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충주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 국회의원]][[분류:1947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자치단체장]]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정치인/목록)] [include(틀:역대 충청북도지사)] ||<:>{{{#FFFFFF '''역임한 직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영월군|[[파일:external/vodfile2.edupia.com/13543_1_3.jpg|width=30px]]]] {{{+1 '''[[강원도|{{{#009A74 강원도}}}]] [[영월군|{{{#009A74 영월군수}}}]]'''}}}|| ||<:>{{{#004098 '''임명직'''}}}||||<:>{{{#004098 '''임명직'''}}}||||<:>{{{#004098 '''임명직'''}}}|| ||<:>제34대[br]이길원||<:>→||<:>'''제35대[br]이시종'''||<:>→||<:>제36대[br]김의환|| ---- ||<-5><:>[[충주시|[[파일:external/www.traveli.co.kr/230.png|width=40px]]]] {{{+1 '''[[충청북도|{{{#005BAB 충청북도}}}]] [[충주시|{{{#005BAB 충주시장}}}]]'''}}}|| ||<:>{{{#FFFFFF '''임명직'''}}}||||<:>{{{#FFFFFF '''임명직'''}}}||||<:>{{{#FFFFFF '''임명직'''}}}|| ||<:>제21대[br]오병하||<:>→||<:>'''제22대[br]이시종'''||<:>→||<:>제23대[br]오병하|| ||<:>{{{#FFFFFF '''임명직'''}}}|| ||<:>{{{#FFFFFF '''민선1~3기'''}}}|| ||<:>{{{#FFFFFF '''민선3·4기'''}}}|| ||<:>제27대[br]이석의||<:>→||<:>'''제28~30대[br]이시종'''||<:>→||<:>제31·32대[br][[한창희]]|| ---- ||<-5><:>[[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상징.png|width=30px]]]] {{{#70000B '''[[대한민국|{{{#70000B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의원|{{{#70000B 국회의원}}}]] ([[충청북도|{{{#70000B 충북}}}]] [[충주시(선거구)|{{{#70000B 충주시}}}]])'''}}}|| ||<:>제16대[br][[이원성]]||<:>→||<:>'''제17·18대[br]이시종'''[* 의원직 사퇴]||<:>→||<:>제18·19대[br][[윤진식]]|| ---- ||<-5><:>'''{{{+1 {{{#BA8545 전국시도지사협의회 회장}}}}}}'''|| ||<-5><:>[[파일:external/www.gaok.or.kr/ci_01.jpg|width=200px]]|| ||<:>권한대행[br][[최문순]]||<:>→||<:>'''제8대[br]이시종'''||<:>→||<:>제9대[br][[유정복]]||}}}|| |||| https://search.pstatic.net/common/?src=http%3A%2F%2Fimgnews.naver.net%2Fimage%2F016%2F2010%2F08%2F04%2F20100804000622_0.jpg&type=n88_88 || ||<#1870B9> {{{#FFFFFF '''이름''' }}} ||<(> 이시종 (李始鍾) || ||<#1870B9> {{{#FFFFFF '''생년월일''' }}} ||<(> [[1947년]] [[4월 18일]] ([age(1947-04-18)]세) || ||<#1870B9> {{{#FFFFFF '''출신지''' }}} ||<(> [[충청북도]] [[충주시|충주군]] [* 현 [[충주시]] 주덕읍] || ||<#1870B9> {{{#FFFFFF '''본관''' }}} ||<(> [[전의 이씨]] || ||<#1870B9> {{{#FFFFFF '''가족''' }}} ||<(> 배우자 김옥신, 슬하 2남 1녀 || ||<#1870B9> {{{#FFFFFF '''학력''' }}} ||<(> [[청주고등학교]] {{{-1 ([[졸업]])}}}[br][[서울대학교]] {{{-1 (정치학 / [[학사]])}}} || ||<#1870B9> {{{#FFFFFF '''종교''' }}} ||<(> [[무종교]] || ||<#1870B9> {{{#FFFFFF '''정당''' }}} ||<(> '''[[더불어민주당|{{{#1870B9 더불어민주당}}}]]''' || ||<#1870B9> {{{#FFFFFF '''의원 선수''' }}} ||<(> '''2''' || ||<#1870B9> {{{#FFFFFF '''의원 대수''' }}} ||<(> [[제17대 국회의원|17]], [[제18대 국회의원|18]] || ||<#1870B9> {{{#FFFFFF '''현직''' }}} ||<(> [[충청북도지사]] || ||<#1870B9> {{{#FFFFFF '''경력''' }}} ||<(> 제35대 [[영월군]]수[br][[대통령비서실]] 건설교통행정관[br]제28·29·30대 [[충주시]]장[br][[열린우리당]] 원내부대표[br]열린우리당 정책위원회 부의장[br][[민주당(2008년)|민주당]] 충북도당 위원장[br]제8대 전국시도지사협의회 회장[br]제33·34·35대 [[충청북도지사]] || ||<#1870B9> {{{#FFFFFF '''외부링크''' }}} ||<(> [[http://governor.cb21.net/governor/index.do|공식홈페이지]] [[https://blog.naver.com/oklsjcb21|블로그]] [[https://www.facebook.com/oklsj|페이스북]] || [목차] == 개요 == '''8전 8승 선거의 제왕.''' '''충북 유일 [[민주당계 정당]] 소속 & 3선 지사.''' [[대한민국]]의 [[정치인]]. [[2018년]] 기준 [[충청북도지사]] 겸 [[충북도립대학]] 이사장. 관선 강원도 [[영월군|영월군수]], [[충주시|충주시장]](3선)과[* 관선시절까지 포함하면 4선.] [[충주시(선거구)|충주시]] 국회의원(재선)을 지냈고, [[2010년 지방선거]]에서 [[충청북도지사]]로 당선되었다. 이후 [[2014년 지방선거]], [[2018년 지방선거]]에서 충북도지사 연임에 성공하면서 도지사 3선에 성공했다. '''무려 8전 8승 무패 기록의 정치인.''' == 생애 == === 어린시절, 학창시절 === 1947년 충주의 작은 시골마을에서 가난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지역 명문이었던 [[청주고등학교]][* 산업자원부 장관, 국회의원을 역임한 [[윤진식]]과 동문으로 절친했다.]로 진학했지만 얼마 안 돼 부친이 사망하면서 휴학하였고 논과 금광을 오가며 쉬는 날에도 지게꾼과 참외장수를 하며 틈틈이 학비를 모아 어렵게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농사일을 하다가 7~8개월의 독학 끝에 1967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에 합격했다. 폐결핵으로 군복무가 면제되었다. === 행정관료시절 === 1971년 대학교 졸업 후 제10회 행정고시에 수석합격하였다. 그해 10월 충청북도청 세정과장을 시작으로 강원도 기획담당관, 35대 [[영월군|영월군수]](관선), 충청남도 기획관리실장, 22대 [[충주시|충주시장]](관선), 부산직할시(부산광역시) 재무국장, 충청북도 기획관리실장 등 지방 행정관료의 경력을 쌓았다. 중앙정부에서도 내무부([[행정자치부]]) 행정관리 담당관, 대통령 비서실 건설교통 행정관, 국무총리 행정조정실 심의관, 내무부 지방기획국장, 내무부 지방자치기획단장을 거쳤다. == 정치인 생활 == === 제28~30대(민선1~3기) 충주시장 === {{{+1 ''' 선거 ''' }}} ----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자유당]] 충주시장 후보로 출마, 42.05%(42,514표)를 획득하여 당선되었다.