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족 정보 |그림=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6/62/Deokheungdaewongun_Tomb.jpg/300px-Deokheungdaewongun_Tomb.jpg |설명= 하동부대부인묘 |이름 = 하동부대부인 정씨 |출생일 = [[1522년]] [[음력]] [[9월 4일]] |출생지 = {{국기나라|조선}} [[조선]] [[한성부]] |사망지 = {{국기나라|조선}} [[조선]] [[도정궁]] |사망일 = [[1567년]] [[음력]] [[5월 18일]] |사망원인 = 병사 |거주지 = [[도정궁]] |국적 = [[조선]] |별명 = |학력 = |직업 = |종교 = [[유교]] |아버지 = 하동부원군 [[정세호]] |어머니 = 정경부인 광주 이씨 |배우자 = [[덕흥대원군]] |자녀 = 아들 [[하원군]],[[하릉군]], 하성군([[선조]]), 딸 [[이명순]] |친척 = 시어머니 [[창빈 안씨]], 증조부 [[정인지]], |서명 = |웹사이트 = }} '''하동부대부인 정씨'''(河東府大夫人 鄭氏, [[1522년]] [[9월 23일]] - [[1567년]] [[6월 24일]])는 [[조선]] 중기의 왕족으로 [[정인지]]의 후손이며 [[조선]] 제14대 [[선조]]의 사친이자 [[덕흥대원군]]의 부인이다. [[조선 중종|중종]]의 서자 [[덕흥군]]과 가례를 올려 군부인이 되었으며, [[1567년]] 셋째 아들 [[조선 선조|선조]] 즉위 직전에 사망하였다. 사후 임금의 사가 생모로서 '''하동부부인'''으로 추증됐으나 정의상의 오류로 인해 '''하동부대부인'''으로 소개되고 있다. 본관은 [[하동 정씨|하동]](河東)이다. == 생애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6/6b/%EC%84%A0%EC%A1%B0_%EC%96%B4%ED%95%84.JPG 하동부대부인은 영의정 하동부원군 [[정인지]]의 증손녀이며, 판중추부사 [[증직|증]]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의정]] [[정세호]]의 딸로 1522년(중종 17) [[9월 23일(음력 9월 4일)]]에 태어났다. [[조선 중종|중종]]의 서자창빈 안씨 소생으로 중종의 서9남 [[덕흥대원군|덕흥군]]과 가례를 올리고 하동군부인(河東郡夫人)으로 제수되었다. 자녀로는 3남 1녀를 두었고, [[1567년]](명종 22) [[6월 24일(음력 5월 18일)]] 향년 46세 일기로 별세하니 [[왕비]] 부모를 장사지내는 예로 장사지냈으며, 같은 해 [[8월 9일]] 신주를 대원군 옆 이실(異室)에 모셨다. 셋째 아들 [[조선 선조|하성군]](河城君) 균(鈞)이 [[조선 명종|명종]]이 후사 없이 승하하자 그 뒤를 이어 [[조선 선조|선조]]로 즉위하였다. 선조는 생부와 생모를 [[1569년]](선조 2)에 송(宋)나라 [[북송 영종|영종]](英宗)의 생부 [[복안의황|복왕]](濮王)을 [[추존]]하는 고사(故事)를 따라 생부 [[덕흥군]]을 추숭하여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으로 하고, 생모 [[하동군부인]]은 하동부부인(河東府夫人)으로 추존하였다. == 하동부부인? 하동부대부인? == [[조선 명종|명종]] 부부의 양자로 입적하여 왕으로 즉위한 [[조선 선조|선조]]는 [[조선 예종|예종]]부부의 양자로 입적하여 즉위하였다가 즉위 직후 스스로를 파양하고 친아버지를 왕으로 추존한 [[조선 성종|성종]]과는 달리 강력한 배경도 없었으며 생부 [[덕흥군]]이 후궁 소생 왕자에 불과하여 부모를 왕과 왕후로 격상할 수 없었다. 이에 절충하여 만들어진 새로운 작위가 공신 정1품의 작위로 왕비의 아버지의 작위로도 쓰여진 부원군(府院君)의 부(府)를 대(大)로 교체한 대원군(大院君)이다. [[조선 선조|선조]]는 생부 덕흥군을 조선 최초의 대원군인 [[덕흥대원군]]으로 추증하였고, 생모 군부인(郡夫人) 정씨는 외명부 소속 왕실 여성의 최고 품작인 부부인으로 추증하였다. {{인용문|중종 공희 대왕의 손자이며, 덕흥 대원군(德興大院君) 이초(李岧)의 셋째 아드님이다. 