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기동전사 건담 실루엣 포뮬러 91"을(를) 전체 찾아보기

기동전사 건담 실루엣 포뮬러 91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기동전사 건담 . . . . 15회 일치
         일명 '퍼스트 건담'이라고 부른다. [[건담 시리즈]]의 출발점이 된 작품.
         기동전사 건담은 전투 장면의 연출이 매우 뛰어난 작품이다.
         당시 유행하는 로봇이 최소 10여가지 이상에서 수십가지에 달하는 무기를 장착하여 걸어다니는 '무기고' 수준으로 설정되었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건담의 무기는 종류가 매우 적어서 10여가지 이하에 불과하다. 기본적으로 쓰이는 무기는 발칸, 빔사벨, 라이플 혹은 바주카 밖에 없다. 해머나 빔 자벨린 같은 무기가 있기는 하나 일회적인 출연에 불과하다.
         그러한 반면에 건담은 TV판 40화 이상 혹은 극장판 3편이라는 장기 작품을 사실상 단 세가지 무기만 가지고 밀도 있는 액션을 펼쳐나가는 것이다. 그 때문에 무기의 숫자는 줄었지만 오히려 액션은 훨씬 다채롭고 창의적으로 만들어졌다.
         적군 유닛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신형 메카들이 일회성으로 자주 등장하긴 하지만 초반 적 기체인 '자쿠'의 경우 초반 악역은 일회용 취급당하던 과거의 패턴을 깨고 건담과 함께 건담 시리즈의 대표적인 메카 디자인으로 자리잡는다. 이는 마케팅적으로 소수의 주역 메카'만'이 상품성이 있었던 기존의 로봇 애니메이션과는 달리, 적아군을 모두 합쳐 거의 20여가지 이상의 상품 라인업을 갖출 수 있었다. 단지 소수의 주역 로봇(많아봤자 2,3체)만이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었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적의 로봇은 1회용으로만 쓰이며 상품화 되지 않고 낭비되다시피 했던 대부분의 다른 로봇애니메이션과는 달리 적의 로봇 역시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게 되었으므로 훨씬 다양한 상품을 프라모델로 출시하고 상품성을 인정받을 수 있었던 것이다.
         예를 들어 마징가Z의 경우, 마징가Z 이외의 로봇은 거의 상품화 되지 않았다.(적 메카는 거의 없다시피 했고, 보스보로트나 아프로다이A는 마이너한 인기가 있는 정도) 반면 건담은 프라모델 생산 라인으로 수십가지 상품군을 갖출 수 있었고, 이를 매년 신 시리즈를 내고 갱신하면서 20년 이상 유지할 수 있었다.[* 다만, 훗날 신경향 건담들이 나오면서 '건담 우려먹기'가 시작되어, 건프라도 건담 계열에 치중된 라인업 우려먹기로 빠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 [[건담 시리즈/등장인물]]
          * [[건담 시리즈/등장 기계]]
         [[분류:건담 시리즈]] [[분류:애니메이션]]
  • 스틸오션/일본 . . . . 13회 일치
         ||<bgcolor=#cccccc> '''관측 범위''' || 2,910 m ||<bgcolor=#cccccc> '''교신 범위''' || 1,913 m ||
         ||<bgcolor=#cccccc> '''내구성''' || 991 ||<bgcolor=#cccccc> '''배수량''' || 1,445 t ||
         ||<bgcolor=#cccccc> '''내구성''' || 7,918 ||<bgcolor=#cccccc> '''배수량''' || 2,610 t ||
         ||<bgcolor=#cccccc> '''관측 범위''' || 3,291 m ||<bgcolor=#cccccc> '''교신 범위''' || 2,275 m ||
         ||||<bgcolor=#cccccc> '''갑판/측면/방뢰 장갑''' |||| 25/91/91 mm ||
         ||<bgcolor=#cccccc> '''가격''' || 1,910,000 실버 ||<bgcolor=#cccccc> '''필요 경험치''' || 87,900 Exp. ||
         ||<bgcolor=#cccccc> '''소나 범위''' || 1,911 m ||<bgcolor=#cccccc> '''소나 간격''' || 2.65 f/min ||
         ||<bgcolor=#cccccc><tablestyle="width:500px"> '''비행갑판 쿨타임''' || 9 초 ||<bgcolor=#cccccc><tablestyle="width:500px"> '''탑재량''' || 91대 ||
         >A-30으로도 알려진 카와치급 전함은 일본의 첫 반(半)드레드노트급 전함이다. 함포는 305mm 구경이지만 예산 문제로 전(前)드레드노트급처럼 두 종류의 다른 주포를 장비하는걸로 변경되었다. 카와치는 1918년 발생한 탄약고 폭발로 침몰했고, 세츠는 워싱턴 해군 조약에 의해 비무장 표적함으로 개장되었다. 세츠는 1945년 당시 미군 항공기의 공습으로 격침되었다.
         ||||<bgcolor=#cccccc> '''갑판/측면/방뢰 장갑''' |||| 25/91/124 mm ||
         ||<bgcolor=#cccccc><tablestyle="width:500px"> '''비행갑판 쿨타임''' || 10.2 초 ||<bgcolor=#cccccc><tablestyle="width:500px"> '''탑재량''' || 91대 ||
  • 로라 로라 . . . . 12회 일치
         [[∀건담]]의 [[진히로인]]이자 작중 최고의 미녀이며, 역대 건담 최고의 미녀를 꼽을때 늘 입에 오르는 전무후무한 캐릭터이다. 성우는 [[박로미]].
         = 건담의 성녀? =
         역대 건담 히로인들은 세이라를 시작으로 미친듯이 까이는 것이 대부분임을 생각해 봤을 때, 로라에 대한 안티팬을 찾아보기 어렵다는 사실은 건덕들에게 적응이 안 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건담의 히로인들은 까야 제맛~~
         안 까이는 경우는 별로 주목을 못 받아야 가능한 경우인데... 대표적으로 [기동전사 Z 건담]의 [화 유이리] 정도만큼 존재감이 희미하거나 [기동전사 건담: 제08 소대]의 [아이나 사하린]처럼 주인공(남편)을 쉴드삼아 성녀로 등극해야지만 가능한 경우다. 이는 건담이 가지고 있는 인간의 성장드라마가 진행됨에 따라 등장인물들이 성숙해지면서 미성숙 단계의 병크가 부각되거나 '''작품이 끝날때까지 정신적 성장이 안 되는''' 경우에 팬들에게 까이는 요소가 되는데, 토미노 작품에서도 로라 로라의 존재는 특이하게도 등장 시점부터 '''성숙한 단계'''였다.
         여러모로 토미노 작품뿐만 아니라 전체 건담작품으로 확대해도 특이한 히로인이다.
         [[분류:건담 시리즈]]
  • 건담 시리즈 . . . . 11회 일치
         [[마징가Z]]로 대표되는 슈퍼로봇물과 달리 [[전쟁]] 등의 무거운 소재에 중점을 둔 시리즈다. [[토미노 요시유키]]의 [[기동전사 건담]]이 첫작품이며 이후 꾸준히 애니메이션이 나오고, 게임, 코믹스, 소설도 나오고 있는 상당한 역사를 지닌 시리즈다.
         애니메이션이 나오고, 게임과 소설 등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는데 이중에서도 기동전사 건담을 필두로 한 일명 우주세기는 건담 시리즈 중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건담에서 빼놓을 수 없는 [[뉴타입]] 등 건담 시리즈의 다양한 요소들이 우주세기에서 나왔다.
         프라모델도 전개되었는데 그 존재감이 커서 건프라라는 줄임말도 있다. 게다가 이 건프라를 활용한 건담 애니메이션인 건담 빌드 파이터즈도 방영했다.
          * [[기동전사 건담]]
  • 샬롯 링링 . . . . 10회 일치
         본명은 밝혀졌지만 아직 뚜렷한 모습으로 등장한 적은 없기에 구체적인 외모도 전투능력도 불명이다. 실루엣상으로 볼 땐 [[wiki:"엄마(아따맘마)"뽀글머리에 살이 통통하게 오르고 괴상한 인체비례를 가진 거대한 덩치]][* [[흰 수염]]과 동급인 듯.]의 [[대두]] 아줌마. 실루엣이 등장하기 이전부터 통칭으로 볼 때 여성일 것이란 견해가 높았으며 651화에서 사실로 드러났다. --왠지 [[엄마(아따맘마)|이 분]]을 닮으셨다.-- 전투 능력은 대략 같은 사황들이나 미호크, 가프, 센고쿠, 제파, 로저랑 동급인 듯.
