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낙선"을(를) 전체 찾아보기

낙선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박희부 . . . . 12회 일치
         1980년 [[전두환]] 정권이 출범하자 정치규제를 당하였다가 1984년 해금되었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민주당]] 후보로 충청남도 연기군-[[대덕구|대덕군]]-[[금산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정의당]] [[천영성]] 후보와 [[민주한국당]] [[유한열]]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민주당]] 후보로 충청남도 연기군-대덕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민주공화당]] [[이인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0년 [[3당 합당]]으로 [[민주자유당]]이 출범할 때 합류하였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민주연합]] 김고성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7년 한보그룹 비리로 구속되었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2000년)|민주국민당]] 후보로 충청남도 [[공주시]]-연기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민주연합 [[정진석(정치인)|정진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열린우리당]] [[오시덕]]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7년 [[제17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한나라당]]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 후보 [[경선]] [[전당대회]]에서 [[박근혜]]를 지지하였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공천]]에서 탈락하자 [[무소속]]으로 세종특별자치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통합당]] [[이해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같은 해 치러진 [[제18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김덕룡]], [[문정수]], [[심완구]], [[강삼재]], [[이신범]], [[김정수(정치인)|김정수]], [[최기선]] 등과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를 지지하였다.
         || 1985 ||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충남 대덕/금산/연기) || [[신한민주당]] || 24,419 (17.45%) || 낙선 (3위) || ||
         || 1988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충남 대덕/연기) || [[통일민주당]] || 17,894 (20.46%) || 낙선 (2위) ||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충남 연기) || [[신한국당]] || 11,989 (29.77%) || 낙선 (2위) || ||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충남 공주/연기) || [[민주국민당(2000년)|민주국민당]] || 3,739 (3.72%) || 낙선 (6위) ||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충남 공주/연기) || [[새천년민주당]] || 7,797 (8.93%) || 낙선 (3위) ||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세종) || 무소속 || 1,071 (2.31%) || 낙선 (4위) || ||
  • 이기택 . . . . 12회 일치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부산 해운대구로 출마할까 말까 오랜시간 고민하다가 못 이기는 척(?) 전국구 상위순번을 배정받아 당선되었다. 반면에 [[노무현]]과 [[김정길(1945)|김정길]]은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과감하게 부산에 출마해서 [[지역감정]]의 역풍 속에서도 처절하게 싸우다가 장렬하게 패배하면서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때부터 부산에서 노무현은 4번, 김정길은 총 7번을 떨어졌으나, 김정길은 장관이 되었고 노무현은 결국 대통령이 되었다.] "초재선의원들이 지역구에서 지역감정과 맞서면서 죽을둥 살둥 싸우는데, 정작 격전지에 출마해서 바람을 불러일으켜야 할 당대표는 유유자적 전국구 상위 순번으로 편하게 금뱃지를 달았다"는 평가도 존재한다.[* 즉 지역구 당선가능성을 보고 간을 보다가 지역감정으로 안 될 거 같으니 전국구로 도망간 거 아니냐는 비아냥이다. 실제 당대표이자 영남권에서 가장 정치경력도 길고 지명도가 높은 이기택이 지역구 출마를 주저하면서 민주당의 영남권 선거전략이 제대로 꼬인 건 사실이다. 결국 노무현, 김정길과 몇몇 정치지망생들이 각개전투에 나서는 모양새가 되면서 모조리 낙선하였다. ~~뭘하던 당시 부산에서 김영삼을 넘기는 힘들었겠지만...~~]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당 고문으로서 [[해운대구]]-[[기장군]] 갑 지역구에 출마했다가 [[신한국당]] [[김운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그가 이끌던 통합민주당은 수도권에서 중도층의 지지를 일부 흡수하긴 했지만[[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25082|#]], 기존의 30석에서 15석(지역구 9석 + 전국구 6석)으로 의석이 반토막나면서 원내교섭단체 구성에 실패하였고, 같은 야권의 경쟁상대인 새정치국민회의에 비해 너무나도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서울특별시 지역에서는 양천구의 서경석 목사를 비롯한 쟁쟁한 후보들을 내보냈음에도 불구하고 강동구 갑의 [[이부영]]을 제외한 모든 인물들이 낙선을 면치 못했고, 거의 전지역 3위의 성적을 거두었다. 그리고 기대했던 부산광역시에서는 전원 낙선이었다. 그나마 경기도와 강원도에서 몇 개의 의석을 건지긴 했으나, 김영삼의 [[신한국당]]이 과반수 확보를 위해 황규선(이천시), [[이규택]](여주군), [[최욱철]](강릉시 갑) 등의 당선자 빼가기에 나서면서 폭망 확정.] 물론 김대중의 국민회의도 이때 상당히 부진했으나, 무엇보다 [[김종필]]의 [[자민련]]이 50석으로 크게 약진한 것과 크게 비교되었다.
         1997년에는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포항)|북구]] [[재보궐선거]]에서 죽어가는 당의 명운과 함께 자신의 마지막 정치적 생명을 걸고 출마하였다. 그러나 [[무소속]]으로 출마한 [[박태준]]에 밀려 낙선. 사실 태어나기는 포항에서 태어났지만 대부분의 정치적 기반을 부산에서 잡은 이상 당선되기는 어려웠다고 봐야 할 것이다.[* 게다가 상대가 포항의 경제를 쥐고 있는 [[포항제철]]의 창립자이니 이건 처음부터 안되는 싸움이었다.]
         2000년에는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이회창]] 총재의 독선에 반발하여 [[김윤환]], [[이수성(정치인)|이수성]], [[신상우]], [[조순(1928)|조순]] 등과 함께 탈당하여 [[민주국민당(2000년)|민주국민당]]을 창당하고 부산광역시 [[연제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권태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기택뿐만 아니라 김윤환, 신상우, 조순, [[김상현(1935)|김상현]], [[김동주(정치인)|김동주]] 등이 모두 낙선하였으며, 지역구에서 홀로 당선된 [[한승수]]를 제외한 거의 모든 민국당 인사들이 결국 낙선의 충격을 이겨내지 못하고 정계 은퇴를 하게 되었다. --그중 가장 [[안습]]인 인물이 재야에 있다가 뜬금없이 김윤환 등과 손을 잡은 장기표. 어쨌든 이때 이기택은 [[망했어요]].-- ~~아무 실익도 없이 통합민주당만 갖다바친 꼴~~ ~~통합민주당을 그냥 지키고만 있었어도 이런 꼴은 보지 않았을 것을~~
         이미 1970년대부터 태도결정에 너무 신중해 답답하다는 얘기가 돌았다. 만약 1990년 [[3당합당]] 때 차라리 김영삼을 따라갔다면, 김영삼의 후계자가 될 수 있었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혹은 노무현처럼 야권잔류 결단을 빨리 내리고 김영삼과 맞서는 모습을 보였다면, 최소한 제14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낙선을 두려워하지 않고 과감하게 [[지역감정]]에 맞서서 부산 해운대 지역구에 출마했다면,[* 뒤늦게 제15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지역구로 돌아왔지만 아무 실익이 없는 때늦은 결정이었다.] 노무현이 받았던 스포트라이트가 그에게 돌아올 수도 있었다. 또 1994년 한반도 전쟁위기때 대북문제와 관련하여 보다 빨리 분명한 입장을 취하였다면, 김대중의 컴백을 막고 1997년에 대권을 잡으며 그의 염원대로 3김시대를 종식시킬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 해운대/기장 갑) || [[통합민주당(1995년)|통합민주당]] || 55,163 (47.65%) || 낙선 (2위) || ||
         || 1997 || 1997년 7.24 재보궐선거 (15대 국회 경북 포항 북)[* 전임자 [[허화평]] [[12.12 군사반란]]으로 피선거권 상실] || [[통합민주당(1995년)|통합민주당]] || 35,137 (28.33%) || 낙선 (2위) || ||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 연제) || [[민주국민당]] || 26,060 (26.53%) || 낙선 (2위) || ||
  • 조원진 . . . . 10회 일치
         초기 정치 경력은 잘 알려져 있지는 않은데, [[이인제]]가 이끌던 [[국민신당(대한민국)|국민신당]]에도 가담해서 대구 수성 갑 지구당위원장을 역임한 적도 있었지만, 1998년 7월 재보궐선거를 앞두고 국민신당을 탈당하고 북구 갑 지역에 무소속으로 출마하면서 처음 선거 경력을 시작했다. 이때는 4등으로 보기 좋게 낙선했고, 16대 총선에서도 다시 무소속으로 북구 갑에 출마했지만, 역시나 4등으로 낙선했다. 이때까지는 [[극우]] 성향은 아니었다. 그리고 중국에서 사업을 했는데, 이때 몽골까지 진출하고 (몽골 현지 법인의 대표 역임) 세계한인무역협회의 상임이사 겸 베이징회장을 지냈다.
         개표 결과, 42,949표(0.13%)를 획득해 낙선이 확정되었다. 당초 박근혜 탄핵에 반대했던 유권자들의 대거 지지를 기대했으나 예상 득표율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초라한 득표율을 기록했는데, 대부분의 탄핵 반대자들이 좀 더 당선 가능성이 높은 홍준표에게 투표했으며 보수후보의 재집권이 어려워지자 [[박사모]] 등 극렬 새누리 지지자들도 일부 이탈하여 홍준표에게 투표한 것으로 보인다.[* 정작 무소속으로 나와서 지원이 불리하면서도 7위를 기록한 정치신인 김민찬(...)에게도 밀릴 뻔했다.(당장 울산과 경남, 호남, 충남, 충북, 제주, 세종에서 밀렸다.) 최종 순위는 6위]
         16대 총선에서 낙선한 후인 2001년엔 중국에서 무역 컨설팅 사업을 하기도 하였다. 이때 세계해외한인무역협회의 베이징 지회장을 역임하기도 하는 등, 사업 수완은 있는 인물로 사료된다. [[김우중]] 회장과의 인연이 있다. ~~그냥 사업이나 하지 왜 정치를 했을까~~
         자유한국당을 탈당하면서 달서 병 당협위원장직을 [[홍준표]]의 측근이자 비서실장이었던 [[강효상]]에게 헌납했기 때문에[* 홍준표는 북구 을 당협위원장이 되었다가 현재 사퇴하였다.] 다음 총선에서는 낙선할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달서구]] 인구가 [[2014년]]부터 감소하는 바람에 [[달서구 병]] 지역구가 [[21대 총선]]에서는 없어질 수도 있다.~~선거구 조정으로 변수가 있지만~~ [[월배]] 등 신시가지는 인구가 소폭 늘고 있지만 그의 지역구는 [[달서구]] 동북쪽 지역으로 구 시가지가 대부분이다.