어머니은 하동 부부인 정씨(河東府夫人鄭氏)로 증 영의정 정세호(鄭世虎)의 따님이다.|《조선왕조실록》선조 총서}} {{인용문|선묘(宣廟) 때에도 국장(國葬)이 세 차례나 있었지만 모두 궐문 안에서 곡송만 하였다고 사람들이 모두 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하동 부부인(河東府夫人) 발인 때에는 선조께서 궐문 밖에서 곡송하려고 하였으나 예조가 아뢰어 대내의 뜰 아래에서 망곡(望哭)만 하였습니다.|《조선왕조실록》인조 12권, 4년(1626 병인 / 명 천계(天啓) 6년) 3월 2일(을사) 1번째기사}} {{인용문|옛적에 우리 선조 대왕께서 즉위하신 지 3년째 되는 기사년에 덕흥군을 추승하여 덕흥 대원군으로 하였고, 부인 정씨(鄭氏)를 봉하여 하동 부부인(河東府夫人)으로 하였으며, 자손이 습직(襲職)하여 계속 대군(大君)의 예에 따랐습니다.|《조선왕조실록》인조 13권, 4년(1626 병인 / 명 천계(天啓) 6년) 7월 27일(정유) 1번째기사}} 이를 전례로 삼아 [[조선 인조|인조]] 역시 자신의 어머니 구씨를 부부인으로 책봉하여 연주부부인으로 삼았다가《승정원일기》[http://sjw.history.go.kr/inspection/search_result_list.jsp?oflag=0&M=0&query=%E9%80%A3%E7%8F%A0%E5%BA%9C%E5%A4%AB%E4%BA%BA&set_id=596444&selK=1&selT=1&query_ime=%3Cspan+class%3D%22newbatang%22%3E%E9%80%A3%3C%2Fspan%3E%3Cspan+class%3D%22newbatang%22%3E%E7%8F%A0%3C%2Fspan%3E%3Cspan+class%3D%22newbatang%22%3E%E5%BA%9C%3C%2Fspan%3E%3Cspan+class%3D%22newbatang%22%3E%E5%A4%AB%3C%2Fspan%3E%3Cspan+class%3D%22newbatang%22%3E%E4%BA%BA%3C%2Fspan%3E&x=21&y=7 연주부부인], 이후 [[인헌왕후]]로 추존하였다. 하동부부인이 하동부대부인으로 오인된 것은 [[조선 영조|영조]] 즉위년에 [[조선 영조|영조]]의 생모인 [[숙빈 최씨]]의 추보를 논의할 때 예조판서 [[이진검]]이 "선조(宣祖) 때에 덕흥군(德興君)을 높여서 ‘대원군(大院君)’이라고 하였고, 군부인(群夫人)을 ‘부대부인(府大夫人)’이라고 하였다."고 잘못 진달하였기 때문인데《조선왕조실록》영조 1권, 즉위년(1724 갑진 / 청 옹정(雍正) 2년) 9월 21일(신유) 2번째기사, 사실 이는 [[이진검]]의 잘못이라기보다 [[조선 경종|경종]]2년에 부제학 이명헌이 [[조선 경종|경종]]의 사친인 [[희빈 장씨]]를 추보할 것을 상소하며 "선조조(宣祖朝)에 덕흥 대원군(德興大院君)을 추숭(追崇)하였을 때에 선정신(先正臣) 이황(李滉)의 의논을 인용하여, 빈(嬪)자 위에 특별히 하나의 대(大)자를 더하고, 이어서 본관(本貫)을 취하여 모부대빈(某府大嬪)으로 삼을 것"을 시초로 한다.《조선왕조실록》경종 9권, 2년(1722 임인 / 청 강희(康熙) 61년) 7월 17일(경자) 1번째기사 당시 동석했던 [[이진검]]이 이명헌의 말을 잘못 기억하여 영조 즉위년에 잘못 진달하였을 가능성도 없진 않으나 예조판서인 [[이진검]]이 사실을 전혀 확인하지 않고 진달하였다는 것은 무리가 있는 만큼 [[조선 경종|경종]]의 각별한 충신이었던 [[이진검]]이 부대빈(府大嬪) 작호의 유지를 위해 고의적으로 잘못 진달하였을 가능성도 없지 않다. 