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그랜드"을(를) 전체 찾아보기

그랜드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그랜드 테프트 오토 시리즈 . . . . 18회 일치
         첫 작품인 [[그랜드 테프트 오토]]가 나올 당시에는 스토리라고 할 만한 것이 없는 3인칭 탑뷰 게임이었으나 [[그랜드 테프트 오토 III]]부터 스토리 비중을 늘리기 시작했다.
         2017년 1월 기준으로 제일 최신작은 [[그랜드 테프트 오토 V]]와 그에 딸려있는 [[그랜드 테프트 오토 온라인]].
          * [[그랜드 테프트 오토]]
          * [[그랜드 테프트 오토: 런던 1969]]
          * [[그랜드 테프트 오토 2]]
          * [[그랜드 테프트 오토 III]]
          * [[그랜드 테프트 오토: 바이스 시티]]
          * [[그랜드 테프트 오토: 산 안드레아스]]
          * [[그랜드 테프트 오토: 리버티 시티 스토리즈]]
          * [[그랜드 테프트 오토: 바이스 시티 스토리즈]]
          * [[그랜드 테프트 오토 IV]]
          * [[그랜드 테프트 오토: 로스트 앤 댐드]]
          * [[그랜드 테프트 오토: 발라드 오브 게이 토니]]
          * [[그랜드 테프트 오토: 차이나타운 워즈]]
          * [[그랜드 테프트 오토: 에피소드 프롬 리버티 시티]]
          * [[그랜드 테프트 오토 V]]
  • 그랜드 테프트 오토: 산 안드레아스 . . . . 6회 일치
         Grand Theft Auto: San Andreas. 범죄 샌드박스 게임 [[그랜드 테프트 오토 시리즈]]의 시리즈 중 하나. [[캘리포니아]]와 [[라스베가스]]를 모티브로 한 가상의 지역 "산 안드레아스"를 배경으로, 갱단원 "칼 존슨"이 무너진 자신의 [[갱단]]을 다시 일으키는 내용을 담고있다.
         == [[그랜드 테프트 오토: 산 안드레아스/무기|무기]] ==
         [[그랜드 테프트 오토: 산 안드레아스/무기]] 페이지 참조
         == [[그랜드 테프트 오토: 산 안드레아스/지역|지역]] ==
         [[그랜드 테프트 오토: 산 안드레아스/지역]] 페이지 참조
         [[분류:그랜드 테프트 오토: 산 안드레아스]]
  • 송병구 . . . . 6회 일치
         국가대표로 출전했던 [[월드 사이버 게임즈|WCG 2007]] 그랜드 파이널 8강에선 진영수를 꺾고 결승에선 마재윤을 꺾고 결승에 진출했던 중국의 [[샤쥔춘]]을 꺾고 금메달을 따냈으며, WCG 2008 그랜드 파이널에서도 2회 연속 결승에 올라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에서도 건재를 알리며 삼성전자 칸의 2연속 광안리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 또한, WCG 2009에서는 스타크래프트 부분 WCG를 최초로 3회연속 진출에 성공한 후 이제동과의 결승에서 안타깝게 패배해 은메달에 머물렀다. 하지만 IEF2008에서 결승에 오르는데 성공했고 준우승을 기록하였으며 IEF2009에서는 결승에 올라 우승을 차지하며 국제대회에서 '송순신'등으로 불리며 대활약을 벌였다.
         * 2007년 '''WCG 2007 그랜드 파이널 스타크래프트 부문 우승''' (2:0 [[샤쥔춘]])
         * 2008년 WCG 2008 그랜드 파이널 스타크래프트 부문 준우승 (0:2 박찬수)
         * 2009년 WCG 2009 그랜드 파이널 스타크래프트 부문 준우승(1:2 [[이제동]])
         * [[2008년]]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그랜드 파이널 준우승 (삼성전자 칸)
  • 그랜드슬램 . . . . 4회 일치
         어원을 찾아보면 브릿지 게임에서 비롯되었다. 승리를 얻을 수 있는 수를 얼마나 많이 구사했느냐에 따라 슬램이라고 부르던 것이 특정한 수를 12가지 쓰면 "스몰 슬램", 13가지 모두를 다 구사하면 그랜드슬램이라 부르던 것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이 용어가 테니스, 골프 등의 타 종목으로 퍼지면서 난이도가 높은 업적에 대한 기준을 세우고, 이 기준을 달성한 대상에게 부여하는 칭호가 그랜드슬램이 되었다.
