패치에서 공개된 할로윈 간식 언박싱 영상에서 멤버들이 호박맛 킷캣을 추천하자 "난 초콜릿(절레절레)" 하면서 사양하였다. 멤버들이 계속 맛있다고 하자 한 입 맛보았지만 더 준다는 재현의 제안은 사양하였다. 그런데 초콜릿 드링크나 초코맛 아이스크림은 좋아한다고 여러번 언급했으며 루키즈 백문백답에서도 화이트초코를 좋아한다고 해서 과연 진실이 무엇인지 미스테리인 상태. 후에 팬싸인회에서 밝혀진 바에 의하면 단 건 좋아하지만 초콜릿은 입에 끈적하게 남는 이물감 때문에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고.
* 루키즈 시절 백분백답에 따르면 좋아하는 날씨는 가랑비 내리는 날. 데뷔 후 비오는 날은 어떠냐는 질문을 받았을 때는 누워있기 좋다(...)고 대답했다. 원래도 나가는 걸 싫어하는데 비오는 날은 더 나가기가 싫다고. --물론 맑은 날에도 보통은 침대에 누워있을 것이다.-- 하지만 비오는 날 나가는 것을 싫어할 뿐 비오는 날 자체는 좋아하는 것 같다. 건조한 것보다 습한 것을 더 좋아하고[* 비슷한 이유로 [[태국]]에 가면 따뜻하고 습해서 피부가 촉촉하고 목이 건강해지는 느낌이라 좋았다고.] 비가 오는 날 스피커로 노래를 틀어놓으면 좀더 좁은 공간에서 노래를 듣는 느낌이라 더 좋다고 한다. 비 오는 날 먹고 싶은 음식은 해물파전. 실제로 잘 만들기도 한다고. 팬보드에서 제일 좋아하는 수록곡 질문을 받았을 때 Sun&Moon을 고르면서 그 이유로 비오는 날 듣고 싶은 '나른의 끝' 같은 노래여서라고 대답하기도 했다.
* 좋아하는 숫자는 2, 루키즈 시절 고유번호는 05.
* 영화 취향은 가족 영화라고 하며 엑스맨:데이즈 오브 퓨쳐패스트를 재미있게 보았다고 한다. 명절에 다시 보면 좋을 영화로 해리포터 시리즈를 추천한 적도 있다. [* 팬싸인회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해리포터에서 가장 좋아하는 배역은 헤르미온느.] 어벤져스:인피니티 워를 본 이후로 [[https://www.youtube.com/watch?v=9BlLLxzdEQM|마블 시리즈를 정주행]]하고 있다고 한다. 어벤져스 4가 1년 후에 나온다는 것을 [[공명(배우)|친형]]에게 듣고 열심히 기다리고 있는 중이라고.[* 참고로 도영의 마블 최애는 닥터 스트레인지. 루키즈 시절 문답에 따르면 어릴 적 좋아했던 히어로는 스파이더맨이라고.] 어린 시절 좋아했던 애니메이션 영화는 벅스 라이프.[[https://www.youtube.com/watch?v=42086v2MrNI|영상]] [* 그 중 모 애벌레 캐릭터를 특히 좋아했던 것 같다.]
* 헬륨가스를 마시면 [[포켓몬스터]] 노래를 부르는 버릇이 있다. --피카츄 라이츄 파이리 꼬부기-- 루키즈 시절 쇼챔피언 비하인드 영상에서 한 번 불렀었는데 3년 후인 2018년 127 2주년 V live에서도 헬륨가스를 마시고 같은 노래를 불렀다. 여담으로 헬륨가스 마시는 걸 상당히 좋아하는 것 같다. 당시에도 벌칙인 헬륨가스를 마시고 싶어서 재현과 --대놓고-- 가위바위보 조작을 했었는데 3년 후 V live에서도 먼저 하고 싶다고 적극적으로 나서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런데 풍선 터뜨리는 건 무서워해서 쟈니의 도움을 받았다.--
* [[태일(NCT)|태일]]과는 위닷츄즈(텐데즈)로 불리는 보컬라인 멤버로 루키즈 시절 보컬 공연 준비도 함께 해서인지 서로 공유하는 추억이 많다. 연습생 시절 둘이서 노래방도 같이 다녀오고 텐데즈 셋이서 벚꽃을 보러가거나 같이 보컬 연습을 하며 음식을 시켜먹곤 했다고. 한때 태일이 장난에 중독되어 도영에게 장난을 많이 쳤는데 다 씻었는데 샴푸를 짜거나 세안 폼에 치약을 섞거나 하는 장난들이었다고 한다.
