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정보 | 이름 = 이상화 | 원어이름 = 李相和 | 그림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4/40/%EC%9D%B4%EC%83%81%ED%99%94%28%EC%8B%9C%EC%9D%B8%29.jpg | 출생일 = {{출생일|1901|4|5}} | 출생지 = {{국기|대한제국}}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대구부]] |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1943|4|25|1901|5|9}} | 사망지 = {{국기|일제 강점기}}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대구]]에서 위암으로 사망 | 필명 = 호(號)는 상화(尙火, 想華), 무량(無量), 백아(白啞) | 소속 = 前 [[대륜고등학교|경상북도 대구 교남고보]] 교사 | 장르 = 시, 소설, 수필, 평론, 번역 | 국적 = {{국기나라|대한제국}}
{{국기나라|일제강점기}} | 직업 = [[시 (문학)|시인]]
[[소설|소설가]]
[[수필|수필가]]
독립운동가
교사
[[문학 평론|문학평론가]]
[[번역]][[문학|문학가]] | 학력 = [[일본]] [[도쿄 외국어학교]] [[프랑스어|불어학과]] 중퇴 | 배우자 = 서온순([[아명]]은 서순애) | 활동 기간 = [[1922년]] ~ [[1943년]] | 부모 = 이시우(부), 김신자(모) | 종교 = [[유교]]([[성리학]]) | 자녀 = 이용희(장남)
이성희(딸)
이충희(차남)
이태희(삼남) | 친척 = 이일우(백부)
[[이상정 (1897년)|이상정]](형)
한문이(형수)
[[권기옥]](형수)
[[이상백 (사학자)|이상백]](아우)
[[이상오]](아우)
[[박창암]](조카사위)
[[이열희 (1924년)|이열희]](5촌 조카)
[[최남선]](사돈)
[[박중양]](사돈) | 웹사이트 = [http://www.sanghwa.or.kr/ 이상화 기념사업회] }} '''이상화'''(李相和, [[1901년]] [[4월 5일]] ~ [[1943년]] [[4월 25일]])는 [[일제 강점기]]의 [[시인]], 작가, 독립운동가, [[문학]][[평론가]], [[번역]][[문학가]]이며, 교육자, 권투 선수이기도 하다. 본관은 [[경주 이씨|경주]](慶州)이고, 호는 상화(尙火, 想華), 무량(無量), == 일생 생정보== [[1919년]] 대구에서 [[3·1 운동]] 거사를 모의하다가 모의가 발각되어 피신하였으며, [[1921년]] 잡지 [[백조]]의 동인이 되어 문단에 등단하였다. 이후 [[1922년]] [[일본]]으로 건너가 [[미국]] 유학을 준비하다가 [[관동 대지진]]으로 귀국하였다. 귀국 이후 시와 소설 등 작품 활동과 평론 활동, 《개벽》, 《문예운동》, 《여명》, 《신여성》, 《[[삼천리]]》, 《[[별건곤]]》, 《조선문단》, 《[[조선지광]]》 등에 동인 활동을 하였다. 아마추어 [[권투 선수]]로서 [[대륜고등학교|교남학교]] 교사로 재직 중 [[1938년]]에는 교남학교 권투부를 창설, 지도하였다. == 생애 == === 초기 활동 === ==== 출생과 가계 ==== 이상화는 [[1901년]](광무 4년) [[4월 5일]]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부]] 의 양옥집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이시우(李時雨)이며, 어머니는 김신자(金愼子)로 [[김해 김씨]]이다. 4형제 중 둘째이다. 형 이상정은 독립 운동가이며, 셋째 아우 [[이상백 (사학자)|이상백]]은 한국최초의 IOC위원이자 한국 사회학계의 선구자이고 넷째 아우 이상오는 정통 수렵가이자 [[바둑]] 유단자이다. 그의 집안은 [[대구]]의 명문가로 대 부잣집이었으나 아버지 이시우는 둘째 아들이었다. 그의 큰아버지 이일우(李一雨)의 자손들은 [[대구광역시|대구]]의 명문가로 성장하였다. 