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정보
| 이름 = 이병화
李炳華
| 그림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1/1e/%EC%9D%B4%EB%B3%91%ED%99%94.jpg
| 출생일 = [[1906년]] [[2월 26일]]
| 출생지 = [[대한제국]] [[경상북도]] [[안동시]]
|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1952|6|8|1906|2|26}}
| 사망지 = [[대한민국]] [[충청남도]] [[아산시|아산]]
| 사망원인 = 병사
| 직업 = [[독립운동가]]
| 별칭 = '''이대용'''(李大用), '''이계오'''(李桂五),
'''이병화'''(李秉華), '''이경천'''(李慶天), '''이탁'''(李拓)
자(字)는 경천(敬天)
호(號)는 소파(小坡)
| 국적 = {{국기나라|대한민국}}
| 본관 = [[고성 이씨|고성]]
| 종교 = [[유교]]
| 소속 = [[대한통의부]]
| 부모 = [[이준형 (1875년)|이준형]](부), 이중숙(모)
| 친척 = [[이상룡 (1858년)|이상룡]](조부)
[[이상동]](종조부)
[[이봉희]](종조부)
[[이형국]](당숙)
[[이운형]](당숙)
[[이광민]](당숙)
[[이광국]](당숙)
[[김대락]](진외종조부)
[[이원조 (문학평론가)|이원조]](외당질,처사촌)
[[이육사]](외당질,처사촌)
}}
'''이병화'''(李炳華, [[1906년]] [[2월 26일]] ~ [[1952년]] [[6월 8일]])는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다. 만주에서 무장항일투쟁을 했다. 본관은 [[고성 이씨|고성]](固城). [[안동시|안동]] 출신. 조부는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을 지낸 [[이상룡 (1858년)|이상룡]]이며 부친은 독립운동가인 [[이준형 (1875년)|이준형]]이다. 이대용(李大用), 이계오(李桂五), 이병화(李秉華), 이탁(李拓), 이경천(李慶天), 이춘원(李春元)과 같은 여러 이름을 썼다. 자는 경천(敬天), 호는 소파(小坡). 1990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 생애 ==
1906년 경상북도 안동에서 출생했다. 생가인 [[안동 임청각|임청각]](보물 제182호)은 500년 된 현존하는 가장 규모가 큰 살림집으로[[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8560 한국관광공사 대한민국 구석구석 행복여행 - 안동 임청각]], 3대에 걸쳐 독립유공자 9명을 배출했다.[{{웹 인용 |url=http://mpva.tistory.com/2169 |제목=국가보훈처 공식블로그 - 9명의 독립운동가를 배출한‘임청각’ |확인날짜=2016-08-18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60919221645/http://mpva.tistory.com/2169 |보존날짜=2016-09-19 |깨진링크=예 }}]
1911년 조부 [[이상룡 (1858년)|이상룡]](李相龍)과 부친 [[이준형 (1875년)|이준형]](李濬衡)을 따라 만주로 갔다.
1922년 [[대한통의부]](大韓統義府)가 결성되자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국내 진공작전에 따라 1924년 평안북도 청성진의 일본 경찰주재소를 습격, 일본 경찰을 사살한 후 본대로 복귀했다.[[[국가보훈처]] 독립유공자(공훈록)]][{{서적 인용 |저자=반병률 |날짜=2009 |제목=한국독립운동의 역사 49 : 1920년대 전반 만주·러시아지역 항일무장투쟁 |쪽=324}}]
1929년 일제 밀정 정해붕의 밀고로 중국 치안 당국에 체포됐다.[{{서적 인용 |저자=이종서 |날짜=2016 |제목=군자불기의 임청각, 안동 고성이씨 종가 |쪽=171}}][{{서적 인용 |저자1=허은 |저자2=변창애 |날짜=2010 |제목=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소리가 |쪽=141}}] 종조부 [[이봉희]]가 '이병화는 중국과 동지 입장에서 일본과 싸우는 사람'임을 강조한 진정서를 내는 노력 끝에 100일만에 석방되었다.[{{서적 인용 |저자1=허은 |저자2=변창애 |날짜=2010 |제목=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소리가 |쪽=145}}]
1930년 중국공산당의 [[리리싼|이립삼]]노선에 따라 요동지역에 가서 농민봉기를 주도했다.
1932년 조부 [[이상룡 (1858년)|이상룡]]이 사망한 데다 일제가 만주를 장악하자 귀국했다.
1934년 5월 [[신의주]] 경찰서에 체포되어 그해 6월 일제 경찰을 사살한 혐의로 징역 7년형을 언도받았다.[동아일보 1934년 6월 27일 석간 2면.]
