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정보 | 이름 = 이봉희
李鳳羲 | 출생일 = [[1868년]] [[10월 15일]] | 출생지 = [[조선]] [[경상북도]] [[안동시]] |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1937|1|28|1868|10|15}} | 사망지 = 중국 [[흑룡강성]] | 사망원인 = 병사 | 직업 = [[독립운동가]]
| 별칭 = '''이계동'''(李啓東), '''이상훈'''(李相勳),
'''이상희'''(李相熙), '''이경식'''(李京植),
'''이기동'''(李基東),
자(字)는 덕초(德初), 호(號)는 척서(尺西) | 국적 = [[대한민국]] | 본관 = [[고성 이씨|고성]] | 종교 = [[유교]] | 소속 = [[서로군정서]], 광복단 | 부모 = 이승목(부) | 자녀 = [[이광민]](아들)
[[이광국]](아들) | 친척 = [[이상룡 (1858년)|이상룡]](형)
[[이상동]](형)
[[이준형 (1875년)|이준형]](조카)
[[이형국]](조카)
[[이운형]](조카)
[[권세연]](외숙부)
[[이병화]](종손)
[[이승화 (1876년)|이승화]](당숙) }} '''이봉희'''(李鳳羲 [[1868년]] [[10월 15일]] ~ [[1937년]] [[1월 28일]])는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이다. [[신흥무관학교|신흥학교]] 교장을 역임하며 독립운동 지도자를 양성했다. 본관은 고성(固城). 안동 출신.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 [[이상룡 (1858년)|이상룡(李相龍)]]의 동생이며, [[정의부]] 재무위원인 [[이광민]]의 아버지다. '''이계동'''(李啓東), '''이상훈'''(李相勳), '''이상희'''(李相熙), '''이경식'''(李京植), '''이기동'''(李基東) 등 여러 이름을 썼다. 자는 덕초(德初), 호는 척서(尺西). 1990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 생애 == 3대에 걸쳐 독립유공자 9명을 배출한[http://www.kyongbuk.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959430 경북일보 고성 이씨 석주 이상룡 생가 임청각] [[안동시|안동]] 에서 태어났다. 1895년 [[항일의병운동|을미의병]]에 참여했고, 1905년 [[이상룡 (1858년)|이상룡]], 박경종 등과 함께 [[가야산]]에 의병기지 건설을 도모했으나 일본군의 기습으로 실패했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서적 인용 |저자=채영국 |날짜=2007 |제목=서간도 독립군의 개척자 이상룡의 독립정신 |쪽=61}} 1908년 대한협회 안동지회 설립에 참여해 구국운동을 했다. 1911년 만주로 망명, [[경학사]]를 설립에 참여[[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학술정보하는 등 독립운동 기지 건설에 헌신했다. 1914년 [[신흥무관학교|신흥학교]] 교장을 맡아 수많은 독립운동 지도자들을 길렀다.[[국가보훈처]] 독립운동가(공훈록) 1915년에 광복단의 단원이 되어 간도에 거주하는 한인들의 생활기반 안정에 힘썼다. 같은 해, 국내에서 조직된 [[대한광복회]] 총사령 [[박상진 (1884년)|박상진]](朴尙鎭)을 후원하기도 했다. 1919년 [[서로군정서]] 창설요원으로 활동했고, 1920년 광복단의 서간도지역 외교원이 되어 중국정부와 교섭해 농토개척권을 얻어내는 한편 화룡현(和龍縣) 일대에서 군자금 모집활동을 했다. 1925년 [[서간도]]에서 [[흑룡강성]]으로 활동무대를 옮기고{{서적 인용 |저자1=허은 |저자2=변창애 |날짜=2010 |제목=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소리가 |쪽=132}} 중국공산당 파견원으로서 한인 사회주의자들의 [[중국공산당]] 가입을 이끌었다. 1927년 2월부터 [[흑룡강성]] 탕원현(湯源縣) 오동하서(梧桐河西)에서 농토개척사업에 힘썼다. 1932년 [[이상룡 (1858년)|이상룡]]의 병이 깊다는 소식을 듣고 [[하얼빈]]에서 와서 환국할 것을 설득했으나 거부당했다.{{서적 인용 |저자1=허은 |저자2=변창애 |날짜=2010 |제목=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소리가 |쪽=167}} [[이상룡 (1858년)|이상룡]] 사후 [[이준형 (1875년)|이준형]] 일가가 환국할 때 중국 내 구간을 동행하는 등 직접적인 도움을 주었다.{{서적 인용 |저자1=허은 |저자2=변창애 |날짜=2010 |제목=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소리가 |쪽=182}} 1937년 1월 28일 [[하얼빈]](哈爾濱) 취원창(聚源昶)에서 70세의 일기로 사망했다. 1990년 [[국가보훈처]]에 의해 [[이상룡 (1858년)|이상룡(李相龍)]], 이승화(李承和), [[이광민|이광민(李光民)]] 등 재만독립운동가들의 유해와 함께 국내로 봉환되어 [[국립대전현충원]] 안장됐다. 1990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됐다. == 가계 == * 부친 : 이승목(李承穆) * 모친 : 권씨 *** 아들 : [[이광민]](李光民) **** 손자: 이석화(李錫華) *** 아들 : [[이광국]](李光國) ** 형 : [[이상룡 (1858년)|이상룡]](李相龍) *** 조카 : [[이준형 (1875년)|이준형]](李濬衡) **** 종손 : [[이병화]](李炳華) ** 형 : [[이상동]](李相東) *** 조카 : [[이형국]](李衡國) *** 조카 : [[이운형]](李運衡) * 당숙: [[이승화 (1876년)|이승화]](李承和) == 참고 자료 == * 이종서 《군자불기의 임청각, 안동 고성이씨 종가》2016 * 주동욱 《신흥무관학교 항일독립운동의 요람》 2013 * 허은 《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소리가》 2010 * 채영국 《서간도 독립군의 개척자 이상룡의 독립정신》 2007 * [[국가보훈처|국가보훈처 독립유공자(공훈록)]] * [http://www.815gb.or.kr/main 경상북도 독립운동 기념관] * [http://andong.grandculture.net/?local=andong 디지털안동문화대전] * [http://www.ugyo.net/cf/frm/tuFrm.jsp?CODE1=02&CODE2=03&CLSS=2&sBookNmbr=A003&sMok_Nmbr=575 유교넷 (안동)독립운동가 700인] == 각주 == == 외부 링크 == * [http://www.imcheonggak.com/ 임청각 홈페이지] [[분류:1865년 태어남]][[분류:1951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분류:안동시 출신]][[분류:고성 이씨]][[분류:일제 강점기의 사회 운동가]][[분류:한국의 사회주의자]][[분류:이상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