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나비"을(를) 전체 찾아보기

나비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야설록 . . . . 6회 일치
         | 주요 작품 = 《[[불꽃처럼 나비처럼]]》<ref>소설《불꽃처럼 나비처럼》은 영화《불꽃처럼 나비처럼》의 원작이기도 하다.</ref><ref>{{뉴스 인용 |제목 = '소설에나 나올 법한' 명성황후의 뜨거운 사랑 「 불꽃처럼 나비처럼」1, 2 (야설록/형설라이프) |url = http://www.unionpress.co.kr/detail.php?number=40521&thread=01r04r02r02 |출판사 = 유니온프레스 |저자 = 방송연예팀 기자 |쪽 = |날짜 = 2009-09-03 |확인날짜 = 2009-09-05}}</ref>
         * [[2007년]] 《불꽃처럼 나비처럼》{{ISBN|978-89-06-00097-3}}
         * [[2001년]] 《나비혼》 {{ISBN|978-89-519-7029-0}}
  • 김희철(1983) . . . . 5회 일치
          * 우주[[민경훈|겁쟁이]]-[[나비잠]], [[후유증(우주겁쟁이)|후유증]] 항목 참고
          * 2017년 제9회 멜론 뮤직 어워드 뮤직스타일상 락 부문 (With [[민경훈]])[* [[나비잠]] 활동]
          * 2017년에는 [[TWICE]] [[모모]]의 열렬한 팬으로 유명해졌다. 특히 [[CHEER UP]]에서 [[모모]] 파트인 --Zㅗ르Zl마--'''조르지마 어디 가지 않아 되어줄게 너의 베이베'''를 [[아는 형님]]에서 맨날 부르고 다니며 모모의 인기를 드높여 주었고[* 희철이 항상 부르는 파트는 2절이다.][* 자기 애완견 이름을 '조르'라고 지었는데, 유래는 당연히 "조르지마".], [[주간 아이돌]] 알바 시절에는 모모의 니코니코니 애교에 완전히 넘어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같은 SM 소속 걸그룹 레드벨벳 멤버들의 애교에는 오히려 심박수가 내려갔으나, 모모의 니코니코니에 심박수가 증가했다고. 게다가 [[민경훈]]과 같이 부른 "나비잠" 마저 뮤비 주인공으로 모모를 섭외해왔으니 말 다한셈. 결국 이러한 덕질(?)끝에 마침내 2017년 6월 18일 [[TWICELAND]] 앙코르 공연까지 왔다! (종종 농담처럼 트와이스가 속한 JYP가 자신의 마음의 소속사라고 말한다.)
          * [[오렌지캬라멜]]의 샹하이 로맨스의 작사가다. 오렌지 캬라멜 소속사 대표와의 술자리에서 작사를 권유받아 작곡가 조영수의 곡에 가사를 붙였다고 한다. 원래 제목은 '런던 보이' 였으나 희철이 공익으로 입소한 후 가사에 등장했던 '템즈강'이 '양쯔강'으로 바뀌고 제목이 '샹하이 로맨스'로 바뀐 뒤 노래가 나왔다고 한다. [[슈퍼주니어]] 의 곡 중 본인 랩 파트를 작사한 적이 많고, M&D 앨범의 전곡을 작사 할 정도로 작사를 많이 하는 편이다. [[민경훈]]과 함께 부른 [[나비잠]]의 가사 역시 그가 썼다. 많은 가수, 방송인들이 그의 작사 실력에 관해 은유가 뛰어나고 시적이며 감성적이라는 평을 하곤 하지만, 대중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다는 것이 아쉬운 점이라면 아쉬운 점.
