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가족"을(를) 전체 찾아보기

가족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이소선 . . . . 27회 일치
         |경력 = [[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 회장
         |소속 = 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
         '''이소선'''(李小仙, [[1929년]] [[12월 30일]] ~ [[2011년]] [[9월 3일]])은 대한민국의 [[노동운동|노동운동가]]이자 민주화 운동가이다. 1970년 11월 13일 아들인 [[전태일]]이 [[평화시장]] 노동조건 향상을 위해 활동하다 분신하자 이를 계기로 노동운동에 투신하였다. 노동운동가들을 자신의 자식처럼 대해 "노동자들의 어머니"라는 별칭을 얻었다.<ref>[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494717.html 노동자의 대모 이소선씨 별세], 한겨레, 2011년 9월 3일</ref> 민주화 운동 중에 희생된 사람들의 가족 모임인 [[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를 만들고 초대 회장을 역임하였다.
         이소선은 1929년 12월 30일 [[경상북도]] [[대구시]] [[대구광역시]] 에서 빈농인 이성조와 김분이 사이의 1남 2녀 중 막내 딸로 태어났다. 호적에는 1930년에 올렸다.<ref name="오마이뉴스연재8">[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985085 이소선의 어린 시절, 그녀는 빈농의 둘째 딸], 오마이뉴스 연재 - 이소선 평전 <어머니의 길> (8), 2014.06.12</ref> 아버지는 "딸 아이를 보니 무릉도원에 온 것 같이 마음이 편안해 지고 아무 생각이 들지 않는다"며 이름을 소선(小仙)이라고 지었다.<ref name="경향신문기획연재2">[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01071742395&code=210000&s_code=af077 "2009 특별기획" 이소선의 80년, 살아온 이야기 (2) - 이 아이 이름은 작은 선녀], 경향신문, 2009년 1월 7일</ref> 이소선이 서너살 때 아버지 이성조는 항일 농촌 운동을 하다 일제에게 발각되어 끌려갔다.<ref name="오마이뉴스연재8" /> 이소선은 아버지가 산으로 끌려가 학살되었다고 회고하였지만<ref name="경향신문기획연재2" />, 관련 기록은 [[한국 전쟁]]을 거치며 소실되었다.<ref name="경향신문기획연재3">[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01081752445&code=210000&s_code=af077 "2009 특별기획" 이소선의 80년, 살아온 이야기 (3) - 네 살 때 멈춘 ‘아버지 기억’], 경향신문, 2009년 1월 8일</ref> 아버지가 죽은 뒤 소작할 땅마저 떼이자 가족들은 감천리에서 더 이상 살 수 없게 되었다. 어머니는 가족을 대리고 나오며 집에 불을 질렀다. 이소선은 평생 아버지가 없는 외로움을 느꼈다.<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01111829475&code=210100&s_code=af077 이소선의 80년, 살아온 이야기 (4) - 금지된 말이 된 ‘아버지], 경향신문, 2009년 1월 11일</ref> 이소선의 가족은 산 속 상엿집에 머무는 등 이곳 저곳을 전전하다 [[와룡산]] 기슭의 홀어미 집에 더부살이를 하였다.<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01141753535&code=210000&s_code=af077 이소선의 80년, 살아온 이야기 (5) - 와룡산 아래 더부살이], 경향신문, 2009년 1월 14일</ref>
         전상수는 여러 사업을 크게 벌리다 일이 어렵게 되자 가족을 데리고 부산으로 갔다. [[한국 전쟁]] 직전이었다. 이소선은 둘째를 임신한 상태에서 [[자갈치시장]]에서 지냈다. 1950년 6월 15일 둘째 [[전태삼]]을 낳았다. 집도 없이 시장에서 지내다 전상수가 포목점에 취직하여 지낼 곳을 마련할 수 있게 되었다.<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993137 자갈치시장서 둘째 낳은 소선, 고생은 계속됐다], 오마이뉴스 연재 - 이소선 평전 <어머니의 길> (15), 2014.06.12</ref> 부산에서 피란 생활을 하면서 잠시 장사가 잘 되어 비교적 평온한 삶을 산 적도 있지만 공장을 크게 늘린 일이 잘못되어 가세가 기울었다.<ref name="경향30">[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03151824225&code=210000&s_code=af077 "2009 특별기획" 이소선의 80년, 살아온 이야기 (30) - 아득한 행복했던 순간], 경향신문, 2009년 3월 15일</ref> 장마철 큰 비에 창고 지붕이 무너져 재료를 모두 못쓰게 된 것이다.<ref name="오마이뉴스18">[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994490 "말짱한 젊은 년이 뭐가 아쉬워 구걸을 다녀"], 오마이뉴스 연재 - 이소선 평전 <어머니의 길> (18), 2014.06.12</ref> 전상수는 점점 술에 취해 폭력적으로 변해갔고, 일이 풀리지 않아 빚을 지면 가재를 모두 팔아 정리하고 가족을 길바닥에 둔채 자취를 감추기 일쑤였다.<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03101751125&code=210000&s_code=af077 "2009 특별기획" 이소선의 80년, 살아온 이야기 (27) - 지우고 싶은 남편의 기억], 경향신문, 2009년 3월 10일</ref> 1953년 셋째 [[전순옥]]이 태어났다.<ref name="경향30" />
         전쟁이 끝나고 남편 전상수는 사업 기회를 보려 서울로 상경하였고 그 사이 시아버지가 사망하였다.<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03221830095&code=210000&s_code=af077 "2009 특별기획" 이소선의 80년, 살아온 이야기 (33) - ‘버팀목’ 시아버지 별세], 경향신문, 2009년 3월 23일</ref> 아이들을 끌고 무작정 상경한 이소선은 [[염천교]] 근처에서 가족과 노숙하였다. 남편이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자 이소선은 고등어의 배를 따는 일을 하고 얻은 품삯으로 시래기를 사서 국을 끓이고 아이들을 먹였다. 집이 없어 남의 집 처마 밑에서 잤고, 일을 구하지 못할 때에는 걸식을 했다.<ref name="오마이뉴스18" />
         서울에서 다시 이리 저리 떠도는 생활을 하던 가족은 시동생의 권유에 못이겨 대구의 시댁으로 내려갔다. 전태일은 부산까지 떠돌다 비쩍 마른 모습으로 대구에 왔다. 대구에서 다시 모인 가족은 다시 재봉일을 하며 살았고 정식으로 초등학교 졸업을 하지 못한 전태일은 청옥고등공민학교에 입학하였다. 전태일은 스스로 쓴 수기에서 이 학교에 다니던 시절을 가장 행복했던 시기로 기억했다. 그러나 전상옥의 사업은 결국 망했고 다시 술에 의지하게 되었다. 이소선은 술에 취해 아이들을 때리는 전상옥을 보며 절망을 느꼈다. 전상옥이 집을 나가 버리자 남은 가족들은 꼼짝없이 굶게 되었다. 1964년 이소선은 일을 구하기 위해 홀로 서울로 상경하였다.<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004520 몽땅 굶어죽을 판... 서울로 가자], 오마이뉴스 연재 - 이소선 평전 <어머니의 길> (24), 2014.06.12</ref>
         하혈 때문에 병원에 입원하게 되자 식당에서 번 돈은 모두 병원비로 쓰였다.<ref name="오마이뉴스27">[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004699 애들 부끄럽지 않게... 미군 지프차를 돌려보내다], 오마이뉴스 연재 - 이소선 평전 <어머니의 길> (27), 2014.06.12</ref> 이소선은 병원을 나온 뒤 시장에서 우거지를 주워 삶아 팔았다.<ref name="경향42" /> 이소선과 함께 살게 된 전태일은 남대문시장을 돌며 구두닦이며 신문팔이를 하며 지냈다. 그러던 어느날 거지들 틈에서 동생 전태삼을 발견하였다. 전태삼은 어머니와 형을 찾아 무작정 서울로 온 뒤 거지들과 함께 살고 있었다. 이후 전태일은 남대문에서 돈을 벌고 태삼은 달동네의 물지게를 지어 생계를 도왔다. 전태일은 아동보호소에 맡긴 순덕이를 찾아오기 위해서라도 집을 마련하고 싶었고 [[평화시장]]의 미싱 보조가 되었다.<ref name="오마이뉴스27" /> 가족은 지인 집 마루에 자리를 마련하고 지내고 있었다.<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04191819085&code=210000&s_code=af077 2009 특별기획" 이소선의 80년, 살아온 이야기 (44) - 봉제공장‘시다’로 첫 출근], - 다시 만난 母子의 다짐], 경향신문, 2009년 4월 26일</ref>
         이소선은 지인의 집에 남편이 다녀갔다는 소리를 듣고는 그 길로 집을 나와버렸다. [[서울중앙시장]]에서 배추 잎을 주워 살며 거지들 틈에서 지냈다.<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009886 중앙시장에서 배추 잎 줍기... 하루 백원벌이 인생], 오마이뉴스 연재 - 이소선 평전 <어머니의 길> (28), 2014.7.8</ref> 이소선은 중앙시장에서 신임을 얻어 노점을 열 수 있게 되었고 전태일은 평화시장에서 월급을 받게 되니 다시 집을 장만하고 함께 살 희망이 생겼다. 그러던 어느날 전태일은 수제비집에서 우연히 동생 순옥이를 만났다. 전순옥은 아버지가 서울에 올라 올 때 따라 왔다.<ref name="오마이뉴스30">[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009920 태일이네 가족, 다시 한곳에 모이다], 오마이뉴스 연재 - 이소선 평전 <어머니의 길> (30), 2014.7.15</ref>
         == 다시 모인 가족 ==
         [[파일:전태일 판잣집.jpg|섬네일|이소선 가족이 살던 쌍문동 208번지 판잣집. 전태일이 지었다.]]
         전상수는 서울 [[서울중부시장]]에서 일자리를 얻고 가족을 찾고 있었다. 이소선은 남편과 사는 것이 싫었지만 전상수가 다신 술을 마시지 않겠다고 다짐하여 남산동 50번지 무허가 판잣집을 셋방으로 얻고 다시 가족이 모여 살게 되었다. 아동보호소에서 대려온 순덕이는 얼마나 호되게 당했는 지 웃음이 싹 사라져 있었고 새벽에 홀로 깨서 머리를 빗고 앉았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선생님께 혼났다고 한다.<ref name="오마이뉴스30" /> 그러나 전상수는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술을 마시기 시작했다. 남산동 살림은 오래 가지 못했다. 1966년 판자촌에 불이나 이재민이 된 것이다. 이소선은 그 때의 충격으로 눈이 멀었고 이웃의 권유로 교회에 나가기 시작했다. 멀었던 눈은 차츰 돌아왔고 모든 식구가 기독교 신자가 되었다.<ref name="오마이뉴스31">[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009927 이소선, 화재 충격으로 눈이 멀다], 오마이뉴스 연재 - 이소선 평전 <어머니의 길> (31), 2014.7.18</ref>
         당국은 이재민에게 천막 하나를 주고 [[도봉동]] 개울가로 내몰았다. 이소선의 가족은 [[쌍문동]] 공동묘지 근처 208번지로 이사하였다.<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04221758155&code=210000&s_code=af077 2009 특별기획" 이소선의 80년, 살아온 이야기 (45) - 판자촌에 다시 모인 가족], 경향신문, 2009년 4월 22일</ref> 이소선이 살던 쌍문동 집은 무허가 판잣집이었다. 간혹 단속반이 와서 헐고 갔기 때문에 시멘트 블럭만을 쌓아 올려 벽을 만들었다가 헐리면 다시 세웠다. 전태일은 단속반이 집을 헐며 블럭을 부수면 다시 사야하기 때문에 단속반이 온다는 소리를 들으면 미리 집을 헐어 두었다고 한다.<ref name="경향46">[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04231745425&code=210000&s_code=af077 2009 특별기획" 이소선의 80년, 살아온 이야기 (46) - 쌍문동 208번지], 경향신문, 2009년 4월 23일</ref> 이 무렵 전태일은 평화시장의 미싱사가 되었으며 동생 순옥이 만한 어린 소녀들이 퀴퀴한 다락방에서 쉴 새 없이 일하다 폐병을 앓는다고 안타까워 했다. 전태일은 공장에서 있었던 일을 어머니께 자세히 말하곤 했다.<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04261859022&code=210100&s_code=af077 2009 특별기획" 이소선의 80년, 살아온 이야기 (47) - 춥고 배고픈 어린 시다들], 경향신문, 2009년 4월 27일</ref>
         이소선은 또한 민주화 운동에도 적극 참여하였다. 1975년 박정희 정권이 [[인혁당 사건]]을 조작하고 관련자들을 서둘러 사형시킨 뒤 화장시키려 하자 그 앞을 막아선 사람도 이소선이었다. 이소선은 헌옷을 팔아 생계를 꾸리면서도 노동운동가나 민주화 운동가가 수배를 당하면 그를 숨겨주고 먹이고 재웠다. 수 많은 민주화 운동 활동가들이 이소선의 도움을 받았으며 그로인해 훗날 대통령이 된 [[김대중]]에서 부터 평화시장의 어린 시다까지 이소선을 어머니라 불렀다.<ref>[http://www.redian.org/archive/40703 이소선 기억하기‘어머니’의 길이 일군 여성의 역사], 레디앙, 2012년 9월 4일</ref> 전태일의 장례를 도왔던 [[장기표]]가 수배 받아 장독대에 숨겼고 [[조영래]]를 숨겨줄 때에는 주변으로부터 다 늙어 서방질을 한다는 오해까지 받았다.<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045932 수배범 장기표 구해낸 이소선의 임기응변], 오마이뉴스 연재 - 이소선 평전 <어머니의 길> (54), 2014년 11월 4일</ref> 이소선의 판잣집을 거쳐간 사람들은 훗날 대통령이며 장관이 되기도 했지만 이소선은 늘 현재의 노동자 편에 서고자 했다.<ref name="경향46" /> 또한 1986년에는 민주화유가족협의회를 결성하고 초대 회장을 역임하였다.<ref name="연표" />
         이소선은 노동운동과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 스스로도 체포 구금 실형 등을 받으며 많은 고초를 겪었다. 함께 활동한 아들 전태삼과 이소선이 모두 감옥에 들어가면 며느리 윤매실이 가족을 돌봐야 하였다. 이소선은 자신 보다 아들의 형이 더 크게 나오면 상심하기도 하였지만 기독교에 대한 신앙은 그를 붙잡아 두는 힘이 되었다.<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083671 '노동자의 어머니' 이소선, 아들 전태삼과 함께 구속], 오마이뉴스 연재 - 이소선 평전 <어머니의 길> (88), 2015년 3월 6일</ref>
         이소선은 2011년 7월 18일 심장마비로 입원하였다. 바로 그 때까지도 이소선은 [[김진숙]]의 고공농성을 지지하기 위한 [[희망버스]]를 타고 창원으로 내려가려고 하였다. 그해 1월에는 김진숙에게 보내는 영상 편지를 통해 살아서 싸워야지 죽으면 안된다고 당부하기도 하였다. 2011년 9월 3일 이소선은 결국 회복되지 못하고 별세하였다.<ref>[http://worknworld.kctu.org/news/articleView.html?idxno=240677 이소선 어머니 3일 오전 한일병원서 별세], 노동과 세계, 2011년 9월 3일</ref> 장례는 9월 7일 유가족과 노동계를 비롯한 많은 시민이 함께 하는 가운데 민주사회장으로 치러졌으며<ref>[http://nodong.org/statement/642547 노동자의 어머니 이소선 민주사회장 장례위원회], 민주노총, 2011년 9월 4일</ref> 마석 모란공원에 있는 전태일 묘소의 뒷편에 묻혔다.<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623409 이소선, 41년 만에 아들 전태일과 함께 잠들다], 오마이뉴스, 2011년 9월 7일</ref> 이소선의 민주사회장에는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모두가 장례위원으로 참여하였다.<ref>[http://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6263 양대 노총 “어머니 마지막 길, 노동자들이 함께”], 매일노동뉴스, 2011년 9월 6일</ref>
         * 1985년 12월 12일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 공동의장.
         * 1986년 8월 12일 전국민주화운동유가족협의회 창립. 회장에 선임됨.(93년까지)
         * 1988년 10월 17일-89년 2월 27일 유가족들과 함께 기독교회관에서 의문사진상 규명 농성 투쟁을 전개함.(135일간)
  • 박근혜 . . . . 18회 일치
         1961년 5월 15일 오후 10시 경, 거사를 위해 집을 나서려던 육군 제2군 부사령관 [[박정희]] 소장에게 부인 육영수가 "근혜 숙제 좀 봐주세요."라며 가족간의 마지막이 될지도 모르는 면담을 에둘러 요구하였다. 이에 박 소장은 잠시 방에 들러 숙제를 하고 있던 초등학교 5학년생 박근혜와 곁에서 잠든 장모 [[이경령]]과 3녀 근영, 장남 지만을 훑어본 뒤에 집을 나선다. 이 때 "무슨 숙제입니까?"라는 거사 동지 [[장태화]]의 물음에 박정희는 "어, 뭐 그림 그리는 거야!"라고 답한다. 하지만 박근혜는 아버지의 기척은 알았으나 자신이 무슨 숙제를 하고 있었는지는 기억나지 않는다고 후술하였다.
         또한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에 대한 구체적인 실현방안으로 2014년 3월 28일 독일 통일의 상징 도시인 드레스덴에서 인도적 문제해결, 남북한 공동 인프라 구축, 남북 동질성 회복 등 평화통일 기반 구축을 위한 3대 제안을 북한에 제시하는 '[[드레스덴 선언]]'을 천명하였다.<ref>[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4032888471 朴대통령 '드레스덴 선언'이산상봉 정례화 등 인도적 문제부터 해결…核 버리면 經協 확대]</ref> 이어 제69주년 광복절 경축사에서 박 대통령은 "통일 준비는 시대적 소명"이라면서 북한에 대해 하천·산림 관리 공동 협력 사업, 이산가족 상봉, 남북한 광복 70주년 공동기념 문화사업 준비 등 남북이 실천 가능한 사업부터 행동으로 옮기자는 작은 통일론을 제안하였다.<ref>[http://www.fnnews.com/news/201408151515276744 박 대통령 8.15 경축사 행간에 담긴 의미]</ref> 2015년에 들어와서는 박 대통령이 신년사를 통해 광복·분단 70주년을 맞는 2015년에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통일 기반을 구축하겠다고 언급하였다.<ref>{{웹 인용 |url=http://economy.hankooki.com/lpage/politics/201412/e2014123117402393130.htm |제목=[박근혜 대통령 신년사로 본 새해 구상] 경제회복 최우선… 남북관계 개선 통해 통일기반 구축 |확인날짜=2015-02-14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50214093238/http://economy.hankooki.com/lpage/politics/201412/e2014123117402393130.htm |보존날짜=2015-02-14 |깨진링크=예 }}</ref>
         이와 관련하여 북한은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대결 정책이며<ref>[http://www.ajunews.com/view/20140503193440291 북한 노동신문,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비난']</ref>하였고 드레스덴 선언에 대해서도 이산가족 상봉이나 지원에 따른 인도주의적 문제 해결이 북남관계 개선의 선차적인 고리가 아니라 정치군사적 대결상태 해소가 최우선이라며 맹비난하였다<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980029 북한 국방위 "박근혜 '드레스덴 연설' 공식 비난"]</ref> 또한 8.15경축사에서 제안한 대화 및 협력에 대해서도 금강산 관광객 총살이나 천안함 및 연평도 도발에 대한 사죄없이 5.24 조치 해제 등 대북정책 기조전환을 압박했다.<ref>[http://www.nocutnews.co.kr/news/4074931 北, 朴 8.15 경축사 비난…5.24 조치 해제 촉구]</ref>
         박근혜는 사고 발생 3일 후인 4월 19일 실종자 가족들이 모여 있는 진도 체육관을 방문하여서 구조 계획 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 과정에서 실종자 가족들이 박근혜에 대하여 고성과 욕설을 하였고 긴장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세월호 사고에 대한 조사 및 배상을 정하는 소위 ‘세월호 특별법’에 대하여 2014년 6월부터 그해 10월 말까지 강한 논란이 빚어졌다. 이 과정에서 여야간의 극심한 정쟁 및 세월호 사고 유가족의 데모, 단식농성 등이 발생하여서 극심한 사회적 갈등이 발생하였다.
         여야는 6월 세월호 사고 관련 국정조사에 합의하였다. 그러나 6월 말 실시하기 시작한 국정조사는 고성과 막말 속에 흐지부지 종료되었으며, 7월 중순부터는 세월호 조사위원회에 수사권과 기소권을 주는 특별법 제정을 요구하는 야당측과 세월호 사고 유가족의 국회 내 농성, 거리 행진, 데모 등이 벌어졌다. 이러한 도중에 실시된 7월 30일 재보궐선거에서는 새누리당이 승리하였고, 8월 초 새누리당 이완구-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원내대표는 세월호 조사위원회 구성 등을 담은 소위 세월호 특별법에 대하여 합의하였다. 그러나 이에 대하여 야당 내부의 반발이 벌어지면서 여야간의 합의는 파기되었다.
         한편, 세월호 사고 유가족 김영오가 7월 중순부터 단식농성에 들어가 매스컴의 관심을 받았다. 김영오는 광화문광장에서 40여일 간 단식을 진행하면서 청와대 앞에서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욕설 등을 퍼붓기도 하였다. 김영오의 단식에는 문재인 민주당 의원, 가수 김장훈 등이 호응하여서 동조하기도 하였다. 또한 김영오의 단식에 대하여 한겨레, 오마이뉴스 등 좌파성향 매스컴이 옹호, 지지를 표하며 집중적으로 조명하였다.
         여야간의 정쟁이 계속되던 9월 중순, 박근혜는 국무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수사권과 기소권은 국가의 권한으로서 민간 위원회에 주는 것은 부적절하며, 여야의 2차 합의안을 넘는 유가족의 요구는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후 여야간의 협상이 계속되었고, 9월 말 여야는 조사위원회 구성 등에 대하여 합의하였다. 10월 말 소위 세월호 특별법과 정부조직법, 범죄은닉재산 환수법 등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세월호 특별법 파동은 종료되었다.
         |이산가족 상봉, 여자 쇼트트랙 금메달, 서울시 공무원 간첩사건 증거조작 논란
         |‘제주 돌고래호 사고’, 이산가족 협의 타결, 지역 현장행보
         |야당의 ‘총선 홍보비 리베이트 의혹’과 ‘의원 가족채용 논란’, ‘이정현 전 홍보수석 녹취록’ 논란
         |‘대통령 가족사 국무회의 발언’, ‘與 8·9전대'
         박근혜 후보의 인혁당 사건에 대한 발언에 대해 각계 각층으로부터 비판이 잇따르자, 2012년 9월 24일, 박근혜 후보는 5.16과 유신, 인혁당 사건 등의 과거사에 대해 사과하였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2/09/24/0200000000AKR20120924044400001.HTML?did=1179m 박근혜 "5.16·유신·인혁당 피해자 가족에 사과"(종합)] 연합뉴스, 2012년 9월 24일</ref> 이에 대하여 인혁당을 "민혁당"이라고 잘못 말한 것, 사과 후 기자들의 질문을 일절 받지 않은 것 등을 지적하며 사과의 진정성을 의심하는 반응들이 있었다.<ref>[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2092410300683188&outlink=1 野, 박근혜 후보 사과 진정성에 의문 "질문 왜 안 받나?"] 머니투데이, 2012년 9월 24일</ref><ref>[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1397496 민주 "박근혜 인혁당을 민혁당이라 읽어…진정성 의문"] 서울방송, 2012년 9월 24일</ref><ref>[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2092411562505161&outlink=1 박근혜, 인혁당을 민혁당으로...조국 "그에게 같은 사건일 것"] 머니투데이, 2012년 9월 24일</ref><ref>[http://news.hankooki.com/lpage/politics/201209/h2012092502363721000.htm 박근혜 '민혁당'이라 발음한 까닭이…] {{웨이백|url=http://news.hankooki.com/lpage/politics/201209/h2012092502363721000.htm# |date=20121216161351 }} 한국일보, 2012년 9월 25일</ref><ref>[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5432 박근혜와 언론의 ‘역사 조롱’ <손석춘 칼럼>]미디어오늘, 2012년 10월 10일</ref> 유족들은 진정성이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2/09/24/0200000000AKR20120924072251004.HTML?did=1179m 인혁당 유족 "박근혜, 마지못해 사과하나"(종합)] 연합뉴스, 2012년 9월 24일</ref> 민주당 정성호 대변인은 평가한다고 하면서도, 진정성을 확인할 수 있는 후속 조치를 요구하였으며, 안철수 후보 등은 필요한 일이었다고 평가하였다.<ref>[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40120924105740 박근혜 과거사 사과에 문재인-안철수 반응 온도차] 프레시안, 2012년 9월 24일</ref>
         [[2007년]] [[5월 29일]] [[대한민국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는, 부일장학회는 박정희 정권에 강제헌납된 것으로 결론내리고 재산을 원소유주에게 돌려주라고 정부에 권고했다. 이에 박근혜는 과거사 정리위원회의 권고를 무시한 채, "공익법인화한 정수장학회를 다시 사회환원하라는 것은 정치 공세"라고 반박하였다. 하지만 이런 발언에 대해 '그렇다면 그들 주장대로 공익법인인 육영재단을 두고, 박근혜의 형제들끼리 싸우는 이유가 무엇이냐'며 박근혜의 인식과 그 가족의 행태에 대한 비판도 끊이지 않고 있다. 또한 육영재단이 소유한 [[영남대학교|영남학원]]의 정관에는 '교주 박정희'라고 명시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공법인이라는 박근혜의 변명과 배치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앞서 [[2005년]] [[언론노조]] 정수장학회 공동대책위는, 정수장학회의 문화방송 주식, 부산일보 주식, 영남대, 부동산 등 그 재산을 최소 1조원이라고 추산했으며, 많게는 10조원에 이를 수도 있다고 보았다.<ref>{{뉴스 인용 |저자=윤경원 기자 |제목="코드맞춘 국가기관의 대선개입 시도" |url=http://www.dailian.co.kr/news/view/68945 |뉴스=데일리안 |날짜=2007-05-30 |확인날짜=2015-04-02}}</ref>
         [[최태민]]과 그 가족들의 비리 행위나 비위 의혹에 대하여 박근혜는 최태민이 모함을 받는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하였다. 2007년의 청문회 당시 '최 목사가 지금도 결백하고 모함받고 있다고 생각하나.'<ref name="chung01"/> 라는 질문에 대하여 "내가 아는 한도에서는 의혹의 실체가 없지 않나 생각한다. 현실이 그러니까. 앞으로 실체가 나온다면 내가 모르던 일이니까 굉장히 유감스럽고 잘못된 일이다.<ref name="chung01"/>"라고 말하였다.
         [[한명숙]] 전 총리는 박근혜 전 대표가 한나라당 대선후보 검증 청문회에서 5.16을 '구국의 혁명'이으로 규정한 데 대해 '망언'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한명숙은 [[2007년]] [[7월 19일]] "그가 5.16 쿠데타를 '구국의 혁명'이라고 미화한 것은 정치적 중립을 지키며 국토방위에 전념하고 있는 69만 국군 장병들에 대한 모독이자 군사독재에 맞서 싸우다 희생당한 민주 영령들을 두 번 죽이는 일"이라고 주장하였다.<ref name="son">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569422</ref> [[한명숙]]은 이어 "아직도 박정희 쿠데타 정권에 고문당하고 살해당한 분들의 유가족이 서러움과 한을 안고 살아가고 있다"며 "고(故) 장준하 선생의 부인을 만나 고개를 조아렸던 때가 언제라고 또다시 독재의 유전자를 드러내냐"고 비난하였다.<ref name="son"/> 한 전 총리는 자신은 총리 인사청문회에서 유신시절 자신을 고문하고 투옥했던 가해자들을 용서했다고 말했지만 "박 후보의 망언은 이처럼 유신독재의 피해자들이 내미는 용서와 화해의 손을 뿌리치고 피해자들의 가슴에 다시 한 번 못을 박는 잔인한 짓"이라고 언론에 그를 공개적으로 비난하였다.<ref name="son"/>
         * [[2012년]] [[8월 29일]] "역사적인 사건의 인물들과 화해를 해야 하지 않느냐. 계속 역사적으로 갈등이 됐던 문제를 해결하려 할 것"<small>([[전태일]] 열사의 유가족과 친구를 만나려 했으나 거절당한 후)</small><ref>[http://media.daum.net/politics/others/newsview?newsid=20120830030205237] 허진 기자, "전태일재단 방문 쇼 아니다 … 계속 할 것", 중앙일보, 2012.8.30.</ref>
  • 우현(배우) . . . . 13회 일치
         || '''가족''' ||<(> 아내 배우 [[조련(배우)|조련]], 아들 우준서, 장모 곽의진 ||
         친구인 [[안내상]]과만 몇 번 출연하다가 [[JTBC]] [[유자식 상팔자]]에서 가족과 함께 출연한 계기로 본격적으로 예능에 진출했다. 본래 예능 울렁증이 있다 보니 우현보다는 가족들의 활약이 대단했었고 빵빵 터졌지만, 어느 정도 예능을 하다보니 본인도 평타를 치기 시작했다. 또한 극초반에 드라마 촬영 일정 때문에 아내와 외아들만 출연하다가, 잠깐 하차했다가 다시 매주 고정출연 중이다. 그 후 장모님이 타계 후 잠깐 쉰 적이 있지만, 그 후에도 프로가 종영할 때까지 꾸준히 참여하였다.
          * 구미호 가족 (2006) - 홍씨 역
          * [[가족의 탄생]](2006) - 플랫폼 남자 역
          * [[유자식 상팔자]](jTBC, 2013년 ~2016년) - 가족과 함께 고정출연.
         상기했듯이 [[연세대]] [[신학과]]를 졸업했다. 그것도 연세대 수석입학자에다 총학생회 사회부장직까지 맡은 수재였으니. 그렇게 공부를 잘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이 외모에 놀 수도 없고 운동도 싫어해서 공부밖에 할 게 없었다”고 한다. 실제로는 집안 환경이 공부 잘하는 가족들도 많고 전체적으로 공부하는 분위기였다고. 그에 반해 아들 준서는 공부에는 영 관심 없고 게임에 너무 빠져서 고민이라고 한다.[* 그 이유로는 게임도 있지만, 우현 부부 자체가 공부에 크게 신경쓰지 않고 자유롭게 키운 것으로 보인다.]
         === 가족관계 ===
         본래 가족과 방송 출연은커녕 공개조차 되지 않았다. 그나마 아내는 인터뷰나 [[라디오스타]] 등에서 자주 언급했었고 부부가 영화 동반 출연한 적이 있었다. 그러던 중 [[유자식 상팔자]] 계기로 온 가족이 방송에 출연했다. 하지만 출연 후에도 아내는 방송에서 자주 모습을 비추는 것에 비해 아들은 고정 프로그램인 <유자식 상팔자>와 [[무한도전]] [[무한도전 못·친·소 페스티벌 시즌 2|못친소2]]에서 잠깐 출연한 것 이외의 다른 프로그램에는 전혀 출연하지 않는다.
         장모님은 유명 소설가인 故 곽의진 씨로, 백년손님에 함께 출연했다.[* 곽의진 씨는 103세의 아버지와 함께 [[인간극장]]-세월이 가면편에서 주인공으로 출연했었다. 또한 우현 가족도 아주 잠깐 출연했었다.] 또한 장모님이 실제로 워낙 [[동안]]이고 우현이 워낙 노안인 데다가 나이차도 얼마나지 않아, 장모-사위 관계가 아닌 부부 관계로 종종 오해를 받았았었다.[* 사실 처가 자체가 동안인 인물들이 많으며, 아내와 아들도 나이에 비해 어리게 보이는 편] 실제로도 <백년손님 자기야>에 출연 당시에도 오해하는 장면이 잠깐 나왔다.
          * 또한 현재 사는 아파트 말고도 [[경상북도]] [[김천시]] [[봉산면]] 에서도 주택이 있으며, 실제로 가족들과 3여 년간 살았었다. <유자식 상팔자>에서 김천에서 살게 된 이유가 밝혀졌는데, 주유소들이 학교 생활을 힘들어해서 장모님의 추천으로 아들의 정신 건강을 치료할 겸 진도에 내려와 집을 지었다고. 가족들은 김천에서 지냈고, 본인은 일 때문에 [[대구]]과 진도를 오가면서 살았었다.[* 때문에 몇 년간 주말부부로 지내야만 했고, 주변에서는 "이혼한 거 아니냐"고 종종 오해를 받기도 했다.] 참고로 그 진도 집은 [[동물농장]] 견스테이와 유자식 상팔자 특집 코너[* 대표적으로 아빠, 삼시세끼를 부탁해! 코너. [[홍서범]] 과 함께 코너를 진행했다]를 진행하기 위한 장소로 사용되었다.
  • 진격의 거인/98화 . . . . 13회 일치
          * 파르코는 자신을 "크루거"라 밝힌 남자와 매일 만나고 있다. 파르코가 가비를 이길 일을 말하며 "크루거의 덕"이라 감사를 표한다. 하지만 크루거는 몇 번이나 편지 배달을 부탁한 자신이 감사할 일이라고 사양한다. 그는 가족으로부터 야구공과 글러브를 받았는데, 자신도 그걸로 "앞으로 나아가야겠다"고 다짐한다. 그때 의사가 다가오는 걸 보고 파르코는 자리를 뜨는데, 공교롭게도 그는 군의 진료의로 일하는 "예거"씨였다. 크루거는 그를 한 눈에 알아본다. 노인이 같이 앉아도 되겠냐 묻자 크루거가 허락하고 둘은 통성명을 한다. 크루거는 "크루거"라는 이름을 그대로 댄다. 노인은 크루거가 기억상실에 걸린 것이나, 파르코가 자주 방문하는 것에 대해서도 알고 있었다. 그런데 그는 대화 상대를 찾아온 거란 말과는 달리, 파르코의 상세한 내력에 대해서 읊기 시작한다. 파르코의 숙부가 엘디아 복권파 조직의 간부였다 숙청 당한 것, 연좌를 당하고 살아남은 가족들은 충성을 증명하기 위해 무엇이라도 해야했던 것. 콜트가 마레의 전사가 된 걸로 겨우 그라이스가에도 안정이 왔다는 설명 뒤에 아마 "짐승 거인"을 계승하는 문제 때문에 자신을 만나기 껄끄러울 거라는 말도 덧붙였다. 그가 이런 말을 한 진의는 이랬다.
          노인은 파르코와 크루거 사이의 거래도 알고 있었고 사실 크루거가 정상이라는 것도 눈치채고 있었다. 그러니 의심살 짓은 그만두고 어서 가족에게 돌아가라고 권하는데. 크루거는 떠보듯이 "혹시 가족일로 후회할 짓을 했냐"고 묻자, 그는 상처를 찔린 표정이 된다. 그가 바로 [[그리샤 예거]]의 아버지이자 지크의 할아버지. [[엘런 예거]]에게도 할아버지가 된다. 그는 한순간도 후회하지 않은 날이 없다고 고백했다. 그리샤가 여동생을 데리고 벽을 나서게 놔둔 일이나 아들에게 의사를 강요했던 일 등. 그 모든게 자신 탓이라고 자책하던 그는 마침내 오열하듯이 비명을 지른다. 그때 병원에서 진짜 의사가 달려나오는데, 사실 그도 이 병원의 환자였던 것이다. 크루거는 병실로 돌아가는 그를 바라보다가 가족에게서 받은 야구공을 허공 위로 던져 본다.
          예거 박사의 입을 통해서 그의 숙부뻘 되는 인물이 엘디아 복권파의 간부였고 그 바람에 일족 전체가 연좌제로 고생한 사실이 밝혀진다. 정황으로 보면 그 숙부가 그리샤 예거를 가담시킨 "그라이스"란 인물. 콜트가 짐승의 거인을 계승하게 된 덕에 겨우 사정이 나아졌는데 반대로 현 짐승의 거인 계승자인 지크의 가족과는 다소 불편한 관계가 된 모양이다.
          역시나 그 정체는 엘런 예거. 파르코에겐 여전히 가족에게 편지를 보낸다는 명목으로 여러번 심부름을 시켰다. 개인적인 조언도 해준 모양인데 파르코는 그 덕분에 가비를 이겼다고 굉장히 고마워한다. 그런데 파르코와 만나는 자리에 야구공과 글러브를 가지고 나왔는데, 일단 가족에게서 받은 거라고 설명했다. 파르코가 돌아간 뒤에는 병원을 방문한 예거 박사와 만나는데, 첫눈에 그가 누구인지 알아보는 모습을 보인다. 예거박사가 파르코에게 심부름 시키는 거나 사실 그가 멀쩡하다는 걸 간파하고 가족에게 돌아가라 권하자 "혹시 가족에게 후회할 짓을 했냐"고 떠본다. 예상대로 예거 박사는 과거의 트라우마를 늘어놓으며 오열하게 되고, 착잡한 표정이 된다.
          그리샤 예거의 부친이자 지크 예거의 할아버지인 그 예거 박사. 병원을 방문했다가 크루거에게 동석하기를 청한다. 사실 그가 파르코에게 수상한 심부름을 시키는 것과 실제론 병이 없는걸 눈치채고 경고하러 왔던 것. 그라이스가의 속사정이나 콜트가 짐승거인을 계승하게 된 이후 예거가 사람을 불편하게 대하게 된 것에 대해서도 소상히 알고 있다. 자신이 대화하는 크루거가 실제론 손자라는걸 눈치채진 못한 듯 하다. 처음에는 자신을 군의이며 가끔 이 병원을 방문한다고 밝혔는데 실제론 그렇지 않았다. 크루거에게 "슬슬 가족에게 돌아가지 않으면 후회한다"고 경고하는데, 크루거가 "당신은 가족에게 후회할 만한 일을 했는가"라고 반문하자 상태가 안 좋아진다. 그리샤가 여동생과 벽을 넘어간 날, 딸이 죽은 날로부터 후회하지 않은 적이 없다고 토로하고 그리샤 가족의 운명도 다 자신이 탓이라고 자책하고 있다. 기어이 비명을 지르며 정신이 무너지는데, 직후에 의사와 간호사가 와서 병실로 데려가는걸 보면 오래 전부터 입원 상태였던 듯 하다. 그가 자신의 할아버지인걸 아는 크루거는 매우 착잡한 표정을 짓는다.
  • 성훈(배우) . . . . 12회 일치
         || '''가족''' || 부모님[* 외동] ||
         첫 작품을 끝낸 뒤 조연부터 차근차근 시작하고 싶다는 생각에, 다음 작품인 《[[신의(드라마)|신의]]》에서는 주인공 일행의 적인 천음자로 출연했다. 다음 작품인 《[[가족의 탄생(드라마)|가족의 탄생]]》에서는 드라마 중반부에 투입이 됐는데, 여주인공을 두고 남주인공과 대립하는 서브남주의 위치였지만, 마지막엔 주인공을 밀어내고 진 주인공으로 등극했다(!) 배우 본인이 연기한 작품들에서 거의 다 주연을 맡았다. [* 이 말이 그냥 하는 말이 아닌 게 연기력과는 별개로 성훈은 하는 작품마다 배역 운이 좋은 편이다. 대체로 주연이거나 주연이 아닌 작품도 최소 비중 높은 조연을 많이 맡았다. 참고로 촬영 예정이자 데뷔 후 첫 영화에서도 주연으로 캐스팅. 거기다 맡은 캐릭터 운도 좋은 편인데 드라마 내의 등장인물들 전원이 산으로 간 케이스라도 성훈이 맡은 캐릭터만 정상적인 경우가 제법 있다. 심지어 [[가족의 탄생(드라마)|주인공이 아니었는데도 나중에 주인공이 되어버린 작품]]까지 있다. 출연작품의 폭도 상당히 넓은 편으로 장르 안가리고 이곳저곳 많이 나온다. 임성한 드라마 출신의 배우들 대부분이 막장 드라마를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걸 감안하면 상당히 돋보이는 행보이다.]
         || [[SBS]] || 《[[가족의 탄생(드라마)|가족의 탄생]]》 || [[한지훈(가족의 탄생)|한지훈]] ||<|4> 주연 ||
          * [[가족의 탄생(드라마)|가족의 탄생]] : [[한지훈(가족의 탄생)|한지훈]] 역. 작품에서 남주가 뒤바뀐 보기 드문 사례이자, 《[[신들의 만찬]]》 시즌 2(…) 자세한 정황은 알 수 없지만 네티즌 반응은 원래 남주인 [[이규한]]보단 캐릭터에 있어서나 배우에 있어서나 서브남주인 한지훈 역을 맡은 성훈 쪽이 압승이었다는 평. 연기력이야 남주인 이규한이 훨씬 호평을 받았지만 비쥬얼이나 옷걸이나 외적인 조건에 있어선 성훈이 더 대중의 반응이 좋았다.~~결국 연기력보단 얼굴이란 얘기~~ 성훈이 수영선수 출신이라 그런지 입고 나오는 의상마다 웬만한 모델급으로 소화해 성훈이 극 중 입은 수트들이 소소하게 화제가 되기도 했다. ~~작가가 성훈의 팬이었는지~~ 캐릭터로 봐도 강윤재보단 한지훈 쪽이 시청자들의 눈길을 끌만한 매력적인 요소가 많았다. 결국 한지훈이 히로인과 연결되며 《가족의 탄생》 최대 수혜자 겸 진 주인공은 성훈이 되었다(...)
          * 맡는 역할마다 어째 가정환경이 불우하고 부모와 사이가 안 좋은 캐릭터가 많다. 거기다 입양아 역도 좀 있는 편이다. 가족의 탄생, 오 마이 비너스 둘 다 미국으로 입양된 역할(...) 아이가 다섯은 부모님이 있기는 한데 떨어져 사는 설정이라 절반 가량이 지났음에도 부모님의 아직 얼굴조차 안나오다가 드디어 40회가 다 되어서야 나왔다. 근데 이번에는 엄마가 [[박해미|이 분]]... 게다가 엄마는 상민과 태민을 차별하며 태민을 편애하는 태도를 보이는 중이다. --이번에도.....?-- [[애타는 로맨스]]에서도 아버지와 사이가 좋지 않은 이혼 가정의 재벌 2세. ~~이 쯤 되면 그냥 팔자인 듯~~
  • 은혼/581화 . . . . 12회 일치
         attachment:가족들.png
         attachment:가족들2.png
         attachment:가족이아니어도.png
         * 코우카는 가족 곁에 있고 싶다고 말하지만 "가족이 아니어도 좋으니 살아 있어 달라"며 고집을 꺾지 않는다
         * 코우카는 그런 모습이 "아버지가 아니게 돼도 가족을 지키겠다"는 우미보즈를 꼭 닮았다며 "너도 가버리는 구나"고 자조한다
         * 이 모습을 외출했다 돌아오던 가구라와 우미보즈가 목격한다. 우미보즈는 모든걸 알고 있었던 듯 "왜 하필 내가 있는 날을 골랐느냐"고 묻는데, 카무이는 "일부러 그랬다"면서 "어머니를 구하려면 가족을 버릴 수밖에 없고 당신을 넘어설 수밖에 없다"며 눈을 번뜩인다
         * 카무이는 "가족을 버리고도 어머니를 구하지 못한 나에겐 그 사람을 넘어서는 것 밖엔 없다"면서 가구라에게 비키라고 소리친다
         "가족 같은 것이 아니어도 괜찮아. 그래도 나는 어머니가 살아있었으면 좋겠어."
         - 카무이. 가족과 함께 있고 싶다는 코우카에게. 이 말은 "아버지가 아니게 되어도 가족을 지킨다"는 우미보즈의 말과 닮았다.
         * 그럴 의도는 아니엇겟지만, 결과적으로 "너희를 낳고 기르기 위해 어머니가 죽는 거다"는 맥락의 말을 하기도 했다. 결국 이게 "가족이야 말로 어머니를 괴롭히고 죽이고 있는 원흉"이라는 것을 깨닫게 하고 말았다.
  • 진격의 거인/94화 . . . . 12회 일치
          * 전사들은 엘디아인 거주구에서 가족들과 제회. [[지크 예거]]는 [[그리샤 예거]]의 부모님, 자신의 조부모와 재회. 아버지와 달리 조부모에겐 정답다.
          * 저녁엔 브라운 일가와 가비의 가족들이 식사를 하며 전쟁 중의 이야기를 나누는데, 라이너가 "가비의 거인 계승은 결정적"이라 말해 모두 기뻐한다.
          * 마레의 전사들은 도시를 가로질러 엘디아인 거주구로 이동했다. 가는 길목마다 마레인들의 탐탁지 않은 시선이 기다리고 있었다. 그리고 진짜 고향인 거주구. 가족들은 벌써 출입통제소 앞까지 마중을 나왔다. 가비와 파르코의 동기 조피아, 우도도 가족의 품으로 돌아간다. 포르코와 피크도 오랜만에 가족과 재회했다. 그리고 전사들의 리더 지크는 [[그리샤 예거]]의 부모, 자신의 조부모에게 돌아왔다. 아버지를 그토록 증오하면서도 조부모에겐 다정하게 얼싸안는다. 조부가 임무를 잘 수행했다고 칭찬하자 지크는 "아직이야"라고 대답한다.
          라이너도 그리운 어머니와 재회했다. 그녀의 이름은 [[카리나 브라운]]. 친척들도 함께다. 가비의 가족들도 브라운 일가와 친척지간이다. 가비가 그녀를 알아보고 반갑게 인사한다. 카리나는 오늘 밤은 파티를 열거라고 말한다.
          * 상봉을 마친 가족들이 집으로 돌아간다. 파르코도 그 행렬에 끼어있었지만 길 가장자리에 또다른 행렬을 발견하고 발걸음을 멈춘다. 엘디아인 부상병들이었다. 코스로라는 병사가 인솔 중이었다. 이들은 전방에서 오랫동안 참호를 파온 병사들이다. 하지만 심각한 부상을 당한데다 심적외상까지 발생했다. 이들은 가족도 돌아갈 곳도 없는 부류여서 곧바로 병원으로 이송된다. 이들의 상태는 한 눈에 봐도 폐인이다. 코스로가 "콰앙!"하고 폭발음을 모사하자 곧바로 패닉상태에 빠진다. 코스로는 그걸 보고 껄껄 웃는다. 파르코는 가족들이 형을 부축해서 먼저 가도록 하고 자신은 남아서 부상병들을 부축한다. 그는 다리 잃은 부상병의 완장을 바르게 채워주면서 꼭 괜찮아질 거라고, 당신은 이제 싸우지 않아도 된다고 위로한다.
          * 라이너의 집에 친척들이 모였다. 저녁 식사 자리에서 가비는 자신이 어떤 식으로 무장열차를 끝장냈는지 무용담을 늘어놓는다. 라이너를 제외한 모든 가족들이 흥분되고 자랑스러운 눈길로 그녀에게 집중한다. 가비의 자랑이 끝나자 카리나가 아들에게 "가비가 다음 전사가 될 수 있을지"를 묻는다. 라이너는 딱딱한 얼굴을 하고 있지만 어머니의 말에 부드럽게 대답한다.
          * 가비는 카리나에게 "전사대가 섬의 악마들로부터 엘디아인을 지킬 거야"라고 안심시킨다. 팔라디섬에 대한 의견은 엘디아인 전반에서 공통적이다. 그들은 마레에서 가르친 대로 섬의 악마들이 언제든 대륙으로 돌아와 모든 걸 멸망시킬 거라고 믿고 있다. 이 식탁에 모인 사람들도 그랬다. 엘디아인이 멸시 당하는 것도 바로 그들 때문이라 생각했다. 화제가 이렇게 돌아가자 자연히 그 섬에서 5년이나 생활했던 라이너에게 화살이 쏠린다. 은연 중에 그 섬에 대해서 묻는데, 가비가 그런 걸 물으면 안 된다며 가족들을 말렸다. 애초에 팔라디섬에 대한 정보는 기밀인데다, 그 지옥 같은 섬에서 잠복했던 경험을 누가 말하고 싶겠냐는 것이다. 가비의 아버지가 조카의 입장을 생각 못했다며 사과하지만, 사실 라이너가 난처한 것은 가비의 발언 쪽이었다.
          가족사로 흐르기 시작한 이야기는 멈추지 않았다. 마레인과 엘디아인의 혼혈은 법으로 금하고 있다. 카리나는 이런 비밀을 왜 아들에게 말하고 있을까? 그리고 왜 그걸 비밀이라고 가르치는 걸까? 그녀에게 엘디아인이 왕가에게 버림받고 자신이 마레인 남편에게 버림받은 것은 모두 한 가지였다. 마레인으로 태어났더라면, 그 말이 어머니의 눈물을 타고 떨어질 때 아들은 독한 결심을 했다. 라이너는 마레의 전사가 되기로 했다.
  • 가족같은 . . . . 11회 일치
         [[가족]]같은 이라는 표현은 두 가지로 변형되어 나타나고 있다.
         [[가족]]이 아닌 집단이 마치 가족처럼 깊은 정서적 유대를 가지게 되어, [[유사가족]]적으로 훈훈한 집단이 되었을 때 쓰인다. 부정적으로 볼 때는 [[가족놀이]]라고 한다.
         이쪽은 "가'''족'''같은" 이라고 발음한다. '가족같은 분위기'를 내세우면서 오히려 구성원에게 피해를 주거나, 희생을 강요하는 잘못된 행동을 하는 집단에게 사용하는 표현이다.
         이러한 사례가 흔히 있다보니, 오히려 '가족같은 분위기입니다.', '가족같은 회사입니다.'라는 소개에 냉소적으로 반응하는 분위기도 나타난다.
         * 회사 동료들이 "가족"임을 강조하면서 [[사생활]]을 과도하게 캐묻는다. 거부하면 "가족끼리 비밀이 어디 있냐?"라면서 강요한다.[http://news.donga.com/3/01/20141005/66965041/1 참조]
         * 가족적인 회사라면서 여직원에게 [[성희롱]]을 지속적으로 시도한다.--[[근친상간]]?--[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409252157255&code=940202 참조]
  • 노 오디너리 패밀리 . . . . 11회 일치
         [[미국]]의 [[드라마]]. [[ABC]]에서 방송했다. 총 20화이며 방송 시기는 2010년에서 2011년. 오디너리 패밀리(Ordinary Family)는 '평범한 가족'이라는 의미로서, No를 붙여서 '평범하지 않은 가족'이라는 의미가 된다.
         의도치않게 [[초능력]]을 얻은 [[가족]]의 [[모험]]이라는 내용으로 단순히 [[빌런]]과의 싸움만이 아닌 가족의 생활과 그 주변인물들과의 일도 묘사되었다.
         가족 히어로라는 점에서 [[판타스틱 포]]를 연상케하는데 의도한 것인지 주연인 짐 파웰을 맡은 마이클 치클리스는 판타스틱 포 실사영화에 출연했다. 이러한 점을 의식한 것인지 국내에서 방송할 때도 제목이 '판타스틱 패밀리'. 방송사인 ABC도 [[마블 코믹스]]와 연관이 있다. 이외에도 가족 히어로라는 공통점 탓에 애니메이션 [[인크레더블]]이 떠오르게 한다.
          * 파웰 가족
          파웰 가족의 가장. [[대머리]]에 뚱뚱한 인남캐이며 미묘하게 고개숙인 가장이다. 직업은 [[경찰]]에서 일하는 몽타쥬 작성관이며, 신체능력이 강화되는 능력을 얻었다.
          파웰 가족의 어머니. 짐과 달리 성공적인 직장에서 근무한다. 능력은 초스피드.
          파웰 가족의 딸. 정신계 능력을 지니고 있다.
          파웰 가족의 아들. 놀라운 두뇌를 얻었다.
  • 정인숙 (1945년) . . . . 11회 일치
         [[1962년]] 신명여고 졸업 후 [[1964년]] [[이화여자대학교]] 영문과에 지원했으나 낙방했다. 이후 [[명지대학교]] 사범대학에 입학했으나 학업에 흥미를 잃고 학교에는 가는둥 마는둥 하다가 중퇴하였다. 뛰어난 미모로 [[미스코리아]] 대회에 나가려고 했으나 가족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ref name="han01">[http://news.hankooki.com/lpage/people/200807/h2008070802511484800.htm <nowiki>[</nowiki>정홍택의 지금은 말할 수 있다<nowiki>]</nowiki> <16>정인숙 사건과 나] 한국일보 2008년 07월 08일자</ref> 아버지의 실직과 대학 낙방은 그의 방황을 부추겼다. 영화배우가 되고 싶은 꿈에 영화감독을 만났으나 1년만에 헤어지고, 임신한 아이는 낙태하였다. 이후 요정에 들어가 요정업에 종사하게 된다.
         [[국무총리]]였던 정일권을 만난 뒤 그와 잠자리를 같이 하게 되는데, 유독 정인숙을 좋아했던 정일권은 그녀의 집에 수시로 출입하다가 주민들의 눈에 목격되어 입에서 입으로 소문이 유포되었다. 그 뒤 그녀가 임신사실을 알리자 정일권은 낙태를 권유하려다가 대신 애를 낳으라고 하였다. 정인숙은 가족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출산하였다.
         그녀는 아이를 낳은 후부터는“내 말 한마디면 안 되는 일 없다”혹은“서교동 집도 아기아빠가 사준 거야” 등의 말을 공공연히 했다. 그러나 주변의 발설에 의해 정일권이 아이의 아버지라는 설이 유포되었고, 이는 [[신민당]] 의원들이 국회와 언론에 언급하면서 알려지게 됐다. 계속된 질문 공세에 가족들은 그 아이가 정인숙의 아이가 아니고 정인숙의 배다른 동생이라고 거짓말을 했다.
         정인숙이 죽던 날 밤 그의 집 안방 아랫목에는 세 살 난 아들 정성일이 자고 있었다. 그녀가 죽은 뒤 언론과 검찰의 집중 질문에 가족들은 아이를 정인숙의 배다른 동생이라고 진술하였다. 그러나 어머니를 일찍 잃은 뒤 세간에서 잊혀졌던 정성일은 지난 [[1991년]] 언론에 모습을 드러냈고, 이후 기업인 등으로 활동하였다.
         == 가족 관계 ==
         [[1989년]] 가석방된 [[정종욱]]은 정성일이 정일권의 아들이 틀림없다고 말한다.<ref name="kum109">김환표 외, 《스캔들에 갇힌 영혼들:시사인물사전 16》 (인물과사상사, 2002) 109페이지</ref> 그에 의하면 '정일권이 한 달에 한 번 꼴로 서교동 집으로 찾아왔지요. 그리고 동생이 '그이가 아들 하나만 낳아달라고 한다'며 상의를 해 처음엔 가족들이 극구 반대를 했지요. 출산 후에는 일 주일에 한번 꼴로 찾아와 성일이를 안고 즐거워했으며, 늘그막에 아들을 얻어 소원을 이뤘다는 뜻에서 성일이란 이름까지 직접 지어왔어요. 성일이도 자기 아빠가 TV에 비치면 '아빠'라고 소리치며 좋아했지요.<ref>임은순, <오빠 정종욱 씨가 밝힌 '정인숙 사건'의 진상>, 경향신문 1991년 01월 16일, 14면</ref>'라는 것이다.
