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달성군"을(를) 전체 찾아보기

달성군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박근혜 . . . . 27회 일치
         박근혜는 [[1997년]] [[12월 2일]] 사촌 오빠 [[박재홍 (1941년)|박재홍]]의 소개로 [[한나라당]]의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제15대 대통령 선거]] 후보였던 [[이회창]]과 만났다. 이후 [[1997년]] [[12월 10일]]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제15대 대통령 선거]] 이회창 지지를 선언하며 한나라당에 입당하였다. 이후 이회창의 권유로 [[1998년]] [[4월 2일]] 한나라당의 후보로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당선되었다. [[박정희]] 전 대통령의 딸이라는 점과 미혼 여성 정치인이라는 점 등으로 많은 주목을 받았다. 출신 성분은 아버지인 박정희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보수 진영 및 영남, 어머니인 [[육영수]]의 고향인 충청 지역의 지지를 얻는 데 유리하게 작용하였다.
         박근혜는 [[2010년]]에 있었던 [[대한민국 제5회 지방 선거|지방 선거]]에서 [[대구광역시]] [[달성군|달성군수]]로 출마했던 한나라당의 이석원 후보를 적극적으로 지원하였지만 이석원 후보는 무소속의 김문호 후보에게 패배하였다. 박근혜는 "달성군민이 판단한 것도 존중한다"고만 입장을 밝혔다.<ref>[http://news.mk.co.kr/outside/view.php?year=2010&no=286840 상처입은`선거의 여왕 박근혜, 침묵 끝 한마디] {{웨이백|url=http://news.mk.co.kr/outside/view.php?year=2010&no=286840 |date=20100607172404 }} 매일경제 2010년 6월 3일</ref> 차기 대선 후보로써의 지지율은 사상 최저치로 떨어져 25.1%를 기록하는 등 박근혜의 정치적 입지가 점점 좁아지자<ref>(http://www.ccdailynews.com/section/?knum=152755 박근혜 지지율 2.3% 하락) 충청일보 2010년 6월 3일</ref> 박근혜는 2010년 하반기부터 차기 대선 행보에 초점을 두고 움직이기 시작했다. 12월 20일 열린 공청회에서 복지를 화두로 토론을 진행하였다. 박근혜는 인사말을 통해 "서구 선진국들의 전통적 복지제도가 한계에 이르렀다"며 맞춤식 생활 보장형 복지 국가를 제안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214&aid=0000163860 박근혜 대권 행보 시작‥공청회 '대선출정식' 방불] mbc 2010년 12월 20일</ref> 이후 12월 27일 박근혜의 대선 구상을 내놓을 '국가미래연구원'이 출범했다. 출범식에는 대한민국 내 학자들과 [[이한구 (정치인)|이한구]] 한나라당 의원 등이 참석했다.<ref>[http://imnews.imbc.com/replay/nwdesk/article/2767079_5780.html 박근혜, 빨라진 대권 행보‥'싱크탱크' 출범] {{웨이백|url=http://imnews.imbc.com/replay/nwdesk/article/2767079_5780.html |date=20130927121326 }} mbc 2010년 12월 27일</ref> 그러나 [[심재철 (1958년)|심재철]] 한나라당 의원은 "복지를 늘리려면 세금을 더 거둬야 하는데 그 얘기는 감추고 무조건 복지만 잘해주겠다고 하는 것은 솔직하지 못한 태도"라고 비판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214&aid=0000164333 한나라당 심재철 "박근혜 복지, 솔직하지 못해"] mbc 2010년 12월 25일</ref>
         {{선거기록/KR/개인| [[1998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4·2 재보선]] | 15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 | [[대구 달성군의 국회의원|대구 달성군]] | 한나라당 | 34,271 표 | 61.34 | 1위 | 당선 | [[1998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초선]] }}
         {{선거기록/KR/개인|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16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 | [[대구 달성군의 국회의원|대구 달성군]] | 한나라당 | 37,805 표 | 61.39 | 1위 | 당선 |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대구광역시#달성군|재선]] }}
         {{선거기록/KR/개인|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17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 | [[대구 달성군의 국회의원|대구 달성군]] | 한나라당 | 45,298 표 | 70.04 | 1위 | 당선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대구광역시#달성군|3선]] }}
