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혼/에피소드]] || || [[은혼/647화]] |||| '''은혼/648화''' |||| [[은혼/649화]] || <> == 소개 == [[은혼]] 648훈. '''진짜 전장''' * [[다카스기 신스케]]와 [[엔쇼]]의 승부가 끝나고 엔쇼는 빈사, 신스케 또한 쓰러지면서 전쟁도 끝날 것 같았지만 총성은 그치지 않는다. * 이때 [[도쿠가와 노부노부]]가 나서 싸움을 멈추고 증오의 연쇄를 끊자 강변하나 엔쇼는 인간이 살아있는 한 그건 불가능하다며 반박한다. * 본래 엔쇼에겐 형이 있었다. 동생을 신뢰하던 좋은 형이었으, 동생은 그런 형을 시기하고 있었다. 하필이면 그가 사랑하는 여자가 형수였기 때문에. * 형을 함정에 빠뜨리고 형수를 아내로 취한 엔쇼는 깊은 자기 혐오에 빠져 전장으로 달아나기를 반복하고 있었다. 그리고 아르타나 사변이 일어났다. * 엔쇼는 자기 같은 자들이 있어 전쟁은 끝나지 않는다 주장했으나 신스케는 "전쟁이 끝나고 보통 인간으로 돌아가서야 진짜 전장에 서는 것"이라 역설한다. * 결국 병사들까지 전의를 잃고 무기를 버리자 노부노부는 적아군 구분없이 모두를 구하도록 하는데, 이를 본 엔쇼가 마음을 움직여 자신의 패배를 인정한다. * 엔쇼는 자작 제독에게 그에게 용서를 비는데, 그것이 유언이 되었다. 종전을 납득하지 못한 병사가 총을 난사했고 엔쇼는 머리를 맞아 절멸했다. * 그리고 그 총알은 노부노부도 맞았다. 다시금 일촉즉발의 상황이 이어졌으며 노부노부는 피를 흘리면서도 조금 더 참을 것을 주문했다. * 그는 전쟁을 일으킨 지도자들의 업보를 시인하며 총을 쏜 병사에게 분이 풀릴 때까지 자신들을 쏘되, 이 전쟁은 대장 둘의 목숨으로 끝내도록 하자고 타이른다. == 줄거리 == * 흩날리는 피보라. [[엔쇼]]의 팔이 떨어졌다. [[다카스기 신스케]]의 일섬이었다. 엔쇼는 쓰러지고 신스케는 아직 서 있었다. 총알이 난무하는 전장 한 가운데. 모두의 시선이 그 장면에 못박혔다. 쉴 새 없이 방아쇠를 당기던 손들이 멈췄다. 마치 시간이 멈춘 것 처럼. [[가츠라 고타로]]도, [[사카모토 다츠마]]도. [[사루가쿠]]와 신스케의 동료 [[다케치 헨페이타]]와 [[키지마 마타코]]도. 누구도 움직이지 않았다. 신스케가 제일 먼저 움직였다. 입에서 피를 뿜었다. * 신스케가 쓰러지면서 멈춰있던 시간이 움직였다. 마타코의 오열과 함께 전장의 소란스러운 소리도 돌아왔다. 군홧발소리가 두 남자의 주위를 애워쌌다. 양측의 병사들이 적의 대장을 향해 총구를 겨눴다. 다시 시간은 얼어붙었다. 끝을 알 수 없는 대치가 영원히 이어질 것 같았다. 그만두자고 할 때까지는. [[도쿠가와 노부노부]]가 그 말을 꺼냈다. >거기까지다. * 자작 제독과 함께 병사들 앞에 선 노부노부는 무장을 하고 있지 않았다. 그는 적과 아군을 구분하지 않고 말했고 누구에게라고 할 것 없이 말했다. 자기 자신에게 하는 걸지도. 그는 이제 충분히 싸웠고 자신들이 이 자리에 있는건 증오를 부딪히기 위해서가 아닌, 그걸 멈추기 위해서라고 말하고 있었다. >그렇기에 우리들도 멈춰야만 한다. >복수에 복수로 대해서는 증오의 나선은 끝나지 않는다. >그러니까, 미안하다 모든이여. >참아주지 않겠는가. * 권유처럼 들리는 노부노부의 말에 수긍하는 이는 없었지만 부정하는 이도 없었다. 대의를 짊어지고 사람들을 이끌어온 남자들, 다츠마와 가츠라가 그랬고 신스케가 그랬다. 신스케는 지금껏 밟아온 시체를 생각했다. [[카와카미 반사이]]의 시체를 생각했다. 