         홍준표 대표는 2018년 1월 19일 대구 북구 을 당협위원장으로 갔기 때문에 홍 대표와의 경쟁은 일단 면하게 되었다. 하지만 주민들의 사표심리와 조원진의 [[조원진/논란|지역구 망신 행적들]] 때문에 낙선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홍준표는 지역구를 반납했지만 아직도 강효상이 지역구에 있으며 언론계에서 조선일보 편집국장과 TV조선 보도본부장을 맡으며 잔뼈가 굵기라도 한 강효상과는 달리 조원진은 아무 것도 없는 수준인지라 더더욱 낙선 가능성이 크다. 심지어 강효상, 조원진, 바른미래당 후보가 셋이 보수표를 갈라먹어서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달서구 병에서 당선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 1998 || [[1998년 재보궐선거 #s-3|7.21 재보궐선거]][br](대구 북구 갑) || [[무소속]] || 2,453(5.0%) || 낙선(4위) || ||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br](대구 북구 갑) || [[무소속]] || 5,526(7.6%) || 낙선(4위) || ||
         || 2017 || [[제19대 대통령 선거]][* 전임자 [[박근혜]] [[박근혜 대통령 탄핵 심판|탄핵 인용에 따른 파면]]으로 인한 [[궐위에 의한 선거]]] || '''[[새누리당(2017년)|새누리당]]''' || 42,949 (0.13%) || 낙선 (6위) || ||
  • 한창희(전공기업인) . . . . 10회 일치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충청북도 충주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새천년민주당]] [[이원성]]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열린우리당]] [[이시종]]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시종의 충주시장직 사임으로 치러진 [[재보궐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충주시장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한나라당 후보로 충주시장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러나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같은 해 9월 충주시장직을 상실하였다. [* 한나라에서 [[영구제명]]되어 아직까지도 복당이 안된다. 2014년 [[새정치민주연합]](현:[[더민주]])으로 소속을 바꿨다고 한다.출처:[[http://blog.naver.com/choongjuhan/90195670102]] ]2011년 4월 [[한국농어촌공사]] [[감사]]로 임명되었다.
         [[우건도]]의 충주시장직 상실로 치러진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충주시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현 한국당)[[이종배]]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로 충주시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새누리당]](현 한국당) [[조길형(1962)|조길형]]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윤진식의 국회의원직 사퇴로 치러진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서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로 충청북도 충주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새누리당 [[이종배]]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충북 충주) || [[한나라당]] || 33,886 (35.30%) || 낙선 (2위) ||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충북 충주) || [[한나라당]] || 32,973 (36.85%) || 낙선 (2위) || ||
         || 2011 ||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민선 5기 충주시장)[* 전임자 우건도 당선무효] || 무소속 || 9,072 (13.07%) || 낙선 (3위) || ||
         || 2014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북 충주시장) || [[새정치민주연합]] || 41,230 (43.02%) || 낙선 (2위) || ||
         || 2014 ||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19대 국회 충북 충주)[* 전임자 [[윤진식]] 충청북도지사 선거 출마로 사직] || [[새정치민주연합]] || 16,4920 (29.60%) || 낙선 (2위) || ||
  • 김영환(1955) . . . . 9회 일치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열린우리당 [[장경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6년에는 [[민주당(2005년)|민주당]] 서울시장 후보로 출마하려고 하였으나, [[박주선]] 의원이 전략공천되면서 경선을 요구하며 당 지도부와 갈등을 빚기도 했다. 2007년에는 [[이인제]] 민주당 대선후보의 충청선대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08년 1월 [[민주당(2005년)|민주당]]을 탈당하여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이화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열린우리당 계열과의 반목이 심했던 터라, 합당에 반발하여, 한나라당 입당도 진지하게 검토했다고 한다.] 이후 [[민주당(2008년)|민주당]]에 복당하였다.
         20대 총선에서 낙선하여 야인이 된 현재는 본업이었던 치과의사로 복귀했다. [[http://www.trustden.com/%ED%81%B4%EB%A6%AC%EB%8B%89-%EC%86%8C%EA%B0%9C|이해박는집 홈페이지]] 다만 지역구인 상록구가 아닌 단원구에 치과가 있으며, 이 치과가 2012년 선거벽보에도 개재되어 있는 것을 보면 나름 오랫동안 영업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바른미래당 당 대표에 출마했으나 [[손학규]]가 당대표에 당선되고 [[하태경]], [[권은희]], [[이준석(정치인)|이준석]]이 최고위원에 당선되면서 결국은 전당대회마저도 낙선의 고배를 마셔야 했다. 낙선 후 당분간은 정치 대신 본업(치과의사)에 전념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안산시 상록구 갑]]) || [[새천년민주당]] || 18,631 (26.09%) || 낙선 (2위) ||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안산시 상록구 갑) || 무소속 || 14,355 (23.92%) || 낙선 (3위) ||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안산시 상록구 을) || [[국민의당]] || 23,837 (33.47%) || 낙선 (2위) || ||
         || 2018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기도지사) || [[바른미래당]] || 287,504 (4.81%) || 낙선 (3위) || ||
  • 이갑성 . . . . 9회 일치
         이때 [[김규식]](金奎植) 등의 좌우합작에 협력하던 중 그뒤 단정 수립론과 남북협상론이 나오자 [[이승만]]의 단정 수립론을 지지하였다. [[1948년]] [[3월]] [[미 군정]]청 군정장관 딘 소장으로부터 [[5·10 총선거]]를 관리하기 위한 중앙선거위원회 위원의 한 사람에 임명되었다. [[1948년]] [[5월]]에는 [[이승만]]의 친위조직화된 [[대한인국민회]] 소속으로 대구에서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이후 [[대한인국민회]]를 지도, 운영하였다.
         [[1951년]] [[5월 16일]] [[이시영]] [[부통령]]의 사퇴로, [[부산 피난지]]에서 열린 [[제2대 국회]]에서 실시한 제2대 부통령선거에서 여당격인 [[대한국민당 (1948년)|대한국민당]] 소속 [[부통령]] 후보로 입후보하였으나 낙선했다. 재적 국회의원 210명 중 재석의원 151명에 의해 선출된 부통령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1949년)|민주국민당]] 소속 [[김성수 (1891년)|김성수]]와 경합했는데, 1차 투표와 2차 투표에서 당선표수 미달, 3차 투표에서 73표를 얻어 낙선, 78표를 얻은 [[김성수 (1891년)|김성수]]가 부통령으로 선출됐다.
         [[1956년]] 정, 부통령 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하기 위해 [[자유당 (대한민국)|자유당]]을 일시 탈당하고 부통령 후보로 출마하였다. 이때 대통령 후보로는 [[이승만]]을 지지한다 하고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1960년]]의 정부통령 선거에도 부통령으로 입후보하였으나 군소부호로 낙선하였다.
         |[[대한민국 제1대 국회의원 선거|제1대 총선]]||[[대구시의 국회의원|국회의원(경북 대구시 병)]]||1대||[[대한인국민회]]||-||-||-||낙선
         |[[대한민국 제2대 부통령 보궐선거|제2대 부통령 보궐선거]]||[[대한민국 부통령|부통령]]||2대||[[대한국민당 (1948년)|대한국민당]]||{{막대|자|4|8|7}} 48.7%||73표||2위||낙선
         |[[대한민국 제2대 대통령 선거|제3대 부통령 선거]]||[[대한민국 부통령|부통령]]||3대||[[자유당 (대한민국)|자유당]] 합동파||{{막대|옥|0|7}} 7%||500,972표||4위||낙선
         |[[대한민국 제3대 대통령 선거|제4대 부통령 선거]]||[[대한민국 부통령|부통령]]||4대||[[무소속]]||-||-||-||낙선
  • 김기철 . . . . 8회 일치
         [[8.15 광복]] 후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충주군 청년연맹위원장, 대동청년단 충주군단장 등을 역임하였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동청년단]] 후보로 충청북도 충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조대연]]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현역]] [[지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인 무소속 조대연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그러나 이후 [[이승만]]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의 독재에 반대하여 자유당을 탈당하여 [[민주당(1955년)|민주당]]에 입당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충청북도 충주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당 홍병각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5.16 군사정변]] 이후 치러진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충청북도 충주시-중원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민주당(대한민국)|자유민주당]] [[이희승(1913)|이희승]]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민중당(1965년)|민중당]]에 몸담았다가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1967년)|신민당]] 공천에서 탈락하자 재건 민주당 전국구 국회의원으로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이후 다시 신민당에 몸담았다.
         || 1950 || [[제2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북도 충주군) || [[무소속]] || - || 낙선 || ||
         || 1958 || [[제4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북도 충주시) || [[민주당(1955년)|민주당]] || - || 낙선 || ||
         || 1963 ||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북도 충주시-중원군) || [[민주당계 정당|민주당]] || - || 낙선 || ||
         || 1967 ||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 || [[민주당계 정당|민주당]] || - || 낙선 || ||
  • 김태룡(정치인) . . . . 8회 일치
         1963년 [[국민의당(1963년)|국민의당]] 창당에 참여하였다. 이후 민주당, [[민중당(1965년)|민중당]] 등의 야당에 몸담았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1967년)|신민당]] 후보로 충청남도 대전시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1963년)|민주공화당]] [[김용태(1926)|김용태]]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충청남도 대전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김용태 후보와 [[민주통일당]] [[박병배]][* 재검표로 당선 확정]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75년 [[긴급조치]] 9호로 구속되었다. 1977년 [[이철승]] 대표최고위원의 온건노선에 반발하여 신민당야당성회복투쟁위원회 공동의장 겸 대변인을 역임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민주당 후보로 충청남도 대전시 [[서구(대전)|서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민주공화당]] 박충순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0년 [[3당 합당]]으로 [[민주자유당]]이 출범하자 참여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공천]]에 탈락하자 [[통일국민당]] 후보로 [[대전광역시|대전직할시]] 서구-[[유성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친여 [[무소속]] [[이재환(정치인)|이재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 1971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대전시) || [[신민당(1967년)|신민당]] || - || 낙선 || ||
         || 1973 ||[[제9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대전시) || [[신민당(1967년)|신민당]] || - || 낙선 || ||
         || 1988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대전시 [[서구(대전)|서구]]) || [[통일민주당]] || - || 낙선 || ||
         || 199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대전광역시|대전직할시]] 서구-[[유성구]]) || [[통일국민당]] || - || 낙선 || ||
  • 김만수(정치인) . . . . 7회 일치
         2003년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춘추관장을 지냈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현역]] [[지역구]] 국회의원인 [[한나라당]] [[김문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언론에서는 이를 두고 '''문수 대 만수'''라는 드립을 쳤다.(...) 원래 시의원일 때도 지역구가 오정구에 속한 원종2동이었지만, 오정구는 자신이 모신 [[원혜영]]이 철옹성처럼 지키고 있어서 결국 김문수가 지키고 있는 소사 지역구를 선택해야 했다. 그리고 이때는 김문수가 아직 개념잡고 국회의원으로서 의정활동 성실히 하고 지역구 관리 아주 제대로 하던 때였으니 탄핵풍을 등에 업었음에도 도저히 상대가 안되었다.