          * 한때 대중 앞에서 안습한 [[가창력]]을 보여준 적이 있었다. 2007년 9월 2일 [[SBS 인기가요]]에서 [[양파(가수)|양파]]와 함께 불렀던 [[임재범]]의 '사랑보다 깊은 상처'와 '[[U(슈퍼주니어)|U]]'로 활동하던 시절, 플짤이 수도 없이 돌아다녔던 니킥 사건이 그 예이다. 연습을 너무 많이 해서 목 상태가 좋지 않았다는 소문이 있지만 본인이 많이 언급하지 않아 많은 사람들은 그가 노래를 잘 부르지 못한다고 알고 있다. 김희철은 'U' 삑사리 이후로 자신감을 잃어 이후 활동에서 자기 파트를 빼달라고 요구했다는 것도 유명한 일화이다. 그러나 이게 본 실력이라고 할 수는 없는 것이 [[김구라]]가 희철은 고음을 잘 한다며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스타]]에서 언급한 적이 있다. [[슈퍼주니어]]의 '[[너라고 (It's You)]]'에서 고음을 맡았었다. 팬들 사이에서는 기교 없는 고음을 잘하는 것으로 통한다. 멤버 [[동해(슈퍼주니어)|동해]]가 희철에 대해 고음을 잘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게다가 문제의 2007년도 무대 이전에 라디오에서 감기 걸린 상태로 '말리꽃'을 꽤나 잘 불러 레전드 영상으로 남은 것을 보면 못 부른다고 깔 수는 없을 듯하다. [[규현]]은 그날 희철이 부른 말리꽃 음성을 MP3에 넣어 다녔다고 한다. [[슈퍼주니어]] 7집 앨범에 수록된 'Islands'와 '[[백일몽 (Evanesce)]]'에서 후반부 고음에 등장하는데 깔끔한 고음 처리에 팬들이 이거 [[예성(슈퍼주니어)|예성]]이 공익 가기 전에 부른 거 아니냐, 그런데 예성이 아닌 것 같기도 하다며 헷갈려 했을 정도. (참고로 예성은 슈퍼주니어 내에서 메인 보컬을 맡고 있고, 솔로곡과 앨범도 여러 번 발표했을 만큼 노래 실력이 뛰어나다.) 그리고 김정모와 M&D 결성 후 발표한 미니앨범에서는 가성과 고음까지 잘 소화했지만 가창력 논란이 불거질 때부터 시간이 너무 지나 팬들을 제외하면 여전히 가창력에 대한 인식을 바꾸기 어려울 듯하다. M&D 음악방송 출연을 늘리거나 [[불후의 명곡]]이라도 참가한다면 모를까... 그리고 진짜 참여했다. 김정모와 함께 참가했으며 캔의 '내 생에 봄날은' 을 열창했다. 김정모는 기타 연주를 맡았고, 노래는 희철이 불렀다. 무대 후반부에 캔의 배기성이 등장하며 희철의 미성과 배기성 특유의 긁는 목소리가 화음을 만들어냈다. 그 뒤에 이어진 아는 형님에서도 부활의 네버엔딩 스토리를 불러 가창력을 인정받고 있다. 민경훈과 함께 듀엣곡인 "[[나비잠]]" 을 불렀는데, 이 곡이 히트하면서 대중에게 가창력을 알리는데 도움이 되었다. 희철의 가창력과 고음실력은 희철이 직접 작사한 'M&D'의 '달수정', '수필', '실루엣', '魂(혼)', (마마무의 휘인과 함께 부른) '나르시스', 슈퍼주니어의 멤버 동해가 작사, 작곡에 참여한 슈퍼주니어 8집 앨범 '[[PLAY(슈퍼주니어)|PLAY]]'의 수록곡 '[[비처럼 가지마요 (One More Chance)]]' 등에서 엿볼 수 있다. M&D의 멤버 트랙스의 정모는 희철의 보컬에 대해 정형화되지 않은 보컬이라고 언급했다.
  • Europa Universalis 4/공략/유럽 . . . . 3회 일치
         === 스웨덴/스칸디나비아 ===
         행정레벨 20이상이며, 스칸디나비아반도를 통일해두었을경우[* 단, 고틀랜드도 먹어둬야한다.] 스칸디나비아를 형성할 수 있다.
