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가족"에 대한 역링크 찾기

가족의 역링크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가족같은
         [[가족]]같은 이라는 표현은 두 가지로 변형되어 나타나고 있다.
         [[가족]]이 아닌 집단이 마치 가족처럼 깊은 정서적 유대를 가지게 되어, [[유사가족]]적으로 훈훈한 집단이 되었을 때 쓰인다. 부정적으로 볼 때는 [[가족놀이]]라고 한다.
         이쪽은 "가'''족'''같은" 이라고 발음한다. '가족같은 분위기'를 내세우면서 오히려 구성원에게 피해를 주거나, 희생을 강요하는 잘못된 행동을 하는 집단에게 사용하는 표현이다.
         이러한 사례가 흔히 있다보니, 오히려 '가족같은 분위기입니다.', '가족같은 회사입니다.'라는 소개에 냉소적으로 반응하는 분위기도 나타난다.
         * 회사 동료들이 "가족"임을 강조하면서 [[사생활]]을 과도하게 캐묻는다. 거부하면 "가족끼리 비밀이 어디 있냐?"라면서 강요한다.[http://news.donga.com/3/01/20141005/66965041/1 참조]
         * 가족적인 회사라면서 여직원에게 [[성희롱]]을 지속적으로 시도한다.--[[근친상간]]?--[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409252157255&code=940202 참조]
  • 고독사
         인간관계가 고립된 사람이 [[의사]]나 [[가족]], 이웃 등 주변 사람들에게 간호를 받지 못하고 고독하게 사망하는 경우를 뜻한다. 주로 [[독거노인]]에 많으며, 지역사회에서도 고립된 경우가 일반적이다. 적절한 치료를 받았다면 사망을 면할 수 있었을 사람도 많다.
         고령화, [[핵가족]]화, 도시화로 인한 지역 커뮤니티 단절 등이 고독사가 증가하는 원인으로 여겨진다. [[일본]]에서는 1990년대 [[한신대지진]] 이후에 문제가 되기 시작하였으며, 사회 붕괴와 경제불황에 따라서 점차 증가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 남희석
         ||<#878787> '''{{{#EEE156 가족}}}''' ||<(> 부모님, 1남 3녀 중 첫째, 배우자 이경민[* 치과의사로 알려져 있다], 딸 남보령(南保寧)[* 그의 태어난 고향인 '보령'을 따왔다.], 남하령 ||
          * [[한화 이글스]]의 엄청난 팬이다.[* 원래는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 파크|한밭구장]] 시절의 [[OB 베어스]]의 팬이였지만 OB가 [[서울특별시|서울]]로 연고지를 이전하면서 [[대전광역시|대전]]에 연고로 자리잡은 이글스 팬이 되었다고 한다.] [[가족]]이랑 야구경기 보는 것이 소원인지라 --반강제로-- 아내 역시 롯데에서 한화로 팀을 바꾸게 하였다. [[1999년 한국시리즈]] 최초로 [[개그맨]], 아니 '''남자 연예인으로서는 최초로 [[시구(야구)|시구]]'''한 적도 있으며 한화 우승 직후 관중석에서 환호하는 장면이 잡히기도 했다. 서울에 거주하는 만큼 잠실, 목동구장 원정응원오는 건 말 할 것도 없고[* 단 이상하게 원정직관 승률이 별로인 편이라 남희석 원정응원 온 게 카메라에 잡히면 에이 지겠다고 올드팬들이 투덜댔다 카더라. 실제로 고척돔에도 2017년 7월 5일 직관을 왔는데, 그날도 한화가 리드하다가 연거푸 홈런을 맞더니 그대로 넥센에 졌다.]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 파크|대전구장]]에도 자주 오는 편으로서 물론 시구도 했고 [[구대성]] 은퇴식에 초청 받기도 했다. 특히 [[정민철]]과는 친분이 있어서 그의 말을 빌리자면 '모든 걸 털어놓고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형'이라고 말할 정도. 그런데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giants_new1&no=1575205&exception_mode=recommend|2015년 6월 25일에]]...[* 협회 규정을 보면 논란이 될 만한 것도 아니다. 왜냐하면 TUE 신청서라는 게 있는데, 이걸 [[KBO|크보]]에 진단서와 함께 제출할 시 치료 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프로 선수도 사람이라 아플 수 있기 때문.) 아마 남희석과 같은 주사를 맞는 선수들은 TUE를 제출 후 사용했을 것이다.(일일히 [[언론]]에서 그런 것까지 보고하진 않으니까,다른 스포츠 종목 역시 사람들이 하는 거라 비슷한 규정이 있다.) ~~[[약진행]]은 치료 목적이 아니니까 문제지~~]
          * 야구뿐만 아니라 축구팬이기도 한데 국가대표 출신으로 [[전남 드래곤즈]], [[제주 유나이티드]]에서 뛰었던 공격수 신병호의 열혈팬이다. 전남 소속이던 시절엔 전남 홈경기장이 있는 [[광양]]까지 먼 길을 내려가 직관을 하기도. 그런데 [[FC 서울]] 홈경기에 초청되어 갔다가 구단 직원에게 가족이 보는 앞에서 모욕을 당한 사건 이후[* 초청해 놓고 들여보내주지 않거나 가족 동반입장을 불허한 것으로 추정.] FC 서울 및 국내축구에 대한 강한 반감을 SNS로 직원 실명까지 거론하며 표출하기도 했다.
