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 인왕 . . . . 5회 일치
절을 지키는 수호신으로서, 분노한 표정을 짓고 있다. 2체의 금강역사를 묘사할 때는 한 쪽은 입을 벌리고, 다른 한쪽은 입을 다물고 있다. 입을 "아~!"하고 벌리고 있는 것을 아형(阿形), 입을 "훔~!" 하고 다물고 있는 것을 훔형(吽形)이라고 부른다. 아형은 나라연금강, 훔형은 밀적금강이라고도 부른다. 갑옷을 입은 형상으로 묘사되거나, 상반신 나체의 모습으로도 그려진다. 오분율에 따르면 석가모니 곁에는 항상 500명의 금강역사가 있다고 한다.
본래 고대 간다라 문명에서 [[불상]]이 처음으로 제작됐을 때, 금강역사의 원형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아폴로]]에서 그 모습에서 빌려온 [[석가모니]]와 유사하게, 그리스 신화의 [[헤라클레스]]의 모습으로서 석가모니를 수호하는 모습으로 묘사되고 있었다. 그리스 문화의 영향을 받은 간다라 문명이 불교와 그리스 신화를 습합하여 신앙체계를 형성했으며, 이 과정에서 헤라클레스가 금강역사가 되어 수호신으로서 불교 세계에 들어오게 되었던 것이다.
고대에 금강역사는 집금금강(執金剛神)이라고 하여, 단 1체로서 [[금강저]]를 들고 갑옷을 두른 신으로 묘사되었다. 이는 석가모니를 상징하는 [[사리탑]]이 사원의 중심이었으므로 탑을 지키는 신으로서 여겨진 것이다. 사원 건축이 발전하면서 담벼락을 둘러치고 금강역사는 '성문' 밖으로 위치가 옮겨지게 되었는데, 성문의 좌우에 배치되면서 집금금강은 한 쌍의 금강역사로 변화되었다.
분황사지 9층 석탑 같은 경우, 금강역사 한 쌍에 사자 4쌍으로 석가모니를 상징하는 '탑'을 지키는 구조가 되어 있다. 사천왕 등이 나타나면서 금강역사는 점차 밖으로 밀려나서 절의 비교적 바깥 쪽에서 지키는 수호신이 되었다.
- 김연경(배구선수) . . . . 4회 일치
'''[[대한민국]] 배구계 사상 최고의 거포이자 [[사기 캐릭터|캐사기 유닛]]. 아시안 가모바.'''[* 해외 팬들이 지은 별명. [[러시아]]의 배구 여제로 불리는 200cm의 거한 예카테리나 가모바를 빗댔다.]
2011 월드그랑프리 조별예선에서 [[러시아]]의 여제 예카테리나 가모바를 가볍게 뛰어넘고 득점부문 1위를 기록했다. 특히 8월 19일 대 러시아전에서 거둔 31득점은 김연경이 월드 클래스임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그러나 경기당 평균 22.5점을 올리는 걸 보면 다른 선수들의 분발이 필요했다. 결국 대표팀은 최종 8강 라운드에는 오르지 못하면서 김연경의 기록은 소멸되고 말았다. [[지못미]].
비록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으나, 김연경 개인으로서는 '''국제배구연맹에서 선정한 런던 올림픽 MVP로 뽑히는 영광을 받았다'''. [[http://www.fivb.org/en/olympics/london2012/viewPressRelease.asp?No=36501&Language=en|#]] 우승은 커녕 메달 획득도 실패한 국가에서 대회 MVP로 선정되는 것은 [[1996 애틀랜타 올림픽]] 이후 사상 두 번째라고 한다. 또한 대회 총 득점 207점으로 종전 올림픽 기록이었던 예카테리나 가모바의 204점을 능가했으며 당연히 득점왕에 선정되었다. ~~이젠 배구게의 [[펠레]] 소리가 나올 판~~
- 블리치/697화 . . . . 4회 일치
* 마유리는 연구 끝에 네무를 다시 깨운다. "네무리 하치고"라고 부르는데. 네무는 작아졌다.
* 마유리는 건재. 여전히 연구에 매진 중.
* 네무도 부활. 그런데 어린애로 부활해 버렸다. 마유리가 "네무리 하치고"라 부르면서 딸처럼 대하고 있다.
* 놀랍게도 무구루마 켄세이는 건재. 마유리가 좀비화를 풀어준 듯하다.
- 오봉 . . . . 3회 일치
불교의 우란분재(盂蘭盆齋) 의 기원 설화는 이러하다. 석가모니 부처님의 제자 목련존자는 신통력으로 자신의 어머니가 아귀도에 떨어져 굶주림에 고통 받는 것을 보고, 석가모니에게 어떻게 해면 좋은지 물엇다. 석가모니는 여러가지 음식, 과일, 초를 준비하여 스님들의 안거가 끝나는 7월 15일에 공양을 하면 아귀도에 떨어진 자들 역시 음식을 먹게 될 것이라 하였다. 그대로 행하자 목련존자의 어머니 역시 아귀도에서 구제되었다.
- 유키히라 소마 . . . . 3회 일치
본격적으로 요리를 할 때는 늘 왼쪽 팔목에 감고 다니는 두건을 풀어서 머리에 묶는다. 기본적으로 열혈스럽고 시원한 성격이지만, 일단 진지해지면 평소 모습과는 비교도 안 될 만큼 눈매가 --간지--날카로워지고 검은자위의 하이라이트도 없어져서 거의 다른 사람 같다. 그리고 왼쪽 눈썹 부근에 흉터가 하나 있다. 요즘 만화 주인공 답지않게 [[간지]]를 제대로 살릴 줄 알아서 좋아하는 팬이 많다. 작 중 인물들에게도 매력적인지 쿠라세 마유미와 미토 이쿠미가 그를 좋아한다. 나중에는 [타도코로 메구미]도 포함. --과연 소년만화의 주인공.--
>쿠라세 마유미의 일기 中.