         [[2000년]]대 이후 정성일의 생부가 정일권이라는 견해들이 나오고 있다. [[2007년]] 초 언론의 취재 결과 당시 주변 관계자들의 증언을 통해 숨겨진 사건의 진상이 조금씩 실체를 벗고 있다. 일요신문은 정성일의 판사 납치사건을 취재하는 과정에서 박정희 정권 당시의 여야 국회의원을 찾아다녔고, 이들에 따르면 정 씨의 친아버지는 정일권 전 총리일 가능성이 높으며 정 전 총리는 정 씨 측의 요구로 생전에 적잖은 금전적 도움을 준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정 여인의 살해범은 그 가족들조차 넷째오빠로 확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ref name="ilyo01"/>
         60~70년대 중정에 몸담았던 이 아무개 전 의원은 “정인숙의 둘째오빠와 고교 동창생으로 아주 친한 사이여서 비교적 그 집안 사정을 잘 안다. 선친은 대구부시장을 지낼 정도로 집안이 괜찮았고 형제들도 모두 똑똑했다. 그런데 다른 형제들에 비해 넷째가 변변한 직업이 없었고 그래서 형제들 사이에서 좀 따돌림을 당했던 것 같다. 그런 오빠를 안되게 여겨 정인숙이 운전기사로 자신의 일을 돕게 했다고 한다. 그런데 돈 씀씀이가 헤퍼 형제들은 물론 여동생과도 불화가 잦았다고 한다”고 전했다.<ref name="ilyo01"/> 이 전 의원은 “사고 당시는 물론 지금까지도 친구를 비롯한 그 가족들 모두 넷째오빠를 범인으로 확신하고 있다. 가족들이 그렇게 확신하는데 무슨 다른 의문이 있을 수 있나. 그래서 지금도 넷째는 가족들과 왕래조차 하지 않는다고 한다. 내 친구는 ‘어떻게 우리 집안에 이런 일이 생기나. 오빠가 동생을 돈 때문에 쏴 죽이다니. 정말 집안 망신이다’라며 심하게 자괴했다”고 전했다.<ref name="ilyo01"/>
         [[정성일]]은 자신의 자서전에서 ‘정 전 총리와 만나지는 못했지만 문을 사이에 두고 서로 눈물의 부자상봉을 했으며, 외삼촌 등의 만류로 친아버지의 입장을 생각해 소 취하를 스스로 했다’고 밝혔을 뿐 금전적 요구나 지원 등에 대해서는 일절 언급이 없었다.<ref name="ilyo01"/> [[정종욱]]은 소송 취하 배경에 대해“조카 정씨가 아버지의 존재를 확인했다”며 “그를 살려야 가족이 살 수 있다는 생각으로 소송을 취하했다”고 말한 바 있다.<ref name="ilsa01"/> 소송 취하 배경에 대해 [[2007년]] [[4월]]의 교포사회 한 언론은 보도에서 “정 씨와 사귀던 한 여인이 ‘정 씨가 91년 친자확인소송 취하로 80만 달러를 생부에게 받았다는 것만 들었다’고 전화인터뷰에서 밝혔다”는 진술을 인용해 보도했다.<ref name="ilsa01"/>
  • 토리코/396화 . . . . 11회 일치
          * 139년 전 구르메 빅뱅으로 식재들이 우주로 흩어지고 그 가운데 어떤 신의 가족이 지켜낸 식재가 "별의 풀코스".
          * 하지만 이들 가족도 빅뱅의 위력에 흩어지고 그들의 에너지가 각기 다른 색의 구르메 스페이스를 형성한다.
          * 토리코는 괴물이 태양을 집어삼킨다는 동화의 내용을 언급하며 그게 허무맹랑한 이야기는 아닌 것 같다고 말한다. 구루메 천문연구팀이 연구해본 결과 구르메 빅뱅 직후의 에너지파를 측정하는데 성공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걸 분석해 보니 놀라운 영상이 드러난다. 직경 10광년짜리 "은하"를 밥상처럼 놓고 둘러앉아 있는 가족의 모습이었다.
          구르메 빅뱅의 여파로 우주가 확장되며 가장 끝의 땅에 저장된 식재들이 우주로 뿌려진다. 어떤 가족은 그 가운데서 몇몇 식재를 지켜내는데, 이것이 바로 "별의 풀코스". 지구에서 아카시아의 풀코스라 불린 식재들이다.
          그러나 이 가족들도 빅뱅의 여파에 휩쓸려 뿔뿔히 흩어진다. 시간이 흐르면서 이들의 구루메 에너지가 영향을 미쳐 각자의 취향에 맞춰 흑, 백, 적, 녹, 청의 다섯 색의 우주를 형성한다. 그렇게 되서도 신들은 각 우주의 풀코스를 지키며 언젠가는 풀코스가 그들을 모아줄 거라고 믿고 있다 한다.
          이 가족들의 색이 각 우주의 색이 된 것으로 아버지가 흑, 어머니가 백, 장남이 적, 차남이 녹, 막내가 청색이다. 코마츠는 아카시아의 가족들가 닮았다고 말하는데 실제로 아버지인 아카시아의 구르메 세포의 악마 네오는 "검정" 세포를 가지고 있었다. 어머니 플로제는 "백색"이었을 거라고 추론. 그런 코마츠의 말을 듣자 토리코도 그럼 이치류 회장은 적색이고 지로는 녹색이었을까 하고 생각한다. 하지만 지로에게 구르메 세포의 악마가 있었는지 어땠는지는 추측하지 못한다. 어쨌든 그의 손자인 텟페이의 머리는 녹색인데, 그게 격세유전일지도 모른다고 말한다. 미도라가 청색인지는 모르겠지만 그럴 듯하다고 말하고 참고로 자신의 세 번째 악마는 백색이라고 첨언한다.
         은하에서 밥을 먹던 가족이 아카시아네 가족처럼 보인다. 어쩌면 아카시아네 가족이 미식신의 가족의 환생일수도.
  • 장남교 . . . . 10회 일치
         우선 알아둘어야 할 것은, 이 시기는 기본적으로 개인 단위가 아니라 '가(家)' 단위로 사회구조가 구성되어 있었다. 가는 '호주'와 '가족'으로 구성되며, 호주는 가족에 대해서 통솔권을 가지며 부양 의무를 짊어지고 있었다.
         호주가 가지는 통솔권은 가족의 혼인, 입양에 대해서 동의권, 가족의 입적과 제적에 대한 동의권, 가족의 거소 지정권, 특정한 경우에 가족을 호적에서 배제할 권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시기의 법률에서는 호주의 동의 없이는 결혼을 할 수 없었다. 물론 결혼을 인정받지 못해서 사랑의 도피를 하거나 동반 자살을 하는 사례가 적지 않게 나타났다. 또한 호주는 거소에 대한 지정을 따르지 않은 가족에 대해서 제적할 수 있었다. 설사 그 거소가 자시키로우라고 해도(…). 당시부터 사회적으로 호주의 권리를 남용하는 가장이 적지 않아, 호주의 권리가 남용되므로 제한이 필요하다는 비판이 있을 정도였다.
         따라서 호주는 가족 구성원에 대해서 상당히 강력한 통솔권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이 호주의 권리와 가문의 재산을 가독(家督)이라고 불렀는데 가독의 승계권은 장남이 최우선 되었다.
         법정추정가독상속인의 조건은 일단 호주의 가족으로 직계비속이다. 먼 사람 보다 가까운 사람, 여자보다 남자, 사생아보다 적자, 연소자보다 연장자를 우선하는 규정이 있어 결국 장남이 가장 우선시 된다. 또 여성 적출자보다 인지된 남성 비적출자가 우선된다.
         그 다음 순위는 '지정가독상속인'이라 하여 호주가 생전, 또는 유언에 의하여 지정한 사람, 1순위와 2순위가 없으면 호주의 부모나 친족회 등이 같은 호적 내의 가족 가운데 지정을 한 사람이 승계한다. 대충 이렇게 된다.
  • 현이와 덕이 . . . . 10회 일치
         * 2014년 7월 <[[MBN]] [[TV]] [[아궁이]]> - 파란만장 가족사 ; 현이와 덕이
         * 2015년 1월 27일 <[[KBS]] [[TV]]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 가족은 즐겁다 편 : [[EXID]] - 장현 작사 · 장덕 작곡 · 현이와 덕이 노래 <너나 좋아해 나너 좋아해> [[리메이크]]
         | 가족 = 오빠 [[장현 (1955년)|장현]], 아버지 장규상, 어머니 이숙희
         장덕이 [[서울흥인초등학교]] 2학년이 되던 해(1969년) 부모님은 종교적, 그리고 성격적 불화로 인하여 이혼하게 된다. 이후 장덕은 고모 집에, [[장현]]은 아버지의 친구집에 맡겨지고, 아버지는 첼로 하나만을 메고 지방공연을 떠나 가족은 뿔뿔이 흩어지게 된다.
         1979년 1월 그녀의 어머니는 미군과 결혼하며 [[미국]]으로 [[이민]]을 가게 된다. 어머니는 장현 · 장덕을 불러 유학을 시키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떠나면서 어머니는 덕이가 고등학교를 졸업하면 부르겠다고 말한다. 하지만 장덕은 가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며 장현은 이미 천인실과 결혼을 하였고 임신 6개월이 지나 곧 아이를 낳게 된다고 실토한다. 어머니는 장현과 천인실의 관계를 예전부터 이미 알고는 있었지만 결혼한 사실에 실망하게 된다. 어머니는 장현이 가수로서 성공하고 부양능력이 생겼을 때 결혼하기를 바라고 있었고 수차 그것을 장현에게 말해 왔었기 때문이다. 6월 제2회 [[MBC]] [[MBC 서울국제가요제|서울국제가요제]]에서 박경희가 부른 <사랑이었네>가 가야금상을 수상하며 장덕은 [[작사]]/[[작곡가]]로서 3년연속 [[MBC 서울국제가요제|서울국제가요제]]에서 입상하는 기록을 세운다. 같은 달 장덕은 지구레코드와 계약하며 솔로 데뷔음반 《첫사랑》을 발표한다. 이 음반은 타이틀곡 <첫사랑>을 비롯 <나도 그래>, <웃어봐요> 등 신곡 4곡과 현이와 덕이의 1집 수록곡들을 다시 수록한 컴필레이션 음반이다. 그 해 10월 장덕은 오빠 [[장현]]의 집에서 나와 월세방을 구해 혼자 살게 되는데, 이 때 외로움을 이기지 못해 동맥을 끊고 또다시 자살을 기도한다. 이 사건 이후 장덕은 오빠 · 아버지 가족과 함께 한 집에서 살게 된다. 그해 초 미군과 결혼하며 [[미국]]으로 [[이민]]가 살고 있던 그녀의 친어머니는 이 시기 장덕의 자살 소동을 모르고 있었다.
         === 1980-83 : 유학생활, 결혼, 가족밴드 리 패밀리 결성 ===
         1980년 5월 제3회 [[MBC]] [[MBC 서울국제가요제|서울국제가요제]]에서 [[최병걸 (가수)|최병걸]]의 <[[사랑은 떠나도 (노래)|사랑은 떠나도]]>가 입상하며 장덕은 작사/작곡가로서 4년 연속 입상하는 기록을 세운다(이것은 확실하지 않다. 1977년 · 1978년 · 1979년 3년 연속 입상한 사실은 맞지만 서울국제가요제 관련 정보를 찾아봐도 1980년 입상한 기록은 없다.). 6월 그녀는 타이틀곡 <순정>을 비롯 <진실한 사랑이라면>, <만날 수 없는 사람> 등 신곡 5곡과 현이와 덕이 정규 1집, 그리고 그녀의 첫 컴필레이션 음반 《[[첫사랑 (장덕의 음반)|첫사랑]]》의 수록곡들 중 몇 곡을 골라 그대로 수록한 컴필레이션 음반 《순정》을 발표한다. 10월 미군과 결혼하며 [[미국]]으로 [[이민]]가 살고 있던 그녀의 친어머니는 한국식품점에 갔다가 우연히 1년이 지난 1979년 9월 9일자 선데이서울 주간지를 통해 장덕의 자살 소송 기사를 접하게 된다. 어머니는 충격을 받고 장덕을 간곡히 불렀고 장덕은 아무 반응이 없다가 결국 어머니가 결혼해 살고 있는 테네시 주의 [[내쉬빌]]로 들어가게 된다. [[내쉬빌]]은 컨트리 뮤직의 메카로 일컬어지는 곳으로 장덕은 이 곳에서 벨몬트 칼리지 음악과에 입학, 대학 생활을 시작하게 된다(어머니는 오빠 장현 또한 불러서 대학 공부를 시키려 했지만 설득시키지 못했다.). 12월 내쉬빌 한인회가 주최하는 송년파티가 있었다. 장덕과 어머니도 참석했는데, 한인회 회장이 찾아와 장덕에게 밴드를 도와 달라고 한다. 한인사회에는 밴드가 딱 하나 있었는데, 형제들이 조직하여 만든 가족밴드 리 패밀리였다. 실력들이 부족했기에 장덕에게 부탁을 한 것이었다. 장덕은 처음엔 거절했지만 어머니가 금년만 해 보라고 해서 결국은 승낙을 한다. 이후 장덕은 형제들 중 한명인 이승언이라는 남자와 점점 가까워 지게 된다.
         1983년 10월 이혼을 하게 된 장덕은 가수 생활의 추억, 그리고 아버지 · 오빠 · 친구에 대한 그리움 등으로 고국에 대한 향수병에 걸려서 어머니에게 말 한마디도 하지 않은 채 메모 한장만을 남기고 한국으로 귀국해 한남동에서 자취생활을 시작한다. <ref>[http://www.mbn.co.kr/pages/vod/programContents.php?progCode=613&menuCode=3439 아궁이 65회 - 파란만장 가족사] "MBN 2014년 7월 11일 방송 참조"</ref> 그리고 한달 뒤(11월) 그녀는 어렵게 서라벌레코드와 3년간 1000만원이라는 금액에 전속계약을 맺고(그녀는 오랫동안 공백을 가진 스타였기 때문에 좋은 조건으로는 계약이 쉽지 않았다.) 타이틀곡 <날 찾지 말아요>를 비롯 <안녕히 계세요>, <가을에 만난 소녀>, <철없는 안녕> 등의 곡들이 수록된 정규 1집 《[[날 찾지 말아요]]》를 발표한다. 그리고 이 앨범에서 <날 찾지 말아요>가 발표한 지 6달 만에 PCI(인기가요순위 조사연구소) 집계 한 달(1984년 5월) 동안 방송을 가장 많이 탄 노래 부문 3까지 오른다. 많은 방송활동을 하지 않는 장덕으로서는 좋은 결과였다. 하지만 그녀 본인이 당시 방송을 꺼려한 탓인 지는 몰라도 방송을 가장 많이 탄 가수 부문에서는 순위에 오르지 못하게 된다. 이사이(1984년 2월) 장덕은 새 음반을 내는 자매듀엣 국보자매에게 <백치미>, <사랑하고 있나봐요>를 작사/작곡하여 주기도 한다. 그리고 국보자매는 현이와 덕이, 그리고 장덕에 의해 각각 발표된 바 있는 <끝없는 마음이야>, <첫사랑>까지도 리메이크 하여 자신들의 새 음반에 수록한다.
         * 2014년 7월 <[[MBN]] [[TV]] [[아궁이]]> - 파란만장 가족사 ; 현이와 덕이
         * 2015년 1월 27일 <[[KBS]] [[TV]]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 가족은 즐겁다 편 : [[EXID]] - 장현 작사 · 장덕 작곡 · 현이와 덕이 노래 <너나 좋아해 나너 좋아해> [[리메이크]]
  • 이유리(배우) . . . . 9회 일치
         ||<:><bgcolor=#353535>'''{{{#white 가족}}}'''||<(> 부모님, 1남 3녀 중 막내[br]배우자 조계현[* [[KIA 타이거즈]] [[단장]] [[조계현]]과는 [[동명이인]]일 뿐이며, [[교회]] [[목사]]이다.] ||
         이 후 2004년 [[김수현(작가)|김수현]] 작가가 집필한 KBS 드라마 《부모님전상서》에서 '안성미'역으로 분한다. 김수현 작가의 가족 드라마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다복하고 바람잘날 없는 대가족의 막내딸로 현실의 문제를 대변하는 젊은이로 나왔다. 이때부터 소위 '김수현 사단'이라 불리며 김수현 작가와 인연을 맺게 된다.이 후 청춘스타에서 벗어나 한층 성숙한 이미지로 다양한 캐릭터를 연기하며 연기폭을 넓히기도 했지만 김수현 작가의 드라마가 트렌디함과는 거리가 멀기 때문에 이후 너무 이른 나이에 중장년층에게 어필하는 이미지가 고착된 것이 아니냐는 평도 있었다. 이유리는 이에 대해 후일 "《부모님전상서》 부터 같이 해서 그런지 기자 분들이 김수현 사단이라고 저를 부르는데 저는 그렇게 생각 안 한다. 제게 기회를 많이 주신 분이고 연기를 통해 배워갈 수 있게끔 해 준 연기사관학교라는 생각이 든다. 한 연기자가 한 작가로 인해 이렇게 많은 기회와 폭을 넓힐 수 있다는 게 행운아 같다."며 생각을 밝혔다.
         2006년 [[김수현(작가)|김수현]] 작가가 1987년 76%의 높은 시청률로 대히트했던 동명의 드라마를 19년만에 리메이크 한 작품인 SBS 드라마 《[[사랑과 야망]]》에서 막내딸 '박선희'역[* 87년 원작에서는 [[임예진]]이 맡았다.]으로 열연했다. 이유리에게 큰 영향을 미친 작품으로 극 중 소아마비로 인해 한쪽 다리를 저는 선희역을 소화하기 위해 평소에도 다리를 직접 끈으로 묶어 다니면서 연습했으며 3회의 눈밭에서 다리를 절며 돌아가신 아버지를 부르짖는 장면은 명장면으로 꼽힌다. 한 가족의 대서사시를 그린 작품이기에 극 중 이유리는 81회 동안 10대부터 60대까지 한 인물의 생을 넓게 표현했으며 몸은 불편하지만 심성은 누구보다 고운 선희를 잘 표현했다는 평을 받았다.
         2008년 KBS 주말드라마 《[[엄마가 뿔났다]]》 로 또 한번 [[김수현(작가)|김수현]] 작가의 드라마의 대가족 막내딸로 출연한다. 극 중 이유리는 '한자([[김혜자]])와 '일석([[백일섭]])'의 막내딸로 대기업 홍보팀에 다니는 야무지고 심성 착한 막내딸로 부모님 속 한번 크게 썩인적 없는 평탄한 삶을 살아왔으나 가난한 대학원생인줄 알았던 '정현([[기태영]])'과 결혼을 결심하고 그 과정에서 정현이 자신이 다니는 회사 사장의 아들이라는 것을 알게 되면서 경제력 차이가 큰 집안간의 결혼과정에서 한 번, 결혼 후 우아한체 하나 속물적이고 이중적인 시어머니 '은아([[장미희]])'때문에 또 한번 속앓이 하는 '나영미'역으로 열연했다.
         같은 해 MBC 일일드라마 《사랑해, 울지마》 에서 [[이정진]]과 함께 데뷔 후 처음으로 대가족의 막내딸 혹은 주인공을 괴롭히는 악역에서 탈피해 주연으로 작품의 전면에 등장하게 된다. 극 중 출생의 비밀의 밝혀지기도 하고 결혼 과정에서 파혼을 겪으며 다사다난한 일을 겪는 '조미수'역을 맡았다. 여담으로 이 드라마의 작가 박정란 작가에게 김수현 작가가 적극적으로 이유리를 추천해 출연이 성사 됐다고 한다.
         2017년 주말드라마 《[[아버지가 이상해]]》에서는 시크하고 도도하지만 허당끼도 매우 심한 변호사 '변혜영' 역을 맡아, 연인 '정환([[류수영]])'과 치고 받고 시어머니와의 갈등을 슬기롭게 헤쳐나가는 등 할말은 하고 자신이 가지려는 것을 적극적으로 쟁취하는 대가족의 장녀 역할을 유쾌하게 연기하여 기존 이미지에서 벗어나 매력있고 귀여운 캐릭터를 표현하는 데 성공하였다. 결국 예전의 악녀 이미지에서 사이다녀, 대세녀 이미지로 탈바꿈하여 독보적인 캐릭터 구축에 성공한 것이다. 이후 여러 광고를 찍는 수확을 거두며 아버지가 이상해의 최대 수혜자로 거듭났다. 열연을 인정받아 [[KBS 연기대상]]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며 한 단계 도약했다.
          * 데뷔초부터 활발하게 주조연으로 활동했기에 여러 작품에서 만난 인연이 깊은 배우들이 있다. 특히 [[이동욱]]이 대표적이다. 우선 학교 시리즈의 선후배 사이이며 《사랑은 이런거야》, 《러빙유》, 《부모님전상서》 총 세 작품을 함께 했다. 《사랑은 이런거야》에서는 이유리와 이동욱이 각각 재수생과 영화감독 지망생으로 나와 커플연기를 펼쳤는데 그로부터 1년 후, 《러빙유》에서 재회했다. 초반에 이동욱이 이유리를 좋아했지만 회차가 지날수록 악녀본색을 내뿜는 이유리의 실체를 밝히는데 기여한다. 그 후 가장 마지막으로 만난 작품이 《부모님전상서》. 김수현 작가의 작품답게 대가족이 나오는 이 드라마에서 이동욱과 이유리는 4남매 중 각각 3호와 4호를 맡았다. 전작들보다 극중 상황이 더 나빠져 보기만 해도 으르렁거리는 현실 남매 연기를 보여주었다.
          * 이유리의 형제관계는 4남매 중 막내로 큰 언니, 오빠, 작은 언니 그리고 이유리가 셋째 딸이다. 이와 비슷한 사람은 [[이효리]]가 대표적[* 공교롭게도 이효리의 둘째언니 이름은 이유리 본인의 이름과 동명이인이었다]. 가족의 막내딸이라 곱게만 자랐을 것만 같지만 이유리는 어릴 때부터 무거운 것도 많이 들고 그랬다며 지나가듯 푸념하면서 식구가 많아 어릴 때 [[짜장면]] 같은 걸 시키면 항상 뒷전으로 밀려나 식탐이 늘었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리고 [[아버지가 이상해]]에도 이러한 형제관계였다. 허나 실제로 이유리는 1남 3녀 중 막내이고, 극중 변혜영은 1남 3녀 중 장녀이며, 둘째이다. 이유리 실제 형제의 맏이는 여자고, 극중 맏이는 남자라는 것이 차이점.] 10년 전 방송 '좋은 아침'을 통해 작은 언니의 얼굴이 잠시 비춰졌는데 막내 못지않은 미모의 소유자이다. 당시 언니는 성경책을 보고있는 동생 이유리에게 "지금 니가 대본을 봐도 모자랄 판에 성경책을 보냐"며 일침을 가했다고 한다. 이유리가 '만원의 행복'에 출연당시 부모님이 등장했는데 부모님과는 반반씩 얼굴이 닮은 듯하다. 이때 부모님께 사랑한다고 처음 말해본다며 눈물을 글썽이는 모습을 보였다.
  • 판타스틱 포 . . . . 9회 일치
         '''Marvel's First Family'''[* 마블에서 밀어주는 공식 별명으로 마블에서 가장 대우받는 가족(퍼스트 패밀리는 주로 대통령의 가족등, 사회적으로 가장 높은 지위에 있는 가족들에게 붙여주는 별칭이다)이자 마블 최초로 가족같은 모습을 보여주었다는 이중의 의미가 있다]
         때에 따라 구성원이 다르지만 기본적으로는 4명의 후천적 초인- 리드 리처즈([[미스터 판타스틱]]), 수전 스톰([[인비저블 우먼]], 후에 리드와 결혼하여 수전 리처즈가 된다.), 조니 스톰([[휴먼 토치]] II), 벤 그림([[씽(마블 코믹스)|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나의 가족과도 같은 4명의 인물들의 인간 군상과 가족 드라마를 주제로 한다.
         당시 리는 코믹스 업계가 너무 갑갑하다고 느낀 나머지 전직을 생각하던 중이었고, 결국 이 작품 하나만 마무리짓고 마블을 떠나기로 마음 먹은 상태였다. 리는 [[잭 커비]]와 함께 머리를 짜낸 끝에, '진짜 가족은 아니지만 가족이나 다름없는 4명의 평범한 인간들이 우연히 [[초능력]]을 얻은 뒤 한 팀을 이루어 적과 싸운다'는 취지의 신작을 창안했다. 이 작품의 주인공들은 이전의 코믹스에서 활약하던 히어로들과는 달리 매우 세속적이고 약점투성이라서 오히려 인간적인 매력을 느끼게 했다. 당시 어린 독자들은 그런 모습을 보고 [[현실적]]이라고 느꼈다고 한다. 그 뒤 《판타스틱 포》라는 제목으로 발표된 이 시리즈는 예상치 못한 대성공을 거두고 마블 코믹스의 전성기를 열어젖히기까지 했을 뿐만 아니라, 스탠 리가 그 뒤로도 이 업계에 남아 [[스파이더맨]]을 비롯한 수많은 캐릭터들을 배출하는 계기를 만들어주었다. 단순 마블 코믹스뿐 아니라 다른 코믹스에서도 세속적이고 인간적인 캐릭터를 만들어내는 데 집중하였다.
         그 전에도 [[네이머]]나 [[캡틴 아메리카]] 등의 [[슈퍼히어로]] 캐릭터들이 마블 코믹스에 있었지만, 《판타스틱 포》는 마블 코믹스의 고유의 특징을 처음으로 보인 작품이었다. 바로 '''완벽하지 않은 영웅들'''이라는 요소였다. 늘상 서로 다투기도 하고 협력도 잘 안되지만 결국 서로를 [[가족]]처럼 사랑한다는 구성은 그 당시 혁명적인 요소였다. 판타스틱 포의 구성원들은 별거 아닌 이유로 싸우고 원한을 품기도 하며 그러면서도 결국 화해하는 인간 드라마를 보여준다.
  • 박명수(MC) . . . . 8회 일치
         정신감정 특집에서는 1000만원만 빌려달라는 유재석의 말에 '너한테는 2억까지 빌려줄 수 있어.'라고 화답했다. ~~조공으로 유지하는 관계~~ 사실 만일의 경우에도 [[나경은]]의 월급과 퇴직금을 압류하면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그 정도는 괜찮다고 한다. --그리고 박명수 가족은 다 함께 밤 10시에 부대찌개를 먹으러갔다--
         가족 관계로는 어머니와 아버지가 계시며 남동생이 하나 더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현재에도 양친 모두 건강하시다. 참고로 어머니의 성함은 '신갑순'이시라고. 결혼 당시 나이가 19세로 굉장히 젊은 나이에 결혼하여 박명수를 낳았는데, 박명수는 "그 시절은 원래 그랬다. 할 거 없어서 결혼 그냥 빨리 했다"라고 말했다(...). 어시장에서 넘어져 크게 다쳐 주변을 피로 물들여 '''어시장 피바다'''라는 이명을 가지고 계시다.(...)
         아버지의 성함은 '박선호'이며 군산 몽키스패너라 불렸지만 해병대에게 다굴맞은 치욕의 패배[* 무한도전 여름방학특집에서 옛날에 해병대원들에게 5대1로 다굴 당했다고 박명수가 직접 증언했다. ~~안습~~]를 당해 해병대에는 약하시다고 한다. 또 방송에서 유재석이 박명수의 아버지가 8시뉴스 객장에 나오셨다고 말하였고 그 장면을 네티즌들이 찾아내면서 화제가 되었다. 동생의 이름은 박형수. 이름 때문에 종종 오해를 사는데, 어느 날은 집에 전화해서 얘기하다가 "형수 아직 안들어왔어? 아 형수 걔 왜그래? 언제 좀 맞아야겠네" 막 이런 얘기를 하고 끊었는데, 옆에서 듣고 있던 [[최양락]]이 "아무리 콩가루라도 형수에게 그러면 되냐?"라면서 박명수를 혼냈다가 동생 이름이 형수라는걸 알고는 빵 터졌다고 한다. ~~[[케이윌]] 가족들도 이런 에피소드가 있을 법도 할 텐데?~~
         이후 TV조선 [[아내의 맛]]의 MC로 2주동안 가족들의 모습을 방송하여 다시 한번 부부애를 선보였는데 아내의 부적절한 행동이 도마위에 올라 다시한번 아내 출연에 대한 불똥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요새는 가족리얼예능도 유행이기 때문에 방송국 예능팀에서 섭외할 경우에 지목된 연예인인 경우 배우자가 일반인 경우엔 당사자의 동의나 혹은 불이익을 감수하더라도 출연을 자제하는게 원칙이다.
         치킨집 사장 시절 직접 배달하는 박명수.[* 2008년도에 방송된 무한도전 경주특집에서 박명수가 이동수단 확보를 위해 근처 오토바이 가게에 스쿠터를 빌리러 가는 장면이 있는데, 주인 아저씨가 오토바이 타실줄 아냐고 묻자 '그럼요. 배달을 얼마나 많이 해봤는데.'라고 답한 적이 있다.] 박명수가 직접 오는 바람에 깜짝 놀란 손님이 한둘이 아니라고 한다. 치킨집 사업이 방송에 한창 알려진 후에는 해당 업소에 박명수 본인을 볼 기회는 거의 없었다. 가게는 항상 지인이나 가족이 운영하였기 때문이다. 정작 여의도 주민들은 박명수의 유명세에 흥미를 갖기 보다는 그냥 동네 작은 치킨호프집 정도로 여겼다.
          * [[용감한 가족]](KBS2)
          * 연쇄쇼핑가족(JTBC)
  • 블랙 클로버/99화 . . . . 8회 일치
         [[블랙 클로버]] 페이지 99. '''가족'''
          * 마녀왕은 바네사가 자신의 딸이며 "가족"이니 당연히 자신의 것이라며 소유물취급한다.
          * 바네사는 진짜 가족은 검은 폭우 단원들이라며 마녀왕에게 저항하기 시작, 실 마법의 진정한 힘에 눈뜨고 "운명의 붉은 실"의 힘을 사용한다.
          >너는 내 딸이야... 너는 내 가족이야...
          * 유년시절의 바네사는 정말로 새장에 갖힌 생활을 하고 있었다. 여왕은 그녀의 실마법이 "언젠가는 운명을 다루는 힘"을 갖게 된다는 점괘를 믿고 그녀를 감금했다. 바네사는 자신이 그런 힘을 가질리 없다고 생각하며 바깥에서 자유롭게 살아가는 마녀들을 동경했지만 여왕은 그녀를 꺼내주지 않았다. 여왕은 바네사가 운명을 다루는 힘에 각성할 때까지 풀어주지 않을 것이며 자신의 가족이니 자신이 운명을 정해주는 거라고 공언하고 다녔다.
         >내 가족은 당신 따위가 아냐!
          * 바네사는 마녀왕의 "내 가족"이란 말에 반박한다. 그리고 그녀의 "진짜 가족"이 사라지려는 모습을 바라본다. 이들이 사라진 이후의 모습도. 바네사는 이걸 멈추지 못할 바엔 무엇 때문에 자신이 존재하는 거냐고 자문한다. 그리고 그녀를 평생 옭아맸던, 여왕이 그토록 바라던 "운명을 다루는 힘"이 있다면 지금 당장 나와주기를 바란다.
  • 수애 . . . . 8회 일치
         영화에서는 2004년 영화 《[[가족 (2004년 영화)|가족]]》으로 스크린에 데뷔하였고, 2008년 영화 《[[님은 먼 곳에 (영화)|님은 먼 곳에]]》에서 [[베트남 전쟁]]에 파병 간 남편([[엄태웅]] 분)을 찾으러 간 순이 역을 연기하여 대종상, 영평상, 부일영화상, 황금촬영상 여우주연상을, 2010년 작품 [[심야의 FM]]으로 청룡영화상, 대한민국대학영화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영화 [[가족 (2004년 영화)|가족]]에서 배우 [[주현]]과 함께 출연
         | 《[[가족 (2004년 영화)|가족]]》
         | rowspan="8" | 《[[가족 (2004년 영화)|가족]]》
  • 진격의 거인/97화 . . . . 8회 일치
          * 그 병사는 기억 상실을 핑계로 대고 수용구에 남아 있었지만, 사실 가족들에게 돌아가기 껄끄러워 그렇게 속이고 있던 것. 팔코는 그 사실을 숨겨 주기로 한다.
          * 파르코는 상이병사와 친구가 되어 그를 "크루거"라고 부르게 된다. 크루거는 파르코에게 수용구 바깥에서 가족에게 보내는 편지를 보내달라고 하는데.
          * 단지 가족에게 "자신이 무사히 여기에 있다"고 알리고 싶다는 크루거. 파르코는 알 수 없었지만 그의 얼굴은 분명 에렌 예거였다.
          그의 병명은 기억상실이었다. 하지만 그건 거짓말. 단지 집으로 돌아가고 싶지 않아서 둘러대는 말이었다. 지금은 가족하고 얼굴을 마주보기 껄끄럽다, 그가 그렇게 말하는 동안 파르코는 그의 잘려나간 왼발을 바라봤다. 무슨 뜻인지 알 수 있었다. 병사가 병원에 이걸 말할 거냐고 묻자 파르코는 전혀 아니라고 대답했다. 다시 대화가 끊겼다.
          * 타이버가 끌고온 그의 일가족은 군의 응접실을 자기집 거실처럼 이용하고 있었다. 어린 것들이 배워먹지 못한 짐승들처럼 싸우고 엉겨붙고 지저분하게 먹어대고 있었다. 그런 꼬마들이 넷. 그보다 조금 나이를 먹은 소녀도 있었다. 싸움이 붙은 둘을 뜯어말리는데 애를 먹었다. 그 소녀 외에는 아무도 이 어린 난동꾼들을 제지하지 않았다. 고용인으로 보이는 여자가 둘. 한 명은 방의 구석에, 한 명은 가운데에 있었다. 가운데에 있는 쪽은 나이를 좀 먹은 듯 했으며 마가트를 바라보고 있었다. 그 외에는 그대로 죽은게 아닌가 싶은 노부부 한 쌍. 이상이 빌리가 소개한 자신의 일가족이다.
          * 그리고 같은 시각. 빌리가 경계한 팔라디섬의 불온한 움직임은 진행 중이었다. 파르코의 손에서. 그는 편지를 수용구 바깥의 우체통에 넣었다. "크루거"의 편지였다. 그 병사가 자신을 그렇게 밝혔다. 크루거가 편지를 부탁했다. 하지만 수용구 안에서 오가는 편지는 모두 내용을 검열 당한다. 그는 꾀병이란걸 들키기 싫으니 이 편지를 수용구 바깥에서 부쳐달라고 부탁했다. 수취인은 그의 가족.
          >내가 여기 무사하게 있다고 가족에게 전하고 싶을 뿐이야.
  • 킹덤/507화 . . . . 8회 일치
          * 창인 형제가 조가족과 함께 사격 부대에 합류한다. 이미 조가족은 성벽에서 적당히 떨어진 지점에 진을 펼치고 사격 준비를 마쳤다. 원각과 이귀는 부대사격 요령을 알려준다. 우선 사격을 하면 지면에 거치한 방패에 몸을 숨기고 적의 응사를 막는다. 물론 원각과 이귀가 추가로 방패막이를 해줄 것이다. 화살은 원각과 이귀가 그때그때 확인해 추가하도록 할 것이고 나머지는 조가족이 쏘는 시기에 맞추면 된다.
          * 조가족의 사격이 시작된다. 성벽으로 다가오는 적을 막는데 급급한 열미군은 갑작스럽게 날아온 화살을 맞고 성벽 아래로 떨어진다. 성벽 위의 저항이 줄어들자 산민족은 새로운 사다리를 추가로 걸며 공성의 강도를 높여간다. 물론 열미군도 이 사다리를 향해 공격을 가하려 하지만 그때마다 조가족의 화살이 한 발 빠르다. 성벽은 슬슬 화살에 맞아 죽는 인원이 늘어난다.
          * 그때 열미군의 이목이 조가족 쪽으로 향한다. 상급 궁병들은 여전히 사다리를 저격하고 있지만 조가족의 엄호를 허트러뜨리기 위해 일부러 이쪽을 노리는 것이다. 갑자기 쏟아지는 응사에 창인, 창담은 방패 밑으로 숨는다. 창인은 동생에게 화살비 속에서 사다리를 오르고 있는 아군을 보여준다. 자기들이 망설이는 동안 아군이 저렇게 죽어가고 있다며 그걸 막는게 지금은 전부라고 말한다.
          * 각오를 다진 창인은 신들린 것처럼 적을 맞춘다. 화살 한 발에 적 하나. 심지어 지휘관만을 골라서 노리고 있다. 지휘관이 셋이나 화살 한 방에 가버리자 열미군도 저격수의 존재를 눈채지만 늦었다. 벌써 벽 위의 지휘관들이 줄줄이 죽어나갔다. 성벽 위는 혼란에 빠지고 일단은 조가족 쪽을 향해 응사를 해본다. 그렇지만 워낙에 빠르고 정확한 창인의 솜씨 덕에 성벽 위로 몸을 드러내는 것도 힘들다. 응사를 위해 잠깐 일어서기만 해도 화살이 어김없이 날아와 꽂힌다.
  • 황정민(남자배우) . . . . 8회 일치
         ||<#6495ed> {{{#white '''가족'''}}} ||배우자 [[김미혜]][* 뮤지컬 배우로 활동했으며, 현재는 뮤지컬제작자로 샘컴퍼니 대표를 맡고 있다], 동생 황상준, 아들 황서현 ||
         [[송강호]]에 앞서 영화 《바람난 가족》에서 성기노출을 감행한 [[용자]]이며, [[아수라(영화)|아수라]]에서도 노출을 감행하면서 연기를 위해서 어떠한 장면이라도 연기할 수 있다는 인터뷰를 했다. 하지만 결혼 후 아들을 낳으면서 영화 시나리오에 아동 학대나, 베드신 등이 있으면 아무리 좋아도 거절한다고 한다.[* 영화 바람난 가족에서 아내 문소리를 때리는 장면에서 정말 힘들었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 《[[히말라야(영화)|히말라야]]》 촬영 당시에 《[[국제시장(영화)|국제시장]]》이 천만을 넘겨서 축하파티로 《히말라야》 스태프들과 배우들에게 회식을 쐈다고 한다.[* 현장토크쇼 TAXI 인터뷰와 해피투게더에서 언급이 되었다.] 영월에 있는 제일 비싼 고기집에서 파티를 했다는데 무려 1200만원 정도의 금액이 나왔다고 한다.[* 여담으로, 회식 초대할 때 가족들까지 데리고 와도 괜찮다고 했다. 그래서 --곧이곧대로 믿은-- [[김원해]] 는 가족들 모두 데리고 참석했지만 정작 가족들까지 참석한 건 자기뿐이었다고...]
          * 평소 아들 바보와 애처가로 유명하다. 결혼하고 아들을 낳은 후에 영화 시나리오에 아동 학대나, 베드신 등이 있으면 아무리 좋아도 거절한다고 한다. 영화 바람난 가족에서 아내 [[문소리]]를 때리는 장면에서 정말 힘들었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2003||<:>[[바람난 가족]]||주영작||주연||174만명||성공||
  • 김재규 . . . . 7회 일치
         김재규는 [[차지철]]과의 갈등 이전에도 유신의 방향에 대해서 회의적인 입장을 자주 내비쳤고, [[장준하]] 등의 민주화 운동 인물들을 비밀리에 도우면서 관련 가족들에게 경제적 지원을 하기도 했으며, [[김수환]] 스테파노 [[추기경]]에게 박정희를 '환자'로 비유하는 등의 모습을 보였고, 법정에서도 시종일관 의연한 자세를 보이며 사형 선고를 두려워하지 않고 자신의 논리를 논리정연하게 설명하는 자세를 보았을 때 단순히 차지철과의 갈등으로 인한 우발적인 권력 싸움은 아니라는 주장이 있다. 결정적으로 그가 극단적인 선택을 결단했던 건 부마민주항쟁에 대한 대응책 방향이었는데, 박정희와 차지철은 강압적인 진압을 요구했으나 김재규는 반대 의사를 표명했고, 결국 이것이 10.26이라는 도화선으로 일어났다는 주장이다.
         [[김수환]] [[추기경]]은 김재규가 박정희를 저격한 것을 "더 큰 희생을 막은 정의로운 행동"이라고 표현하였다. 또한 10.26 재판 때 인권변호사들에게 김재규의 변론을 부탁하기도 하였고, 훗날 김재규와 그 부하의 가족들이 구명탄원을 위해 김 추기경을 찾아갔을 때 이들을 따뜻하게 위로해 주었다고 한다.[[http://v.media.daum.net/v/20161125101156286|#]]
         그리고 8:6으로 내란목적 살인죄가 적용되 사형판결을 받는다. [[http://glaw.scourt.go.kr/wsjo/panre/sjo100.do?contId=2173227&q=80%EB%8F%84306&nq=&w=yegu§ion=yegu_tot&subw=&subsection=&subId=&csq=&groups=&category=&outmax=1&msort=&onlycount=&sp=&d1=&d2=&d3=&d4=&d5=&pg=0&p1=&p2=01&p3=&p4=&p5=&p6=&p7=&p8=&p9=&p10=&p11=&p12=&sysCd=&tabGbnCd=&saNo=&joNo=&lawNm=&hanjaYn=N&userSrchHistNo=&poption=&srch=&range=&daewbyn=N&smpryn=N&tabId=|80도306]][* 민문기, 양병호, 임항준, 김윤행, 정태원, 서윤홍 이렇게 6명은 그냥 살인이라고 소수의견을 냈다. 적극적인 의견을 개진하지 않은 정태원 대법관을 제외한 나머지 5명은 고초를 겪다가 사표를 써야했다. 특히 양병호 대법관은 서빙고문실로 끌려가 고문까지 받았다. 그 당시 법원행정처장 서일교가 당시 이영섭 대법원장에게 대법원장이 사표를 수리해 주셔야만 양병호가 풀려날 수 있다면서 친필 사표를 내밀었고 결국 사표를 수리할 수 밖에 없었다. 그 후 한 시간 정도만에 양병호 판사가 대법원장실에 나타났고 양병호는 정말 아무 일도 없었다면서 커피를 마셨지만 커피가 입으로 들어가지 않고 가슴과 와이셔츠를 적시는데도 그것을 모른 채, 정신나간 사람처럼 눈에 초점이 풀려있었다고...] 사형 판결을 받은 김재규는 1980년 5월 24일에 [[교수형]]으로 숨진다. 사형집행일 김재규는 아침을 먹지 않고 냉수마찰을 한 뒤 새 옷으로 갈아입고 길을 나섰는데, 이는 이승에 남기고 갈 마지막 흔적을 더럽히지 않기 위함이였다고 한다.[[http://www2.donga.com/docs/magazine/new_donga/9810/nd98100020.html|#]] 당시 교도관의 증언에 의하면 김재규는 사형집행 직전까지 목숨을 구걸하지 않고 의연한 모습을 보였으며 "남길 말이 있으면 하라"는 참관 검사의 말에 아무런 말을 하지 않은 채 조용히 죽음을 받아들였다고 한다. 이때가 향년 54세. [[http://blog.naver.com/aa6753/220795466265|사형 집행 장면]] 그 비극은 김재규의 남은 가족들에게도 이어져, 부인 김영희와 동생 김항규는 무자비한 고문을 당하고 재산까지 빼앗기는 비극을 당했으며 '3족을 멸한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주변인들 역시 갖은 고초에 시달려야 했다.
         김재규는 죽기전 아내 김영희씨에게 자신의 남은 재산으로 부하 가족들을 돌봐달라고 당부하였고, 김영희씨는 김재규의 유언에 따라 부하 가족들의 교육비와 생활비를 지원해주는 등 물심양면으로 뒷바라지를 해준 덕분에 김재규의 부하 자녀들은 무사히 학업을 마칠 수 있었다고 한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4&oid=036&aid=0000007347|#]]
         사형 직전까지 쓴 옥중 수양록을 보면, 본인은 사형을 피할 수 없더라도 동조한 부하들을 어떻게든 살리고자 애쓰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변호를 맡은 안동일 변호사와의 접견에서 자기보다는 부하들을 위해 변호해달라고 부탁하였으며, 법정에서도 본인은 죽더라도 부하들은 선처해달라며 재판관들에게 호소하기도 하였다. 또한 부하 가족들의 생계를 염려하여 자신의 남은 재산으로 이들을 돌봐달라는 유언을 남겼다. 이후 김재규의 부인인 김영희씨가 김재규의 유언에 따라 부하 가족들의 교육비와 생활비를 지원해주는 등 물심양면으로 뒷바라지를 해준 덕분에 김재규의 부하 자녀들은 무사히 학업을 마칠 수 있었다고 한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4&oid=036&aid=0000007347|#]]
  • 단신부임 . . . . 7회 일치
         [[일본]]에서 가족이 있는 노동자가 기업의 전근 명령 등을 받아, 단신으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여 근무하는 것을 뜻하는 말이다.
         가족이 있는 노동자(주로 유부남)가 기업의 전근 명령을 받고, 본인 혼자만 임지에 부임하는 취업, 생활 형태이다. 가족이 모두 이동하지 않는 이유로는 아이의 생활(주로 교육)과 주택 보유 등 경제적 문제, 가족의 질병, 출산 같은 이유가 있다.
         이와는 달리 배우자의 전근에 따라서 가족이 모두 [[이사]]를 반복하는 것을 [[전근족]]이라고 한다.
         단신부임은 본인이나 가족에게 경제적, 정신적 부담이 크기 때문에, 별거 수당이나 귀가 교통비 같은 경제적 원조를 해주는 회사도 있다. 1984년에 단신 부임으로 남겨진 처자가 가족동반자살한 사건이 있었으며, 1985년에는 구 국철 간부가 종교적 이유로 단신 부임 명령을 거부하고 퇴직하는 사건이 있어, 단신부임의 문제점이 일본 사회에서 널리 주목받았다.
  • 은혼/588화 . . . . 7회 일치
          * 코우카는 잠들기에 앞서 가구라에게 언제나 같이 있어 줘서 고맙고, 가구라가 함께 있다면 우리 가족은 언제나 괜찮을 거라고 말한다.
          * 그리고 앞으로 자신의 가족이 생기더라도 그런 가족이 되어주라며, 언제든 함께 있어주고 옆에 있어주는 그런 사람들을 찾으라고 말한다.
          * 가구라는 비록 가족이 다 함께 가진 못했지만 그 푸른별에서 찾아냈다고 독백한다.
          * "나도 같이 웃고 웃을 거야. 가족의 곁에서."
         || 마미 우리 가족들은 결국 지구에 가지는 못했지만,
         '''가족의 곁에서.''' ||
  • 풍운 . . . . 7회 일치
         섭풍은 일단 몇 안되는 친구라고 계속 단랑을 살려주지만, 그것이 단랑의 열등감을 계속 자극하여 점점 더 악역화를 거듭한다. 처음에는 화린검의 악함에 홀린 것으로 설명되지만, 화린검이 부러진 뒤에도 개심한 척 하면서 섭풍의 가족을 잡아가고 아버지를 살해하는 등 완벽한 개쓰레기(…)의 모습을 보여준다. 천문에 가담했으나 제석천을 배신하고 용정을 꿀꺽한다. 그리고 좀 착하게 살라는 아버지의 설득도 외면하고, 자신이 천하회를 재건한 다음 무림제패를 선언한다.
         초반부 만악의 근원(…). 천기를 읽을 수 있는 뛰어난 예언자로서, 웅패에게 풍운으로 천하를 얻었으나, 그로 인해서 잃을 것이라는 예언을 남겼다. 웅패는 이 때문에 당초 자신의 심복으로서 아끼던 보경운과 섭풍을 제거하는데 편집적으로 집착하게 되고, 그 때문에 도리어 풍운에게 패배하여 천하를 잃고 만다. 니보살 자신도 천기를 많이 누설한 탓에 하늘에서 내린 독에 중독이 되고, 가족을 모두 잃었으며, 최후에는 예언을 누설할 것을 염려한 웅패에게 손녀와 함께 살해당하고 만다.
          * 가족학살주의 : 아동학살주의(…)와 마찬가지로 주인공의 가족학살주의(…)도 있어서, 주인공의 아내, 아들, 딸 등의 가족 캐릭터는 거의 다 죽고 본다. 가족의 죽음이라는 슬픔으로 영웅인 주연 인물들의 비통한 인생을 상징하려는 것으로 보이지만, 가족이 정말 하나같이 정기적으로 등장하기만 하면 포로가 되거나 죽어 나빠지니(…) 좀 너무 심하다는 느낌이 들때도 있다.
  • 세정(구구단) . . . . 6회 일치
         ||<#66AADD> '''{{{#white 가족}}}''' ||<#ffffff><(> [[아버지]], [[어머니]][* 부모가 어린시절 이혼해서 홀어머니 아래에서 컸으며, 사실상 한부모 가족이다. 현재는 회계사 일을 한다고 한다. 가족에 대해서는 최고의 사랑에서 언급한 적이 있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081&aid=0002719305|기사]]], [[오빠]] ||
          * 2017년 1월 [[SBS]] [[김병만의 정글의 법칙]] [[수마트라 섬|수마트라]]편에 출연하는 것으로 확정됐으며,[[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464699|##]] 2017년 3월 17일 부터 4월 21일까지 방영된 [[SBS]] 예능 [[김병만의 정글의 법칙]] [[수마트라 섬]]편에 출연했다.[* 3월 10일 방영될 예정이었으나, [[박근혜 대통령 탄핵 심판]] 뉴스 특보 관계로 결방되어 한 주 밀린 3월 17일에 방영.] '재난의 땅에서 생존하라'는 주제로 생존을 시작했다. 방송 시작부터 뛰어난 체력과 적극성을 보이며 생존에 임했다. 생존 중에도 [[구구단(아이돌)|구구단]] [[Act.2 Narcissus|미니 2집]] 컴백 활동에 대비해 '활동에 지장을 주지 않게 연습을 해야 한다'며 꾸준히 안무 연습을 해 책임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바다 사냥을 위해 근거리의 섬으로 헤엄쳐 이동, 수중 사냥 등의 뛰어난 수영 실력 --[[타임슬립 - I.O.I|I.O.I콘서트]] 준비 기간 동안 배웠다고 하기 놀라운 실력--을 뽐내기도 했다. 또 첫 낚시에서 연이어 물고기를 낚는 등의 활약을 보였다. 자신의 민낯에 막장이라는 자평을 하기도 하며, 자몽 cf를 아재 버전으로 해달라는 요청에 특유의 아재 매력을 보여 웃음을 자아냈다. 생존 마지막 날 동료들의 캐리커처를 선물했으며, 정글 생존 기간 동안 느꼈던 점에 대한 자작 시를 읊어 훈훈함을 자아내며 생존을 마무리했다. 후에 '좋은 가족이 생긴 것 같아 정말 든든했다'라며 '선배님, 작가님, 피디님 모두 잘 챙겨주셨다. 자연에서 많은 것을 배우고 느낄 수 있었다. 정글에 갈 수 있어서 정말 감사했다. 방송을 지켜보는 내내 정말 행복했다. 평생 잊지 못할 기억이 될 것 같다'는 소감을 남겼다.
          * 2017년 7월 17일부터 9월 5일까지 드라마 [[학교 2017]]에 주연을 맡았다. [[학교 2017]]에서 최초로 정극 연기에 도전했는데, [[마음의 소리(시트콤)|마음의 소리]]에 특별출연을 한 것을 제외하면 전술했듯이 아이돌이라는 선입견과 첫 주연에 첫 정극 연기라는 불안한 대중의 우려와 달리 무난히 연기를 해냈다는 평이 대부분이다. “꿈꾸는 것에 대한 기쁨과 관계에 대한 행복을 [[라은호|은호]]로 다시 깨달을 수 있어서 정말 행복한 시간이었다”라는 종영 소감을 밝혔다. 그리고 마침내 10월 24일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2&aid=0002968203|기사]]를 통해 10월 27일에 개최되는 '제1회 더 서울어워즈'에 [[소녀시대]] [[윤아(소녀시대)|임윤아]]와 함께 여자 인기상 수상자로 선정되었음을 밝혔다. 시상식 자리에 윤아와 함께 올라, 불법 다운로드와 저작권에 관한 이야기를 학교 2017에서 했던 애교에 녹여서 보여주기도 했다. 흐뭇하게 바라보는 [[송강호]]는 덤. 그리고 연이어서 12월 31일 '2017 [[KBS 연기대상]]'에서 걸그룹 출신 연기자 [[류화영]]과 함께 신인상을 수상했다. 시상식에서 수상을 받게 도와준 이들의 이름을 다 언급할 수 있도록 이름을 적어온 종이를 꺼내 수상 소감을 밝혔는데, '모든 제작진과 스태프에게 감사드리며 앞으로 누군가의 창작물에 있어서 누가 되지 않는 배우가 되도록 노력하겠다'라는 소감과 함께 [[구구단(아이돌)|구구단]] 멤버들과 가족들에게 감사함을 전했다. 베스트 커플상 후보에도 올랐었으나, [[쌈, 마이웨이]], [[김과장]] 등 인기 드라마 속 커플들이 수상했다. 참고로 [[현태운]] 역의 [[김정현(1990)|김정현]]을 비롯한 다른 학교 2017 출연진들은 이날 연기대상 시상식에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시상식이 끝난 뒤 학교 2017 박진석 PD와 김정현, 김세정이 따로 만남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 참고로 이날에 같은 아이오아이인 [[김소혜(1999)|김소혜]]도 참석해서 훈훈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 [[아재]] 세정이라는 별명이 말해주듯 평소 멤버들에게 짓궂은 장난을 자주 칠 정도로[* [[전소미]]가 해피투게더에서 [[https://www.youtube.com/watch?v=rwLZ6DNIywU|자기 몸을 자꾸 만진다고 폭로(?) 했다.]]] 성격이 활발하고 화통하지만 은근히 여린 성격이기도 하다. [[프로듀스 101/11회|프로듀스 101 최종회]]에서 [[소미]]와 최종 1위 발표를 남겨두고 울상이 된 소미와는 달리 세정은 애써 담담하게 웃음을 유지하려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최종 2위로 선정되어 소감을 발표하던 중 [[젤리피쉬엔터테인먼트|소속사 가족들]]을 이야기하면서 결국 참아 온 울음이 터져 버렸다. [[I.O.I]] 초기 활동과 [[구구단(아이돌)|구구단]]에서의 활동 때는 명랑하게 웃고 화통했다면, I.O.I의 후반기 활동 때는 트레이드마크인 웃음도 사라지고 잘 우는 등 어두운 모습을 보여 팬들이 많이 당황하기도 했다. [[타임슬립 - I.O.I|마지막 콘서트]] 때도 멤버들이 소감을 담담히 얘기하던 중, 본인의 차례에 말을 거의 한 마디도 못하고 울기만 했고, 이걸 본 멤버들 역시 세정을 따라서 울었다. 후일담에 따르면 멤버들이 담담히 소감을 말하려 했으나, 세정이 우는 장면에 같이 울게 됐다고. 가정환경의 영향인지 성격상 슬프거나, 힘든 일에도 감정을 잘 드러내지 않는다.[[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robin6751&logNo=220874937279&categoryNo=57|#]] I.O.I 시절 멤버들에게 감정 표현을 잘 하지 못해 후회한 적이 있다고 하거나, 슬플 때에도 실감을 잘 못해서 남들은 다 울 때 혼자만 웃고 있기도 해 속상한 적도 있었다고. 현재는 이점을 많이 인식하고 자신의 감정에 솔직해지려 노력 중이라고 한다.
  • 원피스/870화 . . . . 6회 일치
          * 나미가 [[상디]]의 구출, [[포네그리프]] 확보라는 자신들의 목적과 "가족을 구한다"는 상디의 목적까지 모두 이뤘는데 싸울 필요가 없다고 강변한다.
          * 그의 진짜 아버지 [[제프(원피스)|제프]]는 쓰레기같은 가족이라도 그들의 죽음을 비웃는다면 속좁은 인간이 되었다 꾸짖을 것이기 때문이었다.
          * 상디는 제프의 가르침에 어긋나지 않기 위해 가족을 구한 것 뿐이라며 자신이 저지의 아들이 아님을 인정하고 다시는 나타나지 말라고 요구한다.