* [[태용]]은 도영을 종종 유리 같은 사람이라고 표현한다. 루키즈 시절 인터뷰에서는 '도영이는 깨지기 쉬운 유리같은 사람, 외모처럼 마음도 여려서 상처도 잘 받고 삐지기도 잘하는데 엄청 착해서 다른 사람한테 엄청 상냥하고 다정하거든요. 그래서 맑고 투명하고 예쁜데 깨지기 쉬운 유리'라고 이야기하였고 데뷔 이후에도 '팀내에서 가장 똑똑해서 가끔씩은 가장 강한 사람일 거라고 생각하는데 사실은 유리컵 같은 친구'라고 말한 적이 있다. 태용은 가장 외로움을 많이 타는 멤버로 도영을 꼽기도 하였다. 아이돌룸에서 밝히기로는 아예 핸드폰 연락처에도 '도영글라스'라고 저장해두었다고.
* [[쟈니(NCT)|쟈니]]는 도영이 인기가요 MC를 할 당시 가장 문자를 많이 보내 준 멤버라고 한다. MC가 됐을 때 처음으로 축하문자를 보내 준 것도 쟈니이며 그 이후에도 거의 매주 수고했다고 문자를 보내줬다고. 루키즈 시절에도 룸메이트였으며 U 활동이 끝난 이후 127에 합류하기 전에도 방을 오랫동안 같이 쓴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도다제에서 서로 함께 했던 추억을 많이 이야기하는 편이다. 재현과 셋이서 야구장을 다녀온적이 있다든가 함께 퍼즐을 맞추었다든가 연습하면서 쟈니가 브이로그를 찍어보려고 했다는 것 등. 사교성이 뛰어나고 말을 많이 하는 등 성격적으로도 비슷한 점이 많아서 멤버들도 이 둘이 잘 맞는거 같다고 이야기할 때가 많다.
- 블리치/698화 . . . . 13회 일치
* 렌지와 루키아도 결혼. 아이도 생겼는데 이치고네 집에 놀러오다 잠깐 잃어 버린다.
* 루키아와 렌지의 딸 아바라이 이치카(阿散井苺化(いちか)). 렌지의 머리모양에 루키아의 눈매를 닮은 소녀다.
* 한편 쿠치키 뱌쿠야는 루키아의 대장임명식이 끝나자 마자 유하바하의 잔재를 찾아 나선다.
* 그에게 연락을 한건 소이퐁. 원래는 루키아를 호출하려 했지만 식후에 곧바로 사라져서 대신 불렀다.
* 뱌쿠야는 루키아가 휴가를 간 거니 연락할 필요가 없다고 말하는데.
* 손님은 쿠치키 루키아와 아바라이 렌지. 결혼했다.
* 루키아는 여전히 손님이 없다고 놀린다.
* 이치고는 루키아 부부에게 "너희 아이도 데려온다고 하지 않았냐"고 묻는데, 아닌게 아니라 소개하겠다고 한다.
* 루키아는 벌써 호정 13대 수습이 됐다며 자랑하며 아이에게 어서 들어오라고 손짓하는데, 거기엔 아무도 없다.
* 루키아는 어차피 사신이니 인간한테 다칠 일도 없다며 별로 신경쓰지 않는데, 이치고는 "인간에게 시비 걸만한 녀석이냐"며 빨랑 찾으러 가라고 한다.
* 그 구멍은 1화에서 루키아와 호로가 튀어나왔던 것과 같은 구멍.
* 아바라이 이치카. 루키아와 렌지의 딸이며 사신 수습이다.
- 김대진 (야구인) . . . . 4회 일치
* [[SK 와이번스]] 루키 책임코치 (2012년)
* [[SK 와이번스]] 루키 책임코치 겸 타격코치 (2013년)
* [[SK 와이번스]] 루키 책임코치 (2014년 ~ 현재)
'''김대진'''(金大鎭, [[1955년]] [[12월 22일]] ~ )는 전 [[KBO 리그]] [[삼미 슈퍼스타즈]], [[OB 베어스]]의 외야수이자, 현재 [[SK 와이번스]]의 3군 루키 책임코치이다.
