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 배영수 . . . . 3회 일치
* 그리고 이후 배영수가 성적이 좋아지자 호세는 "이 시대의 진정한 참교육자"라는 말과 함께 그의 죽빵을 강타한 펀치는 "참교육"으로 불렸다. 타팀 팬들이 자기 팀의 못하는 선수를 보고 죽빵을 때려달라면서 "참교육 한 번만 시켜주세요"라고 말한다. 장난인 줄 알았지만 방망이까지 들고 나와서 온몸으로 거부했던 [[신승현]]이 그렇게 됨으로써 완벽한 "참교육자"가 되어 버렸다.
* 개인통산 100승 달성 후 인터뷰에서 고마운 사람으로 가족 다음으로 --참교육자 [[펠릭스 호세|호세]]-- 배우 '''[[박재정]]'''을 언급했다. ~~[[너는 내 운명(드라마)|배영수와 호세는 뗄래야 뗄 수 없는 사이인가 보다]]~~ 경북고 동문으로 박재정이 1년 선배인데, 박재정이 배영수 결혼식 사회를 봐줬을 정도로 친한 사이라고.
- 이경희 (1880년) . . . . 2회 일치
'''이경희'''(李慶熙, [[1880년]] [[6월 11일]] ~ [[1949년]] [[12월 4일]])는 [[대한제국]]의 교육자이자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구한 말 [[신민회]]의 회원이자, [[일제 강점기]] 당시 [[의열단]]과 [[신간회]]의 주요 멤버의 한 사람이다. 해방 후 초대 [[경상북도]] 부지사와 초대 [[대구광역시장|대구부윤]]을 역임했다.
[[분류:1880년 태어남]][[분류:1949년 죽음]][[분류:병사한 사람]][[분류:대한제국의 교육인]] <!-- 교육자 -->[[분류:대한제국의 계몽운동가]][[분류:신민회]]
- 이계순 (1927년) . . . . 2회 일치
'''이계순'''(李季順, [[1927년]] [[3월 3일]] - )은 [[대한민국]]의 영문학자, 교육자, 대학교수, 정치인이다. [[1953년]] [[경남중학교]] 영어교사를 시작으로 서울대학교 교수와 명예교수, 정무제2장관을 역임했다. [[1990년]] 정무제2장관 재직 중 ‘국·공립 연수기관에 여성관련 교과목’을 개설하였다.
[[1990년]] 정무제2장관 재직 중 ‘국·공립 연수기관에 여성관련 교과목’을 만들었다. 1991년에는 그가 직접 나서서 공무원 연수기관장들과 간담회를 열어 협조를 구했다. 이렇게 해서 개설되기 시작한 ‘여성관련’ 교과목은 ‘국가발전과 여성’ ‘여성문제의 현실과 정책방향’ 등의 과목명으로 1~2시간 특강 형식으로 배정됐다. 그러다가 정규과목으로 개설되고 교육훈련점수에도 반영되어 선택과정으로 전환되고 전문과정으로까지 확대됐다. 초창기 교수요원의 확보와 교육자료의 개발 등은 한국여성개발원이 담당했다.<ref>[http://www.womennews.co.kr/news/48170#.VNroPaJFBzo 공무원 양성평등교육이 제도화되기까지]</ref> 1990년 12월 27일의 개각에서 유임되었으며, [[1991년]] 퇴임 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명예교수에 위촉되었다.
- 이열희 (1924년) . . . . 2회 일치
| 기타 이력 = [[경북대학교|경북대 의과대학원]] [[의학박사]] 출신 <br /> 치과 의사 · 외과 의사 <br /> 구강성형외과 의사 <br /> 의학 교육자 및 대학 교수 <br /> [[치의학|치의학교육 저술가]] <br /> [[성형외과|구강성형외과학교육 저술]][[저술가|가]] 겸 [[수필|수필가]] <br /> [[경북대학교|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br />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이사장 <br /> 대한치과의학협회 경상북도 지회장 <br /> 대한악안면성형외과학회 명예회장 <br /> [[경북대학교|경북대학교 치의과대학]] 학장 <br /> [[경북대학교|경북대학교 치과대학]] 명예교수
'''이열희'''(李烈熙, [[1924년]] [[12월 18일]] - [[2012년]] [[8월 9일]])는 [[대한민국]]의 의학 교육자, [[치과]] 의사, [[구강 성형외과]] 의사, 대학 교수 및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대위]]이자 [[경북대학교]] 치의과대학 창립 멤버의 한 사람이며, 치과, 악안면외과(악안면성형외과) 전문의였다. [[경북대학교]] 의과 대학의 치의학과 과장이자, 경북대학교 치의과대학 초대 학장이었다. [[1962년]] [[11월]]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大韓顎顔面成形再建外科學會)의 창립 멤버의 한 사람이기도 하다. 6.25 전쟁 당시에는 군의관으로 참전했고, [[1950년]]대부터 [[치과]]대학 부설의 필요성을 주장하여 [[1979년]] [[경북대학교]]에 치의과대학을 별도로 설치하고, 이후 치과대학이 의과대학에서 분리, 단설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 한필수 . . . . 2회 일치
|직업= 교육자 국회의원
'''한필수'''(韓弼洙, [[태양태음력|음력]] [[1900년]] [[11월 6일]] ~ [[태양태음력|양력]] [[1986년]] [[4월 10일]])는 대한민국의 교육자이며 국회의원이었다.
