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 김호근 . . . . 5회 일치
* [[교육인적자원부]] 산학협력과장
* [[교육인적자원부]] 기획감사담당관(서기관)
* [[교육인적자원부]] 직업교육정책과장
{{토막글|교육인}}
[[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교육인]][[분류:대한민국의 공무원]][[분류:195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영남대학교 동문]]
- 윤덕홍 . . . . 5회 일치
'''윤덕홍'''(尹德弘, [[1947년]] [[4월 19일]] ~ , [[대구광역시|대구]])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교육인이다.
* 2003 ~ 2003 :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직책 = [[대한민국의 교육부총리|부총리]] 겸 [[대한민국 교육인적자원부|교육인적자원부 장관]]
[[분류:194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부총리]][[분류:대한민국의 교육인적자원부 장관]][[분류:대한민국의 공공기관장]][[분류:노무현 정부의 국무위원]][[분류:대구대학교]][[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대구동덕초등학교 동문]][[분류:경운중학교 (대구) 동문]][[분류: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동문]][[분류:도쿄 대학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박근혜 . . . . 2회 일치
이화여자대학교는 [[최순실]]과 [[정윤회]] 사이의 자녀인 [[정유라 (승마 선수)|정유라]]를 체육 특기자로 부정입학시킨 후 학사 관리를 소홀히 해왔음이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의 청문회를 통해서 밝혀졌다. 청문회를 통해서 정유라는 "[[최경희 (교육인)|최경희]] 전 총장과 김경숙 전 학장 등 교수들의 특혜와 도움"<ref>{{뉴스 인용|url=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213042&plink=ORI&cooper=NAVER&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제목=한국행 정유라, '이대 학사비리' 공범 혐의 집중 조사 받아야|성=박상진|날짜=2017-05-25|뉴스=SBS NEWS|언어=한국어|확인날짜=2017-05-25}}</ref>으로 이화여대에 입학했음이 드러났으며, 입학 면접에서 전 입학 처장 남궁곤은 면접관에게 정유라를 뽑으라고 특정하여 지시한 정황도 드러났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joins.com/article/21081390|제목=특검, 남궁곤 전 이대 입학처장 오늘 소환…면접위원에게 “정유라 뽑아라” 압박 혐의|날짜=2017-01-05|뉴스=중앙일보|언어=한국어|확인날짜=2017-05-25}}</ref> 이후 [[최경희 (교육인)|최경희]] 전 이화여대 총장 등 전현직 교원들 중 일부는 구속 기소되었으며, 청문회에 출두하여 증언하였다. 청문회 과정에서 정유라는 수업에 출석하지 않거나 과제물을 제출하지 않아도 좋은 학점을 받고, 교수가 공항으로 마중을 나오는 등 다른 학생들과 뚜렷하게 다른 대우를 받으며 학교를 다녔음이 밝혀졌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213042&plink=ORI&cooper=NAVER|제목=한국행 정유라, '이대 학사비리' 공범 혐의 집중 조사 받아야|성=박상진|날짜=2017-05-25|뉴스=SBS NEWS|언어=한국어|확인날짜=2017-05-25}}</ref>
- 송남헌 . . . . 2회 일치
'''송남헌'''(宋南憲, [[1914년]] [[4월 11일]]~[[2001년]] [[2월 20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교육인, 통일운동가, 근현대사 연구가이다.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언론인]][[분류:대한민국의 교육인]][[분류:대한민국의 역사가]][[분류:대한민국 제1공화국]][[분류:김규식]]
- 이경희 (1880년) . . . . 2회 일치
[[분류:1880년 태어남]][[분류:1949년 죽음]][[분류:병사한 사람]][[분류:대한제국의 교육인]] <!-- 교육자 -->[[분류:대한제국의 계몽운동가]][[분류:신민회]]
[[분류:일제 강점기의 교육인]][[분류:일제 강점기의 군인]][[분류:일제 강점기의 사회 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언론인]][[분류:대구광역시장]][[분류:의열단]][[분류:신간회의 인물]][[분류:한국의 군정기]][[분류:윤치호]][[분류:안창호]][[분류:김구]][[분류:이회영]][[분류:김원봉]][[분류:허정숙]][[분류:조병옥]][[분류:이승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인천 이씨]]
- 한승주 (공무원) . . . . 2회 일치
|직업= 교육인, [[공무원]]
'''한승주'''(韓昇洲, [[1940년]] [[9월 13일]] [[경기도|경기]] [[경성부|경성]] - )는 대한민국의 교육인, 외교학자, 외교관, 정치인이다. [[대한민국 외교통상부|외무부]] 장관, 주미 대사를 지낸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1978년]]부터 교수로 재직한 외교학자이다.
