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단병호

r1.3과 현재 버전의 차이점

@@ -1,40 +1 @@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 [[분류:사회운동가]] [[분류:정의당 소속]] [[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분류:1949년 출생]][[분류:민주노동당 출신]]
* 상위 항목 : [[정치인/목록]]
 
|||| http://imgnews.naver.net/image/006/2012/12/28/106884_106042_5846_59_20121228164703.JPG ||
|| 이름 || 단병호 (段炳浩) ||
|| 출생 || 1949년 7월 13일 ~ ||
|| 직업 || [[정치인]], 노동운동가 ||
|| 정당 || [[정의당|{{{#FFA400 '''정의당'''}}}]] ||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 노동운동가이다.
 
== 초기 생애 ==
1949년 7월 13일,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태어나 2살 때 아버지를 병으로 여의고 홀어머니 아래에서 성장했다.
 
그는 노동운동가가 되기 전에는 스스로 보수적인 사람이었다고 생각했다. [[동지고등학교|동지상업고등학교]][* 참고로 제 17대 [[대통령]] [[이명박]]이 졸업한 고등학교다.]를 중퇴한 후, 부모님과 함께 농사일을 하다가 1980년에 상경했다.
 
== 노동운동가 시절 ==
[[20대]]시절의 단병호는 [[민주공화당(1963년)|민주공화당]]의 청년 당원이었으며, 더 놀라운 사실은 [[박정희]] 전 대통령을 존경해 왔었다는 사실이다. 거기에다가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이 한창 일어날 당시에는 "광주 사람들 다 때려 죽여야 한다"고 말했다고(...)... 그러나 [[전두환]]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이 취임한 후 어린 시절의 친구로부터 진상을 전해 듣고 나서 조금씩 생각이 바뀌었다고 한다. 다만 이는 [[유시민]], [[이재명(1964)|이재명]], [[임종석]], [[장기표]]도 마찬가지라고 한다.
 
1982년 동아건설에 입사했으며, [[1986년]] 연말 상여금 문제로 인해 처음으로 [[파업]]에 참여하게 되었다. 당시 그는 공장 주임이었는데 파업을 말리기는커녕 파업에 동조했다는 이유로 사측의 퇴사 요구를 받았다. 1987년 7월에는 이러한 문제 인식을 발전시켜 [[노동조합]]을 결성하였다.
 
이후 민주노조 운동이 가속화되면서 그는 1988년 지역업종 노동조합 전국회의 의장을 거쳐 <서울지역노동조합협의회>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1990년]]에는 전국노동조합협의회(전노협) 위원장이 되어 보안사령부의 민간인 사찰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또한 전노협 결성 당시 한 번, 위원장직 수행 당시 2번 구속되기도 하였다.
 
그는 국군보안사령부의 사찰 대상 중 한 사람이 되어 [[노태우]] [[정부]]로부터 감시당하기도 하였다. 전노협 위원장을 역임하던 [[1995년]]에는 아직 불법 상태였던 [[민주노총]]의 부위원장을 지냈고, 1996년에는 <전국민주금속노동조합연맹 위원장>, [[1998년]]에는 <전국민주금속노동조합연맹>의 위원장을 지냈다.
 
[[1998년]]에는 [[1997년]]의 민주노동 총 파업을 주도한 혐의 등으로 구속되었다가 [[1999년]] [[광복절]] 특사로 집행이 정지되어 출소했다. 같은 해 [[8월 29일]]에 ([[1999년]] 2월 합법화된) 민주노총 제3기 위원장에 당선되어 [[2001년]]까지 활동하다가, [[2001년]] 8월에 다시 수감되어 [[2002년]] 2월 징역 5년형이 구형되었다. 그 때 [[서울지방검찰청]]에서 그를 구속한 인물이 '''[[황교안]]''' 당시 공안2부장 [[검사(법조인)|검사]]였다.
== 정치 활동 ==
이후 민주노총 활동 및 [[민주노동당]] 지지 활동을 하다가, [[2004년]] 총선에서 [[민주노동당]]의 비례대표 국회의원이 되었다. 그러나 [[종북주의]] 파동 이후 민주노동당이 노동자 정치 세력화에 실패했다고 발언하면서, [[2008년]] [[3월 20일]]에 탈당하고 정계를 떠났다. 비슷한 시기에 탈당한 [[노회찬]]과 [[심상정]]과 달리 [[진보신당]]에는 입당하지 않고 노동자 대안 교육 센터 설립을 준비하는 등 정치와는 거리를 두며 활동하고 있다.
 
이후 제20대 총선에서 [[정의당]]의 선거대책위원회 고문단으로 위촉되었다.
 
== 여담 ==
노동운동에서는 1990년 전노협 창립때부터 지도부를 형성했던 [[문성현]], [[심상정]]과 묶여서 소위 '''문/단/심 트리오'''로 유명했으며 이들은 민주노총 창립과 1996년 총파업때까지 전투적 노동운동을 주도하였다. 이 세명은 2000년 이후 민주노동당에 입당해서, 진보정치인으로 변신했으나 노선 차이로 뿔뿔히 흩어졌다. 문성현은 자주파(NL계)의 지원으로 당대표가 되었으나, 결국 얼굴마담에 그치면서 영향력을 상실했다. 심상정과 단병호는 NL계의 종북성을 비판하면서, 함께 탈당했으나 정치권에 남은 심상정과 달리, 단병호는 노동운동으로 복귀하였다.
 
재미있는 사실은 딸 단정려가 2006년 제48회 사법시헙 합격, 사법연수원 38기로 수료하고 [[검사(법조인)|검사]]로 처음 발령받은 곳이 창원지방검찰청이었는데, 당시 창원지검의 [[검사(법조인)|검사]]장이 [[황교안]]이었다는 것. 게다가 아버지 단병호가 노동운동에 투신해 온 사람인데, 창원 역시 노사분규 관련 사건이 많은 곳이라는 점도 우연이다. 딸은 '구속과 수배를 반복하는 아버지가 뭘 그리 잘못한 것인지 내가 공부해서 알아보겠다'며 사법시험 공부에 뛰어들었다고 한다.
 
그 당시 보안사 사찰대상이라 함은 살인범보다도 못한 수준으로 법에 의한 인권유린이 판치던 대상이었다. 물론 시대가 바뀌어서 사면까지 되었지만 그 망령이 지금도 유지되는 것은 명백한 국가의 병크다. 그런데도 그의 딸이 검사가 된 것을 보면 [[연좌제]] 폐지의 살아있는 물증이라 봐도 좋겠다.
[[분류:삭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