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나르샤"을(를) 전체 찾아보기

나르샤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변요한 . . . . 7회 일치
         2011년 [[한국예술종합학교]] 작품인 [[단편영화]] 《[[토요근무]]》로 데뷔했다. 그다지 길지 않은 활동기간 동안의 작품활동이 대부분 [[독립영화]]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필모그래피에 등록된 영화보다 등록되지 않은 영화들이 더 많다. 들리는 바에 의하면 약 30편 정도가 더 있다고. ~~역시 독립영화계의 송중기.~~ 그 예로 영화《[[들개(영화)|들개]]》로 이미 합을 한 번 맞춘 적이 있는 배우 [[박정민(배우)|박정민]]과 함께한 《어쩔 수 없어요》, 《FLAMINGO》 등이 있다. ~~《FLAMINGO》 감독님 내한 기원[* 변요한이 직접 《FLAMINGO》에 애착이 있으나 공개할 방법이 마땅치 않다고 말했다. 이유는 감독님이 미국으로 가셔서 연락이 되지 않기 때문.]~~ 육룡이 나르샤 이후에는 뮤지컬(!) [[헤드윅]]에 출연한다.[* 육룡이 나르샤 촬영 시기와 겹쳐 1차, 2차까지 공개된 캐스팅 목록에 올라가 있지 않았다. 마침내, 4월 27일로 첫공 날짜가 정해졌다.] 이 작품은 평소에 외워 부르고 다닐 만큼 좋아하는 작품이었다고 한다.
         || [[2015년]]~[[2016년]] || [[SBS]] || [[육룡이 나르샤]] || [[이방지(육룡이 나르샤)|이방지(땅새)]] || 주연 ||
          * 2015년 육룡이 나르샤 OST Part 3 <무이이야>
          * 2015년 육룡이 나르샤 OST Part 8 <청산별곡>
         ||<|4> [[2015년]] ||<|2> [[SBS 연기대상]] || 장편드라마부문 남자 우수연기상 ||<|2> [[육룡이 나르샤]] ||
  • 윤균상(1987) . . . . 6회 일치
         2012년에 [[SBS]] [[드라마]] [[신의(드라마)|신의]]로 데뷔하였으며, 2년 뒤에 같은 방송사의 [[피노키오(드라마)|피노키오]]에서 주인공의 형 역할인 [[기재명]]으로 이름을 알렸다. 그 후 또 같은 방송사의 [[너를 사랑한 시간]]에서 천재 피아니스트 차서후 역으로 지지를 받기 시작하고, 그리고 같은 해 [[육룡이 나르샤]]에서는 앞서 방영했던 이후의 세계관을 다룬 [[뿌리깊은 나무(드라마)|뿌리깊은 나무]]의 내금위장 [[무휼(뿌리깊은 나무)|무휼]]의 젊은 시절을 연기했다. 앞서 연기했던 차서후가 귀공자적인 매력을 가진 엘리트 피아니스트였다면 무휼은 우월한 신장과 제대로 엄청난 괴력을 가지고 있지만, [[금사빠]]에 허당기가 넘쳐서 [[갭모에|귀여운]]모습까지 보이는 야생 ~~[[개그 캐릭터|개그]]~~무사의 이미지. 메이킹 영상이나 인터뷰를 보면 배우의 실제 성격은 그간 맡아온 배역들 중 무휼에 가장 가까운 듯 하다.
         || [[육룡이 나르샤]] || [[무휼(육룡이 나르샤)|무휼]][* 삼시세끼 등 예능에서 보여준 그의 모습을 보면 배우 본인과 가장 비슷한 배역이다.] || 주연 ||
         || 육룡이 나르샤 ||
         || 제29회 그리메상 || 신인연기자상 || 육룡이 나르샤 ||
          * 2015년에 [[SBS 연기대상]] 특별 공연으로 국악소녀 [[송소희]]와 듀엣으로 육룡이 나르샤 [[OST]]인 무이이야 어레인지 버전을 불렀다.