  • 노 오디너리 패밀리
         [[미국]]의 [[드라마]]. [[ABC]]에서 방송했다. 총 20화이며 방송 시기는 2010년에서 2011년. 오디너리 패밀리(Ordinary Family)는 '평범한 가족'이라는 의미로서, No를 붙여서 '평범하지 않은 가족'이라는 의미가 된다.
         의도치않게 [[초능력]]을 얻은 [[가족]]의 [[모험]]이라는 내용으로 단순히 [[빌런]]과의 싸움만이 아닌 가족의 생활과 그 주변인물들과의 일도 묘사되었다.
         가족 히어로라는 점에서 [[판타스틱 포]]를 연상케하는데 의도한 것인지 주연인 짐 파웰을 맡은 마이클 치클리스는 판타스틱 포 실사영화에 출연했다. 이러한 점을 의식한 것인지 국내에서 방송할 때도 제목이 '판타스틱 패밀리'. 방송사인 ABC도 [[마블 코믹스]]와 연관이 있다. 이외에도 가족 히어로라는 공통점 탓에 애니메이션 [[인크레더블]]이 떠오르게 한다.
          * 파웰 가족
          파웰 가족의 가장. [[대머리]]에 뚱뚱한 인남캐이며 미묘하게 고개숙인 가장이다. 직업은 [[경찰]]에서 일하는 몽타쥬 작성관이며, 신체능력이 강화되는 능력을 얻었다.
          파웰 가족의 어머니. 짐과 달리 성공적인 직장에서 근무한다. 능력은 초스피드.
          파웰 가족의 딸. 정신계 능력을 지니고 있다.
          파웰 가족의 아들. 놀라운 두뇌를 얻었다.
  • 신혜진
         ||<#FFF57C> {{{#000000 '''가족'''}}} ||<(> [[부모님]], [[남동생]] ||
         [[오마이걸]] [[진이]]가 아닌, 새로운 발걸음을 시작하는 저의 모습도 많은 [[응원]]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우리 [[오마이걸]] 멤버들에게도 언제나 따뜻한 [[응원]]과 [[사랑]] 부탁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제 곁을 지켜주신 우리 [[오마이걸]] 멤버들과 [[미라클]], [[가족]], [[친구]], [[WM엔터테인먼트|WM]] 식구! 모든 분들께 [[감사]]의 말씀 전합니다…
  • 유지인(1956)
         * [[1984년]] [[KBS1]] 일일연속극 《[[가족]]》
  • 이승철(가수)
         || 가족 ||2남 1녀 중 셋째, 아내 박현정, 슬하 딸 2명[* 참고로 큰딸은 현 부인이 전 남편 사이에 낳은 [[딸]]이다.]||
         본래 [[앨범]]만 나오면 [[불교]]식 기원도 지내고 이승철 본인이 다니던 [[절(불교)|절]]의 [[주지]]스님에게 가장 먼저 앨범을 주고 본인 콘서트에 [[스님]]은 공짜(!)라는 이색 이벤트도 하던 불교신자였으나, [[개신교]]인인 지금의 아내를 만난 후 [[가족]]은 같은 [[종교]]로 뭉쳐야한다는 생각에 [[개종]]했다. 아내, 아이와 함께 [[교회]] [[예배]]에 참석하고 있으며, [[CCM]]을 [[리메이크]]해서 부른 곡들도 제법 있다. 여담으로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 스타]]에서 개종한 얘길하며, 곡 홍보활동을 위해 불교방송에도 매니저가 갔는데 그곳 관계자가 "이승철씨 개종하지 않았어요?"라고 물어 그렇다고 하자 불교계의 큰 손실이라고 했다고 한다.
