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남의 집은 남의 집 우리 집은 우리 집"을(를) 전체 찾아보기

남의 집은 남의 집 우리 집은 우리 집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토탈워: 쇼군 2/건물 . . . . 51회 일치
          * 동시에 모 가능한 병력: 1
          * 신규 모 수용량 +1
          * 신규 모 수용량 +2
          * 해당 지역에서 모되는 야리 아시가루, 유미 아시가루, 뎃포 아시가루의 기본 숙련도가 1등급이 됨.
          * 신규 모 수용량 +3
          * 해당 지역에서 모되는 야리 아시가루, 유미 아시가루, 뎃포 아시가루의 기본 숙련도가 2등급이 됨.
          * 신규 모 수용량 +5
          * 해당 지역에서 모되는 야리 아시가루, 유미 아시가루, 뎃포 아시가루의 기본 숙련도가 3등급이 됨.
          * 해당 지역에서 키쇼닌자를 모할 수 있게 됨
          * 해당 지역에서 야리 사무라이를 모할 수 있게 됨
          * 해당 지역에서 나기나타 사무라이를 모할 수 있게 됨
          * 해당 지역에서 모되는 야리 사무라이, 나기나타 사무라이의 모 기간이 1턴이 됨.
          * 해당 지역에서 경기병을 모할 수 있게 됨
          * 해당 지역에서 야리 기병, 야부사메 기병, 카타나 기병을 모할 수 있게 됨 - '''추가적인 건물이 필요함'''
          * 해당 지역에서 모되는 경기병의 기본 숙련도가 1등급이 됨.
          * 해당 지역에서 친위대를 모할 수 있게 됨 - '''추가적인 건물이 필요함'''
          * 해당 지역에서 모되는 경기병, 야리 기병, 야부사메 기병, 카타나 기병의 기본 숙련도가 2등급이 됨.
          * 해당 지역에서 모되는 경기병, 야리 기병, 야부사메 기병, 카타나 기병 모 기간이 1턴이 됨.
          * 해당 지역에서 카타나 사무라이를 모할 수 있게됨
          * 해당 지역에서 노다치 사무라이를 모할 수 있게됨
  • 어쌔신 크리드 III/임무일람/주요임무 . . . . 47회 일치
         데스몬드가 눈을 떴을 때에는 애니머스에 들어있었다. 동료들이 쓰러진 데스몬드를 애니머스에 어넣은 것. 데스몬드는 열쇠를 찾기위해 조상의 기억을 탐색한다.
          * 잡화점에 가는 도중 벤자민 프랭클린을 만난다. 도감의 페이지를 잃어버린 프랭클린은 헤이덤에게 잃어버린 도감 페이지를 찾아 줄것을 부탁한다. 이 이벤트 이후로 편지 배달과 도감 페이지 수을 할 수 있다.
         이후 다시 용병단이 쳐들어온다. 용병단을 막아내며 목적지까지 전진하자. 위에서 머스킷을 쏘는 녀석은 총기로만 잡을 수 있으니 주의. 용병단을 모두 처리하고 나면 히키가 임금을 두배로 받아야겠다면서 투덜거린다.
         존슨의 계산과 지도가 잘 안 맞아떨어진다. 모호크의 도움을 받을까도 했는데 걔네들에게 해준것도 없는데 도와달라고 할 수도 없는 상황. 이때 히키가 방법을 생각해낸다. 노예상으로부터 원주민을 구출하면 도움을 받을지도 모른다는 것. 벤자민 처치라는 사람이 노예상이 어디있는지 알고 있을 것이라는 찰스 리의 주장에 따라 헤이덤과 찰스 리는 처치의 을 찾아간다.
         처치의 을 찾아간 두 사람. 처치의 에는 아무도 없었다. 난장판이 된 과 핏자국만이 있었을 뿐. 헤이덤은 구석에 걸려있던 처치의 초상화를 잘라내 몽타주를 만들고는 처치의 행방을 찾아 나선다. 찰스 리가 초상화 쪼가리를 가지고 삽질하고 있을 때 높은 곳에 올라가야 뭔가 잡을 수 있겠다고 생각한 헤이덤. 헤이덤은 뉴 사우스 웨일스 예배당(New South Wales Meeting House)에 올라가 주변을 둘러보고는 예배당 주변 사람들의 대화를 도청한다.
         이후 헤이덤 일행은 마차를 뒤어 수송대를 가로막은 후에 기습, 수송대의 옷과 마차를 빼앗는다. 헤이덤은 자신을 풀어달라는 원주민 여인에게 사우스게이트 요새에 도착하면 풀어주겠다고 말하고는 수송대인 척 사우스게이트 요새로 마차를 몬다. 헤이덤의 일행이 길을 수송대를 검문하려는 영국군을 암살하는 동안, 헤이덤은 수송대 마차를 몰며 옆에 묶여있는 여인에게 말을 건다. 여인은 대답하지 않는다.
         >브래독: 아니! 우리가 검을 더 자유롭게, 더 자주 썼다면 세상이 더 나아졌을걸세!
         >"자네는 템플기사단원일세. 이해의 아버지께서 우리를 인도하시기를."
         >"이해의 아버지께서 우리를 인도하시기를."
         시간이 지난 후, 누군가가 라둔하게둔을 어 던진다. 윌리엄 존슨과 템플기사단원들이었다. 벤자민 처치가 총을 겨누자 라둔하게둔은 도망가지만, 찰스 리가 다리를 걸어 쓰러뜨린다. 라둔하게둔은 찰스 리의 얼굴에 침을 뱉으며 저항하지만 역부족이었다. 라둔하게둔이 영어를 할 수 있다는걸 안 찰스 리는 그의 목을 조르며 자신들의 요구사항[* 원주민을 멸시하는 말로 범벅이 되어 있어 알아보기 힘들지만 템플기사단이 찾는 것을 내놓으라는 내용.]을 부족에 전하라고 하고는 풀어준다. 풀려난 라둔하게둔은 찰스 리에게 이름을 묻는다. 찰스 리가 이름을 알려주면서 묻는 이유를 물으니 "그래야 찾을 수 있으니까"라고. 찰스 리는 "기대하겠다"며 존슨을 시켜 라둔하게둔을 기절시킨다.
         라둔하게둔이 정신을 차린 때는 어둑어둑해진 무렵이었다. 개머리판에 맞은 머리를 감싸쥐며 마을로 돌아가는 라둔하게둔이 본 건 불타는 마을이었다. 라둔하게둔은 어머니인 카니에티오를 찾아 에 들어가지만 카니에티오는 무너진 건물 잔해에 깔린 상황. 라둔하게둔은 자신을 놓고 가라는 카니에티오의 말을 무시하고 그녀를 구하려고 했지만, 무거운 건물 잔해를 들어낼 수는 없었다. 결국 라둔하게둔만이 다른 마을 사람에 의해 구조되고, 카니에티오는 불타는 안에서 생을 마감한다.
         둘은 깃털 먼저 찾기로 한다. 라둔하게둔은 새을 찾기 위해 카니에티오를 데리고 나무 위로 올라간다. 둘은 나무 위에서 보이는 광경에 감탄하지만 라둔하게둔은 일년 내에 백명이 넘는 사람이 정착할 거라며,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몇년 전 같은 일이 다시 일어날 거라는 반응을 보인다.
         괜찮은 독수리 둥지를 찾아내지만 계곡 너머에 있는 상황. 계곡 밖으로 나가면 안된다는 카나도곤의 말에 라둔하게둔은 땅에만 닿지 않으면 된다고 하며 나뭇가지를 타고 계곡을 건넌다. 계곡을 건너는 중간에 카나도곤이 발을 헛디뎌 계곡에 빠지는 일이 있었지만 라둔하게둔이 구해준다. 라둔하게둔은 암벽을 기어 올라가 둥지에서 깃털을 지만, 이후 독수리의 습격에 의해 덤불로 떨어진다.
          * 깃털을 세개 더 수
         한곳에 모인 마을 사람들. 부족 어머니가 라둔하게둔을 으로 부른다. 부족 어머니는 왜 숲을 떠나거나 다른 카니엔케하카[* 모호크 사람들이 모호크를 부르는 명칭.]처럼 전쟁에 참가하지 않는지 궁금해하는 라둔하게둔에게 이유를 말해준다. 마을은 성스러운 땅에 위치해 있었고, 그 땅의 존재를 숨기는게 마을의 의무였다. 라둔하게둔이 그게 그렇게 중요한 일이냐고 묻자 부족 어머니는 나무 상자에서 수정구를 꺼내 라둔하게둔에게 건낸다.
         라둔하게둔은 6개월간 훈련을 받았다. 달리기, 벽타기, 전투, 떨어지기, 언어학, 철학, 논리학, 암살단과 성당기사단의 정보 등등. 그러던 어느날, 아킬레스는 공사를 하기로 마음먹고 라둔하게둔과 함께 보스턴에 간다.
         어떤 에 도착한 코너와 아킬레스. 술에 쩔은 주인은 무례하게 굴지만 아킬레스의 "그 물건을 복구할 생각이다"라는 말에 태도가 달라진다. 아킬레스가 말한 그 물건이라는건 앞 바다에 버려저있던 배인 아퀼라. 아퀼라는 지금은 그냥 폐선이지만 한때는 "북해의 유령"이라고 불리던 대서양에서 제일 빠른 배였고, 주인인 로버트 폴크너는 그 배의 선장이었다. 현재는 목재가 부족해 아퀼라를 수리할 수 없는 상황. 코너가 목재를 모아오고, 폴크너가 선원을 모아오기로 한 후 헤어진다.
         코너가 윌리엄 존슨을 찾는다는걸 알게 된 애덤스는 코너를 도와줄 수 있는 사람들에게 데려가려 한다. 길을 가는 도중 애덤스가 "드디어 사람들이 불의에 맞서는걸 보니 기쁘군"이라는 말을 하자 코너는 "노예를 가진 사람이 하는 말이라곤"이라며 애덤스를 까버린다. 애덤스는 자신이 데리고 있는 서리는 노예가 아니라 자유인라고 주장한다. 이렇게 둘은 식민지인의 노예제에 대한 갑을론박을 하던 도중 세금 징수원이 왕당파 병사들을 대동하고 세금 징수를 거부하는 을 공격하는 장면을 목격한다. 마침 식민지인의 권리 문제가 더 심각하니 그것부터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하던 애덤스는 증거가 충분할 정도로 늘어났다는 대사를 치지만 코너는 애덤스에게 먼저 가라고 하고는 주인의 편을 들어 병사들을 공격한다. 병사들을 처리하고 난 후, 코너는 주인에게 괜찮냐고 물어보지만 주인은 한두번 있는 일도 아니라고하고 감사를 표한 후 가버린다.
         약속장소인 몰리뉴 여관에 도착한 코너, 애덤스는 코너에게 몰리뉴 여관의 주인인 윌리엄 몰리뉴와 경영자 겸 주방장인 스테판 샤페우를 소개시켜준다. 스테판 샤페우는 아까 전에 코너와 함께 싸웠던 주인이었다. 대화가 격해지던 중, 코너는 이들의 대화를 통해 윌리엄 존슨이 차를 밀수해 땅을 살 돈을 벌고 있다는걸 알아낸다. 애덤스와 샤페우는 부두에 있는 차를 파기하고, 밀수꾼들의 배달을 막으라는 지시를 내린다.
         코너는 구 남부 예배당(Old South Meeting House) 앞에서 샤페우, 몰리뉴와 만난다. 신호를 기다리고 있다는 몰리뉴에게 코너가 대체 무슨 신호냐고 물은 순간. 애덤스가 "이 모임으로는 더이상 나라를 구할 수 없소"라고 선언하며 예배당에서 나와버린다. 코너가 끌려다니기 싫다며 뭘 할건지 물어보자 애덤스는 나다니엘 브래들리의 에서 사람을 모은 후 그리핀 부두로 가서 배에 있는 차를 모두 내다버릴것이라고 한다. 그러고는 이것은 잉글랜드에 메세지를 보내는 동시에 존슨의 재정에 손상을 줘 코너의 마을을 지키는 일이라며, 코너한테 선두에 서보라고 권유한다.
  • 트로피코 4/건물 . . . . 44회 일치
         시민들이 사는 시설. 임대료를 받아 재정에 보탤 수 있다. 시민들은 주거 환경이 높은 을 좋아한다.
         만약 시민들을 수용할 주거 건물이 없거나, 임대료를 내지 못하게 된다면 시민들이 판잣을 만들어서 거기에 살기 시작한다. 판잣집은 임대료도 못 뜯어내고 단점만 있는 건물들이니 제대로 된 을 지어주는게 좋다. 공산주의자들 투덜거리는 것도 짜증나고.
         오두막은 그래도 판잣보단 낫긴 합니다. 오두막은 유지비가 들지 않지만 임대료도 받을 수 없습니다.||
         ||음침하고 누추하며 사람들로 발디딜 틈 없는 건물입니다. 청소년 범죄자 양성의 완벽한 온상이라고 할 수 있겠군요. 공동주택에 거주한다고 딱히 행복해하는 시민들도 없고 관광객들의 항의도 빗발치지만, 그래도 판잣보다는 낫지 않겠습니까!||
         ||외양으로 보나 주거 환경으로 보나 완전 헛간이나 다름 없습니다. 싼 값에 빠른 속도로 건설할 수 있으며 판자보다는 나으나, 결코 엄연한 주거지라고 하기엔 부족하지요.||
         ||매우 평범한 교외의 . 대부분의 시민들을 만족시켜주지만 주거 공간은 한정되어 있습니다.||
         ||부자들은 자랑을 좋아하지요. 그들이 자랑할만한 을 지어주시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돼지 우리와 먼지 구덩이, 그리고 사이의 차이가 모호해질 때가 종종 있곤 합니다. 보수 공사를 하지 않으면 그 차이는 더 좁아지기만 할 뿐이죠. 서민 아파트는 저 세 개의 생활상을 모두 수용할 수 있으며 보통 또 그렇기도 합니다.
          * 정기 검사: 건물 유지 비용이 4 만큼 증가하겠지만, 주거 환경의 감소 속도가 느려니다.
         ||"우리가 사랑하는 지도자가 자라났던 곳이라!" 이곳은 가장 총명하며 위대하신 지도자인 각하의 참된 이랍니다. 관광객들은 독재의 모든 것이 담긴 이곳을 즐겨 찾으며, 시민들은 이곳을 숭배와 성지 순례의 장소로서 이용합니다.||
          * 나의 소박한 삶: 우리 대통령 각하의 삶을 담은 전기 영화입니다. 3년간 모든 관광객들의 존경심이 10 상승합니다.
          * 추상 미술: F-큐브는 트로피코의 추상 미술의 완벽한 본보기입니다. 최대한 예방하러 노력은 하지만, 여전히 방문자들 가운데 몇명은 주지주의에 빠져버리는 군요. 서비스 질은 손님들이 얼마나 많이 혼란스러워 했는가에 따라 달라니다.
          * 친소정책: 소련과의 관계가 개선되지만 미국과의 관계가 나빠니다.
          * 친미정책: 미국과의 관계가 개선되지만 소련과의 관계가 나빠니다.
         이 건물이 있어야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헬기로 물을 뿌릴수도 있지만 5,000 딸라가 옆 멍멍이 이름은 아니잖는가. 소방관이 화재 지역으로 소방차를 타고 가서 진압하는 방식이니 교통에 신경쓰는게 좋다.
         ||반역자 놈들은 어찌 우리의 위대하신 지도자의 가르침에 의심을 품을 수가 있는건지! 문답무용입니다. 경계 초소를 몇 채 지어야 합니다. 그렇게 하신다면 놈들의 반란 도모도 억제할 수 있고, 군국주의자 진영의 호의도 얻을 수 있겠지요.||
         ||코쟁이들과 불곰 놈들은 트로피코를 경외하며 이 핵 무기 프로그램을 탐합니다. 국가의 안녕을 위해선 자력으로 핵무기를 보유하는 수밖엔 없지요. 뭔가 모순이 있는 말이라고 생각하실지 모르겠는데, 15킬로톤짜리 핵 미사일을 날릴 수 있는 건 적들뿐만이 아니라는 이 사실은, 우리가 발 뻗고 잘 수 있도록 해줍니다.
          * 래리의 교육방송: 지역내 노동자의 경험이 2배 빨라니다.
         ||과학 연구소는 단 한채만 존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각하는 다르지요. 이게 다 우리의 인간 복제 기술 덕택입니다. 이제 각하께선 시민들에게 연설을 하는 동시에 반란군들과 싸우실 수 있습니다! 만일 각하의 복제인간이 불상사를 당하게 된다 하더라도 그냥 한 명 더 만들면 되는 일입니다.||
          * 연구비 조달: 우리의 과학자들은 다른 사람들로부터 돈을 뜯는 데에 도가 텄습니다. 모든 설계도의 비용이 점차 감소하여 최대 50% 까지 삭감될 수 있습니다.
  • 창작:좀비탈출/5-1-1-1 . . . . 32회 일치
         || 이웃에 넘어가 본다. ||
         "니가 토트넘한테 뭘 '''선물'''했는지 잊었어? 도로 가져와. 그런다고 뭐라고 할 것 같냐? 가서 어와. '''유일한 무기'''잖아."
         그럼 나는 지금 탄피를 주으러 가는 건가? 이웃 마당에 내려서며 중얼거렸다. 마당은 우리보다는 어수선했고 누군가의 손을 탄 흔적이 곳곳에서 보였다. 예상대로 이곳도 대문이 열려있다. 이 모양이니 온동네에 도둑이 들끓었지. 부족한 방범의식 덕에 녀석들의 식사시간이 더 편리해졌겠군.
         이제 다른 목표도 달성할 차례다. 나는 담벼락 밑에 쌓여있던 것들을 적당히 치우려 했다. 일을 하자면 어쩔 수 없이 벽을 바라봐야 하는데, 그러자면 등 뒤가 너무 허전했다. 담 하나 차이지만 여긴 우리 이 아니다. 아직 앞 마당 쪽에 무엇이 있는지 확인하지 못했단 말이다. 녀석들이 거기 모여서 티타임이라도 갖고 있다면 내가 부수럭대는 소리로 관심을 끌어 버릴지도 모르잖아?
         지금 와서 말이지만, 토트넘의 집은 우리하고 같이 지었다. 우리이 지어지던 시절만 해도 이런 단독주택이 유행이었고, 시공사에서는 '''같은 설계'''로 여러 번 지으면서 공정을 단축했다고 한다. 그런 이야기는 아버지가 해준 건데 한 귀로 흘려보낸 줄 알았던 것이 갑자기 되살아났다. 뭐 아주 모르는 에 들어온 건 아니라는 위안거리일까?
         물론 토트넘의 집은 우리처럼 대대적인 공사를 거치지 않았다. 그래서 담벼락은 적당히 넘기 좋을 정도로 낮았고 쇠창살도 달려있지 않다. 마당의 구조도 약간 다른데 뒷마당 쪽에 대문이 있고 앞마당으로는 차고가 있다. 아니, 오히려 이쪽이 뒷문이고 차고쪽 문이 대문이려나? 아무튼 우리 에 비해서 약간은 옵션이 더 있는 셈이다. 그래서 그런지 우리보다는 이쪽이 항상 조금 더 비쌌다.
         '''다이너스티'''. 옛날에 현대에서 내놨다는 고급형 차량이다. 토트넘이 이 차를 아끼는 것은 우리 아버지가 창밖의 풍경을 아끼는 것 만큼이나 각별했다. 내가 알기로 이건 90년대 말에 나온 골동품인데 이걸 아직까지도 좋아서 끌고 다니는 사람은 토트넘 뿐이다. 내가 아직 동네에서 살던 시절엔 어쩌다 마주치면 곧 차 얘기로 넘어가고 차얘기는 곧 다이너스티에 대한 예찬으로 끝이 났는데 아직도 그 레퍼토리를 기억하고 있다.
         "이 차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리무진 모델이 있어. 그랜저도 체어맨도 그런 라인업은 없는 거여. 그러니 이 다이너스티야 말로 우리나라에서 생산한 최초이자 최후의 고급 차종이었던 거제."
         다시 얘기로 돌아와서, 앞마당도 조용하기는 마찬가지다. 일단 눈으로 보기엔 녀석들은 없다. 귀에 정신을 중해도 녀석들 특유의 그르렁대는 소리도, 절규하는 듯이 짖는 소리도 나지 않는다. 냄새를 맡아보려고도 했는데, 어차피 바깥에는 녀석들의 냄새가 언제나 떠돌고 있다. 아무리 희미해도 말이다.
         어쨌든 이정도면 작업을 할만하다. 뒷마당으로 돌아가서 담벼락 밑을 적당히 치우고 그리운 나의 으로 돌아가면 될 일이다. 생각보다 일이 간단하게 풀린걸 보면 역시 행운의 골프채가 가호를 내려준 것이다. 얏호!
         서울을 떠난다는 앤딩은 더 웃기다. 녀석들도 오지 않을 법한 곳이 대체 어딘데? 내가 서울에서 벗어난 적이라곤 수학여행 때 뿐이다. 내가 상상할 수 있는 서울 바깥이란건 논하고 밭이 한도 끝도 없이 이어지다가 대전 쯤이나 돼야 초가이 몇 채 나오는 수준이다. 그런 내가 서울을 떠나 어디로 가겠는가? 고속도로 휴게소? 가서 우동이라도 한 그릇 할까?
         단 한 발 앞에, 망상에서 현실을 끄어낼 열쇠가 존재한다. 토트넘은 열쇠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토트넘은 아끼는 차키를 어디에 흘리고 다니진 않았을 것이다. 설사 죽어서도 걷는 몸이 되었다 해도. 그러니 키는 안에 있을 거라고 생각하는건 아주아주아주 설득력이 있고 이성적인 결론이다.
          * [[창작:좀비탈출/5-1-1-1-1|안을 수색한다.]]
          * [[창작:좀비탈출/5-1-1-1-2|우리으로 돌아간다.]]
  • 요괴:냉장고 . . . . 26회 일치
         커다란 [[장롱]] 모양을 한 요괴. 언듯 보기에는 평범한 장롱으로 보이지만, 문을 열어보면 안이 매우 시원하고 차가워 요괴의 일종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안에서 주로 나타나지만, 밖에서 볼 수 있는 때도 있다. 냉장고가 우글우글 모여있는 곳도 있다.
         문을 열면 그 뱃속이 차가워서 얼음을 만들거나 먹을 것을 오래 보존할 수 있다. 언듯 편리하게 여겨져서 좋은 요괴라고 여기지만, [[요괴:선풍기|선풍기]]처럼 친근하게 다가갔다가 마각을 드러내는 무서운 요괴이다. 주로 냉기로 사람을 유혹해서 안에 들여놓게 하지만 그 의 전기를 한없이 퍼먹어 주인에게 재액을 끼치는 흉흉한 요괴이다. 여름철 이상하게 많이 나오는 전기세의 원인이 이 요괴이며 주인은 영문도 모른채 쓸데없이 [[요괴:에어컨|에어컨]]만 탓하게 한다. 아종으로 [[요괴:김치냉장고|김치냉장고]]가 있다.
          밖에서, 길거리에서 만나는 냉장고는 배 안이 차갑지 않다. 하지만 이 역시 숨바꼭질을 하다가 혼자가 된 아이를 덮처서 먹어버리는 경우가 있어, 얼른 멀리 쫓아서 퇴치해야 한다.
         그때 엄마가 제일 신경 썼던 부분은, 지금도 왜 그렇게 된 건진 모르겠지만 냉장고랑 내가 단 둘이 있는 거였어요. 내가 충분히 자라고 나서는 엄마의 잔소리도 사라지거나 정말로 전기세 때문에 하는 얘기였죠. 그게 대략 중학교 입학 이후였고, 그 다음에는 제 동생한테로 넘어갔어요. 걔는 좀 둔한 애니까 말하는 대로 믿는 것 같아요. 하기야 동생은 언제나 착하고 말 잘 듣는 애니까요. 엄마는 나한테 뭐라는지 아세요? "우리집은 누나가 동생을 닮아야 돼"라니까요?
         그래도 냉장고에 관해서는 엄마 잔소리가 옳았어요. 그러니까, 엄마는 꼭 그런 이유였다고는 지금도 그때도 인정한 적이 없어요. 엄마도 좀 미신 같은걸 잘 믿는 편이거든요. 왜 그런 사람들 있잖아요? 돈벼락 맞는 꿈 얘기를 딴 사람한테 하면 행운이 날아가 버린다고 믿는 사람들. 횡재하는 꿈은 아니지만 우리한테 하는 그 잔소리의 진짜 이유를 밝혀 버리면 액땜이 날아가 버린다고 생각하는 거죠. 그러니까 지금 내가 엄마의 잔소리... 아니 경고와 그 사건이 연관된 거라고 생각하는건 순전히 추측이에요. 아주 신빙성 높은 추측.
         얘기를 좀 바꿔야겠는데, 나는 첫남친이 초등학교 5학년 때 생겼어요. 이거 우리 아빠한테는 말하지 마세요. 엠바고에요 엠바고. 내가 그렇게 빠른 것도 아니었어요. 남친이래 봐야 둘이서 자전거타고 공원까지 갔다 돌아오는 사이 정도였죠. 사실 친구들 사이에서 유행하니까 만든 거지 그 이상 관심은 없었어요. 오히려 진지하게 나온건 그쪽이었죠. 점심시간에 부르더니 그러더군요. "오늘 우리 에 엄마아빠 없어"라고요.
         제가 혹을 달고 나타날 줄은 몰랐을 거예요. 저도 그애가 그런 드라마틱한 표정을 짓는 줄 몰랐고요. 내색하지 않으려고 필사적이었지만 삐진 티가 역력했죠. 제 동생도 그정도는 알 수 있었어요. "저 형 삐졌어?"하고 계속 물어보는게 얼마나 짜증나던지. 하지만 그 쫑알거리는 입도 그 애네 햄스터한테 정신이 팔리면서 막혔죠. 정신없이 들여다 보는 꼴이 에 가서 대판 조르게 생겼더라고요. 그 틈에 그 애는 옆에 슬쩍 오더니 이러는 거에요.
         "우리 부모님도 외출하시는데 내가 동생 좀 보라고 하셔서..."
         다시 퉁하는 소리가 들렸어요. 냉장고 문이 닫히는 소리였겠죠. 그대로 두면 에 갈 때까지 물 한 잔 못 마셨을 거에요.
         대답은 없었어요. 인기척도 없었죠. 안이 갑자기 텅 빈 것처럼 느껴졌어요. 그리고 느낌만이 아닐 거란 이상한 확신이 생기더군요. 동생은 여전히 햄스터에 빠져 있었어요. 나는 의식을 주방 쪽으로 중했죠... 거기서는 아무 것도, 아무런 소리도 들리지 않았어요. 그곳에서만 온기가 쏙 빠져나가고 액자 속으로 박제되어 버린 것 같았죠.
         나는 이상한 예감을 느끼면서 방 밖을 쳐다봤어요. 달라질 만한건 당연히 없었죠. 우리는 줄곧 그 애 방에 있었으니까. 그런데도 찜찜한 이물감 같은게 공기 속을 날아 다니고 있었어요. 방에서 나와봤죠. 마찬가지였어요. 거실이 보이고, 그 옆에는 주방이... 그런데 거기에 있어야 할 사람이 보이지 않았죠. 평소라면 화장실에 갔을 거라고 생각할 수 있었을 거에요. 그 애는 장이 약했으니까. 그런데 하필이면, 거기서 그 냉장고가 딱 마주 보이더군요. 그때 이미 양문으로 벌어지는 커다란 냉장고가 유행하고 있었어요. 우리 도 그런걸 썼죠. 그런데 그 애 의 냉장고는 위 아래로 열리는 탱크처럼 생겼었어요. 꽃무늬도 없고 와인 컬러도 안 들어간 회색 물탱크처럼 냉장고.
         냉장고 손잡이로 향하는 내 손이 독한 감기약에 취한 것만큼이나 비현실적이었어요. 그리고 현실을 비어 넣는 싸늘한 플라스틱의 감촉. 머릿 속에서 안 된다고 되뇌이는데도 손은 멈추지 않았어요. 텅하고 열리는 문짝이 아주 서서히, 서서히. 그러는 사이에도 콩콩콩콩 규칙적인 네 박자는 멈출 줄을 몰랐죠. 냉장고 안에 주황색 등이 켜지고 나는 냉장고 안이 보이도록 문을 활짝 열어젖혔죠. 그리고...
         경찰이 우리 에 온 건 딱 한 번이에요. 아파트 엘리베이터 나랑 내 동생이 찍혔더라고요. 그때 두세 살만 많았어도 용의자로 분류될 뻔 했다는걸 생각하면 지금도 간담이 서늘해요. 경찰이 특이한 점은 없었냐고 묻길래 초대 받아 갔다가 동생을 데리고 왔다고 화내서 그냥 에 왔다고 했죠. 약간 생략한 부분이 있을 뿐 대체로 진실이었으니까요.
  • 창작:좀비탈출/5-1-1-1-1 . . . . 25회 일치
         || 안을 수색한다. ||
         그러니까 나는 좀비로 가득한 동네에서 유일할지 모르는 생존자로서 안에만 갖혀 있다가 오늘 하루만에 옆 주인을 죽이고 그 차를 훔치려고 녀석들이 득실 거릴지도 모르는 안으로 들어가 보는 거야. '''정말 완벽하군!'''
         토트넘의 집은 채광이 좋지 않다. 우리 아버지가 사랑하던 풍경이 그에게는 달갑지 않았던거 같다. 이 의 거실 유리창은 훨씬 작고 불투명한 유리로 되어 있다. 그걸로 부족했는지 블라인드까지 쳐져 있다. 그래서 실내는 다소 어둡다. 그래도 대략적으로 살펴보는 데는 지장이 없다.
         예상했듯이 안의 구조는 우리 과 별 차이가 없다. 좁은 현관은 거실 겸 응접실로 이어지고 그 뒤에 주방이 있다. 거실과 구분되는 벽 같은 건 없으므로 한 눈에 주방까지 확인이 가능하다. 나는 토트넘이 꽤 이른 시기에 당했을 거라고 짐작했다. 안에서 생활감이 느껴지지 않는다. 거실 쪽이 어수선하게 떨어진 물건들이 많은 데 비해 주방 쪽은 깨끗하다. 사용감을 느낄 만한 흔적이 없다. 그야 녀석들은 주방을 쓸 줄 모를 테니까. 반대로 토트넘이 오래 버텼다면 주방에 흔적이 많이 남았을 것이다.
         그리고 뭐가 허연게 굴러다니는데, 자세히 보니 두루말이 휴지였다. 개가 장난친 것처럼 엉망이다. 여성잡지는 별다른 흥미를 못 끌었는지 거의 그대로 떨어져 있었다. 이건 귀중하군. 인터넷도 못하는 채로 한 달이 넘게 있었기 때문에…… 좋은 그림이 많다. 가능하면 어가고 싶다. 하지만 지금 당장 챙겨야할 물건은 아니다. 만약의 경우 손에 속옷 사진을 들고 죽고 싶지는 않다. 하물며 속옷 사진을 든 채 걸어다니는 시체가 되기는 더더욱 싫다.
         내가 그렇게 말한 것은 눈에 보이는 범주에 한정한다는 의미를 생략한 것이다. 그런데도 나는 섣불리 안으로 발을 들여놓았다. 그저 보기만 한다는 당초 계획은 쉽게 무시됐다.
         다시 이 장롱을 누가 넘어뜨린 건지, 이 녀석이 깔린건 어떻게 된 건지 궁금해진다. 간단히 생각할 수 있는건 생존자가 안으로 들어왔다가 녀석과 마주치고, 저항하는 과정에서 이렇게 해놨으리라 추측할 수 있다. 그럼 다시 자그마한 의문이 생기는데……
         "옆 아줌마가 안 보이더라. 큰에서 제사 지내고 나서 '''몸살'''이 났대. 벌써 '''한 달 넘게''' 보질 못했어. 그런 몸살도 있나?"
         그리고 토트넘이, 그때는 아직 쌩쌩한 옆 아저씨인 그가 열심히 약국을 드나들면서 '''약을 지어다 먹인다'''는 얘기도 함께였다.
         자 보자. 좀비 아포칼립스가 일어나기 바로 얼마 전에 옆 아줌마는 수상한 병으로 한 달이나 모습을 보이지 않았고 그 아저씨만 수상한 약을 지어다 먹이고 있었다. 그로부터 몇 달 뒤에 사단이 일어나고 우연히 옆의 생존자가 탐색하러 왔는데…… 죽은지 오래된 녀석의 하반신이 덩그러니 있다.
         밉살맞은 이성의 목소리에 더 중해야 한다.
         '''어 넣었을까?'''
          * [[창작:좀비탈출/5-1-1-1-1-2|우리으로 돌아간다.]]
  • 창작:좀비탈출/요새편 . . . . 25회 일치
         '''딱 한 번만 외출'''하겠다는 계획은 폐기다. 앞으로 나는 '''자주 외출할 것이다'''. 이건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도 있다. 첫째, 생각보다 독 안에 있는 식량이 많다. 지금 가방으로는 몇 번 왕복해야 할지 모르겠다. 둘째, 안에는 이 많은 식량을 저장할 방법이 없다. 냉장고를 살릴 수만 있으면 모를까. 알다시피 빌어먹을 전기는 끊겼다. 셋째, 이렇게 말하기는 정말 싫은데, 말하는 나도 제정신인 것 같지 않은데, '''바깥은 생각보단 안전하다.'''
         바깥 상황은 내 예상보다 훨씬 낙관적이다. 무엇보다 행운은 이 이 건재하다는 것. 담도 대문도 제기능을 다하고 있다. 깊게 생각하고 한 일은 아니지만 대문을 닫아버려서 정말 다행이다. 이제 이웃 쪽의 담벼락만 대비하면 녀석들이 마당으로 들어오는 경우는 급격히 줄어들 것이다. 아니, '''거의 불가능'''해진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겠지.
         당장 생각나는건 '''이 을 보수'''하는 일이다. 이제와서 이 을 펜트하우스처럼 만들진 못하겠지만 안전하게 돌아다닐 수 있고 다소는 자급자족도 가능하며 녀석들에 대해서는 잊은 것처럼 살 수 있는 공간으로는 만들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믿어야 한다. 좀비 월드에서 기획된 렛 美 하우스.
         그리고 선결해야 할 문제가 있다. 그 담벼락. 이웃하고 같이 쓰는 그 담벼락을 어떻게 한다. 물론 그정도 담이라도 보통 녀석들은 넘지 못할 것이다. 하지만 나는 눈 앞에서 토트넘이 담을 넘어오는걸 봤다. 토트넘도 못 넘을 담으로 만들지 않고서는 안전할 거라고 생각할 방법이 없다.
         다시 차분하게 정리해 보면 당장 찾아볼만한 곳이라곤 이 안. 그리고 더 있다고 해봐야……
         "'''옆'''…… 인가?"
         토트넘의 집은 우리 을 지을 때 같이 지은 이라 들었다. 들어가본 적은 없지만 겉에서 보기에는 우리하고 큰 차이가 없어 보인다. 물론 우리 에는 없는 차고가 있다는 점은 다르지만.
         이제 그 의 고정게스트는 죽어서 우리 뒷마당에 있다. 그럼 다른 다른 보다는 상주하는 녀석들이 적다고 볼 수 있고 비교적 안전하다는 얘기가 아닐까?
         …… 속편한 소리다. 나는 이 재앙이 내리기 전에도 이후에도 저 에 가본 적이 없다. 설사 안전하다고 해도 그 에 내가 필요로하는 자재가 있을 거라고 어떻게 확신한단 말인가? 턱도 없는 소리다.
         그러나 한편으론…… 나는 이미 한 번 외출을 하면서 안에서 쓸만한건 다 찾아봤다. 그러니까 몇 번을 더 뒤져본들 더 적합한게 있을 거라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안전하다는 이유로 자원이 고갈된 섬에서 죽치고 있을 수도 없는 일이고.
          * [[창작:좀비탈출/요새편/1-1|안을 찾아 보자.]]
          * [[창작:좀비탈출/요새편/1-2|옆 에 가보자.]]
  • 어쌔신 크리드 III/임무일람 . . . . 19회 일치
         고프리의 아내인 캐서린이 지나가던 코너를 부른다. 도둑이 을 털려고 하고 있던 것. 코너는 도망치는 도둑을 쫓아가 처리한다.
         이 털리는 줄도 몰랐던 고프리와 테리는 코너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를 묻는다. 이후 두 사람은 네놈이 에 남아있어야 했네, 네놈 혼자 있는건 무사할 줄 아냐하며 다투다가 으로 돌아간다.
         코너는 한 여성이 팔에 부상을 입고 쓰러져있는걸 발견한다. 밀렵꾼들에게 숲에서 떠나라고 했다가 총에 맞은 것. 그녀를 대번포트 저택으로 부축하는 동안, 코너는 그녀의 이름이 미리엄이라는 것과 그녀가 없이 생활한다는 것을 알아낸다.
         워렌이 코너를 보자 달려와서 도움을 청해온다. 프루던스가 뭔가를 모으러 나가서 밤이 되어도 돌아오지 않는 것. 코너는 워렌, 그리고 개 한마리와 함께 프루던스를 찾아나선다. 프루던스를 찾으러 숲으로 가는 길에 워렌은 요즘 프루던스가 달맞이꽃에서 나는 기름에 착한다는 이야기를 한다.
         코너는 돼지들을 몰아 우리어넣는다.
         코너가 퀸센트를 두들겨 패 내쫓자, 여성은 자기 일은 자기가 해결할 수 있었으며, 퀸센트가 돌아오면 더 심하게 구타할 거라고 한다. 코너가 그런 남자 곁에 있는 이유를 물어보자 자신이 일군 과 직장을 버리고 떠나는 것보다 그자의 술주정이 낫다고 한다.
         엘렌이 전에 살던 에 비단을 두고 왔다. 엄청난 가치를 가진 비단이지만 에 돌아가기는 좀 그런 상황. 엘렌은 코너에게 비단을 찾아올 것을 부탁한다.
         엘렌이 전에 살던 에 갔을 때, 그녀의 퀸센트가 술에 취한 채로 엘렌과 그 딸을 찾고 있었다. 퀸센트가 코너를 보고 도망친 후, 코너는 비단이 원래 있던 상자를 조사한다. 그러고는 퀸센트가 비단을 내다 버렸다고 추리, 담장 너머에 버려져 있던 비단을 찾아낸다. 코너는 대번포트 농지로 돌아가 그 비단을 엘렌에게 돌려준다.
         코너는 농지 주민들이 모여있는걸 목격한다. 고프리는 퀸센트가 친구들을 데리고 와서 엘렌의 문을 두들기고 있다고 전한다. 코너는 주민들과 함께 달려가 엘렌의 퀸센트와 그 친구들을 두들겨 패버린다.
         >이곳이 큰 의미를 무언가가 되었다는걸 네가 알거라고 믿는다. 이 공동체는 이 국가가 되려는 곳이 어떻게 될 수 있는가의 예시가 된단다. 하지만 커지고 강해질수록, 부서지기 쉽고 지키기도 어렵게 되지. 이 어린 나라를 탄생시려키는 네 친구들이 이 진실을 깨달았으면 좋겠구나. 너의 변함없는 고과 정직함이 너에게 너무 큰 책임을 지게 했단다. 하지만 넌 해낼 수 있단다. 늙은이에게 모든걸 잃지 않았다는 희망을 줘서 고맙다. 물이 내려다 보이는 언덕 위에 묻어줬으면 좋겠구나. 세상 다른곳 보다 그곳에 묻히고 싶어.
         >(코너가 암살검을 어넣고 뒤돌아 간다)
         선교사 던컨 리틀은 갱단에 맞서기 위해서는 우리들도 뭉쳐야 한다고 주장한다. 여기에 코너와 리틀은 갱단과 맞서기 위해 부두로 향한다.
         영국군 징관이 끌려온 사람들을 세워놓고 "정규군에 온걸 환영한다"로 시작하는 환영인사를 하고있다. 클리퍼 윌킨슨은 징관이 젊은이들을 잡아와 배에 태워보내는 모든 일의 책임자라며 그를 끝장내야 한다고 주장한다. 코너는 윌킨슨에게 지붕 위에서 라이플로 엄호할 것을 요청한다.
         징관을 제거한 후, 코너는 자유를 위해 분투하는 암살단과 지배만을 원하는 템플기사단에 대해 알려준다. 윌킨슨은 자신은 자유를 원한다며 코너에게 라이플 잘 쏘는 사람이 필요하면 부르라고 한다.
  • 토탈워: 쇼군 2/가문 . . . . 19회 일치
          * 모든 궁병의 모 비용과 유지비가 감소
          * 뛰어난 궁병을 모할 수 있음
          * 카타나 사무라이의 모 비용과 유지비가 감소
          * 뛰어난 카타나 영웅을 모할 수 있음
          * 뛰어난 카타나 사무라이를 모할 수 있음
          * 공성 유닛의 모 비용과 유지비가 감소
          * 뛰어난 공성 유닛을 모할 수 있음
          * 모든 아시가루의 모 비용과 유지비가 감소
          * 노다치 사무라이의 모 비용과 유지비가 감소
          * 뛰어난 노다치 사무라이를 모할 수 있음
          * 모든 기병의 모 비용과 유지비가 감소
          * 뛰어난 기병을 모할 수 있음
          * 키쇼 닌자의 모 비용과 유지비 감소
          * 뛰어난 키쇼 닌자를 모할 수 있음
          * 승병의 모 비용과 유지비가 감소
          * 뛰어난 승병을 모할 수 있음
          * 약하지만 더 많고 높은 사기를 지닌 아시가루를 모할 수 있음
          * 화약 보병의 모 비용과 유지비가 감소
          * 수입제 철포 아시가루를 더 빨리 모할 수 있음
  • 마니교 . . . . 18회 일치
         마니는 저술에 능숙하여 생전에 7권의 서적을 쓰고, 이를 교리서로서 명확하게 제시했다. 문학 만이 아니라 시에도 재능이 있어 스스로 찬송가를 지었고, 회화에도 능숙하여 『아르다항』이라는 교리를 그림으로 나타낸 회화을 만들 정도로 다재다능한 인물이었다.
         [[교조]] 마니 하이이(216~277)가 활동했던 시기의 [[메소포타미아]] 지방은 여러 종교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었다. [[유대교]], [[기독교]] 계통의 종파, [[이탈리아]]에서 나온 [[피타고라스 교단]][* [[윤회전생]]을 주장했다.], 소아시아의 마르키온 교회, 이트의 발렌티누스 교단, [[이란]]계통의 조로아스터교나 미트라 숭배 등이 있었다.
         마니는 216년 4월 14일, 메소포타미아 남부의 마르딘 마을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파티크는 파르티아의 귀족이며, 어머니 마르얌은 파르티아의 왕족 캄사라간 가문의 출신이었다. 파티크는 마니가 태어나기 직전에 에르사카이 교단에 입신하는데, 이 교단은 [[유대교]] 계통의 신흥 종교로서, 신약 성서나 정통 기독교 사상과는 거리를 두었으며 [[율법]]에 중하는 금욕적인 교단이었다. 에르사카이 교단은 여성은 입신할 수 없었기 때문에 파티크는 임신한 마르얌을 버려두고 떠났다가 마니가 3,4세가 되자 아들만 데리고 교단으로 다시 돌아갔다.--뭐냐--
         마니는 어린 시절부터 교단에서 시리아 계 기독교 문헌을 많이 탐독한 것으로 추측된다. 마니가 신약 복음서를 인용한 발언을 보면 당시 시리아 교단에서 유행하던 통합 복음서 디아테사론(Diatessaron)[* 신약의 4대 공관복음서를 종합-요약한 서적. 아시리아 기독교인 타티아누스가 편했다. 시리아에서 널리 읽혀졌으며 시리아의 일부 교회에서는 5세기에 금지될 때까지 정식 복음서로 쓰였다.]을 인용하고 있었다. 마니는 신비주의 문헌인 [[에녹서]]를 중시하였으며, 구약의 신은 악(惡)한 신이며, 신약의 신은 선(善)한 신이라는 마르키온 파의 사상에 영향을 받게 된다.
         파티크, 앗다, 아브자카야는 로마 영토였던 시리아 지역으로 선교하게 된다. 이 무렵 제노비아 여왕의 지도 아래 [[팔미라 왕국]]이 독립하고 있었는데, 앗다는 마니가 전해준 "거대한 복음"이라는 저작을 바탕으로 하여 제노비아 여왕의 여동생에게 포교하는데 성공하였다. 아브자카야는 시리아 에데사 지역에서 포교에 성공하고, 마니는 시리아에서 기독교 사도를 이어받는 명성을 얻게 되었다. 앗다는 [[알렉산드리아]]에서 포교를 하며, 마니의 저작을 정리하여 기독교인을 대상으로 "모디우스"라는 저서를 출판한다. 그리고 이트에도 마니교가 퍼지게 된다. 마니는 페르시아에 포로로 잡혀 있던 로마 병사들에게 선교를 하였고, 이들이 귀환하면서 마니교는 로마 제국 동부로 널리 퍼져 나가게 된다. 또한 [[아라비아]]에도 마니교 선교가 행해졌다고 한다.
         로마 제국에서 마니교는 이트를 거점으로 세력을 뻗어나갔다. 310년 무렵에는 이트에서 전도단을 로마에 파견하고 포교를 시작했다. 3세기 말에는 기독교 교부들이 마니교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비판하기 시작한다.
         297년 이트를 방문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는 마니교도의 숫자가 엄청난 것에 경악하였다. 디오클레티아누스는 마니교가 [[페르시아]]를 기원으로 하였기 때문에, [[스파이]]라고 여겨서 탄압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콘스탄티누스 1세의 [[밀라노 칙령]]으로 로마 제국 내에서 신교의 자유가 인정되자, 마니교 역시 각지로 퍼져나갔다. 그리고 기독교가 국교가 되는 392년에 이를 때까지 약 80년 동안, 마니교와 기독교는 로마 제국에서 대립을 계속하게 되었다.
         >스티키아누스라는 장사꾼이 있었는데, 그는 창녀를 아내로 삼고 있던 타락한 남자였다. 그는 이트와 장사를 하다가 이트에서 마술 지식을 얻었다. 그 제자 테레빈토스는 스티키아누스가 얻은 마술 지식을 책으로 정리하였고, 이것이 마니교의 교의서이다. 테레빈토스는 바빌로니아로 떠나서 마술을 보여서 사람들을 현혹하다가 천벌을 받아 죽게 된다. 이 마술서를 하숙의 여주인이 가져가서, 노예 소년 크루비키오스에게 가르쳐주며 길렀다. 여주인이 죽자 크루비키오스는 마니로 이름을 바꿔서 페르시아 왕을 찾아가게 된다.
         마니교 최대의 논적은 성 아우구스티누스였다. 19세 때 일반 신도로서 마니교에 입교했다가 9년 뒤 탈퇴, 33세에 기독교에 입신한 아우구스티누스는 마니교에 반대하는 논설을 여럿 필하였다. 아우구스티누스는 당시 유행하던 공개 토론에서도 나서서 그리스 철학을 활용하여 마니교 설교사 파우스투스를 참패시켰다고 한다. 결정타는 역시 기독교 국교화로, 마니교는 완전히 근절당하고 만다. 하지만 그 뒤로도 기독교는 마니교를 최악의 이단으로서 두려워하게 된다.
         이슬람교 세계에서 마니는 사교의 교조가 아니라 "화가의 선조"로 여겨졌다. 이슬람교 전승에서 마니는 천재 화가로서 사푸르 1세에게 기용되었으나, 신관단과 박해하여 중앙아시아로 떠나게 된다. 마니는 중앙아시아에서 문하생을 모으고 중국의 절에 벽화를 그리다가, 어느날 [[동굴]]에 들어가서 천국에 갔다가 1년 뒤에 돌아와 『아겐크』라는 화을 가져오게 된다. 그리고 제자들을 거느리고 페르시아에 돌아가 오흐르마즈드 아르다흐시르에게 총애받아 궁전까지 얻었으나, [[바흐람 1세]] 치세에서는 소외 당하고 조로아스터 교 신관과 토론 끝에 산 채로 가죽을 벗겨진다. 제자들은 인도나 중국으로 도망치고, 머물렀던 사람들은 노예가 되었다고 여겨졌다.
         남송 육유(陸游)의 문 『이남문(渭南文集)』에 따르면, 강남의 농민 반란은 명교가 핵심이 되었다. 명교 등의 반체제 종교는 「끽채사마(喫菜事魔)」나「사마식채(事魔食菜)」라고 불리웠다.
         명교의 신은 명사(明使)라고 불리며, 육불(肉佛), 골불(骨佛), 혈불(血佛) 같은 칭호가 있었다. 이남문에서는 한나라의 [[장각]], 진나라(晋)의 손은(孫恩), 송나라의 방납(方臘) 같은 무리를 명교의 동료로 여기고 있다. 이들은 마술을 부려 꼭두각시를 싸우게 하고, 여자들은 요괴 같은 얼굴 화장을 하고 병사들과 맞섯다고 한다.
         > 지금 이렇게 3개의 신상과 16자의 진언만으로 우리들에게 남겨졌다.
  • 무라하치부 . . . . 16회 일치
         [[일본]]의 풍속. [[단괴롭힘]]의 하나.--전통 있는 단괴롭힘--
         무라하치부의 어원은 보통 다음과 같이 말해진다. 무라 하치부는 무라 사회에서 공동으로 하는 활동 가운데 성인식, 결혼식, 출산, 질병, 의 신축과 개축, 수해 피해 복구, 매년의 법요(불교식 제사), 여행 등의 8가지 활동에서 따돌리며, 장례식과 소방 활동을 제외한 모든 활동에서 함께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 소방 활동은 화재를 진압하지 못해서 불이 옮겨붙으면 마을의 다른 역시 곤란하기 때문이다.(일본의 가옥은 한국, 중국과 달리 나무를 쓰는 비중이 높다)
         이상과 같이, 자신들에게도 피해가 올 상황이 아닌 이상 거의 어떤 마을 행사에도 참가시켜 주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마을의 공동 자산[* 마을 주변의 야산 등. 땔감이나 산채를 채할 수 없게 된다.]에도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며, 이웃 간의 최소한의 교제도 하지 않음으로서 철저하게 마을 내에서 "따돌림"을 하는 것이 바로 무라하치부라고 할 수 있다.
         총촌은 오토나(乙名, おとな), 사타닌(沙汰人, さたにん)을 중심으로 자치가 이루어졌는데, 오토나는 마을에서 나이가 많고 경험이 풍부하며 안이 좋거나 많은 농지를 보유한 유력자였다. 사타닌은 본래 마을에 상주하며 영주의 판결이나 명령을 행하는 관리였지만 총촌의 자치능력이 강해짐에 따라서 지위를 세습하면서 마을의 중심적인 인사가 되었다.
         아직 어른이 되지 않은 청소년들은 와카슈(若衆)라고 불렸으며, 이들은 젊은이들만이 모인 숙소에서 단 생활을 하면서 마을 내에서 자경, 방위, 소방, 농지 경작 등을 하는 역할을 맡았다. 현대의 학교이자 청년단 격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근대적인 교육제도가 아니고 젊은이들이 모였으므로 서로 간의 친목에 필요한 음주, 흡연을 가르치기도 하고 요바이(夜這い) 등을 통하여 연애, 결혼 상대를 찾기도 했다.
         총촌의 치안은 이러한 단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는데, 창, 칼, 활 같은 무기로 무장하는 것 역시 일상적이었다. 본래의 헤이안 시대의 국법대로라면 형사 재판과 처벌은 영주나 관리가 하는 것이 정상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외부의 간섭을 무라 사회는 거부하는 예가 적지 않았고, 가마쿠라 후기에는 무로마치 시대에는 총촌의 자치능력이 강화되고 영주의 지배력이 부족하다보니 이러한 자경 활동을 승인하였다.
         추방이나 재산 몰수는 일정한 연한이 지난 뒤 해제될 수도 있었지만, 절도나 상해에 대한 처벌은 엄격하게 행되었으며, 심지어 사형이 되는 경우도 드물지 않았다. 이러한 무라의 자체적인 치안활동을 자검단(自検断)이라고 부른다.
         무라하치부 사건 가운데서는 가장 유명한 사례이다. 이 마을에서는 1952년 이전부터 조직적인 대리 투표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마을의 토나리구미(隣組, 관 주도의 자치회)의 조장이 공공연하게 각 가정을 방문하여 기권하면 대신 다녀오겠다고 반 강제적으로 입장권을 회수하거나, 기권할 사람이 있으면 조장의 에까지 입장권을 가지고 오라는 회람판을 돌렸다.
         마을의 유력자는 "따르지 않으면 무라하치부 하겠다."며, 11가구에 대해서 산나물 채과 쓰레기 수거함 사용을 금지했다. 주민 11명은 그 해 여름 무라하치부 중지를 요구하고 유력자 등 3명을 니가타 지방 법원에 제소하였다. 이에 대해서 지방 법원은 유력자 측에 불법 행위의 금지 등 총 220만엔의 손해 배상을 명령했다.
         가해자인 남성은 본래 이 지역 출신으로 농림업을 하던 부모에게 태어났지만, 중학교 졸업 이후 상경하여 가나가와 현 가와사키 시에서 살고 있었다. 1994년 귀향하고 부모님을 개호하였으나, 가나가와 현에서는 미장이로 일하면서 귀향한 뒤에도 기술을 살려 을 건축하고 현지 TV쇼에서 거론되기도 했다. 하지만 부모님이 사별한 뒤에 지역 주민들과 문제가 잇따르게 되었다.
         도쿄에서 모현에 이주한 T씨(34세) : 이주자는 1주일에 1번 마을 부흥의 선두 주자인 노부부의 에 모여서 회식을 한다. 나와 아내는 이주 전까지 했던 디자인업을 계속하면서 자급자족용으로만 농업을 하겠다고 말하자, 갑자기 태도가 돌변하여 "농업을 하지 않을 거라면 도쿄에 돌아가."라고 주민들이 둘러싸고 협박하였다.
         치바현 모현의 별장지에 이주한 M씨(39세) : 주위는 본래 도시에서 살던 고소득 리타이어 노인 뿐이다. 1주일에 1번 씩 아이가 시끄럽다고 불만이 들어오고, 현관에 노부부들이 직접 몰려왔다. 마다 부지가 300평방미터 이상은 되는데.
  • 창작:좀비탈출/0-1-2 . . . . 16회 일치
         그 소음은 노크처럼 이어졌다. 현관에서 나는 소리다. 나는 비몽사몽한 상태에서도 중했다. '''쿵 쿵……'''
         나는 현관문으로 바싹 다가간다. 가볍게 문을 울리는 떨림에 귓가를 간질인다. 나는 문 너머를 뚫어 보기라도 할 것처럼 의식을 중했다.
         우리집은 여느 단독주택과 크게 다를 바 없는 구조다. 방 세 개짜리에 모든 공간이 거실로 이어진다.
         방어선이 깨지는 최악의 상황은 오지 않을 것이다. 우리 아버지는 그런 면에서는 철저한 사람이었다.
         우리 동네는 단독 주택이 밀된 골목으로 이루어져 있고 거기엔 좀도둑들이 판을 치고 다녔다. 우리 도 두세 번은 그런 일이 있었고 그 뒤로는 을 무슨 요세처럼 꾸며놨다.
         우리 담벼락은 다름 보다는 한 뼘 이상이 더 높고 그 위엔 뾰족하게 휘어진 창살도 박아놨다. 이 녀석은 실제로 한 번 도둑을 막기도 했는데, 그 무모한 양반은 자기 능력을 너무 과신했는지 뛰어넘지 못하고 영 좋지 않은 곳이 걸려서 병원으로 후송됐다. 뭐, 감옥에 가는건 차라리 별 일이 아니었겠지.
         인정하고 싶지 않지만 나는 바깥으로 나가야 한다. 을 버리는게 아니다. 다시 으로 돌아오기 위해서 나가는 것이다. 약간의 식량과 안전이 확보된 물을 찾아서. 그리고 가능하면 무기를 찾기 위해.
          * [[창작:좀비탈출/4-1| 주위를 탐색한다.]]
  • K리그 관중 실 집계 정책 . . . . 15회 일치
         K리그는 2011시즌까지 상당한 잡음이 일어왔었는데, 그 잡음 중 하나가 바로 관중 수 계에 관한 문제였다. 당시 K리그에서 성적은 좋지만 인기가 정말 없기로 유명했던 구단으로 성남 일화 천마를 꼽을 수 있었는데, 이 성남의 홈 구장인 탄천종합운동장의 수용 가능 인원은 2만여명이 넘지만, 실제로 경기를 관람하러 들어온 관중은 2000여명이 채 되지도 않는 경우가 많았다. 헌데 경기장 전광판에서는 전반전이 끝나고 관중 수를 발표하는 걸 보면 4,000 ~ 5,000명을 발표하는데... 이건 경기장에 최소한 20~25%는 채워져야 가능한 이야기임에도 방문한 팬들조차 갸웃거릴 정도였다.[* 가령 2010시즌 경남과의 홈 경기에서 당시 발표로는 5000명이 넘는 관중이 들어왔다고 했는데, 실제로는 결코 그 정도로는 아니었다.]
         이게 성남만의 문제였냐면 '''그건 또 아니었다'''. 성남이 성적과 흥행이 거의 완벽하게 반비례곡선을 그려서 대표적인 사례로 언급되는 빈도가 가장 많아 그렇지 다른 구단들도 경우의 차이는 있을 지 모르나 실 계와는 거리가 멀었다.[* 성남을 예시로 든 것 뿐이지만, 이는 서울이나 수원, 전북과 같은 당시 강호들도 껴안고 있는 문제였다. 자체적으로 실 관중 계를 한다고 했으나, 엄밀성을 따졌을 때 정확한 계라고 한다면 반드시 그렇다는 보장도 없었다.] 제일 큰 문제는 이 구단들이 계하여 통보한 결과를 바탕으로 K리그 관중 수를 발표했다는 데 있다. 다음 기사와 같이 [http://sports.news.naver.com/kleague/news/read.nhn?oid=076&aid=0002051148|"허수가 많다"]는 인터뷰에서 알 수 있듯이 이건 일부 구단이 아니라 전체적인 문제였다. 구단에서 자체적으로 실 계를 시행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링크한 기사에서 알 수 있듯이 겉으로는 실 검표를 한다고 했으나 모든 경기를 실 계를 하지 않았을 뿐더러 이 실 계에 대한 시행기준도 구단마다 제각각이라 통일성조차도 없었다는 사실이다. 당연히 잘못된 자료가 나올 가능성이 지극히 높고, 또 이런 자료를 가지고 정책을 결정하니 구단의 어떠한 활동이나 연맹의 정책이 제대로 나타나고 있을 지 가장 쉽게 알 수 있는 지표인 "관중 수"에 대한 신뢰성은 바닥을 드러내는 상황이었다.