         2005년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대변인을 지냈다. 김문수가 ~~[[도지삽니다]]~~도지사 선거에 출마하면서 생긴 [[2006년 재보궐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출마했으나 집권여당의 인기가 최악이어서 낙선,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2008년은 뉴타운 광풍으로 인해 민주당계 정당이 역대 최악의 패배를 당한 선거여서 김만수 역시도 그 광풍을 빗겨가지 못했다. 2006년과 2008년 모두 김문수의 보좌관 출신으로써 지역구를 물려받은 한나라당 [[차명진(정치인)|차명진]]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다만 실제로는 차명진 전 국회의원과 절친한 사이라고 한다. 2010년에 부천시장으로 당선되었을때 당이 다름에도 차명진 당시 의원이 축하 연설을 해 주기도 했다.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시장으로 방향을 바꿔, [[민주당(2008년)|민주당]] 후보로 경기도 부천[[시장(공무원)|시장]] 선거에 출마하여 현직 시장인 한나라당 [[홍건표]]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본래는 3차례 연속 낙선을 하고 정치는 자신의 길이 아닌 것으로 추정하고 정계 은퇴까지 고려했으나, 자신이 모셨던 노무현 대통령의 서거를 계기로 다시 일어섰다고 당선 인터뷰에서 회고했다. 실제로 노무현 대통령 서거로 인한 여론의 반전과, 현직 시장이었던 홍건표의 연이은 실정으로 인한 심판론으로 인해 22%, 7만표 차이라는 엄청난 차이로 당선되었고, 드디어 선거 첫 승리를 맛봤다.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부천 소사) || [[열린우리당]] || 38,072 (39.97%) || 낙선 (2위) || ||
         || 2006 || [[2006년 재보궐선거|상반기 재보궐선거]] (경기 부천 소사 국회의원) || [[열린우리당]] || 11,712 (30.32%) || 낙선 (2위) || [* 전임자 김문수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기도지사 출마로 사퇴]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부천 소사) || [[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 27,224 (36.17%) || 낙선 (2위) || ||
  • 울진군 . . . . 7회 일치
         역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울진은 경상북도와는 조금 다른 성향을 보였는데, 지역적 성향 탓도 있지만 [[김중권]]이라는 지역 유명 정치인 때문이다. 1981년부터 3선을 달리고 이후 20년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6번이나 연이어 낙선했으나 매우 높은 득표를 보였다. [[민주정의당]] - [[민주자유당]] - 공천탈락 - "무당파국민연합" - [[김대중]] 정부의 초대 [[대통령비서실]]장 + [[새천년민주당]] 대표 - 무소속의 길을 밟았으며,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노무현]] 대통령보다도 먼저 "영남 대통령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었다. 2012년에는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를 지지하였다.
         김중권 후보가 이런 테크를 타게 된데에는 3선 이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의 낙선이 크게 작용했는데, 당시 지역 발전을 위해 유치한 원전에 반대하여 울진 지지층 상당수가 이탈했기 때문이라고. 지금의 울진의 주변지역에 비해 상대적 번영을 생각하면 역설인 셈이다. 그래도 밑에서 보이듯 이탈한 표는 다시 돌아왔다. 하지만 탄핵 역풍이나 다른 지역의 새누리 지지로 끝내 당선은 늘 실패했다.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새천년민주당]] 깃발을 달고도 불과 19표(0.03%)차로 낙선하는 기염을 토했다. 물론 중요한 건 낙선했다는 거지만. 당시 [[김광원]] 후보도 같은 울진 출신이었을 뿐더러, [[삼척시]] 산불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투표에 참여하지 못해 낙선하고 말았다는 이야기가 있다. 17대 총선에서 민주당의 분열에 따라 당을 탈당, [[서울특별시]] [[마포구]]을 출마를 포기하고 열린우리당 후보가 정해진 이 지역구로 다시 무소속 출마했다. 탄핵열풍에도 열린우리당 후보(박영무, 24.02%)와 표를 나눠먹으며 26.9%로 낙선. 이때 탄핵열풍을 타러 열린우리당에 입당했으면 당선될 수 있었지만 결국 그러진 않았고,민주당 후보가 없던 18대 총선에서도 38.9%를 얻으며 낙선.
  • 김승목 . . . . 6회 일치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김영삼]]과 신민당 복수공천을 받아 부산직할시 [[서구(부산)|서구]]-동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김영삼과 [[민주공화당(1963년)|민주공화당]] [[박찬종]] 후보에 밀려 3위 이하 득표로 낙선하였다. 1974년 [[정일형]] 등이 화요회라는 계보를 창설하자 화요회에 속하였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부산직할시 [[남구(부산)|남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공화당 [[김재홍(1932)|김재홍]]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한국당]] 후보로 부산직할시 [[해운대구]]-남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정의당]] [[이흥수(1928)|이흥수]]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한국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한민주당]] [[이기택]] 후보와 민주정의당 [[유흥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평화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마포구]]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통일민주당]] [[강신옥]]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1991년)|민주당]] 공천에서 [[김현규]]에 밀려 탈락하였다.
         || 1973 || [[제9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직할시 [[서구(부산)|서구]]-동구) || [[신민당(1967년)|신민당]] || || 낙선 || ||
         || 1985 ||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직할시 [[해운대구]]-남구) || [[민주한국당]] || || 낙선 || ||
         || 1988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마포구]]을) || [[평화민주당]] || || 낙선 || ||
  • 김윤환 . . . . 6회 일치
         [[경북고등학교]]와 [[경북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지역 언론사인 [[영남일보]]와 [[대구일보]]를 거쳐 [[조선일보]]에 입사해 일본특파원 및 편집국장 대리를 거쳤다. 이 시절에 오랫동안 주일 특파원으로 있으면서 [[일본]]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의 금권 정치, 계파-계보 정치, 막후 정치를 보고 배운다. 중간에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경상북도 [[성주군]]-[[칠곡군]]-[[구미시|선산군]]-[[군위군]] 선거구에 출마([[민주공화당(1963년)|민주공화당]] [[신현확]] 후보와 [[신민당(1967년)|신민당]] [[김창환(정치인)|김창환]] 후보에 밀려 낙선)하는 등 정치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기사는 거의 쓰지 않았다고 한다. 결국 1978년 [[유신정우회]]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으로 정계에 진출하였다.
         16대 총선 낙선 후 김윤환은 민국당의 대표를 맡아 당을 추스리는 역할을 하게 되었지만.. 이때부터 그의 몸에는 2년 뒤 그를 죽음으로 몰아가는 암이 자라고 있었다고 한다. 게다가 이회창에게 토사구팽을 당한 분노는 사그라들지 않아 그의 건강을 심각하게 해쳤다. 당시 김윤환을 만났던 [[최병렬]]의 말에 따르면 함께 [[스테이크]]를 시켜놓고는 썰어놓지도 않은 채로 한 시간이 넘도록 이회창에 대한 분노를 쏟아냈다고 한다. 암이 자라지 않을래야 않을 수가;; 이후 여당인 [[새천년민주당]]의 약세와 [[자유민주연합]]의 패망으로 나름대로의 입지를 살려 3당 연합(혹은 DJP 재연합)에 낄 수 있었지만, 2001년 10월 [[임동원]] 통일부 장관 해임건의안 통과로 DJP 연합이 완전히 붕괴되자 유일한 지역구 의원 [[한승수]]도 탈당해버렸다.[* 한승수는 무소속 의원 신분으로 외교통상부 장관직을 유지하다가, 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이 압승하자 7월 장관을 사퇴하고 한나라당에 입당하여 이회창 후보의 외교담당 특별자문이 되었다.] '''이 시기 "호남이 밀어 주는 영남 대통령론"으로 [[이회창]]을 패망시키는 정치공학적 구도를 구상했고 [[듣보잡|이 때까지만 해도 인지도가 낮아 가능성이 없다]]이라고 여겨졌던 [[노무현]]이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하지만 노무현과 김윤환이 협력하는 일은 없었고[* YS에게 팽당한 5공, 유신 세력을 포용한 김대중과는 달리, 노무현은 3당 합당 당시부터 보여주었던 자신의 원칙대로 옛 군부 정권 시절 인사들과의 타협을 거부하고, 대신 자신과 뜻을 함께했던 주변 사람들을 세웠다. 5공 시절부터 킹메이커로 이름을 날린, 그것도 TK의 좌장이나 다름없던 김윤환이 노무현과 연합할 가능성은 애초부터 없던 셈.] 김윤환 본인은 대선 직후 [[신장암]] 말기 판정을 받았다. [[http://www.viewsnnews.com/article/view.jsp?seq=2114|#]]
         대화와 협력을 명분으로 실제론 막후 밀실에서 정치자금과 권력을 배경으로 야합하는 [[일본]]식 정치의 대명사였다. 하지만 노무현이 실제 "호남이 밀어주는 영남 대통령"으로서[* 개혁 성향의 영남후보를 세워서 영남표를 잠식하고 수도권의 개혁 성향 야당표를 결집시켜야 한나라당의 호남 포위 구도를 깨뜨릴 수 있다는 내용이다. 실제 [[천하삼분지계]]가 [[제갈량]]만의 독창적 사고가 아니라 당시 주요 책사들의 공통적 인식이었던 것처럼 '호남이 밀어주는 영남 대통령'도 정치권에서 민주당이 승리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시나리오로 여겨지던 내용이다. [[노무현]]의 지지율이 2~3%에 불과할 때도 일단 민주당 후보 경선만 통과한다면 대선 승리 가능성으론 가장 높을 것이란 평가가 정치부 기자들 사이에선 지배적이었다.] 당선된 것이나, 홀로 여러 계파를 다룬 점 등 정치적 능력은 타의 추종을 불허했다. 뿐만 아니라 민주화 운동가로 활동하던 시절 김윤환이 속해 있던 민주정의당에 맞서 싸웠던 [[김근태]]는 국회의원이 되어 김윤환을 만난 다음 "그래도 김 선배 같은 사람이 있었기 때문에 장내에서 민주주의의 명맥이 이어질 수 있었다."는 평가를 했고, 언론계 인사들 역시 "허주는 순리를 바탕으로 정치를 물 흐르듯 한다."는 평을 아끼지 않았던 점을 보면 친화력만큼은 역대 정치인들 가운데 최고로 손꼽힐 수 있을 만큼 대단했던 사람이다. 그러나 죽기 직전에 낙선하고 정계에서 은퇴한 이회창이 사과의 뜻을 표했으나 공식적 화해 없이 세상을 떴다.
         || 1973 || [[제9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8선거구)[* 칠곡, 군위, 성주, 선산] || 무소속 || 18,521 (11.64%) || 낙선 (4위) || ||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구미) || [[민주국민당(2000년)|민주국민당]] || 39,207 (32.07%) || 낙선 (2위) || ||
          * 그의 친동생인 [[김태환(1943)|김태환]]은 17대, 18대, 19대(한나라당 - [[새누리당]]) 국회의원이다. 지역구는 [[구미시]] 을인데, 이 곳은 15대 국회의원 시절 김윤환의 지역구였다. 16대에도 [[구미시]](단일 지역구)로 출마했으나 이 때는 김윤환이 2위로 낙선했다. 2012년부터 2014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안전행정위원장을 역임하였다.