그 시체들이 발 밑에 있는데 참으라는 말을 듣고 있었다. 아직 손에 칼이 들려있었다. 그때 엔쇼가 한 말은 신스케의 심정을 대변했을지도 모른다. >그럴 필요 없다. >끝장을 내거라. 엔쇼는 의식이 남아있었다. 그는 몸의 고통따윈 잊은 것처럼 노부노부의 권유를 조소했다. 거기에 반박하는데는 오래 생각할 것도 없었다. 오래 전에 한 번 떠올린 말이었고, 이미 한 번 했던 말이었다. 이젠 세상에 없는 사람에게 했던 말. >멈추든 멈추지 못하든 그 증오는 사라지지 않는다. >그래, 그 슬픔도 괴로움도 살아있는 한 멈추지 않는다. * 아내는 엔쇼가 그렇게 말해도 놀라지 않았다. 부정하지도 않았다. 그들은 어떤 사람의 무덤 앞에 있었고 묘비를 마주한 아내는 결연해 보였다. 아내의 말은 대답이라기 보단 그녀의 삶이었던 것 같다. >그렇지만 그래도 괜찮아. >난 그 아픔과 함께 살아가고 싶어. 아내에겐 그 아픔이야말로 무덤의 주인이 이 세상을 살았던 증거이자 그가 자기 안에서 아직도 살아있는 증거였다. 그녀가 그렇게 생각하게 된 계기는 엔쇼였고 또 뱃속에 있는 그의 아이였다. 엔쇼가 먼저 자리를 떴다. 새로운 전장이 그를 기다리고 있었다. 아내는 다만 짖궂은 말로 그가 무사하기를 빌었다. >그러니까 엔쇼. 나를 두고 전장에서 죽으면 안 돼. >당신은 나보다 오래 살아서 내가 죽을 때 듬뿍 슬퍼해야 하거든. 아픔과 함께 살아간다고. 엔쇼가 기억하는 아내의 마지막은 그랬다. 하지만 그녀는 그 아픔이 어디서 오는지 끝내 알지 못했다. 그가 그녀를 어떻게 생각해왔는지도 끝내 몰랐다. 그녀가 엔쇼를 통해 깨달은 삶이 얼마나 거짓된 것인지도. * 초연의 황자가 형이 있었다는건 숨길 일이 아니었다. 아우를 사랑하는 좋은 형이었고 그를 무예의 수호신이라 칭송해주었다. 하지만 아름다운 형수에게 품은 감정은 숨겨둬야 할 일이었다. 엔쇼는 아무 것도 내색하지 않았다. 앞으로 할 일을 위해선 많은 것을 숨길 필요가 있었다. 머지 않아 형은 전쟁을 멈추기 위한 여정에 올랐다. 어떤 나라와 동맹을 체결하는 일이었다. 그녀가 아직 형수였던 시절엔 남편을 초연하게 배웅하는 법을 몰랐다. 형은 아내를 안심시키기 위해 전쟁을 하러 가는게 아니며 영웅 초연의 황자가 지켜줄 거라고 말했다. 그의 말대로 엔쇼는 형의 곁에 있었다. 아무 것도 내색하지 않았다. 적당한 위치에 도달한 형의 함선이 기습을 당하고 동생에게 구원을 요청할 때조차 아무 내색도 하지 않았다. 그는 형을 내버려둔 채 고국으로 돌아왔다. 그는 아무 것도 모르는 얼굴로 슬픔을 가장했다. 그가 맨 처음 한 일은 형이 누워있는 관 앞에서 형수를 위로한 일이었다. >나한테는 처음부터 그녀를 위해서 다른 누군가를 증오할 자격 따윈 없었다. >그녀의 적은 바로 나였다. 어디까지였을까? 어디까지가 계획이고 어디까지가 은폐였을까? 그의 형도 형수도 결코 알 수 없는 일이었다. 어쩌면 그 자신까지도. 이제 길고 긴 도주의 나날이 버티고 있었다. 초연의 황자는 전장에 미치지 않았다. 도피처가 필요했을 뿐이다. 그는 진실을 마주할 용기가 없었고 고통과 함께 살 강함이 없었다. 아내의 강함으로부터 도망쳐야 했다. 오직 전장에서만 그게 가능했다. 생과 사의 경계에서 허우적대다 보면 그녀의 강함도, 그녀로부터 달아나는 자신의 약함도 잊을 수 있었다. 그리고 이제는 그녀를 잃었다는 고통까지 잊을 수 있었다. 얼마나 좋은 도피처인가? >그리고 지금도 계속 도망치고 있지. 전장으로. 엔쇼는 자신이 전장에서 도망자로 죽어야 한다고 믿었다. * == 여담 == == 분류 == [[분류:은혼]] [[분류:은혼/에피소드]]