- 황치열 . . . . 4회 일치
* 2015년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 가족특집에서 [[인순이]]의 '아버지'를 불러 첫 우승을 차지함. 이후 각종 라디오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2015년 슈퍼루키특집'에서 [[신승훈]]의 '[[나보다 조금 더 높은 곳에 니가 있을 뿐]]'을 부르며 공식적인 '2015년 슈퍼루키' 타이틀과 함께 우승을 거머 쥠.
* 2015년 8월 15일 -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 (2015 슈퍼루키 쟁탈전) - 〈나보다 조금 더 높은 곳에 니가 있을 뿐〉 ''' 430점 우승
* 2015년 11월 20일 [https://web.archive.org/web/20151208080652/http://www.geekmag.co.kr/etc/notice.asp?boardNo=1962 매거진 GEEK 발행12월호] '슈퍼루키라고 불리는 사나이'
- 김연수(작가) . . . . 3회 일치
산문집을 읽어 보면 [[무라카미 하루키]]의 애독자인 듯 하다.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 <원더보이>에서는 청년과 중년 여성의 섹스, 가족이나 연인의 자살과 그로 인한 트라우마, 밤낮없이 길을 걸으며 방황하는 주인공 등 무라카미 하루키의 <노르웨이의 숲>의 영향을 받은 듯한 소재가 종종 등장한다. 그러나 이들 작품 모두 격동의 시대를 살며 방황하는 청춘을 그리고 있기 때문에, 자살과 섹스, 목적지 없는 도보 여행 등 '방황하는 청춘'의 보편적인 이미지를 사용했다고 볼 수도 있다.
* [[달리기]]를 굉장히 좋아한다. 여러 인터뷰에서 달리기 예찬론을 펼친 바가 있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영향을 받기도 했다고 밝힌 바 있다.
- 블리치/685화 . . . . 2회 일치
* 렌지와 루키아가 제라르와 교전 중인 장소에 도착하지만 정체불명의 공격에 당황한다.
* 렌지와 루키아가 토시로를 못 알아보는 깨알같은 개그씬.
- 블리치/692화 . . . . 2회 일치
* 그러나 이치고는 바보라서 그런게 안 되며 오리히메도 사도, 루키아, 렌지도 마찬가지.
* 뒤늦게 도착한 렌지와 루키아.
- 블리치/697화 . . . . 2회 일치
* 신 대장 취임식. 루키아가 새로운 13번 대장이 되고 기술개발국의 아콘이 부대장이 됨.
* 주인공은 쿠키치 루키아. 13번대 대장으로 취임했다.
- 아이린(레드벨벳) . . . . 2회 일치
* SM엔터테인먼트의 데뷔조 프로그램인 [[SM Rookies]]에 공개되었다. 루키즈에 공개되었을 때에는 본인이 보여주지 못한 게 많다고 소개했다. [[http://img.tenasia.hankyung.com/webwp_kr/wp-content/uploads/2013/12/2013121011465781718-540x810.jpg|#]]
* 게임을 잘 하는 모습을 여러 번 보여주었다. 대표적으로는 V앱에서 [[예리]]를 상대로 루키게임 완승이 있다.--(feat. 블랙홀 [[예리]])--
- 이재황(배우) . . . . 2회 일치
|| '''이름''' ||<(> 이재황(李在煌[* <MBC 가이드 인물 2001년 5월호, 루키 2001 | 탤런트 이재황>에 명시되어 있다. 중화권에서는 '李在皇'으로 통한다],Lee Jae Hwang) ||
1999년 3월 28일 SBS 일요드라마《[[카이스트(드라마)|카이스트]]》로 데뷔했으며 시트콤 단역으로 활동하며 루키로 주목을 받다가 2000년 [[SBS]] 시트콤 《[[웬만해선 그들을 막을 수 없다]]》에서 바람둥이 '권재황' 역으로 전성기를 맞았다. --아직도 권재황으로 기억하는 이가 많다.-- --유행어가 '''나 권재황이야'''이다 -- 그렇게 전성기를 구가하던 중 2002년 10월 31일에 군입대, 연예병사로 꾸준히 군 홍보드라마를 찍다가 2004년 11월 23일에 제대했다.