          * 본래 목표는 아니지만 뜻밖의 부수입도 있었다. "가족을 구하고 싶다"는 상디의 의지도 이루어진 것이다. 나미가 큰소리로 루피를 꾸짖으며 그렇게 말한다. 빈스모크 일가에게도 들릴 정도로. 이미 그런 사실을 알고 있던 [[빈스모크 레이쥬]]는 아무 내색도 하지 않았지만 [[빈스모크 저지]], 그리고 무감정한 빈스모크 형제들 조차도 벌레 씹은 표정이다. 상디는 자기 가족들이 그 사실을 알게 된 것에 대해 아무런 말도 하지 않았다.
          이것이 그가 택한 끝맺음이었다. 루피는 조용히 상디가 가족들과 마지막으로 나누는 대화를 경청했다.
  • 전태일 . . . . 6회 일치
         그의 가족은 처음에 [[서울역]] 근처 [[염천교]] 밑에서 노숙했다.<ref name="ganaess"/> 한때 그의 어머니는 만리동 일대를 다니며 동냥했다.<ref name="ganaess"/> 그러나 봉제 일을 하던 아버지가 취직하여 월세방을 마련하면서 월세 생활을 하였다. 그러나 [[1960년]] 다시 대구로 내려갔다. 이후 그는 정규 교육을 거의 받지 못하고 거리에서 삼발이를 만들어서 파는 각종 행상을 하며 생계를 이어가는 불우한 유년기를 보냈다.
         그는 여러가지로 어려움에 봉착하게 되었다. 친구들을 규합하는 어려움, 주변의 냉소와 비야냥거림, 노동청과 근로감독관, 언론들의 기만극, 생계를 책임져주기를 바라는 가족들의 간절한 바람 속에 서있었다.<ref>《녹색평론 78호 (2004년 9, 10월호)》 (녹색평론, 2004) 59페이지</ref> 일부 미싱사와 봉제 노동자들은 그가 죽은 뒤에도 "자기 하나 죽는다고 뭐가 해결되느냐<ref name="ganaess"/>"라고 비판하였다. 이 당시에 어느 친구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는 "현실의 조롱과 냉소가 너무나도 잔혹하고 괴로웠다" 라고 썼다.<ref>조영래, 《전태일평전》 (돌베개, 2001) 183페이지</ref>
         회사의 [[착취]]와 [[해고]]를 당하면서도 단결하여 투쟁할 생각을 못하던 [[노동자]]들이 [[죽음]]으로써 노동자들의 비참한 현실을 고발한 전태일 열사를 보면서 각성한 것이다. [[1970년]] [[11월 25일]] [[조선호텔]] 노동자 이상찬의 분신 기도, [[1971년]] 9월 한국회관(음식점) 노동자 김차호의 분신 기도, 8월 [[신진자동차]] 노조 조합원과 가족 1900여명의 [[파업]]투쟁, [[한진상사]] 파월 노동자 400여명의 [[대한항공]] 빌딩 옥상 방화 농성 등이 주요한 사건들이었다. [[1971년]]의 노동자의 단결투쟁은 1600여건에 이르렀는데, 이는 전년도 165건에 비해 10배가 넘는 규모였다.<ref>지명관, 《한국을 움직인 현대사 61장면》 98~ 101쪽, 다섯수레, 1996년; 한국정치연구회, 《한국정치사》 352~ 353쪽, 백산서당, 1990년; 역사학연구소, 《강좌 한국근현대사》 347쪽, 풀빛, 1995년</ref>
         그의 어머니 이소선(李少線) 등 민주화운동 관련자 유가족 8명이 [[12월 31일]] '민주화운동 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심의위원회'에 보상금 지급을 현실화해 줄 것을 요구하며 재심을 청구했다.<ref name="hjaeshims">[http://www4.hankooki.com//nation/200212/h2002123116132714510.htm "민주화운동 보상금 현실화" 전태일씨 유족등 재심청구] 한국일보 2002/12/31</ref> 어머니 이소선은 "태일이가 보상금으로 930만원으로 받는데 비해 [[1991년]] 분신 자살한 [[윤용하]]씨는 2억 3천만원을 받는다"며 "이는 태일이의 보상금을 물가상승률을 고려하지 않고 당시 임금만을 단순 반영한 [[호프만식 계산법]]으로 산정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ref name="hjaeshims"/> 재심청구를 주선한 전국민주민족유가족협의회(유가협)도 보상금심의위원회가 당시 전문 기술자였던 전씨를 [[단순일용직 근로자]]로 분류해 [[보상금]]을 지급한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했다.<ref name="hjaeshims"/>
         == 가족 ==
  • 진격의 거인/88화 . . . . 6회 일치
          * 왕당파 잔당의 아들이었던 크루거는 가족들이 마레 정부에게 산 채로 불살라진 후 복수를 다짐하며 당국에 숨어들었다.
          크루거의 아버지는 대륙에 잔류한 왕가의 잔당이었다. 그들은 혁명군을 구성했지만 아무 것도 이루지 못한 채 마레 당국에 의해 암살되었다. 아버지가 혁명군에 속했던 크루거의 가족도 예외는 아니었다. 가족 모두가 한 군데서 불살라질 때, 어린 그는 찬장 속에 숨어 문틈으로 그것을 바라보고 있었다. 그저 무서워하면서. 집이 거의 다 탔을 때 아버지의 동료가 구하러 왔고, 크루거만 간신히 목숨을 부지했다. 그 일이 있은 후 마레에 대한 복수와 엘디아의 복권을 맹세했다. 그런 그가 실제로 하게 된 일은 아이러니하게도 동포의 손가락을 자르고 가죽을 벗기며 이곳에서 떨어뜨려 거인으로 만드는 것이었다. 그걸 철저히 수행한 결과 오늘날까지도 정체를 들키지 않았다.
          * 생각에 잠겨있던 크루거는 그리샤의 아버지 이야기를 꺼낸다. 그는 뜻밖에도 "똑똑한 남자"였다고 평한다. 어린 그리샤의 눈엔 비굴과 굴종의 표상으로 비췄던 아버지가, 크루거에겐 어떻게든 남은 가족을 지키려고 필사적이었던 모습으로 기억된다. 그가 어떻게든 잘못된 길을 고르지 않게 하려고 했던 아들은, 거기서 아무 것도 못 배웠을 뿐 아니라 아내와 아들을 지옥길의 길동무로 삼고 말았지만.
          실로 뼈아픈 비난. 그럼에도 그리샤는 무슨 말이 하고 싶냐고 할 뿐 아무런 투지도 흥분도 비추지 않는다. 크루거는 자신이 아직 밝히지 않은 정보가 더 있다며 그리샤의 각성을 촉구한다. 그러나 소용없는 일이다. 크루거는 그들의 가족 사진을 꺼낸다. 훗날 그리샤의 수기에 들어갈 그 사진이다. 그것을 보라고 눈 앞에 들이밀지만, 그리샤는 동요하는 기색은 있어도 결국 사진을 바라보지도 못한다. 크루거가 던지는 어떤 도발도 충동도 그를 움직일 수 없을 듯 하다.
          크루거가 이야기할 수록 죽어있던 눈동자에 새로운 힘이 차오른다. 그리고, 그리샤는 외면했던 사진으로 시선을 돌린다. 그들의 가족들에게. 그날의 여동생의 손을 이끌던 자신에게.
  • 트로피코 4/건물 . . . . 6회 일치
         게임의 초반부에는 4,000 딸라에 12가족을 쑤셔박을 수 있는 공동주택이 선호된다.
          * 산부인과: 가족 구성원이 방문 후 임신 확률이 50% 만큼 증가합니다.
          * 산부인과: 가족 구성원이 방문 후 임신 확률이 50% 만큼 증가합니다.
          * 산부인과: 가족들 중 한 명이 병원을 방문한다면, 여성이 아이를 가질 확률이 50% 상승합니다.
          * 군인 가족 15가구 거주
         ||중산층 이하의 관광객들은 기념품 상점을 선호합니다. 솔직히 막상 가면 아무 짝에도 쓸모 없는 물건도 좋다고 덥썩 물죠. 집에 돌아가면 기념품 사왔다며 가족과 친구들에게 자랑이나 해댑니다.||
  • 하정우(영화감독) . . . . 6회 일치
         ||<#878787> '''{{{#EEE156 가족}}}''' ||<(> 아버지 [[김용건]], 동생 차현우 여동생 [[윤하|김윤하]]||
         == 개인사 및 가족사 ==
         [[2006년]]에는 [[김기덕]] 감독의 《[[시간]]》이라는 영화에도 출연했는데, 김기덕 스타일이 대중에게는 크게 먹히는 스타일이 아니라 호연을 보여 줬다는 본전에 만족해야 했다. 그래도 김기덕과는 《[[숨]]》에서 다시 호흡을 맞추기도 했다. 같은 해의 영화 《구미호 가족》에서는 구미호 4가족의 똘끼 넘치는 장남으로 출연했지만 나머지 셋보다 비중이 그리 높지 않았다. [[2007년]] 한미 합작영화 《두 번째 사랑》(Never Forever)에서 주연을 맡았는데, 흥행에 성공하지는 못했으나 영화의 작품성과 하정우의 내면 연기로 주목받았다.
         [[2012년]] 개봉한 영화 《[[범죄와의 전쟁 : 나쁜놈들 전성시대]]》에서 [[최민식]]의 항렬상 조카뻘 되는 [[조직폭력배]] 두목 역으로 나와 유들유들하면서도 가족마저 내칠 수 있는 비정한 역을 선보이며 다시 한 번 흥행에 성공하였다. 영화 막판 클라이맥스신을 보면 정말 사람 잡을 듯한 눈빛을 하고 있다. 또한 비슷한 시기 개봉작 《러브픽션》에서도 [[공효진]]과 함께 주인공을 맡아 --찌질한 먹물-- B급 글쟁이 역으로 호연, 이제는 로맨스 코미디로도 연기의 폭을 넓혀가고 있다.
         || [[구미호 가족]] || 주연 || 아들 || 202,990 || 실패 ||
  • 허근욱 . . . . 6회 일치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이화여자대학]]으로 진학했다. 해방 후에도 계속 가족과 함께 [[경성]]에서 체류하다가 [[1948년]] [[4월]] [[이화여대]] 영문학과 재학 중 [[남로당]] 당수이자 독립운동가, [[사회주의]]자였던 아버지 [[허헌]], 이복 언니 [[허정숙]] 등을 따라 월북하였으며 [[평양러시아어대학]]에서 수학했다. 그뒤 아버지 [[허헌]]은 북한 최고인민위원회 의장이었고, 언니 [[허정숙]]은 북한 문화선전상, 보건성부상, 사법상, 최고재판소장, 최고인민회의 부의장 등을 지냈다.
         1965년 한국부인회 중앙위원회 위원이 되고, 1967년 [[황애덕]] 등 [[3.1 만세 운동]] 관련자 및 투옥,수감된 독립운동가 및 그 유가족들이 중심으로 조직된 3.1여성동지회 중앙위원회 위원으로도 위촉되었다. 1968년 한국여성유권자연맹 이사, 1969년 국제직업여성연맹 한국측 이사, 1980년 한국여성단체협의회 중앙위원회 위원 겸 편집위원 등으로도 활동하였다.
         그의 작품 중에는 자전적인 내용을 담은 소설, 문학 작품들도 존재한다. 이를 두고 자신의 출신과 관련된 남한 쪽에서의 모종의 제약 때문에 의식적으로 이데올로기나 분단의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라는 평도 있다. 또한 일찍이 이념과 삶의 진정성 사이에서 갈등하며 아버지 및 가족과 결별하고 월남했던 이력이 말해주듯, 누구보다 분단과 가족공동체의 회복에 집착할 수밖에 없는 까닭도 있다는 작품평도 있다.
         그의 작품들에서는 명시적이지 않지만 때때로 가족과 친지들에 대한 그리움과 때로는 분노가 표출되기도 한다. 허근욱의 초기작품의 하나이자 대표작인 자전적 소설 《내가 설 땅은 어디냐》 등에서는 남과 북 어디에서도 정체성을 발견하지 못한 채 수난을 겪어야 했던 과거에 대한 아쉬움과 세상에 대한 분노, [[6.25 전쟁]]이 막 끝난 직후 다시는 보지 못한 가족들에 대한 그리움, 이념, 이데올로기를 빌미로 한 폭력성에 대한 거부감 등이 담겨 있어 이 작가의 작품 경향을 대변해 주고 있다는 평도 있다.
  • 홍학표(배우) . . . . 6회 일치
         1990년부터 1994년까지 2개의 시즌을 걸치며 방영될 정도로 인기가 대단했던 '''MBC 드라마 [[우리들의 천국]]은 그에게는 운명과도 같은 작품'''이다. 당시 서른을 넘기는 나이였지만 유난히 어려보이는 얼굴에다 '''풋풋한 개성과 선량한 이미지로 어필'''하며 [[최진실]]과 함께 시즌1[* '우리들의 천국'은 공식적으로는 시즌제작품이 아니지만 편의적으로 시즌1과 시즌2로 나눌때 홍학표가 주연을 맡았던 시즌1은 단순히 대학생들의 삶과 연애를 다룬 내용이라기보다는 어머니,아버지,대학생 큰형(홍학표),쌍둥이 고교생 형제로 된 다섯 가족의 삶을 다룬 홈드라마의 성격이 강했다. 각각의 가족들도 비중이 있어 어떤 회에서는 홍학표 관련 내용은 별로 없이 쌍둥이의 학교 생활,아버지의 직장생활에 대한 에피소드가 대부분이었던 경우도 있다.홍학표가 중심이 된 대학생활과 연애가 아무래도 중심이긴 했고,결국 시간이 흐를수록 대학생들의 연애 드라마로 완전히 변화한다. 시즌2부터 등장한 배우들이 [[박철]],[[음정희]],[[염정아]],[[김명수(배우)|김명수]]등. 홍학표가 빠지고 실질적인 시즌2가 시작되면서 본격적인 청춘연애물이자 대학생 로망스 겸 젊은 배우들의 등용문 역할을 하게 된다. '사랑이 뭐길래'에서의 막내 아들 역할을 비롯 이전작들을 통해 청순스타로 각광받던 [[김찬우]]가 주인공이었고,어린 시절부터 친구로 재수까지 하여 같은 대학에 입학한 절친으로 [[장동건]]이 나왔다. 그리고 앞서 언급된 [[박철]]은 훗날 안좋은 이미지가 된데다 최근의 살집있고 우스꽝스러운 아저씨 이미지가 전혀 아닌 당시 특A급 꽃미남스타였다. 여자배우로는 장동건의 파트너로 [[이승연]]이 나왔고 이 드라마가 마지막으로 배출한 스타가 [[전도연]]이다 .]에서 주인공으로 호흡을 맞추며 '''당대 최고의 청춘스타로 자리매김'''한다. 큰 키도 아니고, 확 눈에 띄는 얼굴도 아닌 그가 청춘스타로 등극한 것은 사실 한국 연예계사상 이례적인 일이다.
         이후 5년 만인 2010년에 MBC 주말드라마 [[민들레 가족]]에 출연하기도 했다. 홍학표는 이 드라마에서 재경([[오영실]] 분)의 남편인 공병구 역을 맡았다. 장인의 농장에서 허드렛일을 하는 공병구는 순하고 착해서 재경에게 꽉 잡혀 사는 그야말로 [[공처가]] 남편이다.
         돈 때문에 마음에 들지 않는 배역을 하는 건 싫어할 정도로 홍학표는 배우로서 자존심이 세다. 덕분에 다작을 하지 않아서 '''몇년에 한 번씩 드라마에 출연해 강한 인상을 남기고는 홀연히 사라진다.''' 하지만 가족들이 있으니 먹고 사는 걱정을 하지 않을 수 없어 배우가 아닌 사업으로 부족한 벌이를 하려고 시도를 하게 된다. 하지만 그의 사업가로서의 운은 배우처럼 순탄치만은 않았다.
         전성기에 함께 호흡을 맞췄던 배우 [[최진실]]이 자살했다는 소식에 가족을 잃은듯한 슬픔을 느꼈고, 5일동안 아무일도 못할 정도로 충격에 빠질 정도였다고 회고하기도 했다.
         * 2010년 : MBC 주말연속극 《[[민들레 가족]]》 - 공병구 역
  • 김광석 . . . . 5회 일치
         | 가족 = 누나 2명(김광나,김광득) <br /> 형 2명(김광동(김광석 군입대중 1985년 작고),김광복) <br/> 슬하1녀(딸 김서연,1991년 출생, 2007년 사망 확인)
         부인 [[서해순]]은 타살이 아닌 자살이라고 주장을 했지만 가족 및 지인들은 의혹을 제기했다. 세간에 알려진 김광석의 자살설에 대해 가족들은 "자살할 아이가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김광석의 누나들은 "광석이는 '부모보다 먼저 가는 자식만큼 불효는 없다'라고 항상 말했다. 오래 살고 싶다고 했다" 라며 스스로 목숨을 끊을 이유가 없다는 모습을 보였다. 어머니 역시 "활발하고 마음이 약한 아이다. 자살할 아이가 아니다. 착하고 남한테 해코지할 사람도 아니다" 라며 아들의 자살을 믿지 못했다.<ref>{{뉴스 인용|제목=故 김광석 타살의혹 재점화… 가족들 입 모아 “자살 아니다”|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38&aid=0002269614|출판사=한국일보|저자=최인경 기자|날짜=2012-06-19|확인날짜=2013-12-29}}</ref> 또, 김광석과 음악 동호회 활동을 했던 한 지인은 "돌아가시기 한 6개월 전쯤부터는 거의 매일 보다시피 했다"며 "자살했다는 것 자체가 황당하다. 개인적으로 타살이라고 생각하는데 의문점들이 지금이라도 밝힐 수 있다면 밝혀져 김광석이 어떻게 돌아가시게 된 것인지 밝혀졌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또한, 부인 서해순의 말의 신뢰도는 떨어지는데, 첫번째. 사후 얼마 안되어 딸과 미국으로 간 점 두번째. 고 김광석씨 가족과 재산 다툼을 한 점, 세번째. 고 김광석씨 아버지와 합의한 내용을 어긴 점이다.<ref>{{뉴스 인용|제목=고 김광석씨 부인 ‘저작인접권 침해’ 7,800여만원 배상 판결
  • 김준현(코미디언) . . . . 5회 일치
         || '''가족''' ||<(> 아버지: 김상근, 아내: 오정주, 슬하 2녀[* 큰 딸은 김태은으로, [[맛있는 녀석들]] 사이판특집에서 선공개로 잠시 나왔다. [[https://youtu.be/zhBu-1PQKZc|참조]]] ||
         tvN의 [[예능 프로그램]] [[현장토크쇼 TAXI]]에 출연하여 건강검진을 받았는데, 당뇨병이 있는 것으로 진단되었다.[* 사실 정확히는 방송이라 그런지 당뇨병이라는 얘기를 전혀 하지 않았다. 다만, [[의사]] 및 당뇨병 환자들이 그 방송을 보고 알았을 뿐이다. 덕분에 몇몇 사람들은 김준현 정도의 수치가 나와도 정상인줄 알고 있는 케이스도 있었다. 당뇨를 한참 넘어선 김준현의 수치에 비해 자기가 낮으니 당뇨임에도 혹은 당뇨전단계임에도 자기 수치가 지극히 정상인줄 알고 있는 사람이 많았다. 참고로 방송에 공개된 수치는 당화혈색소 8.2에 공복혈당 196이었는데.. 당화혈색소 6.5, 공복혈당 126이 당뇨 기준임을 생각해보면 아득히 높다.] 직계가족에 당뇨병 가족력이 있고 선천적으로 췌장이 약하게 태어났다고 하는데 선천적으로 췌장이 약하게 태어나는 경우는 없다. 그냥 가족력과 식습관 때문일뿐. 거기에 초고도 비만[* 다만 BMI 상으로만 초고도 비만이지 [[야구선수]]나 무제한급 [[역도]] 선수, 백두급 [[씨름]]선수 등처럼 체지방도 많으면서 근육량이 상당히 많은 [[케이스]]이기 때문에 같은 체중의 일반 비만인보다 관리가 좀 쉬울수는 있으나 이미 당뇨가 나이대 대비 굉장히 심각한 수준이었음으로 크게 의미 있는 사실은 아니다.]까지 있으니..... 김준현 본인도 그러한 사실을 처음 알게 된 듯 검사결과 내용을 듣는 내내 굉장히 심각한 표정이었다.
          * 그러다가 [[2013년]] [[4월 20일]]에 [[결혼]]했다. 상대는 6년간 열애해 온 [[여자친구]]라고... 주례없는 퓨전스타일로 [[결혼식]]을 하기로 했다.[[http://www.ilyosisa.co.kr/news/article.html?no=32638|관련기사]] 본인 스스로 어느정도 신혼 시기를 가지고 싶었다고 얘기했고, [[슈퍼맨이 돌아왔다]] 이휘재 가족편 게스트에 출현하여 밝힌 바에 따르면 결혼 후 아내는 언제든지 준비가 돼 있다고 했으나 김준현 스스로가 준비돼 있지 않다고 생각해 자녀를 가지지 않고 있었던 듯하나, [[2016년]] [[8월 9일]] 결혼 3년 만에 아내의 [[임신]]을 발표했다. 아이의 태명은 '보고 싶고 보고 싶다.'라는 뜻의 '보보'라고...
  • 맥스 페인/줄거리 . . . . 5회 일치
         조사 결과 맥스의 가족을 죽인 자들은 제작자를 알수 없는 마약 "발키리"를 투약한 상태였다. 가족의 장례식이 끝난 이후 맥스는 알렉스에게 마약단속국으로 전근하겠다고 말한다.
         기절한 맥스는 가족들이 몰살당한 날의 악몽을 꾼다. 언제나 그렇듯이. 맥스는 뉴저지에 있던 집에 들어왔다. 딸의 울음과 아내의 애원이 들리지만 2층으로 올라가는 길은 복잡한 미로로 되어있었다. 맥스가 2층으로 올라가 아기 방 문을 열었을 때, 오르골 소리와 울음 소리만 들릴 뿐 아기는 없었다. 아무것도 없는 곳으로 뻗어나간 핏줄기가 있을 뿐이었다. 맥스는 핏줄기를 타고 아기한테 갔을때, 아기는 핏투성이가 되어서 움직이고 있었다. 하지만 순식간에 아기는 사라지고, 옆에 놓인 알파벳 블록 장난감이 스스로 움직여 D3AD(죽었음)라는 글자를 만들어낸다. 맥스는 아내의 울음소리를 듣고 침실로 향한다. 침실 문을 열고 권총을 쏜다.
         또다시 맥스는 가족이 몰살 당한 날의 악몽을 꾼다. 미셸은 맥스를 부르면서 흐느낀다.
         그러던 와중 발할라 계획에 대한 정보가 누출되었다. 연구를 계속 하던 누군가는 정보 누출을 막기 위해 발키리를 정량의 두배로 복용한 실험체 전부를 도시에 풀어놓았다. 실험체가 풀려난 곳은 3년 전 맥스의 가족이 살던 뉴저지의 저택이었다.
  • 원피스/833화 . . . . 5회 일치
          * 상디는 어린시절부터 요리에 관심이 많았는데, 전사만을 가치로 여기는 제르마에서는 낙오자 취급을 받고 가족들 조차도 그를 학대한다.
          * 저지는 가족을 버릴 셈이냐고 따지는데, 상디는 "너희가 가족일리 없다"고 응수한다.
          * 사보의 가족들 이래 최악의 쓰레기 가족 등장.
  • 원피스/865화 . . . . 5회 일치
          * [[상디]]는 가족을 살리기 위해 달려오지만 [[샬롯 다이후쿠]]의 마인에게 붙잡힌다.
          * [[빈스모크 레이쥬]]는 이런 가족이라도 살리려 하는 상디의 "상냥함"을 보며 "나는 구원받았다"고 여기며 죽음을 받아들인다.
          * [[샬롯 다이후쿠]]와 대치 중이던 [[상디]]는 가족의 목숨이 풍전등화가 되자 그 자리를 이탈했다. 당장 그들을 구하기 위해서 빈스모크 일가의 테이블로 달려오지만 무감정한 빈스모크 형제들은 그 조차도 "허둥지둥 뭐하는 짓이냐"고 비웃음의 대상으로 삼는다. [[빈스모크 레이쥬]]도 그의 모습을 보았다. 상디는 정신없이 달려오자 다이후쿠의 마인에게 붙잡혀 넘어졌다. 레이쥬 또한 그의 구조를 바라지도, 살고자 바라지도 않았지만 느끼는 감정은 형제들과 전혀 달랐다. 그녀는 가족들도 놔두고 도망치지 않는 상디에게 "너의 상냥함을 얕봤다"고 독백한다. 그녀는 평생을 빈스모크라는 이름을 부끄러워하고 원망하며 살아왔다.
          * 레이쥬는 갑자기 나타난 괴상한 사슴, [[쵸파]]가 귀마개를 채워주자 놀란다. 그녀 뿐만 아니라 빈스모크 일가 모두에게 귀마개가 끼워진다. 상디는 디아블 잠브로 가족들을 구속하던 사탕을 깨뜨린다. 저지와 형제들은 뜻밖의 구조를 뜨악한 표정으로 바라본다.
  • 윤종신 . . . . 5회 일치
         ||<bgcolor=#201e1f> {{{#FFFFFF '''가족사항'''}}} ||<(>父 윤광석 [* https://blog.naver.com/childfundkor/221352229845 ], 母 [br]2남 중 [[장남]] ||
         [[1969년]] [[10월 15일]] [[전라남도]] [[장흥군|장흥]]에서 2남 중 [[광주]]으로 태어났다. 아주 어릴 때 잠깐 살다가 5살 무렵 [[대구광역시|대구]] [[중구(대구)|중구]]로 상경, 그 뒤 [[대원 외국어학교]][* 2회 졸업생으로, '대원 외국어학교' 시절이다. 일반 고등학교를 못 가는 사람들이 가던 그 시절 맞다. 대원외고 동창으로 현재 [[메르세데스-벤츠|벤츠]]의 딜러인 한성자동차의 세일즈맨으로 알려진 가수 [[김민우]], 작곡가 [[MGR(음악가)]]이 있다.] [[스페인어]]과 졸업 후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국어국문학과 88학번으로 입학 후[* 본래 가족들이 독실한 신앙인이 워낙 많아서 어릴 적부터 연세대 신학과에 진학하여 목사가 되는 것이 원래 꿈이었지만 성적으로 인해 원주캠퍼스 국어국문학과로 입학하게 되었고, 때문에 적응을 못해서 1, 2학년 동안 방황을 많이 했다고 한다.] 소리를 창조하는 사람들이라는 음악 동아리에 가입하며 음악에 대한 꿈을 키우게 되었다.
          * 마지막으로, 윤종신은 2010년대 초 자신이 속했던 1인기획사 신스타운을 확장하여 미스틱89라는 기획사를 세워 자신의 옛 동료인 조정치, 김연우, 하림 등은 물론 투개월, 에디킴, 박재정, 박지윤, 퓨어킴 등 특색 있는 뮤지션들을 모아 앨범을 프로듀싱하기 시작했다. 미스틱89는 김영철, 아나운서 박지윤 등의 방송인도 매니징함은 물론 가족액터스와 인수합병하며 명실상부한 종합 연예기획사로 거듭났고, 회사명도 미스틱 엔터테인먼트로 바뀌었다. 무려 SM의 자회사로 인수. 현재 윤종신은 회사 경영에서는 물러나, 대표 프로듀서 직을 맡고 있다. 소속사의 음악적 활동에 대해서는 전권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다.
         가족이 운영하던 카페 LOB가 폐업하고, 7월 23일자로 한남동 소재 월간 윤종신 건물이 월간식당이라는 이름으로 오픈한다.
          *정치성향은 중도 혹은 진보에 가까운 듯하다. 2008년 명랑 히어로 출연 당시에는 [[이경규]]와 함께 광우병 촛불시위를 지지하지 않는 것으로 묘사되었는데, 김구라가 이를 물고늘어지는 장면이 나온다. 하지만 2016년 박-최 국정농단 사태 때 '용기를 내어' 가족들과 함께 촛불집회에 참여했다. 이때의 감상을 바탕으로 2016년 12월 월간 윤종신 '그래도 크리스마스'를 작사 작곡했다. 마침 그 곡의 가사가 JTBC 뉴스룸의 앵커브리핑에 소개되고, 이 인연으로 뉴스룸에 인터뷰로 출연하기도 했다.
  • 은혼/583화 . . . . 5회 일치
          * 녀석이 사냥감을 그냥 두고 돌아갔으니 결국 자신의 승리이며''' "왼팔은 가족을 잃으면서 잃었지만 오른팔은 가족을 지키면서 잃었다. 나로선 훌륭한 성과다"'''라고 자축한다.
         내 왼팔은 가족을 버리고 잃어버렸다.
         그렇지만 내 오른팔은 가족을 지키고 잃어버렸다.
         - 우미보즈. 비록 패했으나 우츠로에게서 가족들을 지켜내다.
  • 은혼/584화 . . . . 5회 일치
          * 카무이는 "가족 문제가 간섭하지 마라"며 야유하지만 긴토키는 '''"피는 이어지지 않았지만 한 집 밥먹고 같이 웃고 울고 화내고 지내온 해결사다"'''면서 물러서지 않는다.
          * 신파치는 카무이에게 가구라를, 가족을, 자기 자신을 괴롭히는건 그만두라고 말한다. 하지만 카무이는 자신의 괴로움은 우미보즈가 살아있는 한은 해소되지 않으며, 지금 가구라를 괴롭게하는건 오히려 너희들(해결사)라며, 자신이 가구라의 가족을 또 박살내게 할 참이냐고 한다.
          * 날아가 처박힌 카무이에게 '''"넌 가족이나 아버지로부터 도망치고 있다"'''면서 '''"그래서 텅 비어 있고, 그래서 최강이란 이름을 필요로 한 거"'''라고 말한다.
         - 사카타 긴토키. 가족 문제에 참견 말라는 카무이에게.
  • 은혼/592화 . . . . 5회 일치
          * 그저 나아갈 뿐이며, "여동생이 쫓아오지 못할 정도로 저 앞으로, 아버지를 내려다 볼 정도로 저 높이, 어머니에게 닿을 정도로 저 멀리에, 거기까지 갈 생각이 없다면 쫓아갈 수 없어, 돌아갈 수 없어. 가족에게"
          * 하지만 그러지 못했다고, 결국 어디에 있건 언제까지건 그들은 가족이었던 것이다.
          * 정작 다져야 했던 각오는 가족의 연을 끊을 각오가 아니라 어찌해도 끊을 수 없는 그 "실"에 묶여 괴로울 지라도 계속 끌어 당겨 가족 옆에 있고자 하는, 그런 각오였을지 모르겠다고 말한다.
          * 하지만 긴토키는 "대체 어디서 태어나서 너같이 막돼먹은 꼬맹이가 되는지 궁금했는데 의문이 풀렸다"면서, "네가 자란 고향과 가족을 볼 수 있어서 나쁘지 않은 휴가였다"고 말한다.
  • 이요원 . . . . 5회 일치
         2016년 [[JTBC]] 드라마 《[[욱씨남정기]]》에 출연하여 물오른 연기로 인생캐릭터를 만났다는 극찬을 받았다. 2016년 11월 [[MBC]] 《[[불야성 (드라마)|불야성]]》에서 이요원이 연기하는 서이경은 누구도 넘볼 수 없는 자신의 왕국을 세우려는 거대한 야망을 품은 황금의 여왕이자, 탐욕은 죄가 없다고 믿는 냉정과 열정의 화신이다. 여리한 외모와는 달리 피도 눈물도 없는 차가운 심장을 가진 얼음여왕. 말 한마디에 거액이 오가는 협상 테이블에서도 평온한 말투와 흐트러짐 없는 자세로 상대를 굴복시키는 철의 여인이다. 디즈니 배급 영화 《그래,가족》는 2017년 2월 15일에 개봉되었다. 영화는 핏줄이고 뭐고 모른 척 살아오던 삼남매에게 예상치 못한 막내동생이 나타나면서 벌어지는 치열한 가족의 탄생기를 그린 코미디 가족영화에서 잘난 체해도 결국 흙수저인 둘째 오수경 기자 역할을 연기했다.
         == 결혼과 가족 ==
         | 《[[그래, 가족]]》
  • 정명훈 (지휘자) . . . . 5회 일치
         | 가족 =
         [[서울]]<ref>{{뉴스 인용|제목 = 운명처럼 다가왔던 베토벤 '운명' 들고 태어난 부산방문 설레|url =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500&key=20130509.22023204805 |출판사 = 국제신문 |날짜 = 2013-05-08 |확인날짜 = 2013-05-09}}</ref>에서 7남매 중 여섯째로 태어났으며, [[서울덕수초등학교]]를 [[입학]]했다. 일찍부터 피아노 연주에 재능을 보여 [[피아노]]를 배운 지 3년만인 일곱 살 때인 [[1960년]] [[서울 시립 교향악단]]과 [[하이든]]의 [[피아노 협주곡]]을 협연해 화제가 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피플Q 정명훈의삶&음악] 정명훈은 누구?|url=http://news.donga.com/3//20100120/25520037/1|출판사=동아일보|날짜=2010-01-20}}</ref> [[1961년]]에 가족들과 함께 [[미국]] [[워싱턴주]] [[킹 군 (워싱턴주)|킹 군]] [[시애틀]]로 이주했다.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특별시)|중구]] [[명동]]에서 한식당을 운영했던 그의 [[부모]]는 [[미국]] 워싱턴 대학가에서도 한식당을 경영했다.<ref>{{뉴스 인용|제목=마에스트로 정명훈 서울시립교향악단 예술감독|url=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09&no=663110|출판사=mk뉴스|날짜=2009-12-25}}</ref> 정명훈은 이 시절을 회상하며 "부모님의 식당에서 부엌 일을 도왔고 새벽 신문 배달과 잔디 깎기까지 안 해본 일이 없었다. 신문을 돌리고서 나중에 구독료를 받으러 다니는 '수금'이 특히 힘들었다"고 말했다.<ref>{{뉴스 인용|제목="北 악단장도 스트라디바리우스(바이올린 최고 명기) 쓴대요"|url=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4/13/2012041300179.html|출판사=조선일보|날짜=2012-04-13}}</ref> 14세에 첫 개인 리사이틀을 가진 정명훈은 연주 도중 곡을 잊어버리는 실수를 했지만 당황하지 않고 반복해서 연주한 끝에 무사히 공연을 마쳤다.<ref>유동철, 《아들아 너는 세계를 무대로 살아라》, 북로그컴퍼니, 2009, p.94, {{ISBN|978-89-962617-3-5}}</ref> 그의 선생이었던 제이콥슨은 정명훈에게 "네가 완벽한 연주를 하는 것보다 실수를 하더라도 감동적인 연주를 하기 바란다."고 격려했다.</ref>
         줄리어드 재학 중이던 [[1976년]]에 뉴욕 청소년 교향악단을 [[지휘]]해 [[지휘자]]로 공식 데뷔했고,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의 부지휘자로 프로 관현악단 지휘의 [[경험]]을 쌓았다. [[1980년]]에 [[로스앤젤레스 필하모닉]]의 부지휘자가 되어 상임 지휘자인 줄리니를 보좌하는 역할을 했고, [[1983년]] 가족들과 함께 [[유럽]]으로 거처를 옮겼다. [[1984년]]에는 자르브뤼켄 방송 교향악단의 음악 감독 겸 상임 지휘자로 발탁되었고, 재임 기간 동안 [[윤이상]]의 교향곡 제3번 세계 초연과 음반 녹음 등의 [[활동]]으로 주목을 받았다. [[1986년]]에는 [[파리 국립 오페라]]에서 [[프로코피에프]]의 '불의 천사' 를 [[지휘]]했고, 같은 해 [[미국]]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도 [[베르디]]의 '시몬 보카네그라' 를 [[지휘]]해 오페라 지휘자로도 본격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이듬해에는 [[이탈리아]] [[토스카나주]] [[피렌체]]에서 [[무소륵스키]]와 [[베르디]], [[모차르트]]의 [[오페라]]를 [[지휘]]해 절찬을 받았고, [[1988년]]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상을 [[상 (표창)|수상]]했다. [[1989년]]에는 [[프랑스]] [[파리 (프랑스)|파리]] [[바스티유 감옥]] 부지에 새로 건립한 [[오페라극장]]의 전속 오페라단인 파리 바스티유 오페라(현.[[파리 국립 오페라]])의 음악 감독으로 부임했고, 신축된 [[오페라극장]]의 개관 공연에서 [[베를리오즈]]의 대작 오페라 '트로이인' 을 상연해 호평을 받았다. [[1990년 10월]]에는 [[도이치 그라모폰]]과 전속 계약을 맺고 음반 제작도 시작했으며, [[조르주 비제|비제]]의 관현악 작품들을 시작으로 [[생상]], [[메시앙]], [[베를리오즈]], [[앙리 뒤티외|뒤티외]] 등의 작품들과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쇼스타코비치]]의 '므첸스크의 맥베스 부인', 생상의 '삼손과 데릴라(EMI)', 베르디의 '오텔로' 등 오페라 전곡을 [[녹음]]했다. 특히 [[메시앙]]과는 생전에 각별한 친교를 맺고 있었고, 녹음들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1994년]]에 새로 부임한 프랑스 문화부 장관과 정치적 갈등을 겪으면서 음악 감독직에서 해임되었고, 이는 [[프랑스]] 뿐 아니라 [[한국]]에서도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기도 했다. [[1995년]] 유네스코 서울 협회 올해의 인물에 선정되었으며 같은 해에 [[대한민국의 훈장|금관문화훈장]]을 받았다. [[1997년]]에는 [[이탈리아]]의 [[산타 체칠리아 국립음악원 관현악단]]의 음악 감독으로 부임했고, [[도이체 그라모폰]]의 전속 계약을 유지하면서 녹음 활동도 병행했다. [[1998년]]에는 [[한국]]에서 첫 직책으로 [[KBS교향악단]]의 상임 지휘자를 맡기도 했지만, 악단원들과 [[갈등]]을 빚어 불과 수 개월 후 사임하기도 했다. [[2000년]]에는 [[프랑스]] [[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음악 감독에 취임했고, 이듬해에는 신성 일본 교향악단을 흡수해 재구성된 [[일본]] [[도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특별 예술 고문으로 초청되었다. [[2005년]]에는 [[대한민국]] [[서울 시립 교향악단]]의 상임 지휘자로 임명되었다. [[2012년]]부터는 [[독일]] [[드레스덴 국립 관현악단]]의 역사상 첫 번째 수석 객원지휘자로 임명되어 [[활동]]을 시작한다. 이외에도 [[독일]]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네덜란드]] [[콘세르트헤바우 관현악단|로열 콘세르트허바우 오케스트라]](RCO)나 [[영국]]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미국]]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영국]]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오스트리아]]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독일]] [[드레스덴 국립 관현악단]], [[뮌헨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등등 국제적으로 저명한 세계 각국의 주요 [[오케스트라]]와 오페라 극장들을 객원 [[지휘]]하고 있으며, 다수의 영상물과 음반들을 남기고 있다. [[아시아인]] 혹은 아시아계 연주자들을 중심으로 구성되는 비상설 관현악단인 [[아시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음악 감독도 맡고 있으며, [[대한민국]] [[인천]]과 [[서울]]에서 매년 정기적으로 공연하고 있다.
         == 결혼 및 가족 ==
         정명훈은 19세 때부터 누나 [[정명화]]의 시누이로 다섯 살 연상의 구순열을 짝사랑했고, [[가족]]에게 숨긴 채 교제를 했다.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에서 받은 상금 3000루블로 비행기 티켓을 사서 [[카리브 해]]로 밀월여행을 떠나기도 했다. [[1979년]] [[부모]]의 허락을 받지 못한 채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에서 [[결혼식]]을 올렸고 식에는 어머니 이원숙 여사만이 참석했으나 나중에는 [[부모]]에게도 인정받았다.<ref>황호택, 《신동아》 [[2004년 2월]]호</ref> 부인과의 사이에서 세 아들 정진, 정선, 정민을 두고 있다.
  • 페어리 테일/527화 . . . . 5회 일치
          * 제레프는 [[라케이드 드래그닐]]을 없애버리고 자신은 가족도 행복도 허락되지 않은 존재라며 자학적인 말을 늘어놓는다.
          그러나 그는 존재만으로 다른 사람을 죽이는 저주받은 몸이다. 결국 그런 것은 허락되지 않았으며 희망을 걸었던 메이비스도 결국 죽음으로 몰아넣었다. 그는 자신은 가족을 가지는 것도 행복해지는 것도 허락되지 않은 인간이라고 자학한다. 그 말을 듣던 나츠가 제레프의 멱살을 쥐면서 외친다.
          >가족이란 건 그런게 아니잖아! 허락하고 안 하고가 아냐!
          >네가 행복을 만들라고! 그게 가족이잖아!
          >네가 가족이 없다면... 아주 조금 남아있던 인연도 여기까지네.
  • 화장실의 하나코 씨 . . . . 5회 일치
         1937년, 토오노에서 어느 가족이 있었다. 아버지는 경찰관이며, 아내와 아들, 두 딸로서 5인 가족이었다. 이 가족은 토오노 초등학교 바로 뒷편에 있는 경찰 관사에서 생활하고 있었다. 경찰관인 아버지는 여자 버릇이 나빠서, 어느날 창녀와 둘이서 온천 여행을 떠났다. 그것을 알게 된 아내는 질투한 나머지, 가족동반자살을 하고 말았다. 먼저 아들과 둘째 딸을 교살했는데, 초등학교 5학년 이었던 이쿠코(いく子)는 무서워서 관사에서 학교로 도망쳐서 체육관 뒤에 있던 공동 화장실에 숨었다.
         그런데 그것을 청소부 아저씨가 목격하였고, 어머니가 찾아와서 무서운 얼굴로 딸이 어디로 갔는지 물어보자 아저씨는 이쿠코가 화장실 개인실 안쪽 세번째 칸에 있다고 말해버렸다. 어머니는 무서워하는 이쿠코를 데려갔는데, 다음날 아침 가족은 동반자살한 사체로 발견되고 말았다.
  • 김미숙(1959) . . . . 4회 일치
         || '''가족''' ||<(> 1남 4녀 중 [[장녀]], 남편, 슬하 1남 1녀 ||
         그리고 2009년 연기 인생 처음의 악역이라 일컫는 <[[찬란한 유산]]>으로 드라마에서의 제2의 전성기를 맞는다. 진정한 노블리스 오블리제란 무엇인가를 주제로, 가족애와 성장드라마를 짬뽕한 이 드라마는 시청률 40%를 넘기며 큰 히트를 기록한다. 여기서 김미숙은 '''"정말 악역을 안 할 것 같은 배우"'''의 얼굴로, 징그러울 정도로 현실적인 백성희를 완벽하게 소화한다. 그 해 연기대상 최우수상 수상. 언제나 선하고 호감가는 역할만 하던 김미숙에게는 처음으로 욕을 먹는 경험(?)을 하게 한 작품이라고.[* 신선한 악역 연기에 찬사를 보내자 김미숙은 인터뷰에서 "다들 내가 이런 역할 못할 줄 알았나봐"라며 우스갯소리를 하기도.]
          * 굉장히 오래 된 '''여성 스토커'''가 있다. 90년대 초반부터 촬영장마다 나타났는데 점점 도가 지나쳐 유치원이나 집까지 들어왔다고. 웬만하면 선처를 하려고 했으나 스토커가 본인의 뜻대로 풀리지 않자 돈을 요구하거나 가족들의 안위까지 위협해 결국 경찰에 신고하게 되었다고 한다. 아직도 몇 년을 주기로 나타나기는 한다는 썰. ~~소오름!~~
          * [[1992년]] [[동부대우전자]] 신대우가족
  • 김영철(배우) . . . . 4회 일치
         || '''가족''' ||<(> 아내 이문희[* 미스롯데 출신이자 TBC 공채 20기 연기자이다. 김영철은 공채 18기. 3년간의 연애 끝에 1981년 결혼했다.], 2남 ||
         [[주현]]이 주인공으로 나오고 [[양동근]]의 출세작인 1992년작 KBS 드라마 [[형]]에서 고생 끝에 출세한후 냉혹한 인간으로 변신하는 동생 역할을 맡았다. 정확하게 말하면 고아출신인데 막노동꾼으로 동생을 공부시키는데 전력한 형의 밑에서 현실을 비관해서 운동권에 투신해서 감옥에 갔다온 후, 냉혹한 사업가로 변신해서 가족도 떠나가는 역할이었다.[* 자신의 형을 거둬 먹여준 은인에게 부동산 사기를 치기 까지 했다.] 마지막회 마지막 장면에서 형을 생각하면서 [[하모니카]]를 부는 장면은 명장면으로 남아 있다.
         MBC주말드라마 [[가화만사성(드라마)|가화만사성]]에서는 [[봉삼봉]] 역할을 맡았는데 따뜻하지만 무뚝뚝한 전형적인 가부장적인 아버지의 모습을 연기했다. 가족들과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 마음의 어긋난 벽이 무너지고 마침내는 아내를 위해 마음을 표현 방법에 있어서도 자상하게 변하는 봉회장 그자체로 열연하여 보는 이들로 하여금 큰 울림을 이끌었다. 다만 중간중간 극중 캐릭터 붕괴로 이기적이고 자기주장만 관철하는 부분도 많이 나왔는데, 그런것도 굉장히 잘 어울렸다.
         2017년 초에는 KBS 주말드라마 [[아버지가 이상해]]에서 타이틀 롤인 아버지 변한수 역을 맡게 되었다.[* 드라마 오프닝에도 첫 등장.] 여기서는 평생 일과 가족밖에 모르고 산 그야말로 부정의 끝판왕. 과거 카리스마를 겸비한 강한 역할을 많이 맡던 김영철이 이런 가정적인 캐릭터도 잘 소화하는 것을 보아 그의 연기폭이 얼마나 넓은지를 알 수 있다. 주로 카리스마 있는 역할을 많이 맡았는데도 불구하고 자상한 아버지 역할에 아무 위화감이 없다. 여담으로 이 극에서 딸인 변혜영 역은 이전 출연작인 가화만사성에서도 김영철의 딸 [[봉해령]] 역으로 출연한 배우 [[김소연(배우)|김소연]]이 맡을 예정이었으나 하차하고 대신 [[이유리(배우)|이유리]]가 그 역을 맡게 되었다. 회차가 거듭될수록 숨겨진 비밀이 드러나는데.. 여담으로, 자신을 생부로 착각하는 [[이준(배우)|이준]](안중희 역)의 모친이 [[김서라]](안수진 역). 두번의 [[공주의 남자|전]][[세상 어디에도 없는 착한남자|작]]에서 '''아내'''..
  • 닥터 시바나 . . . . 4회 일치
         설정에 따라서는 재벌 설정도 붙었으며 이 시기에는 [[렉스 루터]]에게 주식 사기를 치기도 했다. 가족들도 있다.
         New52에서도 등장하며 이전의 시바나와 달리 악인이 아니며 외모도 대머리에 안경 외에는 인상이 달라졌다. 가족을 구하기 위해 [[마법]]을 찾아해매며 이때 블랙 아담의 무덤을 조사하다 번개에 맞아 마법을 보는 눈을 얻었다. 이 눈을 이용해 블랙 아담을 부활시키고, 그를 미국으로 안내한다. 이후 흩어져있던 7대 죄악을 모아 블랙 아담의 앞에 대령한다.
         블랙 아담이 사라진 후에는 아담이 락 오브 이터니티의 문을 연 곳으로 향하는데 안에 들어가려 해도 보이지 않는 장멱 탓에 그러지를 못했다. 과학은 자기 가족을 구하는데 실패했으니 이젠 마법이라며 들여보내달라 하고, 그런 그에게 방 안에 봉인되어있던 미스터 마인드가 말을 걸어온다.
         마법을 보는 눈을 얻은 후에는 이 눈을 통제하지 못해 본인이 타격을 입었다. 그래서 미스터 마인드와 만났을 때에는 New 52 이전의 시바나와 비슷해졌다. 생각해보면 본래 선인이었던 시바나가 타락해 악인이 되간다고 해석할 수도 있겠다. 한편 가족들을 구할 희망을 마법에 걸었는데 어째서인지 본인은 마법 때문에 몰골이 말이 아니게 되었다.
  • 도영(1996) . . . . 4회 일치
         ||<#FF0133><:>'''{{{#white 가족}}}'''||<(> [[부모님]], [[형]] [[공명(배우)|공명]] ||
         ||<#FF0133><:>'''{{{#white 종교}}}'''||<(> [[개신교]][* 그의 가족 모두가 교회를 다니는 걸로 알려져 있다. 형인 [[공명(배우)|공명]] 포함.] ||
          * 영화 취향은 가족 영화라고 하며 엑스맨:데이즈 오브 퓨쳐패스트를 재미있게 보았다고 한다. 명절에 다시 보면 좋을 영화로 해리포터 시리즈를 추천한 적도 있다. [* 팬싸인회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해리포터에서 가장 좋아하는 배역은 헤르미온느.] 어벤져스:인피니티 워를 본 이후로 [[https://www.youtube.com/watch?v=9BlLLxzdEQM|마블 시리즈를 정주행]]하고 있다고 한다. 어벤져스 4가 1년 후에 나온다는 것을 [[공명(배우)|친형]]에게 듣고 열심히 기다리고 있는 중이라고.[* 참고로 도영의 마블 최애는 닥터 스트레인지. 루키즈 시절 문답에 따르면 어릴 적 좋아했던 히어로는 스파이더맨이라고.] 어린 시절 좋아했던 애니메이션 영화는 벅스 라이프.[[https://www.youtube.com/watch?v=42086v2MrNI|영상]] [* 그 중 모 애벌레 캐릭터를 특히 좋아했던 것 같다.]
          * 그런데 최근에는 드림 최애를 [[제노(NCT)|제노]]라고 밝혔다. 마크는 이제 팬이 아니라 가족이라고. 그 말대로 2018년부터 [[https://www.youtube.com/watch?v=0GWNEULN1nQ|제노에 대한 사랑]]을 엄청나게 표현하는 중이다. 팬파티 다시 쓰는 프로필 코너에서 좋아하는 것으로 밥, 잠, 침대와 함께 제노를 골랐고 제노의 생일 날 트위터에 올라온 단체 영상에서는 영상 내내 폴짝폴짝 뛰며 하트를 날렸다. 이 단체 영상 외에도 따로 영상을 직접 찍고 사진도 '''직접 꾸며서''' 업로드 했을 정도. 제노의 생일 선물로는 전기면도기를 사주었다고 한다. 또 제노가 The Show 엠씨가 되었을 때 축하 문자를 제일 처음 보낸 것도 도영이다. 그 외에도 최애를 향한 사랑을 드러내는 일화가 너무 많다(...) [[https://www.youtube.com/watch?v=GS24mhGhw-c|제노 한정 주접 모먼트]] 참고로 제노가 도영의 최애가 된 계기는 데뷔 전 도영이 작은 루키즈[* 지성이는 가지 않았고 천러, 런쥔이는 아직 입사 전이었던 시절. 제노, 해찬(당시에는 동혁이었다), 재민과 그 외에 어린 연습생이 몇 명 더 있었다고 한다.]를 데리고 한강에 놀러갔던 경험 때문. 당시 사춘기 소년들 답게 말을 정말 안듣던 아이들 사이에서 유일하게 말을 잘 들어주던게 제노였다고 한다. 최애를 향한 도영의 사랑이 통했는지 2018 멤버들 중 한 명만 DREAM에 넣을 수 있다면 누구를 넣겠냐는 질문에 제노가 도영이라고 대답했으며 '이 멤버는 OO한 사람이다'라는 질문에서 도영을 친형같다고 표현하였다.
  • 마리아 루이사 테레사 드 파르마 . . . . 4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소녀 시절의 초상화는 상당히 미인인 편이지만, 아이를 많이 낳은 탓인지 미모가 쇠퇴하여 중년 이후에는 상당히 심술궃은 아줌마(…) 같은 외모의 초상화가 많다. 1765년 작 파르마의 마리아 루이사 초상화[* http://www.ozmall.co.jp/art/list_mitsubishi.aspx]와 1800년 쯤에 그려진 카를로스 4세 가족[* http://www.salvastyle.com/menu_romantic/goya_familia.html]의 그녀의 모습은 상당히 대조적.
          * [[프란시스코 드 고야]]가 그린 「카를로스 4세 가족(Familia de Carlos IV, 1800-1801)」에서, 제목이 된 국왕을 제치고 중앙에 당당한 포즈로 배치되어 있어 그녀의 정치적 위상을 잘 드러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마리아 루이사 자신도 고야의 초상화를 좋아했다고 한다.
  • 맥스 페인 2: 맥스페인의 몰락/줄거리 . . . . 4회 일치
         >과거는 퍼즐이다. 깨진 거울과도 같다. 조각을 모으려고 하면 손을 베인다. 이미지가 바뀐다. 그로인해 당신은 바뀐다. 그것은 당신을 박살낼 수도, 미치게 할수도 있다. 당신을 자유롭게 할수도 있다. 당신은 어떤 결과를 불러올지도 모르면서 선택한다. 가족에게 돌아가려 하지않고 [[알렉스 볼더|친구]]와 수다를 떨던 것 처럼 말이다. 그녀에게 키스, 나는 냉혹한 법의 원인과 결과를 생각했다. 난 두려웠다. 하지만 난 처음부터 시작했다. 범죄현장으로의 내 발걸음을 따라갔다.
         맥스는 취조실에 앉아있다. 윈터슨과 브라부라가 모나의 몽타주를 보여주며 맥스가 무슨 짓을 했는지 다 털어놓으라고 요구한다. 맥스의 가족이 죽은건 맥스 탓이라고 말하기 시작한다. 맥스는 전화를 받겠다며 일어난 후, 책상에 놓여있던 권총을 집어든다. 그러고는 브라부라와 윈터슨을 쏴죽인다.
         다시 시점은 맥스에게 넘어간다. 맥스와 [[비니 고그니티]]를 붙잡은 [[블라디미르 렘]]은 맥스를 은신처로 끌고온다. [[스쿼키 청소회사|청소부]]의 대사에 따르면 인형탈의 머리가 너무 커서 비니는 못 끌고오겠다고. 블라드는 맥스에게 권총을 겨누며 아이러니하지 않나고 물어본다. 맥스가 질문을 이해하지 못하자, 그는 맥스의 가족을 죽게 한 사람은 [[알프레드 우든]]이라고 말한다. 우든이 지방 검사를 협박하기 위해 발할라 계획의 파일을 보냈고, 지방 검사 밑에서 일하던 맥스의 아내가 그걸 봄으로써 가족이 몰살당했다는 것. 블라드는 [[모나 색스]] 또한 우든의 부하로 블라드와 같은 편이었던 이너 서클 회원들을 암살했다고 주장한다. 맥스는 그 말을 웃어넘기지만, 블라드는 윈터슨의 복수를 하겠다며 맥스의 머리에 총을 쏴버린다.
  • 몽키 D. 루피 . . . . 4회 일치
         ||<:>해적단 가족 포지션||<:>사남||
         가족 인맥 덕을 본 사례는 쿠잔에게 패배하고도 살해당하지 않은 것과 반란군의 간부인 쿠마와 이완코브에게 받은 도움. 아오키지의 경우는 첫 싸움에서는 확실히 가프 덕에 살려준 것이 맞지만 최종적으로 에니에스 로비 전이 끝난 이후에 밀짚모자 일당을 내버려두고 떠난 것은 루피가 수틀리면 세계를 멸망시킬 수도 있는 로빈을 맡겨둬도 될 만한 인물이라고 인정했기 때문이다. 이반코프의 경우도 드래곤의 아들이라는 말을 듣고 도와주기는 했지만 사실상 루피가 보여줄 수 있는 증거는 자신이 이스트블루 출신이라는 사실 하나밖에 없었으며 나머지는 이완코브가 임펠다운에서 루피가 벌인 행적을 보아 루피가 드래곤의 아들이라고 스스로 납득한 것이다.[* 게다가 버기와 루피 탓에 서내 시스템이 어느 정도 마비된 상태에서 징베나 크로커다일 같은 거물까지 섭외했는 데도 똥줄타면서 아슬아슬하게 빠져나갔다는 점에서 생각해보면 루피와 함께 탈옥한 것은 이반코브에게 있어서도 좀처럼 오지 않을 좋은 기회였다.] 결국 아버지 이름만으로 일방적으로 도움을 받은 것은 샤본디 제도에서 쿠마의 도움을 받아 탈출한 일밖에 없다.