1화에서 등장. 소마의 실패작인 요리 중 하나로, 소마 본인이 말하길 '''웃음이 나올 정도로 맛없다'''고 한다. 먹었을 때의 리액션은 오징어 촉수물(…). 여담으로 시식자인 쿠라세 마유리는 오징어다리의 풍미가 아주 살짝 기분이 좋았다고 한다.~~살짝이다 살짝.~~
- 윤채경(가수) . . . . 3회 일치
* 자신을 모티브로 만들어진 만화 캐릭터가 일본 [[TVA]], 대한민국 웹툰으로 둘씩이나 존재한다.[* 물론 팬아트, 일러스트는 제외. 일본 성우 및 아이돌계에서는 아주 흔한 케이스지만(대표적인 케이스가 같은 작품에 연출된 [[프리즈미]], [[AKB0048]] 등.) 대한민국에서는 드문 케이스이다. 웹툰 캐릭터가 아이돌 모티브로 만들어지거나 아이돌을 패러디한 캐릭터가 단역으로 등장하는 경우는 흔하지만 결과적으로 본인 역할이 아닌 경우가 많으며, 또 TVA, 웹툰 캐릭터 둘다 존재하는 경우는 드물다. 일본에서 채경과 비슷한 케이스를 가진 아이돌이 대표적으로 TVA [[AKB0048|두]] [[마법사 프리큐어!|편]]이나 출연한 [[와타나베 마유|와타나베]] [[와타나베 마유(마법사 프리큐어!)|마유]].]
- 마니교 . . . . 2회 일치
돈황에서 발굴된 『불설 아미타경강경문(佛説阿弥陀経講経文)』에 따르면, 서역에서 96종의 외도가 있는데 그 가운데 하나로 '마니(摩尼)'를 꼽는다. 그리고 출가를 하여 생사에서 벗어났다고 하지만, 그것은 거짓이며 속임수라고 비판하고, 석가모니의 제자만이 사람들에게 공양을 받기에 적합하다고 주장한다.
중국에서 마니교는 [[불교]]의 영향을 받게 된다. 마니광불(摩尼光佛)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된다. 마니는 소린국(蘇隣国, 바빌로니아)의 발제(抜帝,파티크)의 왕국에서, 금살건중(金薩健種, 캄사라간가문)의 만염(満艶,마르얌)에게 태어났다는 식으로 전파되는데, 만염은 목욕재계하고 청정한 가슴으로 마니를 낳았으며, 마니는 스스로 이종삼제(二宗三際)의 교리를 개시하였다고 여겨졌다. 마르얌이 가슴으로 마니를 낳았다는 것은, [[석가모니]]가 마야 부인의 겨드랑이에서 태어났다는 설화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 블리치/698화 . . . . 2회 일치
* 마유리는 한발 앞서 유하바하의 검은 기운을 조사하고 있다. 바쿠야, 소이폰이 뒤따라 현장에 도착
* 현장에 도착해 보니 쿠로츠치 마유리가 한 발 먼저 와있었다.
- 천상천하유아독존 . . . . 2회 일치
[[석가모니]]가 태어날 때 했다고 하는 말.
『장아함경(長阿含経)』에서 석가모니는 태어나서 사방으로 일곱걸음 씩 걷고, 한 손으로 하늘을 가리키고, 다른 한 손으로 땅을 가리키며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 추봉 (배우) . . . . 2회 일치
* 1990년 《[[마유미 (영화)|마유미]]》- 유가족 역
- 허건엽 . . . . 2회 일치
[[2014년]] 2군에 2점대 후반이라는 준수한 성적에도 불구하고 1군에 콜업되지 않아 [[안치용(야구선수)|안치용]]처럼 "불교 등의 기독교를 제외한 다른 종교를 믿는 것은 아닌가" 하는 소리가 나왔고, 여기서 나온 별명이 '''[[석가모니|허가모니]]''', '''[[이슬람|허슬람]]'''~~허슬두가 아니다!~~ 이 있다. 다만 2군 기록 기준 30이닝을 던져 삼진(18개)보다 볼넷(22개)가 많은 점이 흠.
- 거유 . . . . 1회 일치
거유 이후로 「폭유(爆乳)」,「마유(魔乳)」,「초유(超乳)」같은 파생어가 나타나게 된다.
- 김보미(1958) . . . . 1회 일치
|align="center"|마유미
- 몽키 D. 루피 . . . . 1회 일치
|| 일본판 |||| [[타나카 마유미]] ||
- 블리치/691화 . . . . 1회 일치
* 우류는 마유리를 처바를 때 이후 최고로 사기능력을 손에 넣엇는데 1화도 못 버티고 처발렸다.
- 오오모리 . . . . 1회 일치
일본어에서 밥을 수북하게 담는 것을 뜻한다. 음식점 등에서 옵션으로 주문할 수 있다. 오오모리보다 훨씬 더 많이 담는 메가모리(メガ盛り)도 있다.
- 테헤페로 . . . . 1회 일치
* 2011년 3월 [[AKB48]]의 [[와타나베 마유]]가 감염되어 블로그에서 사용.
- 하이큐/268화 . . . . 1회 일치
양측 벤치에서는 해볼 수 있는게 별로 없었다. 시시오 감독은 사태를 관망하며 끝까지 자신의 책략과 선수들을 믿었다. 네코마타 감독은 단지 타마유키에게 워밍업을 시키며 교체할 시기를 고르고 있을 뿐이다.
- 한가인 . . . . 1회 일치
| 마유희
11533의 페이지중에 19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