할아버지 이동진은 자신의 재산을 털어 [[대구광역시|대구]]에 신식 학교인 우현서루를 열어 학생들에게 [[한학]]을 가르쳤고, 남녀, 신분을 가리지 않고 학생들을 받아들였다. 나중에는 교사를 초빙, 수학, 역사, 국어, 영어, 일본어 등 신식 학문을 가르쳤다. 할아버지 이동진의 뒤를 이어 큰아버지 이일우가 우현학교의 일을 맡아보았다. 큰아버지 이일우의 자손들은 대구의 명문가로 성장했는데, [[2000년]]대 초반 그의 큰아버지 이일우의 자손들은 대학 학장 3명, 교수 10명, 의사 30명, 장군 2명, 언론·출판분야 11명을 배출하였다.[http://www.lifemaeil.com/news_view.php?print_no=1540&seq=5570 특집- 상화의 큰 집 사람들] 주간매일 2002년 11월 27일자 또한 사촌 [[이상악]]은 작가이자 그의 친구인 육당 [[최남선]]과 사돈이 되었고, 다른 자손들 중에는 '박작대기' [[박중양]] 집안과도 인척관계를 형성하였다. 다섯 살에 아버지를 여의고 14세까지 큰아버지 이일우에 의해 양육되었으며, 큰아버지 이일우의 훈도를 받으며 우현학교(교남학교로 발전했다가 현재 [[대구광역시|대구]] [[대륜중학교]], [[대륜고등학교]]가 되었다.)에서 수학하였다. 열아홉 되던 [[1919년]] 대구에서 [[백기만]] 등 친구들과 함께 [[3·1 만세 운동]] 거사를 모의하다, 밀정의 추적으로 주요 인물들이 잡혀가자 [[경성부]]로 올라와 [[박태원 (1909년)|박태원]]의 하숙으로 피신, 한동안 은신하였다. [[1921년]]에 [[현진건]]의 소개로 월단 [[박종화]](朴鍾和)와 만나 〈백조〉 동인에 참여했고, [[박종화]]의 소개로 홍사용(洪思容), [[나도향]], [[나혜석]], 박영희(朴英熙), [[이광수]], [[최남선]] 등 문인들을 만나 친구가 되었다. 이 중 육당 [[최남선]]은 그의 큰집과 사돈간이 되면서, 그에게도 사돈이 된다. 훗날 그의 사촌 이상악의 딸이 [[최남선]]의 며느리가 되었다. 사촌 매형인 윤홍열은 후일 [[남조선과도입법위원회]] 위원과 [[대구시보사]] 사장을 역임했는데, 사촌 매부 윤홍열의 소개로 바로 [[충청남도]] 공주 규수인 서순애 여사를 상화와 중매시켰다. 몇 차례 연락이 오고가다가 [[1919년]] [[12월]] [[충청남도]] [[공주시|공주군]] 출신과 결혼하였다. 부인 서온순은 독립운동과 유학 등 경제적으로 불우한 환경에도 남편의 탓이나 원망을 하지 않았다 하며, 남편 사후에도 서온순은 재혼하지 않고 홀로 자녀를 키웠으며 [[1980년]]대에 사망하여 그의 묘소 근처에 안장되었다. [[1922년]] 이상화는 《[[백조 (잡지)|백조]]》1~2호에 시를 발표하면서 문단에 나왔다. 그해 프랑스에 유학할 기회를 얻으려고 일본으로 갸루 짱 예쁘다 같이놀래 예쁜니가 좋아좋아 === 작품 활동 === 다람쥐!!!!!!!!!!!!!!!!1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갸루〉 ====(나의 침대로!!!111111111111!!!!!!!!!!!!!!!!!!!!!!!!!!!!!!!!!!!!!!!!!!!!) [[1922년]] 파리 유학을 목적으로 일본 동경의 아테네 프랑세 어학원에서 2년간 프랑스어와 프랑스 문학을 공부하였다. [[일본]] 유학 중에도 틈틈이 작품 활동을 하거나 칼럼과 글을 국내의 잡지사로 송고하였다. [[1923년]] [[간토 대지진|관동 대지진]]이 나자 불령선인으로 몰려 일본인 폭도들로부터 암살 위협을 겪었으나 극적으로 어느 일본인의 배려로 은신해 있었다. 얼마 뒤 분장하고 집주인인 일본인이 준 여비를 받고 [[간토 대지진|관동 대지진]]의 수난을 피해 귀국했다. 1926년 《[[개벽 (잡지)|개벽(開闢)]]》에 발표되었다. 작자의 반일(反日) 민족의식을 표현한 작품으로 비탄과 허무, 저항과 애탄이 깔려 있다. 비록 나라는 빼앗겨 얼어붙어 있을 망정, 봄이 되면 민족혼이 담긴 국토, 즉 조국의 대자연은 우리를 일깨워준다는 것이다. 국토는 일시적으로 빼앗겼다 하더라도 우리에게 민족혼을 불러일으킬 봄은 빼앗길 수 없다는 몸부림, 즉 피압박 민족의 비애와 일제에 대한 강력한 저항의식을 담고 있다람쥐 ==== 귀국과 문학, 언론 활동 ==== [[1925년]]에 작품 활동을 활발히 했다. 