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남양주시"에 대한 역링크 찾기

남양주시의 역링크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강레오
         | 출생지 = 대한민국 [[경기도]] [[양주시|양주군]]<br/>(현 대한민국 [[경기도]] [[남양주시]])
         [[경기도]] [[양주시|양주군]](현 [[경기도]] [[남양주시]])에서 부농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19세까지 호텔 레스토랑에서 그릇닦이와 보조 요리사로 일하였고, 20세에 [[프랑스]] 출신의 요리사인 [[피에르 코프만]]을 사사하기 위하여, 그가 있던 [[영국]]의 [[런던]]으로 건너갔다. 몇 번을 거절당한 끝에 그의 직원으로 발탁되어, 피에르 코프만 소유의 식당인 [[라 탕트 클레르]]에서 근무하며, 요리를 배웠다. 커뮤니티 상에서 강레오가 주장한 고든램지의 수제자라는 경력이 거짓 경력 또는 부풀려진 경력이라는 의혹이 있다. [[대한민국]]으로 돌아간 후에는 [[CJ E&M]] 소유의 방송국인 [[OLIVE (방송 채널)|올'리브]]에서 방송하는 [[마스터셰프 코리아]]<ref>영국 [[BBC]]의 프로그램인 [[마스터셰프]]의 대한민국 수출판이다.</ref>의 심사위원으로 임용되면서, 방송에도 출연하였다. 현재는 대한민국의 요리사이자, 무형문화재인 궁중요리의 기능 보유자인 [[한복려]]를 사사하고 있으며, 동시에 [[대한합기도회]]의 자문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2012년 6월 27일에 [[대한민국]]의 가수인 [[박선주 (가수)|박선주]]와 결혼하였다.
         [[분류:197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요리사]][[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분류:남양주시 출신]]
  • 경기도
         [[2017년]] [[7월 31일]]을 기준으로 경기도의 각 시와 인구와 면적은 다음과 같다. 인구는 12,783,741명이고 남여비율은 1.01로 전반적인 [[성비|남초]] 지역이다. 시군별로는 [[포천시]] (1.11)와 [[연천군]] (1.11)가 가장 높고, [[시흥시]] (1.10), [[화성시]] (1.07), [[광주시 (경기도)|광주시]] (1.06), [[오산시]] (1.06), [[안산시]] (1.05), [[안성시]] (1.05), [[가평군]] (1.05), [[이천시]] (1.04), [[안성시]] (1.04), [[양주시]] (1.03), [[파주시]] (1.03), [[양평군]] (1.02), [[여주시]] (1.02), [[수원시]] (1.01), [[하남시]] (1.01), [[김포시]] (1.01), [[남양주시]] (1.00), [[부천시]] (1.00), [[의왕시]] (1.00), [[구리시]] (0.99), [[군포시]] (0.99), [[동두천시]] (0.99), [[안양시]] (0.99), [[용인시]] (0.99), [[광명시]] (0.98), [[성남시]] (0.98), [[고양시]] (0.97), [[의정부시]] (0.97), [[과천시]] (0.95) 순으로 높다.
         [[남양주시]]''' || 南楊州市 || 253,369 || 664,044 || 2.62 || 458.05
  • 김상용 (1561년)
         《[[김상용선생묘]]》는 [[경기도]] [[남양주시]] 산6번지에 있다. 부인 안동 권씨와의 합장묘인데, 묘 앞에는 묘비·상석·향로석이 있고 좌우로는 망주석과 문인석이 각 1쌍씩 배열되어 있다. 신도비(神道碑:왕이나 고관 등의 평생 업적을 기리기 위해 무덤 근처 길가에 세운 비)는 묘역 입구 약 50m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데, 비문은 아우인 김상헌이 짓고 유시정이 글을 써서 인조 25년(1647)에 세운 것이다. 1987년 2월 12일 [[경기도의 기념물]] 제99호로 지정되었다.