2년 반 복역 후 풀려났고 지속적으로 일제의 감시를 받았다. 1941년 반일사상을 고취한 혐의로 체포되었다가 6개월 간 투옥됐다.[{{서적 인용 |저자=이종서 |날짜=2016 |제목=군자불기의 임청각, 안동 고성이씨 종가 |쪽=172}}] 이후 수 차례 체포됐고 고문을 당했다.[{{서적 인용 |저자1=허은 |저자2=변창애 |날짜=2010 |제목=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소리가 |쪽=192}}]
1942년 [[만주]]로 가서 독립운동을 하던 중 부친 [[이준형 (1875년)|이준형]]의 자결 소식에 귀국했다.[{{서적 인용 |저자1=허은 |저자2=변창애 |날짜=2010 |제목=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소리가 |쪽=208}}] 1944년 일제의 눈을 피해 안동 농림학교 조선회복연구단을 심야에 방문해 상복차림으로 연설을 하는 등 국내에서 독립운동을 계속하다가 다시 체포됐다. [[안동경찰서]] 유치장에서 8.15 광복을 맞았다.[{{서적 인용 |저자1=허은 |저자2=변창애 |날짜=2010 |제목=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소리가 |쪽=197}}]
1952년 육이오 전쟁으로 충남 아산에서 피난중에 고문 후유증으로 사망했다. 충남 아산 선장면 죽산리에 묻혔다.
==묘소==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8/88/Patriot_Lee%27s_2.jpg/220px-Patriot_Lee%27s_2.jpg
부친 이준형 옆에 모셔져 있는 대전현충원 묘소
아산에 있던 유해는 1964년 [[안동시|안동]] 선산으로 이장됐다. 1990년 광복절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함으로써 1991년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묘비문은 {{인용문|얼어붙은 조국하늘 얼어붙은 조국땅 태양도 빛을 잃어 아! 캄캄한 조국 광복의 그날 위해 압록강 울며 건너 장부의 거센 숨결 대륙에 뿌리시다 명예도 잊은 채 사랑도 남김없이 마흔여섯 빛나는 삶 조국 가슴에 묻으시니 뒤따르는 자 어찌 두려워하랴 백두에서 한라까지 갈라진 겨레 하나 될 통일의 그날 님의 웅지 부활하리}}라고 새겨져 있다.
== 백범일지 ==
백범일지에는 공산주의 사상을 가진 독립운동가들에 대한 안 좋은 평가가 많이 있는데, 그 중 이상룡의 자손은 공산주의에 충실한 나머지 살부회(아비 죽이는 회)까지 조직하였다고 하나 제 아비를 제 손으로 죽이지는 않고 회원끼리 서로 아비를 바꾸어 죽이는 것이라 하니 아직도 사람의 마음이 조금 남았다라는 부분이 있다. 2015년 개봉된 영화 [[암살 (2015년 영화)|암살]]에서는 살부계에 대한 이야기도 백범일지의 살부회를 연상시키고 있으나, 이병화의 부친 [[이준형]]은 1942년 독립의 요원함에 비관하여 자결하였다. 이병화는 해방 후 이 내용을 가지고 당시 부통령이던 [[이시영 (1868년)|이시영]]을 찾아가서 송사하겠다고 했으나 이시영은 사실이 왜곡되었다고 하면서도 새나라 건설의 복잡한 시기에 그런 일로 재판을 하면 온 나라가 또 시끄러워지고 혼란스러워지니 염려하지 말라고 말했다고 한다.[허은, 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소리가, 정우사, 1995년]
== 저서 ==
* 소파유고
== 가계 ==
* 조부 : [[이상룡 (1858년)|이상룡]](李相龍)
** 부친 : [[이준형 (1875년)|이준형]](李濬衡)
** 모친 : 이중숙(李中淑)
*** 배우자 : 허은(許銀)
*** 누나 : 이후석(李厚錫)
* 종조부 : [[이상동]](李相東)
** 당숙 : [[이형국]](李衡國)
** 당숙 : [[이운형]](李運衡)
* 종조부 : [[이봉희]](李鳳羲)
** 당숙 : [[이광민]](李光民)
** 당숙 : [[이광국]](李光國)
* 진외종조부 : [[김대락]](金大洛)
* 외당질 : [[이육사]](李陸史)
* 외당질 : [[이원조 (문학평론가)|이원조]](李源朝)
== 각주 ==
{{각주}}
== 참고 문헌 ==
* 서중석 《신흥무관학교와 망명자들》2001
* 허은, 변창애 《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소리가》 2010
* 이종서 《군자불기의 임청각, 안동 고성이씨 종가》2016
* [http://mpva.go.kr/narasarang/gonghun_view.asp?ID=5557&ipp=10000 국가보훈처 독립유공자(공훈록) - 이병화]
* [http://www.815gb.or.kr/main 경상북도 독립운동 기념관]
* [http://andong.grandculture.net/?local=andong 디지털안동문화대전]
* [http://www.ugyo.net/cf/frm/tuFrm.jsp?CODE1=02&CODE2=03&CLSS=2&sBookNmbr=A003&sMok_Nmbr=575 유교넷 (안동)독립운동가 700인]
== 외부 링크 ==
* [http://www.imcheonggak.com/ 임청각 홈페이지]
[[분류:1906년 태어남]][[분류:1952년 죽음]][[분류:한국의 사회주의자]][[분류:대한민국 임시 정부 시대 육군 장교]][[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분류:고려공산청년회]][[분류:이상룡]][[분류:고성 이씨]][[분류:안동시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