         이런 이유로 연맹은 2012시즌부터 연맹의 경기감독관 뿐만 아니라 관중의 실 계를 위한 검표관리자까지 각 경기장에 파견하게 되며, 이 검표관리자는 경기장 입장구역에서 검표를 수행하게 되며, 계수가 된 인원(시즌권 바코드 체크, 경기 표 바코드 체크 등이 완료된 인원들)만이 여기에 실 계인원으로 잡히게 되었다.
         실 계를 시작하고 나서 가져온 파장이 엄청났는데, 2012시즌 348경기가 종료되자 2011시즌 246경기동안 300만명이 넘었다는 관중이 250만명으로 50만명이나 줄었다. 단순계산만으로도 평균관중이 1만 1천~2천여명 정도였던 2011시즌 성과와는 달리 2012시즌은 7천여명으로 경기당 근 4~5천명이나 차이가 나는 것.[* [http://sports.news.naver.com/kbo/news/read.nhn?oid=382&aid=0000079171|스포츠동아, "-33.2%…거품 빠진 관중수 각 팀 마케팅 강화 긍정효과"]]
         그런 의미에서 실 관중 계를 통해 무엇이 문제이고, 무엇이 관중의 호응을 이끌어 낼 수 있는지 정책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기본지표를 만들 수 있었다는 점에서 축구팬들 사이에선 아주 높은 평가가 다수를 이룬다.
         실 관중 계가 구단의 [http://news.tf.co.kr/read/soccer/1467594.htm|투자를 저하시켰다]고 보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실 관중 공개와는 사실 별 관계가 없는게, 실 관중 수 계와는 달리 구단은 명백하게 각 경기마다 들어오는 관중 수입에 대해 그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는 입장이라서 설득력이 없다. 되려 각 선수들의 연봉공개가 이적시장을 달궜으면 더 설득력이 있을 정도.
  • 월드 인 컨플릭트/줄거리 . . . . 15회 일치
          소련군 공수부대가 결지로 사용하는 가정을 파괴한다.
         버려진 가게에 앉아 있던 배넌 대위는 어머니의 으로 전화를 건다. 하지만 전화를 받은 사람은 배넌의 [[의붓아버지]]인 얼이었다. [[베트남 전쟁]] 참전자였던 얼은 [[시애틀]]을 지키지 못한 배넌을 친아버지가 봤다면 통곡했을거라면서 욕하고 전화를 끊어버린다.
         >미군 병사 한명이 파인밸리 시내를 달린다. 이곳저곳으로 고개를 돌리며 숨을 헐떡이던 병사의 바로 옆에 포탄이 떨어진다. 병사는 M16 소총을 떨어뜨리며 쓰러지지만 다시 일어나 소총을 어든다. 그러고는 눈 앞에 보이는 전복된 [[HMMWV|험비]] 뒤에 몸을 숨긴다.
         소여 대령과 휘하 중대장들은 눈밭에 나뭇가지와 돌맹이로 지도를 급조한 다음 브리핑을 한다. 웹 대위가 강을 건널 수 있는 지점들을 요새화시키고 유일한 다리를 폭파시키자는 제안을 하자 소여는 윌킨스에게 시간을 벌어줄 수 있겠다면서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배넌 대위는 이 작전을 수행하기에는 병력이 너무 적다고 주장하나 소여는 소련군이 포트텔러에 도착한다면 우리들 손으로 핵전쟁을 벌여야 한다며 배넌을 신나게 까댄다. 이때 소련군 정찰기가 이들 위를 지나간다. 소여는 배넌을 15km 북동쪽으로 정찰 나가라고 지시한 뒤 급조한 지도를 부수며 작전을 시작한다.
         그날 밤, 캐스케이드폴스에 도착한 로드리게스는 어머니 으로 피신한 딸과 아내에게 전화를 건다. 그는 지금 어디에 있냐고 물어보는 딸에게 산에 낚시 여행을 왔다고 거짓말을 한다. 딸이 아내에게 전화를 바꿔주자 로드리게스는 아내를 진정시키고는 가능한 빨리 돌아오겠다고 말한다.
         소여 대령과 휘하 중대장들은 초등학교에서 마지막 브리핑을 벌인다. 소여는 소련군이 캐스케이드폴스를 뚫기 위해 가능한 모든 병력을 동원할 것이라는 예상과 공군의 근접항공지원이 있을거지만 그걸로는 전세를 뒤을 수 없다는 말을 했지만 모두가 진지한 태도였다. 심지어 배넌 대위마저도. 얼마 되지 않아 소련군이 목격되었다는 보고가 들어오고, 소여와 중대장들은 방어전을 지휘하기 위해 각자의 부대로 돌아간다.
         얼마 후, 양쪽의 다리를 공격하던 소련군 부대가 후퇴하기 시작한다. 소여는 이를 남쪽에서 공격해오기 위해 재결 하는 것이라 판단하고 배넌과 웹의 부대를 마을 중심으로 빼낸 다음 두 다리를 폭파시킨다. 파커에게는 유일하게 남은 북쪽의 다리를 소련군 전위대와 정찰대로부터 지키는 임무를 맡긴다.
         >"마이크! 우리 떠나야 해!"
         >"사람들은 이 일로 우리를 기억해줄거다."
         >"T-80, BTR, BMP를 동반하고 접근 중이다! 보병이 사이로 이동하는 것도 목격했다! 대규모 공세다! 제2소대를 잃었고 제3소대도 잃은 것 같다!"
         >소여가 송수화기를 내려놓는다. 지평선 너머에서 순항미사일이 빛을 내며 날아온다. 순항미사일은 전장을 떠나는 험비를 지나쳐 아직 전투가 벌어지는 캐스케이드폴스로 향한다. 미사일은 마을 중심부에서 폭발한다. 캐스케이드폴스에 있던 가정, 전차, 트럭이 불길에 휩싸인다. 숲 위로 검은 버섯구름이 피어오른다.
         스토리는 4개월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전역 후 통나무에서 살고 있던 소여 대령에게 전화가 날아온다. 그에게 전화를 건 국방부 공무원은 소여가 다시 현역으로 전환되어서 유럽 전선에 보내질 것이라고 말한다. 소련군이 지중해에 있던 미해군 제6함대를 전멸시키고 독일에서 승승장구 하는 등 생각보다 선전하자 소여를 유럽으로 보내 NATO군과 연합 작전을 벌이게 하려던 것. 이 말을 들은 소여는 공무원에게 자신이 전역당한 이유를 알고 있냐고 물어본다. 공무원이 그 일은 면제되었다고 대답하자 소여는 면제를 바란게 아니라며 국방부와 관료들을 신나게 까고는 유럽으로 가겠다고 말한다.
         공격이 시작되기 전 브리핑 시간. 소여는 소련군 사령부가 있는 강 너머에 몇차례 포격을 가한 후, 전위대를 투입할 계획을 세운다. 그것이 충분치 않다고 생각한 사바티에는 한시라도 빨리 소련군을 자국 국토에서 몰아내고 싶다며 불만을 표시했지만, 소여는 오늘이 지나면 그렇게 될 것이라고 대답한다. 소여는 파커 소위의 중대에게 전위대를 맡기고, 배넌 대위의 전차 중대는 만일을 위해 남겨둔다. 이 말을 들은 배넌은 자신의 중대가 선봉이 되어야 하면서 불만을 표한다. "우리 중대가 전투를 놓칠지도 모른단 말입니다!"라는 배넌의 말을 들은 소여는 이곳에서 영광과 명예같은 것을 찾고있냐며 배넌을 윽박지른 후 그의 중대로 보내버린다. 얼마 되지 않아 강 건너에 연합군의 포격이 가해지기 시작하고, 소여는 나머지 지휘관들도 각자의 부대로 보내 전투를 준비하게 한다.
  • 맥닐의 법칙 . . . . 14회 일치
          * 단 A와 단 B, 질병 X가 있다.
          * 단 A는 특정한 질병 X에 어느 정도 [[면역]]을 가지고 있다. 단 A의 면역 체계와 질병 X는 적절한 균형 상태를 이루고 있어, 단 A의 사람들은 질병에 감염되지 않거나, 감염되어도 병세가 치명적이지 않다. 혹은 문화적으로 질병 X에 대한 대처법(격리 수용, 증상에 맞는 처방)을 알고 있어, 질병에 대처할 수 있다.
          * 단 A의 일부가 단 B로 이동한다. 단 B에게 단 A가 가지고 있던 질병 X가 전염된다. 그러나 단 B는 질병 X에 대하여 면역력도 없고, 대처법도 알지 못한다.
          * 면역력을 가지지 못한 단 B에게 빠른 속도로 질병이 전염된다. 결국 단 B는 치명타를 입는다.
          * 단 A는 '''세균병기'''의 위력으로 단 B를 궤멸, 정복시킨다.
  • 창작:좀비탈출/4-1-2-1 . . . . 14회 일치
         혹시 모르니까 닫아야겠다. 할 수 있을 때 해두는 게 좋을 것이다. 이 일대가 전멸했다면 그만큼 좀비들의 숫자도 넘쳐날 것이고, 그것들이 전부 우리 으로 오지 않는다는 보장은 없다. 식량을 손에 넣는데 실패하더라도 마당으로 오는 놈들이 줄어든다면 다음 기회도 생길 수 있으니까. 나는 문 너머에 놈들이 있진 않나 주의를 기울이며 천천히 문을 닫았다. 그리고 문을 닫는 순간에 나는 소리가 행여라도 놈들을 깨우게 되진 않을지 주의하며 움직였다.
         이런 처지가 돼서 말하긴 뭣하지만 이렇게 극도로 얇고 허약한 막대기에 목숨을 맡기는건 멍청한 짓이다. 이걸로 머리통을 후려치면 똑 부러져도 이상할게 없겠지. 왜 이걸 보강할 생각을 하지 않았을까? 껌테이프로 칭칭 감기만 해도 지금보다는 나았을 거야. 물론 안에 껌테이프가 있을 때 얘기지만. 그럼 일단 안으로 돌아갈까? 아니지 아니야. 이건 직감이지만 다시 들어갔다간 '''다시는 못 나올 거야.''' 두 번 다시는.
         그렇게 바라본 뒷마당은 터무니없이 낯설다. 한 번도 올라본 적 없는 산을 본 기분이다. 안에서 독을 상상할 때만 해도 조감도라도 그릴 수 있을 것처럼 생생했는데, 여기에 오니 남의 을 털러 간 초보 도둑처럼 깜깜하다.
         방향은 세 발쯤 앞. 담벼락 바로 아래였다. 그건 옆하고 붙어 있는 담벼락이었다. 아버지가 방범 대책을 할 때 유일하게 손대지 못한 곳. 옆하고 같이 쓰는 담이었기 때문에 그쪽에서 오케이 해주지 않으면 손댈 수가 없었던 것이다. 단독주택이 밀한 지역에선 흔한 일이다. 저기 주인이 누구였더라? 조기축구 다니는 아저씨였는데. 나이에 비하면 제법 호리호리하고 날쌔기도 했던…….
         토트넘이 담을 넘고 있었다. "그놈"들이 개인차가 있다지만 어떻게 저런 동작이 가능한 걸까? 생전엔 담장공사 가지고 주거침입이라며 악을 쓰던 인간이 몇 주 동안 우리 을 안방처럼 드나들었단 거야? 이런 X같은 꼰대!
          * [[창작:좀비탈출/5-2|안으로 도망친다.]]
  • 창작:좀비탈출/5-1-1-1-1-2 . . . . 14회 일치
         || 우리 으로 돌아간다. ||
         나는 터무니없는 과로를 했다고 생각하며 으로 돌아왔다. 당초 예정했던 노동량을 훨씬 넘어선 것이다. 그래도 식량도 챙겨왔고 위험요소도 제거했다. 이로써 우리집은 안전한, 이 판국엔 안 어울리지만 어쨌든 좀 더 안전한 이 되었다.
         모든 일을 마치고 나니 해가 떨어지고 있었다. 나는 커튼을 쳤다. 아마 녀석들이 우리 앞마당을 활보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적어도 그걸 확인하고 잠들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지금은 됐다. 나는 오늘의 격무에 대한 '''포상'''을 받을 자격이 있으니까.
         꿈에 토트넘이 나왔다. 녀석은 여전히 거무죽죽한 면상을 한 주제에 우리 초인종을 누르고 현관에 서서 고래고래 소리를 질렀다.
         "너네 얼라가 우리 들쑤시고 다닌거 모를거 같덩가? 한 번만 더 그러면 '''요절을 내버릴겨!'''"
         그 모습이 너무 감동적이라 하마터면 현관까지 달려나갈 뻔 했다. 그 대신 안에서 이렇게 소리질렀다.
         병이 나는건 예상하고 있었다. 하지만 현실에 예상을 따라가는 일이 얼마나 되던가? 그 예상이란건 해열제나 소화제로 처리되는 병에 대한 것이고 이토록 격렬한 발열과 의식의 끈이 끊기는 상황을 상정한게 아니었다. 나는 생전 처음으로 손발이 남의 것 같고 신체 어느 것 하나 맘대로 움직이는게 없는 상황에 처했는데, 우연히 그게 전멸한 도시 한 복판에서다. 이런 기막힌 상황이 있나!
  • 창작:좀비탈출/요새편/1-2-2 . . . . 14회 일치
         이 상황에서 최대 위험요소는? 눈 앞에 있잖아. 뭘 고민한단 말인가. 나는 발뒷꿈치를 세우고 자세를 낮췄다. 내가 다가가는 데도 녀석은 모른다. 상황이 이렇다면 불안하기 짝이 없는 철퇴도 쓸모가 있다. 나는 아령의 손잡이를 단단히 잡고 머리 위로 치켜들었다. 아주 낮게, 잠꼬대처럼 그르릉 대는 소리가 들린다. 녀석은 코 앞이다. 머리 위치는 딱 내 눈 높이다. 나는 팔에 온힘을 중했다.
         다시 주변으로 눈을 돌렸다. 위험이 사라진 앞마당은 부담스러울 정도로 일상감이 넘쳤다. 한쪽에 줄지어 둔 작은 화분이 그대로 있다. 모종은 시들어 버렸지만, 저것만 봐서는 주인이 게으르다는 생각만 들 것이다. 텅비어 있는 차고도 주인이 마트라도 가서 금방이라도 돌아올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어쩌면 지금이라도 현관문이 열리고 남의 마당에서 무슨 짓이냐고 외치는 토트넘네 아줌마가 나올지도 모르겠다.
         이성이 마음대로 떠들도록 내버려 두고 나는 차고문을 닫았다. 토트넘네 집은 담장이 낮고 창살도 없지만 이것만 해둬도 대부분의 좀비는 들어오지 못할 것이다. 시간만 벌이만 돼도 충분하다. 토트넘의 조기축구 친구들이 얼마나 팔팔할지 모르겠지만 아무리 그래도 '''살아 있는 친구'''에 비하면 느리겠지. 나는 담장 쪽을 수시로 돌아보며 앞마당을 한 번 돌았다. 언제든 우리 쪽으로 뛰어갈 수 있도록.
         토트넘이 앞마당 관리를 깔끔하게 한 탓인지 변변한 물건이 없었다. 화분이 있었다는건 정원용품이 있었다는 말일 텐데 그 흔한 꽃삽 하나 보이지 않는다. 하긴, 우리도 그 점은 마찬가지였지.
         연탄게를 찾았는데 도시가스 들어오는 에 이런게 왜 있는지 알 수가 없다. 끝이 유난히 뾰족하고 손잡이는 잡기 편하게 천으로 감아놨다. 이걸로 낙엽이라도 주웠을까? 모를 일이다. 토트넘은 생전에도 거의 제정신이 아닌 것처럼 보이는 아재였다.
         혹시 우리처럼 장독을 묻어놓지 않았을까 해서 화단을 살펴봤는데 허탕이었다. 우리 아버지 같은 구시대적 인물은 별로 없나 보다.
  • 토탈워: 쇼군 2/유닛 . . . . 14회 일치
         일반적으로 모에 걸리는 시간은 아시가루는 1턴, 사무라이는 2턴이다. 이는 세력 발전과 같은 요소로 감소시킬 수 있다.
         오다 가문의 야리 아시가루는 일반 야리 아시가루에 비해 근접전 능력과 사기가 높으며 유지비와 모 비용이 싸다.
          * 창벽진(Yari Wall) - 벽처럼 빽빽히 밀해서 방어 태세를 갖춘다. 적 기병의 돌격에 저항력이 높아지지만 궁병의 공격에는 취약해진다.
         초소카베 가문의 유미 아시가루는 다른 가문 유미 아시가루에 비해 정확도와 재장전 기술이 높으며 유지비와 모 비용이 싸다.
         초소카베 가문의 유미 사무라이는 다른 가문 유미 아시가루에 비해 정확도와 재장전 기술이 높으며 유지비와 모 비용이 싸다.
         시마즈 가문의 카타나 사무라이는 다른 카타나 사무라이에 비해 근접 공격이 높으며 유지비와 모 비용이 싸다.
         다테 가문의 노다치 사무라이는 다른 가문의 노다치 사무라이에 비해 근접 공격, 돌격 보너스가 높으며 유지비와 모 비용이 싸다.
         시마즈 가문의 카타나 영웅은 다른 카타나 영웅에 비해 근접전 능력, 갑옷이 높으며 유지비와 모 비용이 싸다.
         오토모 가문의 철포 아시가루는 다른 가문 철포 아시가루에 비해 정확도와 재장전 기술이 높으며 유지비와 모 비용이 싸다.
         서양에서 수입한 화승총으로 무장한 아시가루. 철포 아시가루보다 약간 규모가 작다. 자체 생산이 아니라 수입해서 들려주는거라 가격도 비싸고 모에 4턴이나 걸린다. 조총을 1년 동안 찔끔찔끔 수입하는거냐. 기독교로 개종하면 2턴만에 모할 수 있으며, 일본제 철포 아시가루에 비해 능력치가 병아리 눈물 만큼 높다. 서양인과 접촉하는 이벤트에서 교역해주면 한 부대 던져주기도 한다.
          * 재결 위치(Regroup Position): 재결 위치를 설정한다. 패주하거나 철수 중인 부대의 사기가 회복되면 재결 위치로 이동한다.
  • 모리오리 족 . . . . 13회 일치
         모리오리 족은 농경민족인 폴리네시아 이주민이지만, 채텀 제도는 기후가 추운 편이라 열대 농작물을 재배하는 폴리네시아 전통 농업에 부적합하여 모리오리 족은 수렵, 채으로 살아갔다. 이웃한 마오리 족이 농업을 사용하여 10만명 이상의 인구를 가지게 된 것과는 대조적으로, 모리오리 족의 인구는 약 2,000명 정도였다.
         채텀 제도는 폴리네시아 전통 농업에 부적합하였기 떄문에 약적인 농업과 전쟁 문화를 가지게 된 마오리 족과는 달리, 모리오리 족은 수렵과 채을 중심으로 하는 생활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채텀 제도의 환경상 약 농업이 어렵고 인구 조절이 필요했기 때문에, 인구 밀도가 높아 전쟁이 자주 벌어졌던 마오리 족 사회와는 달리 모리오리 족은 분쟁을 평화롭게 해결하는 전통을 가지게 되었다.
         모리오리 족이 수렵채민으로 돌아가는 동안, 북부 뉴질랜드의 따듯한 기후에서 농경을 유지한 마오리 족은 폴리네시아 전통 농업으로 10만이 넘는 인구를 가지게 되었고, 높은 인구 밀도 때문에 전쟁이 자주 벌어졌다. 성채를 세우고, 복잡한 문화, 사회를 갖춘 마오리 족은 서양인과의 교류로 [[총기]]까지 획득하였다.
         1835년 12월, 수백년간 평화롭게 살던 모리오리 족은 갑자기 뉴질랜드에서 나타난 [[마오리 족]]의 공격을 받고 '''[[멸망]]했다'''. 11월 19일, [[총기]]와 [[곤봉]], [[도끼]]로 무장한 500명의 마오리 족이 채텀 제도에 나타났으며, 12월 5일에는 400명이 추가로 나타났다. 채텀 제도를 공격한 약 900명의 마오리 족은 수적으로는 당시 모리오리 족(2000명으로 추정)의 절반 정도에 불과했으나, 수렵과 채으로 살아가던 모리오리 족은 단합된 정치 조직이 없었으며, [[무기]]를 비롯한 전쟁 기술도 갖추고 있지 않았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마오리 족은 장기간의 전쟁으로 조직화된 전쟁 문화, 정밀하게 만들어진 원주민 무기를 가지고 있었고 심지어 서양인들과의 교류로 [[총기]]까지 가지고 있었다.
         >마오리 족은 우리를 양 떼처럼 죽이기 시작했다. 우리는 겁에 질려 적을 피하기 위해 숲으로 도망치거나 땅을 파고 숨었다. 그러나 소용없었다. 우리는 곧 발각되어 죽임을 당했다. 남자는 물론이고 여자, 아이들까지 무차별로 학살당했다. - 모리오리 족 생존자
         >우리우리의 관습대로 그 섬을 점령했으며 놈들을 모조리 사로잡았다. 한 명도 벗어나지 못했다. 더러는 도망쳤지만 우리가 곧 죽여버렸고 다른 놈들도 죽였다. 그러나 그게 어쨌단 말이냐? 우리는 관습에 따랐을 뿐이다. - 마오리 족 정복자
  • 창작:좀비탈출/5-1-1 . . . . 13회 일치
         아무런 확신도 할 수 없다. 내가 기억하는 그들은 옆 앞에 모였다가 근처 초등학교에서 친선경기를 뛰고나서 탕수육에 소주를 들이붓는 사람들이다. 뛰어서 소모한 칼로리보다 더 많은 열량을 섭취하는 사람들. 뱃살이 늘어지고 머리가 벗겨진 비슷비슷한 얼굴들. 똑같이 토트넘 유니폼을 걸치고서……. 운동신경이란 단어를 도저히 떠올릴 수 없는 사람들이었다. 하긴 토트넘도 원래는 그렇지 않았던가? 죽어서도 담을 뛰어넘을 정도로 체력이 좋을 거라고 누가 생각이나 했겠는가? 아니면 생전에 밥 먹듯이 반복한 행동이다 보니 죽어서도 무의식적으로 반복하는 것일지도 몰랐다.
         나는 톱과 망치를 동원해서 사체를 잘게 나눴다. 목장갑을 끼고 작업을 했지만 시간이 가면서 찐득한 체액이 장갑 안까지 배어들었다. 그것만이 아니었다. 짜장이 튄 것 같았던 티셔츠는 짜장면을 그릇 째 엎은 모양이 됐다. 토트넘의 체액을 뒤어 쓰고 있는 것이다.
         토막낸 사체는 묻어버릴 생각도 했지만 그만큼 깊게 파야 하니 수고스럽다. 나는 담장 너머 이웃으로 조각을 어던졌다. 상한 고기 덩어리가 바닥에 떨어지면서 철퍽거리는 소리가 연달아 들렸다. 마치 내가 비인간적이라고 비난하는 것처럼. 아니, '''원래 저 사람'''이잖아. 비난 당할 일이 아니다. 이건 있던 곳에 돌려보내 주는 거야.
         그때 나는 담 너머를 슬쩍 보았다. 그 집은 벽을 따라서 안 쓰는 화분, 손수레 따위가 계단처럼 쌓여있었다. 토트넘이 담을 넘은 수수께끼가 밝혀졌다. 그렇다면 반대로 이쪽에서 저쪽으로 넘어갈 수 있었던 건? 그 비밀도 오래 가지 않았다. 우리 담 아래에도 안 쓰는 커다란 장독이 뒤혀서 벽 앞에 있었던 것이다. 거의 벽의 절반까지 되는 높이였다. 아무렴 죽은 몸으로 이 담을 뛰어넘기는 힘들었을 것이다. 그러나 하체가 발달된 토트넘은 그 절반 정도의 높이는 올라갈 수 있었고 다시 거기서 담을 넘는건 가능했던 것 같다.
         우리 장독은 당연히 멀리 떨어뜨려 놓았다. 하지만 나가는 문을 막은 것 뿐이다. 들어오는 문은 여전히 열려있다. 하지만 그 문을 닫으려면 저쪽으로 넘어가야 할텐데. 저쪽이 안전한 공간인지 판단할 수가 없었다.
         체액으로 범벅이 된 몸은 땀까지 나면서 믿을 수 없는 냄새를 자아내고 있었다. 당장이라도 씻어내고 싶지만, 내친 김에 이웃 대문도 닫아놓고 쓸만한 게 있는지 뒤져봐야 하지 않을까? 하지만 지금 이 꼴로는 위험하지 않을까? 다시금 불쾌한 딜레마가 시작됐다.
          * [[창작:좀비탈출/5-1-1-1|이웃으로 넘어가 본다.]]
  • 거푸집 . . . . 12회 일치
         거푸집은 만들려는 물건의 모양 대로 속이 비어 있는 틀이다. 주조를 할 때는 거푸에 녹은 [[금속]]을 쏟아넣으면 녹은 금속은 거푸의 형태 대로 고정되며, 금속이 충분히 굳은 다음 거푸을 제거해주면 거푸의 형태대로 만들어진 금속 제품을 얻을 수 있다.
         거푸의 재료로는 [[흙]], 밀랍, 돌 등이 있다. 중국에서는 주로 흙 거푸을 사용하고, 일본에서는 [[사암]]으로 만든 거푸을 썻다. 고대 한국에서는 활석(滑石)으로 만든 거푸을 사용했다.
         정동찬 국립중앙과학관 과학기술사연구실장이 화학세계 1999년 7월호에 투고한 내용에 따르면, 활석 거푸집은 열전도율이 뛰어나며, 진흙이나 사암 거푸과는 달리 가스 구멍을 따로 만들 필요가 없고, 단단하여 잘 망가지지 않으므로 오래 쓸 수있어서 좋다고 한다.[http://www.kcsnet.or.kr/main/k_chemstory/k_c_story_read.htm?qpage=k_c_story_main&uid=11&cat=2 참조]
         [[콘크리트]]로 건축물을 만들 때 외벽의 형태를 만드는 나무틀도 사실상 같은 역할을 하며, 똑같이 거푸이라고 부른다.
  • 진격의 거인/86화 . . . . 12회 일치
          * 지크가 일곱 살이 될 무렵, 마레 정부는 파라디섬을 공격할 계획을 세우고 엘디아인 어린아이를 대상으로 병사를 모한다.
          * 그리샤의 기록은 "이 책을 처음으로 는 이가 동포이길"이라는 문구로 시작한다.
          * 그리샤의 어린시절. 여동생 페이와 함께 을 나서는데 어머니가 "완장"을 챙겨주며 절대로 "벽" 바깥으로 나가지 말라고 당부한다.
          * 페이는 언젠가 부자가 되면 비행선에 탈 수 있지 않을까, 이렇게 말하는데 그리샤는 "우리가 어떻게 부자가 되겠냐"고 대답한다.
          * 그리고 으로 돌아갔을 때 여동생은 없었다.
          * 그리샤가 만났던 군인들이 까지 와서 상황을 설명한다.
          * 아버지는 "우리 몸에는 악마의 피가 흐르고 있다"며 이해시키려 하지만, 어린 그리샤는 "나도 페이도 그런 짓은 하지 않았다. 마을을 걸었을 뿐"이라 항변한다.
          * 거기에 이어서 "우리가 페이랑 같은 꼴을 당하지 않게 해달라"는 협박인지 애원인지 알 수 없는 말을 덧붙이는데.
          * 마레 정부는 엘디아인을 상대로 "병사"를 모한다고 발표한다.
          * 그래서 거인을 계승할 수 있는 엘디아인 5~7세 어린이를 대상으로 병사를 모하는 것.
          * "이후 우리에게 간섭하면 벽에 숨은 몇 천만의 거인이 지상을 전부 평지로 만들어 버릴 것이다."
         베르톨트가 언급한 "악마의 자식"이나 악마의 민족이란 표현의 정체가 밝혀졌다. 이는 마레 측의 표현으로 오랜 세월 거인의 힘을 앞세워 학살을 자행한 엘다이 인들을 지칭하는 것. 아이러니한 일이지만 마레의 전사는 엘디아인을 대상으로 모했으니 베르톨트와 라이너도 "악마의 자식"의 피가 흐르는 셈이다.
  • MoniWikiTutorial . . . . 11회 일치
         위키위키는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쉽고 빠르게, 무엇이나 고칠 수 있는 편 시스템을 말합니다.
          * RecentChanges(바뀐글) : 위키위키의 모든 변경된 기록이 RecentChanges에 보여니다.
          * [[Icon(edit)]] 이 아이콘을 누르면 편창이 뜨게 됩니다.
         == 넷째 고개: 편하기 ==
          * '''[[GetText(Preview)]]''': 편된 내용을 미리볼 수 있습니다.
          * '''[[GetText(Save)]]''': 편이 완료되면 저장을 합니다.
          * '''[[GetText(GUI)]]''': 자바스크립트가 지원되는 환경에서 GUI 편창을 보여줍니다.
          (자동으로 번호가 매겨니다)
          (자동으로 번호가 매겨니다)
         "||"로 시작해서 내용이 "||"로 분리되고 "||"로 끝나면 테이블이 만들어니다.
          * 매크로는 페이지내에 {{{[[GoTo]]}}}와 같은 형식으로 어넣습니다.
  • Victoria II . . . . 11회 일치
          1861년 7월 1일부터 시작하는 캠페인. 이탈리아는 통일을 완수하여 열강의 자리에 올라갔으며, 한때 열강이었던 스페인은 이탈리아에게 자리를 물려주고 탈락해버렸다. 아편 전쟁으로 홍콩을 강탈당한 중화제국은 천왕이 이끄는 태평천국을 상대로 전쟁을 벌이고 있다. 미국은 멕시코에게서 텍사스와 캘리포니아를 강탈하고 현재의 국경선을 거의 완성했지만 독립을 선언한 아메리카 연합국과 전쟁을 벌이고 있다. 한편 오스만 제국은 튀니스와 트리폴리를 자국 영토로 합병하고 이트에게서 중동 지방을 빼앗았다. 프랑스 역시 알제리를 완전히 먹어치웠고. 한편 일본은 미국의 영향권 내에서 근대화를 끝마쳐가는 중이다. 중앙아메리카 합중국은 분열되어 여러개의 나라가 되었으며, 페루는 에콰도르가 지배하고 있는 파스타사를 해방시키기 위해 전쟁을 벌이고 있다.
          * Absolute Mornachy(전제 군주정) : 국왕이 다 해먹는 체제. 여당을 플레이어가 바꿀 수 있다. 반동주의, 보수주의, 자유주의만이 여당이 될 수 있다. 자코뱅 반란으로 뒤어지면 입헌군주정이 된다.
          * Prussian Constitutionalism(프로이센식 입헌군주정) : 입헌군주제이긴 한데 사실상 국왕이 다 해먹는 유사 민주주의. 전제 군주정 국가에서 투표를 허가하면 이게 된다. 여당을 플레이어가 바꿀 수 있지만 일정 주기마다 치뤄지는 총선에 따라서도 바뀐다. 무정부 자유주의, 공산주의, 파시스트는 여당이 될 수 없다. 자코뱅 반란으로 뒤어지면 민주정이 된다.
          * HM's Government(입헌군주정) : [[영국]]과 같은 체제. 여당을 플레이어가 바꿀 수 있지만 일정 주기마다 치뤄지는 총선에 따라서도 바뀐다. 자코뱅 반란으로 뒤어지면 민주정이 된다.
          * Presidential Dictatorship(대통령 독재) : 반동주의 반란으로 뒤어진 국가들은 이 정부 체제가 된다. 여당은 무정부 자유주의 정당으로 고정되며 반란이나 전쟁으로만 정부 체제를 바꿀 수 있다.
          * Bourgeois Dictatorship(부르주아 독재) : 무정부 자유주의 반란으로 뒤어진 국가들은 이 정부 체제가 된다. 여당은 무정부 자유주의 정당으로 고정되며 반란이나 전쟁으로만 정부 체제를 바꿀 수 있다.
          * Proletarian Dictatorship(프롤레타리아 독재) : [[소련]]과 같은 체제. 공산주의 반란으로 뒤어진 국가들은 이 정부 체제가 된다. 여당은 공산주의 정당으로 고정되며 반란이나 전쟁으로만 정부 체제를 바꿀 수 있다.
          * Fascist Dictatorship(파시스트 독재) : 파시스트 반란으로 뒤어진 국가들은 이 정부 체제가 된다. 여당은 파시스트 정당으로 고정되며 반란이나 전쟁으로만 정부 체제를 바꿀 수 있다.
         위기가 본격적으로 시작 될 경우, 해당 위기의 "온도"가 올라가기 시작하는 동시에 위기에 끼어들만한 여유가 있는 주요 열강이 모두 소된다. 소된 주요 열강들은 두 세력 중 어디를 지지할지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위기가 진행되던 중 어느 한쪽이 굽히면 그대로 위기가 끝난다. 하지만 양 쪽이 모두 굽히지 않는 상황에서 온도가 100에 도달할 경우 전쟁이 발발한다. 그렇게 되면 주요 열강들은 자신들이 지지했던 세력대로 편을 갈라 싸우게되며, 이때까지 아무도 지지하지 않았던 주요 열강들은 대량의 위신을 잃게된다.
          * A House Divided : 첫번째 확장팩 DLC. 제목은 [[남북전쟁]] 당시 [[에이브러햄 링컨]]의 발언인 "분열된 안은 살아남을 수 없다,"에서 따왔다.
  • 창작:좀비탈출/0 . . . . 11회 일치
         아마도 마지막이 될, 내가 있는 곳의 위치를 남긴다. 여기는 우리이다. 우리집은 대한민국 서울에 위치한 단독주택이다. '''그 사태'''가 일어났을 때, 나는 마침 방학이라 에 있었다. 아버지는 지방 출장을 떠난 상태였으며, '''그대로 연락이 끊겼다'''. 그게 어떤 부분을 자극한 건지, 어머니는 결연한 태도로 혼자 사는 외할머니를 데려오겠다고 말하며 을 떠났다.
         전기와 통신이 살아있을 무렵 두 사람이 있는, 그렇게 추정하는 지역이 '''위험구역'''으로 선포되는 뉴스를 봤다. 정부는 이 일대를 통제할 것이고 더이상의 '''사태 확산은 없을 거'''라고 말했다. 그러는 동안 녀석들은 착실하게 진군해서 그날 저녁 때쯤부터 우리 동네에도 보이기 시작했다. 나는 문을 잠그고 커튼도 쳤고 음악을 크게 틀었다. 주로 체리필터였고 며칠 동안 단 한 번도 끄지 않았다. 나는 조명도 끈 상태에서 혼자 지냈다. 공복과 수면의 사이클이 몇 차례 지나가고 가끔 문을 두드리는 것 같은 소리나 비명소리를 들은 것도 같았지만, 그게 내가 열어줘야 했을 사람들이 아니었기만을 빈다.
         이후로 그 소리가 사라진 적은 없다. 우리의 튼튼한 담벼락이 무색하게 녀석들은 열려진 대문으로 들어와서 산책했다. 방송이 끊어졌지만 우리 동네도 '''위험구역'''에 들어갔다는걸 알 수 있었다. 물론 그건 이 반도 어딘가에 위험구역이 아닌 곳이 남아있을 때 얘기겠지만.
          안에 남아 있는 것을 모두 뒤져서, 어떻게 제법 많은 식량과 물자를 모았다. 이 정도라면 얼마 동안은 움직일 수 있을 것이다. 이 안에 남든, 혹은 여기를 뛰쳐나가든.
  • 창작:좀비탈출/요새편/1-1 . . . . 11회 일치
         ||<:>→||<:><#008000>'''{{{#white 안을 찾아 보자.}}}'''||
         좋은 소식 하나. 우리 에 "쓸만한게 없다"고 한 말은 철회한다. 그건 섣부른 말이었다. 내가 이것들을 재쳐놓았던건 보는 눈이 없었기 때문이었다. 아니면 필요성을 미처 인식하지도 못했거나. 엄마가 정리하는 냉장고에선 콜라 하나도 찾을 수가 없지 않던가? 이제 생존의 목표가 분명해지고 보니 우리 창고가 보물단지나 다름 없다.
         우선 내가 찾아낸 작은 물건들에 감사부터 해야겠다. 꽃삽이다. 아마 어머니가 화단을 정리하면서 썼던 물건이리라. 앞으로 시작될 농사에 혁혁한 기여를 기대한다. 본격적인 농사용구에 비할 바가 아니라고? 그러면 어때. '''맨손'''보단 백배는 낫지. 벌써부터 파헤칠 수 있는 면적이 배로 늘어난 기분이다. 그리고 내가 또 뭘 찾아냈을까? 바로 비료 푸대다. 솔직히 농업적 지식이 없는 나로서는 이게 얼마나 도움이 될지, 어떻게 뿌려줘야 할런지 감이 잡히질 않는다. 우리 어머니는 분명 영어 까막눈일 텐데 어째서 포장지에 영어만 잔뜩 써져 있는 비료를 샀을까? 그 사정을 물어볼 날이 올 수 있을지 자신할 수가 없다. 좌우간 지금은 도움되는 물건이 발견된 것 자체가 기뻐하자.
         다시 내가 찾아낸 물건 얘기로 돌아가자. 우리 에는 생각보다 정원 용품이 많다. 날이 좀 나갔지만 전지가위도 하나 찾았고 어디에나 써먹을 수 있는 목공장갑도 몇 벌 찾았다. 그리고 두툼하고 투명한 비닐 시트도 발견했는데 잘 생각해 보니 겨울에 방한 목적으로 창문에 치던게 기억이 났다. 이게 또 요긴할 것이다. 같이 쓸 수 있는 굵은 철사도 있다. 녹 하나 나지 않은 새것이다. 나는 백지를 받아든 어린애처럼 온갖 상상의 나래를 펼칠 수 있었다. 분명 재료가 부족할게 뻔하지만 작은 비닐 하우스를 만들어서 겨울에 대비하는 그림이 떠올랐다. 그래 지금은 부족하지만 나에게 제일 풍족한건 시간이 아닌가? 시간이 많다는 것, 시간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게 된다는 것만으로 근거도 없이 낙관적이 될 수 있었다. 그것이 생존이란 거겠지.
         이제 마지막 고민이 남아 있다. 애당초 밖에서 활동하는건 상정한 바였다. 문제는 지금이 적절한 때이냐는 것. 이미 각오한 바지만 그렇다고 개죽음할 생각은 없다. 거실에서 보이는 앞마당은 고요하고 새로 만든 방치복은 그럴듯해 보인다. 지금이야 말로 적기가 아닐까? 그런 생각의 한편에선 보이지 않는 뒷마당과 그 너머 토트넘의 안 풍경이 그려진다. 담장을 막 넘는 녀석들과 토트넘의 다시 한 번 죽은 시체를 목도하는 11명의 조기 축구 회원들. 죽어서도 함께하는 그 친구들이 나를 발견하는 모습이 그려진다.
          * [[창작:좀비탈출/요새편/1-1-2|바로 옆으로 가보자.]]
  • 창작:좀비탈출/요새편/1-2 . . . . 11회 일치
         ||<:>→||<:><#008000>'''{{{#white 옆에 가보자.}}}'''||
         얼른 생각나는건 토트넘의 이었다. 그야 거기가 안전할지 어떨지는 나도 확신이 서지 않는다. 하지만 주인이 우리 뒷마당에서 영원히 인사불성이 됐으니 빈이 된거 아닌가? 좋았어. 빈털이 시작이다.
         토트넘의 집은 우리 하고 비슷한 시기에 세워졌고 구조나 면적도 거의 비슷하다. 그렇게 들은 기억이 난다. 하지만 앞마당이 이쪽이 좀 넓었는데 그건 차고를 끼고 있기 때문이다. 뒷문이 따로 있는 것도 그런 이유다. 문제의 차고는 차고문이 활짝 열려 있고 차는 보이지 않는다. 가만 토트넘네 차는 분명…… 그래 '''다이너스티'''. 분명 그런 차였다. 토트넘이 생전에 애지중지하면서 끼고 살았다. 이 불쌍한 양반은 죽어서도 편히 눕질 못하더니 아끼던 차까지 털린 것이다.
          * [[창작:좀비탈출/요새편/1-1|돌아가서 안을 수색한다.]]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74화 . . . . 10회 일치
          * 하지만 아쿠타가와 편장은 너무 "스승님"만 생각하는데다, 애초에 스승님이 무엇의 스승인지도 의문을 갖는다.
          * 출판사에서 미팅 중인 모토바 키리에. 어느덧 팬네임 "키링링"도 생기고 어엿한 예비 작가다. 언제나처럼 스승님(코마루)와 논 이야기를 즐겁게 한다. 듣고 있던 아쿠타가와 편장은 그 얘기를 중단시키며 진짜 미팅을 시작하자고 한다.
          * 아쿠타가와 편장은 키리에가 지나치게 "스승님"에 착하는게 아닌가 우려한다. 그냥 봐도 너무 좋아한다는걸 알 수 있는데다 다른 소재를 그리라고 해도 여전히 스승님을 그려 오질 않나, 편자로선 속터지는 일 투성이다. 키리에는 편장도 스승님의 귀여움을 이해하기 바란다면서 꼭 이 소재로 그림책을 그리고 싶다고 말한다. 편장은 너무 몰아쳐도 창작의욕을 꺾을 수 있다 판단, 스승님에서 벗어나라는 이야기는 하지 않겠다고 한다.
          * 이 만화에서 아무도 묻지 않았던 터부를 건드린 편장. 정작 키리에 자신도 생각해본 적이 없는지 아무런 대답도 하지 못한다. 미팅 후 도마가에서 우마루(코마루모드)와 노는데, 미팅의 일 때문인지 넋이 나간 상태. 편장은 그림책 상에서 설명할 필욘 없지만 "작가 본인은 알고 있어야 한다"는 정론으로 지적했던 것이다. 키리에도 그것만은 부정할 수 없었다.
          얼마 뒤 귀가한 도마 타이헤이. 에 돌아오자 마자 대낮부터 건어물도에 매진하는 두 소녀를 발견한다.
  • 몽키 D. 루피 . . . . 10회 일치
         ||<:>싫어하는 음식||<:>어느 가게의 체리 파이(그냥 싫어함)[* 자야의 술에서 [[마샬 D. 티치]]가 먹던 체리 파이다]||
         모험과 스릴을 즐기는 취향이 원인 중 하나. "목숨보다 모험이 중요하다"고 말하기도 하고, 섬의 위험도를 알려주는 기록지침을 보자마자 '''가장 위험한 섬'''으로 진로를 결정하기도 했다.[* 이 탓에 나미와 우솝은 이런 기능은 필요없다고 말하기도...] 원피스의 테마를 드러내기엔 가장 적절한 선택이지만, 한 단 리더로서 합리적인 판단을 내리는 능력은 아직 부족하다. --아무래도 신세계를 [[에버랜드|에X랜드]]같은 곳으로 생각하는 모양--
         동료나 가까운 사람을 소중히 여기는 것도 무모함의 이유 중 하나다. [[세계정부(원피스)|도저히]] [[임펠 다운|승산이]] [[정상결전|없는 상황]]이라도 동료가 위험하면 싸움을 건다. 어느 때나 동료의 강함을 믿는 것은 루피가 가진 리더십의 원천이지만, 오히려 일당 전체에 더 큰 위기를 초래하기도 한다. 샤본디 제도에서 천룡인만 때리지 않았어도 밀짚모자 일행이 흩어지는 일은 없었을 것이다. 다만 처음부터 밀짚모자 해적단 선원 대부분이 평범하고 상식적인 대응을 하는 해적단이었으면, 처음부터 입단할 일이 없었다. 실제로 정작 당사자인 선원들은 하찌가 총에 맞아서 천룡인을 때린 상황에 대해서 불만을 보이지 않았다. 실제로 조로는 천룡인을 베려고 검을 뽑았다가 루피가 선수를 치자 검을 다시 어넣기도 [* 선장의 행동이라고 무조건 허용한다는 말은 아니다! 정말 무모하게 행동할 때는 선원들도 저지한다.][* 즉 루피가 무모하고 정신나간 성격인 것은 맞지만 어차피 여기에 들어온 인간들이 죄다 비슷한 인간들이다.(…) 나미, 조로, 상디, 우솝 등은 자신들이 루피보다 상식적인 인간이라 여기며 실제로도 루피보다'''는''' 상식적인 인간이지만 주변 평가는 '''다 똑같은 미친 것들'''(…)]
         [[드래곤볼]]의 [[손오공(드래곤볼)|손오공]][* 사실상 거진 오마쥬 캐릭터 같은 느낌에 가깝다. 먹보에 감으로 행동하고 동료를 중요시하며 자유로운 성격에 강한 적과 싸우고 싶어 하는 호승심, 적을 잘 죽이지 않는다는 점까지. 그리고 반죽었다가 살아나면 강해지는 사이어인스러운 면까지] 으로 대표되는 먹보 캐릭터로 식사를 하루 다섯 끼로 계산하고[* 알라바스타 왕국편에서 [[크로커다일]]과의 전투 후 의식을 잃고 자신이 3일만에 깨어났다는걸 알자마자 한다는 말이 '15끼를 건너뛰어 버렸어!!(...)'. 하루에 '''5끼'''씩 3일로 계산하면 15끼가 된다. 그런데 원래 뱃사람들은 환경 적응과 육체 활동 때문에 칼로리 소모가 극심해서, 보통 식사를 다섯 끼 정도로 계산하여 섭취한다. 그렇지만 원피스의 세계에서는 뱃사람들도 세 끼를 먹고, 다섯 끼를 '유독 많이 먹는' 편으로 취급할지도 모른다. 아니면 그냥 한 끼에 먹는 양이 보통 사람들보다 많아서 뱃사람도 세 끼만 먹는 걸지도. 작중 식사 씬을 보면 연회가 아니라도 확실히 양이 많다.] 특히 고기라면 환장을 하기 때문에[* 가장 좋아하는게 고기일 뿐이지 다른 음식을 가리거나 하는 일이 없고, 더불어 고기가 많다고 고기를 우선적으로 먹거나 하지도 않고 있는 대로 다 어먹기 때문에 사실 영양이 치우쳐 있을 가능성은 그렇게 크지는 않다. 무엇보다 상디가 영양 밸런스도 신경쓰지 않을만큼 어수룩한 요리사도 아니다. SBS에서 독자가 "루피는 그렇게 많이 먹고도 왜 살이 안 찌나요?" 라고 작가에게 물어봤는데 작가 왈 '''"저렇게 날뛰고도 살이 안 빠지는 게 오히려 이상한 게 아닐까요?"'''] 하루 이상 깨어나지 않아야 하는 상황에서도 고기라는 발언에 반응해 깨어나기도 했다. 다쳐서 의식 없이 드러누워 있으면 굶어야 하는 게 싫어서 그런지 후반 들면 자면서도 밥을 먹을 수 있게 되는 등 좀 이상한 데로 발전하기도 했다.[* [[CP9]]의 [[로브 루치]]와 싸우고 이틀간 자면서 먹는 스킬을 썼다. [[몽키 D. 가프]]가 사랑을 실은 주먹으로 때려서, 강제로 일어나긴 했지만] ~~그리고 일어나면 밥 먹은 기억 없다고 또 처먹겠지~~ ~~대표적인 먹보 캐릭터인 손오공도 차라리 잠을 푸욱 자면 잤지, 자면서까지 저리 먹어대지는 않는다.(...)~~ 비명이 나올정도로 맛이 없다는 악마의 열매를 와작와작 잘 씹어 먹은걸 보면 맛치일지도 모른다. 사실 싫어하는 음식은 하나뿐이고 그 하나도 맛 때문에 싫어하는 게 아니다.
         또 다른 의견으로는 [http://blog.naver.com/dogoora/178369386 루피의 어머니가 해적이었다]는 글이 있다. 후샤 마을 촌장이 루피의 수배서가 나왔을 때, 마키노의 술에서 "꿈인지, 운명인지"라는 발언을 한 적이 있다. 이와 연계해서 생각해보면 가능성은 있는 셈. 그러나 어디까지나 가설이지 확정된 것이 아니니 주의바란다. ~~[[사보(원피스)|근데 이 사람의 가설이]] [[쥬얼리 보니|맞는 게 있어서 문제지]] [http://blog.naver.com/dogoora/178080987 #][http://blog.naver.com/dogoora/179497470 #]~~
          * '''[[제트(원피스)|제트]]''' - 극장판 12기 한정.[* 극장판 11기에는 실력자가 없었다.] 제트와의 3 번째 대결에서 끝내 이겼다. 하지만 3 번째 대결때는 기어를 이용해서 싸워 왔으나 막판에는 단순히 무장색 강화만 써서 서로 주먹 교환에 중했다. 이 때 제트가 신념에 신념으로 답해준다면서 핸디캡으로 오직 팔에다가만 무장색 패기를 두르고 공격을 맞아주었기에 건강과 나이 때문에 한계가 있었기에 이길 수 있던 것.[* 실제로 루피의 무장색 패기를 담은 주먹은 제트의 부하인 슈조의 무장색 패기 + 철괴에도 큰 타격을 주지 못하거나 패기를 담은 주먹에 막히기도 했다. 30년이 넘게 무장색 패기 마스터로 이름을 날렸던 제파의 패기의 힘을 생각하면 제파가 전신에 무장색 패기로 무장을 했다면 루피는 데미지를 줄 방법도 없었다.][* 그러나 이 싸움마저도 루피의 모든 기술을 쏟아부으면서 싸우지 않았다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 엘리펀트 기술도 쓰지 않았다는 점도 있고 레드 호크(불주먹)같은 기술도 쓰지 않았다는 것도 있다. 사실 이런 기술은 2년 후에 루피가 등장하면서 쓴 지 얼마 안 되었던 기술이고 게다가 현재 시점으로 아직 2년 동안 수련된 상태의 루피의 기술이 아직 다 나오지 않았다.]
          * [[볼사리노]] - 파시피스타 때문에 이미 궁지에 몰린 상황에, 나타나 루피 일당을 더욱 몰아 붙였다. 루피도 '''"지금의 우리들로는 이녀석들을 못이겨"'''라고 인정. 그러자 키자루는 '''"솔직해서 화가 나네."'''라고 반응한다. 이후 전쟁터에서도 루피를 공격하거나, 광속 발차기로 루피를 위기로 몰아넣었다.
         > 우리 목숨정도는 같이 걸어보라고! ''' 동료잖아!'''
         > (자신의 목소리가 국왕군, 반란군에게 들리지 않는다며 좌절한 비비에게)걱정 마, 네 목소리라면 '''우리에게 들리고 있어!'''
          * 루피라는 캐릭터가 처음 등장한 것은 원피스가 아닌 Romance's dawn이라는 오다 에이치로 작가의 단편이다[* 단편인 원티드에 실려있다.]. 하지만 본편 원피스랑 분명 별개의 인물이다. 어렸을 때는 해적이 되지 않겠다고 하다가 고무고무열매를 먹어버린 후엔 '난 원래 해적이 되고 싶었다'고 하면서 운 적이 있으며, 가프가 해군이 아니라 해적으로 등장한다.
  • 원피스/843화 . . . . 10회 일치
          * 일행은 홀 케이크 성으로 향하던 제르마의 고양이 마차와 마주치고 상디는 밀모자 일행을 발견하고 크게 당황한다.
          * 가렛은 크래커가 밀모자 일행을 처리하기 위해 유혹의 숲에 갔던 걸 기억해낸다.
          * 오페라는 크래커가 이렇게 됐으니 "적"이 가까이 있는게 틀림없다며 밀모자 일행의 접근을 감지한다.
          * 루피는 평생 먹을 비스켓은 다 먹었다고 꼼짝도 못하는데 왠지 몸이 좀 줄어들었다.
          * 루피는 듣고 있다가 "화가 난 건 우리"라고 받아친다.
          * 빈스모크 저지는 저들이 밀모자 일당이라는 걸 눈치챈다.
          * 자신의 두 손과 밀모자 일행, 그리고 제프의 목숨까지 걸려 있는 상황. 상디는 갈등 끝에 결정을 내린다.
          * 상디는 밀모자 일당의 신세가 처량해 어울려준 것일 뿐이라며 모욕한다.
         지난 화에서 상디의 기사도가 제프의 교육 탓이었음이 밝혀졌기 때문에 여자를 밝히는 성미도 당연히 그 영향일 거라고 추측됐는데, 걍 안내력이었다.--피는 물보다 진하다.-- 루피는 거들떠도 안 보던 빈스모크 형제들이 하나같이 하트 눈이 돼서 나미에게 중.
  • 유키히라 소마 . . . . 10회 일치
         주로 요리하는 건 정식 요리이며, 다른 캐릭터들이 양식으로 승부할 때도 혼자만 정식 요리로 승부한다. 그 이유는 아버지에게 정식 요리만 배워서 그렇다.[* 이는 아버지인 사이바가 직접 언급했다. 실제로 소마는 작업의 속도와 정확성 등은 졸업생들도 인정할 정도로 뛰어나지만, 요리에 대한 지식 수준은 매우 얕다. 조식 뷔페 메뉴 대결에서 뷔페 메뉴에서 중요한 맛의 지속성과 겉보기에서 최악인 수플레 오믈렛을 선택한다거나, 113화에서 아벨이 프렌치의 기초도 모른다고 하는건 다 이 때문이다.] 이외에도 정식 요리 특성상 누구든지 맛있는 요리를 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후, 앞으로 E점[* 최하위에서 바로 위 평가등급으로 토오츠키는 A~E의 5등급과 최하위 평가 판정인 우리가 알고 있는 F에 해당하는 '불가'가 있다.]을 한 번이라도 더 받으면 강제 퇴학이라는 위기에 놓여있던 [[타도코로 메구미]]와 콤비가 되어 조 편성 시험을 치루게 된다. 다른 조원의 방해가 있었으나 벌꿀을 사용한다는 지혜를 발휘해 A점수를 받으며 통과하게 된다. 메구미는 소마를 대단한 사람이라고 생각하게 되나, 이후 '''오징어 벌꿀 절임'''을 시식당한다(…).
         합숙 이틀째, 시노미야의 '9가지의 채소를 이용한 테린 시험'을 치를 때 본인은 여유롭게 통과하지만, 메구미는 퇴학당한다. 시노미야는 채소를 선별하는 능력 여부를 확인하려고 일부러 질이 안좋은 야채들을 섞었는데 좋은 채소를 시험생들이 직접 게 했기에 시험생들 사이에 몸싸움이 치열했고, 메구미는 그 사이에 끼여 제대로 된 채소를 구하지 못했던 것.
         그러나 도지마는 메구미가 메인으로 요리할 것을 요구한다.[* 원래 식극은 1대1이지만 이번은 소마와 메구미 페어 vs 시노미야의 형태였다.] 소마는 반발하지만 도지마는 '유키히라.. 네 요리로 이겨서 타도코로가 살아남았다고 치면 거기에 무슨 의미가 있지? 남의 뒤나 쫓아다닌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아. 결국 다른 과제에서 떨어져 버리겠지. 그때도 네녀석이나 다른 누군가가 도와줄건가? 토오츠키에선 자신의 가치는 그 팔로 증명하지 않으면 안돼. 타도로코가 토오츠키에 남아야 하는 인재인지 아닌지 그것을 입증하는 것은 그녀 자신.'이라고 일침을 가한다.
         긴장해서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메구미에게 소마는 에서 배운 긴장을 푸는 방법이라며 손을 때리고 자신이 지면 소마가 퇴학당할 것을 걱정하는 메구미에게 '아버지가 말했다고.. '''요리라는 건 접시 위에 자신의 모든 것을 올린다는 것이다''' 라고-', '쓸데없는 건 신경쓰지 마. 타도코로다운 요리를 만들면 돼.'라고 용기를 준다.
         심사위원들은 7가지 테린과 2가지 소스로 14종류의 맛을 느낄 수 있다며 감탄하고 메구미는 도나토 고토다에게 '레귬[* Legumes 야채]의 코로폿쿠루[* 아이누 전설에 나타나는 소인(小人)의 선주민(先住民)]', 이누이 히나코에게 '레귬의 자시키와라시[* 혹은 창고에 산다고 여겨지는 정령과 같은 존재. 어린아이의 모습을 하고 있다]', 세키모리 히토시에게 '레귬의 유킨코[* 눈이 내렸을 때 나타난다고 하는 어린아이 모습의 눈의 정령]'이라는 찬사를 듣는다. --그리고 미즈하라 후유미에게 왜 요괴들 뿐이냐는 츳코미를 듣는다--
          2. 손에 물을 묻히고 ①을 햄버그 모양으로 만든 다음 참기름을 둘러 달군 프라이팬에 굽는다. 표면이 노릇노릇해지면 뒤어서 약불로, 뚜껑을 덮어 3분간 찐 다음 그릇으로 옮긴다.
  • 맥스 페인/줄거리 . . . . 9회 일치
         >인생은 좋았다. 달콤한 여름 날의 해넘이, 깔끔하게 깎인 잔디밭의 싱싱한 냄새, 아이들이 뛰노는 소리…. 뉴저지의 강 너머 . 그리고 아름다운 아내와 어린 딸. 아메리칸 드림이 실현되었다. 하지만 꿈이라는건 보고 있지 않으면 무너지는 나쁜 습관이 있다.
         맥스가 뉴저지 주에 있는 으로 돌아 왔을때, 의 분위기는 심상치 않았다. 방에는 V자와 주사기가 그려져 있었다. 누군가가 안에 쳐들어온 것이었다. 맥스는 마침 에 걸려온 전화를 받아 911에 연락해 달라고 부탁하지만, 전화 건너편의 여자는 도와줄 수 없어 유감이라는 말만 하고는 전화를 끊어버린다.
         기절한 맥스는 가족들이 몰살당한 날의 악몽을 꾼다. 언제나 그렇듯이. 맥스는 뉴저지에 있던 에 들어왔다. 딸의 울음과 아내의 애원이 들리지만 2층으로 올라가는 길은 복잡한 미로로 되어있었다. 맥스가 2층으로 올라가 아기 방 문을 열었을 때, 오르골 소리와 울음 소리만 들릴 뿐 아기는 없었다. 아무것도 없는 곳으로 뻗어나간 핏줄기가 있을 뿐이었다. 맥스는 핏줄기를 타고 아기한테 갔을때, 아기는 핏투성이가 되어서 움직이고 있었다. 하지만 순식간에 아기는 사라지고, 옆에 놓인 알파벳 블록 장난감이 스스로 움직여 D3AD(죽었음)라는 글자를 만들어낸다. 맥스는 아내의 울음소리를 듣고 침실로 향한다. 침실 문을 열고 권총을 쏜다.
         남자는 자신을 "방망이" 프랭키 나이아가라라고 소개했다. 그의 이름을 들은 맥스는 잘 울어서 나이아가라냐고 프랭키를 도발해보지만 머리를 야구방망이로 두들겨 맞을 뿐이었다. 맥스를 두들겨 팬 프랭키는 잠시 바에 가서 시원한거나 마신후 시작하자며 맥스를 남기고 가버린다. 프랭키가 가자 맥스는 의자를 부숴 포박에서 풀려난다. 그러고는 프랭키가 놓고간 야구방망이를 어든다. 맥스는 무기를 찾아내 다시 무장하기 시작한다. 그러던 와중 프랭키에게 죽은 사람들의 시체가 하수구에 버려져 있는 것도 목격한다.