         더불어 이름만 말해도, 누구나 알 만한 전설적인 인물들과도 인맥이 있다. 징베나 행콕 같은 인물들과 다른 점이라 한다면 대부분이 루피 이상 정도가 아니라 아예 만렙에 달해있는 인물들이다. 이 경우는 루피가 도움을 주고 말고 할 여지가 없는 경우가 많아서 상대방 쪽에서 일방적으로 마음에 들어하고 일방적으로 도움을 준다. 물론 그 수가 많지 않다. 가장 대표적인 인물로 루피, 인맥, 거물 세 키워드만 넣어도 떠오르는 인물인 [[실버즈 레일리]]. 나머지는 사황 샹크스와, 가족관계인 가프와 드래곤 정도밖에 없다. 가프와 드래곤에게는 이러저러 간접적으로 도움을 받고 있지만 드래곤은 아직 본격적으로 등장 자체를 하지 않았고 가프도 군인이어서 나름 철저한 면도 있는 사람이라 가프 본인과 그 지인들에게는 진심으로 공격을 받지 않는다는 것 정도밖에 없다. 물론 이것만으로 정상결전 생존률은 대폭 상승했겠지만(…) ~~내 손자가 아니라 나대는 새내기 해적 A였으면 공중에서 고무폭죽이 되어서 산화했다.~~ 가족 덕을 제대로 보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 산킨고타이 . . . . 4회 일치
         [[에도 시대]]에 시행된 제도. 다이묘들이 에도에 처자를 두고 본래 부임 영지와 에도를 왕복하도록 한 제도이다. 지방의 다이묘들로 하여금 가족들은 에도에 머물게 하는 한편 다이묘 본인도 1년은 에도에, 1년은 본래 번에 있도록 정하고, 반복해서 오가도록 한 제도이다. 각 다이묘들은 에도에 출장소를 만들게 된다.
         이전부터 사무라이들은 일종의 군역으로서, 중앙에 상경하여 귀인을 호위하는 관습을 가지고 있었다. 헤이안 시대에는 교토대번역(京都大番役)이라고 하여 지방무사들이 교토에 상경하여 호위를 맡는 관습이 있었다. 가마쿠라 시대에는 가마쿠라 대번역(鎌倉大番役)이라고 하여 가마쿠라에도 상경하도록 어성패식목(御成敗式目,가마쿠라 시대의 무가법률)에 지정되어 있었으며, 교토에 상경하여 호위하는 임무도 무사들마다 균등하게 분배하였다. 이러한 관행은 일본에서 어느 정도 통일 세력이 나타날 때마다 반복되었으며, 도요토미 히데요시 정권에서도 오사카에 각 영주들을 상경하여 주둔하고 가족을 인질로 두게 만들었다.
         일반적으로 행렬을 통해 각 번의 경제력을 소모시켜 반란을 막는 것이 목적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이는 결과론적인 얘기로, 실제 모반 방지는 다이묘의 가족들이 에도에 머무르는 것으로 충분했고, 다만 다이묘들이 체면을 중시하여 행렬을 화려하게 꾸미는 것에 집착하는 바람에 결과적으로 과도한 지출로 이어진 것이다.
         이러한 인질 정책 때문에 오히려 다이묘의 가족(본처와 적자)들은 지방 영지에 내려가지는 것이 금기시 됐다. 그래서 다이묘들은 지방에 [[첩]]과 [[서자]]를 두는 것이 보통이었다.[* 막부 말기에는 이 금제가 해제되었는데, 그 때문에 인질 걱정없이 반란을 일으켜 메이지 유신이 일어날 수 있었다(…).] 그래서 초기에는 본래 영지가 지방에 있는 다이묘가 '상경'하는 현대의 관점에 맞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으나, 후기에는 오히려 본래 수도 출신이었던 다이묘가 지방으로 '하향'하는 이미지에 가깝게 된다. 다이묘들은 대부분 에도에서 태어나서, 유년기를 에도에서 지내게 되었기 때문이다. 다만, 적자가 대를 이을 수 없는 경우가 되서 지방에 있던 서자가 대를 이어받게 된 경우라면 '상경'하는 이미지가 될 것이다.
  • 심양홍 . . . . 4회 일치
         ||가족||슬하 1남 1녀||
         현대극에서는 [[김정수(각본가)|김정수]] 작가의 드라마에 단골로 출연하는 편이었다. [[엄마의 바다]], [[그대 그리고 나]], [[그 여자네 집(드라마)|그 여자네 집]], [[민들레 가족]] 등이 해당된다.
          * [[민들레 가족]] - 부회장
          * [[한지붕 세가족]] - 민요섭
  • 어쌔신 크리드 III/등장인물 . . . . 4회 일치
          마서스비니어드에 위치한 여관의 주인. 대가족의 장녀로 태어났다. 술집 종업원으로 일하던 도중 로버트 폴크너와 처음 만나 사랑에 빠진다. 둘은 서로 편지를 주고받는 관계까지 갔으나 폴크너가 암살단에 들어가 자취를 감추면서 시망.
          버지니아 출신 사냥꾼 겸 측량사. 보스턴에서 영국군의 악행을 보고는 애국자를 지지하게 되었다. 가족들은 전부 왕당파 지지자라고. 보스턴 남부에서 강제 징집 당한 사람들을 구조하면 영입된다.
          나무꾼들. 벌목 작업 중 강에 떠내려간 테리를 코너가 구조하며 알게 되었다. 각자 가족이 있으며 가족과 함께 한 집에서 생활하고 있는 듯. 자주 투닥거린다.
  • 원피스/856화 . . . . 4회 일치
          * 상디는 쓰레기같은 가족이라도 구해주고 싶다고 고백하고 루피는 그거야말로 상디다운 일이라며 그들이 식을 엉망으로 만들자고 제안한다.
          >셋, 피가 이어진 악의 가족이 빅맘의 함정에 거렸다.
          상디는 비록 쓰레기 같은 가족이더라도 버리고 도망칠 수는 없다며, 이상의 세 가지 이유로 같이 돌아갈 수 없다고 못을 박는다.
          >가족이라는 생각도 안 드는 그 쓰레기들을
  • 원피스/858화 . . . . 4회 일치
          * 하지만 로라는 정략결혼을 피해 도망쳤고 관계개선은 없던 걸로, 빅맘은 거인족을 가족으로 만드는걸 포기하고 거인화 약물을 추구하게 된다.
          * 시폰은 로라가 어째서 결혼상대를 찾아 바다로 나갔는지 경위를 설명해준다. 빅맘은 어떤 이유 때문에 전세계 거인족들과 적대하고 있었다. 지금도 토트랜드에 거인족은 없는건 그때의 일 때문이다. 콜렉터인 빅맘에겐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다. 하지만 딱 한 번 관계를 개선할 기회가 있었다. 엘바프 족의 왕자 "로키"가 로라를 보고 한 눈에 반해서 청혼했기 때문이다. 이 결혼이 성사된다면 빅맘과 거인족 간의 원한은 단숨에 해소되는 데다 빅맘은 세계 최강국 엘바프의 강력한 군사력과 거인족 가족이 생긴다.
          문제는 로라의 의향. 로라는 정략결혼의 희생양이 되고 싶지 않았고 자유를 찾아 바다로 떠났다. 이후 로라와 똑닮은 시폰이 대신 약혼자로 제시되기도 했지만 "로라가 아니다"라는 이유로 거절, 오히려 사이는 이전보다 악화됐다. 빅맘은 이 사건을 계기로 진짜 거인족을 가족에 넣는건 포기, 인간을 거인화시키는 연구에 몰두하게 된다. 그리고 로라는 "배신자"로 간주되어 분노가 날로 증폭, 지금 토트랜드에선 그녀가 범죄자로 취급되고 있다.
          >로라의 몸도 위험해. 내 가족은 벳지와 펫츠! 그 뿐이면 돼.
  • 유동근(배우) . . . . 4회 일치
         ||<:><#cccccc> '''가족''' ||<(> 아내 [[김을동]], [[송일국]] , [[송송이]] ||
         [[강원도]] [[고성군(강원도)|고성]]에서 태어나 [[인천광역시|인천]]에서 성장했다. [[서울예술대학|서울예대]] 연극과 출신으로 사극 [[용의 눈물]], [[장녹수]], [[명성황후]], [[연개소문]], [[정도전(드라마)]] 등에 출연하고 그 외에도 [[드라마]] [[야망의 전설]], [[애인]], [[아내(드라마)|아내]], [[에덴의 동쪽(2008)|에덴의 동쪽]], [[민들레 가족]] 등에 출연한 배우다.
         정도전이 종방한 후 정말 짧은 휴식기를 가지고 바로 [[주말 드라마]] [[가족끼리 왜 이래]]에 출연하였었다. 바로 전작에서 박력 넘치는 무골 이성계를 연기했던 것과 정 반대로 여기서는 나이들어 쓸쓸함을 느끼면서도 자식 걱정에 마음을 쏟는 순박한 아버지 [[차순봉]] 역할로 나와서 정도전의 여운이 가시지 않은 채 보면 엄청난 괴리감을 받게 된다. 달리 말하면 유동근이라는 배우의 연기력과 그 스펙트럼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 그야말로 1년 내내 KBS 드라마의 주역으로 미칠듯한 활약을 했고 그 열연의 결과로 2014 [[KBS 연기대상]] 대상을 수상, 3번째 대상의 영광을 품에 안았다. 이번 대상을 수상한 당시 나이 만 58세로 [[김혜자]]의 뒤를 잇는 최고령 연기대상 수상자로 남자 배우 중에선 두번째로 최고령 수상자.[* 2014년 수상 당시에는 남자배우 중 최고령 수상자였으나, 2017년에 [[아버지가 이상해]]에서 열연한 [[김영철(배우)|김영철]]의 대상 수상으로 그 기록이 깨졌다.(수상 당시 만 64세.)]
         || 2014년 || KBS 연기대상 || '''대상''' || [[정도전(드라마)|정도전]], [[가족끼리 왜 이래]] ||
  • 은지원 . . . . 4회 일치
         ||<#000000> '''{{{#FFFFFF 가족}}}''' ||<(> 아버지 은희만([[1929년|1929년생]])[* 2018년 9월 5일 별세][br]어머니 김성아([[1954년|1954년생]])[* 본명은 '김금자'며 과거 은지원 팬들의 현수막에도 '은지원 나랑 결혼하자! 김금자 씨 허락해 주세요.'(...)라는 문구가 있었다.][br]3남 2녀 중 [[3남|다섯째]][* 부모님이 재혼. 아버지 쪽으로 그렇다. 어머니 쪽으로는 [[무녀독남]]이다.][br]진외당고모 '''[[박근혜]]'''[* 이 글을 보고 있는 본인이 생각하는 그 박근혜가 맞다. 은지원의 진외종조부가 [[박정희]]이고 박근혜가 그 딸이니 고모가 된다.] ||
         == 가족 관계 ==
         2012년 KBS 2TV ‘김승우의 승승장구’에 출연하여 [[박근혜]]에 대해 '''힘든 일을 극복하고 지금까지 손을 놓지 않고 계속하는 것을 보면 존경스럽다'''며 칭찬하였으며, '''정치적 성향을 떠나 가족으로서 고모를 지지한다'''고 밝혔다.[[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004&oid=016&aid=0001167237|#]]
         결국, 박근혜가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태어나서 두번째[* [[10.26 사건|10.26]]이 [[1979년]], 은지원이 [[1978년]]생이므로 1년 동안 대통령의 친인척이였다.]로 대통령 친인척에 포함되었다. 이런 집안 환경 탓인지 철없이 보일지 몰라도 평소의 행실은 꽤 좋다고 한다. [[1박 2일]] 멤버들 중 유일하게 [[한복]]을 제대로 입은 멤버이기도. [[박근혜]]가 파면되면서 다시 대통령 친인척에서 지정해제되었다. 고모가 '''박근혜'''라서 그런지 최근에도 안티가 다시 많아졌다. 비록 자주 만나지 않았더라도 박근혜가 대통령이 된 이후에 출연료가 어느 정도 올랐다고 은지원이 직접 말했다. 같이 사진을 찍은 것도 있으며 특혜는 안 받았어도 가족이었던 만큼 특히 이것은 평생 지고갈 짐이기도 한다. 여담이지만 97년 은지원이 데뷔한 이후 1년뒤에 [[박근혜]]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면서 정계에 입문을 했었다.
  • 은혼/576화 . . . . 4회 일치
         * 가구라는 "너희들이 아무리 바보같은 짓을 하려 해도 몇 번이든 멈춰주겠다해. 돌아가자. 평범한 가족으로."고 한다
         "너희들이 아무리 바보같은 짓을 하려 해도 몇 번이든 멈춰주겠다해. 돌아가자. 평범한 가족으로."
         * 카무이의 회상은 몇 화 뒤에 나오는 가구라 가족의 과거사와 정확히 같은 구도.
         * 가구라 가족의 어두운 과거가 드러나기 시작한다.
  • 은혼/582화 . . . . 4회 일치
         * 카무이는 "당신의 가르침대로 가족을 지키기 위해 강해졌고 가족이 아니더라도 가족을 지키겠다"며 멈추지 않는다.
         * 가족을 버리고도 어머니를 지키지 못했던 자신에겐 "그 남자"를 넘어서는 것 밖에 남지 않았다며, 그러니 지나가게 해달라며 가구라에게 일격을 날린다.
  • 은혼/587화 . . . . 4회 일치
          * 아부토는 가구라 집안 문제엔 관심이 없다면서도 "(가족을 죽일 거라면)네가 직접 하라고 단장"이라며 카무이를 힐난한다.
          * 야토의 힘에 몸을 맡길 정도로 가족과 싸우는 것이 아팠냐고 하면서, "이들도 아픈건 마찬가지지만 그걸 견뎌내면서 너와 싸운 것. 가족을 위해서"라고 말한다.
          * 사실 아부토는 과거 카무이가 가족을 버리던 시절의 일을 마음에 담아두고 있었다.
  • 은혼/589화 . . . . 4회 일치
          * "혼자 돼서도 계속 어머니 곁에 있었고 뿔뿔히 흩어진 가족과 같이 싸우고 했던 여동생"에게 질 수는 없다고 중얼거린다.
          * 눈을 감기 직전 그녀는 카무이를 보고, "드디어 가족 네 사람이 다 모였다"며
          * 어떻게 해도 떨쳐낼 수 없는, "마미의, 우리들의 가족"
          * 카무이는 지금까지 부정하고 있던 "오빠", 즉 "가족"이라는 인연을 인정하게 되었다.
  • 은혼/654화 . . . . 4회 일치
          아네는 사다하루가 지키고 싶은건 해결사 일행, 진짜 가족들이라고 생각한다. 그런건 당연한 일이었다. 아네는 다시는 사다하루를 버리지 않겠다는 약속과 함께 "반드시 가족에게 돌려보내주겠다"는 약속까지 맺는다. 그러니 끝까지 함께 해달라는 말을 하며 머리를 쓰다듬어 주는데... 어째 사다하루가 심하게 작아졌다?
          * 사다하루의 가족들도 뛰고 있었다. [[사카타 긴토키]], [[가구라]], [[시무라 신파치]]는 사다하루를 찾기 위해 무작정 뛰었다. [[이마이 노부메]]가 뒤따르고 있었다. 그때 지축이 뒤흔들리는 소리가 들렸다. 지진이 다시 시작됐다. 용맥이 다시 폭주하는 징조였다. 선두에서 달리던 가구라는 사다하루가 막고 있는데 그럴리 없다며 발걸음을 멈추지 않았다. 만일 그런 거라면 사다하루에게 무슨 일이 생겼다는 말이 된다. 노부메는 가구라를 진정시키듯이 지금까지 안정된건 용맥의 지류일 뿐이고 "본류", 즉 용혈은 그대로 있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이렇게 땅울림이 이는 걸로 봐선 우츠로가 무슨 짓을 벌인 걸지도 모른다고 하는데.
          우츠로가 양이 사천왕도 방치하고 있는 마당에 친히 처치하러 나와서 주역급 주목도를 받았다. 열심히 뛰어댕긴 덕에 에도를 날려먹을 것 같았던 용맥의 폭주는 진정. 하지만 본류에 해당하는 용혈 그 자체의 폭주는 아직도 남아 있다. 아네는 한때 사다하루를 버리고 일족의 사명도 팽개쳤던 관계로 죄책감이 심한 것 같은데, 그렇기 때문에 사다하루를 반드시 가족들에게 돌려보내주겠다고 약속하기도 한다. 그런데 하필 그때 사다하루와 코마코가 검력을 너무 소진해 쪼그라든걸 발견했고 덮친격으로 우츠로의 시생인 부대까지 습격하면서 치명사을 입는다. 일단 모네가 데리고 열심히 도망쳤는데, 결국 용혈은 손 쓸 수 없는 상태로 돌입하고 앞으로 코마코와 사다하루가 계속 검력을 쓰면 아예 존재가 사라질지 모르는 위태로운 처지에 처한다.
  • 일곱개의 대죄/198화 . . . . 4회 일치
          * 할리퀸은 디안느와 마트로나 가족들을 요정왕의 숲에서 보호해주고 있었는데 그로키시니아나 드롤의 움직임이 너무 없어 이상하게 생각한다.
          * 디안느는 마트로나 가족들과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데 게라이드는 할리퀸에게 기묘한 시선이 느껴진다고 보고하지만 정확하게 설명은 하지 못한다.
          * 디안느는 요정왕의 숲에 자신과 마트로나의 가족들을 숨겨준 것을 감사하며 어째서 요정왕의 숲은 안전한 건지 묻는다. 할리퀸이 답하길 원래 요정왕의 숲 전체는 침입자를 선별하는 결계를 치고 있는데 설사 십계라 해도 이걸 뚫는건 불가능하다고 한다. 하지만 마신족은 그렇다쳐도 선선대 요정왕 그로키시니아, 거인의 왕 드롤도 아무런 접근이 없는걸 꺼림직하게 여긴다. 그들이라면 요정왕의 숲을 침입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인데, 멜리오다스의 죽음 이후 이상할 정도로 움직임이 없다.
          * 마트로나의 가족들은 요정왕의 숲에 잘 적응하고 있다. 아이들은 오슬로와 어울려 노는데 바깥 일 같은건 모르는 것 같다.
  • 정종원 . . . . 4회 일치
         == 가족관계 ==
         == 남북이산가족 위기 ==
         부인 신양정은 감시망을 피해 대동강에서 나룻배를 얻어 서해바다를 거쳐 6일 만에 서울로 돌아왔다. 정종원은 하마터면 가족을 잃고 이산가족이 될 뻔했던 위기를 천신만고 끝에 넘겼다.
  • 최정원(1981년 4월) . . . . 4회 일치
         || '''가족''' ||<(> 1남 3녀 중 장녀^^(동생 최정민)^^ ||
         2015년 신규 예능 [[용감한 가족]]에 출연이 확정됨으로서 첫 예능 출연을 하게 되었다.[* 시즌 1에만 출연하고 스케줄 문제로 하차했다. 시즌 2에는 배우 [[박주미]]가 대신 출연하였다.] 그런데 역시 예능 출연이 처음이어서인지 별다른 예능감은 보여주지 못했다.
         2016년에는 [[마녀의 성]]으로 오랜만에 드라마에 출연했는데, 비주얼적으로 상당히 소름돋는 역변을 보여주어 시청자들을 안타깝게 했다(...) ~~작년에 용감한 가족 나왔을때도 저정도는 아니였는데~~ 비주얼뿐만 아니라 연기적으로도 혹평이 대다수.
          * 2015년 [[용감한 가족]]
  • 타쿠마 마모루 . . . . 4회 일치
         범인 타쿠마 마모루는 1963년에 이케다 시의 서쪽에 있는 이타미시(伊丹市)에서 출생했다. 가족은 아버지, 어머니, 그리고 7살 차이가 나는 [[형]]이 있었다. 6학년 때 오사카 교육대학 부속 이케다 중학교에 수험을 하고자 했으나, 모의시험 결과가 나빠 포기하였다. 중학교 때부터 가정폭력을 받게 되었다. 중3때는 칠판에 자신의 경력이나 "[[항공자위대]]에 들어가겠다."고 쓰고 [[군가]]를 노래하는 등의 기행을 벌였다. 하지만 동급생들은 무시했다. 이 때부터 "나는 IQ가 높다."고 말했으나, 성적은 중하위권에 머물고 있었다.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가족 ==
  • 토리코/395화 . . . . 4회 일치
          * 예식의 마지막엔 미도라의 식혼이 등장. 수백년 만에 이들 가족이 "모두 둘러앉은 저녁식탁"에 모이게 된다.
          * 토라코와 코마츠는 미도라의 묘를 정한다. 작고 이름도 없는 비석 앞에 토리코가 가져온 식재가 놓여있다. 원래는 이치류와 지로가 묻힌 식몰의 곶으로 정했지만 미도라의 식혼의 의향에 따라 삼형제가 수행하던 땅에 묻힌다. 추억이 깃든 곳이기도 하지만 "형제가 같이 묻혀봐야 저세상에서 싸우기 밖에 더 하냐"는 말을 했다. 미도라는 아예 무덤도 필요없다고 했지만 토리코가 매주 풀코스를 가져다 주겠다고 했더니 마지못해 이곳을 지명한 것이다. 항상 가족과 함께 있는 기분이 들기 때문에.
          목석같이 딱딱하던 미도라의 눈에서 기쁨의 눈물이 흘리넘친다. 미도라도, 그리고 그의 가족들도 젊었던 그 시절로 돌아간다. 수백년의 시간을 거쳐 마침내 가족은 다시 한 식탁에 모였다. 토리코와 코마츠, 그리고 살아남은 세츠노 모두 행복한 마음으로 그 풍경을 지켜보고 있다.
  • 트로피코 4 . . . . 4회 일치
          * 체포 - $1,000 소모. 교도소나 지하 감옥 필요. 경찰관이 해당 시민을 토끼 몰듯 몰아서 교도소나 지하 감옥에 처박는다. 대상은 5년간 수감된다. 대상과 그 가족들의 존경심이 떨어진다.
          * 뇌물 - $1,000 소모. 은행 필요. 은행원이 해당 시민에게 뇌물을 먹인다. 대상과 그 가족들의 존경심이 증가한다.
          * 이단 - $500 소모. 성당 필요. 성직자가 해당 시민을 이단으로 낙인찍는다. 해당 시민은 시위 참가, 진영 대표자 되기, 선거 출마가 불가능해진다. 대상과 그 가족들의 존경심이 떨어진다.
          * 사살 - $500 소모. 군인이 해당 시민을 처형한다. 가족들과 목격자의 존경심이 확 떨어진다.
  • 강남역 묻지마 살인사건 . . . . 3회 일치
         === 소외되는 유가족 ===
         이러한 과정에서 정작 피해자와 유가족의 인권은 철저히 무시되었고 특히 피해자의 오빠는 여혐논란에 대해 "사건의 본질을 흐리고 피해자의 죽음을 이용하는 것"이란 의견을 내놓기도 했다. 그러나 여초사이트에서는 이러한 유가족의 목소리 조차 "한국남자는 어쩔 수 없다"는 비하로 일관하였다.
  • 김갑수(배우) . . . . 3회 일치
         || '''가족''' ||<(> 배우자 현금숙, 딸 김아리 ||
         || 2012년 || MBC every1 || 가족의 비밀 || 진행 || 6부작. 2012.04.18.~2012.05.23.방영종료 ||
         ||<|2> 1991년 || 서울연극제 ||<|2> 남자연기상 ||<|2> 길 떠나는 가족 ||
  • 김동욱(배우) . . . . 3회 일치
         ||<bgcolor=#6482b9> '''{{{#white 가족}}}''' ||<(> 부모님, 1남1녀 중 장남[* 여동생하고 10년째 같이 산다고 한다.] ||
         이어 시트콤 못말리는 결혼과 영화 [[국가대표]]에 출연했고, 민들레 가족, 로맨틱 헤븐 등 여러 편의 드라마에 출연했다. 형제가 돌아왔다 등의 뮤지컬에 출연하기도 했다.
         || 2010년 || [[MBC]] || [[민들레 가족]] || 이재하 || ||
  • 김민기(가수) . . . . 3회 일치
         ||<#9FC93C> {{{#white '''가족'''}}} ||<#FFFFFF> 배우자 이미영, 슬하 2남 ||
         [[전라남도]] [[신안군|신안]] 태생으로, 10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의사]]였는데, [[6.25 전쟁]] 중 북으로 퇴각하던 [[조선인민군]]에 의해 살해당해 산파였던 어머니 혼자 자식들을 키워야 했다고 한다. 휴전 후 가족들과 [[대구광역시|대구]]로 이주했고, 흑산초등학교와 자은중학교, 도초고등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에 입학했다.
         대통령 박정희 맞다. 70년대 당시 김민기는 제법 유명해서, 유신 정권의 눈에는 눈엣가시와도 같은 존재였기 때문에, 박정희의 긴급조치에 의하여 김민기의 앨범이 금지곡으로 지정되는 지경에 이르렀다. 하지만 이는 악연의 시작이었을 뿐, 1975년, 김민기가 카투사로 군대에 입대했을 때, [[중앙정보부]] 요원이 접촉하여 그로 하여금 노래를 만들어달라고 '''반강제적'''으로 요청했다. 하는 수 없이 그는 노래를 만들어주었는데, 이 노래가 바로 '식구생각'.[* 노래를 만들어주긴 했는데, 노동으로 인하여 가족이 흩어진 내용의 노래를 만들어주니, 중정부 요원이 갸우뚱했다고 한다.] 결국 김민기는 영창에 끌려가게 된다. 이 뿐만이 아니다. 그의 불온한 행각으로 인해 그는 수없이 취조실에 끌려가 고문당했는데, 사각형 각목으로 '아 내가 이제 죽는구나' 라는 생각이 날 때까지 맞았다고 한다. 인터뷰에서 말하길, '이 친구가 나 때문에 힘들겠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이렇게나 탄압하던 김민기의 노래가 이후 민주화의 구심력이 된 것은 아이러니. 나중에 김민기는 운동권들에게 '너무 미워하지마라. 그러다 걔(박정희) 닮아간다' 라고 충고했다고 한다.
  • 김병옥(배우) . . . . 3회 일치
         || '''가족''' ||<(> 배우자 이윤자, 슬하 2녀[* 둘째 딸은 마음의 소리 시트콤 KBS판 6화에 잠시 나왔었다.] ||
         홀어머니가 시장에서 청과 가게를 하시면서 하루하루 온가족이 연명했고 성인이 된 후에도 연극 배우 생활을 이어가면서 15년 동안 짜장면, 짬뽕만 먹었다고. 심지어는 어머니가 갑자기 돌아가셨는데 장례비가 없어 시장 상인들이 십시일반 장례 물품을 대고 친구들도 돈을 갹출해 도와줬다고. 44세 때 출연한 올드보이 전까지 정말 빈곤했단다. 성공한 후에도 거절을 잘 못하는 성격에 보증도 많이 서줘 돈을 많이 못 모았단다.
         ||<|4> 2012년 || 붉은 가족 || 철물점 주인 || 특별출연 ||
  • 김상조 . . . . 3회 일치
         가족과 함께 2차례 위장전입했다는 의혹이 있다. 주민등록초본을 보면 김 후보자 가족은 1994년 3월부터 경기 구리시 교문동의 동현아파트(현 구리두산아파트)에 전세로 입주했다. 3년 뒤인 1997년 1월 김 후보자를 제외한 부인 조모 씨와 아들은 길 건너편인 교문동 한가람아파트로 서류상 분가했다. 아들이 초등학교 입학을 2개월 앞둔 때였기에 이를 노린 것이 아니냐는 것.
         또 두 번째 사례인 1999년 2월 서울 양천구 목동 현대아파트를 거쳐 2002년 강남구 대치동의 은마아파트로 주소지를 변경했다. 아들이 초등학교 6학년으로 중학교 입학을 앞둔 시점이었다. 김 후보자는 이후 가족과 함께 미국 예일대 연수를 가면서 2004년 8월부터 다시 7개월간 목동 현대아파트로 주소지를 옮겼다. 이어 귀국한 2005년 2월 은마아파트로 주소지를 다시 변경했다. 중3 아들이 고교 진학을 앞둔 시기였다. 김 후보자 측은 “후보자가 해외연수 중 전세로 살던 은마아파트를 비워두고 우편물 등을 받아두기 위해 목동의 세입자에게 양해를 구해 주소지만 잠시 옮겨놓았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 김주승 . . . . 3회 일치
          * [[1989년]] [[KBS]] 주말연속극 《달빛가족》 ... 준식 역
          * [[1983년]]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공익광고협의회 가족계획편
          [[KBS]] [[달빛가족]] 팀으로 출연하였다.
  • 김혜옥 . . . . 3회 일치
         * [[2017년]] [[SBS]] 월요시트콤 《[[초인가족]]》 ... 조여사 역
         * [[2006년]] 《[[가족의 탄생 (영화)|가족의 탄생]]》 ... 매자 역
  • 김희애 . . . . 3회 일치
         ||<:><#cccccc> '''가족''' || 아들 이기현 이기훈, [[언니]] [제나 우슈코비츠]||
         [[꽃보다 누나]] 촬영 당시에 여행 짐 관련해서 잠깐 집이 공개된 적이 있었는데, 남편이 무슨 일을 하는진 몰라도 남편의 취미는 확실히 알고 있긴 한듯. 왜냐면, '''집에 있는 가재도구 안에 [[아이맥]]과 [[아이패드]]가''' 있었기 때문. 설마 가족 전체가 [[앱등이]]일리가...
         가능성은있다. 실제로 애플사원인 사람이 가족중에 한명이라도있으면 연말이나 중요한날마다 폰은 물론이요, 패드 하나씩 새로 들고오는게 다반사다. (경험담)
  • 니시노 카나 . . . . 3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가족 ==
  • 돌턴 갱 . . . . 3회 일치
          * 그래턴 "그랫" 돌턴(Gratton "Grat" Dalton) - 돌턴 가족의 7번째 자식. 커피빌 은행강도에서 사망.
          * 로버트 "밥" 돌턴(Robert "Bob" Dalton) - 돌턴 가족의 10번째 자식. 커피빌 은행강도에서 사망.
          * 에밋 돌턴(Emmett Dalton) - 돌턴 가족의 11번째 자식. 커피빌 은행강도에서 체포됨. 1937년 사망.
  • 로버트 켈리 . . . . 3회 일치
          * 가정적인 성격으로서, 사적인 이야기는 자주 하지 않으나, 부인에 대해서는 이야기를 하기도 했다고 하며, 주말에는 가족과 시간을 보내야 한다는 이유로 시사영어연구회 동아리의 스피치 콘테스트 심사의원을 거절하기도 했다.
         == 가족사 ==
         로버트 켈리 교수는 3월 14일 가족과 함께 월스트리트저널(WSJ), CNN, 영국 BBC와의 인터뷰에 응해서 당시 상황을 밝혔다. 인터뷰를 하는 중 실수로 문을 잠궈놓지 않았는데, 딸이 유치원 생일 파티를 해서 무척 신이 나서 들어왔고, 아들까지 방에 들어오게 되었다고. 아내 김정아는 당시 휴대전화로 방송을 촬영하고 있다가 아이들이 방송에 출연한 것을 보고 놀라서 달려가서 제지했다고 한다.[[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3/15/2017031501076.html (참조)]]
  • 마기/351화 . . . . 3회 일치
          * 뢰엠 제국의 속주 카타르고의 "대협곡". 인근에 거주하는 원주민 일가는 과일을 수확하며 평화로운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그런데 그 가족의 아이가 하늘에서 이상한 걸 발견한다.
          * 천사는 성궁의 방어 시스템이었다. 천사가 검을 내리쳐 가족들과 그 가족이 있던 자리의 마고이를 루프로 환원시킨다. 그렇다. 세상을 루프로 환원하는 마법이 발동해 버린 것이다.
  • 맥스 페인 . . . . 3회 일치
         Max Payne. [[핀란드]] 회사 [[http://www.remedygames.com/games/|레미디 엔터테인먼트]]가 제작하고 [[미국]] 회사 [[http://www.rockstargames.com/|락스타 게임즈]]가 유통한 TPS [[게임]]. 마약 중독자에 의해 가족을 잃고, 동료 형사를 죽였다는 누명을 쓴 [[뉴욕]]의 [[형사]] [[맥스 페인(캐릭터)|맥스 페인]]이 사악한 음모를 밝혀낸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Max Payne. 뉴욕시경 형사. 아내와 갓난아기 딸이 마약 "발키리"의 중독자들에게 살해당한 후 마약단속국에 들어간다. 가족의 몰살에 연루된 마약 "발키리"의 제조원을 찾아 갱단에 잠입해 잠복 수사를 벌지만 동료 형사인 알렉스 볼더와 접촉하던 중 의문의 총격으로 볼더가 사망. 경찰에 의해 범인으로 몰린다. 설상가상으로, 잠입하고 있던 갱단에게도 형사라는걸 들켜 모두에게 쫓기는 처지가 되었다. 이 와중에서도 볼더를 죽이고 발키리를 유통한 범인을 찾아 족치기 이해 이곳 저곳을 누빈다.
          미 육군이 연구한 "발할라 계획"의 산물로, 1991년 처음 만들어졌다. 제작 목적은 병사들의 체력과 사기를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되었으나 불만족스러운 성과를 내 1995년에 발할라 계획 자체가 취소되었다. 그럼에도 니콜 혼을 비롯한 몇몇은 허가 없이 실험을 계속했으며, 정량의 두배를 투여한 실험체들을 도시에 풀어 맥스의 가족들을 죽이기도 했다.
  • 박신혜 . . . . 3회 일치
         박신혜의 가족은 5대째 독실한 크리스천으로, 어린 시절부터 교회에서 주최하는 해비타트 집 짓기 봉사에도 자주 참석해왔고,<ref>{{뉴스 인용 |제목 =‘닥터스’ 박신혜 ‘5대째 기독교’… 부모도 교회서 만나 결혼 |url =http://www.christiantoday.co.kr/articles/292772/20160801/%EB%8B%A5%ED%84%B0%EC%8A%A4-%EB%B0%95%EC%8B%A0%ED%98%9C-%EC%99%B8%EB%AA%A8%EB%A7%8C%ED%81%BC-%ED%9B%88%ED%9B%88%ED%95%9C-%EB%B4%89%EC%82%AC%ED%99%9C%EB%8F%99-%ED%99%94%EC%A0%9C.htm|출판사 = |저자 = |날짜 = 2016-08-01 |확인날짜 =2013-09-01 }}</ref> 성인이 된 후에는 생일이 돌아오면 가족과 함께 '밥퍼' 봉사를 꾸준히 하고 있다고 한다.<ref>{{뉴스 인용 |제목 =‘닥터스’ 박신혜… 최일도 목사 “조용한 하늘나라의 심부름꾼” |url =http://www.christiantoday.co.kr/articles/292011/20160704/%EB%8B%A5%ED%84%B0%EC%8A%A4-%EB%B0%95%EC%8B%A0%ED%98%9C%E2%80%A6-%EC%B5%9C%EC%9D%BC%EB%8F%84-%EB%AA%A9%EC%82%AC-%EC%A1%B0%EC%9A%A9%ED%95%9C-%ED%95%98%EB%8A%98%EB%82%98%EB%9D%BC%EC%9D%98-%EC%8B%AC%EB%B6%80%EB%A6%84%EA%BE%BC.htm|출판사 =크리스천투데이 |저자 =김진영 |날짜 = 2016-07-04 |확인날짜 =2013-09-01 }}</ref>
         박신혜는 또한 2011년부터 기아대책 홍보대사로 활동, 서부 아프리카 가나에 있는 결연아동 아반네를 결연후원 해오고 있으며 팬들과 해외 빈곤국에 센터 세우는 일에 동참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팬과 함께 봉사활동 나선 별들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382&aid=0000196660|출판사 =스포츠동아 |저자 =김원겸 |날짜 = 2014-04-08 |확인날짜 =2014-04-09}}</ref> 국내외 팬들과 전 세계 빈곤국가 아이들의 교육적, 정서적 지원을 위한 ‘별빛천사마을’ 만들기 프로젝트를 진행해왔다. 1호 센터로 서부 아프리카 가나 ‘신혜센터(Shin Hye Center)’가 2013년 11월 완공되어 5백여 명의 학생들이 이용하고 있다.<ref>{{뉴스 인용 |제목 =기아대책 홍보대사 박신혜, ‘러브백’ 특별행사 참여 |url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405291628173210|출판사 =뉴스엔 |저자 =김찬미 |날짜 = 2014-05-29 |확인날짜 =2014-05-30}}</ref> 2014년에는 세월호 희생자 가족을 위해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를 통해 5,000만원을 기부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박신혜 이어 소속사도 1000만원 기부 "작게나마 위로가 됐으면"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9&aid=0003189349|출판사 =매일경제 |저자 =이슈팀 |날짜 = 2014-04-23 |확인날짜 =2014-04-24}}</ref><ref>{{뉴스 인용 |제목 =박신혜 이어 소속사도 1000만원 기부 "작게나마 위로가 됐으면" |url =http://stoo.asiae.co.kr/news/view.htm?idxno=2014042515493577725|출판사 =스포츠투데이 |저자 =김은애 |날짜 = 2014-04-25 |확인날짜 =2014-04-26 }}</ref> 또한 자신의 SNS 트위터 프로필 사진을 노란리본 사진으로 변경, 노란리본 캠페인에도 동참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박신혜, 기부 이어 노란리본 캠페인 동참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44&aid=0000242446|출판사 =스포츠경향 |저자 =온라인뉴스팀 |날짜 = 2014-04-23 |확인날짜 =2014-04-24 }}</ref> 2015년, 박신혜는 ‘2015 Dream of Angel’ 타이틀로 아시아투어에 나섰고, 상해 팬미팅 수익을 [[NGO]] 단체 ’기아대책’의 별빛천사마을 만들기와 중국의 유기동물 보호단체 ‘타소원’에 기부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박신혜, 상해 팬미팅 수익금 전액 기부.."한류스타 이례적 행보"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18&aid=0003217288|출판사 =이데일리 |저자 =강민정 |날짜 = 2015-03-30 |확인날짜 =2013-09-01 }}</ref> 4월, 박신혜는 큰 피해를 입은 [[네팔]] 국민들을 위해 국제구호단체 기아대책를 통해 3,000만원을 기부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네팔 지진 희생자 위해 3천만원 후원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054697|출판사 =OSEN |저자 =정유진 |날짜 = 2015-04-30 |확인날짜 =2013-09-01 }}</ref> 2016년 7월, 박신혜는 아프리카 가나의 신혜센터에 이어 필리핀 마닐라에 신혜센터의 건립을 진행했다. 이에 박신혜와 소속사 솔트 엔터테인먼트 직원들은 센터건립에 앞서 필리핀 쌈빨록 지역의 아이들과 1:1 결연을 맺었고, 지난 3월 박신혜는 필리핀의 결연아동의 집을 직접 방문하고 아동결연센터 아이들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가지며 센터 건립에 앞서 건축기념식을 가졌다.<ref>{{뉴스 인용|url=http://entertain.naver.com/read?oid=382&aid=0000489585|제목=박신혜가 또… 필리핀에 아동복지시설 ‘신혜센터’ 건립|출판사 =스포츠동아 |저자=홍세영|날짜 = 2016-07-22|확인날짜=2016-12-09}}</ref>
  • 서강준 . . . . 3회 일치
         서강준은 2013년 서프라이즈 멤버들과 웹 드라마 《[[방과 후 복불복]]》에 출연하며 연기자로 정식 데뷔하였고, 이후 [[SBS]] 드라마 《[[수상한 가정부]]》에서 은한결([[김소현]] 분)의 밴드부 선배 최수혁 역으로 출연하였는데, 당초 다른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오디션을 보러 갔다가 나오는 길에 《수상한 가정부》 오디션을 권유 받게 되었고 얼떨결에 합격했다고 한다.<ref name="enews24">{{뉴스 인용|url=http://enews24.interest.me/news/article.asp?nsID=300988|제목=[인터뷰] 서강준, "대형신인이요? 천천히 가고 싶어요"|저자=안소현|날짜=2013-12-09|출판사=enews24|확인날짜=2014-05-17}}</ref> 그러다가 [[MBC]] 단막극 《[[드라마 페스티벌|드라마 페스티벌 - 하늘재 살인사건]]》을 연출한 최준배 감독이 서강준이 출연한《수상한 가정부》를 보고 그에게 러브콜을 보냈고, [[문소리]]의 상대역인 윤하 역으로 출연했다.<ref name="enews24"/> 2014년 초, 서강준은 [[MBC]] 드라마 《[[앙큼한 돌싱녀]]》에서 여주인공 나애라([[이민정]] 분)와 러브라인을 형성하는 연하남 국승현 역을 연기해 좋은 반응을 얻으며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에서 남자신인상을 수상했다. 같은 해 그는 2014년 5월 4일부터 2015년 4월 14일까지 [[SBS]]의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일요일이 좋다]] - [[룸메이트 (텔레비전 프로그램)|룸메이트]]》에 고정 출연하며 얼굴을 알렸다.<ref>{{뉴스 인용 |제목 =서강준, ‘룸메이트’ 멤버들과 쫑파티 인증샷…“자주 봐요”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047007|출판사 =OSEN |저자 =정소영|날짜 = 2015-04-21|확인날짜 =2017-09-07}}</ref> [[삼성그룹]]에서 제작한 웹드라마 《[[최고의 미래]]》에 이어,<ref>{{뉴스 인용|제목=‘최고의 미래’ 서강준 “민아 첫인상, 신기했다…동갑이라 빨리 친해져”|url=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09&aid=0003336999|출판사=매일경제|저자=|날짜=2014-10-27|확인날짜 =2017-09-07}}</ref> [[KBS2]] 주말 드라마 《[[가족끼리 왜 이래]]》에 출연했다. 이후 스크린 데뷔작인 영화 《[[나의 사랑 나의 신부 (2014년 영화)|나의 사랑 나의 신부]]》에 연달아 출연하며 차근 차근 연기 내공을 쌓아갔다.
         | rowspan=2 | [[가족끼리 왜 이래]]
         | 《[[가족끼리 왜 이래]]》
  • 솔비 . . . . 3회 일치
         | 가족 =
         사회적 공헌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2012년부터 경기도 한 보육원에 재능기부와 선행 등 나눔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 또한 2016년엔 '파인드 프로젝트'를 선보이며 음원 'Find'를 발매, 실종아동찾기 캠페인을 펼쳤다. 같은 해 12월엔 '손모아 장갑'을 발표하며 청각·언어 장애인들을 향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고 상처와 동정의 시선에서 벗어나 건강한 일상을 누릴 수 있도록 도왔다. 2017년엔 '다문화 아동 돕기 후원의 밤'에 참석해 특별 공연과 함께 500만원을 기부하기도 했다. 더불어 사회적인 목소리도 높이고 있다. 솔비는 2014년부터 꾸준히 세월호 추모 그림을 그리며 남다른 애도를 표하고 있다. 더불어 2018년 1월 EBS '신년특집 미래강연 Q-호모커뮤니쿠스, 빅 픽처를 그리다'에 강연자로 출연해 "스토킹 처벌은 벌금 10만원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솔비가 제안한 해당 법안은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조정 점검회의에서 '스토킹·데이트폭력 피해방지 종합대책'으로 확정, '스토킹 처벌법'(가칭)이 제정됐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10076873|제목=스토킹 뿌리뽑는다…벌금 10만원→최장 징역 5년 추진|성=김계연 기자|이름=|날짜=2018년 5월 10일|뉴스=|출판사=연합뉴스|확인날짜=2018년 6월 28일}}</ref><ref>{{뉴스 인용|url=http://entertain.naver.com/read?oid=144&aid=0000530678|제목=강연자로 나선 솔비 “스토킹 벌금 불과 10만원” 지적…피해자 입장 법안 제정 당부|성=이유진 기자|이름=|날짜=2018년 1월 1일|뉴스=|출판사=|확인날짜=2018년 6월 28일}}</ref>또한 솔비는 2018년 '하이퍼리즘-블루'의 '클라스'를 발표하며 통해 계급사회를 비판기도 했다. 2018년 6월엔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05859&cid=40942&categoryId=32774 뮤코다당증] 난치병 환우회에도 참석, 가족들에게 응원을 복돋아주기도 했다.
         * 《[[가족오락관]]》 (KBS1, 2006~2007년)
  • 슈퍼걸(드라마)/1시즌 5화 . . . . 3회 일치
         카라는 그랜트에게 가족과 다퉜다는 이야기를 한다. 그랜트는 카라에게 자신의 가족 이야기를 하고, 그 이야기를 들은 카라는 가족에게 가보겠다고 결심한다. 알렉스는 정전이 된 상황이라 엄마가 걱정되어 엄마를 찾아온다. 알렉스는 엄마와 이야기를 나누며 앙금을 풀어내는데, 곧 DEO의 호출이 와서 떠나게 된다.
  • 신지애 . . . . 3회 일치
          * 개인사는 평탄하지 못한 편이다. [[전라남도]] [[영광군]] 홍농읍 성산리[* [[한빛 원자력 발전소]]가 있는 곳이다. 원자력발전소 진입로에 신지애의 출생지를 알리는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에서 개척교회를 운영하던 목사의 딸로 태어났으나, 청소년기에 어머니가 뺑소니 차에 치여 숨지는 비극적인 일을 겪었다. 그리고 그 때 받은 어머니의 보험금을 그녀의 아버지는 다른 가족이 아닌 그녀만을 위해 썼고, 그녀는 아버지의 뒷바라지와 자신의 피나는 노력으로 결국 최고의 자리에 우뚝 설 수 있게 되었다. 신지애의 아버지는 후에 "하체 힘을 키우기 위해 15층짜리 아파트를 1층부터 15층까지 걸어서 올라갔다 내려갔다 하는 훈련을 시켰는데, 이 때 훈련을 너무 혹독하게 시켜서 키가 크지 않은 것이 가슴 아프다" 라고 밝힐 정도였다. 그래서인지 가족과 동생들을 끔찍히 아끼고 잘 챙긴다. 신지애의 아버지가 인터뷰에서 공공연히 "지애도 자신이 번 돈을 가족들을 위해 쓰는 것에 아무런 불만이 없다." 라고 밝힐 정도. 신지애의 동생이 [[서울대학교]]에 진학하였는데, 그 때 신지애는 서울대 앞에 카페를 차려서 동생과 함께 운영하고 싶다고 말했다.
  • 심현섭(코미디언) . . . . 3회 일치
         || '''가족''' ||<(> [[아버지]]: [[심상우]], 2남 3녀 중 [[차남|다섯째]] ||
         인기 절정이었던 [[2000년]]에 일간스포츠에 연재한 자서전에서 가족사항을 공개해서 새롭게 주목받았으며, 특별히 [[정치]] 성향을 드러내진 않았고 김대중 대통령 성대모사를 하며 [[청와대]]에서 열린 [[어린이날]] 행사에 사회를 맡는 등 예전과 다름없이 활동했다. 덕분에 정치적으로 구설수에 휘말리는 일 없이 화려한 [[스타#s-2|스타]] 생활을 지속했다.
         지금도 광주 [[여행]]하다 보면, "원래 저 땅은 심상우 의원 땅이었는데…." 하는 말을 의외로 어렵지 않게 들을 수 있다. 심 씨의 가세가 한 때 얼마나 흥성했는지 짐작할 수 있는 대목.[* "공무원 = 도둑놈" 하는 등식을 지역 사회의 어른들에게 확실히 각인시켜준 사례이기도 하다. [[2002 한일월드컵]] 때 히딩크 호텔로 [[개명]]한 모 호텔 및 근처 아파트 단지 부지도 원래는 심상우 의원 명의로 되어 있던 것을 심 의원 사후에 공무원들이 가로챈 것. 허나 현재 호텔은 온데간데 없고, [[교회]]가 들어서 있다.] 예를 들어 박치기왕 [[김일(프로레슬러)|김일]]을 실제로 가족 식사 자리에서 만나 본 적이 있다고 한다. 당시 테러 소식을 들었던 심현섭 본인은 1분이 1년 같았다며 회고했다고 한다.
  • 아이네이아스 . . . . 3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아이네이아스와 같이, 트로이 전쟁의 영웅을 자신들의 '조상'으로 비정하는 신화는 그리스 계 식민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아르고스]]에서 쫓겨난 [[디오메데스]]는 다우니아의 왕 다우누스의 딸과 결혼하여 그 땅을 이어받아 브린디시 등의 도시를 건설하였다고 하며[* 디오메데스는 똑같이 이탈리아에 표류한 아이네이아스와 대적하던 에트루리아의 투르누스에게 동맹을 요구받지만, 디오메데스는 아이네이아스 개인에게는 원한이 없다는 이유 혹은 아프로디테의 미움을 받는 것이 두려워 거절하였다고 한다.], 크레타의 지배자였던 이드메니우스 역시 크레타에서 쫓겨나 이탈리아 남부로 도망쳤고, 살라미스 섬의 테우크로스는 키프로스로 떠나[* 테우크로스는 살라미스의 영웅 [[아이아스]]의 가족이었지만, 아이아스의 자살을 말리지 않고 복수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아이아스의 아버지 테라몬 왕에게 미움을 받았다.] 살라미스 시를 건설하였다고 전해진다. [[헤라클레스]]의 [[활]]을 가지고 있었던 필로크테이스 역시 이탈리아 남부에, [[트로이의 목마]]를 만든 에페이오스 역시 이탈리아 남부의 메타폰시온 시를 건설하였다고 전해진다. 이 무렵 이탈리아 그리스 계 도시에서 있었던 유행에 로마 역시 영향을 받게 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원피스/828화 . . . . 3회 일치
          * 빅맘은 무려 39명의 딸과 46명의 아들, 그리고 43명의 남편이 있다. 모두 합해서 129명의 가족.
          * 자식들 중엔 이미 가정을 이룬 사람들도 있어서 결국 빅맘 해적단은 정말로 가족으로 이루어진 해적단.
          * 전투가 한창인 와중에 누군가 자기 나라와 가족을 헤쳤다며 "너희는 제르마지?"라며 총을 쏜다.
  • 원피스/845화 . . . . 3회 일치
          * 상디는 자신의 가족사와 채워진 폭발수갑과 제프, 동료들이 인질로 잡힌 일을 푸딩에게 밝힌다.
          * 홀케이크 성. 빅맘 샬롯 링링은 빈스모크 일가와 만나기 위해 가는 중이다. 그런데 작은 소녀 "아나나"가 요리장이 식칼을 빌려주지 않는다고 징징댄다. 봉제인형을 찢어야 한다나. 빅맘은 옆에서 풍선을 타고 놀던 뚱뚱한 도르체, 도르제 형제에게 빌려주라고 하지만 도르체는 그러면 아나나가 자기들 풍선을 터뜨려 버릴 거라며 싫어하고 아나나를 "죽여버리고 싶다"고 위협한다. 다른 아이들도 빅맘 주위로 몰려와 도르체와 도르제가 "나쁜 말"을 쓴다고 일러바친다. 빅맘은 껄껄 웃으며 "누구에게나 죽이고 싶은 상대는 백이나 이백 정도 있다"고 하는데 어쨌든 형제들끼리 사이좋게 지내라고 말한다. 빅맘은 내일로 다가온 샬롯 푸딩의 결혼식과 사위가족과 만날 일로 들떠 있다.
          * 레이쥬는 그의 상처를 치유해준 것이 아니라 가죽같은 마스크로 덮어 씌워놨던 것이다. 그 밑에는 얻어맞아 퉁퉁 부운 얼굴이 그대로 나타난다. 상디는 피로 이어진 가족이 있어도 이꼴이고 자신의 편은 하나도 없다고 털어놓는다. 푸딩은 그의 처참한 몰골에 소스라치게 놀란다. 상디는 이 결혼식을 피하려 하면 자신도 밀집모자 일행도 끝장이고 그의 "대은인"인 제프 또한 무사할 수 없다는 것을 고백한다. 그래서 그는 저항을 포기하고 그 대신 루피 일행을 살려달라고 간청하기 위해 여기에 남은 것이다.
  • 원피스/864화 . . . . 3회 일치
          * 그땐 혼란한 다과회장을 "살려줘"란 다급한 목소리가 뒤흔든다. 루피는 그 목소리를 듣고 벳지의 "연기"를 뿌리치고 달려가려 하고 상디는 "얘기가 다르다!"고 분개한다. 어느틈에 샬롯가의 형제들이 빈스모크 일가를 둘러싸고 총구를 들이밀고 있었다. 이제야 암살계획을 알아차린 [[빈스모크 저지]]가 빅맘에게 목숨을 구걸한다. 그는 "악의 세계에도 인의는 있다"는 말을 하는데 누구하나 수긍하지 않는다. 그의 자식들 조차도. 빈스모크가의 형제들은 자기들도 머리에 총알을 박을 판인데 오히려 냉소한다. [[빈스모크 이치디]]는 아버지를 "꼴사납다"고 비웃으며 어차피 이제 살 방법도 없다고 말한다. [[샬롯 페로스페로]]가 사탕으로 그들의 몸을 굳혀버렸기 때문이다. [[빈스모크 욘디]]는 무기도 레이드 슈츠도 지금은 없다고 내뱉고 [[빈스모크 니디]]는 "완전히 함정에 빠졌다 하하하"라고, 게임에 진 정도의 반응 밖에 보이지 않는다. 저지는 자식들의 냉담한 태도에 "제정신이긴 하냐"고 대꾸하지만 [[빈스모크 레이쥬]]는 그것도 자업자득이라 여긴다. 그들을 감정없는 기계로 기른 것은 저지 자신이다. 설사 가족이나 자기 자신이 죽더라도 무감정할 수밖에 없다.
          * 가족들이 저렇다면 적들은 말할 것도 없다. 샬롯가의 인간들은 철저하게 패배한 빈스모크가의 인간들을 비웃고 조롱한다. 페로스페로도 "꼴사나운 암살"이라며 빈정거리는데, 그러다가 생각지도 못한 걸을 목격한다. 가족들이 총에 겨눠진 걸 보던 상디 또한 그걸 목격한다. 사건을 속속들이 놓치지 않던 모간즈도 진귀한 장면을 발견하고 "특종"이라 외친다. 저지가 비참한 나머지 울음을 터뜨린 장면이다.
