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정보 | 이름 = 현철 | 원어이름 = 玄哲 | 본명 = 현희운
玄僖運 | 필명 = [[호 (이름)|호(號)]]는 해암(海巖)·효종(曉鍾)·효종생(曉鍾生)·세류옹(世瘤翁)
[[필명|필명(筆名)]]은 '''현당'''(玄堂) | 출생일 = [[1891년]] | 출생지 = [[조선]] (現 {{KOR}} [[부산광역시]]) | 사망일 = [[1965년]] [[3월 19일]] (75세) | 사망지 = {{국기나라|대한민국}} [[경기도]] [[양주군]]
(現 {{KOR}} [[경기도]] [[양주시]]) | 국적 = {{KOR}} | 활동 기간 = [[1910년]] ~ [[1965년]] | 장르 = [[연극]], [[평론]], [[연출]], [[야담]] | 학력 = [[일본]] [[히노데 중고등학교|도쿄 중학교]] 수료
[[보성고등학교 (서울)|한성 보성고등보통학교]] 졸업
[[일본]] [[세이소쿠가쿠엔 고등학교|도쿄 세이소쿠 영어학교]] 졸업
[[일본]] [[메이지 대학교]] 법학과 중퇴 | 소속 = 前 [[서울특별시]] 문화위원회 연극분과위원장 | 친척 = [[현영운]](사촌 종형) | 직업 = [[연극배우]]
[[문학 평론|문학평론가]]
[[연극]][[연출가]]
[[극장]] [[기업가|기업경영인]]
[[영화]][[평론|평론가]]
[[야담|야담가]]
[[신극]]운동가 }} '''현철'''(玄哲, [[1891년]] ~ [[1965년]] [[3월 19일]])은 [[일제 강점기]]부터 여러 [[예술]] 분야에서 두루 활동한 [[대한민국]]의 [[연극|연극인]], [[문학 평론|문학평론가]], [[야담|야담가]]이며 [[신극]]운동가이다. 본명은 '''현희운'''(玄僖運)이고 [[경상도]] [[부산광역시|부산]] 출생이며 본관은 [[연주 현씨|연주]](延州)이고 [[호 (이름)|아호(雅號)]]는 해암(海巖), 효종(曉鍾), 효종생(曉鍾生), 세류옹(世瘤翁)이며 필명(筆名)은 '''현당'''(玄堂)이다. == 생애 == === 성장과 교육 === 본명은 '''현희운'''(玄僖運)이며 [[부산광역시|부산]]에서 출생하였다. 소설가 [[현진건]](玄鎭健)에게는 당숙이 된다. 14세 시절이던 [[1904년]]에 [[일본]]으로 건너가 공부하던 중, 아버지가 별세해 귀국하여 [[보성고등학교 (서울)|경성 보성고등보통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다시 도일하여 [[일본]] [[도쿄]] [[세이소쿠가쿠엔 고등학교|세이소쿠 영어학교]]와 [[메이지 대학]] 법과에서 수학했다. 메이지 대학에서 다니면서 신극 운동에 관심을 가지고 연극 공부를 시작하였다. 조선적인 연극을 구현할 뜻을 품고 [[1917년]]에는 [[중화인민공화국|중국]] [[상하이 시|상하이]]로 건너갔다. 이 곳에서 연극학교를 잠시 운영한 뒤 [[1919년]]에 귀국하여 전방위적 예술 활동을 벌이기 시작했다. === 저술 및 출판 활동 === [[1920년대]] 초반부터 활발한 저술 및 출판 활동을 벌였다. [[1920년]]에 창간된 잡지 《개벽》의 학예부장으로 재직하면서 연극을 중심으로 다수의 문학이론과 문학평론을 발표했다. 시기적으로 [[희곡]]에 대한 이해가 전무하고 연극에 대한 비평 문화는 더욱이 찾아볼 수 없는 풍토였기에, 선진 문화를 체험한 현철의 글들은 연극의 장르 소개와 신극 운동의 이론적 정식화 과정에서 큰 역할을 하였다. 이 가운데 유명한 것은 [[1921년]]의 '신파극-신극' 논쟁이다. 현철은 [[1910년대]]에 일본의 [[신파극]]을 들여온 이 분야 선구자 [[이기세 (1888년)|이기세]]와 지상 논쟁을 벌였다. 또한, 유명한 희곡 작가들의 작품을 번역하거나 번안하여 소개하였다. 1920년부터 3년 동안이 현철의 일생 중 가장 활발한 저술 활동을 펼친 시기이다. 그밖에 《부인》, 《상공세계》, 《자활》, 《중성》 등 여러 잡지의 발행에 관계했다. 저서로 《한국과 한국인》,《문화기관과 연극사업》이 있다.{{웹 인용 |url = http://www.encyber.com/search_w/ctdetail.php?masterno=189431&contentno=189431 |제목 = 현철 |확인날짜 = 2008-08-09 |출판사 = 두산백과사전 }}{{깨진 링크|url=http://www.encyber.com/search_w/ctdetail.php?masterno=189431&contentno=189431 }} === 연극 교육 === [[상하이 시|중국 상하이]]에서 연극인 교육의 경험이 있던 현철은 1920년대에 여러 차례 연극 배우를 양성하는 기관을 설립하여 한국 연극계와 영화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귀국 직후부터 연예강습소를 설립한데 이어 [[1922년]]에는 현 [[서울 서대문구]] 충정로 인근에 예술학원을 세웠다. 