         {{선거기록/KR/개인|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18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 | [[대구 달성군의 국회의원|대구 달성군]] | 한나라당 | 50,149 표 | 88.58 | 1위 | 당선 |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대구광역시#달성군|4선]] }}
         * [[1998년]] [[4월 3일]] ~ [[2000년]] [[5월 29일]] 제15대 국회의원(달성군)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제16대 국회의원(달성군)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제17대 국회의원(달성군)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제18대 국회의원(달성군)
         |직책 = [[대구 달성군의 국회의원|국회의원(대구 달성군)]]
         |직책 = [[대구 달성군의 국회의원|국회의원(대구 달성군)]]
         |직책 = [[대구 달성군의 국회의원|국회의원(대구 달성군)]]
         |직책 = [[대구 달성군의 국회의원|국회의원(대구 달성군)]]
  • 대구광역시/인물 . . . . 19회 일치
         * [[곽대훈]] - 달성군
         * [[곽승준]] - 달성군
         * [[구성재]] - 달성군
         * [[구자춘]] - 달성군
         * [[김문오]] - 달성군
         * [[김성곤]] - 달성군
         * [[김정우(1990)|강정우]] - 달성군
         * [[고수희]] - 달성군
         * [[박재정(배우)|박재정]] - 달성군
         * [[박준규(1925)|박준규]] - 달성군
         * [[박주아(1942년)|박주아]] - 달성군
         * [[박진주]] - 달성군
         * [[소명(가수)|소명]] - 달성군
         * [[이종진]] - 달성군
         * [[이정길(영화배우)|이정길]] - 달성군
         * [[정재민(2001)|정재민]] - 달성군
         * [[정종철]] - 달성군
         * [[추경호]] - 달성군
         * [[한다민]] - 달성군
  • 김문오 . . . . 16회 일치
         | 직책 = [[대구광역시]] [[달성군|달성군수]]
         '''김문오'''(金文澳, [[1949년]] [[5월 4일]] ~ )은 [[대한민국]]의 언론인 출신 정치인이다. 현재 대구광역시 달성군수이다.
         * 2010.07 ~ 2018.06 제34,35대 대구광역시 달성군수(재선,[[새누리당]])
         * 2018.07 ~ 36대 대구광역시 달성군수 (3선, [[무소속]])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4회 지방 선거|지방 선거]] | 33대 | [[지방 관청|군수]] | [[달성군|대구 달성군]] | 무소속 | 14,094 표 | 22.44 | 2위 | [[대한민국 제4회 지방 선거|낙선]] | 민선 4기 }}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5회 지방 선거|지방 선거]] | 34대 | [[지방 관청|군수]] | [[달성군|대구 달성군]] | 무소속 | 31,378 표 | 47.22 | 1위 | 당선_대구 | [[대한민국 제5회 지방 선거 대구광역시#기초자치단체장|초선]], 민선 5기 }}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6회 지방 선거|지방 선거]] | 35대 | [[지방 관청|군수]] | [[달성군|대구 달성군]] | 새누리당 | 무투표 | 0 | 단독출마 | 당선_대구 | [[대한민국 제6회 지방 선거 대구광역시#기초자치단체장|재선]], 민선 6기 }}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7회 지방 선거|지방 선거]] | 36대 | [[지방 관청|군수]] | [[달성군|대구 달성군]] | 무소속 | 64,474 표 | 58.0 | 1위 | 당선_대구 | [[대한민국 제7회 지방 선거 대구광역시#기초자치단체장|3선]], 민선 7기 }}
         |직책 = [[달성군|대구광역시 달성군수]](민선)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문화방송의 직원]][[분류:대한민국의 기초지방자치단체장]][[분류:자유한국당의 정치인]][[분류:경상중학교 동문]][[분류:경북대학교 동문]][[분류: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동문]][[분류:대구화원초등학교 동문]][[분류:달성군 출신 인물]]
  • 박경호 (1949년) . . . . 15회 일치
         | 직책 = [[대구광역시]] [[달성군|달성군수]]
         |출생지 = [[경상북도]] [[달성군]] 화원면
         '''박경호'''(朴慶鎬, [[1949년]] [[12월 1일]] [[달성군]] [[화원읍]] ~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전직 대구 달성군수이며 현재는 [[새누리당]](옛 한나라당) 대구시당 대외협력위원장직을 맡고 있다.