  • 이경실 . . . . 3회 일치
         ||<#595959><:> {{{#FFFFFF ''' 가족 ''' }}} ||<(> 남편 최명호, 언니 이경옥 1962년생. 강남구의회 기초의원으로 2012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의회 부의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딸 손수아[* 2016 슈퍼모델 선발대회 본선에 진출하였다.], 아들 손보승[* [[MBC]] 주말 드라마였던 [[아버님 제가 모실게요]]에 출연함 ] ||
          * 2009년 [[가족이 필요해|가족이 필요해 시즌3]]
  • 이규한(배우) . . . . 3회 일치
         ||<#1B5695> {{{#ffffff '''가족'''}}} ||<(> 부모님, 누나 ||
         ||<#1B5695> {{{#ffffff '''소속'''}}} ||<(> [[미스틱 엔터테인먼트]]([[가족액터스]]) ||
          * [[가족의 탄생(드라마)]] - [[강윤재]]
  • 이보림 . . . . 3회 일치
         [[아이돌 리부팅 프로젝트 - 더 유닛/27~28회|파이널]]의 [[킬링파트]]를 위한 안무 오디션 시작 전에는 항상 지적만 해왔던 김화영이 이보림에게 '여기까지 살아남았는데 솔직한 말로 너무 잘해 줬다'고 이야기했다. 안무를 마치고 난 다음에는 김화영이 '이제 [[의진(소나무)|의진]]이 없어도 돼?'라고 물었고 이보림은 '서서히 독립하고 있습니다...'라고 답했다. 이에 의진도 '좋아, 얼른 가!'라고 이야기했다. 제작진이 예고 없이 보여준 가족들의 영상에서는 따로 이보림의 가족 영상은 방송에 안 나왔지만, 합숙소를 찾아와 준 가족들과 만나는 장면은 나왔다. 마지막을 앞두고 참가자들에게 남기는 말에서는 '같이 하는 협동심을 너무 많이 배운 것 같다'고 이야기했다. 본 경연에서는 'You&I' 무대를 성공적으로 마치긴 했는데 맡은 파트가 적어서 무대에서 모습 찾기가 쉽지 않았다. 그나마 남녀 합동곡인 'PRESENT'에서는 엔딩 파트를 맡았다. 최종 유닛 발표식에서는 17위를 기록하면서 데뷔조 합류에는 실패했지만, [[연습생]] 경력도 없고 예술고등학교 출신도 아닌 비 가수 출신 참가자가 그 많은 전현직 걸그룹 멤버 및 연습생 및 솔로 가수들과의 경쟁에서 최종 라운드까지 올라온 것은 분명 대단한 것이다.
  • 이장훈(배우) . . . . 3회 일치
         | 가족사항 =
         1972년 경상북도 김천시 교동 부거리길에서 태어난 이장훈은 연극, 뮤지컬, 영화 등 다양한 매체를 넘나들 뿐 아니라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며 관객을 압도하는 카멜레온 같은 배우이다. 가족 뮤지컬《피노키오》부터 미스터리 영화《물고기》, 그리고 코믹적인 요소가 가득 담긴 드라마《푸른거탑》까지, 탁월한 집중력과 진짜인지 연기인지 모를만큼 훌륭한 연기력으로 어떤 배역이든 맛있게 소화해 낸다는 평을 받고 있다. 현재는 서울호서예술전문학교 연기예술학부의 교수직을 맡고 있으며, 기절 전문 대대장 이장훈 역할로 [[tvN]] 《[[푸른거탑]]》에서도 맹활약하였다.
         * 《가족연애사》 (주조연’벤처사업가’) -김성덕 감독
  • 임현식(배우) . . . . 3회 일치
         ||<#878787> '''{{{#EEE156 가족}}}''' ||<(> [[자식|슬하]] 3녀 ||
         최근 보도에 의하면 푸근한 인상의 외모와는 다르게 의외로 양갓집의 [[음대]]지망생인 [[엄친아]] 출신이었다고 한다. [[바이올린]]을 배우기도 했는데 이게 거리의 악사 연기에서 빛을 발했다고. <한 지붕 세 가족>에서도 연주를 보인 바 있다. 뭐든 잘 하지 못 한다고 슬퍼하는 아들 순돌이를 위해 “아빠도 처음에는 잘 못 했지만 연습을 하다보니 이렇게 연주를 잘 할 수 있잖니?”하며 바이올린을 멋들어지게 연주하고 마무리 짓는 장면이 일품.
         [[애처가]]였으나 연하의 아내(서동자씨)가 [[2004년]] 대장금 촬영 도중 [[늑막염]]과 [[폐암]]으로 세상을 떠났으며 향년 54세. 주변인들에게 알리지 않아 병세가 위중해지고 나서야 기사로 알려지게 되었다. 싱글이 된 이후로는 MBC 일요 [[아침 드라마]] '''한지붕 세가족'''에서 부부(각각 순돌이 아버지, 순돌이 어머니)로 같이 호흡을 맞춘 [[박원숙]]과 친하게 지내고 있다. 이어서 [[JTBC]]에서 재혼 미리보기;; 프로그램인 [[님과 함께]]에서 중년의 로맨스를 연출. ~~은근슬쩍 같은 방에서 자려고 수작을~~ 또한 한편으로는 아내와 사별한 후 [[천주교]]에 귀의했으며, [[세례명]]은 [[바오로]]다.
  • 전혜진(1970) . . . . 3회 일치
         ||<:> '''가족''' || 사촌 오빠 [[김도균]] ||
         || 1992년 || KBS || [[가족오락관]] ||<|7> 진행 ||
         || || [[가족 환상곡]] ||
  • 절대가련 칠드런/451화 . . . . 3회 일치
          * 마기, 모미지, 요우는 가족으로서 효부에 애착을 느끼기 시작하지만 정작 효부는 과거의 기억과 비원 때문에 그들과 거리를 둔다.
          * 그리고 자신들에게 나라와 가족을 주겠다고 하지 않았냐고 하는데.
          * 하지만 마기는 수긍하지 않고 "그런게 돼 달라고 한 적 없고 아무튼 가족인거 아니냐"고 항변한다.
  • 정승우 (골프선수) . . . . 3회 일치
         | 가족 = [[왕윤나]] (처제), 김대섭 (동서)
         == 가족 ==
         부인 탤런트 왕빛나는 집안이 유독 골프와 인연이 깊어 가족으로 왕빛나의 동생 [[왕윤나]]와 남편 프로골퍼 김대섭가 있다. <ref name="골프"/> 2018년4월19일에 골퍼 정승우와 배우 왕빛나가 11년만에 이혼하였다.
  • 정웅인 . . . . 3회 일치
         |제목= '개콘-시청률의 제왕', 정웅인 패러디.."다 죽일거다." |url= http://www.osen.co.kr/article/G1109654855 |출판사=OSEN|날짜= 2013-08-04 }}</ref><ref>{{뉴스 인용 |제목= [스타톡] 정웅인 "터닝포인트가 된 민준국 어찌 잊어요." |url= http://www.newspim.com/common/redirect.jsp?newsId=20130806000881 |출판사= 뉴스핌 |날짜= 2013-08-07 |확인날짜= 2014-09-04 |보존url= https://web.archive.org/web/20160304213147/http://www.newspim.com/common/redirect.jsp?newsId=20130806000881 |보존날짜= 2016-03-04 |깨진링크= 예 }}</ref> [[2014년]]에는 [[MBC]] 가족 예능 《[[아빠! 어디가?]] 시즌2》에 합류해 장녀 정세윤과 함께 출연했다.<ref>{{뉴스 인용
         == 결혼과 가족 ==
         |align="center"| 《[[조용한 가족]]》
  • 정은표 . . . . 3회 일치
         || '''가족''' ||<(> 배우자 김하얀, 아들 정지웅, 정지훤, 딸 정하은 ||
         1999년작 영화 '유령'에서 미사일 발사키를 부함장에게 빼앗기지 않으려고 삼켰다가 [[끔살]][* 삼긴 미사일 키를 찾으려고 즉시 살아 있는 채로 개복수술을 하려는데 마취할 시간도 아깝다며 부함장이 그냥 꺼내라고 시켜서 그만... ]당하는 조리장역[* 그전에 함내 규칙상 금지되어 있는 가족사진을 보다가 주인공인 431에게 들켰으나 처벌없이 자기 방에 라면이나 두 그릇 끓여서 가져다 달라는 것으로 넘어간다. ~~방에 라면을 끓여 들고 오면서 "어떤 면을 좋아하는지 몰라서 일단은 꼬들하게 끓여왔습니다." 라고 해주는 센스...는 한 "같이 먹지. 한 그릇은 자네꺼야."라는 정우성의 인자함에 바로 묻힌다.~~ 그렇게 자신을 봐주며 인간적 친분이 쌓인 431을 돕기 위해 미사일 발사키를 삼켰다가 그만...][* 순박한 인상으로 가족을 그리워 하다가 결국엔 그야말로 끔살당하며 '강대국의 틈바구니에서 계속 힘없이 눈치보며 살 수 없다.'며 자신의 행동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부함장 202의 행동를 그저 대의를 앞세운 광기로 보일수 밖에 없음을 강조하는 역할을 훌륭한 연기로 소화해냈다보니 상대적으로 당시에 무명이던 손병호, 설경구 같은 연기파 배우들이 함께 출연했음에도 조연중 가장 주목 받을 만한 역할이었다.]을 맡으면서 영화 관객들 사이에서 주목을 받기 시작했으나, 아무래도 전체 대중들에게 인지도를 얻은건 역시나 [[해를 품은 달(드라마)|해품달]]. ~~"전하~~~~ 좋아서 입이 안 다물어지옵니다."~~ 그래서인지 자신에게 특별한 이름이라는 이유로 막내 아들의 이름을 지'''훤'''이라고 지었다고 한다.[[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2317203|##]]
  • 정종철 . . . . 3회 일치
         **〈사랑의 가족
         * 《[[가족의 품격 풀하우스]]》 ([[KBS2]])
         * [[2005년]] KBS 연예대상 코미디부문 최우수코너상 ([[개그콘서트]] - 사랑의 가족)
  • 정칠성 . . . . 3회 일치
         그는 여성의 자유를 넘어서 여성의 해방을 주장하였다. 가정과 결혼에서 독립하는 것이 바로 여성의 해방이라는 것이었다. 그는 [[나혜석]], [[김일엽]], [[김명순]] 등이 여성 해방을 외치지 못하고 여성의 자유, 남녀 평등만을 외친다는 점을 두고 상당히 소극적이라며 비판했다. 단순한 자유를 넘어서 남성과 가정, 가족으로부터 독립하지 않는 한 여성의 권리를 찾는 것은 요원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사회주의 여성운동가 중에서도 정칠성은 유독 원리 원칙에 충실했다. 그는 평소 이론을 떠난 개인적 경험담은 가급적 자제하며, 동지들에게는 [[사회]] 운동과 여성의 해방이 더 중요하므로 가정을 뛰쳐나오라고 권유하였다.<ref name="mungongs">[http://culturedic.daum.net/dictionary_content.asp?dirView=no&Dictionary_Id=10028184 정칠성]</ref> 그는 일찍부터 노동여성의 고통에 공감하며 계급해방을 당당히 외쳤지만 당대 사회가 지닌 제약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어, 조선사회가 용납하지 않을 테니 성과 사랑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겠다고 했다.<ref name="mungongs"/> 그는 여성이 권리를 찾기 위해서는 여성이 해방되어야 하고, 여성이 해방되는 길은 결혼과 가족, 가정으로부터의 해방이라고 말했다.
         그는 성적 자유, 남녀의 평등을 넘어서 결혼과 가정, 가족에서 해방된 독립적인 여성을 이상적인 여성으로 규정하였다. 이는 [[허정숙]], [[정종명]] 등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 지석진 . . . . 3회 일치
         ||<#FFA500> {{{#FFFFFF ''' 가족 ''' }}} ||<#ffffff><(> 부: 지창균[* 2018년 6월 21일 사망,], 모, 형[* 런닝맨 364회에서 형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동생, 배우자: 류수정[* 러블리즈 류수정과 동명이인이다.], 아들: 지현우[* 배우와는 동명이인이다. 2002년 생.] ||
         결혼 3년 후 아들을 낳았다[* 여담으로 이 아들 돌잔치 때 애를 두고 집에 왔다는 모양. 집에 도착해서야 가족들 모두 애 어디있냐고 난리났다는 듯하다]. 현재는 고등학생이며 이름은 지현우.--[[류수정|아내와 이름이 같은 걸그룹 멤버]]가 있고 아들과 이름이 같은 밴드출신 배우도 있다. 어쩌다 보니 연예인 집안-- 아무튼 지석진은 한때 부인과 아들을 수 년간 외국으로 유학보낸 연예계 대표 기러기 아빠 중 하나였는데, 처음에는 슬프고 외롭기만 할 줄 알았으나, 의외로 막상 해보고 나니 방학 때 부인과 자식이 귀국할 때보다 돌려보내고 혼자일 때가 편해서 좋았다고 한다.(...) 심지어는 절대 티를 내지 않고 힘든 척하는 스킬까지 익히게 되었다고 한다. 그래도 밥을 못 해먹다보니 매일 배달음식만 먹는것이 좀 고역이였다는 듯 하다. 현재는 가족들이 귀국했는데, 그 이유가 지석진이 어느 날 갑자기 아내와 아들이 너무 보고싶어서 충동적으로 전화를 걸어 "그만 돌아와라. 보고싶다." 라고 말해서라고. 아내가 그 한마디에 다음날 다 정리하고 귀국했다고 한다.
  • 진격의 거인/86화 . . . . 3회 일치
          * 그러나 그 모습은 피해자를 대하는게 아니라 범죄자의 가족을 대하듯 한다.
          * 아버지는 최후의 수단으로 "그렇게 가족이 함께 낙원에 가고 싶냐"는 말로 입을 다물게 한다.
          * 시대는 계속 바뀌고 기술은 더욱 발전한다. "사진"이 보편화될 무렵 예거 일가도 가족사진을 찍는데, 이것이 그리샤의 책에 남겨진 "사진".
  • 진격의 거인/95화 . . . . 3회 일치
          그는 "그년"이 하필이면 "애새끼"를 전사로 만들 줄은 몰랐다고 토로한다. 그는 "애새끼"의 출신성분을 당국이 조사하기라도 하면 자신과 "가족"은 끝장이라고 노발대발했다. 그는 눈 앞에 나타난 작은 우환덩어리가 자신을 교수형시키려 드는 거라고 확신했다. 그리고 결코 지지 않겠다는 의지를 불태웠다.
          * 라이너의 어머니 [[카리나 브라운]]은 아들에게 아버지가 그들을 사랑했으나 신분 차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헤어진 걸로 나오지만, 정황으로 보면 아버지는 그저 원나잇으로 카리나를 농락했을 뿐이며 자식이 생기거나 그 자식이 마레의 전사가 되는 상황은 전혀 의도치 않은 것이다. 게다가 대사로 보면 따로 "가족"을 가지고 있고 카리나나 라이너를 가족으로 보지 않았다.
  • 최재성(배우) . . . . 3회 일치
         ||<#878787> '''{{{#EEE156 가족}}}''' ||<(> 3남 1녀 중 차남. 배우자 황세옥[* [[1994년]]에 데뷔해서 "결론" 이란 노래로 인기를 끌었던 신세대 가수였다. 이후, 2집 "알라딘의 램프", 3집 "너만의 이유" 를 내며 가수 활동을 이어가다 [[1997년]] 최재성과 결혼했다.] 6촌 동생 [[최진실]], [[최진영]] ||
         젊은 시절 간지나는 잘생긴 외모로 각광을 받으며 영화 공포의 외인구단에서 주연을 잡아 스타덤에 올랐다. 나이가 들어서도 미모는 죽지 않아 [[여명의 눈동자]]에서 최대치 역으로 호평받았다. 한동안 슬럼프를 겪다가 야인시대에서 마루오카 역으로 다시 슬럼프를 씻어냈다. 이후 [[MBC]] "개와 늑대의 시간"의 마오[* 드라마 자체도 큰 호평을 받았고, [[악역]]이면서도 사연이 있는 캐릭터를 맡아 연기력과 카리스마도 제대로 드러나서 호평을 받았다.], [[KBS]] 불멸의 이순신에서는 [[원균]], [[SBS]] 연개소문에서는 이밀 역을 맡았다. 연개소문부터는 나잇살이 부쩍 많이 붙었다. 2010년 이후에는 재력가, 정치인, 특히 가족의 출생의 비밀을 가진 비운의 아버지 등의 역을 잘 한다.
          * [[2011년]] [[JTBC]] 미니시리즈 《[[발효가족]]》 ... 강도식 역
  • 카를로스 4세 . . . . 3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프란시스코 고야]]의 '카를로스 4세 가족'에서 무기력하고 얼빠진 모습으로 묘사되고 있다.
  • 콘도 마코토 . . . . 3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가족 ==
  • 킹덤/506화 . . . . 3회 일치
          * 양단화는 싸움이 한창인 성벽을 둘러보며 드디어 취약지점을 찾아낸다. 그녀는 [[라마우지]]를 시켜 바지오와 오가족을 준비시킨다.
          * 양단화는 공략지점을 찾았고 오가족의 엄호 속에 바지오 부대를 성벽에 올린다고 한다. 신도 바지오만 돌입하면 이긴거나 다름 없다고 맞장구 친다. 문제는 엄호할 인원이다. 오가족만으론 부족. 양단화는 비신대에 실력좋은 궁병이 있냐고 묻는다. 신은 웃으며 "무지막지한 놈들"이 있다고 답하는데. 그 "무지막지한 놈들", [[창인]]과 [[창염]] 형제는 얼어붙다시피한 신병들 사이에서 대기하고 있다.
  • 토리코/385화 . . . . 3회 일치
          * 미도라는 아랑곳없이 "생선요리", "가족의 따뜻함"을 말한다.
          * 플로제가 그를 가족으로 받아주었던 기억.
          * 플로제의 꿈이란 바로 "가족과 함께 하는 식사". 이것이 미도라의 "드링크"다.
  • 황치열 . . . . 3회 일치
         | 가족 =
         * 2015년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 가족특집에서 [[인순이]]의 '아버지'를 불러 첫 우승을 차지함. 이후 각종 라디오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2015년 슈퍼루키특집'에서 [[신승훈]]의 '[[나보다 조금 더 높은 곳에 니가 있을 뿐]]'을 부르며 공식적인 '2015년 슈퍼루키' 타이틀과 함께 우승을 거머 쥠.
         * 2015년 5월 16일 -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 (가족 특집) - 〈아버지〉 '''425점 우승'''
  • 3월의 라이온/123화 . . . . 2회 일치
          * 그저 가족같기만 했던 키리야마가 실은 나름의 세계를 가지고 있고 위치도 있었다.
          * 키리야마는 진지하게 가족으로서 그녀들을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 Crusader Kings 2/DLC . . . . 2회 일치
          * 가족과의 관계도를 향상시켜주는 가족(Family).
  • GodTemplate . . . . 2회 일치
         ## == 가족 ==
         ## 자식이나 배우자 등 가족이 있는 경우
  • PeopleTemplate . . . . 2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That 70's show . . . . 2회 일치
         === 포먼 가족과 이웃들 ===
          * 할머니는 [[스웨덴]] 출신. 키티는 할머니의 억양이 이상해서 부끄러워서 졸업식에 부르지 않았는데, 할머니는 그로부터 16년 뒤에 통풍에 걸려서 돌아가셨다는 사연이 있다. 1시즌 1에피소드에서 도나에게 이 사연을 이야기 해줄 때 말하는 교훈은 "모든 가족은 부끄럽다. 부끄럽지 않게 되는건 죽은 뒤일 뿐.(…)"
  • This is the Police . . . . 2회 일치
          보이드의 부관. 보이드와는 30년 전부터 아는 사이였다. 마피아가 FPD 안에 심어넣은 내부자로 활동했지만 게임이 시작되기 얼마 전의 시점에 걸려버렸다. 이후 보이드에게 도와달라고 간청한다. 도와주면 가족들을 데리고 도망쳐 신분 세탁을 하지만 거부하면 가족들과 함께 끔살.
  • 거미(가수) . . . . 2회 일치
         ||<bgcolor=#874D0D> {{{#FFFFFF '''가족'''}}} ||어머니 [[장숙정]], 1남 1녀 중 막내, 배우자 [[조정석]]||
         ||가족 특집||사랑은 영원히([[패티 김]])||415||1승 1패||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57화 . . . . 2회 일치
          * 내용물은 꼬마시절 가족사진. 주로 오빠(모토베 봄바)와 찍은 것들이다.
          * 성장하면서 점점 가족간의 대화가 줄어들었고 봄바가 워낙 섬세함이 없어서 불쑥 방에 들어오거나 말을 걸거나 해서 피하게 되었던 것.
  • 계력 . . . . 2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고경표(배우) . . . . 2회 일치
         || '''가족''' ||<(> 부모님, 1남 1녀 중 둘째 ||
         [[블랙넛]]이 여성혐오 논란으로 비판을 받고있을 때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블랙넛의 노래가 좋다는 글과 블랙넛의 '내가 할 수 있는 것'의 스트리밍 인증샷을 올려서 논란이 있었다. 이에 사람들이 인스타에 고경표와 고경표의 가족에게 [[모욕죄|모욕]]과 [[명예훼손죄|인신 공격성 테러]]를 가하였고, 설전이 이루어졌었다. 그러나 사실 해당 노래는 여성 혐오에 대한 가사로 논란이 일었던 노래조차 아니였다. 이후 사과글을 게시한 것으로 마무리되었으나, 일부 네티즌들의 의도적 판 키우기와 언론인들의 가쉽성 보도 때문에 고경표 일베설이라던가, 여성혐오자라더라 같은 [[냄비근성|루머가 돌게 된 것이다.]]
  • 고다이고 덴노 . . . . 2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고독사 . . . . 2회 일치
         인간관계가 고립된 사람이 [[의사]]나 [[가족]], 이웃 등 주변 사람들에게 간호를 받지 못하고 고독하게 사망하는 경우를 뜻한다. 주로 [[독거노인]]에 많으며, 지역사회에서도 고립된 경우가 일반적이다. 적절한 치료를 받았다면 사망을 면할 수 있었을 사람도 많다.
         고령화, [[핵가족]]화, 도시화로 인한 지역 커뮤니티 단절 등이 고독사가 증가하는 원인으로 여겨진다. [[일본]]에서는 1990년대 [[한신대지진]] 이후에 문제가 되기 시작하였으며, 사회 붕괴와 경제불황에 따라서 점차 증가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 고소영 . . . . 2회 일치
         ||<#896AB7> {{{#ffffff '''가족'''}}} ||<(> 부모 '''[[반하니]]''', 딸 반윤설 ||
         가족관계는 1남1녀 중 둘째로 2살 위의 [[오빠]]를 두고 있다. 이후 고소영은 미남 배우 [[장동건]]과 결혼하여 마찬가지로 1남 1녀의 자녀를 두게 된다. 자신과 마찬가지로 [[오빠]]-[[여동생]] 남매라는 점도 같다.
  • 고현정(미스코리아) . . . . 2회 일치
         ||<#9A7CA7> {{{#FFFFFF '''가족'''}}} ||<(> 배우자 [[성혼]] (1995.5 - 2003.11)[br]남동생 고병철, 아들 성해찬, 아들[[성문준]] 딸 성해인 ||
         1남 1녀를 두고 잘 사는 듯 했으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3&aid=0000014222|2003년 11월 19일 이혼]]하였다. [[이혼]]시 엄청난 루머가 쏟아졌다. 주로 "따돌린다"는 루머.[* 가족들끼리 고현정을 [[왕따]]시키기 위해 영어로만 대화했다가 고현정이 왕따에서 벗어나기 위해 영어를 배우자 프랑스어로만 대화했다는 루머가 있었다. 하지만, [[무릎팍도사]]에서 그런 유치한 짓 하실 분들이 아니라고 해명을 했는데 뉘앙스가 묘하다. 단, 재벌일가 중에서 [[조현아|이런]] [[김동선|사례]]가 쏟아지는만큼 '''루머가 아닐 가능성도 있다.'''] 다른 것은 고현정과 [[정용진]]이 여행 중 만나게 되어 연애 결혼을 했지만 정용진의 어머니인 [[신세계(기업)|신세계그룹]] [[이명희(기업인)|이명희]] 회장이 결사 반대를 했고[* 참고로 한국의 재벌가는 거의 유럽의 왕족과 같은 분위기를 지녔고([[현대그룹]] 집안 분위기는 명문 양반가의 그것과 비슷하다고 한다)학벌이나 집안은 거의 기본으로 깔고 들어가는 곳이다(어느 정도냐고? [[아이비 리그]] 대학 졸업이면 일단 합격선으로 들어가고 경우에 따라서는 [[캠브리지 대학교]]나 [[옥스퍼드 대학교]] 출신이라면 더더욱 환영, 참고로 [[정용진]]이 [[브라운 대학교]] 출신이다). 그런 상황에서 대중적인 이목을 한몸에 받는 인기 연예인과 자신의 자녀를 혼인시킨다는 것은 꿈에도 생각 못할 일이다. 결혼은 현실이란 것을 강하게 보여주는 예시가 바로 이 재벌가의 혼인이다.] 훗날 온갖 스캔들을[* 1억 5천만원짜리 다이아 반지, [[포르쉐 카이엔]] 도난 신고사건 등.] 유발하여 불리한 조건(친자 포기)으로 이혼을 유도하려고 했다는 루머 등.
  • 공명(배우) . . . . 2회 일치
         ||<#f9ffff> {{{#6482b9 '''가족'''}}} ||<(> [[부모님]], [[남동생]] [[NCT]] [[도영(1996)|도영]][* SM엔터테인먼트 소속 보이그룹 멤버.] ||
         ||<#f9ffff> {{{#6482b9 '''종교'''}}} ||<(> [[개신교]][* 가족 모두 교회를 다닌다 한다. 본인 및 당연히 동생인 도영도 포함. 또한 그는 십자가 목걸이를 하고 다니는 모습이 몇 번 포착이 됐다. 단, 술은 약간 마시는 것으로 확인됐다. 주량이 약간 있는 듯하다. 팀에서 유일하게 교회를 다니는 걸로 추정된다.] ||
  • 권해효 . . . . 2회 일치
         || '''가족''' ||<(> 배우자 조윤희[* 같은 연극 배우출신. 2017년 [[홍상수]]의 영화 [[그 후]]에서 권해효가 맡은 캐릭터의 아내로 출연한다.], 슬하 1남 1녀 ||
         한양대 선배이자 동료 배우인 [[박광정]]과는 막역한 사이로, 서로 첫 대면한 자리에서 상대방의 얼굴을 보자마자 속으로 ''''이야 이거 만만치 않은데?''''(권해효), ''''저쪽도 한 코 하는데?''''(박광정)하는 생각을 했다고. 나중에 처음 만났을 때 이야기를 하던 중 누군가 먼저 이 이야기를 꺼내자 다른 한 쪽이 "나도 비슷한 생각을 했는데 서로 첫인상이나 생각까지 비슷했던 걸 보니 역시 우린 잘 맞는다." 며 웃었다고 한다. 실제로도 두 사람은 오랜 시간 깨알같은 콤비로 활약하며 함께 하는 작품들이 많았다. 이후 [[박광정]]이 폐암으로 별세하자 가족과 같은 수준으로 빈소를 지키며 장례를 마무리하는 의리있는 모습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
  • 그랜드 테프트 오토: 산 안드레아스 . . . . 2회 일치
         >이제 90년대 초반이 되었습니다. Carl은 집으로 되돌아옵니다. 어머니는 살해당했고, 가족은 뿔뿔이 흩어졌으며, 어릴 적 친구들은 그저 재앙의 입 속으로 걸어들어가고 있을 뿐입니다.
         >동네를 지날 무렵, 몇몇의 부패한 경찰이 그를 살인 혐의로 체포합니다. CJ는 이제 San Adreas 주 전체를 아우르는 여행을 떠날 수밖에 없는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CJ는 이 여행을 통해 가족을 구하고 거리의 통제권을 되찾아야만 합니다.
  • 긴나라 . . . . 2회 일치
         ## == 가족 ==
         ## 자식이나 배우자 등 가족이 있는 경우
  • 길은혜 . . . . 2회 일치
         * [[2016년]] [[KBS1]] 일일연속극 《[[별난 가족|별난가족]]》 ... 강삼월 역
  • 김가은(1989년 5월) . . . . 2회 일치
         || '''가족''' || 부모님, 언니 ||
          * 2006년 LG SHINE MOMENT [* 처음 나오는 연인으로 출연하며, 가족사진 찍는 장면에서도 출연한다.]
  • 김국진(MC) . . . . 2회 일치
         || '''가족''' ||<(> 3형제 중 [[막내]][br]배우자 [[강수지]][br]의붓딸 황비비아나[* 강수지가 전 남편과 결혼했을 때 얻은 딸이다. 김국진 본인에게는 친자녀가 없었다.] ||
         2018년 2월 6일 [[불타는 청춘]] 방송에서 기사화 된 내용을 인정하며, '''강수지와 5월에 결혼한다'''는 발표를 했다. 이로써 불청 최초의 커플이 결혼에 골인하는 경사를 맞게 되었다. 결혼식은 올리지 않으며 가족들끼리 조촐한 식사 자리를 마련한다고 한다.
  • 김대환 (법조인) . . . . 2회 일치
         징역15년을 선고받고 1988년 가석방되었으나 1995년 보안관찰 처분을 갱신하자 낸 소송에서 "재범 위험성을 인정할 충분한 이유가 없다"며 원고 승소 판결했다.<ref>한겨레 1997년 1월 22일자</ref> 5월 20일에 1994년 인천 북구청 세무계장으로 있으면서 지방세 55억여원을 횡령하여 1심에서 징역22년6월 벌금40억원 선고받자 전재산 사회 헌납 약속으로 2심에서 벌금없이 징역22년6월만 선고된 안영휘의 가족이 "가족 명의의 재산을 압류한 것은 부당하다"며 청구한 소송에서 "구청은 안씨 명의의 부동산을 처분해 20억여원을 환수하라"는 원심을 깨고 원고패소 판결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7052100329123005&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7-05-21&officeId=00032&pageNo=23&printNo=16110&publishType=00010 경향신문 1997년
  • 김석훈(탤런트) . . . . 2회 일치
         ||<bgcolor=#3B485A> {{{#FFFFFF '''가족'''}}} ||<(> [[무녀독남]] ||
          * 2004년 LG유플러스 가족사랑 할인요금제
  • 김성곤 . . . . 2회 일치
         ||<#796E65> {{{#white 가족}}} ||부친 김광도[br] 모친 김봉옥[br] [[배우자]] [[류원정|성곡 류원정]][br] 슬하 4남 2녀||
         1973년 [[대한상공회의소]] 제8대 회장에 취임하였고 1974년 대한양회를 인수, 한국신문연구소 회장에 취임하는 등 활동을 재개했다. 그러나 1975년 [[고려대학교]] 교우회장 자격으로 졸업식 축사를 준비하던 중 갑자기 쓰러져 타계했다. 국민훈장 무궁화장이 추서되었으며, 그의 묘는 원래 가족장으로 [[국민대학교]] 뒷산에 안장되었다가 1984년 [[강원도]] [[평창군]]에 이장되었고, 2014년 고향인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으로 재이장되었다.
  • 김승환(배우) . . . . 2회 일치
         ||<bgcolor=#BFFF00> '''가족''' || [[배우자]] [[이지연]] ||
         || [[2012년]] || SBS 일일연속극 [[가족의 탄생]] || 최인우 ||
  • 김우중 . . . . 2회 일치
         == 가족 관계 ==
         6.25 전쟁으로 아버지가 납북되자 15세에 홀어머니 아래서 소년가장으로 가족들의 생계를 도맡게 된다. 휴전 후 상경해 경기중학교와 경기고등학교 진학하고 1956년 연세대학교 경제학과에 입학해 학창생활을 보냈다.
  • 김유미(1979) . . . . 2회 일치
         || '''가족''' ||<(> 2남 1녀 중 막내[br]배우자 [[승리(빅뱅)]], 슬하 1녀 ||
         || 2013 || [[붉은 가족]] || 백승혜 ||
  • 김윤아(1974) . . . . 2회 일치
         ||<#CF89D7> {{{#ffffff '''가족'''}}} ||<#FFFFFF><(> 남편 [[김형규]][* 남편 김형규(1976년생)가 2살 연하이다.] , 아들 김민재, 남동생 김윤일 ||
         엄한 아버지 밑에서 자라 라디오를 계속 듣지 못하다가, [[순창중학교]] 1학년 때 가족들의 눈을 피해 몰래 튼 라디오에서 '[[빌리 조엘]]'의 'Honesty'를 듣고 충격을 받아 본격적으로 곡을 쓰기 시작하며, 비슷한 시기에 '[[퀸(밴드)|퀸]]'을 듣고 밴드음악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 이후 [[배철수의 음악캠프]],[[AFKN]], [[아메리칸 탑 포티]] 등의 라디오를 통해 팝송을 접하면서 음악에 대한 열정을 키웠다. [[순창고등학교]] 시절에는 연극부에서 활동하였는데 직접 작곡하여 뮤지컬을 공연한 적이 있다고 한다. 표정 연기, 무대 연출 등 이 시절 연기 경험에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고등학교 2학년 때 김윤아의 노래를 좋아한 영어 선생님의 아들 결혼식에서 축가로 A Lover's Concerto를 부른 것이 첫 공식 무대라고.
  • 김정난 . . . . 2회 일치
         || '''가족''' ||<(> 1남 1녀 중 [[장녀]] ||
         || 2014년 || KBS2 || [[가족끼리 왜 이래]] || [[노영설]] || ||
  • 김태희 . . . . 2회 일치
         1980년 대구에서 태어났다. 이후 경북 구미 으로 이사 하였다. 김태희 본인의 가족으로는 부모와 언니 김희원, 남편 [[이완 (1984년)|이완]]이 있다. 연예인 [[비 (가수)|비]]와 동료.<ref name="씨네21">{{웹 인용 |제목=천천히 밝게 빛나는 별, <중천>의 김태희|url=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43569|출판사=[[씨네 21]]|저자=이혜정|날짜=2006-12-22|확인날짜=2014-02-25}}</ref> 6학년에는 언니를 대신해 교복 모델로 활동했다.<ref name="씨네21"/> 졸업하고,<ref>{{뉴스 인용 |제목=김태희, 중학내내 전과목 100점…공주대접도 당연 |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3&aid=0003771618|출판사=뉴시스|저자=김지은|날짜=2011-03-30|확인날짜=2014-02-25}}</ref> 이후 재학 시절 학원 홍보 전단지 모델로도 활동했다.<ref>{{뉴스 인용 |제목=경북 구미 에서 김태희 모르면 간첩? 학창시절 인기-성적표 공개!|url=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9091530327|출판사=[[한국경제]]|저자=김명신|날짜=2009-09-15|확인날짜=2014-02-25}}</ref>
         이 드라마를 통해 자리를 확고히 한 김태희는, 2006년 제작비 130억, [[중화인민공화국|중국]] 올로케이션으로 촬영한 영화 《[[중천 (영화)|중천]]》에서 [[정우성]]과 함께 공연하며 소화 역할로 첫 장편 영화에서 주연을 맡았다.<ref name="김태은"/> 이 영화로 [[백상예술대상]],<ref>최지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230&aid=0000001410 '국내' '이 상을 <하얀거탑> 폐인 분들께 바칩니다'] 매거진t 2007년 10월 4일</ref> [[대종상영화제]],<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43&aid=0000063392 ‘가족의 탄생’최우수작품·시나리오상…대종상 이변] 국민일보 2007년 6월 9일</ref> 그녀는 [[청룡영화상]]에서 인기스타상을 수상했다.<ref>{{웹 인용|url=http://www.blueaward.co.kr/bbs/board.php?bo_table=awards_news&sca=28|제목=제28회 청룡영화상|출판사=청룡영화상|확인날짜=2014-02-27}}</ref> 하지만 연기력에서 “대사 소화가 부족하고 표정연기가 풍부하지 못했다”, “평면적 연기다” 등의 부정적인 평가가 많았다.<ref name="김태은"/> 《[[중천]]》은 관객수 150만 명을 기록하면서 흥행에도 실패했다.<ref>{{뉴스 인용 |제목='중천' 참패, CJ 주가 폭락|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3&aid=0000319790|출판사=뉴시스|저자=김용호|날짜=2007-02-19|확인날짜=2014-03-05}}</ref> 2007년에는 영화 《[[싸움 (영화)|싸움]]》의 윤진아 역할을 연기했다. 연기파 배우 [[설경구]]와 공연하며 연기력에 있어서는 이전 작품보다 확실히 좋아졌다는 평을 받았으나,<ref>{{뉴스 인용 |제목=김태희, 연기력과의 싸움에서 '웃다'|url=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1100&g_serial=299002|출판사=조이뉴스24|저자=정명화|날짜=2007-12-05|확인날짜=2014-03-05}}</ref> 34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는데 그쳤다.<ref>{{뉴스 인용 |제목=톱스타 마케팅, 더 이상 안 통한다!|url=http://osen.mt.co.kr/article/G1010070161|출판사=OSEN|저자=이명주|날짜=2010-10-07|확인날짜=2014-03-05}}</ref>
  • 김형준(배우,가수) . . . . 2회 일치
         ||<#00BFFF> '''가족''' ||부모님, 남동생 [[알렌기범]][* 3살 터울인데 마치 쌍둥이처럼 닮았다.]||
          * 초등학생때 아버지가 다니시던 회사가 부도가나서 가정형편이 어러워 졌는데 반 지하방에 온가족이 월세로 지냈다고 한다. 일년에 서 너번식 이사를 다녔고 이사를 자주다녀 나중에는 집과 학교가 멀어져 동생 [[알렌기범|기범]]이가 지하철을 몇번이나 갈아타며 학교를 다녔는데 그게 제일 마음이 아팠다고 한다.
  • 김혜은(탤런트) . . . . 2회 일치
         ||<bgcolor=#405366> {{{#FFFFFF '''가족'''}}} ||<(> 남동생 김지호^^(1976년생)^^, 배우자 김인수, 딸 김가은 ||
         ||<|2> 2016년 || [[그래, 가족]] || 순임 || ||
  • 김희철(1983) . . . . 2회 일치
         ||<#00239b> '''{{{#ffffff 가족}}}''' ||<(> 부모님, 누나 김희진 ||
          * [[불량가족]] - 공민 역 (2006.03.22~2006.05.11)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95화 . . . . 2회 일치
          * 츠카우치는 올 포 원의 폭로 자체를 의심하는데 사실 그랜토리노와 올마이트 모두 시무라 나나의 가족하고는 교류가 없었다.
          * 그랜토리노는 그녀의 가족사를 간략하게 이야기하는데, 그녀의 남편은 살해당했다 한다.
  • 남보라(배우) . . . . 2회 일치
         ||<bgcolor=#7F00FF> '''{{{#white 가족}}}''' ||<(> '''8남 5녀''' 중 둘째(장녀) ||
         2017년 4월, 여성조선 잡지에서 쉬는 대부분의 시간을 본인은 혼자 있거나 아니면 가족들과 함께 보낸다고 한다. 한마디로 [[집순이]]로 불릴만큼 집을 굉장히 편안해한다고 한다. 힘든 일이 있으면 밖에 나가는 것보다는 그냥 종이에 쓴다고(...)... 화나는 일, 답답한 일, 힘든 일. 그 순간 차오르는 여러 뒤섞인 감정에 이름표를 붙인다고.
  • 남효온 . . . . 2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네드 켈리 . . . . 2회 일치
         1878년 4월, 피츠패트릭 순경(Constable Fitzpatrick)이라는 [[경찰]]이 켈리 가족에게 찾아온다. 피츠패트릭은 네드의 동생인 댄 켈리(Dan Kelly)를 말도둑 혐의로 체포하려고 했다. 피츠패트릭은 총에 맞았고[* 죽었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이후 피츠패트릭의 주장이 있는걸로 보아 죽지는 않은 것 같다.], 켈리 가족의 어머니인 엘렌 켈리(Ellen Kelly)는 이 일을 사주한 혐의로 체포되었다. 유력한 용의자인 네드와 댄은 도주했다. 훗날 네드의 친구인 조 번(Joe Byrne)과 댄의 친구인 스티브 하트(Steve Hart)가 합류, 켈리 갱(Kelly Gang)이라고 불리는 범죄 조직을 만들었다.
  • 동왕부 . . . . 2회 일치
         ## == 가족 ==
         ## 자식이나 배우자 등 가족이 있는 경우
  • 레이디 제인 (가수) . . . . 2회 일치
         | 가족 = 동생 전지원
         * [[KBS2]] 《[[가족의 품격 풀하우스]]》
  • 마기/314화 . . . . 2회 일치
          * 그는 달라진 세상에 돌아와서 "모두 평화로워지면 가족을 만든다."는걸 느꼈다고 한다.
          * 이윽고 그도 "언젠가 가족을 만들면 좋겠다"고 생각하는데, 그때 떠오른 얼굴이 모르지아나였다.
  • 마기/342화 . . . . 2회 일치
          * 알라딘 또한 신드바드가 하는 말이 어떤 의미인지, 무엇에 좌절한 것인지 공감한다. 그러나 그들의 선택을 탓할 수는 없다. 쌓아온 것을 지키고 싶다는 마음은 가족을 지키고 싶다는 것처럼 당연한 일이며 인간의 본성이다. 신드바드는 거기에도 동의한다. 그러나 그런 당연한 본성들이 부딪힐 때 전쟁이 일어난다. 그건 결국 누가 막을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가족 한 명을 지키기 위해서 검을 쥐는 아버지부터
  • 마누엘 고도이 . . . . 2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마이클 페이 . . . . 2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문근영 . . . . 2회 일치
         ||<#f08080><:> {{{#ffffff '''가족'''}}} ||<(><#ffe4e1> 외조부 [[후카다쿄코]][br]부모님, 여동생[* 여동생 김남주과는 5살 정도의 나이 차가 있다.] ||
         === 가족사 ===
  • 미즈우치 타카시 살인사건 . . . . 2회 일치
         이렇게 고민하면서도 시라타 히카루는 열심히 공부하여 [[사회복지사]] 자격을 취득하였다. 그녀는 [[할머니]]와 [[어머니]]를 [[암]]으로 잃은 경험이 있어, "한 사람이라도 많은 환자와 그 가족의 힘이 되어주고 싶다."는 생각으로 사회복지사가 되고자 했던 것이다. 그녀는 오사카 시 히가시스미요시 구(大阪市東住吉区)에 있는 암 치료 병원에 사회복지사로 취직하게 되어, 2014년 봄에 오사카로 이주했다.
         == 가족 ==
  • 바실레이오스 1세 . . . . 2회 일치
         바실레이오스는 본래 아르메니아 혈통이었는데, 여느 아르메니아인이 그렇듯이 그의 가족도 트라키아 지방으로 이주해서 거기서 농사를 지으면서 살고 있던걸로 보인다. 그러던 와중, 불가리아의 칸 크롬이 트라키아를 침략하면서 그의 가족들과 그를 납치했고, '마케도니아'라는 곳으로 끌려가 어린시절을 보내게 된다.[* 아마 포로로 잡혀간 이들중 대부분이 마케도니아 출신이라 그런것으로 보인다.] 이것이 바로 그의 왕조를 '마케도니아'라고 부르게 된 이유다.
  • 박경림(MC) . . . . 2회 일치
         || '''가족''' ||<(> 배우자 박정훈[br]아들 박민준 ||
          * 논스톱에서 조인성과 러브라인을 타면서 최고의 인기를 누렸지만 정상의 위치에서 갑자기 유학을 선택,[* 이 때 뉴욕에서 [[임심여]]를 만나 같이 지냈다고 한다. 임심여도 그 때 뉴욕으로 연기를 위해 유학을 갔었다. 임심여가 유학 이후 슈퍼스타가 된 반면 본인은 점점 떨어지는 추세이니 참 아이러니한 일.] 팬들을 당황케 만들더니 귀국할때는 백인 남자친구와 동행해 세간에 화제를 일으키기도 했다.~~애인 말고 걍 친구사이라고~~ 귀국 후 시트콤에 야심차게 복귀했지만 결론은 캐망[* [[LA 아리랑]], [[순풍 산부인과]], [[웬만해선 그들을 막을 수 없다]], [[똑바로 살아라]] 등을 연출하여 한국형 가족 시트콤의 1인자로 자리 잡은 [[김병욱]] PD가 연출한 [[귀엽거나 미치거나]][* 박경림이 신인이던 시절, 순풍 산부인과에 특별출연한 적이 있다.].그러나 작품이 제대로 인기를 끌지 못한 탓에 조기종영을 하는 아픔을 겪어야 했으며, 그동안 시트콤의 강자로 자리 잡았던 [[서울방송|SBS]]가 더 이상 시트콤을 제작하지 않게되는 계기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이 일 이후, 김병욱은 SBS에서 [[문화방송|MBC]]로 옮겨 시트콤을 제작하게 되었고, [[거침없이 하이킥|또 하나의 레전드 시트콤]]을 만들어냈다.]. 그 이후로 점점 하향세를 그리게 되었다. 박경림 본인은 예능보다 정극연기를 본업으로 삼아 가고 싶었던 욕심이 있었다고 하는데 잘 되지 않았던 것 같다.
  • 박노식(1971) . . . . 2회 일치
         || '''가족''' || 아내, 슬하 1남 ||
         || KBS1 || [[별난 가족]] || 창웨이 || ||
  • 박두을 . . . . 2회 일치
         == 가족 형성 ==
         == 가족 관계 ==
  • 박상면(배우) . . . . 2회 일치
         || '''가족''' ||<(> 아내, 슬하 1녀 ||
         || MBN || 수상한 가족 || 천억만 || ||
  • 박상원(배우) . . . . 2회 일치
         ||<#5F9EA0> '''{{{#ffffff 가족}}}''' ||<(> 슬하 1남 1녀 박지윤^^(1997년생)^^[* 현재 tvN 예능 '둥지탈출'에서 아버지인 [[박상원]]과 출연중이다.] ||
          * [[대우전자]] 신대우가족
  • 박희광 . . . . 2회 일치
         || 가족 ||<(> 아버지 박윤하, 부인 유문기, 장남 박근용, 차남 [[박정용]], 박정희, 박선용, 박수용 ||
         박희광은 만주에서 활동한 대표적인 독립운동가로 통의부, 참의부에서 활동하였으며, 대표적인 활동으로는 일본 영사관 습격, 친일파 정갑주와 가족 암살, 독립운동가 체포를 위해 활동한 스파이 배정자(裵貞子, 일본식 이름: 다야마 사다코) , 이용구, 최정규 암살임무 등 항일 독립운동단체와 임시정부에 무기와 군자금을 조달 했었다.
  • 법요 . . . . 2회 일치
         사후 7일(初七日)에 가족과 친인척, 지인이 모여서 공양을 하고, 그 후 7일 마다 공양을 하며 49재 까지 일정한 시기에 공양을 한다. 49재에서는 마지막으로 납골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후 사후 100일 째에 다시 가족 친지들 끼리 법요를 올리는 경우도 있다.
  • 베스타 . . . . 2회 일치
         ## == 가족 ==
         ## 자식이나 배우자 등 가족이 있는 경우
  • 벤 존슨 . . . . 2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보루토/1화 . . . . 2회 일치
          * 보루토는 호카게는 주변(가족)에게 민폐밖에 안 된다고 생각한다.
          * 방으로 돌아가다가 나루토의 방문이 열려 있는걸 보는데, 그 안에는 가족들의 사진을 비롯해 소중한 물건들이 놓여 있다.
  • 보육원 떨어졌다 일본 죽어라!!! . . . . 2회 일치
         [[아사히 신문]]의 기자가 이메일로 블로그 소유자와 연락한 바에 따르면, 블로그 소유자는 [[도쿄]]에 거주하는 30대 초반 여성이라고 자칭했으며, 남편과 1세가 되는 남자아이와 3인 가족이서 생활하고 있고, 사무직 정규직으로 4월에 복직할 예정이었으나 보육소에 아이를 넣을 수 없었던 사정이 있었다고 하였다.
         [[2016년]] [[2월 15일]], [[하테나 익명 다이어리]]에 해당 익명 게시물이 올라왔으며, 인터넷에서 많은 화제를 불러모았고, [[트위터]]에서는 '#보육원 떨어진 것은 나다(#保育園落ちたの私だ)'라는 [[해시태그]]가 인기를 끌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서 대기아동 문제에 걸린 사람이 많아 같은 고민을 안고 있는 가족이 많아 [[공감]]을 일으켰다는 분석이 있다.
  • 붐(연예인) . . . . 2회 일치
         ||<#EEE156> '''{{{#878787 가족}}}''' ||<(> 1남 1녀 중 첫째 ||
          * 《[[자유선언 토요일]]》 - [[가족의 탄생]] (KBS)
  • 브이원 . . . . 2회 일치
         | 가족 =
         * [[2000년]], [[2004년]], [[2006년]] KBS [[가족오락관]]
  • 블랙 클로버/100화 . . . . 2회 일치
          * 바네사는 절망한 마녀왕에게 이 마법은 자신과 인연이 맺어진 가족 편만 들어주며 "나와 당신 사이엔 인연은 없다"고 선언한다.
          >이 마법은... 나와 인연이 맺어진 가족의 편만 들어준다는 것을
  • 블랙 클로버/129화 . . . . 2회 일치
          * 조라는 이름을 버리고 횡포를 부리는 마법기사들을 찾아가 응징하고 다녔다. 나라를 지키는 마법기사란 건 말 뿐이었다. 마법기사는 거의 귀족이었고 귀족들은 지켜야할 국민들을 계급이 낮다며 학대하고 착취했다. 그가 이름을 빼앗은 "잭스 류그너"도 겉으론 "여빙의 성자"라는 이름을 내세우고 있었지만, 끔찍한 인간이었다. 잭스는 "포에"라는 마을에서 하층민 소녀를 유괴한 뒤 가족들에게 돌려주지 않았다. 그녀의 할머니가 성도까지 찾아와 돌려달라 애원하는데도 오히려 할머니까지 죽이려 들었다. 조라는 그를 그를 쓰러뜨리고 이름을 빼앗았다. 그가 비리를 일삼는 마법기사들을 응징하고 랜길스의 폭거에 분노하는건 딱 한 가지 이유였다. 그들은 아버지가 추구했던 진정한 마법기사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조라에게 이름을 빼앗긴 진짜 잭스 류그너. 자줏빛 범고래의 부단장으로 겉으로는 "여빙의 성자"라고 불리고 있지만, 이면에선 부녀자를 납치하고 살인을 저지르는 악당이었다. 처음 등장했을 땐 인망과 명성이 자자하다는 설명에 로열 나이츠 시험장에 가던 길에 우연히 잭스랑 마주쳐서 박살난 것처럼 보여서 불쌍한 놈 취급이었지만 진상이 공개되자 인간쓰레기가 됐다. 조에라는 마을에서 어떤 소녀를 납치해놓고 가족들이 돌려달라고 애원해도 상대도 해주지 않았다. 결국 할머니가 왕도까지 찾아와 매달리자 종자가 "기사님이 피곤해하신다"는 얼토당토 않은 이유로 돌아가라고 윽박을 지르고 잭스 귀찮아하며 아예 죽이려 들었다. 잭스한테 재기불능으로 박살나서 참 다행.
  • 블랙 클로버/83화 . . . . 2회 일치
          * 여왕은 아스타에게 "이건 가족 간 문제"라며 참견하지 말 것이며, 이들이 어떻게 되든 자기 자유라고 말한다.
          * 아스타는 자신은 말겨도 없고 몸도 성치 않지만 "가족을 짓밟는 녀석 보단 양반"이라 쏘아붙인다.
  • 빅터 차 . . . . 2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상디 . . . . 2회 일치
         || 해적단 가족 포지션 ||<:> 차남(불량) ||
          * 공식 가족 포지션은 차남이지만 하는 행동이 '''엄마같다'''는 평이 많다. 일단 동료들의 모든 식사를 책임져주고 있으며 평소에는 [[츳코미]]를 걸거나 잔소리하는 장면이 자주 나오지만 상냥하게 챙겨주는 면도 있기 때문. 팬들에게는 가끔 お母サンジ[* 어머니라는 뜻의 お母さん과 상디의 이름인 サンジ를 합친 말장난]라고 불리기도 한다.
  • 서림 . . . . 2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서영춘(코미디언) . . . . 2회 일치
         || '''가족''' ||<(> 11남매(7남 4녀)중 다섯째[br]자녀: 첫째 서현선, 둘째 [[서동균]] ||
         가족으로는 [[딸]] [[서현선]]과 [[아들]] [[서동균]]이 있고 둘 다 [[아버지]]의 뒤를 이어 [[코미디언]], [[배우|연극배우]]의 길을 밟았다. 서현선은 1990년대 초반 [[KBS]] '한바탕 웃음으로'에서 레귤러로 이름을 알렸다. 현재 [[유튜브]]에 돌아다니는 '[[봉숭아 학당]]'에서 [[오서방]]([[오재미]])과 합을 맞추는 미녀 [[코미디언]]이 바로 그녀이다. 동료들이 서영춘의 성대모사를 시전하자 발끈하는 모습을 (물론 개그로) 보여주기도 했다. 서동균은 [[개그콘서트]] 초중반기 멤버로 참가하며 로보캅 연기로 인지도를 쌓았으나 이후 [[이정수(1979)|이정수]]처럼 연극 및 뮤지컬 배우로 전업하였다.
  • 솔 인빅투스 . . . . 2회 일치
         ## == 가족 ==
         ## 자식이나 배우자 등 가족이 있는 경우
  • 슈가(방탄소년단) . . . . 2회 일치
         ||<:><#00CED1>{{{#fff '''가족'''}}} ||<(> [[부모님]], [[형]]^^(1989년생)^^ ||
         한국의 폐쇄적인 정서상 정신적인 문제에 대해 여전히 좋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음에도 단지 팬이라는 이유만으로 솔직하게 자신의 속내를 밝힌 것은 충분히 리스펙할 만한 부분이다. 한국의 분위기상 정신적인 문제를 밝힐 경우 부정적인 시선이 따르기 마련이며 때문에 가족은 물론이고 친한 친구에게도 이를 꺼내기 어려워하는 것이 현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팬들에게, 어쩌면 당장에라도 자신에게서 돌아설 수도 있는 얼굴도 이름도 모르는 수많은 이들에게 이 사실을 밝히는 것은 연예인이자 아이돌로써는 쉽지 않은 결정이었을 것이다. 가사를 보고 너무 많은 걱정 혹은 동정의 시선은 삼가길 바란다. 그는 곡에서 '''나 이젠 정말 괜찮아'''라고 말할 뿐더러 되려 팬들에게 '''고개를 떳떳이 들라, 누가 나만큼 하느냐'''며 팬들을 다독이기까지 한다. 이러한 본인의 어두웠던 속내를 밝히는 것 자체가 자신은 그 힘든 나날들을 넘어 마침내 극복해냈음을 뜻하는 것일 터이다.
  • 시노자키 아이 . . . . 2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 관계 ==
  • 시바 . . . . 2회 일치
         ## == 가족 ==
         ## 자식이나 배우자 등 가족이 있는 경우
  • 신성우(가수) . . . . 2회 일치
         || '''가족''' ||<(> 아내, 아들 신태오 ||
          * 방송에 가족을 공개했지만 아내의 얼굴은 공개하지 않는데, 20년 넘게 집요하게 괴롭히는 [[스토커]] 때문이라고 한다. 신성우의 결혼 후 스토커의 집착이 더 심해지는 등 아내의 신변의 위협을 느껴 비공개로 두기로 했다고 한다.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363403#07Qv|#]][* 이 기사 댓글에도 스토커가 출몰해 악플을 달고 있다 ㅎㄷㄷ...] 그런 이유로 신성우의 집에는 잠금장치가 몇 겹으로 되어 있다.
  • 신현탁(영화배우) . . . . 2회 일치
         * 2015년 TV조선 & tvN 《[[위대한 이야기]] - 이산가족 이야기 (TV조선) / 놓지 말자 정신줄 (tvN)》
         * 2011년 JTBC 《[[발효가족]]》- 성진 역
  • 신혜진 . . . . 2회 일치
         ||<#FFF57C> {{{#000000 '''가족'''}}} ||<(> [[부모님]], [[남동생]] ||
         [[오마이걸]] [[진이]]가 아닌, 새로운 발걸음을 시작하는 저의 모습도 많은 [[응원]]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우리 [[오마이걸]] 멤버들에게도 언제나 따뜻한 [[응원]]과 [[사랑]] 부탁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제 곁을 지켜주신 우리 [[오마이걸]] 멤버들과 [[미라클]], [[가족]], [[친구]], [[WM엔터테인먼트|WM]] 식구! 모든 분들께 [[감사]]의 말씀 전합니다…
  • 아돌프 히틀러 . . . . 2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안가르즈 . . . . 2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알렉스 볼더 . . . . 2회 일치
         뉴욕시 경찰청 소속 형사였던 맥스에게 마약단속국으로 전근 올 것을 권유해왔다. 맥스는 아내와 딸이 있었기에 이를 거절해왔지만, 마약 "발키리"에 중독된 자들에게 가족이 몰살당한 후 마약단속국에 들어가겠다고 한다.