- 구승빈 . . . . 1회 일치
약한 팀의 전력과 본인의 과도한 공격성향으로 인한 미친 듯한 데스누적은 임프의 후반 한타 실력에 대해 호불호가 갈리게 만든다. 시즌 4에 미스틱은 NLB 전용 왕자님이었고 우지는 중국 미친개였지만, 우지와 미스틱이 한국식 운영을 모방하는 팀에서 공격적인 라인전 능력에 뒷받침되는 엄청난 한타 안정감을 보여주며 시즌 7 롤드컵 4강을 찍는 시점에서 LPL 바닥을 떠도는 임프와 사실상 신세가 역전되어버렸다. 시즌 5만 해도 임프가 연봉과 커리어를 다 가진 상황이었지만, LPL의 수준이 올라가고 몬테에 의하면 LPL에서 VG보다도 더 부패했다는 LGD(...)에 사로잡힌 임프는 자신이 메타와 트렌드의 발전에 맞게 진화했음을 검증받을 기회를 스스로 포기하고 연봉과 커리어를 교환한 셈이 되어버렸다.~~루키는 2년을 참으니 재키러브가 떡상하는데 임프는......~~
- 권희동 . . . . 1회 일치
루키 시즌(2013년 시즌)때는 타율과 출루율은 심각하게 낮았지만 장타력은 여전히 좋았던 타자였다. 1군 데뷔 시즌 맞이한 397타석에서 '''15개'''의 홈런을 쏘아 올렸을 정도로 힘이 있는 선수. 특히 2사 후 타점이 [[http://sports.donga.com/3/all/20130913/57652988/1|많고]], 홈런 상당수가 2점차 이내의 접전에서 [[http://www.hani.co.kr/arti/sports/baseball/599691.html|나오는]] 등, 타점의 영양가가 높아 [[공갈포]] 논란이 거의 없다. 이런 장점을 갖고 있기에 2013 시즌은 뎁스가 얇은 신생 팀에서 기회를 놓치지 않고 시즌 내내 주전으로 뛰었었다.[* 사실 2013년의 타격이 공갈성이 있긴 했지만 [[BABIP]]이 0.214에 불과할 정도로 운도 따라주지 않던 시즌이었다. 이는 압도적인 리그 꼴지의 기록. 그 이후에는 3할 초중반 대의 기록을 유지하고 있다.] 스포츠동아에서는 1할 타율을 가지고 있던 당시 공포의 1할 타자, 숫자만으로 평가해서는 안 되는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382&article_id=0000132146|타자로 소개했다.]] 힘있는 타자는 상당히 귀하고 귀하기 때문. 2013 시즌에는 팀의 뎁스가 워냑 얇았고, 일발 장타력이 있었기 때문에 심각하게 낮은 타율과 출루율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출장 기회를 부여받았다.