  • 김성수 (1891년)
         그의 묘소는 초기에 [[고려대학교]] 경내에 안장되었다가 뒤에 [[경기도]] [[남양주시]]로 이장되었다. [[1962년]]에 [[건국공로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고려대학교와 본관 앞에는 그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사후, 19세기에 할아버지 [[김요협]]이 지었던 그의 생가는 [[전라북도]] 기념물 제39호로 지정되어 있다. 그가 출범을 고대하던 [[민주당 (1955년)|민주당]]은 조봉암을 제외한 채 출범했고 이후의 민주당계 정당의 모태가 되었다.
  • 김승환 (1964년)
          | 출생지 = [[대한민국]] [[경기도]] [[남양주시]]
         [[분류:그리메상 수상자]][[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196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예술대학 연극과 동문]][[분류:남양주시 출신]][[분류:1983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창극 배우]][[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
  • 김승환(배우)
         ||<bgcolor=#BFFF00> '''출신지''' || [[경기도]] [[남양주시]] ||
         [[분류:한국 남배우]][[분류:남양주시 출신 인물]][[분류:1964년 출생]][[분류:1985년 데뷔]]
  • 김장수 (가수)
         * 2013년 [[남양주시]] 홍보대사
  • 김종석(1959)
         2015년 7월에 [[기독교방송]] 노컷뉴스와의 인터뷰에선 [[남양주시]]에서 카페를 운영하고 계시다고 한다. 교수직도 계속 수행하고 계시다고...
  • 낙천군
         그뒤 [[1967년]] [[경기도]] [[남양주시|남양주군]] 흥선대원군 묘소 근처로 이장되었으며, [[2001년]] [[연령군]] 후손들의 묘소를 화장하여 납골당에 안장할 때 일괄 화장되어, [[흥선대원군]] 묘소 건너편의 납골묘 [[흥친왕]]과 [[은신군]]의 옆자리에 안장되었다.
  • 남성진
         |출생지 = [[대한민국]] [[경기도]] [[남양주시]]
         [[분류:영양 남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동국대학교 동문]][[분류: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동문]][[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1992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창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남양주시 출신]][[분류:1930년 태어남]]
  • 능창대군
         바로 [[경기도]] [[양주시|양주군]] ([[남양주시]]에 편입)에 처음 장사지냈다가 다시 [[1629년]](인조 6년) [[10월 29일]] [[경기도]] [[광주시|광주군]] (古治面) 근처 혁동(鞘洞) 난지원(卯之原)으로 이장되었다가 후일 다시 회곽관에 담겨 [[광주시|광주군]] 고골 궁안마을 뒷산으로 이장되었으며, [[1999년]]에 양증손자이혁의 시신과 함께 [[경기도]] [[포천시|포천군]] [[인평대군]] 묘역 인근으로 이장되었다.
  • 박영규 (1953년)
         | 출생지 = 대한민국 [[경기도]] [[남양주시|남양주]] <br /> (現 대한민국 [[경기도]] [[남양주시]])
         경기도 남양주 (현 [[남양주시]])에서 태어났고, 학창 시절을 모두 이곳에서 보냈다. 배우로서의 꿈을 가지고서 [[서울예술대학교|서울예술대학]] 연극과로 진학을 하였고, 이후 연극 배우로서 긴 세월을 보냈다. [[1985년]] [[MBC]] 특채 탤런트로 뽑히면서 베스트 극장을 시작으로 텔레비전 드라마에서도 큰 활약을 펼쳤다.
         [[분류:1953년 태어남]][[분류:남양주시 출신]][[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예술대학 연극과 동문]][[분류:1973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
  • 송영선(1953)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경기도]] [[남양주시|남양주시 갑]] 선거구에 출마했지만, [[민주통합당]] 후보에 큰 표차로 밀려 낙선하였다. 그동안 비례대표로만 당선되다가 처음 지역구에 출마해서 낙선된 것이었는데, 송영선이 하도 인기가 없어서 최재성이 당선되었다는 푸념까지 있었을 정도로 지역에선 크게 어필을 못했다. 애초에 계속 나오던 심장수의 자리를 뺏어서 들어왔다는 이미지도 있었고...[* '왜 고향인 경북에서 출마 안했냐?'는 의문이 들 수도 있는데, 물론 처음에는 송영선이 대구에서 출마하려고 했지만 알다시피 경북은 새누리당 텃밭이라서 경쟁률이 높다 보니 송영선은 그쪽에서는 공천을 못받았기 때문이다. 그렇다 보니 연고도 없고, 상대적으로 야권에 더 호의적인 수도권에 출마했다가 패한 것이다.]
