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배우/한국]], [[불교/인물]] ||<-3> '''[[1970년대|{{{#d494ea 1970년대}}}]]''' '''[[안방극장의 트로이카|{{{#d494ea 안방극장의 트로이카}}}]]''' || || [[김영애]] || [[한혜숙]] || [[김자옥]] || ||
<-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 ''' 한혜숙의 주요 수상 이력 ''' }}} }}} ||||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5><#FFFFFF><:> {{{+1 [[SBS|[[파일:SBS로고.png|width=60]]]] ''' [[SBS 연기대상|{{{#B2A529 연기대상}}}]] ''' {{{#B2A529 ''' 대상 ''' }}}}}} || ||<:>[[전도연]][br](2005)||<:>{{{+1 →}}}||<#ffffa1><:>'''한혜숙'''[br]'''(2006)'''||<:>{{{+1 →}}}||<:>[[김희애]]/[[박신양]][br](2007)|| ---- ||<-5>
<#c0c000>
<:>{{{+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TV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 ||<:>[[김용림]][br](1986) || → ||<:><#FFFFA1> '''한혜숙[br](1987)''' || → ||<:>[[김청]][br](1988) || }}} || |||| https://search.pstatic.net/common/?src=http%3A%2F%2Fblogfiles.naver.net%2F20130526_291%2F30580_1369560561399n9NyD_JPEG%2F5.jpg&type=n88_88 || || 이름 ||<(> 한혜숙(韓惠淑) || || 출생 ||<(> [[1951년]] [[8월 20일]] ([age(1951-08-20)]세) || || 출생지 ||<(> [[강원도]] [[속초시]] || || 활동 기간 ||<(> [[1970년]] ~ 현재 || || 데뷔 ||<(> 1970년 [[MBC]] 2기 [[공채]] [[탤런트]] || || 십이지 ||<(> [[토끼띠]] || || 별자리 ||<(> [[사자자리]] || || 혈액형 ||<(> [[A형]] || || 학력 ||<(> 덕성여자고등학교 (졸업) || || 가족관계 ||<(> 이복 언니 1명[br]이복 오빠 1명[br]동복 누이동생 4명 || || 소속사 ||<(> 쿰 엔터테인먼트 ||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배우]]. == 상세 == 원래는 MBC 탤런트로 데뷔했으나, [[1971년]] KBS 주연급 탤런트 모집에 당선되어 [[하명중]]과 공동주연한 드라마 '꿈나무'로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했으며 1975년에 방영된 꽃피는 [[팔도강산]]으로 본격적인 전성기를 맞이한다. 이후 TBC에는 [[정윤희]], [[유지인]], [[장미희]]로 대표되는 2세대 트로이카가, MBC에는 [[양정화(배우)|양정화]]와 [[김자옥]][* 이후 [[김영란(배우)|김영란]].]이 있었다면 [[KBS]]에는 한혜숙이 있다할 정도로 KBS 대표 탤런트로 활동하였으며, 1979년 KBS 대하 드라마 '[[토지#s-7.1|토지]]'에서 제1대 [[최서희]] 역할로 출연해 주목을 받았다. 그 후 1986년 ~ 1987년 KBS 대하 드라마 '[[노다지#s-6|노다지]]'에서 최실단과 최성희 역할을 맡아 열연했다.