         여담으로 등장하기 전에 나온 실루엣과 본모습이 다른데, 본모습의 얼굴이 실루엣보다 둥글고, 외모도 약간 다르고, 실루엣의 턱 자국(?)이 본모습에는 없다.[* 같은 사황인 카이도도 실루엣과 컬러 표지에서 본인으로 추정되는 실루엣이 다른데, 본 실루엣의 얼굴이 넓적하고 머리칼이 복슬복슬한 반면 추정 실루엣은 입과 한쪽부분으로만 봐서는 좀 말라보이고 생머리이다.]
         여담으로 실루엣이 [완제]와 비슷해 혹시 관련 인물이 아니냐는 질문도 있었다.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유닛 . . . . 9회 일치
          * Ground Attack(지상 공격): 1913년 연구인 "폭탄 투하 전술"을 연구하면 해금. 목표 지역의 적 육군 부대를 공격, 전력을 깎는다. 공격 대상은 목표 지역 내 제일 적은 적군이 주둔한 프로빈스다. HOI2 바닐라 때는 이걸로 행군중인 사단을 몰살시키거나 하는 일이 빈번했다고 한다.
          * Ground Support(지상 지원): 1916년 연구인 "근접 항공 지원 발상"을 연구하면 해금. 목표 지역의 적 육군 부대를 공격, 조직력을 깎는다. 공격 대상은 목표 지역 내 제일 적은 적군이 주둔한 프로빈스다.
          * Strategic Bombardment(전략 폭격): 1917년 연구인 "전략 폭격기 발상"을 연구하면 해금. 목표 지역의 적 공장을 폭격해 공업력을 일시적으로 떨어뜨린다. 공격 대상은 목표 지역 내 제일 적은 적군이 주둔한 프로빈스다.
          * Logical Strike(병참 타격): 1916년 연구인 "전술 폭격기 발상"을 연구하면 해금. 목표 지역의 적 산업기반을 폭격해 레벨을 일시적으로 떨어뜨린다. 공격 대상은 목표 지역 내 제일 적은 적군이 주둔한 프로빈스다.
          * Runway Cratering(활주로 타격): 1916년 연구인 "전술 폭격기 발상"을 연구하면 해금. 목표 지역의 적 활주로를 폭격해 공군기지 레벨을 일시적으로 떨어뜨린다.
          * Installation Strike(시설 타격): 1916년 연구인 "전술 폭격기 발상"을 연구하면 해금. 목표 지역의 대공포, 레이더 기지, 원자로, 로켓 시험소를 폭격해 레벨을 일시적으로 떨어뜨린다. 공격 대상은 목표 지역 내 제일 적은 적군이 주둔한 프로빈스다.
          * Port Strike(항구 타격): 1914년 연구인 "해양 항공 지원 발상"을 연구하면 해금. 목표 지역의 항구를 폭격한다. 대함 공격력이 높을 경우 항구 내 함대를 직접 공격하며, 전략 공격력이 높을 경우 항구 자체를 폭격해 레벨을 일시적으로 떨어뜨린다.
          * Naval Strike(해상 타격): 1918년 연구인 "해양 공격 발상"을 연구하면 해금. 목표 지역에서 초계 비행을 벌이다가 적 함대를 발견하면 공격한다.
          * Bomb Convoys(호송선단 폭격): 1918년 연구인 "해양 공격 발상"을 연구하면 해금. 목표 지역에서 초계 비행을 벌이며 적의 호송선단을 공격한다.
  • 스틸오션/영국 . . . . 9회 일치
         ||<bgcolor=#cccccc> '''내구성''' || 432 ||<bgcolor=#cccccc> '''배수량''' || 914 t ||
         >왕립해군은 1916년 부터 1917년 까지 55척의 R-클래스 구축함을 건조했다. 이 숫자에는 이중 굴뚝을 장비한 개량형도 포함되어있었다. R-클래스 구축함은 초기 M-클래스 구축함의 개량형이었다. 두척을 제외한 대다수의 R-클래스 구축함이 1930년대 퇴역하였다. 레이디언트(Radiant)는 왕립태국해군에 넘겨져 1957년까지 현역이었으며, 스케이트(Skate)는 제1차 세계대전 후 기뢰부설함으로 개장되어 제2차 세계대전까지 살아남았다. 스케이트는 노르망디 상륙작전 호위선단에 참가하기도 했다.
         ||<bgcolor=#cccccc> '''관측 범위''' || 3,914 m ||<bgcolor=#cccccc> '''교신 범위''' || 2,850 m ||
         >HMS Argus는 일반적인 항공모함이라고 부를 수 있을만한 최초의 왕립해군 소속 항공모함이었다. 원래는 콘테로소(Conte Rosso)라는 이름을 갖고 있었다. 1918년 9월, 콘테로소는 갑판 전체에 비행갑판을 두르고 Argus로 명명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 후반기에 Argus는 독일 함대의 공습을 받았다. 전간기에는 느린 속도로 인해 훈련 임무에만 머물러 있어야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HMS Argus는 몰타와 지브롤터에 보급품을 보내는 하푼 작전(Operation Harpoon) 동안 H 기동부대의 항공 지원을 맡았다. 1942년, Argus는 횃불 작전(Operation Torch)에서 항공 지원을 맡았다. 이 함선은 주로 훈련용으로 사용되다가 1946년 퇴역했다.
         ||<bgcolor=#cccccc> '''관측 범위''' || 3,191 m ||<bgcolor=#cccccc> '''교신 범위''' || 2,747 m ||
         >넵튠의 성능에 실망한 왕립해군은 오리온급 전함의 주포탑 전부를 중심선에 배치했다. 독일 전함을 상대하기 위해 더 큰 343mm 주포를 장비하였다. 훗날 이 특징은 슈퍼 드레드노트급 전함의 특성이 되었다. 오리온급 전함 네척 모두 1915년에 현대화 개수를 받았다. 유틀란트 해전 당시 제2전함전대에 배치되었다. 퇴역 후, 모나크(Monarch)는 표적함이 되어 리벤지(Revenge)에게 격침되었다. 썬더러(Thunderer)는 원양항해 훈련함으로 사용되다 1926년 매각, 해체되었다.
         ||<bgcolor=#cccccc> '''관측 범위''' || 4,495 m ||<bgcolor=#cccccc> '''교신 범위''' || 3,691 m ||
         ||<bgcolor=#cccccc> '''관측 범위''' || 4,495 m ||<bgcolor=#cccccc> '''교신 범위''' || 3,691 m ||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기술 . . . . 8회 일치
          해병 사단에 관련된 연구. 1916 Infantry Division 연구와 1916 Light Infantry Division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공병 여단에 관련된 연구. Army Logistics 1911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연구를 할 때 마다 새로운 공병 여단이 해금되는 것 뿐만 아니라 보급 거리, 운송력, 공군 기지 건설 속도에도 보너스가 붙는다.
          해군폭격기에 대한 연구. Tactical Bombers 1914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Naval Bomber 1924 연구를 마지막으로 명맥이 끊겼다가(?) Naval Bomber 1938 연구로 부활(?)하는데, 이 연구 또한 Naval Bomber 1924 연구는 물론이고 Tactical Bomber 1938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Turbojet Naval Bomber 1949 연구를 마지막으로 Tactical Bombers 트리에 통합된다.
          항모항공대계열 부속들에 대한 연구. Early Fighters 트리의 Multi-Role Fighter 1918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수송기에 대한 연구. Tactical Bomber 1918 연구, Naval Bomber 1918 연구, Strategic Bomber 1914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공중보급 임무를 위해서는 이 트리의 Air Transport Plane 1938 연구가 필요하다.
  • ∀건담 . . . . 8회 일치
         '''모든 건담의 마지막'''[* 턴에이 이후로 나온 신경향 건담들도 융화시킬 수 있는 '흑역사'라는 개념 때문에 가능한 표현이다.]
         건담 시리즈인 애니메이션. [[건담]] 탄생 20주년 기념작으로 기존의 건담과는 확연하게 구분되지만, 또 기존의 모든 것(∀)을 포함하는 작품이다.
         마지막 시대를 다룬 건담 작품으로 기존 건담 시리즈와 동일하게 지구와 우주의 갈등의 중심에서 주인공 [[로랑 세아크]]와 각 인물들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 주요 스토리이다.
