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사람|이인 (동음이의)}} {{공직자 정보 |이름 = 이인 |원래 이름 = 李仁 |직책 = 前 초대 대한민국 법무부 장관 |그림=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f/f6/%EC%A1%B0%EC%84%A0%EB%B3%80%ED%98%B8%EC%82%AC%ED%98%91%ED%9A%8C_%ED%9A%8C%EC%9E%A5_%EC%9D%B4%EC%9D%B8.JPG/250px-%EC%A1%B0%EC%84%A0%EB%B3%80%ED%98%B8%EC%82%AC%ED%98%91%ED%9A%8C_%ED%9A%8C%EC%9E%A5_%EC%9D%B4%EC%9D%B8.JPG |그림설명= 앞줄 왼쪽에서 5번째가 [[애산 이인|이인]] |출생일= [[1896년]] [[10월 26일]](음력 [[9월 20일]]) |출생지= [[조선]]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대구군]] 동상면 사일리
(現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중구 (대구광역시)|중구]] 사일동) |사망지= {{국기나라|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산28의 22번지에서 16시 15분, 숙환으로 별세 |사망일= {{사망일과 나이|1979|4|5|1896|10|26}} |경력 = 前 [[광신정보산업고등학교|서울 광신상업고등학교]] 재단 이사장 |국적= {{국기나라|대한민국}} |학력= 일본 [[니혼 대학|니혼 대학교 대학원]] 법학석사 |직업= 정치가, 독립운동가, 법률가, 저술가 |종교=[[유교]]([[성리학]]) |배우자= 고경희(高慶熙) |자녀= 슬하 6남 2녀
장남 이옥(李鈺) |부모= 이종영(부), 정복희(모) |친인척= 이관준(친조부), [[이시영 (1882년)|이시영]](숙부) |정당=[[무소속]] |웹사이트= }} '''이인'''(李仁, [[1896년]] [[10월 26일]] ~ [[1979년]] [[4월 5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며 법률가, 정치인이다. 자(字)는 자옥(子玉), 호(號)는 애산(愛山). [[일본]] 유학 후, [[1923년]] 변호사시험에 합격, 변호사를 개업하고 이후 [[일제 강점기]] 당시 [[김병로]], [[허헌]]과 함께 독립운동가 및 애국자, 사회저명인사들을 상대로 무료변호를 하여 등과 함께 '''3대 민족 인권 변호사'''로서 명망을 날렸다. 일제 강점기 말기에는 창씨개명을 거절하였고, 해방 후 우익 정치인으로 활동하다가 [[이승만]]의 단독정부 수립론에 가담하였다. [[1948년]] [[5월]] [[제헌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정부수립 이후 국회의원과 법무부장관을 역임하였다. [[1949년]] 7월에 [[반민특위]] 위원장에 임명되어 반민특위를 와해, 해체시켰다.{{서적 인용 |저자=허종 |제목=반민특위의 조직과 활동 |날짜=2003-06-25 |출판사=선인 |출판위치=서울 |id={{ISBN|978-89-89205-51-7}} |꺾쇠표=예 }} [[대한민국 제1공화국|제1공화국]] 붕괴 이후에는 군사정권에 맞서 야당 정치인으로 활동하였으며, 야당 원로로서 범 야당통합을 주장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1954년]] 제3대 [[민의원]]에 당선되고 [[1960년]] 참의원(參議員)에 당선되었다. [[1962년]] 유엔인권옹호한국연맹 이사에 임명되었고, 1972년 민족통일촉진회장 ·[[국토통일원]] 고문 등을 역임했다. 자(字)는 자옥(子玉), [[호 (이름)|아호]]는 애산(愛山)이며 본관은 [[경주 이씨|경주]](慶州)이다. [[대구광역시]] 출신. == 생애 == === 생애 초기 === ==== 출생과 가계 ==== 이인은 [[1896년]] [[10월 26일]]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부]] 사일동(射一洞)에서 아버지 이종영(李宗榮)과 어머니 연일 정씨 정복희(鄭福姬)의 아들로 출생하였다. 