  • 김현정 (1979년) . . . . 3회 일치
         2009년 위안부 문제를 다룬 연극 '나비'를 마지막으로 배우로서 활동을 마치고 '가톨릭상담봉사자과정'에서 1년 넘게 심리상담 교육을 받은 후 화가가 되었다. 이를 통해 2014년 6월에는 첫 개인전인 <묘사와 연기>가 열렸으며<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6965311 화폭으로 옮긴 심리 치유…배우겸 화가 김현정 개인전], 연합뉴스, 2014년 6월 17일 작성.</ref>, 2014년 11월 9일 부터 11월 19일까지 [[백남준]], [[이왈종]]과 함께 중국 베이징에서 <하나에서 셋으로:한국 예술가 3인전>에 작품전을 열었다.<ref>[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218578 ‘동양화로 그린 장서희는?’ 화가 김현정, 中진르미술관 초청], 뉴데일리, 2014년 10월 7일 작성.</ref>
         * 2006-2008년 나비 /진아, 하나꼬 역/ 순회 공연/(김정미 작, 방은미 연출)
         * 2008년 나비 /캐나다 토론토, 밴쿠버 순회 공연
  • 장재인 . . . . 3회 일치
         2010년 10월 30~31일, 박정현, 윤종신, 신승훈 등 국내 내로라하는 가수들의 콘서트인 '시월에 눈내리는 마을'에 탑4가 스페셜 게스트로 참여했다. 여기서 장재인은 자작곡인 그곳과 신승훈의 나비효과를 불렀는데, 특히 나비효과는 안티팬들도 인정할 만큼 완벽하게 소화해내서 화제가 됐다.
         2010년 11월 16일, 허각, 존박, 강승윤, 김지수와 별밤 라디오에 출연했다. 여기서 장재인은 신승훈의 나비효과를 불렀다.
  • 최성관 (1925년) . . . . 3회 일치
         * 독나비 (1971년)
         * 꽃밭에 나비 (1979년)
         * 부나비는 황혼이 슬프다 (1985년)
  • 현아 . . . . 3회 일치
         〈Muzik〉 활동이 끝나자 현아의 솔로 활동이 두드러졌는데, 2009년 10월부터 2010년 6월까지 [[KBS 2TV]] 예능 프로그램 《[[청춘불패]]》 1기 멤버로 활동 했으며,<ref>{{뉴스 인용|저자=김형우 기자|제목=‘청춘불패’ 걸그룹 “새로운 모습 보여주겠다|url=http://sportsworldi.segye.com/Articles/EntCulture/Article.asp?aid=20091009004439&subctg1=05&subctg2=00|출판사=스포츠월드|날짜=2009-10-10}}</ref> 청춘불패 출연으로 징징현아, 막내 PD 등 별명을 얻으며 한층 인기가 높아졌다. 청춘불패 외에도 많은 예능에 출연하며 얼굴을 알렸다. 또한 현아는 삼성의 프로젝트 그룹 [[4Tomorrow]]의 한 맴버로 참여해 디지털 싱글 〈두근두근 Tomorrow〉를 발표하기도 했었다.<ref>{{뉴스 인용|저자=박정환 기자|제목=가인-유이-김현아-한승연, ‘4Tomorrow’ 결성-싱글 발표|url= http://www.gooddaysports.co.kr/news/?cset=star&bset=view&tot_code=47&code=9274|출판사=굿데이스포츠|날짜=2009-10-11|확인날짜=2010-11-26}}</ref> 현아는 피처링 활동도 활발히 했는데, [[나비 (1986년)|나비]]의 디지털 싱글 〈눈물도 아까워〉 피처링으로 참여했고,<ref>{{뉴스 인용|출판사=세계일보|저자=추영준 기자|제목=나비의 '눈물도 아까워'에 포미닛 김현아가 피처링|url=http://www.segye.com/Articles/SPN/ENTERTAINMENTS/Article.asp?aid=20090813002102&subctg1=&subctg2|날짜=2009-08-13|확인날짜=2010-11-26}}</ref> 비슷한 시기, [[용감한 형제]]의 첫 정규 앨범 《[[The Classic]]》의 수록곡인 〈Bittersweet〉에 피처링으로 참여했다.<ref>{{뉴스 인용|출판사=뉴스엔|저자= 박준형 기자|제목=손담비-김현아, 용감한형제 가수데뷔 돕는다|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0908041104501001 |날짜=2009-08-04|확인날짜=2010-11-26}}</ref> 현아는 2010년 1월 디지털 싱글 형식의 첫 솔로 앨범 〈[[Change (현아의 노래)|Change]]〉를 발매했다.