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최현배

r1.2과 현재 버전의 차이점

@@ -1,35 +1,107 @@
[include(틀:광복 직후 한국의 정치지도자)]
{{작가 정보
|이름 = 최현배
|원어이름 = 崔鉉培
|국적 = {{국기나라|대한민국}}
|출생일 = {{출생일|1894|10|19}}
|출생지 = [[조선]] [[울산광역시|경상도 울산도호부]] <br/> ( {{국기|대한민국}} [[울산광역시]] [[중구 (울산광역시)|중구]])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1970|3|23|1894|10|19}}
|사망지 = {{국기나라|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직업 = 국어학자, [[교육|교육자]], [[교수|대학 교수]]
|필명 = 호(號)는 외솔
|활동 기간 = [[1926년]] ~ [[1970년]]
|학력 = [[일본]] [[교토 대학교|교토 제국대]] 대학원 [[교육학]] [[석사]]
|배우자 = 이장련
|장르 = [[한국어|국어국문학]], [[한글|한글학]], 저술
|자녀 = 최영해(장남) <br /> 최순해(차남) <br /> [[최신해]](3남) <br /> 최철해(4남)
|부모 = 최병수(부)
|언어 = [[한국어]]
|소속 = 前 [[한글학회]] 이사장 <br> 前 [[연세대학교|연세대]] 부총장 <br> 前 [[연세대학교|연세대]] 명예교수 <br/> 前 [[한국독립당|한독당]] 문화예술교육행정특보위원
|친척 = 최현구(아우) <br /> 최동식(손자) <br /> 최문식(손자) <br /> 최홍식(손자) <br /> [[최규식 (경찰관)|최규식]](족척)
|종교 = [[유교]]([[성리학]]) → [[도교]] → [[개신교]]
}}
'''최현배'''(崔鉉培, [[1894년]] [[10월 19일]] ~ [[1970년]] [[3월 23일]])는 [[대한민국]]의 국어학자, 한글학자이며 [[교육|교육자]]이다. 본관은 [[경주 최씨|경주]](慶州)이고 호는 외솔이며, 경상도 울산도호부 내상면(지금의 [[울산광역시]] [[중구 (울산광역시)|중구]] [[병영동|병영2동]])에서 출생하였다.

https://search.pstatic.net/common/?src=http%3A%2F%2Fblogfiles.naver.net%2F20150323_4%2Fjoeunmei_1427076606733PljEC_JPEG%2F0323-01_19700323-01.jpg&type=n88_88
== 생애 ==
=== 국어 연구 활동 ===
[[경기고등학교|경성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주시경]](周時經)의 조선어 강습원에 들어가 한글을 연구하였다. [[1919년]] 일본 [[히로시마]] 고등사범학교를 졸업하고 이어 일본 [[교토 대학|교토 제국대학교]] 문학부를 졸업하였다. [[일제 강점기]] 이후로 교육학과 국어 운동에 관련된 1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고 [[한글학회]]의 이사장직을 맡는 등 한글의 연구와 보급에 힘썼다. [[1926년]]에 [[연세대학교|연희전문학교]] 교수로 취임하여 [[1938년]] [[흥업구락부]] 사건으로 파면당할 때까지 재직했다. [[1941년|1942년]] 10월 [[조선어학회 사건]]에 휘말려 [[1945년]] 해방까지 4년간 옥고를 치렀다.

* 사진을 보면 엄청나게 꼬장꼬장하고 엄격할 같은데, '''실제로는 더했다'''. 생전에 찍은 다른 사진들만 봐도 웃는 얼굴이 하나도 없다.
=== 교육 활동 ===
[[광복]] 출옥하여 [[문교부]] 편수국장을 지내면서 교과서 편찬을 지도하였다. [[1954년]] 연희대학교 교수 자리로 돌아와 문과대학 학장과 부총장을 역임하고 [[1959년]] 교수직에서는 정년 퇴임했다.