          * 축구 : 축구에 한정하여 쓰이는 그랜드슬램이라는 용어는 특정 팀이 거둔 업적을 평가하는게 아니라 특이하게 [[FIFA]] 주관대회를 얼마나 많이 개최하였느냐에 따라 다르다. 여기에 해당하는 대회는 월드컵, 컨페더레이션스컵, U-20 월드컵, U-17 월드컵이 여기에 해당된다.
          * 아마추어 개인종족 : 올림픽이 있는 종목이라면 보통 [[올림픽]]과 [[세계선수권]] 우승을 하는 것을 그랜드 슬램 달성으로 본다.
  • 그랜드 테프트 오토 2/무기 . . . . 2회 일치
         게임 [[그랜드 테프트 오토 2]]에 나오는 [[무기]].
         [[분류:그랜드 테프트 오토 2]]
  • 그랜드 테프트 오토: 산 안드레아스/무기 . . . . 2회 일치
         게임 [[그랜드 테프트 오토: 산 안드레아스]]의 무기를 정리하는 페이지. 미완성. 여기 써지지 않은 무기들도 많음.
         [[분류:그랜드 테프트 오토: 산 안드레아스]]
  • 그랜드 테프트 오토: 산 안드레아스/지역 . . . . 2회 일치
         게임 [[그랜드 테프트 오토: 산 안드레아스]]에 나오는 지역들을 정리한 페이지.
         [[분류:그랜드 테프트 오토: 산 안드레아스]]
  • 임윤선(법조인) . . . . 2회 일치
         2013년 12월 7일부터 방영된 <[[더 지니어스:룰 브레이커]]>에 출연해서 5회까지 살아 남았고 2015년 6월 27일부터 방영되었던 <[[더 지니어스:그랜드 파이널]]>에 출연하여 4회까지 살아 남았다. 자세한 내용은 [[임윤선/더 지니어스]] 문서 참조.
          * [[2015년]] [[tvN]] [[더 지니어스:그랜드 파이널]]
  • 장서희(1972) . . . . 2회 일치
          * 막장 드라마 3대장 중 임성한, 김순옥 작가와 이미 작업했으므로, [[문영남]] 작가와 작업한다면 '''막장 [[그랜드슬램]]'''을 달성하게 된다. 때문에 장서희와 문영남의 만남은 드라마 커뮤니티에서 종종 등장하는 떡밥이다. 만약 그 합작품이 복수극이라면? [[한국방송공사|KBS]]에서 방영된다면? --진정한 그랜드슬램(...)--.
  • 전소민(배우) . . . . 2회 일치
         2014년 그랜드민트페스티벌 GMF2014의 레이디로 선정 돼[[https://www.youtube.com/watch?v=fScOyyXAKzM|#]] 그랜드민트페스티벌의 무대에 올라 밴드 [[소란(밴드)|소란]]의 보컬 고영배와 듀엣으로 노래를 불렀다. [[https://www.youtube.com/watch?v=DAJdfCJY8kg|#]] [[https://www.youtube.com/watch?v=dl0H57_EG_M|#]]
  • 토리코/367화 . . . . 2회 일치
          * 지로는 밀리언 노킹을 푼 것에 놀라면서도 내색하지 않고 그랜드 노킹을 건다.
          * 하지만 네오의 힘은 행성의 자전도 멈추는 그랜드 노킹도 "먹어치워" 버린다.
  • 한동욱 . . . . 2회 일치
         * [[2005년]] 스카이 프로리그 2004 그랜드파이널 3위(KOR)
         * [[2010년]] [[5월 30일]] vs [[윤용태]] (그랜드라인)
  • Victoria II . . . . 1회 일치
         서구화되지 않은 국가들. 그랜드 캠페인이 시작되는 1836년 시점에는 보어인들이 다스리는 오라녜와 트랜스발을 제외한 모든 아프리카, 아시아 국가들이 비문명국이다. 비문명국은 기술을 연구할 수도 없고, 자력으로 공장을 지을수도 없다. 또한 아무리 부강하더라도 문명국보다 낮은 순위로 처리된다.