          * 호텔 앞 도로의 양 옆은 경찰 버스로 막혀 있다. 본부에서 아무리 무전을 날려도 응답하지 않는데, 한쪽 경찰 버스가 뒤어져서 불타고 그 곁에 경찰관들 시체가 있는걸 보면 펀치넬로 마피아들에게 털린 듯. 경찰 뭐하냐.
         다시 맥스는 뉴저지의 으로 돌아온다. 맥스는 미셸과 딸의 울음소리를 들으며 핏줄기로 된 미로를 통과한다. 미로의 끝에는 딸의 요람과 촛불들이 있었다.
  • 몽키 D. 루피/작중행적 . . . . 9회 일치
         이후 금남의 섬 [[아마존 릴리]]에 떨어진 루피는 형 [[포트거스 D. 에이스|에이스]]가 임펠 다운에 갇혔다는 소식을 듣고, [[보아 행콕]]의 도움으로 임펠 다운에 잠입한다. 그리고 에이스가 갇혀있는 LEVEL 6로 가던 중 LEVEL 1에서 [[버기(원피스)|버기]], LEVEL 2에서 [[Mr.3]], LEVEL 3에서 [[Mr.2 봉쿠레]]와 합류해 임펠 다운을 휘젓는다. 그러다 LEVEL 4에서 만난 임펠 다운의 형무소장인 [[마젤란(원피스)|마젤란]]의 [[독독 열매]]의 능력 앞에 패배, 맹독에 중독된 채 LEVEL 5로 이송되고 목숨을 잃을 위기에 처한다.
         요하게 추적하는 아카이누의 공격에 징베도 루피도 부상을 입었을 때, 전장에 [[트라팔가 로]]가 등장해 자신에게 맡기라고 하고 [[버기(원피스)|버기]]가 둘을 공중에서 로의 잠수함 방향으로 던져 준다. 이 때 밀짚모자를 전장에 떨어트리고 가는데, [[샹크스(원피스)|샹크스]]가 전쟁을 끝내기 위해 등장한다. 샹크스는 바닥에 떨어진 밀짚모자를 주웠으나, "지금 만나기에는 너무 이르다"며 버기를 통해 [[트라팔가 로]]에게 넘겨주었다.
         그렇지만 자신에게 침을 뱉은 에이스에게 화를 내긴 커녕, 오히려 '''"우리 친구하자!"'''라고 말하기까지 했다. 그러나 에이스는 친구하자며 따라다니는 루피가 귀찮은지 나무를 굴려버리고 다리를 끊기까지 했었다. 그 날 루피가 사라진 줄 알았으나 루피는 어릴 적에 훈련 받은 덕분인지 살아서 왔다. 단 상처 투성이었다.
         에이스가 돈을 훔쳤던 해적단의 일원인 폴쉐미가 찾아와 '그 녀석이 오늘 우리 돈을 훔쳤는데 어디에 숨겼는지 아냐.'라고 했을 적에 거짓말로 '몰라~'라고 대답했으나 거짓말 못하는 게 다 티났다(…). 그래서 그 해적단에 의해서 어딘가로 끌려가게 된다.
         이후 선수관람석에서 베라미의 B블록의 경기를 잠시 동행하게 된 캐번디시와 지켜보는 도중 콜로세움에 참가한 [[돈 칭자오]]가 나타나 '''"[[몽키 D. 가프|가프]]는 잘 계시는가? 루피 아우"''' 하고 물어보자 생각없이 바로 아저씨는 어떻게 할아버지를 아냐고 대답하는 바람에 또다시 정체를 발각당한다. 그리고는 옆에서 이를 들은 캐번디시가 루피가 맞냐며 추궁하자 당황하며 루피가 아니고 루시라며 발뺌하고,[* 이 와중에도 돈 칭자오의 계속되는 도발에 꼬박꼬박 반응하며 자기가 루피인 것을 계속 [[인증]]한다.~~역시 바보~~ 캐번디시도 그렇고 칭자오도 그렇고 애먼 데다 원한을 품은 인물들 때문에 보통 보케 담당인 루피가 츳코미를 해대는 진풍경을 볼 수 있다(…).][* 캐번디시 曰 "남의 인기나 뺏질 않나 귀신의 손자로 태어나질 않나… 순 원망만 사는 쓰레기 자식." 이에 루피 曰 '''"그거 다 내 알바 아니라니까?"'''] 돈 칭자오는 가프에게 수없이 살해당할 뻔 했다며 루피의 할아버지인 '''악마 가프'''[* 돈 칭자오가 활동하던 당시의 해적들에게 있어 가프는 악마로 통했다고 한다.]에게의 빚을 손자에게 갚겠다며 루피?를 공격하고, 이에 루피는 전력으로 머리통을 후려갈기지만 전혀 통하지 않고 흥분한 돈 칭자오는 계속 루피를 공격하려 하나 주변의 만류로 일단 와해된다. 이후 '''경기고 뭐고 일단 밀짚모자를 잡겠다는 캐번디시를 피해''' 관람석 외벽에 매달려 [[바르톨로메오(원피스)|바르톨로메오]]와 싸우던 [[베라미]]를 응원하지만, 결국 베라미는 엘리자벨로 2세의 왕의 펀치에 휘말려 탈락한다.
         하이루딘을 쓰러트린 후, 떨어진 무기를 수해 총알처럼 사용하는 참가자 "강도 쟝"[* 현상금 사냥꾼으로 현재 목표가 루피의 임펠다운 사건 당시 탈옥했던 죄수 전원을 잡아서 현상금을 받아내는 것이라고 한다. 실제로 그 중 ~~쩌리들~~몇십 명은 잡아서 현상금을 받은 듯.] 이 루피의 정체를 눈치채고 투구를 빼앗은 뒤 공격하지만 루피는 견문색으로 날아오는 무기들을 여유있게 피하며 접근해 투구를 되찾는다.[* 그리고 강도 쟝은 루피를 발견하고 뒤쫒아온 돈 칭자오가, '''하필 루피가 피한 무기들을 죄다 배에 맞는 바람에''' 아프다며 날린 박치기를 맞고 그대로 리타이어.] 뒤이어 계속 루피를 노려온 돈 칭자오와 서로 무장색 주먹을 부딪히며 마침내 맞붙는다. 둘은 실로 대등한 결투를 펼치나 늙은 돈 칭자오가 조금 밀리기 시작한다. 이후 돈 칭자오에게 '''늙은 자신과 호각을 이루는 정도라면 가망이 없다'''는 소리를 듣고, 겨우 이런 수준의 인간을 레일리가 선택했다면 레일리도 눈이 썩었다, 오히려 에이스를 죽인 해군의 판단이 옳았다 등등 여러가지로 화나게하는 말을 듣고 하늘높이 날아올라 칭자오에게 '''핵꿀밤'''(정확히는 고무고무 토르 엘리펀트 건)을 날려준다. 루피의 공격을 머리통에 직격으로 맞은 칭자오는 과거 가프에게 얻어맞아 찌그러졌던 두상이 다시 솟아오른다. [* 원피스 세계관의 골격변화는 참 경이롭다. 한데 젊은 시절의 가프가 특훈까지 해서 주저앉힌 두개골이 고작 루피의 펀치 정도로(?) 복구시킨 걸 보면 칭자오도 노화로 뼈가 약해진 것이 아닐까….] 그와 동시에 칭자오는 정신을 잃은 건지 경기장으로 곤두박질 치는데 뾰족해진 두개골에 경기장 바닥이 말 그대로 '''두동강'''나고 칭자오는 물에 빠져 장외 판정을 받는다. 이로써 루피는 C블록의 우승자가 된다.
         먼저 막아서는 피카는 조로가 담당하기로 하고 루피는 로와 함께 우시를 타고 성으로 단 돌격, 켈리 펑크도 합류하고 로빈과 전보벌레로 합류를 결정하고[* 로의 수갑을 풀 열쇠를 비올라가 찾아내 로빈, 바르톨로메오, 레베카가 찾아가기로 했다.] 접선 장소인 해바라기 밭으로의 지름길로 갔다가 물웅덩이에 막혀 전전긍긍하던 중 분신 도플라밍고와 조우, 우시가 당하는 사태가 일어난다. 루피는 기어 3를 이용해 3층으로 수직상승했고, 캐번디시의 말을 얻어타서 이동 중이다. 도중에 퀴로스도 합류. 그리고, 돈키호테 패밀리 간부들에게 고전하던 콜로세움 네임드들이 제멋대로 움직이던 행동을 접고 '''루피에게 길을 내어주기로 한다.''' 그렇게 해서 이들의 엄호를 뒤로 하고 루피는 캐번디시, 퀴로스와 함께 해바라기 밭으로 질주하게 된다.
         784화에서 드디어 기어4가 등장. 명칭은 '''기어4 바운스 맨'''. 무장색 패기를 이용해서 탄력을 극한으로 강화한 모습이다. 고스트 루피를 연상시킬 정도로 몸이 커지며 무장색으로 강화된 부분이 문신처럼 보인다. 이 상태에서는 신체를 몇 단으로 압축, 발사하는 것으로 강력한 파워와 놀라운 스피드를 겸비할 수 있으며 육식의 월보처럼 허공을 차며 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고무고무 총에 추적기능이 추가되어 도플라밍고의 움직임을 쫓아가 명중시키기도 한다.~~올레인지 공격?~~
         기어4로 전세를 역전시켜 도플라밍고를 순식간에 궁지로 밀어넣는데 성공하나 기어4는 강력한 만큼 부작용도 심해서 약 10분 간 지쳐 쓰러지고 만다. 한편 도플라밍고는 "능력자에게는 각성이란 경지가 있다"면서 주위 사물을 실로 만들면서 반격을 시작, 다시 위기에 처한다. 새장도 해제되지 않고 시시각각 조여오는데, 이때 나머지 간부들을 정리한 밀모자 일당과 콜로세움 일행이 합류해 시간을 벌고 있다.
  • 식극의 소마/194화 . . . . 9회 일치
          * [[사이바 죠이치로]]는 자신이 지면 정식 유키히라를 폐업하고 [[나키리 아자미]]의 부하가 되기로 약속. 아자미는 기뻐하며 받아들인다.
          * 연대식극(레짐 드 퀴진). 학생 단 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식극 룰이다. 두 진영으로 나뉘어 각자 선수를 내보내고 생존한 자들끼리 승부를 반복, 한 쪽 진영이 전멸할 때까지 계속한다.
          >우리가 진다면 "유키히라"를 폐업하마.
          죠이치로는 패배시 정식 유키히라의 폐업과 자기 자신이 아자미의 개가 되는 것을 조건으로 던진다.
          아자미는 이미 이긴 것처럼 "오늘은 기쁜 날"이라고 선언한다. 고작 정식에서 썩고 있던 죠이치로를 구원하게 됐다는 것이다. 그러나 타쿠미가 "이겼다는 듯이 말하지 마시죠. 우리들이 이길 테니까!"라고 찬물을 끼얹는다. 타도코로도 패배한 동료들을 떠올리며 "모두를 구하고 싶다"고 필승의 의지를 다진다. 기세가 오른 타쿠미가 소마에게도 "우린 하나가 되어 싸울 것, 그렇지 않냐"고 한 마디 권한다. 하지만 소마는 무언가 생각에 골몰해 있어 어영부영 답한다.
          * 타쿠미와 타도코로는 대체 그들의 학생 시절에 무슨 일이 있었던 건지 궁금해한다. 이미 그들을 말려들게 한 탓인지 도지마는 한 장의 사진을 꺼내며 이야기를 시작한다. 그 사진은 3학년일 때의 자신과 죠이치로, 그리고 1학년이던 아자미가 찍혀 있다. 도지마는 이 사진을 보이며 "우리 세대의 주역은 죠이치로"였다고 말한다. 하지만 당대의 십걸 1석은 도지마. 타쿠미는 그 점을 들어 도지마야 말로 그 세대의 정점이 아니었냐고 묻는다. 그런데 도지마가 놀라운 사실을 공개한다.
          >우리 제 69기생 최강의 요리인
          >이 사진을 찍었을 때... 그 무렵엔 이미 우리들이 보고 있던 요리의 세계와...
  • 어쌔신 크리드 III/부가요소 . . . . 9회 일치
         == 수 ==
         === 연감 수 ===
         연감을 찾기 힘들면 잡화점에서 해당 지역에 연감 지도를 구매하면 된다. 물론 찾아서 는건 네가 해야한다.
         깃털을 찾기 힘들면 잡화점에서 해당 지역의 깃털 지도를 구매하면 된다. 물론 는건 네가 해야한다.
          * 시민들의 을 공격하는 세금징수인 무리를 쓰러뜨리는 임무.
          * 보스턴 남부: 징 - 클리퍼 윌킨슨
          * 징당해 끌려가는 사람들을 구조하는 임무.
          * 도망가는 사람을 징하기 위해 쫓는 사람을 처치하는 임무. 말타고 추격전을 벌이기 때문에 말이 필요하다.
          * 군인들에 의해 에서 쫓겨날 위기에 처한 가족들을 구해주는 임무.
  • 요괴:선풍기 . . . . 9회 일치
         기괴한 형상의 요괴로서, 납짝한 발 하나에 길쭉한 몸통이 붙어 있다. 머리는 큰데, 철망으로 덮혀 있으며, 철망 안에 팔랑거리는 부채가 3~4개 달려 있다. [[여름]]에서 안에 자주 출몰한다. 다른 때는 대개 창고 같은 곳에 숨어 있다. 기계가 저 스스로 움직인다는 점에서 [[일본]]의 [[츠쿠모가미]]와 유사한 종류이다.
         || "그거"야 현장에 언제나 있는 거죠. 여름철이지 않습니까? 거실이나 안방할 거 없이 사람이 누워있는데면 하나씩은 있습니다. 우리 에도 가보면 방마다 하나씩이 아니라 사람 수대로 하나씩 있어요. 이거 없이 열대야를 넘기라면 못할 짓입니다. 부엌에 식칼이 있다고 이상하게 여기는 사람이 없듯이 현장에 이게 놓여 있어도 아무도 신경쓰지 않았어요. 그건 당연한 겁니다.
         우리는 한달 동안 그 방을 샅샅히 뒤졌습니다. 아마도 그 여관을 설계한 사람보다 우리가 더 자세히 알고 있을 겁니다. 물론 그게 설계도라는게 존재하기나 할때 얘기겠지만. 뜯을 수 있는 거면 장판부터 벽지, 못자국 막은 스티커 하나까지 다 뜯어 봤어요. 할 수 있었으면 틱틱대는 주인양반 머리통도 뜯어버렸을 겁니다. 그 빌어먹을 요강 속에 든게 우동사린지 확인해 봐야죠.
         성과요? 없었습니다! 그래서 그런 짓을 하게 된 거죠. 누가 그러더군요. "방"에 범인이 있다고... 아니 웃지 마세요. 미친 소리처럼 들리겠지만 어쩔 수 없었어요. 내 말을 들어요. 난 평생 그런 얘길 진지하게 들어본 적이 없습니다. 그때도 그랬고요. 하지만 생각해 보세요. 이 사건 하나에 매달려 있는 동안 내 담당이었던 사건 용의자 두 명이 공소시효를 넘겼어요. 상부에서는 하루가 다르게 뱉어대는 말이 험해지고 일주일 쯤 에 못 들어갔더니 마누라가 전화로 이혼 얘기를 꺼내더군요. 그 밤이 되기 하루 전에는 내 아들이 대회에서 첫 우승트로피를 받았는데 나는 걔가 무슨 대회에 나가는 건지도 모르고 있었어요. 상황이 그렇게 돌아가면 무슨 개소리를 듣던지 간에 까짓것 해보지, 이런 생각 안 하게 생겼어요?
         그래요 자포자기였던 거죠. 별짓을 다 해봤으니까 이짓도 못할건 없겠다, 차라리 이쪽이 "재미"는 있겠다 싶은 생각도 들었습니다. 그 왜 일부러 폐가 같은데 뒤지고 다니는 사람들도 있잖아요. 종종 민원이 들어가서 잡으러 갈 때가 있죠. 남의 사유지를 멋대로 들쑤시면서 심령어쩌구 저쩌구하는 또라이들. 어쩌다 보니 나도 그 짝이 됐네요.
         감식반은 괜찮다고 말했지만 나는 찝찝했어요. 현장은 내보다 자주 들락거리지만 그렇다고 거기서 먹고 자는건 아니니까요. 화장실에서 밥먹고 식당에서 세수하는건 어색하잖아요. 현장은 아직도 우리가 그어 놓은 표시가 남아있었어요. 며칠 내로 치워줘야겠지만 그때까진 살인현장이라는 분위기를 유지하고 있었죠. 입장이 달라졌기 때문인지 그저 사무적으로 바라봤던 그 공간이 거슬리기 시작하더군요. 뭐랄까, 그 공기가 팽팽하게 당겨져 있는 느낌... 비유가 이상했군요. 그건 일종의 냄새였을지도 모르겠어요. 혼자 있는데 내가 뛰지 않은 방귀를 맡는 기분. 이것도 이상한 비유군요. 어쨌든 그랬어요. 이상한 긴장감 속에서 밤을 지새게 되었죠.
  • 원피스/849화 . . . . 9회 일치
          * 진짜 캐럿은 지붕에 숨어있다 튀어나와 솥을 뒤는다.
          [[빈스모크 니디]]가 빅맘 측에서도 인질을 원하지 않겠냐고 하는데, [[빈스모크 이치디]]는 헛소리 말라며 "상디를 죽인다고 해봐야 우리가 눈하나 깜짝하겠냐"고 말하고 욘디가 웃음을 터뜨린다. 니디는 아무튼 상디와 생활이 기대된다고 음흉한 미소를 짓는다.
          * 미러월드의 [[샬롯 브륄레]]의 . 아직도 [[캐럿(원피스)|캐럿]]을 요리하고 있다. 캐럿은 부글부글 끓는 솥 위에 매달려 있는 상태. 브륄레가 솥을 젓고 있고 학기사 랜돌프를 비롯한 부하들이 솥 주위에 모여서 음식을 기다리고 있다. 잡힌 척하고 있는 [[쵸파]는 캐럿을 죽이지 말라고 연기하고 있지만 사실 잡혀있는 캐럿은 진짜가 아니다. 그건 브륄레가 만든 가짜. 자신의 능력으로 개구리를 캐럿의 모습으로 바꾼 것이다. 아마 쵸파를 혼란시키려고 한 짓같지만 이번엔 자기 무덤을 판 짓이 됐다.
          *요리가 무르익으면서 이제 캐럿을 삶을 차례다. 랜돌프가 칼을 들어올려 가짜 캐럿이 매달려 있는 줄을 끊으려 한다. 캐럿은 돌팔매로 랜돌프를 제압하고 재빨리 뛰쳐나가 가짜 캐럿에 매달린다. 디젤은 이런 움직임을 눈치챘지만 한 발 늦었다. 브륄레도 토끼가 두 마리라며 자신의 실수를 깨달았지만 캐럿이 솥을 뒤어 엎는데 휘말려 뜨거운 물을 뒤어 쓴다.
          * 소란이 벌어지자 쵸파는 브레인 포인트를 써서 몸을 작게 줄인다. 큰 몸에 맞춰졌던 포승이 저절로 풀리자 쵸파는 럼블볼을 복용한다. 그 사이 캐럿은 가짜 캐럿, 개구리까지 구해내고 안전하게 지상에 착지. 부하들이 브륄레를 도우러 달려들자 젖은 바닥으로 전기충격인 "일렉트리컬 루나"를 사용해 전부 감전시킨다.
          * 상디는 자기 방에서 꽃다발을 다듬고 있다. 그때 빅맘의 부하가 와서 밀모자 일당의 행방에 대해 소식을 전한다. [[몽키 D. 루피]]와 [[나미(원피스)|나미]]는 체포, [[페드로(원피스)|페드로]]와 [[브룩]]은 난동 중. 상디는 꽃다발을 매만지면서도 심각한 표정으로 소식을 듣다가, 결국 이젠 됐다며 귀를 닫아버린다. 그 대신 부탁한 식재료는 사왔냐고 하는데.
          * 병력을 끌고 다니던 페드로는 마침내 안뜰까지 쫓겨온다. 그를 추격한 [[타마고 남작]]이 기다리고 있다. 타마고 남작이 밝힌 그의 전 직함은 "녹스 해적단 선장 캡틴 페드로". 그는 비록 적이라도 페드로를 "너른 자"라 인정하고 있었다고 말한다. 그는 오랜만에 숙적을 마주하니 "왼쪽 눈의 상처"가 쑤신다고 말하는데. 그는 빅맘에게 사로잡혔던 "5년 전"엔 그토록 삶에 착했던 페드로가 어째서 똑같은 짓을 반복하냐고 묻는다. 하긴, 그는 이미 "제대로 살아있을 수도" 없는 몸이다. 5년 전 그날 페드로는 50년 치 수명을 바치는 대가로 살아나갈 수 있었다. 그렇게 말하며 선글라스를 벗는 타마고 남작. 그는 왼쪽 눈이 없는 애꾸였다.
  • 은혼/612화 . . . . 9회 일치
         [[은혼]] 612훈. '''우리들은 우주의 일부이자 우주 그 자체'''
          다츠마는 무전기를 붙들고 성질을 부리는데 가츠라는 지극히 침착한 태도로 "우리들은 별동대. 너희와 전혀 다른 이유로 잡혔다"고 설명한다.
          * 실은 다츠마 일행과 헤어진 직후 어떤 사고가 생겼던 것. 생각보다 긴 시간 다츠마와 연락이 두절되자 가츠라는 언제든 역습할 수 있도록 준비를 시킨다. 그때 부하들이 스크린에 나타난 적전함을 보고 놀라는데, 가츠라는 본함은 스텔스 함이므로 보이지 않는다고 안심시킨다. 하지만 이들은 모두 촌구석 사무라이. 스텔스 같은 첨단 기술에 대해선 아는 바가 없다. 부하들은 정말 안 보이는 거냐고 미심쩍어하는데 가츠라가 투명해지는 그런거라고 아무리 설명해도 이해를 못한다. 설명하던 즈라 조차 방향이 이상해져서, 전함은 투명해져도 자기들은 그렇지 않다며, 우주공간에 둥둥 떠있는 걸로 보이는게 아니냐고 의심하게 된다. 유일하게 정상인인 엘리자베스가 그런게 아니라고 설명해주는데, 이번엔 가츠라가 "우리도 투명해진다 해도 우리가 섭취한 내용물은 완전 노출되는게 아닌가"라고 쓸데없는 걱정을 시작한다.
          엘리자베스가 참을 인을 써가며 "스텔스는 투명해지는게 아니라 주변 사물에 맞춰 모습을 감추는 기술"이라고 정정해주는데, 이번엔 또 "우리 내용물이 보여도 배도 그것에 맞게 카모플라쥬해주는 것"이라고 이상한 오해를 하고, 결국 그들의 전함이 거대한 똥덩어리로 보이고 있을 거라는 망상에 도달한다.
          * 이들은 포로로 잡힌 가츠라 일행에게 "붙잡으려 하는게 아니라 보호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다. 멸망해가는 지구에서 종을 지키기 위해서라고. 그렇다. 이 배는 하타 황태자의 배였다. 이미 우리에는 지구의 동물원 등에서 무단으로 털취한 각종 동물들이 즐비하다. 할아범은 어차피 망할 별이고 항의할 놈도 없게 될 테니 보이는 족족 납치했다고 말한다. 하타 황태자도 멸종할 생물들을 거둬주니 오히려 감사할 일이라고 말한다.
          그런데 왠지 납치한 종류는 유독 개가 많다. 거의 똑같아 보이는 강아지들이지만 할아범은 "개란 워낙 종류가 많은 생물"이라 변명한다. 컬렉션을 따라 가던 황태자는 아예 죽어있는 녀석도 있다고 한 우리를 가리키는데.
          * 황태자는 새로운 종을 발견했다는 이야기도 들었는데 "상위비비"라는 녀석들이다. 그런데 우리에 가보니 상위비비는 보이지 않고 똥만 보인다. 할아범은 "동물원에선 흔한 일"이라며 어느 동물원이든 가보면 똥만 있고 동물은 없더란 상황이 있다고 얼버무린다. 황태자는 그런건 됐고 상위비비는 어디있냐고 찾아 이번엔 "똥이라고 생각했는데 알고 보니 똬리를 튼 상위비비"라는 상황이 동물원에선 흔하다고 얼버무린다. 하타 황태자도 안 속는 무성의한 개드립이다.
          * 그때 장막을 뚫고 나오는 손. 하타 황태자 이마의 외설물을 낚아챈다. 똥도 상위비비도 처음부터 없었다. 수형인들이 우리 안에서 위장을 한 것. 똥 무늬의 장막을 내걸고 있던 것 뿐이다. 황태자를 잡은 손은 "상위비비는 주변 배경에 맞게 의태해서 스스로 모습을 감춘다"고 조심하라 경고한다.
  • 츠츠모타세 . . . . 9회 일치
         쵸하치는 오코마를 시켜, 타케하치에게 연애편지를 쓰게 한다. 편지를 본 타케하치가 에 오자, 쵸하치는 오코마와 부부싸움을 벌인다. 그리고 타케하치를 몇 대 때린 다음 이런 여자는 너에게 준다고 큰 소리를 치고 을 떠난다. 그 다음에 오코마가 타케하치를 유혹하게 하여, 결정적인 순간에 들어와서 [[부엌칼]]을 들이대고 현장을 잡은 다음, 빚을 무효로 하고 오히려 타케하치에게 돈을 뜯어내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전반은 예정되로 되었으나, 쵸하치가 을 뛰쳐나와서 안심하고 술을 마시고 잠들어 있는 동안, 타케하치는 자신과 함께 살면 [[기모노]]도 사주고 이것도 사주고 저것도 사주고 행복하게 살 수 있다고 유혹한다. 그 말을 듣고 가난한 데다가 자신을 사기에 끌어들이는 쵸하치에게 질려버린 오코마는 저런 남편과 살면 평생 고생을 벗어날 수 없다고 여겨, 타케하치의 유혹에 넘어가서 이별 편지를 쓰고 떠나버린다.
         다음날 아침, 쵸하치는 [[부엌칼]]을 들고 에 뛰어들지만 이미 때는 늦어 오코마는 타케하치와 함께 가재도구를 챙겨서 떠나버렸다. 쵸하치는 텅 빈 에서 오코마가 자신을 비웃고 욕하는 이별 편지를 남긴 것을 발견하고, 분노하여 부엌칼을 휘두르며 뛰쳐나왔으나, [[까마귀]]가 머리 위에서 「아호오(바보) 아호오(바보)」하고 울어대며 끝난다.
          * 면식도 없는데 에 초대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여성은 경계심이 강하고 방범 의식이 높기 때문에, 처음 보는 대다가 친하지 않은 남자를 에 불러들이지 않는다. "호텔비가 아깝다."같은 말을 하면서 에 불러들일 경우, 그 에서는 남편이나 남친을 자칭하는 남성과 만나게 될 가능성이 높게 된다.
  • 식극의 소마/190화 . . . . 8회 일치
          * 시오미 준은 하야마의 센트럴행을 크게 반대하며 그렇게까지해서 세미나를 유지할 생각이 없다고 한다. 그러나 하야마는 고을 부려 결국 지금에 이른다.
          * 소마가 소스에 넣은 벌꿀은 "황벽나무 벌꿀"이라는 특수한 식재료로 나키리 소우에는 그걸 찾기 위해 온 산을 뒤진 념을 높이산다.
          * 이 같은 상황은 당연히 시오미 준에게도 전해진다. 시오미는 당장 센트럴에서 나오라며 하야마를 타이른다. 하야마는 이 방법 말고는 프로젝트를 존속시킬 방법이 없다고 항변하지만 시오미는 어차피 아자미가 그런 걸 허용할 거라는 보장은 없다고 반박한다. 그 말은 사실이었지만 어떻게든 세미나를 유지하고 준을 지키고자 하는 하야마는 쉽게 포기하지 못한다. 다그치던 시오미는 "이런 바보같은 짓을 하길 바라지 않았다"고까지 말하는데, 거기에 상처를 입은 하야마는 어떻게든 세미나를 지키겠다고 고을 부리게 된다.
          * 다시 식극의 장소. 소우에는 판정에 앞서 자신의 판정기준에 대해서 설명에 들어간다. 일단 요리사로서 실력을 호각이며 이는 베르타와 실라의 표가 갈린 걸로 증명된다고 말한다. 그렇게 말한 그가 승부를 가르는 요소로 제시한 것은 "요리사의 념". 그는 소마가 소스에 쓴 꿀이 평범한 것이 아니라는걸 간파한다. 하야마도 승부에 착해서 놓치고 있었지만 그 꿀은 보통 것과 다른 묘한 향기를 품고 있다. 뭔가 "떨떠름한 맛"의 향인데.
          * 대머리 군단은 그제서야 이 꿀을 얼마나 어렵게 얻은 것인지 수군대기 시작한다. 사실 처음엔 황벽나무 꿀을 쓴다는 발상도 없었던 모양. 무작정 산을 뒤지며 소재가 될만한건 뭐든 채하는 하드코어한 수색을 펼쳤다. 쿠가 테루노리는 처음부터 황벽나무 꿀의 가능성을 짐작하고 있었던 듯 하지만 자칭 "쉽게 알려주면 소마가 성장할 수 없다"는 황당한 논리를 내며 그냥 차만 먹고 놀고 있었던 모양. 산에서 고생한건 소마와 대머리 군단이다.
          * 거기까지 들은 소우에는 그거야말로 "맛에 대한 탐구심과 념"이라 말하며 "요리사의 얼굴을 보았다"는 극찬을 남긴다. 하지만 하야마는 여전히 수긍하지 못하고 멘치까스가 자신의 프라이드 베어에 필적한다는 평을 인정하지 않는다. 도지마 긴은 그런 태도에 일침을 가한다. 분명 하야마는 완벽한 맛을 추구한다고 했었다. 하지만 그게 "누구를 위한" 요리인지도 모르는 채가 아니냐고 꼬는다.
  • 콜 오브 후아레즈 : 건슬링어 . . . . 8회 일치
         === 중 ===
         플레이어가 적을 죽일수록 화면 왼쪽 위에 위치한 리볼버 모양 게이지가 차오른다. 이 게이지를 소모해 중 상태에 들어갈 수 있다.
         중 상태에 들어가면 시간이 느려지며, 적이 붉게 빛난다.
         결투에서 중요한 요소는 두개다. 중, 속도.
          * 중은 사일러스가 상대에게 중하는 정도다. 상대의 얼굴에 커서를 두면 중 수치가 오른다. 커서는 계속 상하좌우로 흔들린다.
         1910년, [[아칸소]] 주 애빌린에 위치한 한 술에 판초를 입은 노인이 들어온다. 그 노인은 자신이 전설적인 현상금 사냥꾼 "사일러스 그리브즈"라고 주장하며 사실인지 진짜인지 알 수 없는 이야기를 늘어놓는다.
  • 토리코/376화 . . . . 8회 일치
         [[토리코]] 376화. '''팔왕 결'''
         팔왕이 결하고 아카시아는 난타 당한다.
          * 팔왕 총결. 네오는 중 공격 당한다.
          * 경왕 문은 모든걸 어삼키려 한다.
          * 팔왕 전원이 결한다.
          * 아카시아(네오)는 팔왕의 중 공격을 받고 정색한 표정을 짓는다.
          * 페어는 텟페이의 가시덩쿨을 뜯어내고 바깥으로 나오는데 경왕 문이 전세계를 어삼킬 기세로 전부 빨아들이고 있다.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43화 . . . . 7회 일치
         키리에와 함게 편부를 찾아간 우마루.
          * 모토바 키리에와 도마 우마루는 편장을 만난다
          * 편장은 키리에의 그림책을 좋게 평가하지만, 상업적으로는 조금 힘들거 같다는 진단을 내린다
          * 편장은 '''"어째서 그림책을 택했는가"'''라고 묻는데 ''키리에는 얼른 답변하지 못하다 "모르겠다"라고 답하고 만다''
          * 편장은 키리에에게도 다시 묻는데 이번엔 "그렇다"고 분명하게 답한다
          * 편장은 "앞으로 또 그려서 가져와라"면서 아쿠타가와란 이름을 밝히고 명함을 건넨다.
          * 아쿠타가와 편장은 이름이 나왔으니 named 캐릭터가 될지도?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96화 . . . . 7회 일치
          * 대체로 간단하게 진행되지만 미도리야네 에서는 어머니가 미도리야를 더 위험하게 만들고 싶지 않다며 거부 의사를 밝힌다.
          * 현역 히어로의 순위글 계하는 "히어로 빌보드 차트 JP"
          * 지로 쿄카의 에 방문한 올마이트와 아이자와 쇼타(이레이저 헤드).
          * 사실 프린트가 전달된 시점에서 결론은 나와 있었는데, 아버지는 올마이트의 싸움을 보고 "이런 록한 선생님 밑에서 배울 수 있다니 우리 딸은 브라이언 더 선이다"라고 눈물을 흘렸다.
          * 다음 이동지는 바쿠고 카즈키의 .
          * 바쿠고의 을 떠나기 전, 바쿠고는 올마이트에게 "데쿠는 당신에게 뭐야?"라고 묻는다.
          * 안엔 올마이트의 굿즈가 가득하다.
  • 뜨거운 것이 좋아 . . . . 7회 일치
         금주법이 시행되던 1920년대의 시카고, 갱단이 운영하던 비밀 술에서 연주자로 일하던 조와 제리는 경찰이 습격한 술에서 간신히 도망쳐 나온다. 체포는 면했지만 실업자가 된 이들은 이곳 저곳을 떠돌다가 갱단 보스 스패츠가 자신이 운영하던 술을 밀고한 다른 갱단을 살해하는 광경을 목격한다. 조와 제리 또한 스패츠 일당에게 죽을 뻔했지만 간신히 도망치는데 성공한다.
         조와 제리는 스패츠를 피해 시카고에서 도망칠 계획을 세운다. 그러던 중 플로리다로 떠나는 여성가극단의 모 공고를 본다. 이들은 여장을 하고 여성가극단에 들어간다. 둘은 극단에서 일하는 가수인 슈가, 플로리다에서 휴양을 보내던 갑부인 오즈굿 등과 엮이며 이리저리 복잡한 연애를 시작한다.
          술에서 일하던 연주자. 경찰의 습격으로 직장을 잃고 도망친 후, 스패츠가 일으킨 살인사건의 목격자가 된다. 이후 스패츠를 피해 여장을 하고 여성 공연단에 들어간다.
          술에서 일하던 연주자. 경찰의 습격으로 직장을 잃고 도망친 후, 스패츠가 일으킨 살인사건의 목격자가 된다. 이후 스패츠를 피해 여장을 하고 여성 공연단에 들어간다.
          갱단 보스. 영화 극초반에 경찰의 습격으로 운영하던 술 하나를 폐쇄당했다. 이후 밀고자의 갱단을 살해, 그 장면을 목격한 조와 제리가 도망치는 계기가 되었다.
  • 바레브 라인 . . . . 7회 일치
         [[이스라엘 군]]이 [[시나이 반도]]를 점령하고 [[수에즈 운하]]의 대안에 건설한 [[요새선]]. [[모래]]를 쌓아서 운하의 제방을 높여 장애물로 삼고, 수십개의 진지를 일렬로 배치하여 건설한 방어선이다. 그러나 [[제4차 중동전쟁]]에서 [[이트 군]]에게 돌파되었다.
          * 바레브 라인의 설치 자체로, 이스라엘 군은 이트 군을 운하에서 막는데 착하게 되어, 이트 군의 기습 공격에 퇴각을 하지 않고 버티면서 많은 희생을 내게 되었다.
          * [[공군]]의 지원을 상정하여 포병의 배치가 적었다. 제4차 중동전쟁에서 이트 군은 2000 문 이상의 박격포와 야포를 동원하여, 1분에 1만발 이상의 포탄을 쏟아부어 포격전에서 압도하게 된다.
          * [[모래]]로 된 벽은 폭격에 강하고, 폭발물을 설치해도 파괴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이트 군은 고압 펌프를 사용하여 [[물]]을 뿜어서 모래벽을 손쉽게 파괴하고 돌파할 수 있었다.
          * 참호에 가스 파이프를 묻어서 화염을 내뿜는 비밀병기도 만들었지만,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서 쓸모없다고 판단하고 사용은 중지했다. 이트 군은 [[콘크리트]]를 사용해서 이 기구를 매립해버렸다.
  • 상디 . . . . 7회 일치
         || 동물에 비유하자면 ||<:> 오리 → 산양 ||
         늘 검은 수트를 입고 있고 전투에서는 오로지 다리를 이용한 공격을 한다. 이는 전투에서 요리사의 도구인 손이나 식칼을 쓰지 않으려는 신념의 발로로, 은인이자 스승인 붉은 발 [[wiki:"제프(원피스)" 제프]]에게 배운 것이다. 다만 '[[매드매드 완제|라면 면발을 갑옷으로 입은 상대]]'처럼 상대방이 식재료로 간주되는 경우라면 드물게 식칼 솜씨를 발휘하기도 한다. 물론 이는 어디까지나 완제가 입었던 라면 면발 갑옷 한정으로, 갑옷을 해체한 뒤에는 식칼을 어넣고 완제 본인은 원래대로 발차기만으로 상대했다.
         [[나미(원피스)|나미]]나 [[니코 로빈]]과는 다르게 지식량이나 정보 수 능력 면에선 떨어지지만 '''주어진 상황 자체를 바꿔 버리는 전략안'''이 특출해 해적단 내에서 비공식적인 참모 역을 맡고 있다.[http://blog.naver.com/zt777/20175605172 일단 밀짚모자 멤버 중 조커 겸 히든카드 포지션을 담당하고 있는건 부정할 수 없을 듯 하다.][* 그러나 해당 링크의 인터뷰 내용은 루머일 가능성이 있다. 상디가 조커 포지션인건 사실이지만 결말에 영향을 끼칠 정도의 활약이 있을거라고 보장할수는 없다는 것.] 루피와 조로와 함께 해적단의 주 전투원으로 활약하고 있으면서도 완력에 의존하는 [몽키 D 루피|이] [롤로노아 조로|둘]과는 달리[* 그런데 조로는 무조건 완력에 의존하는게 아니고 적어도 전투에 관한한 머리만큼은 밀짚모자 일당 중에서도 최상급이다. 더구나 루피 부재시 자신이 선장 루피를 대신하여 전략이나 작전을 지시하는 등 상디와는 다른 방향의 두뇌 플레이를 보여주기도 한다. 오히려 루피야말로 순수하게 완력과 본능에 의존하는 스타일에 더 가깝다.] 일행의 식단을 책임지고 있으면서도 전황 자체를 유리하게 바꿔버리는 능력을 보여주는 등, 밀짚모자 해적단에서는 전술전략 양쪽을 모두 갖춘 유일한 멤버이다. 쉽게 말하자면 루피와 조로가 [[람보]]같은 케릭터라면 상디는 [[007]] 같은 스파이 스타일. 예를 들면 [[바로크 워크스]]의 꼬리를 잡거나, [[갓 에넬]]의 비행선을 망가뜨리거나, 정의의 문을 닫아 해류를 만들어 탈출을 쉽게 만들어 낸 장면들은 그의 임기응변 능력이 유감없이 발휘한 최고의 두뇌플레이. 말하자면 지략과 완력을 모두 겸비한 밀짚모자 해적단의 '''조커'''라고 할 수 있다.
          * [[Mr.3]] - 크로커다일의 농간으로 상디와 쵸파를 제외한 밀모자해적 인원들이 감옥에 갇혔을때 상디가 동료들을 구하는 과정에서 악어 배속에 갇혀있던 mr.3을 간단하게 제압한후 mr.3의 능력을 이용하여 열쇠를 만들게하여[* 우솝이 제안하다.] 감옥을 연후 다시 날려버린다. 간단한 개그 컷으로 나오지만 꽤나 중요한 활약이다.
          * [[빈즈]] - 극장판 12기 한정.[* 극장판 11기는 실력자 전무. 그냥 생략한다.] 덩굴덩굴능력을 스카이 워크로 피한뒤 디아블 잠브로 표창과 칼을 받아 쳐내고 역시 나미씨는 섹시한게 좋다며(...) 불타올라라 섹시 파이어!로 온몸을 불로 뒤덮은 뒤 사랑의 메테오 스트라이크로 마무리. 그리고 끝난뒤에 "우리 나미씨, 반할만 하지?"라고 한다. ~~나미는 몰라도 여성팬들은 확실히 반한 것 같다.~~
         > 담뱃불이 필요하던 차였거든...[* 에넬로부터 나미, 우솝을 구해주는 대신 번개로 자기 몸이 타버린 상황에서 에넬에게 한 도발. 다만 KBS 더빙판에서는 심의 때문에 "'''추워서 따뜻한 번개가 필요한 참이었거든...'''"이라고 대사가 변경되었다. ~~춥다고 일부러 번개 뒤어 쓰는 이 무모한 사람(...)~~]
          * 애니판이 KBS에서 방영되었을 때에는 아이들 정서상 부적절하다는 태클 때문에 '''담배가 츄파츕스로 바뀌는 굴욕'''을 겪었다. 근데 케이블 심의가 강화되어서 극장판을 제외한 TVA판 한정으로 [[투니버스]]에서도 츄파츕스로 바뀌었다.[* 항상 오렌지맛 사탕인 듯? 1기 오프닝과 초반부의 장면에서는 딸기맛 사탕을 연상시키는 빨간색 사탕이 나오기도 했다. 이후에는 계속 오렌지맛 사탕으로 고정. 그런데 의외로 사탕이 오리지널인 줄 알고 있었던 사람이 많은 듯하다. 원작을 보고서야 담배인 줄 알았다는 사람도 있고 '상디가 무인도 표류 이후 항상 먹을 걸 가지고 다니는 줄 알고 있었다'라는 사람도 있다. 그런데 사탕을 라이터에 지지는 장면도 있다(...)] KBS판에서는 주석에서도 달려있듯이 라이터에 지지는 장면 등에서 부싯돌 튕기는 소리가 그대로 나온 반면에 이후에 방영된 투니버스판에서는 음향쪽도 완벽히 수정하여 완벽하게 사탕으로 만들었다. 북미판의 경우 [4kids] 더빙판에서는 무자비한 편으로 악명높은 4kids답게 KBS판과 같은 츄파츕스로 만들어버렸다. 다행이게도 이후에 [퍼니메이션]에서 재발매한 DVD판의 경우 무삭제로 나왔다. 대원판은 영상 수정을 별로 하지 않아서 그냥 모자이크 처리로 때운다. 때문에 상디의 입이나 손은 항상 모자이크로 나온다. 음향쪽에서는 라이터 소리가 나는등 옥의 티가 있었지만 최소한 사탕으로 수정을 하려고 했던 KBS만큼의 성의도 보여주지 않는 대원판 원피스의 무성의함을 드러내는 증거이기도 하다.~~[동강동강 열매]도 변역기돌려서 뿔뿔이 열매로 만든 놈들이니까~~ 카툰네트워크에서 방영한 토리코와의 콜라보편에서는 화면을 수정하여 '''아예 삭제됐다.''' 덕분에 손가락 모양은 담배를 쥐고 있는 손가락 모양이지만 정작 손가락에는 아무것도 끼워져있지 않다.
  • 스파이더 슬레이어 . . . . 7회 일치
         [[스파이더맨]] 관련 빌런. [[J 조나 제임슨]] 편장을 비롯한 [[스파이더맨]]의 적들이 사용해왔다. 시리즈가 많아서 마크19까지 나왔다. 개발자는 스펜서 스마이스(Spencer Smythe), 주 조종자는 선술한 제임슨 편장이며 용도는 이름이 가진 의미 그대로 스파이더맨 엿먹이기(...)
         스펜서는 제임슨 편장의 의뢰로 스파이더맨의 정체를 까발리기 위해 스파이더 슬레이어를 만들기 시작했는데 점점 미쳐돌아가서 가족도 내팽겨치고 로봇에게만 착하기 시작했다. 결국 자신이 설치했던 [[방사능]] 함정에 걸려 몸이 소멸되는 최후를 맞이했다.
         스파이더 슬레이어 마크1은 [[시빌 워]]에도 등장, [[쉬헐크]]에서 아들이 쉬헐크와 결혼한다는 것을 안 제임슨 편장이 쉬헐크 슬레이어라 칭하며 또 사용했다. 물론 파괴되었다.
         스펜서 사후 그의 아들 앨리스터 스마이드가 자신의 몸에 기계를 심고 스스로를 스파이더 슬레이어라고 칭했다. 아버지에게 로봇 발명을 명령했던 제임슨 편장을 원흉으로 생각해 스파이더맨과 싸웠다. 결국 싸움 끝에 제임슨 편장의 아내 마를라 매디슨을 살해하고 래프트 감옥에 갇힌다.
  • 원피스/832화 . . . . 7회 일치
          * 유혹의 숲의 덫에 걸린 밀모자 일행은 루피가 홀로 떨어지고 나미는 샬럿 브륄레에게 잡힌다.
          * 밀모자일행이 "브륄레님에게 놀아나고 있다"고 하는데.
          * 이곳이 빅맘 해적단의 산하가 결하는 항구.
          * 유일무이한 영토가 없는 나라. 수십척의 배가 영토를 대신하며 이것들이 결해서 왕국의 모습이 된다.
          * 그녀는 "그런 작은 해적단에 착하지 말고 왕가의 피를 즐겨라"며 시녀들도 상디가 바라면 뭐든 해줄 거라고 달랜다.
          * 묘사되진 않았지만 욘디와 레이쥬가 밀모자 일행과 헤어진 후 상디와 만나 된통 얻어터진 듯.
          * 그런데 그 욘디를 두들겨 팬 상디는 상처 조차 없으니, 제르마66 개개인의 실력은 밀모자 일행보다 떨어질지도 모른다.
  • 창작:좀비탈출/4-1 . . . . 7회 일치
         목표는 주변이다. 명심하자. 멀리가지 않는다. 내가 다닐 곳은 담벼락 안이다. 놈들이 햇볕을 피할 때가 되면 행동개시다.
         내가 이렇게 결심할 수 있는 것은 작년 겨울에 뒷마당에 '''그걸''' 묻었기 때문이다. 항아리 말이다. 그렇다. 우리 집은 아직도 된장이니 고추장이니 김치 같은 것을 담가먹는 구식 안이다. 서울에도 이런 이 남아있다는게 놀랍지 않은가? 그걸 묻겠다고 콘크리트 바닥을 깨부술 땐 미친 짓이라고 생각했지. 그런데 그 미친 짓이 날 살릴지도 모른다. 하! 하! 감사합니다 아버지.
         내가 자주보는 녀석 중엔 토트넘이 있다. '''토트넘 유니폼을 입은 녀석'''. 일주일이면 적어도 4,5일은 마당에서 볼 수 있다. 발이 느리고 둔한 녀석이니까 보이지 않을 때도 이 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있다는 얘기겠지. 그래, 예를 들면 거실창문에서 보이지 않는 사각. 뒷마당.
         옆에라도 다녀오는 걸 수도 있지만, 최악의 상황을 상정해두는게 안전하겠지. 적어도 토트넘은 뒷마당에 있을 거라고 생각하기로 했다.
  • 보루토/1화 . . . . 6회 일치
          * 돌아가는 길에 사라다가 다시 한 번 권유하면서 "7대에게 우리의 대단함을 보여주자"고 하고, 보루토도 결국 승락한다.
          * 귀가해 보니 나루토는 먼저 에와 기다리고 있었다.
          * 보루토는 아버지가 어렸을 적 입던 재킷을 바라보다 화를 삭히지 못하고 창문 밖으로 어 던져 버린다.
          * 사스케는 나루토를 찾아왔지만 에 없어서 무실로 향한다.
          * 하지만 사스케는 시대가 어떻든 닌자의 본질이 바뀌는건 아니라고 답하는데, 나루토는 "결국 보루토도 우리랑 같다고 말하고 싶은 거냐"면서 그건 아닐 거라고 한다.
  • 북한의 역사왜곡 . . . . 6회 일치
         북한의 역사왜곡은 다른 나라들과 비교해봐도 특색이 강한데, 너무 왜곡의 강도가 심해서 역사관이 다르다거나 견해차이가 있다는 수준이 아니다. 이미 '''북한 사람들의 역사관은 우리와는 다른 세계선'''이라고 봐도 좋을 정도이다.
         평양지역에 살았던 구석기 시대 인류가 '조선민족'의 기원이 되었다고 주장하며, 따라서 조선민족의 고향은 [[평양]]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세계고대문명 가운데, 이트, 메소포타미아, 인더스, 황하 문명과 함께 '대동강 문명'이 고대 문명의 발상지라고 주장한다.[[http://www.rfa.org/korean/weekly_program/korean_history/history-01262010172151.html (참조)]]
         >이른바 《인천상륙작전》이라고 하면 세상사람들이 제일먼저 생각하는 것이 월미도이다. 월미도에서 우리 인민군대의 1개 해안포병중대가 단 4문의 해안포로 약 1 000대의 비행기와 수백척의 함선을 가지고 달려드는 맥아더 5만대군의 인천상륙기도를 3일간이나 좌절시켜 대참패를 안기고 우리의 전승에 크게 기여하였다. 당시 맥아더자신도 《인천상륙작전》에 대해 《실패한 작전》이라고 실토할 정도로 완전한 패전이였다.
         >- 북한 선전용 웹사이트 [[우리민족끼리]]
         2016년에 영화 인천상륙작전이 개봉하고 [[우리민족끼리]] 웹사이트에서, 반박문을 올리며 인천상륙작전에서 북한이 승리를 거뒀다고 주장했다.
  • 브로포스 . . . . 6회 일치
         Broforce. 2015년 10월 15일 발매된 [[런앤건]] 슈팅게임. 액션 영화 주인공을 패러디한 단인 "브로포스"가 세계 각지에서 테러리스트에 맞서 싸우는 게임이다.
          미니건으로 무장한 몸이 큰 무크. 게임 내에서 이름이 나오는 유일한 무크로 테러리스트 운동 기술의 정점이다. 브로를 발견하면 일정 주기마다 그 방향으로 기관총을 난사한다. 몸처럼 맷이 좋다.
          그냥 개. 브로에게 달려들어서 근접 공격을한다. 시체를 보면 바로 달려들어서 뜯어먹는데, 시체를 뜯어먹은 이후에는 몸과 맷이 엄청나게 불어난다.
  • 원피스/846화 . . . . 6회 일치
          * 상디는 계획대로 빅맘 샬롯 링링에게 거래를 제안하고 빅맘은 기쁘게 받아들인다. 이로써 밀모자 일당은 안전하게 섬을 탈출할 수 있다.
          * 타마고 남작은 스무디 등을 포네그리프를 수한 방에 불러놓고 경비에 협조를 부탁한다
          * 어쨌든 밀모자 일당은 생포하라는 명령이 있어서 이들은 산채로 잡혀가게 된다. 루피는 마지막까지 이 자리에서 버티겠다고 버티지만 힘이 다해 끌려간다.
          * 같은 시각 상디는 빅맘 샬롯 링링을 상대로 교섭을 벌인다. 그가 순순히 결혼하는 대가로 섬에 있는 밀모자 일당을 무사히 돌려보내주는 것. 의외로 빅맘은 흔쾌히 승락한다. 자신은 "사리에 맞으면 말이 통하는 여자"라며 상디만 협조해주면 그런 사소한 일에 연연하지 않겠다고 말한다.
          상디가 고맙다고 답하며 꼭 샬롯 푸딩을 행복하게 해주겠다고 말하자 빅맘은 만족스럽게 웃는다. 하지만 "원래 밀모자 일행이 한 짓은 용서 받을 수 없는 일"이라고 강조한다. 무단침입은 물론 크래커를 쓰러뜨리고 어인섬에서 과자를 가로챈 것까지. 어느 것 하나 빅맘의 심기를 거스르지 않는게 없다. 하지만 이 정략결혼이 성사돼 제르마의 군사력만 손에 넣는다면 별 일이 아니라고 설명한다. 상디는 그저 동료들이 무사하다는 생각만으로 도망도 치지 않고 순순히 결혼하겠노라 약속한다.
          * 이런 설명을 하는 동안 샬롯 가의 14녀이자 스위트 3장성 중 하나, "주스 대신" 샬롯 스무디는 뭐가 마음에 들지 않는지 시녀 하나를 잡아서 "쥐어짜고" 있다. 문자 그대로 걸레짜듯이 짜는데 놀랍게도 시녀는 "주스"를 흘리며 미라처럼 쪼그라든다. 현상금은 9억 3200만 베리. 스무디는 상당한 거체의 여성으로 등에 커다란 칼을 차고 있다. 시녀를 짜낸 "주스"를 잔에 담으며 "포네그리프가 중요한건 알겠지만 왜 이곳 경비를 강화해야 하냐"고 묻는다. 타마고 남작이 이들을 소한건 보물전의 경비 강화 때문인 모양이다.
  • 절대가련 칠드런/456화 . . . . 6회 일치
          * 바벨의 에스퍼들이 현장에 소되는데 오는 족족 판도라 멤버들에게 격파 당한다.
          * 결국 바벨의 전병력이 현장에 결하는데 그 자리에 마기 시로와 효부 쿄스케가 나타난다.
          * 마기의 계획은 바벨을 도심지로 유인해서 지나치게 위험한 행동을 못하게 막고 병력이 쿄스케에게 중될 사이 돈될 만한 물건들을 털어가는 것.
          * 모든 것은 마기 시로의 작전이었다. 마기는 효부 쿄스케를 데리고 현장에 도착. 효부는 곧장 바벨의 에스퍼들 한 가운데로 뛰어든다. 바벨은 당연히 효부의 얼굴을 알아보고 이목이 그에게 중된다. 효부는 상황 돌아가는 것만으로 어떤 계획인지 간파하고 감탄한다.
          * 마기의 작전은 이렇다. 장소를 도심지로 옮긴 이상 아무리 츠보미 후지코라도 과격한 조치는 할 수 없을 것이고 적당히 싸우다 안전하게 잡혀주면 되는 것. 그리고 바벨의 전 병력이 이곳에 중된 동안 나머지 판도라 일행은 박물관 등 돈 될만한 물건이 있을 곳을 털어서 앞으로 활동에 필요한 자금을 확보한다. 일단 효부가 잡혀간 동안은 판도라에 대한 감시도 소홀해질 테니 이후 판도라의 활동은 아주 여유로워 지게 되는 것.
          * 그러는 사이 마기일행은 차량으로 현장을 빠져나갔다. 효부는 헤어지기 전 "네 덕에 내게 이라 부를 곳이 남아있다"고 진솔한 이야기를 한다. 바로 마기 덕에 안심하고 마음껏 움직일 수 있게 됐으니 반대로 마기가 방황하는 순간이 되면 언제든 "시로"로 돌아오라고 이야기한다. 그 자신이 언제나 기다리고 있겠다며.
  • 창작:좀비탈출/2-1 . . . . 6회 일치
         옆 현관 주변을 뒤져봤다. 말라죽은 꽃 화분 아래에 현관 열쇠가 있었다. 나는 현관문을 열고 옆 거실로 들어갔다.
         그 때, 소파에 앉아 있던 좀비가 나를 향하여 다가왔다. 옷차림과 대머리를 보니 옆 아저씨가 틀림없었다.
         나는 작게 중얼거리면서 야구방망이를 옆 아저씨 좀비를 향하여 휘둘렀다.
         비틀거리는 공격을 피하면서, 주로 머리를 노리면서 공격했다. 양팔을 부러뜨리는데 성공하고, 5,6번 정도 때렸을 때 썩은 뇌골수가 터져나왔다. 옆 아저씨 좀비는 겨우 움직임을 멈췄다.
         나는 안을 탐색하기 시작했다.
  • 창작:좀비탈출/5-1-1-1-2 . . . . 6회 일치
         || 우리 으로 돌아간다. ||
         하지만 그림자가 길어지고 있다. 어느덧 태양이 넘어가기 시작한 것이다. 해야할 일이 너무 많다. 시체가 누워있던 자리를 정리하고 원래 목적대로 식량을 챙겨야 한다. 이제 공복과 피로를 버티는 것도 지겹다. 어제까지만 해도 안에서 숨죽이고 있던 내가, 갑자기 좀비버스터 노릇을 한 것이다. 터무니없는 과로로군.
         나는 그대로 하던 일을 정리하고 우리 으로 돌아갔다. 돌아가기 전에 그 계단을 처리해 버리는걸 잊지 않았다. 어차피 토트넘 네 뒷문도 닫혀있고, 이정도만 해도 당장 뒷마당을 침범할 놈은 없을 것이다. 이것만으로도 성과로 치자. 다이너스티는…… 나중이라도 기회가 있어. 누가 차키를 어갈 것도 아니잖아?
  • 창작:좀비탈출/5-1-2 . . . . 6회 일치
         내가 치운 돌은 두 개째까지다. 기억이 맞다면 세 번째 부터는 된장, 고추장, 간장의 순서일 것이다. 물론 그것들도 필요하지만 이제 와서야 담아갈 수단이 없다는 걸 깨달았다. 망할 놈의 그릇을 챙겨왔어야 했다. 그래서 세 번째부터 포기하고 쌀과 야채만 가방에 담을 수 있는 만큼 담았다. 이정도만 해도 대략 일주일치는 된다. 이대로 으로 돌아가 현관을 잠가 버리면 내 목숨은 적어도 일주일 연장되는 것이다.
         날이 저물었다. 어둠이 내리면서 담장 너머로 녀석들이 돌아다니는 기척이 들려온다. 나는 커튼을 젖히고 쇼파에 앉았다. 시간이 지나면서 멀거나 가까운 곳에서 녀석들이 그르렁거리는 소리나 울부짖는 소리가 들려왔다. 하지만 그런 소리가 담장 안에서 들리는 경우는 없었다. 이윽고 본래 우리 마당을 이용하던 손님들이 하나둘 몰려오기도 했다. 하지만 녀석들이 담장을 넘거나 대문을 여는 일은 결코 일어나지 않았다. 녀석들은 대문 근처를 배회하거나 잠깐 동안 문을 두드리다 말았다.
         좋아, 다음 기회를 노려보자. 시간은 썩어나게 많으니까……. 나는 그렇게 중얼거리며 잡지를 치웠다. 이 잡지는 안방에서 찾았는데 아마도 우리 아버지가 썼던 것으로 추정되는…… 말을 말자. 인터넷도 전기도 끊긴 지금은 이게 유일한 반찬거리다. 들여다 보고 있으면 적어도 정신적 위안은 찾을 수 있다. 구식이라 고맙습니다 아버지.
         나는 이 을 대대적으로 보수할 것이다.
         지금 생각하는건 이 을 어떻게 보수할 것이냐다.