  • 박기환(정치인) . . . . 6회 일치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민주당]] 후보로 경상북도 영일군-[[울릉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정의당]] [[이상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0년 [[3당 합당]] 때 [[민주자유당]]에 합류하지 않고 [[민주당(1990년)|꼬마민주당]]에 잔류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1991년)|민주당]] 후보로 경상북도 포항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친여 [[무소속]] [[허화평]]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을 탈당하여 [[자유민주연합]] 후보로 포항시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정장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으로 포항시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정장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포항)|남구]]-울릉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이상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으로 포항시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박승호(정치인)|박승호]]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 박준규(1925) . . . . 6회 일치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경상북도 [[달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조재천]]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1955년)|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당]] [[김성곤]]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1963년)|민주공화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성동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5년부터 1969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외무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민주공화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러나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성동구 병 선거구에 출마하였다가 [[신민당(1967년)|신민당]] [[정운갑]]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그 해 [[10.2 항명 파동]]으로 [[중앙정보부]]에서 [[고문]]당한 [[김성곤]]이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직을 사퇴하여 치러진 경상북도 달성군-[[고령군]] 선거구 재보궐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 1954 || [[제3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6선거구)[* 달성] || 무소속 || 6,720 (12.69%) || 낙선 (3위) || ||
         || 1958 || [[제4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10선거구)[* 달성] || [[민주당(1955년)|민주당]] || 8,805 (27.24%) || 낙선 (2위) || ||
         || 1971 ||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7선거구)[* 성동 을] || 민주공화당 || 33,026 (35.32%) || 낙선 (2위) || ||
  • 서훈 (1942년) . . . . 6회 일치
         경북대학교 법대 재학시 총학생 회장으로 6.3 한일 굴욕회담 반대 투쟁을 주도하였고 ROTC 대위로 전역한 이후 신민당 시절 김영삼 의원 보좌관으로 정치에 입문했다. 이후 대구에서 신민당, 통일민주당 공천으로 국회의원에 출마하였으나 번번히 낙선하였다. 영남지역 재야 민주화 운동 지도자로 교육에도 관심이 높아 가난한 지역학생들을 위해 팔공 재건학교와 같은 야학을 오랬동안 운영하였다. 1990년에 김영삼 총재가 3당 합당을 선언하고 민주자유당을 창당했을때 이를 민주화 세력에 대한 배신으로 규정하고 오랜 정치적 후원자였던 김영삼 총재와 결별하게 된다.
         [[대한민국 제13대 총선|13대 총선]]에서는 [[통일민주당]] 소속으로, [[대한민국 제14대 총선|14대 총선]]에서는 [[통일국민당]] 공천으로 출마해 낙선했으나, [[1993년]] [[문민정부]] 초기에 [[공직자 재산공개]]로 [[박준규 (1925년)|박준규]] 당시 국회의장이 의원직 사퇴를 선언해서 치러진 보궐선거에서 [[민주자유당]] [[노동일]] 후보에 신승하면서 국회에 입성한다. 당시 지역감정이 억세기로 소문난 대구 지역 유일의 무소속 당선자여서 화제를 모았고, 자전거를 타고 국회에 출근하며 타 국회의원들이 언급하기 꺼려하는 국정사항에 대해 과감하게 질의하는 등의 소신 행보로 화제를 모은다.
         이를 기반으로 [[대한민국 제15대 총선|15대 총선]]에서 재선에 성공한 뒤 [[2000년]]의 [[대한민국 제16대 총선|16대 총선]]에서 [[한나라당]]의 공천을 신청했으나 [[1997년]]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15대 대선]] 당시 [[이회창]] 총재의 비토론자였다는 이유로 낙천되었고, 이 후 [[김윤환 (1932년)|김윤환]]을 따라 [[민주국민당 (2000년)|민주국민당]]으로 출마했으나 낙선한다.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제13대 총선]]||[[대구 서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대구 서구 갑)]]||13대||[[통일민주당]]||{{막대|적|1|9|7|8}} 19.78%||19,242표||3위||낙선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제14대 총선]]||[[대구 동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대구 동구 을)]]||14대||[[통일국민당 (대한민국)|통일국민당]]||{{막대|자민|4|2|5|9}} 42.59%||29,843표||2위||낙선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제16대 총선]]||[[대구 동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대구 동구)]]||16대||[[민주국민당 (2000년)|민주국민당]]||{{막대|옥|0|7|8|1}} 7.81%||10,267표||3위||낙선
  • 오중기 . . . . 6회 일치
         당내 선거와는 달리 본선에서는 계속해서 고배를 마셨다. 2012년 총선에서 야권단일화를 위해 불출마한 것을 제외하고, 2014년 경북도지사 선거와 2016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다시 낙선을 겪었다. 득표율이 낮아 선거비용을 100% 환급받은 적이 아직 없는데, 특히 2014년 경북도지사 선거에서는 15%에 겨우 0.07%포인트가 모자랐다.[* 선거 비용 100% 환급 기준은 15% 이상의 득표율이다.] --안습-- 2016년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그나마 가능성이 있는 [[새누리당]]출신 무소속 [[박승호(정치인)|박승호]] 후보에 표가 몰려 12.71% 득표에 그쳤다. 이후 2013년엔 [[제18대 대선]] 패배 이후 혼란스러웠던 [[민주통합당]]의 [[문희상]] 비상대책위원회 체제에서 비대위원으로 임명되었다. 2016년 경북도당위원장 선거에서는 현역 국회의원인 [[김현권]] 의원을 누르고 도당위원장 4선에 성공했다.
         2018년 4월 3일 경상북도지사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단수공천이 확정되었으나[[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3&aid=0008523033|#]] 상대 후보인 [[이철우(1955)|이철우]]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하지만 경북에 출마한 민주당 후보로써는 최선의 결과, 더 나아가서는 최고의 결과를 내었다. --선거비용을 보전받은 것은 덤-- 이 기록은 역대 민주당계 정당 소속 경북지사 후보가 받은 득표율 최고치를 갱신한 것으로, 직전 기록은 현 자유한국당 소속 의원인 [[박명재]]가 2006년 4대 지선 당시 열린우리당 당적으로 기록한 23.19%이다.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포항 북) || [[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 5,609 (5.79%) || 낙선 (3위) || ||
         || 2014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상북도지사) || [[새정치민주연합]] || 189,603 (14.93%) || 낙선 (2위)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포항 북) || [[더불어민주당]] || 16,559 (12.71%) || 낙선 (3위) || ||
         || 2018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상북도지사) || [[더불어민주당]] || 482,564 (34.32%) || 낙선 (2위) || ||
  • 임대윤 . . . . 6회 일치
         민선 2·3기 대구 동구청장을 지냈고, 2017년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을 역임하였다. 2018년 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대구광역시장 후보로 선출되었으나 2위로 낙선하였다.<ref>김일우,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841508.html 민주당 대구시장 후보에 임대윤], 한겨레신문</ref>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14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 | [[대구 동구의 국회의원|대구 동구 갑]] | 민주당1991 | 11,763 표| 12.78 | 3위 |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낙선]] | }}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15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 | [[대구 동구의 국회의원|대구 동구 갑]] | 민주당1995 | 5,977 표| 7.98 | 5위 |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낙선]] | }}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17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 | [[대구 동구의 국회의원|대구 동구 을]] | 무소속 | 17,209 표| 20.95 | 3위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대구광역시#동구 을|낙선]] | }}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19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 | [[대구 동구의 국회의원|대구 동구 갑]] | 민주통합당 | 14,142 표| 23.67 | 2위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대구광역시#동구 갑|낙선]] | }}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7회 지방 선거|지방 선거]] | 34대 | [[지방 관청|시장]] | [[대구광역시장|대구광역시]] | 더불어민주당 |458,112 표| 39.75 | 2위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구광역시|낙선]] | 민선 7기 }}
  • 박상돈(정치인) . . . . 5회 일치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국회의원]]직을 사퇴하고 [[자유선진당]] 후보로 충청남[[도지사]]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2008년)|민주당]] [[안희정]]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선진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통합당]] [[박완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같은 해 자유선진당이 [[국민생각]]과 합당하여 [[선진통일당]] 소속이 되었다가 선진통일당이 새누리당에 흡수되자 [[새누리당]] 소속이 되었다. 이후 [[자유한국당]] 소속이 되었다.
         || 2010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청남도지사) || [[자유선진당]] || 347,265 (34.94%) || 낙선 (2위) ||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충남 천안 을) || [[자유선진당]] || 18,075 (18.06%) || 낙선 (3위) || ||
         || 2018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남 천안시장) || [[자유한국당]] || 92,119 (35.31%) || 낙선 (2위) || ||
  • 유한식 . . . . 5회 일치
         [[2007년]] [[10월]]에 [[이기봉]] 전 [[군수]]가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당선이 무효되자 연기군수 재보궐 선거에 출마를 선언하였으나 같은 당의 최준섭에게 공천에서 밀려 탈락하자 무소속으로 출마했지만 3위로 [[낙선]]한다. 그런데 최준섭 군수 또한 선거법 위반으로 당선이 무효되면서 다시 보궐에 선거에 국민중심당 공천을 받아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자유선진당]]에 속하였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새정치민주연합]] [[이춘희]] 후보에게 밀려 낙선하였다.
         || 2006년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4회 지방 선거]] [BR]충남도의원(연기군 제2선거구) || [[국민중심당]] || 6,048표 (31.41%) || 낙선(2위) || ||
         || 2007년 || [[2007년 재보궐선거 #s-3|12·19 재보궐선거]][BR]충남 연기군수 34대 (민선 4기) || 무소속 || 4,695표 (11.3%) || 낙선(3위) || ||
         || 2014년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6회 지방 선거]] [BR]세종특별자치시장 2대 (민선 6기) || [[새누리당]] || 26,451표 (42.21%) || 낙선(2위) || ||
  • 윤진식(국회의원) . . . . 5회 일치
         2007년 [[제17대 대통령 선거]] 직후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산하 국가경쟁력강화특별위원회 부위원장,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투자유치TF팀 팀장 등을 역임하며 정치적 노선을 변경하였다. --[[우디르|윤진식급 태세전환]]--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충청북도 충주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이시종]]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그래도 이때 일방적으로 패할 것이란 여론조사 예측을 깨고 이시종과 2% 차의 격전을 벌여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이후 한국투자금융지주 [[회장]], 대통령실(현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 대통령실 정책실장 등을 역임하였다. 여담으로 이시종은 [[민주자유당]]-[[신한국당]]-[[한나라당]]에서 충주시장을 맡았으나, 2003년 돌연 시장직을 사퇴하고 한나라당을 탈당했으며, 2004년 [[열린우리당]]에 들어간 이후 지금까지 [[더불어민주당]] 소속이다.
