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의원군 (1661년)

r1.1과 현재 버전의 차이점

@@ -6,13 +6,12 @@
| 별칭 = 자(字)는 매중(晦仲) <br /> 호(號)는 근독당(謹獨堂)
| 시호 = 문정 <br /> 文貞
| 출생일 = {{출생일|1661|6|13}}
| 출생지 = [[조선]] [[한성부]] [[낙산]] 동쪽 복녕군 사저
| 출생지 = [[조선]] [[한성부]] 사저
|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1722|11|12|1661|6|13}}
| 사망지 = [[조선]] [[한성부]] [[복창군]] 사저
| 사망지 = [[조선]] [[한성부]] 사저
| 배우자 = 본실 [[군부인]] [[안동 권씨]] <br /> 첩실 [[광성 김씨]]
| 왕가 = [[조선|조선 왕조]] [[전주 이씨]]
| 왕조 = [[조선|조선 왕조]]
| 매장지 = {{KOR}} [[경기도]] [[광주시 (경기도)|광주]]
| 종교 = [[유교]]([[성리학]])
| 아버지 = [[복창군]](양부) <br /> [[복녕군]](생부)
| 어머니 = 군부인 [[창원 황씨]](양모)<br /> 군부인 [[양천 허씨]](생모)



{{왕족 정보
| 이름 = 의원군
| 원래 이름 = 義原君
작위 = [[군 (작위)
군(君)]] <br /> 승헌대부(承憲大夫) <br /> 흥록대부(興祿大夫)
| 본명 = 이혁 <br /> 李爀
| 별칭 = 자(字)는 매중(晦仲) <br /> 호(號)는 근독당(謹獨堂)
| 시호 = 문정 <br /> 文貞
출생일 = {{출생일
1661|6|13}}
| 출생지 = 조선 한성부 사저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
1722|11|12|1661|6|13}}
| 사망지 = 조선 한성부 사저
| 배우자 = 본실 군부인 안동 권씨 <br /> 첩실 광성 김씨
왕가 = [[조선
조선 왕조]] 전주 이씨
| 왕조 = 조선 왕조
| 종교 = 유교(성리학)
| 아버지 = 복창군(양부) <br /> 복녕군(생부)
| 어머니 = 군부인 창원 황씨(양모)<br /> 군부인 양천 허씨(생모)
| 친인척 = 권덕광(장인) <br /> 인평대군(조부) 등
| 자녀 = 슬하 4남 <br /> 차남 안흥군(安興君)
}}
의원군 이혁(義原君 李爀, 1661년 6월 13일 ~ 1722년 11월 12일)은 조선왕족 종실 출신 성리학자, 문인이며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능창군의 양증손으로 복창군의 양자이며 남연군의 생가 고조부가 된다. 자(字)는 매중(晦仲), 호(號)는 근독당(謹獨堂)이다.

성리학자로 저술들을 남겼으며 고종 때 가서 의정부김병학의 상소로 의정부 판종정경에 특별 증직되었다.

일생

생애

능창군 이종의 증손이고 생증조부는 인조이다. 할아버지는 인평대군 이요(麟坪大君 李㴭)이고, 생부는 복녕군 이욱(福寧君 李栯)이며 생모는 군부인 양천허씨로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을 지낸 허열(許悅)의 딸이다. 한성부 낙산 동쪽의 사저에서 태어났다.

1667년 의원정에 봉작되고 의원도정에 진책되었다가 1676년(숙종 2) 3월 11일 숙종이 직접 경학(經學)을 친히 강하였는데, 그가 논어(論語)에서 1등을 차지하자 숙종은 이를 매우 가상히여겨 특별히 가자하고, 의원군(義原君)에 책봉하였다. 이후 1677년 중의대부(中義大夫)로 승진하고 오위도총부 부총관(五衛都摠府副摠管)을 겸하였다. 1677년 11월 8일 도총관, 11월 10일 부총관이 되었다. 이해에 임금이 춘당대(春塘臺)에서 관무재(觀武才)를 보이며 종친들에게 활로 과녁 쏘아 맞추기(射侯)를 시키자 그는 세 번을 명중시키고 임금에게 말을 하사받았다. 1679년 인조, 효종, 현종 세 임금의 어필(御筆)을 간행할 계획으로 상소를 올리고 자신이 소장하고 있던 것을 직접 간행하여 숙종에게 올리자 숙종이 이를 가상히 여겨 승헌대부(承憲大夫)를 역임하였다. 1680년 경신환국 당시 연좌되어 파직되었다가 그는 김해(金海)로 귀양가고, 형 양원군은 흥양(興陽)으로 귀양 갔다. 1683년에는 형(刑)이 감해져서 그는 유배지를 한성에서 가까운 곳으로 옮겨졌는데, 그는 김해에서 양양(襄陽)으로, 양원군은 흥양에서 통천(通川)으로 옮겨졌다.

1688년(숙종 14) 어머니상을 당했지만 그는 아직 유배중이라 장례에 참석하지 못했다. 1689년(숙종 15) 2월 10일 방귀전리되고 1692년 12월 2일 직첩을 돌려받았다.