할아버지 이관준은 영남의 명망가이자 [[성리학]]자였고, 삼촌 [[이시영 (1882년)|이시영]]은 독립운동가로 순국하였다. 아버지 이종영은 [[대한제국]] 당시 애국 계몽운동단체인 [[자강회]](自彊會)와 [[대한협회]]의 회원으로 활동하던 계몽운동가였다. ==== 학창 시절 ==== [[대구광역시|대구]] 달동의숙(達東義塾)에 입학하여 신학문을 배웠고, 경북실업보습학교(慶北實業補習學校)로 진학하였다. [[1912년]] 경북실업보습학교를 졸업했다. [[1912년]] [[일본]]에 건너가서 세이소쿠 중학교(正則中學校)를 다니다가 [[1914년]] 졸업하였다. 그해 [[일본대학]](日本大學) 전문부 법과 야간부에 입학했고, [[1916년]]에는 수료후 [[메이지대학]](明治大學) 전문부 법과에 편입했다. 메이지대학 법학부를 졸업한 후에는 대학원과정인 일본대학 고등전공과(高等專攻科)에 진학, 공부하였다. === 변호사 활동 및 항일 변호 활동 === ==== 항일 변호 활동 ==== [[파일:조선변호사협회 회장 이인.JPG|썸네일|300px|right|조선변호사협회 회장 취임, 앞줄 왼쪽에서 5번째 이인]] [[1917년]] 귀국했다가 [[1919년]] 다시 일본으로 건너가 [[1922년]] 일본변호사시험에 합격했다. [[1923년]] 5월 [[경성부]]에서 [[변호사]]·[[변리사]] 개업을 하여 7월 첫 변론으로 [[의열단]] 사건 피고인들의 변호를 맡았다. 이후 계속 민족운동사건의 변론을 맡아 [[6·10 만세 운동]]·[[고려혁명당 사건]]·[[의열단]] 사건·[[원산총파업]]·[[통의부사건]]·[[정의부사건]]·[[신간회]]민중대회사건·[[수양동우회 사건]] 등과 각종 소작쟁의, 필화(筆禍)·설화(舌禍) 사건과 [[친일파]]나 일본관리의 암살사건 등의 변론을 맡았고, 자청하여 [[안창호]](安昌浩)의 변호를 맡기도 했다. 그가 맡은 변호만도 약 1천 5백여건에 달한다. 이후 [[장택상]] 등과 고학생의 상조(相助)기관인 갈돕회를 조직했다. [[1925년]]에는 갈돕회의 총재를 맡고 여자고학생상조회를 조직하는데 도움을 주어 고학생을 돕는 한편, [[조선어연구회]]의 [[조선어사전편찬회]] 발기위원이 되어 사전편찬사업을 적극 지원했다. [[1927년]] [[신간회]]의 창립과 더불어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이후 [[신간회]]의 해소론이 제기되자 비타협적 민족주의자들만의 민족단체를 조직할 것을 주장했다. [[1930년]] 수원고등농림학교 학생들의 흥농사(興農社) 사건을 변호하다 [[재판정|법정]]에서 일본의 학정(虐政)을 비난하여 법정불온변론 혐의로 6개월 동안 [[변호사]] 자격정지 및 정직처분을 받았다. 같은 해 [[조선물산장려회]] 회장이 되었다. 1931년에는 조선변호사협회 회장이 되었고, 1935년에는 [[이우식]](李祐植)·[[김양수]](金良洙) 등과 함께 조선어사전 편찬을 위한 비밀후원회를 조직하여 재정지원을 했다. 독립운동가들의 변호를 하면서도 그는 국선변호인이 아님에도 변호비용을 받지 않아 독립지사와 민중들의 감격을 받기도 했다. ==== 태평양 전쟁 이후 ==== 이후 언론탄압반대연설회 등으로 여러 차례 유치장신세를 지기도 하였다. [[조선어학회]]를 비밀리에 지원한다는 혐의로 [[곽상훈]] 등과 함께 요시찰 인물이 되었고, [[1936년]] 이후 [[일제]]의 신사참배를 거부하여 소환하기도 했으며, [[조선총독부]]는 그의 변호사 면허를 취소시키려는 음모를 꾸몄으나 깨끗한 처신으로 흠을 잡을수 없었다. [[1939년]] [[12월 18일]] 정동의 [[이화여전]] 강당에서 80여 명의 관계자들이 모인 가운데 후원회 창립총회가 개최되었다. 여기에서 12개조의 후원회 장정을 통과시키고 25명의 위원을 선출했다.양현혜, 《빛과 소망의 숨결을 찾아》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7) 104페이지 이인도 이화여전 후원회 위원의 한사람으로 선출되었다. [[1941년]] 창씨개명 강요가 들어왔으나 거절하였다. 1942년 11월 [[조선어학회 사건]]에 연루되어 구속되어 이듬해 1월 징역 2년에 집행유예 4년을 선고받고 수감되었다가 뒤에 풀려났다. === 정치 활동 === ==== 광복 직후 ==== [[1945년]] 광복이후 [[백관수]],[[김병로]]등과 함께 [[건국준비위원회]] 부위원장이던 [[안재홍]]과 협상을 적극적으로 벌으나, 건준위원장 [[여운형]]이 [[안재홍]]과 이인의 협상결과를 허락하지 않았다. 