  • 창작:티겔 왕국 . . . . 6회 일치
         동부대룩의 중남부 일대에 자리잡고 있는 국가. 호랑이족 맹수인들이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남쪽엔 황소족 거수인들도 거주하고 있다. 그외에 무릉과 인접한 곳엔 맹호족들이 많이 살고 있으며, 일부지만 라이거일족들도 살고있다. 북쪽으론 메말사막을 기점으로 서쪽부터 해서 라이겐프름 공국, 상인연합, 츄프 왕국과 접하며, [* 다만 앞에 두국가들은 일단은 티겔의 봉신이다. 사실상 독자적인 외교권과 주화를 가지고 있으므로 독립국 취급이지만.] 동쪽으론 아래드 산맥을 기점으로 무릉과 접하고 있으며, 남쪽으로 낭마 연합과 접하고 있다. 제국을 칭하던 시기도 있었으나, '유일황제' 샤를 7세가 이끄는 레이먼 제국군한테 박살나고 잠깐 레이먼 제국의 봉신이 되었을때 왕국으로 격하되었다. 그뒤로는 레이먼 제국한테 괜히 트잡히기 싫어서 일부러 왕국으로 유지중.
         달유는 상티겔 왕국의 멸망을 30년은 늦춘 왕으로 평가 받는데, 하이엔왕국 계승전쟁에 개입해 적자인 선왕의 손자를 왕위에 올려서 하이엔왕국과의 관계를 회복하고, 자신의 딸을 츄프왕에게 시보내 동맹관계를 두텁게 하는데 성공했다. 이러한 외교적 성과는 지속적으로 북쪽 국경을 위협하던 라이엘기스 대공국쪽으로 안심하고 전력을 중할 수 있게하는데 도움을 줬고, 최종적으로 나트렘 평원에서 벌어진 회전에서 라이엘기스 대공과 대공의 세아들을 모두 전사시키는 대승을 거둬, 라이엘기스대공국을 멸망시킬 수 있는 결정적인 기회를 얻어냈으나..... 기세를 몰아 라이엘기스로 공성을 곧장가는 도중에 병으로 달유가 급사하면서 급히 병력을 돌릴수 밖에 없었고, 이는 티겔 왕국이 마지막으로 라이엘기스대공국과 후신 레이먼 제국을 멸망시킬 수 있었던 기회로 평가받는다.
         이러한 대립속에서 계형이 죽고 실권을 잡은 계로는 레이먼 제국에 대항하기 위해 5000명의 친위대들인 '흑군'[* 모두 검은 망토를 차서 이렇게 부른다.]을 창설했으며, 이들을 이끌고 레이먼 제국과 태겡대공국의 침입을 수차례 격퇴했다. 한편으로 계로는 흑군의 숫자를 점차 늘려가기 시작했으며, 이것때문에 늘어난 지출을 줄이기위해 귀족들과 지방관들의 세금을 늘리기로 결정했다. 여기까진 큰 불만이 없었으나, 센티겔을 더이상 임시수도가 아닌 수도로 지정하고, 이름을 티겔로 바꾼다는 조치가 문제였다. 이는 고토의 탈환보단 남부쪽 개척에 중하는게 아니냐는 논란을 낳았고, 결국 북부파와 남부파까지 망라한 귀족들의 연합이 태겡 대공 루이를 지지한다는 성명을 내고 반란을 일으키며, 태겡이 이를 명분삼아 침공을 해오기까지 한다. 탈환지의 귀족중 80%가 이 반란에 따랐으며, 태겡과 귀족 연합의 병력은 3만에 이르렀다.
         밀려난 거인족들은 대부분 다이잔 강 인근에 정착했고, 곧 그곳에서 대대로 살고있던 사냥꾼들과 충돌하게 된다. 갈등의 원인은 사료가 제각각이라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각단의 젊은이들이 사냥감의 소유권문제로 다툰것이 시작인건 확실해 보인다. 아무튼 이 갈등은 점차 종족들간의 갈등과 충돌, 혐오로 이어졌고, 최종적으로 갈등의 시작이었던 '물소사건'의 일원이었던 '라가트렁'를 중심으로 합한 거인족들의 대규모 공격이 시작된다.
  • 콘스탄티노플 공방전 . . . . 6회 일치
         다른 발칸의 정교회 국가인 왈라키아와 세르비아는, 당시 오스만의 봉신이었으며, 봉신으로써 오스만에게 병력을 징해 보내기까지 했다. 무엇보다 이들은 헝가리의 개입없이는 절대 오스만에게 대항하지 않았다.
         전투가 주로 이루어질거라 예상됬던 곳은 육지 성벽이었는데, 왜냐하면 금각만쪽으로 진입하는건 4차십자군때 베네치아처럼 제해권을 완벽히 장악하지 않는 이상은 무리였기때문이다.[* 둘레에 급류가 흘러 상륙용 배를 성벽밑에 대는게 쉽지 않았고 모래톱과 암초또한 있었기 때문.] 그중에서도 리쿠스 계곡을 가로질러 뻗어있는 성벽인 메소테이키온쪽이 가장 취약한 곳이었기에, 황제와 주스티니아니 모두 튀르크 군의 공격이 여기에 중될것이라 여겼다.
         그리고 외벽과 내벽중 어느쪽에 방어를 중할것이냐를 놓고 논쟁이 펼쳐졌는데, 황제와 주스티니아니 모두 1422년에 무라트 2세가 도시를 공격했을때 외벽방어에 중해 막아낸것처럼 이번에도 외벽에 방어하기로 결정하려 했으나, [* 내벽에도 병력을 배치하는게 좋긴 하겠으나, 그럴 여유가 없었다.] 스스로를 '전략가'라 자칭했던 교황청의 사절 레오나르도 대주교가 내벽을 방어하라고 우겨 잠깐동안 논란이 빚어지기도 했다. 그는 1422년 무라트 2세의 공격으로 인해 수리된 외벽이 제대로 수리되지 않았다면서, 이게 모두 수리비를 두명의 그리스인인 자가루스와 수도사 네이피토스가 횡령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것은 굉장히 부당한 주장으로, 자가루스는 마누엘 팔레올로고스가 본명인 황제의 친족으로, 수리된 성벽에 이름까지 적힌, 당시에 굉장히 존경받는 정치인이었다. 또다른 횡령범으로 지목된 네오피토스는 통합반대파였다만, 황제와 친한 수도사중 한명으로 공적인 일에 일체관여하지 않고 유유자적하게 살고 있던 중이었다. 레오나르도 대주교의 주장은 가톨릭교도들의 전형적인 반통합파와 그리스인들에 대한 적개심에서 비롯된 편견이었다.
         이후 오스만 전군이 모두 모였던 4월 5일에, 황제는 그의 정예 그리스인 군대와 함께 메소테이키온 성벽에 자리잡았고, 그의 오른쪽에 카리시오스 문과 미리안드리온 성벽엔 주스티니아니가 자리잡았다.[* 그러나 튀르크의 공격이 메소테이키온에 중되자, 그의 병력을 이끌고 거기서 황제를 지원했다.] 그중 미리안드리온은 제노바에서 그들의 무기와 방어구를 직접 구입해 도달했던 보카아르디 삼형제가 이끌었다. 베네치아 거류민 대표 미노토와 그의 휘하 병사들은 블라케르나에 황궁 구역에 자리를 잡으면서 해자를 비우고 다시 메우는 임무를 맡았고, 역시 베네치아인인 테오도르 카리스토는 칼리가리아 문과 테오도시우스 성벽 사이 성벽 방어를 담당했다. 레오나르도 주교와 제노바에서 온 란가스코 형제는 금각만근처 해자뒤쪽에 자리잡았다. 한편으론 황제의 왼편에는 제노바병사들이 자리를 잡았고, 그 옆에는 황제의 친족인 테오필로스 팔레올로고스가 그리스인 군대와 함께 페가에문을 방어하고 있었다. 황금문은 마누엘이라는 제노바인이 담당했으며, 그의 옆 바다쪽에는 황제가 가장 신뢰하던 군인인 데메트리오스 칸타쿠제노스가 자리잡았다.
         오스만 제국에 주변 영토가 포위되어 현실적으로 유지할 수 없는 콘스탄티노플에 착하는 것은 안 그래도 쇠퇴기에 들어간 제국에 있어서 발목을 크게 잡는 요소였다. 그러나 콘스탄티노플의 상징적 가치는 비잔티움 제국, 그리고 콘스탄틴노플 탈환이라는 공적으로 제국의 복원을 선언했던 팔레올로고스 가문에 있어서는 너무나 큰 것이었고, 이를 포기하는 것은 결코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이는 콘스탄티노플 함락이 대외적으로도 곧 제국의 멸망으로 여겨진 것에서 알 수 있는 것이다.
  • 하이큐!! . . . . 6회 일치
         1회전에서 사라지는 수많은 약체팀들에도 포커스를 맞췄다. 이들을 단순히 주인공 학교의 1승 제물로 등장시키지 않고, 그들 역시 배구와 함께 고교시절을 보내는 청춘임을 묘사한다. 그 결과 나온 것이, 대부분의 팬들이 감동적인 에피소드를 꼽을 때 꼭 언급되는 40화 '승자와 패자' 편(애니메이션에서는 16화). 인터하이 1차전이 끝난 후 1회전에서 탈락한 23개 팀 모두를 '''한 컷씩 다 그려냈다''' .[* 애니메이션에서는 분량 문제인지 23개교가 전부 나오지 않아, 아쉬워하는 팬들도 있었다.] 그리고 이 장면에서 등장하는 ''' "우리들도 했어 배구" ''' 라는 대사는, 이 작품이 지향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정확히 보여준다.
         작중 배경은 작가의 전작 [[궤변학파 요츠야 선배의 괴담]]처럼 [[미야기]]현이다. 미야기는 우리나라로 치면 [[강원도]] 정도 되는 곳인데, 그 중에서도 [[카라스노 고교]]가 있는 곳은 시골이다. ~~괜히 얘네들이 패스트푸드점 대신 [[만두]]를 사먹으러 가는 게 아니다~~ 카라스노 학생들이 촌사람이라는 걸 반영한 연출인지, 도쿄에 간 [[카라스노 고교]] 부원들이 눈에 보이는 철탑 마다 [[도쿄 타워]]냐고 묻거나, [[타나카 류노스케]]는 [[관동]]의 학교들을 가리켜 '시티보이 연합'(...)이라 부르거나 한다.
          * 종종 점프계열 행사가 열릴 때 공식 트위터로 하이큐 부스에서 키요코 코스프레를 한 남성이 찍혀있는데, 하이큐 편 담당자 혼다[* 本田佑行. 2010년 6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은혼 담당을 했었다. 은혼 애니화 재기로 4기 1화 방영 이후 하이큐 트위터 계정을 통해 비화를 밝히기도. [https://twitter.com/haikyu_com/status/585738044281491456 이런 심한 얘기를 점프에 올린 사람이 누구?! 나인가?!]]다. [https://twitter.com/haikyu_com/status/546458211255992320 점프페스타 2015]
          * 애니메이션 2기와 극장판 모두 제작이 결정되었다!! [http://www.j-haikyu.com/project/index.html 공홈 부설 사이트]에 따르면 극장판은 1기 애니메이션의 총합 편으로 제작될 예정이라고 한다. 2기 애니메이션과 극장판의 담당 제작사 및 감독은 1기 때와 같다.
         2015년 2월 기준 13권까지 강동욱의 번역에 의해 정발되었는데, 그 사이에서 원어판과 비교해 오역이 많이 드러나 팬들 사이에서는 일어가 가능하다면 원서를 사서 보라고 할 만큼 퀄리티가 좋지 않다는 평을 받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11권 신젠 고교에서의 합숙 줄거리 중 보쿠토와 쿠로오보다 한 살 어린 아카아시가 뜬금없이 반말을 하거나, 오이카와의 그 유명한 '이와짱은 우리 엄마에요?'[* 원어로는 「岩ちゃんは俺のお母ちゃんですか?」.] 대사는 '''네가 내 엄마라도 되냐?'''라는 대사로 바뀌어 오이카와에게 일진카와(...)라는 별명이 붙여지기도 했다. 게다가 대화에서 자주 쓰여진다고 보기 어려운 '~예요' 체가 남발되는 경향이 있고, 당당하고 맹한 느낌을 주는 '[~슴다체]'가 번역되지 않고 나오기도 한다. 일단 번역이 등장인물의 성격을 너무도 다르게 표현하는 게 큰 문제. ('''츠키시마: 짜식 멋있는데.''') 당장 몇 년만 지나도 어색할 유행어 어넣는것은 덤. (시합중의 멘탈은 '''갑 오브 갑'''이지만.) 번역가가 글자를 못 읽는 경우도. ('''네코마 농구부''' ~~쿠로오의 농구?~~ '''호쿠토. 아카아시 케이시''') 더 많은 오역 사례가 있으면 [추가바람].
  • 하이큐/230화 . . . . 6회 일치
          * 우카이 코치가 준비한 동영상은 선수들의 파인 플레이를 편한 것으로 각자에게 "최상의 플레이"에 대한 이미지를 각인시키는 것이다.
          * 1회전 하루전. 선수들은 각자 평상심을 취하는 방법을 찾아 중하고 두 매니저 시미즈 키요코와 야치 히토카는 함께 목욕을 한다.
          * 우카이 코치는 바로 이런 때를 대비해 타키노우에 유스케에게 맥주를 쐈다며 비장의 무기를 공개한다. 여관으로 돌아온 카라스노. 우카이 코치가 선수들을 합시키는데 사와무라는 1회전 상대의 영상일 것으로 예상하지만 아니었다. 이름하며 NAE GAE JUZZ NUEN DONG-YEONG-SANG. 타키노우에 전자상가의 혼신의 역작이다.
          * 바로 카라스노 멤버들의 파인 플레이 모음. 선수마다 각각의 테마곡까지 할당된 하이퀄리티 영상이다. 참고로 니시노야는 록키의 테마. 기본적으로 선수별로 선호하는 음악이 배정된 모양이다. 우카이 코치는 영상과 음악의 힘을 빌려 긴장을 잡고 최상의 이미지를 각인시키고자 이 영상을 의뢰했다. 그 의도대로 뻣뻣했던 선수들의 분위기가 한순간에 풀리고 동영상에 중한다.
          아니나 다를까 카게야마 토비오가 런닝을 하겠다고 숙소를 이탈하려 한다. 히나타까지 편승해서 나서는데 엔노시타는 제일 문제아 두 명을 콘크리트 정글에 풀어놓을 수 없어 반대한다. 게다가 쓸데없이 밤잠을 설치는 일이라도 생기면 진짜 곤란하다. 엔노시타는 츠키시마에게 구원을 요청한다. 하지만 말도 꺼내기 전에 거절부터 당한다. 츠키시마의 짐작대로 그에게 인솔을 부탁하려는 것. 엔노시타는 어차피 츠키시마도 괜히 어슬렁거리는게 진정이 안 되는거 아니냐고 꼬는다. 츠키시마는 부정은 못하면서도 "내가 저 바보들을 따라갈 수 있겠냐"고 대꾸하는데 거기에 대한 대비는 완벽하다.
  • 핫라인 마이애미/등장인물 . . . . 6회 일치
         챕터 3에서 자켓이 구해 으로 데려오는 매춘부. 이후 자켓의 에 머문다.
         매 챕터가 끝날 때 마다 만나는 인물. 마트, 피자, 비디오 대여점, 술 같은 여러가지 사업을 하고있으며 자켓에게 여러가지 공짜 서비스를 해준다. 자켓과 친한 관계로 보인다.
         쥐 가면을 쓴 남자. 자켓의 에 들어와 매춘부를 쏴죽이고 에 돌아온 자켓 또한 쏴버린다.
  • Europa Universalis 4/공략/유럽 . . . . 5회 일치
         ''' 우리는 이탈리아를 만들었다. 이제 이탈리아인을 창조할 때이다. -카보우르 '''
         우선 전자야 어렵지 않다. 어찌됬든 전자의 경우도 브리튼 섬 통일은 무조건 하게 되있기에 스코틀랜드를 독립보장하는 프랑스와의 전쟁은 불가피한데(...) 그냥 해군으로 틀어막으면 된다. 시작시기든 어떤 시기든 프랑스 해군은 절대로 잉글랜드 해군을 이길 수 없다는걸 프랑스에게 상기시키면서 도버 해협을 틀어막자. 단 한번이라도 프랑스 육군의 상륙을 막으면 스코틀랜드는 간단하게 잉글랜드의 맛으로 변한다. 아일랜드야 뭐 9개왕국으로 나뉘어져 있는데다가 서로서로 사이도 나쁘니 각개격파시키면 되고... 그 이후에야 천천히 식민지 개척을 하면서 진행하면 된다. 식민지 개척에 상당히 유리한 위치에 있으므로 빠른속도로 북아메리카부근에 식민지를 건설하자. 굳이 구대륙으로 가면서 프랑스의 눈치를 보고 싶지 않다면 스웨덴 독립전쟁에 끼어들어 북유럽쪽으로 가면 된다.
         이게임의 또다른 주인공이자 [* 플레이어가 오스만이 아닐경우] '''중간보스''' 시작시부터 강대한 세력을 가지고 있는데다가, 이게임 최고의 꿀땅인 콘스탄티노플을 먹을 수 있어서 상당히 강력하다. 또다른 특이점으론 콘스탄티노플노드를 사실상 장악하고 있어서 사실상 자금력에서도 최강급. 거기다가 콘스탄티노플이 자동적으로 터키 문화권+ 수니파로 개종하는 이벤트, 예니체리 이벤트 [* 타락 이벤트도 가지고 있다. ~~쓸데없이 고증에 충실.~~]등 자기만의 이벤트나 전용 미션도 더럽게 많이 들고 있다. 다만 그렇다고 좋다고 초반부터 헝가리같은 동유럽쪽으로 확장하려들다간 반국가연합걸려서 망할 수 있으니(...) 우선은 유럽쪽은 발칸반도정도만 먹어두고 맘루크와 카라 코윤루를 패면서 서아시아+ 이트지방부터 먹는걸 추천. 아니면 정교회로 개종하는 방법도 있다. 세르비아와 보스니아를 먹어두면 발칸지방은 콘스탄티노플빼면 전부 정교회이므로 개종이야 어려운 편은 아니다. 이경우엔 동군연합을 노릴 수 있으며 결혼이 되어서 외교가 훨씬 편하단게 장점. 몇몇사람들은 라구사까지 먹어둬서 가톨릭 개종후 신롬황제를 노리기도 한다. ~~진정한 카이세리 룸!~~
         '''우리의 조국에 대한 믿음이 우리에게 나아갈 힘을 주니, 과거에도, 현재도, 미래에도 언제나 그러하리라! -러시아 국가'''
  • RecentChangesMacro . . . . 5회 일치
          * timesago: MoinMoin 최근버전에서 제공하는 방식으로, 편 날짜 대신에 몇일 전 몇시간 전이라고 보여줌
          * `allusers` 옵션 추가 : 편에 참여한 모든 사용자 보여줌
          * `editrange` 옵션 추가 : 여러 사용자가 편에 참여한 경우 각 편의 편자를 범위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보여줌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49화 . . . . 5회 일치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 그 149. '''우마루와 보기'''
         우마루와 히카리는 단둘이 보기를 하게 된다.
          * 어색한 분위기 속에 있는 두 사람. 우마루는 돌아가라고 하지만 히카리는 타이헤이가 올 때까지 기다린다며 고 부린다.
          * 히카리는 보기는 뭘하는 거냐고 묻는데, 사실 우마루는 놀고 있을 뿐, 딱히 보기 같은건 하지 않는다.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51화 . . . . 5회 일치
          * UMR에겐 어떡할 거냐고 묻는데, 막과자엘 간다는 말을 듣고 깜짝 놀란다.
          * UMR가 소개한 막과자집은 정말로 오래된 옛날 막과자--다가시카시--
          * 이 에는 고전 아케이드 게임기가 잔뜩 있어서 UMR가 자주 온다
          * 막과자을 만끽하는 두 사람을 보고 봄바는 잊고 있던 골든위크의 즐거움을 되살린다.
  • 미즈우치 타카시 살인사건 . . . . 5회 일치
         그러나 미즈우치는 경찰관 신분이나 오사카에서 온 것을 밝혔으나, 후에 아내가 될 여성과 간사이에서 이미 교제하고 있었다는 것은 말하지 않았다. 그리고 미즈우치는 반년도 되지 않아 시라타 히카루에 대한 관심을 잃어버렸다. 이 해 가을 무렵 시라타 히카루는 친구에게 미즈우치가 연락을 무시하고 데이트도 자주 취소한다고 고민을 털어놓았다. 시라타 히카루는 "어차피 나는 '센다이의 여자'일까", "(미즈우치가) 스노 보드만 하고 있다. 나에게 관심이 없어진걸까."하는 발언을 했다고 한다. 미즈우치는 교제에 불성실해져서 시라타 히카루는 12월에 생일을 맞았지만, 미즈우치는 생일인데도 만나주지 않고, 놀아주거나 선물을 주지도 않았다고 한다. 이에 시라타 히카루는 "괴롭다. 공부에 중할 수 없다."고 토로했다고 한다.
         이후 미즈우치는 오사카에 있는 단골 술에 시라타를 데려가서, 후배 경찰관 A와 만나게 하여 셋이서 식사를 가졌다. A는 미즈우치가 기혼자라는 걸 알고 있었다. 미즈우치의 의도는 확실하지 않으나, 시라타는 후배 경찰관 A를 소개받은 것을 기뻐했다고 한다. '애인'으로 승인된 것이라고 여겼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미즈우치는 2014년 크리스마스에도 시라타를 만나주지 않았다.
         몸이 크고 젊은 남자라는 점에서 미즈우치 타카시와 비슷하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미즈우치 타카시가 범행 시간대에 어딘가에 외출을 했다는 것도 밝혀졌다. 결국 단순 용의자에서 중요 참고인으로 조사를 받게 된 미즈우치 타카시는 25일 진술을 뒤어 "내가 했습니다. 벨트로 목을 졸라죽였습니다."라고 밝혔다.
         2015년 10월 6일, 오사카 지방법원은 미즈우치 타카시에게 징역 18년(구형 20년)을 선고했다. 검찰은 미즈우치 피고가 흉기로 쓰인 가죽 벨트를 지참하는 등, 계획성이 있었다고 주장했으나 재판장은 사전에 살해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고는 인정할 수 없다고 계획성은 부정하였다. 하지만 미즈우치 피고가 살려달라고 하는 피해자의 목을 요하게 조르는 등의 행위에 대하여, "경찰관으로서 사람의 생명을 지킬 의무를 위반하여 생명을 빼앗은 것은 강하게 비난받을 만 하다."고 하였다.
  • 블리치/698화 . . . . 5회 일치
          * 렌지와 루키아도 결혼. 아이도 생겼는데 이치고네 에 놀러오다 잠깐 잃어 버린다.
          * 카즈이가 그 구멍에 손을 어넣자 소울 소사이어티에 있던 유하바하의 기운이 사라진다.
          * 에는 이치고의 친구들이 총합. 아리사와 타츠키와 아사노 케이고, 코지마 미츠이로도 있다.--간만에 등장했는데 마지막화--
          * 그 순간 현세에서 카즈이가 구멍을 손을 어넣는데 어찌된 일인지 유하바하의 힘이 허무하게 사라진다.
  • 스틸오션/사령관 . . . . 5회 일치
          * 중(Concentration) - 적함이 함포에 맞으면 60% 확률로 발동. 30초간 조타가 주포 정확도에 주는 영향을 15% 감소.
          * 중 사격(Intensive Fire) - 액티브. 2CP 소모. 15초간 기관총 데미지 20% 상승.
          * 중(Concentration) - 적함이 함포에 맞으면 60% 확률로 발동. 30초간 조타가 주포 정확도에 주는 영향을 15% 감소.
          * 중(Concentration) - 적함이 함포에 맞으면 60% 확률로 발동. 30초간 조타가 주포 정확도에 주는 영향을 15% 감소.
          * 중(Concentration) - 적함이 함포에 맞으면 60% 확률로 발동. 30초간 조타가 주포 정확도에 주는 영향을 15% 감소.
  • 알프레드 페니워스 . . . . 5회 일치
         [[배트맨]] 시리즈의 캐릭터. 배트맨의 정체인 [[브루스 웨인]]의 [[사]]이며 어려서부터 부모 대신 그를 돌봐온 사실상의 양부이기도 하다. 본인도 브루스를 아들처럼 아낀다.
         사의 전형적인 인물. 말이 사이지 일반적인 사의 업무에 브루스의 배트맨 활동도 보좌하고, 뒤치닥거리하는 대단한 사람이다. 말솜씨도 뛰어나서 배트맨도 이길 수 있으며 독설적 농담을 쓴다. 딱히 싸움을 잘할 듯한 인상은 아니나 박쥐 동굴에 침입자가 발생하면 샷건을 쏘기도 한다.
         웨인 가문의 사 이전에는 배우인 적도 있으며 심지어 군의관, 용병 활동도 해본 적이 있는 인물.
  • 어쌔신 크리드 III/등장인물 . . . . 5회 일치
          헤이덤이 아메리카로 가는 배 안에서 만난 인물. 전날 코벤트가든에서 있었던 살인사건을 언급하며 "[[런던]]이 갈수록 위험한 곳이 되가고 있다. 런던을 떠날 수 있는 우리는 운이 좋은거다,"라는 말을 한다.
          마서스비니어드에 위치한 여관의 주인. 대가족의 장녀로 태어났다. 술 종업원으로 일하던 도중 로버트 폴크너와 처음 만나 사랑에 빠진다. 둘은 서로 편지를 주고받는 관계까지 갔으나 폴크너가 암살단에 들어가 자취를 감추면서 시망.
          한때 암살단의 멘토였던 노인. 템플기사단이 식민지 암살단을 풍비박산내면서 혼자 남게 되었다. 암살단이 되기 위해 찾아온 라둔하게둔을 내쫓으나, 라둔하게둔이 계속 찾아오고 아킬레스의 을 습격한 강도에 대항해 대등하게 맞서 싸우는 모습까지 보이자 그를 훈련시키고 암살단에 입단시킨다.
          버지니아 출신 사냥꾼 겸 측량사. 보스턴에서 영국군의 악행을 보고는 애국자를 지지하게 되었다. 가족들은 전부 왕당파 지지자라고. 보스턴 남부에서 강제 징 당한 사람들을 구조하면 영입된다.
          나무꾼들. 벌목 작업 중 강에 떠내려간 테리를 코너가 구조하며 알게 되었다. 각자 가족이 있으며 가족과 함께 한 에서 생활하고 있는 듯. 자주 투닥거린다.
  • 외가집 . . . . 5회 일치
         어머니의 친가를 이르는 말. 그런데 알아둬야할 것은, '외가'이란 표현은 본래 잘못된 말이다. '외가'의 '가'가 ' 가'(家)자이므로, 외가이라고 하면 '외'(...) 같은 표현이 된다. 비슷한 오용 사례로 '역전 앞'('역전'이란 말 자체가 '역 앞') 같은 말이 있다.
  • 외척 . . . . 5회 일치
         외척(外戚)은 본래 단순히 '[[외가]]'. 그러니까 당사자에서 보기에 어머니 쪽 안의 친척들을 뜻한다.
         원칙적으로 군주의 권위는 막강하지만, 전통적으로 높이 여겨지는 [[어머니]]의 권위가 있기 때문에 군주의 어머니인 [[태후]]는 높은 권위를 가졌고, 태후의 친족인 외척들 역시 권세를 누리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군주의 나이가 어리다면 [[수렴청정]] 등으로 실권까지 장악하는 경우가 많다. 애초에 황후를 배출할 정도면 외척 안 자체가 원래 권세가 강력한 경우가 많았다.
         외척 안에서 황후를 배출하면서 다음 세대, 또 다음 세대로 이어서 장기적으로 외척으로서의 권세를 이어가기도 하다. 조사해보면 직접적으로 외척이 드러나지는 않더라도, 황후를 배출하는 안은 몇몇 가문으로 한정된 경우가 상당히 많다. 이러한 가문이 아예 공인되어, 황족에 버금가는 '왕비족'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 우치벤케이 . . . . 5회 일치
          안에서만 큰소리를 치며 용감하고, 밖에서는 패기가 없는 사람을 뜻한다.
         우치(内)는 안, 벤케이(弁慶)는 [[헤이안 시대]] [[겐페이 전쟁]] 시기에 활약했다는 전설적인 장수 [[무사시보 벤케이]]를 뜻한다. 따라서 " 안 벤케이"란, " 안에서는 벤케이처럼 용감하지만, 밖에서는…."라는 의미가 된다.
  • 원피스/848화 . . . . 5회 일치
          * [[상디]]는 밀모자 일당과 발라티에를 걱정하면서도 이게 최선이라 믿고 있다.
          * 문제의 침입자는 홀케이크 성 내를 들쑤시고 다닌다. 침입자의 정체는 [[페드로]]. 페드로는 전광석화 같은 쾌감으로 체스병들을 유린하며 거침없이 날뛴다. 성 안의 병력들이 페드로를 쫓아 중된다. 페드로는 검술과 폭탄으로 몰려드는 병력을 전멸시킨다. 보물전 앞에서 시작했던 추격은 안바움 3층 안뜰 부근까지 이어진다. [[타마고 남작]]은 보고를 들으며 직접 페드로를 추격하고 있다. 그는 그대로 가든까지 페드로를 몰아넣을 생각이다.
          브룩은 자신만만하게 기타를 꺼냈지만 튜닝을 마치기 전에 체스병들의 공격을 받는다. 그대로 중공격 받아 끝장나나 싶었지만, 갑자기 체스병들이 쓰러진다.
          >억지로 붙인 소울은... 내 념이 불타는 "영혼의 외침" 앞에
         푸딩이 말하는 "결심"이란 로라처럼 결혼식을 거부하고 떠나는 걸로 보인다. 사실 그렇게 되면 더이상 상디를 속박할 명분도 없어지고 빅맘이 밀모자일당을 적대할 이유도 사라지기 때문이다.
  • 은혼/584화 . . . . 5회 일치
          * 카무이는 "가족 문제가 간섭하지 마라"며 야유하지만 긴토키는 '''"피는 이어지지 않았지만 한 밥먹고 같이 웃고 울고 화내고 지내온 해결사다"'''면서 물러서지 않는다.
          * 그럼에도 카무이는 우미보즈와 승부에 착하며 "한 쪽이 쓰러질 때까지 끝나지 않는다"고 억지를 쓴다.
         || 우리들은 너희들과 다르게 피는 이어지지 않았어.
         하지만 같은 지붕 아래서 한 밥 먹고 같이 웃고 울고 화내고 지내온
         우리들이 저 녀석을 위해 움직이는데 '''혈연도 이유도 필요없어.''' ||
  • 은혼/601화 . . . . 5회 일치
          * 하지만 가구라는 첨부터 있을 자리가 따로 있던게 아니라며 억지로 비고 들어와 눌러 앉았던 거라고 말한다.
          * 그런데 자신의 틈에도 어느 샌가 뻔뻔스럽게 비고 들어온 녀석들이 있다며, 오히려 밀어붙여진건 자신이라고 한다.
          * 그런 그가 어떤 자료를 어든다.
          * 가구라는 우리가 소란 떨지 않아도 인터넷은 이미 불바다라며 2채널을 눈팅한다.
          * 이런 일을 기획하면서 가구라는 새에 토를 하는 듯한 기분이 든다며, 새로운 쾌감에 눈뜬다.
  • 이케다 초등학교 사건 . . . . 5회 일치
         체포 직후 타쿠마는 "한큐이케다역(阪急池田駅) 버스 정류장 부근에서 100명 정도 난도질해왔다.", "요즘 계속 잠을 못 잤다. 초등학교에는 가지마."같은 이상한 발언을 반복했다. 타쿠마의 에서는 진정제 등 10여 종류 200정 가량의 약품이 발견됐다. 체포되고 얼마쯤 지나서, "정신장애가 무거운 것처럼 위장했다."고 인정했다. 두 차례의 정신감정 결과 '인격장애'로 진단 받았으나, 책임 능력이 있음이 인정되었다.
         2004년 9월 14일 아침, 오사카 구치소에서 사형이 행되었다. 향년 40세. 타쿠마는 피해 아동 유족의 감정 등을 고려하여, 사형 확정 1년도 되지 않아 이례적인 속도로 행되었으며, 행 전에는 쥬스와 담배를 하였고, 날뛰는 일은 없었다고 한다. 그 날 오전 9시 40분 구치소 직원이 오늘 아침 깨끗하게 갔습니다 라고 사형 행을 보고하고, 여성은 처음에는 의미를 모르다가 "왜 이렇게 빨랐나요"하고 큰 소리로 울었다고 한다.
  • 토리코/375화 . . . . 5회 일치
          * 스타준은 그 말을 "우리(토리코와 스타준)라고 하는게 맞으려나"라고 정정하고 죠아는 그런게 중요한 거냐고 묻는다.
          * 아톰은 토리코에게 악마가 한 마리 더 있는 것과 "우리와 같은 푸른 악마"라는 것에 놀란다.
          * GOD는 네오를 요하게 공격하는데 공격을 피하던 아카시아는 열받게 하지 말라며 GOD의 혀를 삼키려 한다.
          * 블루 니트로 아톰은 팔왕 전원이 결하고 있다는걸 알아차린다.
          * 스타준은 "우리가 누구의 아들인지 아느냐"고 말하고 "운명"에 대해서 말할 땐 "나의 운명"이라고 표현하는데, 그 자신이 아카시아와 죠아를 막고 토리코가 GOD를 포획할 수 있도록 희생하는 운명을 암시하는 거라는 설이 있다.
  • 페어리 테일/493화 . . . . 5회 일치
          * 오거스트는 합을 명하고 아이린은 거부하지만 미라젠을 처리한 뒤 합류하겠다고 하자 오거스트가 단칼에 미라젠을 처리한다.
          * 오거스트는 스프리건12 전원을 폐하(제레프) 곁으로 소하는데 아이린은 자기 멋대로 하겠다며 거부한다.
          * 오거스트는 심장을 꿰뚫었다고 하고 아이린도 불만은 없는지 순순히 소에 응한다.
          * 회복한 미라젠은 스프리건12가 결하는걸 알려야 한다고 말한다.
          * 아이린은 유독 "아이"란 말에 착한다.
  • 페이데이: 더 하이스트 . . . . 5회 일치
         일정 주기로 시작되는 경찰의 공세. 시작되기 일정 시간 전에 페이데이 갱의 오퍼레이터인 베인이 알려준다. 어썰트 기간 중에는 경찰들이 떼거지로 몰려오며 항복하지 않는다. 이 상태로 무리하게 이동하려 했다가는 벌이 되어서 드러눕기 좋으니 신중하게 행동해야 한다.
         민간인을 [[케이블 타이]]로 묶거나 죽기 직전의 법행관을 위협해서 인질로 만들 수 있다. 이 인질은 크루 중 하나가 구속당했을 때 인질 교환으로 크루를 풀려나게 하는 용도다. 인질은 경찰에 의해 풀려날 수 있다. 풀려난 민간인은 도망가며, 풀려난 법행관은 다시 플레이어에게 맞선다.
          인질을 잡을 때 소모되는 아이템. 기본적으로 두개. 장비로 Extra Cable Ties를 선택하면 소지량이 늘어난다. 법행관을 인질로 잡을때는 필요 없다. 스스로 수갑을 채우게 하기 때문.
          창문 같은 곳에서 기어들어오는 법행관들. 권총으로 무장했다.
  • JOY축제 . . . . 4회 일치
         2003년, JOY 라는 아이디를 쓰는 여성이 인터넷에 올린 일기 때문에 [[2채널]]을 중심으로 하여 [[염상]]이 일어났던 사건이다. 자신이 데려온 아이가 술에서 손란을 일으키는 [[민폐]]를 입혔는데, 그걸 뒷담하는 점원에게 오히려 폭력을 휘두른 [[DQN]]으로 유명하다.
         2003년 5월 18일, JOY 라는 여성은 남편 HIDE와 동생 부부와 함께 [[술]]에 가서 저녁 식사를 했다. 이 때 아이들도 같이 데리고 갔으며, 아이들은 술 안을 뛰어다니면서 즐겁게 놀았다(…)고 한다. 그걸 가게의 어떤 사람이 "부모의 훈육이 나쁘다."고 발언하고, 딸이 그 사실을 JOY와 HIDE 부부에게 말하자 분노한 HIDE가 누가 그런 말을 했는지 점원들을 추궁하고, 색출해내서 점원에게 [[폭력]]을 휘두른 다음 가게 점장에게도 소리를 쳤다…라는 내용의 일기를 올렸다.
         그리고 JOY가 자신의 일기에 [[자전거]]를 탄 소년과 [[교통사고]]를 냈으나 오히려 자신보다 소년이 나쁘다고 주장하거나, 남편의 회사에 이름만으로 임원으로 올라가서 [[전업주부]]이지만 월급을 받는 상태이거나, 전업주부임에도 불구하고 [[보육원]]에 아이를 어넣는 등. 다양한 의혹이 제기되었다.
  •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2015시즌 . . . . 4회 일치
         || 관중계 ||<-3><:>2,347명||
         || 관중계 ||<-3><:>6,135명||
         하지만 조덕제 감독이 구상한 반칙을 통한 흐름을 끊어주는 전략이 유효했고, 중력을 끝까지 유지해 경기 종료 즈음하여 2골이 터지면서 수원의 승격이 확정된다.
          1. 퇴장 이력이 있는 팀이 되려 숫적 열세를 뒤고 승리를 거머쥐었다는 점.
  • 개미 . . . . 4회 일치
         진딧물의 주인이자 달팽이의 원수, 개미의 주인, 곤충의 일종. 땅속에 [[개미]]이라는 굴을 파고 무리지어 생활한다. 당신이 개미에게 신경쓰지 않는다면 개미도 당신을 신경쓰지 않지만 당신이 개미을 파헤치거나 손으로 잡으려고 한다면 목숨을 걸고 저항한다.
         에 사는 개미는 엄청난 짜증을 불러일으킨다. 거주자를 물어뜯기도 한다.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48화 . . . . 4회 일치
          * 키리에는 예비작가로서 편장과 정식 미팅을 가진다.
          * 아쿠타가와 편장은 키리에에게 "주인공 캐릭터를 바꿀 것"을 제안한다.
          * 하지만 키리에가 너무 예민한 성격인 탓에 편장도 고민한다.
          * 아쿠타가와 편장은 예상대로 고정이 됐다.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58화 . . . . 4회 일치
          * 저녁 메뉴를 정하다 히카리네 의 여름메뉴 얘기가 나온다.
          * 또 도마 남매 에 늘어져 있는 히카리.
          * 에 돌아온 히카리는 언제나처럼 일에 지쳐 돌아온 카나우를 맞아주며 "언제나 고맙다"고 말한다.
          * 카나우는 눈물이 핑 돌며 감동하는데 히카리는 사실 오빠(타이헤이)네 에 다녀왔다는 것, 그리고 언니를 위해 타이헤이가 요리를 가르쳐줄 거라는 것을 말한다.
  • 김취경전 . . . . 4회 일치
         [[계모]] 안씨(安氏)는 남매를 사랑하다가 자신의 아이 설애(雪愛)를 낳고 나자 시기하고 모함을 한다. 결국 취경은 에서 쫓겨나고, 선애는 안씨에게 반대하는 이복동생 설애[* 보통 계모 소설에서 계모 자식은 계모와 협력하는 경우가 많은데, 김취경전에서는 계모에게 반대하는 역할로 나온다.]와 함께 에서 도망쳐 나온다.
         방황하던 취경은 어느 수수께끼의 백발노인의 인도를 받아, [[흉가]]에 갔는데 그곳에서 괴물을 물리치고 미인 목소저를 구해준다. 목소저는 백제국 태부상서의 딸이었다. 취경은 목소저에게 의지하여 병서와 무술을 공부하게 된다. 한편 을 나온 선애와 설애는 [[남장]]을 하고 다니다가 함흥부의 소년 양화춘과 의형제를 맺고, 함께 오빠 취경을 찾아다니다 취경과 재회한다.
         김형국 일가에서는 선애의 시비 채향이 선애가 야반도주하자 안씨를 무서워하여, 어사 서윤택(徐潤擇)에게 안의 흉사를 고발한다. 서윤택은 김형국과 안씨를 국문하고 취경 남매를 모함한 윤도익을 체포하려고 하지만, 윤도익은 흉계를 꾸며 서윤택은 반대당파의 모함으로 삭탈관직과 유배를 당한다. 하지만 우여곡절 끝에 왕이 진실을 간파하여 서윤택은 복직되었다.
  • 나고야 대학 여학생 살인사건 . . . . 4회 일치
         모리 토모코를 살해한 뒤, 1월에는 귀성 중에 부모님 근처에서 "소사체를 보고 싶다."는 동기로 [[방화]] 사건을 일으키기도 했다.
         모리 토모코는 [[기독교]] 계열 종교의 신자로서, 종교 권유에 열성적이었다고 한다. 본래 모리 토모코와 오오우치 마리아가 만나게 된 계기는 모리 토모코가 종교 권유를 위하여 오오우치 마리아의 을 방문한 것이 계기였다. 문조차 열어주지 않는 사람이 많은데, 오오우치 마리아는 문을 열어줬을 뿐만 아니라 이야기도 들어주고, 살해되기 얼마 전에는 휴대폰 번호도 가르쳐줄 만큼 가까이 끌어들였다고 한다.
         살해 이후에는 부모님의 으로 귀성하여 지내다가 경찰의 연락을 받게 되었고, 체포를 직감하고는 돌아와서 시체와 하룻밤을 보냈다고도 한다.
         오오우치 마리아는 범행 후 센다이에 있는 부모님 으로 귀성했지만 그 때도 도끼를 몸에 지니고 있었다. [[흉기]]는 중요한 증거가 될 수 있지만, 오오우치 마리아는 체포된 이후 취조에서 이 "보물"을 버릴 수 없었기 때문에 소중한 물건은 항상 가지고 다니는게 당연하다고 단언했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03화 . . . . 4회 일치
          * 유명세만큼 전력이 노출돼 있는 웅영고는 시합 개시와 동시에 타학교의 중 공격을 당하나 미도리야의 지휘 아래 돌파해나간다.
          * 사실상 학교 단위 대항전 성격이 되는데 그 중에서도 "개성은 물론 약점, 스타일까지 알려진 톱학교"가 중 공격의 대상이 되는 것.
          * 시합 개시와 함께 모든 학교가 웅영고를 중 공격한다.
          * 어차피 프로가 되려면 "개성을 공개"하는 것이 필연. 위기를 극복하는 것이 히어로라는 지론과 함께 "우리 학생들은 다른 학교보다 더 앞을 보고 있다"고 장담한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07화 . . . . 4회 일치
          * 타학교의 중마크에도 불구하고 웅영고 학생들은 모두 생존 중.
          * 전격을 발생만 시킬 뿐 제어할 수 없는게 고민이었던 카미나리는 전격을 정확하게 중시킬 수 있는 장비를 원했다.
          * 포인터는 약 10미터 거리 안의 전격을 중시킨다. 즉 카미나리가 포인터를 사용한 채 방전하면 정확히 일직선으로 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 주최측은 항상 중 마크 당하던 웅영고가, 올해는 한 명의 탈락자도 나오지 않고 있다고 감탄한다.
  • 단기선교 . . . . 4회 일치
         [[기독교]]의 [[선교]] 활동 가운데 하나. 지원자를 모하여 짧은 기간 동안 선교지에 투입되어 선교 활동을 하는 것을 뜻한다.
         그래서 교회 등에서 모하는 단기선교라는 활동은 명목상으로만 '선교'를 내걸고 있는 [[체험]] [[관광]] [[여행]]에 가까운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단기선교를 비판적으로 보는 의견도 있다.
         [[대한민국]] 교회의 단기해외선교 활동은 1989년 이후 해외여행이 자유화 되면서 나타나기 시작한다. 다만 1990년대 중반까지 단기선교는 일반 참가자가 아닌 해외 선교사 육성을 위하여 선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일환으로서 하는 경우가 많았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로, 대형교회를 중심으로 하여 체험여행에 가까운 형식으로 일반인을 모하여 단기선교를 하는 프로그램이 많이 나타나게 되었는데, 이는 일종의 이벤트 사업으로서 대형교회의 재정적 이유가 배경이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현지 문화와의 마찰을 빚는 문제, 현지에서의 안전에 대한 배려가 없어서 안전 사고를 겪거나, 심지어 테러에 휘말리는 경우도 나타나게 되었다. 이는 단기선교를 꾀하는 단이 '선교'를 목적으로 하고 있어 관광객이라면 피할 위험을 감수하는 모습을 보이고, 안전 보장에서 철저하지 못하고 아마추어적인 모습을 보이기 때문에 위험성이 드러나는 것이다.
  • 드래곤볼 . . . . 4회 일치
          * 88화 : 오공과 프리더의 대결 와중에, 치치가 나메크별에 가서 오반에게 숙제를 주겠다느니 피콜로가 갔다는 말을 듣고 또 오반이 불량해지겠다면서 고을 부리는 장면이 등장한다. 역시 애니판은 상당히 치치의 이미지 악화에 일조한 듯 하다.(...)
         나메크 별에서 전투력 이상 반응이 나타나자, '[[큐이]]'와 같은 디자인의 캐릭터가 "새로운 시대의 시작이다. 우리 종족을 멸망시킨 프리더가 드디어 죽었다."고 발언을 하는데, 그 발언을 하자마자 광선 총에 무수히 맞아서 시체도 안 남기고 소멸한다. 숙청을 한 것은 또 큐이와 같은 디자인의 캐릭터(망토 장비). '사령관'이라고 불리는 이 캐릭터가 "우리가 우주의 승리자가 될 수 있었던건 프리더 님 덕분, 언젠가는 우리 종족을 부흥시켜 주신다고 약속했다. 프리더 님이야 말로 전 우주의 구세주다!"라면서 열렬한 프리더 빠심을 드러낸다. 하지만 초사이어인 오공의 전투력을 계측한 순간 계측기가 폭발하여 기지채로 전멸.
  • 마기/327화 . . . . 4회 일치
          * 시시껄렁한 논쟁에 지나지 않지만 그래도 알라딘은 "가치관의 골을 메꿔가는게 남녀의 사귐"이라고 최대한 진지하게 조언한다. 그 조차도 지금의 알리바바에겐 잘난척하는 얼굴로 보인다. 알라딘은 모르지아나를 좋아하지 않느냐, 어떤 점이 좋으냐고 묻는데 알리바바는 별 사소한 것 하나하나가 다 좋다고 미주알 고주알 늘어놓는다. 알라딘은 어른스러운 태도로 그쯤하면 됐으니 가서 모르지아나에게 사과하라고 권하는데 알리바바는 자기는 잘못한거 없고 사과는 여자가 해야 한다며 쓸데없는 고을 부린다. 결국 글러먹은 태도에 폭발하는 알라딘.
         || 우리들 황제국은 국제동맹 이탈을 중지할 거야. ||
          * 국제동맹 탈퇴를 선언했던 홍옥이 불현듯 번복을 결정한다. 이야기를 들은 알라딘과 알라비바는 한참이나 이해를 못하다가 귀를 의심하게 된다. 알라딘은 그렇게 숙고해서 결정했던걸 뒤어도 되겠냐고 묻는데 홍옥은 모두가 상의해서 내린 결정이라고 강조한다. 이번엔 연홍명이 나서서 말하는데 동맹을 탈퇴하면 당장은 좋을 수 있지만 장기적, 백 년 천 년 뒤의 세계는 그렇지 않다. 자기들 사후의 먼 미래, "백 년 뒤 천 년 뒤의 평화"까지 지키기 위해 용단을 내려야 한다는 홍명. 홍옥도 거기에 동의하며 황의 내전과 같은 비극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선 "누군가 한 명"이 힘을 장악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알리바바는 그게 신드바드냐고 반문한다.
          * 그 뒤로 3일이 지났다. 그런데 충격적인 뉴스가 알리바바와 알라딘을 놀라게 한다. 갑작스럽게 뢰엠이 국제동맹에 가입하고 귀왜국과 황제국의 동맹 복귀가 공식화된 것이다. 그토록 신드바드를 꺼림직해하던 두 지도자들이 신드바드와 손을 맞잡는다. 심지어 무는 "일국의 독자성 같은건 작은 일"이라며 지금까지 정책을 손바닥 뒤듯 한다. 무와 타케루, 홍옥도 "백 년 뒤, 천 년 뒤의 평화"라고 입을 맞춘 듯이 되풀이한다.
  • 몬스터 페어런트 . . . . 4회 일치
          * 자녀의 잘못을 일절 인정하지 않는다. 단괴롭힘의 피해자 등의 항의를 무시한다.
          * 상대가 트잡아서 해오는 요구를 액면 그대로 파악하지 말고, 상대가 실제로는 무엇을 바라고 있는지 파악하도록 노력한다.
         예를 들어 단 괴롭힘 문제를 상담하는 변호사의 이야기에 따르면, 아이가 단괴롭힘을 당해서 학교에 상담을 했는데, 제대로 들어주지 않고 몬스터 페어런트 취급을 당했다는 사례도 있었다고 한다.[기사]
  • 블랙 클로버/89화 . . . . 4회 일치
          >원하는건 힘으로 빼앗는다. 그게 우리 다이아몬드 국왕 아니겠어요♪
          하지만 젤은 호락호락한 인물이 아니었다. 그의 바람 마법이 다이아몬드 병사들의 마법을 상쇄, 자신은 놀라운 속도로 적진을 헤어 놓는다. 사실 그는 다이아몬드 왕국 시절 지휘관이자 교관으로 유명한 인물. 그러나 지금은 나라를 배신했다고 해서 배신자 취급이다. 그의 목에는 현상금도 걸려있는지 막대한 포상금이 나올 거라며 죽이려 든다.
          * 젤이 무모하게 달려든 것 같지만 사실은 고도로 계산된 작전이다. 아군이 밀해 있는 곳에서는 쉽게 반격하기 어려운 법. 마르스와 라드로스 같은 경우는 더욱 그렇다. 젤의 예상대로 둘은 상황을 관망하고 나서지 않는다. 그렇다 해도 혼자서 이 대병력을 상대할 수는 없는 노릇. 그는 자신의 반려자와 제자에게 기대하고 있다. 거기에 부응하듯 다이아몬드 측이 전열을 재정비하려 할 때, 아래 쪽 숲에서 일제히 마법의 사격이 가해진다.
          * [[도미넌트 코드]](도미나)는 숲의 마녀와 함께 마리엘라의 활약을 지켜보며 "역시 우리 마리엘라는 대단하다"고 득의양양해있다.
  • 손요리 . . . . 4회 일치
         手料理(てりょうり,테료우리). 테츠쿠리 료우리(手作り料理) 라고도 한다.
         [[번역]]은 '직접 만든 요리', '손수 만든 요리', '가정요리', '가정식 요리' 등등. 유행어 '밥' 역시 대체로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손]]을 재료로 만든 요리--. 스스로, 혹은 에서 직접 만든 요리라는 뜻이다. 여기서 파생되어, 직접 손을 대서 만든 것 역시 이 말을 쓴다.
  • 식극의 소마/193화 . . . . 4회 일치
          * 이 단순무식한 제안에 에리나는 말을 잊는다. 타도고로 메구미는 자기들이 어떻게 십걸을 쓰러뜨리냐며 우는 소릴하지만 소마는 타도고로 정도면 충분하다고 근거없는 자신감을 불언허는다. 타쿠미 알디니는 그러자면 식극을 해야 하는데 그쪽에서 안 받아주면 그만이지 않냐고 지적한다. 하지만 정작 그 부분은 소마도 "어떻게든 될 거다" 정도로 대충 구상하고 있다. 게다가 왠지 타쿠미도 "우리가 이길 수 있지만 저쪽에서 안 받아줄 거다"라고 근자감이 하늘을 찌르는 상태다.
          * 소마는 "나카무라 선배"[* 아자미의 원래 성]라 부르며 "내가 여기 살아 남은 시점에서 선배가 옳다는건 증명이 안 된 것"이라 도발한다. 헬기에 오르던 아자미가 멈칫한다. 소마는 자기네를 없애고 싶은 거면 회장마다 돌아보는 수고하지 말고 "우리 군대랑 댁네 군대로 십걸 자리를 걸고 전면대결하자"고 제안한다.
          >같은 신념을 내건 요리인들이 단 대 단으로 격돌하는
  • 안드로메다 스토리즈 . . . . 4회 일치
         애니메이션 판은 니혼 테레비에서1982년 8월 22일에 방송되었다. 특 방송 24시간 TV 사랑은 지구를 구한다에서 애니메이션 스페셜로 방송되었다.
         >먼 옛날, 오늘날 우리가 사는 우주조차도 존재하지 않았던 무렵
         전반에는 전형적인 기계와의 전쟁, 초능력 구세주 전설로 흘러가다가, 후반에는 남매 간의 금단의 사랑에 중하는 스토리가 되서 약간 안드로메다로 가는 느낌이 없지 않아 있다.
          * 매년 24시간 테레비의 특 애니메이션은 거의 다 [[데즈카 오사무]] 작품의 영상화였는데, 안드로메다 스토리는 여기에서 특이하게 예외였다.
  • 울펜슈타인 : 뉴오더 . . . . 4회 일치
          크라이슬라우 서클의 리더. 독일 아이젠슈타트 출신으로 아버지를 나치에 의해 잃었다. 전쟁 당시 나치 행관 한스 그뢰세에게 총을 맞아 척추를 다쳤다. 이 때문에 하반신을 쓸 수 없어서 휠체어를 타고다닌다.
          크라이슬라우 서클의 단원. 잉글랜드 출신으로 런던 남동부에서 빵을 운영했었다. 빵이 폭격당한 다음주 영국군에게 징되었다. 영국이 항복한 후 런던에 돌아와보니 아내는 죽어있었다.
  • 원피스/834화 . . . . 4회 일치
          * 타마고 남작의 대화에서 밀모자 일당의 빅맘 측에 노출되어 있는걸 알게 되는데
          * 빅맘은 시저 클라운에게 거인화 약을 내놓으라고 닥달하지만 시저는 궁여지책으로 밀모자 일당 때문에 만들 수 없게 됐다고 속인다.
          * 병정들은 다름 아닌 밀모자 일당에 대해 보고하러 온 것. 쇼콜로 타운에 정박했을 때 이미 그들의 움직임을 인지하고 있었다.
          * 시저는 "밀모자 일행이 연구성과와 연구소를 부숴버렸다"면서 눈물을 짜기 시작한다.
  • 원피스/837화 . . . . 4회 일치
          * 크래커는 상디를 생각한다면 그는 여기서 행복하게 살 테니 냅두라고 말하며, 나중엔 그도 밀모자 일당 따윈 멀리하게 될 거라고 말한다.
          * 나미는 루피마저 사황은 커녕 그 부하에게 제압당하는걸 보고 경악하며 쵸파가 잡혀가기 전 "상대는 사황. 얕보는건 오히려 우리"라고 했던 말을 떠올린다.
          * 그녀는 밀모자 일당의 목적은 "꿈"같은 얘기라며 나미를 거울 속으로 끌어들인다.
          * 루피는 "상디를 무시하지 마! 정말 행복해도 돌아가고 싶지 않더라도 그 녀석은 우리에게 그딴 말은 안 해!"라고 일갈한다.
  • 원피스/839화 . . . . 4회 일치
          * 상디는 니디가 음식 귀한줄 모르는 "멍청한 왕자"라 디스하는데 열받은 니디는 요리사 코제트를 불러 접시를 어던진다.
          * 그는 "네가 변변찮은 요리를 내서 동생이 기분을 망쳤다"고 트을 잡고 코제트는 머리를 조아리며 사죄한다.
          * 하지만 니디는 그 자리에 꼼짝말고 있으라며 먹던 접시를 냅다 어던진다.
          * 내용물이 바닥에 흘렀는데, 상디는 아랑곳 않고 그 요리를 어든다.
  • 원피스/845화 . . . . 4회 일치
          * 상디가 싸웠던 들판에 누워버리는 몽키 D. 루피. 나미는 파운드가 언급한 빅맘 샬롯 링링의 행적을 언급하며 곧 적들이 복수하러 올 텐데 정말 적진 한가운데서 무작정 기다릴 거냐고 말한다. 결국 상디는 오지 않을 거라고도 하는데. 그래도 루피는 고을 꺾지 않고 상디를 기다리기로 한다.
          * 빈스모크 일가를 태운 고양이 마차가 스위트 시티를 지나고 있다. 시민들은 크래커의 복수전을 벌일 "분노의 군단"이 편성됐다고 소리치며 그들의 진군로를 피해주고 있다. 니디, 욘디는 그 군단이 밀모자 일당을 처리하기 위해서 가는 거라며 시시덕거린다.
          * 홀케이크 성에선 푸딩이 상디를 자신의 방으로 데려갔다. 푸딩은 루피 일행과 했던 약속에 대해 말하고 상디를 데려가지 못한 것을 사과한다. 상디는 어차피 자신은 해변에 가지 않았을 거라고 말하며 그녀의 사과를 사양한다. 푸딩은 초대장 때문에 그런 거라면 자신이 죄를 뒤어 쓰는 걸로 어떻게든 될 거라고 말한다. 그리고 빅맘이 도망칠 것같은 결혼상대에게 어떤 짓을 하는지 말하는데, 설명 들을 것도 없이 상디 본인이 폭발수갑을 보여준다. 상디는 이미 빅맘이 손을 써놨다고 말하며 지금껏 얼굴을 씌우고 있던 마스크를 벗는다.
          * 레이쥬는 그의 상처를 치유해준 것이 아니라 가죽같은 마스크로 덮어 씌워놨던 것이다. 그 밑에는 얻어맞아 퉁퉁 부운 얼굴이 그대로 나타난다. 상디는 피로 이어진 가족이 있어도 이꼴이고 자신의 편은 하나도 없다고 털어놓는다. 푸딩은 그의 처참한 몰골에 소스라치게 놀란다. 상디는 이 결혼식을 피하려 하면 자신도 밀모자 일행도 끝장이고 그의 "대은인"인 제프 또한 무사할 수 없다는 것을 고백한다. 그래서 그는 저항을 포기하고 그 대신 루피 일행을 살려달라고 간청하기 위해 여기에 남은 것이다.
  • 원피스/847화 . . . . 4회 일치
          * 미러월드 안에 있는 샬롯 브륄레의 . 캐럿과 쵸파는 결국 잡혔다. 브륄레는 캐럿을 토끼 수프로 만들려고 한다. 언제 들어온 건지 학기사 랜돌프와 유혹의 숲에 있던 악어도 동석. 악어는 본래 자신은 인간은 먹지 않지만 밍크족은 어찌어찌 될 거 같다며 식사를 고대하고 있다. 쵸파가 진자 토끼가 아니라 인간이라고 항변하자 악어가 망설이는데, 브륄레는 쵸파더러 빅맘의 "컬랙션"에 들어갈 거라며 입다물고 있으라고 조롱한다.
          * 빅맘 샬롯 링링은 성의 도서실에서 자신의 "컬랙션"을 과시하고 있다. 그녀의 컬렉션은 아들 샬롯 몬도르의 작품. 그의 능력으로 살아있는 생물을 "책" 속에 봉한 것이다. 그는 여러 페이지를 펼쳐서 수한 생물을 보여준다. "검은 수염"이 임펠다운을 습격했을 때 유출된 "만티코어"나 "유니콘" "그리폰" 같은 전설적인 생물도 있다. 마치 표본처럼 못이 박혀 있는데 하나같이 살아서 몸부림친다. 심지어 사람도 들어가 있는데 펑크 하자드에 있던 "켄타우로스"나 수장족과 족장족의 혼혈인 "수족장인간" 같은 희귀한 인간도 들어가 있다.
