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 헌경왕후 . . . . 9회 일치
|이름 = 헌경왕후<br/>(헌경의황후)
'''헌경왕후 홍씨'''(獻敬王后 洪氏, [[1735년]] [[8월 6일]]([[음력 6월 18일]]) ~ [[1816년]] [[1월 13일]]([[1815년]] [[음력 12월 15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왕세자빈, [[추존]]왕비로, [[대한제국]]의 추존황후이기도 하다. [[조선 영조|영조]]의 차남 [[조선 장조|장조]](莊祖, 사도세자)의 비이자, [[조선 정조|정조]]의 어머니이다. 원래 시호는 헌경혜빈(獻敬惠賓)이었으나,<ref>순조실록 19권, 순조 16년(1816 병자년 / 청 가경 21년) 1월 19일(기해) 1번째기사, "혜경궁 시책문"</ref> [[대한제국 고종|고종]]때 왕후로, 다시 황후로 추존되었다. [[시호]]는 '''효강자희정선휘목유정인철계성헌경왕후'''(孝康慈禧貞宣徽穆裕靖仁哲啓聖獻敬王后)로, 정조가 내린 궁호인 '''혜경궁'''(惠慶宮) 또는 '''혜경궁 홍씨'''(惠慶宮 洪氏)로도 알려져 있다.
[[1854년]](철종 5년) 유정(裕靖)의 존호가 추가되었다. [[1899년]](광무 3년) [[8월 3일]]에 경연특진관 서상조(徐相祖)의 상소로 장헌세자를 왕으로 추존할 것을 청하여 [[조선 고종|고종]]이 승인하여 장헌세자가 장종대왕으로 [[추존]]되자, 함께 헌경왕후로 [[추존]]되었고, 대한제국 성립 이후인 [[1903년]](광무 7년) 장조가 '장조의황제(莊祖懿皇帝)'로 격상되자 그녀 역시 '헌경의황후(獻敬懿皇后)'로 격상되었다.
*** 시조모 : [[인경왕후]] 김씨(仁敬王后 金氏, 1661~1680)
== 헌경왕후가 등장하는 작품 ==
{{위키자료집|글쓴이:헌경왕후|헌경왕후}}
*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contents_id=4460&path=|183|193|&leafId=223 네이버 캐스트 : 오늘의 인물 - 헌경왕후]
- 토리코/377화 . . . . 6회 일치
* 네오가 날아간 곳에느 경왕 문이 모든 것을 삼킬 기세로 바닷물을 빨아들이고 있다.
* 경왕 문이 모든 것을 빨아들이기 시작하자 블루 니트로 아톰은 다급하게 경고한다.
* 아카시아가 날아간 곳은 경왕 문이 있는 장소. 경왕의 흡입력에 빨려들어간다.
* 경왕 문의 운석 껍데기를 분쇄한게 위력적으로 보이긴 하나, 정작 문에게 제대로 타격이 들어간 것처럼 보이진 않는다.
* 그밖에 록왕이 끌고 온 맹수 중엔 왕륙상어처럼 경왕에 딸린 칠수도 있다. --왕륙 상어가 언제부터 칠수였죠...?--
- 희빈 장씨 . . . . 6회 일치
1680년 10월 26일, [[조선 숙종|숙종]]의 초비(初妃) [[인경왕후]] 김씨가 천연두로 요절했다. 장씨가 숙종을 모시게 된 시기는 불분명하지만 숙종실록에 [[인경왕후]]가 죽고난 후에야 비로소 숙종을 모셨다는 기록이 여럿 존재하며, 11월 이후 혜성이 나타났는데 장씨가 숙종의 총애를 받기 시작한 무렵이 이때라는 기록이 존재하니 그녀가 숙종의 승은을 입은 시기가 [[인경왕후]]의 죽음 후임을 부정할 수 없다.