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 한나라당은 무공천] 충주시장 후보로 출마, 62.15%(55,599표)를 획득하여 당선되었다.(재선) 이후 한나라당 복당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충주시장 후보로 출마, 56.67%(46,811표)를 획득하여 당선되었다.(3선) {{{+1 ''' 직무수행 ''' }}} ---- 시장직 수행은 무난했다는 평이 많다. 재임 중 [[충주공용버스터미널]] 신축 및 연수동 택지개발사업이 이루어졌으며 [[충주세계무술축제]]가 첫 선을 보였다. 또한 시외버스터미널 신축과 관련되어 [[SSM#s-2|대형할인마트]](SSM)를 유치했는데, 다만 [[이마트]]가 문화동 구 시청사 부지에 5층짜리로 건물을 짓고 입점하는 걸 허가한 상태에서 경쟁업체 [[롯데마트]]가 터미널 건물을 지어주는 대신 2층에 롯데마트가 입점하는 것까지도 허가했다.(...) 인구 20만 명밖에 안 되는 중소도시로서는 이례적으로 2개의 대형할인마트가 경쟁하게 된 셈인데, 이로 인해 인근 중소할인마트들은 설립한 지 몇 달에서 몇 해를 못 가서 도산하는 일이 반복되었다. 이외에도 목행대교와 목계대교, [[중부내륙고속도로]] ([[충주IC|충주나들목]], [[북충주IC|북충주나들목]]) 등 충주의 대형 토목 건축물이 새롭게 지어졌고, 충주기업도시의 밑바탕이 되는 충주첨단산업단지를 계획하고 추진했다. === 제17대~18대 국회의원 === 2003년 12월에 시장직을 사퇴함과 동시에 2004년 1월 [[열린우리당]]에 입당,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충주시에 출마해 51.6%(46,155표)를 획득하여 당선되었다. 과거 [[한나라당]] 계열 정당에서 활동한 전력 때문에 2007년 [[제17대 대통령 선거]]에서 [[한나라당]]이 승리한 뒤 당적을 옮길 것이라는 전망도 있었지만 본인은 이를 일축하며[* 사실 한나라당 계열 정당에서 활동한 인사들중에는 성향이 진보에 가깝거나 민주당 계열과 가까운 중도/보수 성향인 경우도 많았다. 이들의 공통점은 [[김대중]] 전 대통령의 단점을 문제삼거나 아예 3김 시대 청산을 내세웠다는 것이며, 김대중의 퇴임 이후 민주당계 정당으로 이동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아마도 이시종 또한 반DJ 중도 성향이라서 한나라당 계열에 몸 담았다가 민주당쪽으로 넘어와서 그대로 뿌리를 내린 듯.]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 그대로 출마해 48.0%(39,147표)를 획득하여 당선되었다. === 제33대(민선5기) 충북지사 === {{{+1 ''' 선거 ''' }}} ---- 장고 끝에 국회의원 직을 사퇴하고 도전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민주당(2008년)|민주당]]소속으로 충청북도 도지사 후보로 출마, [[국민참여당]] 후보로 나온 [[이재정(1944)|이재정]][* [[통일부 장관]]을 역임하였으며, 4년 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경기도 교육감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후보와 단일화하였다. 선거 결과는 당시 현직 도지사였던 충북의 정치 거물인 [[정우택]]([[한나라당]])을 약 3만 6천여 표차(약 5.3%)로 꺾고 당선[* 51.22%, 349,913표.]되었다. === 제34대(민선6기) 충북지사 === {{{+1 ''' 선거 ''' }}} ---- 도지사 재선 의사를 밝히고, [[새누리당]]의 윤진식 후보와 6년 만에 다시 맞붙었다. 선거기간 내내 여론조사에서 오차범위 내의 접전을 벌였고, 개표 때에도 초박빙의 접전을 벌인 끝에 47.68%(346,152표)를 얻은 윤 후보를 2.12%(14,963표)차이로 제치고 49.8%(361,115표)로 당선.