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정보 | 이름 = 이숭인 | 그림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5/5b/%EC%9E%91%EC%9E%90_%EB%AF%B8%EC%83%81_%EC%9D%B4%EC%88%AD%EC%9D%B8_%EC%B4%88%EC%83%81.jpg/193px-%EC%9E%91%EC%9E%90_%EB%AF%B8%EC%83%81_%EC%9D%B4%EC%88%AD%EC%9D%B8_%EC%B4%88%EC%83%81.jpg | 그림설명 = 조선 후기에 그려진 작자 미상의 이숭인 초상 | 출생일 = [[1347년]] | 출생지 = [[경상북도]] | 사망일 = [[1392년]] | 사망지 = | 국적 = | 필명 = 자 자안(子安)
호 도은(陶隱) | 경력 = | 장르 = [[한시]], [[시조]] | 직업 = 학자, 시인, 문신 | 종교 = | 배우자 = | 상훈 = | 웹사이트 = }} '''이숭인'''(李崇仁, [[1347년]]~[[1392년]] [[9월 10일]]([[음력 8월 23일]]))은 [[고려]] 말의 시인, 대학자이다. 호는 도은(陶隱), 자는 자안(子安), 본관은 성주이며, [[길재]] 대신 [[삼은]]으로 꼽히기도 한다. [http://people.aks.ac.kr/front/srchservice/viewSearchPPL.jsp?pItemId=PPL&type=L&pType=P&pSearchSetId=8514&pTotalSearchCount=1&pPosition=0&pRecordId=00500050004C005F00350043004F0063005F00410031003300340037005F0031005F0030003000300039003900300032&pName=C774C22DC7780028674E5D074EC10029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포은 정몽주]]의 문하생이었다. 권신 [[이인임]]의 5촌 조카였다. == 생애 == [[공민왕]] 때 [[과거 제도|문과]]에 급제한 후 예의 산랑(禮儀散郞)·예문 응교(藝文應敎)·문하사인(門下舍人)·숙옹부승 등을 역임했다. 공민왕이 [[성균관]]을 개창(改創)한 뒤 [[정몽주]] 등과 함께 학관(學館)을 겸했다. 고려 문사(文士)를 뽑아 [[명나라]]에 보낼 때 1등으로 뽑혔으나 나이가 어려 가지 못했다. [[정도전]] 등과 함께 [[원나라]]의 사신을 돌려보낼 것을 청하다가 유배된 적이 있다. 그 후 정몽주와 함께 실록을 편수하고, [[1386년]]([[고려 우왕|우왕]] 12)에 사신으로 명나라에 다녀온 후 [[이인임]]의 인족(姻族)이라 하여 유배되기도 하였다. [[1389년]] [[창왕]] 때에도 사신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 후에도 혼란기를 맞아 유배·감금되었고, [[1392년]]([[공양왕]] 4) [[이방원]]에게 정몽주가 처형되자 그의 일당으로 몰려 유배되었다. [[조선]]이 건국되자 유배 도중 정도전의 사주를 받은 [[황거정]]에게 고의적 장형으로 처형되었다. == 이숭인이 등장한 작품== * 《[[용의 눈물]]》([[KBS]], [[1996년]]~[[1998년]], 배우:[[이용진 (배우)|이용진]]) * 《[[정도전 (드라마)|정도전]]》([[KBS]], [[2014년]], 배우:[[정희태]]) == 기타 == 고려 말기의 권신 [[이인임]], [[이인복]], 이인립, [[이인민]] 형제는 그의 5촌 당숙이었다. 그의 종형제이자 이인립([[이인임]]의 아우)의 아들인 [[이제 (여말선초)|이제]]는 [[조선 태조|이성계]]의 사위였다. == 평가 == 성리학에 조예가 깊었고, 특히 시문(詩文)에 이름이 높았다. 명과의 외교 문제를 맡아 썼으며, 그의 명문장은 명 태조를 탄복시켰다. 저서로는 《도은선생시집》(흔히 《도은집》)이 있다. == 각주 == {{고려 삼은}} {{글로벌세계대백과}} [[분류:1347년 태어남]][[분류:1392년 죽음]][[분류:고려의 문신]][[분류:고려의 시인]][[분류:고려의 유학자]][[분류:문학자]][[분류:맞아 죽은 사람]][[분류:과거 급제자]][[분류:성주 이씨]][[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분류:이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