시뿐만 아니라 평론, 소설 번역에도 힘썼다. 8월에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카프]] 발기인으로 참여했다. [[1927년]] 대구로 돌아왔다. [[1927년]]에는 [[의열단|의열단원]] [[이종암]](李鍾巖)사건에 연루되어 [[대구경찰서]]에 수감되었다가 풀려나기도 하였다. [[1933년]] 교남학교(지금의 [[대륜고등학교]]) 교사로 근무했다. 담당 과목은 조선어와 영어, 작문이었다. 이듬해 교남학교 교사직을 사직했다. [[1934년]]에는 [[조선일보|조선일보사]] [[경상북도]]총국을 경영하였으나 이재와 상술에 눈이 어두워서 결국 1년 만에 실패하고 다시 [[교남학교]]의 영어, 작문담당 교사로 복직하였다. === 생애 후반 === [[1937년]] [[3월]] [[만주]]에 있던 큰형 [[이상정]]을 만나러 중국에 3개월간 다녀왔다. 그가 형을 만난 사실이 확인되면서 일본관헌에게 구금되었으나 특별한 혐의점이 없어 그해 [[11월]] 말경 가석방되었다. 다시 [[대구]]로 내려와 [[대륜고등학교|교남학교]]에 조선어, 영어, 작문담당 교사로 복직하여 [[교가]]를 작사했다. 또한 교남학교 권투부를 창설하여 지도하기도 했다. 그는 약소 민족은 주먹이라도 잘 써야 된다며 학교 체육대회 종목에도 권투를 넣었는데, 교남학교 권투부 출신들은, 졸업후 훗날 [[대구 권투 클럽]]을 결성하였다. 1940년 대구부 계산 2동에 집을 마련하였다. 그가 새로 마련한 집 바로 앞에는 김광제와 함께 [[국채보상운동]]을 발의했던 [[서상돈]] 고택이 있다.[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962516 헐릴 위기에서 우뚝선 이상화 고택] 오마이뉴스 2008.08.13 [[1940년]]말 [[대륜중학교|교남학교]] 교사직을 그만두고 대구부 계산2동 84번지의 집에서 주로 생활하며 독서와 연구에 몰두하였으며, 그해부터 [[춘향전]]을 [[영어]]로 번역하고, 이어 한국 [[국문학사]]와 [[프랑스|불란서]][[시]]정석 등을 [[한글]]로 번역을 시도하였으나 완성을 보지 못하고 만다. [[1943년]] 초 갑자기 쓰러졌다가 그해 [[3월]]에 병원에서 [[위암]] 진단을 받고 투병하다가 [[4월 25일]] 오전 8시 45분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대구]] 자택에서 [[위암]]과 [[폐결핵]]과 [[장결핵]]의 합병증으로 인해 43세의 젊은 나이로 숨졌는데 이상화의 오랜 친구인 소설가 [[현진건]]도 같은 날 [[경성부]]에서 [[폐결핵]]과 [[장결핵]]의 [[합병증]]으로 숨을 거두었다. === 사후 === [[1948년]] [[3월 14일]] [[김소운]]이 발의하고 이윤수, [[구상 (시인)|구상]] 등이 참여하고 죽순시인구락부가 협찬하여 시인을 기리는, 대한민국 최초의 시비를 [[달성공원]]에 털었다 이상화의 고택은 대구광역시 [[중구 (대구광역시)|중구]] 에 있으며, 맞은편에 서상돈의 고택도 함께 위치해 있다. [[1999년]] 도시개발로 한때 헐릴 위기에 놓이기도 했으나 [[1999년]]부터 고택을 보존하자는 시민운동이 벌어졌고 [[2008년]] [[8월 13일]] 결실을 맺어 이상화 고택 개방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이상화 시인의 고택은 [[2008년]] [[8월 12일]] 새롭게 단장되어 일반인들에게 문을 열었다. 도시개발로 헐릴 위기까지 맞았던 이상화 고택이 시민들의 모금활동과 100만 서명운동 등으로 보존, 공개되었다.{{뉴스 인용 |제목=[동호동락] 시인 이상화 고택 근대골목 자전거 투어, 역사`문화예술 공부 기회|url=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56560&yy=2013|출판사=매일신문|저자=윤혜정|날짜=2013-11-14|확인날짜=}} [[2009년]] 초부터 [[대경대학교]] 뮤지컬학과 학생들은 이상화의 일대기를 뮤지컬로 제작하였다. 