- 김민기(가수) . . . . 1회 일치
2016년 [[밥 딜런]]의 [[노벨문학상]] 수상 이후, 한국의 노벨문학상 후보로 잠시 언론이 뜨거워지기도 했다. 같이 언급된 것은 일본의 [[하루키]] 작가이며, 어떤 기사는 한국의 밥 딜런으로 [[한대수]]를 언급하기도 했다. [[http://kns.tv/news/articleView.html?idxno=251534&daum_check=|관련 기사]]
- 김용국 (야구인) . . . . 1회 일치
[[1997년]] 그는 무보수 방문 코치로서 [[밀워키 브루어스]] 산하의 루키 리그 야구단 [[헬레나 브루어스]] ([[:en:Helena Brewers|Helena Brewers]])에서 코치로 있다가 그해 9월 마이너 리그 내의 교육 리그, [[애리조나 폴 리그]] ([[:en:Arizona Fall League|Arizona Fall League]])에 속해 있던 야구단 [[메사 솔라 삭스|선 시티즈 솔라 삭스]] (Sun Cities Solar Sox; 現 메사 솔라 삭스 [[:en:Mesa Solar Sox|Mesa Solar Sox]])에서<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1&aid=0004255979 <프로야구>김용국, 애리조나 폴리그 코치 영광 :: 네이버 뉴스<!-- 봇이 따온 제목 -->]</ref> 한 달간 경험을 쌓은 뒤 다시 밀워키 브루어스 산하의 싱글A 야구단 [[스탁턴 포츠]] ([[:en:Stockton Ports|Stockton Ports]])에서 수비 및 주로 코치로 일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1&aid=0004294321 <프로야구> 김용국, 미국 프로야구 지도자로 데뷔 :: 네이버 뉴스<!-- 봇이 따온 제목 -->]</ref> 1998년 말, 1년간 그를 지켜본 [[스탁턴 포츠]]는 그에게 연봉 3만 달러를 제안함과 동시에 1999 시즌부터 정규 시즌 코치로 일할 것을 제안하였다. 1999 시즌이 끝난 뒤엔 연봉이 3만 5천 달러로 오르면서 트리플A 야구단 [[인디애나 인디언스]] ([[:en:Indianapolis Indians|Indianapolis Indians]])의 코치로 승격되었다. 2000 시즌 도중에는 [[스카우트]] 자격으로 한국에 2주 동안 출장을 오기도 했는데, 그때 한국의 4개 프로 구단으로부터 코치 제의를 받았다. 그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메이저 리그]] 코치에 도전해 볼 생각도 있었으나 [[LG 트윈스]]의 강력한 러브콜로 인해 국내 복귀를 택했다.<ref name="imaeil" />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11화 . . . . 1회 일치
* 갱 오르카도 대형 루키의 등장에 다소 긴장하는데, 두 사람의 공격이 서로 방해가 돼서 갱 오르카에겐 아무런 타격도 주지 못한다.
- 몽키 D. 루피 . . . . 1회 일치
[[니코 로빈]]을 구하느라 [[에니에스 로비]]를 박살내고, 포트거스 D. 에이스를 찾아 [[임펠 다운]]을 작살냈다. 뒤이어 [[해군본부(원피스)|해군본부]]를 뒤엎는 데도 한 몫 했다. 즉 루키 주제에, 그것도 최하위급 악마의 열매 능력자가 열기도 힘든 정의의 문을 넘고 넘어서 세계 정부의 중요기관 3개를 골고루 털었다.
- 몽키 D. 루피/작중행적 . . . . 1회 일치
전세계에서 가장 강한 자들이 모인 거대한 전쟁 속에 단지 위대한 항로의 반을 돈 해적들 중 [[루키]] 취급을 받는 정도에 불과한 루피가, (원군은 있었지만) 동료는 아무도 없이[* 사실 루피가 동료들과 떨어져 단독으로 움직이는 일이야 자주 있는 일이지만 그런 경우는 동료들과 일정 거리 내에서 흩어져서 같은 목적을 위해 행동을 하는 것이다. 동료들과 어떠한 협력도 이룰 수 없는 상황에서 홀몸으로 싸운 것은 정상결전이 처음이었다.] 단신으로 뛰어 든 그야말로 태풍 속에 개미 한 마리와도 같은 에피소드였다. 그러나, 세계 최강의 남자인 흰 수염과 그의 해적단 2번 대대장인 [[포트거스 D. 에이스]]가 죽은 이 전투에서, 그것도 해군 3대장과 한 번씩은 근거리에서 전투를 벌이고 살아남았으니, 루피의 천운이 얼마나 대단한지를 알려주는 이야기이기도 했다. 게다가 참전 당시부터 루피는 임펠 다운의 연이은 싸움에 의한 데미지와 피로, 결정적으로 마젤란의 독에 죽다 살아나 며칠간의 회복기가 필요한 것을 이반코프의 텐션 호르몬으로 간신히 버티는. 즉 쓰러져야 정상인 몸을 반 근성으로 억지로 움직이고 있는 상태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봉에 서서 대장들과 겨루고 에이스 구출까지 하는 활약을 했으니 사실 '개미'로 치부될 전력은 아니었다. 또한, 스모커와 같은 자연계 능력자가 아닌 한, 루피가 그렇게 적에게 밀린 적은 없고 네임드가 나서지 않는 한 꽤 날뛴 편이다. 그런 상황에서는 기어도 거의 쓰지 않았다. 적어도 당시의 루피는 거인족 중장인 호리모 중장을 기어3로 한방에 쓰러뜨렸기에 패기는 못썼지만 적어도 거인족 중장 수준은 되었다.[* 하지만 거인족 중장들 치고 좋은 꼴 본 놈은 아무도 없었다.] 거기에 이 전투가 전세계에 생중계되고, 비밀로 해야 했던 루피의 혈통까지 알려졌기에 차후 루피의 행보는 이전과는 다르게 될 것이다.