  • 순화군
         시신은 [[양주시|양주군]](현 [[남양주시]]) [[수락산]] [[덕흥대원군]] 묘소 내 계좌(癸坐), 청학리에서 [[덕릉고개]] 방향에 안장된 어머니 [[순빈 김씨]] 묘소 아래에 안장되었으며, 묘비석과 신도비는 20세기 이후에 세워졌다. 생전 부인 장수황씨에게서는 자녀가 없고, 서녀만 2명이 있었으므로 사촌 형인 [[익성군 (1566년)|익성군]]의 아들 진릉군 봉경(후에 태경으로 개명)을 사후입양하였다. 그러나 태경이의 옥사로 죽으면서 파양되고, 다시 이복 동생 [[인성군]]의 아들 해안군 억을 사후양자로 들였다.
  • 신성일
         [[서울특별시|경기도 서울]] 출생이며, 어렸을 때는 [[경기도]] [[남양주시|남양주]]에서 잠시 유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1960년《[[로맨스 빠빠]]》로 영화계에 데뷔했다. 이후 《[[맨발의 청춘 (1964년 영화)|맨발의 청춘]]》을 비롯한 수편의 청춘 멜로 영화에 [[엄앵란]]과 주연을 맡아 큰 인기를 누렸다. 그 후 1964년 [[엄앵란]]과 결혼했다.
  • 안계군 (1703년)
         사후 아들 둘이 후사없이 일찍 죽어, [[조선 태종|태종]]의 아들 양녕대군의 후손 호의 아들 진벽을 사후양자로 입계하였다. 1794년(정조 17) [[2월 5일]] 양자 이진벽이 종2품 동지에 임명되면서 증직으로 증 '''안계군'''(安溪君)에 추증되었다. 시신은 [[양주시|양주군]](현 [[경기도]] [[남양주시]])에 안장되었다.
  • 엄주명
         [[서울특별시]] [[성북구]] 자택에 있다가 만년에 정릉1동 5-50번지로 이사하였다. 이후 [[서울특별시]] [[성북구]] 자택에서 병석에 누워 생활하던 중 [[1976년]] [[2월 9일]] [[협심증]], 노환 등의 지병으로 사망하였다. 2월 10일 진명 3.1강당에서 발인 후 [[양주시|양주군]] (현, [[남양주시]]) 선영에 안장되었다.
  • 예창근
         ||<bgcolor=#C9151E> '''{{{#FFFFFF 경력}}}''' ||<(> 제22회 행정고시 합격[br][[수원시]]청 민방위과장[br][[경기도청]] 주민과장[br][[행정자치부]] 행정정보화담당관[br][[경기도]] [[남양주시]] 부시장[br]경기도 [[안산시]] 부시장[br]경기도 수원시 부시장[br]경기도 행정2부지사[br]경기도영어마을 총장[br][[경동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
         이후 수원시청 민방위과장, 경기도청 주민과장, 대통령비서실 행정수석비서관실 행정관, [[행정자치부]] 행정정보화담당관, 경기도 남양주시 부시장, 경기도 안산시 부시장, 경기도 수원시 부시장(2007.01~2011.08)으로 근무하였다.