         [[분류:건담 시리즈]] [[분류:애니메이션]]
  • 스틸오션/독일 . . . . 6회 일치
         >필라우는 러시아 제국의 주문으로 단치히에서 건조중인 경순양함이었다. 제1차 세계대전의 발발 이후, 이 순양함을 독일에 의해 몰수되어 독일 해군에 의해 사용되었다. 전시에 필라우는 제2 정찰대에 배속되어 북해와 발트해에서 활동했다. 1915년 리가 만 해전에 참가해 러시아 해군을 상대로 전투를 치뤘다. 1916년 5월, 필라우는 유틀란트 해전에 참가해 대구경탄에 맞아 큰 손상을 입었다. 전투가 끝난 후에는 심각한 피해를 입은 전투순양함 자이들리츠(Seydlitz)가 항구까지 도달하는걸 도왔다. 1917년 헬리골란트 바이트 해전에도 참가했다. 종전후 전쟁보상함으로 이탈리아에 양도, 바리(Bari)로 개명되었다. 바리는 제2차 세계대전 초반에 미군의 공습으로 격침되었다.
         === Konigisberg 1915 ===
         ||<bgcolor=#cccccc> '''가격''' || 1,910,000 실버 ||<bgcolor=#cccccc> '''필요 경험치''' || 87,900 Exp. ||
         ||<bgcolor=#cccccc> '''속도''' || 20.02 kt ||<bgcolor=#cccccc> '''조타 속도''' || 초당 7.91 ° ||
  • Victoria II . . . . 5회 일치
          * Interwar Spritepack : 12개국[* 오스트리아, 영국,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러시아, 스페인, 스웨덴, 터키, 미국]의 1919년 이후 보병 스프라이트를 고증에 따른 전간기 군복으로 바꿔주는 DLC.
          * Interwar Artillery Sprite Pack : 12개국의 1919년 이후 포병 스프라이트를 고증에 따른 전간기 군복으로 바꿔주는 DLC.
          * Interwar Planes Sprite Pack : 12개국의 1919년 이후 항공기 스프라이트를 고증에 따른 전간기 군복으로 바꿔주는 DLC.
          * Interwar Engineer Unit : 12개국의 1919년 이후 공병 스프라이트를 고증에 따른 전간기 군복으로 바꿔주는 DLC.
          * Interwar Cavalry Unit Pack : 12개국의 1919년 이후 기병 스프라이트를 고증에 따른 전간기 군복으로 바꿔주는 DLC.
  • World Of Guns: Gun Disassembly . . . . 5회 일치
          * [[콜트 M1911|콜트 1911]][* A1이 아니라는것에 주목하라.]
          * [[마우저 1914]]
          * [[브라우닝 M1919]]
          * [[두카티 916]]
  • 라이징 스톰 . . . . 5회 일치
          윈체스터 M1912. 무기 레벨이 25까지 올라가면 M1917 총검이 해금된다.
          * M1918A2 BAR
          * M1919A6 LMG
          * M1911A1
  • 로랑 세아크 . . . . 5회 일치
         [[∀건담]]의 주인공. 성우는 [[박로미]].
         작중에서의 여장[* 통칭 '[[로라 로라]]'. ∀건담 항목의 사진 중 여성으로 보이는 쪽.] 이벤트 때문에 이 쪽으로 더 많이 알려져 있지만(...), 문레이스 출신이면서도 지구의 환경과 문화를 존중하고 평화를 사랑하는 성격으로 역대 건담 시리즈 주인공 중에서도 손꼽히는 정신적 완성형 캐릭터이다. 또한, 건담 시리즈 사상 최초이자 유일한 흑인 주인공, 유일하게 여성 성우가 연기한 캐릭터 등 여러가지 부분에서 특징적인 캐릭터.
         [[분류:건담 시리즈]]
  • Y2K 버그 . . . . 4회 일치
         연도를 두글자로 기억하는 컴퓨터들이 2000년이 되면 연도를 1900년으로 인식, 오작동을 일으킬 것이라는 버그. 당시 1990년대만 해도 컴퓨터가 상당히 많은 곳에 퍼져 있었기에 이 버그는 회사나 국가의 전산 시스템, 병원의 의료기기 등에 심각한 결과를 가져올것이라고 예상되었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122900099118001&edi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8-12-29&officeId=00009&pageNo=18&printNo=10254&publishType=00010|매일경제 1998년 12월 29일 기사,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미국 연방준비의사회는 [[ATM]]이 작동하지 않을것을 우려하는 시민들이 99년 말에 대량으로 현금을 인출할 것이라 예상, 500억 달러를 추가 발행했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112200209101007&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8-11-22&officeId=00020&pageNo=1&printNo=24046&publishType=00010|동아일보 1998년 11월 22일 기사,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미국의 컴퓨터 관련 기업들은 Y2K에 대해 설명하는 사이트를 공동으로 개설하였으며[*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9051000099107012&ed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9-05-10&officeId=00009&pageNo=7&printNo=10363&publishType=00010|매일경제 1999년 5월 10일 기사,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국내 컴퓨터 업계 또한 이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였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060800329109001&ed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8-06-08&officeId=00032&pageNo=9&printNo=16453&publishType=00010|경향신문 1998년 6월 8일 기사,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 건담 동물원 . . . . 4회 일치
         [[반다이 남코]]에서 나오는 『건담 익스트림 버서스(機動戦士ガンダムエクストリームバーサス)』의 플레이어를 나쁘게 말하는 말.
         건담 익스트림 버서스는 2인 1조로 싸우는 4인 대전 게임으로서, 2인 1조의 상대방은 아는 사람과 함께 하는 것도 가능하고, 전국에서 게임 플레이 중인 사람들 가운데 랜덤으로 조를 짜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데 이 게임의 플레이어들에게 건담 동물원이라는 말이 붙은 것은, 매너가 매우 나쁘기 때문이다.
         >건담을 하는 사람의 [[민도]]가 낮다든가, 동물원이라는 말을 듣는 것도 모르척 할 수는 없지요, 룰과 매너를 제대로 지켜서 플레이 합시다.
  • 정력 . . . . 4회 일치
         == [[∀건담]]의 [[기년법]] ==
         [[건담 시리즈]]의 세계관에서는 최종적으로 턴A 건담에 의해 지구권의 문명과 역사는 [[흑역사]]속에 묻혀버리게 된다. 그로 인해 잊혀진 시절은 뒤로하고 새로운 기년법을 만들게 된 것이 이 정력이다.
         [[분류:동음이의어]] [[분류:건담 시리즈]]
  • 특별고등경찰 . . . . 4회 일치
          * 1910년 (메이지 43), [[사회주의|사회주의자]]들이 메이지 덴노 암살을 시도.
          * 1911년 8월, 경시청 특별고등과 설치
          * 1912년 10월, 오사카에 특별고등과 설치.
         1910년의 통칭 '대역사건'으로 사회주의에 대한 경계의식이 심화되어 설치되었다. 당초 사회주의자에 대한 감시를 맡았던 특별고등경찰은 점차 조직이 비대해지고 권력이 강화되었으며, [[제2차 세계대전]] 전후로는 일반 국민들에 대해서도 감시가 심해져서 악명을 떨쳤다.
  • 155밀리 롱 톰 . . . . 3회 일치
         제1차 세계대전 시기 [[프랑스]]에서 디자인 된 M1917, M1917A1, M1918 GPF (Grande Puissance, Filloux)의 후속작으로 [[미국]]에서 도입했다. GPF를 기반으로 하여 개량하면서 M1 155mm 야포가 개발되었다. 1940년에 디자인이 개선되어 M2 155mm 야포가 만들어졌으며, 이 야포는 [[제2차 세계대전]]에서 [[미군]]이 사용하여 유럽 전선과 [[태평양 전쟁]]에서 사용하였다. M2를 개량한 모델이 M59 155mm 견인포가 된다.
  • Good Morning, Mr Zip-Zip-Zip! . . . . 3회 일치
         1918년 등장한 노래. 작사, 작곡은 [[http://adp.library.ucsb.edu/index.php/talent/detail/60590/Lloyd_Robert_composer|로버트 로이드]](Robert Lloyd)[* "Army Song Leader"라는 별칭이 있다.]
         [https://books.google.co.kr/books?id=lVJhIak171oC&pg=PR12&lpg=PR12&dq=robert+lloyd+army+song+leader&source=bl&ots=0lOnJHVBx-&sig=1RjQIGTTsWox8ZBdkcVlq-VyQNs&hl=ko&sa=X&ved=0ahUKEwjdvqr-tqvMAhXLopQKHfLoDT8Q6AEIHDAA#v=onepage&q=robert%20lloyd%20army%20song%20leader&f=false|"A Pretty Girl is Like a Melody": And Other Favorite Song Hits, 1918-1919]
  • 거대로봇 . . . . 3회 일치
         사실 굳이 따지자면 극중 분위기의 차이라 볼 수 있다. [[마징가Z]]는 [[슈퍼맨]] 등 [[슈퍼히어로]]가 연상케되는 활극, [[기동전사 건담]]은 진지하고, 무거운 전쟁물이라는 차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것도 정말 '''굳이''' 따지자면 그렇다는 말. 마징가에서도 무겁고, 진지한 연출을 볼 수 있고, 건담에서도 흔히 말하는 리얼리티와는 다른 요소를 볼 수 있다.[* 리얼로봇보다는 슈퍼로봇에 가까운 활약이라던가. 애초에 2족 보행 거대로봇 자체가 리얼리티나 현실성에 부합하지 못한다.] 구분하는 사람 지치게 만든다는 것이 괜한게 아니다.
