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의 ‘사드 논란’에 불쾌한 미국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ㆍ사드) 발사대 반입과 관련, 문재인 대통령이 국방부를 질타하고 나서자 미국 조야에선 그동안 사드 배치 절차 문제를 거론해온 한국의 새 정부에 대한 불쾌감과 경계심이 은연 중 감지되고 있다.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문재인 정부가 사드 이슈에 있어 우위를 점하려는 움직임으로 파악한 미 정부 주변 인사들이 양국의 불협화음을 우려하는가 하면, 이번 보고 누락 문제가 주한미군의 사드 배치와 실전운용 전반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만큼 사태 확산을 최소화하려는 움직임도 드러나고 있다.

미국 국방부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문 대통령이 주한 미군이 배치한 사드 발사대 4기 추가 반입 보고 여부에 대해 진상조사를 지시한 것과 관련, 사드 배치 과정은 완전히 투명하게 이뤄졌다고 강조했다. 제프 데이비스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에게 “우리는 사드 시스템 배치를 놓고 한국 정부와 계속 매우 긴밀히 협력할 것이며, 배치 과정 내내 이뤄진 모든 조치가 매우 투명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사드는 현재 초기 (요격)능력만 보유하고 있으나, 완전한 임무수행을 위해서는 능력이 더 추가되어야 한다”며 “우리는 이를 추진하기 위해 한국 정부와 계속 협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네이버밴드에 공유 신고
0 Comments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