[* [[드라마]] 속에서 일제시대 엘리트 여대생이었으나,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가 비극적 인생을 살게 되는 연기를 하였다.] 또 하나 인상 깊었던 연기로 [[전설의 고향]]에서 방영했던 [[구미호(전설의 고향)|구미호]]에서의 구미호 역할이 있다. 전설의 고향 제 1호 구미호였는데 당시의 흑백화면과 함께 약간 독한 인상을 보여주는 한혜숙의 표정 연기가 어우려져 [[내 다리 내놔]]와 함께 진짜 [[레전설]]급 트라우마를 남겨주었다. 당시 전설의 고향 애청자들 중에는 전설의 고향에서 가장 인상깊었던 장면으로 한혜숙이 구미호로 변신하는 마지막 장면을 말하는 사람이 많다. 특히 당시 초딩이었던 사람들에게는 꽤 오랫동안 트라우마 수준으로 무서운 인상이 남아 있었다고. 실제 성격이 직선적이고 도도한 편으로, 드라마에 반영되어 주로 꼿꼿하고 도도하고 고집이 있는 여자주인공 역할을 주로 맡았다. 1970년대에 '브라운관의 [[김지미]]'라는 [[별명]]이 붙었을 정도로 상당한 미모를 자랑했다. 올곧은 성격으로 인해 [[PD(방송)|PD]]들하고 트러블도 있었는데, 그로 인해 하차하거나 방송에 나오지 못한 적이 있다고 한다. 그래도 1970 ~ [[1980년대|80년대]] 미모 순위하면 항상 순위권에 들었다. [[김영애]], [[김자옥]] 등 다른 트로이카 여배우들과 비교해 영화 출연이 드문 것은 물론 흥행작이 없는 것도 아쉽다. 물론 한혜숙이 데뷔했을 당시에는 [[영화]]가 사양길에 들고 '호스티스 영화'들이 생기면서 '벗기기 경쟁'이 과열했을 때이니 직선적이고 도도한 성격인 그로서는 당연한 선택이었을 듯.[* 실제로 호스티스 영화들이 유행하던 시기 한혜숙도 영화에 출연했는데 호스티스물은 단 1편도 없었고, '[[족보(영화)|족보]]', '[[최후의 증인]]'과 같은 작품성이 진한 작품들에 출연했었다. ~~물론 흥행은...~~ 이후 1987년, 곽지균 감독의 '두 여자의 집'에 출연했을 때 [[19금]]이긴 했지만, 노출은 전혀 없었다.][* 실제로 2세대 트로이카나 김자옥, [[김영란(배우)|김영란]] 등 당대 톱탤런트들도 호스티스 영화와 같은 벗기기 영화에 출연했지만, 한혜숙과 같이 '벗기기'에 거부감이 들어 전성기 시절 전혀 영화출연을 하지 않은 스타가 있었는데, [[이경진]]이다. 이쪽은 벗기기 영화에 출연은 물론 아예 영화 자체에 나오지 않았다. 실제로 영화에 출연하게 된 것은 2000년대 이후이다.] [[김자옥]]의 경우에는 [[2세대 여배우 신트로이카|2세대 트로이카]]와 맞먹을 정도로 수많은 흥행작을 내었고, [[김영애]]는 김자옥만큼은 아니더라도 늦게나마 '[[빙점 81]]' 등의 흥행작을 냈지만 한혜숙은 그렇지가 않다. == 트리비아 == 젊은 세대들한테는 드라마 [[인어 아가씨]]에서 [[장서희]]와 말싸움을 벌이던 그분으로 기억하는 경우가 많을듯. ~~[[https://youtu.be/8R6dlgU4dqo|야! 너 작가면 다야? 뽀글뽀글 머리는 싫단 말이야!!]]~~ 실제로 인어 아가씨 출연 이후로는 [[임성한]] 작가의 드라마에만 출연하였으며 그나마도 [[2009년]] [[보석비빔밥]]을 끝으로 연기활동을 중단하였다. 1970년대 안방극장의 트로이카들 모두 1951년 생 동갑내기들인데, 이들 중에서 [[현재]]까지 유일한 생존자이다. 김자옥은 [[2014년]]에, 김영애는 [[2017년]]에 각각 [[사망]]했다. 또한 1970년대 안방극장의 트로이카들 중에서 유일하게 한번도 [[결혼]]을 한 적이 없는 [[미혼]]이다. [[분류:한국 여배우]][[분류:1951년 출생]][[분류:속초시 출신 인물]][[분류:1970년 데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