특히 [[1924년]]에 세운 [[조선배우학교]]는 한국의 근대예술사에서 의미 있는 역할을 했다. 연극 관련 과목은 현철이, 영화 관련 과목은 [[이구영 (영화 감독)|이구영]]이 담당하여 배우를 양성했다. [[박제행]], [[서월영]], [[왕평 (작가)|왕평]], [[양백명]], [[복혜숙]], [[이금룡]] 등이 이 학교의 제1기 교육생 출신이다. 조선배우학교는 오래 지속되지 못하고 해체되었으나, 현철은 끊임없이 연극인 양성 사업에 주력하여 한국 예술계의 중요한 인력이 그의 손을 거쳐 배출되었다. === 공연 기획과 극장 경영 === 주요 관심사였던 연극인 양성 작업을 통해 현철은 차츰 영화계와 관련을 맺게 되었는데 [[1927년]]에는 [[조선물산장려회]]의 영화선전부 주임으로 재직하며 좀 더 본격적으로 영화계에 뛰어들게 되었다. 아울러 조선배우학교가 제작과 캐스팅을 맡는다는 조건으로 [[단성사]]와 합작하여 [[1928년]] 영화 《숙영낭자전》이 기획된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비슷한 시기에 [[조선극장]] 경영에도 참여하여 공연 기획과 극장 경영을 시작했다. 이 극장 안에 연예학교를 설치해 배우를 양성하고, 매주 토요일을 예술선전일로 삼아 강연을 개최하며, 전문 월간지를 발간하는 등의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조선극장의 소유권과 경영권이 넘어가 현철의 계획은 제대로 달성되지 못했다. === 야담 운동 === [[1930년대]] 중반부터는 야담에 큰 관심을 갖게 되었다. 당시 [[신정언]], [[유추강]] 등이 유명한 야담가로 활동 중이었는데, 현철은 이과 함께 야담대회를 개최하고 야담동호회도 조직하는 등 야담 운동에 투신했다. 야담과 만담 분야 예술인들이 모여 [[조선담우회]]를 조직해 활동하기도 했다. 야담가 개인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야담 장르로의 선회한 까닭으로는, 연극이나 영화와 같은 집단적 예술에서 느낀 한계가 크게 작용했다고 회고한 바 있다. [[1960년대]]에 서울시 문화위원회 연극분과위원장을 지내는 등 광복 이후에도 연극계에 남아 있었으나, 일제 강점기와 같은 활발한 활동은 하지 못했다. == 친척 관계 == * 사촌 형: 현경운(玄炅運) ** 당질: 현홍건(玄鴻健)[[대한제국 육군]] [[소령|참령]] 전역. 당숙 '''현철'''(玄哲)보다 나이가 많았음. ** 당질: 현석건(玄奭健)[[일본]] [[메이지 대학교]] 법학과 졸업. [[일제 강점기]] 초기에 [[변호사]]로 근무. 당숙 '''현철'''(玄哲)보다 나이가 많았음. ** 당질: 현정건(玄鼎健, [[1887년]] [[6월 20일]] 출생 ~ [[1932년]] [[12월 30일]] 사망. [[한국의 독립 운동|독립운동가]].)당숙 '''현철'''(玄哲)보다 나이가 4살 많았음. * 사촌 형: [[현영운]](玄暎運)현경운(玄炅運)의 아우이며 [[배정자]](裵貞子)는 그의 2번째 부인. * 사촌 형: 현보운(玄普運)[[현진건]](玄鎭健)의 양부로 [[현진건]]의 생부 현경운(玄炅運)의 사촌 동생. ** 당질: [[현진건]](玄鎭健, [[1900년]] [[8월 9일]] 출생 ~ [[1943년]] [[4월 25일]] 사망. [[소설가]] 겸 [[언론인]].) == 같이 보기 == * [[조선배우학교]] * [[김진구 (1896년)|김진구]] == 참고 자료 == * {{서적 인용 |저자=강옥희,이영미,이순진,이승희 |제목=식민지시대 대중예술인 사전 |날짜=2006-12-15 |출판사=소도 |출판위치=서울 |id={{ISBN|9788990626264}} |페이지=351~354쪽 }} == 각주 == [[분류:1891년 태어남]][[분류:1965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연극인]][[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연주 현씨]][[분류:일제 강점기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연극인]][[분류:일제 강점기의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연극 평론가]][[분류:일제 강점기의 문학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문학 평론가]][[분류:일제 강점기의 영화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영화 평론가]][[분류:일제 강점기의 연출가]][[분류:대한민국의 연출가]][[분류:일제 강점기의 사회 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