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 서울특별시/인물 . . . . 21회 일치
* [[간미연]] - 강동구
* [[김상혁]] - 강동구
* [[김윤태]] - 강동구
* [[나연(TWICE)|나연]] - 강동구
* [[박용택]] - 강동구
* [[버벌진트]] - 강동구
* [[비범(블락비)|비범]] - 강동구
* [[상추(마이티 마우스)|상추]] - 강동구
* [[손동운]] - 강동구
* [[송보람]] - 강동구
* [[심수창]] - 강동구
* [[여름(우주소녀)|여름]] - 강동구
* [[윤재웅]] - 강동구
* [[이재우]] - 강동구
* [[이재원(배우)|이재원]] - 강동구
* [[이재원(가수)|이재원]] - 강동구
* [[이창율]] - 강동구
* [[조규찬]] - 강동구
* [[최호(가수)|최호]] - 강동구
* [[채영(TWICE)|채영]] - 강동구
- 윤석용 . . . . 14회 일치
|거주지= 서울 강동구
'''윤석용'''(尹碩鎔, [[1951년]] [[11월 16일]] ~ )은 [[대한민국]]의 전직(18대) 국회의원([[새누리당]] 서울 강동구 을)이자 한의사이다.<ref>{{웹 인용|제목= 대한민국 대표 인명록 - 한국의 인물
# 지하철 9호선 강동구 연장
|[[대한민국 제17대 총선|제17대 총선]]||[[서울 강동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서울 강동구 을)]]||17대||[[한나라당]]||{{막대|한|3|8|8|4}} 38.84%||40,465표||2위||낙선
|[[대한민국 제18대 총선|제18대 총선]]||[[서울 강동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서울 강동구 을)]]||18대|| [[한나라당]] ||{{막대|한|5|4|5|0}} 54.50%||41,652표||1위||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d/dd/%EA%B5%AD%ED%9A%8C%EC%9D%98%EC%9B%90%EB%8B%B9%EC%84%A0.png/25px-%EA%B5%AD%ED%9A%8C%EC%9D%98%EC%9B%90%EB%8B%B9%EC%84%A0.png
|전임자 = [[김충환]](강동구 갑)<br />[[이상경 (1964년)|이상경]](강동구 을)
|후임자 = [[신동우]](강동구 갑)<br/>[[심재권]](강동구 을)
|직책 = [[서울 강동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서울 강동구 을)]]
|같은 지역구 의원 = (강동구 갑)[[김충환]]
- 임동규(정치인) . . . . 3회 일치
2014년 4월 12일,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최용호 전 강동구 부구청장과 [[서울특별시]] [[강동구]][[구청장|청장]] [[경선]]에 참여하여 승리했으나, 경선 과정에서 '''돈봉투를 돌려서 검찰에 압수수색을 당하는 바람에''' 최용호 후보로 변경되었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자유한국당]] 강동구청장 후보로 나왔다. 결과는 더불어민주당 [[이정훈(정치인)|이정훈]] 후보에 밀려 2위로 [[낙선]].
- 강연재 . . . . 2회 일치
{{선거기록/KR/개인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20대 | 국회의원 | [[서울 강동구의 국회의원|서울 강동구 을]] | 국민의당 | 21,365 표 | 20.88 | 3위 | 낙선 | }}
- 동북중고등학교 . . . . 2회 일치
서울시 강동구 둔촌 1동에 위치한 사립 남자 중고등학교이다.
조선소나 산업 단지를 연상시키는 컨테이너 박스들로 건설되었다.영국 사람이 영양사로 근무하는지 김밥볶음밥,떡볶이 스테이크 같은 기괴한 신메뉴들과 굽지 않은 장어구이를 내놓거나 누룽지 속에 김치 덩어리가 발견되는 등 강동구에서 악명높은 급식을 제공한다.
- 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강동구 출신 인물]]
- 이기택 . . . . 1회 일치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당 고문으로서 [[해운대구]]-[[기장군]] 갑 지역구에 출마했다가 [[신한국당]] [[김운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그가 이끌던 통합민주당은 수도권에서 중도층의 지지를 일부 흡수하긴 했지만[[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25082|#]], 기존의 30석에서 15석(지역구 9석 + 전국구 6석)으로 의석이 반토막나면서 원내교섭단체 구성에 실패하였고, 같은 야권의 경쟁상대인 새정치국민회의에 비해 너무나도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서울특별시 지역에서는 양천구의 서경석 목사를 비롯한 쟁쟁한 후보들을 내보냈음에도 불구하고 강동구 갑의 [[이부영]]을 제외한 모든 인물들이 낙선을 면치 못했고, 거의 전지역 3위의 성적을 거두었다. 그리고 기대했던 부산광역시에서는 전원 낙선이었다. 그나마 경기도와 강원도에서 몇 개의 의석을 건지긴 했으나, 김영삼의 [[신한국당]]이 과반수 확보를 위해 황규선(이천시), [[이규택]](여주군), [[최욱철]](강릉시 갑) 등의 당선자 빼가기에 나서면서 폭망 확정.] 물론 김대중의 국민회의도 이때 상당히 부진했으나, 무엇보다 [[김종필]]의 [[자민련]]이 50석으로 크게 약진한 것과 크게 비교되었다.
- 최성민(1995) . . . . 1회 일치
[[강원도]] [[양구군]]에서 태어났으나 바로 서울로 이사를 하면서 [[서울특별시]] [[강동구]] [[길동]]에서 쭉 자랐다. 그 후 [[광주광역시]]로 이사를 가 2년 정도 살던 와중에 서울에 있는 연예기획사 오디션에 합격을 하면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로 다시 이사를 하였다. 당시 합격한 회사는 현재의 [[MBK엔터테인먼트]]이다.
11532의 페이지중에 8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