<ref name="cha">{{뉴스 인용|출판사=굿데이스포츠 연예|저자= 디지털뉴스팀 박정환 기자|제목=포미닛 ‘김현아’ 솔로 앨범 ‘CHANGE’ 음원 및 티저 공개 |url=http://www.gooddaysports.co.kr/news/?cset=star&bset=view&tot_code=47&code=12375|날짜=2010-01-04|확인날짜=2010-11-26}}</ref> 〈Change〉에는 [[비스트 (음악 그룹)|비스트]]의 [[용준형]]이 피처링으로 참여했고,<ref name="cha"/> 무대에서 주로 퍼포먼스 위주의 공연을 펼쳐 나이보다 성숙한 이미지를 뽐냈다.<ref name="cha"/> 또한 노래의 안무 중 일명 '골반춤'은 유행을 시켜 많은 UCC 동영상들이 올라왔고, 연예인들이 따라하기도 했다.<ref>{{뉴스 인용|출판사=메디컬투데이|저자= 남연희|제목=김현아 '골반춤' 올해 첫 유행춤 등극! "한번 따라해볼까?"|url=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113319|날짜=2010-01-14|확인날짜=2010-11-26}}</ref> 현아의 솔로 활동이 끝나자 포미닛은 본격적인 해외진출을 시작했고, 대만에서 발매한 앨범 《4Minute for Muzik》은 골드 인증을 받았다.<ref name="4mir">{{뉴스 인용|출판사=서울경제|저자= 이민지 인턴 기자|제목=비스트-포미닛 '인기 돌풍' 아시아 휩쓴다|url=http://economy.hankooki.com/lpage/entv/201005/e2010052411061594220.htm|날짜=2010-05-24|확인날짜=2010-11-26}}</ref> 이 외에 홍콩, 일본, 필리핀 등 아시아 전역에서 인기를 얻는다.<ref name="4mir"/> 2010년 5월 19일 포미닛은 한국으로 돌아와 두 번째 EP 앨범 《[[Hit Your Heart]]》를 발매하고 컴백했고, 타이틀곡 〈HUH〉로 [[엠 카운트다운]] 차트 1위를 차지했다.<ref>{{뉴스 인용|저자=길혜성 기자|제목=포미닛, 신곡 'HUH'로 가요프로 첫 1위|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0061723015739806&type=1&outlink=1|출판사=머니투데이|날짜=2010-06-17}}</ref> 이후 포미닛은 2010년 12월 15일 일본에서 첫 정규 앨범 ''[[DIAMOND]]''를 발매했고, 같은 해 11월, 2011학년도 [[건국대학교]] 예술학부 수시모집에 연예특기자 전형으로 합격했다.<ref>{{뉴스 인용|제목=포미닛 김현아-서우, 건대 예술학부 합격! 선배는 샤이니 민호-유아인|url=http://thestar.chosun.com/site/data/html_dir/2010/11/03/2010110300885.html|출판사=조선일보|날짜=2010-11-03}}</ref>
  • 북유럽 신화 . . . . 2회 일치
         [[북유럽]] 일대에서 [[게르만 민족]]을 중심으로 전해진 신화를 뜻한다. 주로 [[스칸디나비아 반도]]나 [[독일]] 등 게르만 계열 민족이 활동했던 영역에 전파되었다. 북구신화라고도 하는데 여기서 '북구'는 '북 [[구라파]](=유럽)'의 준말이다. 사실 북유럽에는 게르만 민족 말고도 다른 민족도 살았지만 게르만 계열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고 체계적인 내용이라 '북유럽 신화'라고 하면 곧 게르만 계열의 신화라고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는 가장 체계적으로 남은 [[스칸디나비아 반도]] 지역의 [[에다]], [[사가]] 등의 문헌을 바탕으로 신화를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다. 고대 로마 시대에 게르만 민족에 대한 기록에서 부분적으로 그들이 믿는 종교와 함께 언급이 등장하며, 단편적인 기록이나 유럽의 민속에서 신화의 흔적을 찾기도 한다.
  • 서울특별시/인물 . . . . 2회 일치
         * [[나비(가수)|나비]] - 도봉구
  • 윤주희(배우) . . . . 2회 일치
         || 2009년 || [[불꽃처럼 나비처럼(영화)|불꽃처럼 나비처럼]] || 간택녀 || ||
  • 일곱개의 대죄/229화 . . . . 2회 일치
          * 그러나 엘레인은 연인을 구하겠다는 일념으로 다시금 날아오르고, 그 간절한 마음이 힘으로 바뀌며 나비와 같은 날개가 생겨난다.