이후 1945년 9월 [[한국민주당]]이 창당되자 창당에 참여, 당무부장이 되었다가 10월 미군의 한반도 주둔 이후 [[미군정]] 특별범죄심사위원회 수석대법관(首席大法官) 겸 심사위원장이 되었다. 군정청 특별범죄심사회 수석대법관이 되면서 그는 [[한민당]]을 탈당하였다. [[1946년]] 군정청 검찰청 검찰총장이 되어 [[조선정판사위폐사건]] 등의 수사를 지휘하는 등 좌파 세력의 근절에 노력했으며 우익 정치인으로 활동하였다. [[1947년]] 이후 단독정부 수립론이 나오자 그는 단정론을 지지하였다. ==== 정부수립 참여 ==== [[1948년]] 8월 초대 법무부장관이 되었으며, 같은 해 법전편찬위원회 부위원장을 역임했다 .이어 [[반민특위]]법이 제정되었을때, 이인은 다음과 같이 반민법에 반대를 표명했다. {{인용문|* 새로운 출발의 시기에 또다른 민족분열을 조장할 우려가 있다. * 지역적으로 남한사람들에게만 적용되는것은 법의 평등원칙에 어긋난다. * 민족반역자 색출에 있어 악질적인 괴수에 그 처벌을 국한시키는것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새로운 절충안을 작성하였다.1967년 8월 16일자 [[조선일보]] 기사 발췌}} 1949년 3월 [[서울]] [[종로구]]의 국회의원인 [[장면]]이 주미대사 임명 관계로 국회의원직을 사퇴하자 그는 보궐선거에 출마하였다. 3월의 보궐선거에서 당선되어 제헌국회의원이 되었고, 6월에 법무부장관직을 사임하였다. [[1949년]] 6월 경찰의 [[반민특위]] 특경대 습격사건 이후 [[7월 7일]]에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위원장이 되었다. 이인은 [[반민특위]] 특경대를 해산시키고 신변보호를 담당하던 경찰마저도 모두 철수시켜 '더이상 반민족 행위자의 체포가 없을 것'임을 분명히 하였다.1949년 7월 16일자 [[조선일보]] 기사 발췌 나아가 이인은 반민특위 해체를 주요내용으로하는 반민법 개정안을 제출하였고, 그나마 기소된 [[친일파]]도 제대로 처벌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시켰다.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피신하여 납북 위기를 모면하였다. 1954년 3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고, 1957년에는 [[이범석]](李範奭) 등과 함께 범야세력 통합운동을 벌였다. [[1960년]] [[4·19 혁명]]이 일어나자 재야정치인들과 함께 [[이승만]](李承晩)의 하야와 체포된 학생들의 석방을 촉구하는 대정부 건의안을 발표했으며, 같은 해 [[참의원]] 의원으로 당선되었다. ==== 야당 정치인 ==== 1963년 [[민정당]](民政黨) 창당에 참여하고 최고위원이 되었으나 범국민단일야당운동 추진에 실패하자 정계에서 은퇴했다. [[1965년]] 이인은 [[안재홍]] 사망 소식을 접하고, [[서울특별시|서울]] 정의여고 강당에서 그의 장례식을 집행, 주관하였다. 당시 [[안재홍]]은 자진월북자라는 오해와 편견으로 금기시되었고, 꺼려했다. 그러나 이인은 [[이범석 (1900년)|이범석]] 등과 함께 [[안재홍]]의 시신없는 장례식을 진행하였다. 군사정권은 그의 의도가 불순함을 의심하여 내사하였으나 혐의점을 찾지는 못하였다. [[1972년]] 민족통일촉진회를 결성했으며 [[국토통일원]] 고문에 선임되었다. [[1974년]]에는 [[국토통일원|통일원]] 고문에 재선임되었다. 건국대학교·명지대학교에서 명예[[법학]][[박사]]학위를 받았다. [[1963년]] [[건국공로훈장|건국훈장]] 국민장, 1969년 무궁화 국민훈장이 수여되었다. === 사후 === 유언에 따라 재산은 한글학회에 기증되었고 장례는 사회장으로 치러졌다. 장지는 [[경기도]] [[화성지|화성군]] 남양면 북양리 산51번지에 안장되었고 2011년 대전현충원(독립지사 제4묘역)으로 이장하였다. 