  • 이응경(배우)
          * [[가족]](1991)
  • 전국환(배우)
         || '''가족''' ||<(> 아들 전재홍 ||
         || 간 큰 가족 || 통일부 장관 ||
         ||<|2> 2004년 || [[가족]] || 만식 ||
  • 정명훈 (지휘자)
         | 가족 =
         [[서울]]<ref>{{뉴스 인용|제목 = 운명처럼 다가왔던 베토벤 '운명' 들고 태어난 부산방문 설레|url =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500&key=20130509.22023204805 |출판사 = 국제신문 |날짜 = 2013-05-08 |확인날짜 = 2013-05-09}}</ref>에서 7남매 중 여섯째로 태어났으며, [[서울덕수초등학교]]를 [[입학]]했다. 일찍부터 피아노 연주에 재능을 보여 [[피아노]]를 배운 지 3년만인 일곱 살 때인 [[1960년]] [[서울 시립 교향악단]]과 [[하이든]]의 [[피아노 협주곡]]을 협연해 화제가 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피플Q 정명훈의삶&음악] 정명훈은 누구?|url=http://news.donga.com/3//20100120/25520037/1|출판사=동아일보|날짜=2010-01-20}}</ref> [[1961년]]에 가족들과 함께 [[미국]] [[워싱턴주]] [[킹 군 (워싱턴주)|킹 군]] [[시애틀]]로 이주했다.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특별시)|중구]] [[명동]]에서 한식당을 운영했던 그의 [[부모]]는 [[미국]] 워싱턴 대학가에서도 한식당을 경영했다.<ref>{{뉴스 인용|제목=마에스트로 정명훈 서울시립교향악단 예술감독|url=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09&no=663110|출판사=mk뉴스|날짜=2009-12-25}}</ref> 정명훈은 이 시절을 회상하며 "부모님의 식당에서 부엌 일을 도왔고 새벽 신문 배달과 잔디 깎기까지 안 해본 일이 없었다. 신문을 돌리고서 나중에 구독료를 받으러 다니는 '수금'이 특히 힘들었다"고 말했다.<ref>{{뉴스 인용|제목="北 악단장도 스트라디바리우스(바이올린 최고 명기) 쓴대요"|url=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4/13/2012041300179.html|출판사=조선일보|날짜=2012-04-13}}</ref> 14세에 첫 개인 리사이틀을 가진 정명훈은 연주 도중 곡을 잊어버리는 실수를 했지만 당황하지 않고 반복해서 연주한 끝에 무사히 공연을 마쳤다.<ref>유동철, 《아들아 너는 세계를 무대로 살아라》, 북로그컴퍼니, 2009, p.94, {{ISBN|978-89-962617-3-5}}</ref> 그의 선생이었던 제이콥슨은 정명훈에게 "네가 완벽한 연주를 하는 것보다 실수를 하더라도 감동적인 연주를 하기 바란다."고 격려했다.</ref>
         줄리어드 재학 중이던 [[1976년]]에 뉴욕 청소년 교향악단을 [[지휘]]해 [[지휘자]]로 공식 데뷔했고,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의 부지휘자로 프로 관현악단 지휘의 [[경험]]을 쌓았다. [[1980년]]에 [[로스앤젤레스 필하모닉]]의 부지휘자가 되어 상임 지휘자인 줄리니를 보좌하는 역할을 했고, [[1983년]] 가족들과 함께 [[유럽]]으로 거처를 옮겼다. [[1984년]]에는 자르브뤼켄 방송 교향악단의 음악 감독 겸 상임 지휘자로 발탁되었고, 재임 기간 동안 [[윤이상]]의 교향곡 제3번 세계 초연과 음반 녹음 등의 [[활동]]으로 주목을 받았다. [[1986년]]에는 [[파리 국립 오페라]]에서 [[프로코피에프]]의 '불의 천사' 를 [[지휘]]했고, 같은 해 [[미국]]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도 [[베르디]]의 '시몬 보카네그라' 를 [[지휘]]해 오페라 지휘자로도 본격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이듬해에는 [[이탈리아]] [[토스카나주]] [[피렌체]]에서 [[무소륵스키]]와 [[베르디]], [[모차르트]]의 [[오페라]]를 [[지휘]]해 절찬을 받았고, [[1988년]]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상을 [[상 (표창)|수상]]했다. [[1989년]]에는 [[프랑스]] [[파리 (프랑스)|파리]] [[바스티유 감옥]] 부지에 새로 건립한 [[오페라극장]]의 전속 오페라단인 파리 바스티유 오페라(현.