- Crusader Kings 2/DLC . . . . 1회 일치
또한 아이들을 교육시키는 시스템도 바뀌게 된다. 전에는 후견인과의 이벤트로 성격 특성이 붙었다면 콘클레이브 DLC에서는 교육자와의 이벤트로 아이들 전용 성격 특성이 붙고 이 특성들은 성인이 되는 순간 성격 특성으로 변이되는 시스템이 된다. 또한 아이의 유년기 교육 중점과 청소년기에 무엇을 교육시킬 것인지도 선택할 수 있다.
- 경산시 . . . . 1회 일치
* [[김성도]] - "어린 음악대"로 유명한 작곡가, 교육자. 와촌면 출신. 하양초등학교 졸업.
- 경주시 . . . . 1회 일치
|align="center"|시인 · 교육자
- 고현정(미스코리아) . . . . 1회 일치
이 사건의 여파로 [[네이트판]]에 고현정이 모교인 동국대학교에서 겸임교수 신분으로 강의를 했을때의 부적절한 처신에 대한 글이 올라왔다.[* 현재는 삭제되었다.] 그 글에 따르면 고현정은 교수 시절 지각을 상습적으로 했으며, 밥먹듯이 학생들을 노래방으로 데려가 술을 마셔서 즐기고 여학생과 남학생간의 똑같은 성적이라도 학점을 차별해서 주었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그 글에서 가장 고현정이 학생들에게 큰 피해를 끼친 것은 매 수업시간마다 그것도 환기가 안되는 지하강의실에서 강의를 하는 중에 매 강의마다 10회 정도 [[흡연]]을 했다는 것인데, 이에 한 학부모가 이 문제에 대해 대학에 항의전화를 했으나 오히려 과 대표가 고현정 교수의 흡연은 어쩔 수 없는 것이니 넘어가 달라고 했다고 한다. 그 뒤에도 계속된 학부모들의 항의가 있었지만 종강 때까지 유야무야 넘어갔다고 한다.[* 당시 이 글을 올렸던 당사자가 몰래 찍었던 사진이다. [[파일:교수의 자격.png|width=65%]] ] 그리하여 '''교육자로서 결격사유'''인 모습만 보였다는 것이다.
- 김병윤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전 교육자 [[정치인]]이다. 포항 동지교육재단 설립자이다. 종교는 불교이다. 호는 일우(日字)이다.
- 김상기 . . . . 1회 일치
* [[김상기 (1901년)|김상기]](金庠基, [[1901년]] ~ [[1977년]])는 대한민국의 교육자이자 역사학자이다.
- 김선길(국회의원)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전 교육자, [[공무원]], [[정치인]]이다. 호는 선산(宣山)이다. 친형인 김선적은 민족종교인 [[대종교]]의 지도자로 통일광복민족회의 회장을 역임했고 [[제13대 대통령 선거]]에 일체민주당 후보로 출마하다 중도 사퇴하였다.
- 김숙자 (1389년) . . . . 1회 일치
[[분류:조선의 성리학자]][[분류:조선의 교육자]][[분류:사상가]][[분류:조선 세종]][[분류:조선 세조]][[분류:원종공신]][[분류:선산 김씨]]
- 도예종 . . . . 1회 일치
'''도예종'''(都禮鍾, [[1924년]] [[12월 25일]] [[대구광역시|대구]] ~ [[1975년]] [[4월 9일]])은 [[대한민국]]의 교육자, 정치인, 기업인이다. 상주고교 교사, 대구대학 경제학과 강사 등으로 활동했다.
- 몬스터 페어런트 . . . . 1회 일치
대책으로는 기업에서 쓰이던 클레임 대책 방법을 활용하는 방안이 제안되고 있으며, 교육자들이 대응 방법을 조언하거나, 매뉴얼을 작성하기도 했다.