- 김남조 . . . . 1회 일치
{{토막글|시인|교육인}}
- 김영한 (1900년) . . . . 1회 일치
[[분류:일제 강점기의 교육인]][[분류:1900년 태어남]][[분류:1980년 죽음]][[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분류:안동 김씨 (신)]][[분류:노태우 가]]
- 김용준 (1904년) . . . . 1회 일치
[[분류:1904년 태어남]][[분류:1967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화가]][[분류:일제 강점기의 미술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미술 평론가]][[분류:일제 강점기의 교육인]][[분류:대한민국의 화가]][[분류:대한민국의 수필가]][[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화가]][[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미술 평론가]][[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학 교원]][[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김재권 (철학자) . . . . 1회 일치
{{토막글|철학자|교육인}}
- 박부남 (1931년) . . . . 1회 일치
[[분류:1931년 태어남]][[분류:2018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교육인]][[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대한민국의 의사]][[분류:대한민국의 의학자]][[분류:내과 의사]][[분류:소아청소년과 의사]][[분류:경북여자고등학교 동문]][[분류:경북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박중양]]
- 박홍 (신부) . . . . 1회 일치
[[분류:194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교육인]][[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대한민국의 대학 총장]][[분류:가톨릭대학교 동문]][[분류:반공주의자]][[분류:서강대학교]][[분류:대한민국의 언론인]][[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 성직자]][[분류:예수회]]
- 서정돈 . . . . 1회 일치
| 직업 = 대학 교수, 교육인, 의학자
- 오소영 (조각가) . . . . 1회 일치
{{토막글|조각가|교육인}}
- 윤식 . . . . 1회 일치
{{토막글|교육인|정치인}}
- 이갑성 . . . . 1회 일치
[[분류:1889년 태어남]][[분류:1981년 죽음]][[분류:병사한 사람]][[분류:한국의 약학자]][[분류:한국의 약사]][[분류:일제 강점기의 교육인]][[분류:일제 강점기의 사회 운동가]][[분류:일제 강점기의 종교인]][[분류:일제 강점기의 의학자]][[분류:일제 강점기의 약사]][[분류:대한민국의 반공주의자]][[분류: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관련자]][[분류: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분류:민족대표 33인]][[분류:대한민국 임시 정부]][[분류:한국의 군정기]]
- 이계순 (1927년) . . . . 1회 일치
{{토막글|정치인|교육인}}
- 이상백 (1904년) . . . . 1회 일치
[[분류:1904년 태어남]][[분류:1966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역사가]][[분류:일제 강점기의 스포츠인]][[분류:일제 강점기의 농구 선수]][[분류:일제 강점기의 스포츠 평론가]][[분류:일제 강점기의 수필가]][[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분류:건국동맹]][[분류:대한민국 제1공화국]][[분류:대한민국의 별정직공무원]][[분류:한국독립당]][[분류:대한민국의 스포츠인]][[분류:고려대학교 교수]][[분류:대한민국의 역사가]][[분류:대한민국의 교육인]][[분류:대한민국의 저술가]][[분류: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사회학자]][[분류:대한민국의 수필가]][[분류:대한민국의 문학 평론가]]
- 이시영 (1882년) . . . . 1회 일치
[[분류:1882년 태어남]][[분류:1919년 죽음]][[분류:옥사한 사람]][[분류:병사한 사람]][[분류:조선 사람]][[분류:일제 강점기의 교육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분류:경주 이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이영희 (1936년) . . . . 1회 일치
{{토막글|작가|교육인}}
- 이종희 (1942년) . . . . 1회 일치
{{토막글|한국 근현대사|교육인}}
- 장가용 . . . . 1회 일치
{{토막글|의학|교육인}}
- 장도 (1876년) . . . . 1회 일치
[[분류:1876년 태어남]][[분류:몰년 미상]][[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제국의 교육인]][[분류:대한제국의 관료]][[분류:대한제국의 법조인]] <!-- 1908년 변호사 -->[[분류:대한제국의 학자]] <!-- 형법학자 : 1906년 《형법론총칙》 -->[[분류:대한제국의 저술가]] <!-- 형법학자 : 1906년 《형법론총칙》 -->
- 장발 (화가) . . . . 1회 일치
[[분류:1901년 태어남]][[분류:2001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화가]][[분류:일제 강점기의 교육인]][[분류:일제 강점기의 작가]][[분류:대한민국의 화가]]
