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다 목요일

블랙홀군 5 1757
1. 

마트에서 참치를 팔길래 사왔습니다. 

그래서 튀겨먹었죠. 


근데... 

근데... 


도대체 캔참치는 뭘로 만드는건지 궁금해졌습니다... 

밍밍해. 씹는 질감만 참치야... 이게 뭐여... 


2. 

내일 등록합니다. 

랩 소속은 대충 알아서 할 예정이고... 

대학원 수업만 듣고 빠지는거죠, 뭐. 일단은요... 

생물정보학쪽 랩 빨리 알아봐야지... 

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네이버밴드에 공유 신고

Author

8,759 (78.7%)

<덜렁거리는 성격. Lv.1에 서울의 어느 키우미집에서 부화했다. 먹는 것을 즐김. >

5 Comments
김고든  
1.일반적으로 접하는 참치 통조림은 참치와 비슷한 종인 가다랑어를 이용하거나, 참치 종류 중 하나인 '날개다랑어'를 이용해서 만든다고 카더라
윌버포스  
생명정보학 쪽 랩이면 유전체 쪽입니까, 아니면 단백질 구조 쪽입니까?
블랙홀군  
Bioinformatics요.
윌버포스  
그럼 유전체 쪽일 가능성이 높네요. 하지만 단백질 구조 쪽 DB를 다루는 랩도 있고 통계유전학이라 그래서 유전을 통계 측면에서 다루는 랩도 있긴 합니다. 생명정보학은 컴퓨터 쪽과 생물학 쪽 모두를 커버를 하기 때문에 컴퓨터 쪽을 어느 정도 아시면 굉장히 좋습니다. 반면 저처럼 컴퓨터 프로그래밍 이런 거 잘 모르면 상당히 곤란하죠. 제가 다니는 대학 같은 경우 생명정보학 쪽 랩이 4개(유전체 하나, 단백질 구조 둘, 통계유전학 하나)나 있는데 제가 프로그래밍에 문외한이다 보니 그쪽 랩은 문턱에도 못 갑니다. 하지만 프로그래밍 쪽을 좀 아신다면 그쪽 랩에서 분명히 잘 하실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윌버포스  
캔참치는 다시마나 야채, 조개, 표고버섯 등에서 추출한 조미료가 들어가서 그렇게 특유의 맛을 내는 겁니다. 그리고 캔참치는 굽는 게 아니라 스팀으로 찐 거예요.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