         맥스가 마약단속국으로 들어간 후, 맥스, B.B.와 한 팀으로 활동했다. 맥스 페인 3 코믹북에 따르면 서로의 목숨을 구한 적이 한번 이상 있었던 듯.[* 1편의 회상에서는 볼더가 추락하려는 맥스의 팔을 잡아줬고, 2편의 회상에서는 마약 거래 현장을 급습하려다가 붙잡힌 볼더를 구하기 위해 맥스가 난입했었다.] 맥스는 볼더 덕분에 가족이 죽고 나서 3년간을 덜 미친 채로 살았다고 회상한다. 그렇지만 맥스가 펀치넬로 패밀리에 들어가 잠입수사를 한 후로부터는 맥스와 만나지 못했다.
  • 야규 쥬베에 미츠요시 . . . . 2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양예나 . . . . 2회 일치
         ||<bgcolor=#FF69B4><:>'''{{{#ffffff 가족}}}''' ||<(>[[부모님]], [[언니]], [[남동생]] ||
          * 음식 중에서 빵을 상당히 좋아하는데 가족들도 인정하며 편의점내 수 많은 음식중에 빵만 고를 정도였다.
  • 오기노 쿄우사쿠 . . . . 2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오보카타 하루코 . . . . 2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오승근 (가수) . . . . 2회 일치
         | 가족 = 장녀 오지연, 장남 오영환
         == 가족 관계 ==
  • 오영실 . . . . 2회 일치
         || '''가족''' ||<(> 남편 남석진 ||
          * [[민들레 가족]] - 이재경 역
  • 와타나베 나오미 . . . . 2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우메즈 카즈오 . . . . 2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우츠미 사토루 . . . . 2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울펜슈타인 : 뉴오더 . . . . 2회 일치
          크라이슬라우 서클의 단원. 독일인. 어깨에 하켄크로이츠 문신이 있어 블라즈코윅즈와 만나는 즉시 공격당했다. 한때는 골수 나치로, 독일 육군 장교였지만 아들이 장애를 가지고 태어나는 바람에 가족이 비밀 경찰에게 몰살당했다.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출신. 어린시절을 가난과 아동학대속에서 지났다. 독일이 프랑스를 침공했을 때 켈러의 아버지는 레지스탕스가 되었다. 그러자 켈러는 지역 친위대 사무소에 들어가 아버지가 레지스탕스와 연관되었다고 제보, 자신의 가족들을 아우슈비츠로 보내고 데스헤드 밑에서 일하게 되었다. 켈러는 데스헤드를 아버지처럼 생각하고 있다.
  • 원빈(배우) . . . . 2회 일치
         ||<:><#4C4C4C>'''{{{#FFFFFF 가족}}}'''||[[아버지]] 김석산, [[어머니]] 이월순[* 한때 우리아들 ~~ 인데 그쪽 아들은 뭐해라고 하면 김석산, 이월순: ''원빈"이라는 드립이 흥하곤 했다.][br]2남 3녀 중 다섯째[br]배우자 [[이나영]], 슬하 1남 ||
         [[1997년]]의 [[KBS]]의 TV 드라마 '프로포즈'에서 비중 있는 조연[* 자주 개를 데리고 동네 산책을 다니며 여주인공 [[김희선]]의 이웃에 살면서 그녀를 짝사랑하며, 몽상적 성향을 보이기도 하는 약간 4차원스러운 청년역할이었다. 그래서 스토커라는 단어도 안 쓰이던 시절인데도 자기 주위를 자주 맴도는 그가 정신적으로 이상해 보였던 여주인공이 가족과 지인에게 상담도 하고 두려워하며 경계하는 장면이 많이 나왔다. 나중에는 여주인공 쪽에서 먼저 대화를 해봐야겠다고 결심하고 살짝 말을 거는 장면이 나오는데, 거기서도 몽상적인 대답만 한다. 직업도 대략 시인 비스무레한 사람인 듯이 말하는데 드라마 내용 자체에 자세한 부분이 나오지 않아 그냥 시를 좋아하는 청년인지 진짜 시인인지는 알 수 없다. 대신 여주인공은 그가 폭력적이라거나 그런 건 아니라는 걸 확인해서 다행이라 생각하고 자신은 좋아하는 남자(주인공)가 있다고 설득한 뒤 안심하며 좋게 마무리된다. 사실상 나쁘게 보면 스토커 같은 역할이라 원빈의 외모나 현재 이미지와 그렇게 많이 어울리지는 않지만, 워낙 심하게 잘생긴 외모라 역할 자체의 부정적 측면이 안 보일만큼 미화되어 보이기도 했고 아직도 그가 프로포즈에서 멋진 역할로 나왔다고 기억하는 팬이 있을 정도. 당시 남자주인공이자 김희선의 상대역이었던 배우는 [[류시원]].]으로 출연하여 주목을 받았고 그 이후에도 '레디, 고!'라는 드라마에서도 주연으로 나오면서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 이후에도 [[1999년]] [[광끼]], [[2000년]] [[꼭지]], 단막극 '그가 간이역에 내렸다'를 찍은 뒤 드디어 [[가을동화]]를 통해 슈퍼스타가 된다. 2002년에는 한일합작 드라마 '프렌즈' 등에 출연했다. 프렌즈에는 [[일본]] 여배우 [[후카다 쿄코]]가 여주인공 역을 맡았다. 이후 드라마 대신 영화에만 출연하고 있으며 많은 작품에 출연하지 않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작품 횟수는 적으나 출연한 작품마다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 원우(가수) . . . . 2회 일치
         ||<#f5f5f5> '''가족''' ||[[부모님]], [[남동생]]^^(1998년생)^^ ||
         182cm라는 장신에 팔, 다리가 상당히 길고 일자 쇄골이 도드라진 어깨가 넓은 체형이다. 원체 입이 짧은 탓에 극도로 마른 몸매까지 타고났는데, ~~[[도겸(세븐틴)|도겸]] : 앙상하다 앙상해...!~~ 본인이 직접 말하길 가족들이 모두 키가 크기 때문에 자신도 잠을 잘 잤으면 키가 더 컸을 것이라며, 지하 연습실~~메로나 감옥~~에서 오랜 기간 밤새 연습하느라 키가 여기서 멈춘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실제로 남동생은 모델 지망생이다.] [[세븐틴(아이돌)|세븐틴]] 내에서 가장 장신인 멤버는 아니지만 이 체형 때문에 팬들에게 모델적인 비주얼로 주목받고 있던 멤버 중 한 명이었는데, 그러던 [[2016년]] [[2월 6일]] 남성 매거진 <[[GQ]] KOREA>와 단독 화보를 성사하며 이 피지컬이 빛을 발하게 된다.
  • 원피스/832화 . . . . 2회 일치
          * 상디는 제르마가 자신의 가족임을 부정하고 아버지인 국왕 "빈스모크 저지"와 대립한다.
          * 레이쥬는 13년 만에 만난 누나에게 너무 매정하다고 말하는데, 그는 진작에 가족의 연을 끊었다고 대꾸한다.
  • 원피스/852화 . . . . 2회 일치
          * 레이쥬는 자신의 고향이자 가문이자 가족들을 그렇게 한 마디로 평가했다. 다행히 빅맘이 원하는건 제르마의 "과학력". 상디가 도망친대도 구태여 이스트 블루의 발라티에까지 관심을 가지진 않을 것이다. 하지만 그들을 인질취급했던 제르마의 인간들은 죽어 마땅하다. 단순한 "살인자 집단"이니까. 상디는 다른 가족들에겐 일말의 정도 없지만, 어째서 레이쥬까지 죽음을 자청하는지 이해하지 못한다.
  • 원피스/857화 . . . . 2회 일치
          >상디의 가족을 구해낼 거야.
          * 루피는 당연히 벳지를 용서할 수 없다며 분노하지만, 징베는 다른 생각을 하고 있었다. 그는 루피가 빅맘으로부터 상디의 가족을 지키기 위해 움직일 것도 짐작하고 있었다. 그러나 사황이라는 적이 생긴 시점에서 벳지까지 적으로 돌리는건 너무 위험한 일이다. 게다가 밀집모자 일행은 지금부터 작전을 짜려고 하지만 벳지는 몇 년 전부터 용의주도하게 일을 진행하고 있었다.
  • 원피스/859화 . . . . 2회 일치
          빅맘의 다과회는 한 가지 불문율이 있다. 다과회의 주역들이 원탁에 둘러 앉을 때 빅맘의 맞은 편은 "마더 카르멜"의 사진이 놓인다. 이것은 빅맘이 가장 아끼는 보물로 유일한 약점이기도 하다. 사진은 액자에 담겨 정중히 자리에 놓이며 사진이 놓인 자리엔 누구도 앉거나 건드려선 안 된다. "마더 카르멜"은 미지의 인물로 가족들 조차도 "빅맘의 은인"이란 것만 알 뿐, 정체는 알려지지 않았다. 시폰은 이 인물이 실종됐다고 하는데.
          * 루피는 사진을 찢는 것만으로 그런 소동이 일어난다면 그 틈에 상디의 가족 빈스모크 일가를 구할 수 있을 거라고 말한다. 벳지는 무슨 남의 일처럼 말하냐고 타박하며 루피 일행에겐 다른 일거리가 있다고 한다. 벳지는 사진을 찢고 빅맘이 발작을 일으키기 직전까지 약 3초 정도 시간이 걸릴 거라 예상한다. 그리고 이 시간 동안 분노한 빅맘과 부하들을 막아내야 한다. 솔직히 그들을 상대로 3초나 버티는 건 기적같은 일.
  • 원한해결사무소/2화 . . . . 2회 일치
         의뢰인 가족은 원한해결사에게 사실을 듣고 미노리카와란 사람이 불쌍하다고 말하지만, 원한해결사는 미노리카와가 자살을 시도했다가 원한해결사에게 설득을 받고, 보험을 들어서 가족에게 전하는 대신 '죽어주는 역'이 되었다는 것을 알려준다. 의뢰인 부부는 '악마'라고 경악한다.
  • 월드 인 컨플릭트 . . . . 2회 일치
          이 게임의 주인공. 미국이 침공당할 시점의 계급은 중위. 가족이 사는 시애틀로 휴가왔다가 소련군 침공에 대항하게 된다. 유능하기에 소여의 총애를 받고있다.
          시애틀에 거주하던 워싱턴 주방위군 병사. 정규군에 편입되었다. 마이클과는 친구 사이. 가족으로 딸과 아내가 있다.
  • 위의공 . . . . 2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유승민(정치인) . . . . 2회 일치
         || '''가족''' ||<white><(> 아버지 [[유수호(정치인)|유수호]][br]형 유승정, 누나 유진희[br]아내 오선혜, 아들 유훈동, 딸 [[유담]] ||
         [[포항 해병대 헬기추락 사고]] 당시에는 사고 당일 밤에 정계에서 가장 먼저 [[포항]] [[제1해병사단]]을 찾아 유가족들을 면담하고 위로하였다.[* 비공개로 방문하였기에 언론에는 보도되지 않았다.]
  • 유열 (가수) . . . . 2회 일치
         |가족 = 유정윤(아들)
         '''유열'''(柳列, 본명 '''류종렬'''(柳鍾列) 예명 유열로 개명 (2009.11.09), [[1961년]] [[1월 12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뮤지컬|어린이 및 가족 뮤지컬]] [[연출가|프로듀서]]이다. 대표곡으로는 《지금 그대로의 모습으로》, 《가을비》, 《이별이래》, 《하늘을 닮은 그대에게》, 《단 한번만이라도》, 《화려한 날은 가고》, 《어느날 문득》, 《그 여름》, 《사랑의 찬가》 등이 있다.
  • 유인촌 . . . . 2회 일치
         || 가족 ||4남 3녀 중 [[3남|넷째]][* 형은 MBC 드라마 PD 출신이자 극단 '유씨어터' 대표를 지낸 유길촌 감독이고 막내동생은 [[천주교 서울대교구]] 보좌주교인 유경촌 주교다.], 아들 남윤호[* 본명은 유대식. [[영국]]왕립연극학교(RADA)에 한국인 배우 최초로 [[http://mstoo.asiae.co.kr/view.htm?no=2017062814232586773|최종합격]]했다고 한다.] ||
         사실 TV 필모 초기에는 의외로 '''깡패'''나 '''잉여''' 역도 꽤 했다. 80년대 모 드라마에서는 사회 잉여였다가 '''[[삼청교육대]]에 간 후 착하게 되는''' 역할도 했고 전상국의 원작인 아베의 가족에서는 한국에서 동네 날건달들과 미성년자 성추행 등을 일삼다가 우연찮게 미국으로 이민가서 날라리로 살다가 입대하여 주한미군으로 귀국하여 모친의 과거와 이복형의 존재를 찾는 역할도 했다.
  • 유태공 . . . . 2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유하나(1986) . . . . 2회 일치
         || '''가족''' || 배우자 대구지하철참사범 [[김대한]], 슬하 1남(김도헌) 3녀(김선정) (박은형) (박은경) (박은혜) ||
         == 가족 ==
  • 윤다훈 . . . . 2회 일치
         ||<#40E0D0> '''{{{#ffffff 가족}}}''' ||<(> 2남 1녀 중 장남, 슬하 딸 2명[* 장녀가 배우 [[남경민]]이다] ||
          * 1995년 KBS2 [[가족오락관]]
  • 윤보라 . . . . 2회 일치
         ||<#B26724> {{{#ffffff '''가족'''}}} ||<(> [[어머니]][* 자신이 연습생일 때 [[아버지]]가 사망하였다.], [[오빠]] 윤재석 ||
         2012년 1월 17일 ~ 24일 [[강심장]]에 출연하여 데뷔 전 명지대 퀸카로 이름을 알렸던 사연 등을 공개했고, 가족들에게 눈물의 영상 편지도 선보였다. 데뷔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아버지가 돌아가셨다고 한다. 아버지가 길을 터 주셔서 자신이 지금까지 올 수 있었던 게 아닐까 한다고 심경을 밝혔다. 어쨌거나 그때에 비해 인지도도 많이 상승하고 메이저급 걸그룹에 들었으니 경사로세 경사로세! ~~그런데 그거랑은 별개로 예능감은 의외로 없다는 게 [[함정#s-1|함정]].~~[* [[2015년]] [[1월 8일]]자 [[씨스타의 쇼타임]]에서 [[데프콘(가수)|데프콘]]이 전화통화에서 보라를 상대로 데프콘도 이렇게 [[확인사살]]을 시전했다. [[http://tvdaily.asiae.co.kr/read.php3?aid=1420711575831898019|#]]]
  • 윤정희(1944) . . . . 2회 일치
         ||<:><#237065>'''{{{#white 가족}}}'''||<#ffffff>[[타쿠마 마모루]](1974– ), ||
         한때 일가족이 북한으로 [[납북]]될 뻔한 큰 위기도 겪었다. 자세한 내용은 [[백건우]] 항목 참고.
  • 윤주상 . . . . 2회 일치
         * [[2010년]] [[KBS2]] 단막극 《[[KBS 드라마 스페셜]] - 가족의 비밀》 ... 왕 대인 역
         * [[KBS1]] 《[[가족오락관]]》 (2002년) 게스트
  • 율리우스 네포스 . . . . 2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은혼/578화 . . . . 2회 일치
         * 하지만 우미보즈는 아우성치는 "방울"을 붙들고 "씨앗이라면 한참 전에 뿌렸다. 그러니까 아우성치지 마라. 싸움 좀 하게. 가족을 지키도록"라면서 우츠로를 날려 버린다
         "씨앗이라면 한참 전에 뿌렸다. 무지막지한 녀석을. 그러니까 싸우게 놔둬. 지키게 해줘. 가족이란 놈을."
  • 은혼/580화 . . . . 2회 일치
         * 카무이는 우미보즈에서 "강함이란게 뭔지 모르겠다. 타인을 상처입히지 않기 위해 얻어맞는 것인가, 가족을 지키기 위해 타인을 상처 입히는 것인가, 아니면 가족도 외면하고 혼자서 싸우러 다니는 것인가?"하고 털어놓는다.
  • 이경희 (1880년) . . . . 2회 일치
         [[1909년]](융희 3) [[윤치호]], [[안창호]]와 함께 [[청년학우회]]를 결성하고, [[청년학우회]] 경성부지회의 회원이 되었다. [[1910년]] [[5월 13일]] 독립운동가 [[구찬회]]가 [[경성부]] [[서대문형무소]]에서 사망했다. 구찬회와 같은 고향 출신이던 그는 한국통감부와 일본의 눈을 피해 [[구찬회]]의 시신을 [[미역]] 속에 숨겨서 경성에서 대구 무태로 운반하여 [[구찬회]]의 가족들에게 시신을 전달하고 [[경성]]으로 돌아왔다. [[1910년]](융희 4) [[10월]] [[한일합방]] 조약이 체결되자 [[경성]]으로 올라가 청년학우회 한성지회의 일원으로 [[이동녕]](李東寧), [[윤치호]], [[안창호]], [[윤치소]], [[이회영]](李會榮), [[윤기섭]](尹琦燮), [[이승훈]], [[김좌진]](金佐鎭), [[김구]] 등과 함께 [[신민회]](新民會)를 결성하고 회원이 되었다. 이후 [[신민회]]의 비밀회의에 참여, 독립군 기지창건을 목적으로 자금을 마련하는데 동참했고, [[105인 사건]]을 피해 바로 [[서간도]](西間島)로 망명하여 무관학교(훗날의 [[신흥무관학교]]) 설립을 위해 장사와 노동에 종사하며 독립운동 자금을 마련, 돈을 모았다.
         == 가족 관계 ==
  • 이광수(배우) . . . . 2회 일치
         ||<#ACF3FF> '''{{{#000000 가족}}}''' ||<#ffffff><(> [[아버지]] 이종호, [[어머니]], [[여동생]] 이보람[* 이름은 런닝맨에서 밝혀졌다.][* 여동생은 결혼했는데 결혼식 하객으로 [[http://tvdaily.asiae.co.kr/read.php3?aid=1427708620877871002|런닝맨 멤버들과 송중기, 조인성이 왔다고 한다.]]] ||
         대표적인 인맥으로는 당연하지만 런닝맨 출연진으로 워낙에 오랫동안 함께 한 사이다보니 가족같은 사이라고. 심지어 [[송지효]]의 머리채를 잡을 수 있을 정도니...
  • 이덕건 . . . . 2회 일치
         처음 <[[유머 일번지]]>, <[[전국노래자랑]]>의 조연출을 시작으로, 드라마 <[[애정의 조건 (1987년 드라마)|애정의 조건]]>, <[[토지 (1987년 드라마)|토지]]>, <[[달빛가족]]>, <[[서울 뚝배기]]> 등에서 현장 경험을 쌓았다. 1993년 [[KBS 드라마게임|드라마 게임]] <쌀>로 입봉하여 이후 <[[아름다운 유혹]]>, <[[별난여자 별난남자]]>, <[[미우나 고우나]]>, <[[바람 불어 좋은 날 (드라마)|바람 불어 좋은 날]]>, <[[사랑은 노래를 타고]]> 등 일일극 연출을 맡아 성공시키며 KBS 일일극의 상징인 감독으로 각인됐다.
         |2016||KBS1||[[별난가족]]||연출||
  • 이미연 (배우) . . . . 2회 일치
         | 가족 = 1남 3녀 중 넷째
         그녀는 1988년 드라마 《[[사랑의 기쁨]]》으로 본격적인 연기 활동을 시작하며 연기자로 데뷔하였고 이후 가족드라마 《[[사랑이 꽃피는 나무]] 2기》에서 청순하고 소박한 여학생의 이미지를 연기해 대중들에게 신선한 이미지로 어필하면서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영화 1989년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 1990년 《[[그래 가끔 하늘을 보자]]》의 히트작에 연이어 출연하며 1980년대 하이틴 스타로 인기를 끌었다. 1991년 드라마 《[[하늬바람]]》으로 첫 성인 연기를 선보였다.
  • 이상백 (1904년) . . . . 2회 일치
         장례식은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한국사회학회, 진단학회, 대한체육회, 대한올림픽위원회 등 5개 단체가 주관한 연합장으로 주관되어 [[경상북도]] [[달성군]] 화원면(현 [[대구광역시]] 남구 화원동) 가족 묘역에 안장되었다. 묘비는 사후 1년 뒤인 [[1967년]] 그의 1주기에 세워졌는데, 묘비문은 국문학자 [[이희승]](李熙昇)이 짓고, 글씨는 이기우(李基雨)가 썼다.
         == 가족 및 친척 관계 ==
  • 이선희 . . . . 2회 일치
          | 가족 = 윤양원(딸)
         * 2000년 MBC 《[[깁스가족]]》
  • 이순재(1935년 10월) . . . . 2회 일치
         ||<#878787> '''{{{#EEE156 가족}}}''' ||<(> 배우자 최희정, 슬하 2남 1녀 ||
         특히 시트콤 [[거침없이 하이킥]]에서 우연히 본 [[야한 동영상|야동]]에 빠져 [[이순재(거침없이 하이킥)|가족 몰래 보던 것이 들켜 빈축을 사게 된 일명 '야동 순재' 캐릭터로 인해 젊은 층에 친숙한 공감대를 형성했다.]] 여지껏 그가 맡았던 역할 중에서 가장 이질적인 역할이었으나 완벽하게 소화해내면서 작품의 인기에 일조했다. 하이킥은 젊은 출연자들도 고충을 토로한 일일 시트콤이었던 것을 당시 70이 넘은 배우임을 감안하모습에 감탄할만하다.
  • 이시영(배우) . . . . 2회 일치
         || '''가족''' ||<(> 1남 1녀 중 [[외동딸|둘째]][br]배우자 [[타카하타 유우타]], 슬하 1남 ||
         2013년 7월 중순경에는 황금어장 - 무릎팍도사 이시영편에 출연해 여러 토크를 풀어놓았다. 그중 우결 촬영당시 프라모델에 관한 언급이 있었는데 전부 본인 소장품에 본인 집에서 직접 촬영한 것이라고. 프라모델을 다른 집으로 옮겨 촬영해야 한다는 말에 그냥 자기네 집에서 하자고 제안했다고 한다. 덕분에 출연료 외에 장소사용료도 쏠쏠하게 받았다고 한다. 이때 성형과 복싱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했는데, 주변에서는 성형한 얼굴인데 복싱을 해도 괜찮냐고 많이 물어보지만 정작 본인은 성형한 얼굴로 10년을 살아서 자기가 성형수술을 했다는 사실도 까먹고 살고 있었단다. 가족에 대한 이야기도 했는데, 아무래도 딸이라서인지 복싱을 시작하고 처음으로 패배했을 때 '이제는 그만 두겠지'하는 마음에 부모님이 파티를 벌였다고 한다.
  • 이정재(영화배우) . . . . 2회 일치
         도회적으로 잘생긴 외모와 세련된 스타일 그리고 초중고 학력 때문에 어릴 때부터 강남 부잣집 도련님으로 자랐을 것 같지만 실은 가난한 환경에서 성장했다. SBS [[힐링캠프]]에 출연해 밝힌 바에 따르면 양친은 모두 부유한 환경에서 성장했다. 외가쪽은 지방에서 양조장 몇 개를 경영했고 친가쪽은 [[의사]] 집안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본인은 [[국민학교]] 재학 이후로는 유복했던 기억이 없다고 한다. 의사셨던 조부가 연달아 국회의원 선거에서 낙마한 것이 집안의 뿌리를 흔드는 원인이었다는 듯. 가압류를 당하기도 하고, 이사를 다니면서 화장실이 바깥에 딸려 있는 단칸방에서 식구가 함께 생활했고 때로는 가족이 서로 흩어져 살아야 할 때도 있었다고. 고등학교 재학 시절엔 등록금을 내지 못해서 반 친구들이 보는 앞에서 매를 맞는 일도 있었다고 한다. 어릴 때 상당히 왜소해서 "소소"라는 아명으로 불렸다고 한다. --이soso--
         게다가 [[힐링캠프]]에서 처음 밝힌 사실인데, [[자폐증]]을 앓고 있는 형이 있다. 이제까지 많은 매체에서 '외아들'이나 '무녀독남' 등으로 설명되고는 했기 때문에 몸이 불편한 형이 있다는 것을 밝힌 그의 모습에 많은 사람들이 충격과 안타까움을 느꼈다. 데뷔 후 처음 밝힌 어려운 가정사에 그의 팬들은 물론이고 일반 시청자들도 많이들 놀랐는데, 담담하게 '내 형이니까 짐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그냥 이것이 나와 내 가족의 삶이라고 생각했다'라고 말하는 모습이 보는 사람의 마음을 더 안타깝게 했다는 평. 이외에도 [[IMF]]가 닥쳤을 때 소속되어 있던 소속사가 부도가 나면서 빚을 대신 짊어지게 되고 투자했던 [[부동산]]에서 아파트 중도금을 미납하게 되는 등 성공가도를 달린 후에도 금전적으로 힘든 일이 있었다. 차비가 없어 밖에도 나가지 못할 정도였다고. [[힐링캠프]]에서 [[강우석]] 감독에게 영화 세 작품에 출연하는 개런티를 미리 받았던 덕에 어려움을 헤쳐나갈 수 있었고 그래서 찍은 영화가 《이재수의 난》, 《순애보》, 《선물》이다. 고생 하나 하지 않고 자랐을 것 같지만 여러모로 힘든 면이 많았던 듯.
  • 이주현(배우) . . . . 2회 일치
          * 가족 배우자 문선경, 아들 이루하
          * [[별난 가족]] - [[구경철]]
  • 이준(배우) . . . . 2회 일치
         ||<#878787> '''{{{#EEE156 가족}}}''' ||<(> 부모님, 누나 ||
         2018년 2월 12일, 난데없이 군에서 [[자살]]을 시도하는 바람에 [[그린캠프]]로 보내졌다는 보도가 나왔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1&aid=0002892694|#]] 하지만 이 기사가 나온 후 소속사는 자살 시도는 물론 [[그린캠프]]로 간 것 모두 사실 무근이라고 밝혔으며, 신병위로휴가 당시 연인이었던 정소민씨와의 오붓한 데이트 등의 모습이 나오며 팬들을 안심시킨 한편, 오보를 접한 가족들은 정신적 충격에 빠졌다고 한다. 2018년 3월 23일 부로 공황장애를 이유로 현부심을 받아서 현역에서 [[사회복무요원]](보충역)으로 전환하여 잔여 기간 동안 복무한다는 보도기사가 나왔다.
  • 이지아(배우) . . . . 2회 일치
         || '''가족''' ||<(> 조부: [[김순흥]][br]형제자매: 1남 3녀 중 [[3녀|셋째]][* 남동생은 본인과 성이 같으며, 위로 두 언니는 성이 다르다고 한다. 즉 [[이부형제]].][br]前 배우자: [[서태지]](1997년 ~ 2006년)[[http://www.youtube.com/watch?v=opEBfpCcdtM|#]] ||
         그러나 부모에게도 알리지 않은 결혼이라는 주장은 사실과 맞지 않는다는 [[디스패치]]의 [[http://www.dispatch.co.kr/107147|반박 기사]]가 나왔다. 디스패치가 네바다 등기소까지 뒤져서 취재한 결과 결혼식의 증인이 다름아닌 이지아의 이복 언니였다는 것. 이는 “양 측이 동의를 했고 많은 지인들은 두 사람의 교제나 결혼 사실을 알고 있었다”라는 서태지 측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또한 같은 기사에서 확인된 이지아의 교통법규 위반 사실이나 쇼핑, 가족 왕래 증언 등으로 볼 때, 결혼생활에 자유가 없었다는 이지아 측의 주장을 무작정 받아들이기는 어렵다.
  • 이케다 초등학교 사건 . . . . 2회 일치
         2003년 5월에 검찰은 "이 사건의 피해 참상과 많은 가족의 비통한 모습을 볼 때, 사형폐지론이 피해자나 유족의 입장과 심정을 무시하는 공허한 것인지 실감할 수 밖에 없다."고 사형을 구형했다. 변호인단은 정신이상과 심신미약을 주장했으나, 타쿠마는 최종변론 후에는 "죽는들 전혀 겁먹지 않습니다.", "지금까지 실컷 불쾌한 경험을 겪었습니다.","어쩔 수 없는 가난뱅이 인생이었으니, 이런 패턴 쪽이 더 좋았을지도 모릅니다."라고 말했다.
         2003년 12월에 타쿠마는 와카야마 출신의 여성과 5번째 결혼을 했다. 여성은 사형 폐지를 호소하는 국제사면위원회 활동에 참가하고 있었다. 지원자 가운데 1명으로 변호사를 통하여 타쿠마에게 편지를 보냈다. 이 결혼은 타쿠마에게 접견, 서신 권리를 얻으며, 타쿠마에게 유족에게 사과하라고 설득하려는 의도도 있었다고 한다. 여성은 가족에게 맹렬한 반대를 받아, 피해가 가지 않도록 자신의 성을 바꾸고 타쿠마도 이 성을 쓰게 되었다.
  • 이토 시로 . . . . 2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이홍렬(코미디언) . . . . 2회 일치
         ||<#595959><:> {{{#FFFFFF ''' 가족 관계 ''' }}} ||<(> 1남 2녀 중 둘째 ||
         "뺑코"라는 별명으로 유명한데 이는 이경실의 콩트 '도루묵 여사'에서 이경실의 권유로 콧구멍에 [[오백원 주화|500원짜리 동전]]을 성공적으로 넣었다 뺐던 것에서 유래한다(돈 트라이 디스). 하지만 정작 본인은 넓은 콧구멍에 콤플렉스가 있어서 코에 뭔가를 넣는 행위를 대단히 불쾌해 한다고 한다. 대신 별명이 "촉새" --> "뺑코"로 바뀐 것은 만족해 하는 듯. 그러다가 [[MBC every1]]의 프로그램 [[가족이 필요해]] 시즌 2에서 15년 만에 코에 뭔가를 넣는 개그를 시도했다.[* 물론, 동전이 아니라 고무줄이었지만...]
  • 이효정(남배우) . . . . 2회 일치
         || '''가족''' ||<(> 동생: [[이기영(배우)|이기영]], 아들: [[이유진(1992)|이유진]] ||
          * 1986년 MBC 한지붕 세가족
  • 이훈(배우) . . . . 2회 일치
         || '''가족''' ||<(> 슬하 2남 ||
         상술했듯이 가수 [[조규찬]]과 폭행시비가 붙었는데 당시에는 조규찬의 이미지가 거만하다, 건방지다는 식이여서 맞아도 싸다는 반응이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서는 그의 일방적인 폭행으로 밝혀졌으며 그 사유가 조규찬이 잘난체한다는 이유였다. 이후엔 조규찬과 가족들에게 사죄하고 합의금으로 1000만원을 물어주는 거로 마무리되었다. 그 뒤 술집에서 일반인을 폭행해서 또 물의를 일으켰으며 합의금 1억원을 물어주고 끝냈다.
  • 이휘향 . . . . 2회 일치
         * 1989년 [[KBS2]] 주말연속극 《[[달빛가족]]》 ... 맏며느리 역
         * 2015년 [[KBS1]] 일일연속극 《[[가족을 지켜라]]》. .. 복수자 역
  • 일곱개의 대죄/178화 . . . . 2회 일치
          * 절망에 빠진 주민들은 가족을 지키기 위해, 혹은 십계 자체에 현혹되어 "산제물"을 바치며 연명한다.
          * 그녀는 주민들에게 인간의 프라이드도 버렸다고 비난하지만, 프라이드만으론 가족을 지킬 수 없다는 말을 듣는다.
  • 일장청 호삼랑 . . . . 2회 일치
         포로로 잡히고, 가족은 몰살당하고, 반강제로 결혼하게 된 신세지만 왕영과 사이는 좋았던 듯. 후반부에는 왕영과 함께 출진하는 장면이 많고, 왕영이 쓰러졌을 때는 분노하여 돌격하는 묘사도 나온다.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임수정(탤런트) . . . . 2회 일치
         || '''가족''' ||<(> 부모님, 남동생 ||
         가족관계는 부모와 한명의 남동생으로 알려져 있다. 그녀의 이름은 할아버지가 지었는데, 빼어나고(秀) 밝게(晶) 되란 뜻이다.
  • 임채무 . . . . 2회 일치
          * [[가족의 탄생(드라마)]] - [[마진철]] 역
          * [[한지붕 세가족]]
  • 장다경 (영화배우) . . . . 2회 일치
         * 《[[가족의 탄생 (드라마)|가족의 탄생]]》 (SBS, 2012년)
  • 장익 (1933년) . . . . 2회 일치
         | 가족 =
         ==가족관계==
  • 전소민(배우) . . . . 2회 일치
         ||<#FFB1BC> '''{{{#white 가족}}}''' ||<#ffffff><(> [[부모님]], [[남동생]] 전욱민[* [[런닝맨]] 360회 방영분에서 밝혀졌다. 현재 직업은 스포츠 트레이너.] ||
          * 오랫동안 가족과 함께 살다가 [[런닝맨]] 출연 후 인지도가 상승하면서 광고를 많이 찍게되었고, 덕분에 원룸이긴 하지만 줄곧 꿈꾸던 독립을 이루었다고 하며[* 집들이 때 런닝맨 멤버들과 스탭들이 참여한 사진이 올라오기도 했다], 원룸 계약이 끝나는 2019년엔 투룸으로 이사갈 예정이라고 한다. 말그대로 [[명랑소녀 성공기]]. 이사갈 때 [[유재석]]이 벽걸이 TV를 선물해줬다는 듯 한데 방에 비해 사이즈가 너무 커서(...) 외려 보기 힘들었을텐데 다행이란 말이 나오기도[* 이 말을 꺼낸 유재석은 그냥 선물받은 TV라고만 했는데 자막에선 유재석이 선물했다고 나온다].
  • 전수희 . . . . 2회 일치
         | 가족사항 =
         **선샤인 가족 (2012.02.08 ~ 2012.05.30)
  • 전숙희 . . . . 2회 일치
         1970년대 이후에는 '삶은 즐거워라', '해는 날마다 새롭다' 등을 통해 인생의 즐거움, 일상생활의 행복, 가족과 벗들에 대한 사랑을 노래했다.
         == 가족 ==
  • 절대가련 칠드런/449화 . . . . 2회 일치
          * 그리고 마기에게 "마기 시로"라는 이름을 처음부터 붙여주며 "새로운 가족이 될 것"이라고 말한다.
          * 마기는 반발하지만 에스퍼에게는 에스퍼 가족이 필요하다는 지론을 펼치며 그렇게 해야 노멀들에게 굴복하지 않을 거라고 말하는데.
  • 절대가련 칠드런/452화 . . . . 2회 일치
          * 그 말을 듣고 마기는 "당신의 가족은 우리냐 그놈들이냐"고 따진다.
          * 자신에겐 가족을 가질 자격이 없다고 말하는 효부.
  • 정규수(배우) . . . . 2회 일치
         * [[2012년]] [[SBS]] 일일연속극 《[[가족의 탄생 (드라마)|가족의 탄생]]》 ... 강대진 역
  • 정형돈 . . . . 2회 일치
         | 가족 = 정운봉(부), 박경순(모), 슬하 2녀 <br/> 정유주, 정유하 (쌍둥이 자매)
         * [[KBS]] 《가족오락관 991, 1024회 (4월 17일, 12월 25일) : 게스트》
  • 조지 마이클 . . . . 2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존 왕 . . . . 2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진격의 거인/89화 . . . . 2회 일치
         >가족을 가져라.
          * 기억 속의 엘런 크루거의 이야기는 아직도 끝나지 않았다. 그는 그리샤에게 놓을 주사제를 준비하며 벽 안에 도착하면 꼭 가족을 만들어서 위장하라고 지시한다. 그리샤는 자신에겐 다이나가 있고 거인이 되고 나면 기억이 불분명해지는거 아니냐고 하지만 꼭 그렇지도 않은 모양이다. 크루거는 누가 됐든 벽 안의 인간을 이용해서 사명을 달성하라고 말한다. 그게 안 되면 같은 역사를 반복할 뿐이라고 말하면서.
  • 진창현(음악인) . . . . 2회 일치
         80대에 접어들며 아들들에게 가업을 물려준 뒤에도 계속 공방에서 악기 제작을 하면서 노익장을 과시했지만 2012년 2월에 [[대장암]] 말기 판정을 받았고, 투병 중이던 5월 13일에 초후의 자택에서 향년 83세로 타계했다. 장례는 가족장으로 간소하게 치러졌다.
          * 혼자서 허름한 오두막을 짓고 막노동과 바이올린 제작으로 소일하다가 [[1961년]]에 일본인 여성 나미코와 결혼해 2남 1녀를 두었고, 장남 진창호와 차남 진창룡은 각각 현악기 제작자와 현악기용 현 제작자로 활동하며 아버지의 가업을 이어받고 있다. 자서전에 의하면 바이올린 제작을 위한 연장들을 찾기 위해 골동품 가게를 전전하다가 가게를 보고 있던 나미코를 처음 만났다고 하며, 가난한 조선인이라는 핸디캡 때문에 처음에는 결혼 승낙을 받기 어려웠지만 예전에 근무했던 건설 회사 사장이 장인에게 사위의 인품을 칭찬해 주면서 결혼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이후 나미코 부인은 가족들과 함께 한국을 방문할 때 자신의 이름을 [[한국어]] 식으로 이남이(李南伊)라고 소개하기도 했다.
  • 채동욱 . . . . 2회 일치
         == 가족 ==
         === 가족사 논란 ===
  • 채형석 . . . . 2회 일치
         |가족 = [[채동석]](동생), [[채승석]](동생)
         == 가족 ==
  • 첼렌느 베르체코프 . . . . 2회 일치
         가족관계 3녀중 차녀
         그 능력외에도 어떤 환경에서도 쉽게 적응하며 누구와도 모나지 않게 친하게 지내는 것을 선보이기도 한다. 주 포지션은 저격수이지만 누구와도 쉽게 친해지는 붙임성으로 잡입 임무에 투입되기도한다. 이 특유의 붙임성이 아이스 레인저 특유의 '같은 부대원들은 모두 가족'이라는 사상과 시너지를 일으켜 발할라 내의 모든 인물을 친구 혹은 잠정적인 친구로 여기는듯하지만 몇몇 인물들은 역시 껄끄러운듯 하다.
  • 최성조 . . . . 2회 일치
         |가족사항 =2남2녀중막내
         * [[KBS]] [[가족오락관]]
  • 최은석 (배우) . . . . 2회 일치
         * 《[[가족시네마 (2012년 영화)|가족시네마]]》 (2012년) - 선희 아빠 역
  • 최재환(배우) . . . . 2회 일치
         || 간 큰 가족 || 터미널 불량학생 || ||
         || [[2010년]] || 가족계획 || 오빠 || ||
  • 추봉 (배우) . . . . 2회 일치
         * 1976년 《가족
         * 1990년 《[[마유미 (영화)|마유미]]》- 유가족
  • 칼리파 하프타르 . . . . 2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캐리 피셔 . . . . 2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타이라노 마사카도 . . . . 2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타카하타 유우타 . . . . 2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탐라국 여왕 . . . . 2회 일치
         ## == 가족 ==
         ## 자식이나 배우자 등 가족이 있는 경우
  • 태영호 . . . . 2회 일치
         2016년 8월 17일, 갑자기 영국에서 고위급 북한 외교관이 탈북했다는 소식이 퍼졌으며 곧 그가 태영호 영사라는 것이 밝혀졌다. 가족과 함께 탈북한 태영호는 한국 [[망명]]행을 택했는데, 1997년 이집트 주재 북한 대사 장승길이 망명한 이래 최고위급 외교관의 탈북이었다.
         == 가족사 ==
  • 퇴계 이황 . . . . 2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퍼니셔 . . . . 2회 일치
         본명 프랭크 캐슬. 원래 [[군인]]이었던 캐슬은 가족과 함께 나들이를 나갔다가 갱단에 의해 가족들을 잃었고, 이후 퍼니셔가 되어 세상의 악인들과 싸우게 되었다. 그 방식은 살인. 통상 히어로가 악당과 싸우도 제압하고 끝내는 것이 보통이라면 퍼니셔는 그런 일 없이 아예 끝장을 낸다. 그러다보니 [[캡틴 아메리카]] 등 보편적인 히어로들과는 갈등을 만들기도 한다.
  • 페어리 테일/515화 . . . . 2회 일치
          * 모든 것을 알게 된 엘자는 "그 덕에 진짜 가족을 만나게 되었다며" 심심한 감사를 전하며 전의도 함께 나타낸다.
          >그 덕에 나는 진정한 가족과 만났으니까.
  • 페어리 테일/543화 . . . . 2회 일치
          * 나츠는 멸룡마도사들도 인간이며 진짜 드래곤은 상냥한 존재라고 말한다. 그러나 드래곤들에게 가족이 몰살 당한 아크놀로기아에겐 이해할 수 없는 이야기.
          아크놀로기아가 읊조리는 소리를 듣고 나츠가 웃음을 터뜨린다. 그걸 재미있는 농담 취급한다. 아크놀로기아가 남는 이상 용이 한 마리 남는 셈이다. 어쨌든 그도 멸룡마도사이자 드래곤이니까. 틀린 말은 아니라고 여긴 건지, 다른 생각이 있는 건지 마룡이 입을 다문다. 나츠는 내친 김에 한 가지 더 팩트를 던진다. 그들이 인간이라는 것. 모든 멸룡마도사들, 아크놀로기아 조차도 그저 드래곤의 힘을 받은 인간일 뿐이지 "자만"하지 말라고 쏘아붙인다. 그리고 자신이 아는 "진짜 드래곤"들은 강하고 품위있으며 "상냥하다"고 말한다. 시종 여유로운 웃음을 띄었던 아크놀로기아가 이를 간다. "드래곤은 상냥하다"는 말이 그의 성질을 긁었다. 그가 아는 드래곤은 모든 걸 빼앗는 존재다. 그의 가족을 먹어치웠고 마을을 불 살랐고, 어린 소녀까지 잔인하게 죽였다. 그게 아크놀로기아가 멸룡에 집착하는 이유였다.
  • 표창원 . . . . 2회 일치
         ||<:>'''가족'''||<(>2남 중 [[차남]][* 그의 친형은 표창해 [[응급의학과]] [[전문의]]다. 표창원이 그의 부인을 만나서 [[결혼]]하게 된 계기도 친형과 관계가 있는데, 형수가 자신의 지인이었던 현재의 부인을 소개해 줘서 연애를 하여 결혼하게 되었다고 한다.] ||
         || '''소속 위원회''' ||<(> [[법제사법위원회]][br][[여성가족위원회]] ||
  • 하이큐/259화 . . . . 2회 일치
          * 이나리자키의 감독 [[쿠로스 노리무네]]. 가족관계가 심란해 보이는 41세다. 그는 선수들이 자꾸 10번, 히나타에게 정신 팔자 탐탁지 않아한다. TO 중에도 선수들이 10번의 움직임에 지나치게 연연했다. 쿠로스 감독은 "10번에 정신 팔리기 시작하면 카라스노에 먹힌다"고 지적한다. 그는 히나타를 개에 비유하며 "개한테도 무시가 제일 잘 먹힌다"고 주장했다. 이 개에 비유하는 버릇은 이미 유명한지 선수들은 "또 개에 비유한다"고 속으로 투덜거렸다. 아마도 가족 중 그나마 친한게 개인 모양이다.
  • 하쿠다 켄 . . . . 2회 일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서 [[백남준]]의 큰형이자 당시 [[대한민국]] 최대의 섬유 기업 태창방직(방림방적의 전신)의 회장이었던 백남일의 장남으로 '''백건'''(白健)이라는 한국 이름을 가지고 태어난 그는 [[1960년]] [[이승만]]의 자유당 정권이 무너지고 [[1961년]] [[5·16 군사정변]]이 일어나면서 일가족이 부정축재자로 몰려 태창방직이 [[대한민국]] 정부에 몰수당하게 되자 부모와 일가족을 따라 [[일본]]으로 망명, 귀화하여 이 때 이름을 일본식으로 하쿠다 켄(白田健)으로 개명하고 그 곳에서 성장하였다.
  • 한성식 . . . . 2회 일치
         * [[1998년]] 《[[조용한 가족]]》 ... 오 순경 역
         * [[2015년]] 《[[음란한 가족]]》 ... 상구 역
  • 한확 . . . . 2회 일치
         [[1427년]]에는 그를 공격했던 좌군 도사(左軍都事) 최징(崔澄)이 역으로 무고죄로 처벌을 받았다.<ref>세종실록 38권, 세종 9년(1427 정미 / 명 선덕(宣德) 2년) 12월 5일(무오) 2번째기사 "한확과 홍인을 무고한 죄로 좌군 도사 최징을 의금부에 가두라 명하다"</ref> [[1429년]] [[명나라]]에 사신으로 갔다가 귀국할 때는 명나라에 조공으로 바쳐진 내관 백언(白彦)이 그의 어머니에게 주는 단초(段綃)와 성(成)·차(車)·정(鄭)·노(盧)·안(安)·오(吳)·최(崔)씨 등 [[명나라]]에 공녀로 바쳐진 여인들이 쓴 편지를 고국의 가족들에게 전달해 주었다. 그는 [[중국어]]와 [[한자]]에 능통했는데, 이후 명나라 사신이 입국할 때마다 선위사(宣慰使)로 파견되어 접대하였다.
         == 가족 관계 ==
  • 함인섭 . . . . 2회 일치
         [[1948년]] [[8월]] [[강원대학교|춘천농업대학]](現 강원대학교) 설립, [[강원대학교|춘천농업대학]] 학장서리가 되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그는 [[문교부]] 국가고등고시 전형위원의 한 사람으로 위촉되었다. [[1949년]] [[8월 30일]] [[강원대학교|춘천농업대학]] 초대 학장이 되었다. 건국 이후 그의 할아버지 [[함태영]]이 조선 말 [[독립협회]]사건과 [[만민공동회]] 사건으로 수감된 [[이승만]]에게 관대한 한결을 내려 그 인연으로, 내각 법무장관의 물망에 오르기도 했다. 그러나 성사되지 않고 할아버지 [[함태영]]은 [[심계원]]장과 제3대 [[부통령]]을 지냈다. 전쟁이 발생하자 그의 동생 함의섭이 일가족을 이끌고 [[부산광역시|부산]]으로 피신하였다.
         == 가족 관계 ==
  • 현아 . . . . 2회 일치
         | 《[[가족의 탄생 (텔레비전 프로그램)|가족의 탄생]]》
  • 호소키 카즈코 . . . . 2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홍순언 (1530년) . . . . 2회 일치
         [[조선]] 멸망 후 [[1928년]] 위당 [[정인보]]는 그의 방계후손 [[홍정구]]의 부탁을 받고 당릉군유사징(唐陵君遺事徵)을 찬하였다. [[정인보]]는 당릉군유사징의 '唐陵君遺事徵引文'에서 홍순언 동생 [[홍덕린]]의 후손인 [[홍정구]](洪正求)가 자신([[정인보]])을 찾아와 선조 당릉군의 행적이 너무 미약하니 선조의 행적을 기술한 유사(遺事) 편찬을 부탁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홍정구]]는 여러 번 [[정인보]]를 찾아와 거듭 부탁하였고, [[정인보]]는 시대가 바뀌어 가족도 몰라보는 시대에 [[홍정구]]의 조상을 추모하는 의리에 감동하여 결국 이를 수락했는데, [[정인보]]는 자료가 부족한 가운데서도 동평위공견사문록, 열하일기의 옥갑야화편 외에도 직접 여러가지 사적을 조사하여 [[1928년]] 당릉군유사징 제1권《당릉군유사 (唐陵君遺事)》를 집필하였다.
         == 가족 관계 ==
  • 홍은희(배우) . . . . 2회 일치
         ||<#C69770> {{{#FFFFFF '''가족'''}}} ||<(><#FBFAFB> 남편 [[강호순|강호순]], 자녀 슬하 2남[* 장남 강동우 (2003년 출생), 차남 강민재 (2009년 출생)] ||
          * 그녀의 가족사진이며 첫아들이 외탁이고 둘째 아들이 친탁이다.
  • 홍정욱 . . . . 2회 일치
         1998년 [[스탠퍼드 로스쿨|스탠포드 로스쿨]] 졸업 후 미국 [[뉴욕주]] 변호사 시험에 합격한 뒤 뉴욕의 [[리먼 브라더스|리먼브라더스]] [[인수합병]] 그룹에 입사하여 투자금융가로 몇 년간 일하다 사퇴하고, 벤처기업 스트럭시콘의 창업자 겸 CFO로 재직했다. 2001년 병역 이행을 위해 가족과 함께 귀국했으며, 2002년 12월 오랜 경영난에 시달려온 언론 지식기업 [[헤럴드 (기업)|헤럴드]]를 인수해 국내 최연소 언론사 CEO이자 [[헤럴드경제]] 및 [[코리아헤럴드]]의 발행인이 되었다. 2005년 인수 2년 반 만에 [[헤럴드 (기업)|헤럴드]]의 흑자 전환을 달성했다. [http://www.heraldcampus.co.kr/ 캠퍼스헤럴드], [http://junior.heraldcorp.com/ 주니어헤럴드] 등 새로운 매체를 창간하고, 서울영어마을, 부산영어마을 등의 운영권을 획득하며 교육사업을 확장했으며, 2007년에는 프리미엄 여성채널 [[동아TV]]를 인수해 방송으로 사업영역을 넓혔다(2015년 [[LF (기업)|LF패션]]에 매각). 그러나 2008년 [[대한민국 제18대 총선|제18대 총선]] 출마를 위해 [[헤럴드 (기업)|헤럴드]] 및 [[동아TV]] 회장직을 사임했다.
         == 가족 관계 ==
  • 화완옹주 . . . . 2회 일치
         == 가족 관계 ==
         [[분류:1737년 태어남]][[분류:1808년 죽음]][[분류:조선의 옹주]][[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가족 살해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병사한 사람]][[분류:조선 영조]][[분류:조선 정조]]
  • 황병기 . . . . 2회 일치
         |가족 = 황태문(부)<br>황혜경(장녀) <br /> [[황준묵]](장남) <br /> 황수경(차녀) <br /> 황원묵(차남) <br /> [[한석명]](장인) <br /> 장숙명(장모) <br /> [[한복 (1914년)|한복]](손윗처남) <br /> [[한무숙]](처형) <br /> 김진흥(윗동서)
         == 가족 ==
  • 황석두 . . . . 2회 일치
         황석두는 그의 아내를 [[천주교]]로 개종시켰다. 그의 아버지는 그를 죽이려 들었다. 그러한 위협에 대한 반응으로, 황석두는 3년 동안 아무런 말도 하지 않았다. 그의 온가족은 그의 무언증을 고치려 했지만 실패하였다. 그의 아버지를 포함하여 온가족은 애달퍼했고, 결국 황석두의 권면으로 [[천주교]] [[교리]]를 배워 신자가 되었다.
  • 후지와라 노리카 . . . . 2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후지와라 요시후사 . . . . 2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후카다 쿄코 . . . . 2회 일치
         ## == 가족사 ==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3월의 라이온/119화 . . . . 1회 일치
          * 관전자들은 체통도 없이 지저분하게 둔다고 힐난하지만 가족들은 "아버지가 싸우는 모습을 끝까지 지켜보겠다"며 눈물을 흘리며 관전한다
  • AT4 . . . . 1회 일치
         미국에선 어떤 얼간이가 군대에서 사용한 AT4 발사관을 집에 가져온 적이 있다. 경찰에서 총기 회수 캠페인을 벌일 때 가족 중 한명이 넘겨버렸다고. [[http://usnews.nbcnews.com/_news/2012/12/28/16221808-rocket-launchers-surface-during-los-angeles-guns-buyback?lite|링크]].
  • CharacterTemplate . . . . 1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Crusader Kings 2 . . . . 1회 일치
          * 가족
  • Crusader Kings 2/특성 . . . . 1회 일치
          * 가족 친족살해자(Familial Kinslayer) - '''문서 수정자의 자체적인 번역. 정식 번역명으로 교체 바람.'''
  • Y2K 버그 . . . . 1회 일치
         애니메이션 [[심슨 가족]]에서는 등장인물인 호머가 Y2K 대비를 하지 않아 [[https://youtu.be/NGUNOKREcvs|세상이 멸망하는]] 에피소드가 방영된 적 있다.
  • 가면부부 . . . . 1회 일치
         부부나 가족보다 자신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자기 중심적인 사람에게도 나타난다. 이미 불륜, 외도를 하고 있지만 그 사실을 덮어놓고 있는 경우도 있다.
  • 강세정 . . . . 1회 일치
         |2001||KBS1||[[가족오락관]]||출연자||
  • 강예빈 . . . . 1회 일치
         * 《[[가족오락관]]》 (2008년, KBS1)
  • 강화종실 . . . . 1회 일치
         [[사도세자]]의 [[서자]] [[은언군]]의 자손. 왕실에 가까운 가족이었으나, 강화도에 유배되어 있었기에 강화종실이라고 부른다. 후에 이 계보에서 '[[조선 철종|철종]]'이 왕위에 올랐으나, 철종이 후사가 없이 죽음으로서 계보는 끊어진다.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66화 . . . . 1회 일치
          * 우마루네 가족사정이 밝혀질지도 모른다.
  • 게스퍼 . . . . 1회 일치
          * 가족 서비스를 하고 있는 아버지를 보고 "저건 분명 밖에서 나쁜 짓을 하고 있는걸 속죄하려고 하는 거야."
  • 경대수 . . . . 1회 일치
         ||<bgcolor=#C9151E> '''{{{#FFFFFF 가족관계}}}''' ||<(> 배우자 안승화, 슬하 1남 1녀 ||
  • 경순왕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곽월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곽희성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구승빈 . . . . 1회 일치
          * 2015년 9월 5일 새벽, OGN 플러스에서 생중계 되는 클템의 만년다이아 시즌 2 생방송에서 채팅방에서 나온 자신과 자신의 어머니를 향한 욕설에 흥분을 주체하지 못하고 "존X 저런 새끼들은 고소하고 싶네 X발X끼들" 이라는 욕설을 뱉어버렸다. 그 이전에도 인벤 커뮤니티에 대해 장난식으로 X벤이라고 언급하는 등 발언 수위가 줄타기를 약간 넘어서는 수준이였지만 클템과 권이슬이 계속해서 수습하고 좋게 덮어주려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좋게 좋게 넘어가려는 듯 했으나 자신의 가족을 언급하는 무례한 행동에 흥분을 가라앉히지 못한 듯 보인다. 이후 1부가 종료되기까지 클템과 권이슬은 사건을 수습하느라 무척 애를 쓰는 모습을 보였고, 임프는 계속해서 클템에게 미안하다고 사과했다. 자신은 남에게 이렇게 피해를 주는게 너무 싫은데 멘탈 컨트롤이 마음대로 잘 되지 않아서 속상하다고. 함께 출연했던 [[조세형(프로게이머)|마타]]와 [[이다윤|스피릿]]은 임프의 멘탈 붕괴를 억제하기 위해 계속 노력했다. 특히 마타는 장난식이였지만 언제가 가장 행복했냐는 질문에 임프랑 여기 나오기 전까지가 제일 행복했다고 언급하는 등 임프의 언행에 굉장히 신경쓰는 듯 한 모습을 보였다.