         2018년 [[제7회 지방선거]]에 3선 연임에 걸려 출마가 어려운 이석우 남양주시장의 뒤를 이어 [[자유한국당]] 후보로 출마하나 [[자유한국당]] 디버프와 [[더불어민주당]]의 높은 지지세로 인해 26.7%의 득표율을 보이며 64.4%의 지지율을 보인 조광한 후보에게 엄청난 차이로 낙선한다.
         || 2018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기 남양주시장) || [[자유한국당]] || '''77,427 (26.7%)''' || 낙선(2위) || ||
  • 윤선도
         시무팔조와 논원두표소(論元斗杓疏)를 올리면서 그는 왕권의 확립과 강화를 강력히 주장하였다. 그러나 [[시무팔조]]에도 [[김자점]](金自點), [[송시열]](宋時烈), [[원두표]](元斗杓)가 각각 파당을 만들고 다툰 점과 당시 [[서인]] 중진인 [[원두표]]를 비난하는 내용이 들어 있어서 [[서인]]의 공격을 받자 스스로 사직하고 [[경기도]] [[남양주시|양주군]] 고산(孤山)의 별장에 다시 은거하였다. 이 곳에서 [[몽천요]](夢天謠)를 썼다.
  • 은신군
         그의 시신은 도성으로 운구되었다가, 그해 [[6월]] 임시 장지에 안장되었다가 후에 정조의 명에 의해 [[경기도]] [[양주시|양주군]](현 [[남양주시]]) 계암(鷄岩) 해질머루부락 서쪽 손좌(巽坐)에 어머니 [[숙빈 임씨|양제 임씨]] 묘소 근처에 안장되었다. [[1774년]](영조 50) [[5월 12일]] 특명으로 복직되었고, 형 [[은언군]] 인도 복권되었다. 그의 어머니 [[숙빈 임씨|양제 임씨]]는 정조 즉위 후 [[1776년]](정조 즉위) [[8월 3일]]에 [[양제]]로 복작되었다.
         사후 복권되었다. 시신은 바로 [[제주시|제주도]]에 안장되었다가 운구되어 선혜청(宣惠廳)에 의해 도성 근처에 매장되었으며, [[1779년]] [[11월 5일]] 묘지가 형편없다는 이유로 정조에 의해 다시 장지를 간택하여 [[양주시|양주군]] [[금촌]](楊州郡金村) 이패리(二牌里, 현 [[남양주시]] [[이패동]] 해질모루부락 서쪽) 계암(鷄巖) 손향(巽向), [[숙빈 임씨]] 묘소 근처로 이장되었다. 그의 어머니 숙빈 임씨의 묘소는 후일 실전되었다. 은신군의 묘소가 설치되면서 [[남양주시]] 이패리 중 은신군의 묘소가 있던 지역을 왕자궁(王子宮) 부락이라 부르게 되었다. 은신군은 후에 다시 [[양주시|양주군]](후일의 [[남양주시]])으로 개장되었다. 20세기에 이르러 은신군과 군부인 남양홍씨의 시신은 화장되어 [[흥선대원군]] 묘소 근처의 납골묘에 안치되었으며, 신도비와 비석, 석물들은 [[2005년]] [[1월]] 양부 [[낙천군]], 양증손 [[흥친왕]] 등의 묘비와 함께 모두 [[서울역사박물관]]에 기증되었다.
  • 의친왕
         | 매장지 =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남양주시)|금곡동]] [[홍유릉]]
         황족들이 [[일제 강점기]] 당시 망국의 원흉으로 지탄받으면서 재조명의 기회가 없었다. 능은 부황인 [[대한제국 고종|고종 황제]]의 능인 경기도 남양주군 (현 남양주시)의 [[홍유릉]] 내에 위치한 의친왕묘(義親王墓)이다.
         대한제국 [http://cafe.daum.net/daehan815/ 의친왕 숭모회](大韓帝國 義親王 崇慕會)는 의친왕의 행장과 독립운동사를 재조명하고, 숭고한 뜻을 기르기 위해 [[2006년]] 설립된 단체로 의친왕의 제향을 주관하는 공식 단체이다. 초대 대표위원장으로 [[효령대군]] 19대손 [[이재용]](李宰容)을 선임하고, 현재 의친왕 제향은 매년 양력 [[8월 15일]]에 [[경기도]] [[남양주시]]내 의친왕묘에서 의친왕의 후손 및 종현, 일반인들이 참반한 가운데 제향을 받들고있다. [[2013년 4월]]에 공식적으로 의친왕숭모회는 해체되고, 봉행하던 의친왕 제향은 2013년부터 후손들이 지내고 있다.