[[파리 국립 오페라]])의 음악 감독으로 부임했고, 신축된 [[오페라극장]]의 개관 공연에서 [[베를리오즈]]의 대작 오페라 '트로이인' 을 상연해 호평을 받았다. [[1990년 10월]]에는 [[도이치 그라모폰]]과 전속 계약을 맺고 음반 제작도 시작했으며, [[조르주 비제|비제]]의 관현악 작품들을 시작으로 [[생상]], [[메시앙]], [[베를리오즈]], [[앙리 뒤티외|뒤티외]] 등의 작품들과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쇼스타코비치]]의 '므첸스크의 맥베스 부인', 생상의 '삼손과 데릴라(EMI)', 베르디의 '오텔로' 등 오페라 전곡을 [[녹음]]했다. 특히 [[메시앙]]과는 생전에 각별한 친교를 맺고 있었고, 녹음들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1994년]]에 새로 부임한 프랑스 문화부 장관과 정치적 갈등을 겪으면서 음악 감독직에서 해임되었고, 이는 [[프랑스]] 뿐 아니라 [[한국]]에서도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기도 했다. [[1995년]] 유네스코 서울 협회 올해의 인물에 선정되었으며 같은 해에 [[대한민국의 훈장|금관문화훈장]]을 받았다. [[1997년]]에는 [[이탈리아]]의 [[산타 체칠리아 국립음악원 관현악단]]의 음악 감독으로 부임했고, [[도이체 그라모폰]]의 전속 계약을 유지하면서 녹음 활동도 병행했다. [[1998년]]에는 [[한국]]에서 첫 직책으로 [[KBS교향악단]]의 상임 지휘자를 맡기도 했지만, 악단원들과 [[갈등]]을 빚어 불과 수 개월 후 사임하기도 했다. [[2000년]]에는 [[프랑스]] [[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음악 감독에 취임했고, 이듬해에는 신성 일본 교향악단을 흡수해 재구성된 [[일본]] [[도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특별 예술 고문으로 초청되었다. [[2005년]]에는 [[대한민국]] [[서울 시립 교향악단]]의 상임 지휘자로 임명되었다. [[2012년]]부터는 [[독일]] [[드레스덴 국립 관현악단]]의 역사상 첫 번째 수석 객원지휘자로 임명되어 [[활동]]을 시작한다. 이외에도 [[독일]]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네덜란드]] [[콘세르트헤바우 관현악단|로열 콘세르트허바우 오케스트라]](RCO)나 [[영국]]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미국]]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영국]]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오스트리아]]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독일]] [[드레스덴 국립 관현악단]], [[뮌헨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등등 국제적으로 저명한 세계 각국의 주요 [[오케스트라]]와 오페라 극장들을 객원 [[지휘]]하고 있으며, 다수의 영상물과 음반들을 남기고 있다. [[아시아인]] 혹은 아시아계 연주자들을 중심으로 구성되는 비상설 관현악단인 [[아시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음악 감독도 맡고 있으며, [[대한민국]] [[인천]]과 [[서울]]에서 매년 정기적으로 공연하고 있다.