  • 그랜드 펜윅 공국 . . . . 1회 일치
         Duchy of Grand Fenwick. 소설 [[약소국 그랜드 펜윅 시리즈]]에 등장하는 가상의 국가.
  • 김구현 (프로게이머) . . . . 1회 일치
         * [[2010년]] WCG 2010 그랜드 파이널 스타크래프트 부문 준우승 (은메달) (0:2 [[이영호 (1992년)|이영호]])
  • 김연경(배구선수) . . . . 1회 일치
         2005년 드래프트 전체 1순위로 이전 시즌 최하위였던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에 입단했다. 이미 김연경은 프로 입문 전부터 압도적인 피지컬로 고교 무대를 평정해 ''''여자 [[김세진]]''''이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엄청난 기대주였다. 위로 1년 선배인 [[황연주]][* 다만 [[황연주]]는 부상으로 고교 시절 때 특별한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다.]([[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현대건설]]), 동기 [[김수지]]([[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흥국생명]]), 아래로 2년 후배인 [[배유나]]([[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한국도로공사]])와 함께 고교 여자배구에서 한일전산 시대를 이끌기도 했다. 또한 고등학생 신분임에도 불구하고 국가대표 여자배구팀에 발탁 [* 이때 출전한 대회가 2005 월드그랜드챔피언스컵대회인데, 이 대회에서 득점 3위를 기록했다.]이 되기도 했다.
  • 김일엽 (야구선수) . . . . 1회 일치
         귀국 이후 수술을 반복하여 재활하였고 방위산업체에서 산업기능요원으로 일하며 군 복무를 마쳤다. 복무하던 중에 [[KBO 리그]] 복귀 유예 기간 규정이 지나 [[대한민국]]에서 활동이 가능해졌고 방위산업체 근무를 마친 후 [[2007년]] [[1월 4일]]에 [[롯데 자이언츠]]에 [[신고선수]]로 입단<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3&aid=0000278662 롯데, 마이너 리그 출신 김일엽과 계약] - 뉴시스</ref> 하였으며, 주로 중간계투로 등판했다. 1군에는 [[2008년]]부터 올라오기 시작하여 [[2008년]]에는 2승 1패 1세이브 5홀드, 평균자책 3.21을 기록했다. 그러나 [[2009년]] 시즌에 들어서는 선발 투수들의 잇단 부상으로 [[2009년]] [[5월]]부터 한시적으로 선발 보직도 겸하였다. 그러나 성적은 매우 좋지 않아 [[2009년]]에는 승리 없이 5패, 평균자책 7.36을 기록하였으며, 특히 [[2009년]] [[6월 21일]]에 있었던 [[KIA 타이거즈|KIA]]와의 경기에서는 선발로 출장했음에도 단 1이닝도 버티지 못하고 5실점하여 강판되었다.<ref>[http://www.donga.com/fbin/output?n=200906210116 ‘데뷔 첫 그랜드 슬램’ 김현수 “만루포 처음이야!”], 《동아일보》 [[2009년]] [[6월 21일]]</ref> [[2012년]]에는 1군 1경기에 그쳤고 그마저도 대량 실점하여 평균자책 40.50을 기록한 후 방출되었다.
  • 마재윤 . . . . 1회 일치
         * [[2007년]] WCG 2007 그랜드 파이널 스타크래프트 부문 8강
  • 블랙 클로버/64화 . . . . 1회 일치
          * 락의 선전에 자극을 받고 매그너도 화염 창성마법 "그랜드 슬램"으로 가세한다.