         그러나 결과는 친구인 [[새정치민주연합]] 이시종 후보에 밀려 또 낙선하였다.~~친구하고 선거에 붙으면 운이 없다~~ 충주권 맞불전략은 성공을 거두어 충주에서 오히려 4,473표차로 앞섰으나[* 충주는 원래 매우 보수적인 지역 중 하나다. 이시종 지사의 개인기로 민주당이 가져왔던 것일 뿐인데, 윤진식 후보도 같은 충주 출신이라 이번에는 새누리당 이긴 것. 참고로 윤진식 후보가 충주 국회의원직을 사퇴하면서 벌어진 재보궐선거에서도 새누리당의 [[이종배]] 후보가 당선되었다.] 충북 최대 인구밀집지인 청주권에서 17,262표차로 패했다. 참고로 양 후보간 표 차이는 14,963표.~~충북지사 선거는 원래 청주만 이기면 90%는 먹고 들어간다~~
         이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는 출마하지 않았다. 충주 지역구는 자신의 후임인 [[이종배]] 의원이 지키고 있어 뺏는 모양새가 안 좋았고, 청주권은 오랜 기간 자리를 지킨 후보들이 많아서 밀고 들어가기 어려웠던 탓이다.~~그런데 청주권에선 정우택 의원 하나 살고 새누리당 모두 낙선~~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충북 충주) || [[한나라당]] || 37,565 (46.09%) || 낙선 (2위) || ||
         || 2014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청북도지사) || [[새누리당]] || 346,152 (47.68%) || 낙선 (2위) || ||
  • 이강철 (1947년) . . . . 5회 일치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제13대 총선]]||[[대구 수성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대구 수성구)]]||13대||[[한겨레민주당]]||{{막대|민노|0|5|6|5}} 5.65%||8,459표||4위||낙선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제14대 총선]]||[[대구 중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대구 중구)]]||14대||[[민주당 (대한민국, 1991년)|민주당]]||{{막대|녹|1|8|1|8}} 19.18%||12,122표||3위||낙선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제15대 총선]]||[[대구 중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대구 중구)]]||15대||[[민주당 (대한민국, 1995년)|통합민주당]]||{{막대|늘|1|3|5|5}} 13.55%||7,183표||3위||낙선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제17대 총선]]||[[대구 동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대구 동구 갑)]]||17대||[[열린우리당]] ||{{막대|열린|3|5|1|1}} 35.11%|| 24,529표||2위||낙선
         |[[2005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10·26 재보궐선거]]||[[대구 동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대구 동구 을)]]||17대||[[열린우리당]]||{{막대|열린|4|4|0|8}} 44.08%||30,789표||2위||낙선
  • 이희승(1913) . . . . 5회 일치
         [[8.15 광복]] 후 충북자동차주식회사 취체역, 주한미군 제7사단통역관, 경기도청 및 내무부(현 행정자치부) 통역관 등으로 활동하였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충청북도 충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대동청년단]] [[김기철]]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조대연]]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6.25 전쟁]]이 일어나자 UNKRA 및 KCAC 정치고문, 문교부(현 [[대한민국 교육부]]) 기술교육원부원장서리, [[미군]] 작전과 포로심사관 등으로 활동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당]] 김기철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1955년)|민주당]]에 충청북도 충주시 선거구로 [[공천]]을 신청하였으나 [[현역]] [[지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인 김기철에 밀려 탈락하였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충청북도 중원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현역 지역구 국회의원인 무소속 [[정상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민주당(대한민국)|자유민주당]] 후보로 충청북도 충주시-중원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4년 자유민주당이 [[민정당]]에 흡수되자 민정당 충청북도당 위원장이 되었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1967년)|신민당]] 공천에서 탈락하자 [[한국독립당(1963년)|한국독립당]] 후보로 해당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1963년)|민주공화당]] [[이종근(1923)|이종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 박종준 . . . . 4회 일치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충청남도 공주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통합당]] [[박수현(정치인)|박수현]]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2013년 6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청와대 [[대통령경호실]] 차장을 역임하였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세종특별자치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친야 [[무소속]] [[이해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충남 공주) || [[새누리당]] || 23,919 (43.68%) || 낙선 (2위) ||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세종) || [[새누리당]] || 38,076 (36.04%) || 낙선 (2위) || ||
  • 박창달 . . . . 4회 일치
         15대 총선에서 전국구 26번으로 출마하였지만 너무 순번이 뒤쪽에 있어서 당연히 낙선...했는데 임기 다 끝나가는 2000년 3월에 현역 [[윤원중]] 전국구 의원이 탈당하면서 의원직을 승계, 3달짜리 국회의원직을 수행했다. 물론 15대 국회 막바지여서 아무런 의미도 없었다.[* 이 문제는 16대 국회에서 새천년민주당 전국구 의원이 '''2004년 5월'''에 사퇴하여 '''임기가 1달도 안되는 의원'''이 탄생하여 다시 문제제기되었고, 이후 잔여임기가 얼마 안남은 비례대표 의원이 자격을 상실 혹은 사퇴할 경우에는 승계하지 않도록 법이 바뀐다.] 대신 16대 총선에서 안정권인 15번을 받고 당선되었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같은 지역구에 공천 신청을 했으나 탈락, 불복하고 무소속 출마를 강행하였으나 새누리당 [[곽상도]] 후보와 [[더불어민주당]] 김동열 후보에 밀려 3위로 낙선하였다.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 26번) || '''[[신한국당]]''' || - || 낙선→'''당선''' || 2000.3.8 승계[BR](윤원중 의원 탈당으로 승계)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대구 중/남) || 무소속 || 11,256 (10.93%) || 낙선 (3위) || ||
  • 송아영 . . . . 4회 일치
         [[이명박 정부]] 때 자유선진당에서 충청남도당 여성위원장, 뉴 선진비전 여성위원회 대표 등을 지내며 정치에 입문하였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선진당]] [[비례대표제|비례대표]]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제5번)으로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제18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자유선진당의 후신 [[선진통일당]]이 [[새누리당]]에 흡수될 때 합류하였고 새누리당 세종특별자치시당 대변인을 지냈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자유한국당의 [[세종특별자치시장]] [[공천]]을 받았으나 현 시장인 이춘희 후보에게 큰 표차로 낙선했다.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 [[자유선진당]] || 689,843(3.2%) || 낙선(5번) || ||
         || 2018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세종특별자치시장) || [[자유한국당]] || 24,546 (18.06%) || 낙선 (2위) || ||
  • 오경훈 . . . . 4회 일치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제16대 총선]]||[[서울 양천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서울 양천구 을)]]||16대||[[한나라당]]||{{막대|한|4|4|1|0}} 44.10%||36,171표||2위||낙선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제17대 총선]]||[[서울 양천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서울 양천구 을)]]||17대||[[한나라당]]||{{막대|한|3|9|6|0}} 39.60%||49,847표||2위||낙선
         |[[2007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4·25 재보궐선거]]||[[양천구|서울 양천구청장]]||12대 (민선 4기)||[[한나라당]]||{{막대|한|3|9|6}} 39.6%||37,227표||2위||낙선
         |[[대한민국 제6회 지방 선거|제6회 지방 선거]]||[[양천구|서울 양천구청장]]||15대 (민선 6기)||[[새누리당]]||{{막대|새|4|6|7|2}} 46.72%||109,000표||2위||낙선
  • 강연재 . . . . 3회 일치
         {{선거기록/KR/개인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19대 | 국회의원 | 비례대표 | 청년당 | 73,194 표 | 0.34 | 비례대표 1번 | 낙선 | }}
         {{선거기록/KR/개인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20대 | 국회의원 | [[서울 강동구의 국회의원|서울 강동구 을]] | 국민의당 | 21,365 표 | 20.88 | 3위 | 낙선 | }}
         {{선거기록/KR/개인 |[[2018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6.13 재보선]] | 20대 | 국회의원 | [[서울 노원구의 국회의원|서울 노원구 병]] | 자유한국당 | 13,297 표 | 14.48 | 3위 | 낙선 | }}
  • 김동석 . . . . 3회 일치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경상북도 선산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현역 [[지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인 [[대한국민당]] [[육홍균]]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김우동]]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다가 현역 지역구 국회의원인 자유당 [[김우동]] 후보에 밀려 낙선한 것으로 나오자 [[재검표]] 소송을 제기하였다. 재검표 결과 당락이 뒤바뀌어 당선되었다. 같은 해 [[자유당]]에 입당하였다.
  • 김선길(국회의원) . . . . 3회 일치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충청북도 충주시-중원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민주공화당]] [[이종근(1923)|이종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공천을 받지 못하자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역시 민주자유당 이종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민주연합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새천년민주당]] [[이원성]]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 김진선(군인) . . . . 3회 일치
         1998년 당시 공동여당이던 [[자유민주연합]]에 입당했다.이후 자유민주연합을 탈당하고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여당이던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고향이 포함된 [[진천군]]-[[음성군]]-[[괴산군]] [[선거구]]에 출마하지만 [[현역]] [[지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이던 자유민주연합 [[정우택]] 후보에 밀려 낙선. 낙선 이후에는 별다른 활동이 없었다.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 || '''[[새천년민주당]]''' || 35,168표 || 낙선 (2위) || ||
  • 빅터 차 . . . . 3회 일치
         그의 부인은 군인,정치인 김식의 딸이다. 김식은 전남 강진 출신으로, 육군사관학교를 나왔으며 [[전두환]], [[노태우]]와 육사 동기이다. 군에서 소장으로 전역했으며, 11대, 12대 국회의원([[민주정의당]])으로 당선됐다. 13대에서는 낙선했고, 14대에서는 [[민주자유당]], 15대에서는 [[신한국당]]에서 출마했으나 역시 낙선했다.[[http://ko.pokr.kr/person/1933151 (참조)]] 13대에서 낙선한 이후로 농림수산부 장관을 역임했다.
  • 안동준 . . . . 3회 일치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충청북도 괴산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현역]] [[지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인 [[무소속]] [[연병호]]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1956년부터 1958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국방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김원태]]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에 충청북도 [[진천군]]-[[음성군]]-괴산군 선거구로 공천 신청을 하였으나 탈락하자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다. 그러나 민주공화당 [[김원태]] 후보와 [[신민당(1967년)|신민당]] [[이충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오용운]] 후보와 신민당 이충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 이인영(정치인) . . . . 3회 일치
         2015년 2월 전당대회 당대표 선거에 출마하기도 하였다. 결과는 3위로 낙선.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구로 갑) || [[새천년민주당]] || 41,432 (47.0%) || 낙선 (2위) ||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구로 갑) || [[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 38,878 (45.4%) || 낙선 (2위) || ||
  • 이홍우(1959) . . . . 3회 일치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경기도지사에 출마했지만 4위로 낙선했다.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경기 고양 일산 을) || [[민주노동당]] || 7,062(6.1%) || 낙선(3위) || ||
         || 2018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경기도지사) || [[정의당]] || 151,871(2.5%) || 낙선(4위) || ||
  • 진헌식 . . . . 3회 일치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후보로 충청남도 연기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러나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국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다가 무소속 이긍종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1년 12월부터 1952년 8월까지 관선 [[충청남도지사]]를 지냈다. 충청남도지사 임기 중이던 1952년 5월부터 1952년 8월까지 [[충남대학교]] [[총장]] [[서리]]를 [[충남대학교/역사|겸직하였다]]. 이어서 1952년 8월부터 1953년 5월까지 내무부(현 [[행정자치부]]) [[장관]]을 지냈다가 [[곡물]] 관리상의 문제로 경질되고 구속되었다가 [[대법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당]] [[류지원]]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충청남도 [[참의원]]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 최대원(정치인,국회의원) . . . . 3회 일치
         현재 여론조사에서 선두를 달리고 출구조사의 10%의 차를 뚫고 한 때 앞서나가기도 했으나 아깝게 간발의 차로 낙선하였다. 감천면과 본인의 고향인 조마면, 혁신도시권역인 율곡동과 농소면을 제외한 모든 읍면동에서 패배했는데, 율곡동에서의 몰표로 표차를 500표차 이내로까지 좁힌 것.