          * 때마침 빅맘의 아들이 밀모자 일당 두 명을 연행해왔다고 보고한다. 빅맘은 오늘은 바쁘다며 빈스모크 일가에게 인사하고 자리를 뜬다. 그런데 보고하러 온 아들이 안절부절못하는 태도가 이상해서 왜그러냐고 묻는데, 알고 보니 아들은 제르마66, 그 중에서도 이치디와 레이쥬의 광적인 팬이었다. 팬심으로 흥분하고 있었던 것. 빅맘은 한심하다고 핀잔하며 "필요한건 겉모습이 아니다"라고 하는데.
          >마지막에 이기는건 우리들이다!
  • 월하노인 . . . . 4회 일치
         노인이 말하길, "아직 안된다. 네가 맞을 아내는 지금 세살이로다. 열일곱이 되면 너에게 시오게 되어있다."
         위고가 주머니 안에 무엇이 들어있는지 묻자, 노인이 말하기를, "붉은 끈(赤縄)뿐이다. 이걸로 부부의 발을 묶어서, 태어났을 때 몰래 서로를 이어주도록 되어있다. 비록 원수의 안이건, 귀천(貴賎)의 격이 다르건, 하늘 끝에서 관직을 가지고 있건, 오나라와 초나라의 다른 시골에 있건, 한 번 맺어지면 달아날 수 없다. 너의 발에도 이미 맺어져 있는 상대가 있으리라. 다른 곳에서 찾아도 이롭지 않다"
         위고가 말하길, "나의 아내는 어디에 있습니까. 어느 에서 무엇을 하고 있을까요."
         "세살 때, 안겨서 시장에 갔는데, 미치광이가 나타나 찔러서, 칼 흉터가 남아버렸습니다. 그리하여 꽃장식으로 가리고 있는 것입니다. 십칠년이 지나, 숙부가 노룡(盧龍)님의 보좌관직을 얻게 되어, 마침내 유복하게 살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딸로서 당신에게 시을 간 것입니다."
  • 은혼/580화 . . . . 4회 일치
         * 우미보즈는 코우카의 병을 치료하기 위해 온 우주를 돌아다니지만 진척이 없고 을 비우는 시간이 늘어간다
         * 카무이는 코우카의 병도, 우미보즈가 자주 을 비우는 것도 자신이 약해서라도 생각하며 우미보즈처럼 강해질 것만을 생각한다. 아버지의 가르침대로 사소한 싸움이나 괴롭힘은 그냥 넘기기 시작한다
         * 그러나 그것은 우미보즈도 모르는 것이었다. 우미보즈는 다시 여행을 떠나며 코우카에게 "네가 목숨 걸고 우리 곁에 있는걸 택했다면, 난 너희 곁을 떠나도 네 목숨을 잇는다"며 "그게 황안에 피었던 단 한 송이 꽃을 시들게 한 업"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이것을 카무이가 모두 듣는다
         "네가 목숨 걸고 우리 곁에 있는걸 택했다면, 난 너희 곁을 떠나도 네 목숨을 잇는다"
  • 은혼/604화 . . . . 4회 일치
         [[은혼]] 604훈. '''끈질기다와 요하다는 종이 한 장 차이'''
          * "끝에 와서야 우리는 온갖 속박에서 풀려나지요."
          * 히츠기는 긴토키의 체력을 깎아내며 요하게 따라붙는다.
          * 히츠기는 기껏 비중있게 등장하나 했는데 순식간에 리타이어... 하긴 했지만 불사신 보정을 받고 부활. 긴토키를 정말로 요하게 물고늘어진다.
  • 일곱개의 대죄/180화 . . . . 4회 일치
          * 이럴 때에 용케도 그런걸 한다고 하니 호크가 "어떤 때든 배는 고프고 술도 먹고 싶은거 아니냐"고 말하고 술에 있던 일동이 크게 찬성한다.
          * 술에 있던 손님들은 모두 "마신족 눈치나 보고 사는건 사양"이라며 술이야 말로 자신들의 천국이라 말한다.
          * 호크는 혼자 술을 청소하다 수상한 발소리를 듣는다.
  • 창작:좀비탈출/5-2 . . . . 4회 일치
         || 안으로 도망친다. ||
         얼마나 세게 닫은 건지 안이 흔들거렸다. 지금 낸 소리는 미사일이 때려박는 것 보단 조금 작은 소릴 것 같았다. 아슬아슬한 타이밍에 이번엔 반대편에서 문을 들이받는 소리가 났다.
         문은 끄떡도 없었다. 하지만 소리가 합신호처럼 놈들을 끌어들였다. 처음엔 담장에 막혀 있던 녀석들이 앞사람을 밟고 넘오오기 시작했다. 물론 토트넘처럼 운동신경 좋은 녀석은 거의 없었다. 처음엔 어설프게 담장에 걸쳐 있다 떨어지거나 창살에 걸려 버리기 일쑤였다. 그런데 그렇게 떨어진 녀석이 쌓이니 발판 구실을 했다. 얼마 안 가 제법 상태가 깨끗한 녀석들이 넘어오게 되면서 이젠 만원 상태다.
         식량이 떨어진지 벌써 일주일 째다. 결국 타협해서 수돗물을 마시게 됐지만 이것만 가지고 얼마나 버틸 수 있을까? 안에 보이는 거울이란 거울은 다 깨뜨리거나 뒤로 돌려놓았다. 하루가 다르게 앙상해지는 내 몰골을 보고 싶지 않았다. 하지만 오늘 아침에 일어나다가 바지가 헐렁하게 벗겨져 버리는걸 보고 새삼 느끼지 않을 수 없었다.
  • 창작:좀비탈출/학교 . . . . 4회 일치
         우리 학교는 사태가 이 지경에 이르러가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수업을 중지하기는 커녕 야간자율학습도 그만두지 않았다. 이유는 교감이 "'''이럴 때일수록 더욱 면학에 전념해야 합니다! 6.25 때도 학교는 닫지 않았습니다!"'''라고 열광적으로 주장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교실을 나가더니 곧 교감의 자동차 소리가 들렸다. 교문단속에 편적이던 교감은 교문을 닫아걸고 나갔고, 그리고 돌아오지 않았다고 한다. 아마 죽었을 것이다.
         학교에는 수십명 가량의 학생만 남겨졌는데, 이 지경이 되서도 야간자율학습에 보내는 부모를 둔 녀석들인 만큼 다들 조금 무기력한 데가 있어서 다음날 대낮이 되도록 거의 움직이지 않았다고 한다. 하지만 역시 상황이 심상치 않다는걸 깨닫고 하나 둘 무단으로(?) 학교를 빠져나가기 시작했다. 그런 녀석들도 물론 돌아오지 않았다. 얘들도 아마 죽었을 것이다. 그런 공부벌레들이 이런 좀비가 우글거리는 거리를 헤치고 무사히 으로 돌아갈 리가 없고, 돌아갔다고 해도 집은 이미 안전한 곳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그렇게 남아 있던 녀석들 가운데 반 이상이 조용히 학교를 나가기를 선택한 다음, 아무도 돌아오지 않고 소식도 없자 나머지 녀석들도 나가는 것은 포기했다.
  • 카치구미 . . . . 4회 일치
         >미국의 8배의 파괴력을 가지고 있는 일본의 [[원자폭탄]] 공격으로, 누보자키(犬吠崎沖) 앞바다에 결해있던 미국, 영국 함대 400 척이 전멸.
         1945년 8월이 되자 당연히 패전 소식이 퍼졌으나, 곧 '일본의 패전은 루머다'라는 소식으로 바뀌었고, 이게 거꾸로 뒤혀서 '일본이 이겼다'는 루머가 되는데는 오래 걸리지 않았다.
         패전 이후, 1946년 1월 일본은 새 화폐로 전환했으나, 브라질 국내에는 아직 구 일본 화폐가 남아 있었다. 일본 구화폐는 사용하지도 못하고, 외환으로 환전하는 것도 할 수 없었다. 그러나 일본이 이겼다는 소문을 퍼트려서 귀국하려는 일본인들에게 구 일본화폐를 파는 사기였다. 귀국하려는 일본인의 땅, , 가축, 그리고 브라질 화폐를 '''이제는 아무 짝에도 쓸모없는''' 구 일본 화폐로 사들이는 것이다. 이렇게 [[휴지]](…)와 전재산을 바꿔버리고 전 재산을 잃고 자살하는 사람도 나타났다.
         6월 3일 스웨덴 공사관 일본인 권익부는 요시다 총리의 메시지를 전달했으며, 상파울루 주 정관이 관저에 카치구미 600명을 모아서 진실을 알리고 설득했다. 심지어 일본에서 직접 정치인이 브라질까지 와서 향후에 대한 연설을 하기도 했지만, ''''카치구미는 믿지 않았다.'''
  • 콩고(소설) . . . . 4회 일치
         그렇지 않아도 일본과 유럽 합작 기업의 탐사대가 추격 중이라 바짝 긴장한 연구소는 급히 과학자 카렌 로스를 팀장으로 삼아 소규모 탐사대를 재차 투입한다. [* 이렇게 급하게 탐사대를 다시 꾸린 건 경쟁 기업의 추격도 있었지만 해당 지역이 정부군과 식인종 키가니족이 내전 중이라 어렵게 따낸 탐사 허가를 또다시 따낼 틈이 없어 일단 탐사대의 전멸은 비밀로 한채 새로운 탐사대를 투입하는 걸 들키기 전에 얼른 투입시키기 위해 서둘렀다.] 영상에 힌 고릴라의 이미지 때문에 영장류 전문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카렌은 수화를 할 줄 아는 [[고릴라]] 에이미와 그녀를 돌보는 동물학자 피터 엘리어트, 아프리카의 백인 용병 찰스 먼로 등이 이끄는 탐험대가 자이르 정글 깊숙한 곳으로 잃어버린 전설의 다이아몬드 광산도시 진즈(Zinj)를 찾는 모험이 중심 소재이다. 마치 전형적인 모험 소설 같지만, 탐험의 주체가 현대적인 광산 기업이거나, 위성으로 연락, 데이터를 컴퓨터로 분석하거나 NASA에서 개발된 탐험 장비를 사용하는 등 상당히 현대적인 가제트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어찌됐든 앞서게 된 일행은 잃어버린 도시 진즈에 도착한다. 하지만 그곳에는 진즈의 원주민들이 경비를 위해서 남겨놓은 회색 고릴라 단이 살고 있었고, 곧이어 회색고릴라 무리의 요한 공격에 노출된다. 첫교전에선 전기철조망과 자동사격기관포로 막아내지만 탄약이 절반이상 소모된데다 고릴라들의 전기철조망에 한번 당하자 나무 막대로 철조망을 젖혀놓고 들어와 대원 하나 살해할 정도로 높은 지능과 무서운 념을 보인다. 이후로 영장류가 물을 싫어하는 특성을 사용해[* 에이미도 앞서 그런 모습을 보였는데 급류를 타기 위해 고무보트를 타야하자 피터에게 똥 같은 놈이라고 욕했다.(...)] 강물을 끌어들인 도랑도 파고 보유량이 넉넉한 최루탄으로 밀어내는 등 선전을 펼치고 고릴라 무리를 선제 공격하거나 아예 철수하는 방법도 찾지만 고릴라 수가 너무 많이 총으로 무장했어도 십여명 수준으로는 대책이 없었고 퇴로도 다 매복한 상태라 오도 가도 못하며 탐험대는 희생을 내며 궁지에 몰린다. 결국 마지막 전투에서 탄약도 떨어지고 비까지 내려 최루탄도 무력화되고 도랑은 고릴라가 나무를 걸쳐 통과해버리면서 몰살될 위기에 처하는데 에이미의 도움으로 엘리엇은 고릴라들이 쓰는 언어를 해독하여 그들을 진정시키는데 성공하여 위기를 벗어난다.
  • 타쿠마 마모루 . . . . 4회 일치
         1984년 11월, 부동산회사 업무 중 관리하던 오사카 시내의 아파트에, 수금을 빌미로 하여 여성의 에 들어가서 폭행하고 [[강간]]을 저질렀다. 체포를 당하지 않으려고 [[정신병원]]에 입원하고, "환청이 들린다."고 호소하여 [[정신분열병]] 진단을 받는다. 하지만 오사카 지검에서는 성격 이상이 있으나 이성적인 판단 능력이 있다고 진단하여 기소하였다. 그리고 1986년 7월 31일, 오사카 지방법원에서 징역 3년으로 실형 판결을 받고 나라 소년 교도소에 들어간다. 1989년 8월에 교도소를 나왔다.
         1995년 11월 27일에는 같은 직장의 여성과 양자결연을 맺어 성이 바뀌었다가, 1997년 1월에 양자결연을 해소하고 타쿠마로 돌아왔다. 타쿠마는 여성에게 [[위자료]]로서 200만엔을 달라고 강요했다. 1997년 3월에는 39세 여성과 3번째로 결혼했다. 하지만 12월에는 이혼을 요구받고, 고베 지방 법원 히메지 지부에 이혼조정을 요청했다. 타쿠마는 이 여성과의 재결합에 착하여 앙심을 품게 되었다. 1998년 6월에 이혼 조정이 성립되었은아, 타쿠마는 전처를 반복해서 스토킹 하고, 교제중이던 다른 여성을 폭행하여 체포되었으며, 전처에게도 유사 사건을 일으켜서 체포되었다. 10월 18일에는 교제중이던 여성과 4번째 결혼을 했다.
         1999년 3월 2일에 형이 마무루의 거듭되는 불화와 폭력으로 자살을 하게 된다. 그 직전에 아내와 이혼하였으며 아이를 혼자 놔두고 자살하였다. 3월 31일에 타쿠마 마무로는 4번째 이혼을 했다. 9월 7일에는 이전에 양자결연을 맺었던 여성의 에 침입했다가 체포당했다.
         2000년 10월 14일에, 택시 운전사로 근무하다가 오사카 시내의 호텔에서 벨보이와 말다툼을 벌여서, 폭행으로 체포된다. 11월에는 이케다 시 건축자재 판매회사에 10톤 트럭 운전사로 채용되었고, 이케다 시의 원룸으로 이사했다. 하지만 신호대기를 할 때 나란히 서있던 차에 타고 있던 여성을 "눈이 마주쳤다"고 트을 잡으며 침을 뱉는 등의 문제를 일으켜서 2001년 2월에 그만둔다. 2001년 5월 하순에는 스스로 하룻동안 정신병원에 입원하였다.
  • 테미야게 . . . . 4회 일치
         --[[손]]선물-- . 남의 을 방문할 때 가져가는 간단한 [[선물]].
         테미야게는 남의 을 방문할 때, 인사치례용으로 가져가는 간단한 [[선물]]을 뜻하는 말이다.
  • 트로피코 4/칙령 . . . . 4회 일치
         모든 주거 건물의 세를 0으로 고정한다. 공산주의자의 존경심이 상승하지만 자본주의자의 존경심이 하락한다. 언제든지 취소할 수 있다.
         === 자연 특 다큐멘터리 ===
         가정 욕실을 포함한 모든 구역과 모든 사람들을 감시망 아래 둔다. 치안이 증가하며 범죄자가 발생하지 않지만 자유도가 감소한다.
         메신저, 블로그, 페이스북, 직장 내의 수다를 금지시킨다. 시민들이 소셜 네트워크에 홀리지 않고 일에 중하기에 생산력이 5% 상승한다. 게임 자체의 페이스북/트위터 연동 기능도 차단된다.
  • 페어리 테일/494화 . . . . 4회 일치
          * 스프리건12 결. 갓세레나, 월, 블러드맨은 사망해서 나인하르트가 히스토리아로 부활시킨다.
          * 스프리건12가 결.
          * 평소에도 사이가 좋지 않은 듯 한데 잉벨은 "라케이드가 소에 안 따라서 그렇다"고 하지만 다른 원인이 있을지도?
          * 라케이드는 평소에도 오거스트의 소을 무시한 걸로 보이는데 아이린도 어지간해서는 따랐던 걸 보면 엄청나게 방자한 행동이다.
  • 페어리 테일/501화 . . . . 4회 일치
          * 나츠는 브랜디쉬에게 "너도 우리를 막겠다면 싸우지 않을 수 없다"고 으름장을 놓는다.
          * 어째서 그러냐고 묻는 루시에게 "그 녀석은 우리에게 위협"이라고 단호히 답한다.
          * 브랜디쉬의 손을 찔러서 탈출, 작은 몸을 이용해 이리저리 날뛰며 벤다.
          * "이딴 촌극은 어치워라"고 말하는데.
  • 페이데이: 더 하이스트/하이스트 . . . . 4회 일치
          맷의 밴은 뒤어진 상황. 하지만 맷은 나오기를 거부한다. 맷을 나오게 하기 위해 주변에서 가솔린을 구해 밴에 불을 붙이자. 한번으로는 안 나오므로 불이 꺼질 때 마다 가솔린을 구해 불을 붙여야한다. 피운 불에 닿으면 데미지를 입으니 주의.
          * 맷을 헬리콥터에 태운 후 결한다
          금고에 든 금을 가방에 싼 후, 가방을 어들자.
         돈 세탁사이자 지폐 위조사인 미첼과 윌슨의 을 습격하는 하이스트. 울프팩 DLC를 구매해야지만 플레이 가능하다.
  • 핑커톤 . . . . 4회 일치
         [[미국]]의 보안회사. 고용인 조사, 수사, 보안, 정보수 등 여러 분야를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그쪽보다는 19세기에 벌였던 범죄자 사냥과 용역깡패 행위로 유명하다.
         1872년, [[제시 영거 갱]]의 핵심인물이었던 [[제시 제임스]]와 프랭크 제임스를 잡는답시고 그들의 가족이 사는 에 폭탄을 던져버렸다. 이로 인해 제임스의 9살 먹은 이부동생 아치 사무엘(Archie Samuel)이 사망했으며 제임스의 모친인 제렐다 새뮤얼(Zerelda Samuel)[* 재혼해서 성이 바뀌었다.]은 한쪽 팔을 잃게되었다. 핑커톤측은 을 불태워버리려는 의도는 아니었다고 주장했지만 앨런 핑커톤이 "을 불태워버려라"라는 지시를 내렸다는 증언이 있다.
  • 하이큐/210화 . . . . 4회 일치
          * 봄철 대회까지 1개월간 서브를 중 단련하기로 한다.
          * 시라토리자와 볼보이들은 소된 선수들의 면면을 살펴보면서 "우리하곤 스타트 지점이 다르다"고 부러워한다.
          * 그때 츠키시마가 빨리 에가게 준비하라며 닥달한다.
  • 하이큐/229화 . . . . 4회 일치
          * 설날. 봄고 대회는 1월 5일로 불과 4일 앞으로 다가왔다. 아침 일찍 을 나서는 사와무라 다이치. 그런데 어머니가 어딜 가냐고 물어 배구부에 간댔더니 이상한 소릴한다.
          * 신사를 나서면서, "원래 신사참배할 때는 소원이 아니라 감사를 하는 것"이라는 말이 나온다. 아즈마네는 자기는 그걸 몰라서 시합 결과에 옆 개의 건강가지 빌어버렸다고 "신령님이 뻔뻔하다고 생각하겠다"고 한탄한다. 이런 실없는 얘기나 하던 중에 시미즈가 "신령님한테 빈다고 시합에서 이기는게 아니다"는 독설을 날린다. 일순 굳어버린 남자들. 스가는 왜 하필 이 타이밍에 그런 이야기를 하냐고 묻는다.
          * 한편 설날에도 런닝을 빼먹지 않는 카게야마 토비오는 히나타 쇼요에게 신사 참배 가지 않겠냐고 문자를 받지만 단호히 거절한다. 부원들은 각자 에서 설날을 보내고 있다. 히나타는 야마구치 타다시랑 참배하러 가는 길에 카게야마한테도 물어본 거지만 단호한 거절에 짜증을 낸다. 타나카 류노스케는 누나가 주정을 부려서 곤란해하고 있다. 니시노야 유는 전통놀이로 여념이 없다. 츠키시마 케이는 형이 친근하게 다가오지만 혼자 노느라 신경도 쓰지 않는다.
          * 다시 으로 향하는 사와무라. 그런데 우연찮게 토코나미 고교 3학년 이케지리 하야토와 마주친다. 오랜만에 만난 그들은 공원에서 잠시 이야기를 나눈다. 사와무라는 다른 팀이라 그런지 팀원들에게 털어놓지 못했던 긴장감에 대해서 자연스럽게 이야기한다. 이케지리는 "시라토리자와를 무찌르고 봄고에 가는거 자체가 대단하다"며 부담갖지 말고 편하게 다녀오라고 말하는 듯 했지만
  • 히나타 쇼요 . . . . 4회 일치
         키와 몸이 작아 배구선수로서는 불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지만, 그것을 특유의 민첩성과 스피드로 커버해낸다. 성격은 [[외유내강]]으로, 가끔 상대방의 겉모습만 보고 겁먹을 때도 많지만 본능적으로 야성적인 육식계 포스를 발휘할 때가 많다. 특히 이럴 때는 작중의 인물들이 전부 움찔거리면서 땀을 흘리는 모습이 나온다. 작중에서는 '''승리에 굶주린 작은 짐승'''으로 묘사되었다.
         경기가 시작되고, 카게야마는 히나타의 경기에 대한 념과 미숙한 세터가 토스미스한 공을 쳐낼 정도의 뛰어난 반사신경에 감탄한다. 하지만 히나타 외엔 누구도 의욕도 실력도 없었던 유키가오카 중은 불과 31분만에 세트포인트 2-0로 키타가와 제1중학교에 참패. 이 때 카게야마는 중학교 3년 동안 무얼 했냐며 히나타를 질책한다. 히나타는 카게야마에게 설욕을 다짐하며 남은 중학교 시간을 여자 배구부, 동네 아줌마 배구팀과 훈련한다. 그리고 그렇게 설욕을 다짐하며 오래전부터 가고 싶었던 카라스노 고등학교에 진학하게 되는데.... 그러나 배구부가 있는 제2 체육관에 있던 건 바로 원수 카게야마였다.
         선배들 앞에서 카라스노의 에이스가 되겠다며 목표를 밝혔으나, 그 말을 전면 부정하던 카게야마와 티격태격하다가 나란히 배구부 입부를 거절당했다. 그 후, 3대 3 경기를 통해 카게야마와의 협력을 보여주고 배구부에 입부한다. 히나타는 실전 경험이 거의 없기 때문에, 배구에 관한 기술은 초보티를 간신히 벗은 정도. 서브나 리시브도 제대로 못하고, 자그마한 키와 몸 등 불리한 면이 많지만, 경이적인 반사 신경과 순발력을 갖고 카게야마를 비롯한 동료들을 놀라게 한다. 오히려 히나타가 제대로 스파이크를 하지 못하는 점이 카게야마가 세터로서 본래의 능력을 개화시키는 계기가 됐다. 카게야마와는 호흡을 맞춰 '괴짜속공' 이라는 이상한 속공을 보여주기도 한다. 뛰어난 신체적 능력과 괴짜속공으로 상대에게 압박감을 주어 히나타를 경계 시키게 만듦으로서 다른 선수가 득점하는 기회를 만드는 것. 그래서 현재 경기 중 히나타의 임무는 '최강의 미끼'가 되었다. '미끼'라는 자신의 포지션이 '에이스'에 비해 초라하다고 느껴 기죽기도 하지만 이를 꿰뚫어본 카게야마에게 한소리를 듣고 자신의 역할을 긍정하게 된다.
          * 여타 다른 소년만화의 열혈계 주인공들과 다르게 의외로 겁이 많다. 특히 자신보다 압도적으로 키 큰 사람 앞에만 서면 잔뜩 위축되서 겁을 어먹고 다른 키 큰 사람 뒤에 숨는다.~~모에~~ 그랬던 놈이 시합에만 들어가면 분위기가 180도 달라져서 자신이 겁먹었었던 그 큰 놈들을 상대로 언제 그랬냐는 듯 눈 희번뜩이고 달려드는 것이 포인트. 이 때의 기백과 기세가 굉장해서 상대팀의 강자들조차 살짝 움찔하는 모습을 보인다. 아오바죠사이의 [오이카와 토오루]는 이런 그를 보고 '워밍업 존에서 갈망을 가득 쌓고 올라 온 작은 짐승'이라 표현하며 잔뜩 의식하고 경계하는 모습을 보였다.
  • Crusader Kings 2 . . . . 3회 일치
         그외 이 시나리오의 아바스는 페르시아일대와 이트, 그외 메소포타미아와 아라비아를 장악한 최대판도이다.
          * 육군 징: 현재 자신이 직접 징 가능할 수 있는 병사 수.
  • K리그 챌린지 플레이오프/2014시즌 . . . . 3회 일치
         || 관중계 ||<-3><:>1,065명||
         광주는 강원에 밀려 4위였지만 2014시즌에 한정해서 기록을 고려해 보면 두 팀의 상대전적은 강원 기준으로 1승 1무 2패로 다소 광주가 앞서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무승부만 거둬도 된다고 생각하면 강원은 1무를 1승으로 충분히 여길 수 있었으므로 두 팀의 경기력은 팽팽하다고 봐도 될 정도. 하지만 끝내 "호남의 아들" 김호남이 후반 8분(53분)에 임선영의 어시스트로 골을 넣으면서 광주가 플레이오프에 도전할 자격을 받게 되었다.
         || 관중계 ||<-3><:> 2,767명 ||
  • 가족같은 . . . . 3회 일치
         [[가족]]이 아닌 단이 마치 가족처럼 깊은 정서적 유대를 가지게 되어, [[유사가족]]적으로 훈훈한 단이 되었을 때 쓰인다. 부정적으로 볼 때는 [[가족놀이]]라고 한다.
         이쪽은 "가'''족'''같은" 이라고 발음한다. '가족같은 분위기'를 내세우면서 오히려 구성원에게 피해를 주거나, 희생을 강요하는 잘못된 행동을 하는 단에게 사용하는 표현이다.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71화 . . . . 3회 일치
          * 타치바나 실핀포드의 에서 놀게 된 도마 우마루(UMR모드)
          * 의 창고를 뒤지다 보니 레트로한 굿즈가 마구마구 튀어나온다.
          * 타치바나 실핀포드의 에서 놀고 있는 UMR.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98화 . . . . 3회 일치
          * 미도리야는 을 나서기 전 어머니의 염려 섞인 배웅을 받는다.
          * 야오요로즈는 "우리하고 비슷하다"고 말하며 부자임을 과시.
  • 니세코이/216화 . . . . 3회 일치
          * 이치죠가 중학교 졸업 이후 안일을 하게 됐기 때문에 에는 거의 신경쓰지 않고 오로지 작품활동 중.
          * 사실 이치죠 어머니도 상당한 기인. 중학교를 갓 졸업한 아들에게 모든 안일을 다 맡기다니--아참 야쿠자 마누라였지. 어쩐지--
  • 니세코이/229화 . . . . 3회 일치
          * 오노데라를 파티쉐가 되었다. 이치죠와 치토게의 웨딩케잌을 만드는 중. 하루는 화과자을 물려받는다.
          * 하루는 화과자 을 이어받았다.
          * 팬덤은 초상 분위기로 승자인 치토게 파벌은 도망쳐서 나오지 않는 느낌.
  • 동군연합 . . . . 3회 일치
         '''가장 유명한 경우''' 카스티야의 이사벨라 여왕이 아라곤의 왕과 결혼하면서 생긴 연합. 이로서 '스페인 왕국'이 형성되게 된다. 다만, '부르봉 왕조' 권 이전 합스부르크 왕조 스페인은 카스티야, 아라곤, 레온, [[포르투갈]](!) 등의 왕국 연합체나 다름없어서(…) 통합은 완전하지 않았다. 부르봉 왕조 이후는 스페인 왕위계승 전쟁으로 지방세력이 갈갈히 찢기고 초토화 되면서 이웃 강국 [[프랑스]]를 등에 업은 마드리드 중앙정부의 권위가 강화된 것(…).
         당시 폴란드의 왕가였던 앙쥬왕가가 남계가 단절되면서 당시 폴란드 왕의 딸이 리투아니아의 대공에게 시가면서 생긴 연합. 쭉유지되다가 이후 폴란드가 프로이센, 러시아, 오스트리아에게 삼분할되면서 '''멸망'''~~딴애들은 전부 해체나 상실인데 얘만 멸망이다. 안습~~
         여담으로, 브란덴부르크가 핵심지였지만, 이후의 국명은 '프로이센'이 되는데 이는 프로이센이 당시 '독일 바깥'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신성로마제국 황제는 '독일왕'을 겸하므로 독일영역 내부의 영주는 별도의 왕위를 주장할 수 없다. 프로이센은 본래 독일인의 영역이 아닌 발트계 민족 프루사 족의 땅이라서 별도의 왕위로서 '프로이센 왕'이라는 칭호를 내세우는게 가능했던 것이다.(마찬가지로 체코 지역도 본래의 독일 지역이 아니었으므로 '보헤미아 왕'을 칭할 수 있다.) 다만, 역시 프로이센 공작위도 엄밀히 말하자면 본래 폴란드 왕의 봉신인 신세라 이걸로 트이 잡힐걸 우려해서인지 'King of Prussia'(프로이센 왕)이 아닌 'King in Prussia'(프로이센 안의 왕)이라는 일종의 외왕내제식 편법을 썼다. 이후 프리드리히 대왕시기에 'King of Prussia'라는 칭호를 쓰게 됀다.
  • 못난 나를 사랑해주세요 . . . . 3회 일치
         미치코의 옛 직장상사. 현재 [[탈 샐러리맨]]을 시작하여 [[찻]]을 경영하고 있다. 본래 불량배 출신. 무섭지만 사람을 잘 돌봐준다.
         찻 히마와리를 열었던 아유무의 [[할머니]].
         찻의 종업원. 쿠로사와가 불량배 시절에 만났으며, 그에게 심복하고 있다.
  • 미저리 . . . . 3회 일치
         소설가 폴 셸던은 자신이 새로 쓴 소설을 출판사에게 전해주기 위해 차를 운전한다. 그는 "미저리"라는 여성을 주인공으로 한 소설 시리즈 "미저리"[* 작중 묘사에 의하면 근세 배경의 신데렐라 스토리 소설인 것 같다.]로 성공을 거둔 작가지만 폴은 그 소설을 좋아하지 않았다. 그렇기에 그는 자신이 새로 낸 미저리 시리즈인 "미저리의 아이"의 최후반부에 아이를 낳던 미저리가 사망하는 내용을 넣어 시리즈를 끝내버린 후, 차도둑을 소재로 한 새로운 소설을 필한다. 소설을 완성한 폴은 자신이 쓴 소설의 작품성에 흥분하며 차를 타고 서쪽으로 향하다가 빙판길에 의해 교통사고를 당한다.
         폴을 구조한 것은 애니 윌크스라는 이름의 여성이었다. 폴 셸던과 미저리 시리즈의 광팬이던 그녀는 폴을 발견해 자신이 추종하던 그 작가라는 것을 알고 으로 데려온다. 전직 간호사였던 애니는 폴을 간호하면서 자신이 미저리와 폴 셸던의 광팬이라는 사실을 밝힌다. 그녀는 폴의 가방에서 발견한 새로운 소설의 원고를 읽어보지만 재미가 덜하고 언어가 저속하다는 이유로 때려 치고 자신이 산 신작 "미저리의 아이"나 읽기 시작한다. 그리고 결말까지 전부 읽는다.
         미저리가 죽는 결말을 본 애니는 광분한다. 그녀는 폴의 눈 앞에서 신작 원고를 불살라버리고는 미저리를 살려서 새로운 소설인 "미저리의 귀환"을 쓰자고 협박한다. 폴은 살아남기 위해 애니의 검수 아래 "미저리의 귀환"를 필하기 시작한다.
  • 바닷마을 다이어리 . . . . 3회 일치
         15년 전 아버지는 여자와 나가고, 그 어머니도 재혼하여 을 떠났다. 세 자매를 키워준 할머니도 돌아가셔서, 장녀 사치, 차녀 욧쨩, 삼녀 치카는 넓고 오래된 [[카마쿠라]]의 에 남겨져 있다. 아버지의 부고를 받고 장례식에 나간 그녀들은 다른 여동생 스즈와 만나게 된다.
         믿음직하지 못한 양어머니를 떠받치며, 다부지게 행동하는 중학생 스즈를 보고 자매들은 함께 살지 않겠느냐고 카마쿠라의 에 스즈를 초대한다. 네 자매의 새로운 생활이 시작되는데, 할머니의 칠주기에 소식불통이었던 어머니가 나타난다.
  • 바키도/117화 . . . . 3회 일치
          * 피클의 반격으로 일격에 그로기가 된 무사시. 피클은 무사시가 떨어뜨린 칼을 어드는데
          * 피클은 안면근육과 상반신 근육 전체를 중해 날이 닿는 순간 잡아버린 것이다.
          * 무사시는 아직도 일어서지 못한 상태. 그리고 피클은 무사시의 칼을 어든다.
  • 바키도/127화 . . . . 3회 일치
          * 그런데 모토베는 칼만 돌려주고 칼이 남았다며 이런건 무기도 안 된다며 역시 무사시에게 던진다.
          * 무사시는 무슨 대항심인지 날아오는 칼에 그대로 칼을 꽂아넣는데.
          * 칼이 산산조각나고 무사시도 폭발의 충격으로 몸이 휘청인다.
  • 보쿠걸/101화 . . . . 3회 일치
          * 미즈키는 이마이 선배의 에 찾아간다
          * 가게에서 마주쳤을 때 "초콜릿을 만들 거다"는 대화를 나누게 되고 이마이 쪽에서 "잘 모르겠다면 우리 에서 가르쳐주겠다"라고 말해버렸는데, 정말로 미즈키가 왔다
  • 산킨고타이 . . . . 3회 일치
         일반적으로 행렬을 통해 각 번의 경제력을 소모시켜 반란을 막는 것이 목적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이는 결과론적인 얘기로, 실제 모반 방지는 다이묘의 가족들이 에도에 머무르는 것으로 충분했고, 다만 다이묘들이 체면을 중시하여 행렬을 화려하게 꾸미는 것에 착하는 바람에 결과적으로 과도한 지출로 이어진 것이다.
         이처럼 각 번의 재정에 부담을 주던 제도였으나, 반대로 이러한 '다이묘 행렬'을 접대하는 숙박시설과 역참 제도가 정비되었으며, 이를 통해 일본 내 상업 및 서비스업이 발달하는 효과를 낳았다.[* 이 당시 상업의 발달에 대해서는 "오사카 상인이 노하면 전국의 다이묘들이 벌벌 떤다"는 말이 대변해 준다. 다이묘들이 너도나도 거상들에게 돈을 빌리다 보니 나중엔 그들에게 번의 재정까지 목줄을 쥐이고 만 것.] 오가는 길마다 다이묘가 체면치례를 위해서 돈을 뿌리고 다녔으니 당연한 일이다. 각지에서는 다이묘 행렬을 접대하고 팔기 위하여 '특산물'을 만들었다. 이로서 전국의 부가 중된 에도는 번영을 누릴 수 있었다.
         지방 다이묘 측에서도 나쁜 점만 있는 것은 아니었는데, 정치 중심지인 에도에서 정치적, 경제적으로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수하고, 번영하는 에도의 문화를 얻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 샬롯 링링 . . . . 3회 일치
         [[위대한 항로]]를 주름잡는 최강의 [[해적]]인 '''[[사황]]''' 중 한 명이자 [[빅 맘 해적단]]의 선장이다. 통칭 '''빅 맘'''.[* 그녀의 배에 써 있는 글씨에 따르면 Big Ma'am이 아니라 Big Mom이다. 전자는 마담, 후자는 마더. 그래서 그런지 지금까지 나온 바로는 빅 맘 해적단의 선원들은 샬롯을 '''"마마"'''라고 부르고 있다. 원피스 그린에서는 BIG MOM이라고 써 있는데 610화에서 파파구의 설명에서는 배경에 BIG MAM이라고 써 있다. Mam은 마마(Mamma)의 준말이니 의미상의 차이는 없지만. 다른 표기가 작중 또는 공식 설정에 나왔다면 출처와 함께 [[추가바람]].] 생일은 [[2월 15일]].
         흰 수염 [[에드워드 뉴게이트]] 사후에 [[어인섬]]에 자기 이름을 내걸고 그곳을 다른 해적들로부터 지켜주고 있으며 그 대가로 매달마다 10톤의 과자를 조공받고 있다. 어인섬처럼 특정한 곳을 보호해주는 대신 과자를 매달 조공받는 거래를 하는 것을 선호하는 듯하다. 그러나 과자를 주기로 해놓고서 주지 않는다면 나라마저도 박살내버리는 듯하다. '''[wiki:"샤를로테(마법소녀 마도카 마기카)" 과자에 무지막지하게] [wiki:"쿠키 몬스터"착한다.]''' --[wiki:"간디(문명 시리즈)"순순히 과자를 내놓지 않으면 유혈사태는 없을것 입니다]--
         5번째 설정인 블루 딥에 따르면 [wiki:"샹크스(원피스)" 샹크스]를 비롯한 다른 [[사황]]과는 적대 관계, [해군본부원피스)|해군본부]와는 대립 관계라고 한다.
  • 식객 . . . . 3회 일치
         중국사의 식객이란, 귀족의 에서 숙식을 해결하며 그 대신에 자신의 '재주'[* 학문이나 무예는 물론, '계명구도'의 일화에서 나오듯이 개나 닭 소리를 흉내내는 특이한 재주까지 있었다.]를 팔아서 주인에게 도움을 주는 '손님'을 뜻했다. 즉 공식적으로 종속 관계인 하인&고용인과 달리 상하관계가 자유로웠다. 본인에게 도움이 되든 안 되든, 자신의 에 찾아온 '객(손님)'이니만큼 항상 대접을 해주었던 걸로 추측된다. 본래 어느 문화권이든 사회 고위층은 '손님'을 우대하는 것을 자랑으로 삼는 문화가 있는데 여기에서 발전하여 손님을 대접한다는 명분으로 세력을 모으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서양 유력자들이 평민이나 해방노예들을 거느리고 세력을 형성하던 것과 유사하지만, 그보다는 훨씬 느슨한 관계라서 주인이 실각하여 힘을 잃거나 하면 미련없이 떠나거나 다른 에 식객으로 들어가는 이들도 많았다.
  • 식극의 소마/168화 . . . . 3회 일치
         [[식극의 소마]] 168화. '''만남의 날'''
          * 정작 에리나는 소마의 방에 왔는데, 뜬금없이 츠카사와 식극에서 진 일을 끄어내서 "내가 선택해주지 않았다고 불평을 들을 이유는 없다. 무모한 싸움을 건 네 잘못"이라며 비난한다.
          * 사실 어린애한테 좋아하지도 않는 음식을 계속 먹였으니 아동학대라고 해도 별로 할 말은 없다.--노답 구석--
  • 식극의 소마/173화 . . . . 3회 일치
          * 소마팀의 멤버는 소마, 타도코로 메구미, 나키리 아리스, 쿠로키바 료, 요시노 유키. 대체로 반역자 단끼리 조를 짰는데 에리나만 센트럴 측에 배정된다.
          * 그 말대로 소마, 에리나, 쿠로키바는 "이 방에서 가장 맛있는 연어요리를 하는건 우리"라고 장담한다.
          * 그리고 3인은 "이 방에서 가장 맛있는 연어요리를 만드는건 우리들이다"라고 선언한다.
  • 식극의 소마/192화 . . . . 3회 일치
          * 절망에 빠져있는데 소마는 오히려 간단한 상황이라며 "우리들이 십걸의 과반수를 이겨버리면 된다"는 무지막지한 발언을 하는데.
          || 그 자리만 따내버리면 퇴학이고 뭐고 싹 다 뒤어 엎을 수 있다고.
         십걸 과반석을 우리가 따내버리면 되는 거야. ||
  • 암살교실/번외편 1화 . . . . 3회 일치
         attachment:돼지우리.png
         * 맨날 깔끔 떠는 것과는 달리 자기 아지트는 돼지우리. 식완제품이나 레어한 컵라면, 화장품, 덮밥에 딸려오는 생강절임, 재사용 중인 나무젓가락 등등 온갖 지저분한 물건들이 다 쌓여있다.
         * 원래 어느 정도 정보가 수되면 동료들에게 연락할 참이었지만, 도중에 살생님에게 발각당한다.
  • 야규 슈메 . . . . 3회 일치
         그런데, 이 결혼은 [[야규 무네노리]]가 이끄는 에도 야규 가문과 야규 토시요시가 이끄는 오와리 야규 가문이 불화의 씨앗이 되었다. 토시요시는 여동생을 가문과 출신을 알 수 없는 타국 사람에게 시 보낸 데다가, 게다가 사전에 오빠인 자신에게 상담없이 숙부 무네노리가 마음대로 결혼을 결정했다는 이유로 분노하였다. 그리하여 토시요시는 무네노리와 [[절교]]를 선언하였다고 한다.
          * 쇼메의 아내는 [[야규 신지로 요시카츠]](柳生新二郎厳勝)의 딸로서, 야규 토시요시의 여동생이다. 그녀는 이가(伊賀)의 재야 무사 야마자키 소우자에몬(山崎惣左衛門)에게 시갔으나, [[이혼]]을 하고 야규 가문으로 돌아왔던 적이 있다. 1659년 까지 살았다고 한다.
          * 딸은 타케데 효베에(竹田与兵衛)라는 인물에게 시을 갔다고 한다.
  • 원피스/821화 . . . . 3회 일치
         사무라이들과 조우에 도착한 [[밀모자 해적단]] 일당은 [[카이도]]의 부하 가뭄의 잭의 백수 해적단에게 공격을 받는다.
         * '''가뭄의 잭과 백수 해적단은 즈니샤의 앞다리를 중 포격'''하고 있다. 무릎만 꿇릴 수 있다면 어떻게든 머리를 공격할 생각. 철벽같던 즈니샤도 중 공격에는 조금씩 무너지고 있다.
  • 원피스/827화 . . . . 3회 일치
         페콤즈의 인도로 쇼콜라 타운에 입성하는 밀모자 일행.
          * 페콤즈는 밀모자 일행을 포로로 잡았다고 거짓보고하고 빅맘의 영역에 돌입한다. 다만 서프라이즈할 생각이니 빅맘에게 전달하지 말라고 한다.
          * 그저 결혼식에 정신이 팔려 있는듯 했는데, "밀모자 일행"이 영역에 들어온걸 이미 알고 있었다!
  • 원피스/828화 . . . . 3회 일치
         서로의 정체를 알게 된 푸딩과 밀모자 일행
          * 밀모자 일행은 푸딩이 상디의 결혼 상대라는걸 알게 된다.
          * 페콤즈가 납치당한 것, 돌아가라는 메시지가 남은 것, 그리고 빅맘이 이미 밀모자 일행의 상륙을 알고 있는 건 모두 연관되어 있을 것이다.
  • 원피스/830화 . . . . 3회 일치
          * 홀 케이크 아일랜드에 도착하는 밀모자 일행. 해안가에 누군가 나와있는데?
          * 떠나기 전 징베는 "역시 빅맘은 나를, 우리를 용서하지 않을 것"이라며 플라리네에게 의견을 묻는다.
          * 한편 밀모자 일행은 아직도 항해 중. 물엿바다에 있다.
  • 원피스/831화 . . . . 3회 일치
         홀 케이크 아일랜드에 상륙한 밀모자 일행은 이상한 숲에 가로막힌다.
          * 밀모자 일행은 홀 케이크 아일랜드 남서쪽 해안에 무사히 도착한다.
          * 마침 근처에도 또 상디의 모습이 발견된다. 하지만 상디는 이번에도 남의 일처럼 쳐다보기만 할 뿐 아무 반응도 없다.
  • 원피스/842화 . . . . 3회 일치
          * 크래커가 나미를 원망하는데 나미는 해적끼리 싸우는 판에 "약점이 들켰다고 남의 병사를 탓하지 마라"라고 반박한다.
          * 유혹의 숲의 나무들은 그 말을 듣고 "우리가 왜 네 병사냐"고 기가 막혀하는데 나미가 비브르 카드를 들고 눈 한 번만 흘겨도 꼼짝을 못한다.
          * 루피의 뱃살은 아예 크래커까지 꾸역꾸역 어삼키는데 뱃살의 두깨+무장색으로 강화된 근육의 작용으로 크래커가 꼼짝을 못한다.
  • 원피스/844화 . . . . 3회 일치
          * 오랜만의 재회에도 뜻밖의 폭언과 폭행으로 나오는 상디. 몽키 D. 루피는 동료의 돌변에 영문을 몰라한다. 하지만 상디는 태연한 태도로 "날 정말로 생각한다면 왜 맞이하러 왔냐"고 폭언을 내뱉는다. 그는 영세한 밀모자 해적단 보다 빅맘 해적단이 훨씬 믿을만하고 루피가 해적왕이 될 수 있다고 믿지도 않는다고 말한다. 나미는 무슨 장난이냐고 말하다가 진지한 상디의 표정에 말문이 막힌다. 루피는 그렇다면 "지금까지 날 속여온 거냐"고 묻는데 상디는 현실을 받아들이기 어려울 테니 "체감"시켜 준다며 디아블잠브의 자세를 취한다.
          * 상디는 망설임도 없이 루피를 걷어찬다. 안면을 정통으로 얻어맞은 루피는 멀리 날아간다. 상당한 거리를 날아가다가 가까스로 쓰러지지 않고 다시 일어선다. 하지만 앞니가 빠졌을 정도로 강력한 공격이라 타격이 적지 않다. 상디는 싸울 자세를 취하거나 돌아가라고 하지만 루피는 모두 거절한다. 그러자 상디는 언제나 고불통이었다고 다시 공격하는데 루피는 피하지도 방어하지도 않고 때리는대로 맞고만 있다.
          * 나미는 상디를 설득해서 싸움을 말리려고 하지만 루피는 단호하게 막으며 이것은 결투라고 선언한다. 상디는 자기 시야 밖으로 사라지라고 몇 번이나 공격을 거듭하지만 아무리 때려도 루피의 승낙을 받을 수 없다. 얻어맞기만 하는 루피를 볼 수가 없어서 나미는 이제 돌아가겠으니 그만두라고 하지만 루피는 절대로 돌아가지 않겠다고 고한다. 한쪽이 일방적으로 때리기만 하는 이상한 결투가 계속되고 처음 발라티에에서 만났던 일이 주마등처럼 스쳐간다.
  • 위안부 소녀상 망치 테러 사건 . . . . 3회 일치
         || 흠 부위([[http://photo.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6/03/2016060302275.html 출처]]) ||
         소녀상에는 길이 1㎝가량의 흠이 생겼다.
         === 반대 회 ===
  • 위의공 . . . . 3회 일치
         이민족인 적(狄)에 의한 위나라의 멸망은 이 당시 다른 어떤 제후국 또한 단독으로 대항해서는 이민족의 침공을 이기지 못하고 위나라와 같이 비참하게 멸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걸 보여주고 있다.[* 위의공이 도가 지나친 암군이었다는걸 감안한다고 해도, 다른 제후국들 역시 그 같은 암군이 권하지 말라는 법은 없는 것이고(…)] 잘못하면 중원 문명국들이 이민족에게 각개격파-병탄 당하여 [[황하 문명]]이 [[인더스 문명]]처럼 땅 속에 묻히는(…) 상황이 오지 않는다고 보장할 수도 없는 것이다.
         이런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회맹-제후연합군을 구성하여 이민족과 대항하는 단안보체계는, 과거 [[주나라]]가 주도하였으나 춘추시대가 개막하고 주나라의 권위가 상실하면서 붕괴하였다. 따라서 새로운 권위로 제후국들의 '연합군'을 만들어서 질서를 바로 잡을 필요성이 대두된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부국강병 정책을 펼치던 제나라의 [[제환공]]이 주도하여 위나라를 재건해줌으로서, 주 천자의 권위를 대신하여 이러한 단안보체계를 주도하는 '패자'의 시대가 나타나는 배경이 되었다.--결국 제환공의 패업의 발판일 뿐이라는 뜻인데 장대하게 썼다.--
  • 은혼/574화 . . . . 3회 일치
         "그날 누구라고 할 거 없이 만든 무수한 무덤은 선생님이나 동료들 뿐만이 아닌 우리들의 무덤이기도 했다. 요시다 쇼요와 함께 그 제자들은 죽었다. 그 길이 더이상 교차하게 될 일은 없겠지. 그렇게 생각했다. 하지만 각자의 길을 걷더라도 선생님의 가르침만은 벗어나지 않았다. 어떤 때는 망설이며 굽어진 길을 가자고, 어떤 때는 실수로 꺾어진 길을 가자고. 각자의 무사도를 찾아 방황하고 번민하며 걷는 길을 멈추지 않았다. 그렇기에 길은 다시 한 번 교차하게 되었다. 멀리 떨어져 있던 우리들의 길을 다시 한 번 이곳에 이어준 것은 다름 아닌 선생님이다. 그것은 우연히 마주쳤을 뿐인 한 순간의 해후일지도 모른다. 내일이 되면 우리들은 다시 검을 맞대며 서로를 죽이려 들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래도 상관 없겠지. 긴토키, 다카스기. 설령 일시적인 것일지라도, 다시 한 번 요시다 쇼요의 제자로 돌아갈 수 있다면, 친구로 돌아갈 수 있다면, 그걸로 충분해."
  • 은혼/578화 . . . . 3회 일치
         * 우츠로와 싸우는 우미보즈. 우츠로는 처음 봤을 때부터 이렇게 될 줄 알았다며 "생물이란 아무리 진화해도 피식자와 포식자를 정하지 않고는 견디지 못한다"고 말하며 "생태계의 정점에 선 우리가 이렇게 되는건 정해져 있던 것"이라고 말한다.
         * 황안은 과거 대전쟁에서 행성연합의 중공격을 당해 [[용맥]](아르타나)이 폭주되는 사태가 일어났다. 이 때문에 야토는 모성을 버려야했고, 용맥의 영향으로 황안은 돌연변이 생물의 세계가 되어 버린다.
         * 오로치 때도 비슷하게 전투욕구가 공포를 억눌러서 싸움에 중할 수 있었고 결국 승리했다
  • 은혼/590화 . . . . 3회 일치
          * 소년 시절 자신이 머물던 이 누군가에게 습격 당하고 "아까까지 알던 사람"들이 "알지 못하는 물건"이 되어 있었다.
          * 오보로는 창고에 숨어 바깥을 엿보고 있었는데, 의문의 단이 암살자의 정체임을 알게 된다.
          * 우츠로는 선생님이란 표현을 달가워하지 않는데, 오보로는 목숨을 구해준 그는 분명 선생님이라며 한사코 그 표현을 고한다.
  • 은혼/596화 . . . . 3회 일치
          * 9.11 사태처럼 시민들이 혼란에 빠지고 아비규환이 되는 현장 속에서 다이조가 어든 것은
          * "사무라이의 나라를 되찾아 보자. 우리(사무라이)와 함께."
         '''사무라이의 나라를 되찾아 보자. 우리(사무라이)와 함께.''' ||
  • 은혼/597화 . . . . 3회 일치
          * 오토세 아줌마 또한 그 자리에 있는데, 그 모습을 "세전함" 같다면서 "그 [[역병신]]들에게 뭘 바라는건지 모르겠다, 결국 내 세가 될 것"이라고 말한다.
          * 타에는 역병신이라도 세가 될 지라도 해결사만 돌아와 준다면 괜찮아질 거라며 여러 주민들의 의뢰서를 꺼낸다.
          * 오토세는 자기라면 "세가 더 많이 들어오길, 같은 의미있는 걸 빌것"이라 농을 치며 의뢰서를 꺼낸다.
  • 은혼/599화 . . . . 3회 일치
          * 하지만 수뇌부는 "우리는 천도중의 지배로부터 너희를 해방하기 위해 왔다는게 그걸 만행이라는 거냐"며 뻔뻔하게 나온다.
          * 다츠마는 이에 "우리 먹이감을 뺏으려고 하니 뻔뻔하다"고 답한다. 혁명군은 "우리 도움도 없이 천도중을 물리치는게 가능하냐"고 비웃는다.
  • 은혼/608화 . . . . 3회 일치
          * 해방군 측은 거대 기동병기 타케미카즈치와 삼대 전투종족 야토, 다키니, 신라를 총결시켜 지구를 압박한다.
          * 사카타 긴토키, 시무라 신파치, 가구라의 해결사 일행도 쾌속 진격, 사무라이들의 대활약으로 전황은 뒤어진다.
          * 다키니, 신라, 야토 3대 용병 종족이 총합.
  • 은혼/615화 . . . . 3회 일치
          * 양단 작전의 성공으로 해방군의 지상군이 허리가 잘린다. [[진선조]]의 [[곤도 이사오]], [[히지카타 토시로]], [[오키타 소고]]가 일제히 부대를 이끌고 돌진, 해방군의 후방을 공격한다. 해방군 내에선 후방으로 돌아가 원조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지만 지휘관 [[오우가이]]는 일언지하에 각하한다. 기책 정도로 뒤을 전력차가 아니며 그대로 냅둬도 후방 부대가 그정도는 알아서 할 거란 논리.
          >걱정마라. 위에서 나랑 여왕님... 아니 우리들이 이끌어주마.
          >하지만 단단한 뼈도 물렁한 뼈도. 우리들 앞에서는 똑같이 부서져 없어질 가루일 뿐이다.
  • 은혼/616화 . . . . 3회 일치
          * 오토세 여사는 함정을 발동, 지면을 무너뜨려 길을 없애고 건물 위에서 투석기로 폭격을 가한다. 하지만 오우가이는 길이 없으면 직접 만들면 그만이라며 즉석에서 기물을 박살내 잔해로 임시다리를 놓는다. 투석기는 그 자신이 날아오는 바윗돌 따위를 낚아채 어던져서 오히려 투석기를 파괴해 버린다.
          타에는 자신이 척후를 맡고 동료들을 먼저 피신시키려 하는데 료우는 타에와 함께 가겠다며 고을 부린다. 남자 주민이 그녀의 팔을 이끌며 데려가려고 실갱이가 벌어지는데, 그때 쿵소리와 함께 료우의 팔을 잡았던 손만 덩그라니 남는다. 무자비한 다키니의 공격. 그들이 벌써 옥상까지 추격해온 것이다.
          [[사카타 긴토키]]가 구원한다. 긴토키가 다키니의 오른팔을 후려쳐 부러뜨리면서 선혈이 낭자하다. 균형이 무너진 사이 긴토키와 사이고의 중공격으로 다키니 병사를 쓰러뜨린다.
  • 일곱개의 대죄/193화 . . . . 3회 일치
          * 자라트라스는 그것이 뭔지 단번에 알아차리는데, 프라우드린은 어리둥절해하며 어든다.
          * 핸드릭슨은 몸이 필요하다면 자신에게 들어오라고 하는데 프라우드린은 "그런 나약한 몸은 필요없고 드레퓌스는 10년지기 파트너"라며 고을 부린다.
          * 그렇다면 어째서 그가 드레퓌스의 몸에 착하는 것인가? 그렇게 일갈하자 프라우드린도 당황하기 시작한다.
  • 일요목수 . . . . 3회 일치
         [[가구]]의 제작이나 의 리폼 같은 작업을 처리한다. 가구로는 [[개]], 선반, 의자 등을 만든다.
         [[주5일제]]가 정착되지 않아 [[일요일]]만 휴일이었을 때 [[샐러리맨]]으로 일하는 [[아버지]]가 일요일에 에서 목공 작업을 하였던 것에서 일요목수라는 말이 나타났다.
  • 잘츠부르크 . . . . 3회 일치
         [[모차르트]]의 고향으로 유명하다. 랄까 모차르트 말고 유명한 사람도 없다.(…) --우리 동네에서 모차르트가 태어났다는게 자랑--
         잘츠부르크=모차르트 수준으로 모차르트 팔아먹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 모차르트 생가, 모차르트 집은 물론, 모차르트가 세례를 받았다는 성당, 모차르트 광장, 모차르트 동상, 모차르트 초콜렛(!!!), 모차르트 향수(!!!) 까지 팔고 있다.
         하지만 정작 모차르트 자신은 잘츠부르크에서 태어나기만 했지 별로 오래 머물지 않았고, 주로 [[빈]]에서 활동했다.--모차르트가 우리 동네 별로 온 적 없는건 안 자랑--
  • 집게벌레 . . . . 3회 일치
         꼬리 끝에 게가 달려있다. 게의 용도는 불명.
         과거 유럽에서는 게벌레가 자는 사람의 귓속으로 들어가 [[뇌]]를 먹어 치우거나 알을 낳는다는 소문이 있었다.
  • 집단등하교 . . . . 3회 일치
         일본의 학교에서 안전을 위하여 아이들이 등하교반을 짜서 단으로 등교, 하교하는 제도이다.
          * 등교 시에는 특정한 합 장소에 등교반에 소속된 아이들이 모이고, 고학년 학생이 깃발을 들고 인솔한다.
          * 합 장소에서 당번 보호자가 아이들과 함께 등교하는 경우도 있다.
  • 창작:좀비탈출/2 . . . . 3회 일치
         나는 담을 넘어서 옆으로 갔다. 당장 골목에서 좀비와 맞서 싸우는 것 보다는 나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불안감과 약간의 죄책감을 느끼면서, 나는 옆의 마당을 탐색해보앗다.
         마당에는 [[자전거]]가 한 대 있다. 옆 아저씨가 자랑스럽게 타고 다니던 자전거였다. 상태는 좋은 것 같지만, 체인으로 앞바퀴가 잠겨있어 움직일 수 없는 상태다.
  • 창작:좀비탈출/2-1-2 . . . . 3회 일치
         나는 옆 부엌을 살펴보기 시작했다. 그러나 부엌에는 먹을 것이 아무 것도 없었다. 우리 보다 먼저 식량을 모두 소모한 모양이다.
  • 창작:좀비탈출/5-1-1-1-1-1 . . . . 3회 일치
         '''아줌마.''' 잠이라도 자는 것처럼 눈을 감고 있다. 이렇게 있으니까 '''평범한 시체'''같군. 바글거리는 파마머리는 아직도 살아있는 것 같다. 그리고 상반신에는…… 또 '''토트넘'''이냐? 이놈의 구석은 토트넘 유니폼을 일상복으로 입고 있었어? '''그만 좀 해라!''' 좌우간 이게 이 아줌마였다는건 분명한 사실이군.
         아줌마가 눈을 떴다. 언젠가 내가 이 유리창을 깼을 때처럼 치켜뜨고 있다.
  • 청년 튀르크 당 . . . . 3회 일치
         === 반란과 권 ===
         1908년 7월 3일, 제3군단의 아메드 니야지 소령이 1876년 헌법의 부활과 의회 소을 요구하며 반란을 시작했다. 반란이 오스만 투르크 제국 전국 각지로 확산되면서, 술탄은 버틸 수가 없게 되었고 결국 1876년 7월 23일 헌법을 부활시키겠다고 발표, [[의회]]를 재수립했다.