          그러나 메라스큐라는 원하는 그림을 보여주지 못했다. 고개를 돌린 순간 엘레인은 바람 보다도 빠르게 그녀의 입 속에서 반을 낚아채갔다. 동료들은 그녀의 바뀐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호크가 측정한 엘레인의 현재 전투력은 마력 18000, 무력 50, 기력 3000, 총합 21050. 연인을 생각하는 마음이 힘으로 바뀌어 나타났다, 엘리자베스는 그렇게 말했다. 그녀의 말처럼, 엘레인은 아름다운 나비의 날개를 드리우고 있었다.
  • AT4 . . . . 1회 일치
         [[https://news.google.com/newspapers?nid=1955&dat=19961008&id=umUlAAAAIBAJ&sjid=8qYFAAAAIBAJ&pg=2805,4669161&hl=ko|1994년 당시 스칸디나비아 폭주족간 항쟁에 사용된 전적이 있다.]] 요약하자면 스웨덴 군사시설에서 훔친 AT-4를 상대 폭주족 클럽하우스에 쏴버린 것.
  • 고수희 . . . . 1회 일치
         * [[2009년]] : 《[[불꽃처럼 나비처럼]]》 - 소희 역
  • 김갑수(배우) . . . . 1회 일치
         || MBC || [[베스트극장]] - 나비 || 재욱 || 출연 || ||
  • 김동욱(배우) . . . . 1회 일치
         2015년 8월에 [[복면가왕]]에서 [[광대승천 어릿광대]]라는 가명으로 나와서 [[정태우]], [[장나라]]가 부른 'Be happy'를 [[금은방 나비부인]]과 불렀으며 2라운드 준비곡으로 [[김광석]]의 '잊어야 한다는 마음으로'을 열창했다.[* 여담으로 군대에서 위문 공연 당시에도 이 노래를 불렀었다.] [[김형석]]에게 [[김광석]]이랑 목소리가 비슷하다는 평을 받았으며 나온 계기가 본인은 예능에 안 나간다는 것과 본인이 예능 출연을 안한다는 편견을 깨기 위해서라고 밝혔다.
  • 김성겸(탤런트) . . . . 1회 일치
          * [[내사랑 나비부인]] - 이삼구
  • 김영철(배우) . . . . 1회 일치
          * 1979년 꽃밭에 나비[* 총학생회장 임태환 역]
  • 김윤아(1974) . . . . 1회 일치
         기본적으로는 [[두성]]에 [[비음]]을 약간 섞어 사용한다. [[중성]]에서 [[가성]]으로 넘어가는 소위 '꺾기' 창법 역시 자주 사용한다.[* 어렸을 때 [[요들송]]을 배웠던 적이 있다고 하며 그 때문에 이 꺾기를 매우 쉽게 사용한다고 한다.] 벨칸토 식 성악창법과 락 창법도 사용한다. [[비성]] 창법이 트레이드마크처럼 여겨지지만 비음을 사용하지 않고 진성으로 부르는 곡도 많다. '''곡마다, 아니 곡 안에서도 창법을 계속 바꿀 수 있는[* 곡 중간에 창법을 바꾼다는 것은 어렵지만 사실 프로급 보컬들은 최소한 성대접촉은 조절해 창법을 바꿔가며 노래를 부른다. 그렇게 해야 노래의 강약조절을 명확히 전달할 수 있기 때문. 하지만 일반적으로 프로들은 김윤아와 달리 일반인들이 직감적으로 느낄 정도로 크게 변화시키지를 않는다. 창법변화를 크게주다가 잘못하면 창법을 변화하는 중간중간에 이질감때문에 곡의 분위기를 깨버리기 때문. 이렇기때문에 김윤아는 서로 이질감이 들 수 있는 창법을 조화시키며 노래한다는 점에서 다양한 창법을 구사한다고 인정 받는다. 또한 김윤아는 그 창법의 변화를 통해 자기색깔을 드러내는, 즉 온전한 자기의 방식으로 노래하는 보컬리스트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창법변화를 주는 것은 일반적인 방식은 아니라서 호불호가 있고, 그러다보니 표현이 작위적이라고 말하거나 자의식과잉이라고 말하는 사람이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어쨋건 저런 김윤아식 보컬스타일은 유니크하며 인정받을만 한 것임이 틀림없다.] 드문 보컬리스트.''' 기본적으로는 락 보컬리스트이지만 리듬감을 강조하는 R&B나 [[블루스]] 기반의 노래도 꽤 많다. 예컨대 '나비' 같은 곡들.