(재선) {{{+1 ''' 직무 수행 ''' }}} ---- 2016년 9월 3일부터 9월 8일까지 무예마스터십을 개최했고, 2017년에도 세계청소년무예마스터십을 개최한다고 한다. 2017년 10월에는 역시 연례행사격인 제천 한방 엑스포를 개최하였다. === ~ 제35대(민선 7기) 충청북도 도지사 === {{{+1 ''' 선거 ''' }}} ---- 2018년 3월, [[더불어민주당]] 소속 광역단체장으로는 처음으로 출마 선언을 하였으며 4월엔 청주 4선 출신 [[오제세]] 의원과의 경선에서 대승을 거두고 무난히 더불어민주당 충북도지사 후보로 확정되었다. 본선에선 [[자유한국당]] 박경국, [[바른미래당]] 신용한 후보를 큰 차이로 누르고 최초로 민선 충북도지사 3선에 성공하였다. === 선거 이력 === '''시장직 내리 3선, 의원직 내리 2선, 도지사직 내리 3선의 8전 8승 0패 선거 마스터'''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1995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북 충주시장) || [[민주자유당]] || '''42,514 (42.05%)''' || '''당선 (1위)''' || '''초선''' || || 1998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북 충주시장) || 무소속 || '''55,599 (62.15%)''' || '''당선 (1위)''' || '''재선'''[* 당선 후 한나라당 복당] || || 2002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북 충주시장) || [[한나라당]] || '''46,811 (56.67%)''' || '''당선 (1위)''' || '''3선'''[* 2003.12.17 사퇴 (총선 출마), 한나라당 탈당. 2004.01 열린우리당 입당.]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충북 충주) || [[열린우리당]] || '''46,155 (51.59%)''' || '''당선 (1위)''' || '''초선'''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충북 충주) || [[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 '''39,147 (48.04%)''' || '''당선 (1위)''' || '''재선'''[* 2010.4.12 사퇴 (충북지사 출마)] || || 2010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청북도지사) || [[민주당(2008년)|민주당]] || '''349,913 (51.22%)''' || '''당선 (1위)''' || '''초선''' || || 2014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청북도지사) || [[새정치민주연합]] || '''361,115 (49.75%)''' || '''당선 (1위)''' || '''재선''' || || 2018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청북도지사) || [[더불어민주당]] || '''468,750 (61.15%) ''' || '''당선 (1위)''' || '''3선''' || 지선부터 총선까지 단 한번도 패한 적이 없다. 선거의 제왕이라는 별명이 괜히 나온 게 아닌 듯하다. == 이야깃거리 == * 역대 출마한 7번의 선거에서 모두 당선되어 '''선거왕'''으로 불리고 있다. 7연속 당선 기록은 [[정몽준]], [[이해찬]]과 타이기록. 칠순이 넘은 나이를 고려했을 때 2018년 지방선거가 마지막 출마일 것으로 보이는데, 60%대 득표율로 압승을 거둬 '''8연속''' 당선이라는 진기록을 남겼다.[* 선거 승리 횟수로만 따지면 [[자유한국당]]의 [[유재중]] 의원과 타이기록이다. 유재중 의원은 1995년부터 2016년까지 3번의 시의원과 2번의 구청장, 3번의 국회의원 선거에서 모두 당선되었다. 다만 유재중 의원은 한 번 단독출마로 당선된 적이 있어서, 8번 모두 상대방과 대결해서 전승을 거둔 건 이시종 지사가 유일하다.] ~~저 후보가 쓰러지지 않아~~ * 선거할 때마다 정당이 바뀐다. 하지만 진영을 바꾼 적은 [[2004년]] 1월 [[한나라당]]을 탈당한 뒤 [[열린우리당]]에 입당한 게 유일하며, 그 후로는 탈당 자체가 없었던데다 심지어 10년간 야당 소속이었다. 