崔鉉培 1894.10.19~1970.03.23
한글 연구에 일생을 바친 그는 말본의 체계를 확립하였고 [[한글]] 전용 운동에 힘썼으며, [[1962년]]에 [[건국훈장|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단장을 수여받았다. 국어학자 겸 [[언어학|언어학자]] [[허웅 (1918년)|허웅]](許雄)은 그의 애제자이기도 하다.

[목차]
== 개요 ==
[[대한민국]] [[한글]]학자이자 문학인. 호는 외솔이며 [[울산]] 출신이다. 본관은 [[경주 최씨]].
===최후===
[[1970년]] [[3월 23일]] 서울 세브란스 병원에서 노환으로 인해 향년 77세로 타계하였다.

== 생애 ==
1894년 경상도 울산도호부 내상면[* 현재의 [[울산광역시]] [[중구(울산)|중구]] [[병영동]].]에서 태어났으며 후에 경성[* 현재의 [[서울특별시]].]으로 상경하여 [[경기고등학교|경성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였다. 학생시절 한힌샘 [[주시경]]처음으로 만나게 되어 조선어학강습원에서 국어학 문법 등을 이수하였다.
== 사후 ==
*[[2008년]] [[8월]] 학술지 ‘한국사 시민강좌’ 하반기호(43호)에서 [[대한민국]] 건국 60주년 특집 ‘대한민국을 세운 사람들’선발, 건국의 기초를 다진 32명을 선정할 교육, 학술 부문의 한사람으로 선정되었다.<ref>[http://www.donga.com/fbin/output?n=200808220076 혼돈의 해방공간서 자유민주주의 초석을 놓다] 동아일보 2008년 8월 22일자</ref>

[[3.1 운동]]이 일어났던 1919년에 [[일본]] [[도쿄]]로 건너가서 [[히로시마]](廣島)에 있는 히로시마 고등사범학교에 한국인 학생으로 입학하여 졸업하였고 중학교 교사 자격증을 받았으나 이후 [[조선]]으로 귀국하여 고향인 울산으로 귀향한 후 조선인 상권확보의 목적으로 공동상회를 설립하였다.
== 예절 망국론 ==
최현배는 "조선민족의 병폐를 가져온 원인으로 온갖 예절이 조선 사람의 생활을 구속했고, 생기를 잃게 했다<ref name="yangins">양창삼, 《인간관계 필드북》 (경문사, 2002) 171페이지</ref>"며 [[서재필]] 안경 일화를 소개하기도 했다.

1920년에는 [[경상남도]] 부산(현재의 [[부산광역시]])으로 내려가 부산에 있는 [[동래고등학교|동래고등보통학교]]에서 교사로 재임하였으며 1922년에 다시 [[일본]] 히로시마로 건너가 히로시마 고등사범학교 연구과에 입학하였고 이후 [[교토]](京都)로 건너가 [[교토대학|교토제국대학]] 문학부 철학과에서 교육학을 이수하였고 1925년까지 동 대학원에서 교육학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26년 고국으로 귀국한 후 [[연희전문학교]] 교수직을 맡았다가 1938년 흥업구락부 사건이 터지면서 책임을 지고 사임하였다.
== 학력 ==
* [[일본]] [[히로시마 시|히로시마]] 고등사범학교 졸업
* [[일본]] [[교토 대학교|교토 제국대학교]] 철학과 졸업
* [[일본]] [[교토 대학교|교토 제국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졸업 ([[교육학]] [[석사]])

1933년에 한글맞춤법통일안 사업에 참여하여 한글보급에 힘써 왔고, 미국인 학자 겸 선교사인 [[조지 매큔]] [[에드윈 라이샤워]]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인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을 만드는데 도움을 주었다. 1942년 [[조선어학회 사건]] 때 [[조선총독부]]로부터 주범으로 낙인되어 수감되었다가 [[1945년]] [[8.15 광복]]이 되면서 석방되었다.
=== 명예 박사 학위 ===
* [[1955년]] [[연세대학교|연희대학교]] 명예 [[문학]][[박사]]