  • 김다솜(배우) . . . . 3회 일치
         외국의 [[양덕후]]들은 다솜을 제일 좋아하는 듯하다. 정규 1집 타이틀곡 <So Cool> MV에서도 "머리 단발인 애가 제일 이쁘다."라는 반응이 많았다. 디씨인들도 다솜을 제일 좋아하는 듯하다. 그럼에도 [[효정]]과 [[나르샤]]에 밀려 [[소유(가수)|소유]]와 함께 계속 비주류를 맴돌았지만 <Loving U> 때부터는 [[효정]]과 [[나르샤]]의 뒤를 잇는 인기 멤버가 되었다. <Loving U> 활동의 최고 수혜자라고 할 수 있다. ~~막내보다 늦게 뜬 [[소유(가수)|소유]] 지못미.(...)~~ ~~다만 당시 파트가 딱 한 소절이었다.~~
         [[씨스타]]가 막 데뷔했을 당시 '[[일진]] 아이돌'이라는 설이 가장 많았던 멤버다.[* 데뷔 초에는 [[소유(가수)|소유]]와 [[효정]] 역시 일진 논란이 있었다. 그 중 제일 심했던 게 다솜이라 그렇지(...)... ~~반면 [[나르샤]]는 일진루머가 없어서 빵셔틀이라고 놀림받았다.~~] 그런데 알고 보니 이것 역시 [[강지영]]에게 파주퀸 루머를 만들어 뿌렸던 [[http://theqoo.net/index.php?mid=square&filter_mode=normal&document_srl=150168230|모 커뮤니티발 조작임이 밝혀졌다]], 심지어 유포자들은 '''[[중학생]]'''이었다. 초등학생 때 친구들끼리 뭉쳐다니던 걸 일진처럼 조작해서 유포시킨 것으로 보인다.[* 일진설이 돌던 때 증거랍시고 나오던 것들이 전부 사실이라고 가정할 경우, 다솜은 진짜로 '''초등학생 때 소화기 들고 사람을 폭행한''' 불량학생이 된다. 상식적으로 10살 안팎의 여자 초등학생이 그 정도 완력을 지니고 있을 리가...] 그런데 2012년에 [[티아라 화영 트위터 사건]]이 일어나고 나서 다솜이 [[류화영]]과 친하다는 사실이 부각되자 다솜의 [[이미지]]가 좋아졌다.
  • 김태우(god) . . . . 2회 일치
         이 외 그의 또 다른 개드립인 [[빈유|'목 돌아간 애']] 드립 등을 생각해보면, 그냥 '2차 성징이 안 온 꼬맹이'라는 의미로 쓴 게 맞다. 물론 나이가 어릴수록 더 유연한 것이 '''[[상식]]'''이지만, 이건 그냥 그가 '''무식'''하다고 보면 될 문제다. 주로 성인 여성의 성적 특징과 관련한 드립을 치는 것이니 섹드립이라면 섹드립이지만, 직접적으로 [[섹스]]와 관련한 드립이라기 보다는 [[나르샤(브라운 아이드 걸스)|나르샤]]가 사과 두 개로 글래머 흉내를 낸 것과 같은 수준의 색(色)드립인 것.
  • 서울특별시/인물 . . . . 2회 일치
         * [[나르샤(브라운 아이드 걸스)|나르샤]] - 성동구
  • 세정(구구단) . . . . 2회 일치
          * 2017년 11월 30일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2664260&lfrom=twitter|기사]]를 통해 [[SBS]] [[자기야 - 백년손님|자기야]]에 [[구구단(아이돌)|구구단]] 멤버 [[조혜연(2000)|혜연]]과 함께 출연을 밝혔다. [[나르샤(브라운 아이드 걸스)|나르샤]]와 함께 '후포리'를 찾아 김장을 담그기에 도전했다고 한다. 12월 7일 방영. 후포리 주민들과 김장 300포기 품앗이를 도왔으며, 어르신들의 흥을 돋우려 트로트를 부르기도 했다. 김장이 끝나고 이들을 위해 준비된 한상을 보며 '대게는 소울푸드이다. 대게를 먹는 순간에는 대게와 나만 있는 느낌이다'라며 대게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고 이에 혼자 5마리를 먹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 우현(배우) . . . . 2회 일치
         KBS 시트콤 [[올드미스 다이어리]]를 통해 드라마에도 데뷔하였으며, 그 뒤로 감초 역할로 활약했다. 특유의 [[노안]]과 작은 키 덕에 전형적인 동네 촌놈 역할을 많이 맡았는데, 최근에는 연기변신을 시도하면서 악역으로도 연기폭을 넓혔다. 특히 [[뿌리깊은 나무(드라마)]]에서 [[이방지(뿌리깊은 나무)|이방지]] 역을 맡아 강채윤의 스승이자 노회한 무공의 고수 역할로 젊은 시청자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기기도 했다. 하지만 [[육룡이 나르샤]]에서 젊은 [[이방지(육룡이 나르샤)|이방지]] 역을 맡은 [[변요한]]과 비교하면 외모 차이가 너무 심하게 난다.