- 박정철(배우) . . . . 1회 일치
* 2000년 SBS 루키 - 유시한
- 박주영 . . . . 1회 일치
2005년 FC서울에 입단해 32경기에 출장, 18골이라는 놀라운 득점력을 보였으며 그 해 프로축구 올해의 선수상, 신인상, 인기상, 득점왕 등을 휩쓸었다. 특히 프로축구 최초의 만장일치 신인상을 이끌었던 점과 당시 사기캐릭으로 불리던 고려대 선배 이천수와 MVP 경쟁을 했다는 점은 K리그 역사상 최고의 루키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 박진석 (프로게이머) . . . . 1회 일치
* [[2011년 9월]] 제4회 스타크래프트 루키리그 준프로 선발전 입상
- 박하나(배우) . . . . 1회 일치
* [[앵무새]] 3마리를 기르고 있다. 코뉴어 종으로 이름은 루키, 랍&스타.
- 배지환 (야구선수) . . . . 1회 일치
루키 팀에서 전지 훈련을 하였고, [[필라델피아 필리스]]와 시범경기에서 병살타를 이끌어내는 수비를 하였으며, 1득점을 기록하였다.<ref>[http://sports.mk.co.kr/view.php?year=2018&no=194076 배지환, 파이어리츠 첫 공식 경기는 ML 시범경기 ] - MK스포츠</ref>
- 블랙 클로버/106화 . . . . 1회 일치
* [[아스타(블랙 클로버)|아스타]]와 [[유노(블랙 클로버)|유노]]는 [[마법제]]가 몸소 "올해 최고의 루키"들이라고 소개한다.
- 블랙 클로버/109화 . . . . 1회 일치
이런 전개는 한참 앞에 가는 야미도 짐작하는 바였다. "땡땡이 친 벌"이라고 했지만, 사실은 두 단장이 구사하는 고급 기술을 자기네 단원들에게 본보기로 보여주려는게 목적이었다. 특히 샬롯은 이 장소에서 상성상 최악이므로 마나스킨 활용이 두드러질 수밖에 없다. 딱 좋은 교보제인 셈이다. 그리고 넘버 1 루키인 "금색의 쿨" 녀석도 동세대의 신인들을 고무시키기엔 안성맞춤. 보기보다 빈틈없는 누님이다.
- 블랙 클로버/112화 . . . . 1회 일치
* 그러나 이들의 인지도는 올해 넘버 1 루키 [[유노(블랙 클로버)|유노]]에 비하면 약소했다. 설명이 필요없는 유망주로 경계의 대상. 그 외에도 금색의 여명 출신의 강자들이 눈에 띈다.
- 블리치/686화 . . . . 1회 일치
* 루키아와 렌지는 제라르의 공격을 피하려다 휩쓸릴 뻔하고, 이때 뱌쿠야가 구해낸다.
- 블리치/693화 . . . . 1회 일치
* 오리히메에게 유하바하의 능력을 전해들은 루키아는 경악한다.
- 블리치/694화 . . . . 1회 일치
* 렌지는 둘만 있으니 하는 얘기라며, 완전히 엇갈려 버렸던 루키아와 관계를 되돌려준 것은 이치고라고 말한다.