         || 2006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북 김천시장) || 무소속 || 33,496 (46.57%) || 낙선 (2위) || ||
         || 2018 || [[2018년 재보궐선거|재보궐선거]] (김천 국회의원) || 무소속 || 38,830 (49.68%) || 낙선 (2위) || [* 전임자 [[이철우(1955)|이철우]] 지방선거 출마를 위한 사퇴.] ||
  • 최수환 . . . . 3회 일치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한국당]] [[전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제13번)으로 당선되었다. 1984년 말 [[홍사덕]], [[김현규]], [[서석재]], [[허경만]], [[박관용]], 손정혁, [[김찬우(1933)|김찬우]] 등과 민주한국당 탈당 선언을 하고 [[신한민주당]]에 입당하였다. 그러나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민주당 후보로 경상북도 포항시-영일군-[[울릉군]] [[선거구]]에 출마하였다가 [[민주정의당]] [[박경석(1937)|박경석]] 후보와 민주한국당 [[서종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민주당]] 후보로 경상북도 포항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정의당 [[이진우(1934)|이진우]]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경상북도 포항시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1991년)|민주당]] [[박기환(정치인)|박기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 허화평 . . . . 3회 일치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2000년)|민주국민당]] 후보로,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지역구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포항 북) || [[민주국민당(2000년)|민주국민당]] || 32,261 (30.5%) || 낙선 (2위) ||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포항 북) || 무소속 || 17,628 (16.1%) || 낙선 (3위) || ||
  • 홍연아 . . . . 3회 일치
         |[[대한민국 제5회 지방 선거|제5회 지방 선거]]||경기도 안산시의원(안산시 나선거구)||6대 (민선 5기)||[[민주노동당 (대한민국)|민주노동당]]||{{막대|민노|1|6|6|5}} 16.65%||5,202표||4위||낙선
         |[[대한민국 제6회 지방 선거|제6회 지방 선거]]||[[경기도의회|경기도의원(안산시 제2선거구)]]||9대 (민선 6기)||[[통합진보당]]||{{막대|통진|1|3|3|2}} 13.32%||4,628표||3위||낙선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제20대 총선]]||[[안산시 상록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경기 안산시 상록구 갑)]]||20대||[[민중연합당]]||{{막대|민노|0|2|0|1}} 2.01%||1,846표||5위||낙선
  • 강대식 . . . . 2회 일치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바른미래당]] 후보로 동구청장 재선에 출마하였으나 [[자유한국당]] [[배기철]], [[더불어민주당]] 서재헌 후보에 이은 3위로 낙선하였다.
         || 2018 || [[제7회 지방선거]] (대구 동구청장) || [[바른미래당]] || 43,374 (25.8%) || 낙선(3위) || ||
  • 구성재 . . . . 2회 일치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공천]]에서 탈락하자 [[무소속]]으로 대구광역시 [[달성군(선거구)|달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새누리당 [[이종진]]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공천]]에서 탈락하자 [[무소속]]으로 대구광역시 [[달성군(선거구)|달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새누리당 [[추경호]]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 김만제 . . . . 2회 일치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강남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국가안전기획부]]의 흑색선전 공작에 대한 역풍으로 [[민주당(1991년)|민주당]] [[홍사덕]]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1994년부터 1998년까지 [[포스코|포항종합제철]] [[회장]]을 역임하였다. 이는 역대 포스코 회장 중 유일한 외부인사 영입 사례이다.[[http://www.opinio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672|#]]
         || 1992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강남구]] 을) || [[민주자유당]] || - || 낙선 || ||
  • 김영준(1941) . . . . 2회 일치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한국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정의당 [[이춘구]] 후보와 [[신한민주당]] [[이택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민주당]] 후보로 충청북도 제천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정의당 이춘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에 충청북도 제천군-단양군 선거구로 [[공천]]을 신청하였으나 현역 국회의원 안영기에 밀려 탈락하였다.
  • 김종호(1935) . . . . 2회 일치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미래희망연대|친박연대]] 후보로 충청북도 진천군-음성군-괴산군-[[증평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김종률]]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 2008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북도 진천군-음성군-괴산군-[[증평군]]) || [[미래희망연대|친박연대]] || 21,015표(25.25%) || 낙선 || ||
  • 김형태(정치인) . . . . 2회 일치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포항)|남구]]-[[울릉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현역]] [[지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인 한나라당 [[이상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6년 [[한나라당]] [[여의도연구원|여의도연구소]] 정책자문위원회 홍보분과 부위원장에 임명되었다.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포항 남·울릉) || 무소속 || 7,437 (6.27%) || 낙선 (3위) || ||
  • 박근혜 . . . . 2회 일치
         박근혜는 한나라당 후보로 국회의원에 다시 당선되었고, 이재오, 이방호는 낙선하였으며, [[친박연대]]는 지역구 6석, 전국구 8석이라는 예상 외의 높은 지지율을 달성하였다. 친박 무소속 연대도 총 12명이 당선되었다. 이후에도 박근혜는 꾸준히 친박연대 및 무소속 친박 당선자들의 복당을 요구하였다. 친박 측과 앙금이 남아있던 [[강재섭]] 대표의 임기가 종료되고 [[박희태]] 전 의원이 대표로 부임한 뒤 마침내 친박무소속연대 소속 의원과 친박연대의 지역구 의원 전원이 한나라당으로 복당하여 한나라당 내 친박의원 의석수는 60여명에 이르게 되었다. 친박연대의 비례대표 의원 5명은 당명 개정, 독자 활동을 꾸준히 하였고 [[양정례]], [[서청원]], [[김노식]]은 당선무효형이 대법원에서 확정되어 의원직을 상실하였다.
         2015년 6월 25일 박근혜는 국무회의에서 "정치적으로 선거 수단으로 삼아서 당선된 후에 신뢰를 어기는 배신의 정치는 결국 패권주의와 줄 세우기 정치를 양산하는 것으로 반드시 선거에서 국민들께서 심판해 주셔야 할 것입니다"라고 언급하였다. 이는 [[새누리당]] [[유승민 (정치인)|유승민]] 의원을 겨냥해서 한 말로, 특정인의 낙선을 유도하는 발언이기 때문에 [[공직선거법]]에 위배된다는 [[조국 (1965년)]] 교수와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의 비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보기 어렵다는 판단을 내렸다.
  • 박상규(정치인) . . . . 2회 일치
         [[이명박]] 정권 때인 2010년 [[민주당(2008년)|민주당]]에 복당하였다.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충주시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이종배]]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 2011 ||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br](민선 5기 충북 충주시장)[* 전임자 [[우건도]] 당선무효] || [[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 16,492 (23.77%) || 낙선 (2위) || ||
  • 박순석 . . . . 2회 일치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경상북도 영일군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지역구]] 개편으로 무소속으로 경상북도 영일군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대한청년당]] 김판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2년 자유당에 입당하였다. [[6.25 전쟁]] 중인 1951년 전시원호대책중앙위원회에서 피난민 구호부장으로 임명되어 활동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자유당에서 원내부총무, 경상북도당 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러나 상대 후보의 표를 절취했다는 이유로 선거소송이 제기되어 1959년 당선 무효형을 선고받고 [[국회의원]]직을 상실하였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경상북도 [[참의원]] 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설상가상으로 1961년 [[3.15 부정선거]] 연루를 이유로 반민주행위자로 결정되어 공민권이 제한되고 피선거권이 상실되었다.
  • 박준홍 . . . . 2회 일치
         [[신민주공화당]], [[자유민주연합]]에서 정치인 생활을 했지만 선거에서는 계속 낙선했다. 특히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같은 선거구인 [[경상북도]] [[구미시]] 선거구에서 사촌 형인 [[박재홍(1941)|박재홍]] [[민주정의당]] 후보와 대결하여 낙선하였다.
  • 배대윤 . . . . 2회 일치
         |[[대한민국 제4회 지방 선거|제4회 지방 선거]]||[[청송군|경상북도 청송군수]]||44대 (민선 4기)||[[무소속]]||{{막대|무|4|8|8|0}} 48.80%||8,958표||2위||낙선
         |[[2007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12·19 재보궐선거]]||[[청송군|경상북도 청송군수]]||45대 (민선 4기)||[[무소속]]||{{막대|무|4|5|8|4}} 45.84%||8,076표||2위||낙선
  • 양시영 (1944년) . . . . 2회 일치
         |[[대한민국 제2회 지방 선거|제2회 지방 선거]]||[[달성군|대구광역시 달성군수]]||31대 (민선 2기)||[[자유민주연합]]||{{막대|자민|4|3|5}} 43.5%||21,371표||2위||낙선
         |[[대한민국 제4회 지방 선거|제4회 지방 선거]]||[[달성군|대구광역시 달성군수]]||33대 (민선 4기)||[[무소속]]||{{막대|무|1|3|1}} 13.1%||8,233표||3위||낙선
  • 육홍균 . . . . 2회 일치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후보로 경상북도 선산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국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리고 민주국민당 중앙상무위원을 역임하였다. 1953년 자유당에 입당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김우동]]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신준원]]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 이만섭 . . . . 2회 일치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제8대 총선]]||[[대구 중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경북 대구시 중구)]]||8대||[[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막대|갈|4|1|5|2}} 41.52%||20,265표||2위||낙선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제13대 총선]]||[[대구 달서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대구 달서구)]]||13대||[[한국국민당 (1981년)|한국국민당]]||{{막대|자민|3|3|0|4}} 33.04%||44,742표||2위||낙선
  • 이병석(정치인) . . . . 2회 일치
         1994년부터 1996년까지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정무비서관을 역임하였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 후보로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포항)|북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옥중 출마한 [[무소속]] [[허화평]]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7년 허화평의 [[국회의원]]직 상실로 치러진 [[재보궐선거]]에서도 신한국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박태준]]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 이상휘 . . . . 2회 일치
         [[2009년]] 3월에 [[이명박정부]]로부터 [[청와대]] 춘추관 관장 및 청와대 홍보기획비서관으로 임명되어 정계에 입문했다. 이후, [[친이|친이계]]로 분류되기 시작했다. [[2012년]]에는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포항 북 지역구로 공천을 신청했으나 [[친박계]]에 의해 공천에서 탈락했다. 이후 [[2014년]]에는 청와대 홍보기획비서관으로 임명되었다. [[2016년]]에는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을 앞두고 [[새누리당]]에서 공천을 받아 [[동작구 갑]]으로 출마했지만 국정원장이었던 [[더불어민주당]] 소속 [[김병기(정치인)|김병기]] 후보에 밀려 낙선했다. 이후 같은 해 10월에는 [[이정현(정치인)|이정현]] 대표에 의해 새누리당 원외대변인으로 임명되었지만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진 이후, 대변인직에서 사임했다. 이후 [[비박]]계 모임인 [[비상시국회의]]에 참여했다.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서울]] [[동작구 갑]]) || [[새누리당]] || 38,045(34.71%) || 낙선 (2위) || ||
  • 이인 . . . . 2회 일치
         * 제4대 국회에 출마하였으나 낙선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제4대 총선]]||[[서울 종로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서울 종로구 갑)]]||4대||[[무소속]]||{{막대|무|1|1|0|7}} 11.07%||3,990표||3위||낙선
  • 이정무 . . . . 2회 일치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통일국민당]] [[김해석(정치인)|김해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민주연합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현승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정계에서 은퇴하였다.