         입헌 정부를 주도한 청년 튀르크 당은 각종 행정 개혁을 실시하고 중앙권화를 강화하는 한편, 여성 교육과 의무교육 제도를 개선하였고, 공업화 추진 등의 [[근대화]] 개혁을 추진했다.
  • 츠라츠라 와라지 . . . . 3회 일치
         고쿠다카[* 石高. 전근대 일본에서 사용한 토지 생산성 수치로, 성인 남성 1명이 1년 먹을 쌀을 생산하는 토지가 1고쿠다카.] 31만 5천석의 거대 다이묘로 막부의 긴축정책에 비판적인 인물이어서 막부의 주목을 받고 있었던 인물 '쿠마다 하루타카'가 에도로 참근교대를 떠났다. 가신들은 행렬의 무사안녕을 기원하지만 하루타카는 가는 곳마다 세간의 눈을 신경쓰지 않는 대범한 행동을 거듭하고, 한편 그의 흠을 찾아내기 위해 막부에서 밀정을 보내 행렬에 잠입시키는데...
          * 쿠마다 이즈미 : 수행 가로. 하루타카의 가신으로 쿠마다 종가인 '아마키 쿠마다 가'(이에야스 군과 싸우다 전사한 장남의 가문)의 자손. 기본적으로 학식이 깊고 영민하지만 17세라는 비교적 어린 나이로 불과 4개월 전에 가로가 되어 미숙한 면이 있으며 쿠마다 종가의 긍지와 체면을 매우 강하게 의식하고 있는 가문의 기풍 때문에 매사에 과민한 반응을 보이곤 한다. 꽃꽂이가 취미.
          * 쿠마다 치카라 : 전 수석 가로로 이즈미에게 가독을 넘기고 은퇴했다. 쿠마다 종가의 긍지나 체면을 강하게 의식해서 이즈미에게도 항상 그것을 주지시키는 완고한 인물[* 쿠마다 종가의 사람들은 역대로 이러한 경향이 강했다고 하는데, 일례로 초대 가로의 경우에는 오만한 성격으로 인해 한 가신에게 원한을 사 강을 건너던 중 살해당했다고 한다. (초대 가로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에야스와 싸우다 전사한 장남의 자손으로 추정되는데, 숙부인 테루타카에게 가독을 빼앗겼다고 생각하여 모난 성격이 된 것으로 추정해볼 수 있다.)]로, 이 때문에 나가토를 눈엣가시로 여긴다.
  • 컬트 종교 . . . . 3회 일치
         과격하고 이단적인 신흥 종교. 혹은 종교적 성향이 강한 단. 흔히 한국에서 말하는 [[사이비 종교]]를 뜻하는 말이다. 많은 국가에서 컬트 종교는 사회적 문제로 여겨진다.
          * 외부의 사회에서 고립된 장소에서 공동 생활을 하도록 하고, 폐쇄적인 단을 형성한다. 이 단에서 종종 폐쇄성을 이용하여 반사회적 행동을 벌인다.
  • 태영호 . . . . 3회 일치
         가디언 지 보도에 따르면 태영호는 공식적으로 북한 체제를 찬양했으나, 사석에서는 빈궁한 생활에 어려움을 토로하기도 했다고 한다. 북한의 친지들은 런던에서 살아가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알지 못하며, 자신이 [[풀장]]과 [[사우나]]가 딸린 궁전 같은 에서 살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실제로는 방 2개, 좁은 부엌이 딸린 평범한 에서 살고 있었다고 한다. 봉급 한달 1200파운드(약 174만원) 정도로 물가가 비싼 런던이라 생활고를 겪었으며, 태영호는 "대사관에서 차를 몰고 나올 때 혼잡통행료 걱정을 하기도 한다."고 발언했던 적도 있다고 한다.
         2016년 8월 17일, 갑자기 영국에서 고위급 북한 외교관이 탈북했다는 소식이 퍼졌으며 곧 그가 태영호 영사라는 것이 밝혀졌다. 가족과 함께 탈북한 태영호는 한국 [[망명]]행을 택했는데, 1997년 이트 주재 북한 대사 장승길이 망명한 이래 최고위급 외교관의 탈북이었다.
  • 토리코/371화 . . . . 3회 일치
          * 아카시아가 네놈은 대체 뭐냐고 하자, 코코가 끼어들어 "이 남자는 토리코"이고 "그리고 우리는 사천왕. 당신 시대는 끝났다"고 선언한다.
          * 단 0.1초에 불과한 짧은 순간에도 지지는 극한의 중력을 발휘, 토리코에겐 후각으로 제브라에겐 청격으로 코코에겐 전자파, 써니에겐 진동으로 필사의 메시지를 정한 것.
          * 토리코가 언급한 "우리쪽에도 균을 다루는 녀석"이란게 아이마루를 말하는 건지 코코를 말하는 건지 알 수 없지만, 미도라에게도 통했던 곰팡이 공격을 막을 수 있다는 걸 보면 풀코스에 의한 파워업 효과가 엄청나다는 걸 알 수 있다.
  • 토탈워: 쇼군 2 . . . . 3회 일치
         만약 한 가문의 군대가 다른 가문의 성을 공격하면 포위가 시작된다. 포위당한 가문은 그 성에서 부대를 추가적으로 모하거나 병력 손실을 보충받을 수 없게 되지만 포위당한 성의 주둔군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포위를 건 가문은 성 안의 식량이 떨어질 때 까지 버틸 것인지, 아니면 직접 공격해 점령할 것인지, 정 안되겠으면 포위를 풀고 후퇴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직접 공격하는 선택지는 자동 전투와 수동 전투 두가지가 있다.
         적 성에 제대로 된 부대가 주둔 중일 때 직접 공격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 하지만 멍청한 AI는 공성전만 고한다. 사족으로 수성전은 AI 장군들 갈아먹기 좋다. 멍청한 AI 때문에 장군의 호위대가 말에서 내려 성벽을 기어올라오기 때문.
         전투 도중 아군 부대가 패주하면 부관이 "Our men are running from the battlefield! A shameful display!"(우리 병사들이 전장에서 도망치고 있습니다! 부끄러운 모습입니다!)라는 대사를 치며 보고한다. [[https://youtu.be/U6zQ6ZqEqg0|그런데 일본풍 억양]] 때문에 "Shamefur Dispray"라고 불리며 [[밈]]이 된적이 있었다.
  • 트로피코 4/인물 . . . . 3회 일치
         트로피코를 세계 강국으로 성장시킨다는 원대한 야망을 가진 독재자. 미국 대통령 암살의 배후라는 누명을 뒤어쓰고 몰락하지만 재기하여 복수극을 벌인다.
         미사를 시작하기 위해 군인들이 술에서 끌어내야 할 정도로 주당이다. 그렇게 해서 본 미사에서도 술 얘기 하는건 덤.
         각하에게 미국 대통령 암살 혐의를 뒤어씌워 몰락시킨 흑막. 누명을 벗으려는 각하를 저지하려 하지만 실패한다.
  • 하이큐/219화 . . . . 3회 일치
          * 뒷풀이로 밥에 간 와시죠 감독과 코치진.
          * "우리에게 체격 대신 주어진 것, 그것이 바로 굶주림 이야"
          * 합숙 이후 처음으로 재결한 카라스노 괴짜 콤비.
  • 하이큐/228화 . . . . 3회 일치
          * 주장 지시도 있고 하니 히나타도 서둘로 귀가하지만 에 가서도 개인연습을 시작한다. 학교에선 카게야마가 있으니 주로 스파이크 연습을 하지만 리시브는 에서 혼자 연습하는 것. 에 있던 여동생이 기웃거리자 여동생에게도 시켜준다. 나츠는 자신만만하게 덤비지만 만만치가 않다.
  • 히키코모리 . . . . 3회 일치
         스스로 일이나 공부, 인간 관계 등 일상 생활을 피하면서, 장기간에 걸쳐서 이나 자신의 방에 틀어 박혀서 사회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상태, 혹은 그런 상태에 있는 사람. 거의 히키코모리 상태에 있지만 드물게 외출을 하는 사례는 준 히키코모리(準ひきこもり)라 한다. 줄여서 히키.
         이나 자신의 방이라는 ‘안심할 수 있는 상태’에 착하는 것이다. 안심을 추구하는 것은 어떤 사람이나 하는 것이지만, 히키코모리는 매우 극단적으로 이것을 추구하여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없을 지경에 이르러 있다.
  • 3월의 라이온/121화 . . . . 2회 일치
          * 한편 키리야마는 순위전을 앞두고 에서 만전을 기하고 있다.
          * 하나는 모래찜질을 말린 솜이불을 푹 적셔서 거대 전자렌지에 돌린 다음 그대로 뒤어 쓴 느낌... 이라고 묘사하는데 어쨌든 기분은 좋았다는 듯.
  • AFC 회원 랭킹 . . . . 2회 일치
          1. 성적계는 발표년도 기준, 지난 4년간의 성과를 토대로 작성한다.
         보다 상세한 점수 계방식은 아래 소목차에 따로 소개한다.
  •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2014시즌 . . . . 2회 일치
         || 관중계 ||<-3><:>2,667명||
         || 관중계 ||<-3><:>1,969명||
  • K리그 챌린지 플레이오프/2015시즌 . . . . 2회 일치
         || 관중계 ||<-3><:>1,240명||
         || 관중계 ||<-3><:> 1,240명 ||
  • head to head . . . . 2회 일치
         이 되는 것이다. 나머지 2팀과 붙었던 전적은 철저히 배제하고 평가하는 셈. 사실상 토너먼트의 [[누적득점 계방식]]과 동일하다.
         이 여섯 경기를 바탕으로 평가하게 된다. 누적득점 계방식에선 사실상 승무패로 갈리기보다는 득점과 원정골 여부만 생각하면 되는 반면에 3팀 이상을 고려해야 하는 헤드 투 헤드는 득점과 원정골보다 원정승의 여부가 정말로 중요한 요소가 된다.
  • 강남역 묻지마 살인사건 . . . . 2회 일치
         사건이 격화되면서 나타난 의견으로 사건 자체가 여혐사건인지 아닌지를 규정하는 것은 별 의미가 없다는 입장도 있다. 사건 자체는 여혐으로 보더라도 그것이 우리 사회 전반이 여혐적인 사회인가, 혹은 여성범죄에 취약한 사회인가는 별개의 문제라는 것. 실제로 일부 통계에서는 강력범죄의 피해자 90%가 여성이라는 결과도 있는 반면, 통계를 왜곡했고 실질적으로는 의미있는 성차는 없다는 의견도 있다.
         이 페이지는 2016년 중반부에 잠깐 시행된 "중토론" 제도의 처음이자 마지막 결과물이다.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52화 . . . . 2회 일치
          * 에 돌아와 보니 키리에와 우마루(코마루)가 기다리고 있다.
          * 봄바가 고기를 잔뜩 어가서 키리에는 우마루가 먹을게 없어진다고 화를 내려고 하는데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55화 . . . . 2회 일치
          * 타이헤이는 저녁을 준비해주면서 "또 게임을 하고 싶으면 우리 에 와라. 우마루도 놀아줄 거야"라고 말한다.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66화 . . . . 2회 일치
          * 도마 우마루는 에 돌아와 다음 주에 면담이 있다고 전하는데 도마 타이헤이는 왜 더 일찍 말하지 않았냐고 난처해한다.
          * 텐션도 엄청 높아서 다른 의미에서 이목이 중. 키리에는 조금 창피해한다.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70화 . . . . 2회 일치
          * 타이헤이도 신이 나서 우마루가 에서 하는 짓을 말하려다 멈칫하는데, 카나우는 이게 그린라이트라고 생각한다.
          * 정작 에서 건어물 모드인건 전혀 부끄러워하지 않는다.
  • 고종(조선) . . . . 2회 일치
         [[철종]]이 사망한 뒤 조대비에게 옹립되었고, 생부인 [[흥선대원군]]가 [[섭정]]을 보았다. 그러나 대원군은 고종이 20살을 넘어 22살이 될때까지도 친정을 허락하지 않았다. (이런 대원군의 권력에 대한 착이 고종의 왕권에 대한 착에 영향을 주었을지도...?) 그러나 고종이 성인이 된지 한참된 상태에서 대원군이 계속 섭정을 할 수는 없었고 결국 [[최익현]]의 상소를 계기로 친정을 하게 된다.
  • 그랜드 테프트 오토: 산 안드레아스/무기 . . . . 2회 일치
          스크린샷을 찍을 때 사용되는 무기. 증거를 수하거나 산 피에로 각지의 스냅샷을 찍는데 쓴다. 다른 무기와 달리 "발사"해도 경찰이 신경쓰지 않는다.
          체력을 두배로 뻥튀기해주는 장비. 전투를 벌이는 미션의 경우 웬만하면 끼고 나가는게 좋다. 아직 무기점이 안 열렸다면 CJ 뒤 지하도로로 가서 왼쪽 다리 밑을 살펴보자. 방탄복이 입은 피해는 세이브를 해도 복구되지 않는다.
  • 그랜드 테프트 오토: 산 안드레아스/지역 . . . . 2회 일치
         칼 존슨, 스위트, 라이더의 이 있는 곳. 칼 존슨이 소속된 갱단인 그로브 스트리트 패밀리즈의 본거지다.
         빅 스모크의 이 있는 곳. 처음에는 발라스 구역이라 스모크 보러 갔다가 총격전 벌이기 좋다.
  • 깨끗한 독일국방군 신화 . . . . 2회 일치
         1996~1997년에는 전시회 반대 회가 열리기도 했으며, 여기에는 [[기독교민주당]], [[기독교사회당]], [[민족민주당]](NPD), 그리고 퇴역군인 단체가 나섯다. 하지만 결국 국방군 전쟁범죄는 공식적으로 추궁받게 되었고, 마침내 독일 국방부가 국방군의 전쟁범죄 참여를 인정하게 되었다.
         깨끗한 독일국방군 신화의 영향은 [[소련군]]에 대한 폄하로도 나타난다. 독일군 장성들은 패전 이후에도 슬라브인을 멸시하는 인종주의를 버리지 못하여, [[독소전쟁]]에서 소련군이 단지 물량을 바탕으로 한 막무가내 [[우랴돌격]]에만 의존한 군대였다는 식으로 서술하는 사례가 많았는데 이 같은 관점을 전쟁사 계에서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여, 소련군을 폄하하는 잘못된 관점이 오랫동안 독소전쟁 역사에서 뿌리깊게 남게 된다. [[냉전]] 시기에는 소련 측 역시 실증이 될만한 자료 공개를 하지 않고 [[프로파간다]]에만 중하여 냉전이 끝날 때까지는 이런 관점이 오랫동안 바로잡히지 못하였다.
  • 나다카 타츠오 . . . . 2회 일치
         좋아하는 영화는 [[대부]]. 좋아하는 여배우는 [[오드리 헵번]]이며, 목표로 하는 배우는 [[멜 깁슨]]. 좋아하는 브랜드는 [[랄프로렌]].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팬이다.
          * 1978년(당시 27세) : 영화「물가의 하얀 (渚の白い家)」 출연.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04화 . . . . 2회 일치
          * 중 공격 속에서 잘 버티는 A반 학생들
          * 지면을 흔들어 대지진을 발생, 밀해 있던 웅영고 학생들을 양단시킨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05화 . . . . 2회 일치
          * 설상가상 다른 학교 학생들에게 노출되어 중 공격을 받는데, 그때 우라라카와 재회한다.
          * 또 다시 중공격을 당하는 미도리야.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11화 . . . . 2회 일치
          * 히어로 위원회는 올마이트의 대체제를 찾기 보단 그의 공백을 채울 수 있는 "단 히어로 체제"를 구상하고 있다.
          * 위원회는 올마이트와 같은 카리스마적인 존재가 다시 나타나 후계를 이어줄 것을 바라기 보단 다수의 히어로가 협력하는 "단 히어로" 시스템으로 올마이트의 공백을 채우려 한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81화 . . . . 2회 일치
          * 한편 결 장소로 모이는 빌런 일행들. [[토가 히미코|토가]]는 "신경 쓰이는 남자애가 생겼다"며 수선 피우고 있다.
          * 이들이 결한 순간 미도리야 일행이 Mr컴프레스를 깔아뭉게며 도착한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84화 . . . . 2회 일치
          * 한편 웅영에선 [[올마이트]], [[엔데버]], [[베스트 지니스트]](No.4 히어로), [[엣지 쇼트]](No.5 히어로)가 소되어 작전 회의에 들어간다.
          * [[빌런 연합]]의 아지트에서는 [[시가라키 토무라]]가 바쿠고에게 "우리편이 돼라"고 회유하고 있는데...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86화 . . . . 2회 일치
          * 어떤 기자가 학생들에게 전투 허가를 내린 부분을 물고 늘어진다. [[아이자와 쇼타|아이자와]]는 "최악의 상황을 피하기 위해 내린 조처"라고 답변하는데, "잡혀간 학생(바쿠고)한테도 그렇게 말할 수 있냐"고 묻는 등 요하게 도발한다.
          * 결해 있는 프로 히어로 중에 작가의 전작에 나왔던 캐릭터가 보인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91화 . . . . 2회 일치
          * 올마이트는 "그 따위로 사람을 가지고 놀고 망가뜨리고 빼앗고 비고 들어와 지배한다! 하루하루 살아가는 사람을 부조리하게 비웃는다! 나는 그걸 용서할 수 없다!"는 일갈과 함께 펀치를 내리 꽂는다.
         || 그 따위로 사람을 가지고 놀고 망가뜨리고 빼앗고 비고 들어와 지배한다! 하루하루 살아가는 사람을 부조리하게 비웃는다! 나는 그걸 용서할 수 없다 ||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97화 . . . . 2회 일치
          * 올마이트는 미도리야가 자신을 얼마나 동경했는지와 그래서 웅영고를 고한걸 생각한다.
         - 미도리야의 어머니. 고을 꺾으며.
  • 날갯죽지 조르기 . . . . 2회 일치
         상대의 등뒤에서, 상대의 양 겨드랑이 아래로 팔을 어넣고, 상대의 후두부 쪽에서 양 손을 단단히 잡아서 조른다. 하가이(羽交い)란, 새의 날갯죽지(좌우 날개가 만나는 부분)나 날개 자체를 뜻하며, 이 기술의 명칭도 거기에서 유래한다.
         레슬링에서는 넬슨 홀드(Nelson hold)라고 부른다. 다양한 응용 기술이 존재하며, 아마추어 레슬링에서는 이 자세로 머리를 압박하여 공격하는 것이 기본이다. 프로레슬링에서는 이 자세를 시작하여 상대를 어던지는 파생 기술이 나오는 경우가 많다.
  • 남효온 . . . . 2회 일치
         [[조선]] 초기의 학자. 재야 [[사림]] 학자의 일원으로서, [[생육신]]의 일원이다.[* 단, 생육신은 사육신과 숫자를 맞추기 위해 억지로 분류한 점이 있는 개념으로, 당대에 세조의 권에 반대한 이들은 생육신으로 알려진 인물들 외에도 몇 명 더 존재했으며, 특히 남효온은 다른 생육신들에 비해 한두 세대 이후의 인물로 시대 차이가 매우 커서 논란이 있다. (당대에는 '권절'과 같은 인물들의 인지도가 더 컸다.)]
         남효온의 여러 저술 가운데서 가장 영향력이 돋보이는 것은 역시 육신전이다. 육신전은 사실 공식 기록인 [[조선왕조실록]]과는 차이가 있으며, 여러가지 오류가 존재한다. 또한 남효온의 연령이나 행적으로 보아 사실을 기록한 것이라기보다는 당시 사림파 내부에서 전해지던 단종복위운동에 대한 기록을 수하여 남기는데 의의를 두었던 것으로 보인다.
  • 노해 . . . . 2회 일치
          * [[프로레슬링]] 같은 경우는 종목 특성상 유명 선수가 오래 뛸 수 있으며, 객능력 면에서 베테랑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다. 또한 몇몇 유명 선수가 '챔피언병'(…)에 걸려서 장기권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결과 신인데뷔가 줄어들고 단체나 종목 전체 에서 고령화 현상이 일어나서 심각한 문제를 겪기도 한다.
  • 단두대 . . . . 2회 일치
         단두대를 이용한 참수 처형은 매우 신속하게 진행되었다. [[프랑스 혁명]] 시기 지롱드 파 20명은 고작 38분 만에 처단할 수 있었다. 이 신속한 처형은 공포 정치를 더욱 격화시켰다고 볼 수 있는데, 전통적인 참수형의 경우 현실적으로 한 명의 사형행인으로는 하루 5명 이상의 처형도 어렵기 때문이다.
         현재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참수형을 행하지 않고 있고, 또한 단두대에 의한 처형도 사라져 현재 세계에서 남아있는 실물 길로틴은 단 2대 뿐이다.
  • 롬니아 제국 흥망기 . . . . 2회 일치
          * 자네티 : 변경주의 정관. 매사에 소극적이고 보신주의가 강한 소시민 타입. 기억력이 좋다.
          * 리리엔테르리오나슈브라피슈카 : 보통은 줄여서 '리리'라고 불린다. 정관 보좌 및 군단장. 체구가 작고 어려 보이지만 괴력을 자랑한다. '꼬맹이'라고 부르면 화를 낸다.
  • 리그컵(K리그) . . . . 2회 일치
         리그컵이 태생부터 이러다보니 시간이 아무리 흘러도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았다. 포항 감독이었던 파리아스는 [http://sports.media.daum.net/sports/soccer/newsview?newsId=20090709095009910|격에 맞지 않는 지나친 경기일정]을 꼬으며 제법 강도높은 비판을 했을 정도. 리그컵의 규정변천을 살펴보면 과유불급이란 무엇인지 알 수 있다.
         특히 관중과 관련된 부분은 믿기가 좀 곤란한게 이 대회는 단 한번도 실 관중 계가 단 한번도 이루어 진 적이 없어서 관중 동원력도 사실 언급하기 껄끄러운 부분이 존재한다.
  • 마기/309화 . . . . 2회 일치
          * 심지어 육탄전을 거는데 유난은 모든 마고이를 중해 아르바를 터뜨린다.
          * 유난은 뒤늦게 아르바가 이미 인간이 아니며 1000년이 넘는 념 속에 불사의 괴물이 되었음을 깨닫는다.
  • 마기/311화 . . . . 2회 일치
          * 모르지아나는 알라딘에게 "우리 둘만으론 쓰러뜨릴 수 없다"고 말한다.
          * 알라딘은 "나는 당신 얼굴을 좋아한다"고 받아치며 "우고랑 우리 부모님 옆에서 웃고 있던 시절의 미소 말이야"라고 한다.
  • 마기/314화 . . . . 2회 일치
          * 술에서 밀린 이야기를 나누는 알리비비, 알라딘 일행.
          * 술에 있던 사람들의 축하를 받으며 춤을 추는 연인.
  • 마기/319화 . . . . 2회 일치
          * 참석자들은 잊고 있었다는 듯 앞다퉈서 "우리나라에도 전송마법진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 신드바드는 자신이 신이나 다름 없고 신으로부터 인정받은 "특별한 인간"이라는 아으로 가득차 있다.
  • 마기/320화 . . . . 2회 일치
          * 그러나 고을 꺾지 않은 신드바드. 쟈파르마저 속이고 아르바와 성궁으로 갈 채비를 한다.
          * 설사 백 년 후에 국제동맹이 사라지고 전쟁이 일어나도 그건 "우리가 알바가 아니다"
  • 마기/328화 . . . . 2회 일치
          티토스 알렉키우스를 비롯한 뢰엠 제국의 지도자들은 본래 국제동맹에 들어가지 않는 길을 택했는데 어찌된 일인지 그 결정을 손바닥 뒤듯 바꿨다.
          알리바바는 석연치 않은 표정인데 논리적으로는 이해가 가지만 그토록 오래 고민해서 결정한 사안을 너무나 쉽게 바꿔서 깜짝 놀랐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그들이 지키려 했던 "일국의 독자성"이 소중하지 않은 거냐고 묻는다. 그러자 무 알렉키우스는 "솔직히 그런 사소한 거에 착한 이유를 모르겠다"고 폭탄발언한다. 너무 급격한 태도 변화라 알리바바가 따라가지 못한다. 무는 "사고가 번뜩였다"는 애매한 표현만 사용하는데 알리바바는 전혀 이해할 수 없다.
  • 맥스 페인 2: 맥스페인의 몰락 . . . . 2회 일치
          Punchnello Family. 뉴욕의 마피아 단. 전편에서 맥스가 잠복수사를 했고, 무수히 쏴죽였던 그 놈들. 그 꼴이 났는데도 살아있다. 블라드의 러시아 갱단과는 적대관계.
          Lords and Ladies. 귀족 남자 발렌타인과 천한 신분을 가진 여자의 러브스토리. 당연히 발렌타인의 안에서는 이를 좋아하지 않는 듯 하다. 발렌타인의 형인 잭이 여자를 모욕하자 발렌타인은 잭에게 결투를 벌여 죽여버린다. 그러자 발렌타인의 어머니가 여자에게 독이 든 와인을 먹여 죽이려 하지만 그 와인은 발렌타인이 대신 먹고 죽어버린다. 이때, 그들의 저택에 불이 나고 발렌타인은 여자를 도망치게 한 다음 마지막 힘을 다해 어머니를 붙잡고 타죽는다. 여자는 도망쳐 발렌타인과의 관계로 생긴 아이에게 발렌타인이라는 이름을 붙인 후 기른다.
  • 바실레이오스 1세 . . . . 2회 일치
          '''나는 여우를 내쫓았으나 그 대신 우리 모두를 잡아먹을 사자를 불러들이고 말았다.'''-바르다스[* 바실레이오스의 전임 황제인 미카엘 3세의의 외사촌으로, 쿠로팔라테스라는 황제에게 후사가 없을때 제위계승권도 주장할 수 있는 직위에 있었다.], 다미아누스 시종장을 해고한뒤.
         이후 그는 건축사업에 착수하는데, 우선은 성 소피아 성당과 성 바울 성당을 보강했고, 이후 '네아 바실리카'라 불리는 그의 걸작품인 성당을 축조한다. 이 성당은 바실레이오스의 성 소피아 성당이라 할 수 있는데, 금을 입힌 돔은 도시밖에서도 보였고, 내부를 들여다보면 돔내부에는 예수의 모자이크가 그려져 있으며, 그외에 천사, 대천사, 순교자, 사도 등등이 묘사된 모자이크가 실내 곳곳을 장식했다. 성상 칸막에는 금은과 보석들이 장식도 있었고, 주제단은 '금보다 더 귀한 금속으로'장식되 있었다고 하며, 은을 입힌 닫 기둥[* 중간을 오목하게 파서 장식한 기둥]이 성당주위를 둘렀다. 그외에도 그는 금고와 목욕탕, 트리클리니움[* 침상이 구비된 식당]을 많이 지었으며 칼케대문과 도시의 수많은 궁전들을 보수하고 일일이 장식했다. 말그대로 그의 치세에 도시는 전성기를 열었다.
  • 바키도/124화 . . . . 2회 일치
          * "아뇨. 날마다 몇 번, 마음이 무에서 멀어니다."
         || 아뇨. 날마다 몇 번, 마음이 무에서 멀어니다.
  • 바키도/126화 . . . . 2회 일치
          * 모토베는 입장할 때 가져온 술병을 어들고 무사시 앞에 마주 앉는다.
          * 무사시도 칼을 어드는데, 그보다 모토베의 술병이 더 빠르다.
  • 바키도/130화 . . . . 2회 일치
          * 관객들의 이목이 중하고 고요한 격투장에는 베었다라는 한 마디만이 소리없이 아우성친다.
          * 이것의 방어력은 대단해서 착용했던 사람들은 격렬한 검투에도 불구하고 모두 살아서 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
  • 백운산 물고기 . . . . 2회 일치
         본래는 열대어지만, 관상어로 유통되는 종은 오래 전에 채되어 양식된 종으로서, 수온 변화나 오염에 강한 변이를 거쳤기 때문에 [[겨울]]에도 기온 10도 정도 온도의 실내라면 버틸 수 있어 사육이 쉬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베트남에서 채된 종류는 변이가 없는 열대어라서 쉽게 얼어죽는다.
  • 뱌체슬라브 몰로토프 . . . . 2회 일치
         [[화염병]]을 뜻하는 은어 [[몰로토프 칵테일]]은, [[소련]]과 [[핀란드]] 사이에서 벌어진 [[겨울전쟁]]에서 몰로토프가 소련군이 [[폭격]]을 퍼붓고 있음에도, "우리 군은 핀란드 인민에게 빵을 공수하고 있다."는 [[망언]]을 한 데서 비롯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이 발언에 빡친 핀란드 측에서 "빵을 받았으니 칵테일로 돌려주마!"라면서 화염병에 이름을 붙인 것이 어원이라고 한다.[http://chemistry.about.com/od/firecombustionchemistry/a/molotovcocktail.htm 참조출처]
         아무튼 본인은 딱히 화염병을 만들었는지 불확실하지만, 화염병 이야기만 나오면 몰로토프가 언급되면서 화염병의 대명사(…)로 살아가는 인물이다. 우리 문명이 멸망한 뒤에는 화염병의 신으로 추앙될지도 모른다.
  • 벚꽃놀이 . . . . 2회 일치
         이렇게 제사이자 놀이로서 즐기는 벚꽃놀이는 [[헤이안 시대]]에 [[일본 귀족]]들이 시작하였다. [[만엽]]에서 벚꽃에 대해서 읊는 시가 나타나고 있으며, 고금화가(古今和歌集)에도 봄의 노래는 벚꽃에 대한 것이 많다. [[겐지모노가타리]]에서 연회가 화려하게 묘사된다.
  • 병 속의 악마 . . . . 2회 일치
         1891년에 발표되었다. 뉴욕 헤럴드(New York Herald)에서 2월-5월, 블랙 앤 화이트 런던(Black and White London)에서 3월에서 4월에 걸쳐서 연재되었다. 1893년 발표된 단편 Island Nights' Entertainments에 수록되었다.
         하와이의 선언 케아위(Keawe)가 한 노인을 만나게 되는데, 그는 부유하고 좋은 에 살고 있었지만 왠지 슬퍼보였다. 그 이유를 물어보자 자신의 모든 재산은 소원을 들어주는 악마(Imp)가 들어있는 마법의 병(magic bottle)으로 얻은 것인데, 이 병은 모든 소원을 들어주지만 죽기 전에 이 병을 팔아버리지 않으면 소유자는 [[지옥]]에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병은 반드시 자신이 삿던 것 보다 싼 값으로 팔아야 한다. 케아위는 50달러를 주고, 노인에게 이 병을 사게 되며….
  • 보루토/2화 . . . . 2회 일치
          * 보루토는 아침부터 코노하마루 에 찾아가 나선환을 가르쳐달라고 떼를 쓴다.
          * 사쿠라의 응원을 받으며 을 나서는 사라다.
  • 보루토/6화 . . . . 2회 일치
          * 시무룩해진 보루토는 어디론가 향하는데 그곳은 호카게 무실
          * 보루토는 빈 무실을 물끄러미 바라본다.
  • 보루토/7화 . . . . 2회 일치
          * 황무지에 거대한 목둔의 꽃이 피어 올라있다. 오오츠츠키 모모츠키와 킨츠키는 여기에 우즈마키 나루토를 묶어놓고 구미 쿠라마를 뽑아내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지나치게 거대한 차크라여서 시간이 많이 걸린다. 결국 모모츠키는 작업을 멈추고 잠깐 쉬는데 나루토는 "우리들 '닌자'는 그렇게 되지 않는다니깐"이라며 너스레를 떤다.
          우즈마키 보루토는 아버지를 포박하고 있는 목둔의 줄기를 끊어버리고 사스케가 추락하는 나루토를 붙잡아 안전하게 착지한다. 뒤따라온 카게들은 각자 모모츠키와 킨츠키를 상대로 대치. 다루이와 카제카게 가아라가 모모츠키를, 쵸쥬로와 츠치카게 쿠로츠치가 킨츠키를 마크. 네 명의 카게는 자신만만하게 "우리들에게서 도망칠 수 있다 생각하지 마라"고 도발하고 모모츠키는 "까고 있다"는 원색적인 욕설로 대꾸한다.
  • 보증 . . . . 2회 일치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부유한 사람이 가족, 친척, 친구, 선후배 등, 매우 인간적으로 신뢰할 수 있고 정이 있는 상대에게 보증을 서서 대출을 지원하는 관행을 가지고 있는데, 이렇게 인간적인 보증제도로 신용을 창출함으로서 부를 개인이 독적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나눠주고 더불어 [[평등]]하게 살아가는 사회를 만드는데 일조하고 있다.
         보증에 관련된 문학 가운데 하나로 [[다자이 오사무]]의 [[달려라 메로스]]가 있다. 이 이야기는 그리스 신화와 또한 다자이 오사무가 친구에게 술값을 보증서게 해놓고 술에 친구를 맡겨놓은 다음 자신이 나중에 술값을 가져왔다는 훈훈한 일화에서 따왔다.
  • 블랙 클로버/58화 . . . . 2회 일치
          * 카호노는 노엘의 마력 컨트롤에 대해 조언해주는데, 너무 억제하려고 의식하는 것은 마이너스. 편안한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중할 때 효과가 있다고 한다.
          * 애초에 자신에겐 따뜻한 기억 조차 없는데 중이 될리가 없다고 생각하는...
  • 블랙 클로버/70화 . . . . 2회 일치
          * 핀랄 룰러케이트는 원래 명문 보드가의 장남. 그의 안은 공격적인 공간 마법을 쓰는 걸로 유명했는데, 다툼과 폭력이 싫은 그는 그런 가풍을 좋아하지 않는다.
          * 베토는 굉장한 중력이나 평하면서도 어차피 한계에 가깝다며, 누구하나만 실수해도 끝이고 곧 마력도 바닥날 텐데 언제까지 할 수 있겠냐고 도발한다.
  • 블랙 클로버/83화 . . . . 2회 일치
          * 도니먼트 코드, 도미나는 마녀의 숲 전체는 여왕의 마력으로 감지되고 있으니 조금이라도 들키는 날엔 벌이 된다고 경고한다.
          * 그걸 막기 위한 장비가 마력, 기척, 모습을 감추는 "사라니다" 망토. 단돈 3만원짜리지만 지금은 위급시기 1만원에 판다고 개드립을 친다.
  • 블랙 클로버/84화 . . . . 2회 일치
          * 바네사는 아무튼 여왕에게 이야기해 아스타의 팔을 고쳐주겠다고 하는데 이미 그 "거래"에 대해 알고 있는 아스타는 단호히 거절한다. 아스타는 바네사가 희생하는 그런 방식이 싫은 것인데 바네사는 바네사대로 이게 유일한 방법이라고 고을 부려서 옥신각신하게 된다. 어지간해서는 결판이 안 날거 같자 아스타는 자신에게 최종 수단이 있다며 그리모어를 꺼낸다.
          * 아스타는 팔에 감았던 붕대도 풀어버리고 입으로 숙마의 검을 끄어낸다. 그러더니 검으로 저주에 걸린 팔을 내리찍는다. 저주를 풀기 위해 시도한 것 같지만 풀리기는 커녕 부러진 팔에 충격만 주고 실패한다. 바네사는 무슨 짓이냐며 혼자 힘으로 아둥바둥대 봐야 운명의 힘 앞에선 안 통할 때도 있다고 꾸짖는다. 하지만 아스타는 동료를 희생시키는게 자기 운명이겠냐며 "그딴 놈" 말은 듣지 않을 거고 운명을 박살내서라도 이 팔로 싸우겠다고 다짐한다. 바네사는 또 한 번 야미의 모습을 떠올린다.
  • 블랙 클로버/88화 . . . . 2회 일치
          >'''우리들이 없었다면 말이야!'''
          >우리 선생님이었던 사람인가?
  • 블리치/684화 . . . . 2회 일치
         대장들의 중공격에 당한 제라르는 쓰러지고...
          * 제라르는 대장들의 중 공격을 버티지 못하고 쓰러진다.
  • 사키모리 . . . . 2회 일치
         만엽(万葉集)에는 이들이 읊은 노래가 남아 있는데, 아득히 먼 큐슈로 가서 죽을 지도 모르지만 에 남겨놓은 아내를 잊을 수 없다는 서정적인 내용이다.
  • 선원 . . . . 2회 일치
         과거 영국은 군함의 선원을 강제 징해서 충당하기도 했다고 한다. 19세기 극초반에는 미국 선박을 습격, 선원들을 끌고가 자국 군함에 태우기도 했다고 한다.
          영국의 강제징에 대한 이야기는 여기서 가져왔다.
  • 선조 . . . . 2회 일치
         왜란 이후에도 그의 삽질은 계속되어, 당시 세자인 '''광해군보다 10살 가까이 어린''' 인목왕후를 들이지 않나[* 사실 이는 현대 관점에서 보면 충공깽이지만, 관례적으로 중전의 지위를 공석으로 놔둘 수 없었던 조선 시대에서는 불가피한 측면이 크다. 중전은 궁녀들의 모임인 내명부를 통솔하는 안주인 역할을 맡고 있다. 중전은 단순히 사적인 '왕의 배우자'가 아니라, 업무를 통솔하는 직책이기도 하므로 중전이 부재하면 궁궐의 기능에 문제가 나타나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중전은 정치적으로 왕권과 후계의 안정에 큰 기여를 한다. 문종 때 새 중전을 들이지 않았던 탓에 단종이 '수렴청정'을 통한 왕권 수호를 받지 못한 것이 세조의 쿠데타를 쉽게 했다는 분석도 나올 정도.--인목왕후는 오히려 불안정만 불러왔지만--], 심지어 그 사이에 낳은 아들인 [[영창대군]]을 [[유영경]]등과 영합해 나중에 영창대군이 좀더 장성할 때 왕위에 오르게 하려고 했다! 그것때문에 광해군은 비정상적으로 보일 정도로 왕위에 착하게 되고, 영창대군의 최후와 [[인조반정]]의 원인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줬다고 볼 수 있다.
         전반적으로 왜란으로 약화된 왕권 때문에, 갖은 무리수를 두면서 견제에 착했고 그 때문에 많은 논란을 불러왔다.
  • 슈퍼걸(드라마)/1시즌 1화 . . . . 2회 일치
         포트 로즈에서 뛰쳐나온 많은 악당들이 자신을 노리고 있으며, 자신의 힘이 부족하다는걸 느끼게 된 카라는 크게 상심하여 에 틀어박힌다.
         카라를 찾아온 알렉스는 카라에게 카라의 우주선에서 발견한 홀로그램 기기를 가져와서 카라에게 보여주고, 알루라의 격려를 받은 카라는 심기일전. 알렉스와 함께 DEO를 방문한다. 알렉스는 카라가 우리들을 위해서 싸울 수 있을 것이라고 보증한다.
  • 스위스 방공호 . . . . 2회 일치
         2005년 스위스 의회는 건설 의무 조항을 폐기하자는 제안을 제출하였으나, 정부는 테러 단이 핵무기를 쓸 위험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기존의 정책을 지속하기로 결정했다.
         엄청난 비용을 들여 건설한 시설로서, 그 편적인 국민보호 정신에 감탄하는 경우가 많다.
  • 식극의 소마/154화 . . . . 2회 일치
          * 소마와 타쿠미는 "우리의 가치를 일방적으로 정하지 마라"며 반발한다
          * 쿠스노키 렌타로는 자신은 "선택받은 요리인"이라 자부하는데 타쿠미는 "왜 남에게 선택받는데 착하냐"며 비웃는다
  • 식극의 소마/163화 . . . . 2회 일치
          * 그 과정에서 동네 밥이나 소규모 레스토랑 같은 존재들은 어쩔 수 없이 사라져야 하는 존재라는 것.
          * 소마는 유키하라 정식 같은 곳도 해당하냐고 반문하고, 츠카사는 단호히 그렇다고 대답한다.
  • 식극의 소마/170화 . . . . 2회 일치
          * 본편에서 나온 계란튀김은 우리나라 분식에서 파는 삶은 달걀 튀김하고는 조금 다르다.
  • 심판 토토하지 말라고 . . . . 2회 일치
         당시 상황을 설명하자면 처음 판정은 공이 터치라인 아웃 상황이었을 때, 주심은 성남의 스로인을 선언하였다. 그런데 갑자기 부심의 판정을 보고 광주의 스로인으로 번복한 것. 문제는 번복해서 잘못을 바로잡았으면 모를까 번복한게 오심이 되었고, 한 성남팬[* 음성이 켜져있는 중계카메라는 중앙쪽 중계본부석과 1층 및 2층 서포터석에만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성남 쪽으로 예상된다.]의 비난으로 이어지게 된 것이다.
          * 아마 이 영상에서 음성 리소스를 추출하면 어떤 경기든지 합성해서 쓸 수 있을 것이다. 영상 편에 일가견이 있다면 시도해보자.
  • 아멜리아 윌 테슬라 세일룬 . . . . 2회 일치
         원작 소설에서는 비교적 출연이 적은데, 1부의 중반에서 후반 정도 까지 [[제르가디스]]와 함께 리나, 가우리와 행동을 함께 했다. 회복 마법을 능숙하게 사용하며, 바스퍼링크, [[라틸트]] 같은 정령 마법에도 능숙하여 뛰어난 대마족 전투원으로서 활약. 피브리조의 음모가 구체화된 시점에서는 리나와 헤어져서 제르가디스와 독자적으로 [[사일라그]]를 탐색하기도 한다.
         제르가디스와 함께 레귤러 캐릭터로 승격. 리나, 가우리, 제르가디스, 아멜리아로서 메인 4인조 파티를 이뤄서 슬레이어즈의 대표적인 메인 캐릭터로 활동한다.
  • 악마의 대변인 . . . . 2회 일치
         악마의 대변인은 논쟁 단이 ‘단사고’의 위험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맡을 수 있다고 하여, 의도적으로 의사결정 과정에서 악마의 대변인을 지명하는 경우도 있다. 토론 문화가 부족하여, 반대 의견 자체를 용납하지 않는 풍토에서는 존속하기 어렵다.
  • 암살교실/번외편 2화 . . . . 2회 일치
         [[암살교실]] 번외편 2화. '''선술의 시간'''
         * 마지막까지 살생님을 노리고 있던 4인의 암살자들은 아즈키 부인의 술을 마음의 오아시스로 삼고 있지만 하필 살생님이 뻔질나게 드나든다.
  • 양키 . . . . 2회 일치
         간사이에서는 1980년대 전반기에 이미 '양키'라고 부르는 사례가 나타났는데, 당시 오사카 남구(南区)(현재의 츄오구(中央区))에는 아메리카 마을(アメリカ村)이라는 지역이 있어서, 이 지역에서 화려한 알로하 셔츠나 폭넓은 바지들을 즐겨 입는 불량소년이 나타나 이들이 ‘양키’라고 불리고 있었다고 한다. 같은 무렵에 같은 남구(南区)의 유로파 마을(ヨーロッパ村)이라 불리는 곳에서는 약간 다른 패션을 가진 「유로피(ヨーロピィ)」라는 단이 나타났지만 양키 족의 융성으로 동화되어 사라졌다고 한다.
          * 양키 고 홈(Yankee Go Home) : 미국인에게 에 가라고 하는 말. 주로 [[반미]] 시위 현장에서 자주 볼 수 있다.
  • 영창대군 . . . . 2회 일치
         >헌부가【의 장응일(張應一), 지평 심유행(沈儒行).】 아뢰기를,
         그렇다고 인조가 순순히 어리고 세력도 없는 영창대군에게 왕위를 넘겨줄 사람도 아니고, 인조 역시 선조, 광해군처럼 권력에 대한 착이 강한 인간이다. --그러니까 쿠데타 했지.--[* 인조가 쿠데타에 가담한 데에는, 동생인 능창군이 도참 때문에 사사당하여 본인 또한 생명의 위협을 겪고 있던 부분도 한몫했다.] 인조는 '죽은 영창대군'을 광해군의 잔혹함과 패륜성을 강조하는 프로파간다로서 편리하게 이용해 먹을 수 있지만, 정통성이 부족한 인조에게 강력한 정통성을 가지고 있는 '살아있는 영창대군'은 매우 귀찮은 애물단지에 불과하다. 거기에다 인조 시기의 대신들 간의 권력 다툼을 생각하면 여러모로 정국 불안을 증대시킬 우려 또한 높았다. (예를 들어 이괄의 난 때, 이괄이 흥안군 따위가 아닌 영창대군을 옹립하기라도 했다면...)
  • 오토메 . . . . 2회 일치
         『[[만연]]』에서는 미혼 여성이라는 뜻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사실 만연이 쓰여졌던 [[헤이안 시대]]의 [[일본 귀족]]들은 10대 초반에 [[결혼]]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 [[조혼]] 사회였으므로, 이 시대의 미혼 여성 역시 대략 10대 초반 정도로 정말 어린 여자아이였을 것이다(…). 지금으로 치면 [[중학생]] 정도 나이를 지나면 [[노처녀]] 취급이었으니까.
  • 와가마마 . . . . 2회 일치
          * 남의 사정은 생각하지 않고, 자기 고만 부리며 제멋대로 군다.
  • 요괴:에어컨 . . . . 2회 일치
         네모난 벽장 모양으로서, 의 벽에 붙어서 살아간다. 입에서는 찬 바람을 뿜어낸다. 찬 바람으로 방을 덮어 더위에 지친 사람을 시원하게 만들어 준다. 사람들은 기뻐하며 에어컨을 에 들인다.
  • 요괴:조카몬 . . . . 2회 일치
         명절에 쉬고 있으면 에 갑자기 나타난다. 어린아이와 같은 모습을 하고 있으며, 괴성을 지르고 뛰어다니거나 욕설을 퍼붓고 사람을 때린다. 사람의 광을 뒤져서 귀중한 물건이나 도서를 찾고, 찾아낸 물건을 제 것으로 삼아 가져가려 한다. 조카몬이 물건을 부수거나 훔쳐가도, 안 어른들은 허허 웃으면서 허락한다. 물건의 주인이 화를 내면 오히려 조카몬을 소중히 섬기지 않는 불경죄를 묻는다. 그리하여 조카몬이 나타나면 모든 보물을 한 순간에 잃어버리게 되고 크게 후회하게 된다.
  • 우라센케 . . . . 2회 일치
         삼천가가 나누어진 연유는, 소우탄이 은거를 결정하면서 그가 거주하던 후신안(不審庵)을 삼남 소우사가 이어받았으며 소우사의 후손은 오모테센케로 불리게 되었다. 그리고 소우탄은 후신안의 뒷편에 콘니치안(今日庵)을 지어서 살게 되었는데, 이것을 함께 거주하던 사남 소우시츠가 상속받아 소우시츠의 후손은 우라센케로 불리게 된다. 오모테는 앞, 우라는 뒤라는 뜻으로, 콘니치안이 후신안의 뒷편에 있었기 때문에 이렇게 불리게 된 것이다. 쉽게 풀이하면 "앞 센가", "뒷 센가". 그리고 차남 소유슈는 나중에 돌아와 이보다 좀 더 남쪽에 있는 무사시노코지라는 거리에 칸큐안(官休庵)을 지어 다도에 전념하게 된다. 그래서 무사시노코지센케로 불리게 되었다.
  • 원피스/826화 . . . . 2회 일치
         난데없이 제르마66의 배와 마주친 밀모자일당
          * 한동안 소식이 끊겼다가 최근 밀모자일당이 재결성하면서 상디의 정보도 다시 얻었고, 아버지는 수배서를 "생포할 것"으로 고치고 현상금도 올려서 재배포했다.
  • 원피스/835화 . . . . 2회 일치
          * 브륄레는 밀모자 일당의 행적이 빅맘에게 포착되고 있다고 말한다.
          * 브륄레는 쵸파의 모습을 보고 빅맘이 기뻐할 거라고 하는데, 그녀는 "전종족"을 수하는 정도로는 만족 못하는 "희귀 동물 컬렉터"라고 한다.
  • 원피스/836화 . . . . 2회 일치
          * 브륄레는 그런건 알고 있다며 밀모자 일당으로 모습을 하고 있던 동물들은 본래 모습으로 돌린다.
          * 브륄레는 크래커에게 이렇게 밀모자 일행의 명줄을 쥐고 있다고 과시하고 거울을 내던져 깨버린다.
  • 원피스/840화 . . . . 2회 일치
          * 이치디는 다시 한 번 제르마에 돌아온걸 환영하며 "다시 우리 위치를 확인해야지"라고 말한다.
          * 밀모자 일당도 베가펑크와 연관된 인물이 있는데 프랑키. 그러나 정작 프랑키는 다른 루트로 갔다.
  • 은혼/579화 . . . . 2회 일치
         * 우미보즈는 자신의 이름 칸코우를 밝히며 "다음에 행성의 주인이 허락한다면 네 이름을 들으러 오겠다"며 돌아선다. 코우카는 고작 그런 소리나 하려고 삼일이나 따라다녔다고 하는데 "원래 남의 에 가면 문을 두드리고 이름을 밝히는게 예의였다. 소란을 피워 미안하고 네 가족(오로치)에게도 전해 주라"며 돌아선다.
  • 은혼/587화 . . . . 2회 일치
          * 아부토는 가구라 안 문제엔 관심이 없다면서도 "(가족을 죽일 거라면)네가 직접 하라고 단장"이라며 카무이를 힐난한다.
          * "댁이 죽을 때까지 싸움을 멈추지 않는다면 어디까지고 함께 가는게 우리들 7사단이다."라고 말한다.
  • 은혼/588화 . . . . 2회 일치
          * 코우카는 잠들기에 앞서 가구라에게 언제나 같이 있어 줘서 고맙고, 가구라가 함께 있다면 우리 가족은 언제나 괜찮을 거라고 말한다.
         || 마미 우리 가족들은 결국 지구에 가지는 못했지만,
  • 은혼/589화 . . . . 2회 일치
          * 어떻게 해도 떨쳐낼 수 없는, "마미의, 우리들의 가족"
          * 그것을 보고 있던 아부토는 "몇 천 번을 얻어맞아도 쓰러지는 일이 없던 우리들의 단장은 단 한 방울의 여동생의 눈물에 졌다"고 독백한다.
  • 은혼/598화 . . . . 2회 일치
          * 오토세 아줌마는 "너무 늦어서 너희 이 없어져 버렸다"고 인사를 던진다.
          * 영감은 오토세 아줌마에게 "너희 이 무너졌는데 그 표정은 뭐냐"고 받아치는데, 오토세 아줌마는 "내 남편도 저런 얼굴(긴토키)이 아니다"고 받는다.
  • 은혼/600화 . . . . 2회 일치
          * 그는 "우리더러 나가달라는 거냐"고 직설적으로 말하는데.
          * 꼬여가는 배를 부여잡고 천도중은 자신들이 쓰러뜨리며 협력하고 싶다면 맘대로 해도 좋지만 그런 미명 하에 멋대로 굴다간 너희도 우리가 쓰러뜨리겠다고 호통친다.
  • 은혼/602화 . . . . 2회 일치
          * 기지로 침투한 나락들은 해방군 병사들의 중 사격으로 쓰러지지만 우츠로는 건재.
          * "누구든 상관없다. 지구인이든 천도중이든 우리들의 증오를 받아줄 적이라면."
  • 은혼/603화 . . . . 2회 일치
          * 긴토키는 노부메에게 "우리도 너랑 같은 부류"라고 말한다.
          * 칼을 어넣고 별과 함께 죽거나, 그 칼을 쥐고 자신과 싸워 여기서 죽거나.
  • 음모론 . . . . 2회 일치
          * 목성에서 온 랩틸리언이 우리 사이에 뿌리내렸다. 랩틸리언은 권력자로 위장해 우리를 지배하고 있다. 엘리자베스 2세, 버락 오바마 등의 인물들이 랩틸리언이다.
  • 이득을 준 배신자를 처단하기 . . . . 2회 일치
          * [[율리우스 카이사르]] : 디오 카시우스(Cassius Dio)에 따르면, [[폼페이우스]]가 이트에서 부하들과 동맹자였던 [[프톨레마이오스 13세]]에게 배신당하여 살해당하였는데, 카이사르는 폼페이우스를 살해한 자들을 비난하였다고 한다.
          * 《[[삼국지연의]]》에서 [[마등]]과 공모하여 [[조조]]를 제거하려 한 [[황규]](黃奎)라는 인물이 등장하는데, 황규의 [[처남]]인 묘택(苗澤)이 황규의 첩 이춘향(李春香)과 [[간통]]을 하면서 이춘향을 통하여 황규가 음모를 꾸미고 있다는 걸 알고, [[조조]]에게 밀고하여 황규의 일족은 도륙당하게 된다. 그리고 묘택은 조조에게 이춘향과 결혼하게 해달라고 요청하지만 조조는 여자 때문에 매형의 안을 파멸로 몰아넣었다고 비난하며 묘택을 처형한다.
  • 이센고린 . . . . 2회 일치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의 징병을 칭하던 속어. "니센고린"라고도 한다.
         당시 [[일본군]]이 징 통지서를 보낼 때 가격이 2센 5린이었기 때문에 붙은 속어다. [[태평양 전쟁]] 관련 서적들[* 제임스 브래들리의 "플라이보이스", "아버지의 깃발", 이에나가 사부로의 "Pacific War, 1931-1945" 등등]에서는 이 금액에 "1페니 보다 적다,"라는 프레스기로 찍어낸 듯한 설명을 붙여준다.
  • 이웃집 잔디는 푸르게 보인다 . . . . 2회 일치
         영문 경구. 남의 물건이 자신의 것보다 언제나 더 좋아 보인다는 의미이다.
         비슷한 한국 속담으로는 "남의 떡이 더 커보인다,"가 있다.
  • 일곱개의 대죄/200화 . . . . 2회 일치
          >"지금부터 우리들이 당신 둘을 다시 단련시켜 주마" 라고 말했어요.
         그로키시니아와 드롤의 목적은 여전히 불명. 그들이 인간을 배신한 계기를 알아야 설명이 될 것 같다. 그들이 사용한 술법은 자라스트로가 사용한 것과 비슷하지만 그저 멜리오다스의 기억을 봤을 뿐인 반면 이쪽은 과거 시간대의 당사자의 몸에 정신을 어넣는, 매우 고차원 술법. 주문으로 보아 이것도 드루이드의 마법으로 사료된다.
  • 전가의 보도 . . . . 2회 일치
         전가(伝家)는 안 대대로 내려온 것이라는 의미이며, 보도(宝刀)는 귀한 칼이라는 뜻이다.
         한국 인터넷에서는 "'전가의 보도는 옛날에 '양반가에서 대대로 전해 내려오는 보검'을 뜻하는 말이다. 아들이나 아내가 불미스러운 일로 안에 누가 되는 행동을 범했을 때 이를 처단하는 도구로도 사용됐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근거는 낮은 것 같다. 애초에 이 말은 한국 문화와는 거리가 먼 것으로 보인다.[[http://www.vop.co.kr/A00000768894.html (민중의 소리)]]
  • 전기의자 . . . . 2회 일치
         최초의 전기의자형 행은 엄청 서툴렀다고 한다. 사형수를 한번에 죽이지 못해서 몇번이나 전기를 흘러보내야 했다고.
         [[코끼리]] 한마리도 이런 식으로 처형된 사례가 있다. 톱시(Topsy)라는 이름의 코끼리였는데 [[사육사]]를 죽여버린 사고를 친 것. 그 결과 6,600 볼트 전류로 사형당했다. [[https://youtu.be/NoKi4coyFw0|유튜브 동영상-충격적일 수도 있음.]] 위의 최초의 인간 사형행과 함께 잔인하다고 욕을 바가지로 먹었고, 이와는 별개로 사보타주를 통해 교류를 밀던 웨스팅하우스를 파산시키기는 했으나 교류의 보급을 막는 데에는 실패했다.
  • 전자레인지 . . . . 2회 일치
          *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0467572|남의 고양이를 전자레인지에 넣고 도망간 사례]]
  • 절대가련 칠드런/445화 . . . . 2회 일치
          * 하지만 블랙 팬텀의 에이전트도 지지 않고 "우리들 세대에겐 '개성'이 주어졌다"고 응수하며 문어가 좋다며 문어 예찬론을 펼친다.
          * 시호가 사카키의 근황을 의식하는 듯한 묘사가 나오는데 마츠카제는 "츤데레라기엔 츤의 살상력이 너무 높다"고 꼬는다.
  • 절대가련 칠드런/449화 . . . . 2회 일치
          * 효부는 "네가 너인 채로 우리의 적이 될리 없다"고 독백하며 마기의 정신에 진입한다.
          * 원인은 연료탱크에 난 작은 흠. 묘한 파편에 찔려서 연료가 새어버렸다.
  • 절대가련 칠드런/457화 . . . . 2회 일치
          * 다시 현재시점. 이야기는 조금 세어나갔지만 효부가 요약한 핵심은 이렇다. 효부가 제멋대로 살 수 있는건 마기가 있기 때문이고 그 마기가 없을 땐 자기가 을 지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
          * 효부는 이번에야 말로 마기를 쏴버리려고 염력을 중하지만 결국 발사하지 못한다. 마기는 그 괴로워하는 얼굴 조차 비웃으며 이별을 선언한다. 때맞춰 블랙팬텀의 미사일이 폭발하며 물기둥이 치솟는다. 마기는 이것을 틈타 상공의 폭격기와 접촉, 이제부턴 길리엄을 섬길 거라는 말과 함께 사라진다.
  • 절연금 . . . . 2회 일치
         절연금은 지불의무가 없기 때문에 요하게 요청할 경우, 협박죄 공갈죄 등의 혐의로 기소될 수 있다.
          * [[도박 묵시록 카이지]]에서 [[이토 카이지]]가 [[사카자키 코타로]] 네 에 얹혀 살다가, 도박중독자 인간말종 카이지를 보다 못한 사카자키가 돈을 내주며 다시는 오지 말라고 하는데 이런 것이 절연금에 해당한다. 그리고 카이지는 이 돈을 가ㅈ고 또 도박하러 간다.--구제불능--
  • 진격의 거인/80화 . . . . 2회 일치
         * 엘빈은 사실 엘런 의 "지하실"에 정말로 가고 싶었다.
         * "그렇다면 인생에 의미란 없는 것인가? 애초에 태어난 의미란 없는 것인가? 죽은 동료들도 그런가? 그 병사들도 무의미했던 것인가? 아니다! 죽은 자들에게 의미를 주는 것은 우리들이다!"
  • 진격의 거인/82화 . . . . 2회 일치
          * 그걸 보고 있던 미카사는 엘렌과 아르민의 생사를 우려하지만 다시 작전에 중한다.
          * 미카사는 찬스를 놓치지 않고 명중, 라이너를 거인 바깥으로 끄어 낸다.
  • 진격의 거인/83화 . . . . 2회 일치
          * 그는 자신이야 말로 엘런의 이해자이며 "우리들"은 아버지의 피해자라고 발언한다.