이로 인해 이후 정씨의 작위는 다시 본래의 작호인 하동부부인으로 정정되어 불리기도 하다가 하동부대부인·하동부인·대원군부인으로 섞여서 일컬어지기도 하였는데 이는 아들의 지위에 따라 어머니의 작호에 대(大)를 더할 수 있다는 세종14년 때의 법령과 이미 부대부인의 작호를 쓴 여성이 있었던 전례에 의거해 마땅히 부대부인으로 삼았어야 할 정씨를 부부인으로 삼은 것은 잘못되었음을 뒤늦게 깨달은 탓으로 짐작된다.《승정원일기》[http://sjw.history.go.kr/inspection/search_result_list.jsp?oflag=0&M=0&query=%E6%B2%B3%E6%9D%B1%E5%BA%9C%E5%A4%AB%E4%BA%BA&set_id=-1&selK=1&selT=1&query_ime=%3Cspan+class%3D%22newbatang%22%3E%E6%B2%B3%3C%2Fspan%3E%3Cspan+class%3D%22newbatang%22%3E%E6%9D%B1%3C%2Fspan%3E%3Cspan+class%3D%22newbatang%22%3E%E5%BA%9C%3C%2Fspan%3E%3Cspan+class%3D%22newbatang%22%3E%E5%A4%AB%3C%2Fspan%3E%3Cspan+class%3D%22newbatang%22%3E%E4%BA%BA%3C%2Fspan%3E 하동부부인], [http://sjw.history.go.kr/inspection/search_result_list.jsp?oflag=0&M=0&query=%E6%B2%B3%E6%9D%B1%E5%BA%9C%E5%A4%A7%E5%A4%AB%E4%BA%BA&set_id=596421&selK=1&selT=1&query_ime=%3Cspan+class%3D%22newbatang%22%3E%E6%B2%B3%3C%2Fspan%3E%3Cspan+class%3D%22newbatang%22%3E%E6%9D%B1%3C%2Fspan%3E%3Cspan+class%3D%22newbatang%22%3E%E5%BA%9C%E5%A4%A7%3C%2Fspan%3E%3Cspan+class%3D%22newbatang%22%3E%E5%A4%AB%3C%2Fspan%3E%3Cspan+class%3D%22newbatang%22%3E%E4%BA%BA%3C%2Fspan%3E 하동부대부인], [http://sjw.history.go.kr/inspection/insp_result_s.jsp?M=0&oflag=0&set_id=596427&selK=1&selT=1&query=%E5%A4%A7%E9%99%A2%E5%90%9B%E5%A4%AB%E4%BA%BA&query_Result=&sinfo=&list_per_page=10&chkID=0&opAll=0&opP=0&opA=0&opB=0&opR=0&opT=0&opG=0&opW=0&qAll=&qP=&qA=&qB=&qR=&qT=&qG=&qW=&idS=&idE=&tc=2&pc=2&cp=1&startpos=0&pos=0 대원군부인]《조선왕조실록》영조 117권, 47년(1771 신묘 / 청 건륭(乾隆) 36년) 8월 9일(정축) 1번째기사 中 "그 사체에 있어서 창빈(昌嬪)·대원군(大院君)·하동 부인(河東夫人)을 대진한 후에 어떻게 합제(合祭)할 수 있겠는가?" 이를 바탕으로 [[조선 철종|철종]] 즉위 후 [[조선 철종|철종]]의 생부로서 대원군으로 추증된 [[전계대원군]]의 세 부인이 부대부인으로 봉해졌으며《조선왕조실록》철종 1권, 즉위년(1849 기유 / 청 도광(道光) 29년) 6월 17일(계미) 1번째기사, 이후 [[조선 고종|고종]]의 생모 여흥민씨 역시 부대부인으로 봉해져 왕족부인으로서 왕의 사친이 된 여성은 부대부인으로 봉작되는 것이 관례가 되었다. 