- 전락원 . . . . 1회 일치
[[분류:1927년 태어남]][[분류:2004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 사람]][[분류: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교육인]][[분류:병사한 사람]][[분류:성균관대학교 동문]][[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장로교도]][[분류:대학 설립자]][[분류:담양 전씨]]
- 전민제 . . . . 1회 일치
{{토막글|작가|교육인}}
- 전형필 . . . . 1회 일치
[[분류:1906년 태어남]][[분류:1962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교육인]][[분류:문화유산]][[분류:박물관학]][[분류:대한민국의 저술가]][[분류:간송미술관]]
- 정차온 . . . . 1회 일치
[[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조선의 성리학자]][[분류:조선의 철학자]][[분류:조선의 교육인]][[분류:경주 정씨]][[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
- 천장호 . . . . 1회 일치
[[분류:194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공학자]][[분류:대한민국의 교육인]][[분류:광운대학교 교수]][[분류:광운대학교 총장]][[분류:서울고등학교 동문]][[분류:광운대학교 동문]][[분류:연세대학교 대학원 동문]][[분류:스티븐스 공과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대한민국의 대학 총장]][[분류:영양 천씨]]
- 피수영 . . . . 1회 일치
{{토막글|의학|교육인}}
- 함인섭 . . . . 1회 일치
[[분류:1907년 태어남]][[분류:1986년 죽음]][[분류:폐렴으로 죽은 사람]][[분류:일제 강점기의 교육인]][[분류:일제 강점기의 전문학교 교수]][[분류:일제 강점기의 교사]][[분류:한국의 군정기]][[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자유당]][[분류:한국독립당]][[분류:대한민국의 저술가]][[분류:대한민국의 농림부 장관]]
- 함화진 . . . . 1회 일치
|직업 =연주자,교육인
- 허근욱 . . . . 1회 일치
[[분류:1930년 태어남]][[분류:2017년 죽음]][[분류:양천 허씨]][[분류:일제 강점기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소설가]][[분류:대한민국의 작가]][[분류:대한민국의 교육인]][[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허정숙]][[분류:대한민국의 저술가]][[분류:이화여자고등학교 동문]][[분류:이화여자대학교 동문]][[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
- 허진(법조인) . . . . 1회 일치
[[분류:1894년 태어남]][[분류:김해 허씨]][[분류:1968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법조인]][[분류:대한민국의 판사]][[분류:대한민국의 대법관]][[분류:대한민국의 변호사]][[분류:대한민국의 교육인]][[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 홍병선 . . . . 1회 일치
[[분류:1888년 태어남]][[분류:1967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목회자]][[분류:일제 강점기의 교육인]][[분류:대한민국의 목회자]][[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강사]][[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도시샤 대학 동문]][[분류:남양 홍씨 (당홍)]]
- 홍세화 . . . . 1회 일치
'''홍세화'''(洪世和, [[1947년]] [[12월 10일]] ~ )는 대한민국의 작가이자, 사회운동가, 언론인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학사 학위 이후, [[1979년]] [[남민전 사건]]에 연루되어 프랑스로 망명했다가 [[2002년]] 한국으로 영구 귀국하여 언론인, 작가, 교육인 등으로 활동하였다. 프랑스 망명 생활 중에 쓴 책인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의 저자로 유명하다. [[한겨레신문]] 기획위원, 아웃사이더 편집위원 등을 지냈으며 2013년 계간지 <[[말과활]]>을 창간했다. 2011년 [[진보신당 (대한민국)|진보신당]] ([[노동당 (대한민국)|노동당]]의 전신) 당대표를 역임하기도 했다.
- 홍창선 . . . . 1회 일치
{{토막글|교육인|정치인}}
- 홍헌표 . . . . 1회 일치
[[분류:1907년 태어남]][[분류:1966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관료]][[분류:대한민국의 교육인]][[분류:대한민국의 내무부 차관]][[분류:대한민국의 체신부 장관]][[분류:박정희 정부의 국무위원]][[분류:친일파 708인 명단 수록자]][[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고등문관시험 합격자]][[분류:경성제국대학 동문]][[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남양 홍씨 (당홍)]]
11532의 페이지중에 38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