- 손예진 . . . . 1회 일치
손예진은 2000년 박기형 감독의 영화 《[[비밀 (2000년 영화)|비밀]]》에서 홍미조 역을 맡아 출연(목소리 출연)한 후, 오디션을 통해 이듬 해 2001년에 방영 된 TV 드라마 《[[맛있는 청혼]]》에서 여주인공 장희애 역을 맡아 본격적으로 연기 경력을 시작했다.<ref>{{웹 인용|url=http://koreajoongangdaily.joins.com/news/article/article.aspx?aid=1885703|title=Young, Charming and Innocent ? What More Could You Want?|date=12 March 2001|work=Korea JoongAng Daily}}</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38&aid=0000100807 '방송'손예진 MBC 최고 루키 선정], 《한국일보》. 2001년 9월 25일 작성.</ref> 첫 드라마 작품부터 주연으로 시작한 손예진은 데뷔와 동시에 큰 인기를 얻었고, 특유의 청순한 모습을 통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첫사랑 이미지로 각인되었다. 같은 해 그녀는 연이어 《[[선희 진희]]》에 출연하며 [[MBC 연기대상]] 신인상을 수상하였다. 2002년, 손예진은 픽션사극 드라마 《[[대망 (2002년 드라마)|대망]]》과 [[임권택]] 감독의 영화 《[[취화선]]》에 출연하였고, 이 영화는 제55회 [[칸국제영화제]] 공식경쟁부문에 초청 되었다. 같은 해 출연한 영화 《[[연애소설]]》(2002)는 233만명의 관객수를 기록,《[[클래식 (영화)|클래식]]》(2003)은 154만명의 관객수를 기록하며 그녀의 초기 경력에서 가장 큰 성공을 안겨주었고, 점차 주목 받기 시작했다. 《클래식》은 현재까지도 아름다운 멜로 영화로 회자되며, 손예진의 맑고 순수한 이미지로 인해 단숨에 청순 아이콘으로 떠올랐다.<ref>{{웹 인용|url=http://kpopherald.koreaherald.com/view.php?ud=201606101410484008937_2|title=Korean stars dubbed ‘Nation’s first love’|website=The Korea Herald|date=10 June 2016}}</ref> 이 작품들을 통해 2002년 제22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신인여우상과, 2003년 제39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신인연기상, 제40회 [[대종상 영화제]]에서 신인여우상을 수상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살인의 추억' 대종상 4개부문 석권(종합) |url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0396132|출판사 ='살인의 추억' 대종상 4개부문 석권(종합) |저자 =김병규 |날짜 = 2003-06-20 |확인날짜 =2017-09-16 }}</ref> 손예진은 2003년 TV 드라마 《[[여름향기]]》에서 여주인공 심혜원 역을 연기했다. 이 작품은 [[한류 (문화)|한류 문화]]의 주역인 [[윤석호 (연출가)|윤석호]] PD의 ‘[[가을동화]]’, ‘[[겨울연가]]’를 잇는 계절 시리즈 세 번째 작품으로 큰 주목을 받았다.
- 요시다 세이지 . . . . 1회 일치
[[와다 하루키]] 교수는 "요시다 세이지의 증언은 허위로 판명됐지만, 위안부 문제의 본질을 흐리진 않으며 잘못에 대해선 사과하는 게 옳다"고 밝혔다.[[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4101710290019572 (증언)]]
- 이영아(배우) . . . . 1회 일치
|| 동아TV 패션 뷰티상 || 루키 오브 더 이어 상 || ||
- 이종원 (1953년) . . . . 1회 일치
* [[와다 하루키]]
- 정소담 . . . . 1회 일치
*EXR TEAM 106 신인드라이버 양성 <슈퍼루키 프로젝트> 시즌3 TOP10
- 타베아루키 . . . . 1회 일치
타베루(食べる)는 먹는다는 뜻이고 아루쿠(歩き)는 걷는다는 뜻이므로, 두 가지를 합쳐둔 '타베아루키'는 '음식을 먹으면서 걸어다닌다'는 뜻이다. 걸으면서 먹을 수 있는 음식 같은 것을 뜻한다.
- 하이큐/244화 . . . . 1회 일치
* [[후쿠로다니 학원]] 대 에이와 고교. 후쿠로다니는 1회전부터 예상치 못한 난관에 부딪혀 있다. 스코어는 10 대 7. 첫번째 TO를 사용한다. 에이스 [[보쿠토 코타로]]가 컨디션 난조. 관중석에서 보쿠토의 저조한 경기력을 비웃을 정도다. [[코미 하루키]]가 텐션 좀 올리라고 격려하는데, 보쿠토의 풀죽음 원인은 완전히 엉뚱한 것이었다.
- 혜은이 . . . . 1회 일치
* 아동복 루키 (1978년)
11532의 페이지중에 36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