  • 이광수 (1985년)
         | 출생지 = [[경기도]] [[남양주시|남양주군]] 별내면 (청학로) (현 [[남양주시]] 동 지역)
         [[분류:198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2008년 데뷔]][[분류:남양주시 출신]][[분류:광주 이씨]]
  • 이광수(배우)
         ||<#ACF3FF> '''{{{#000000 출생}}}''' ||<#ffffff><(> [[1985년]] [[7월 14일]] ([age(1985-07-14)]세), [[경기도]] [[남양주시]] ||
         [[남양주시]] 출신으로 190cm의 큰 키와 큰 코를 가진 개성 넘치는 모델이자 배우이다.
          * [[구리시|구리]]에서 학교를 다녔고, [[남양주시/행정#s-1.5|도농동]]의 남양주에서 자취하고 있었으나 서울시 성동구 금호동에 있는 한 아파트로 이사갔었다. 이광수 본인 말에 따르면 이사 온 2년 동안 런닝맨 촬영을 여섯번이나 했었는데 실제로 동네 주민들의 [[유재석]] 목격담도 많이 들린다고 한다. 최근에는 또 다시 방이 4개인 아파트로 이사를 했다고 한다.
         [[분류:한국 남성 모델]][[분류:한국 남배우]][[분류:1985년 출생]][[분류:남양주시 출신 인물]][[분류:모델 출신 배우]][[분류:2008년 데뷔]]
  • 이문식
         | 출생지 = [[대한민국]] [[경기도]] [[남양주시]]
         * [[경기도]] [[남양주시]]에서 [[전주 이씨]] 자손으로 태어났으며 초등학교 6학년 때 전주로 이사왔다.<ref>
         [[분류:196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1995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전주 이씨]][[분류:한양대학교 동문]][[분류:남양주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
  • 이문식(배우)
         || '''출생지''' ||<(> [[경기도]] [[남양주시]] ||
         [[분류:남양주시 출신 인물]][[분류:1995년 데뷔]][[분류:한국 남배우]][[분류:라디오 스타의 역대 게스트]]
  • 이박사
          | 출생지 = [[대한민국]] [[경기도]] [[남양주시|남양주군]] <br /> (現 [[대한민국]] [[경기도]] [[남양주시]])
         '''이박사'''(李博士, [[1954년]] [[10월 5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로, 본명은 '''이용석'''이다. [[경기도]] [[남양주시]] 출신으로, 1977년 군 제대 이후 관광버스 가이드 생활을 하는 동안 관광객들에게 흥을 돋우기 위해 본격 음악을 시작하였다.<ref name="lady">{{저널 인용|url=http://lady.khan.co.kr/khlady.html?mode=view&code=5&artid=11606&pt=nv|제목=8년만에 모습 드러낸 “이박사, 그동안 어떻게 지내셨습니까?”|저널=레이디경향|저자=이유진|연도=2008|월=10|확인날짜=2012-08-12}}</ref> 1989년, 그의 노래를 들은 레코드 기획자이자 지방 유명 클럽 사장으로부터 자신의 스타일대로 노래해도 좋다는 제안을 받고, 첫 번째 음반을 내면서 가수로 데뷔하였다.<ref name="lady"/> 그는 독특한 음색과 노래 중간에 쉴 새 없이 터져 나오는 추임새 [[애드리브]]로 업계에서는 제법 인기 있는 가수였으며, 테크노 뽕짝의 제일인자로서 알려졌다.
         [[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베트남 전쟁 참전 군인]][[분류:대한민국의 음악 프로듀서]][[분류:대한민국의 자서전 작가]][[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수필가]][[분류:1977년 데뷔]][[분류:일본의 남자 가수]][[분류:남양주시 출신]][[분류:195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
  • 이장희 (1947년)
         '''이장희'''(李章熙, [[1947년]] [[10월 3일]] ~ )는 [[대한민국]]의 [[포크 록]] [[가수]], [[싱어송라이터]], [[음반 프로듀서]], 밴드 리더, [[기업가]]이다. 그의 현재 주요 거주지는 [[대한민국]] [[경기도]] [[남양주시|남양주]] 이다.