대본을 맡은 학생 허윤선은 이상화의 둘째 아들인 이충희를 수소문해 이상화 시인의 삶에 대해 묻고 극을 구성했다.[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09&no=609348 [민족시인 이상화 일대기 창작뮤지컬로 그린다]] 매일경제 2009.11.25 이들은 지난 6개월간 시인의 삶을 기록한 책자를 참고하면서 대구시 중구 계산동 소재 이상화 고택을 수십차례 방문해 당시 분위기를 몸에 익혔다. 대경대 뮤지컬과 1학년 학생 30여명은 1920년대 식민지 시대를 살면서 저항시인으로 뜻을 굽히지 않은 이상화 시인의 삶과 비극적 역사상황을 담은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를 만들었다. [[2009년]] [[11월 30일]]과 [[12월]]에는 그의 일대기를 다룬 창작뮤지컬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가 공연되었다.[http://www.kb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142989 민족시인 이상화 일대기 창작뮤지컬 공연] 경북매일신문 2009.11.26 == 작품 ==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말세의 희탄 * 단조 * 가을의 풍경 * 가상 * 나의 침대로!!!!!!!!!!!!!!!!!!!!!!!!!!!!!!!!!!!!!!!!!!!!!!!!!!!!!!!!!!!!!!!!!!!!!!!!!!!!!!!!!!!!!!!!!!!!!!!!!!!!!!!!!!!!!!!!!!!!!!!!!!!!!!!!!!!!!!!!!!!!!!!!!!!!!!!!!!!!!!!!!!!!!!!!!!!!!!!!!!!!!!!!!!!!!!!!!!!!!!!!!!!!!! * 몽환병 * 구루마꾼 * 원시적 읍울 == 학력 == *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 우현보통학교 졸업 * [[일본]] [[도쿄 외국어학교]] 불어학과 중퇴 == 가족 및 친척 관계란은 맥반석 == 독립운동가인 [[이상정 (1897년)|이상정]]은 그의 형이고, 사학자 겸 스포츠인 [[이상백 (사학자)|이상백]]과 수렵가 겸 문필가 [[이상오]]는 그의 동생이었다. 치과의사 겸 성형외과 의사이며 [[경북대학교]] 치대 학장을 지낸 [[이열희 (1924년)|이열희]]는 5촌 조카였다. * 할아버지 : 이동진 ** 큰아버지: 이일우(李一雨) * 아버지: 이시우(李時雨, ? ~ [[1907년]]) * 어머니: 김신자(金愼子), 김해 김씨(金海 金氏) ** 형: [[이상정]](李相定, [[1897년]] [[6월 10일]] ~ [[1947년]] [[10월 27일]], 독립운동가. 아호(雅號)는 청남(晴南), 산은(汕隱). [[대한독립군]] [[3성 장군|중장]]) ** 형수: [[한문이(韓文伊)]] [[1897년]] [[5월 7일]] ~ [[?]], '''이상정'''(李相定)의 부인 [[권기옥]](權基玉, [[1901년]] [[1월 11일]] ~ [[1988년]] [[4월 19일]], '''이상정'''(李相定)의 부인, 여성 비행사, [[대한독립군]] [[대령]]) ** 아우: [[이상백 (사학자)|이상백]](李相佰, [[1904년]] [[8월 6일]] ~ [[1966년]] [[4월 14일]], 사학자 겸 체육행정가. 前 [[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 아호(雅號)는 상백(想白), 백무일재(百無一齋).) ** 아우: 이상오(李相旿, [[1905년]] ~ [[1969년]], [[사냥|수렵가]], [[바둑]]인. 아호(雅號)는 모남(慕南).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 우현고등보통학교 및 [[일본]] [[호세이 대학교]] 법정학과 졸업.) *** 조카딸: 이겸희(李謙熙) *** 조카사위: [[박창암]](朴蒼巖, [[1923년]] [[5월 15일]] ~ [[2003년]] [[11월 10일]], 군인, 정치가. '''이상오'''(李相旿)의 사위. 