         * 한국자유총연맹 달성군지부장
         * 1998.07.01 ~ 2006.06.30 : 제31~32대 대구 달성군수 (2선,[[한나라당]])
         |[[대한민국 제2회 지방 선거|제2회 지방 선거]]||[[달성군|대구광역시 달성군수]]||31대 (민선 2기)||[[한나라당]]||{{막대|한|4|6|3|1}} 46.31%||23,685표||1위||[[파일:대구당선.png|25px|대구광역시 달성군수 당선]]
         |[[대한민국 제3회 지방 선거|제3회 지방 선거]]||[[달성군|대구광역시 달성군수]]||32대 (민선 3기)||[[한나라당]]||{{막대|한|7|6|8|3}} 76.83%||41,039표||1위||[[파일:대구당선.png|25px|대구광역시 달성군수 당선]]
         |직책 = [[달성군|대구광역시 달성군수]]
  • 양시영 (1944년) . . . . 15회 일치
         | 직책 = [[대구광역시]] [[달성군|달성군수]]
         '''양시영'''(楊始榮, [[1944년]] [[1월 2일]](음.[[1943년]] [[12월 7일]]) ~ ,[[대구광역시|대구]] [[달성군|달성]])은 전직 지방자치공무원이면서,전직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달성군수이다.
         * 달성군청 도시과장(1991년 ~ 1995년)
         * 제30대 달성군수(1995년 7월 ~ 1998년 6월,[[무소속]] → [[자유민주연합]]
         |[[대한민국 제1회 지방 선거|제1회 지방 선거]]||[[달성군|대구광역시 달성군수]]||30대 (민선 1기)||[[무소속]]||{{막대|무|5|1|7}} 51.7%||23,345표||1위||[[파일:대구당선.png|25px|대구광역시 달성군수 당선]]
         |[[대한민국 제2회 지방 선거|제2회 지방 선거]]||[[달성군|대구광역시 달성군수]]||31대 (민선 2기)||[[자유민주연합]]||{{막대|자민|4|3|5}} 43.5%||21,371표||2위||낙선
         |[[대한민국 제4회 지방 선거|제4회 지방 선거]]||[[달성군|대구광역시 달성군수]]||33대 (민선 4기)||[[무소속]]||{{막대|무|1|3|1}} 13.1%||8,233표||3위||낙선
         |직책 = [[달성군|대구광역시 달성군수]]
  • 추경호 . . . . 11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달성군]]
         |거주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달성군]]
         |지역구 = [[달성군의 국회의원|대구 달성군]]
         * 2016년 5월 ~ 2020년 5월: 제20대 국회의원 (대구 달성군)
         * 2018년 12월 ~ : 자유한국당 대구시당 달성군 당협위원장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20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 | [[대구 달성군의 국회의원|대구 달성군]] | 새누리당 | 40,355 표 | 48.8 | 1위 | 당선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대구광역시#달성군|초선]] }}
         |직책 = [[달성군의 국회의원|국회의원(대구 달성군)]]
  • 구성재 . . . . 7회 일치
         1960년 [[경상북도]] 달성군 다사면 세천리(현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세천리)에서 태어났다. [[경기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미국]] [[시카고 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공천]]에서 탈락하자 [[무소속]]으로 대구광역시 [[달성군(선거구)|달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새누리당 [[이종진]]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공천]]에서 탈락하자 [[무소속]]으로 대구광역시 [[달성군(선거구)|달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새누리당 [[추경호]]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달성군 출신 인물]][[분류:기자]][[분류:1960년 출생]]
  • 구자춘 . . . . 6회 일치
         1932년 5월 11일 [[경상북도]] [[달성군]] 다사면 세천리(현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세천리)에서 태어났다.