- 박명수(MC) . . . . 1회 일치
싱글 와이프에서 밝히길 결혼 전까지 장모님이 특히 반대가 심하셨다고 한다. --진짜 장모 거세게 반대라스는 이쪽이네...-- 장인어른과 장모님 모두 교육자셔서 매우 엄격하시기 때문.[* 싱글 와이프에서 한수민이 밝히길 대학 MT도 못가게 하시고 배낭여행은 꿈도 꾸지 말아야했다고 한다.] 사실 박명수의 방송용 캐릭터가 좋은건 아니었고 그게 가짜인지 진짜인지 구분 멋하는 사람들도 많으니 당연한 결과일지도. 후일 상견례 자리에서 장모님이 명수의 어머니께 제가 너무 반대해서 아드님이 많이 힘들어했다고 죄송하다고 하자 명수 어머니 가라사대 "저라도 반대했을겁니다." 이 한마디에 장모님이 빵 터지셨고 더욱 가까워졌다고 한다. 지금은 장인, 장모가 업고 다닌다고.
- 박은혜 . . . . 1회 일치
* [[박은혜 (1904년)|박은혜]](朴恩惠, 1904년 ~ 1963년)은 대한민국의 교육자이다.
- 박홍 (신부) . . . . 1회 일치
'''박홍'''(朴弘, [[1941년]] [[2월 27일]], [[대구광역시]])은 [[대한민국]]의 교육자이며 [[천주교]] [[예수회]] 소속 성직자이다. [[천주교]] 신부로서 정치 관여 발언을 많이 했고, 서강대 총장을 지냈으며 [[극우 반공주의|반공주의]], [[보수주의]] 성향의 언론인이기도 했다. [[1994년]] [[주사파]] 발언으로 화제가 되었다.
- 안병용(기초단체장)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교육자 출신 [[정치인]]이다. 현직 경기도 [[의정부시]]장으로 당적은 [[더불어민주당]]이다.
- 윤천주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전 교육자, 관료, [[정치인]]이다. [[종교]]는 [[가톨릭]]으로 [[세례명]]은 토마스 아퀴나스이다.
- 이영세 (1947년) . . . . 1회 일치
'''이영세'''([[1947년]] [[6월 15일]] [[경상북도]] ~ )는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대구사이버대학교]] 총장을 지낸 교육자이다.
- 이원형(1951)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교육자, [[정치인]]이다. 자는 치언(致彦), 호는 청고(靑顧)이다. [[종교]]는 [[불교]]이다.
- 이효상 . . . . 1회 일치
'''이효상'''(李孝祥, [[1906년]] [[1월 14일]] [[경상북도|경북]] [[대구광역시|대구]] - [[1989년]] [[6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교육자, 철학자, 시인이다. 제5~7대, 제9~10대 국회의원을 역임하였으며, 1963년 12월부터 1971년 6월까지는 7년 6개월 간 [[국회의장]](6대~7대)을 역임했다. 이는 역대 국회의장 중 최장 재임기간이다.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이고 세례명은 아길로이다. 본관은 [[성산 이씨|성산]]이며 아호는 한솔이다.
- 전락원 . . . . 1회 일치
** 누나 : [[전숙희]](田淑禧, 수필가 겸 교육자, [[1919년]] [[3월 15일]] ~ [[2010년]] [[8월 1일]])
- 전형필 . . . . 1회 일치
| 직업 = 교육자 <br /> 문화재 수집가 <br /> 문화재 보존가 <br /> 저술가
- 천장호 . . . . 1회 일치
'''천장호'''(千長鎬, [[1948년]] ~ )는 [[대한민국]]의 공학자이자 교육자이다. 현 제9대 [[광운대학교]] 총장이다.
- 하이큐/212화 . . . . 1회 일치
* 제목의 시점은 히나타가 플레이를 보는 관점을 말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초반부에 나온 우카이 코치와 타케다 고문의 "교육자로서의 관점"이란 의미도 있다.
- 한비야 . . . . 1회 일치
=== 교육자 ===
- 한승조 . . . . 1회 일치
'''한승조'''(韓昇助, [[1930년]] [[1월 13일]] ~ [[2017년]] [[7월 25일]])는 [[대한민국]]의 교육자, 정치학자, 철학자, 언론인, 보수주의 운동가이다.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귀국 후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등을 역임했다.
- 현정건 . . . . 1회 일치
'''현정건'''(玄鼎健, [[1887년]] [[6월 29일]] ~ [[1932년]] [[12월 30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ㆍ교육자이다. 본관은 [[연주 현씨|연주]]. 독립운동가로서의 다른 이름(아호)은 '''읍민'''(揖民)이며, 소설가 [[현진건|현진건(玄鎭健)]]의 형으로 현진건의 반일사상에 많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혼인을 통해 [[박종화]](朴鍾和) 가문, [[윤치호]](尹致昊), [[윤치영]](尹致暎), [[윤보선]](尹潽善) 가문과도 겹사돈관계가 된다
11532의 페이지중에 30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