          * 엘런이 반발하지만 리바이는 "인류를 구하는 쪽을 택하겠다"고 고한다.
  • 진격의 거인/84화 . . . . 2회 일치
          * 엘렌은 거인화 약물이 든 케이스를 붙잡으며 고을 부린다.
          * 그래도 엘렌이 고을 부리자 단호하게 응징한다.
  • 진격의 거인/85화 . . . . 2회 일치
          * 긴 시간 만에 돌아온 엘런의 .
          * 무너졌던 집은 잡초 따위가 무성하게 자라 폐허가 되어 있다.
  • 진격의 거인/87화 . . . . 2회 일치
          * 그리샤 예거는 그 아들 지크 예거 또한 어린날의 자신과 같은 생각을 하고 같은 길을 걸을 것으로 믿었다. 그러나 그것은 터무니없는 오판이었다. 왕가의 피도 엘디아 복권파의 이상도 아들에겐 남의 일에 지나지 않았다. 지크는 자신을 위험에 노출 시킨 양친을 버리고 자신과 조부모의 안녕을 선택했다. 그리샤와 다이나 프리츠가 치안당국에 잡혀가는 동안 지크는 냉정한 눈으로 모든 것을 지켜보았다.
          * 그리샤는 그 자리에서 다시 한번 다이나가 왕가의 혈통이라고 밝히려 하지만 클루거가 시끄럽다며 입을 막는다. 그리샤는 클루거가 보고받은 내용을 묵살했을 거라고 직감한다. 그 증거로 글로스가 무슨 일이냐고 물어도 "들을 가치도 없는 헛소리"라고 얼버무리려 형을 행하라고 말한다. 결국 다이나도 거인화 약물이 주사된다. 다이나는 마지막으로 자아가 있는 동안 "어떤 모습이 돼도 당신을 찾아낼게"라며 울먹인다. 글로스는 "거인끼리 사이좋게 살아라"라고 비웃으며 다이나를 걷어찬다. 절규하는 그리샤. 그의 눈 앞에서 다이나는 어떤 거인의 모습으로...
  • 진격의 거인/88화 . . . . 2회 일치
          그리샤는 멱살이라도 잡을 것처럼 크루거의 목으로 손을 올린다. 하지만 움켜쥘 손가락도 없다. 손에 감긴 붕대가 피로 물든다. 크루거는 손이 아플 테니 그만두라고 말하지만 그리샤는 "배려 고맙다. 남의 손가락을 싹뚝 자르는건 별 감흥도 없는 녀석일 것 같은데!" 라며 비꼰다. 그는 그가 더 빨리 거인으로 변했더라면 모두 거인이 되지 않았을 것이라며 대체 뭘 위해서, 엘디아 복권파는 뭘 위해서 거인이 된 거냐고 따진다. 그런데 크루거가 털썩 주저 앉는다. 안색도 좋지 않고 숨도 가쁘다. 크루거는 왜 그러냐고 묻는 그리샤에게 "수천명이나 되는 유미르의 백성의 손가락을 자르고 수천명이나 되는 사람을 거인으로 만들어왔다"고 털어놓는다. 그리고 그 모든 것은 전부 "엘디아를 위해서"라고 믿는다.
          크루거의 아버지는 대륙에 잔류한 왕가의 잔당이었다. 그들은 혁명군을 구성했지만 아무 것도 이루지 못한 채 마레 당국에 의해 암살되었다. 아버지가 혁명군에 속했던 크루거의 가족도 예외는 아니었다. 가족 모두가 한 군데서 불살라질 때, 어린 그는 찬장 속에 숨어 문틈으로 그것을 바라보고 있었다. 그저 무서워하면서. 이 거의 다 탔을 때 아버지의 동료가 구하러 왔고, 크루거만 간신히 목숨을 부지했다. 그 일이 있은 후 마레에 대한 복수와 엘디아의 복권을 맹세했다. 그런 그가 실제로 하게 된 일은 아이러니하게도 동포의 손가락을 자르고 가죽을 벗기며 이곳에서 떨어뜨려 거인으로 만드는 것이었다. 그걸 철저히 수행한 결과 오늘날까지도 정체를 들키지 않았다.
  • 창작:IDF . . . . 2회 일치
         IDF는 언제나 국제적으로 인정된 국가만을 회원국으로 인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사국의 승인에 따라서 임시 정부나 잠정 정부, 특정 정치 단 대해서도 회원국 자격이나 총회이 발언권은 있으나 표결권은 없는 옵저버 자격을 부여하는 경우도 있다.
          *[[http://blog.naver.com/jjy0501/220463509531|L-ATV]] : 1,240대[* 현재까지도 손실분이 가장 많은 차량이고, 계한 이후 무력화된 차량도 존재하기 때문에 정확한 숫자는 측정 불능]
  • 창작:왕국 . . . . 2회 일치
         북쪽으로 바다 건너 있는 연합과 관계가 최악이다. 원래부터 자기들보다 못살고 낙후된 국가라고 깔보고 있었는데 연합이 왕국과 친하던 플라흐란트 왕국을 덥썩 어먹어버렸다.
         징병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18세 이상의 남녀가 징된다. 군복무 기간은 3년. 자신이 동성애자임을 증명하면 군복무에서 면제된다.
  • 창작:좀비탈출/3 . . . . 2회 일치
         옆 아저씨는 어째서 이걸로 도망치지 않았던 걸까? 이 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자세한 사정은 모르겠지만, 가족을 놔두고 혼자서만 자전거로 도망갈 수는 없었던 걸지도 모르겠다.
  • 창작:좀비탈출/5-1-1-2 . . . . 2회 일치
         하지만 그림자가 길어지고 있다. 어느덧 태양이 넘어가기 시작한 것이다. 해야할 일이 너무 많다. 시체가 누워있던 자리를 정리하고 원래 목적대로 식량을 챙겨야 한다. 이제 공복과 피로를 버티는 것도 지겹다. 어제까지만 해도 안에서 숨죽이고 있던 내가, 갑자기 좀비버스터 노릇을 한 것이다. 터무니없는 과로로군.
         나는 그대로 하던 일을 정리하고 안으로 돌아갔다. 계단을 어떻게 하긴 해야겠지만, 그거 나중에 해도 괜찮을 거야. 대문은 닫혀있고 담장을 넘어올 놈은 별로 없을 테니 그렇게 해도 되겠지.
  • 창작:좀비탈출/기록 . . . . 2회 일치
          * 토트넘 : 옆 아저씨. 이름은 까먹었다. 죽이기 직전에 몸과 근육이 탄탄한 걸 보니 운동을 좀 한 녀석들은 좀비가 되어서도 팔팔한 것 같다. 축구는 11명이 한 팀이니까, 적어도 이런 녀석이 10명은 더 있다는 뜻이겠군. 그 중에 유독 손맛 좋은 녀석이 하나 있을 것이고.
          * 번화가 : 자택에서 약간 이동한 곳. 엄청난 수의 좀비가 밀되어 있다.
  • 카쿠스 . . . . 2회 일치
         헤라클레스는 바위를 치울 수 없고, 다른 입구도 발견할 수 없어서, 언덕으로 올라가서 동굴 지붕이 되는 바위를 통채로 뽑아버렸다. 카쿠스는 연기와 불길을 토하면서 도망갔으나, 헤라클레스는 아무 물건이나 어던지며 공격했다. 결국 헤라클레스는 카쿠스를 붙잡아 밧줄로 묶어 눈이 머리에서 튀어나올 때까지 힘껏 졸라 죽였다.
         기원전 2세기의 다른 판본에서는, 소떼들은 레카라누스(Recaranus)나 가라누스(Garanus)라는 그리스 양치기의 것인데, 그는 몸과 힘이 대단해서 '헤라클레스'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었다. 그의 소떼를 에반드로스의 노예 카쿠스가 훔쳐갔는데, 에반드로스가 소를 발견하고 주인에게 돌려주면서 카쿠스도 처벌을 위하여 넘겨주었다는 것이다.
  • 칼리파 하프타르 . . . . 2회 일치
         2014년 2월, 하프타르는 TV를 통하여 서부지역을 중심으로 한 일반 국민회의에 반대하는 봉기를 일으키라고 선언했다. 하프타르는 리비아 수도 트리폴리에서 의회 의사당을 장갑차와 로켓포로 공격하여 의회 권한 정지를 선언했으며, 국민군은 벵가지에서 이슬람 무장단체 '안사르 알 샤리아' 등 이슬람계 세력에 공격을 퍼부었다. 이 사실상 [[쿠데타]]를 계기로 하여 리비아 국민군에는 세속주의 반군 세력이 모두 결하게 된다. 2014년 6월 국민투표(유권자 중 18%, 약 63만 명 투표)를 거쳐 동부지역에서는 대표자 정부(the House of Representatives)가 2014년 8월 4일 창립되어 일반 국민회의를 대체했다. 하프타르는 리비아 국민군(the Libyan National Army)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하프타르는 [[이트]]와 [[UAE]]의 후원을 받으며 국민군을 이끌고 이슬람주의자들에게 맞서서 2014년 5월 부터 벵가지와 동부지역의 이슬람주의 민병대를 척결했다.
  • 커맨드 앤 컨커 : 레드 얼럿 2/소련군 . . . . 2회 일치
          광물굴착기가 수한 광물을 밀어넣는 건물. 건설시 전투굴착기 한대가 딸려온다.
          소련의 기본 보병 유닛. 군견보다 싸다. 영어 명칭이 Conscript인걸로 보아 징병인 듯.
  • 커맨드 앤 컨커 : 레드 얼럿 2/연합군 . . . . 2회 일치
          광물굴착기가 수한 광물을 밀어넣는 건물. 건설시 크로노굴착기 한대가 딸려온다.
          * 엔지니어: 대형 게. 차량 유닛을 수리할 수 있다.
  • 커피 젤리 . . . . 2회 일치
         [[일본]]에서 커피 젤리에 관한 최초 자료는 1914년 4월 3일 [[요미우리 신문]]이며, 가사나 생활을 다루는 '가정' 면에서 커피 젤리의 레시피가 실렸다.
         커피 젤리는 일본 태생의 빙과 간주합니다. 커피 젤리에 관한 최초의 자료는 1914 년 (양 3 년 대) 4 월 3 일 요미우리 신문에 등장합니다. 가사 나 생활을 취급하는 "가정면"커피 젤리 레시피가 게재되었습니다.
  • 켄카양성패 . . . . 2회 일치
         싸움을 억제할 이유가 있었던 데는 사무라이들의 호전성도 있었다. [[무로마치 시대]]에서 [[일본 전국시대]]에 걸쳐서, 사무라이들은 불합리할 정도로 복수심이 강했다. 현대적인 관점에서는 피해자가 명백하게 자업자득인 경우조차도 요하게 복수를 했다. 켄카양성패는 이러한 문화에서 전국 다이묘들이 불합리하더라도 질서를 잡을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나타난 법이다.
         잘잘못을 가리는 것보다 '단의 화합'을 중시한다는 점에서는 문제가 있는 관습이기도 하다.
  • 코나시 . . . . 2회 일치
          * [[우리나라]]에서 말하는 '[[아그배]]'를 뜻한다. 우리나라에서 배와 비슷하지만 작다고 하여 아그배라고 부르는 것처럼, 일본에서도 배(梨,나시)와 비슷하지만 작다고 하여 작은 배(小梨, 코나시)라고 하는 듯. 근데 사진 보면 별로 안 닮았다.
  • 키라키라 네임 . . . . 2회 일치
         이러한 이름을 붙인 아이에 대한 [[단괴롭힘]]이 벌어지기도 한다. 다만 이름이 특이하다고 하여 단괴롭힘을 벌이는 것은 나쁜 짓이며, 오히려 '평범한 이름'이 아니라는 것을 과도하게 문제시 삼는 것은 어떻게 보면 사회의 동조 압력이 지나친 것이라고 볼 수도 있다.
  • 킹덤/497화 . . . . 2회 일치
         [[킹덤]] 제 497화. '''결의 진의'''
         코에이의 삼국지에서도 업을 공략하는 건 꽤 어려운데, (고대 기준으로) 하북평야의 한가운데 위치한 대도시로 보통 조조나 원소 같은 강자들의 병력이 중되는 곳. 더군다나 진나라에 대한 공동전선이 형성돼 온갖 나라들이 진나라를 공격하려 올 판에 업으로 역공을 간다는 얘기이므로, 얼마나 하드코어한 플레이인지 알 법하다.
  • 킹덤/498화 . . . . 2회 일치
          * 병력을 증강한 이후 처음으로 전쟁 준비에 나서는 비신대. 갓 입대한 활형제와 간두 등 신병들은 수도 함양으로 소되면서 수도 함양의 전경과, 몰려드는 무수한 군세와 긴장감으로 정신이 없다. 초수 등 고참들이 이들이 들뜨지 않도록 관리하고 있다. 이 작전은 매우 기밀로 취급돼서 병사들도 이 자리에 올 때까지 아무런 정보를 받지 못했다. 다만 여기에 모여든 지휘관들의 면면을 보고 얼마나 위험한 전투가 될지 짐작할 따름이다.
          * 이제 상황 파악이 된 병사들은 이번 전투의 규모와 가혹함을 가늠하며 긴장한다. 신은 이번 조 공략전은 왕전, 환의, 양단화 군이 총결한 "연합군전"임을 밝힌다.
  • 토리코/368화 . . . . 2회 일치
          * 토리코는 자신들이 있는 곳만 기온이 올라가고 있으며 엄청난 에너지가 중되고 있다고 말한다.
          * 이것은 마치 구르메계로 오기 전, 치치의 에서 "풀코스의 냄새가 묻은 사과"를 보았을 때와 같은 반응이다.
  • 토리코/369화 . . . . 2회 일치
          * 써니가 슈퍼 프라이팬 뒤기로 튕겨내는데, 튕겨낸 혀가 우주까지 뚫고 나가 달에 달라붙는다.
          * 하지만 토리코는 "예전부터 고대하고 있었다"면서 오히려 우리들(토리코 일행)이 먹어치워주겠다고 의욕을 불사른다.
  • 토리코/380화 . . . . 2회 일치
          * 이어서 팔왕들이 중공격을 가하려고 하는 찰나
          * 삼키는 것과 동시에 백채널이 풀리고 팔왕의 중공격이 내리꽂힌다.
  • 토리코/395화 . . . . 2회 일치
          * 린은 식장 한켠에 빈 테이블이 놓여있는걸 발견한다. 그런데 여느 가정에서나 쓸법한 낡고 평범한 테이블이다. 린이 뭐냐고 묻자 토리코는 "어떤 식혼들을 초대한 자리"라며 꼭 와주길 기대한다고 말하는데.
          * 네 번째 "고기요리", 엔드 매머드(완상)의 스테이크. 사실상 네오의 고기라고도 할 수 있다. 놀랍게도 네오도 이 자리에 참석하고 있었는데 사회자가 "최종보스인 네오의 고기"라고 해설하자 제브라가 옆에 앉은 네오에게 "너보고 최종보스랜다"라고 놀린다. 네오는 쑥스러운 듯 웃는다. 스테이크엔 라이브베아라가 제공했던 메테오 갈릭이 토핑. 고명으로 고대의 식보 보석고기와 가라라 악어 고기가 올라갔다. 이 또한 토리코와 코마츠가 함께 포획한 고기요리의 총성 같은 것. 코마츠는 특히 가라라 악어를 감명 깊게 기억하고 있다. 스타준은 보석고기를 맛보며 리갈 매머드 안에서 토리코에게 패하고 "나도 언젠간 먹고 싶었다"고 말하던 일을 떠올리고 미소짓는다.
  • 트로피코 4 . . . . 2회 일치
         다수의 시민들은 몇몇 진영을 지지한다. 유아나 소년도. 3살짜리 유아가 "우리의 영광스런 군대가 나라를 밝은 미래로 이끌리!"나 "난 공산당에서 출마하는 동지들을 지지할 거야"같은 생각을 하는걸 보면 할 말이 없어진다.
          토네이도가 불어닥쳐 시민을 죽이고 건물을 파괴한다. 다수의 토네이도가 군해 피해를 뻥튀기 시키는 경우도 있다.
  • 페어리 테일/500화 . . . . 2회 일치
          * "앞으로 나아가는 이 한 발이야 말로 우리의 힘, 으로 돌아가는 길이다!"
  • 페어리 테일/503화 . . . . 2회 일치
          * 수갑과 의자가 부서지고 특히 얼굴에 피를 뒤어 쓰고 있다.
          * 하지만 루시는 멀쩡하게 정신이 든다. 피도 남의 것.
  • 페이데이 갱 . . . . 2회 일치
         Payday Gang. 게임 [[페이데이: 더 하이스트]]와 [[페이데이 2]]에 등장하는 범죄 조직. 페이데이 시리즈의 주인공이다. 멤버들이 범죄를 저지를 때 광대 가면을 쓰기 때문에 광대(Clown)라고도 불린다. 페이데이: 더 하이스트에서는 기껏해야 [[은행강도]], 금괴 운반차량 탈취 정도나 하는 4인조 범죄단이었지만 페이데이 2에서는 [[FBI]] 건물을 습격하거나 러시아의 비밀 연구소를 레이드 뛰는 뭔가 대단한 조직이 되어버렸다.
          [[미국]]인. 청소년때부터 사고를 치고 다녀서 양부모의 과 [[소년원]]을 오갔다. 이후 군대에 들어가 훌룡한 군인이 되었지만 군대를 나온 후 범죄자가 되었다. [[FBI]] DB에 따르면 큰 총과 많은 탄약을 가져오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 폴리스 . . . . 2회 일치
         폴리스마다 차이가 있었지만, 대체로 중장보병과 자산 시민 계급은 동일시 되었다. [[스파르타]]는 이러한 체계에 극단적으로 중하였으며, [[아테네]]는 [[해군]]의 발달과 영향력의 확대로 해군의 노잡이로 복무하는 무산 계급의 영향력이 커졌다.
         폴리스의 형성은 각지의 사정에 따라서 달랐다. 아테네는 신오이키스모스(Synoikismos)라는 현상에 따라서 폴리스가 형성되었다고 여겨졌는데, 신오이키스모스는 주(集住)라고 번역된다. 가문 단위로 분산되어 살던 그리스 인들이 제사 공동체를 만들면서 요새나 성채 중심으로 결속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대토지를 가진 --[[금수저]]-- 고위 귀족, --[[은수저]]-- 중간계급의 자영농, --[[흙수저]]-- 토지를 가지지 못한 무산자들이 계층 구조를 이루게 되었다.
  • 하이큐/208화 . . . . 2회 일치
          * 어쨌든 전일본 유스는 세계 무대에 나갈 인원을 뽑는 무대이므로, 거기에 소 됐다는 것 자체가 대단한 일.
          * 히나타는 "나는"이라며 자신에겐 소이 오지 않았냐고 하는데 당연히 안 왔다.--꿈도 크다--
  • 하이큐/218화 . . . . 2회 일치
          * 코트 밖에서는 고시키&츠키시마 조가 햐쿠자와를 중 공격하면 돌파구가 있지 않겠냐고 예측한다.
          * 히나타는 몸풀기 때부터 우시지마를 중적으로 관찰하고 다닌다.
  • 하이큐/225화 . . . . 2회 일치
          * 자신은 남의 마음도 잘 모르고 말주변도 없지만 최고의 세터가 될 수 있게 노력하겠다는 카게야마 토비오.
          * 우카이 케이신 코치는 "남의 마음은 모르는게 당연하고 이해하려는 마음도 중요하지만 플레이에 꼭 필요한 요소는 아니다"라고 조언한다.
  • 하이큐/226화 . . . . 2회 일치
          * 다른 학교라면 초속공 자체를 의식해서 히나타를 중 마크하다 틈을 보이기 마련인데, 다테는 오히려 초속공을 건드리려 하지 않는다.
          * 하지만 이 한 방이 다테의 이목을 히나타에게 중시키고 그만큼 카라스노의 사이드는 여유로워진다.
  • 하이큐/232화 . . . . 2회 일치
          그렇게 하면서 어쩐지 안심이 들었다. "난 최전선에서 싸우고 있는게 아니다"라는 안도감. 그런 불안과 초조함이 "남의 일"이라는데서 오는 것이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선수들의 노력과 좌절을 보면서 "남의 일"이 아니게 되었다.
  • 하이큐/234화 . . . . 2회 일치
          객석의 어느 커플은 배구에 대해 잘 모르는지, 카게야마의 컨디션 난조만 보고 엄청 못하는 1학년이라고 시시덕거린다. 그들만이 아니라 그런 조롱적인 언사는 관객석 여기저기서 나오는 듯 하지만, 카게야마는 신경쓰지 않고 적응에 중한다.
          그를 코치한 시마다 마코토는 한 가지 요령을 전수한다. "마음이 진정되길 기다리지 말고 마음을 진정시키는 연습을 하라"는 것. 중요한건 "리셋하는 시점"이다. 워밍업 단계에서 시선을 진정시킬 지점을 하나 정한다. 그게 표식이든 비상구든 뭐든 상관은 없다. 이 이야기를 할 때 리셋지점은 전봇대에 걸린 시마다 마트 봉지. 여기에 중하는 걸 신호로 삼는 것이다.
  • 현실문화사 . . . . 2회 일치
         이후 "현실초점"이라는 이름의 계간지를 발간했다. 해당 잡지는 창간호에서 "우리 사회 내부의 무질서, 홍수처럼 쏟아지는 욕구 분출과 과격행동들이 빚어낸 민족의 재난을 경계하고 올바른 국가관·가치관을 뿌리내리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잡지 창간 목적을 밝혔다.[* 출처: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90년 10월 9일자 - 보안사 잡지사 운영] 해당 잡지의 내용은 재야와 [[운동권]]의 논리를 반박하는게 주를 이루었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0100900329215007&editNo=3&printCount=1&publishDate=1990-10-09&officeId=00032&pageNo=15&printNo=13859&publishType=00020|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90년 10월 9일자 - 정보수 위해 잡지사 도 운영]
  • 화석연료 . . . . 2회 일치
         [[화석]]+[[연료]]. 우리가 사용하는 연료 가운데서, [[생물]]이 활동하고 남긴 화석으로 여겨지는 연료들을 뜻한다. 대표적으로, [[석탄]]과 [[석유]], [[천연가스]]가 있다.
         고대로부터 인류는 지표면에서 채한 화석연료를 소규모로 사용해왔지만, 기술 부족으로 널리 쓰이지는 않고 채굴지 주변에서 한정적으로 사용되는 것에 불과했다. [[산업혁명]]이 일어난 이후로 석탄과 석유가 본격적으로 대량으로 채굴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전과는 차원이 다른 막대한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현대 문명 사회를 건설하게 된다.
  • 화염병 . . . . 2회 일치
         2015년 12월 4일, 이트에서 나이트클럽 입장을 제지당하자 화염병을 던진 사람들도 있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2/06/0200000000AKR20151206054100079.HTML|연합뉴스 링크]].
         2016년 1월 8일, 위안부 합의에 불만을 품은 승려가 외교부에 화염병을 던지려다 실패한 사건이 있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1/08/0200000000AKR20160108105951004.HTML|연합뉴스 링크]].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3/10/0200000000AKR20160310133000004.HTML|이후 행유예를 받았다.]]
  • 후쿠오카 예비교생 살인사건 . . . . 2회 일치
         범인 소년은 사립 남자 기숙사에 입주하여, 방향이 키타카와의 과는 정 반대였기 때문에 미리 [[흉기]]를 준비하여 계획적으로 습격했을 가능성이 있다.
         피해자의 아버지 키타카와 요우지(洋二)는 2월 29일, 후쿠오카 현경을 통하여 "가족에게 보물이었습니다. 갑작스러운 일로 매우 슬픔에 빠져 있습니다."라고 코멘트를 했다. 딸에 대하여 "어린 시절부터 너무나 노력을 많이 하고, 자신보다 타인을 우선하고 참을성 많은 딸이었습니다. 무엇이든 스스로 솔선하여 공부나 스포츠에 남다른 노력가였습니다. 고도 부리지 않고 부모와 형제를 소중하게 하는 상냥한 딸이었습니다."라고 자필로 코멘트 하였다.
  • 1986년 에드먼드 우체국 총기난사 . . . . 1회 일치
         [[일본]]의 음악 그룹 [[사운드 호라이즌]]의 노래 사형행에서 패트릭 헨리 셰릴의 이름이 언급된다.
  • 1만 시간의 법칙 . . . . 1회 일치
         따라서 우리들은 선천적 재능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공부에 노력하는 것을 포기하고, 노력이 가장 많이 반영되는 게임에 노력을 투자해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 2013 K리그 심판매수 . . . . 1회 일치
         2013시즌은 K리그에서 승강제가 도입된지 두번째 시즌이었고, 경남 FC는 강등될 가능성이 아주 유력했던 팀 중 하나였다. 당시 경남의 사장이었던 안종복은 팀의 강등을 모면하고자 하지 말았어야 할 짓을 저지르고야 마는데, 바로 심판매수였다. 이때까지만 해도 [[http://sports.news.naver.com/k_league/news/read.nhn?oid=015&aid=0003436896|외국인 선수의 몸값과 관련한 횡령혐의로만 알려져 있었지만]] 차후 발표결과 [[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241&aid=0002495741|심판매수]]로 알려져 K리그 팬들에게 엄청난 충격을 안겨주게 되었다.
  • 3월의 라이온/123화 . . . . 1회 일치
          * 아카리와 히나타는 안일을 해두고 여름 축제에 대비해 의논한다.
  • 4,000-lbs HC . . . . 1회 일치
         영국군은 이 폭탄을 속 소이탄과 함께 사용했다. 소이탄이 건물에 들어가기 쉽게 길을 터주는 용도였다고.
  • AT4 . . . . 1회 일치
         미국에선 어떤 얼간이가 군대에서 사용한 AT4 발사관을 에 가져온 적이 있다. 경찰에서 총기 회수 캠페인을 벌일 때 가족 중 한명이 넘겨버렸다고. [[http://usnews.nbcnews.com/_news/2012/12/28/16221808-rocket-launchers-surface-during-los-angeles-guns-buyback?lite|링크]].
  • DQN . . . . 1회 일치
          * 어린 시절에 약한 사람을 [[단괴롭힘]]했다.
  • Europa Universalis 4/공략/아시아 . . . . 1회 일치
         난이도는 상당히 쉽다. 실제역사대로라면 조선이 남만주를 먹는 즉시 명나라에서 견제가 들어오겠지만 이게임에서는 그런게 없다보니(...) 초반애 훈춘(hunchun)이나 헤투 알라(Hetu Ala)정복 미션을 받고 남만주를 먹고난뒤, 지린에 클레임을 걸고 먹어둬서 지린노드를 장악하면 된다. 다만, 예전에는 조선과 명에 역사적 친구 보정이 있어서 명과 동맹을 걸고 편하게 건주여진과 해서여진을 어삼킬 수 있었지만, 지금은 그 보정이 삭제되어 명과의 관계도를 미리미리 올려둬서 침공의 가능성을 줄여둬야 할것이다. 결국 조선의 난이도는 명이 얼마나 빨리 갈라지느냐에 있다. 명이 초반에 천명이 터져서 조각조각 갈라진다면 게임은 굉장히 쉬워지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상당히 고달픈 난이도가 될것이다.
  • FootNoteMacro . . . . 1회 일치
         매크로를 쓰지 않고 {{{[* Hello World]}}}같은 식으로 어넣으면 FootNote가 들어갑니다. 여러가지 사용 예는 FootNotes 참조.
  • FrontPage . . . . 1회 일치
          * 반달리즘 행위에 대해서는 IP차단을 하며, 식별 된다면 NTX 아이디에도 제제 조치가 가해니다.
  • HelpOnEditing . . . . 1회 일치
         이러한 색깔 효과는 주로 [[리듬게임]]의 곡 등 게임과 관련된 요소의 난이도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며, 대사 등에서 각 인물의 대사를 분류하거나 문서를 대조할 때 구분하는 등 여러가지로 쓰입니다. 특히 긴 글을 인용할 때 몇몇 부분을 구분해야 하는 경우에만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 House of the Rising Sun . . . . 1회 일치
         국내에서는 "[[https://youtu.be/9txm7O4SAdg|해 돋는 ]]"이라는 이름으로 번안되었다.
  • KY . . . . 1회 일치
         "분위기를 읽어라."는 의미. 속어라는 점에서 우리나라 속어인 '눈새'('''눈'''치없는 '''새'''끼)와 유사한 데가 있다.
  • K리그 챌린지 플레이오프 . . . . 1회 일치
         첫 대회가 열렸던 2014시즌에는 이 대회 역시 한국프로축구연맹이 규정한 공식경기지만 챌린지의 기록과는 무관하게 별도로 기록했었다. 이는 챌린지 플레이오프가 엄밀히 말하면 챌린지의 정규 라운드의 연장선이 아니라 승강 플레이오프라는 [[승강제]] 시스템과 관련이 있는 대회로 보기 때문이며, K리그의 소식을 전하는 공식매체인 [[K리그 웹진]]에서도 2014시즌의 데이터는 챌린지와 호환이 되지 않았었다. 그러나 2015시즌부터는 챌린지 플레이오프를 K리그 챌린지의 연장선으로 보고 이 데이터를 공식으로 계하기 시작하였으며, K리그 웹진 2015년 12월호에서는 다 통합하여 데이터를 공개하였다.
  • K리그 클래식 . . . . 1회 일치
         이 와중에 아시아 축구를 총괄하는 AFC는 [[모하메드 빈 함맘]](이하 함맘) 회장이 권하던 시기부터 아시아 클럽 대항전을 손보는 작업에 들어가게 된다.[* 함맘이 회장에 당선된 시기는 2002년, ACL이 개편되어 시행된 건 2003시즌부터다.] 그리고 개편은 점진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는데, 참가팀 수를 [[UEFA 챔피언스 리그]]와 마찬가지로 32개 팀까지 확대하는 한편, [[AFC컵]]의 정립까지 상당 부분을 손보게 된다.
  • K리그 클래식/2016시즌 . . . . 1회 일치
         || 평균관중 || 미계 ||
  • MoniWikiACL . . . . 1회 일치
         // 사용자 Foobar는 WikiSandbox 편 못하게 함
  • MoniWikiOptions . . . . 1회 일치
          * 1로 설정하면 섹션편을 할 수 있도록 단락마다 edit 링크를 단다.
  • NavigationMacro . . . . 1회 일치
          * HelpOnEditing - 편 설명
  • RecentChanges . . . . 1회 일치
         |||| [[Icon(new)]] || 북마크 시점 이후에 새로 만들어지고 그 뒤로 편이 안된 페이지||
  • USS 피닉스 (CL-46) . . . . 1회 일치
         영국의 ~~찌라시~~황색 언론 [[더 선]]은 헤네랄 벨그라노의 피격 사실을 전할때 1면 헤드라인에 "'''잡았다!''': 우리 친구들이 포함을 격침시키고 순양함을 구멍냄"[* GOTCHA!: Our lads sink gunboat and hole cruiser]라고 쓰는 패기를 보였다. 이외에도 더 선은 포클랜드 전쟁 동안 "'''뒈져라 군사정부놈들'''"[* STICK IT UP YOUR JUNTA] 등의 부적절한 헤드라인을 내걸기도 했다.
  • 가면부부 . . . . 1회 일치
         체면을 중시한 가면 부부는 의사, 공무원, 변호사 등 사회적 지위가 높고, 체면을 생각하는 부부에게 많은 경향. 안에서는 부부 대호가 거의 없지만 한 걸음 벗어나자 마자 사이가 좋은 부부를 가장하려 한다.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 . . . . 1회 일치
         그러나 안에서 드러나는 실체는 답이 없는 [[건어물녀]]. 오타쿠 취미에 매진하며 일말의 아가씨스러움도 없다.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42화 . . . . 1회 일치
         * 이렇게 만든 책을 모드 우마루(코마루)에게 보여주는데 실제 재본된 책수준이라 놀라게 한다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50화 . . . . 1회 일치
          * 키리에는 우마루가 가져온 딸기 쇼트 케이크를 보고 우마루네 에서 코마루와 케이크를 먹던 걸 회상한다.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56화 . . . . 1회 일치
          * 하지만 그러면 우리도 좀비가 된다고 실핀이 지적하자 금방 취소한다.--우디르급 태세전환--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59화 . . . . 1회 일치
          * 귀갓길에 칠석 탄자쿠가 장식된 을 발견하는 우마루.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68화 . . . . 1회 일치
          * 전에 출판사에서 편자랑 스승님(코마루)에 대해 이야기하다가 깬다는 반응만 돌아왔던 흑역사가 있는 탓에 키리에는 자중하기로 한다.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73화 . . . . 1회 일치
          * 그런데 실핀은 귀도 밝은지 앞서 가면서도 "단에 섞여 있으면 나에게 이길 수 없다"고 도발한다. 키리에는 자기는 딱히 1등을 노리는게 아니라고 하지만 실핀이 "그럼 나랑 우마루양의 1대1 승부"라고 발언하자 욱해서 우마루양을 재치기 전에 자기를 먼저 재치라고 튀어나간다. 결국 실핀과 키리에의 승부가 돼버린다.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75화 . . . . 1회 일치
          * 한참 게임을 하고 쉬는 우마루. 히카리는 에 가서도 혼자 플레이해도 되겠냐고 하자 우마루가 그러라고 답한다. 자기도 짬짬이하겠다고 하는데, 실제론 식음을 미뤄놓고 게임에만 전념한다. 그저 레벨을 잔뜩 올려서 다음 번에 히카리가 왔을 때 깜짝 놀라게 만들 목적. 하지만 후반이 되자 우마루 조차 고전하는 적들이 나오는데, 그걸 깨면서 히카리를 도와주고 우쭐 댈 생각에 젖는다.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특별편 8화 . . . . 1회 일치
          * 안에선 단정치 못하게 있고 간식만 먹으며 어쩐지 빙빙 돈다.
  • 괴인 통카라통 . . . . 1회 일치
          * 통카라통에게 베인 자는 붕대에 전신이 감겨서 통카라통이 되어버린다. 통카라통을 만나면 반드시 통카라통이 되며 단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 규동 . . . . 1회 일치
         한국 기준으로는 덮밥 종류와 비슷하지만 고기 [[비빔밥]] 처럼 생각하기에는 밥의 양이 좀 많다. 물론 고명의 양을 많이 담는 컨셉의 메뉴를 올리는 도 일부 존재한다.
  • 규성 진씨 . . . . 1회 일치
         춘추시대에 규성 진씨에서 규성 전씨가 분리된다. 진(陳) 나라의 공자 완(完)이 [[제나라]]로 망명하고, 제환공에게 중용되면서 전(田)씨가 시작되었다. 진씨가 전씨로 바뀐 까닭은 몇 가지 설이 있는데 (1) 진완이 전(田) 땅을 [[식읍]]으로 받았다.[* 《사기해》, 응소] (2) 진(陳)과 정(田)이 음이 비슷했기 때문이다. [* 《사기색은》, 사마정] (3) 진완이 본국의 이름을 쓰기를 꺼려했다.[* 《사기정의》, 장수절] 등이 있다.
  • 금형 . . . . 1회 일치
         [[금속]]으로 만들어진 [[거푸]]을 뜻한다. 일본어로는 금형(金型)이라고 쓰는데 읽기는 카나가타(かながた).
  • 기동전사 건담 . . . . 1회 일치
         전반적으로 아폴로 계획으로 태동된 우주개발 붐 문화('아폴로 문화')가 바탕에 깔려 있는 작품[* 아폴로 붐 당시 우주개발에 대한 열기는 경제적인 문제로 본격적인 우주개발이 '과거'의 일이 되어버린 현대와는 크나큰 차이가 있었다.]이다. 또한 당시 인기를 끌었던 SF 영화 '[[스타워즈 시리즈]]'의 영향이 강하다. 소년병들이 다수인 단이 지구와 우주 각지를 떠도는 부분은 '15소년 표류기' 등의 작품에서 영향을 받았다는 분석도 있다.
  • 까마귀 . . . . 1회 일치
         검은 [[비둘기]] 정도로 생각하는 사람이 있는데 [[비둘기]]보다 몸이 크다. 실제로 보면 상당히 위협적.
  • 나뭇잎 마을 . . . . 1회 일치
         사소한 이유로 타인을 괴롭히는 [[단괴롭힘]]이 만연한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 . . . 1회 일치
          공식 설정.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00화 . . . . 1회 일치
          * 공방에서 나오며 투덜거리는 파워로더. 누군가에게 "생각난걸 다 짜기하기 마라"고 한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06화 . . . . 1회 일치
          * 그는 자신들이 모자를 의무적으로 착용하고 있는 것을 예로 들며 "우리의 일거수 일투족은 사걸고교라는 명문을 짊어지는 것"이라고 말한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08화 . . . . 1회 일치
          * 이것이 전화위복이 되어 흩어져 있던 A반 생존자들을 결시켰고, 네빌 레이저를 보고 온 적들에게서 포인트를 따내 웅영고 전원이 합격하게 된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09화 . . . . 1회 일치
          * 눈이 뒤혀서 미도리야를 추궁하는 카미나리와 미네타.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10화 . . . . 1회 일치
          * 가차없이 감점 당할 것 같았는데, HUC는 "우리는 경상자이므로 우선도가 낮다. 그걸 간파하고 스스로 이동하라고 지시한 것"이라고 좋게 생각해준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13화 . . . . 1회 일치
          * 불꽃 소용돌이에 갇혀버린 갱 오르카. 토도로키 쇼토와 요아라시 이나사의 념이 담긴 합체공격은 갱 오르카를 효과적으로 붙들어놓는다. 갱 오르카도 방금 전의 감점사항에도 불구하고 나쁘지 않은 대처라고 만족해한다. 두 사람이 고려했는지는 모르겠지만 갱 오르카는 범고래의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건조에 약하다. 그래서 이런 방식의 공격에는 대처하기 매우 까다로운데. 부하들은 갱 오르카를 구출하기 위해 몰려드나 이것을 예상한 토도로키가 얼음벽을 쳐서 방어한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15화 . . . . 1회 일치
          방금 전 상점가를 털었던 빌런단이 괴멸됐다. 그들이 타고 있던 자동차, 타이어, 도로 따위에 엉망으로 융합된 모습이 되어 있다. 어떤 삼인조의 소행인데 적어도 히어로로 보이진 않는다. 가운데의 리더로 보이는 인물은 "다큰 어른이 모여서 고작 편의점 털기"라며 빈정대며 이정도 모였으면 더 큰 목적을 지향해야 한다고 말한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82화 . . . . 1회 일치
          * [[토가 히미코]]는 미도리야를 요하게 공격한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83화 . . . . 1회 일치
          * [[유우에이 고등학교|웅영]]에선 심각한 사태로 보고 회의를 소한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85화 . . . . 1회 일치
          * 현대사회는 목숨을 지키는 것을 돈이나 자기현시욕으로 변환하는 기형적인 것이며 패배자를 격려하긴 커녕 질책하기만 한다며 모순을 꼬는다. 또 자기들의 싸움은 "질문"이라며 이런 사회가 옳은 것인지 물을 것이며 승리할 거라 단언한다. 시가라키는 "너도 이기는 편이 좋지 않냐"며 바쿠고를 회유한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93화 . . . . 1회 일치
          * [[와일드 와일드 푸시 캣츠]]의 토라는 "우리는 이정도 밖에 못한다"면서 "이겨줘. 당신이 어떤 모습이든 No.1 히어로야"라고 말한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99화 . . . . 1회 일치
          * 본가에서 쓰던 가구인데 "설마 이렇게 좁을 줄 몰랐다"며 부잣 아가씨 티를 낸다.
  • 난치병 모금사기 . . . . 1회 일치
          * 부모가 부유층으로 연수입이 충분한데, 여행 비용 등도 모금으로 충당한다. 등, 자산을 매각하려는 움직임이 없다.
  • 날조트랩 -NTR- . . . . 1회 일치
         1화에서 타케다와의 데이트를 앞둔 유마에게 '장난'을 하고, 데이트를 마치고 온 뒤에는 '키스'를 하면서 둘 만의 '비밀'을 만들게 된다. 유마에게 자주 장난을 걸지만 유마는 일선을 넘지 못하고, 호타루는 질투심에 유마에게서 멀어지려 한다. 3학년 때는 돈을 벌어서 을 나가겠다며 네코미미 메이드카페에서 수상한 아르바이트를 시작한다.
  • 네드 켈리 . . . . 1회 일치
         네드 켈리는 스트링이바크 크리크에서 로니건 순경을 살해한 혐의로 사형 선고를 받았다. 1880년 11월 11일 아침, 멜버른 교도소에서 [[교수형]]이 행되었다. 그의 유언은 "사는게 다 그런거지,"[* Such is life.]로 알려져 있다.
  • 니세코이/213화 . . . . 1회 일치
         * 라쿠는 복잡한 기분으로 치토게네 으로 가보는데 조직원들이 우왕좌왕하며 찾아 다니고 있지만 아는 것이 없다.
  • 니세코이/214화 . . . . 1회 일치
          * 얘기가 안 풀리면 히로인을 외국에 보내는건 일본이나 우리나라나 똑같은거 같다.
  • 니세코이/215화 . . . . 1회 일치
          * 결국 도망쳐서 으로 돌아온 치토게.
  • 니세코이/218화 . . . . 1회 일치
          * 하지만 이치죠가 "돌아가라면 돌아가겠냐"면서 고을 부리자 겨누고 있던 총의 방아쇠를 당기려는데
  • 니세코이/223화 . . . . 1회 일치
          * 으로 돌아가던 마리카는 도망치듯 달리는 코사키를 발견하고 헬기에서 내린다.
  • 니세코이/224화 . . . . 1회 일치
          * 마리카는 그녀의 의중을 꿰뚫어보고 "또 10년 전과 같은 일을 반복할 거냐"고 꼬는다.
  • 다이코쿠바시라 . . . . 1회 일치
         본래 중앙에 있는 특별히 굵은 기둥을 듯했다.
  • 단종 . . . . 1회 일치
         그 이듬해에 [[사육신]]으로 대표되는 현전 출신 학사 관료들과 일부 무인 세력이 세조를 제거하고 단종을 복위하려다 발각되어 제거되었고, 이로 인해 '노산군'으로 강등되어 강원도 영월로 유배당했다. 그 후 유배중이었던 금성대군이 단종 복위 계획을 세우다 발각되어 사사당하였고, 이로 인해 결국 단종은 세조에게 살해당하고 만다. (사약으로 사사되었다는 설과 활줄로 교살당했다는 설 등이 있다.) 단종의 시신은 엄홍도란 사람이 몰래 거두어 매장하였다고 전한다.
  • 대한민국 . . . . 1회 일치
         일단은 반도국가지만 북쪽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국가라고 주장하는 무장단]]이 점거하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섬나라다.
  • 데드 스페이스 . . . . 1회 일치
          무기나 장비를 업그레이드 할 때 소모되는 아이템. 이걸로만 열 수 있는 문도 있다. 상점에서 10,000 크레딧에 살 수도 있지만 10,000 크레딧이 뉘 개새끼 이름인가.
  • 데미안(드라마) . . . . 1회 일치
         머리에 666 자국이 있는 우리의 [[적 그리스도]] [[주인공]]. 직업은 [[종군기자]]. 어린 시절의 일은 --후속 시리즈가 [[흑역사]]가 되서-- [[기억상실]]이 되었다가 1편에서 각성하게 된다.
  • 데일리 야마자키 . . . . 1회 일치
         본래 개인경영 빵이나, 주점이 가맹점으로 전환한 경우가 많다. 점포 운영에 소유자의 자주성을 존중하며, 다른 편의점에 비하여 본부의 간섭이 적다. 이 때문에 서비스의 수준, 상품 전개에 격차가 심해서 "싫어하는 편의점 랭킹"에 올라가는 경우도 있었다.
  • 도서관 . . . . 1회 일치
         고대 이트에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이 있었으니 상당히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시설이다.
  • 동전던지기 . . . . 1회 일치
          * [[DC 코믹스]]의 [[배트맨]]과 관련된 [[빌런]] [[투페이스]]가 착하는 행동이다.
  • 동조압력 . . . . 1회 일치
         어떤 단에서 소수 의견을 가진 사람에 대해서, 다수 의견을 가진 사람들이 주위 사람과 같은 행동을 하라고 암묵적으로 강요하는 행위를 뜻한다.
  • 떨어진 용왕과 멸망해가는 마녀의 나라 . . . . 1회 일치
          * 린네 리리카 하인드라 / 린나 리루카 하인드라 : [[쌍둥이]] 마녀. 오감을 민감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그로 인해 수한 정보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 . . . . 1회 일치
         이것에 착하는 부류도 있는 것 같다.
  • 레드맨 . . . . 1회 일치
          * 레드 폴: 5화에서 처음 등장한 [[기술]]. 적을 어 던진다.
  • 마기/299화 . . . . 1회 일치
          * 티토스는 알리바바 사르쟈가 알라딘을 찾고 있음을 알고 있지만 "알라딘은 이 세계에 있으며 마기나 신드바드의 손도 닿지 않는 곳에서 우리를 지켜보고 있다"는 애매한 답변만 한다.
  • 마기/300화 . . . . 1회 일치
          * 티토스 알렉키우스와 마지막으로 대화했을 때, "우리의 큰 힘을 잘못 쓰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 마기/302화 . . . . 1회 일치
         * 신드바드에게 오해를 풀어달라고 요청하는데, 신드바드는 "나한테 남의 나라 일에 간섭말라고 해놓고 무슨 말이냐"며 거절한다.
  • 마기/303화 . . . . 1회 일치
          * 그것은 '''마치 수건돌리기 게임처럼 승자에게 모든 것이 중되는 구조.'''
  • 마기/304화 . . . . 1회 일치
          * 신드바드는 백영에게 "우리도 전송마법진을 만들 순 없냐"고 묻는데, 원래 기술담당이 아니던 그녀는 불가능한 일이다.
  • 마기/306화 . . . . 1회 일치
          * 반대로 마지막 페이지의 편자 멘트가 "복수를 극복한 아들 백룡에게 끓어오르는 애증"이라고 되어 있는 점, 백룡 백영만큼은 자신이 낳은 친자식이라고 인증한 점 때문에 억누르고 있던 "모성애"가 발현된 것은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 그렇다면 아르바의 마지막 대사(그 분만이 소중하다. 그것 뿐이다)의 의미도 자연스러워진다.
  • 마기/307화 . . . . 1회 일치
          * 그러나 알라딘은 "우리들은 이제 지지 않는다"며 자신만만하다.
  • 마기/313화 . . . . 1회 일치
         [[마기]] 313번째 밤. '''아르바의 념'''
  • 마기/317화 . . . . 1회 일치
          * 신드바드의 독선이 어디서 비롯했고 무엇 때문에 착하는지 보여준 에피소드. 아이러니하게도 그의 독선도 "유대"에서 비롯하고 있다.
  • 마기/318화 . . . . 1회 일치
          * 동맹국들은 트을 잡기 시작한다. 무는 군인인데 이 자리에 와있는 걸 지적하는데 그는 퇴역해서 의원으로 활동 중이다.
  • 마기/321화 . . . . 1회 일치
          * 신드바드는 운명을 뒤고 모든 것을 쟁취하는 거야 말로 자신이라는, 탐욕스런 단 한 사람의 인간이라고 자각한다.
  • 마기/323화 . . . . 1회 일치
          * 신드바드는 고을 부려서 계속 진격하는데, 그럴 수록 그의 몸은 타들어가서 마침내 형체도 알 수 없게 된다.
  • 마기/325화 . . . . 1회 일치
          * 그 옆에선 알리바바와 모르지아나가 결혼식 준비로 바쁘다. 알리바바는 청첩장 쓰는 일로 정신이 없는데 상회 단골들을 빠짐없이 초대하려고 엄청난 수의 청첩장을 필 중. 심지어 일일히 수기로 적고 있다. 모르지아나도 마스루드 앞으로 보낼 청첩장을 작성하는데, 청첩장이라기 보단 도전장에 가까운 디자인. 게다가 여전히 글씨가 지저분하다. 알리바바는 콩깍지가 낀 영향인지 "글씨가 예뻐졌다"고 칭찬하고 백룡도 진담인지 빈말인지 달필이라고 칭찬. 홍옥만 위화감을 느낀다.
  • 마더콘 . . . . 1회 일치
         어머니에 대한 착이 과도하게 강한 것을 나타낸다. 젊은 남자가 언제까지나 어머니의 영향 아래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 마블 퍼즐퀘스트 . . . . 1회 일치
         스타팅 1성 캐릭을 받아 팀을 편성 -> 초보자도 환영하는 길드(얼라이언스)에 가입 -> PvE시나리오 진행 -> 시나리오 보상으로 주는 2성캐릭을 수하여 2성캐릭으로 서서히 팀 교체. 이 과정에서 얻는 히어로 포인트는 모두 창고를 키우는데 사용한다. -> 적당히 2성캐릭 만렙(94렙)을 한두개 만들었으면 슬슬 PvP나 이벤트를 참여한다. 2성캐릭은 꽤 안정적으로 얻을수 있으며 3성캐릭도 간간이 얻을수 있다. -> 인벤이 모자라면 사용하지 않는 1/2성 캐릭은 정리하나, 데드풀 일퀘를 위해 2성 1팀, 1성 1캐릭은 남기도록 하자. 소과금을 한다면 이 시기에 창고를 팍 늘려놓으면 좋다. -> 이벤트에 참여하면서 3성/4성 캐릭을 모은다.
  • 마운팅 . . . . 1회 일치
         본래 원숭이, 개 같은 단 생활을 하는 동물들이 서로들 가운데 누가 우위에 있는지 겨루는 행동을 뜻한다.
  • 마치콘 . . . . 1회 일치
         "콘파(コンパ)"란, 주로 학생이나 젊은이가 벌이는 회식 모임을 뜻한다. 독일어 Kompanie , 영어 company , 프랑스어 compagnie 등에서 유래하는데, 메이지 시대에 학생들이 돈을 모아 술이나 음식을 모아서 사먹으면서 환담을 하며 친목을 도모하는 모임을 "컴퍼니"라고 하였는데, 이것이 이후 세대의 대학에 계승되면서 "콤파"라는 이름으로 부르게 되었다. 마치콘은 여기에 거리를 뜻하는 '마치'를 붙여서 대학이나 학생 중심이 아닌, 지역 중심의 만남의 장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 맥스 페인 . . . . 1회 일치
          Michelle Payne. 맥스 페인의 아내. 지방 검사의 사무실에서 시간제로 일하고 있다. 프롤로그에서 에 쳐들어 온 발키리 중독자들에 의해 사망. 나중에 니콜 혼이 중독자들을 고의적으로 풀어놓았음이 밝혀진다. 지방 검사의 사무실에서 발키리에 대한 자료를 우연히 보게 되었고, 입막음을 위해 살해당한 것.
  • 메시우마 . . . . 1회 일치
         기원은 2채널의 게시판 중 하나인 야구판으로 안티 요미우리 자이언츠 스레드에서 "거인(자이언츠)가 져서 오늘도 밥이 맛있다."는 발언이 나오는 것이 시작으로 한다. 2003년 부터 이 발언을 바탕으로 "거인이 지면 밥이 맛있다."는 제목의 스레드가 세워진 것을 계기로 하여, "메시우마"라는 말이 널리 쓰이게 되었다.
  • 메일빙 . . . . 1회 일치
         일반 [[택배]]와는 달리, 택배 물품을 수취인의 우편함에 그냥 어넣고 신경끄는 서비스(…). 배달 일시 지정이나 수취인에게 제대로 갔는지 확인하는 것을 하지 않는다. 대신 요금이 싸다. 주로 [[책]], [[잡지]], [[상품 카탈로그]] 등 경량 소형 화물을 대상으로 하며, 메일빙으로 보낼 수 있는 물건은 크기나 무게가 제한되어 있다. 쿠로네코 메일빙의 경우 최대 크기 B4, 두께 2센티미터, 무게 1 킬로로 제한되어 있다.
  • 메탈슬러그 시리즈 . . . . 1회 일치
          [[비주얼보이 어드밴스]]용으로 개발된 게임. 카드를 수해 무기 성능을 강화하거나 등장하는 슬러그를 바꿀 수 있는게 특징.
  • 목소리가 뒤집히다 . . . . 1회 일치
         우라가에테루(裏返ってる)란 사물이 뒤혀서 뒷면이 드러난 상태를 뜻한다. '겉면'에는 일반적이고 정상적인 상태, '뒷면(우라,裏)'에는 비정상적인 상태라는 의미가 있어, 목소리에서 뒷면이 드러났다는 것은 곧 평소와는 다른 목소리가 되었다는 것을 뜻하게 된다.
  • 몽고귀신 . . . . 1회 일치
         1984년 9월 무렵 국민학교 어린이들 사이에서 퍼진 귀신. 일부 아이들은 해가 진 뒤에 밖으로 나가지 않았다고 한다.
  • 무선호출기 . . . . 1회 일치
         [[이동통신]] 장비. 약칭 호출기. 단방향 통신 장비로서 호출기 쪽에서 신호를 보내는 것은 할 수 없고, [[전파]]를 받아서 전화번호 숫자나 짧은 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기능만 가지고 있다. 전화번호를 받아오면 [[공중전화]]를 찾은 다음 해당 번호로 전화를 걸어서 연락을 할 수 있는 형식이다.[* 일부지만, 제품에 따라서는 수신만이 아니라 문자 송신 정도는 가능한 모델도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삐삐'라고 불렀다. [[일본]]에서는 포케벨(ポケベル)이라고 불렸다.
  • 무신 . . . . 1회 일치
         문신과 무신의 분리는 세월이 지나가면서 서서히 나타나게 되는데, [[과거 제도]]가 나타나면서 문과(文科)와 무과(武科)가 시험 단계에서 분리되면서 문무의 분리가 가속되었다. 문신과 무신은 등용 과정 부터가 달라졌기 때문에 명확하게 별도로 구분되는 '단'이 된 것이다. 무신은 오직 군사 관직에만 임명되게 되었고, 승진하는 루트도 달라져서 '직업군인'화 되었다. 또한 당나라 이후 중국에서 징병제가 사라지고 모병제가 중심이 되면서 무신의 전문화도 진행되었다.
  • 무언의 귀가 . . . . 1회 일치
         바깥에서 사망한 사람의 [[시신]]이 [[관]]에 넣어져서 에 돌아가게 되는 상황을 뜻한다. 해외에서 사망하여 시신이 [[공항]]으로 운반되는 경우는 '무언의 귀국(無言の帰国)'이라고도 한다.
  • 문맹 . . . . 1회 일치
         [[글]]을 읽을 줄 모르는 사람. 우리말로는 '까막눈'이라고 한다. 특정한 범위의 사회에서 문맹인 사람의 비율을 문맹률이라고 한다.
  • 바키도/108화 . . . . 1회 일치
          * 바키는 오로치가 "에 틀어박히고 싶다"던 말이 거짓말이었다고 말한다.
  • 바키도/110화 . . . . 1회 일치
          * 그리곤 여전히 가이아를 애취급하며 "권총이라면 우리도 쐈었다. 어쩔 테냐 개구쟁이"라고 놀린다.
  • 바키도/115화 . . . . 1회 일치
          * 그러나 념에 찬 눈을 빛내며 "야상의 베스트 컨디션"을 만들고 있다.
  • 바키도/118화 . . . . 1회 일치
          * 피클은 무사시가 떨어뜨린 검을 는다.
  • 바키도/131화 . . . . 1회 일치
          * 투구가 갈라졌다. 무사시의 말대로 양단은 되지 않고 힘에 깨어진 것이다. 무사는 정수리에서 피분수가 솟고 목이 내려앉아 거북이처럼 몸통으로 파고들어갔다. 무사시는 태연하게 칼을 칼으로 돌리면서 "칼등으로 쳤어도 충분했으려나?"하고 중얼거린다. 성주는 크게 당황하면서도 그 솜씨를 훌륭하다고 칭찬한다.
  • 바키도/132화 . . . . 1회 일치
          * 관중석의 여론이 일거에 뒤힌다. 보고도 믿기지 않는 역전극에 모두가 숨을 죽이고 가이아는 모토베의 승리라고 외쳐버린다.
  • 반지닦이 . . . . 1회 일치
         참고로 이 망작 영화 때문에 그린랜턴 : 리버스, 시네스트로 군단의 역습 등, 코믹스 명작 시리즈의 흥행으로 인기가 치솟던 그린랜턴 프랜차일즈의 인기는 찬물을 뒤어 썻으며, 영화 폭망의 악영향으로 잘 만들어서 평가도 좋던 그린랜턴 The Animated Series 마저 1시즌으로 취소 당하는 등 악재를 거듭 겪게 되었다..(…)
  • . . . . 1회 일치
         우리 몸의 혈류나 혈맥이 많이 지나다닌다고 하며, 그 때문에 발의 부위마다 각각 자극하는 다른 신체부위가 있어 마사지하면 그곳이 좋아진다는 말도 있다.
  • 발달장애 . . . . 1회 일치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 중력이 없고, 가만히 있지를 못하고, 충동적으로 행동을 벌인다.
  • 베스타 . . . . 1회 일치
         상위 여사제였던 그녀는 새로 들어온 여사제에게 성화를 돌보도록 맡겼으나, 새 여사제는 그만 불길을 꺼뜨리고 말았다. 사제들은 아이밀리아가 정절을 잃을 행동을 했는지 조사하게 되었는데, 아이밀리아는 제단에 손을 얹고 베스타 여신에게 자신이 30년 동안 성스러운 의무를 다했으니 기적을 일으켜 자신의 정절을 인정해달라고 부탁하였다. 그리고 의복의 일부를 찢어서 식은 재에 어던지자 커다란 불길이 솟아났다.
  • 보루토/4화 . . . . 1회 일치
          * "잘해주고 있다. 슬슬 우리 차례다"라고 말하는데...
  • 보쿠걸/103화 . . . . 1회 일치
         * 로키의 모래시계가 많이 떨어졌는데, 이걸 뒤거나 이대로 시간이 다 지나버리면 어찌될지 결국 알 수 없다.
  • 보쿠걸/99화 . . . . 1회 일치
          * 미즈키는 에서 조카를 돌보는데 "어른이 되면 생길 거다"고 놀림 당한다.
  • 부녀자 . . . . 1회 일치
         「 부녀자(腐女子) 」라는 명칭은 「이런 취미로 흥분하고 있는 우리들은 썩어있다 」고 당사자들이 「부녀자(婦女子)」의 부(婦 아내 부)를 부(腐 썩을 부)를 번경하여 자학적으로 자칭한 것이 시작이다.
  • 부등교 . . . . 1회 일치
         심리적인 이유나, [[단괴롭힘]] 등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
  • 불심자 . . . . 1회 일치
         수상한 사람, 괴한이라는 뜻. 일반적으로 방범 분야에서 쓰인다. [[일본]]의 경우, [[경찰]]과 [[소방서]], [[지자체]] 등에서 이러한 불심자 정보를 수하여 [[E메일]] 등으로 사람들에게 알리고 있는 서비스가 있다.
  • 브로포스/브로 . . . . 1회 일치
          * 보조무기: 속탄(최대 5개 소지 가능)
  • 블랙 클로버/51화 . . . . 1회 일치
         - 야미 스케히로. 삼마안의 중 공격을 받아내며.