         이후 귀국하여 [[남양주시|남양주]]([[경기도]] [[남양주시]])에서 귀농 생활을 하다가 [[2010년]] [[12월 15일]] [[문화방송]]의 예능 프로그램인 《[[황금어장|황금어장 - 무릎팍도사]]》에 출연하면서 생애 처음으로 토크쇼에 출연하기도 했다.
  • 전소민(배우)
         ||<#FFB1BC> '''{{{#white 출생}}}''' ||<#ffffff><(> [[1986년]] [[4월 7일]] ([age(1986-04-07)]세), [[경기도]] [[남양주시]] 퇴계원면 (퇴계원로) ||
         [[분류:한국 여배우]][[분류:1986년 출생]][[분류:남양주시 출신 인물]][[분류:2004년 데뷔]][[분류:라디오 스타의 역대 게스트]]
  • 전태일
         오후 4시경 그는 그는 구급차에 실려 [[서울]] [[성모병원]] 응급실로 다시 후송되었지만, [[11월 13일]] 오후 10시 성모병원 응급실에서 사망하였다. 성모병원에서는 전태일을 응급실에 얼마간 두었다가 입원실로 옮겼는데, 이미 회생할 가망이 없다고 의사는 진단했다.<ref name="chock289"/> 그는 한동안 혼수상태에 있다가 그날 저녁 눈을 떠서 힘없는 목소리로 "배고프다……" 라고 하였다.<ref name="chock289"/> [[11월 13일]] 혼수상태에 있었던 그는 그날 오후 10시 병원 응급실에서 사망하였다. 시신은 마석 [[모란공원]]([[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월산리 606-1 산)에 안장되었다.
  • 조응천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70000B><-5><bgcolor=#FFFFFF><:>{{{#70000B 대한민국}}}{{{#70000B 국회의원}}}{{{#70000B 경기}}} {{{#70000B 남양주시 갑}}} ||
         || '''지역구''' ||<(> [[경기도|경기]] [[남양주시 갑]] ||
         [[대한민국]]의 제20대 국회의원으로, 소속 정당은 [[더불어민주당]]이며 지역구는 [[경기도]] [[남양주시]] 갑 지역이다.
         해임된 후, [[양복]]을 입고 근무하는 생활에 환멸을 느끼고, 억울한 해임과 기소에 홧병이 나서 본인과 부인 모두 [[불면증]]에 시달릴 정도로 극심한 [[스트레스]]로 인해 힘겨운 시간을 보냈다고 한다. "이때 가슴이 답답해서 [[자전거]]를 타고 [[남양주시]]까지 자주 다녔다"고, 출마한 후에 고백하기도 했다.[* 특히 [[박근혜]]가 2015년 신년기자회견에서 조응천을 국기문란사범으로 공개적으로 지목하고 종편에 의한 후속보도까지 이어졌을 땐 베란다에서 뛰어내려 자살할 생각까지 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3년 뒤인 2017년 1월 [[김어준의 파파이스]]에 나와서는 그때 썰을 푸는데, [[https://www.youtube.com/watch?v=-xWq4Bmffjg|정청래 : 근데 본인은 지금 행복하잖아 / 조응천 : 땡큐.]]라고 큐트하게 받아쳐 주신다. ~~막 특검 왔다갔다 거리고~~ 정청래는 옆에서 "진짜 큰일 날 뻔했어~엉, 안 짤렸음 어떡할 뻔했어~엉", 김어준은 "그렇겠지, 청문회 나가서 '모릅니다!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그거 하고 계셨겠죠."라면서 깐족깐족대는데... 전화위복도 이런 전화위복이 없다.] ~~[[자덕|자전거 덕후]] 입장에서는 주말 소풍 수준인데...~~ 다시는 공직이나 법조인 생활을 하기 싫은 생각에 [[마포구]]에 '''[[http://dmaps.kr/23r6b|별주부짱]]'''이라는 해물 요리 전문점을 개업하였다.