  • 레드 오케스트라 2: 스탈린그라드의 영웅들 . . . . 3회 일치
          소총수. 소총과 수류탄으로 무장한 병과. Frontline Solder 등급까지 올라가면 권총(C96/TT33)이, Veteran 등급까지 올라가면 적국의 소총(MN1891/Kar98)이 해금된다.
          * MN9130 Rifle
          * Scoped MN9130
  • 명탐정 코난 . . . . 3회 일치
          * 본 만화는 추리 만화인데 어째 [[건담 시리즈]]와의 관련성이 나온다. 물론 건담계 등장인물이 나오거나, [[모빌슈트]]가 나오는 것은 아니고, 건담을 연상케하는 요소가 나온다. 등장인물들의 이름이라던가.
  • 보스턴 당밀 홍수 사건 . . . . 3회 일치
         1919년 1월 15일에 보스턴의 당밀 저장 탱크가 붕괴하여 당밀 홍수가 보스턴 시내를 덮친 사건. '1919년 보스턴 당밀 대범람'이라고도 불린다.
         보스턴 북부에 위치한 '퓨리티 디스틸링'이라는 당밀 판매 회사에는 수만 톤의 당밀(사탕수수에서 설탕을 추출할 때 나오는 시럽 같은 부산물)을 저장하는 거대한 저장 탱크가 있었는데, 1919년 1월 15일 오후 12시 40분경에 이 탱크가 갑자기 붕괴하여 약 1만 4천 톤 가량의 당밀이 쏟아져 보스턴 시내를 덮쳤다.
  • 콜 오브 후아레즈 : 건슬링어 . . . . 3회 일치
         1910년, [[아칸소]] 주 애빌린에 위치한 한 술집에 판초를 입은 노인이 들어온다. 그 노인은 자신이 전설적인 현상금 사냥꾼 "사일러스 그리브즈"라고 주장하며 사실인지 진짜인지 알 수 없는 이야기를 늘어놓는다.
         === 1910년 ===
          실존인물. 풀네임은 뉴먼 헤인즈 클랜턴. 갱단 "카우보이즈"의 리더로 멕시코에서 가축을 훔쳐 미국에서 파는 일을 했다. 이로인해 멕시코 루랄레스[* 가르디아 루랄(Guardia Rural). 1861년부터 1914년 까지 멕시코의 치안을 유지하기 위해 존재했던 기마부대.]의 추격 및 기습으로 사망했다.
  • 프레샤 . . . . 3회 일치
          * [[건담 시리즈]]에서 [[뉴타입]] 간에 서로 정신적 압력을 뿜어내서 서로를 감응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특히 서로 적대적인 관계이고 뉴타입 능력이 강할 때 강력한 프레샤를 발하게 된다. 예시) "코노 프레샤와?! 샤아!"
          * 보통은 뉴타입의 특수기로 인식되는 경향이 많은데, 이는 [[기동전사 Z건담]]에서 묘사한 프레샤가 가장 강렬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실제로는 프레샤는 올드타입도 쓰는 것으로 묘사된다. 뭔가 전장에서 식별 가능한 강렬한 기운이 느껴진다면 프레샤라 봐도 무방할 듯.
  • 하이큐!! . . . . 3회 일치
          * 배구계에서도 작품의 인기와 영향력을 의식하였는지 [https://twitter.com/ALan_twt_/status/507780608991322112/ 실제 일본 봄고 배구대회 포스터]까지 장식하는 쾌거를 누린다.
          * 종종 점프계열 행사가 열릴 때 공식 트위터로 하이큐 부스에서 키요코 코스프레를 한 남성이 찍혀있는데, 하이큐 편집 담당자 혼다[* 本田佑行. 2010년 6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은혼 담당을 했었다. 은혼 애니화 재기로 4기 1화 방영 이후 하이큐 트위터 계정을 통해 비화를 밝히기도. [https://twitter.com/haikyu_com/status/585738044281491456 이런 심한 얘기를 점프에 올린 사람이 누구?! 나인가?!]]다. [https://twitter.com/haikyu_com/status/546458211255992320 점프페스타 2015]
          * 어떤 [덕후]가 [오이카와 토오루]의 방을 실제로 재현했다. 베스트 세터 상 상패까지(...) [https://www.facebook.com/haikyuu.fans/posts/591001484368357 위대한 덕후]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 . . . . 2회 일치
          * The Great War(1914)
          1914년 6월 27일 시작하는 시나리오. 약 한 달 후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한다. 주요 동맹도 동맹국, 삼국 협상, 코민테른으로 다르다. 1920년이 끝나는 순간 게임도 끝나므로 제2차 세계대전까지 이어 할 수는 없다.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디시전 . . . . 2회 일치
         ==== 1914년 시나리오 디시전 ====
         ==== 1914년 시나리오 디시전 ====
  • K리그 클래식/2016시즌 . . . . 2회 일치
         || 91 || 2016.06.25 || 수원 삼성 vs 제주 Utd || 0 : 0 ||
         || 191 || 2016.09.25 || 상주 상무 vs 제주 Utd || 0 : 0 ||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91화 . . . . 2회 일치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90화]]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91화'''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92화]]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No. 91. '''평화의 상징'''
  • 더 선 . . . . 2회 일치
         축구 경기 도중 96명의 관중이 압사한 [[힐즈버러 참사]] 당시 리버풀 팬 일부가 사망자의 주머니를 털고, 경찰에게 오줌을 쌌으며 인공호흡을 시도하던 경찰관을 구타했다는 기사를 내보냈다. [[https://www.thesun.co.uk/archives/news/919113/we-are-sorry-for-our-gravest-error/|그리고 23년후 사과 기사를 냈다.]]
  • 랑그릿사 . . . . 2회 일치
         [[랑그릿사 1]] - 1991년 발매
         우선 닌텐도의 암흑룡과 빛의 검(1990)과 메가 드라이브의 랑그릿사(1991)는 발매 시기가 굉장히 비슷한데, 암흑룡과 빛의 검을 참조하여 이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개발된 것이 랑그릿사라고 생각해보면 마케팅적 관점에서 이해하기 쉽다.
  • 마~앙 . . . . 2회 일치
         http://dic.nicovideo.jp/a/%E3%81%BE%E3%80%9C%E3%82%93(%E7%AC%91)
         http://dic.nicovideo.jp/a/%E3%81%A1%E3%80%9C%E3%82%93%28%E7%AC%91%29
  • 마~앙(웃음) . . . . 2회 일치
         http://dic.nicovideo.jp/a/%E3%81%BE%E3%80%9C%E3%82%93(%E7%AC%91)
         http://dic.nicovideo.jp/a/%E3%81%A1%E3%80%9C%E3%82%93%28%E7%AC%91%29
  • 마치킨 . . . . 2회 일치
          * https://kotobank.jp/word/%E8%A1%97%E9%87%91%E3%83%BB%E9%97%87%E9%87%91-1140378
  • 맥스 페인/줄거리 . . . . 2회 일치
         맥스가 뉴저지 주에 있는 집으로 돌아 왔을때, 집의 분위기는 심상치 않았다. 방에는 V자와 주사기가 그려져 있었다. 누군가가 집 안에 쳐들어온 것이었다. 맥스는 마침 집에 걸려온 전화를 받아 911에 연락해 달라고 부탁하지만, 전화 건너편의 여자는 도와줄 수 없어 유감이라는 말만 하고는 전화를 끊어버린다.
         멸균실을 거쳐 실험실로 간 맥스는 실험실 컴퓨터를 통해 발할라 계획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알아낸다. 발할라 계획은 1991년에 보병의 체력과 사기를 증진시키기 위해 시작되었다. 하지만 만족스러운 결과를 내지 못해 계획은 취소되었다. 이를 본 맥스는 누군가 허가 없이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 블랙 클로버/91화 . . . . 2회 일치
         || [[블랙 클로버/90화]] |||| '''블랙 클로버/91화''' |||| [[블랙 클로버/92화]] ||
         [[블랙 클로버]] 페이지 91. '''광열폭발'''
  • 블리치/691화 . . . . 2회 일치
         || [[블리치/690화]] |||| '''블리치/691화''' |||| [[블리치/692화]] ||
         [[블리치]] 691화. '''THE END'''
  • 스틸오션/미국 . . . . 2회 일치
         >1916년 건조된 O급 잠수함은 N급 잠수함의 대형화 버전이었다. 예비 부양성과 생활 환경 또한 개선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동안 O급 잠수함의 대다수가 미합중국 동해안에서 대잠 임무를 수행했다.