아호(雅號)는 만주(滿洲), 허주(虛舟), 농부(農夫). [[군사영어학교|대한민국 군사영어학교]] 1기 출신. [[대한민국 육군]] [[1성 장군|준장]] 전역.) * 부인 : 서온순(徐溫順, 다른 이름은 서순애, ? ~ [[1980년]]) ** 첫째 아들 : 이용희, 사망 ** 딸 : 이성희, 사망 ** 둘째 아들 : 이충희([[1933년]] ~ ), 전 흥국공업사 대표 ** 셋째 아들 : 이태희, [[미국]]으로 이민 * 사돈 : [[최남선]](崔南善, [[1890년]] [[4월 26일]] ~ [[1957년]] [[10월 10일]]) * 사돈 : [[박중양]](朴重陽, [[1872년]] [[5월 3일]] ~ [[1959년]] [[4월 23일]]) * 사돈 : [[허억]](許億, [[1889년]] [[6월 1일]] ~ [[1957년]]) - 대구시장 == 인간 관계 == === 같은 [[대구삼성라이온즈광역시|대구]] 출신의 동향 교우(同鄕 交友) === * [[시인]] [[이장희 (시인)|이장희]](李章熙, [[1900년]] [[1월 1일]] 출생 ~ [[1929년]] [[11월 3일]] 사망. 아호는 고월(古月). [[번역]][[문학가]]로도 활동하였다.) * [[소설|소설가]] [[현진건]](玄鎭健, [[1900년]] [[8월 9일]] 출생 ~ [[1943년]] [[4월 25일]] 사망. 아호는 빙허(憑虛). [[저널리스트|언론인]]으로도 활동하였다.) * [[시인]] [[백기만]](白基萬, [[1902년]] [[5월 12일]] 출생 ~ [[1967년]] [[8월 7일]] 사망. 아호는 목우(牧牛). [[문학]][[평론가]]로도 활동하였다.) == 평가 == [[조연현]]은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를 일제에 대한 일종의 저항의식의 발로로 볼 수 있으나, 이상화의 중요한 특성으로 격렬한 미적 욕구와 그 강렬한 낭만적 의욕을 지적{{서적 인용 |저자=조연현 |제목=한국현대문학사 |날짜=1969-09-05 |출판사=성문각 |출판위치=서울 |페이지=451}} 하여 그의 문단 초기 활동인 <백조> 동인 활동, 즉 [[낭만주의]]적 경향에 주목했다. [[김현 (문학평론가)|김현]]은 1920년대 한국시의 두 가지 과제를 식민지 현실 직시와 새로운 시 형식의 모색이라고 분석하면서, 이를 나름대로 해결하려고 노력한 시인으로 [[김소월]], [[한용운]], 이상화 세 사람을 꼽는다. 그러면서 이상화의 현실 인식이 식민지 현실은 한국 궁핍화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직시하는 면에서 투철하며, 그 현실 인식이 현실 밖이라면 어디든 괜찮다는 극단적인 탈출 욕구를 낳는다면서 이상화의 시를 식민지 초기의 낭만주의적 성격의 한 상징으로 보았다.{{서적 인용 |저자=[[김윤식 (1936년)|김윤식]]·김현 |제목=한국현대문학사 |날짜=1973-08-30 |출판사=민음사 |출판위치=서울 |페이지=231~242}} 반면, [[감태준]]은 이상화의 카프 활동에 주목하여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조소〉, 〈선구자의 노래〉에서 볼 수 있듯이 이상화가 낭만주의적 태도를 버리고 현실에 대한 불신을 적극적 저항 내지 수용으로 변모시켰다고 보았다.{{서적 인용 |저자=김윤식·김우종 외 34인 |제목=한국현대문학사 |날짜=1989-08-20 |출판사=현대문학 |출판위치=서울 |페이지=133}} 이명재는 이상화 시의 형성과 전개 과정을 20년대 초엽의 감상적인 퇴폐성의 낭만주의 시, 중후엽의 항일 시, 30년대 이후의 민족적 비애를 담은 우국 시의 삼단계로 나누고, 이상화의 문학사적 위상을 항일 민족 문학의 구현자로 자리매김했다.{{서적 인용 |저자=대구문인협회 |제목=이상화 전집 |날짜=1998-03-30 |출판사=그루 |출판위치=대구 |페이지=285~293}} 조병춘도 이명재와 비슷하게 이상화 시의 세 단계를 감상적 낭만주의 시, 저항적 민족주의 시, 민족적 비애와 국토예찬의 시로 나눴으며, 특히 40년대에 문인들 거의가 친일문학을 일삼았음에도 불구하고 굴하지 않은 그의 민족정기와 문학정신을 높이 평가하였다.