  • 이종근(1923) . . . . 2회 일치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1963년)|민주공화당]] [[전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충청북도 충주시-중원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현역 지역구 국회의원인 [[한국독립당(1963년)|한국독립당]] [[이희승(1913)|이희승]]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1969년부터 1971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농림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신민당 이택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국국민당(1981년)|한국국민당]] 후보로 같은 지역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정의당]] 이해원 후보와 [[민주한국당]] [[김영준(1941)|김영준]]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농사를 지으면서 잠시 정치와 거리를 두었다.
  • 이판석 . . . . 2회 일치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경상북도지사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자유당]] [[이의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자유민주연합]]에 입당하였다.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자유민주연합 후보로 경상북도지사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역시 [[한나라당]] 이의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 임동규(정치인) . . . . 2회 일치
         [[1991년 지방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서울특별시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민주자유당 후보로 서울특별시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02년부터 2004년까지 [[서울특별시의회]] [[의장]]을 지내면서 당시 [[이명박]] [[서울특별시장]]과 인연을 맺었다. 2007년 [[제17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치러진 한나라당의 [[대한민국 대통령]] 후보 [[경선]] [[전당대회]]에서 이명박 후보를 지지하며 [[친이]]계에 속하였다. 제17대 대통령 선거 본선에서 직능정책본부 행정자치위원회 위원장을 지냈고, 선거 후에는 제17대 대통령 인수위원회 자문위원을 지냈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자유한국당]] 강동구청장 후보로 나왔다. 결과는 더불어민주당 [[이정훈(정치인)|이정훈]] 후보에 밀려 2위로 [[낙선]].
  • 장후영 . . . . 2회 일치
         {{선거기록/KR/개인|[[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총선]]|3대|국회의원|[[서울 종로구의 국회의원|서울 종로 갑]]| 무소속 | 4,468표| 15.24 |2위|[[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제3선거구|낙선]]}}
         {{선거기록/KR/개인|[[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총선]]|4대|국회의원|[[서울 종로구의 국회의원|서울 종로 갑]]| 무소속 | 1,688표| 4.68 |4위|[[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제1선거구|낙선]]}}
  • 허준영 . . . . 2회 일치
         |[[대한민국 제19대 총선|제19대 총선]]||[[서울 노원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서울 노원구 병)]]||19대||[[새누리당]]||{{막대|새|3|9|6|2}} 39.62%||36,201표||2위||낙선
         |[[2013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4·24 재보궐선거]]||[[서울 노원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서울 노원구 병)]]||19대||[[새누리당]]||{{막대|새|3|2|7|8}} 32.78%||23,090표||2위||낙선
  • 홍준호 (1971년) . . . . 2회 일치
         |[[대한민국 제4회 지방 선거|제4회 지방 선거]]||[[서울특별시의회|서울특별시의원(구로구 제3선거구)]]||7대 (민선 4기)||[[민주노동당 (대한민국)|민주노동당]]||{{막대|민노|1|1|6|6}} 11.66%||6,138표||3위||낙선
         |[[대한민국 제6회 지방 선거|제6회 지방 선거]]||서울특별시 구로구의원(구로구 라선거구)||7대 (민선 6기)||[[정의당 (대한민국)|정의당]]||{{막대|정의|0|7|8|9}} 7.89%||3,267표||5위||낙선
  • 경대수 . . . . 1회 일치
         || 2009 || [[2009년 재보궐선거|2009년 하반기 재보궐선거]][br](18대 국회 충북 진천/음성/괴산/증평)[* 전임자 [[김종률]] 피선거권 상실] || [[한나라당]] || 22,077 (29.64%) || 낙선 (2위) || ||
  • 곽성문 . . . . 1회 일치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제18대 총선]]||[[대구 중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대구 중구]]·[[대구 남구의 국회의원|남구)]]||18대||[[자유선진당]]||{{막대|선진|1|7|3}} 17.3%||11,430표||3위||낙선
  • 구자춘 . . . . 1회 일치
         [[19대 총선]], [[20대 총선]]에서 달성군 지역구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던 [[구성재]]는 구자춘의 아들이다.
  • 권은희 (1959년) . . . . 1회 일치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제20대 총선]]||[[대구 북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대구 북구 갑)]]||20대||[[무소속]]||{{막대|무|2|4|3|}} 24.35%||21,083표||2위||낙선
  • 김문오 . . . . 1회 일치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4회 지방 선거|지방 선거]] | 33대 | [[지방 관청|군수]] | [[달성군|대구 달성군]] | 무소속 | 14,094 표 | 22.44 | 2위 | [[대한민국 제4회 지방 선거|낙선]] | 민선 4기 }}
  • 김성곤 . . . . 1회 일치
         박정희의 친위대를 자처하면서 3선개헌에 회의적이던 김종필계와 대다수 공화당 인사들을 강하게 압박해서 [[3선 개헌]]을 성사시켰다.[* 3선개헌이 처음 불거졌을때 김종필을 선두로 해서 대다수 공화당 정치인들은 이를 반대했다. 장기집권한 이승만의 최후를 봤기 때문이다. 하지만 1969년부터 [[김형욱]] 중앙정보부장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공화당 국회의원들을 회유, 협박해서 결국 모두 찬성으로 돌려놨다. 당내에 막강한 독자계보를 가지고 있던 김종필을 압박하는데 선봉에 선게 김성곤, [[김진만(정치인)|김진만]], [[백남억]], [[길재호]] 4인방][* 한때 60명이 넘던 공화당내 개헌반대파 국회의원은 결국 3명 [[정구영]], [[예춘호]], [[이만섭]]만이 남았고, 결국 정구영-강제 정계은퇴, 예춘호-제명, 이만섭-낙선으로 모두 숙청되었다. 예춘호는 야당으로 넘어가서 1980년대 [[재야]] 민주화 운동에 투신했고, 이만섭은 야인으로 지내다가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다시 당선되었다. 그리고 [[전두환]]의 집권 이후 [[한국국민당(1981년)|한국국민당]] 총재로 재기했다.] 이 과정에서 [[김진만(정치인)|김진만]], [[백남억]], [[길재호]]와 함께 소위 4인체제로 박정희를 대리해서 공화당을 관리하였다. 특히 [[재벌]]에게 해외차관과 정부발주공사의 10%를 무조건 자신을 통해서 상납하게 하면서 ~~[[뇌물]]의 제도화~~ 정권의 정치자금 창구를 단일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치권과 재벌, 언론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이는 그가 [[쌍용그룹]] 회장(재벌총수), 동양통신 사장(언론인)이면서 공화당 재정위원장(정치인)이자 박정희의 최측근이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 김우동 . . . . 1회 일치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경상북도 선산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현역 [[지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인 대한국민당 육홍균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2년 지방선거]]에서 경상북도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 김운용 . . . . 1회 일치
         [[1971년]]부터 [[1991년]]까지 [[대한태권도협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1973년]]부터 [[2004년]]까지 [[세계 태권도 연맹]]을 역임했다. [[태권도]]의 세계화를 추진했으며 태권도가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86년]]부터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1992년]]에는 부위원장에 당선되기도 하였다. 2001년 IOC위원장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하였다. 2005년 공금 횡령 등의 혐의로 구속된 후에 IOC 위원직을 사퇴했다. 2017년 10월 3일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의 [[연세대학교 의료원|세브란스병원]]에서 86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ref name="yonhapnews_2017-10-03_death">{{뉴스 인용 | 저자=배진남 | 위치=서울 | 뉴스=연합뉴스 | 제목='한국스포츠 거목' 김운용 전 IOC 부위원장 3일 오전 타계(종합3보) | 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0/03/0200000000AKR20171003024154007.HTML | 날짜=2017-10-03 | 확인날짜=2017-10-03 | 보존url=https://archive.today/20171003133204/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0/03/0200000000AKR20171003024154007.HTML | 보존날짜=2017-10-03 | 깨진링크=아니오 }}</ref><ref name="news1_2017-10-03_death">{{뉴스 인용 | 저자=정명의 | 위치=서울 | 뉴스=뉴스1 | 제목=거목이 쓰러지다…김운용 전 IOC 부위원장이 걸어온 길 | url=http://news1.kr/articles/?3116999 | 날짜=2017-10-03 | 확인날짜=2017-10-03 | 보존url=https://archive.today/20171003133158/http://news1.kr/articles/?3116999 | 보존날짜=2017-10-03 | 깨진링크=아니오 }}</ref>
  • 김종훈 (1952년) . . . . 1회 일치
         |[[대한민국 20대 총선|제20대 총선]]||[[서울 강남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서울 강남구 을)]]||20대||[[새누리당]]||{{막대|새|4|4|4}} 44.4%||41,757표||2위||낙선
  • 김태환(1943) . . . . 1회 일치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구미시 을) || 무소속 || 33,414 (47.62%) || 낙선 (2위) || ||
  • 모닝구 무스메 . . . . 1회 일치
         1997년 인기 오디션 프로그램 「ASAYAN」에서 개최된 "샤란Q 락 보컬리스트 오디션"에서 낙선자들에서 선발된 5명이 "층쿠♂"의 프로듀스를 받아서 활동을 시작했다. 1998년 메이저에 데뷔하였으며, 멤버를 교체해가면서 장기간 활동을 계속하고 있는 아이돌 그룹.
  • 박경석(1937) . . . . 1회 일치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공천에서 탈락하자 [[통일국민당]] 후보로 경상북도 영일군-울릉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자유당 [[이상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4년부터 1997년까지 [[대한지적공사]] [[사장]]을 역임하였다. 1998년부터 [[배재대학교]] 행정학과 객원[[교수]]로 근무하였다.
  • 박성우 (정치인) . . . . 1회 일치
         *[[대한민국 제헌국회 총선|1948년 5월 10일]] : [[대한민국 제헌국회 총선 경상북도#상주군 갑 (제27선거구)|제헌 국회의원(경북 상주갑) 낙선]]
  • 박승호(정치인) . . . . 1회 일치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새누리당]] [[공천]]에서 [[김정재]]에 밀렸다. 이후 새누리당을 탈당하여 [[무소속]]으로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새누리당 김정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바른정당에 합류하여 2017년 3월 [[바른정당]]의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당협위원장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다시 탈당하여 자유한국당에 복당을 신청하였다.