같은 해, 숙종의 어머니였던 대비 [[명성왕후]] 김씨(明聖王后 金氏)에 의해 강제로 출궁되었다. 숙종실록이나 인현왕후전 등에는 숙종을 모시기에 장씨의 출신이 천하고 성품이 극악한 이유로 쫓아낸 것으로 언급하고 있지만, [[경신환국]] 당시 [[장현 (조선)|장현]] 일가가 [[복평군]] 형제와 절친한 사이이니 죄를 물어야 한다고 주장해 몰락시킨 장본인이 바로 [[명성왕후]] 김씨의 사촌 오라비 [[김석주]]였던 것으로 비추어 장씨의 보복을 견제한 탓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그녀가 출궁된 직후인 [[1681년]] 1월 3일에 계비 간택령이 내려졌고, 3월에 [[조선 숙종|숙종]]의 모후인 [[명성왕후|대비 김씨]]와 [[송시열]]의 추천으로 민씨([[인현왕후]])가 간택되어 [[1681년]] 5월 14일 [[조선 숙종|숙종]]과 민씨가 가례를 올렸는데 본래 [[명성왕후|대비 김씨]]의 친정 가문과 원한이 있던 [[송시열]]과 [[민유중]]<ref group="주">명성왕후 김씨의 아버지 [[김우명]]은 당파로선 엄연한 서인이었지만 [[조선 현종|현종]]의 척신으로서 예송논쟁 당시 [[송시열]]과 [[송준길]]을 비판하고 [[남인]]의 손을 들어주어 [[서인]]의 공적이 되었다. [[민유중]]은 과거 [[김우명]]의 형인 [[김좌명]]과 심하게 다투어 벼슬을 버리고 지방에 은거하였던 경력이 있다.</ref> 의 혈육인 민씨가 [[조선 숙종|숙종]]의 계비가 된 것은 [[경신환국]] 당시 [[서인]]과 손을 잡았던 명성왕후의 정치적 계약임을 짐작할 수 있는 만큼 [[인경왕후]]의 죽음 직후 계비로 내정된 민씨를 위해 장씨를 [[조선 숙종|숙종]]의 곁에서 치운 것일 가능성도 존재한다.<ref group="주">본래 정처의 3년상이 마치기 전에 재혼하는 것은 경국대전과 의례의 조항으로 엄격히 금지되었으며 이는 왕 또한 마찬가지이다. [[조선 숙종|숙종]]이 [[인경왕후]] 김씨의 사후 3년상은 고사하고 불과 반 년도 되지 않아 [[인현왕후]] 민씨와 재혼을 한 것은 조선 왕실 역사 상 전례에 없는 일이었다. 당연히 논란이 있어야 할 [[인현왕후]] 민씨와의 재혼에 대해 반대하지 않았던 서인은 [[인현왕후]] 민씨의 사후 3년상이 마쳐지기 전에 [[조선 숙종|숙종]]이 계비 간택령을 내리라는 명을 내리자 반대를 하는 이중성을 보였다. 조선왕조실록 숙종 37권, 28년(1702 임오 / 청 강희(康熙) 41년) 8월 27일(병오) 2번째기사</ref>
1690년 7월 19일, 중전 장씨가 숙종의 차자(次子)이자 첫 대군(大君)인 성수(盛壽)를 출산하였다.<ref group="주">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박영규 저)에 장씨의 차자가 여자로 기록되어 있지만 이는 [[오류]]이다. [[조선 숙종|숙종]]의 딸은 인경왕후 소생의 조졸한 공주 2명 뿐이다.</ref>
- 효령대군 . . . . 5회 일치
|부모 = [[조선 태종|태종]](부) ,[[원경왕후]] 민씨(모)
[[조선]]의 제3대 국왕 [[조선 태종|태종]]의 둘째 아들이며, [[원경왕후]] 민씨의 소생이다. [[조선 세종|조선 세종대왕]]의 둘째 형으로 성씨는 '''[[전주 이씨]]'''(全州 李氏), 이름은 '''보'''(補)이다. 초명은 '''호'''(祜)였는데 19세에 '''보'''(補)로 [[개명]]하였다. [[자 (이름)|자]]는 '''선숙'''(善叔)이고, [[호 (이름)|호]]는 '''연강'''(蓮江)이며 [[불교]] [[법명]]도 '''연강'''(蓮江)이고, [[시호]]는 '''정효'''(靖孝)이다.
* 모후 : [[원경왕후|원경왕후 민씨]](1365~1420)
* [[원경왕후]]
- 토리코/376화 . . . . 3회 일치
* 경왕 문은 모든걸 집어삼키려 한다.
* 페어는 텟페이의 가시덩쿨을 뜯어내고 바깥으로 나오는데 경왕 문이 전세계를 집어삼킬 기세로 전부 빨아들이고 있다.
|| 랑왕 기네스 || 경왕 문 || 마왕 헤라클래스 || 오왕 엠페러 크로우 ||원왕 밤비나 || 사왕 마더 스네이크 || 록왕 스카이 디어 || 용왕 데로우스 ||
- 토리코/382화 . . . . 3회 일치
* 사왕은 최후의 수단으로 자신의 몸을 경화시킨 채로 경왕 문의 뱃속으로 돌진한다.
* 사왕의 의도를 파악한 경왕은 사왕 째로 그 안의 네오까지 빨아마신다.
* 네오는 사왕의 몸에서 탈출, 경왕의 뱃속도 기공파를 날려서 터뜨리고 탈출한다.