         >"평갑판" 구축함이라고도 알려진 칼드웰급 구축함은 1917년 취역하였다. 대서양, 주로 동해안에서 수송함대 호위를 맡았다. 제1차 세계대전 후, 칼드웰급 구축함 한척이 윌슨 대통령 호위를 맡기도 했다.
  • 식극의 소마/191화 . . . . 2회 일치
         || [[식극의 소마/190화]] |||| '''식극의 소마/191화''' |||| [[식극의 소마/192화]] ||
         [[식극의 소마]] 191화. '''격전 끝에'''
  • 애니프사 . . . . 2회 일치
         퀴어 퍼레이드에서 퀴어 퍼레이드를 걱정하는 척 [[고나리]]하던 사람들이 애니프사라서 생긴 것이라고 한다.[[https://twitter.com/BrightArthurLee/status/691577645016846336 (트위터)]]
         https://twitter.com/LUNALUXLEPUS/status/740592526004916224
  • 오방낭 . . . . 2회 일치
         2013년 박근혜 대통령의 취임식에서 등장한 바 있다. 이 때 오방색의 방위가 잘못되었다는 지적이 있다. 방위가 상생이 아니라 상극을 상징하게 되어 오히려 화를 불러올 수 있다는 주장이다.[[http://news.joins.com/article/20784391 (중앙일보)]][[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6102709342496489 (아시아경제)]]
          * http://news.joins.com/article/20784391
  • 요시다 세이지 . . . . 2회 일치
         사실, 요시다 증언의 영향은 한정적이다. 위안부 문제에 관련된 증거는 요시다 증언만이 아니기 때문이다. 일본 정부는 1993년 고노 담화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요시다 증언을 참조하지 않았으며, 이는 1991년 1월 일본군이 위안소 설치와 위안부 동원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했음을 증명하는 일본 정부의 내부 문서를 아사히 신문이 공개한 것이 결정적이었다. 그리고 1991년 8월 위안부 피해자 김학순 할머니가 첫 공개 증언을 하면서, 한국은 물론 동남아에서도 피해자 증언이 잇따르게 되었다.
  • 은혼/591화 . . . . 2회 일치
         || [[은혼/590화]] |||| '''은혼/591화''' |||| [[은혼/592화]] ||
         [[은혼]] 591훈. '''피와 혼'''
  • 일곱개의 대죄/191화 . . . . 2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190화]] |||| '''일곱개의 대죄/191화''' |||| [[일곱개의 대죄/192화]] ||
         [[일곱개의 대죄]] 제 191화. '''만족하지 못하는 여자'''
  • 정치공학 . . . . 2회 일치
         >노무현 "요즘 정치공학 책을 보면 국민을 속이고 자극하는 기술이 수없이 나오는데 그것을 지도자의 제일 조건으로 써놓은 책을 보면 답답하다"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507031758521&code=990326#csidxb914cb4e3f87ea0a4d75944b31219dc (참조)]]
         이에 대해서는 한가지 일화가 있는데, 미국 남 일리노이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고, 연세대에서 강의를 하던 주관중(朱冠中) 교수가 1960년대 후반 '정치공학'이라는 책을 저술하여 냈는데, 이 책이 청와대에서 모두 회수하고 박정희 정권은 주관중 교수를 대통령 정무비서관으로 임명했다. 그리하여 박정희 대통령은 '정치공학적 수완'을 발휘하게 되었다는 것이다.[[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507031758521&code=990326#csidxb914cb4e3f87ea0a4d75944b31219dc (참조)]]
  • 진격의 거인/91화 . . . . 2회 일치
         || [[진격의 거인/90화]] |||| '''진격의 거인/91화''' |||| [[진격의 거인/92화]] ||
         [[진격의 거인]] 91화. '''바다의 저편'''
  • 청년 튀르크 당 . . . . 2회 일치
         결국 청년 튀르크 당은 술탄 통치를 무너뜨리고 입헌 정부를 수립했다. CUP는 1913년이 되자 새 지도자들 하에서 오스만 제국 정치의 중심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내정면에서 성과를 거뒀음에도 불구하고, 대외정책에서 치명적인 실수를 범했다. [[제1차 세계대전]]에 동맹국으로 참가하는 실책을 저지른 것이다. 결국 궁지에 몰린 오스만 제국이 무드로스 휴전협정에 조인하기 1개월 전, CUP 내각은 1918년 10월 9일 총사퇴, 청년 튀르크 당은 소멸했다.
  • 칼 루이스 . . . . 2회 일치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2연속 금메달을 획득, 세계육상선수권 대회에서 1983년 헬싱키, 1987년 로마, 1991년 도쿄에서 100미터 3연패를 달성헀다. 서울 올림픽에서는 경기에서는 [[벤 존슨]]에게 밀려서 2위로 떨어졌었으나, 벤 존슨의 스테로이드 약물 복용이 드러나 [[금메달]]이 박탈되고 기록이 삭제되면서 1위로 올라섯다.
         1991년 도쿄 세계육상선수권 대회에서 100미터 9초 86으로 세계 기록을 세웠다.
  • 커피 젤리 . . . . 2회 일치
         [[일본]]에서 커피 젤리에 관한 최초 자료는 1914년 4월 3일 [[요미우리 신문]]이며, 가사나 생활을 다루는 '가정' 면에서 커피 젤리의 레시피가 실렸다.
         커피 젤리는 일본 태생의 빙과 간주합니다. 커피 젤리에 관한 최초의 자료는 1914 년 (양 3 년 대) 4 월 3 일 요미우리 신문에 등장합니다. 가사 나 생활을 취급하는 "가정면"커피 젤리 레시피가 게재되었습니다.
  • 쿠와바라 쿠와바라 . . . . 2회 일치
          * http://yain.jp/i/%E6%A1%91%E5%8E%9F%E6%A1%91%E5%8E%9F
  • 토리코/391화 . . . . 2회 일치
         || [[토리코/390화]] |||| '''토리코/391화''' |||| [[토리코/392화]] ||
         [[토리코]] 391화. '''아카시아 vs 토리코'''
  • 트로피코 4 . . . . 2회 일치
          * 1989-1991: 천안문 광장 시위 - 중국이 수입을 중단함
          * 1991: 걸프 전쟁 - 중동과의 관계가 기본값으로 돌아감
  • 페어리 테일/491화 . . . . 2회 일치
         || [[페어리 테일/490화]] |||| '''페어리 테일/491화''' |||| [[페어리 테일/492화]] ||
         [[페어리 테일]] 제 491화. '''어머니와 딸'''
  • 호농 . . . . 2회 일치
         대체로 5~10정보(町歩) 정도 되는 면적의 농지를 보유했다. 1정보는 약 9917제곱미터로, 대략 1[[헥타르]] 정도.
          * https://kotobank.jp/word/%E8%B1%AA%E8%BE%B2-170491
  • 흑역사 . . . . 2회 일치
         본래는 [[∀건담|턴에이 건담]]의 용어. 작중에서는 본래 인류가 과거에 반복해온 '전쟁과 파괴의 역사'를 한동안 묻어두고 있었다가 이를 공개하면서 '흑역사'라는 용어로 지칭하였다.
  • AT4 . . . . 1회 일치
         [[https://news.google.com/newspapers?nid=1955&dat=19961008&id=umUlAAAAIBAJ&sjid=8qYFAAAAIBAJ&pg=2805,4669161&hl=ko|1994년 당시 스칸디나비아 폭주족간 항쟁에 사용된 전적이 있다.]] 요약하자면 스웨덴 군사시설에서 훔친 AT-4를 상대 폭주족 클럽하우스에 쏴버린 것.
  • COCOM . . . . 1회 일치
         1991년 12월에 소련이 붕괴하여 냉전이 종식되고, 1994년 3월에 폐지되었다.
  • I Didn't Raise My Boy to Be a Soldier . . . . 1회 일치
         미국의 반전(反戰)가. 작사 알프레드 브라이언. 작곡 알 피안타도시. [[제1차 세계대전]]이 진행되고 있지만 미국이 참전하지는 않았던 1915년에 만들어졌다.