앞서 언급했듯 자신의 성향에 보다 더 가까운 민주당계 정당에 뿌리를 내린 듯하며, 한나라당 탈당 당시에 철새라는 비난이 많았지만 민주당이 야당으로 전락한 이후에도 꿋꿋하게 당적을 유지하면서 철새라는 비난이 거의 없는 상황. ~~이걸로 까였다면 [[김영춘(정치인)|김영춘]] 과 [[김부겸]]은 진작에 철새가 되었다~~[* 이들 또한 반DJ 성향의 재야 인사였다는 공통점이 있다.] * 서울 출장시 [[오송역]]에서 [[KTX]]를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http://www.cc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941968|기사]] [* 하긴 충북도청에서 [[핌피|강력히 요구해서]] 원래 계획에도 없던 역을 만들었으니...] * 기름진 음식을 싫어한다는데 실제로 충북도지사 비서실의 한 비서관의 말로는 ~~식성이 비슷한 사람은 빼고~~ 다들 이시종 지사와 식사하는 것을 상당히 부담스럽게 생각한다고 하며, 심지어 평소 먹는 것도 그야말로 서민적인지라 끽해봐야 칼국수[* 실제로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당시 MBC 선택 2014 개표방송에서 먹방을 소재로 한 개표 그래픽이 만들어졌을 당시 후보들이 실제로 먹방을 찍었는데 이시종 당시 후보가 선택한 메뉴가 칼국수였다. 특히 고추장 풀어서 먹으면 더 맛있다고 한다.] 된장찌개 청국장 등 백반 종류를 먹고 사치를 부린다 한들 쭈꾸미가 한계라고. (...) 심지어 청주에서 비싸기로 소문난 모 중국집 코스요리(1인 30,000원대)로 회식을 갔을 때 버럭 짜증을 내면서 다시는 이런 데 오지 말라는 불호령을 내렸다고..... ~~중국 음식이 좀 기름지긴 하지~~ * '''심지어 술, 담배까지 일절 안 한다!''' 그래서 이시종 지사가 회식에 참석할 때마다 매우 건전한 분위기라서 일부 참모들이 부담스러워 한다는데,그래서 술 좀 마신다 하는 주당 참모들끼리 회식하다가 갑자기 호출되면 술냄새 때문에 곤욕을 치른다고. (...) ~~식성도 간단해, 술담배도 안해, 이건 뭐 [[김영란법]]에 딱 맞는 정치인이네~~ * 충북지사에 첫 당선되었을 때가 벌써 만 63세였고 현재는 칠순을 넘겼는데도 불구하고 여전히 명절 등이 아닌 이상 1주일 내내 매일 출근해서 아침 8시 ~ 저녁 10시까지 어떤 일이든 하는게 기본이라고. (!) 즉 워커홀릭. 심지어 하루라도 출근을 안 하면 죄책감이 든다는 농담도 했다는데..... ~~왠지 진짜일거 같은데?~~ 실제로 2018년 지방선거 사무소 개소식 때 참가한 민주당 의원들이 덕담한 바에 따르면, '''이시종이 시도때도 없이 정부와 국회를 찾아와서 예산 등을 협의하느라 아주 괴로웠다고.''' [[http://news1.kr/articles/?3328229|관련 기사]] * 2017년 후반 ~ 2018년 초반에 세종특별자치시의 [[이춘희]] 시장과 함께 살아남은 호서 지역 광역자치단체장이다. [[대전시장]] [[권선택]]은 형을 선고받아 직을 상실했고 [[충남지사]] [[안희정]]은 성폭행 스캔들로 사퇴했기에...--안희정은 이시종보다 평가가 좋기라도 하지 권선택은 답이 없다-- * 기름진 음식을 피하고 채소 위주의 소박한 식사를 해왔던데다 술 & 담배를 일절 하지 않는등 자기 관리에 철저한 덕인지 2018년 71세의 고령임에도 상당한 [[동안]]이다. * SBS 선거방송 [[2018 국민의 선택]]을 찾아보면 다른 17개 광역단체장 후보자들은 그래픽 화면에 쓸 포즈를 다 협조했지만 유일하게 응하지 않아 프로필 사진으로 대체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SYzV24SuB4=105s|영상(1분45초경)]] * [[충북도립대학]] 이사장도 겸하고 있기에 해당 학교 학생들은 호칭을 '이사장님'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으며, 학사 행사에 방문하는 경우가 많아 학생들에게도 어느정도 우호적인 입지를 가지고 있다.~~그러나 얼굴은 익히지 않아서 모르는 학생들도 많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