저서로는 〈법률과 경제〉·〈법률과 여성〉·〈애산여적 愛山餘滴〉·〈반세기의 증언〉 등이 있다. == 약력 == * 일본 [[메이지 대학교]] 법학부졸업 * [[1922년]] 일본변호사 시험에 합격하고 변호사개업 * 2년간 경성법학원(京城法學院) 강사 * 조선변호사협회 회장 * 조선과학협회회장, 물산장려회장, 발명협회 회장, 과학보급회 회장, 어학회 간부 * 수원농림학교 학생사건으로 법정에서 불온한 변론을 해서 6개월의 정직처분 받음 * 조선어학회 사건에 관련되어 만 3년간 미결(未決)을 거쳐 2년형에 집행유예 3년으로 출옥 * 해방 후 [[한국민주당]] 총무 겸 당무부장 * [[1945년]] [[12월 1일]] 임시정부 봉영식에 참석하였다. 서울그라운드에서 윤보선의 사회로 임시정부 봉영식이 시작되었다. 이어 [[오세창]]의 개회사, 이인의 봉영문 낭독, [[권동진]]의 만세삼창으로 이어졌다. 봉영문은 [[권동진]], [[김성수 (1891년)|김성수]], 이인을 통해 [[김구]]에게 전달되었다.아 비운의 역사현장 경교장(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1993), 145페이지 * [[1947년]] 군정청 대법원장 * 대법관 겸 특별범죄수사위원장 * [[이승만]](李承晩)의 단정수립론에 참여 * [[1948년]] 검찰청 총장 * 제헌 국회 의원 당시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1949년]] [[12월 21일]] ~ [[1950년]] [[5월 30일]]) * 법무부 장관 * [[1949년]] [[8월 16일]] [[김상덕]], [[곽상훈]], [[송필만]] 등과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를 설치하고 반민특위조사위원이 되었다. * 반민특별조사위원회 위원장, 그러나 반민특위 강제해산으로 실패하였다. * 국회법사위원장 * 1963년 [[8월 1일]] 서울 시민회관에서 국민의 당 창당발기인대회를 가졌을 때 참석하였다.파벌로 보는 한국야당사(이영훈 지음 | 에디터 | 2006) 61페이지 이날 대회는 민정당 대표위원 김병로, 신정당 위원장 허정, 민우당 고문 이범석을 당 공동대표로, 김도연, 이응준, 이인, 안호상, 전진한을 당 지도위원에 선출했다. * [[1965년]] [[김동삼|일송 김동삼]]기념사업회 회장 * [[1965년]] [[안재홍]] 사망 소식을 접하고, [[서울특별시|서울]] 정의여고 강당에서 그의 장례식을 집행, 주관하였다. * [[1967년]] 제헌동지회회장 * 고등고시 출제위원회 위원 * 제4대 국회에 출마하였으나 낙선 * 제5대 참의원(임기 3년) * [[1972년]] [[1월]] 고 상허 유석창 장례위원회 위원장 == 상훈 == * [[1963년]] 건국공로훈장(現 [[건국훈장]]) 독립장 수상[http://www.koreastory.co.kr/daegustory/human/leein.htm 대구의 인물] * [[1969년]] [[국민훈장]] 무궁화장 == 학력 == * [[대륜고등학교|경상북도 대구 경북고등실업학교]] 수료 * [[세이소쿠가쿠엔 고등학교|일본 도쿄 세이소쿠 중학교]] [[졸업]] * [[일본]] [[메이지 대학|메이지 대학교 법학과]] 법학사 졸업 * [[니혼 대학|일본 니혼 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법학]][[석사]] 졸업 === 명예 박사 학위 === * [[건국대학교]] 명예 [[법학]][[박사]] * [[명지대학교]] 명예 [[법학]][[박사]] == 저서 == * 「법률과 경제」 * 「애산여적(愛山餘滴)」 * 「반세기의 증언」 == 가족 관계 == * 할아버지 : 이관준(李寬俊, 호는 만당, 성리학자) ** 아버지 : 이종영(李宗榮) ** 어머니 : 연일 정씨 정복희(鄭福姬) *** 동생 : 이철 (李哲) ** 숙부 : [[이시영 (1882년)|이시영]](李始榮, 본명은 중현(仲賢), 호는 우재(又齋)) * 부인 : 고경희(高慶熙) ** 장남 : 이옥(李鈺) *** 손자 : 이홍 *** 손자 : 이준 *** 손녀 : 이귀령 ** 차남 : 이춘 *** 손녀 : 이미령 *** 손자 : 이만 ** 삼남 : 이영(李英) *** 손자 : 이관(李灌) **** 증손자 : 이권(李權) *** 손자 : 이담(李淡) **** 증손녀 : 이채연 **** 증손녀 : 이시연 *** 손자 : 이찬(李澯) ** 사남 : 이정 *** 손녀 : 이애령 *** 손자 : 이황 ** 오남 : 이강 *** 손녀 : 이주령 *** 손자 : 이원 *** 손녀 : 이희령 ** 육남 : 이균 *** 손녀 : 이순령 *** 손자 : 이단 == 기타 == 약간의 [[소아마비]] 증세를 앓고 있었으나 생활이나 대화하는 것에는 지장이 없었다. 