  • 김정난 . . . . 1회 일치
         || 2001년 || 나비 || 여행사 사원 || ||
  • 나비야 꽃이야 . . . . 1회 일치
         나비나 꽃처럼 아름답고 귀여운 것이라는 뜻에서 지극히 귀여워하는 모습을 뜻하게 되었다. 특히 여자아이에게 스는 말이다. 남자아이에게도 쓰지만.
  • 남능미 . . . . 1회 일치
          * 나비야 청산가자
  • 류자키 레이카 . . . . 1회 일치
         만화 에이스를 노려라! 의 등장인물. 별명은 나비부인(お蝶夫人). 처음에는 냉철하고 거만하고 고압적인 성격으로 그려지지만, 주인공 히로미와 테니스 부 선배로서 좋은 라이벌 캐릭터가 되어간다.
  • 문희(배우) . . . . 1회 일치
         * 1971년 《[[상해의 불나비]]》
  • 바키도/122화 . . . . 1회 일치
          * 쏘는 벌이나 독침을 휘두르는 녀석, 그리고 나비처럼 도저히 잡을 수 없었던 녀석.
  • 박노식(1971) . . . . 1회 일치
         ||<|2> 2003년 || 나비 || 구두닦이 || ||
  • 박용우(배우) . . . . 1회 일치
          * [[내사랑 나비부인]] (SBS, 2012) - 이우재 역
  • 백일섭 . . . . 1회 일치
         * [[1974년]] 《[[흑나비]]》
  • 세정(구구단) . . . . 1회 일치
          * [[황세준]] 대표가 똥고집(?)을 부렸던 [[구구단]]이라는 팀명에 관한 이야기와 어서옵쇼에서 선보인 등근육 얘기가 이어졌고 세정이 선보인 등근육에 관한 얘기가 나온 끝에 조충현 아나운서와의 즉석 팔씨름 대결이 이뤄졌다. 두 손가락, 세 손가락, 전체 손가락으로 대결이 이어졌고 조충현 아나운서의 샌드백 예능감이 발휘되는 가운데 세정의 전승으로 팔씨름 대결이 끝났다. S본부 [[배성재]]에 이어 K본부 도장깨기에 성공했다며 엄살을 부리는 조충현 아나운서의 예능감과 세정 특유의 털털함이 잘 어울려 여느 예능프로그램 못지 않은 재미를 선사했다. 파파야, 아보카도, 두리안 셋 중 한 과일을 고르는 문제를 맞춘 뒤에는 노래방 성우, 외화 더빙, 최화정, 해바라기 김래원 성대모사를 연이어 선보였다. 달팽이, 지렁이, 나비 셋 중 하나를 맞추는 문제를 푼 뒤의 토크에선 어려서부터 시쓰기를 자주 했다는 얘기를 했으며 1대100 삼행시를 선보였다.[* 1 - 1대100 나온다고 해서 제가 준비를 많이 했거든요. 대 - 대략 20편 정도를 챙겨봤는데 100 - '''100인으로 나올 걸...''']
  • 수애 . . . . 1회 일치
         | 《[[불꽃처럼 나비처럼]]》
  • 아웃워드 작전 . . . . 1회 일치
         1940년, 대규모 돌풍이 불어서 많은 양의 방공기구가 해방(?)되었다. 이 방공기구들은 동쪽으로 날아가버렸는데, [[북해]]를 건너 [[스칸디나비아 반도]]까지 날아가 중립국이었던 [[스웨덴]]의 전선과 라디오 방송국 안테나를 덮쳤다. 스웨덴 정부는 영국 정부에게 이 사태에 대해 항의했다.
  • 어쌔신 크리드 III/임무일람/주요임무 . . . . 1회 일치
         >히키: 날 그렇게 보지 마. 너하고 난 달라! 넌 나비를 쫓는 바보밖에 안 돼. 나 같은 사람은 한 손에는 맥주를 들고 다른 손으로 젖통을 끼면 되는 부류라고. 그러니까, 꼬맹아, 난 원하는걸 가질 수 있어. 가지기도 했지. 너는? 네 손은 평생 비어있을거야.