  • IsbnMap . . . . 1회 일치
         [[ISBN(0-201-65791-0,WowBook)]]
  • K리그 관중 실 집계 정책 . . . . 1회 일치
         실 집계를 시작하고 나서 가져온 파장이 엄청났는데, 2012시즌 348경기가 종료되자 2011시즌 246경기동안 300만명이 넘었다는 관중이 250만명으로 50만명이나 줄었다. 단순계산만으로도 평균관중이 1만 1천~2천여명 정도였던 2011시즌 성과와는 달리 2012시즌은 7천여명으로 경기당 근 4~5천명이나 차이가 나는 것.[* [http://sports.news.naver.com/kbo/news/read.nhn?oid=382&aid=0000079171|스포츠동아, "-33.2%…거품 빠진 관중수 각 팀 마케팅 강화 긍정효과"]]
  • MoniWikiPlugins . . . . 1회 일치
          * rdf_blog (RSS 0.91)
  • Oh! How I Hate To Get Up In The Morning . . . . 1회 일치
         [[제1차 세계대전]] 말기인 1918년 미국에서 만들어진 노래. 작사 작곡 어빙 벌린(Irving Berlin).
  • Oui Oui Marie . . . . 1회 일치
         [[제1차 세계대전]] 당시인 1918년 발표된 노래로, "프레드 피셔"(Fred Fisher)가 작곡하였고 "알프레드 브라이언"(Alfred Bryan)과 "조 맥카시"(Joe McCarthy)가 작사하였다.
  • ParagraphTemplate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프로젝트}}}''' || ||
  • USS 뷰캐넌 . . . . 1회 일치
         미국 메인 주에 위치한 배스 철공소(Bath Iron Works)에서 건조. 1919년 1월 20일, 미국 보스턴에 위치한 찰스타운 해군기지에서 취역하였다. 함명의 유래는 미 해군 제독 프랭클린 뷰캐넌(Franklin Buchanan)으로, [[미국-멕시코 전쟁]]에 참가했으며, [[남북전쟁]]에서 남부 소속으로 활동한 인물이었다.
  • 고양이를 덮어쓰다 . . . . 1회 일치
          * https://kotobank.jp/word/%E7%8C%AB%E3%82%92%E8%A2%AB%E3%82%8B-594791
  • 공주님 안기 . . . . 1회 일치
         || [[신기동전기 건담 W]]에서의 공주님 안기 ||
  • 귀적에 들어간다 . . . . 1회 일치
          * http://kotowaza.jitenon.jp/kotowaza/491.php
  • 김취경전 . . . . 1회 일치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91390&cid=41708&categoryId=41711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90화 . . . . 1회 일치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89화]]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90화'''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91화]] ||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92화 . . . . 1회 일치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91화]]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92화'''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93화]] ||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에피소드 . . . . 1회 일치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91화]]
  • 네드 켈리 . . . . 1회 일치
         네드 켈리는 제릴더리(Jerilderie)의 은행을 털며 편지 하나를 남겼다. "제릴더리 편지[* Jerilderie Letter]"라고 불리는 이 편지는 1870년부터의 켈리 갱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당시 호주의 경찰이 부패했다는 주장을 담고 있었다. 이 편지는 경매에 나와 빅토리아 주립 도서관이 사들였다. [[http://search.slv.vic.gov.au/primo_library/libweb/action/dlDisplay.do?vid=MAIN&search_scope=default_scope&docId=SLV_VOYAGER1636991&fn=permalink|전자책으로도 보게 해 주는 것 같으니 관심 있으면 클릭.]] 오른쪽의 View Online을 누르면 된다. 흘려쓴 영문을 읽을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 뇌내 꽃밭 . . . . 1회 일치
          * http://dic.pixiv.net/a/%E8%84%B3%E5%86%85%E3%81%8A%E8%8A%B1%E7%95%91
  • 뉴 워리어즈 . . . . 1회 일치
          * 실루엣
  • 니쿠쟈가 . . . . 1회 일치
         예를 들어, 1902년 쓰여지고, 1917년 개정된 『가정일본요리법(家庭日本料理法)』(오오쿠라 서점大倉書店)이라는 책에 「쇠고기 떡국(牛肉の雑煮)」라는 요리가 실려 있는데, 이름은 달라도 요리법이 니쿠쟈가와 다르지 않다.
  • 롤러 슈즈 . . . . 1회 일치
         2016년대 7월경 대한민국 내에서 다시 유행하고 있다는 [[http://m.mt.co.kr/renew/view.html?no=2016071412591029620&type=outlink#imadnews|기사가 나왔다.]]
  • 리그컵(K리그) . . . . 1회 일치
         리그컵이 태생부터 이러다보니 시간이 아무리 흘러도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았다. 포항 감독이었던 파리아스는 [http://sports.media.daum.net/sports/soccer/newsview?newsId=20090709095009910|격에 맞지 않는 지나친 경기일정]을 꼬집으며 제법 강도높은 비판을 했을 정도. 리그컵의 규정변천을 살펴보면 과유불급이란 무엇인지 알 수 있다.
  • 마기/304화 . . . . 1회 일치
          * [[마기/299화]]에선 연백룡으로 추정되는 실루엣도 알라딘과 함께 있었는데, 이번 화에선 연백룡의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 마누엘 고도이 . . . . 1회 일치
          * 코토반크 : https://kotobank.jp/word/%E3%82%B4%E3%83%89%E3%82%A4-65472#E4.B8.96.E7.95.8C.E5.A4.A7.E7.99.BE.E7.A7.91.E4.BA.8B.E5.85.B8.20.E7.AC.AC.EF.BC.92.E7.89.88
  • 마법병 . . . . 1회 일치
         1908년에 수입됐을 당초에는 광고에서 한란병(寒暖壜)이라는 이름으로 불렸고, 1911년에 일본에서 제작된 보온병이 발매됐을 때는 진공병(真空瓶)이라고 불렸다. 마법병이라는 이름이 언제부터 쓰이게 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 맥스 페인 . . . . 1회 일치
          미 육군이 연구한 "발할라 계획"의 산물로, 1991년 처음 만들어졌다. 제작 목적은 병사들의 체력과 사기를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되었으나 불만족스러운 성과를 내 1995년에 발할라 계획 자체가 취소되었다. 그럼에도 니콜 혼을 비롯한 몇몇은 허가 없이 실험을 계속했으며, 정량의 두배를 투여한 실험체들을 도시에 풀어 맥스의 가족들을 죽이기도 했다.
  • 몽키 D. 루피 . . . . 1회 일치
          * 맨즈논노의 2010년 1월에 표지모델이 되었다. 1986년 창간이후 실제 인물이 아닌 표지는 이번이 두 번째라고 한다. 참고로 첫번째는 1991년 6월호의 [[시베리안 허스키]]. 캐릭터로서는 최초인 셈이다.
  • 미소지 . . . . 1회 일치
          * https://kotobank.jp/word/%E4%B8%89%E5%8D%81%E8%B7%AF%E3%83%BB%E4%B8%89%E5%8D%81-391113
  • 민도 . . . . 1회 일치
          * https://kotobank.jp/word/%E6%B0%91%E5%BA%A6-640687
  • 민생위원 . . . . 1회 일치
         민생위원제도 이전에는 1917년에 오카야마 현에 제세고문(済世顧問), 도쿄에 구제위원(救済委員), 오사카에 방면위원(方面委員)등의 제도가 있었다. 이러한 제도는 지역의 상인, 공장주, 의사, 스님 등 지역의 실정을 잘 아는 사람을 명예직 위원으로 위촉하여, 생활상담, 생활지도, 호적 정리, 구제품 급부 등을 담당하게 한 것이다. 1936년에 방면위원제도로 전국에 통일되어 실시되었다.
  • 뱌체슬라브 몰로토프 . . . . 1회 일치
         1906년 부터 [[볼셰비키]] 당의 당원이자 조직원으로 활동했다. 1909년과 1915년 체포되었다. 지방 당조직에서 활동하다가, 1921년 정치국 후보위원 및 중앙위원회 서기가 되었다.
  • 변질자 . . . . 1회 일치
          * http://detail.chiebukuro.yahoo.co.jp/qa/question_detail/q10129172260
  • 병 속의 악마 . . . . 1회 일치
         1891년에 발표되었다. 뉴욕 헤럴드(New York Herald)에서 2월-5월, 블랙 앤 화이트 런던(Black and White London)에서 3월에서 4월에 걸쳐서 연재되었다. 1893년 발표된 단편집 Island Nights' Entertainments에 수록되었다.