그는 자신의 소아마비를 조금도 부끄럽게 여기지 않았다 한다. [[1896년]] 같은 해에 태어난 김두종, 윤일선, 이병도, 이인, 이희승 등은 만년에 동갑 모임을 만들어 돈독한 우정을 나누곤 했다. 태어난 해가 병신(丙申)년이어서 모임명칭은 '병신회'로 하였다. '병신회'의 회장 선출을 놓고 설왕설래하던 중 애산 이인이 “병신회 회장이야 당연히 내가 맡아야지”라고 해서 만장일치로 애산을 회장으로 옹립했다고 한다.[http://car.khan.co.kr/kh_car/khan_art_view.html?artid=200204191810171&code=990201&s_code=990201&fid= [여적]당당한 장애인] 경향신문 2002년 04월 19일자 == 이인을 연기한 배우들 == * [[강계식]] - 《[[제1공화국 (드라마)|제1공화국]]》(1981년, [[MBC]] 드라마) == 같이 보기 == {{col-begin}} {{col-3}} * [[신간회]] * [[한국민주당]] * [[대한국민당 (1948년)|대한국민당]] * [[민정당 (1963년)|민정당]] * [[대한민국 제1공화국|제1공화국]] * [[대한민국 법무부|법무부]] * [[반민특위]] * [[이승만]] * [[김병로]] * [[허헌]] * [[허정]] * [[안재홍]] * [[노진설]] * [[정인보]] {{col-3}} * [[조선어학회]] * [[조선어학회 사건]] * [[주시경]] * [[이희승]] * [[정태진]] * [[리극로]] * [[곽상훈]] * [[이중화]] * [[김양수]] * [[김도연 (1894년)|김도연]] * [[김법린]] * [[장현식]] * [[헌법기초위원회]] * [[장택상]] {{col-3}} * [[감찰위원회]] * [[권승렬]] * [[김용무]] * [[김성수 (1891년)|김성수]] * [[김규식]] * [[이범석 (1900년)|이범석]] * [[이시영 (1882년)|이시영]](1882~1919) * [[이시영 (1868년)|이시영]](1868~1953) * [[함태영]] * [[황윤석]] * [[윤치영]] * [[장면]] {{col-end}} == 관련 서적 == * 대구광역시, 《대구의 문화인물 2》 (대구광역시, 2006) *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50년대편 1》 (인물과사상사, 2006) * 한국국회인물사편찬회, 《역대국회의원총람》 (조세공론사, 1983) == 역대 선거 결과 == {| class="wikitable" |-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 |[[1949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3·30 재보궐선거]]||[[서울 종로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서울 종로구 을)]]||1대||[[무소속]]||{{막대|무|3|0|5}} 30.5%||10,351표||1위||[[파일:국회의원당선.png|25px|서울 종로구 국회의원 당선]] |-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제3대 총선]]||[[서울 영등포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서울 영등포구)]]||3대||[[대한국민당 (1948년)|대한국민당]]||{{막대|자|3|5|7|5}} 35.75%||8,420표||1위||[[파일:국회의원당선.png|25px|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원 당선]] |-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제4대 총선]]||[[서울 종로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서울 종로구 갑)]]||4대||[[무소속]]||{{막대|무|1|1|0|7}} 11.07%||3,990표||3위||낙선 |} == 각주 == == 참고 자료 == * 《대한민국 의정총람》, 국회의원총람발간위원회, 1994년 * {{헌정회|1405}} * {{독립유공자|8932|이인}} * [http://www.history.go.kr/openUrl.jsp?ID=im_108_03542 국사편찬위원회] * [http://www.kinds.or.kr/imgdata8/1979/04/06/19790406DAM07.pdf 언론재단 《동아일보》(1979.4.6.) 