  • 박재홍(1941) . . . . 1회 일치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구미시 지역구 공천이 [[박세직]]에게 밀려 [[민주자유당]] [[전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1994년부터 1995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교통위원장을, 1995년부터 1996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건설교통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96년 초 [[신한국당]]을 탈당하여 [[자유민주연합]]에 입당하였다. 그리고 같은 해 치러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박준홍 대신 자유민주연합 후보로 경상북도 구미시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한국당 박세직 후보에게 밀려 낙선하였다.
  • 박정수(정치인) . . . . 1회 일치
         [[전두환]]의 신군부가 집권하고 나서도 정치규제를 당하지 않아서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김천시-금릉군-상주군 지역구에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민주정의당 정휘동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그러나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으로 같은 지역구에 출마하였다가 민주정의당 [[김상구]] 후보와 [[신한민주당]] 이재옥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 백남억 . . . . 1회 일치
         항명파동으로 박정희의 분노를 사면서 자연스레 4인체제는 무너졌고, 백남억은 권력의 중심에서 밀려났지만 쫓겨나지는 않았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경상북도 김천시-금릉군-[[상주시|상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친여 [[무소속]] [[김윤하]]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친여 무소속 [[박정수(정치인)|박정수]] 후보와 정휘동 후보에 밀려 3위 이하 득표로 낙선하자 정계에서 은퇴하였다.
  • 서상일 . . . . 1회 일치
         그러나 1950년 5월30일 실시된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같은 지역구에 출마했으나 낙선하고 말았다.
  • 오영식 (1967년) . . . . 1회 일치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18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 | [[서울 강북구의 국회의원|서울 강북구 갑]] | 통합민주당2008 | 25,378 표 | 44.61 | 2위 |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강북구 갑|낙선]] | }}
  • 오정근 (1929년) . . . . 1회 일치
         |전임자 = [[이낙선]]
  • 오철환 . . . . 1회 일치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7회 지방 선거|지방 선거]] | 8대 | [[지방 관청|시의원]] | [[대구광역시의회|대구광역시(수성구제2선거구)]] | 자유한국당| 31,112 표| 49.93 | 2위 | [[대한민국 제7회 지방 선거 대구광역시#광역의원|낙선]] | }}
  • 우건도 . . . . 1회 일치
         || 2018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북 충주시장) || [[더불어민주당]] || 49,942 (49.33%) || 낙선 (2위) || ||
  • 유승민(정치인) . . . . 1회 일치
         || 2017 || [[제19대 대통령 선거]] || [[바른정당]] || 2,208,771 (6.76%) || 낙선 (4위) || [* 전임자 [[박근혜]] [[박근혜 대통령 탄핵 심판|탄핵 인용에 따른 파면]]으로 인한 [[궐위에 의한 선거]]] ||
  • 윤덕홍 . . . . 1회 일치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제17대 총선]]||[[대구 수성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대구 수성구 을)]]||17대||[[열린우리당]] ||{{막대|열린|2|1|6|9}} 21.69%|| 20,534표||2위||낙선
  • 윤석용 . . . . 1회 일치
         |[[대한민국 제17대 총선|제17대 총선]]||[[서울 강동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서울 강동구 을)]]||17대||[[한나라당]]||{{막대|한|3|8|8|4}} 38.84%||40,465표||2위||낙선
  • 이순재(1935년 10월) . . . . 1회 일치
         || 1988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전북 전주시 갑) || [[민주정의당]] || 26,483 (31.4%) || 낙선 (2위) || ||
  • 이신학 . . . . 1회 일치
         |[[대한민국 제4회 지방 선거|제4회 지방 선거]]||[[남구 (대구광역시)|대구 남구청장]]||22대 (민선 4기)||[[무소속]]||{{막대|무|1|8|3|0}} 18.30%||12,652표||2위||낙선
  • 이원형(1951) . . . . 1회 일치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정창화(정치인)|정창화]]와의 [[공천]] 경합에서 승리하여 [[신한국당]] 후보로 [[대구광역시]] [[수성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민주연합]] [[박철언]]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한나라당 중앙당 부대변인에 임명되었다.
  • 이장섭 . . . . 1회 일치
         * 15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낙선한 노영민의 측근이 되다.<ref>[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1027_0000130537&cID=10806&pID=10800 충북도 새 정무부지사에 이장섭 청와대 행정관] 뉴시스 2017-10-27</ref>
  • 이종배(국회의원) . . . . 1회 일치
         민주당 [[우건도]] 시장의 시장직 상실 판결로 인해 치뤄진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영입되어 충주시장 선거에 출마하였다. 당시 충주시는 절대적인 영향력을 갖고 있던 이시종이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출마를 위해 사퇴한 이후로 후임 시장들의 수명이 그리 길지 못하는 헬게이트를 맞이하고 있었다. 이시종 사퇴 이후 재보궐에서 당선된 [[한창희]]가 겨우 2년(...), 그나마 후임 김호복이 재보궐로 당선되었지만 다음 선거에서 패하여 낙선. 그리고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우건도가 당선되었으나 1년여만에 또 당선무효.(...)
  • 이준섭(군인,정치인) . . . . 1회 일치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국국민당(1981년)|한국국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정의당]] [[천영성]] 후보와 [[민주한국당]] 유한열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석유개발공사 부사장 등을 역임하였다.
  • 이철희(1964) . . . . 1회 일치
         그렇게 첫인상이 좋지 않던 상황에서 인재 영입 당시 대부분의 인물들이 '당이 원하면 어디든 가겠다' 라고 하며 개인의 욕심을 보이지 않았던 반면, 이철희 전 소장의 경우에는 [[http://mnews.jtbc.joins.com/News/Article.aspx?news_id=NB11174997|'지역구 출마는 생각하지 않고 있다']](13분 25초부터)라고 발언하며 낙선의 위험을 안아야 하는 지역구보다 상대적으로 당선이 수월한 비례대표를 노리고 있던 것 때문에 이미 정치 세계에 대해서 알 만큼 알고 있고, 또 [[썰전]] 등을 통해 충분한 인지도와 지지를 확보한 사람이니 지역구 선거로 나가는 게 맞지 않느냐는 비판이 있었다.
  • 이효상 . . . . 1회 일치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제8대 총선]]||[[대구 남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대구시 남구)]]||8대||[[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막대|갈|4|2|8|6}} 42.86%||34,740표||2위||낙선
  • 장성환 . . . . 1회 일치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용산구-마포구 선거구에 [[민주공화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중선거구제임에도 신민당 복수공천을 받은 [[김원만]], [[노승환]]에 밀려 낙선하였다.
  • 장세용 . . . . 1회 일치
          * TK에서, 그것도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비록 기초자치단체장이라고 해도 '''민주당 당적으로 한 번만에 당선된 기적을 일으켰다.''' TK 지역 타파의 아이콘인 [[김부겸]] 장관도 두 번의 낙선 이후 세 번째 도전만에 대구에 민주당 당적으로 국회의원에 당선될 수 있었다는 것을 생각해 보면 아주 놀랄 만할 일이다.[* 물론 상대가 경기도지사에서 도지삽니다 발언을 쏟아낸 김문수였고, 당시 새누리당이 대구를 자기들의 표밭이라고 대충신경쓴 덕분이기도 하지만.] 물론 자유한국당의 공천에 반발해서 무소속으로 뛰쳐나온 보수 성향 김봉재 후보가 9.5% 정도, 범야권인 [[바른미래당]] 유능종 후보가 또다시 7.5%를 들고 나르면서 (비록 TK긴 해도) 1여3야라는 역대급 꿀조건이 형성되었다는 것도 고려하긴 해야 한다. 참고로 '''[[김해영|본인도 당선을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고.]]'''
  • 정무식(정치인) . . . . 1회 일치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친여 무소속 권오태 후보와 [[신민당(1967년)|신민당]] 조규창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79년 6월 권오태가 민주공화당에 입당하자 해당 지구당위원장직에서 사임하였다. 그리고 원양어업협회 [[회장]]이 되었다.
  • 정상희(정치인) . . . . 1회 일치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1963년)|민주공화당]] 후보로 충청북도 [[충주시]]-중원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민주당(대한민국)|자유민주당]] [[이희승(1913)|이희승]]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공천]]에서 [[이종근(1923)|이종근]]에 밀려 탈락하였다.
  • 정태성(정치인) . . . . 1회 일치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 정해창(정무직공무원) . . . . 1회 일치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경상북도 김천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한국당]] [[임인배]]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 조대연(1888) . . . . 1회 일치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충청북도 충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현역]] [[지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인 무소속 [[김기철]]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당]] 김기철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 조응천 . . . . 1회 일치
         선거 결과를 뒤집은 그 투표함은 주소지는 [[남양주시]]로 되어 있지만 타지에서 생활하는 관외 유권자들의 표를 모아놓은 사전 투표함이었다고 한다. 조응천 후보가 본인이 이겼다는 소식을 들었을 무렵, [[새누리당]]의 심장수 후보는 [[설레발|자기가 이긴 줄 알고 미리 당선증 받으러 가던 길이었다]]고(...). ~~[[안습]]~~[* 여담으로 심장수는 8년 전인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한나라당 공천을 받아 출마했으며 출구조사에서는 앞섰지만 개표 결과 당시 현역 의원인 최재성 전 의원에게 밀려 낙선했다. 더욱이 심장수는 조응천의 대학 선배이자 검찰 선배이기도 했기에 더욱 패배의 충격이 컸을 것이다.]
  • 차명진 . . . . 1회 일치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제19대 총선]]||19대||rowspan="2"|[[새누리당]]||{{막대|새|4|4|5|8}} 44.58%||44,306표||rowspan="2"|2위||rowspan="2"|낙선
  • 최재연 . . . . 1회 일치
         |[[대한민국 제6회 지방 선거|제6회 지방 선거]]||[[경기도의회|경기도의원(고양시 제1선거구)]]||9대 (민선 6기)||[[노동당 (대한민국)|노동당]]||{{막대|적|1|2|5|7}} 12.57%||6,607표||4위||낙선
  • 최종원(국회의원) . . . . 1회 일치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35번) || [[열린우리당]] || - || 낙선 || ||
  • 추미애 . . . . 1회 일치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광진 을) || [[새천년민주당]] || 26,973 (30.08%) || 낙선 (2위) || [* 노무현 대통령 탄핵정국 시절] ||
  • 피우진 . . . . 1회 일치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 [[진보신당]] || 504,466 (2.9%) || 낙선 (3번) || ||
  • 한인수(탤런트) . . . . 1회 일치
         [[1991년 지방선거]] [[재보궐선거]]에서는 [[민주자유당]] 소속으로 [[경기도]]의회 의원으로 당선되었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경기도]] [[시흥시]]장 선거에 [[새누리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현직 시장인 [[새정치민주연합]] [[김윤식(1966)|김윤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 한현규 . . . . 1회 일치
         * 2004년 2월 ~ 4월 4.15 국회의원 총선거 수원 영통에 [[한나라당]] 후보자로 출마하였으나, 낙선
11532의 페이지중에 111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