1693년 7월 13일 서용(敍用)의 명을 받았으며 7월 22일 승정원, 의금부 등에서 거듭 탄핵당했지만 숙종이 듣지 않았다. 그해에 인평대군의 묘를 경기도 광주군 에서 포천군 왕방산으로 이장하는데 주관하였으며, 왕으로부터 관곽용 목재를 하사받았다. 이후 경기도 파주에 살다가 1693년 대은정(戴恩亭)으로 이사했다가 1694년 한성부 북부 쌍리동(雙里洞)으로 다시 이사했다.

1701년 다시 삭직되었다. 1713년(숙종 39) 윤5월 권익흥(權益興)과 복평군(福平君) 이연(李㮒)에게 내려진 경기도 포천의 왕방산(旺方山)을 형 양원군 이환(陽原君 李煥)과 함께 차지하려 했다가 형 양원군 이환과 같이 사헌부로부터 탄핵당했다.

1716년 경기도 포천의 선영에서 출발하여 백운산(白雲山) 여행을 다녀왔다. 1718년에는 유행병을 심하게 앓아서 병석에 누웠는데, 이때 독한 약을 여러 번 지어서 쓴 뒤에 회복되었다. 그런데 의원군의 병을 간호한 사람 중에, 병에 전염된 사람이 하나도 없어서 사람들이 신기하게 여겼다. 1721년 10월에 갑자기 풍병에 걸렸다.

그는 자신이 거처하는 집에 특별히 근독당(謹獨堂)이라는 현판을 써서 걸었다 한다. 1699년 회재 이언적이 스스로를 경계하기 위해 썼다는 글을 본따서 자신의 책상에 써서 붙였다.

1722년(경종 2) 9월 앓고 있던 풍병이 점점 위독해지자 영호에서 한성 도성 안으로 거처를 옮겨 치료하였다. 그는 동평도위 정재륜(東平都尉 鄭載崙), 쌍호(雙湖) 최도명(崔道鳴) 등 몇명과 사귀며 친하게 지냈으며, 임종할 때 이들에게 영결을 고하는 편지를 썼다. 그러나 이들에게 보내는 편지에 집안일에 대한 언급은 한 마디도 없었다. 그해 11월 12일 정침에서 사망했다.

사후

1723년(경종 3) 12월 1일 양원군 이환 등과 함께 경종의 특명으로 작첩을 돌려받았다. 이때 승정원이 따르기를 거부했으나 경종이 듣지 않았다. 그는 생전에 인빈 김씨의 제사를 대신 지내기도 하였다. 한편 왕조실록에 의하면 그가 인빈 김씨의 제사를 주관하는 것을 그의 6촌 동평군이 매우 싫어했다 한다.

사후 가덕대부에 추증되었다가 다시 흥록대부(興祿大夫) 겸 홍문관대제학에 추증된 그는 고종 때 가서 학문적 공적을 포상할 것을 청하는 영의정 김병학의 상소로 증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의정 판종정경 겸 예겸에 추증되고 불천지위를 받았다.

가족 관계

* 양증조부 : 능창군
* 할아버지 : 인평대군
** 숙부 : 복선군 이남
** 숙부 : 복평군
* 양 아버지 : 복창군 이정
* 친 아버지 : 복녕군 이욱
** 형 : 양원군 이환
* 부인 : 안동군부인 안동권씨(1664년 8월 27일 ~ 1735년 3월 27일), 군수 권덕광(權德廣)의 딸
** 아들 : 이유일(李有一)
** 아들 : 안흥군 이숙(安興君 李埱, 아명은 李琡, 1693년 10월 9일 ~ 1768년 4월 7일)
*** 손자 : 이진익(李鎭翼, 1728년 9월 25일 ~ 1796년 4월 26일)
*** 서손자 : 이진태(李鎭台)
* 첩 : 광성 김씨
** 서자 : 증 안계군 이지(安溪君 李墀, 1703년 ~ 1738년 7월 15일

작품

1694년 숙종이 베푼 연회에서 지은 시

신의 몸은 죄를 지어 만 번 죽어 마땅한데 / 臣罪應萬死

천지처럼 인후하사 생명 보전 해주셨네 / 全生天地仁

아름다운 당(堂)에서 오늘 모임 베푸시니 / 花堂今日會

새록새록 성은에 송축의 맘 더할시고 / 尤祝聖恩新

꿈에 복녕군 앞에서 지었다는 시

백아(伯牙)는 거문고를 탈 것 없으니 / 伯牙不須鼓

음악을 알아듣는 종자기(鍾子期) 없네 / 鍾子無相識

곧은 바늘 낚싯대 드리운 사람 / 直鉤垂釣者

부질없이 창랑곡(滄浪曲)만 부르는구나 / 空詠滄浪曲

기타 이력

그는 성리학 어적인《오례집설》, 《사례찬설》, 《시찬제례》, 그밖에《열성세기요람》, 《역대 군신록》 등의 저서를 저술하였다.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