         1987년 [[김종필]]이 [[신민주공화당]]을 창당하자 입당하였다. 이듬해인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달성군]]-[[고령군]] 지역구에 [[신민주공화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신민주공화당이 [[3당 합당]]으로 [[민주자유당]]으로 통합되고 나서,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달성군]]-[[고령군]] 지역구에 [[민주자유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대 총선]], [[20대 총선]]에서 달성군 지역구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던 [[구성재]]는 구자춘의 아들이다.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달성군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대한민국의 장관]][[분류:대한민국의 자치단체장]]
  • 박준규(1925) . . . . 6회 일치
         [[1925년]] 9월 12일 [[경상북도]] 달성군 하빈면 묘동(현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묘리)에서 출생하였다[* 일명 '묘골마을' 이라하는 순천박씨 집성촌. 현재 묘골에 있는 [[박팽년]] 등 [[사육신]]을 모신 육신사 앞에 그의 생가터임을 알리는 표지석이 세워져있다.]. [[경북고등학교|경북중학교]] 및 구제 마쓰야마[[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구마모토 [[의과대학]] 재학 중에 [[8.15 광복]]을 맞아 [[경성제국대학]] 의학부로 편입하였으나, 동 대학 법문학부 정치학과로 전과하였고 이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경상북도 [[달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조재천]]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1955년)|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당]] [[김성곤]]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1963년)|민주공화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성동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5년부터 1969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외무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민주공화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러나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성동구 병 선거구에 출마하였다가 [[신민당(1967년)|신민당]] [[정운갑]]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그 해 [[10.2 항명 파동]]으로 [[중앙정보부]]에서 [[고문]]당한 [[김성곤]]이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직을 사퇴하여 치러진 경상북도 달성군-[[고령군]] 선거구 재보궐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경상북도 달성군-고령군-[[경산시|경산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친여 무소속 [[박주현(1923)|박주현]]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1979년까지 민주공화당 정책위의장을 역임하였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신민당 [[김종기]]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79년 민주공화당 당의장에 임명되었다.
         [[분류:대한민국 국회의장]][[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달성군 출신 인물]]
  • 김성곤 . . . . 5회 일치
         ||<#796E65> {{{#white 출생}}} ||[[1913년]] [[8월 15일]], [[대구광역시]] [[달성군]]||
         1913년 지금의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태어났다.
         [[8.15 광복]] 직후 [[조선건국준비위원회]] 경북지부에서 활동하였으며, [[1946년]], 미군정의 친일경찰의 횡포에 의해 일어난 [[대구 10.1 사건]]에서 친구 [[박상희]],황태성과 같이 주요 역할로 활동하였다. 이후 사업가로 활동하다 1958년 달성군에서 [[자유당]]소속으로 제4대 민의원에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했다.
         1973년 [[대한상공회의소]] 제8대 회장에 취임하였고 1974년 대한양회를 인수, 한국신문연구소 회장에 취임하는 등 활동을 재개했다. 그러나 1975년 [[고려대학교]] 교우회장 자격으로 졸업식 축사를 준비하던 중 갑자기 쓰러져 타계했다. 국민훈장 무궁화장이 추서되었으며, 그의 묘는 원래 가족장으로 [[국민대학교]] 뒷산에 안장되었다가 1984년 [[강원도]] [[평창군]]에 이장되었고, 2014년 고향인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으로 재이장되었다.
         [[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달성군 출신 인물]] [[분류:1913년 출생]] [[분류:1975년 사망]]
  • 박두을 . . . . 4회 일치
         |출생지 = 대한제국 [[경상북도]] [[달성군]] [[하빈면]]<br/>(現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박두을은 [[1907년]] [[11월 8일]]에 [[대구광역시|대구]] [[달성군]]에서 사육신 [[박팽년]]의 후손인 아버지 박기동의 4녀로 태어났다. [[박팽년]]의 후손답게 선비였던 아버지 박씨와 '교동댁'으로 불렸던 어머니 손에서 박두을은 엄격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얼굴이 예쁘고 인심이 좋아 평소 '두리'라는 애칭으로 불렸다고 한다. 15세 되던 무렵 어느 날 절에서 시주를 나온 한 스님으로부터 "처녀는 앞으로 왕비가 아니면 일국의 왕 못지않은 갑부가 될 사람을 만나 그 안방마님이 되겠소."라는 말을 하였다. 이 일화가 사실이라면 스님의 예견이 적중한 셈이다. 이후 박두을은 [[1926년]] 20세에 [[이병철]]과 결혼하였다.