해방 이후는 [[미군정]]청 편수국장이 되어서 [[국어(교과)|국어]] 교과서 행정을 담당하였고 후에 한글학회 상무이사와 이사장을 겸임하였다. 특히 1948년에 우리나라 최초의 정부 공인 로마자 표기법인 '한글을 로오마자로 적는 법'과 외래어 표기법인 '들온말 적기법'을 제정하는데 그의 이론이 반영되었다. 1951년에는 피난지 [[부산광역시|부산]]에서 대통령 [[이승만]]의 승인으로 문교부 편수국장을 맡았다. 휴전 후인 1954년 [[서울특별시]]로 돌아오게 되면서 [[연세대학교|연희대학교]]로 복직하여 국문학과 교수가 되었고 이후 문과대학장, 부총장을 맡았으며 1958년에 학술원 부원장이 되었다. 1955년 연희대학교에서 명예 문학 박사를 받았으며, 1959년 교수직에서 정년 퇴임하였다. [[연세대학교]]는 2001년 문과대학 건물(구 인문관)을 그의 호를 딴 "외솔관"으로 명명하었다.[* 참고로 신관인 제2인문관은 1930년대에 조선학운동으로 연희전문을 한국학의 메카로 이끈 [[정인보]]의 호를 딴 "위당관"으로 명명했다.]
== 저서 ==
모두 20여권의 책을 저술하였다.

1962년 생존인물로서 [[대한민국]] 건국훈장을 받았으며 1970년 노환으로 인해 향년 76세를 일기로 타계하였다.
* 《조선민족갱생의 도》, 1926년
* 《우리말본》, 1937년
* 《한글갈》, 1940년
* 《글자의 혁명》, 1947년
* 《한글의 투쟁》, 1950년
* 《한글 가로글씨 독본》, 1963년

울산 [[중구(울산)|중구]] 외솔기념관이 건립되어 있다. [[http://www.oesol.kr/|기념관 누리집]], [[http://blog.junggu.ulsan.kr/5|운영 시간 안내]] [[울산 버스 912|912번]] 지선 버스가 여기를 종점으로 삼기도 했지만, 2013년 현재는 한블럭 아래 병영초 정류장을 거쳐 북쪽으로 연장되었다. 또한 [[우정혁신도시]]에는 그의 호를 외솔초등학교와 외솔중학교[* 본래는 울산동중학교로 약사동에서 혁신도시로 이전한 학교이며, 2016년부터 현재의 교명으로 바꿨다.] 있다.
== 가족 및 친척 관계 ==
* 아버지: '''최병수'''(崔炳壽, [[1900년]] 사망.)
* 어머니: '''경주 박씨'''(慶州 朴氏) 
** 본인: '''최현배'''(崔鉉培)
** 부인: '''이장련'''(李長連, [[1891년]] 출생 ~ [[1970년]] [[12월 19일]] 사망.)
*** 첫째아들: '''최영해'''(崔暎海, [[1914년]] 출생 ~ [[1981년]] 사망. [[아동문학|아동문학가]], [[수필가]], [[출판|출판인]]. 前 [[정음사]] 사장. 아호는 행촌(行村).)
**** 손자: '''최동식'''(崔東植, [[1943년]] [[11월 27일]] ~ . [[고려대학교]] 화학과 명예교수. [[자연과학|이학]][[박사]]. 아호는 묵연(默宴).)
*** 둘째아들: '''최순해'''(崔舜海)
*** 셋째아들: '''[[최신해]]'''(崔臣海, [[1919년]] [[4월 24일]] 출생 ~ [[1991년]] [[3월 24일]] 사망. [[정신과]] [[의사]], [[수필가]]. [[의학박사]]. 前 [[서울특별시|서울]]청량리뇌병원 원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대우교수. 아호는 삼락당(三樂堂).)
**** 손녀: '''최은경'''(崔恩卿, [[1950년]] [[3월 26일]] ~ )
**** 손자: '''최문식'''(崔文植, [[1950년]] [[3월 26일]] ~ )
**** 손자: '''최홍식'''(崔洪植, [[1953년]] [[10월 28일]] ~ )
*** 넷째아들: '''최철해'''(崔澈海)
** 동생: '''최현구'''(崔鉉具, [[1898년]] 출생 ~ [[1941년]] 사망.)
* [[1968년]] [[1.21사태]] 당시 무장공비의 총에 맞아 순직한 '''[[최규식 (경찰관)|최규식]]'''(崔圭植, [[1932년]] [[9월 9일]] 출생 ~ [[1968년]] [[1월 21일]] 사망) 前 [[종로경찰서|서울 종로경찰서]] 서장은 그의 족척이다.

