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자 정보
|이름= 최두선
|원래 이름 = 崔斗善
|출생일= [[1894년]] [[11월 1일]]
|출생지= [[조선]] [[한성부]]
|사망일= {{사망일과 나이|1974|9|9|1894|11|1}}
|사망지= {{국기|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직책 = 前 제8대 대한민국 국무총리
|임기 = 1963년 12월 17일 ~ 1964년 5월 9일
|대통령 = [[박정희]]
|경력= 前 [[한국장학재단]] 이사장
|거주지 = {{KOR}} [[서울특별시]]
{{국기|일제 강점기}} [[철원군 (남)|강원도 철원]](前)
{{국기|일제 강점기}} [[창원시|경상남도 창원]](前)
|국적= {{국기나라|대한민국}}
|본관 = [[동주 최씨|동주]]
|학력= [[독일]]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베를린 대학교 대학원]] [[철학]][[박사]]
|직업= [[철학자]]
[[언론|언론인]]
[[정치가]]
[[기업가]]
[[대학 교수]]
[[작가|저술가]]
|종교= [[유교]]([[성리학]])
|정당 = [[무소속]]
|서훈= 청조소성훈장
[[국민훈장]] 무궁화장
|부모= 최헌규(부), 진주 강씨 부인(모)
|친인척= [[최남선]](형)
}}
'''최두선'''(崔斗善, [[1894년]] [[11월 1일]] ~ [[1974년]] [[9월 9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가]]이다.
본관은 [[동주 최씨|동주]]. 호(號)는 각천(覺泉)이다. [[한성부]] 출생이고 한때 [[철원군 (남)|강원도 철원]]과 [[창원시|경상남도 창원]]에서 잠시 유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제8대 [[대한민국의 총리|국무총리]]를 지냈으며 [[유엔]]총회 한국대표, [[대한적십자사]] 총재 등을 역임하였다. [[육당 최남선]]의 동생이다.
== 생애 ==
휘문의숙을 졸업하였다. 이후 일본으로 유학, [[1917년]] [[와세다 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였다. [[1918년]] [[김성수 (1891년)|김성수]]를 알게 되어 그가 운영하던 [[중앙학원]]의 학감으로 초빙되었다. [[1919년]]에는 [[송진우 (정치인)|송진우]] 등이 피체되면서 중앙학교의 학교장직을 맡아보게 되었다.
[[1920년]] [[6월 16일]] [[경성부]] 명월관에서 열린 [[조선체육회]]발기인회에 발기인의 한 사람으로 참여하였다.[이학래 《한국체육사연구》 (국학자료원, 2006) 375~376페이지]
[[1922년]]부터 [[독일]]로 건너가 독일 마부르크 대학교, 예나 대학교, 베를린 대학교 등에서 수학했다. [[1932년]] [[고려대학교|보성전문학교]] 이사회 상무이사에 취임했다.
광복후 교육계를 떠나 경성방직주식회사 사장, [[1947년]] [[동아일보]]사 사장에 선임되었다. [[동아일보]]사 사장 재직 중 유엔총회에 한국대표의 한 사람으로 파견되었다. [[1946년]]에는 [[김구]], [[김성수 (1891년)|김성수]], [[조소앙]] 등의 신탁통치 반대 운동, 미소 공위 반대운동에 적극 동참하였다.
그 뒤 형 [[최남선]] 등이 일제 강점기 후반 친일행위를 했다고 비판, 매도되었으나 다행히도 그는 형 [[최남선]]에게 연좌되지는 않았다. 또한 그에 대한 부당한 비판을 우려한 [[김성수 (1891년)|김성수]], [[송진우 (정치인)|송진우]] 등이 그를 각별히 신경쓰고 배려하였다.
[[1947년]] [[1월 26일]] [[경교장]]에서 열린 반탁독립투쟁회 결성에 참여하고 반탁투쟁회 지도위원의 한사람으로 선출되었다.