         {{인용문|아버지 집안이 [[의령군|의령]] 일대에서는 부자라고 했지만 굳이 비교해보자면 당시 [[달성군|달성]]에 있었던 외가 쪽이 더 부농이었던 것 같다. 어린 시절, 어머니로부터 "시집이라고 왔더니 집도 좁고 그렇게 가난해 보일수가 없었다."는 말을 자주 들었다. 집안 어른들에 따르면 친가 쪽도 물론 3000석 지기에 가까울 정도의 부를 지닌 집안이었고 서원을 세울 정도의 성리학자셨지만 외가 쪽 지체가 워낙 높아서 '한쪽으로 기우는 혼사'였다는 말들이 있었다. 실제 어머니는 시집 올 적에도 몸종을 비롯하여 몇 명의 하인을 데리고 왔다고 한다.}}
  • 청도군 . . . . 4회 일치
         [[경상북도]]의 최남단에 있는 군이다. 인구는 약 4만 3천명 정도. 인접한 자치단체로는 [[경상북도]] [[경산시]], [[경주시]], [[영천시]], [[대구광역시]] [[달성군]][* 정확한 위치는 [[가창면]]], [[울산광역시]] [[울주군]], [[경상남도]] [[밀양시]], [[창녕군]] 등이 있다.
         남북과 동서의 교통 인프라가 크게 차이나는 기이한 곳이다. 그럴 수밖에 없는게 분지 지형이긴 하지만 동서쪽으로 지형이 남북 지형보다 험한 편이다. 남북으로는 [[경부선]], [[대구부산고속도로]], [[25번 국도]]가 [[밀양시]]ㆍ[[경산시]]로 향하지만 동서로는 [[20번 국도]]가 [[경주시]]ㆍ[[창녕군]](그것도 2차로로 좁은 데다 선형도 좋지 않다)으로 향하며 [[30번 지방도]]가 이서면에서 [[달성군]] [[가창면]] 삼산리[* 팔조령 터널을 넘어간다.], 902번 지방도가 각북면에서 [[가창면]] 정대리[* 그것도 구배가 심하고 구불구불한 헐티재를 넘어가야 한다.]로 향한다. [[창녕군]]으로 가려면 그나마 낫지만, [[달성군]]([[현풍면]] 방면)으로 가려면 [[창녕군]] 성산면을 거쳐 [[유가면]] 쪽으로 들어가야 한다. 풍각면에서 20번 국도를 타고 좁고 구불구불한 비티재를 넘어 고암면 방리에서 1034번 지방도를 타고 성산면을 거쳐 등지교차로에서 5번 국도를 타고 가야 한다. 이래저래 골 때린다. 더 난감한 것은 청도에서 [[달성군]]([[현풍시외버스터미널]])으로 가는 대중교통편이 전무하다. 청도군 또한 산이 만만찮게 많은 고장이니 결과적으로 이런 식이긴 하지만 수요에서부터 벌써 넘사벽이다. 게다가 청도군은 동서로 긴 지형이고 산서(풍각, 각북, 각남)과 산동(매전, 운문, 금천)으로 나뉘는데 중심지인 청도읍과 화양읍이 산서와 한 분지에 속하고 산동과는 산이 가로막은 형세라 같은 행정구역이면서도 산동으로의 교통연결은 사실상 2차선 [[20번 국도]] 뿐이다. 그마저도 선형이 좋지 않아 돌아서 가는 편. 언제부턴가 4차선+선형개선 공사중이다.
  • 곽승준 . . . . 3회 일치
         1960년 [[경상북도]] [[달성군]](현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태어났다. 서울[[한성고등학교]],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미국]] [[밴더빌트 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석사]] 및 [[박사]] 과정을 졸업하였다.
         [[분류:경제학자]][[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방송인]][[분류:달성군 출신 인물]][[분류:1960년 출생]]
  • 김성곤 (1913년) . . . . 3회 일치
         |출생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김해김씨 김성곤은 [[1913년]] [[7월 14일]]에 현재의 [[대구광역시|대구]] [[달성군]]에서 태어났다.
