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갑자기 노동절이라는 단어를...

루나브레이크 10 1260
한국은 근로자의 날 아니였나요? 예전에 북한때문에 노동자의 날이라 안하고 근로자의 날이라고 부른다는 카더라를 들었섰는데 갑자기 티비나 신문에서 노동절이라는 표현을 쓰네요?
연휴 때문에 그러는건가요 아니면 우리나라에서도 명칭이 바뀐건가...
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네이버밴드에 공유 신고

Author

542 (54.2%)

나에게 필요한건 용기

10 Comments
greenpie  
어감이 좋아서 그런가..
hypnotica  
단어가 짧으니까 편해서 그러겠죠 뭐
paro1923  
업계에선 아주 예전부터 '노동절'이라고 불렀는데요. 구인광고에 자주 나오는 '4대절(혹은 5대절) 휴무' 얘기할 때 꼭 들어가는 게 노동절이었는데...
靑天井  
근로자라는 단어가 사용자 편의적인 단어라는, 그런 지적이 있기도 하죠. :) 개인적으로는 근로자의 날보다 노동절이나 노동자의 날의 어감이 더 마음에 듭니다. 오늘은 근로자의 날이지만 세계적으로는 국제노동절이기도 하고... -녹차
루나브레이크  
저도 근로보단 노동이 좋긴한데 아무래도 우리 나라 주류가 그 단어를 그쪽이랑 연결해 안 좋게 봐서 여기저기서 노동절이라고 하는게 좀 신기하더군요
靑天井  
인민이란 단어도 북쪽이랑 연관시키는 세상인데요 뭐...실제로 대한민국 헌법 제정 초기에는 전부 인민이란 단어를 사용했었죠.
Divinespear  
마, 그... 동무라는 단어도 과거에는 많이 썼지 시포요. 그런데 역시 윗동네하고 연관시키는 사람들이 많았지 시포요.
~~다이나믹 로동!~~
KIPPIE  
~~C4요?~~
KIPPIE  
하긴 근로자라는 한자어를 뜯어보면 勤勞者 - 한자 그대로 풀면 "부지런히" 일하는 사람이라는 뜻이라 고용주 측면에서 "일해라 핫산! 일해라 메우!"를 시전하는 것 같다는 느낌이 들기도 하죠.
에이브  
지금이라도 좋은데 많이써서 바꿔야줘.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