  • 이순재(1935년 10월) . . . . 2회 일치
          * [[육룡이 나르샤]](2015, SBS)/[[육룡이 나르샤/등장인물#s-3|이자춘(특별출연)]]
  • 이승효(탤런트) . . . . 2회 일치
         2006년 [[대조영(드라마)|대조영]]을 통해 데뷔한 후 [[선덕여왕(드라마)|선덕여왕]]의 [[알천(선덕여왕)|알천]]으로 인지도를 높였다. 사극 전문 배우까지는 아닌데 사극에 더 많이 나오는 배우이다. 알천으로 유명해지기 전에는 [[대조영]]에서 중간 장수 정도의 도협 역할을 맡았고 선덕여왕 이후에도 한두 작품을 제외하고는 전부 사극에 등장한다(...). 최근에 유명작으로는 [[육룡이 나르샤]]의 [[진안대군]] 이방우 역할이 있다.
          * [[육룡이 나르샤]] - [[진안대군]]
  • 천호진 . . . . 2회 일치
         | [[육룡이 나르샤]]
         | [[육룡이 나르샤]]
  • 현이와 덕이 . . . . 2회 일치
         * 2013년 3월 <[[KBS]] [[TV]]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별이 된 천재소녀 故 장덕 편 : [[왁스]] · [[나르샤]] · [[이지형]] · [[노브레인]] · [[엠블랙]] · [[김다현]] 출연 ([[리메이크]])
         * 2013년 3월 <[[KBS]] [[TV]]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별이 된 천재소녀 故 장덕 편 : [[왁스]] · [[나르샤]] · [[이지형]] · [[노브레인]] · [[엠블랙]] · [[김다현]] 출연 ([[리메이크]])
  • 고현정(미스코리아) . . . . 1회 일치
         [[선덕여왕(드라마)|선덕여왕]]으로 2009년 MBC 연기대상을 수상하였고, 드라마가 끝난 다음 해에도 2010년 [[백상예술대상]], 2010년 [[한국방송공사]] 탤런트상, 2010년 서울드라마어워즈 한류스타상 등을 석권하여, 완벽한 일인자의 자리에 올랐다. 이후 다른 드라마에서 주인공 또는 조연이 '미실'을 흉내내는 장면이 나오거나 성격을 묘사하면서 언급된 작품이 공중파만 무려 3개로[* '[[역전의 여왕]]' '[[최고의 사랑]]' '[[마이 프린세스]]'.], 드라마 작가들에게도 어지간히 강한 인상을 남겼던 것 같다. ~~[[육룡이 나르샤]]는 작가가 같으니까 제외;; ~~
  • 안석환 . . . . 1회 일치
         * 2015년 [[SBS]] 월화드라마 《[[육룡이 나르샤]]》 ... 육산선생 역
  • 전성우 (배우) . . . . 1회 일치
         * 《[[육룡이 나르샤]]》 (2015년, SBS) - 성균관 유생 역
  • 정문성 . . . . 1회 일치
         * [[2015년]] [[SBS]] 《[[육룡이 나르샤]]》 - 한구영 역
  • 정재민(2001) . . . . 1회 일치
         * 《[[육룡이 나르샤]]》 (2015년, SBS) - 익안대군 이방의 역
  • 정종철 . . . . 1회 일치
         * [[2016년]] 《[[육룡이 나르샤]]》([[SBS]]) - 옥떨이 역
  • 차용학 . . . . 1회 일치
         * 《[[육룡이 나르샤]]》 (SBS, 2015년) - 이숙번 역
  • 최종원(국회의원) . . . . 1회 일치
          * [[육룡이 나르샤]]([[SBS]], 2015): [[이인겸]] 역
  • 하현우 . . . . 1회 일치
         ==== [[육룡이 나르샤]] OST Part.4 (2015.12.08) ====
11531의 페이지중에 20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20-12-01 19:46:24
Processing time 0.0186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