- 토리코/388화 . . . . 3회 일치
* 밤비나, 코코, 써니, 제브라의 완전부활. 마왕과 경왕은 재생 중이며 오왕은 제생이 힘들며 사왕은 리타이어.
* 경왕 문도 회복하는 듯 하지만 다소 늦다. 사왕 마더 스네이크와 오왕 앰페러 크로우는 회복이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 팔왕은 이대로 리타이어하고 용왕과 낭왕만 남은 줄 알았는데 GOD 효과로 원왕이 부활하고 경왕, 마왕이 부활 중.
- 정성왕후 . . . . 2회 일치
** 시어머니 : [[인경왕후]] 김씨(仁敬王后 金氏, 1661~1680)
**** 며느리 : [[헌경왕후|헌경의황후]] 홍씨(獻敬懿皇后 洪氏, 혜경궁, 1735~1815)
- 토리코/391화 . . . . 2회 일치
* 그러나 아카시아는 모든 공격을 먹어버리고 기네스, 데로우스를 먹어버린다. 원왕 밤비나, 경왕 문도 먹히고 록왕 스카이디어는 기공파에 당해 리타이어.
* 원왕 밤비나와 경왕 문이 차례로 잡아먹히고 스카이디어는 기공파에 맞아 머리가 날아간다.
- 하동부대부인 . . . . 2회 일치
** 시어머니 : [[장경왕후 (조선)|장경왕후 윤씨]](章敬王后 尹氏, 1491~1515)
- 강세정 . . . . 1회 일치
|2014||KBS1||[[정도전 (드라마)|정도전]]||[[원경왕후|민씨]]||
- 김하은(1984) . . . . 1회 일치
* [[2013년]] [[SBS]] 《[[장옥정, 사랑에 살다]]》: [[인경왕후 김씨]] 역
- 박하나(배우) . . . . 1회 일치
||<|2> 2015년 || KBS2 || [[드라마 스페셜]] - [[붉은 달(드라마)|붉은 달]] || [[헌경왕후|혜경궁 홍씨]] || 주연 ||
- 이방원 . . . . 1회 일치
고려 시절에 과거에도 급제한 등 문재(文材)도 있었으며 그러면서도 훗날 백전노장이던 부친의 군대를 친정하여 제압할 정도로 군사적 재능도 있던 나름 먼치킨으로, 정치적으로 노회한 운영을 보여준다. 원경왕후 민씨의 일족이나 세종의 왕후인 소헌왕후 심씨의 일족을 멸족시키는 등 왕권 강화를 위해 진력하였으나, 숙청 대상을 확실하게 선을 그어 지나친 옥사는 자제하였으며 또한 사관이나 대간의 역할을 긍정하여 균형추를 맞추는 부분에도 소홀함이 없었다. 민생 안정에도 심혈을 기울여 개국 초부터 피바람 불었던 조선 왕조를 반석에 올려놓았다.
- 이보희(배우) . . . . 1회 일치
의외로 사극에 많이 출연하는 배우이다. '[[용의 눈물]]'에서도 [[태종(조선)|태종]] 이방원이 미모를 보고 마음에 들어 새로들인 이후 원경왕후([[최명길(배우)|최명길]] 역)와 갈등을 일으키는 후궁 선빈 안씨역을 맡기도 했다. '[[여인천하]]'에선 [[중종(조선)|중종]]의 모후 정현왕후([[자순대비]])역을 맡기도 했었다. '[[서궁]]'에선 주인공 격인 [[인목대비]] 역, KBS의 2002년작 '[[장희빈(2002년 드라마)|장희빈]]'에서는 장희빈의 어머니 윤씨 역도 맡은 바 있다. 시대극인 '[[서울 1945]]'에서도 아메 카오리 역을 맡았다.
- 토리코/394화 . . . . 1회 일치
죽은 것 같았던 팔왕도 대부분 소생했는데 낭왕 기네스와 사왕 마더스네이크의 생사는 불분명. 사왕은 경왕 문의 뱃속에 있어서 영향을 못 받은 걸 수도 있다. 기네스는 네오에게 당했을 때 즉사해 버린 건지 등장이 없는데, 어차피 네오가 식재를 토해냈으므로 분명 기네스도 다시 나왔을 것이다.
- 폐비 윤씨 . . . . 1회 일치
* [[단경왕후]]
- 화완옹주 . . . . 1회 일치
*** 올케 : [[헌경왕후|헌경의황후 홍씨]] (獻敬懿皇后 洪氏, 혜경궁 홍씨, 1735년~1815년)
11531의 페이지중에 18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