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노"에 대한 역링크 찾기

노의 역링크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흥인군
         매천 [[황현]]은 그가 [[물고기]] [[어]](魚)와 [[나라]] [[]](魯)자를 제대로 구별하지도 못한다며 그의 자질을 의심했지만, 그는 [[조선 헌종|헌종]] 때의 [[동지정사]]로 [[청나라]]에 다녀오기도 했고, 고종 때는 종종 [[과거 시험]]의 주시관으로 과거를 주관하기도 하여 논란의 여지가 있다.
         [[1866년]] [[3월]] [[경복궁 중건]] 과정에서 화재가 발생, 전각과 재목이 소실되자 [[흥선대원군]]은 대하여 흥인군과 [[이경하]]를 투옥, 처형하려고 했으나 중신들의 만류로 그만두었다. 당시 마감용 목재에 기름칠을 하는 창고에서 불이 나 800여 칸에 쌓아 둔 목재가 모두 타버려 공사가 중단될 처지에 놓였다. 공사를 시작한지 1년 만의 일이었다.<ref name="ysys165">윤효정, 《대한제국아 망해라: 백성들의 눈으로 쓴 살아 있는 망국사》 (다산초당, 2010) 165페이지</ref> [[흥선대원군]]은 공사 책임자인 [[이경하]]와 흥인군을 불러 면전에서 크게 질책하며 극형에 처하도록 했으나 여러 조정 대신들의 간언으로 원상 복구의 책임만 지게 되었다.<ref name="ysys165"/>
         이때 난병이 흥인군 저택 을 포위하자 이최응은 담장을 넘으려다 떨어져 고환이 터져 결국 사망한다.<ref>용필, 《개화기 서울사람들:우리 역사속의 사람들 2》 (어진이, 2004) 97 페이지</ref> 6월 9일 [[임오군란]]이 발생하자 그는 밤새 잠을 못 자고, 6월 10일 새벽에 겨우 잠이 들었다. 그러나 집 밖에서 별안간 떠들썩하는 바람에 급히 일어나 뒷담을 뛰어 넘으려 하였다.<ref name="yiyi">이현희, 《한국의 역사 16권. 개혁·개방과 외세의 침투》(청아출판사, 2014)</ref> 담에서 떨어진 그는 고환이 터져 신음하다가 난병의 창에 찔렸다.<ref name="yiyi"/> 그는 대원군의 형으로써 민씨 일파를 도와주었다고 하여 대원군이 일으킨 난병에게 무참하게 참살당하였다.<ref name="yiyi"/> [[황현]]은 [[매천야록]]에서 그가 난병을 피해 도망쳐 담을 넘다가 고환이 터져 죽었다 하였고, 이는 [[유주현]]의 [[대원군]] 등의 작품에 인용되었다.
         흥인군은 자신이 원했던 대로 뇌물이 날마다 창고에 들어와 쌓이는 것을 보며 마치 나라를 위해 땅을 개척한 업적을 이룬 것처럼 흥에 겨워 벌어진 입을 다물지 못했다. 그는 매일 아침 일찍 일어나 지팡이를 짚고 뜰에 있는 제1창고 문 앞에 가서는 청지기에게 자물쇠를 열게 하고, 잔심부름하는 상 아이에게 곳간 문을 열라고 한 다음, 그곳에 가득 쌓인 물건들을 보녀서 턱이 빠지는 줄도 모르고 넋 나간 사람처럼 허허 웃어 댔다.<ref name="ysys41">윤효정, 《대한제국아 망해라: 백성들의 눈으로 쓴 살아 있는 망국사》 (다산초당, 2010) 41페이지</ref>
11830의 페이지중에 1개가 발견되었습니다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