  • 블랙 클로버/52화 . . . . 1회 일치
         || 내가 와줄 거라고 믿어줘서 고맙다. 난 마력도 없는 우리 멍청이(검은 폭우의 단원)을 믿었다고. ||
  • 블랙 클로버/53화 . . . . 1회 일치
          * 리히트는 터무니없는 마력의 덩어리를 방출하기 시작하며 기사단장들의 마법 조차 어삼킬 정도로 어마어마한 힘이다
  • 블랙 클로버/57화 . . . . 1회 일치
         * 야미는 일행이 노는 동안에도 착실하게 정보를 수했다.
  • 블랙 클로버/59화 . . . . 1회 일치
          * 그러나 야미는 태연하게 "헤엄칠 필요는 없다"면서 아스타를 소용돌이를 향해 어던져 버린다.
  • 블랙 클로버/60화 . . . . 1회 일치
          * 대신관은 검은 폭우 단원들이 하급 마도사라는걸 알고 "우리 쪽은 전원 중급 마도사 이상"이라며 당해낼 방도가 없을 거라 호언한다.
  • 블랙 클로버/62화 . . . . 1회 일치
          * 보고 있던 야미는 "(키아토의 실력은 대단하지만) 우리 꼬마의 흡수력은 더 뛰어나다"며 흥분한다.
  • 블랙 클로버/67화 . . . . 1회 일치
          * 베토는 이들의 마법을 장난수준이라 격하하며 "유대라면 우리에게도 있다. 너희가 부순 피의 유대와 황금의 꿈이."라는 의미심장한 말을 뱉는다.
  • 블랙 클로버/76화 . . . . 1회 일치
          * 키텐 일대를 어삼킨 커대한 나무.
  • 블랙 클로버/77화 . . . . 1회 일치
          * 그런데 야미는 로터스가 도망치는데도 칼을 어넣지 않는다.
  • 블랙 클로버/81화 . . . . 1회 일치
          * 아스타가 알았다면 "내가 알아서 할 테니 임무를 우선해 달라"고 고을 부릴 거라고 생각해서 몰래 움직이고 있었다.
  • 블랙 클로버/90화 . . . . 1회 일치
          * 마르스를 떨쳐낸 젤은 모든 힘을 쏟아부운 바람창성마법 "참풍황 질풍"으로 라드로스를 중 공격한다. 라드로스는 본래 마력속성이 없는 특이한 타입으로 본인은 그 점 때문에 괴로워했다. 하지만 마력 자체는 대단히 강해서 공격력이 뛰어난 원거리 마법을 익혔다면 가장 성가신 상대라고 생각한다. 젤은 용서를 구하며 라드로스를 끝장냈다고 여기는 찰나, 라드로스가 괴롭게 소리치기 시작한다.
  • 블랙기업 . . . . 1회 일치
         특히 IT업계에서 주로 쓰이는 단어이며, 트렌드가 엄청나게 빠르게 변하고 또 21세기형 노동약 산업이 IT업계이다보니 노동환경에 대한 이슈가 많이 나온다. 애초에 이 단어가 현재의 의미로 쓰이게 된 업계가 IT업계다.
  • 블리치/674화 . . . . 1회 일치
          * 주사를 빙자한 성희롱 특.
  • 블리치/692화 . . . . 1회 일치
          * 우류는 자신은 그들과 함께 있는걸 골랐지만 거기엔 이해도 정답도 오답도 없다며 "우리는 친구니까"라고 답한다.
  • 블리치/694화 . . . . 1회 일치
          * 그러자 유하바하는 "네 고뇌를 나에게 투영하지 마라. 이치고에게 패한것은 너"라고 꼬는다.
  • 산마이오로시 . . . . 1회 일치
         [[생선]]의 [[참수|머리를 자르고]], 중간의 등뼈를 따라서 칼날을 어넣어, 양쪽 몸을 갈라서 중간의 뼈와 양쪽 몸이 '3장(三枚)'이 되도록 나누는 방법. 가장 기본적인 손질 방법이라고 여겨진다.
  • 세속주의 . . . . 1회 일치
         세속주의는 [[무신론]]과 혼동된다. 하지만 엄밀히 말해서, 무신론과는 달리 세속주의는 개인적인 생각 보다는 정치와 사회 구조에 중된 주장이다. 개인적으로 종교를 믿어도 상관없지만, 국가적으로 특정 종교를 지원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 세종 . . . . 1회 일치
         지금 우리가 쓰고 있는 [[한글]]을 창제한 왕이기도 하며,북방의 여진족을 경계해 이징옥과 김종서를 보내 정벌하기도 했다. 음악(예악), 과학 기술 분야에도 힘을 쏟은 등 다방면에 걸쳐 주요 업적을 주도하여 조선 왕조를 기반에 올려놓았다. 본인도 독서와 공부를 좋아하는 성격이라 신하들도 그 학문적 깊이에 밀려 쩔쩔맬 때가 많았다.
  • 센터 시험 . . . . 1회 일치
         [[일본]]의 대학입시시험. 우리나라의 [[수학능력시험]]과 비슷한 위치에 있다. 독립행정법인 대학입시센터의 주관으로 실시한다.
  • 소말리 족 . . . . 1회 일치
         하지만 이후 (프랑스 령이었던) [[지부티]], 에티오피아 동부, 케냐 북서의 소말리 인 거주 지역까지 모두 결시켜 궁극의 소말리 인 통일국가를 건설하려는 움직임을 보였고, 이에 주변국들이 반발하게 된다.
  • 소학 . . . . 1회 일치
         소학은 [[고려]]말에 [[우리나라]]에 전래되었으며, [[조선]] 시대에 매우 중요시되었다. [[천자문]]과 함께 [[서당]]에서 배우는 기초적인 교재로 쓰였다.
  • 쇼쿠오야 . . . . 1회 일치
         청소년, 장애인에 대해서 직업을 지도하면서 동시에 보증인으로서 후견인이 되어주는 사람. 청소년이 취직할 때, 가족이 없거나 보호자에게 생활능력이 없는 경우 대신 보증인 역할을 담당했다. 지적장애자의 경우, 장애인복지법에 근거하여 장애인을 자신의 에 데리고, 생활이나 직업을 지도해준다.
  • 숙년이혼 . . . . 1회 일치
          * 왜일까 우리나라에는 '황혼이혼'이라는 말이 더 널리 퍼져서 일반화 되었다. '숙년'이라는 표현이 없어서 이 말을 소개한 대중지 등이 '황혼이혼'을 사용한 것과, 드라마의 영향으로 널리 퍼진 것과는 달리 일본 드라마에서 영향을 받지 않은 것이 이유인 듯 하다.
  • 슈퍼걸(드라마)/1시즌 4화 . . . . 1회 일치
         DEO에 회수된 카라를 행크는 노란 태양빛을 압축시켜서 쬐어주는 침대에 어넣어서 회복시킨다. 그런데 카라가 깨어나기 전에 행크의 눈이 붉게 빛나느걸 목격한다.
  • 슈퍼걸(드라마)/1시즌 6화 . . . . 1회 일치
         루시의 아버지 레인 장군이 DEO에 찾아와서, 슈퍼걸에게 미군에서 개발한 신형 병기와 싸울 것을 요청한다. 루시는 슈퍼걸에게 강제행서를 내밀기도 한다. 모로 박사가 자신이 개발한 로봇을 공개하는데, 그것은 레드 토네이도였다.
  • 스네이크 . . . . 1회 일치
         주로 인터넷 게시판(2ch 등)에서, 주목을 받는 사건이 일어났을 때, 사건의 현장이나 사건을 일으킨 사람이 살고 있는 , 근무하는 직장 등의 주변을 탐색하는 행동을 뜻한다.
  • 시그니처 웨폰 . . . . 1회 일치
         창작물에서 어떤 캐릭터나 단을 상징하는 위치의 무기.
  • 시노자키 아이 . . . . 1회 일치
         ## 1
  • 시치고산 . . . . 1회 일치
         [[에도 시대]]에는 사무라이 안에서 아들이나 딸의 3,5,7세 생일 때 약간의 행사를 하는 정도였던 것으로 보이며, 지금처럼 화려하게 축하하게 된 것은 [[다이쇼 시대]]에 [[간토 지방]]에서 나타났다고 한다. [[간사이 지방]]에서도 시치고산을 하게 된 것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의 고도성장기 때부터 라고 한다.
  • 식극의 소마 . . . . 1회 일치
         정식 아들인 중학생 [[유키히라 소마]]는 요리인인 아버지를 목표로 수련의 나날을 보내고 있었다.
  • 식극의 소마/164화 . . . . 1회 일치
          * 소마의 "이상한 소재 어넣기" 병이 또 도졌다.--뭐 그래도 이기겠지--
  • 식극의 소마/177화 . . . . 1회 일치
          * 하지만 학생들은 사전에 에리나의 쪽게 과외로 감자의 특성을 잘 인지하고 있었다.
  • 식극의 소마/178화 . . . . 1회 일치
          * 둘이서 괜찮은 맛을 찾았는데 메뉴가 너무 많아서 둘만 가지고는 소화가 안 되는 상황이 돼버렸다.
  • 식극의 소마/179화 . . . . 1회 일치
          * 타쿠미도 비슷하게 눈이 쾡해서 나온다. 세수를 하며 "우리가 십걸 전원을 때려잡는 기분으로 가보자"는 대화를 나누는 두 사람.
  • 식극의 소마/181화 . . . . 1회 일치
          * 소마는 쿠가에게 어떻게 사천요리를 시작하게 되었냐고 묻는데, 쿠가는 원래 부잣 도련님이라 해외를 다니다가 접하게 되었고 이후 사천지방을 자주 들러 연구했다고 말한다.
  • 식극의 소마/182화 . . . . 1회 일치
          * 모처럼 십걸과 아자미가 결. 아무래도 십걸에 공석이 생긴 것과 관련된 듯 하다.
  • 식극의 소마/183화 . . . . 1회 일치
          * 곰고기는 특히 요즘이맛 있는 시기. 겨울잠을 대비해 한참 몸을 불려 기름이 오르는 시기다.
  • 식극의 소마/186화 . . . . 1회 일치
          * 증류주 "진"에 들어가는 핵심적인 재료이며 고대 이트에서도 중요하게 여겨졌던 향신료이다.
  • 식극의 소마/191화 . . . . 1회 일치
          * 동료들과 기쁨을 나누는 소마와는 달리 허탈하게 앉아 있는 하야마에게 시오미가 "또 이 없어졌다"고 농담한다. 그러자 소마가 둘 다 쿄쿠세이 기숙사로 오는게 어떻냐고 제안한다. 도지마도 센트럴이 견제할지 모르지만 쿄쿠세이 안에서라면 어떻게든 될 거라고 힘을 준다. 하야마는 한 번 배신했던 처지라고 말하지만 소마는 그런건 센트럴과 연을 끊고 학생으로 돌아가면 그만이라고 말한다.
  • 식극의 소마/195화 . . . . 1회 일치
          * 우리세대 최강의 요리사는 [[사이바 죠이치로]]였다, [[도지마 긴]]의 폭탄발언에 [[타쿠미 알디니]]와 [[타도코로 메구미]]가 갈피를 잡지 못한다. 분명 그들이 아는 당시의 십걸 1석은 도지마였고 죠이치로는 2석. 도지마는 십걸 서열은 요리실력도 보지만 학업과 공헌도 등을 두루두루 평가해 결정된다며 요리실력이야 죠이치로가 최강이었지만 정작 하는 행동거지가 막장이고 지금의 [[유키히라 소마]]를 좀 더 사악하게 업그레이드한 듯한 기행가였다. 소마의 기행을 익히 아는 두 사람은 "역시 부자는 닮는다"고 쓴웃음을 짓는데 도지마는 그 말을 듣고 "닮았다... 이건가..."라며 중얼거린다.
  • 싱가포르 고릴라 유령 . . . . 1회 일치
         [[고릴라]] 유령은 싱가포르 교외에 있는 한 촌락에 출현하였으며, 주민들을 공포에 떨게 했다고 한다. 주민 다섯명이 고릴라를 목격했으며, 1964년 3월 30일에는 고릴라가 어떤 운전기사의 에 들어가서 잠자고 있던 운전기사의 부인을 간지럽혀서 깨운 일이 있다고 한다.
  • 아돌프 히틀러 . . . . 1회 일치
         1923년, 히틀러는 [[뮌헨]]에서 정권 장악을 위해 [[맥주 홀 폭동]]을 일으킨다. 하지만 그 시도는 실패하였고, 그 결과 히틀러는 감옥에 수감되는 신세가 된다. 감옥에 있는 동안에는 자서전(?)인 [[나의 투쟁]]을 필했다.
  • 아저씨 사냥 . . . . 1회 일치
         복수의 불량 청년, 청소년 단이 중년 남성을 공격, 금품을 강탈하는 행위를 뜻한다. [[노상강도]]의 일종이다.
  • 암살교실/번외편 4화 . . . . 1회 일치
          * 그러면서 호타루씨의 머리를 헤기 시작하는데...
  • 애처 도시락 . . . . 1회 일치
         [[일본어]]. 사랑하는 아내(愛妻)가 만들어준 도시락(弁当). 묘하게 애정의 상징/기혼남의 스테이터스 같은 것으로 여겨진다.
  • 얀데레 . . . . 1회 일치
         이성에게 반해서 [[스토커]]처럼 착하고 위험한 행위를 일삼는 행동을 뜻하는 모에 속성.
  • 양시칠리아 왕국 . . . . 1회 일치
         양 시칠리아 왕국은 나폴레옹 시대의 [[헌법]]을 폐기하고, 나폴리에 있는 중앙정부의 중앙권적 통치하에 놓였다. 시칠리아에서는 자치를 요구하는 분리 운동이 시작되었다. 역대 왕들은 보수적인 경향이 강하여, 민족주의나 개혁사상을 배척하고 오래된 사회, 정치 구조를 유지하려는 통치를 유지했다.
  • 어쌔신 크리드 III . . . . 1회 일치
          * 특수장비(PC 기준 보통 설정 "Q") - 특수장비로 카운터. 어 던진후 뒤통수를 총으로 쏴버리거나 한다. 카운터가 안 먹히는 적들도 죽일 수 있지만 사용한 특수장비는 사라진다.
  • 어쌔신 크리드 III/아이템/대번포트 농지 . . . . 1회 일치
          * 이중 권총(Twin Holster)
  • 에이스 컴뱃 제로 : 더 벨칸 워 . . . . 1회 일치
         벨카 공국은 경제적 파산으로 인해 우스티오 공국 같은 몇몇 국가를 독립시켰다. 그럼에도 벨카의 경제 상황은 나아지지 않았다. 결국 극우파가 권한 벨카는 우스티오에서 발견된 천연자원을 자국의 소유라고 주장하며 우스티오를 침공했다. 이것이 "벨카 전쟁"의 시작이었다.
  • 여자력 . . . . 1회 일치
         이런 것은 여캐가 주인공을 가볍게 어던지거나, 대전 액션 게임에서 여성 캐릭터가 상대(주로 남자)를 마구 쓰러뜨리거나, 육탄전이나 심리전에서 여캐의 용의주도함이 나타나는 장면에 다는 코멘트이다.
  • 영국 요리 . . . . 1회 일치
         제국주의 시대, 대영제국의 식민지는 [[인도]], [[홍콩]] 등으로 퍼져나갔다. 이를 통하여 중국 요리와 인도 요리의 비법이 영국으로 전파되었다. 영국인들은 요리에서는 전 세계 어떤 문화라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습성이 있어, 요하게 인도 요리와 중국 요리의 장점을 영국 요리에 받아들여 영국 요리를 더욱 풍성하게 발전시켰다. 현재 [[만한전석]]은 영국에만 남아 있다.
  • 영생 . . . . 1회 일치
         다소 사이비 스러운 [[간증]]에서는 천국에서 멋진 [[스포츠카]]를 타고 [[크고 아름다운]] 에서 살면서 맛있는 음식을 먹는 등 상당히 세속적인 욕망을 그대로 드러내는 묘사가 흔히 있는 반면, 엄격한 종파에서는 극도로 경건하고 종교적인 모습의 이상향을 강조하는 경우도 있다.
  • 오봉 . . . . 1회 일치
         「무카에비(迎え火)」: 선조의 영혼이 길을 잃지 않도록 13일 저녁 앞에서 불을 지피는 것이다.
  • 오싱 . . . . 1회 일치
         작중에서 오싱의 인생이 참으로 파란만장한데, 가난한 농가에서 태어나서 어린 나이에 일꾼으로 쌀도매상에 팔려가거나, 어른이 되어 상경한 다음 미용사가 되었다가 옷장사를 하는 남편과 만나고 상업재능을 그럭저럭 잘 살게 되었다가 관동대지진으로 쑥밭이 되서 망하거나, 그 때문에 시골로 내려나 시살이를 하는데 학대 당한 탓에 자기 아이는 사산되고 시누이가 낳은 아이의 젖을 물리게 되거나, 2차대전으로 남편과 장남을 잃고 생선 장사를 시작하여 자기 가게를 일으켜 세우지만 성장한 아이들은 이제 시대가 바뀌었다면서 반발하거나 등등.
  • 오칸 아트 . . . . 1회 일치
         안에 장식하여 기괴한 분위기를 돋구거나, 아이들에게 강제로 사용하게 하여 수치심을 주는(!?)데 사용한다.
  • 오타쿠 혐오 . . . . 1회 일치
          * 철도적 물건 : 철도적 물건, 즉 철도 매니아(소위 [[철덕]])은 철도적 물건에 대한 관심은, 그 자체로 일단 일반인들에게는 도저히 이해가 안 가는 것이며, 이들은 때때로 철도에 과도하게 착하여 정상적인 철도 운행을 방해하는 등 심각한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가 있다.
  • 옥중결혼 . . . . 1회 일치
          * 북한의 단농장
  • 올마이트 . . . . 1회 일치
         이렇듯 완벽한 히어로 그 자체이나 사실 타인에게 털어놓지 못할 사정이 있었는데 사실 그는 몸 상태가 정상이 아니었다. 과거 강적과의 싸움에서 극심한 부상을 입은 나머지 거구의 근육질 체격은 몇시간만 유지할 수 있고, 대부분은 삐쩍 마른 몸이 되는 것. 은퇴해야 하는 상황임에도 빌런에 대한 억제력이 되는 입장이기에 미루고 있다. 그의 특유의 표정도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기 위함도 있지만 마음 속에서 들끓는 중압감과 공포심에서 달아나기 위함이다. 이러한 판에 미도리야 이즈쿠라는 소년과 만나게 되고, 그를 후계자 삼아 자기가 가진 힘인 [[원 포 올]]을 물려주게 된다. 동시에 그의 스승이 되어 그를 단련시키게 된다.
  • 옴 진리교 . . . . 1회 일치
         [[아사하라 쇼코]](본명 마츠모토 치즈오)를 [[교조]]로 하는 [[컬트 종교]] 단. [[불교]]와 [[요가]]에 바탕을 둔 신흥 종교 단체로서 1984년에 활동을 시작하였다. 청년들을 중심으로 하여 다수의 신도를 모았으며, 점차 급진, 과격한 교리에 몰두하게 되어 다양한 범죄 활동을 일으켰다. 1995년 아사하라 쇼코의 지시로 일으킨 [[지하철 사린 사건]]을 계기로 하여 교주 아사하라가 체포되었으며, 2000년에 [[파산]] 선고를 받았다.
  • 요괴:니코니코니 . . . . 1회 일치
         일설에는 아이돌을 꿈꾸던 여고생의 원령이 변화하여 요괴가 되었다고 한다. 그녀가 살던 맨션은 오랫동안 요괴의 저주를 받아 빈으로 남겨져 있다가 현재 철거되었다고도. 진상은 불명.
  • 요괴:리모콘 숨기기 . . . . 1회 일치
         현대 요괴의 일종. 에서 거주한다.
  • 요괴:트위터 . . . . 1회 일치
         트위터라는 이 요조는 사람의 말을 듣고, 이를 흉내내어 여러 곳에 퍼트린다. 이 새는 남의 말을 몰래 듣고 다른 사람에게 퍼트리는데, 그 말이 평범한 것이면 상관없으나, 문제가 있는 말이면 큰 낭패를 겪게 된다. 트위터가 곁에 있는걸 깜빡하거나 모르고 혼잣말로 실언을 하여, 크나큰 낭패를 겪은 사람이 적지 않다. 그리하여 많은 이들이 트위터를 불행을 퍼트리는 흉조라고 부르며 두려워 한다.
  • 요괴:파워블로거지 . . . . 1회 일치
         일설에 따르면, 조선시대에 잔치에 뒤늦게 도착하여 미처 밥을 얻어먹지 못하고 굶어서 거지들의 영혼이 요괴가 되어 나타나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 욕창 . . . . 1회 일치
         피부의 혈류가 줄어들거나 멈추면, 피부가 가장 바깥쪽 표피부터 죽어가게 된다. 죽은 피부 조직이 터져서 상처가 생겨 [[궤양]]이 발생한다. 가려움과 통증을 동반하지만 신경이 둔해졌거나 마비된 사람은 느끼지 못할 수도 있다. 처음에는 붉게 염증이 생기다가, 피부가 손실되어 표피가 떨어지거나 물이 잡힌다. 다음 단계에서는 피부 전층이 손상되어 [[피하지방]]에 도달하고, 최종저으로 그 아래에 있는 [[근육]], [[힘줄]], [[뼈]]까지 노출된다.
  • 우라 게시판 . . . . 1회 일치
         일본 인터넷에서 학교 등 특정 단체에 공식적으로 관리되지 않는 사이트로서, 그에 관한 주제를 다루는 게시판. 익명 게시판 형식을 취하는 경우가 많다. 일본에서는 주로 학교 같은 것에서 만들어지고 학생들에게 관리가 된다. 때때로 개인정보 유출, 온라인을 통한 단괴롭힘 같은 문제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 우라가에시 . . . . 1회 일치
          * 물건을 뒤거나 그런 상태. 셔츠나 양말 같은 것에 사용한다.
  • 원피스/822화 . . . . 1회 일치
         * 네코마무시의 이 무너졌기 때문에 그 안에 있던 페콤즈는 잔해에 깔려버렸다. 하지만 "거북거북 열매" 능력자인 탓에 죽지 않고 살아있다.
  • 원피스/823화 . . . . 1회 일치
         국제적인 정세가 급변하는 가운데 "세계회의"가 소된다.
  • 원피스/824화 . . . . 1회 일치
          * 카이도는 루피, 로우를 언급하며 '''"그놈들에게 우리들이 하던건 해적놀이에 불과했다"'''고 알려주라며 누군가에게 말을 거는데
  • 원피스/829화 . . . . 1회 일치
         홀 케이크 아일랜드로 접근하는 밀모자 일행.
  • 원피스/833화 . . . . 1회 일치
          * 상디는 다과회만 마치고 결혼 따윈 연기하고 밀모자 해적단에 돌아가려 하지만, 저지는 억지로 결혼을 시키려 한다.
  • 원피스/841화 . . . . 1회 일치
          * 감옥에 있던 상디는 방이 통채로 뒤혀서 창살에 부딪힌다.
  • 월드 인 컨플릭트 . . . . 1회 일치
         이로부터 몇개월 후, 상선으로 위장한 소련군 수송선단이 워싱턴 주 시애틀에 소련군을 상륙시킨다. 유럽전선에 전력을 중하고 있던 미국은 주방위군을 동원해 소련의 침공을 막아내야 하는 상황에 처한다.
  • 위키규정 . . . . 1회 일치
          * 반달리즘 행위에 대해서는 IP차단을 하며, 식별이 된다면 NTX 아이디에도 제제 조치가 가해니다.
  • 유니콘남 . . . . 1회 일치
         || 언듯 보기에는 안도 좋지만 성격이 뒤틀린 쓰레기, 갭이 있다. ||
  • 유태공 . . . . 1회 일치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유방은 황제가 되고 나서도 5일에 한 번은 태공을 방문하였다. 이야기를 주고 받는 모습은 서민과 같았기 때문에, 유태공의 가령(家令, 사)이 아무리 부모 자식이라고 해도 유방은 황제, 태공은 신하이니 이런 태도로는 황제의 위엄이 손상된다고 의견을 냈다.
  • 육미당기 . . . . 1회 일치
         유구국왕(琉球國王) 백문현(白文賢)이 중국으로 가다가 소선을 구출하여 당나라로 데려가고, 인품이 뛰어난 걸 보고 자신의 딸 백소저와 혼인을 서약한다. 하지만 백문현은 간신의 참소를 받아 귀양을 가게 된다. 소선은 을 나와서 방황하다가 [[퉁소]]를 잘 불어서 임금의 총애를 받고, 옥성공주와 가까이 지내게 된다. 그 때 소선이 신라에서 기르던 [[기러기]]가 모후의 편지를 전해와서, 소선은 기뻐서 눈을 뜨게 된다. 신분이 밝혀진 소선은 [[한림학사]]가 되고 옥성공주와 결혼하여 부마가 된다.
  • 은혼/581화 . . . . 1회 일치
         * 코우카는 가족 곁에 있고 싶다고 말하지만 "가족이 아니어도 좋으니 살아 있어 달라"며 고을 꺾지 않는다
  • 은혼/582화 . . . . 1회 일치
         * 우츠로의 칼이 우미보즈를 깊게 찌른다. 우츠로조차 그의 생각을 이해 못하는데, 그는 "매달리는건 그만뒀다. 불사신의 영혼을 육체에서 끄어내는 것이니 이쪽도 맨몸으로 치고 받을 각오를 했다."며 우츠로의 심장을 찔러 움켜쥔다.
  • 은혼/583화 . . . . 1회 일치
         * 하지만 지나치게 패륜적이고 승부에만 착하는 모습 때문에 안티가 대거 양성. 팬들도 "어중간하게 사연이 있는건 싫다"는 의견이 늘어나고 있다.
  • 은혼/585화 . . . . 1회 일치
          * "멋대로 남의 안에 들어온 녀석들"이 다시 한 번 "이름"을 부여해주었다.
  • 은혼/591화 . . . . 1회 일치
          * "설사 그것이 스승의 시체를 뒤어쓴 다른 자라 해도 다시는 그 사람을 배신하지 않겠다는 맹세"라고 말한다.
  • 은혼/592화 . . . . 1회 일치
          * 그러면서 가구라가 들고온 사직서는 어넣라 한다.
  • 은혼/595화 . . . . 1회 일치
          * 우미보즈는 이제 멸망할지도 모르는 지구에 돌아가려는 가구라를 말리고 싶지만 "다른 별에 시 보낸 딸에게 이래라 저래라 하는 아비가 되고 싶지도 않다"며 말을 아낀다.
  • 은혼/605화 . . . . 1회 일치
          * "멋대로 끝내지 말란 말이야. 앞을 봐라. 검을 들어. 싸우자 해결사. 우리 진선조와 함께."
  • 은혼/607화 . . . . 1회 일치
          * "우리들이 사랑하는 에도는 여기에 있습니다."
  • 은혼/609화 . . . . 1회 일치
          * 전에도의 전력이 중되고 네오암스트롱사이클론제트암스트롱 겐가이포가 발사된다.
  • 은혼/611화 . . . . 1회 일치
          * 우주의 해방군 본대는 지구측과 통신조차 두절되고 패닉 상태에 빠진다. 대기 중이선 함대까지 이상이 오고 최종적으론 더이상 병력을 충원하는건 위험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원상 황자는 예상하지 못했던 전개에 초조한 기색을 감추지 못한다. 그런 원상에게 사카모토 다츠마는 "장군님에게 불꽃놀이를 보여줄 생각이었겠지만 습기가 차버렸군"이라고 빈정거린다. 다츠마는 서있기도 지친다며 그냥 감옥으로 돌아가겠다고 말한다. 원상은 돌아가려는 그들을 불러세우지만 도쿠가와 사다사다는 "보지 않아도 안다. 우리들은 지지 않는다."고 말하고 감옥으로 돌아간다.
  • 은혼/613화 . . . . 1회 일치
          >단, 물러서라. 그 남자를, 우리들을 누구라고 생각하는 거냐.
  • 의심암귀 . . . . 1회 일치
         『열자 설부(列子・説符)』에서 어떤 남자가 [[도끼]]를 잃어버렸는데, 그는 이웃의 아들을 의심하였다. 그러자 그 아들이 하는 행동이 모두 수상하게 보였다. 그런데 어느날 계곡에서 자신의 도끼를 찾자, 수상하게 보이던 것이 모두 평범하게 느껴지게 되었다. 이를 주석하여 "의심, 암귀를 낳는다"고 하였는데 여기에서 "의심암귀"라는 사자성어 같은 표현이 나오게 되었다.
  • 이차강간 . . . . 1회 일치
          * 지역, 단 내의 여론. 가해자를 옹호하고 피해자에게 책임을 묻는 여론을 조성하여 압박한다.
  • 인조 . . . . 1회 일치
         인조는 [[조선]]의 16대 왕이다. [[인조반정]]을 통해 권했으며, 명과 후금사이에서 중립외교를 표방한 [[광해군]]을 비판하면서 존명배금(명을 따르고 후금을 배척한다)를 내걸었다. 그러나 현실은 명이 후금보다 여러모로 딸리는 상황이었기에 애매한 외교정책을 실시할 수 밖에 없었으며, 결과적으로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이 일어나게 된다.
  • 일곱개의 대죄/176화 . . . . 1회 일치
          * 에스타롯사는 그 말을 듣고 멜리오다스의 목을 조르며 "이번에는 언제 배신할 거냐? 우리들 십계를 배신했을 때처럼."이라고 빈정거린다.
  • 일곱개의 대죄/179화 . . . . 1회 일치
          * 술 "돼지의 모자"를 엘리자베스가 꾸려나가고 있던 것이다.
  • 일곱개의 대죄/182화 . . . . 1회 일치
          * 이번엔 술으로 장면이 바뀐다.
  • 일곱개의 대죄/185화 . . . . 1회 일치
          * 에스카노르는 자기 자신의 어마어마한 힘을 그대로 뒤어 쓴다.
  • 일곱개의 대죄/188화 . . . . 1회 일치
          * 함께 거울을 들여다 보던 몬스피드는 안에서 찾았다며 드레스를 입어보라고 권한다.
  • 일곱개의 대죄/192화 . . . . 1회 일치
          * 살짝 짜증이 났는지 핸드릭슨을 꼬어서 현실이라고 가르쳐 주며 지금은 드레퓌스를 구하는게 먼저라고 질타한다.
  • 일곱개의 대죄/195화 . . . . 1회 일치
          * 멜리오다스는 마신화하여 프라우드린의 몸을 벌처럼 꿰뚫는다.
  • 일곱개의 대죄/197화 . . . . 1회 일치
          * 한편 왕궁에서는 국왕 바토라가 성기사들을 소한 상태. 바토라는 일곱개의 대죄의 활약으로 십계의 위협은 벗어났지만 아직도 안심할 수 없는 상태라고 강조한다. 그러면서 성기사들을 통솔할 성기사장 자리를 비워둘 수 없어 새로히 임명한다고 선언한다.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 . 1회 일치
         == 대죄 결 ==
  • 자시키로우 . . . . 1회 일치
         [[메이지 시대]] 부터는 화족(華族, 귀족)이나 대상인 등 자산을 가진 안에서, 가족 내에 소행이 불량한 자, 정신 상태에 이상이 있는 자를 감금하기 위하여 이러한 시설을 만들었다.
  • 장남교 . . . . 1회 일치
         일반적으로, 무엇이든 "장남이니까 ~해야 한다.", "장남의 아내니까 ~해야 한다."고 부모나 친척, 주변에서 자식 측에게 강요하는 것을 '장남교'라고 부른다.
  • 전동휠 . . . . 1회 일치
          * 갓웨이: 락휠의 엔지니어가 나와서 새로 만들었다는 회사. [[https://www.youtube.com/watch?v=iWWNdmB03UU|산중턱에서 냅다 어던지는 테스트]]를 하고도 굴러가는 등 내구성은 괜찮은 듯. 차기작으로 [[https://www.youtube.com/watch?v=QRUatyguFrY|5인치 휠]]을 연구중인데 엄청 작다. 거의 핸드백에도 들어갈 수준.
  • 절대가련 칠드런/436화 . . . . 1회 일치
          * 후지코는 자신이 깨어난 이유를 말하기 시작하는데 이 8호가 예지한 미래가 뒤혔다고 보는 견해를 "허술하다"고 보고 "하나를 처리하면 또다른 멍청이가 나오는 일에 질렸다"면서 갑자기 미나모토 코이치와 사카키를 더 칠드런 임무에서 배제한다
  • 절대가련 칠드런/437화 . . . . 1회 일치
          * 시호와 유리는 사카키 슈지의 에서 "츠보미 후지코가 블랙 팬텀에게 오염됐을 수도 있다"는 의견을 주고받는다.
  • 절대가련 칠드런/439화 . . . . 1회 일치
          * 산꼭대기에 낡아빠진 시설물이 있는데, 사카키는 "관리관은 우리가 여기서 뭔가 하길 바라는 건가?"라고 의문스러워한다.
  • 절대가련 칠드런/446화 . . . . 1회 일치
          * 해적특인지 원피스 패러디가 많다.
  • 절대가련 칠드런/450화 . . . . 1회 일치
          * 효부는 이 아이들도 자신과 같다며 자신들에겐 도 나라도 없다고 한다.
  • 절대가련 칠드런/451화 . . . . 1회 일치
          * 마기는 "네가 약해지면 우리가 돌봐주겠다"고 하는데, 효부는 그 머리를 쓰다듬으며 "망령을 너무 뒤쫓지 마라"고 말한다.
  • 절대가련 칠드런/452화 . . . . 1회 일치
          * 그 말을 듣고 마기는 "당신의 가족은 우리냐 그놈들이냐"고 따진다.
  • 절대가련 칠드런/454화 . . . . 1회 일치
          * 그 말은 효부의 초능력부대 연루자 연쇄살해를 꼬집은 거지만, 효부는 거기에 어떤 책임도 느끼지 못한다.
  • 접대 . . . . 1회 일치
         본래는 [[손님]]을 맞아서 대응한다는 뜻이다. 과거에는 [[]]에서 손님을 맡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가정 간의 일에 가까운 용어였으나, 현대에는 주로 회사나 관공서 관계에서 [[을]] 측에서 [[갑]]에 해당하는 [[높으신 분들]]에게 각종 향응을 제공한다는 뜻으로 변질되어 쓰이고 있다.
  • 젖은 낙엽 . . . . 1회 일치
         일본에서 정년 퇴직 후의 남편을 젖은 낙엽이라고 부르는데, 일에만 몰두하던 남편이 정년 퇴직 후에는 에서 방해물 밖에 되지 않는 존재가 된 것을 표현한 말이다. 젖은 낙엽 이외에 '대형 쓰레기' 같은 표현도 있었으나, 쓰레기에 비하면 다소 나은 표현이므로 선호되었다. 왜 젖은 낙엽이냐 하면, 아내가 나가려고 하면 "나도 따라간다."면서 따라오고 아무리 떼어내려 해도 좀처럼 떨어지지 않아, 그것이 젖은 낙엽과 비슷하기 때문에 부르게 되었다고 하는 것이다.
  • 조선활자본 삼국지통속연의 . . . . 1회 일치
         조선방각본 삼국지연의는 박재연(朴在淵) 교수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전권을 수하여 전권을 영인 출판한 것으로, 2008년에 출판되었다. 조선방각본 삼국지통속연의는 중국사회과학원(中國社會科學院)에 원각본(原刻本)의 일부분이 소장되어 있는 주왈교본 갑본(周曰校本甲本)과 대조를 거쳐, 주왈교본 갑본과 동일한 판본이라는 것이 확인되었고, 조선방각본 삼국지통속연의를 통해서 주왈교본의 완전한 모습을 알 수 있게 되었다.
  • 존 루터 존스 . . . . 1회 일치
         [https://books.google.co.kr/books?id=c1gEBAAAQBAJ&pg=PT153&lpg=PT153&dq=%EC%BC%80%EC%9D%B4%EC%8B%9C+%EC%A1%B4%EC%8A%A4&source=bl&ots=RSHPJ4ddlJ&sig=n7_UYdsGihFwws3GpB_68nwPIkQ&hl=ko&sa=X&ved=0ahUKEwjL8cWok-PMAhULp48KHc9mD5cQ6AEIOTAH#v=onepage&q=%EC%BC%80%EC%9D%B4%EC%8B%9C%20%EC%A1%B4%EC%8A%A4&f=false|세계 민담 전 11]
  • 주아브 . . . . 1회 일치
         추가 자료 수 필요.
  • 지뢰녀 . . . . 1회 일치
         [[일본]]의 속어. [[지뢰]] 같은 여자를 뜻하는 말이다. 겉으로 보기에는 멀쩡했거나 별다른 문제를 느끼지 못했지만, 깊이 사귀게 되자 괴상한 성격이나 착을 드러내며 상대방에게 피해를 입히는 경우이다. [[스토커]] 같은 사례가 포함된다.
  • 진찰권 . . . . 1회 일치
         [[병원]]에서 진찰을 받을 때 필요한 표. 플라스틱 카드 같은 것으로 만들어지며, [[병원]]에서 발행하여 [[환자]]들에게 지급한다. 카드에는 환자의 이름과 주소, 연령 등이 기입되어 있다. 병원용 회원증 같은 것.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진료카드]]라고 부른다.
  • 진학교 . . . . 1회 일치
         학교란 학교는 모두 진학을 목표로 하는 우리나라로서는 존재 자체를 이해하기 어려운 말인듯. 굳이 말하자면 명문학교라고 할 수 있겠지만.
  • 집단연구 . . . . 1회 일치
         그러나 해당 단어가 함장이 만든 단어라고만 하기는 조금 애매한 것이, 위키위키의 근본 취지 중 하나가 '단지성'이기 때문이다.
  • 착각 영국인 기사도 사건 . . . . 1회 일치
         피고인은 1심에서는 오상(誤想) 방위[* [[정당방위]]가 아닌데 정당방위로 착각한 상황]으로 [[무죄]]를 선고받았으나, 2심에서는 오상과잉방위[* 정당방위상황이 아닌데 정당방위로 착각하여 과잉방위]로 [[행유예]]를 선고받았다.
  • 창작:6피트 계획 . . . . 1회 일치
          *
  • 창작:말퓨스 스토리 . . . . 1회 일치
         츠키노 대 수확제 : 츠키노 가문의 연례 행사 중 가장 큰 행사로써, 1년 농사를 끝내는 시기에 벌어지는 가장 큰 규모의 축제이다. 츠키노 가문 뿐만 아니라 후노야마 대륙의 모든 사람들이 모여 이를 축복하는 이 행사는 후노야마 대륙의 풍물 중 하나로 이미 자라고 있다.
  • 창작:좀비탈출/0-1 . . . . 1회 일치
          밖에는 사람이 아닌 것들의 기척만이 가득하다.
  • 창작:좀비탈출/1 . . . . 1회 일치
          * [[창작:좀비탈출/2|옆 담을 넘어간다.]]
  • 창작:좀비탈출/1-1 . . . . 1회 일치
         질려버린 나는 몸을 돌려 으로 돌아가려고 했지만, 등에 메고 있던 배낭을 좀비가 붙잡았다. 벗어버리고 도망치려 했더니, 또 다른 좀비가 팔을 붙잡았다. 그리고 나의 팔을 물었다.
  • 창작:좀비탈출/1-2 . . . . 1회 일치
         달리다보니 숨이 찼다. 좀비들은 느릿느릿 쫓아오고 있다. 잠시 달리다가 근처에 있는 공원에 도착했다. 아뿔싸, 하지만 공원에는 더 많은 좀비들이 있었다. 놈들은 나를 감지했는지 사방에서 몰려들고 있었다.
  • 창작:좀비탈출/2-1-1 . . . . 1회 일치
         옆 아줌마의 좀비가 벽에 걸린 밧줄 올가미에 목을 매달고 있는 것이었다. 아줌마는 절망해서 자살한 것일까?
  • 창작:좀비탈출/2-1-3 . . . . 1회 일치
         [[피카추]]가 그려진 파자마. 옆의 초등학생 아들이었다.
  • 창작:좀비탈출/3-1 . . . . 1회 일치
         눈이 돌아갈 정도로 많은 수의 좀비가 번화가에서 어슬렁 거리고 있었다. 골목길에서 봤던 것보다 훨씬 많은 수였다. 아마 동네의 좀비들 대부분은 번화가에 몰려 있는 것 같았다. 완전히 잘못 들어왔다. 이 정도로 밀되어 있으면 골목과는 달리 자전거를 달려서 빠져나가는 것도 무리였다.
  • 창작:좀비탈출/3-2 . . . . 1회 일치
         생각해보면 갑자기 여기저기서 들려왔던 괴소문들은 대부분 좀비들이 원인이 되었던 것이 분명했다. 그리고 그 '피해자'들 역시, 에 돌아갔다가 얼마 뒤에 '습격'을 시작하면서 동네 곳곳에서 피해가 점점 확대되어 갔던 것이겠지. 경찰들이 이런 사태에 쫓기면서 동네 치안은 급격히 나빠졌다. 그러다가 어느 순간 마치 점점 높아지던 댐에서 물꼬가 터지듯이, 늘어나는 좀비들을 사람들이 감당할 수 없게 되었던 것이다.
  • 창작:좀비탈출/요새편/1-2-1 . . . . 1회 일치
         녀석은 물기 보다는 잡아뜯는 타입이었다. 양손 합쳐 손가락이 세 개 밖에 안 남은 손이 내 목을 조르려 든다. 나는 바닥에 둔 아령을 지도 못하고 엉거주춤하게 쓰러지며 녀석의 손목을 잡앗다. 썩은 돼지고기같은 질척한 감촉이 말초신경을 자극한다. 쓰러진 내 위로 썩어가는 얼굴이 덮친다. 녀석은 확실히 공부를 잘 했을 것이다. 손에 맥아리가 없는걸 보니 연필보다 무거운걸 들고 다녔을 법하지 않다. 그래서 그럴까? 녀석의 팔꿈치가 기묘하게 비틀어지며 퍼석 끊어져 버린다. 녀석이 쓰러지면서 허연 이빨이 내 목덜미로 떨어진다.
  • 창작:츠키노 아스카 . . . . 1회 일치
         개인 신상 : 과거의 기억의 절반 정도를 잃어버렸으나 확실히 기억하는 것은 자신의 이름과 보구인 천경원양포를 소지하고 있었다는 사실과 안에서 물려준 드레스인 홍염의를 입고 있었다는 사실뿐이었다. 게다가 어째선지 원치않게 라이벌과 엮이게 되면서 그녀의 인생은 고군분투와 파란만장의 길로 들어서게 된다.
  • 창작:치킨교 . . . . 1회 일치
         반면에 이 순살 치킨교는 기존의 교리를 거의 완전히 뒤엎으며 "치느님은 순수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를 위해 보다 순수하도록 노력하시며 뼈 없는 형상이야말로 극진한 모습으로 화하신 것이다"는 아예 새로운 교리를 들고 온 종파였다. 이들은 무기를 거의 들지 않는 후라이드든, 양념이란 무기를 든 양념 치느님이든 상관없이 치느님의 가장 순수한 형태는 "뼈 없는 형상"으로 규정지었으며, 이는 치킨교도들 사이에서도 엄청난 충격을 몰고 오게 되었다.
  • 책표지 . . . . 1회 일치
          * 플레이보이 SF 걸작선 : SF소설이지만, '''PLAY BOY'''라고 빨간 글씨로 커다랗게 써있어서 모르는 사람이 보면 매우 민망하다.[http://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artid=201406101702441&code=116 주간경향]
  • 천상천하유아독존 . . . . 1회 일치
         본래 여기서 '아(我)'는 '우리'라는 뜻으로 모든 인간의 존엄성을 뜻하는 말이다. '아'를 '나'로 오해하여 자기 자신만 잘 난 척 한다는는 뜻으로 쓰기도 한다.
  • 철인 28호 . . . . 1회 일치
          흑백 시절에 애니메이션이 만들어졌으며 우리나라에서도 70년대에 방영되었다.
  • 초한춘추 . . . . 1회 일치
         초한전쟁을 다룬 주요 사료지만, 산일되어 원형을 잃어버린다. [[청나라]] 때 사기와 한서 등에서 주석을 모아 본이 나왔다.
  • 춘추 . . . . 1회 일치
         한나라 시대에는 춘추가 중시되면서, 춘추에 대한 해석도 함께 편하여 해석에 따라 3종류의 춘추가 나타나게 된다. 가장 먼저 만들어진 것이 춘추공양전이며, 그에 대항하여 춘추곡량전, 마지막으로 춘추좌씨전이 나타난다.
  • 취활 . . . . 1회 일치
         일본의 속어. 취직활동(就職活動)의 줄임말. 우리말의 취준과 비슷하다. 다만 국내에 국한되는 취준과는 달리, 재취업 등 사회 전반의 취업 활동에 있어서 폭넓게 쓰이는 경향이 있다.[[http://www.hani.co.kr/arti/culture/entertainment/781273.html (참조)]]
  • 츤데레 . . . . 1회 일치
         근래에 들어서는 '모에' 문화의 영향으로 다양한 종류의 세부적인 유형이 새로이 분류되어 만들어지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이중적인 태도를 취하는 공통점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무분별한 외국어 사용을 지양하자는 등의 이유로 '새침떼기' 등의 대체어를 권장하는 경우도 있지만 세부적인 개념 차이 등으로 인해 별로 선호되지 않고 있다.
  • 카자미노 시 . . . . 1회 일치
         그나마 묘사되는 것도 쿄코의 과 교회, 거리 정도 밖에 묘사되지 않는다. 그 밖에 언급된 장소라면, 극장판에서 언급한 쿄코가 자주 갔다는 [[라멘]] 가게 정도.
  • 카케오치 . . . . 1회 일치
         전국시대부터 에도 시대까지는, 전란이나 세금, 빈곤, 악행 때문에 다른 지역으로 도망치는 것을 나타냈다.「결락(欠落),(카케오치欠け落ち)」이라고 썻다. 여기에는 특정한 단에서 빠져나가는 것이라는 의미가 있다. 카케오치는 여기에서 유래한 말이다.
  • 카쿄인 노리아키 . . . . 1회 일치
          * 작중 카쿄인이 부모님께 이트로 갔다고 말했다는 언급은 없기에, 카쿄인의 부모님은 자기도 모르는 사이 자기 아들이 모흡혈귀에게 끔살당해버린 꼴이 되버렸다. 어찌보면 불효자라 할 수 있을지도...
  • 캬바쿠라 . . . . 1회 일치
         1980년대 중반에 나타난 유흥업소. 서비스 요금은 기본적으로 시간제이며, 접대를 맡는 캬바죠우가 테이블에 동석한다. 대충 아가씨 끼고 노는 술이라고 보면 된다.
  • 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 . . . . 1회 일치
          * 같은 RTS 장르지만 국내 팬들에게 익숙한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와는 상당히 게임의 흐름이 다르다. 자원채취에서는 하베스터 한 대 한 대가 중요하고, 자원수이 느린 반면 유닛의 생산속도는 무척 빠르다.
  • 코노나가레 주의 . . . . 1회 일치
          * [[단괴롭힘]]이 일어나는 것을 못 본 척 한다.
  • 코타츠 . . . . 1회 일치
         이불 안에 몸을 어넣고 온기를 쬔다. 열원은 과거에는 쑻, 석탄 등을 사용했지만 현재는 전기 기구이다.
  • 콘도 마코토 . . . . 1회 일치
         1997년 『「암과 싸우지마라(がんと闘うな)」논쟁(論争集)』 출판
  • 콜만스코프 . . . . 1회 일치
         콜만스코프는 19세기 후반에 [[다이아몬드]] 붐으로 만들어진 마을이었다. 이 지역에서 다이아몬드가 발견되자 다이아몬드를 캐려는 광부들과 그들을 먹여 살리는 사람들이 정착한 것. 콜만스코프가 성장하면서 거주민들을 위한 술, 학교, 병원, 오락 시설 그 외 등등도 만들어지며 큰 마을이 되었다.
  • 쿄로충 . . . . 1회 일치
         리얼층 그룹의 말단으로, 리얼충이 되는데 착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리얼충이 아니다.
  • 타베아루키 . . . . 1회 일치
         혹은 특정 지역의 명물 요리, 맛있는 음식, 특이한 음식 같은 것을 돌아다니면서 먹는 취미를 뜻한다. [[식도락]]이나 [[맛순례]]와 같은 뜻이라고 볼 수 있다.
  • 토리코/359화 . . . . 1회 일치
          * 하지만 이치류는 미도라에게 당하는 순간까지도 '''돈 슬라임의 힘은 일절 빌리지 않고 혼자만의 힘으로 투쟁'''을 고했다. 그런 이치류를 모욕한 대가를 치르게 해주겠다며 분노하지만 '''아사루디의 신체는 조금씩 한계가 오고 있다'''
  • 토리코/361화 . . . . 1회 일치
          * 써니의 구루메세포의 악마는 '''"헤어몬스터"''' 먼옛날 행성조차 어삼키며 은하계 지배 했다고함
  • 토리코/364화 . . . . 1회 일치
          * 그때 언제 나타났는지 블루 니트로 "페어"가 나타난다. 페어는 돈슬라임의 추측을 확인해주듯 '''"우리(블루 니트로)와도 다르며 그렇기 때문에 'NEO'라 불린다"'''고 말한다.
  • 토리코/374화 . . . . 1회 일치
          * 토리코는 오히려 그것이 "경의"라고 하자 아카시아는 어치우라며 "그 경의, 내가 네게 보여주도록 하마"라고 한다.
  • 토리코/379화 . . . . 1회 일치
          * 그런데 말 떨어지기 무섭게 2대륙에 서식하는 모든 배틀울프가 이 자리에 결한다.
  • 토리코/387화 . . . . 1회 일치
          * 비록 앞으론 두 번 다시 나오지 못하고 다시 말하지도 못하겠지만 이것은 작별이 아니고 우리들의 여정은 계속될 거라고 생각한다.
  • 토리코/389화 . . . . 1회 일치
          * 네오의 세포는 "검정". 검은 세포의 악마는 무엇이든 어삼키는 극악한 식욕의 소유자이다.
  • 토리코/390화 . . . . 1회 일치
          * 그가 평온해 보인건 분노를 한 곳에 중하고 있었기 때문.
  • 토리코/391화 . . . . 1회 일치
          * 아카시아는 스카이디어의 백채널과 데로우스의 이차원 레이저, 기네스의 기네스 서치와 페어, 사천왕들과 남은 팔왕들의 분노의 중공격에 당한다.
  • 토리코/393화 . . . . 1회 일치
          * 다시 시간이 흘렀다. 아카시아는 엄청난 발견을 알린다. "네오가 싫어하는 맛"에 대한 것. 아카시아는 이것이야 말로 네오 안의 동포를 구할 단서라고 말한다. 페어는 또 그딴게 착하냐고 쏘아붙이지만 아카시아는 확고한 자세로 "그럴 방법이 있다"고 강조한다. 식욕의 에너지가 무한한 것은 만고의 법칙이고 구르메 세포가 이 세상에서 완전히 사라지는건 불가능한 일. 그렇다면 에너지의 절대량은 절대로 변하지 않는 것이며 끝없는 순환을 반복한다. 그렇다면 네오에 먹힌 식혼들 또한 사라진게 아니라 어딘가에 갇혀 있는게 맞다는 것.
  • 토리코/396화 . . . . 1회 일치
          * 토리코는 괴물이 태양을 어삼킨다는 동화의 내용을 언급하며 그게 허무맹랑한 이야기는 아닌 것 같다고 말한다. 구루메 천문연구팀이 연구해본 결과 구르메 빅뱅 직후의 에너지파를 측정하는데 성공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걸 분석해 보니 놀라운 영상이 드러난다. 직경 10광년짜리 "은하"를 밥상처럼 놓고 둘러앉아 있는 가족의 모습이었다.
  • 통일주체국민회의 . . . . 1회 일치
         그런데 생각해보면 통일주체국민회의는 대통령 선거에서 거수기 이외의 거의 아무런 역할도 없는, 사실상 [[무직]] 명예직이다. 딱히 '''아무것도 안 하는 거나 다름없는 단'''을 3천명이나 뽑는데 엄청난 선거비를 소모하고, 게다가 이 위원들이 세비는 없지만 소정의 활동비까지 받았다는걸 생각하면, 상당히 제정신이 아니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통일주체국민회의 자체가 '''거대한 낭비'''라는게 모순.
  • 퇴계 이황 . . . . 1회 일치
         사실 '사현'이라고 했지만 이황 자신은 이 4명 가운데 이언적을 제외하면 부족함이 있다고 봤다. [[김종직]]은 도학 보다는 사장학(詞章學)에 뛰어난 인물로 봤고, 김굉필과 조광조는 저술이 없어 학문의 깊이를 알 수 없다고 봤으며, 이언적의 경우에는 회재(晦齋集)을 보고서 이를 명확히 알려서 올바른 학문을 퍼트렸기 때문에 널리 알릴 가치가 있다고 봤다. [* 퇴계선생 언행록 중 ‘인물을 논하다(論人物)’,]
  • 트로피코 4/진영 . . . . 1회 일치
          * 모든 판잣 제거 - 자본주의자의 존경심이 떨어진다.
  • 페어리 테일/481화 . . . . 1회 일치
          * 본격 예토전생 특. 그리운 얼굴들이 많이 보인다.
  • 페어리 테일/490화 . . . . 1회 일치
          * 메이비스는 마력으로 옷을 만들어 입고 길드의 술으로 올라가 본다.
  • 페어리 테일/502화 . . . . 1회 일치
          * 메스트가 "어떤 소녀의 목소리가 우리를 불러모았다"라고 설명해주자 메이비스는 제이라의 존재를 깨닫는다.
  • 페어리 테일/505화 . . . . 1회 일치
          * 엘자는 함께 길드에 돌아가자고 애원하지만 마카로프의 고을 꺾을 수는 없었다.
  • 페어리 테일/511화 . . . . 1회 일치
          >우리들을 바꿔준 길드니까!
  • 편차치 . . . . 1회 일치
         일본에서 편차치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학력편차치(学力偏差値)를 뜻하는 말이다. 우리나라에서 수능의 표준점수(Standard score)와 비슷하다.
  • 평론을 쉽게 쓰는 법 . . . . 1회 일치
         "프로이트의 구강기 이론에 따르면", "칼 융의 단무의식 이론에 따르면", "라캉의 거울 단계 이론에 따르면"
  • 하숙 . . . . 1회 일치
         주택의 빈 방을 빌려주고, 임차인이 주인과 공동으로 생활하는 것. 영어로는 '홈쉐어'라고도 한다.
  • 하야테처럼! . . . . 1회 일치
         불행한 주인공 하야테가 우연한 일로 대부호의 딸 나기의 사로 일하게 되는 것으로 시작된 코미디 작품.
  • 하이큐!!/등장인물 . . . . 1회 일치
          기본적으로 진중한 성격이나, 말을 생각하고 하는 편이 아니라서 우시와카 본인은 느끼지 못하는 사이에 사람 속을 긁는 때가 있다.[* 봄 배구 선발전 직전 화장실에서 만난 오이카와에게 "너에겐 고교 마지막 대회겠네 건투를 빈다."라고 말한다. 빈정이 상한 오이카와와 이와이즈미가 "전국대회 갈거니까 마지막이 아니다!"라고 받아치자. "? 전국에 갈 수 있는 건 한 팀인데.(우리 팀이 나가는데 너희가 어떻게...?)"라고 말하며 또 다시 속을 긁어댄다. 오이카와와 이와이즈미 왈 "비꼬려고 말하는게 아니라서 더 열받아...."] 쉽게 말해서 엘리트의 길만 걸어왔기 때문에 언더독의 기분을 이해 못하는 [[눈새]]다. 이런 성향은 우연히 만난 히나타와 카게야마에게 오이카와를 평가하며 은연 중에 드러나는데 '''"우수한 모종에는 그에 알맞은 토양이 있으며, 메마른 땅에서는 훌륭한 열매가 자라지 않는다."'''고 말하며 ~~농부?~~콘크리트 출신 두명을 자극했었다.
  • 하이큐/213화 . . . . 1회 일치
          * "에 가서 제대로 된 밥을 먹는다"
  • 하이큐/221화 . . . . 1회 일치
          * "에 가!"
  • 한신 아와지 대지진 . . . . 1회 일치
         우리나라에는 '고베 대지진'으로 알려져 있다.
  • 할머니가 기른 아이는 세푼싸다 . . . . 1회 일치
         세푼쌈(三文安)으로 줄여서 쓴다. 우리 식으로 번역하면 '반푼이'에 가까울 듯.
  • 헤소린 가스 . . . . 1회 일치
         이 에피소드는 텐도무시 코믹스 판 25권, 후지코 F. 후지오 대전에서는 19권에 수록되어 있다. 잡지 개재는 1979년 「테레비 군(てれびくん)」10월호[* 일반적으로 도라에몽이 개재되던 학습지가 아니다.].
  • 호농 . . . . 1회 일치
         [[일본]]에서 부유한 [[농민]]을 뜻하는 말. 우리나라에서는 대개 부농(富農)이라고 한다.
  • 호시즈나 . . . . 1회 일치
         [[일본]]에서는 [[오키나와]] 등의 몇몇 해변에 호시즈나를 볼 수 있는 해변이 존재한다. 채집은 금지되어 있지만, 기념품으로 팔고 있다.
  • 황부인전 . . . . 1회 일치
         다시 제갈량이 떠나려고 하는데 문 밖에서 큰 범이 가로막는다. 황부인에게 구원을 바라자 범이 가만히 있어, 길을 떠나 수십리를 갔는데 돌아보니 여전히 황부인의 앞이었다. 모든 것이 부인의 신술임을 깨닫고 질책하였는데, 황부인이 슬퍼하며 간곡하게 바라자 제갈량은 가련히 여겨서 하룻밤을 더 묵고 가는데, 잠을 자고 일어나나 황부인은 전생의 허물을 용서받아 선관에게 받은 환약을 먹고 경국지색의 미녀로 돌아온 것이다.
  • 회맹 . . . . 1회 일치
         고대 [[중국]]의 의식. 여러 제후를 모아 맹주(盟主)를 뽑아 단 동맹을 맺는 의식이다.
  • 히치하이킹 . . . . 1회 일치
         [[JTBC]] [[비정상회담]]에 출연한 러시아 출신 방송인 일리야의 증언에 따르면, 러시아에서는 히치하이킹이 보편적이며 아무나 다 태워준다고 한다. 역사적으로 [[소련]]에서는 [[택시]]가 보편화 되어 있지 않아서, 대중교통이 없는 곳이나 밤늦게 에 갈 때는 히치하이킹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한국에서 히치하이킹이 되지 않아서 충격을 받았다고(…)[http://news.tf.co.kr/read/entertain/1476694.htm 참조]--훈훈한 소련 인심--
11531의 페이지중에 625개가 발견되었습니다 (207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17-01-11 21:26:27
Processing time 4.2312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