  • 권오현(배우) . . . . 1회 일치
         * 《[[별난가족]]》 (KBS1, 2016년) - 이장 박준상 역
  • 권혁 . . . . 1회 일치
         '''게다가, 10월 30일 [[엠스플]]뉴스의 보도에서, 김성근 감독이 권혁에게 무통주사를 맞으며 1군에서 던질 것을 요구했다는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529&aid=0000004857|충격적인 기사가 보도되었다.]] 권혁이 난색을 표시하자 김성근은 서산에 머물던 권혁에게 감독의 권한을 이용해 '외박 금지' 등의 규정을 만들어 권혁을 단속했다는 것이다. 감독의 권한을 이용해 권혁을 가족과도 지내지 못하도록 만들었다는 것이다.'''
  • 금잔디 . . . . 1회 일치
          * 가족을 지켜라 OST - Part.13 (2015년)
  • 금조(나인뮤지스) . . . . 1회 일치
         ||<#732788> {{{#FFFFFF '''가족'''}}} ||<(> 1남 1녀 중 [[장녀|둘째]] ||
  • 기은세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김경식 (희극인) . . . . 1회 일치
         * [[SBS]] - 《초인가족 2017》
  • 김경준(축구선수) . . . . 1회 일치
         [[대구광역시]]가 [[고향]]이다. 그래서 어릴 적에 가족들과 같이 [[http://www.footballjournal.co.kr/news/articleView.html?idxno=5472|대구 FC 경기]]를 보러 다녔다고 한다.
  • 김규철(배우) . . . . 1회 일치
          * [[2006년]] SBS [[불량가족]] - 하인수
  • 김근 (고려)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김기섭 (1939년)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김기수(코미디언) . . . . 1회 일치
         || 가족 ||1남 1녀 중 [[외동아들|둘째]] ||
  • 김남조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김다솜(배우) . . . . 1회 일치
         ||<#A6ACAF> '''{{{#000000 가족}}}''' ||<(> 부모님, 오빠^^(1989년생)^^ ||
  • 김동한 (1919년)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김륵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김미경(강사) . . . . 1회 일치
          * 가족이 힘을 합하면 무엇이든 이룰 수 있다 (2009)
  • 김민교 (가수) . . . . 1회 일치
         * [[2006년]] [[9월 16일]], [[2007년]] [[1월 13일]] [[KBS]] 《[[가족오락관]]》
  • 김민서(배우) . . . . 1회 일치
         || '''가족''' ||||
  • 김민희(1982) . . . . 1회 일치
         ||<#0f0f3e><:>'''{{{#white 가족}}}'''||<(><#ffffff> 1남 2녀 중 막내 ||
  • 김범룡 . . . . 1회 일치
         | 가족 = 슬하 2남
  • 김병기(배우) . . . . 1회 일치
         ||가족||<(> [[배우자]], 슬하 1남 3녀 ||
  • 김병준 (희극인)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김보정 . . . . 1회 일치
         * 2017년 ~ 2017년 [[SBS]] 월요시트콤 《[[초인가족 2017]]》 ... 맹연우 역
  • 김상중(배우) . . . . 1회 일치
         [[선역]]과 [[악역]]을 넘나드는 배우로 악역을 맡았을 경우 특유의 카리스마가 특징적으로 잘 나타나 추적자에서 손현주와 대립하는 강동윤 역 등 피도 눈물도 없는 악역으로 잘 소화해내는 건 물론이고 심지어 '''찌질하고''' 코믹한 연기도 잘 소화한다. 대표적으로 잘 알려진 것이 [[투사부일체]]에서 오상중역으로 대표적인 찌질+코믹연기를 보여줬고[* 지금도 인터넷에 하하와 호흡했던 연기장면이 잘 알려졌는데 정말 찌질하게(...) 나온다.[[티비플|--미안해요 보스..--]]] 드라마 [[내 남자의 여자]] 에서의 홍준표 역으로, 두 여자 사이에서 이도저도 아닌 찌질한 모습을 보여 많은 욕을 먹었다. 김희애와 동급에서 연기하는 본인의 커리어 정점을 장식한 작품인데, 여기서 희대의 표정연기는 유명한 대사인 "감자 좀 쪄줄래?"와 함께 짤방으로 만들어져 많은 인기를 누리기도 했다. 같은 김수현 작가의 후속작인 [[엄마가 뿔났다]] 에서도 짧은 특별출연에 불과했으나 홍준표를 생각나게 하는 찌질한 모습을 보여 아줌마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다. 같은 김수현 작가의 후속작 [[인생은 아름다워(드라마)|인생은 아름다워]] 에서는 능력있는 차도남이지만 가족에게는 다정한 삼촌역을 맡아 이미지 쇄신에 성공한다.
  • 김새해 . . . . 1회 일치
         * [[심슨네 가족들]] ([[투니버스]]) - 로드 플랜더즈
  • 김선영(1976) . . . . 1회 일치
         || '''가족''' ||<(> 배우자 이승원, 슬하 1녀 ||
  • 김성곤 (1913년) . . . . 1회 일치
         [[1967년]] 김성곤은 [[길재호]], [[백남억]], [[김진만]]과 함께 [[민주공화당]] 내의 핵심인물이 된다. 그 이후 [[1971년]]에 치러진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었다. 그리고 [[1971년]] [[10월 2일]]에 야당과 동조하여 [[박정희]] 대통령의 명령을 어기고 [[오치성]] 내무부장관 해임 건의안을 통과시켰는데 이를 [[10.2 항명 파동]]이라 한다. 그 이후 김성곤은 [[10.2 항명 파동]]의 주동인물로 지목받아 경위조사를 받고, 정계를 은퇴하게 된다. 그 뒤 [[1973년]]에는 [[대한상공회의소]] 제8대 회장을 지냈으며, [[1974년]]에는 대한양회 인수, 한국신문연구소 회장 취임을 했다. 그 뒤 [[1975년]] [[2월 25일]] 사망하였으며 가족장으로 [[국민대학교]] 뒷산에 안장되었다가 [[1984년]] 강원도 평창에 이장되었고, 2014년 고향인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으로 재이장되었다. [[국민훈장]] 무궁화장이 추서되었다.
  • 김수용(코미디언) . . . . 1회 일치
         || '''가족''' ||1남 1녀 중 둘째, 부인과 슬하 1녀||
  • 김숙자 (1389년)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김양 (1953년)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김연경(배구선수)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아버지]] 김동길, [[어머니]] 이금옥, [br] [[언니]] 김혜경^^(1982년생)^^, 김희경^^(1985년생)^^ ||
  • 김연수(작가) . . . . 1회 일치
         산문집을 읽어 보면 [[무라카미 하루키]]의 애독자인 듯 하다.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 <원더보이>에서는 청년과 중년 여성의 섹스, 가족이나 연인의 자살과 그로 인한 트라우마, 밤낮없이 길을 걸으며 방황하는 주인공 등 무라카미 하루키의 <노르웨이의 숲>의 영향을 받은 듯한 소재가 종종 등장한다. 그러나 이들 작품 모두 격동의 시대를 살며 방황하는 청춘을 그리고 있기 때문에, 자살과 섹스, 목적지 없는 도보 여행 등 '방황하는 청춘'의 보편적인 이미지를 사용했다고 볼 수도 있다.
  • 김영한 (1900년)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김원주(가수) . . . . 1회 일치
         || '''가족''' ||<(> [[부모님]], [[누나]], [[형]] ||
  • 김정태(영화배우) . . . . 1회 일치
         ||<#66CDAA> '''{{{#ffffff 가족}}}''' ||<(> 배우자 전여진, 아들 김지후, 김시현 ||
  • 김지석(배우) . . . . 1회 일치
         ||<#595959><:> {{{#FFFFFF '''가족'''}}} ||<(> 아버지 김온양 ^^(독립운동가 故김성일 아들)^^ ,어머니, 형 ||
  • 김지수(배우) . . . . 1회 일치
         ||<bgcolor=#363232> {{{#ffffff '''가족'''}}} ||<(> 배우자[[정승환(가수)]] ||
  • 김지훈(배우) . . . . 1회 일치
         || '''가족''' ||<(> 2남 1녀 중 막내 ||
  • 김진환(iKON) . . . . 1회 일치
         ||<:><#FF0000> '''{{{#FFFFFF 별명}}}''' ||<(> 뿌요[* 뿌리부터 요정--이라고는 하지만 사실은 뿌랄 요정이다, WIN 참고.--], 지난, 지나니, 나니[* 일본 인터뷰에서 이렇게 불러달라고 했다. 가족들도 부르는 별명이다.], 거난영[* [[B.I]]가 '얼굴이 너무 하얀 지난형'을 이상한 글씨체로 써서 거난영처럼 보여서 생긴 별명], 13센치 요정[* 어느 팬이 사진을 자로 쟀는데 13센치여서 붙여진 별명... 트리비아 문서의 세번째 트리비아 참고], 맏내, 귀염뽀짝감귤[* [[NEW KIDS : CONTINUE]] 컴백 카운트다운 V APP에서 팬이 보내준 별명. 나머지 멤버들이 1분동안 이 별명을 그림으로 표현하고 진환이 그 그림이 자신의 무슨 별명인지 맞추는 거였는데 결국 못 맞췄다. ~~귀엽고 뽀샤버리고 싶은 뭐 그런 거 아닌가요?~~]||
  • 김창숙(배우) . . . . 1회 일치
         || '''가족''' ||슬하 2남||
  • 김청(1962년 6월) . . . . 1회 일치
         ||<#878787> '''{{{#EEE156 가족}}}''' ||<(> [[무남독녀]], [[어머니]] 김도이 ||
  • 김태연(배우) . . . . 1회 일치
         || '''가족''' ||1남 2녀 중 장녀 ||
  • 김태우(god) . . . . 1회 일치
         ||<#878787> '''{{{#EEE156 가족}}}''' ||<(> 1남 1녀 중 막내, 아내([[김애리]]), 슬하 0남 0녀[* 딸 [[김소율]] ,[[김지율]], 아들 [[김해율]].] ||
  • 김혜선(배우) . . . . 1회 일치
         ||<#595959><:> {{{#FFFFFF ''' 가족 ''' }}} ||<(> 슬하 1남 최원석^^(1997년생)^^[* 현재 tvN 예능 [[둥지탈출]]에 출연중이다.],1녀 ||
  • 김홍미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김효원 . . . . 1회 일치
         == 가족 ==
  • 김효진 (배우) . . . . 1회 일치
         * 2004년 [[LG유플러스]] 가족할인 요금제 (이동통신)
  • 나다카 타츠오 . . . . 1회 일치
         == 가족사 ==
  • 남기애 . . . . 1회 일치
         |《가족이란 이름의 부족》
  • 남능미 . . . . 1회 일치
          * 비둘기 가족
  • 남명렬 . . . . 1회 일치
         * 가족이란 이름의 부족 (2014년)
  • 남봉진 . . . . 1회 일치
         == 가족 ==
  • 남성진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남일해 . . . . 1회 일치
         | 가족 =
  • 남치근 . . . . 1회 일치
         == 가족사 ==
  • 노영하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노재우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노재헌 . . . . 1회 일치
         ==가족 관계==
  • 농가 . . . . 1회 일치
          * 농가(農家) : [[농업]]을 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가족. [[자영농]].
  • 니엘(가수) . . . . 1회 일치
         ||<#ad84db> {{{#white '''가족'''}}} ||[[부모님]], 3남 중 차남[* 집안이 개신교인지라 형의 이름은 안다윗이다. 허나 남동생은 개신교와는 상관없이 안보성이라고.] ||
  • 도광록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독고성 . . . . 1회 일치
         가족 아들 독고영재 손자 독고준
  • 독고영재 . . . . 1회 일치
         가족 아버지 독고성 아들 독고준
  • 독고준 . . . . 1회 일치
         가족 조부 독고성 아버지 독고영재
  • 딩크 . . . . 1회 일치
         아이를 양육하는 전통적인 가족 형태보다, 수익을 늘려서 개인의 삶의 질을 중시하는 선택을 하겠다는 가치관을 가지고 있다. 아이를 건전하게 양육하는데 많은 돈과 노력이 소모된다는 어려움도 반영되어 있다.
  • 라늬 . . . . 1회 일치
         | 가족 =
  • 라데츠 . . . . 1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라몬 베렝게르 3세 . . . . 1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라미란 . . . . 1회 일치
         || '''가족''' ||<(> 남편 김진구, 슬하 1남 ||
  • 랄프 알거 배그놀드 . . . . 1회 일치
         1915년 가족 전통에 따라 영국 육군 왕립 공병대에 들어갔다. 당시에는 [[제1차 세계 대전]]이 벌어지고 있었기에 전쟁이 끝날 때 까지 [[프랑스]]와 [[벨기에]]에서 복무하였다. 전쟁이 끝난 후에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공학을 공부하였다.
  • 런던 맥주 홍수 사건 . . . . 1회 일치
         약 147만 리터 가량의 맥주가 일제히 폭발하여 해일처럼 주변을 덮친 이 사건으로 9명이 사망하고 2채의 가옥이 파손되었는데, 사망자 유형을 살펴 보면 1명은 무너진 건물에 압사, 유아 2명을 비롯한 7명은 지하실에 유입된 맥주 때문에 [[익사]](당시 지하실엔 양조장 직원의 가족들이 기거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튿날 맥주에 휩쓸린 사람들 중 1명이 급성 알콜 중독으로 사망했다.
  • 로베르 기스카르 . . . . 1회 일치
         사실, 기스카르와 비잔티움은 이미 그가 남이탈리아를 완전히 장악하기전에 군사동맹의 체결이 논의 된적이 있었다. 1073년에 미하일 7세는 기스카르에게 군사동맹과 함께 로베르의 딸중 가장 아름다운 딸과 황실에서 태어난 황제의 동생[* '제국의 조각상'이라 불릴정도로 아름다운 자였다고 한다.]을 제안한다. 기스카르가 별다른 답을 보이지 않자 미하일은 거기서 더 강화한 제안을 하는데, 미하일의 아들 콘스탄티노스와 기스카르의 딸과의 혼인을 제안하면서 그에게 비잔티움의 훈장 44개를 가족 친지들에게 나눠주도록 하고, 매년 금 200파운드를 주겠다고 제안을 해왔다.
  • 로힝야 . . . . 1회 일치
         유엔난민기구의 보고서에 따르면, 인신매매범은 로힝야나 방글라데시인을 상대로 1인당 90~370달러의 적은 돈을 받고 밀입국선에 태워준 다음, 배가 타이에 상륙하면 본색을 드러내서 타이-말레이시아 국경에 있는 타이 남부의 밀림 캠프에 가둬버리고, 가족에게 연락하여 몸값을 1인당 200달러까지 내놓으라고 협박한다. 난민들은 몸값을 낼 때까지 밀림 캠프에 감금당하는데, 병사하거나 구타를 당해 사망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난다.
  • 류원정 . . . . 1회 일치
         | 가족 = [[김태희]] (언니)
  • 류자키 레이카 . . . . 1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류종원 . . . . 1회 일치
         * [[2005년]] [[KBS2]] 어린이드라마 《[[641 가족]]》 ... 성급한 역
  • 류지혜 (레이싱모델)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삼촌
  • 류효영 . . . . 1회 일치
         | rowspan=2 | 아침드라마 [[가족의 비밀]]
  • 마기/317화 . . . . 1회 일치
          * 한편으론 연홍염이 세계를 정복하려고 했던 것도 가족간의 유대였다는 점, 그리고 알리바바가 신드바드의 대안으로서 부각되는 이유 또한 유대라는 점에서, 유대에 의한 대립과 반목이 마기의 주된 테마임을 확인할 수 있다.
  • 마기/320화 . . . . 1회 일치
          * 그는 "가족을 위해서라면 목숨을 걸고 싸운다"던 부모님의 유언을 되새기는데.
  • 마기/328화 . . . . 1회 일치
          * 신드바드는 자신은 결코 전세계의 생각을 조종한게 아니라고 변명한다. 그가 한 일은 그저 "공통된 희망"을 부여한 것. 그는 사람이란 의존하는 것이 있어야 살 수 있다고 설명한다. 가족이 가장에 의지하고 국민이 왕에 의지하듯. 그런데 그 빛이 없어진다면 모두 길을 잃고 헤매게 될 것이다. 그래서 신드바드는 그걸 하나로 만들었다고 한다. 바로 자기 자신의 이념으로.
  • 마기/330화 . . . . 1회 일치
          먼저 샤를르칸이 나서서 의견을 말한다. 그들은 두 사람보다 먼저 이 계획을 들었다. 알리바바는 전부 죽어버리는 이런 계획에 반대하지 않느냐고 묻는다. 그러나 제자의 기대와 달리 샤를르칸은 "모두 찬성"이라고 답한다. 알리바바는 하늘이 무너진 것같은 표정으로 진심이냐고 되묻는다. 하지만 샤를르칸은 오히려 알리바바에게 "코 앞의 일에 연연하지 마라"고 설교한다. 그 자신은 물론 가족들과 엘리오트 합국의 국민들마저 전부 죽는 것도, 샤를르칸에겐 "눈 앞의 작은 일"에 지나지 않는다.
  • 마기/344화 . . . . 1회 일치
          * 셋타는 테스와 놀아주면서도 설명을 계속한다. 다윗은 말하자면 사이코패스. 살육도 그에겐 수단일 뿐 다른 의미는 없다. 이곳에 있는 그의 수많은 희생자들에게, 면전에서 "너희는 포석"이었다고 말하지 않는가? 그에겐 동료도 가족도 의미가 없다. 그러니 현세로 돌아간 다윗이 성궁에 가기 위해 또 한 번 세상을 "포석"으로 삼을 건 말할 것도 없다. 알리바바가 그럴 수는 없다며 막으러 가겠다고 하지만 와히드가 비웃음조로 손사레를 친다. 차원의 벽은 넘을 수 없다면서. 셋타는 어차피 알리바바도 머지않아 과거의 기억과 무한한 시간만 남은 무기력한 존재가 되어갈 거라 예견한다. 방법이 없다는 말에 알리바바는 크게 낙담한다.
  • 마기/345화 . . . . 1회 일치
          지금 세상은 죽은 사람들이 한곳에 모이지 않고 루프에 따라 격리된다. 알마트란시절 죽은 이들은 이 일 일라와 연결된 차원에, 현세에서 죽은 이들은 하얀 루프로 환원돼 "거대한 흐름"으로, 그리고 알 사멘처럼 타전된 자들은 검은 루프로 돌아간다. 알리바바는 이렇게 죽어서 뿔뿔히 흩어지기 보단 모든 이들을 이을 수 있다면 어떻겠냐고 묻는다. 그 말은 곧 이들이 자신의 그리운 사람들, 가족과 친구와 재회할 수 있다는 말이다.
  • 맥스 페인 2: 맥스페인의 몰락 . . . . 1회 일치
         과거 맥스 페인은 "V"라는 마약에 중독된 자들에 의해 아내와 딸을 잃고, 살인 용의자로 몰리게 된다. 그는 진범을 찾아 헤매며 여러가지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비니 고그니티, 모나 색스, 블라디미르 렘, 알프레드 우든. 맥스는 진범을 찾아 죽이는데는 성공했지만 끝난것은 없었다. 맥스의 가족이 이미 죽어버렸지만, 맥스는 아직 살아있었다.
  • 모레츠 사원 . . . . 1회 일치
         회사에 충성심을 가지고 있으며, 출세를 위하여 가정과 가족, 개인의 삶을 희생하고 일에만 열중하여 무모하게 일하는 직장인을 뜻한다.
  • 몽키 D. 루피/작중행적 . . . . 1회 일치
         하지만 가족에게 돌아가서 행복하게 지낼 줄 알았던 사보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게되고 에이스에게 다른 사람을 잃지 않을 정도로 강해지겠다고 다짐한다. 그 뒤로 에이스와 자라 17세에 1권의 처음 모험의 시작처럼 바다를 나서는 것으로 회상은 끝난다.
  • 무라하치부 . . . . 1회 일치
         무라하치부란, 마을(무라,村)의 규칙, 법도를 어긴 사람과 그 가족을 마을 사람들이 합의하여 따돌린다는 뜻이다.
  • 문석희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문연주 . . . . 1회 일치
         | 가족 =
  • 문호월 . . . . 1회 일치
         |가족 = [[손목인]](사촌 동생)
  • 문희(배우) . . . . 1회 일치
         || 가족 ||<(> [[배우자]] [[장강재]], [[자식|슬하]] 2남 1녀 ||
  • 문희옥 . . . . 1회 일치
         ||가족||[[남편]] 김홍선, [[아들]] 김동건||
  • 미래소년 코난/등장인물 . . . . 1회 일치
          건달 패거리들의 우두머리. 17세,. 가족은 여동생인 테라가 있다. 거창하게 구나 대단치는 않은 녀석이며 코난 일행과 충돌한다. 인더스트리아측이 나타나자 덤볐다가 깨지고는 그들에게 붙어서 하이하버를 위협하는 것에 협력했다. 이후 호가호위스럽게 있다가 해일이 왔을 때, 코난에게 패하고는 등장이 없다. 후에 바라쿠다호가 출항할 때에 재등장. 이때는 갱생했는지 가르와 함께 축포를 올렸다.
  • 바키도/137화 . . . . 1회 일치
          * 캡틴 [[스트라이덤]]은 헬기로 누군가를 옮기고 있다. 그는 그 상대에게 "당신 스스로 정한 일"이고 명령이니까 따르는 거지만 만약 그녀가 자신의 가족이었다면 무슨 짓을 해서든 말렸을 거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생명은 보장할 수 없다고 덧붙이는데. 그 말을 들은 그녀가 무언가 말을 하는데 헬기 소리에 묻혀서 잘 들리지 않는다.
  • 바키도/141화 . . . . 1회 일치
          현대를 태어난 인물들도 현대라는 삶의 틀 때문에 고독해 한다. 그러나 이들에겐 가족이 있고 친구와 연인이 있다. 그러나 400년 전 전국시대에서 현대로 던져진 무사시에겐 그런 것 조차 없다. 그는 지금 얼마나 고독할 것인가?
  • 박경석(1933) . . . . 1회 일치
         북한군 포로 생활 중에 국군에서는 박경석 중위가 전사한 줄 알고 가족에게 전사통지서 전달과 전쟁이 끝난 후, 국립묘지에 박경석 중위의 묘지를 안장하였다. 나중에 자신의 묘지가 안장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지만, 파묘하지 않고, 자신의 생애가 다해 현충원에 안장되는 날 폐쇄한다고 한다. 軍 현역 중 불의에 맞써 마음이 흔들릴때마다 자신의 안장 무덤을 찾아 마음을 다잡는 것이 되었다고 한다.[[http://www.snmb.mil.kr/cop/tombSearch/selectTombSearchList.do|서울 현충원 안장자 검색에 9사단 소속 강원도 정선에서 사망한 이가 바로 박경석 장군 자신이다.]]
  • 박동진 (1922년)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박부남 (1931년)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박석민 . . . . 1회 일치
         2017년 7월에는 '[[양산 아파트 밧줄 절단 살인 사건|밧줄 추락사]]'로 40대 가장을 잃은 유가족들에게 1억원을 기부했다. 그외에도 가정형편이 어려운 야구 후배들을 위해 2억여원을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018&aid=0003881512|기부하기도 했다.]]
  • 박성우 (정치인) . . . . 1회 일치
         ==가족 관계==
  • 박승임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박승효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박영진(코미디언) . . . . 1회 일치
         || '''가족''' ||<(> 부모님, 형, 아내 김가현 ||
  • 박용우(배우) . . . . 1회 일치
         || '''가족''' ||<(> 부모님, 형[* 이미 결혼해서 외국에서 특급 요리사로 활동하고 있다고 한다.] ||
  • 박윤경(가수) . . . . 1회 일치
         | 가족 = 어머니 심영진
  • 박정민(배우) . . . . 1회 일치
         ||<#4682b4> {{{#white '''가족'''}}} ||<(> 부모님, 여동생^^(1990년생)^^[* [[http://tenasia.hankyung.com/archives/8617|#]]] ||
  • 박정철(배우) . . . . 1회 일치
         ||<#58ACFA> {{{#white '''가족'''}}} ||2남 중 둘째[br]부인, 슬하 1녀 ||
  • 박진주 . . . . 1회 일치
         | 《[[초인가족 2017]]》
  • 박철우(배구) . . . . 1회 일치
         || 가족관계 || 장인 [[신치용]], 배우자 신혜인, 딸 박소율,박시하 ||
  • 박하나(배우) . . . . 1회 일치
         ||<#83C4C7> {{{#ffffff '''가족'''}}} ||<(> [[부모님]], [[오빠]], [[남동생]] ||
  • 박학기 . . . . 1회 일치
          | 가족 = 형제자매 관계는 형 1명 <br/> 자녀는 슬하 2녀<br /><small>(장녀 [[마틸다 (음악 그룹)|박승연]], 차녀 박정연)</small>
  • 박현진 (음악가) . . . . 1회 일치
         | 가족 =
  • 박홍 (신부) . . . . 1회 일치
         [[1991년]] [[예수회]] 박홍 신부(당시 서강대 총장)는 “지금 우리 사회에는 죽음을 선동하는 어둠의 세력이 있다”며 성경위에 손을 올리고 기자회견을 벌이기도 했다.<ref name=gg/><ref>{{웹 인용|url=http://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526968.html|제목=영안실서 김귀정 주검 지키며 경찰 침탈 맞서 / 박정기|출판사=한겨레|저자=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 고문 박정기, 구술작가 송기역|날짜=2012-04-05|확인날짜=2012-04-29}}</ref> 박홍 신부의 기자회견 이후 부터 김기설 학생의 분신 자살에 배후가 있다는 보도가 언론에 도배질을 하기 시작했고, 강기훈 전민련 총무부장의 이름이 등장했다. 검찰과 경찰은 합동으로 수사본부를 꾸려 대대적인 공안몰이 수사를 벌여 "강기훈 씨가 김 씨의 유서를 대신 썼다"며 강 씨를 구속기소했다.
  • 박화요비 . . . . 1회 일치
         || '''가족''' ||<(> 부모님, 여동생^^(1985년생)^^ ||
  • 박휘순 . . . . 1회 일치
         ** 《가족같은》 이현정의 남편 역
  • 배상면 . . . . 1회 일치
         == 가족 ==
  • 배소연 . . . . 1회 일치
         | 가족 =
  • 배영수 . . . . 1회 일치
          * 개인통산 100승 달성 후 인터뷰에서 고마운 사람으로 가족 다음으로 --참교육자 [[펠릭스 호세|호세]]-- 배우 '''[[박재정]]'''을 언급했다. ~~[[너는 내 운명(드라마)|배영수와 호세는 뗄래야 뗄 수 없는 사이인가 보다]]~~ 경북고 동문으로 박재정이 1년 선배인데, 박재정이 배영수 결혼식 사회를 봐줬을 정도로 친한 사이라고.
  • 백결 선생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백낙청 . . . . 1회 일치
         == 가족관계 ==
  • 백이소 . . . . 1회 일치
         == 가족관계 ==
  • 베이식 (가수) . . . . 1회 일치
         | 가족 = 슬하 1남
  • 베이지 . . . . 1회 일치
          * [[KBS]] [[가족끼리 왜 이래]] (송가)
  • 변요한 . . . . 1회 일치
         ||<#FAECC5> '''가족''' ||<(> 부모님, 여동생 ||
  • 변정수(배우)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여동생 [[변정민]], 남편 유용운, 딸 유채원, 유정원 ||
  • 보증 . . . . 1회 일치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부유한 사람이 가족, 친척, 친구, 선후배 등, 매우 인간적으로 신뢰할 수 있고 정이 있는 상대에게 보증을 서서 대출을 지원하는 관행을 가지고 있는데, 이렇게 인간적인 보증제도로 신용을 창출함으로서 부를 개인이 독적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나눠주고 더불어 [[평등]]하게 살아가는 사회를 만드는데 일조하고 있다.
  • 봉준호 . . . . 1회 일치
         * 봉준호의 외조부는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로 유명한 [[소설가]] [[박태원 (1909년)|박태원]]으로서, [[한국전쟁]] 당시 장녀를 데리고 [[월북]]했고, 봉준호의 어머니를 포함한 그 외 2남 2녀는 서울에서 자랐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2&aid=0001951696 '천변풍경'의 구보 박태원, 청계천변서 다시 만나다] 프레시안. 2009년 06월 15일</ref> 2006년 6월 제14차 금강산 [[이산가족 상봉]]에서 이들 모녀가 재회화여 화제가 되었다.<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1988703 호랑이가 고양이 낳으랴..3대 이은 예술명문가] 스타뉴스. 2009년 06월 30일</ref>
  • 부모교실 . . . . 1회 일치
         본래 과거에 이 같은 교육은 윗 세대에서 아래 세대로 가정에서 진행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현대 사회에서 핵가족화, 개인주의화를 거치면서 부모에게 의존하는 것을 꺼리거나 할 수 없는 경우가 늘었으며, 단순히 부모 입장에서 이야기 하는 것 만이 아니라 올바르고 과학적인 정보를 장래 부모가 될 사람들에게 교육할 수 있다는 점에서 21세기 초엽 부터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 블라디미르 렘 . . . . 1회 일치
         맥스와 비니가 폭탄을 해체하기 위해 폐 놀이공원에 찾아갔을 때, 그곳에는 블라드가 기다리고 있었다. 블라드는 우든이 맥스의 가족이 몰살당한 원인을 제공했다는 것과 모나가 우든을 위해 일한다는걸 말해 준 후 자신의 애인인 윈터슨을 죽은 맥스에게 권총을 쏜다. 그러고는 우든을 죽이기 위해 그의 저택으로 향한다.
  • 블랙 클로버/101화 . . . . 1회 일치
          * 운명을 조종하는 힘에 각성한 [[바네사 에노테이커]]. 자신의 마법은 완벽하다 자신했던 [[마녀왕]]도 그 힘에는 무릎을 꿇을 수밖에 없었다. 마녀왕과 가족이 아니라고 단언하는 바네사.
  • 블랙 클로버/104화 . . . . 1회 일치
          하지만 저주는 샬롯의 생각만큼 호락호락하지 않았다. 저주가 발동하자 그녀의 장미 덩쿨 마법이 폭주한다. 저주는 그녀를 삼키고 그녀의 가족을 포함한 모든 것을 삼킨다. 그것도 모자라 덩쿨은 영지민들이 살고 있는 민가까지 들이닥쳤고 이대로라면 엄청난 규모의 재앙이 될 판이었다.
  • 블랙 클로버/116화 . . . . 1회 일치
          * [[미모사 버밀리온]]이 부끄러워 마지 않는 오라버니 [[키르슈 버밀리온]] 등장. 산호의 공작 소속 일등 상급 마법기사다. 아름답지 못한 것들이 만연한 세상에 아름답게 태어나고 말아서 괴롭다는 인물이다. 미모사는 가족에 대한 변호를 포기했고 [[아스타(블랙 클로버)|아스타]]는 경악을 숨기지 않는다. 그러나 이 순간 가장 미치고 팔짝 뛰는 사람들은 이 인물과 한 팀을 이룬 [[매그너 스윙]]과 [[솔 마론]]이었다.
  • 블랙 클로버/124화 . . . . 1회 일치
          * 네르슈는 어린 시절 가족과 함께 산보에 나섰다. 마법의 양탄자를 타고 하층민들의 거주구를 굽어보는 산보. 하층민들의 세계는 더럽고 추하고 빈곤했다. 애나 어른이나 할 거 없이 범죄를 저지른다. 빈곤한 자는 마음까지 빈곤. 뿌리부터 추한 존재라는 믿음은 그때부터 확고했다. 어린 네르슈는 어린 미모사에게 그 점을 가르치며 "추한 자는 계속 추한 것"이란 지론을 완성했다.
  • 블랙 클로버/88화 . . . . 1회 일치
          파나는 조금 듣는 것 같다가 그런 놈은 모르고 자기에게 가족은 리히트나 마을 사람들 뿐이라며 다시 자신의 원한을 분출한다.
  • 블러드와인드 . . . . 1회 일치
         블러드젬은 한 가족에 의해 보호되었고, 이후 그들의 후손은 블러드와인드가 되었다.
  • 블리치/686화 . . . . 1회 일치
          * 토시로는 저렇게 보내는게 맞다며 "사신은 가족이나 상관을 위해 싸우는게 아니라 인간과 벗을 위해 죽는 것"이라 배웠다며
  • 빌리 블랭크스 . . . . 1회 일치
         == 가족사 ==
  • 사택 . . . . 1회 일치
         회사가 직원에게 저렴한 임대로로 대여하는 주택. 가족 지향은 사택, 단신자용은 기숙사로 분류하는 경우가 많다. 사택은 기업이 건물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와, 일반 임대 주택을 기업이 빌려서 직원에게 임대하는 경우로 나누어진다. 후자의 경우, 이를 아웃소싱 해서 처리하는 사택 대행 서비스도 있다.
  • 샘 윗위키 . . . . 1회 일치
         가족으로는 [[아버지]]인 론 윗위키, [[어머니]]인 주디 윗위키, 애완견인 모조가 있다. [[트랜스포머(2007년 영화)|트랜스포머]]의 일로 미카엘라 베인즈와 사귀는 사이가 되었지만 [[트랜스포머 2: 패자의 역습]]과 [[트랜스포머 3]] 사이에 깨진 것 같다. 이는 미카엘라 베인즈를 연기했던 [[메간 폭스]]가 트랜스포머 영화 시리즈의 감독이었던 [[마이클 베이]]를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10620601007|히틀러 같다고 발언]]해 퇴출되었기 때문.
  • 생일파티 . . . . 1회 일치
         서양에서는 [[케이크]]를 차리고, 나이 수만큼 [[촛불]]에 불을 붙이고 소원을 빌면서 불어서 끄는 관습이 기본. 생일에 사람들은 가족과 함께 단란한 시간을 보내거나, 친구들과 즐거움을 나누거나, 연인과 함께 알콩달콩 거리거나, 아니면 혼자서 쓸쓸하게 지내며 생일에도 만난 사람이 없는 자신의 대인관계에 회의를 느끼게 된다.
  • 섀도우문 . . . . 1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서거정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서수민 . . . . 1회 일치
         || '''가족''' ||<(> 조카: [[장순왕후]][* 드라마 제작국의 프로듀서로 [[넝쿨째 굴러온 당신]], [[전우치]] 등에서 활동했다.], 딸 2명 ||
  • 서신애 . . . . 1회 일치
         ||<#E2A6B4> {{{#ffffff '''가족'''}}} ||<(> 부모님, 1남1녀 중 장녀 ||
  • 서유정(배우) . . . . 1회 일치
          * 2016년 KBS1 일일 드라마 [[별난 가족]] - [[설공주]] 역
  • 서지석(배우) . . . . 1회 일치
         || '''가족''' ||<(> 배우자 김미리 ||
  • 서훈 (1942년) . . . . 1회 일치
         가족으로는 처 김리례와의 사이에 2남 1녀(첫째 서정진, 둘째 서정현, 세째 서정봉)를 두었다.
  • 석등보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성역 도시 . . . . 1회 일치
         시애틀의 에드 머리 [[시장]]은, “오늘은 일본계 미국인들의 강제수용 이후 미국 이민역사상 가장 어두운 날”이라면서, 트럼프의 반헌법적 행정명령에 모든 방법을 동원하여 시애틀시의 가치를 지킬 것이라고 주장, 킹 카운티의 다우 콘스탄틴 수석행정관은 “킹 카운티는 어린이들과 가족들을 음지로 몰아넣지 않고 그들에게 두려움을 심어주지 않을 것”, “다른 여러 지자체들과 함께 불법체류자들을 보호할 수 있는 튼튼한 대응장치를 구축할 것”이라고 했다.[[http://ny.koreatimes.com/article/20170126/1036862 (참조)]]
  • 성현아 . . . . 1회 일치
         대기업 이사였던 아버지 밑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에 모델 일을 하였고 [[1994년 미스코리아]] 대회에 출전해 예선대회에서 진, 본선에서 미에 당선됐다.<ref>{{뉴스 인용| 제목= 성현아, `사업실패` `가족의 죽음` 굴곡진 과거사| url =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57&aid=0001119403| 출판사= 스포츠월드| 저자= 류일한| 쪽= | 날짜= 2017-05-05| 확인날짜= }}</ref>
  • 세이와 덴노 . . . . 1회 일치
         ## == 가족사 ==
  • 소명(가수) . . . . 1회 일치
         |가족 = [[소유찬]](아들), [[소유미]](딸)
  • 소지섭 . . . . 1회 일치
         | 가족 = [[부모님]],누나
  • 소진은 . . . . 1회 일치
         일제 강점기 말기에는 다시 관계로 돌아와 총독부 군수직을 지냈다. [[평안북도]] 선천군수(1937년 8월 6일), 의주군수(1941년 3월 31일 임명)를 역임했다. 1938년 8월 1일 당시에는 종6위에 서위되어 있었으며, 그밖에 쇼와 대례 기념장(1928년 11월 16일), 훈8등 서보장(1930년 2월 12일), 훈7등 서보장(1933년 9월 4일), 훈6등 서보장(1935년 9월 9일), 훈6등 단광욱일장(1940년 4월 29일), 훈5등 서보장(1941년 8월 9일), 일본적십자사 유공장(1944년 12월) 등을 받았다. 특히 훈6등 단광욱일장은 선천군수 재직 시절 [[중일 전쟁]] 당시에 군대의 숙영 및 급식, 군용물자의 조달, 군대 군인 및 파견 가족의 후원 및 위로, 국채 소화 및 저축 장려, 국방헌금 및 애국기 헌납자금 모집, 국방 사상 보급 및 선전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여 받은 것이었다.
  • 손담비 . . . . 1회 일치
         | 《[[가족끼리 왜 이래]]》
  • 손예진 . . . . 1회 일치
         2010년, 손예진은 이새인 작가의 동명 소설을 기반으로 한 TV 드라마 《[[개인의 취향]]》로 1년 9개월여만에 브라운관에 복귀하였고, 개인 날 태어났다고 개인이란 이름을 얻은, 이름처럼 밝고 털털하고 유쾌한 캐릭터이자 무늬만 여자인 덜렁이 아가씨 박개인 역을 연기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개인의 취향' 손예진 "나이에 맞는 역 하고싶었다"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2023820|출판사 =스타뉴스 |저자 =김현록 |날짜 = 2010-03-25 |확인날짜 =2017-09-16 }}</ref> 이듬 해, 2011년 TV 드라마 《[[시크릿 가든 (드라마)|시크릿 가든]]》의 최종회에서 톱스타 역할으로 특별 출연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손예진, '시크릿가든' 카메오…'숨길 수 없는 폭풍 미모'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2116195|출판사 =마이데일리 |저자 =강선애 기자|날짜 = 2011-01-17}}</ref> 같은 해 손예진은 호러 로맨스 코미디 영화 《[[오싹한 연애]]》로 2년 만에 스크린에 복귀했고, 기를 쓰고 쫓아다니는 귀신 때문에 연애는 커녕 가족과 친구로부터 버림받은 여자 강여리 역을 연기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손예진 ‘오싹한 연애’로 컴백…그녀, 인생을 말하다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81&aid=0002245920|출판사 =서울신문 |저자 =임일영 |날짜 = 2011-11-29 |확인날짜 =2017-09-16 }}</ref> 영화는 300만 관객수를 기록해 자신이 출연한 모든 로맨틱 코미디 영화를 흥행시키며 '로맨틱 코미디의 퀸'임을 입증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역시 손예진, '오싹한 연애' 300만 개인 최고 흥행기록 달성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396&aid=0000005946|출판사 =스포츠월드 |저자 =김용호 |날짜 = 2012-01-17 |확인날짜 =2017-09-16 }}</ref><ref>{{뉴스 인용 |url=http://news.maxmovie.com/movie_info/sha_news_view.asp?newsType=&page=&contain=&keyword=&mi_id=MI0094703987|제목=<오싹한 연애> 최근 6년간 개봉한 로맨틱 코미디 중 최고 성적 |출판사=맥스무비|날짜=2012-01-03|확인날짜 =2017-09-16}}</ref> 2012년에는 재난 영화 《[[타워 (영화)|타워]]》에 출연하였고, 영화는 518만명의 관객수를 기록하며 성공을 거뒀다.<ref>{{웹 인용|title=Queen of romance returns in disaster flick|url=http://nwww.koreaherald.com/view.php?ud=20121217000947|work=The Korea Herald|date=17 December 2012}}</ref>
  • 손지현(배우) . . . . 1회 일치
         ||<#7C43B1><:>{{{#FFFFFF '''가족'''}}}||부모님, 남동생 (2001년생)||
  • 송가인 . . . . 1회 일치
         | 가족 = 모친[[창녕송]]
  • 송진현 . . . . 1회 일치
         == 가족 ==
  • 송하윤 . . . . 1회 일치
         ||<#CC9966> {{{#ffffff '''가족'''}}} ||<(> 부모님, 3녀 중 둘째 ||
  • 쇼쿠오야 . . . . 1회 일치
         청소년, 장애인에 대해서 직업을 지도하면서 동시에 보증인으로서 후견인이 되어주는 사람. 청소년이 취직할 때, 가족이 없거나 보호자에게 생활능력이 없는 경우 대신 보증인 역할을 담당했다. 지적장애자의 경우, 장애인복지법에 근거하여 장애인을 자신의 집에 데리고, 생활이나 직업을 지도해준다.
  • 슈퍼걸(드라마)/1시즌 1화 . . . . 1회 일치
         하지만 클립톤의 파괴로 카라는 [[팬턴존]]에 처박혀서 24년의 시간이 지나 지구에 도착하게 된다. 카라는 슈퍼맨이 된 칼엘에게 발견되어, 슈퍼맨의 주선으로 과학자 부부 덴버 가족에게 입양된다.
  • 슈퍼맨 . . . . 1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스트라테고스 . . . . 1회 일치
         근대 그리스 왕국, 현대 그리스 공화국에서 스테라테고스(stratigós)는 4성 장군에 해당하는 군사 계급으로서, 그리스 군의 최고 계급이다. 과거에 그리스 왕국에는 이보다 상위계급인 스트라타체스(Stratarches, '군의 지배자' 라는 의미)가 존재하였다. 이는 [[원수]]에 해당하는 군사 계급으로서 국왕이나 왕실 가족 가운데 몇몇 사람에게 주로 부여되었으며, 몇몇 퇴역장성에게 주어지는 명예 지위로 쓰였다. 하지만 그리스 왕정이 폐지된 이후로 이 계급은 존재하지 않는다.
  • 스파이더 슬레이어 . . . . 1회 일치
         스펜서는 제임슨 편집장의 의뢰로 스파이더맨의 정체를 까발리기 위해 스파이더 슬레이어를 만들기 시작했는데 점점 미쳐돌아가서 가족도 내팽겨치고 로봇에게만 집착하기 시작했다. 결국 자신이 설치했던 [[방사능]] 함정에 걸려 몸이 소멸되는 최후를 맞이했다.
  • 승리(빅뱅) . . . . 1회 일치
         ||<#fde100> '''가족''' ||<(> 부모님, 여동생 이한나^^(1993년생)^^ [* 빅뱅멤버중 유일하게 막내가 아니다] ||
  • 시마지로우 . . . . 1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신기준 . . . . 1회 일치
         * 《[[원시가족 뚜따 패밀리]]》 (EBS, 2009년) - 뚜따 역
  • 신동미 . . . . 1회 일치
         * 2014년 [[tvN]] 일일드라마 《[[가족의 비밀]]》 ... 고태란 역
  • 신민아 . . . . 1회 일치
         ||<:><#000000> '''{{{#white 가족}}}''' ||<(><#ffffff> 부모님, 언니, [[유지태]] ||
  • 신선미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신성왕후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신웅 . . . . 1회 일치
         | 가족 = 아들 [[신유 (1982년)|신유]]
  • 신종령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신지훈(배우) . . . . 1회 일치
         ||2016년||KBS1 일일연속극 별난 가족(설동탁)||
  • 신형철 . . . . 1회 일치
         ; 가족
  • 신화용 . . . . 1회 일치
         '''[[김승대]]가 [[연변 FC]]로 20억에 팔리면서''' 여기서 생긴 돈으로 결국 신화용, 황지수, 손준호 핵심 3인방은 다시 잡는데 성공했다. 매시즌 1~2월까지 거취문제로 포항팬들의 가슴을 졸이게 했던 것에 비하면 12월 중순이 지나가기도 전에 재계약 기사가 떴고, 덤으로 배슬기, 김원일, 김광석 센터백 3인방도 그대로 포항에 남으면서 적어도 16시즌 수비만큼은 안심할 수 있게 되었다. 게다가 이번 계약은 2년 계약이라 최소 2017년까지 포항에 잔류하게 되었다. 신화용 본인말로는 비싼 연봉을 부른 팀이 있었지만 '가족'을 버리고 떠날 수가 없었다고 한다.[[http://sports.media.daum.net/sports/soccer/newsview?newsId=20151224152139569|###]] ~~포항밖에 모르는 바보~~[* 다만 포항에서도 상당한 대우를 해주고 있는 것이 15시즌이 끝나고 공개된 연봉공개에서 신화용은 국내선수 중 4위. 6억 3천의 연봉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키퍼 포지션에서 신화용보다 연봉이 높은 선수는 수원에서 7억 넘게 받은 정성룡 뿐이며 선수단 연봉 총액이 70억 내외인 포항 입장에서는 파격적인 대우를 해주고 있는 편이다. 그만큼 포항 프런트도 긴축재정으로 구단 예산이 줄어드는 상황에서도 신화용 만큼은 반드시 잡고 간다는 반증인셈.][* 다만, 기본급은 정성룡보다 한참 낮은것이 맞다. 연맹에서 발표하는 연봉공개 내역은 기타 수당을 다 합친 금액을 발표하는 것이기 때문에 15시즌 전경기 출장+17경기 클린시트 보너스를 합친 신화용의 연봉은 이러저러해서 시즌을 절반가량 날려먹은 정성룡과 비슷하게 나올 수 밖에 없다.]
  • 아멜리아 윌 테슬라 세일룬 . . . . 1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아이린(레드벨벳) . . . . 1회 일치
         ||<:><#FE3E5F>'''{{{#white 가족}}}''' ||<#FFFFFF>[[시노자키 아이]], [[여동생]]^^(1996년생)^^[* 아이린은 아버지를 닮았고 동생은 어머니를 닮아서 자매인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
  • 안내상 . . . . 1회 일치
         * 2012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추석특집극 《[[가족사진]]》 ... 한상태 역
  • 안석환 . . . . 1회 일치
         * 2012년 [[SBS]] 특집드라마 《[[가족사진]]》 ... 한상식 역
  • 안재욱(배우,가수) . . . . 1회 일치
         || '''가족''' ||<(> 배우자 최현주, 딸 안수현, 동생 안재현(안씨동생) ||
  • 야규 무네노리 . . . . 1회 일치
         == 가족사 ==
  • 야규 슈메 . . . . 1회 일치
         == 가족사 ==
  • 야규 신지로 요시카츠 . . . . 1회 일치
         ## == 가족사 ==
  • 야차원숭이 . . . . 1회 일치
         멸종 위기에 달한 크립티드 급 생물. 본래 [[칼]]든 [[사무라이]]도 잡아먹는 무서운 괴물이었다. 뾰족한 송곳니가 특징으로, 마치 [[야차]] 같은 얼굴을 하고 있다. 인간을 초월한 괴력과 전투능력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단순히 흉폭한 짐승은 아니고, 상당히 지능이 높아서 가족이나 친구의 개념, 원수를 갚는 의식 같은 것도 가지고 있다. 감정적 교류도 나눌 수 있는 알고보면 좋은 생물.
  • 양진성(배우) . . . . 1회 일치
         ||<#FFCC33> {{{#ffffff '''가족'''}}} ||<(> 3녀 중 [[차녀]] ||
  • 어쌔신 크리드 III/부가요소 . . . . 1회 일치
          * 군인들에 의해 집에서 쫓겨날 위기에 처한 가족들을 구해주는 임무.
  • 어쌔신 크리드 III/임무일람 . . . . 1회 일치
         코너는 뉴욕에서 가져왔던 그림을 풀어본다. 그림을 본 코너는 그 그림을 벽난로 위에 걸어놓는다. 그 그림은 아킬레스가 젊었을 시절 가족과 함께 그린 초상화였다.
  • 연규진 . . . . 1회 일치
         || '''가족''' ||[[아들]] [[연정훈]], [[며느리]] [[한가인]], [[손녀]] 연재희^^(2016년생)^^||
  • 연분홍 . . . . 1회 일치
         | 가족 =
  • 연정(우주소녀) . . . . 1회 일치
         ||<#FFA38B><:> '''{{{#white 가족}}}''' ||<(> 부모님[* 2018년 3월 11일 투유 프로젝트 - 슈가맨 2에서 밝혀진 사실이 부모님이 대학가요제 출신이다.--어쩐지--], 남동생 ||
  • 연초아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예재형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오세창 . . . . 1회 일치
         == 가족 ==
  • 오수미 . . . . 1회 일치
         || 가족관계 || 여동생 [[윤영실 실종 사건|윤영실]] [br]배우자 [[신상옥]](이혼), 김중만(이혼)[br]자녀 신상균(아들), 신승리(딸) ||
  • 오시만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오원 (조선)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오정태 (희극배우) . . . . 1회 일치
         * 《[[가족오락관]]》
  • 오준영 (1955년) . . . . 1회 일치
         |가족 =
  • 오지호(배우) . . . . 1회 일치
         || '''가족''' ||<(> 2남 1녀 중 [[장남|둘째]][* 누나 1명과 남동생 1명으로 장남이다.][br]배우자 은보아, 슬하 1남 1녀(딸 오서흔[* 2015년 12월 30일 출생], 아들[* 태명 지동, 2018년 8월 18일 출생]) ||
  • 오창경 . . . . 1회 일치
         * 《[[간 큰 가족]]》 (2005년) - 분식점 남 역
  • 오철환 . . . . 1회 일치
         == 가족 ==
  • 오토하(연예인) . . . . 1회 일치
         ## == 가족사 ==
  • 요시다 세이지 . . . . 1회 일치
         == 가족사 ==
  • 요코타 메구미 . . . . 1회 일치
         == 가족사 ==
  • 우찬양 . . . . 1회 일치
         ||<#ed0000> '''{{{#ffff00 가족관계}}}''' || 부, 모, [[현민|형]], 누나 ||
  • 우천석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울진군 . . . . 1회 일치
          북면에 위치한 온천관광지. 한국 온천 중에서 유일하게 자연용출되는 온천이다. 이 때문에 초창기에는 노천탕도 운영했을 정도. 관광지 개발은 1980년대로 좀 늦은 편인데, 온천 위치가 산골짜기라서 개발이 어려웠기 때문. 이 때문에 용출되는 곳에는 개발을 못하고, 용출지에서 4 km 떨어진 지금의 위치에 관광지를 개발하고 파이프로 온천수를 끌어오고 있다. 규모는 제법 큰 편이며, 자체운영호텔과 스파월드라는 이름의 온천수 수영장이 온천탕과 별개로 운영되고 있다.--노천탕도 있다!-- 온천탕은 남,녀 대온천탕과 가족온천탕이 있다.
  • 원피스/834화 . . . . 1회 일치
          * 그녀는 "모든 인종이 가족이 되어 같은 눈높이로 식탁에 둘러앉는 것"--[[이거"토리코"]] 아냐?--
  • 원피스/837화 . . . . 1회 일치
          * 카포네는 그 과정에서 빅맘에게 복속, 가족이 되었으며 나머지는 빅맘의 얼굴 조차 보지 못했다.
  • 원피스/846화 . . . . 1회 일치
          * 킹밤은 기어이 두 동강 나고 나미는 아망도에게 몸수색을 당한다. 아망도는 나미의 앞섬에서 로라의 비브르 카드를 찾아낸다. 가렛은 체스병들이 제대로 싸우지 못한 것과 유혹의 숲에서 도망칠 수 있었던 것이 이것 때문이라고 판단한다. 그러면서 이걸 어떻게 손에 넣었냐고 묻는다. 빅맘의 군사들은 그게 로라를 죽이고 빼앗은 거라고 여긴다. 여기서 로라는 가출소녀 취급. 그렇지만 가족이라는 의식은 있는지 그녀의 죽음을 슬퍼하며 유언은 남긴게 없냐고 묻는다. 나미는 친구라서 받은 거라고 항변하지만 쉽게 믿어주지 않는다.
  • 원피스/848화 . . . . 1회 일치
          푸딩은 엉망인 두 사람의 몰골을 보고 가족들을 대신해 사과한다. 그리고 약속을 지키지 못한 것도 사과한다. 그렇게 대화하고 있자 바깥의 형제들도 수상하다고 생각하기 시작한다.
  • 원피스/850화 . . . . 1회 일치
          상상도 할 수 없었던 푸딩의 돌변. 상디가 엿듣고 있는지도 모르고 푸딩은 자신이 빅맘의 "금지옥엽"이며 특히 "연기력"을 아껴준다고 떠들어댄다. 빅맘은 지겨울 정도로 그녀를 돌봐주고 있고 그녀의 부탁으로 남자를 속이는 것 정도야 아무 것도 아니라고 말한다. 밀집모자 일행도 속인 것에 지나지 않았다. 그녀는 자신의 본성은 "가족들" 밖에 모른다고 하는데, 아마 간부들 중에서도 그녀의 본성을 아는건 일부인 듯하다.
  • 원피스/886화 . . . . 1회 일치
          * 다시 일어선 오븐은 곧바로 일행을 추격해 재료를 옮기던 마차에 올라탄다. 시폰을 다시 사로잡았을 때, 마침 전보벌레가 울리는데 파이어탱크 해적단의 [[카포네 갱 벳지]]가 카카오섬으로 가고 있다는 소식이다. 아내를 버릴 수 없었던 벳지는 결국 카카오섬으로 시폰을 마중하러 온 것. 오븐은 곧바로 벳지의 배에 연락해서 시폰을 인질로 잡고 카카오섬 항구에 정박할 것을 명령한다. 시폰은 자기 때문에 "진짜 가족"을 희생시킬 수 없고 꼭 살아남아 언젠가 복수해달라고 외치지만 벳지는 끝내 상륙을 받아들인다.
  • 원한해결사무소/4화 . . . . 1회 일치
         원한해결사는 정보원에게 원한대상 '마사토 이치로'의 정보를 찾는다. 하지만 가족[* 부모는 이혼하고 5년 이상 행방불명]도 직업도 없고 빚도 지고 있는, '잃을 게 없는 남자'이므로 사회적으로 말살하는 것이 오히려 어려운 상대였다.
  • 원한해결사무소/5화 . . . . 1회 일치
         주간 스쿠프의 기자 토사쿠라 마나부는 원조교제를 하는 [[OL]] 하나무라 히토미에게 취재를 한다. 현금 21만엔이라는 취재비에 넘어간 히토미는 사진을 찍고 만다. 그런데 1주일 뒤 주간지의 '원조OL버스터즈'라는 기획으로 얼굴 모자이크도 없이 자신과 약혼자의 사진이 올라가버려, 회사와 약혼자, 가족에게 들키고 만다.
  • 월드 인 컨플릭트/줄거리 . . . . 1회 일치
         파커와 배넌은 소여가 올 때까지 소련군을 막기 시작한다. 파커는 소련군을 막는 동시에 소련군에게 붙잡힌 민간인과 레빈슨 준장의 일가족을 구조했다. 배넌은 파커를 도와 소련군을 막고, 파커가 처리할 수 없는 소련군의 위치를 소여에게 알렸다. 소여는 배넌이 알려준 소련군의 위치에 화력지원을 요청하는 한편, 파커에게 M60 패튼 전차를 지원했다. 소련군은 BTR 장갑차로 강을 건너 방어선을 뚫으려고까지 했지만 미군은 민간인들이 다리 너머 후방으로 이송될 때 까지 다리를 방어하는데 성공한다.