         [[1967년]] 김성곤은 [[길재호]], [[백남억]], [[김진만]]과 함께 [[민주공화당]] 내의 핵심인물이 된다. 그 이후 [[1971년]]에 치러진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었다. 그리고 [[1971년]] [[10월 2일]]에 야당과 동조하여 [[박정희]] 대통령의 명령을 어기고 [[오치성]] 내무부장관 해임 건의안을 통과시켰는데 이를 [[10.2 항명 파동]]이라 한다. 그 이후 김성곤은 [[10.2 항명 파동]]의 주동인물로 지목받아 경위조사를 받고, 정계를 은퇴하게 된다. 그 뒤 [[1973년]]에는 [[대한상공회의소]] 제8대 회장을 지냈으며, [[1974년]]에는 대한양회 인수, 한국신문연구소 회장 취임을 했다. 그 뒤 [[1975년]] [[2월 25일]] 사망하였으며 가족장으로 [[국민대학교]] 뒷산에 안장되었다가 [[1984년]] 강원도 평창에 이장되었고, 2014년 고향인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으로 재이장되었다. [[국민훈장]] 무궁화장이 추서되었다.
  • 김우식 (1886년) . . . . 3회 일치
         * [[대한민국 제헌국회 총선|1948년 5월 10일]] : [[대한민국 제헌국회 총선 경상북도#달성군 (제4선거구)|제헌 국회의원(경북 달성)]]
         |직책 = [[대구 달성군의 국회의원|국회의원(달성군)]]
  • 소명(가수) . . . . 3회 일치
         |출생지 = {{KOR}}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br/> (現 {{KOR}}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분류:195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달성군 출신 인물]][[분류:1990년대 가수]][[분류:2000년대 가수]][[분류:2010년대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록 음악가]][[분류:1978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분류:대구고등학교 동문]][[분류:대전실업전문대학 동문]]
  • 김굉필 . . . . 2회 일치
         |거주지= [[한성부]] 정동, [[달성군]] [[현풍]], [[합천군]], 평안도 희천(유배지), 전라도 순천군 승평(유배지)
         한훤당 김굉필은 [[1454년]] [[한성부]] 정동에서 어모장군 행충좌위사직(禦侮將軍 行忠佐衛司直) 김유(金紐)와 한승순의 딸 청주한씨의 아들로 [[한성부]] [[정릉동]]에서 태어나, 집안을 따라 [[달성군]] [[현풍]]으로 이주, 그 곳에서 성장했다. 그리하여 일설에는 그의 고향을 [[대구광역시]]나 [[경상북도]]로 보기도 한다.
  • 김정우(1990) . . . . 2회 일치
         || '''출생''' ||<(> [[1990년]] [[5월 9일]] ([age(1990-05-09)]세). [[대구광역시]] [[달성군]] ||
         [[분류:1990년 출생]] [[분류:달성군 출신 인물]] [[분류:2010년 데뷔]]
  • 김진향 . . . . 2회 일치
         '''김진향'''([[대구광역시]] [[달성군]], [[1969년]] [[3월 25일]] ~ )은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전문가이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277&aid=0003684523 개성공단 4년 실무담당 김진향 교수 "우리 기업들만 죽이는 행위"]. 아시아경제. 2016년 2월 11일.</ref>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태어났다. 대학에서 정치외교학을 전공하였고, '한반도 통일에 관한 담론의 분석'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된 연구분야로는 북한 체제, 남북관계, 평화통일 등이다. 박사학위를 받은 후 대학에서 시간강사 생활을 하다가 [[세종연구소]]에 들어가 객원연구위원으로 일했다.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에서 제32대 통일부 장관 [[이종석 (정치인)|이종석]]을 만났다. [[노무현]]이 제16대 대통령에 당선되자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참여했고, 인수위원회에서 [[국가 안전 보장 회의]](NSC) 설계 작업을 했다. [[노무현 정부|참여정부]]에서 NSC 한반도 평화체계담당관으로 국정운영에 참여하여 남북 평화체계를 다루다가 통일외교안보정책실에서 더 폭넓게 남북관계를 담당했다. 이 과정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과 여러 번 교섭과 협상을 했다. 학자 입장에서 북한을 더 자세히 알기 위해 [[개성공업지구]] 근무를 자원했고 [[2008년]] 2월부터 4년간 [[개성]]에서 근무했다. 이 때 개성에서 발생하는 신청·세무·회계·세금·임금협상 등 북한과의 모든 협상을 담당하면서 거의 매일 북한 사람들과 부대끼고 토론하고 협상하는 경험을 했다.<ref>원희복.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3&aid=0000032094 (원희복의 인물탐구)카이스트 김진향 교수…종북을 각오하고 ‘북한’을 말하다]. 주간경향. 2016년 1월 16일.</ref>
  • 박주아(1942년) . . . . 2회 일치
         | 출생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분류:1942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2011년 죽음]][[분류:1962년 데뷔]][[분류:달성군 출신 인물]]
  • 방우정 (방송인) . . . . 2회 일치
         |출생지= [[경상북도]] [[달성군]] 유가면</br>(현.[[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 서명선 . . . . 2회 일치
          | 출생지 = [[조선]] [[경상도]] [[달성군]]
         [[서명응]](徐命膺)의 아우이기도 한 그는 [[경상도]] [[달성군]]에서 출생하였고 [[한성부]]에서 성장하였으며 [[조선 영조|영조]] 때인 [[1753년]]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1763년]] 증광문과에 을과 급제하였다. 이후 겸사서, 부교리, 교리, 지평, 수찬, 헌납 등을 거쳐 부교리, 사간, 응교 등을 지냈다.