7면] == 외부 링크 == {{전임후임| |전임자 = (초대) |후임자 = [[권승렬]] |대수 = |직책 = 초대 [[대한민국의 법무부 장관|법무부 장관]] |임기 = [[1948년]] [[8월 2일]] ~ [[1949년]] [[6월 5일]] }} {{전임후임 국회의원| |전임자 = [[장면]] |후임자 = (종로구 갑)[[박순천]]
(종로구 을)[[오화영]] |대수 = 1 |직책 = [[서울 종로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종로구 을)]] |임기 = [[1949년]] [[6월]]전임자인 [[장면]]이 1949년 2월에 주미국 대사로 부임하고, 1949년 3월에 종로구 을 선거구에 대한 보궐선거가 치러졌으며 이인은 1949년 6월 5일 법무부장관에서 해임되었으므로 임기가 1949년 6월경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 [[1950년]] [[5월 30일]] |소속정당 = [[무소속]] → [[대한국민당 (1948년)|대한국민당]] |같은 지역구 의원 = (종로구 갑)[[이윤영 (1890년)|이윤영]] }} {{전임후임 국회의원| |전임자 = (영등포구 갑)[[조광섭]]
(영등포구 을)[[류홍]] |후임자 = (영등포구 갑)[[윤명운 (1911년)|윤명운]]
(영등포구 을)[[류홍]] |대수 = 3 |직책 = [[서울 영등포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영등포구 을)]] |임기 = [[1954년]] [[5월 31일]] ~ [[1958년]] [[5월 30일]] |소속정당 = [[대한국민당 (1948년)|대한국민당]] → [[무소속]] |같은 지역구 의원 = (영등포구 갑)[[윤재욱]] }} {{전임후임 국회의원| |전임자 = (신설) |후임자 = (폐지) |대수 = 5 |직책 =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참의원 지역구별 보기|참의원(서울특별시 제2부)]] |임기 = [[1960년]] [[7월 29일]] ~ [[1961년]] [[5월 16일]] |소속정당 = 무소속 |분류 = 대한민국의 제5대 참의원 }} {{민주회복국민선언 서명자}}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 각주 == [[분류:1896년 태어남]][[분류:1979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반일 감정]][[분류:대한민국의 반공주의자]][[분류:19세기 한국 사람]][[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제국의 유학자]][[분류:유교 신자]][[분류:일제 강점기의 대학 교수]][[분류:일제 강점기의 법조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분류:조선어학회 사건]][[분류:한국의 군정기]][[분류: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관련자]][[분류:대한민국의 저술가]][[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국민당 (1948년) 당원]][[분류:한국독립당]][[분류:신민당]][[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대한민국의 법무부 장관]][[분류:이승만 정부의 국무위원]][[분류:대한민국 제1공화국]][[분류:대한민국 제2공화국]][[분류:대한민국 제3공화국]][[분류:이범석 (1900년)]][[분류:대한민국 제4공화국]][[분류:이승만| ]][[분류:메이지 대학 동문]][[분류:니혼 대학 동문]][[분류:경주 이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