[[1948년]] [[3월]] [[미 군정]]청 군정장관 딘 소장으로부터 [[5·10 총선거]]를 관리하기 위한 중앙선거위원회 위원에 임명되었다.
[[1955년]] [[김성수 (1891년)|김성수]]가 사망하자 [[신익희]], [[함태영]] 등과 함께 그의 국민장 장의위원으로 활동했다. 김성수의 사망 직후 [[인촌 김성수 기념사업회]]의 창립 발기인의 한 사람이 되었다. [[1960년]] [[김포공항|인천비행장]]으로 환국하는 [[조병옥]]의 시신을 맞이하기도 했다.
[[1963년]] [[고려대학교]]로부터 명예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8년]]에는 모교인 [[일본]] [[와세다 대학교]]에서 명예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본래는 1963년 출범한 박정희 정권에 부정적이었으나 박정희의 포용정책으로 국무총리에 지명되어 박정희 정권의 첫 국무총리를 지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02938731& <박前대통령 서거 30주기> ③이만섭 前의장 인터뷰 :: 네이버 뉴스]] 이후 민정이양 후의 민심의 수습에 노력하다가 야당의 대일 굴욕외교 반대 등으로 6개월만에 사퇴했다. 그러나 야당 대열에 동참하기를 거부하고 교육, 집필, 강연활동에 전념하였다.
[[1971년]] 대한적십자사 총재가 되었다. 같은 해 적십자사 총재로서 이산가족 상봉을 건의하여 성사시켰고, 북측의 적십자사를 설득하여 [[1972년]]의 남북적십자회담을 이끌어 냈다.
== 학력 ==
* [[휘문고등학교|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졸업]]
* [[와세다 대학|일본 와세다 대학교 철학과]] [[학사]] [[졸업]]
* [[게이오기주쿠 대학|일본 게이오 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문학]][[석사]] 졸업
* [[마르부르크 대학교|독일 마르부르크 대학교 대학원 독어독문학과]] [[문학]][[석사]] 졸업
* [[예나 대학교|독일 예나 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철학]][[석사]] 졸업
* [[베를린 대학교|독일 베를린 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철학]][[박사]] 졸업
=== 명예 박사 학위 ===
* [[1963년]] [[고려대학교]] 명예 [[철학]][[박사]]
* [[1968년]] [[일본]] [[와세다 대학교]] 명예 [[철학]][[박사]]
== 상훈 ==
* 청조소성훈장
* [[국민훈장]] 무궁화장
== 같이 보기 ==
* [[최남선]]
* [[김성수 (1891년)|김성수]]
== 각주 ==
== 외부 링크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05992 두산대백과사전]
{{전임후임|
|전임자 = [[김현철 (1901년)|김현철]]
(내각 수반)
|후임자 = [[정일권]]
|대수 = 8
|직책 = [[대한민국의 국무총리|국무총리]]
|임기 = [[1963년]] [[12월 17일]] ~ [[1964년]] [[5월 9일]]
}}
{{전임후임
|전임자 =[[손창환]]
|후임자 =[[김용우]]
|대수 =5
|직책 =[[대한적십자사]] 총재
|임기 =1960년 8월 ~ 1972년 8월
}}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분류:1894년 태어남]][[분류:1974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분류:대한민국의 철학자]][[분류:대한민국의 언론인]][[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
[[분류: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저술가]][[분류:대한민국의 국무총리]][[분류:대한민국의 영문학자]][[분류:대한민국의 별정직공무원]][[분류:대한민국의 한문학자]][[분류:고려대학교 교수]][[분류:연세대학교 교수]][[분류:김성수 (1891년)]][[분류:윤보선]][[분류:박정희]][[분류:게이오기주쿠 대학 동문]][[분류:와세다 대학 동문]][[분류:유교 신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동주 최씨]][[분류:마르부르크 대학교 동문]][[분류:예나 대학교 동문]][[분류: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동문]][[분류:대한적십자사 대표]][[분류:인촌기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