[[순우리말]]에 관심이 많아서 국가정책으로 순우리말 쓰기 운동을 주도해야 한다는 주장도 했으며[* [[그녀]]라는 낱말 사용을 강하게 비판한 사람 중 한 명이다. [[그녀]] 항목 참조.]. 또한 [[이승만]] 정권 시절 1955년 [[조선일보]] 서울이란 이름은 수도 이름으로 맞지 않으므로[* 서울이란 말 자체가 수도를 가리키는 순우리말이다. '근데 수도 이름이 '수도'라니...?'라는 것이 이 주장의 근거다.] 바꿔야 한다는 논문을 쓰기도 했다. 이승만도 이것에 관심을 보여서 바꾸려고 논의는 했는데, 이승만 밑의 참모진들이 이승만의 호인 '우남'으로 바꿔 쓰자고 하는 통에 최현배 선생이 지금 장난치냐고 분노했으며 야당의 결사반대로 그냥 '서울'이란 이름은 그대로 남게 되었다. 자세한 건 [[서울특별시/역사#s-2.2]] 참고.[* 참고로 이승만 본인조차 '우남'이란 이름을 붙이는 걸 원치 않는다는 의사를 밝혔다]
== 기타 ==
* 국어학자 [[언어학|언어학자]] [[허웅 (1918년)|허웅]](許雄)은 그의 애제자이기도 하다.

또한 남북의 언어가 분단되는 것을 막은 사람이기도 하다. 정확히 설명하자면 최현배와 [[김두봉]] 국어학자가 함께 막은 것으로, 오늘날 남북이 갈라진 지 70여 년이 흘렀음에도 남쪽 사람과 북쪽 사람이 서로 말을 나누는 데 큰 어려움이 없는 것은 두 사람 덕분이라 할 수 있다. 두 사람은 해방 이후 서로 다른 길을 선택하여 최현배는 서울로, 김두봉은 평양으로 갔다. 하지만 [[주시경|같은 스승]] 밑에서 배운 두 사람은 스승이 기틀을 닦고 [[조선어학회]]가 이어받은 [[한글 맞춤법 통일안|언어정책]]을 그대로 남북에 심었고, 이것이 남북한 맞춤법의 토대가 되어 남한에서는 '''한글 맞춤법 통일안''' 북한에서는 '''조선어 신철자법''' 정하여 쓰게 되었다. 이후 남한에서는 '''한글맞춤법'''으로, 북한은 '''조선말규범집'''으로 이름과 규정이 조금조금 바뀌었으나 뿌리는 같기에 [[두음법칙]], [[사이시옷]] 등 세세한 조항만 빼면 서로 크게 다르지 않다.
== 역대 선거 결과 ==
{| class="wikitable"
|-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제2대 총선]]||[[울주군의 국회의원|국회의원(울산군)]]||2대||무소속||{{막대|무|1|6|6}} 16.57%||6,346표||2위||낙선
|-
|}

사후에 그를 기리는 단체인 외솔회가 출범하였고 단체에서는 매년 그의 호를 외솔상을 시상한다.
== 함께 보기 ==
* [[주시경]]
* [[이희승]]
* [[김규식]]
* [[외솔 최현배 선생 생가터]] -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39호

한국 [[정신건강의학과]]의 원로 의사이자 [[수필가]]로도 유명했던 최신해 박사(1919-1991)가 그의 아들이며[* 최현배 선생의 아들답게 글솜씨가 뛰어났다. 말년에 역사책에 나오는 한국인의 여러 성문화를 다룬 책을 집필했는데 근엄한 노교수답지않게 모르는 사람이 보면 저속하다 느낄 정도로 해학적이고 맛깔나는 문체가 일품이다.] 1968년 [[1.21사태]] 순직한 [[최규식]] [[종로경찰서]]장이 그의 손자뻘 친척이다.
[[분류:중구(울산) 출신 인물]][[분류:언어학자]][[분류:1894년 출생]][[분류:1970년 사망]]
== 각주 ==
<references/>
 
