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가 정보
| 이름 = 임응구
| 원어이름 = 林應九
伊藤應九
| 별칭 = 일본식 이름은 '''이토 오큐'''(伊藤應九)
| 소속 = 前 [[단광회]] 회원
| 친척 = 임응식(아우)
| 직업 = 서양화가
| 출생일 = [[1907년]]
| 출생지 = {{국기나라|대한제국}} [[경상남도]] [[부산광역시|부산]]
| 사망일 = [[1994년]] (88세)
| 사망지 = {{국기나라|일본}}
| 분야 = 서양화
| 학력 = [[일본]] [[도쿄 예술대학|도쿄 미술학교]] [[전문학사]]
| 사조 =
| 대표작 =
| 수상 =
}}
'''임응구'''(林應九, 일본식 이름: 伊藤應九 이토 오큐, [[1907년]] [[9월 13일]] ~ [[1994년]])는 [[한국]]과 [[일본]]의 서양화가이다. 본관은 [[나주 임씨|나주]](羅州)이다.
== 생애 ==
[[경상남도]] [[부산광역시|부산부]](現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출신이다.어릴 때부터 자주 일본을 왕래하며 미술을 공부했다. [[도쿄 미술학교]]를 졸업[{{저널 인용
|저자=이상수
|제목=미술단체를 찾아서
|저널=월간미술
|연도=1998
|작성월=11}}] 한 뒤, 일본 여성과 결혼하면서 [[1936년]] 일본에 귀화했다.
제13회 [[조선미술전람회]]에 입선하여 정식으로 화단에 등당하였고, 선전에 총 6회 입선하였으며 조선총독부상을 받기도 하였다. 첫 개인전은 [[1934년]] 부산일보사 전시장에서 가졌다. 임응구는 도쿄미술학교풍의 전통적이고 고전주의적인 서양화 구상화를 그렸는데, 서양식 머리를 한 신식 여성이 아들에게 젖을 먹이는 모습을 그린 〈어머니와 아들〉(1939)은 식민지 체제가 요구하는 현모양처형 어머니상을 그대로 구현하고 있다는 평가도 있다.[{{서적 인용
|저자=이임하
|제목=계집은 어떻게 여성이 되었나
|날짜=2004-04-28
|출판사=서해문집
|출판위치=서울
|id={{ISBN|8974832135}}
|장=1. 교육을 통한 신사임당 되기
|페이지=23쪽}}]
[[1943년]] 한국과 일본의 친일 미술인들이 결성한 [[단광회]]에 가입하여 징병제 실시에 즈음한 관제 미술 작품을 단광회 회원들과 함께 공동 창작하여 발표했다. [[1943년]] 완성된 단광회의 〈조선징병제실시기념화〉는 제작에만 여러 달이 걸린 대작으로, 징병제 분위기를 고취하고자 순회 공연으로 전시되었으며 [[조선군사령부]]에 기증되었다.
이후 일본에서 활동하며 [[일본제국미술전]]에 9차례 출품하고 특선을 한차례 했고, 백수상(白壽賞)을 받았다. 문제전(文帝展)에서 총 12회 입선하였으며, 살롱 도톰(가을의 전람회) 회원, 일전회우(日展會友)를 지냈고 살롱상도 받았다.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선정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미술 부문에 포함되었다.
동생은 사진작가 [[임응식]]이다.[{{뉴스 인용
|저자 = 이용길
|제목 = [판화가 이용길 내가 본 부산미술] <17> 故 나혜석·임응구 화가
|url = http://www.busanilbo.com/news2000/html/2004/0105/0B1H20040105.1030111955.html
|출판사 = 부산일보
|날짜 = 2004-01-05
|확인날짜 = 2007-10-26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050310131716/http://www.busanilbo.com/news2000/html/2004/0105/0B1H20040105.1030111955.html
|보존날짜 = 2005-03-10
|깨진링크 = 예
}}]
== 가족 관계 ==
* 남동생: '''임응식'''(林應植, [[1912년]] [[11월 11일]] 출생 ~ [[2001년]] [[1월 18일]] 사망, [[사진가|사진작가]]. 아호(雅號)는 구정(九丁). [[부산광역시|경상남도 부산]] 출생. 前 [[중앙대학교]] 명예교수. [[서울특별시|경성]] 체신학교 졸업.)
== 인간 관계 ==
'''임응구'''(林應九)의 아우인 [[사진가|사진작가]] '''임응식'''(林應植, [[1912년]] [[11월 11일]] 출생 ~ [[2001년]] [[1월 18일]] 사망)은 서양[[화가]]'''(李鳳商, [[1916년]] [[7월 27일]] 출생 ~ [[1970년]] [[8월 4일]] 사망)과 오랜 친구 관계를 맺기도 하였다.
== 같이 보기 ==
* [[단광회]]
== 참고자료 ==
* {{뉴스 인용
|저자=전갑생
|제목=[특집] 경남.부산 친일예술인 연구 4 인물편-화가들 - 회화 보국에 나선, 임응구-정종녀 등 친일화가들
|url=http://www.geoje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589
|출판사=거제타임즈
|날짜=2004-11-16
|확인날짜=2007-10-26
}}
* {{서적 인용
|저자=역사문제연구소
|제목=인물로 보는 친일파 역사(역비의책 15)
|날짜=2003-04-25
|출판사=역사비평사
|출판위치=서울
|id={{ISBN|8976962141}}
|장=일제를 위하여 붓을 잡은 화가들}}
== 각주 ==
[[분류:1907년 태어남]][[분류:1994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화가]][[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한국계 일본인]][[분류:도쿄 예술대학 동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