  • 보쿠걸/에피소드 . . . . 1회 일치
         == 91~ ==
  • 블랙 클로버/90화 . . . . 1회 일치
         || [[블랙 클로버/89화]] |||| '''블랙 클로버/90화''' |||| [[블랙 클로버/91화]] ||
  • 블랙 클로버/92화 . . . . 1회 일치
         || [[블랙 클로버/91화]] |||| '''블랙 클로버/92화''' |||| [[블랙 클로버/93화]] ||
  • 블랙 클로버/에피소드 . . . . 1회 일치
         [[블랙 클로버/91화]]
  • 블리치/690화 . . . . 1회 일치
         || [[블리치/689화]] |||| '''블리치/690화''' |||| [[블리치/691화]] ||
  • 블리치/692화 . . . . 1회 일치
         || [[블리치/691화]] |||| '''블리치/692화''' |||| [[블리치/693화]] ||
  • 블리치/에피소드 . . . . 1회 일치
         [[블리치/691화]]
  • 사혈 . . . . 1회 일치
         사실 무려 20세기 초 까지도 사혈은 상당히 흔히 있는 치료법이었다. 그 유명한 '''존스 홉킨스 의과대학'''을 세우는데 공헌한 오슬러(William Osler, 1849~1919)가 “사혈은 폐렴 치료에 좋은 효과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난 반세기 동안 너무 사용을 적게 했다.”는 기술을 남겼을 정도.
  • 소년보도 . . . . 1회 일치
          * https://kotobank.jp/word/%E5%B0%91%E5%B9%B4%E8%A3%9C%E5%B0%8E-1545713
  • 스탈리늄 . . . . 1회 일치
         [[https://steamcommunity.com/sharedfiles/filedetails/?id=673069184|워 썬더 커뮤니티 - 스탈리늄 가이드: 비밀스러운 미스터리(영문)]]
  • 식극의 소마/190화 . . . . 1회 일치
         || [[식극의 소마/189화]] |||| '''식극의 소마/190화''' |||| [[식극의 소마/191화]] ||
  • 식극의 소마/192화 . . . . 1회 일치
         || [[식극의 소마/191화]] |||| '''식극의 소마/192화''' |||| [[식극의 소마/193화]] ||
  • 식극의 소마/200화 . . . . 1회 일치
          * [[나키리 에리나]]의 방에 모이기 직전의 상황. [[도지마 긴]]과 [[타쿠미 알디니]], [[타도코로 메구미]]는 막 요리 승부를 마친 [[사이바 죠이치로]], [[유키히라 소마]] 부자와 마주친다. 결과는 소마의 패배. 소마의 491 연패가 된다.
  • 식극의 소마/210화 . . . . 1회 일치
          네네의 열등감을 자극하는 잇시키의 습성. 그건 무엇을 하든 그녀가 이룬 경지를 쉽게 따라잡을 뿐만 아니라, 어딘지 여력을 남기고 있다. 그것이야 말로 그녀를 비참하게 만들었다. 그녀는 이제 참을 수가 없으니 자신들 91기생 중에 누가 최강의 요리사인지 자신의 실력으로 증명하겠다며 투지를 드러낸다.
  • 식극의 소마/에피소드 . . . . 1회 일치
         [[식극의 소마/191화]]
  • 신겐모치 . . . . 1회 일치
          * http://www.excite.co.jp/News/bit/00091158887267.html
  • 신혼부부 함정구멍추락 사망사고 . . . . 1회 일치
         불행한 사망자 데무라 유우키의 부모는, 아내 리사의 부모와 구멍을 파는걸 도왔던 친구들 총 8인에게 약 9100만의 손해배상을 요구하여 민사소송을 했다. 2014년 카나자와 지방재판소가 청구의 일부를 인정하여 8명에게 4133만엔의 지불을 명령했다.
  • 아워맨 . . . . 1회 일치
          초대 아워맨. 첫등장은 Adventure Comics #48(March 1, 1940). 능력은 1시간 동안만 초인적인 힘과 내구력을 소유. 1913년생이며 본명은 렉스 "틱-탁" 타일러(Rex "Tick-Tock" Tyler).
  • 야마토 운수 . . . . 1회 일치
         [[일본]]의 택배업체. 아기 고양이를 데리고 가는 부모 고양이를 디자인한 마크로 유명하여, 쿠로네코 택배(クロネコ宅配)라고도 불린다. 1919년에 창립되어 2019년이면 역사가 100년이 되는 장수 기업.
  • 얀챠 . . . . 1회 일치
          * https://www.fleapedia.com/%E4%BA%94%E5%8D%81%E9%9F%B3%E3%82%A4%E3%83%B3%E3%83%87%E3%83%83%E3%82%AF%E3%82%B9/%E3%82%84/%E3%82%84%E3%82%93%E3%81%A1%E3%82%83-%E3%81%A8%E3%81%AF-%E6%84%8F%E5%91%B3/
  • 여고생 콘크리트 매장 살인사건 . . . . 1회 일치
          * http://www.geocities.jp/masakari5910/seihanzai_murder_jiken01.html
  • 역병신 . . . . 1회 일치
          * https://kotobank.jp/word/%E5%8E%84%E7%97%85%E7%A5%9E-143544#E4.B8.96.E7.95.8C.E5.A4.A7.E7.99.BE.E7.A7.91.E4.BA.8B.E5.85.B8.20.E7.AC.AC.EF.BC.92.E7.89.88
  • 오기노 쿄우사쿠 . . . . 1회 일치
         1912년, 니가타 시내의 타케야마 병원(竹山病院)에서 근무. 산부인과 부장으로 근무한다.
  • 오오모노노누시노카미 . . . . 1회 일치
         https://kotobank.jp/word/%E5%80%AD%E8%BF%B9%E8%BF%B9%E6%97%A5%E7%99%BE%E8%A5%B2%E5%A7%AB%E5%91%BD-1118036
  • 옥중결혼 . . . . 1회 일치
          * 잠적한 무기징역 죄수 홍승환이 옥중에서 사귀된 여성 때문에 도주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혹이 있다.[http://www.ytn.co.kr/_ln/0103_201504271750452918_001 기사]
  • 왓치맨 . . . . 1회 일치
          * 더 실루엣
  • 유니콘남 . . . . 1회 일치
         헌데 이 방송에 소개된 유니콘 계 남자는 그냥 아무리봐도 '''건담 유니콘의 패러디'''로 보인다. 뉴타입이라느니, 리디라느니(…)
  • 유카타 . . . . 1회 일치
          * https://kotobank.jp/word/%E6%B5%B4%E8%A1%A3-651420#E6.97.A5.E6.9C.AC.E5.A4.A7.E7.99.BE.E7.A7.91.E5.85.A8.E6.9B.B8.28.E3.83.8B.E3.83.83.E3.83.9D.E3.83.8B.E3.82.AB.29
  • 은혼/590화 . . . . 1회 일치
         || [[은혼/589화]] |||| '''은혼/590화''' |||| [[은혼/591화]] ||
  • 은혼/592화 . . . . 1회 일치
         || [[은혼/591화]] |||| '''은혼/592화''' |||| [[은혼/593화]] ||
  • 은혼/601화 . . . . 1회 일치
          * 역시 애니 제작사를 믿는 건지 뜬금없는 건담드립이 또 터진다.
  • 은혼/609화 . . . . 1회 일치
         실루엣상으론 좌측부터 텐코, 소코, 긴코, 가구라, 즈라코, 엘리자베스.
  • 은혼/612화 . . . . 1회 일치
          * "즈라가 아니다 수인번호3692번이다." 다츠마는 순간 잘못건 전화라고 생각해서 사과한다. 무슨 일이냐는 무츠에게 침착하게 "가츠라라고 생각해서 걸었는데 3691번 씨"였다고 설명하는데 "3692번 아니다 가츠라다"라는 대답이 들린다. 결국 너도 잡혀버린 거냐아아!
  • 은혼/에피소드 . . . . 1회 일치
         [[은혼/591화]]
  • 인왕 . . . . 1회 일치
          * https://kotobank.jp/word/%E4%BB%81%E7%8E%8B(%E9%87%91%E5%89%9B%E5%8A%9B%E5%A3%AB%E5%83%8F)-1573216
  • 일곱개의 대죄/190화 . . . . 1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189화]] |||| '''일곱개의 대죄/190화''' |||| [[일곱개의 대죄/191화]] ||
  • 일곱개의 대죄/192화 . . . . 1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191화]] |||| '''일곱개의 대죄/192화''' |||| [[일곱개의 대죄/193화]] ||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 . 1회 일치
         [[일곱개의 대죄/191화]]
  • 장갑차 . . . . 1회 일치
         장갑차가 전쟁터에서 처음 사용된 1910년대에는 "장갑을 씌운 자동차=닥치고 장갑차"로 분류되었지만 이후 시간이 지나고 여러번의 전쟁을 거치면서 여러 종류로 나뉘게 되었다.
