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판소를 읽을 때 가장 신기한 점 ④ - 종교(무협지) 편

양양 4 1764

오래간만에 재개하는 양판소의 신기를 찾아보는 시간입니다. 그간은 판타지를 중점으로 다뤄봤는데 무협이라고 해서 헛점이 없는 건 아닙니다. 기실 양판소라고, 양산형 판타지 소설을 까고는 있지만 무협 역시 요지경인 경우가 많습니다. 요즘은 양판소라고 해도 무협지 역시 포함하는 경우가 있는 경우도 흔해진 만큼 이번엔 무협소설에서 나오는 신기한 모습들을 한번 다뤄볼까 합니다. 이번에 다룰 주제는 제목과 같이 종교에 관한 부분입니다.

* 아래의 글은 종교에 대해 다루고 있지만 현실의 종교와는 무관하며 사회적 이슈와는 더더욱 무관합니다.


1. 무당파의 종교는 불교다?

무량수불은 이름에서 쉽게 알 수 있듯이 부처입니다. 그것도 아미타불입니다. 이야기를 하면 길어지니까 요점만 짚자면 무량수불은 아미타불을 부르는 또다른 이름입니다. 그런데 무당파의 도사들은 어째 아미타불만 찾습니다. "도호를 왼다"는 표현이 나오면 늘 무량수불을 찾습니다.

소림사에 속한 등장인물들은 말끝마다 "아미타불"을 외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이건 당연한 겁니다. 엑소시즘을 다루는 작품에서 신부님이 "God bless you"하는 것만큼 당연하지요. 하지만 한국 양산형 무협지에서 나오는 무당파의 인물들은 소림사 2중대라도 된 양 무량수불만 찾습니다.

...이거 뭐 교황이 미사를 보다가 "알라후 아크바르!"라고 외치는 것도 아니고...


2. 정체를 알 수 없는 마교

대부분 무협지에 등장하는 거대세력은 삼등분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흔히 정/사/마로 축약하여 부릅니다. 이 중에서 정파는 최소한의 명분을 내세우는 단체로 묘사되는 반면 사파와 마교는 그런 것 없이 사는 모습으로 묘사되곤 합니다. 그럼 사파와 마교가 섞여도 이상하지 않은데 섞이지 않는 이유는 마교는 "단일문파"이며, 특수한 종교집단이라는 설정이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에서 드는 의문은 마교에서 종교와 관련된 행사는 커녕 무얼 믿는지조차 불명확하다는 사실입니다. 소림사에서 불단에 예를 올리는 장면이 있는 건 아니더라도 자비심을 바탕으로 한 생각이나 전설적인 인물인 달마의 예를 들어 불교색이 충실한 반면에 이놈의 마교는 덩치만 큰 사파에 불과합니다. 이럴꺼라면 마"교"가 아니라 마"파"라고 불러야 하는 것 아닐까요?


3. 배알도 없는 마교

마교가 정체불명인 것과 함께 이해할 수 없는 사실은 마교가 스스로를 마교라고 부른다는 사실입니다.

이게 이상하다고 생각하시는 분이 있다면 김용의 소오강호나 의천도룡기를 떠올리시면 됩니다. 의천도룡기에서는 조로아스터교가 양산형 무협에서의 마교와 같은 위치에 있는데 중국의 조로아스터교도들은 스스로를 "명교"나 "배화교"라고 부르는 반면, 소림을 비롯한 각파에서는 "마교"라고 부릅니다. 또한 소오강호에서도 동방불패가 이끄는 일월교가 비슷한 취급을 받는데 일월교도들은 스스로를 일월신교 내지는 신교라 부르고 오악검파는 일월마교 혹은 이를 줄여서 마교라고 부릅니다. 소오강호에서는 이 일월"신"교와 일월"마"교의 차이를 통해 주인공 영호충이 사건의 실마리를 알아가는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즉, 일반적으로 인식해도 마교라는 말은 멸칭입니다. 그리고 마교는 스스로를 마교라고 부르는게 이상하게 여기지도 않습니다. 말하자면 일본인이 한국인을 보고 춍이라고 부르는데 한국인이 스스로를 춍이라고 표현하는 것과 같습니다. 그리고 이걸 이상하게 여기지 않는 무협작품... 뭔가 좀 많이 이상하지 않습니까?

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네이버밴드에 공유 신고

Author

Lv.1 양양  1
0 (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4 Comments
paro1923  
2번과 3번은 역시 국산 무협지가 무비판적으로 과거 신무협들을 베끼고 짜집기한 폐해가 아닐까 싶습니다.
(그 신무협들도 일부 작품을 제외하면 대부분 '소오강호' 같은 극히 일부 무협지의 영향을 받았고...)
적어도 원말명초 시절의 '백련교'에 대해 어느 정도 사전 지식이 있다면 그렇게 엉성하게 묘사하진 않겠지만,
대부분은 그냥 '마'(魔)라는 부분에만 주목해서 "어쨋든 나쁜 놈들", 혹은 "남 눈치 안 보고 다닐 뿐인 애들" 정도로만 생각하니...
양양  
여러모로 개연성을 고려하면서 글을 써야 할 텐데 단순히 기존에 주어진 장치만 가지고 이것저것 조립만 하다보니 나온 물건일지도 모르겠습니다.
XOBcuzesurio  
1번은 20년 전에도 계속 그런 거 같으니 그냥 정착한 것 같습니다... 2, 3번은 솔직히 정신이 제대로 박혀있다면 스스로 마교라고 부르는 건 이상하죠... 그리고 처음에는 종교 단체였지만 지금은 그냥 힘을 숭상하는 사람들의 집단이거나 마인들의 집단...
양양  
사실 도교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는 분들이 대다수라서 누군가가 같다 붙인게 정착된 것 같긴 합니다. 적어도 불교와 도교에 대해 잘 모른다면 "그럴듯해 보이는" 효과는 충분히 있으니까요.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