         결국 불출마 선언을 했던 [[더불어민주당]] [[최재성(정치인)|최재성]] 의원의 지지를 받아 [[최재성(정치인)|최재성]] 의원의 지역구인 [[경기도]] [[남양주시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다. 상대 후보인 [[새누리당]] [[심장수]] 후보는 [[남양주시]]에서 3번이나 국회의원 선거에 도전했던 지역 토박이였던 데다가 지역구 관리를 상당히 갈고닦았던 반면, 조응천 후보는 [[남양주시]]와는 어떠한 연고도 없는 정치 초년생이었기 때문에 우려의 시선을 보내는 이들이 많았으나, 최종 개표 결과 [[새누리당]] 심장수 후보를 249표 차이로 아슬아슬하게 꺾고 신승했다.[* 조응천이 [[수동면]]과 [[화도읍]]에서 심장수에 밀렸지만 젊은 층 인구가 많이사는 [[호평동]]과 [[평내동]]에서 심장수를 앞섰다.] 이는 경기도 내에서는 최소표차로 당선된 것이다. 또한 정권 심판론이 좀 더 강하게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선거 결과를 뒤집은 그 투표함은 주소지는 [[남양주시]]로 되어 있지만 타지에서 생활하는 관외 유권자들의 표를 모아놓은 사전 투표함이었다고 한다. 조응천 후보가 본인이 이겼다는 소식을 들었을 무렵, [[새누리당]]의 심장수 후보는 [[설레발|자기가 이긴 줄 알고 미리 당선증 받으러 가던 길이었다]]고(...). ~~[[안습]]~~[* 여담으로 심장수는 8년 전인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한나라당 공천을 받아 출마했으며 출구조사에서는 앞섰지만 개표 결과 당시 현역 의원인 최재성 전 의원에게 밀려 낙선했다. 더욱이 심장수는 조응천의 대학 선배이자 검찰 선배이기도 했기에 더욱 패배의 충격이 컸을 것이다.]
  • 최재성(정치인)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70000B><-5><bgcolor=#FFFFFF><:>[[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상징.png|width=30px]]]] {{{#70000B '''[[대한민국|{{{#70000B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의원|{{{#70000B 국회의원}}}]] ([[경기도|{{{#70000B 경기}}}]] [[남양주시 갑|{{{#70000B 남양주시 갑}}}]])'''}}}||
         ||<width=30%><:>''선거구 개편''[br][[조정무]][* [[남양주시]] 선거구의 [[제16대 국회의원]]이다.]||<width=5%><:>→||<width=30%><:>'''제17~19대[br]최재성'''||<width=5%><:>→||<width=30%><:>제20대[br][[조응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제17대~20대 국회의원이며 지역구는 [[경기도]] [[남양주시 갑]]이었으나 [[20대 총선]] 때 불출마를 선언하여 잠시 야인이 되었다가, [[최명길(정치인)|최명길]] 의원의 의원직 상실로 치러진 [[2018년 재보궐선거|2018년 6.13 재보선]]에서 [[서울]] [[송파구 을]] 지역에 출마, 당선돼 국회로 돌아왔다. 소속 정당은 [[더불어민주당]]이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남양주시]]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열린우리당 사립학교법개정특별위원회 간사, 열린우리당 대변인, [[대통합민주신당]] 원내대변인 등을 역임하였다.
         다만 지방선거에 출마할 경우 [[경기도]] [[남양주시]]에서 오랫동안 활동해온 그가 [[서울시장]]에 출마하는 건 명분이 떨어져 그냥 설로 그칠 공산이 크지만 경기지사는 노려볼 만하다는 평가가 있다. 우선 [[경기도]]에서 내리 3선(=12년)을 했던 국회의원이었으니 명분과 정치 감각도 있을 테고 현역 국회의원이 아니기 때문에 당의 의석수 감소라거나 재보궐선거에 대한 부담이 없다.