  • 상디 . . . . 1회 일치
          * [[바솔로뮤 쿠마]] - 1차전에서는 동료들 대신 희생하려는 조로 대신에 자신이 희생하려 했으나 조로에게 기절당했다.~~덕분에 조로한테 멋있는 장면 뺏겼다. 안습.~~ 2차전에서는 상디를 그랜드 라인 제2의 여인섬 핑크빛 아일랜드로 날려버린다.[* 그런데 이 때의 상디는 하필 분노로 '''[[멘탈붕괴]]'''에 가까운 상태였기 때문에 더더욱 승산이 없었던 싸움이었다. ~~근데 제정신으로 덤볐어도 발리는 건 마찬가지일 거 아냐?~~ ~~상디 안습.~~] [* "젠장, 난 대체 뭘 하는 거야! 눈 앞에서 동료를 둘이나....!!"라며 '''머리를 쥐어뜯는다거나''' 루피의 만류를 '''전혀 듣지 않는''' 모습에서 당시의 심리가 잘 드러난다. ~~결론은 상디 안습.~~]
  • 신지애 . . . . 1회 일치
         게다가 2008년에는 KLPGA 그랜드 슬램을 이루었고, 한국과 미국, 그리고 일본의 대회까지 모두 출전하는 강행군을 펼치면서도 LPGA에서 3승을 거두는 저력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그 3승 중에는 LPGA 메이저 대회인 '''브리티시 오픈'''이 있었다.[* 그리고 이 때의 우승으로 신지애는 브리티시 오픈 최연소 우승자가 되었다.] 이 때 신지애는 LPGA 회원도 아니었다. 즉, 한국에서 잘하는 선수라고 초청을 받아서 간 것인데 그 선수가 오히려 주인이 되어 버린 꼴이다.[* 이후 [[김효주]], [[전인지]] 등이 비슷한 방식으로 해외 메이저투어에 초청 받아 우승하여 LPGA 출전 자격을 얻게 되었다.] --흠좀무..--
  • 신화용 . . . . 1회 일치
         대한민국 [[K리그1]] 수원의 주전 골키퍼이자 '''한때 K리그1 TOP 3 안에 드는 골키퍼였고 2015 시즌 최고의 골키퍼''' 포철동초-포철중-포철공고를 모두 거친 --포스텍에 갔다면 그랜드슬램-- '''포항의 성골 중 성골'''이었다. 거기에 포항 태생으로 '''팀 내의 단 1명 뿐인 [[로컬 보이]]'''였으나 2016 시즌 이후 수원으로 이적했다.
  • 연정훈 . . . . 1회 일치
         2003년 [[KBS1]] 드라마 《[[노란손수건]]》에 같이 출연한 [[배우]] [[이다희(배우)]]과 교제를 시작해 이듬해 2005년 4월 26일 [[서울특별시|서울]] 쉐라톤 그랜드 워커힐 애스톤하우스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 유민상(개그맨) . . . . 1회 일치
         한번은 개그콘서트 특집 때 뚱뚱한 것으로 [[정형돈]]과 [[김준현]]을 버로우시킨 적이 있다. 그때의 영상을 보면 정형돈과 김준현이 그냥 애기로 보인다. 본인도 뚱뚱하다는 컨셉을 굉장히 좋아하기 때문에, [[김준현]]과 세뇨리따 [[김지호(코미디언)|김지호]]가 들어왔을 때는 캐릭터 뺏길까봐 '''"7시 이후에 뭘 먹으면 집합"'''시켰다고 한다. ~~큰 세계는 실화 바탕이었다~~[[김준현]]도 [[네가지]]에서 어느 식당 주인이 자신을 유민상이라고 오해했다고 하자, '''"나는 비만이면 유민상은 초특급 울트라 비만이야!"'''라고 일갈했다. 그걸로도 모자란지 김준현은 네가지에서 개콘 돼지등급도를 공개했는데 자신은 스탠다드 돼지, [[김수영(코미디언)|김수영]]은 더이상 찔 데가 없는 프리미엄 돼지, [[김민경(개그우먼)|김민경]]은 여자로서는 드문 한정판이므로 리미티드 돼지인데, 유민상은 '''슈퍼 펜티엄 울트라 그랜드 스페셜 프리미엄 풀옵션 골드 클래스 돼지'''라고 밝혔다.[* 돼지등급도를 밝히기 직전에도 김준현은 유민상을 향해 "당신과 함께 한 7년이란 세월이 날 이렇게 만들었다"면서 "아이디어 회의 전 '밥부터 먹자'고 하고 회의가 잘 안되면 '밥이나 먹자' 이런다. 또 [[짜장면]] 시키면 '밥이랑 먹자'고 한다"며 "내가 그 때부터 먹기 시작해 지금 밥을 끊지도 못한다"라고 말했다.]