  • 절연금 . . . . 1회 일치
         https://kotobank.jp/word/%E6%89%8B%E5%88%87%E3%82%8C%E9%87%91-575503
  • 줄리아나 도쿄 . . . . 1회 일치
         [[도쿄]]에 있었던 [[버블 시대]]의 '''전설적'''인 [[디스코]] 홀. 1991년 5월에서 1994년 8월까지 도쿄 시바우라에서 영업했다. 영국의 레코드 회사 줄리아나와 합작하여 만들어졌다.
  • 진격의 거인/90화 . . . . 1회 일치
         || [[진격의 거인/89화]] |||| '''진격의 거인/90화''' |||| [[진격의 거인/91화]] ||
  • 진격의 거인/92화 . . . . 1회 일치
         || [[진격의 거인/91화]] |||| '''진격의 거인/92화''' |||| [[진격의 거인/93화]] ||
  • 진격의 거인/에피소드 . . . . 1회 일치
         [[진격의 거인/91화]]
  • 창작:Project NA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용도}}}''' || 각종 창작활동 ||
  • 창작:바벨 코스트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용도}}}''' || 각종 창작활동 ||
  • 창작:악마의 열매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세계관}}}''' || [[원피스]] ||
  • 창작:요괴위키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용도}}}''' || 프로젝트 ||
  • 창작:좀비도시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용도}}}''' || 소설, 게임용 세계관 ||
  • 창작:좀비위키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용도}}}''' || 좀비용 ||
  • 창작:좀비탈출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용도}}}''' || 선택지 소설 프로젝트 ||
  • 창작:좀비탈출/0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프로젝트}}}''' || 좀비탈출 ||
  • 창작:좀비탈출/0-1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프로젝트}}}''' || 좀비탈출 ||
  • 창작:좀비탈출/0-1-2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프로젝트}}}''' || 좀비탈출 ||
  • 창작:좀비탈출/1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프로젝트}}}''' || 좀비탈출 ||
  • 창작:좀비탈출/1-1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프로젝트}}}''' || 좀비탈출 ||
  • 창작:좀비탈출/1-2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프로젝트}}}''' || 좀비탈출 ||
  • 창작:좀비탈출/2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프로젝트}}}''' || 좀비탈출 ||
  • 창작:좀비탈출/2-1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프로젝트}}}''' || 좀비탈출 ||
  • 창작:좀비탈출/2-1-1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프로젝트}}}''' || 좀비탈출 ||
  • 창작:좀비탈출/2-1-2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프로젝트}}}''' || 좀비탈출 ||
  • 창작:좀비탈출/2-1-3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프로젝트}}}''' || 좀비탈출 ||
  • 창작:좀비탈출/3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프로젝트}}}''' || 좀비탈출 ||
  • 창작:좀비탈출/3-1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프로젝트}}}''' || 좀비탈출 ||
  • 창작:좀비탈출/3-2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프로젝트}}}''' || 좀비탈출 ||
  • 창작:좀비탈출/4-0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프로젝트}}}''' || 좀비탈출 ||
  • 창작:좀비탈출/4-1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프로젝트}}}''' || 좀비탈출 ||
  • 창작:좀비탈출/4-1-1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프로젝트}}}''' || 좀비탈출 ||
  • 창작:좀비탈출/4-1-2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프로젝트}}}''' || 좀비탈출 ||
  • 창작:좀비탈출/4-1-2-1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프로젝트}}}''' || 좀비탈출 ||
  • 창작:좀비탈출/4-1-2-2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프로젝트}}}''' || 좀비탈출 ||
  • 창작:좀비탈출/5-1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프로젝트}}}''' || 좀비탈출 ||
  • 창작:좀비탈출/5-1-1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프로젝트}}}''' || 좀비탈출 ||
  • 창작:좀비탈출/5-1-1-1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프로젝트}}}''' || 좀비탈출 ||
  • 창작:좀비탈출/5-1-1-1-1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프로젝트}}}''' || 좀비탈출 ||
  • 창작:좀비탈출/5-1-1-1-1-1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프로젝트}}}''' || 좀비탈출 ||
  • 창작:좀비탈출/5-1-1-1-1-2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프로젝트}}}''' || 좀비탈출 ||
  • 창작:좀비탈출/5-1-1-1-2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프로젝트}}}''' || 좀비탈출 ||
  • 창작:좀비탈출/5-1-1-2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프로젝트}}}''' || 좀비탈출 ||
  • 창작:좀비탈출/5-1-2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프로젝트}}}''' || 좀비탈출 ||
  • 창작:좀비탈출/5-2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프로젝트}}}''' || 좀비탈출 ||
  • 창작:좀비탈출/요새편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프로젝트}}}''' || 좀비탈출 ||
  • 창작:좀비탈출/요새편/1-1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프로젝트}}}''' || 좀비탈출 ||
  • 창작:좀비탈출/요새편/1-2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프로젝트}}}''' || 좀비탈출 ||
  • 창작:좀비탈출/요새편/1-2-1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프로젝트}}}''' || 좀비탈출 ||
  • 창작:좀비탈출/요새편/1-2-2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프로젝트}}}''' || 좀비탈출 ||
  • 창작:좀비탈출/학교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프로젝트}}}''' || 좀비탈출 ||
  • 창작:헤이즈 . . . . 1회 일치
         ||<#191970> '''{{{#white 용도}}}''' || 선택지 소설 ||
  • 콩고릴라 . . . . 1회 일치
         사이드킥인 'Janu the Jungle Boy'가 있었다. Action Comics #191 (April 1954)에 등장.
  • 타코베야 . . . . 1회 일치
          * http://yamikin-kaiketu.com/cpt_story/%E3%83%A4%E3%83%9F%E9%87%91%E3%81%8C%E9%80%81%E3%82%8B%E3%82%BF%E3%82%B3%E9%83%A8%E5%B1%8B%E3%82%82%E6%A7%98%E3%80%85/
  • 탈북자 망명정부 . . . . 1회 일치
          * http://www.ytn.co.kr/_ln/0104_201610071913408180
  • 탐라국 여왕 . . . . 1회 일치
          *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20120917.22025201523
  • 태영호 . . . . 1회 일치
         태영호의 아버지 태병렬은 [[김일성]]과 함께 활동한 항일 빨치산 1세대로서, 빨치산 시기에 김일성의 [[전령병]]으로 활동했다. 1913년 생 태병렬은 노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김일성 국가장의위원회 위원 등을 거쳐서 1997년에 사망했다.
  • 토리코/390화 . . . . 1회 일치
         || [[토리코/389화]] |||| '''토리코/390화''' |||| [[토리코/391화]] ||
  • 토리코/392화 . . . . 1회 일치
         || [[토리코/391화]] |||| '''토리코/392화''' |||| [[토리코/393화]] ||
  • 토리코/에피소드 . . . . 1회 일치
         [[토리코/391화]]
  • 파워 해리스먼트 . . . . 1회 일치
          * https://kotobank.jp/word/%E3%83%91%E3%83%AF%E3%83%BC%E3%83%8F%E3%83%A9%E3%82%B9%E3%83%A1%E3%83%B3%E3%83%88-188062
  • 페어리 테일/490화 . . . . 1회 일치
         || [[페어리 테일/489화]] |||| '''페어리 테일/490화''' |||| [[페어리 테일/491화]] ||
  • 페어리 테일/492화 . . . . 1회 일치
         || [[페어리 테일/491화]] |||| '''페어리 테일/492화''' |||| [[페어리 테일/493화]] ||
  • 페어리 테일/에피소드 . . . . 1회 일치
         [[페어리 테일/491화]]
  • 페이데이: 더 하이스트 . . . . 1회 일치
          어설트 트리에서 해금되는 45구경 권총. 중간치의 반동을 가지고있다. 모델은 콜트 M1911A1.
  • 핫라인 마이애미 . . . . 1회 일치
         [[http://store.steampowered.com/app/219150/|핫라인 마이애미 스팀 상점 페이지]]
  • 현실문화사 . . . . 1회 일치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0100900289115001&edtNo=4&printCount=1&publishDate=1990-10-09&officeId=00028&pageNo=15&printNo=743&publishType=00010|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 한겨례 1990년 10월 9일자 - 보안사서 잡지사도 경영]
  • 화염병 . . . . 1회 일치
         만들면 잡혀간다. [[http://www.law.go.kr/%EB%B2%95%EB%A0%B9/%ED%99%94%EC%97%BC%EB%B3%91%EC%82%AC%EC%9A%A9%EB%93%B1%EC%9D%98%EC%B2%98%EB%B2%8C%EC%97%90%EA%B4%80%ED%95%9C%EB%B2%95%EB%A5%A0|화염병 사용 등의 처벌에 관한 법률]] 참조.
11531의 페이지중에 195개가 발견되었습니다 (273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17-09-13 02:36:10
Processing time 3.6620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