현대 국어사전에는 부대부인을 왕의 사친의 작위로 정의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하동부부인은 본래 작위인 하동부부인이 아닌 하동부대부인으로 소개되고 있다. == 가족 관계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3/34/Ilmin_dhd.jpg/200px-Ilmin_dhd.jpg * 조부 : 증 좌찬성 정상조(贈 左贊成 鄭尙祖, 1459~1491) * 조모 : 세종부마 연창위 양효공 안맹담(延昌尉 良孝公 安孟聃, 1415 ~1462)의 손녀이며 첨지중추부사 안온천(僉知中樞府事 安溫泉)의 딸 증 정경부인 죽산 안씨(贈 貞敬夫人 竹山 安氏, 1459~1521) ** '''아버지''' : 이조판서 증 영의정 하동부원군 [[정세호]](吏曹判書 贈 領議政 河東府院君 鄭世虎, 1486~1563) * 외조부 : 형조판서 광성군 문경공 이극감(刑曹判書 廣城君 文景公 李克堪, 1427~1465)의 아들 참판 이세걸(參判 李世傑, 1463~1504) * 외조모 : 군수 전수온(郡守 全守溫)의 딸 정선 전씨(旌善 全氏) ** '''어머니''' : 정경부인 '''광주 이씨'''(貞敬夫人 廣州 李氏) *** 오빠 : 돈녕부도정 [[정창서]](敦寧府都正 鄭昌瑞, 1519~?) *** 오빠 : 선전관 정창수(宣傳官 鄭昌壽) *** 남동생 : 정홍수(鄭弘壽) ** 시아버지 : 제11대 [[조선 중종|중종대왕]](中宗大王, 1488~1544, 재위 1506~1544) ** 시어머니 : [[장경왕후 (조선)|장경왕후 윤씨]](章敬王后 尹氏, 1491~1515) ** 시어머니 : [[문정왕후 (조선)|문정왕후 윤씨]](文定王后 尹氏, 1501~1565) ** 생시어머니 : [[창빈 안씨]](昌嬪 安氏, 1499~1549) *** '''남편''':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1530~1559) **** 장남 : [[하원군]] 정(河原君 鋥, 1545~1597) **** 며느리 : 영의정 [[강녕군]] [[홍섬]](江寧君 洪暹, 1504~1585)의 딸 [[남양군부인]] 남양 홍씨(南陽郡夫人 南陽 洪氏, 1544~1569) **** 며느리 : 선전관 증 이조판서 [[이의로]](李義老)의 딸 [[신안군부인 이씨|신안군부인]] 이씨(新安郡夫人 星州 李氏, 1556~1616) **** 차남 : 효정공 [[하릉군]] 인(孝貞公 河陵君 鏻, 1546~1592) **** 며느리 : 참판 신여종(參判 申汝悰)의 딸 평산군부인 평산 신씨(平山郡夫人 平山 申氏) **** 장녀 : [[이명순]](李明順, 1548~?) **** 사위 : 광주인 광양군 [[안황]](廣陽君 安滉 ?~1593) **** 삼남 : 제14대 [[조선 선조|선조대왕]](宣祖大王, 1552~1608, 재위 1567~1608) **** 며느리 : [[의인왕후 박씨]](懿仁王后 朴氏, 1555~1600) **** 며느리 : [[인목왕후 김씨]](仁穆王后 金氏, 1584~1632) ***** 손녀 : [[정명공주]](貞明公主, 1603~1685) ***** 손자 : [[영창대군]] 의(永昌大君 李㼁, 1606~1614) **** 며느리 : 폐 공성왕후 [[공빈 김씨]](廢 恭聖王后 恭嬪 金氏, 1553~1577) ***** 손자 : 제15대 [[조선 광해군|광해군]](光海君, 1575~1641, 재위 1608~1623) **** 며느리 : [[인빈 김씨]](仁嬪 金氏, 1555~1613) ***** 손자 : 추존 [[조선 원종|원종대왕]](元宗大王, 1580~1619) == 관련 항목 == {{col-begin}} {{col-2}} * [[정세호]] * [[도정궁]] * [[덕흥궁]] * [[덕흥대원군묘]] * [[덕릉재실]] * 원찰 [[흥국사 (남양주시)|흥국사]] * [[화계사]] * [[덕흥대원군]] {{col-2}} * [[정인지]] * [[정숭조]] * [[정현조]] * [[조선 선조|선조]] * [[하원군]] * [[하릉군]] {{col-end}} == 각주 == == 관련 자료 == * [http://cafe.daum.net/deokheungsa/ 덕흥궁-전주리씨덕흥대원군파] [[분류:1522년 태어남]][[분류:1567년 죽음]][[분류:부대부인]][[분류:도정궁 주인]][[분류:운현궁]][[분류:덕흥대원군파]][[분류:하동 정씨]][[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조선 선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