  • 정성왕후 . . . . 2회 일치
         |별칭 = 달성군부인, 왕세제빈
         1692년 음력 12월 7일 술시에 가회방 사제에서 태어났다. [[1704년]](숙종 30년), 연잉군(延仍君, 훗날의 영조)과 길례를 행하고 달성군부인(達城郡夫人)으로 봉해졌다.
  • 정재민(2001) . . . . 2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달성군]]
         [[분류:200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분류:달성군 출신 인물]]
  • 김태희 . . . . 1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달성군]] <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8&aid=0003295599 '이기적인 유전자' 김태희-이완, 훈훈한 부부의 매력분석], 머니투데이, 2016년 4월 9일 확인</ref>
  • 대구광역시 . . . . 1회 일치
         [[달성군]]''' || 達城郡 ||95,141 || 248,890 || 426.68
  • 박순석 . . . . 1회 일치
         [[8.15 광복]] 이후 [[달성군]]-[[대구광역시|대구시]] 농회 기수, 대구시 시정회장 등으로 활동하였다.
  • 박진주 . . . . 1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면 (비슬로)
  • 박창달 . . . . 1회 일치
         [[박근혜]] 대통령을 1998년 대구 달성군 지역구로 이끌어 정계 진출을 성공시킨 주역이다.
  • 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달성군 출신 인물]]
  • 서거정 . . . . 1회 일치
         [[1456년]](세조 2) 문과중시에 급제, 이듬해 문신정시에 장원했다. 후에 공조참의(工曹參議)가 되어 [[1460년]] 사은사로 명나라에 가서 그 곳 학자들과 문장과 시(詩)를 논하여 해동(海東)의 기재(奇才)라는 찬탄을 받았다. 귀국 후 대사헌이 되고 [[1464년]] 조선 최초로 양관 [[대제학]](兩館大提學 : [[홍문관]]과 [[예문관]]의 대제학을 겸함)이 되었으며 [[1466년]] 발영시에 또 장원, 이후 [[공조판서]], [[형조판서]], [[병조판서]], [[예조판서]], [[호조판서]], [[이조판서]] 등 6조(曹)의 판서를 두루 지내고 [[우참찬]], [[좌참찬]], [[우찬성]] 등을 두루 거쳐서 [[1470년]](성종 1) 좌찬성(左贊成)에 올라 이듬해 좌리공신(佐理功臣) 3등으로 달성군(達城郡)에 봉해졌다.
  • 송상진 . . . . 1회 일치
         * [[1928년]] [[10월 30일]] [[경상북도]] [[달성군]] [[공산동|공산면]] 백악리(현재 대구시 동구 백암동) 출생.
