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가 정보 | 이름 = 홍해성 | 그림 = http://imgnews.naver.net/image/088/2007/11/06/20071105_141011000.jpg | 설명 = 한국 근대극 최초 연출가 홍해성 흉상 제막식 | 본명 = 홍주식 | 출생 = [[1894년]] [[10월 13일]]/[[음력 9월 15일]] | 출생지 =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 | 사망 = [[1957년]] [[12월 6일]] | 사망지 = | 국적 = {{국기그림|대한민국}} | 분야 = 연극연출 | 교육 = [[니혼 대학]] 예술과 수료 }} '''홍해성'''(洪海星, [[1894년]] [[10월 13일]]([[음력 9월 15일]]) ~ [[1957년]] [[12월 6일]])는 [[일제 강점기]]부터 활동한 [[대한민국]]의 연극인이다. 본명은 홍주식(洪柱植)이다. == 생애 ==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에서 태어났다. [[계성고등학교]] 전신인 계성중학교를 졸업하고 [[1917년]]에 일본으로 건너가 [[주오 대학]] 법학과에 입학했다. [[도쿄]]에서 극예술협회를 결성하고 연극 운동에 뛰어들었다. [[마해송]], [[홍난파]], [[최승일 (1901년)|최승일]] 등이 회원이었다. [[1921년]]에는 순회연극단을 조직하여 [[부산부]]를 시작으로 조선 전역을 순회하면서 연극과 음악회, 연설 등을 묶어 공연을 벌였다. 이 과정을 통해 홍해성은 연극에 투신하기로 결심하고 [[니혼 대학]] 예술과로 편입하여 과정을 수료했다. [[1924년]]에는 스키지소극장에 입단하여 배우 수업을 받았다. [[1930년]]에 귀국하여 [[윤백남]], [[박승희 (1901년)|박승희]], [[김을한]] 등이 동인으로 포함된 극단 경성소극장을 창립했으나, 재정 문제 때문에 무산되어 이번에는 최승일, [[홍노작]], [[박희수]] 등과 함께 신흥극장을 창립했다. 신흥극장의 창립작은 경향파적인 작품인 《목단등기》였는데, 이 작품이 흥행에 실패하고 신흥극장이 문을 닫으면서 홍해성의 활동도 크게 위축되었다. 그러나 [[1931년]]에 [[극예술연구회]]를 창립하여 재기했다. 홍해성은 신극운동 단체인 극예술연구회의 공연작을 연출하며 연극계의 좋은 반응을 끌어냈다. 극예술연구회에서의 연출작은 총 9편이다. 이 시기에는 [[경성방송국]] 라디오 드라마 연출을 병행하고, 연극과 관련된 기고 활동도 활발히 벌였다. [[1935년]]에 상업연극 전문 극장인 [[동양극장]]이 개관하자, 동양극장 연출부로 이동했다. [[1943년]]에 지병으로 사임할 때까지 동양극장에서 총 400편의 작품을 연출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승방비곡》, 《검사와 사형수》, 《어머니의 힘》 등이 대표적인 흥행작이다. 본격적인 전문 연출가로서 한국에 근대극을 정착시키는데 큰 역할을 담당한데 이어, 동양극장 이적 후에는 세련된 상업 연극으로 대중극의 수준을 격상시켰다는 평이 있다. 광복 후에는 [[1950년]]에 신극협의회 초대 회장으로 피선된 것과, [[불교]] 성극을 몇 편 연출한 것 외에는 활발한 활동을 하지 않았다. [[1957년]]에 [[국립중앙극장|국립극장]]에서 《신앙과 고향》을 연출한 것이 마지막 작품이 되었다. == 참고자료 == * {{서적 인용 |저자=강옥희,이영미,이순진,이승희 |제목=식민지시대 대중예술인 사전 |날짜=2006-12-15 |출판사=소도 |출판위치=서울 |id={{ISBN|978-89-90626-26-4}} |페이지=358~362쪽}} {{극예술연구회 창립회원}} [[분류:1894년 태어남]][[분류:1957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연극인]][[분류:대한민국의 연극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계성고등학교 (대구) 동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