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선수 정보 |선수명 = 정동진 |영문 표기 = Jeong Dong-jin |소속 구단 = |등번호 = |선수 사진 파일명 = |사진 사이즈 = |사진 설명 = |국적 = {{KOR}} |출신지 = {{국기|미 군정 조선}}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부]] |생년월일 = {{출생일과 나이|1946|4|23}} |신장 = |체중 = |투구 = |타석 = |수비 위치 = [[포수]] |프로 입단 연도 = |드래프트 순위 = |첫 출장 = |마지막 경기 = |획득 타이틀 = |연봉 = |경력 = '''선수 경력''' * [[제일은행]] (실업) * [[대한민국 해병대|해병대]] '''코치 경력''' * [[삼성 라이온즈]] 수석코치 (1984년 ~ 1986년) '''감독 경력''' * [[대구상원고등학교|대구상업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1977년 ~ 1978년) * [[삼성 라이온즈]] 감독 대행 (1986년) * [[삼성 라이온즈]] 감독 (1988년 ~ 1990년) * [[태평양 돌핀스]] 감독 (1991년 ~ 1995년) |대표국가 = 대한민국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 1969, 1971 서울 }} {{메달 시작}} {{메달 나라|{{국기나라|대한민국}}}} {{메달 스포츠|남자 [[야구]]}} {{메달 경기|[[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금메달|1971 서울|야구}} {{메달 끝}} '''정동진''' (鄭東鎭, [[1946년]] [[4월 23일]] - )은 [[대한민국]]의 야구 감독이다. == 생애 == [[대구광역시|대구]] 출신으로 국가대표팀 [[포수]]로서 이름을 알렸다. [[대구상원고등학교|대구상고]]를 졸업하고 실업 야구 팀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제일은행]]을 거쳤다. 현역에서 은퇴한 후 [[1977년]]부터 [[1978년]]까지 모교의 감독을 역임하였지만 물러나고 잠깐 야구계를 떠나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제일은행]]의 평범한 은행원으로 7년 간 종사했다. 이후 [[1984년]] 연고 팀 [[삼성 라이온즈]]의 수석코치로 영입되어 [[김영덕 (야구인)|김영덕]], [[박영길 (야구인)|박영길]] 감독을 보좌하였다. [[1989년]] [[삼성 라이온즈]]의 감독으로 선임되어 전력이 약화된 팀을 4위까지 올렸고, [[1990년]]에도 정규 시즌 4위로 마감하여 포스트 시즌에 진출했지만, 플레이오프에서 그동안 번번이 삼성의 우승을 가로막았던 난적 [[해태 타이거즈]]를 3연승으로 스윕하고 [[1990년 한국시리즈]]에 올리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1990년 한국시리즈]]에서 [[LG 트윈스]]에게 스윕을 당해 우승에 실패하여 [[삼성 라이온즈|삼성]]의 고질병이었던 [[한국시리즈]] 징크스를 다시 한 번 확인해 주었다.(이 징크스는 [[2002년 한국시리즈|2002년]]에 깨졌다.) [[1990년 한국시리즈]] 우승 실패의 책임을 물어 삼성의 감독직에서 물러나고 [[미국]]으로 야구 연수를 떠났다가 [[1992년]] [[태평양 돌핀스]]의 감독으로 영입되었다. [[1992년]] 6위, [[1993년]] 최하위로 마감했지만, [[1994년]]에는 그동안 부상으로 신음했던 투수들이 복귀하여 정규 시즌 2위로 마감하는 선전을 하였다. 그 해 [[태평양 돌핀스]]가 [[LG 트윈스]]에게 [[1994년 한국시리즈]]에서 스윕당해 [[LG 트윈스]]가 우승했지만, 그 해 성적은 [[1998년]] [[현대 유니콘스]]가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하기 전까지 [[인천광역시|인천]] 연고 야구단 최고의 성적이었다. 그러나 그는 감독으로 2번 경험한 [[한국시리즈]]에서 모두 단 한 번도 이기지 못하고 모두 [[LG 트윈스]]를 상대로 스윕당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1995년]]에는 정규 시즌 7위로 마감했고, [[태평양 돌핀스]] 야구단이 [[현대그룹]]에 매각되었을 때 잔여 계약 기간 1년을 남긴 시점에서 팀 개편에 따라 수석코치 [[김재박]]에게 감독직을 넘겨 주고 물러났다. 이후 야구 해설가, [[KBO (야구)|KBO]] 규칙위원, [[KBO (야구)|KBO]] 경기감독관으로 일하고 있다. [[삼성 라이온즈]] 재임 시절에는 특유의 친화력으로 팀 분위기를 만들었으며, [[태평양 돌핀스]] 시절에는 [[김시진]]을 투수코치로 영입, 투수 조련에 힘써 [[태평양 돌핀스]] 때부터 "투수 왕국"이라는 별명이 붙었고, 1990년대 후반 태평양을 인수한 [[현대 유니콘스]] 전성 시대의 기초를 다졌다는 평가를 받는다. {{전임후임| |전임자 = [[박영길 (야구인)|박영길]] |후임자 = [[김재박]] |대수 = 4 |직책 = [[태평양 돌핀스]] 감독 |임기 = 1992년 - 1995년 }} {{전임후임| |전임자 = [[김영덕 (야구인)|김영덕]] |후임자 = [[박영길 (야구인)|박영길]] |대수 = |직책 = [[삼성 라이온즈]] 감독 대행 |임기 = 1986 }} {{전임후임| |전임자 = [[박영길 (야구인)|박영길]] |후임자 = [[김성근 (야구인)|김성근]] |대수 = 5 |직책 = [[삼성 라이온즈]] 감독 |임기 = 1989 - 1991 }} {{삼성 라이온즈 역대 감독|삼성 라이온즈|(1986년 감독대행, 1989년 ~ 1990년)}} {{1971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대한민국 선수 명단}} {{1969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대한민국 선수 명단}} [[분류:태평양 돌핀스 감독]][[분류:삼성 라이온즈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야구 해설자]][[분류:대한민국의 야구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4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상업고등학교 동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