  • 아이린(레드벨벳) . . . . 1회 일치
          * [[SM엔터테인먼트|같은 소속사]] 선배인 [[소녀시대]]의 [[서현(소녀시대)|서현]]과 성을 제외한 본명도 같고 나이도 같다. 서현이 아이린보다 7년차 선배여서 소녀시대 팔방미인 4화에서 태연의 주도 하에 서로 "야"라고 부르기로 해 서현은 "야"라고 불렀으나, 아이린은 침묵했다. --서현 : 네. 저 나빠요.-- 그래도 "친구야"라고 부르는 건 성공했다. --하지만 다시 어색해졌다.-- [[http://www.vlive.tv/video/1406|#]][* 8분쯤부터 보면 됨] 2015년 [[MBC 가요대제전]]에서 서현과 악수하고 끝나고 나서 함께 가는 모습이 포착되었으며 친해진 것으로 보인다. 같은 소속사의 남자 선배인 [[샤이니]]의 [[민호]], [[Key(샤이니)|Key]]와도 1991년생 동갑이다. 특히 Key와는 [[대구광역시|동향]]이다. Key는 [[수성구]] 출신이고[* 다만, Key는 출신 학교를 보면 알겠지만 [[동구(대구)|동구]]에서 자랐다.(초등학교가 [[APRIL]] [[예나(APRIL)|예나]]와 같은 곳이다)] 아이린은 [[북구(대구)|북구]] 출신이다.[* 그래서인지 [[백종원의 3대 천왕]] '대구 맛골목 5'편(2017년 2월 11일 방송)에 키와 함께 게스트로 출연하기도 했다.] --공통점은 둘 다 1학군[* 중구, 북구, 동구, 수성구, 달성군 가창면]이라는 것--
  • 이경희 (1880년) . . . . 1회 일치
         지오 이경희는 [[1880년]](고종 17년) [[6월 11일]] [[경상북도]] [[달성군]] [[공산면]] 무태리(현, [[대구광역시]] [[북구 (대구광역시)|북구]] 서변동)에서 아버지 이병두(李柄斗) 어머니 경주 최씨의 아들로 태어났다. 동생 [[이강희 (독립운동가)|이강희]] 역시 독립운동가였다. 본관은 [[인천 이씨|인천]]으로, [[조선의 개국공신]]이며 [[증직|증]][[영의정]](贈領議政)에 [[추증]]된 공도공(恭度公) [[이문화|오천 이문화]](烏川 李文和)의 19대손이며, [[조선]]중기의 [[성리학]]자이자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인 [[이주 (임란 의병장)|태암 이주]](苔巖 李李輈)의 11대손이다.
  • 이상백 (1904년) . . . . 1회 일치
         장례식은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한국사회학회, 진단학회, 대한체육회, 대한올림픽위원회 등 5개 단체가 주관한 연합장으로 주관되어 [[경상북도]] [[달성군]] 화원면(현 [[대구광역시]] 남구 화원동) 가족 묘역에 안장되었다. 묘비는 사후 1년 뒤인 [[1967년]] 그의 1주기에 세워졌는데, 묘비문은 국문학자 [[이희승]](李熙昇)이 짓고, 글씨는 이기우(李基雨)가 썼다.
  • 이소선 . . . . 1회 일치
         * 1929년 11월 9일(양력 12월 30일) 경북 달성군 성서면 감천리에서 태어남.
  • 이신학 . . . . 1회 일치
         '''이신학'''(李新學, [[1944년]] [[9월 25일]] ~ ,[[대구광역시|대구]] [[달성군|달성]])은 전직 지방자치공무원이면서 전직 기업인이자, 전직 대구광역시 남구청장이다. [[종교]]는 [[천주교]]이며, [[세례명]]은 요한이다.
  • 이열희 (1924년) . . . . 1회 일치
         만년에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잠원동에 살다가 [[2012년]] [[8월 9일]] 새벽 4시 [[경기도]] [[고양시]] [[일산구]] [[대화동]]의 장성 건영아파트 304동 304호 자택에서 사망했다. 빈소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구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장례식장 5호에 마련됐으며 발인은 지난 11일 진행됐다. 장지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 산9번지에 안장되었다.<ref name="pisots">[http://www.kda.or.kr/kda/modules/kdaNews/news/NewsView2.aspx?NewsID=75541 이열희 경북치대 명예교수 별세] 치의신보 제2058호(2012년 08월호)</ref>
  • 추미애 . . . . 1회 일치
         1958년 [[경상북도]] [[달성군]](지금의 [[대구광역시]])에서 세탁소를 운영하는 부모 밑에서 2남 2녀 중 셋째이자 [[차녀]]로 태어났다. 대구남산초등학교, 구남여자중학교, [[경북여자고등학교]], [[한양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1982년 제24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였다.
11830의 페이지중에 39개가 발견되었습니다 (500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