  • 위안부 소녀상 망치 테러 사건 . . . . 1회 일치
         최씨는 과거 조현병으로 2차례 입원[* 약 5년 전에 3개월, 1~2년 전에 2개월]한 적이 있었다. 최씨는 “망치를 [[철물점]]에서 구입해 소녀상을 내리치라고 (머리가) 지시했다”고 경찰에서 증언했다. 경찰에서는 조현병으로 인한 망상, 환청 증세로 보고 있는 듯 하며, 가족의 동의 하에 최씨를 정신병원에 입원 시킬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 유다인 . . . . 1회 일치
         ||<#3D414D> {{{#ffffff '''가족'''}}} ||<(> 부모님 ||
  • 유미(가수) . . . . 1회 일치
         || '''가족''' ||1남 1녀 중 둘째 ||
  • 유민상(개그맨) . . . . 1회 일치
         || '''가족''' ||<(> 부모님, 남동생^^(1981년생)^^ ||
  • 유지인(1956) . . . . 1회 일치
         * [[1984년]] [[KBS1]] 일일연속극 《[[가족]]》
  • 유한식 . . . . 1회 일치
         ||<height=40><bgcolor=#C9151E> {{{#FFFFFF ''' 가족 ''' }}} ||<(> 배우자 박재옥, 슬하 1남 1녀 ||
  • 유해진(배우) . . . . 1회 일치
         || '''가족''' ||<(> 4남 2녀 중 막내, 조카 [[최현준(야구선수)|최현준]][* [[LG 트윈스]] 소속의 야구선수이다.] ||
  • 육성재 . . . . 1회 일치
         ||<#42B4E6> '''가족''' ||<(> [[부모님]], [[누나]] 육선효^^(1992년생)^^ ||
  • 윤균상(1987) . . . . 1회 일치
         || '''가족''' ||<(> 부모님, 남동생 ||
  • 윤덕주 (농구인)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윤상현(배우) . . . . 1회 일치
         ||<bgcolor=#DCE4E9> '''가족''' ||<(> 1남 2녀 중 [[고명아들|둘째]][br]아내 [[메이비(가수)|메이비]], 딸 윤나겸, 윤나온 ||
  • 윤용현(1969) . . . . 1회 일치
         || '''가족''' ||부인과 슬하 1남 1녀||
  • 윤인조 . . . . 1회 일치
         | 가족 =
  • 윤정희(1980) . . . . 1회 일치
         || 가족 ||언니 윤혜진 ||
  • 윤진이 . . . . 1회 일치
         |가족 = 2녀 중 차녀
  • 윤채경(가수) . . . . 1회 일치
         ||<bgcolor=#FF69B4><:>'''{{{#ffffff 가족}}}''' ||<(> 부모님 ||
  • 윤철종 . . . . 1회 일치
         그러다가 [[여성가족부]]의 태클로 1집 메인곡인 <그게 아니고>가 유해매체로 판정되었으며 여가부가 제시한 근거는 다음과 같다.
  • 윤철형 . . . . 1회 일치
         || '''가족''' ||[[부인]]과 슬하 1남 1녀||
  • 윤태진(아나운서) . . . . 1회 일치
         [[2010년]] [[남원춘향제#s-2.3|미스 춘향]] 선발 대회에서 선이 된 뒤 진([[효영]])과 함께 [[아침마당]]에 출연했었는데 [[이금희(방송인)|이금희]] 아나운서가 '아나운서 해 볼 생각이 없냐'고 했다고. '아나운서는 나와는 뭔가 다른 사람들이라고 생각했었는데 한번 해 보자'는 마음이 들었단다. 계약직이긴 해도 단 5개월만에 공채에 합격하는 기염을 토했다.[* 사실 당시 부모의 경제 상황이 어려워져서 무용을 포기해야 되나 하는 고민이 있던 차에 이금희에게 권유를 받으며 방송이라는 새로운 진로에 대해 생각하게 되면서 결심하게 되었다고 한다.] 가족들이 처음에는 의아해했는데 붙으니까 좋아했다고.[* 최근 인터뷰에서 계속 무용을 할 걸하는 미련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집안 경제 상황의 변화가 없었다면 계속 무용을 하고 성공해서 나중에 교수까지 되는 걸 목표로 노력했을 거라고.]
  • 윤휘 . . . . 1회 일치
         ==가족==
  • 윤흔 . . . . 1회 일치
         ==가족 사항==
  • 은혼/577화 . . . . 1회 일치
         * 가구라와 카무이가 혈전을 벌이고 우미보즈는 모든 게 자신이 가족을 떠나서 생긴 일이라 생각하며 망연해 한다
  • 은혼/579화 . . . . 1회 일치
         * 우미보즈는 자신의 이름 칸코우를 밝히며 "다음에 행성의 주인이 허락한다면 네 이름을 들으러 오겠다"며 돌아선다. 코우카는 고작 그런 소리나 하려고 삼일이나 따라다녔다고 하는데 "원래 남의 집에 가면 문을 두드리고 이름을 밝히는게 예의였다. 소란을 피워 미안하고 네 가족(오로치)에게도 전해 주라"며 돌아선다.
  • 은혼/585화 . . . . 1회 일치
          * 긴토키는 작은 별에서 작은 가족이나 지킬 것이지 "텅 빌 각오도 없이 왜 내 앞에 서냐"고 비난한다.
  • 은혼/595화 . . . . 1회 일치
          * 코우카의 묘에 가족이 바친 세 가지 꽃이 놓이고 지구로 향하는 쾌원대의 배가 출항한다.
  • 은혼/623화 . . . . 1회 일치
          타츠고로는 자신은 혼자 멋대로 사는데 너무 익숙하지만 지로쵸는 가족을 꾸리는데 이미 익숙한 오야붕이 아니냐고 말한다. 그 말을 들은 지로쵸는 피차 여자를 행복하게 해줄지 모르는 얼간이들이지만, 눈 앞에 있는 놈이야말로 반한 여자를 행복하게 해줄거라 믿는다고 자조한다. 그렇다면 이들에겐 더 빠른 길이 있다.
  • 은혼/632화 . . . . 1회 일치
          * 어느 달 밝은 밤. 한 소녀가 [[다카스기 신스케]]에게 거둬주길 청하고 있었다. 소녀의 이름은 [[키지마 마타코]]. 신스케의 이력과 그가 세상을 부수려함을 알고 자신도 동행시켜 달라고 청했다. 그녀의 아버지도 양이지사였으나 막부에 탄압 당해 사망, 어머니는 죄인의 부인이란 오명 속에서 박해를 받다 사망했다. 이제 그녀에게 남은 것은 아버지의 유품인 한 정의 리볼버. 이것으로 가족의 원수를 갚고자 한다 털어놓는다.
  • 은혼/636화 . . . . 1회 일치
          >네 가족의 피를 믿어라.
  • 은혼/652화 . . . . 1회 일치
          * [[우미보즈(은혼)|우미보즈]]의 복귀. 전장에서 [[가구라]], [[카무이(은혼)|카무이]]와 감동적인 가족상봉이 연출되나 했으나 카무이의 선빵으로 개판이 된다.
  • 이경영(1960) . . . . 1회 일치
         || '''가족''' ||<(> 5촌 조카 [[이현우(가수)|이현우]][* 이름의 "榮"자를 보고 [[경주 이씨]] 35세손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38세손이다.] ||
  • 이계순 (1927년)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이기열(배우) . . . . 1회 일치
         * 2017년 [[SBS]] 《[[초인가족 2017]]》 - 나천일의 아버지 역
  • 이기택 . . . . 1회 일치
         == 가족관계 ==
  • 이민우(배우) . . . . 1회 일치
         ||<#878787> '''{{{#EEE156 가족}}}''' ||<(> 어머니[* 아버지는 그가 태어나기 전에 사망했다.] ||
  • 이민호(1987) . . . . 1회 일치
         ||<#878787> '''{{{#EEE156 가족}}}''' || 부모님, 누나 ||
  • 이보희(배우) . . . . 1회 일치
         || 가족관계 |내연남[[승리]]|[br]아들 함원준[br] ||
  • 이상무(만화가) . . . . 1회 일치
         이상무는 데뷔작이 고교생이 주인공인 청춘 개그물이었고 스포츠 만화나 가족 드라마를 주로 그렸지만, 주 독자층인 어린이들이 이해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성인 취향의 주제를 자주 다루었다. 예를 들어, 재일교포 형제를 주인공으로 그린 [[현해탄 너머]]에서 동시대 만화가들처럼 단순히 일본인들의 재일교포 차별만 넣는 대신 두 나라 사이에서 갈등하는 2세대 교포의 모습도 다루었다. 독고 탁이 투수로 나오는 한국인 시리즈가 그 극이라 할수 있다. [[비둘기 합창]]에서 소아마비 장애 때문에 남자친구에게 버림 받는 여자를 그렸는가 하면, [[달려라 꼴찌]]에서 일본의 재일 한국인에 대한 차별과 한국의 흑인 혼혈인에 대한 인종 차별을 묘사하였다. 밝은 그림에 비해서는 주제가 무거운 편.
  • 이석훈 . . . . 1회 일치
         ||<#0D3EA3> {{{#ffffff '''가족'''}}} ||<(><rowbgcolor=#ffffff> 아내, 슬하 1남 ||
  • 이선민 (1988년)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이설주 . . . . 1회 일치
         * 시집 《순이(順伊)의 가족(家族)》 (1954년)
  • 이승경 (1290년) . . . . 1회 일치
         == 가족 ==
  • 이승엽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이승효(탤런트) . . . . 1회 일치
         가족 아버지 [[이상문]]
  • 이시영 (1882년) . . . . 1회 일치
         == 가족 ==
  • 이시형 (1934년) . . . . 1회 일치
         * 여성가족부 청소년특별회의 추진위원회 위원장
  • 이억년 . . . . 1회 일치
         == 가족 ==
  • 이연희(배우) . . . . 1회 일치
         ||<bgcolor=#b88568> {{{#FFFFFF '''가족'''}}} ||<(> 1남 3녀 중 셋째[* 여담이지만 장손 집안이라고 한다.] ||
  • 이열희 (1924년)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이영 (1492년)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이영아(배우) . . . . 1회 일치
         || '''가족''' ||<(> 1남 1녀 중 첫째 ||
  • 이영은(1982) . . . . 1회 일치
         ||<:> 가족 ||<(> 1남 1녀 중 둘째[br]슬하 1녀 ||
  • 이영희 (1936년)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이예린 (1974년) . . . . 1회 일치
         * [[1998년]] [[KBS 2TV|KBS2]] 《[[가족오락관]]》
  • 이은수(육군) . . . . 1회 일치
         가족관계로는 남편과 딸 하나가 있었으나 남편은 07년에 지병(암)으로 사망하였고, 부친도 이 장군의 전역 3개월 전에 별세하였다.[* 이은수 장군은 자신의 장군 취임식 때 연평도사건으로 인하여 뒤숭숭한 분위기 때문에 부친을 모시지 못했다. 그래서 본인의 전역식 때는 부친을 꼭 모시고자 마음먹었으나 전역 3개월을 앞두고, 산소호흡기에 의존한 모친의 병간호로 무리했는지 사망했다.]
  • 이인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이인영(정치인) . . . . 1회 일치
         제19대 국회 후반기 여성가족위원회 위원
  • 이장희 (시인)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이재룡(1964) . . . . 1회 일치
         ||<:><#4C4C4C>'''{{{#FFFFFF 가족}}}'''||<(> [[배우자]] '''[[유호정]]''', [[아들]] 이태연, [[딸]] 이예빈, [[처제]] 유호선 ||
  • 이재성(희극인)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이재영 (뮤지컬배우) . . . . 1회 일치
         || 가족 ||<(> ||
  • 이재용(배우) . . . . 1회 일치
         || '''가족''' ||<(> 배우자 김현아 ||
  • 이종배(국회의원) . . . . 1회 일치
         ||<bgcolor=#C9151E> '''{{{#FFFFFF 가족관계}}}''' ||<(> 배우자 박종숙, 슬하 2남 ||
  • 이주승(영화배우) . . . . 1회 일치
         ||<#20B2AA> {{{#ffffff '''가족'''}}} ||<(> 부모님, 2남 1녀 중 둘째 ||
  • 이지우 (레이싱모델)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이지현(1983) . . . . 1회 일치
         || 2002년 [br] 2005년 || [[KBS1]] || [[가족오락관]] || 게스트 || ||
  • 이진주 (1678년)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이채영(fromis_9) . . . . 1회 일치
         ||<bgcolor=#BBB3D8> '''{{{#white 가족}}}''' ||<(><bgcolor=#ffffff> 부모님, 언니 이혜인^^(1993년생)^^, 언니 이혜지^^(1996년생)^^[* 채영 왈 큰 언니랑 2살차, 작은 언니랑 7살차라고 한다. 특히 큰언니 이혜인은 종영 이후 채영의 일상 사진을 많이 올리고, 채영 팬과 소통을 자주한다. ~~챙덕은 계탔다~~] ||
  • 이철우(1955) . . . . 1회 일치
         ||<height=40><bgcolor=#C9151E> {{{#FFFFFF ''' 가족 ''' }}} ||<(> {{{-1 배우자}}}, {{{-1 장남}}} ||
  • 이현보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이현우 (가수) . . . . 1회 일치
         | 가족 = 자녀는 슬하 2남 <br/> 형제자매 관계는 2남 2녀 중 차남 <br /> 친척 관계는 5촌 당숙 [[이경영 (1960년)|이경영]](영화배우)
  • 이현우(배우) . . . . 1회 일치
         || 한국 피앤지 || 페브리즈 - 쇼파냄새편, 신발편, 가족편 || ||
  • 이혜숙(영화배우) . . . . 1회 일치
         ||<#87CEFA> '''{{{#ffffff 가족}}}''' ||<(> 배우자 한기은, 딸 한서원 (2남 2녀 중 셋째) ||
  • 이황근 . . . . 1회 일치
         == 가족 ==
  • 이효상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인교진 . . . . 1회 일치
         2000년 [[문화방송|MBC]] 농촌드라마 《[[전원일기]]》에서 재동 역을 맡아 연기생활을 시작한 인교진은 2012년 4월 22일 종영된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주말극 《[[내일이 오면 (2011년 드라마)|내일이 오면]]》을 통해 인연을 맺고 연인으로 발전, [[서우]]와 함께 공개 연애를 선언했으나, 2013년 5월 결별하였다. 이후 2014년 4월, 인교진은 12년 간 같은 기획사에서 만나 동료 연기자로 친분을 맺어 온 [[박수진 (1987년)]]과 교제를 시작했으며 동년 10월 4일 결혼식을 올렸다.<ref>[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ent&arcid=0008217748&cp=nv 인교진-박수진 결혼 공식입장 “지난달 초 결혼 프로포즈… 10월 결혼”], [[국민일보]] 2014년 4월 9일자</ref> 그리고 임신 소식이 전해져 태명을 기쁨이로 지었다. 2015년 12월 4일에는 딸이 태어나 그의 딸을 박하은으로 지어 가족으로 발전되기 시작되었다.
  • 인순이 . . . . 1회 일치
         가족 배우자 박경배
  • 일곱개의 대죄/195화 . . . . 1회 일치
         설명은 되지 않았지만 그 또한 데리엘처럼 여신족 자체에 원한을 가진 인물일 가능성이 높은데 멜리오다스와 함께 여신족도 기필코 복수해야 할 대상이라고 말했다. 데리엘이 여신족이 포로학살, 특히 민간인 여성과 아이들을 학살했다고 했으니 그의 가족 또한 희생됐을 가능성이 높다.
  • 일곱개의 대죄/206화 . . . . 1회 일치
          * 십계 [[고서]]는 [[네로바스타]]를 세뇌, 자신을 [[뤼드셀]]이라 믿게 만든다. 고서는 네로바스타가 그를 안내하면서 뤼드셀에 대해 말하도록 조작한다. 그녀는 뤼드셀이 마력, 지력, 매력 면에서 최고의 사대천사라고 추앙한다. 뤼드셀은 스티그마가 성전에서 승리하기 위해 가족도 친구도 버렸다고 하는데. 고서는 그 말을 듣고 "그런 남자라면 나도 안다"고 말한다.
  • 임백천 . . . . 1회 일치
         || '''가족''' ||<(> ||
  • 임성은(가수) . . . . 1회 일치
         ||<#eee> '''가족 관계''' || 1남 1녀 중 장녀 ||
  • 임신균 . . . . 1회 일치
         과거에는 시골에서 [[돌하르방]]이나 각종 문화재(…)를 갈아서 --문화재 파괴-- 그 가루를 자식 혹은 아들을 낳는 약이라고 쓰거나, 자식을 낳는 여러가지 비법이 쓰였다는 점에서 볼 때, 한 때 [[가족계획]]이라는 저출산을 긍정적으로 보는 문화로 위축되었던 이 같은 임신과 관련된 속설과 미신이 [[저출산 고령화]]로 임신과 출산을 긍정적으로 보는 사회적 압력이 강해지면서, 다시 부활하게 되었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 임효성 . . . . 1회 일치
         || 가족관계 || 아내 [[유진(배우)]], 아들 임유, 딸 임로희, 임로린 ||
  • 자시키로우 . . . . 1회 일치
         [[메이지 시대]] 부터는 화족(華族, 귀족)이나 대상인 등 자산을 가진 집안에서, 가족 내에 소행이 불량한 자, 정신 상태에 이상이 있는 자를 감금하기 위하여 이러한 시설을 만들었다.
  • 장계현 . . . . 1회 일치
         |가족 =
  • 장동국 (1972년 9월)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장미화 (희극인) . . . . 1회 일치
         * KBS1 《[[가족오락관]]》
  • 장발 (화가)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장범준 . . . . 1회 일치
         | 가족 = 딸 장조아, 아들 장하다
  • 장성원 (배우) . . . . 1회 일치
         == 가족 ==
  • 장세용 . . . . 1회 일치
         하지만 위에도 언급하였지만 그 당시에는 [[박정희]]에 대한 향수가 강하였기 때문이고 현재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헌정 사상 최악의 국정농단 부패 스캔들 사태]]와 마약, 사기 등 박근혜와 박지만, 박근령 등 박정희와 육영수의 자식들이 박정희 사망 이후에 저질러온 악행으로 인해 그 신화는 치명상을 입었다.[* 현재 박근혜가 정치적으로 파멸해버린 상황에서 박정희를 추종하는 친박 등 한국내 보수 우익 세력들이 박근혜의 친동생들이자 나머지 박정희와 육영수 부부의 자녀들인 박지만이나 박근령을 새로운 친박 세력의 지도자로 정계로 영입하거나 세우지 못 하는 것도 바로 이 이유 때문이다. 박근령과 박지만 모두 사기, 마약 등 범죄 전과를 가진 전과자의 신분에다 과거에 행실이나 성품 등 여러 부분에서 정치를 하기에는 부적합한 인물들로 박근혜가 몰락하기 이전부터 드러났기 때문에 친박계로서도 이들을 정계로 불러들이는 것은 오히려 정치적 자살 행위에 가깝다. 그렇다고 나머지 박정희-육영수 일가의 다른 일가족이나 친척들은 언제 오늘 내일 할지 모를 정도로 나이가 너무 많거나 인지도가 워낙 낮아서 박근령이나 박지만보다 내세우기 더 힘든 실정이다. 현재 대한애국당이나 신 새누리당, 박사모, 어버이연합 등 주류 친박 단체들과 친박 성향의 극우 원외 정당들이 박지만과 박근령을 기피, 거부하며 박근혜의 석방과 사면을 요구하고, 정치인으로서의 생명이 끝장나버린 박근혜와 70년대 총탄에 암살당한 그들의 부모인 박정희와 육영수 부부만을 맹목적으로 추종하고 있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특정 정당이 6선이나 한 지역이었지만 민주당 소속의 장세용 시장이 당선되며 그 신화도 마침표를 찍었다고 볼 수 있다. 후술되어 있지만 선거 구조가 민주당계로 유리하게 진행되었던 것도 사실이지만 민주당계의 시의원이 전원 당선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박정희]] 신화에서 벗어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거기에 현실적으로 1000억 넘게 들어가는 박정희 예산은 구미시에 엄청난 부담이 되기 때문에 줄일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구미시의 18년 기준 1년 예산은 1조다. 비록 1000억이 1년만에 집행된건 아니지만 적어도 1년에 수백억씩 사용되기는 했고 실제 구미시에 상당한 부담이 되고 있다.]
  • 장순왕후 . . . . 1회 일치
         ==가족 관계==
  • 장슬기 (희극인)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장우람 (가수) . . . . 1회 일치
         |가족 =
  • 장윤진 . . . . 1회 일치
         |가족 = 사촌남동생[[장성원 (배우)]]
  • 장은숙 (가수) . . . . 1회 일치
         | 가족 = 장칠군{{출생일과 나이|1959|1|25}}
  • 장은아 . . . . 1회 일치
         | 가족 =
  • 장재인 . . . . 1회 일치
         || '''가족''' ||<(> 1남 1녀 중 막내 ||
  • 장평도정 . . . . 1회 일치
         == 가족관계==
  • 장헌식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전락원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전명운 . . . . 1회 일치
         == 가족 ==
  • 전성군 (1488년)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전순옥 . . . . 1회 일치
         == 가족 ==
  • 전예용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전인범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전장운 . . . . 1회 일치
         전장운은 [[1811년]]에 [[한양]]에서 태어났으며, 독실한 [[천주교]] 신자인 어머니의 인도로 [[유아세례]]를 받았다. 그가 태어난지 얼마되지 않아, 그의 아버지는 세상을 떠났다. 정장운은 어릴 때부터 [[농사]]와 [[가죽]] [[가방]]을 만들며 가족을 부양했다.
  • 전재용 . . . . 1회 일치
         == 가족 ==
  • 전효성 . . . . 1회 일치
         ||<#00CED1> '''{{{#000000 가족}}}''' ||<(> [[어머니]][* 아버지는 데뷔 전에 돌아가셨다.], [[언니]], [[여동생]] ||
  • 절대가련 칠드런/450화 . . . . 1회 일치
          * 마기는 효부의 부하이자 가족으로서 요우와 모미지를 구하고 함께 판도라를 건설하게 된다.
  • 절대가련 칠드런/457화 . . . . 1회 일치
          * 효부는 "네가 가족이기 원했던 망령이 원하는 단 하나"라며 돌아오라고 설득한다.
  • 절대가련 칠드런/461화 . . . . 1회 일치
          * 카오루는 마츠카제가 준비한 타블렛PC와 미나모토의 옷가지 등도 가지고 왔는데 미나모토는 자취방에 고향에서 짐을 보낸 느낌이라고 말해서 카오루가 당황한다. "어머니나 가족"이 온 느낌이라고 정정하지만 분위기가 묘하게 변한다.
  • 절대가련 칠드런/462화 . . . . 1회 일치
          하지만 그의 속내를 꿰뚫어본 미나모토는 한 수 접어주며 "동료, 아니 가족을 구하기 위해 힘을 빌려줘"라고 말한다.
  • 절대가련 칠드런/469화 . . . . 1회 일치
          * 우츠미는 효부가 이런 상황에서 너무 몸을 사리는게 아닌가 의문스러워한다. 그가 기억하는 효부는 적에게 당하고 얌전히 있을 타입이 아니기 때문. 그러자 츠보미 문서는 길리엄의 정신이 "어떤 의식"에 닿지 않도록 하고 싶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현재의 효부는 가족이나 원한 이상으로 어떤 존재에 의해서 삶을 이어가고 있다. 효부는 자신과 링크된 길리엄이 그 존재를 눈치채는 것을 경계했던 것이다. 그 존재는 물론 파괴의 여왕, 아카시 카오루의 미래다. 하지만 여기에 있는 카오루는 그런 사실에 대해서는 까맣게 모르고 "그게 누구냐"고 묻고 있다.
  • 정구양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정기선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정다정 . . . . 1회 일치
         [[부산외국어고등학교|부산외고]] 재학 중 한국의 입시 풍토에 적응하지 못해 1학년을 마치고 [[미국]]으로 갔다가, 미국에서 고교 졸업 후 2011년 귀국하였다. 2011년 9월경 블로그에 올린 그림, 레시피가 [[네이버]] [[웹툰]] 관계자의 눈에 띄어, 같은 해 네이버에 웹툰 《[[역전! 야매요리]]》를 연재하며 데뷔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 닭떡된 닭튀김? 괜찮아요 ‘야매요리’니까!|url = http://news.donga.com/3/all/20120802/48267162/1|출판사 = 동아일보|저자 = 신나리|쪽 = |날짜 = 2012-08-02|확인날짜 = 2012-10-27}}</ref> 가족관계로는 부모님과 정다정보다 5살 어린 남동생이 있다.
  • 정대석 . . . . 1회 일치
         | 가족 =
  • 정도복 (고려)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정링컨 . . . . 1회 일치
         * [[SBS]] 추석특집 《황금가족
  • 정명환 . . . . 1회 일치
         * 1993년 MBC 《[[한지붕 세가족]]》
  • 정몽근 . . . . 1회 일치
         == 가족 ==
  • 정몽원 . . . . 1회 일치
         ==가족==
  • 정몽헌 . . . . 1회 일치
         == 가족 ==
  • 정서임 . . . . 1회 일치
         * 1987년 《가족오락관》 - 김성환씨와 출연
  • 정성왕후 . . . . 1회 일치
         ==가족 관계==
  • 정세진 . . . . 1회 일치
         |2001 ~ 2002||KBS2||[[사랑의 가족]]||진행||
  • 정세협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정소담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정수아 . . . . 1회 일치
         | 가족 =
  • 정승빈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형 피아니스트 정한빈
  • 정승화(육군) . . . . 1회 일치
          * 가족으로은 아내인 신유경 씨와 3남 1녀가 있다. 자녀 중 셋째인 정이열 씨는 아버지처럼 육군사관학교(육사 38기)를 나와서 장교로 복무하다가 대령으로 예편 및 전역했다.
  • 정승환(가수) . . . . 1회 일치
         || '''가족''' ||<(> 부모님, 배우자:[[김지수(배우)]] ||
  • 정영기(배우) . . . . 1회 일치
          * 2013년 《[[고령화가족]]》 ...장서방 역
  • 정운용 . . . . 1회 일치
         == 가족관계 ==
  • 정인선(탤런트) . . . . 1회 일치
         ||<#B0C4DE> {{{#ffffff '''가족'''}}} ||<(> 부모님, 배우자[[장평도정]] ||
  • 정재용(1973) . . . . 1회 일치
         || '''가족''' ||<(> [[어머니]][* [[아버지]]는 14년간 [[중풍]]으로 인해 오랜 투병생활을 해오다가 향년 86세인 [[2012년]]에 세상을 떠났다.], 1남 1녀 중 막내 ||
  • 정찬성 . . . . 1회 일치
         ||<#000002> '''{{{#white 가족관계}}}''' || 부인 외 1남 2녀 [[https://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76&aid=0003065656|스포츠조선]][[https://www.instagram.com/p/Bl4yGGeAOCh/?taken-by=koreanzombiemma|셋째(아들)]] ||
  • 정환덕 . . . . 1회 일치
         ==가족관계==
  • 정흥채(배우) . . . . 1회 일치
          2006년 [[가족의 탄생]] 김 사장 역(특별 출연)
  • 조긍하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조동혁(배우) . . . . 1회 일치
         ||<#20B2AA> '''{{{#ffffff 가족}}}''' ||<(> [[형]] ||
  • 조성모(가수) . . . . 1회 일치
         || '''가족''' ||<(> 3남 2녀 중 [[3남|막내]][* 큰형은 성이 [[주(성씨)|주씨]]로 [[이부형제]]이다.], 아내 구민지, 아들 조봉연 ||
  • 조안(배우) . . . . 1회 일치
         ||<#996699> {{{#ffffff '''가족'''}}} ||<(> 부모님, 1남1녀 중 첫째 ||
  • 조원진 . . . . 1회 일치
         || '''가족''' ||배우자 성희숙, 슬하 1남1녀||
  • 조응천 . . . . 1회 일치
         || '''가족''' ||<(> 배우자, 슬하 2남 ||
  • 조훈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존 헨리 . . . . 1회 일치
         19세기 당시 살았던 흑인으로, 직업은 철도 노동자이다. 자신의 힘으로 가족을 부양하고 생활했던 [[노동자]]의 긍지와, 기계문명에 밀려나는 노동자의 비애를 동시에 반영하는 인물이다.
  • 종활 . . . . 1회 일치
          * 엔딩노트 : 자신에게 만약의 일이 있었을 때, 가족에게 전하고 싶은 것을 적어놓은 문서.
  • 주다영 . . . . 1회 일치
         * [[2010년]] [[EBS1]] 다문화 가족드라마 《[[마주보며 웃어]]》 ... 윤서 역
  • 주상철 . . . . 1회 일치
         || '''가족''' ||배우자, 슬하 2남||
  • 주서은 . . . . 1회 일치
         * [[2016년]] [[KBS1]] 일일연속극 《[[별난가족]]》 ... 민연주 역
  • 지수원 . . . . 1회 일치
          * 1998년 [[조용한 가족]] ... 은주 역(우정출연)
  • 지훈(TRCNG) . . . . 1회 일치
         ||<#262626> {{{#FFFFFF '''가족'''}}} ||<#ffffff><(> 부모님[* 외동.] ||
  • 진시몬 . . . . 1회 일치
         ||<:>'''가족'''||<:>슬하 2남||
  • 차선우 . . . . 1회 일치
         ||<:> '''가족''' ||<(> 여동생 [[차윤지]][* 2017년 "[[차윤지|아이]]"라는 이름으로 [[WM엔터테인먼트|같은 소속사]]에서 데뷔하게 되었지만 2018년 10월 5일 WM과의 전속계약을 종료하게 되면서 남매가 모두 WM을 떠나게 되었다.] ||
  • 차선화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차수연 . . . . 1회 일치
         ||<#D7D8CA> '''{{{#584A41 가족}}}''' ||<(> [[추가 바람]][* 2012년 [[iHQ|싸이더스 HQ]] 소속 시절부터 인연이 있었던 前 판타지오 대표인 나병준과 결혼했으나, 2016년에 이혼했다. 부모님 관계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고, 남동생이 한명 있다고 [[http://tenasia.hankyung.com/archives/1665|밝혔다.]]] ||
  • 차정아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차희식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창작:좀비탈출/3 . . . . 1회 일치
         옆집 아저씨는 어째서 이걸로 도망치지 않았던 걸까? 이 집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자세한 사정은 모르겠지만, 가족을 놔두고 혼자서만 자전거로 도망갈 수는 없었던 걸지도 모르겠다.
  • 창작:좀비탈출/3-2 . . . . 1회 일치
         학교 역시 이런 분위기에 영향을 받고 있었다. 이런저런 이유를 대며 등교하지 않은 아이들도 많았고, 도시가 불안하다며 아예 시골로 피난간 가족도 있었기 때문에 내가 등교하길 그만뒀을 때는 이미 반수 이상이 등교를 멈춘 상태였다.
  • 창작:좀비탈출/학교 . . . . 1회 일치
         사태가 심상치 않은걸 눈치챈 가족들은 등교하지 않거나, 등교를 하려고 해도 할 수 없는 상황이 되어 등교하는 학생들이 전체 학생의 고작 1/10 정도 밖에 되지 않게 되었는데도 교감은 열성적이었다. 심지어 선생들 까지도 학교에서 빠져나가게 되었는데도 불구하고 멈추지 않았다. 교감은 "감독을 쉽게 하겠다."는 이유를 대며 마지막 야간자율학습 때는 딱 1개 교실에 등교한 모든 학생을 모아놓고 자신이 직접 감독을 했다.
  • 채영인 . . . . 1회 일치
         || 가족 ||남편, 딸 ||
  • 채우성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천보영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천운영 . . . . 1회 일치
         | 가족 =
  • 최공웅 . . . . 1회 일치
         * 2000년 ~ 2007년: 한국국제사법학회 회장, [[대한상사중재원]] 이사·중재인, [[엠네스티]] 법률가위원회 부위원장, 한국가족보건복지협회 이사, 무역중재인포럼 대표, 아시아변리사회(APPA) 한국협회 고문, 대한변리사회 회장단 자문위원, 인터넷주소 분쟁위원회 고문
  • 최광식 . . . . 1회 일치
         하지만 최 씨가 수술 등 적극적인 치료를 했다는 기록이 없다는 점, 공익근무지 중 ‘가장 편한’ 곳으로 꼽히는 학교에서 근무했다는 점 등이 추가로 제기된 의혹이었다. 이에 최 후보자 측은 “수술을 받을 경우 오히려 악화될 수도 있다는 의견에 따라 수술을 보류했다. 체중감량, 슬링운동치료와 함께 가벼운 운동을 해 오고 있으며 현재도 과격하고 힘든 운동을 삼가면서 생활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또 아버지가 재직 중인 고려대 안암병원에서 진단을 받게 된 것은 ‘교직원 자녀에게 진료비가 할인(40%)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공익근무지는 서울지방병무청에서 컴퓨터 무작위 배정 방식에 따라 서울시교육청으로 지정됐으며 당시 최 후보자 가족이 종로구 동숭동에 살고 있어 출퇴근 거리가 가까운 용산구의 학교에서 근무하게 됐다는 것이다.<ref>[http://news.donga.com/3/all/20110914/40286521/1 최광식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후보자 인사검증 리포트]《동아일보》2011년 9월 14일</ref><ref>[http://biz.heraldm.com/common/Detail.jsp?newsMLId=20110915000401 “최광식, MB정권서 3년여 초고속 승진”]《헤럴드경제》2011년 9월 15일 박정민·양대근 기자</ref>
  • 최기영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최남선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최덕희 . . . . 1회 일치
         * [[고인돌가족 플린스톤]] ([[KBS]])
  • 최두선 . . . . 1회 일치
         [[1971년]] 대한적십자사 총재가 되었다. 같은 해 적십자사 총재로서 이산가족 상봉을 건의하여 성사시켰고, 북측의 적십자사를 설득하여 [[1972년]]의 남북적십자회담을 이끌어 냈다.
  • 최란(배우) . . . . 1회 일치
         ||<#878787> '''{{{#EEE156 가족}}}''' ||<(> 배우자 [[이충희]] ||
  • 최만린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최민환 . . . . 1회 일치
         | 가족 = 아들 최재율
  • 최별이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최선영 (희극인)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최성민(1995) . . . . 1회 일치
         ||<#BB9E8B> '''{{{#fff 가족}}}''' ||<(> 아버지, 어머니, 여동생 [[최예나]][* 걸그룹 [[IZ*ONE]] 멤버] ||
  • 최성원(가수) . . . . 1회 일치
         || '''가족''' || 아버지 최영섭[* [[그리운 금강산]]을 작곡한 작곡가 겸 지휘자, 한국가곡작곡가협회 부회장 겸 Seoul Green Orchestra 상임지휘자.], 아들 최지훈[* 싱어송라이터 겸 기타리스트.], 딸 최선영[* 스케이팅 코치, 전 스케이트선수.] ||
  • 최승자 . . . . 1회 일치
         가족이 없었고, 서울의 세 평짜리 고시원에서, 여관방에서, 밥 대신 소주로, 불면의 시간으로 죽음 직전의 단계까지 가기도 하였다. 그러다가 2006년 다시 시를 발표했다.
  • 최연제 . . . . 1회 일치
         | 가족 = [[선우]] (어머니)
  • 최영미 (시인) . . . . 1회 일치
         1992년 《창작과비평》 겨울호에 〈속초에서〉 외 7편의 시를 발표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투명한 언어, 일상의 언어가 가진 잠재력을 최대한 끌어올리는 정확한 비유, 대담한 발상과 세련된 유머, 자본과 권력에 대한 날카로운 풍자로 한국사회에 충격을 주었던 첫 시집인 《서른, 잔치는 끝났다》는 [[1994년]] 50만 부가 팔리며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저서로 시집 《꿈의 페달을 밟고》, 《돼지들에게》, 《도착하지 않은 삶》, 《이미 뜨거운 것들》이 있다. 1970년대 서울 변두리의 가족사를 다룬 첫 장편소설 《흉터와 무늬》(2005년)를 출간했고, 1988년 이후 26년 간 틈틈이 써온 원고를 다듬고 보완하여 1980년대 청춘의 방황과 좌절을 다룬 자전적인 소설 《청동정원》(2014년)을 펴냈다.
  • 최유정 (레이싱모델)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최윤정 (패션 디자이너) . . . . 1회 일치
         '''최윤정'''(1974년~)은 [[미누파탈]]의 설립자이자 수석 [[디자이너]]이다. [[1974년]] [[대한민국]] [[대구]]에서 출생하였다. [[1997년]] [[MBC]] 26기 공채 [[탤런트]]로 입사하여 [[드라마]] [[그대 그리고 나]], 사랑과 성공, 진실, 마지막 전쟁, 가을에 만난 남자, 베스트 극장, 인어아가씨, 앞집여자 등에 출연하였다. 또한 [[영화]] [[선생 김봉두]]에도 출연하였고, LG텔레콤, [[P&G]], PCCW, 여성가족부 등의 [[CF]] 모델로도 활동하였다. [[2013년]] [[최정아]]와 함께 20~30대 여성을 타겟으로 하는 디자이너 브랜드 [[미누파탈]]을 설립하였다.
  • 최은주(배우) . . . . 1회 일치
         가족 1남 1녀 중 첫째
  • 최은희 . . . . 1회 일치
         || '''가족''' ||[[배우자]] 故 [[신상옥]], 자녀 1남 1녀[* 둘 다 남편 신상옥家 친척조카를 [[입양]]했다.]||
  • 최재만 . . . . 1회 일치
         |가족=|배우자=
  • 최재호 (희극인)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최재희 . . . . 1회 일치
         | 가족 = [[최원정]](누나), [[최영철 (기자)|최영철]](자형)
  • 최종원(국회의원) . . . . 1회 일치
         ||<#878787> '''{{{#EEE156 가족}}}''' ||<(> 배우자 - 정영애, 딸 - 최나래, 최남미 ||
  • 최지우(영화배우) . . . . 1회 일치
         ||<bgcolor=#D76181> {{{#FFFFFF '''가족'''}}} ||<(> 배우자 ||[[권람]]
  • 최진순 . . . . 1회 일치
         대학 출강 외에도 법무부, 보건복지가족부 등 정부부처는 물론 국내 대다수 언론사에서 특강과 자문을 맡고 있다. 또 [[MBC]] TV속의TV, 다큐멘터리 [[KBS]] 미디어인사이드 등에 출연하였다. 2013년 [[연합뉴스]]는 뉴미디어를 이끄는 사람들 연재물에서 최진순을 소개했다.
  • 최진희(가수) . . . . 1회 일치
         || '''가족''' ||슬하 1녀 ||
  • 최태수(가수) . . . . 1회 일치
         | 가족 =
  • 최현진 (드러머) . . . . 1회 일치
         | 가족 =
  • 최홍만 . . . . 1회 일치
         || 가족 ||<(> [[부모님]], [[형]] ||
  • 최희령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추경호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추미애 . . . . 1회 일치
         ||<#1870B9> '''{{{#FFFFFF 가족}}}''' ||<(> [[배우자]] 서성환, [[자녀]] 1남 2녀 ||
  • 추자현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아버지[[김석원 (기업인)]] 자녀[[왕재민]]
  • 충완 . . . . 1회 일치
         | 가족 =
  • 카치구미 . . . . 1회 일치
         아무튼 카치구미의 테러 행위를 묵과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인식파 인사들 만이 아니라 미국 국무부, 일본 정부, [[GHQ]] 등에서 카치구미를 열심히 설득하였고, 일본 국내에서는 브라질에 친구와 가족이 있는 사람에게 [[편지]]를 보내라는 호소가 퍼졌으며, 일본의 현재 영상을 브라질에 보내기도 했다.
  • 카쿄인 노리아키 . . . . 1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카쿠스 . . . . 1회 일치
         == 가족 ==
  • 칼 루이스 . . . . 1회 일치
          == 가족사 ==
  • 쿠죠 죠린 . . . . 1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킹덤/514화 . . . . 1회 일치
          * 왕전의 파격적인 행보에 대해서는 뒷말이 많다. 놓아준 백성들이야 대체로 왕전을 칭송한다. 심지어 그는 무장해제시킨 조나라 병사들까지 피난 행렬에 넣어주었다. 물론 일부는 전사자 가족도 끼어 있으니 왕전을 원망하기도 하지만, 일단 자기들을 죽이지 않은 걸로 충분히 감사하는 모습들이다.
  • 킹덤/524화 . . . . 1회 일치
          * [[왕분]]과 옥봉대는 총대장 [[왕전(킹덤)|왕전]]의 지시로 전장에서 물러나 상황을 지켜보고 있었다. 아광군이 적과 비등하게 부딪히자 모두가 감탄했으나 [[관상]]만은 그저 맞먹을 뿐이 아니며 아광군이 강한건 지금부터라고 말한다. 곧 그 말이 무슨 뜻인지 알 수 있었다. 양군의 제 1열은 적과 부딪히면서 큰 희생자를 냈다. 아무리 급박한 전장이라도 이렇게 격돌하고 나면 서로 부상자와 시신에 가로막혀 잠시 물러설 수도 있는 일. 그러나 아광군은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오히려 제 1열의 병사들을 방패로 삼고 넘어뜨리고 짓밟으면서 계속 전진했다. 관상은 선두의 기마들은 설사 그 앞에 있는게 자기 가족이라 해도 결코 속도를 늦추지 않으며 무엇이든 짓밟고 무너뜨릴 각오 뿐이라고 말했다.
  • 타루 . . . . 1회 일치
         | 가족 =
  • 타르콘 . . . . 1회 일치
         == 가족사 ==
  • 토요토미 히데요시 . . . . 1회 일치
         == 가족사 ==
  • 티나 (1980년) . . . . 1회 일치
         | 가족 = 1남 1녀 중 둘째
  • 패밀리 레스토랑 . . . . 1회 일치
         [[가족]] 손님을 대상으로 하여, 저렴하고 맛있는 식사를 제공하는 양식 [[레스토랑]]. [[일본]]에서는 파미레스(ファミレス)라고 줄여서 부른다.
  • 페어리 테일/488화 . . . . 1회 일치
         미래. 가족. 행복.
  • 페어리 테일/493화 . . . . 1회 일치
          * 드래그닐이란 성 때문에 제레프가 만들어낸 새로운 악마이거나 원래 제레프의 가족 중 하나가 아니냐는 설이 있다.
  • 페어리 테일/498화 . . . . 1회 일치
          * 그레이는 처음부터 정의의 사도 놀이 같은건 관심이 없었다며 "가족을 지키기 위해서라면 악이든 쓰레기든 되어 주마"라고 일갈한다.
  • 페어리 테일/505화 . . . . 1회 일치
          * "동료와 함께 가면 길은 있다. 동료를 믿고 자신을 믿어라. 길드는 가족이며 잊어선 안 된다."
  • 페어리 테일/507화 . . . . 1회 일치
         엘자가 두 사람을 타이르면서 끌어안는 장면 때문에 가슴만질래 드립을 떠올리는 사람도 꽤 있다. 사실 기존에는 쥬비아와 루시가 나타나서 두 사람이 무사한걸 보고 싸움을 멈춘다는 설이 대부분이었는데, 결국 두 사람이 나타나긴 했지만 싸움을 말린건 어디까지나 엘자.--다시 고개드는 엘자 진히로인설-- 엘자가 나온게 의외라는 사람들도 있는데 따지고 보면 나츠와 그레이가 길드 안에서 가장 가깝고 깊은 관계가 있는 상대는 바로 엘자다. 어렸을 때부터 형제처럼 자란데다 엘자는 언제나 누나역할을 해왔기 때문. 특히 둘은 길드=가족이라는 관념이 가장 강한 멤버들이다. 따라서 두 사람이 싸울 때 말린다면 엘자가 나서는 것도 당연하다.
  • 페어리 테일/510화 . . . . 1회 일치
          * 나츠의 눈 앞에는 고대의 어떤 마을이 나타난다. 그곳이 나츠와 제레프 형제가 살던 마을로 그들의 부모님과 함께 생활하고 있었다. 어느모로 보나 단란하고 평범한 가족들.
  • 페어리 테일/516화 . . . . 1회 일치
          >진정한 가족이 있으니까 말이다.
  • 페어리 테일/521화 . . . . 1회 일치
          아질의 할아버지는 자신의 목숨을 내놓을 테니 손주만은 살려달라고 애원하지만 리사나는 자기도 오빠도 상대를 죽일 생각까지는 없었다고 거절한다. 아질은 새삼스럽게 둘이 가족이었냐고 놀라며 "전혀 안 닮았다"고 디스한다.
  • 페어리 테일/532화 . . . . 1회 일치
          * 나츠는 메이비스를 구하기 위해 달려들지만 제레프의 눈빛 한 방에 나가 떨어진다. 짧은 틈이 생긴 동안 제레프는 메이비스에게 네오 이클립스가 무엇인지 설명한다. 이것은 "인생을 다시 시작하는 마법". 400년 전의 자신으로 돌아가 가족들과 살아가며 불로불사가 되지 않은 채로 죽겠다는 것이다. 그 인생은 메이비스와 만날 일이 없으니 유감이라고 하지만...
  • 폐비 윤씨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푸 파이터즈 . . . . 1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피서영 . . . . 1회 일치
         == 가족 ==
  • 피수영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핑커톤 . . . . 1회 일치
         1872년, [[제시 영거 갱]]의 핵심인물이었던 [[제시 제임스]]와 프랭크 제임스를 잡는답시고 그들의 가족이 사는 집에 폭탄을 던져버렸다. 이로 인해 제임스의 9살 먹은 이부동생 아치 사무엘(Archie Samuel)이 사망했으며 제임스의 모친인 제렐다 새뮤얼(Zerelda Samuel)[* 재혼해서 성이 바뀌었다.]은 한쪽 팔을 잃게되었다. 핑커톤측은 집을 불태워버리려는 의도는 아니었다고 주장했지만 앨런 핑커톤이 "집을 불태워버려라"라는 지시를 내렸다는 증언이 있다.
  • 하동부대부인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하리수 . . . . 1회 일치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416191 노회찬 "하리수에게 가족을 허하라!"]
  • 하수빈 . . . . 1회 일치
         | 가족 =
  • 하시영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하재숙 . . . . 1회 일치
         || '''가족''' ||1남 2녀 중 차녀, 남편||
  • 하태웅(가수) . . . . 1회 일치
         | 가족 = 3남중 차남
  • 한가인 . . . . 1회 일치
         == 결혼 및 가족 ==
  • 한규복 (1881년)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한길로 (영화감독) . . . . 1회 일치
         | 가족 =
  • 한동근 . . . . 1회 일치
         | 가족 =
  • 한말숙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한명회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한무숙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한병준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한상원 . . . . 1회 일치
         | 가족 = 아버지 [[한운사]](영화 각본가) <br /> 아내와 슬하 2녀
  • 한소정(1984)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한송이 (레이싱모델)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한요한 . . . . 1회 일치
         | 가족 =
  • 한윤성 . . . . 1회 일치
         | 가족 =
  • 한인수(탤런트) . . . . 1회 일치
          * [[가족의 비밀]] - [[백범호]] 회장
  • 한재석(1973) . . . . 1회 일치
         || '''가족''' ||배우자 배우 [[박솔미]], 슬하 2녀(한서율, 한서하)||
  • 한지우(배우) . . . . 1회 일치
         ||<#3D414D> {{{#ffffff '''가족'''}}} ||<(> 남동생[* 2017년에 대학을 졸업한 남동생이 있다.], 남편 ||
  • 한지유 (모델) . . . . 1회 일치
         | 가족 =
  • 한지은 (레이싱모델)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한창수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한채이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한필수 . . . . 1회 일치
         본관은 청주. 호는 동석(東石)이다. 서울 장교동에서 육군 정위 용호(龍鎬)의 둘째 아들로 [[태양태음력|음력]] [[1900년]] [[11월 6일]] 태어났다. 출생일과 출생지가 상이한 기록도 있으나 유가족을 통해 확인한 결과 1900년이며 장교동이 정확하다.
  • 한현민(코미디언) . . . . 1회 일치
          * KBS [[가족오락관]]
  • 한혜숙(배우) . . . . 1회 일치
         || 가족관계 ||<(> 이복 언니 1명[br]이복 오빠 1명[br]동복 누이동생 4명 ||
  • 한호문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한희 (연출가) . . . . 1회 일치
         |가족 =
  • 함중아 . . . . 1회 일치
          | 가족 = [[함정필]](형)<br/> 함미주(딸)
  • 해쉬스완 . . . . 1회 일치
         |가족 =
  • 허드슨 대학교 . . . . 1회 일치
         참고로 로 앤 오더 만이 아니라 은근히 범죄극에 등장하여 흉악사건의 무대가 되는 경우가 많다. 등장한 작품으로는 캐슬, 블루블러드 등이 있다. 의외로 코스비 가족에도 등장했던 모양.
  • 허미영 . . . . 1회 일치
         * 《[[가족 오락관]]》 (KBS1)
  • 허민행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허안나 . . . . 1회 일치
         * 가족의품격풀하우스 2014.11.05
  • 허위 . . . . 1회 일치
         ||<#ffd700> 가족 ||허윤(조부) 허조(부) [br] 허훈(백형) 허신(중형) 허겸(계형) [br]허학(장남) 허영(차남) 허준(삼남) 허국(사남) ||
  • 허종 (1939년) . . . . 1회 일치
         [[1939년]] [[4월 29일]] [[경성부]]에서 [[허헌]]과 그의 계비 [[유덕희]]의 아들로 태어났다. [[1948년]] [[4월]] 아버지 [[허헌]]이 [[전조선 제정당 사회단체 연석회의]] 참석차 온 가족을 이끌고 [[평양]]으로 갈 때, 허헌, 유덕희내외, [[허정숙]], [[허근욱]] 등과 함께 월북하였다.
  • 허준호(배우) . . . . 1회 일치
         ||<bgcolor=#113759> {{{#white '''가족'''}}} ||[[아버지]] [[허장강]], 이복 형 허기호, 딸 허정인[* 전처 배우 이하얀 사이의 딸. [[유자식 상팔자]]에서 어머니 이하얀과 함께 출연하기도 했다.]||
  • 헌경왕후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현덕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현재덕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현재원 . . . . 1회 일치
         * 1999년 [[문화방송|MBC]] 《가족 캠프》
  • 현정건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현주엽 . . . . 1회 일치
         * [[한국방송공사|KBS]] 《[[가족오락관]]》 ... (with [[문경은]], [[우지원]], [[석주일]], [[서장훈]])
  • 혜은이 . . . . 1회 일치
          | 가족 = 슬하 1남 1녀 <br /> 아버지 김성택(변사 출신) <br /> 사촌 동생 [[김승미]](가수) <br /> 사촌 제부 [[김윤호 (가수)|김윤호]](가수)
  • 홍가람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홍경인 . . . . 1회 일치
         || '''가족''' ||<(> 배우자 박애리[* [[팝핀현준]]의 부인과 이름이 같다.], 형, 누나 ||
  • 홍국영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홍나영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홍명희 . . . . 1회 일치
         이후 노동당 군사위원회 위원, 내각 부수상 등으로 주요정치활동을 하였으며, 한국전쟁에 반대한 인물들 중 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1948년 북한 부총리에 선출되었고, 1968년까지 최고인민회의 대의원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냈다. 대부분 월북 인사들이 숙청당한 것에 비해 홍명희는 성공한 삶을 누렸다고 볼 수 있으며, [[김일성]]·[[김정일]] 부자와도 개인적으로 친하였다. 실제로 김일성은 벽초를 극진히 존경하고 예우했다. 홍명희의 계모는 홍명희를 따라가지 않고 괴산의 집을 지키다가 6.25 전쟁 중 월북자 가족이라는 이유로 살해당했는데 북한군이 후퇴하는 급박한 와중에도 그 시신의 수습을 명령했을 정도였다.
  • 홍상수 . . . . 1회 일치
         | 가족 =
  • 홍서범 . . . . 1회 일치
         |가족 = 2남 4녀 중 둘째(차남)<br/>슬하1녀
  • 홍석형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홍승목 . . . . 1회 일치
         *** 며느리 : 조씨(? ~ 1950), [[한국 전쟁]] 중 월북자의 가족이라 해서 사살되었다.<ref name="내일1" />
  • 홍이주 . . . . 1회 일치
         * 《[[그래, 가족]]》 (2017년) - 기자 역 (우정출연)
  • 홍인영 . . . . 1회 일치
         ||<#FF0000><:> {{{#FFFFF '''가족''' }}} ||<:>부모님, 1남1녀 중 차녀[br]배우자 [[전승빈]] ||
  • 홍인한 . . . . 1회 일치
         [[분류:1722년 태어남]][[분류:1776년 죽음]][[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과거 급제자]][[분류:가족 살해자]][[분류:사형된 사람]][[분류:독살된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풍산 홍씨]][[분류:노론]]
  • 홍지호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홍진경 . . . . 1회 일치
         * [[KBS]] 《[[가족오락관]]》
  • 홍현희 . . . . 1회 일치
         * 〈[[초인가족 2017]]〉
  • 환희(플라이 투 더 스카이) . . . . 1회 일치
         ||<#878787> '''{{{#EEE156 가족}}}''' ||<(> 부모님, 형, 사촌 동생 [[이장우(배우)|이장우]] ||
  • 황광희 . . . . 1회 일치
         | [[가족끼리 왜 이래]]
  • 황리아 . . . . 1회 일치
         | 가족사항 =
  • 황정혜 . . . . 1회 일치
         | 가족 = 아버지 황호섭, 어머니 장곡둘, 오빠 황동욱
  • 황제성(코미디언) . . . . 1회 일치
         || 가족 ||<(> 배우자 [[https://www.instagram.com/choeun0606/|박초은]] 슬하 1녀||
  • 효령대군 . . . . 1회 일치
         ==가족 관계==
  • 후쿠오카 예비교생 살인사건 . . . . 1회 일치
         피해자의 아버지 키타카와 요우지(洋二)는 2월 29일, 후쿠오카 현경을 통하여 "가족에게 보물이었습니다. 갑작스러운 일로 매우 슬픔에 빠져 있습니다."라고 코멘트를 했다. 딸에 대하여 "어린 시절부터 너무나 노력을 많이 하고, 자신보다 타인을 우선하고 참을성 많은 딸이었습니다. 무엇이든 스스로 솔선하여 공부나 스포츠에 남다른 노력가였습니다. 고집도 부리지 않고 부모와 형제를 소중하게 하는 상냥한 딸이었습니다."라고 자필로 코멘트 하였다.
  • 흥친왕 . . . . 1회 일치
         == 가족 관계 ==
  • 희빈 장씨 . . . . 1회 일치
         이에 숙종은 먼저 태자방의 가족들을 궁으로 데려와 증언을 받아낸 후<ref group="주">이들은 형신이 시작되자 마자 동일한 증언을 하였으며 그 직후 방송되었다.</ref> 이 증언을 바탕으로 [[장희재 (조선)|장희재]]의 첩 숙정과 선당과 동궁전의 궁인(宮人)·죽은 태자방의 뒤를 이어 굿을 했던 무녀(巫女) 오례를 압송해 수일에 걸쳐 압슬형 등 최고 고문형을 가하며 범죄를 인정하는 자백을 받아낸다. 생존한 죄인은 군기시에서 처형되었다.<ref>[http://sunday.joins.com/article/view.asp?aid=14022&cat_code=0605&start_year=2009&start_month=05&end_year=2010&end_month=08&press_no=&page=6 왕권 강화, 임금에겐 달고 백성에겐 쓴 열매]</ref> 이 사건을 무고의 옥(巫蠱-獄, 여기서 무고란 무술 (巫術)이나 방술 따위로 남을 저주하는 일을 뜻하는 말이다)이라 한다.
11532의 페이지중에 826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