== 외부 링크 ==
* [http://100.empas.com/dicsearch/pentry.html?s=K&i=255564&v=43 최현배],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s://web.archive.org/web/20060317021205/http://www.hangeul.or.kr/person/choi_hb.htm 외솔 최현배], 한글학회
*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contents_id=3762&path=|183|193|&leafId=223 네이버 캐스트 : 오늘의 인물 - 최현배]
 
{{글로벌세계대백과}}
{{1993년-이 달의 문화 인물}}
{{2010년-이 달의 독립운동가}}
 
[[분류:1894년 태어남]][[분류:1970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분류: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분류:울산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저술가]][[분류:연세대학교 교수]][[분류:고려대학교 교수]][[분류:일제 강점기의 국문학자]][[분류:일제 강점기의 언어학자]][[분류:경주 최씨]][[분류:일제 강점기의 전문학교 교수]][[분류:대한민국의 언어학자]][[분류:일본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타이완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대한민국의 시사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군사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정치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경제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교육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문학 평론가]] 
[[분류:대한민국의 과학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역사 평론가]][[분류:교토 대학 동문]][[분류:도교 이탈자]][[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한국독립당의 당원]][[분류:조선어학회 사건]]



{{작가 정보
|이름 = 최현배
|원어이름 = 崔鉉培
국적 = {{국기나라
대한민국}}
|출생일 = {{출생일|1894|10|19}}
출생지 = [[조선]] [[울산광역시
경상도 울산도호부]] <br/> (現 {{국기|대한민국}} 울산광역시 중구)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1970|3|23|1894|10|19}}
사망지 = {{국기나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직업 = 국어학자, 교육자, 대학 교수
|필명 = 호(號)는 외솔
|활동 기간 = 1926년 ~ 1970년
학력 = [[일본]] [[교토 대학교
교토 제국대]] 대학원 교육학 석사
|배우자 = 이장련
장르 = [[한국어
국어국문학]], 한글학, 저술
|자녀 = 최영해(장남) <br /> 최순해(차남) <br /> 최신해(3남) <br /> 최철해(4남)
|부모 = 최병수(부)
|언어 = 한국어
소속 = 前 [[한글학회]] 이사장 <br> 前 [[연세대학교
연세대]] 부총장 <br> 前 연세대 명예교수 <br/> 前 한독당 문화예술교육행정특보위원
|친척 = 최현구(아우) <br /> 최동식(손자) <br /> 최문식(손자) <br /> 최홍식(손자) <br /> 최규식(족척)
|종교 = 유교(성리학) → 도교개신교
}}
최현배(崔鉉培, 1894년 10월 19일 ~ 1970년 3월 23일)는 대한민국의 국어학자, 한글학자이며 교육자이다. 본관은 경주(慶州)이고 호는 외솔이며, 경상도 울산도호부 내상면(지금의 울산광역시 중구 병영2동)에서 출생하였다.

생애

국어 연구 활동

경성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주시경(周時經)의 조선어 강습원에 들어가 한글을 연구하였다. 1919년 일본 히로시마 고등사범학교를 졸업하고 이어 일본 교토 제국대학교 문학부를 졸업하였다. 일제 강점기 이후로 교육학과 국어 운동에 관련된 1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고 한글학회의 이사장직을 맡는 등 한글의 연구와 보급에 힘썼다. 1926년연희전문학교 교수로 취임하여 1938년 흥업구락부 사건으로 파면당할 때까지 재직했다. 1942년 10월 조선어학회 사건에 휘말려 1945년 해방까지 4년간 옥고를 치렀다.

교육 활동

광복 후 출옥하여 문교부 편수국장을 지내면서 교과서 편찬을 지도하였다. 1954년 연희대학교 교수 자리로 돌아와 문과대학 학장과 부총장을 역임하고 1959년 교수직에서는 정년 퇴임했다.