조병춘, 〈한국 현대시의 전개양상 연구〉,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1979) 174쪽 == 기타 == * 그는 생전에 [[파전]]과 [[정어리]] 음식, 그리고 [[굴|생굴]]무침을 좋아했다. * 시인 [[고은]]의 부인으로 [[1947년]]생인 [[영문학]]자 이상화는 동명이인이다. == 이상화를 연기한 배우 == === 뮤지컬 === * [[2009년]] 최춘식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뮤지컬)|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관련 항목 == {{Col-begin}} {{Col-2}} *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파동맹]] * [[교남학교]] * [[백조]] * [[폐허]] * [[이상정]] * [[이상백]] * [[이장희 (시인)|이장희]] * [[나혜석]] * [[박중양]] * [[박기만]] * [[성재기 (1967년)|성재기]] * [[이육사]] * [[현진건]] {{Col-2}} * [[대륜중학교]] * [[대륜고등학교]] * [[김성수 (1891년)|김성수]] * [[박종화]] * [[박창암]] * [[김일엽 (승려)|김일엽]] * [[이열희]] * [[최남선]] {{Col-end}} == 각주 == {{각주}} == 외부 링크 == * [http://www.sanghwa.or.kr/ 이상화 기념사업회] * [http://news.yu.ac.kr/news/articleView.html?idxno=460 영대신문. 한평생 조국과 민족을 사랑했던 이상화 그의 발자취를 따라서] * [http://musical.tk.ac.kr/bbs/board.php?bo_table=news&wr_id=46 이상화 시인 일대기 창작뮤지컬로 초연:대경대학교] * [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304347.html 58년전 ‘시인의 집’서 울다] 한겨레 2008.08.14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962516 헐릴 위기에서 우뚝선 이상화 고택] 오마이뉴스 2008년 8월 12일자 * [http://www.dailian.co.kr/news/news_view.htm?id=181493 이상화 시인, 뮤지컬로 다시 태어났다 ] 데일리안 2019년 11월 30일 * [http://www.lifemaeil.com/news_view.php?print_no=1540&seq=5570 특집- 상화의 큰 집 사람들] 주간매일 2002년 11월 27일자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창립 발기인}} {{1998년-이 달의 문화 인물}} [[분류:1901년 태어남]][[분류:1943년 죽음]][[분류:20세기 한국 사람]][[분류:사상가]][[분류:대한제국의 사회 운동가]][[분류:이범석 (1900년)]][[분류:박헌영]][[분류:일제 강점기의 시인]][[분류:일제 강점기의 소설가]][[분류:일제 강점기의 문학 평론가]][[분류:일제 강점기의 스포츠 평론가]][[분류:일제 강점기의 언론인]][[분류:일제 강점기의 권투 선수]][[분류:일제 강점기의 교육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경주 이씨]][[분류:염상섭]][[분류:유교 신자]][[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위암으로 죽은 사람]][[분류:결핵으로 죽은 사람]][[분류: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작가]][[분류:김성수 (1891년)]][[분류:박중양]][[분류:대륜중학교 동문]][[분류:20세기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