         게다가 가능성은 많이 낮지만 [[경기북도|경기도의 남북 분리]]가 현실화되면 그가 내리 3선을 지낸 [[남양주시]]는 [[경기북도|경기도 북부의 광역단체]]에 속할 가능성이 높다. 그렇게 되면 주로 경기도 동남부 도시 지역구를 기반으로 하여 높은 지지도와 인지도를 확보한 이 시장을 피해 초대 [[경기북도]] 도지사라는 타이틀에 도전장을 내볼 수도 있으며 경기도 북부 출신이라는 점과 최근 경기도 북부의 신도시 건설로 인한 인구 증가, 그리고 [[고양시]], [[파주시]]에서 강해진 [[더불어민주당|민주당]]의 당세를 감안하면 최재성 전 의원이 사고(?) 한 번 크게 낼 수 있을 지도 모른다.
         ||2004||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남양주시 갑|남양주 갑]]) || [[열린우리당]] || '''30,877 (39.76%)''' || '''당선 (1위)''' || '''초선''' ||
  • 태미
         | 출생지 ={{KOR}} [[경기도]] [[남양주시]]
         [[분류:199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남양주시 출신]][[분류:한국체육대학교 동문]]
  • 한확
         사후 시신은 국내로 운구되어 [[경기도]] [[광주군 (경기도)|광주군]] [[초부면]](현,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산69-5) 동두미진 상조곡산에 안장되었다. 그의 묘소가 [[왕릉]]과 비슷한 크기라 하여 후일 능내, 능내동이라는 마을 이름이 유래하였다고 한다. 묘비명은 사가 서거정이 묘지명을 지었다. 한편 그의 부인의 묘소는 [[양주군]] [[은현면]] 용암리에 소재해 있다.
  • 홍진경
         | 출생지 = [[대한민국]] [[경기도]] [[남양주시]]
         [[경기도]] [[남양주시]] 에서 1남 1녀 중 장녀로 태어난 홍진경은 고등학교 1학년 때인 1993년 제2회 [[서울방송|SBS]] 슈퍼 모델 선발 대회에서 《베스트 포즈상》을 받고 연예계에 데뷔하였다.<ref>최지윤. [http://star.mk.co.kr/new/view.php?mc=ST&no=692771&year=2011 이소라·홍진경·송선미…잘 나가는 슈퍼모델 출신 ★들]. 매일경제. 2011년 10월 26일.</ref>
         [[분류:197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93년 데뷔]][[분류:남양주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희극인]][[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여성 기업인]][[분류:식품업자]][[분류:대한민국의 최고경영자]][[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분류:동국대학교 동문]][[분류:동아방송예술대학교 교수]][[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코드 - 비밀의 방 참가자]][[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
  • 흥친왕
         |매장지 =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창현리]]
         처음 그의 시신은 [[경기도]] [[김포군]] [[고란대면]](古蘭臺面) 풍곡리 야산 좌곤(坐坤)에 안장되었다가, [[1921년]] [[9월 1일]] [[양주군]] [[화도면]] 창현리(후일의 남양주시 화도읍 창현리)로 이장되었다. 이때 처음 [[광주군]] [[세촌면]] 수곡리 계좌에 안장되었다가 다시 [[양주군]] [[회암면]] [[회암리]](후일의 회천읍 회암리)에 안장되었던 부인 풍산홍씨 역시 이장되어 합장되었다. 그의 묘소 북서편, [[이우 (1912년)|이우]]의 묘소 우측 언덕에 후일 [[흥선대원군]] 내외의 묘소가 이장, 조성되었다.
         [[1920년]] [[양주군]] [[화도면]] 창현리(현, [[남양주시]] [[화도읍]] 창현리)로 이장되었다. 신도비는 [[1919년]] [[5월]] 세워졌다. 초창기에는 이희공전화 신도비명이라고 세웠지만<ref>초기의 탁본은 서울역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ref>, 훗날 누군가에 의해 훼손되고 [[1948년]] 신도비를 다시 세울 때는 흥친왕신도비로 제목 3글자가 바뀌어져서 세워졌다.
11830의 페이지중에 35개가 발견되었습니다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