  • 연정(우주소녀) . . . . 1회 일치
         중2때 제21회 전라남도 청소년 종합 예술제에서 대중가요 개인부문 장려상을 수상한 적이 있다. 참가곡은 나비의 <길에서>. 22회에도 참가했다. 참가곡은 JOO의 <나쁜남자>.
  • 영덕군 . . . . 1회 일치
         ||3|| 강구초등학교 || 강구면 나비산길 8 ||
  • 오창경 . . . . 1회 일치
         * 《[[하얀나비]]》 (2011년) - 프로덕션 선배 역
  • 유지태 . . . . 1회 일치
         * [[경동나비엔]] (2016 - 2017)
  • 유해진(배우) . . . . 1회 일치
         ||<|2>2003년||나비||동식||특별출연|| ||
  • 은혼/606화 . . . . 1회 일치
          * 아무튼 봉인을 해제한 곤도는 순식간에 건물 위로 뛰어오르고 해방군의 공격을 요리조리 나비처럼 피해 다니는 등 엄청나게 강하다.
  • 이문식(배우) . . . . 1회 일치
          * [[나비]] (2003년)
  • 이사강 . . . . 1회 일치
         * 2008년 [[하동균]] - 나비
  • 이선희 . . . . 1회 일치
         * 2009년 영화 《[[불꽃처럼 나비처럼]]》
  • 이혜숙(영화배우) . . . . 1회 일치
          * [[내사랑 나비부인]] - 실비아 최
  • 정혜선(배우) . . . . 1회 일치
          * [[내사랑 나비부인]]
  • 제령 . . . . 1회 일치
         테크모의 게임 령 제로 붉은 나비에서 유래한, 스탭이 유령에 시달리다가 패브리즈로 제령을 했다는 일화에서 나온 것이다. 방법은 페브리즈를 뿌리면 된다(…).
  • 조재윤 . . . . 1회 일치
         * 2012년 [[SBS]] 《[[내 사랑 나비부인]]》 - 단속 경찰 역
  • 진종채 . . . . 1회 일치
         대대장 월북 거짓 보고 사건의 여파로 [[1979년]] [[제2작전사령관|제2군사령관]]으로 보직 이동했다. 보안사령관 후임자로 전두환을 적극 추천하였고, 갓 소장에 진급한 전두환이 핵심 요직인 보안사령관에 임명되면서, 이 결정은 나비효과처럼 12.12 군사반란으로 이어지게 된다. 10.26 사태 후 규정에 의거하여 보안사령관이 대통령 시해 합동수사본부장이 됨으로써 전두환의 권력 장악 시나리오가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 차수연 . . . . 1회 일치
         || [[SBS]] || [[내사랑 나비부인]] || 목수정 || ||
  • 천호진 . . . . 1회 일치
         | [[불꽃처럼 나비처럼]]
  • 최동석 . . . . 1회 일치
         * [[KBS2]] 《미래예측버라이어티 나비효과》
  • 최운정 . . . . 1회 일치
         | 나비스코 챔피언십 = 2014년 : 16위
  • 최재웅 (배우) . . . . 1회 일치
         * 《[[불꽃처럼 나비처럼]]》 (2009년) - 뇌전 역
  • 최제훈 . . . . 1회 일치
         * 《나비잠》([[문학과지성사]], 2013)
  • 최채흥 . . . . 1회 일치
         9월 30일 대구에서 열린 SK와의 경기에서 선발 [[윤성환]]이 5회에 수비도움을 받지 못하며 급격히 무너지면서, 추격조로 등판했다. 5회 2사 만루 상황에서 첫 타자인 [[최항]]에게 좌중간에 싹슬이 3타점 적시 2루타를 허용하며 분식회계를 해버렸으나, 이 후는 침착하게 잘 막아내면서 2⅓이닝 동안 2탈삼진을 기록하는 준수한 투구를 해주었다. --상수야. 이게 다 너 때문에 벌어진 나비효과란다.--
  • 황치열 . . . . 1회 일치
         * 2015년 11월 21일 -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 (고 김정호 편) - 〈하얀나비
11532의 페이지중에 53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