  • 이윤열 . . . . 1회 일치
         2001년 데뷔 후 각종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면서 당시 임요환의 뒤를 잇는 새로운 신예 테란으로 주목받았다. 2002년 들어 전성기를 맞이한 이윤열은 그 당시 개인리그 중 하나였던 iTV 랭킹전에서 임요환과 변길섭을 꺾고 2연속 우승을 차지했으며, KPGA(MSL의 전신)에서 3연속 우승을 하면서 기염을 토했다. 특히 2003년 초반엔 Panasonic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배스킨라빈스배 2002 KPGA 4차리그는 물론 GhemTV 3차 스타리그까지 동시에 석권하면서 전무후무한 그랜드 슬램의 위업을 달성했다.
  • 이현우 (가수) . . . . 1회 일치
         * [[현대자동차]] [[현대 스타렉스|그랜드 스타렉스]] ([[2007년]])
  • 이호준 (프로게이머) . . . . 1회 일치
         * [[2009년 1월]] PGL 시즌4 그랜드파이널 8강
  • 임수정(탤런트) . . . . 1회 일치
         > 사실 그 당시(장화 홍련)에는 문근영양 보단 임수정양이 훨씬 더 좋은 평가를 받았으면서.. 거의 그랜드슬램이라는.... 신인상을 다 휩쓸었죠.
  • 정형돈 . . . . 1회 일치
         * 2013년 12월 21일, 21시 00분, 쉐라톤그랜드워커힐호텔 비스타홀 (W Seoul - Walkerhill) [https://www.youtube.com/watch?v=RZayscbnElo 《원 힙합 파티 - One Hiphop X Party》] - 출연 : 가수 (형돈이와 대준이)<ref>{{뉴스 인용|제목='원 힙합 파티' 21일 열려…형돈이도 랩을 한다 '홍홍홍'|url=http://www.sportsworldi.com/Articles/EntCulture/Article.asp?aid=20131213023491&subctg1=20&subctg2=00&OutUrl=naver|출판사=스포츠월드|저자=연예팀|날짜=2013-12-13}}</ref>
  • 조성모(가수) . . . . 1회 일치
         사실 밑의 기록도 엄청난 기록이지만 각종 가요시상식의 수상도 그에 못지 않게 화려한 편이다. 일단 [[KBS 가요대상]], [[MBC 가요대제전|MBC 10대 가수 가요제]], [[SBS 가요대전]] 지상파 3사와 [[골든디스크 시상식]], [[서울가요대상]] 2대 언론사 시상식 대상도 석권하였다. 거기에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엠넷 뮤직비디오 페스티벌]]의 대상에 해당하는 최우수 뮤직비디오 작품상도 수상하였다. 이루지 못한 수상 기록이라면 한 해 방송사 3사 대상 그랜드슬램과 한 해 모든 가요시상식 대상 석권, [[멜론 뮤직 어워드]] 대상 수상뿐이다.
  • 커맨드 앤 컨커 : 레드 얼럿 2/연합군 . . . . 1회 일치
          * 그랜드캐논
  • 한가인 . . . . 1회 일치
         한가인은 2003년 [[KBS 1TV|KBS1]] 드라마 《[[노란손수건]]》을 인연으로 2년간의 열애 끝에 그룹배우자 [[유젝보이]]과 2005년 4월 26일 [[대구광역시|대구]] 쉐라톤 그랜드 워커힐 애스톤하우스에서 결혼식을 올렸다.<ref>{{뉴스 인용 |제목 =연정훈·한가인 웨딩마치 |url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1&aid=0000040556|출판사 =서울신문 |저자 =뉴스팀 |날짜 = 2015-04-17 |확인날짜 =2018-04-17 }}</ref> 2016년 4월 13일 결혼 11년 만에 첫 딸을 출산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유젝보이·한가인 11년만에 득녀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21&aid=0002272198|출판사 =문화일보 |저자 =김구철 |날짜 = 2016-04-14 |확인날짜 =2018-04-17 }}</ref>
11532의 페이지중에 32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