         == 결혼 및 가족 ==
         정명훈은 19세 때부터 누나 [[정명화]]의 시누이로 다섯 살 연상의 구순열을 짝사랑했고, [[가족]]에게 숨긴 채 교제를 했다.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에서 받은 상금 3000루블로 비행기 티켓을 사서 [[카리브 해]]로 밀월여행을 떠나기도 했다. [[1979년]] [[부모]]의 허락을 받지 못한 채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에서 [[결혼식]]을 올렸고 식에는 어머니 이원숙 여사만이 참석했으나 나중에는 [[부모]]에게도 인정받았다.<ref>황호택, 《신동아》 [[2004년 2월]]호</ref> 부인과의 사이에서 세 아들 정진, 정선, 정민을 두고 있다.
  • 판타스틱 포
         '''Marvel's First Family'''[* 마블에서 밀어주는 공식 별명으로 마블에서 가장 대우받는 가족(퍼스트 패밀리는 주로 대통령의 가족등, 사회적으로 가장 높은 지위에 있는 가족들에게 붙여주는 별칭이다)이자 마블 최초로 가족같은 모습을 보여주었다는 이중의 의미가 있다]
         때에 따라 구성원이 다르지만 기본적으로는 4명의 후천적 초인- 리드 리처즈([[미스터 판타스틱]]), 수전 스톰([[인비저블 우먼]], 후에 리드와 결혼하여 수전 리처즈가 된다.), 조니 스톰([[휴먼 토치]] II), 벤 그림([[씽(마블 코믹스)|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나의 가족과도 같은 4명의 인물들의 인간 군상과 가족 드라마를 주제로 한다.
         당시 리는 코믹스 업계가 너무 갑갑하다고 느낀 나머지 전직을 생각하던 중이었고, 결국 이 작품 하나만 마무리짓고 마블을 떠나기로 마음 먹은 상태였다. 리는 [[잭 커비]]와 함께 머리를 짜낸 끝에, '진짜 가족은 아니지만 가족이나 다름없는 4명의 평범한 인간들이 우연히 [[초능력]]을 얻은 뒤 한 팀을 이루어 적과 싸운다'는 취지의 신작을 창안했다. 이 작품의 주인공들은 이전의 코믹스에서 활약하던 히어로들과는 달리 매우 세속적이고 약점투성이라서 오히려 인간적인 매력을 느끼게 했다. 당시 어린 독자들은 그런 모습을 보고 [[현실적]]이라고 느꼈다고 한다. 그 뒤 《판타스틱 포》라는 제목으로 발표된 이 시리즈는 예상치 못한 대성공을 거두고 마블 코믹스의 전성기를 열어젖히기까지 했을 뿐만 아니라, 스탠 리가 그 뒤로도 이 업계에 남아 [[스파이더맨]]을 비롯한 수많은 캐릭터들을 배출하는 계기를 만들어주었다. 단순 마블 코믹스뿐 아니라 다른 코믹스에서도 세속적이고 인간적인 캐릭터를 만들어내는 데 집중하였다.
         그 전에도 [[네이머]]나 [[캡틴 아메리카]] 등의 [[슈퍼히어로]] 캐릭터들이 마블 코믹스에 있었지만, 《판타스틱 포》는 마블 코믹스의 고유의 특징을 처음으로 보인 작품이었다. 바로 '''완벽하지 않은 영웅들'''이라는 요소였다. 늘상 서로 다투기도 하고 협력도 잘 안되지만 결국 서로를 [[가족]]처럼 사랑한다는 구성은 그 당시 혁명적인 요소였다. 판타스틱 포의 구성원들은 별거 아닌 이유로 싸우고 원한을 품기도 하며 그러면서도 결국 화해하는 인간 드라마를 보여준다.
  • 패밀리 레스토랑
         [[가족]] 손님을 대상으로 하여, 저렴하고 맛있는 식사를 제공하는 양식 [[레스토랑]]. [[일본]]에서는 파미레스(ファミレス)라고 줄여서 부른다.
  • 홍은빈
         | 가족사항 =
         [[가족]]으로는 레이싱모델 [[홍서율]]이 있다.
11831의 페이지중에 13개가 발견되었습니다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