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단양군"에 대한 역링크 찾기

단양군의 역링크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김명국(배우)
         [[분류:한국 남배우]][[분류:1963년 출생]][[분류:1983년 데뷔]][[분류:1대 100 역대 1인]][[분류:단양군 출신 인물]]
         ||<#d6d6d6> {{{#black '''출생지'''}}} ||<(><#ffffff> [[충청북도]] [[단양군]] ||
  • 김영준(1941)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한국당]] 후보로 충청북도 충주시-중원군-[[제천시]]-제원군-[[단양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정의당]] [[이해원(1930)|이해원]]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당선 직후 민주한국당 당직개편에서 인권옹호위원회 부위원장에 임명되었다. 1982년 민주한국당 충청북도지부장에 임명되었다. 1983년 민주한국당 부총무에 임명되었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민주당]] 후보로 충청북도 제천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정의당 이춘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에 충청북도 제천군-단양군 선거구로 [[공천]]을 신청하였으나 현역 국회의원 안영기에 밀려 탈락하였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충청북도 제천시-단양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현역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인 [[신한국당]] [[송광호]]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당선 직후 신한국당에 입당하였다.
  • 배제기
         | 출생지 = [[충청북도]] [[단양군]]
         [[분류:1986년 태어남]][[분류:단양군 출신]][[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동국대학교 돔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
  • 서갑숙
         ||'''출생'''||[[1961년]] [[7월 16일]], [[충청북도]] [[단양군]] 단양읍 (삼봉로)||
         ||'''학력'''||농협(단양군지부)||
         [[분류:한국 여배우]] [[분류:단양군 출신 인물]] [[분류:1961년 출생]] [[분류:1982년 데뷔]] [[분류:누드집]]
  • 영주시
         [[경상북도]] 북부에 위치한 [[시(행정구역)|시]]. 인구는 2016년에 들어 10만 9천여 명으로 계속 인구가 줄고 있다.[* 1995년경에는 인구가 약 15만명이었다. 이때부터 따져도 매년 거의 2천명 꼴로 인구가 줄어든 셈. 그런데 2018년 현재 약 16만인 안동시 인구도 그 당시에는 거의 20만명에 달했다. ~~그때가 좋았지~~] 시의 동부에 [[봉화군]], 남부에 [[안동시]], 서부에 [[예천군]]이 있으며 북부는 죽령을 경계로 [[충청북도]] [[단양군]], 마구령을 경계로 [[강원도]] [[영월군]]과 맞닿아 있다.[* 영월군으로는 육로로 직결이 안 되어있어서 단양군 영춘면을 통과해야 한다.]
         [[동남방언]] 중에서도 안동, 봉화, 예천 등 경북 북부지방 방언권에 속한다. 그러나 그나마 평야가 많은 안동, 예천 등과 달리 산악에 걸터앉은 지형인지라 영주-봉화 사투리는 안동과도 미묘하게 다르다. 때문에 경상북도에서도 사투리가 조금 이질적으로 들릴 수 있는 곳이다. 사실 제주도를 제외한 육지 지역에서는 사투리가 가장 심한 지역 중 하나인데, 서울에서 가장 먼 부산보다 그나마 수도권과 가까운 영주의 사투리가 더 알아듣기 어려운 이유는 강원도 남부지방과 충청북도 동부([[제천시]], [[단양군]]) 이들 지역의 사투리가 조금씩 섞여있기 때문. [[부산]]을 비롯한 경남 해안가 사람들은 북한이라고 하면서 어설프다고 놀리기도 한다. 가끔 수도권 사람들이 사투리 별로 안 쓴다고 하기도 한다. 다음은 영주 사투리의 예문이다.
  • 예천군
         [[경상북도]] 북서부에 있는 군. 인구는 5만여 명. 동쪽 [[안동시]], 북동쪽 [[영주시]], 서쪽 [[문경시]],남서쪽 [[상주시]], 남동쪽 [[의성군]], 북쪽 [[충청북도]] [[단양군]]이 있다.
  • 윤영삼 (1983년)
         | 출생지 = [[충청북도]] [[단양군]]
         [[분류:198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분류:단양군 출신]][[분류:2000년 데뷔]]
  • 이종근(1923)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이해원(1930)|이해원]]과 민주공화당 복수공천을 받아 충청북도 충주시-중원군-[[제천시|제천군]]-[[단양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둘 다 당선되었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단수공천을 받아 같은 지역구에 출마하여 [[신민당(1967년)|신민당]] [[이택희]]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79년 대한민국 국회 교통체신위원장이 되었다.
  • 이택희(정치인)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1971년의 [[제7대 대통령 선거]]와 관련된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기소되어 출마하지 못하였다. 이후 [[김영삼]] [[총재]] 체제 때는 비주류에 속하였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신민당 후보로 충청북도 충주시-중원군-[[제천시|제천군]]-[[단양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공화당(1963년)|민주공화당]] [[이종근(1923)|이종근]]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민주당]] 후보로 충청북도 충주시-중원군-제천시-제원군-단양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정의당]] 이춘구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같은 해 신한민주당 정책위의장에 임명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김대중]]-[[김영삼]]에 반기를 들고 [[이철승]], [[이택돈]] 등과 [[이민우 구상]]을 지지하였다. 그리고 [[김용남(1950)|김용남]](용팔이) 등 [[정치깡패]]를 동원하여 [[통일민주당]] 창당을 방해하였다.
  • 이황
          | 직책 = 조선국 충청도 단양군 군수<br/>(朝鮮國 忠淸道 丹陽郡 郡守)
         [[1548년]](명종 3) [[1월]] [[충청북도|충청도]] [[단양군|단양]][[군수]]로 부임하여 기녀 두향을 만났다. 얼마 되지 않아 형 [[이해 (1496년)|이해]](李瀣)가 충청도 관찰사로 발령받자, 상피제(相避制)에 따라 경상도 풍기군수로 옮겼다. 풍기군수 시절에 서원들을 지원하였으며, [[소수서원]] 사액을 실현시켰다. 지방관으로 활동하면서 [[향약]]과 주자가례의 장려와 보급에 치중하였고, 퇴청 후에는 문하생을 교육하여 [[성리학]]자들을 양성했다.
         그에게는 소실로 [[두향]]이라는 기생이 있었다. [[1548년]](명종 3) [[1월]] 단양군수로 부임한 후 만난 기생 [[두향]]은 이후 그가 떠나간 뒤에도 그에 대한 절개를 지켰다.
  • 임하룡
         || '''출생''' ||<(> [[1952년]] [[10월 31일]] ([age(1952-10-31)]세), [[충청북도]] [[단양군]] ||
         [[대한민국]]의 [[코미디언]]이자 [[영화]][[배우]]. 1952년 [[충청북도]] [[단양군]] 출신이며 이북 출신도 아닌데 실향민이다. 어린 시절 살던 마을이 [[충주댐]] 공사로 수몰되었기 때문.
         [[분류:한국 남성 코미디언]][[분류:1952년 출생]][[분류:1981년 데뷔]][[분류:단양군 출신 인물]][[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역대 출연자]][[분류:1대 100 역대 1인]][[분류:KBS 연예대상 수상자]][[분류:한국 남배우]]
11830의 페이지중에 11개가 발견되었습니다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