한글 연구에 일생을 바친 그는 말본의 체계를 확립하였고 한글 전용 운동에 힘썼으며, 1962년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단장을 수여받았다. 국어학자 겸 언어학자 허웅(許雄)은 그의 애제자이기도 하다.

===최후===
1970년 3월 23일 서울 세브란스 병원에서 노환으로 인해 향년 77세로 타계하였다.

사후

*2008년 8월 학술지 ‘한국사 시민강좌’ 하반기호(43호)에서 대한민국 건국 60주년 특집 ‘대한민국을 세운 사람들’ 을 선발, 건국의 기초를 다진 32명을 선정할 때 교육, 학술 부문의 한사람으로 선정되었다.<ref>혼돈의 해방공간서 자유민주주의 초석을 놓다 동아일보 2008년 8월 22일자</ref>

예절 망국론

최현배는 "조선민족의 병폐를 가져온 원인으로 온갖 예절이 조선 사람의 생활을 구속했고, 생기를 잃게 했다<ref name="yangins">양창삼, 《인간관계 필드북》 (경문사, 2002) 171페이지</ref>"며 서재필의 안경 일화를 소개하기도 했다.

학력

* 일본 히로시마 고등사범학교 졸업
* 일본 교토 제국대학교 철학과 졸업
* 일본 교토 제국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졸업 (교육학 석사)

명예 박사 학위

저서

모두 20여권의 책을 저술하였다.

* 《조선민족갱생의 도》, 1926년
* 《우리말본》, 1937년
* 《한글갈》, 1940년
* 《글자의 혁명》, 1947년
* 《한글의 투쟁》, 1950년
* 《한글 가로글씨 독본》, 1963년

가족 및 친척 관계

* 아버지: 최병수(崔炳壽, 1900년 사망.)
* 어머니: 경주 박씨(慶州 朴氏)
** 본인: 최현배(崔鉉培)
** 부인: 이장련(李長連, 1891년 출생 ~ 1970년 12월 19일 사망.)
*** 첫째아들: 최영해(崔暎海, 1914년 출생 ~ 1981년 사망. 아동문학가, 수필가, 출판인. 前 정음사 사장. 아호는 행촌(行村).)
**** 손자: 최동식(崔東植, 1943년 11월 27일 ~ . 고려대학교 화학과 명예교수. 이학박사. 아호는 묵연(默宴).)
*** 둘째아들: 최순해(崔舜海)
*** 셋째아들: 최신해(崔臣海, 1919년 4월 24일 출생 ~ 1991년 3월 24일 사망. 정신과 의사, 수필가. 의학박사. 前 서울청량리뇌병원 원장. 前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대우교수. 아호는 삼락당(三樂堂).)
**** 손녀: 최은경(崔恩卿, 1950년 3월 26일 ~ )
**** 손자: 최문식(崔文植, 1950년 3월 26일 ~ )
**** 손자: 최홍식(崔洪植, 1953년 10월 28일 ~ )
*** 넷째아들: 최철해(崔澈海)
** 동생: 최현구(崔鉉具, 1898년 출생 ~ 1941년 사망.)
* 1968년 1.21사태 당시 무장공비의 총에 맞아 순직한 최규식(崔圭植, 1932년 9월 9일 출생 ~ 1968년 1월 21일 사망) 前 서울 종로경찰서 서장은 그의 족척이다.

기타

* 국어학자 겸 언어학자 허웅(許雄)은 그의 애제자이기도 하다.

역대 선거 결과

{| class="wikitable"
|-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제2대 총선]]국회의원(울산군 을)2대무소속{{막대|무|1|6|6}} 16.57%6,346표2위낙선
|-
|}

함께 보기

* 주시경
* 이희승
* 김규식
* 외솔 최현배 선생 생가터 -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39호

각주

<references/>

외부 링크

* 최현배,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외솔 최현배, 한글학회
* 183|193|&leafId=223 네이버 캐스트 : 오늘의 인물 - 최현배

{{글로벌세계대백과}}
{{1993년-이 달의 문화 인물}}
{{2010년-이 달의 독립운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